KR20010095994A - 의료용 부압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부압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5994A
KR20010095994A KR1020000019534A KR20000019534A KR20010095994A KR 20010095994 A KR20010095994 A KR 20010095994A KR 1020000019534 A KR1020000019534 A KR 1020000019534A KR 20000019534 A KR20000019534 A KR 20000019534A KR 20010095994 A KR20010095994 A KR 20010095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negative pressure
tube
generating device
pump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9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완
Original Assignee
김형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완 filed Critical 김형완
Priority to KR1020000019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5994A/ko
Publication of KR20010095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599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1Pneumatic massage by localized pressure, e.g. air streams or j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57S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항등에 필요한 부압을 발생시키는 부압 발생장치로서, 간단히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자동으로 필요한 정도의 부압이 발생되게 하므로서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토록 하는 의료용 부압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 모터와; 상부는 원형의 홈이 형성된 펌핑부를 이루고, 이 펌핑부의 전방으로는 양측에 각각 제1밸브와 제2밸브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펌핑부의 하부에는 축지지구가 일체로 형성되는 고무재의 튜브와;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축지지되며, 외주면의 일측에는 축방향에 편심되도록 하여 일단이 상기 축지지구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연동축이 축고정되는 편심 지지구와; 일측은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구동 모터에 밀착시켜 체결되고, 중앙의 관통홀에는 상기 펌핑부의 외주면이 안착되며, 전방의 일측에는 하향 관통되는 관형상의 배기관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튜브의 상기 제2밸브에 의해서 개폐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안착되어 체결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마주보는 면으로는 상기 제1밸브와 제2밸브에 연결되어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도로가 형성되고, 전방의 일측으로는 상향 관통되는 관형상의 흡기관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튜브의 상기 제1밸브에 의해서 개폐되도록 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성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의료용 부압 발생장치{Vacuum raising apparatus for treatement}
본 발명은 부항등에 필요한 부압을 발생시키는 부압 발생장치로서, 간단히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자동으로 필요한 정도의 부압이 발생되게 하므로서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토록 하는 의료용 부압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항기는 진공정혈요법, 혈액정화 및 체질개선에 사용되는 한방치료기로서, 예전에는 치료코자 하는 환부에 시술용 로션이나 알콜을 바르고 부항단지내에 몇방울의 알콜을 떨어뜨린 다음 부항단지에 불을 붙여 일순간에 부항단지를 환부에 엎어놓게 되면 부항단지내의 산소가 소진되면서 불은 꺼지고 내부가 진공상태로 되는 동시에 피부의 일부가 부항단지내로 빨려들어가도록 하였는바 이때 피부의 땀구멍이 열리면서 그 땀구멍을 통해 인체내의 노폐물과 독소등을 유출시켜 시술하였다.
하지만 이와같은 방법은 실제 전문가가 아니면 시술이 어려운 문제와 환자로 하여금 공포심을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어 현재는 종형상의 용기에 별도로 공기흡입수단이 연결되도록 하여 이 공기흡입수단에 의해서 보다 편리하게 용기내부에 부압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사용되는 공기흡입수단은 통상 도 1에서 보는바와 같은 튜브(2)를 사용하기도 하고, 도 2에서와 같은 펌프(3)를 사용하기도 한다.
다시말해 공기흡입수단을 사용되는 튜브(2)나 펌프(3)는 부항용기(1)에 직접 또는 호스를 통해 연결되도록 하여 부항용기(1)내에 흡입압력 즉 부압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공기흡입수단에 의해 부항용기(1)내에 부압을 발생시키게 되면 부항용기(1)가 밀착된 부위의 피부가 부풀어 올라오게 되면서 종전과 같이 피부의 땀구멍을 통한 인체내 노폐물이나 독소등이 유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는 공기흡입수단들은 부압을 수동으로 발생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대단히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시술시 많은 수의 부항용기(1)를 부착시키게 되는 경우에는 이들 각각에 수동으로 부압을 형성시켜야만 하므로 시술자의 피로를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보다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자동으로 부압이 발생되도록 하여 시술자의 편의를 제공코자 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튜브형 부압 발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펌프형 부압 발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압 발생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압 발생장치의 튜브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조립시킨 상태에서 요부를 절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의 저면도,
도 7은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동 모터 20 : 튜브
21 : 펌핑부 22 : 제1밸브
23 : 제2밸브 30 : 편심 지지구
40 : 하부 플레이트 42 : 배기관
50 : 상부 플레이트 52 : 흡기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 모터와;
상부는 원형의 홈이 형성된 펌핑부를 이루고, 이 펌핑부의 전방으로는 양측에 각각 제1밸브와 제2밸브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펌핑부의 하부에는 축지지구가 일체로 형성되는 고무재의 튜브와;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축지지되며, 외주면의 일측에는 축방향에 편심되도록 하여 일단이 상기 축지지구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연동축이 축고정되는 편심 지지구와;
일측은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구동 모터에 밀착시켜 체결되고, 중앙의 관통홀에는 상기 펌핑부의 외주면이 안착되며, 전방의 일측에는 하향 관통되는 관형상의 배기관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튜브의 상기 제2밸브에 의해서 개폐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안착되어 체결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마주보는 면으로는 상기 제1밸브와 제2밸브에 연결되어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도로가 형성되고, 전방의 일측으로는 상향 관통되는 관형상의 흡기관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튜브의 상기 제1밸브에 의해서 개폐되도록 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부압 발생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로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크게 구동 모터(10)와 튜브(20) 그리고 편심 지지구(30)와 하부 플레이트(40) 및 상부 플레이트(5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구동 모터(10)는 단순히 외부의 입력 전원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게 되는 구성으로서 별도의 스위치기구에 의해 구동을 단속하게 된다.
