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134B1 - 체액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체액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134B1
KR102636134B1 KR1020230098411A KR20230098411A KR102636134B1 KR 102636134 B1 KR102636134 B1 KR 102636134B1 KR 1020230098411 A KR1020230098411 A KR 1020230098411A KR 20230098411 A KR20230098411 A KR 20230098411A KR 102636134 B1 KR102636134 B1 KR 102636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lows
unit
pressure
ai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8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구
김우호
Original Assignee
김선구
김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구, 김우호 filed Critical 김선구
Priority to KR1020230098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64Containers with integrated suction means
    • A61M1/65Containers with integrated suction means the suction means being electrically actu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4Suction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0Suction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소형이면서도 콧물의 흡입력을 높일 수 있고, 소음과 진동은 최소화할 수 있도록, 외형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의 흡입압으로 일측에 마련된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구로 배출하는 펌핑부, 상기 펌핑부에 연결되어 펑핑부 내부에 흡입압을 형성하기 위한 구동모터, 상기 흡입펌프의 흡입구에 연결관을 매개로 연통 설치되며 본체 일측에 마련되어 콧물 흡입용 흡입기를 연결할 수 있도록 된 연결구를 포함하는 체액 흡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체액 흡입장치{APPARATUS FOR NASAL ASPIRATION}
본 개시내용은 체액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로 인한 도시화와 인구 팽창, 교통의 발달 등으로 인해 사람들 간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각종 질병 역시 급속도로 전파되어 확산되고 있다. 이에, 현대인들은 환경오염으로 인해 만성 비염이나 알레르기성 비염은 물론 감기 등의 바이러스성 질병 등 각종 질환에 시달리고 있다.
예를 들어, 비염이나 감기에 걸리게 되면 콧물이 흐르면서 콧물에 의한 코막힘 현상이 나타나 호흡이 불편하고 두통, 주의력 감퇴를 가져오며, 심한 스트레스를 수반하게 된다. 성인인 경우에는 스스로 코를 풀어 콧물을 제거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으나, 코를 스스로 풀 수 없는 유아나 지체장애인 또는 환자의 경우에는 다른 이의 도움이 필요하다. 콧물을 제대로 제거해주지 못하는 경우 심각한 질병으로 발전할 수 있다.
이에, 콧물 등의 체액을 쉽게 흡입하여 제거하기 위한 흡입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콧물 흡입장치는 내부에 펌프가 구비되어 흡입력을 가하는 본체와, 본체에 흡입관을 매개로 연결되고 콧구멍에 접하여 콧물을 흡입하는 흡입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장치는 흡입력을 높이는 경우 본체의 소음과 진동이 커서 사용이 불편하고, 소음과 진동을 줄이는 경우에는 콧물의 흡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펌핑에 의한 맥동 발생으로 콧물 흡입을 위한 충분한 압력과 유량을 지속적으로 가하기 어려워 콧물을 제대로 흡입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최근 들어, 콧물 등의 체액 제거에 대한 인식 개선으로 체액 흡입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종래의 기술을 보다 개선하여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많은 장점을 줄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
한국등록특허 제10-1225546호(발명의 명칭 : 진공탱크가 형성된 콧물흡입기, 2013.01.17. 등록)
본 과제는 소형이면서도 콧물의 흡입력을 높일 수 있는 체액 흡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펌핑에 의한 맥동 발생을 최소화하고 흡입 압력과 유량을 충분히 높이고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체액 흡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흡입력 높이고 소음과 진동은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체액 흡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흡입기를 살균하여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체액 흡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보다 정교하고 확실한 압력 제어로 체액 외에 흡입을 막고 사용자의 점막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체액 흡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현예의 콧물 흡입장치는, 외형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진공압을 형성하여 일측에 마련된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구로 배출하는 펌핑부, 상기 펌핑부에 연결되어 펑핑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 상기 흡입부의 흡입구에 연결관을 매개로 연통 설치되며 본체 일측에 마련되어 콧물 흡입용 흡입기를 연결할 수 있도록 된 연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에 전력을 인가하는 이차전지, 상기 본체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차전지 충전용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단케이스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를 구비하여 상기 하단케이스 내부에 보관된 상기 흡입기를 살균 처리하는 살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포켓, 상기 포켓 내면에 연통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출구관, 상기 포켓 외면에 형성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타공판, 상기 포켓에 삽입 설치되어 공기 중 오염물질을 걸러 제거하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핑부는 구동모터에 결합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의 선단에 설치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여 내부에 감압실을 이루고 일측에 구비된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압력부, 상기 제2 부재의 선단 외주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구멍에 삽입되고 축방향을 따라 유동되어 압축 및 팽창되면서 공기를 펌핑하는 복수의 자바라부를 포함하는 다이아프램, 상기 압력부 내에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다이아프램의 자바라부 사이에 연결되어 각 자바라부를 순차적으로 압축 및 팽창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다이아프램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부재 