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0733B1 -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0733B1
KR100810733B1 KR1020070087740A KR20070087740A KR100810733B1 KR 100810733 B1 KR100810733 B1 KR 100810733B1 KR 1020070087740 A KR1020070087740 A KR 1020070087740A KR 20070087740 A KR20070087740 A KR 20070087740A KR 100810733 B1 KR100810733 B1 KR 100810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mobile terminal
handle grip
upper memb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7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진
Original Assignee
(주)모바일컴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바일컴피아 filed Critical (주)모바일컴피아
Priority to KR1020070087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0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용 디지털 보조장치인 휴대단말기에 사용되는 핸들 그립으로서 구조가 개선되어, 부피가 작고 가벼우며 제작비용이 절감될 뿐 아니라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단말기를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양측에 연장 형성되어 휴대단말기와 결합되는 상부부재와; 휴대단말기의 하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요홈에 끼워져 상부부재에서 휴대단말기를 착탈시키는 착탈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하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단말기, PDA, 바코드 리딩, 핸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handle grip for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용 디지털 보조장치인 휴대단말기에 사용되는 핸들 그립으로서 구조가 개선되어, 부피가 작고 가벼우며 제작비용이 절감될 뿐 아니라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PDA)는 전자메일, 작업관리 및 주소록 검색 등 다양한 기능을 포함한다. 이러한 개인 휴대단말기는 평소에는 일정관리를 하면서 휴대하고 다니다가 차량에 장착하여 내비게이션으로도 사용되기도 한다.
통상적으로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의 손에 파지 되어 사용된다. 따라서 휴대단말기에 결합되는 핸들 그립(handle grip)은 사용자의 손에 잡기 편하게 총(gun)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에 장착하여 사용되기도 하기 때문에 휴대단말기와 핸들 그립은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휴대단말기는 전자메일, 작업관리, 카메라, 라디오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바코드 리딩 모듈로서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통신기능을 함께 겸비한 휴대단말기도 등장하고 있으며 점차 그 기능은 다양하고 복잡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종래의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은 부피가 크고 이에 따라 중량이 크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았고, 제작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은 휴대단말기를 고정하는 구조가 안정되지 못하여 핸들 그립으로부터 휴대단말기가 이탈될 수 있는 여지가 남아 있는 것이었다.
또한, 종래의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은 휴대단말기가 바코드 스캐너의 기능을 수행할 때 사용이 불편하여 작업시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부피가 작고 가벼우며 제작비용이 많이 들지 않을 뿐 아니라, 구조가 안정되어 휴대단말기가 이탈될 염려가 없고 바코드 리딩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양측에 연장 형성되어 휴대단말기와 결합되는 상부부재와; 휴대단말기의 하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요홈에 끼워져 상부부재에서 휴대단말기를 착탈시키는 착탈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하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을 제공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의 끝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휴대단말기의 상면 일부를 감싸도록 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착탈부재는, 휴대단말기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요홈에 끼워지는 돌출편과, 상기 돌출편과 탄성부재로 연결되어 돌출편과 요홈의 끼움 상태를 해제시키는 누름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부재는 바닥면에 휴대단말기 하면에 형성된 접속단자와 접촉되는 포고핀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부재는, 일 측에 버튼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버튼부재의 조작으로 휴대단말기가 바코드 리딩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은 휴대단말기를 슬라이딩시켜 체결시키고 간단히 누름 버튼을 눌러 용이하게 휴대단말기의 착탈이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부피가 작고 가벼워 휴대를 용이하게 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제작비용이 많이 들지 않고, 구조가 안정되어 휴대단말기가 핸들 그립으로부터 이탈될 염려가 없으며, 바코드 리딩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은 상부부재와, 착탈부재와, 하부부재로 구성되어, 상부부재에 휴대단말기를 슬라이딩 결합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손에 파지한 상태로 용이하게 휴대하거나 작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착탈부재는 휴대단말기와 상부부재 사이의 체결을 유지 또는 해제시키는 작용을 한다. 하부부재는 사용자의 손이 파지되는 부분으로서 내부에 회로모듈을 내장하고 일 측에 버튼부재를 형성시켜 상기 버튼부재를 눌러 휴대단말기의 바코드 리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이 휴대단말기와 결합되는 설명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100)은 휴대단말기(50)를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11)가 연장 형성되어 휴대단말기(50)와 결합되는 상부부재(10)와, 휴대단말기(50)의 하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요홈(51)에 끼워져 상부부재(10)에서 휴대단말기(50)를 착탈시키는 착탈부재(20)와, 상기 상부부재(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하부부재(30)로 구성된다.