튜브(20)는 전체가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도 4에서와 같이 상부에는 하향 요입되는 원형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펌핑부(21)를 가지며, 이 펌핑부(21)의 전방에는 양측으로 제1밸브(22)와 제2밸브(23)가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되고, 펌핑부(21)의 저면 중심은 하향 연장되도록 하면서 그 하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부시(25)가 삽입된 축지지구(24)를 일체로 형성한 구성이다.
그리고 편심 지지구(30)는 구동 모터(10)의 구동축(11)에 고정되게 축지지되며, 외주면의 일측에는 연동축(31)의 일단이 축고정되도록 한 구성으로서, 연동축(31)은 편심 지지구(30)에 축고정되는 일단과 대응되는 타단이 튜브(20)의 축지지구(24)의 하단부에 삽입된 부시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편심 지지구(30)에 의해 구동축(11)이 회전하게 되면 이 구동축(11)에 편심되게 축지지되도록 한 연동축(25)은 구동축(11)을 중심으로 편심된 길이를 반경으로 하는 큰 원을 그리면서 회전하게 된다.
하부 플레이트(40)는 일측의 끝단부가 수직으로 절곡되면서 이 절곡된 부위가 구동 모터(10)와 밀착되어 스크류등에 의해 견고하게 체결되고, 수평면에는 중심부가 관통되면서 튜브(20)의 펌핑부(21)가 삽입되면서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하부 플레이트(40)의 관통홀(41)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주연부에는 양측으로 튜브(20)의 제1밸브(22)와 제2밸브(23)가 위치되며, 이 제1밸브(22)와 제2밸브(23)의 직하부측 주연부에는 이들 제1밸브(22)와 제2밸브(23)의 평단면적보다는 작은 직경의 홀이 형성되도록 하되 특히 제2밸브(23)의 직하부측 홀은 하향 연장되면서 하부 플레이트(40)로부터 관형상으로 하향 연장시킨 배기관(42)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도록 한다.
상부 플레이트(50)는 하부 플레이트(40)의 상부에 안착되어 스크류등에 의해 체결되는 부재로서, 이때 하부 플레이트(40)와 상부 플레이트(50)의 사이에는 도 5에서와 같이 튜브(20)의 외주연부가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패킹의 역할을 하게 되어 기밀을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50)에는 도 6에서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40)와 대향하는 저면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도로(51)가 형성되도록 하되 이 유도로(51)의 일단은 튜브(20)의 제1밸브(22)와 제2밸브(23)에 각각 연결되고, 이들 유도로(51)의 타단은 튜브(20)의 펌핑부(21) 내측으로 요입시킨 원형의 홈의 직상부에서 보다 큰 체적을 갖도록 상향 요입시킨 공간과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펌핑부(21)의 하향 요입한 홈과 상부 플레이트(50)의 상향 요입되도록 한 공간이 서로 연통되면서 소정의 공간 체적을 갖는 챔버(53)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부 플레이트(50)의 제1밸브(22)측 직상부로 위치되는 유도로(51)의 끝단부는 내경이 제1밸브(22)의 외경보다는 미세하게 큰 사이즈로서 형성되도록 하며, 제1밸브(22)측 유도로(51) 끝단부의 중앙에는 제1밸브(22)에 의해서 개폐되도록 하는 흡기관(52)의 일단이 하향 돌출되고, 이 흡기관(52)은 상부 플레이트(50)에서 관형상으로 상향 돌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부 플레이트(50)의 제2밸브(23)측 직상부로 위치되는 유도로(51)의 끝단부는 내경이 제2밸브(23)의 외경보다는 작은 사이즈로서 형성되도록 하여 제2밸브(23)에 의해서 닫혀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같은 구성에서 특히 제1밸브(22)와 제2밸브(23)는 하부 플레이트(40)의 상부면과는 미세하게 이격되도록 하면서 상부 플레이트(50)의 흡기관(52)과유도로(51)의 주연부와는 밀착되는 구조가 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구동 모터(10)의 일측에 체결되는 하부 플레이트(40)와 그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 플레이트(50)의 사이에 튜브(20)가 구비되도록 하고, 이 튜브(20)의 하단부측 축지지구(24)에 축설된 연동축(25)과 구동 모터(10)의 구동축(11)이 편심 지지구(30)에 각각 편심 지지되도록 하므로서 구동 모터(10)의 구동시 튜브(20)의 펌핑부(21)가 변형되면서 펌핑작용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구동 모터(10)의 구동시 구동축(11)에 축설된 편심 지지구(30)가 회전하면서 이 편심 지지구(30)의 외주면 일측에 축지지된 연동축(11)이 구동축(11)을 중심으로 편심된 반경의 궤적을 그리며 연동축(11) 자체를 회전시키게 된다.