선단에 밀착 설치되고 전면에는 상기 자바라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자바라부 내부와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각 연통홀에 설치되고 연통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자바라부 압축시 내부 공기를 일방향으로만 배출하는 배출밸브, 상기 자바라부와 상기 감압실 사이에 설치되어 자바라부 팽창시 상기 감압실의 공기를 상기 자바라부 내부로 이송하는 배출부, 상기 지지판 선단에 설치되며 선단에는 내부와 연통되어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형성한 커버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편심부재, 회전축에 편심되어 축방향에 대해 상기 편심부재에 경사지게 축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다이아프램의 각 자바라부 선단과 결합되어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상하 요동되어 상기 각 자바라부를 순차적으로 압축 및 팽창시키는 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각 자바라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부재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상기 압력부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의 배출홀, 상기 다이아프램의 중심부에 상기 각 배출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자바라부 팽창시 배출홀을 개방하여 압력부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밸브, 상기 지지판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배출홀 위치에서 상기 자바라부 위치까지 연장되어 상기 배출홀과 상기 자바라부를 연결하여 상기 배기밸브 개방시 배출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자바라부로 이송하는 이송관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부에 설치되고 압력부의 내부 압력에 따라 개폐되어 외부 공기를 압력부 내부로 유입시키는 두 개의 릴리프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밸브는 상기 다이아프램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다이아프램에 형성된 홀에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홀과 상기 이송관로에 양면이 접하는 상기 디아이프램의 홀 내에서 유동되며 상기 배출홀을 개폐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크기를 최소화하여 콤팩트화함으로써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소형이면서도 강한 흡입력을 제공하여 콧물 등 체액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펌핑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하여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공기가 흡입되는 압력부의 내부 공간을 최대한 크게 형성하고 이 공간 내에 형성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콧물을 흡입함으로써, 펌핑에 의해 발생되는 맥동을 평탄화하고 흡입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장치의 내부에 흡입기를 보관할 수 있어 흡입기를 별도로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이고, 보관시 자외선을 이용하여 흡입기를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살균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복수개의 릴리프밸브 구조를 통해 유량과 압력의 제어를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일측 릴리프 밸브 고정시에도 원할한 작동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체액 외에 콧속 점막 등에 흡입기가 접하였을 때 바로 압력이 제어되어 고압의 흡입력에 의해 점막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체액 흡입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체액 흡입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체액 흡입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체액 흡입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체액 흡입장치의 펌핑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체액 흡입장치의 펌핑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체액 흡입장치의 펌핑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체액 흡입장치의 펌핑부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체액 흡입장치는 체액 중 콧물을 흡입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 구조를 예로서 설명한다. 체액 흡입장치는 콧물 흡입 외에 흡입기의 종류를 달리하여 입속의 가래 제거 등 다양한 종류의 체액을 흡입하는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체액 흡입장치의 외형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2 내지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체액 흡입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도 1의 y축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하고 y축 방향을 따라 위쪽을 상 또는 상부라 하고 아래쪽을 하 또는 하부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흡입장치(100)는, 외형을 이루는 본체(110), 본체(110) 내부에 구비되고 진공압을 형성하여 일측에 마련된 흡입구(202)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구(204)로 배출하는 펌핑부(200), 펌핑부(200)에 연결되어 펌핑부(2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120), 펌핑부(200)의 흡입구(202)에 연결관(130)을 매개로 연통 설치되며 본체(110) 일측에 마련되어 콧물 흡입용 흡입기(300)를 연결할 수 있도록 된 연결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관(130)은 본체(110) 내부에서 펌핑부(200)의 흡입구(202)와 본체(110)의 연결구(132) 사이를 연결하여 관로를 형성한다. 구동모터(120)에 의해 펌핑부(200)가 구동되면 펌핑부(200)에 진공압이 형성된다. 펌핑부(200)의 진공압에 의해 연결구(132)와 연결관(130)을 통해 펌핑부(200)의 흡입구(202)로 공기가 흡입된다. 이에, 연결구(132)에 연결된 흡입기(300)에 흡입력을 가해 콧물을 흡입할 수 있게 된다.
흡입기(300)는 길게 연장된 흡입관(310)을 매개로 본체(110)의 연결구(132)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연결구(132)에 설치된 흡입관(310)을 통해 흡입기(300)로 본체(110)의 흡입력이 인가된다. 이에, 흡입기(300)가 콧물을 흡입할 수 있게 된다. 흡입기(300)는 예를 들어, 콧속으로 삽입되는 노즐과 흡입된 콧물을 수용하는 본체(110)를 포함하여, 콧속에서 콧물을 흡입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흡입기(300)의 구조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체(110)는 흡입장치(100)의 외형을 이룬다. 본체(110)는 내부에 각 구성부 설치를 위한 공간을 구비하며, 상부에는 장치 제어를 위한 회로기판(112)이 마련된다. 회로기판(112)은 본체(110) 상단에 배치된 스위치부(114)와 연결되어 스위치부(114)의 조작에 따라 각 구성부를 제어 구동한다. 본체(110)의 측면 일측에는 흡입관(310)이 연결되는 연결구(132)가 설치된다.