상부부재(10)는 휴대단말기(50)와 결합된다. 상부부재(10)는 바람직하게는 바닥면 양측에 가이드부(11)가 상부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11)는 휴대단말기(50)를 슬라이딩시켜 상부부재(10)와 고정될 수 있도록 휴대단말기(50)를 안내하는 작용을 한다. 이때 휴대단말기(50)의 하면은 상부부재(10)의 바닥면과 접하고, 휴대단말기(50)의 양 측면은 상기 가이드부(11)의 내측면과 접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11)의 내측면 또는 상부부재(10)의 바닥면에는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을 원할케 하는 안내레일(13)이 적어도 하나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부재(10)는 휴대단말기(50)의 길이방향으로 대략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부재(10)의 길이는 휴대단말기(50)의 길이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짧게 형성시켜, 휴대단말기(50)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100)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부재(10)는 휴대단말기(50)의 길이방향으로 중앙부 일부만 접촉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종래의 핸들 그립들이 단말기의 길이방향 전체와 접촉되거나 중앙부에서 하부까지 접촉되어 고정되는 구성에 비해 매우 간단한 구성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100)은 부피를 작게 형성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경량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상부부재(10)는 상기 가이드부(11)의 끝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휴대단말기(50)의 상면 일부를 감싸도록 하는 이탈방지부(1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탈방지부(15)는 가이드부(11)의 상부 끝단을 내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절곡된 내측면이 휴대단말기(50)의 상부의 일부를 감싸도록 한다. 이때 이탈방지부(15)가 휴대단말기(50)의 액정 에 형성되어 휴대단말기(50)가 상부부재(10)와 결합시 휴대단말기(50)가 상부부재(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휴대단말기(50)의 상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탈방지부(15)는 상부부재(10)의 상단을 내측으로 절곡시켜 형성시킨다.
착탈부재(20)는 휴대단말기(50)의 하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요홈(51)에 끼워져 상부부재(10)에서 휴대단말기(50)를 착탈시킨다.
상기 착탈부재(20)가 휴대단말기(50)를 상부부재(10)로부터 착탈되게 작동시키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부재(20)는 휴대단말기(50)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요홈(51)에 끼워지는 돌출편(21)과, 상기 돌출편(21)과 탄성부재(22)로 연결되어 돌출편(21)과 요홈(51)의 끼움 상태를 해제시키는 누름편(23)으로 구성된다. 돌출편(21)은 상부부재(10)의 바닥면에 관통공(16)을 형성시키고, 상기 관통공(16)을 통과한 상태로 상부로 돌출된다. 이때 돌출편(21)의 하부에는 탄성부재(22)가 마련되어 돌출편(21)이 상부부재(10)의 바닥면을 돌출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누름편(23)은 일 측에 탄성부재(22)를 연결시킴으로써, 누름편(23)을 사용자가 누르게 되면 돌출편(21)이 하부로 당겨지게 되어 휴대단말기(50)와 상부부재(10) 간의 결합이 해제된다.
상기 착탈부재(20)는 상부부재(10)의 하부 좌우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100)은 휴대단말기(50)를 상부부재(10)에 슬라이딩시켜 결합시킨다. 이때 휴대단말기(50)를 슬라이딩시키는 중에 휴대단말기(50)의 하면에 형성된 요홈(51)과 상부부재(10)의 바닥면 상부로 돌출된 돌출편(21)이 만날 때, 탄성부재(22)에 의해 돌출편(21)이 탄력적으로 하부로 내려가게 되며 돌출편(21)과 요홈(51)이 정확히 일치되는 지점에서 탄성부재(22)가 돌출편(21)을 상부로 밀어올려 돌출편(21)이 요홈(51)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실시 예에 의한 돌출편(21)과 누름편(23)의 구성을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상기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2b는 상기 도 2a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작동 설명도이다.
돌출편(21)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에 제1경사면(25)이 형성되며, 누름편(23)은 일 측에 제2경사면(24)이 형성된다. 상기 제2경사면(24)은 상기 제1경사면(25)과 대응되어 접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탄성부재(22)는 상기 돌출편(21)의 하부에 연결되어 하부부재(30)의 상면에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착탈부재의 작동을 설명하면, 사용자에 의해 상기 누름편(23)이 도 2b의 화살표방향인 우측으로 가압되면, 제2경사면(24)이 제1경사면(25)으로부터 슬라이드 되어 돌출편(21)이 화살표방향인 하부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22)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돌출편(21)은 다시 상부로 승강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사용자가 상기 하부부재(30)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착탈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후술할 하부부재(30)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와 검지로 누름편(23)을 눌러 휴대단말기(50)와의 결속을 해제시키고, 전술한 휴대단말기(50)를 상부부재(10)에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휴대단말기(50)를 상부부재(10)로부터 슬라이딩시켜 이탈시킨다.
하부부재(30)는 상기 상부부재(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에 파지된다. 상기 하부부재(30)는 총(gun) 손잡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밖의 다른 형상으로도 형성 가능하다.
상기 하부부재(30)의 일 측에는 사용자의 손이 파지된 상태에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수단(35)이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100)은 상부부재(10)는 바닥면에 휴대단말기 하면에 형성된 접속단자(52)와 접촉되는 포고핀(17)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부재(30)는 일 측에 버튼부재(31)를 구비하여, 상기 버튼부재(31)의 조작으로 바코드 리딩 작업을 수행한다.