펌핑부(21)의 변형에 의해 챔버(53)의 체적을 증감시키면서 흡입력과 배출력을 형성하게 되고, 튜브(20)의 제1밸브(22)와 제2밸브(23)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게 되고, 이로서 지속적으로 흡입관(52)을 통해서는 외기를 흡입시키게 되는 동시에 배출관(42)을 통해서는 내부에 흡입한 외기를 배출시키게 된다.
즉 구동 모터(10)의 구동에 의해서 도 7에서와 같이 펌핑부(21)가 하부로 만곡지는 형상으로 변형이 되면 챔버(53)의 체적 공간이 확장되면서 부압이 발생되고, 이때의 부압에 의해 제1밸브(22)는 흡기관(52)의 하단부를 개방하게 되고, 제2밸브(23)는 배기관(42)의 상단부가 막혀지도록 한다.
따라서 챔버(53)에서 발생되는 부압에 의해 흡기관(52)을 통해서는 외기가유입되며, 이렇게 유입된 외기는 배기관(42)이 제2밸브(23)에 의해 막혀진 상태이므로 챔버(53)내에 정체되어 있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구동 모터(10)의 연속적인 구동에 의해 펌핑부(22)를 도 8에서와 같이 상향 만곡지는 형상으로 변형시키게 되면 전기한 작용에서와는 반대로 챔버(53)내 체적 공간이 축소되면서 압축력이 발생되고, 이때의 압축력에 의해 제1밸브(22)는 흡기관(52)을 막고, 제2밸브(23)는 배기관(42)을 개방시키게 되면서 챔버(53)내 공기를 배기관(42)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구동 모터(10)가 지속적으로 구동하게 되면서 펌핑부(21)를 연속하여 변형시키게 되면 흡기관(52)을 통해서는 챔버(53)로 외기가 유입되어 배기관(42)을 통해 배출되는 작용이 반복된다.
이와같은 작용을 하게 되는 부압 발생장치의 흡기관(52)으로 도 9과 같이 호스(60)의 일단을 연결하고, 이 호스(60)의 타단을 환부에 밀착시킨 부항용기(70)에 연결하게 되면 부항용기(70)의 내부 압력이 점차 낮아지면서 부항용기(70)가 밀착되어 있는 피부가 부풀어 오르게 된다.
이렇게 부압 발생장치를 계속 구동시키면서 환부에 여러개의 부항용기(70)를 밀착시키게 되더라도 간단히 부압 발생장치에 연결시킨 호스(60)의 타단을 각 부항용기(70)에 하나씩 연결하게 되면 아무리 많은 부항용기(70)를 사용하게 되더라도 손쉬운 시술을 할 수가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부압 발생장치는 흡입식 피부 미용기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하부 플레이트(40)와 상부 플레이트(50)의 사이에 구비되는 튜브(20)가 펌핑작용함에 의해 필요로 하는 부압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도록 하므로서 부항 시술자의 사용 편의를 대폭적으로 개선시키는 동시에 간소한 구성에 의해 제작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5)

  1. 구동 모터(10)와;
    상부는 원형의 홈이 형성된 펌핑부(21)를 이루고, 상기 펌핑부(21)의 전방으로는 양측에 각각 제1밸브(22)와 제2밸브(23)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펌핑부(21)의 하부에는 축지지구(24)가 일체로 형성되는 고무재의 튜브(20)와;
    상기 구동 모터(10)의 구동축에 축지지되며, 외주면의 일측에는 축방향에 편심되도록 하여 일단이 상기 축지지구(24)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연동축(31)이 축고정되는 편심 지지구(30)와;
    일측은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구동 모터(10)에 밀착시켜 체결되고, 중앙의 관통홀(41)에는 상기 펌핑부(21)의 외주면이 안착되며, 전방의 일측에는 하향 관통되는 관형상의 배기관(42)이 상기 튜브(20)의 상기 제2밸브(23)에 의해서 개폐되는 하부 플레이트(40)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40)의 상부에 안착되어 체결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40)와 마주보는 면으로는 상기 제1밸브(22)와 제2밸브(23)에 연결되어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도로(51)가 형성되고, 전방의 일측으로는 상향 관통되는 관형상의 흡기관(52)이 상기 튜브(20)의 상기 제1밸브(22)에 의해서 개폐되도록 하는 상부 플레이트(50);
    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압 발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구(24)의 하단에는 연동축(31)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부시(25)가 삽입된 의료용 부압 발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 플레이트(50)의 저면에는 펌핑부(21)의 상부면으로 형성되는 원형의 홈과 대향하는 면이 상향 만곡지면서 상호 연통되도록 하여 일정량의 공기가 충진될 수 있도록 하는 챔버(23)를 형성한 의료용 부압 발생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23)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50)에 형성되는 유도로(51)와 연통되도록 하는 의료용 부압 발생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50)의 상부로 돌출시킨 흡기관(52)의 상단부에는 부항용기(70)와 연결되도록 하는 호스(60)가 끼워지는 의료용 부압 발생장치.