연결구(132)에 대향하여 본체(110)의 측면에는 펌핑부(20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복수의 홀이 형성된 타공판(115)이 구비될 수 있다. 본체(110)의 크기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에, 펌핑부(200)의 구동에 따라 연결구(132)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펌핑부(200)의 배출구(204)를 통해 배출되어 본체(110)의 타공판(11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의 흡입장치(100)는 본체(110) 내부에 구비되고 회로기판(112)을 통해 구동모터(120)에 전력을 인가하는 이차전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 외측에는 이차전지(113) 충전을 위해 외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단자가 마련될 수 있다. 충전단자를 통해 전원이 입력되면 회로기판(112)의 제어에 따라 이차전지(113)로 전원이 인가되어 이차전지(113)를 충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체(110) 내에 별도의 이차전지(113)를 구비함으로써, 외부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곳에서도 휴대용으로 흡입장치(100)의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장치는 어느 곳에서나 무선으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체(110) 내에는 펌핑부(200)의 배출구(204)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필터부(14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필터부(140)는 타공판(115)의 내측에 마련되는 포켓(142), 포켓(142) 내면에 연통 설치되어 배출구(204)와 연결되는 출구관(144), 포켓(142)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공기 중 오염물질을 걸러 제거하는 필터(14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펌핑부(200)의 배출구(204)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출구관(144)을 통해 포켓(142)으로 유입되고 포켓(142)에 설치된 필터(146)를 거치면서 오염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포켓(142)의 외면을 이루는 타공판(11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필터(146)는 먼지 등 미세한 이물질은 물론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을 필터링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146)는 헤파필터(HEPA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콧물 제거 과정에서 흡입기(300)를 거쳐 흡입되는 공기에는 먼지 등 미세한 이물질은 물론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각종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흡입장치(100)는 필터부(140)를 구비함으로써, 본체(110)로 흡입된 공기 중 오염물질을 필터(146)로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오염물질이 실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흡입장치(100)는 흡입기(300)를 본체(110)에 살균하여 용이하게 보관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110) 하부에는 흡입기(300)를 보관하기 위한 하단케이스(15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케이스(150) 내부에 보관된 흡입기(300)를 살균처리하기 위한 살균부(160)가 마련될 수 있다.
하단케이스(150)는 대략 본체(110)의 하부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를 이루며, 본체(110)에 결합되어 장치의 하부를 이룬다.
하단케이스(150)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흡입기(300)를 보관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하단케이스(150)의 개방된 상단 위로 본체(110)의 하부가 놓여 하단케이스(150) 내부를 외부와 차단할 수 있다. 하단케이스(150)의 내측에는 흡입기(3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흡입기(300)가 끼워져 안착되는 홈부(15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흡입기(300)를 홈부(152)에 끼워주게 되면 흡입기(300)가 하단케이스(150) 내에서 유동되지 않아 흡입기(300)를 보다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하단케이스(150) 고정을 위해, 하단케이스(150)의 상부에는 자석(154)이 설치되고,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하단케이스(150)에 접하는 본체(110)의 하부에는 자석(154)에 부착되는 자성체(156)가 설치될 수 있다. 자성체(156)는 예를 들어 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석(154)과 자성체(156)는 복수개가 소정 간격을 두고 하단케이스(150)와 본체(110) 하부 둘레를 따라 배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자석(154)의 자력을 이용하여 본체(110) 하부에 하단케이스(150)를 용이하게 탈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살균부(160)는 본체(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단케이스(150)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162)를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램프(162)는 회로기판(1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로기판의 제어에 따라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될 수 있다. 자외선램프(162)는 흡입기(300)가 고정되는 하단케이스(150)의 홈부(152)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흡입기(300)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자외선램프(162)는 하단케이스(150)가 본체(110) 하부에 장착되어 외부와 차단되었을 때 온되어 자외선을 조사하고, 하단케이스(150)가 개방되면 자동으로 전원이 오프되는 구조일 수 있다.
자외선램프(162)로부터 하단케이스(150) 내부로 자외선이 조사됨에 따라 하단케이스(150) 내에 흡입기(300)를 보관하는 중에 흡입기(300)를 살균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흡입장치(100)는 펌핑부(200)의 선단을 감싸는 탄성재질의 펌핑부커버(170), 구동모터(120)의 선단을 감싸는 탄성 재질의 모터커버(172)를 포함하여 펌핑부(200)와 구동모터(120)의 진동과 소음을 억제하는 구조일 수 있다.
펌핑부커버(170)와 모터커버(172)는 예를 들어, 고무나 실리콘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펌핑부(200) 또는 구동모터(120)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이 펌핑부커버(170)와 모터커버(172)에 의해 흡수되어 본체(11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동시 본체(110)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펌핑부커버(170)는 펌핑부(200)의 선단 외형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펌핑부(200) 선단에 끼우져 펌핑부(200) 선단을 감싸며 설치된다. 모터커버(172) 역시 구동모터(120)의 선단 외형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구동모터(120) 선단에 끼워져 구동모터(120) 선단을 감싸며 설치된다.