휴대단말기(50)의 상부 측면에는 바코드 리딩 기능을 갖는 바코드 스캐너창(56)이 형성되어 바코드 리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바코드 리딩 기능의 작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100)의 하부부재(30)에 버튼부재(31)를 구비하여, 사용자는 상기 버튼부재(31)를 눌러 용이하게 스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부재(31)는 단자판(39)에 연결되며, 상기 단자판(39)의 상부에는 접촉편(37)(38)이 구비된다. 상기 접촉편(37)(38)은 한 쌍의 포고핀(17)에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버튼부재(31)는 상기 포고핀(17)을 연결하여 전류를 통하게 하거나 차단시키는 스위치(switch) 작용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의 분해 사시도.
도 2a는 상기 도 2의 "A"의 확대도.
도 2b는 상기 도 2a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작동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이 휴대단말기와 결합되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부재 11 : 가이드부
15 : 이탈방지부 16 : 관통공
17 : 포고핀 20 : 착탈부재
21 : 돌출편 22 : 탄성부재
23 : 누름편 30 : 하부부재
31 : 버튼부재 35 : 미끄럼방지수단
50 : 휴대단말기 51 : 요홈
100 :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휴대단말기를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양측에 연장 형성되어 휴대단말기와 결합되는 상부부재;
    휴대단말기의 하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요홈에 끼워지며 일 측에 제1경사면이 형성된 돌출편과, 상기 제1경사면에 접하는 제2경사면을 구비하며 측면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제2경사면이 수평으로 이동되어 상기 돌출편을 수직으로 승하강시키는 누름편과, 상기 돌출편에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착탈부재; 및
    상기 상부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하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는, 바닥면에 휴대단말기 하면에 형성된 접속단자와 접촉되는 포고핀;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부재는, 일 측에 버튼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버튼부재의 조작으로 휴대단말기가 바코드 리딩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
KR1020070087740A 2007-08-30 2007-08-30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 KR100810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740A KR100810733B1 (ko) 2007-08-30 2007-08-30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740A KR100810733B1 (ko) 2007-08-30 2007-08-30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0733B1 true KR100810733B1 (ko) 2008-03-07

Family

ID=39397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7740A KR100810733B1 (ko) 2007-08-30 2007-08-30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07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445Y1 (ko) 2012-06-18 2013-06-13 유재섭 휴대폰 케이스
KR101610023B1 (ko) * 2015-01-12 2016-04-07 주식회사 포인트모바일 Pda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WO2016093591A1 (ko) * 2014-12-08 2016-06-16 주식회사 포인트모바일 Pda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0323U (ko) * 1996-08-05 1998-05-15 정장호 통신기기용 거치대
JPH10269339A (ja) 1997-03-27 1998-10-09 Fujitsu Kiden Ltd 携帯型端末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0323U (ko) * 1996-08-05 1998-05-15 정장호 통신기기용 거치대
JPH10269339A (ja) 1997-03-27 1998-10-09 Fujitsu Kiden Ltd 携帯型端末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445Y1 (ko) 2012-06-18 2013-06-13 유재섭 휴대폰 케이스
WO2013191314A1 (ko) * 2012-06-18 2013-12-27 Park Seungjun 휴대폰 케이스
WO2016093591A1 (ko) * 2014-12-08 2016-06-16 주식회사 포인트모바일 Pda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10063023B2 (en) 2014-12-08 2018-08-28 Pointmobile Co., Ltd. PDA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610023B1 (ko) * 2015-01-12 2016-04-07 주식회사 포인트모바일 Pda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475B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US7700223B2 (en) Battery cover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658302B2 (en) Battery latch structure
KR100724850B1 (ko) 휴대 단말기의 심카드 착탈 가이드 장치
KR100678198B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KR100810733B1 (ko) 휴대단말기 핸들 그립
US20060019530A1 (en)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20040026515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US7855008B2 (en) Battery holder
CN209981671U (zh) 一种转换器
CN210091183U (zh) 多功能物联网装置
KR10044236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밧데리 결합장치
US20050013434A1 (en) Replaceable panel device for a handset
CN215264819U (zh) 一种手持条码信息采集装置
KR100535965B1 (ko) 토글스프링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CN212719107U (zh) 一种可快拆的手持移动终端装置
CN219370358U (zh) 一种手背式扫描器
KR200292165Y1 (ko) 휴대폰용 밧데리의 이탈구조
KR200394711Y1 (ko) 휴대폰 벨트 클립장치
KR1007103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98054B1 (ko) 슬라이딩방식 배터리 록킹장치 및 이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110960A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록킹장치
KR100895842B1 (ko) 배터리 홀더, 전자 디바이스용 커버 및 전자 디바이스
KR20040092798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잠금장치
KR19980011206U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