KR1020000019534A 2000-04-14 2000-04-14 의료용 부압 발생장치 KR200100959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534A KR20010095994A (ko) 2000-04-14 2000-04-14 의료용 부압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534A KR20010095994A (ko) 2000-04-14 2000-04-14 의료용 부압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994A true KR20010095994A (ko) 2001-11-07

Family

ID=19664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9534A KR20010095994A (ko) 2000-04-14 2000-04-14 의료용 부압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59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555B1 (ko) * 2004-12-29 2006-06-28 박상일 의료용 부압 발생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71191A (ko) * 1973-07-23 1975-06-12
JPS5444392A (en) * 1977-09-14 1979-04-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Inhaler
KR970012159U (ko) * 1995-09-19 1997-04-25 장순자 부황기용 진공흡입장치
KR19990022440U (ko) * 1999-02-25 1999-07-05 정희문 전동부항흡입장치
KR19990083955A (ko) * 1999-05-12 1999-12-06 서정주 휴대용 콧물 흡입기
KR200175728Y1 (ko) * 1999-10-15 2000-03-15 김경태 공기압 조절밸브가 구비된 부항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71191A (ko) * 1973-07-23 1975-06-12
JPS5444392A (en) * 1977-09-14 1979-04-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Inhaler
KR970012159U (ko) * 1995-09-19 1997-04-25 장순자 부황기용 진공흡입장치
KR19990022440U (ko) * 1999-02-25 1999-07-05 정희문 전동부항흡입장치
KR19990083955A (ko) * 1999-05-12 1999-12-06 서정주 휴대용 콧물 흡입기
KR200175728Y1 (ko) * 1999-10-15 2000-03-15 김경태 공기압 조절밸브가 구비된 부항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555B1 (ko) * 2004-12-29 2006-06-28 박상일 의료용 부압 발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36819Y2 (ja) 吸引器
JP2804371B2 (ja) 外科用器具
US6257847B1 (en) Diaphragm pump and pump for double-breast pumping
US5776098A (en) Diaphragm pump and pump mounted in a carrying case useful in breast pumping
KR101194240B1 (ko) 브레스트 실드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 브레스트 펌프에 있어서의 최소 부압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367664B1 (ko) 휴대용 콧물 흡입기
US7306558B2 (en) Fluid pressure generating means
AU2010300011A1 (en) Breast shield for expressing human breast milk
CA2007675A1 (en) Compact pulsing pump for irrigation handpiece
TW201922302A (zh) 吸乳器
JPH08504248A (ja) 無限変動型空圧脈動ポンプ
JP4790234B2 (ja) 硝子体カッター
EP0494488A1 (en) Excrement disposing system
KR20010095994A (ko) 의료용 부압 발생장치
CN110230585A (zh) 压力真空控制泵
US4888003A (en) Vacuum apparatus
US7867196B1 (en) Pump and method having reduced pressure and friction for providing fluid, especially for surgical procedures
JP6517566B2 (ja) 医療用吸引装置
KR200379443Y1 (ko) 의료용 부압 발생장치
US20020188231A1 (en) Device for performing can sucking therapy
KR100592555B1 (ko) 의료용 부압 발생장치
KR100399849B1 (ko) 부압 선택 기능을 갖는 의료용 부압 발생장치
KR200317386Y1 (ko) 휴대용적층식부항
KR102636134B1 (ko) 체액 흡입장치
JP3345705B2 (ja) 流体噴出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圧力コンバータ並びに噴出系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