펌핑부커버(170)와 모터커버(172)는 본체(110) 내에 형성된 리브에 지지되어 고정 설치된다. 이에, 펌핑부(200)와 구동모터(120)는 펌핑부커버(170)와 모터커버(172)에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본체(11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10)와 한 몸체를 이루는 펌핑부(200)와 구동모터(120) 사이에 펌핑부커버(170)와 모터커버(172)가 설치되어 진동과 소음을 흡수함으로써, 장치의 소음과 진동으로 인한 불쾌감을 줄이고 보다 쾌적하게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펌핑부(200)와 구동모터(120)는 축방향으로 따라 결합되어 한 몸체의 구동유닛을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펌핑부커버(170)와 모터커버(172)는 축방향을 따라 구동유닛의 펌핑부(200)의 외측 선단과 구동모터(120)의 외측 선단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구동유닛의 축방향 양 선단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축방향을 따라 구동유닛의 펌핑부(200)의 선단과 구동모터(120)의 선단이 탄성재질의 펌핑부커버(170)와 모터커버(172)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됨으로써, 구동유닛의 양 선단이 본체(110) 내에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이에, 펌핑부커버(170)와 모터커버(172)가 펌핑부(200)와 구동모터(120) 전체를 감싸며 설치되지 않고 선단에만 설치되더라도 한 몸체인 펌핑부(200)와 구동모터(120)의 진동을 양 선단 쪽에서 흡수하여 진동과 소음이 본체(110)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진동을 억제하면서도 모터커버(172)와 펌핑부커버(170)와 구동유닛 간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작동 과정에서 구동모터(120)나 펌핑부(200)에서 발생되는 열이 모터커버(172)와 펌핑부커버(170)에 간섭받지 않고 신속하게 방열 처리될 수 있다.
한편, 펌핑부(200)는 축방향을 따라 구동모터(120)의 회전축 선단쪽에 결합되어 한 몸체를 이룬다. 펌핑부(200)는 구동모터(12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내부에 진공압을 형성함으로써, 흡입구(202)에 연결된 흡입기(300)에 흡입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펌핑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라 구동모터에 결합된 펌핑부를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펌핑부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7은 펌핑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8은 펌핑부 결합된 단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6에서 x축 방향은 구동모터(120)의 회전축(122)이 지나는 방향으로 축방향이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펌핑부(200)는, 내부에 감압실(213)을 형성하며 흡입구(202)가 마련된 압력부(210), 압력부(210) 내부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복수의 자바라부(222)를 구비한 다이아프램(220), 구동모터(120)의 회전축(122)에 연결되어 자바라부(222)를 압축 및 팽창시키기 위한 구동부(230), 다이아프램(220) 외측에 설치되는 지지판(240), 지지판(240)에 설치되는 일방향 배출밸브(250), 압력부(210) 내부 공기를 자바라부(222)로 이송하는 배출부, 지지판(240) 외측에 설치되는 커버판(260), 압력부(210)에 설치되는 릴리프밸브(28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판(26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볼트(262)가 지지판(240)과 다이아프램(220)를 관통하여 압력부(210)에 체결됨으로써, 각 구성부를 긴밀하게 밀착 고정할 수 있다.
구동모터(120)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부(230)가 작동되면 다이아프램(220)의 자바라부(222)가 압력부(210) 내에서 압축 및 팽창되고, 자바라부(222) 압축 팽창에 따라 내부 공기가 배출밸브(250)를 통해 배출되면서 압력부(210) 내의 공기가 배출부를 통해 자바라부(222)로 배출된다.
자바라부(222)가 반복적으로 압축 및 팽창되면서 압력부(210) 내의 공기가 자바라부(222)를 거쳐 배출밸브(250)를 통해 빠져나감에 따라 압력부(210) 내에 진공압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압력부(210)의 진공압을 이용하여 압력부(210)에 설치된 흡입구(202)를 통해 공기를 압력부(210)로 흡입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부(210)는 구동모터(120)에 결합되는 제1 부재(211)와 제1 부재(211)의 선단에 설치되는 제2 부재(212)를 포함하여 내부에 감압실(213)을 형성하는 구조일 수 있다. 감압실(213)은 진공압 형성을 위해 압력부(210)의 밀폐된 내부 공간이고, 진공압이란 대기압 이하의 압력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제1 부재(211)의 선단에 외부 공기를 빨아들이기 위한 흡입구(20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재(212)의 선단에는 외주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이아프램(220)의 자바라부(2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구멍(214)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펌핑부(200)는 다섯 개의 자바라부(222)를 구비한 구조로, 제2 부재(212) 역시 다섯 개의 구멍(214)이 일정한 각도로 형성된다.
제1 부재(211)는 구동모터(120)에 기밀을 유지하며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부재(211)의 내부로 구동모터(120)의 회전축(122)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 부재(212)는 제1 부재(211) 선단에 긴밀하게 밀착 설치되며 구멍(214)은 다이아프램(220)에 의해 밀착되어 실링된다. 이에, 압력부(210)는 전체적으로 밀폐되어 내부에 감압실(213)을 형성할 수 있다.
압력부(210) 내부에는 구멍(214)을 통해 삽입된 자바라부(222)가 위치하며, 구동모터(120)의 회전축(122)과 자바라부(222)를 연결하는 구동부(230)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펌핑부(200)는 구동모터(120)에 바로 연결되는 공간 즉, 자바라부(222) 구동을 위해 회전축(122)과 자바라부(222) 사이에 설치되는 구동부(230)가 위치하는 공간이 흡입력을 가하는 압력부(210)로 이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흡입구(202)는 구동부(230)가 위치할 수 있도록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에, 흡입구(202)가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압력부(210)의 내부 공간 즉, 흡입압 제공을 위해 감압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최대한 크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압력부(210)의 크기를 충분히 크게 하고 내부에 진공압을 형성함으로써, 자바라부(222)의 압축 및 팽창에 따른 맥동을 평탄화하여 흡입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맥동에 의한 콧물의 흡입 불량을 방지하고 일정하고 균일한 압력으로 콧물을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압력부(210)의 넓은 공간에 형성된 진공압을 이용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킴으로써, 흡입을 위한 압력은 물론 압력부(210)의 공간을 통해 흡입 유량을 높일 수 있어, 흡입기(300)를 통해 콧물 등의 체액을 보다 효과적으로 빨아들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은 소형의 구동모터(120)를 사용하더라도 진공압을 형성할 수 있어, 흡입력을 높이면서도 소형 모터 사용으로 인해 소음을 보다 줄일 수 있게 된다.
압력부(210)의 제2 부재(212) 중심부에는 감압실(213) 내부 공기를 각 자바라부(222)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홀(216)이 형성된다. 배출홀(216)을 통한 배기 구조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다이아프램(220)은 제2 부재(212)와 같이 원형을 이루며 얇은 두께의 원판 구조물일 수 있다. 다이아프램(220)의 외주부에는 제2 부재(212)의 구멍(214)과 대응되는 위치에 맞춰 자바라부(222)가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다이아프램(220)이 제2 부재(212) 선단에 접하여 설치됨에 따라 각 자바라부(222)는 제2 부재(212)의 구멍(214)에 삽입되어 압력부(210) 내부로 연장된다.
다이아프램(220)은 예를 들어, 플랙시블한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제2 부재(212) 전면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으며, 자바라부(222) 역시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압축 및 팽창될 수 있다.
자바라부(222)는 축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내부는 선단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돔(dome) 형태를 이룬다. 자바라부(222)는 제2 부재(212)의 구멍(214)에 끼워져 감압실(213)을 향하는 선단은 막혀 있고, 다이아프램(220) 외측을 향하는 선단은 개방 형성된다. 자바라부(222)는 측면이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압축 및 팽창될 수 있다.
여기서, 자바라부(222)의 압축이라 함은, 축방향을 따라 자바라부(222)가 수축되면서 자바라부(222) 내부 공간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줄어든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자바라부(222)의 팽창이라 함은 축방향을 따라 자바라부(222)가 신장되면서 자바라부(222) 내부 공간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진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자바라부(222)가 축방향을 따라 유동되어 압축 및 팽창되면 자바라부(222) 내부 공간 크기가 바뀌면서 공기를 펌핑하는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다이아프램(220)에 구비된 복수의 자바라부(222)는 구동부(230)에 의해 순차적으로 압축과 팽창을 수행하게 된다.
구동부(230)는 자바라부(222)와 구동모터(120)의 회전축(122)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120)의 회전운동을 각 자바라부(222)의 상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구동부(230)는 압력부(210) 내에서 구동모터(120)의 회전축(122)에 설치되는 편심부재(232), 회전축(122)에서 편심되어 축방향에 대해 편심부재(232)에 경사지게 축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다이아프램(220)의 각 자바라부(222) 선단과 결합되어 구동모터(120)의 회전력에 의해 상하 요동되어 각 자바라부(222)를 순차적으로 압축 및 팽창시키는 롤링부재(234)를 포함할 수 있다.
롤링부재(234)의 축은 회전축(122)에 편심된 위치에서 회전축(122)의 축방향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편심부재(232)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다. 롤링부재(234)는 중심부에서 둘레쪽 끝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우산 형태의 구조를 이루며, 외주부는 각 자바라부(222)의 선단과 결합된다.
이에, 구동모터(120)의 회전축(122)이 회전되면 편심부재(232)가 돌게 되고, 편심부재(232)에 경사지게 설치된 롤링부재(234)가 경사진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각 자바라부(222)와 연결된 부분이 순차적으로 상하 요동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원주방향을 따라 각 자라바라가 상하로 신축되면서 압축과 팽창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자바라부(222)가 순차적으로 압축 및 팽창되면서 압력부(210) 내부 공기를 조금씩 펌핑하여 배출하게 된다. 따라서, 소형의 구동모터(120)로도 자바라부(222)를 신축 구동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자바라부(222)의 신축량을 크게 하지 않고도 조용하고 신속하게 압력부(210) 내에 고압의 진공압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판(240)은 원형의 판 구조물로, 다이아프램(220)을 사이에 두고 제2 부재(212) 선단에 밀착 설치된다. 지지판(240)의 전면에는 자바라부(222)와 대응되는 위치에 자바라부(222) 내부와 연통되는 연통홀(242)이 형성된다. 이에, 자바라부(222)가 압축되면서 자바라부(222) 내부 공기는 연통홀(242)을 통해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지지판(240)의 각 연통홀(242)에는 연통홀(242)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배출밸브(250)가 설치된다. 배출밸브(250)는 연통홀(242) 외측에서 연통홀(242)을 감싸며 설치될 수 있다. 배출밸브(250)는 자바라부(222) 압축시 연통홀(242)을 지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어 자바라부(222)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자바라부(222) 팽창시 배출밸브(250)는 연통홀(242)에 밀착되어 공기가 외부에서 연통홀(242)을 통해 자바라부(22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자바라부(222) 내부 공기는 배출밸브(250)에 의해 연통홀(242)을 통해 자바라부(222) 내부에서 외부로 일방향으로만 배출될 수 있다.
커버판(260)은 지지판(240) 선단에 설치되어 지지판(240)에 설치된 배출밸브(250)를 보호하며 선단에는 내부와 연통되어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204)를 형성한다. 연통홀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배출구(20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부는 자바라부(222) 팽창시 압력부(210)의 내부 공기가 자바라부(222) 내부로 이송한다. 배출부는 자바라부(222)와 감압실(213) 사이에 설치되어 감압실(213)의 공기를 자바라부(222) 내부로 일방향으로만 이송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배출부는 각 자바라부(222)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부재(212)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압력부(210)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의 배출홀(216), 다이아프램(220)의 중심부에 상기 각 배출홀(216)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자바라부(222) 팽창시 배출홀(216)을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압력부(210) 내부의 공기를 일방향으로만 배출하는 배기밸브(270), 지지판(240)에 함몰 형성되고 배출홀(216) 위치에서 자바라부(222) 위치까지 연장되어 상기 배출홀(216)과 자바라부(222)를 연결하여 배출홀(216)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자바라부(222)로 이송하는 이송관로(274)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홀(216)은 제2 부재(212)의 중심부에 관통 형성된다. 배출홀(216)은 각 자바라부(222)의 개수에 맞춰 원주방향을 따라 각 자바라부(222)에 이웃하여 형성된다. 압력부(210) 내부 공기가 배출홀(216)을 통해 빠져나가면서 감압이 이루어진다.
배기밸브(270)는 각 배출홀(216)을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배출홀(216)을 통해 일방향으로만 공기를 유통시킨다.
배기밸브(270)는 각 배출홀(216) 위치에 맞춰 다이아프램(220)의 중심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아프램(220)에는 각 배출홀(216) 위치에 맞춰 홀(274)이 형성된다. 그리고, 배기밸브(270)는 다이아프램(220)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로 형성되어 다이아프램(220)에 형성된 홀(274)에 일측이 연결되어 플립 형태로 홀(274) 내에서 유동되면서 배출홀(216)을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배기밸브(270)는 전면이 제2 부재(212)에 접하여 제2 부재(212)에 형성된 배출홀(216)을 덮어 폐쇄한다.
다이아프램(220)의 양면은 각각 제2 부재(212)와 지지판(240)에 접하고 있어, 홀(274)는 제2 부재(212)에 형성된 배출홀(216)과 지지판(240)에 형성된 이송관로(274) 사이를 연통한다. 이에, 다이어프램(220)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어 홀(274) 내에 위치한 배기밸브(270)가 배출홀(216)과 이송관로(274) 사이에서 유동되면서 배출홀(216)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배기밸브(270)는 자바라부(222) 팽창시 자바라부(222) 내부의 진공압에 의해 개방되어 압력부 내부 공기를 배출홀(216)을 통해 배출한다. 자바라부(222) 압축시 배기밸브(270)는 제2 부재(212) 전면에 밀착되어 배출홀(216)을 닫게 되며 자바라부(222)의 내부 공기가 배출홀(216)을 통해 압력부(2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압력부(210) 내부 공기는 배기밸브(270)에 의해 배출홀(216)을 통해 압력부(210) 내부에서 외부로 일방향으로만 배출될 수 있다.
배출홀(216)을 통해 배출되는 압력부(210)의 내부 공기는 이송관로(274)를 따라 이송되어 자바라부(222) 내부로 유입된다.
이송관로(274)는 지지판(240)의 후면 즉, 다이아프램(220)에 접하는 면에 형성된다. 이송관로(274)는 지지판(240)에 소정 깊이로 파여 형성된 트랜치 홈 구조로, 지지판(240)이 다이아프램(220)과 접한 상태에서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관로(274)는 배출홀(216) 위치에서 자바라부(222) 위치까지 연장 형성된다. 이에, 배출홀(216)에서 배출된 공기는 이송관로(274)를 따라 흘러가 자바라부(22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바라부(222) 압축시 내부 압력이 커지게 되고, 자바라부(222) 내부 압력에 의해 배출밸브(250)는 개방된다. 자바라부(222) 내부 공기는 개방된 연통홀(24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기밸브(270)는 이송관로(274)에 가해지는 자바라부(222)의 압력에 의해 배출홀(216)에 밀착되어 배출홀(216)을 폐쇄한다. 배출홀(216)이 배기밸브(270)에 의해 닫힘으로써, 자바라부(222) 내부 공기는 이송관로(274)를 따라 배출홀(216)로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자바라부(222)의 내부 공기는 연통홀(242)을 통해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반대로, 자바라부(222) 팽창시에는 자바라부(222) 내부에 진공압이 형성되므로 배기밸브(270)는 개방되고 배출밸브(250)는 닫히게 된다. 자바라부(222) 내부 진공압은 이송관로(274)를 통해 배기밸브(270)에 가해져 배기밸브(270)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에, 압력부(210) 내부 공기는 개방된 배출홀(216)을 통해 배기되고 이송관로(274)를 따라 자바라부(222) 내부로 유입된다. 배출밸브(250)는 자바라부(222) 내부의 진공압에 의해 연통홀(242)에 밀착되면서 연통홀(242)을 닫게 되고 외부 공기가 연통홀(242)을 통해 자바라부(22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압력부(210) 내부 공기만이 이송관로(274)를 통해 자바라부(22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바라부(222) 압축과 팽창에 따라 압력부(210) 내부 공기는 자바라부(222) 내부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압력부(210)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감압실(213)의 압력을 낮춰 압력부(210)에 진공압을 형성할 수 있다. 압력부(210)의 진공압에 의해 흡입구(202)에 흡입력이 가해져, 외부 공기를 압력부(210) 내부로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압력부(210)의 흡입력은 릴리프밸브(280)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릴리프밸브(280)는 일방향 체크밸브 구조일 수 있다. 릴리프밸브(280)는 압력부(210) 일측에 설치되어 압력부(210) 내부와 연결된다. 릴리프밸브(280)는 낮은 압력에서 닫혀 있다가 압력이 상승하여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개방되어 외부 공기를 압력부(210) 내부로 유입시킴으로써, 압력부(210) 내부 압력을 제한한다.
릴리프밸브(280)를 통해 압력부(210)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압력부(210) 내부의 진공압이 낮아지게 된다. 이에, 압력부(210)의 흡입력이 너무 강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콧물을 흡입하는 흡입기(300)의 노즐이 코속 점막에 접하여 막힘에 따라 압력부(210)의 내부 진공압이 증가하게 되면 릴리프밸브(280)가 개방되면서 외부 공기가 압력부(210)로 유입되어 흡입력을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점막에 고압의 흡입력이 가해져 점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압력부(210)의 압력이 설정값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릴리프밸브(280)가 닫히면서 더 이상의 공기 유입이 차단된다. 이와 같이, 릴리프밸브(280)에 의해 압력부(210)의 내부 진공압을 적정 범위로 유지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흡입장치(100)는, 압력부(210)에 두 개의 릴리프밸브(280)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두 개의 릴리프밸브(280)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압력부(210)에 두 개의 릴리프밸브(280)가 설치됨으로써, 밸브의 제어압력 크기를 줄여 릴리프 유량과 압력의 제어를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일측 릴리프 밸브 고장시에도 원할한 작동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0 : 흡입장치 110 : 본체
112 : 회로기판 113 : 이차전지
114 : 스위치부 115 : 타공판
120 : 구동모터 122 : 회전축
130 : 연결관 132 : 연결구
140 : 필터부 142 : 포켓
144 : 출구관 146 : 필터
150 : 하단케이스 152 : 자석
156 : 자성체 160 : 살균부
162 : 자외선램프 170 : 펌핑부커버
172 : 모터커버 200 : 펌핑부
202 : 흡입구 204 : 배출구
210 : 압력부 211 : 제1 부재
212 : 제2 부재 213 : 감압실
214 : 구멍 216 : 배출홀
220 : 다이아프램 222 : 자바라부
230 : 구동부 232 : 편심부재
234 : 롤링부재 240 : 지지판
242 : 연통홀 250 : 배출밸브
260 : 커버판 262 : 볼트
270 : 배기밸브 272 : 이송관로
272 : 홀 280 : 릴리프밸브
300 : 흡입기 310 : 흡입관

Claims (3)

  1. 외형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진공압을 형성하여 일측에 마련된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구로 배출하는 펌핑부, 상기 펌핑부에 연결되어 펑핑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 상기 펌핑부의 흡입구에 연결관을 매개로 연통 설치되며 본체 일측에 마련되어 콧물 흡입용 흡입기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펌핑부는 구동모터에 결합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의 선단에 설치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여 내부에 감압실을 이루고 일측에 구비된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압력부, 상기 제2 부재의 선단 외주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구멍에 삽입되고 축방향을 따라 유동되어 압축 및 팽창되면서 공기를 펌핑하는 복수의 자바라부를 포함하는 다이아프램, 상기 압력부 내에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다이아프램의 자바라부 사이에 연결되어 각 자바라부를 순차적으로 압축 및 팽창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다이아프램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부재 선단에 밀착 설치되고 전면에는 상기 자바라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자바라부 내부와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각 연통홀에 설치되고 연통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자바라부 압축시 내부 공기를 일방향으로만 배출하는 배출밸브, 상기 자바라부와 상기 감압실 사이에 설치되어 자바라부 팽창시 상기 감압실의 공기를 상기 자바라부 내부로 이송하는 배출부, 상기 지지판 선단에 설치되며 선단에는 내부와 연통되어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형성한 커버판을 포함하고,
    상기 펌핑부는 상기 압력부에 연결되고 압력부의 내부 압력에 따라 개폐되어 외부 공기를 압력부 내부로 유입시키는 릴리프밸브를 더 포함하여, 압력부 내부 압력을 제어하여 압력부의 흡입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구조이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각 자바라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부재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상기 압력부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의 배출홀, 상기 다이아프램의 중심부에 상기 각 배출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자바라부 팽창시 배출홀을 개방하여 압력부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밸브, 상기 지지판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배출홀 위치에서 상기 자바라부 위치까지 연장되어 상기 배출홀과 상기 자바라부를 연결하여 상기 배기밸브 개방시 배출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자바라부로 이송하는 이송관로를 포함하는 체액 흡입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밸브는 두 개로 이루어진 체액 흡입장치.
KR1020230098411A 2023-07-27 2023-07-27 체액 흡입장치 KR102636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8411A KR102636134B1 (ko) 2023-07-27 2023-07-27 체액 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8411A KR102636134B1 (ko) 2023-07-27 2023-07-27 체액 흡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6134B1 true KR102636134B1 (ko) 2024-02-13

Family

ID=89899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8411A KR102636134B1 (ko) 2023-07-27 2023-07-27 체액 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13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3024A (ko) * 2004-07-16 2007-03-23 슈이치 도쿠나가 기관 내 담의 흡인장치
US20140296793A1 (en) * 2013-03-28 2014-10-02 Cosco Management, Inc. Nasal aspirator
KR20150080773A (ko) * 2014-01-02 2015-07-10 주식회사 엠에스제이 착유기
US20180344993A1 (en) * 2017-05-31 2018-12-06 Robert A. Ganz Blockage clear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20190069844A (ko) * 2017-12-12 2019-06-20 차진석 휴대용 부항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3024A (ko) * 2004-07-16 2007-03-23 슈이치 도쿠나가 기관 내 담의 흡인장치
US20140296793A1 (en) * 2013-03-28 2014-10-02 Cosco Management, Inc. Nasal aspirator
KR20150080773A (ko) * 2014-01-02 2015-07-10 주식회사 엠에스제이 착유기
US20180344993A1 (en) * 2017-05-31 2018-12-06 Robert A. Ganz Blockage clear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20190069844A (ko) * 2017-12-12 2019-06-20 차진석 휴대용 부항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0605B1 (ko) 의료기기
JP4889491B2 (ja) 気管内痰の吸引装置
ES2391527T3 (es) Sistema de drenaje y cierre de heridas
RU2563434C2 (ru) Насадка на грудь для откачивания грудного молока человека
KR200188585Y1 (ko) 휴대용 콧물 흡입기
JP5571687B2 (ja) 呼吸保護装置
KR102171573B1 (ko) 음압 발생장치
EP1106195A1 (en) An apparatus for nebulising a liquid, in particular for medical use
US9981094B2 (en) Apparatus for supplying a breathing gas
CN111936190B (zh) Cpap装置
CN101336117A (zh) 抽吸系统、方法和套件
WO2020045096A1 (ja) 加湿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呼吸器用加湿送風装置
WO2009017272A1 (en) Breathing relief kit
KR102636134B1 (ko) 체액 흡입장치
CN216023674U (zh) 一种麻醉科用麻醉废气抽除装置
ES2442367T3 (es) Válvula de demanda de vacío
KR102609582B1 (ko) 흡입장치용 다이아프램 펌프
EP4206467A1 (en) Compressor device for providing compressed air to a medical device
CN1449849A (zh) 呼吸消毒器
CN210631535U (zh) 一种呼吸科痰痂清除器
JP2006280521A (ja) 呼吸補助装置
CN214074460U (zh) 一种可移动式医用抽真空双泵系统
CN215023062U (zh) 一种便携式吸痰器
CN217449376U (zh) 一种用于医用真空吸引的排气消毒灭菌系统
CN214550420U (zh) 一种消化护理胃肠减压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