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04457B1 -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04457B1
KR102704457B1 KR1020220169659A KR20220169659A KR102704457B1 KR 102704457 B1 KR102704457 B1 KR 102704457B1 KR 1020220169659 A KR1020220169659 A KR 1020220169659A KR 20220169659 A KR20220169659 A KR 20220169659A KR 102704457 B1 KR102704457 B1 KR 102704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riving
driven
shaf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9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84871A (ko
Inventor
박태상
정충표
진성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20169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4457B1/ko
Priority to PCT/KR2023/005947 priority patent/WO2024122762A1/ko
Publication of KR20240084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4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4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4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0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 B60T1/06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acting otherwise than on tread, e.g. employing rim, drum, disc, or transmission or on doubl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0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 B60T1/06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acting otherwise than on tread, e.g. employing rim, drum, disc, or transmission or on double wheels
    • B60T1/065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acting otherwise than on tread, e.g. employing rim, drum, disc, or transmission or on double wheels employing dis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1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n ultimate actu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며,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일측과 연결되어 구동력에 의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원동축을 구비하는 동력 전달부와 동력 전달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차동 기어부, 차동 기어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종동축, 차동 기어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종동축을 구비하는 동력 분배부 및 제1 종동축 및 제2 종동축으로부터 상기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디스크에 제동력을 인가하는 가압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달 기어부를 포함하며, 원동축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가압부가 디스크에 선택적으로 제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Electronic Brake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브레이크는 운동에너지를 마찰력을 이용해 열에너지로 바꾸어 제동력을 형성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휠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의 양 측면을 패드가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자동차 브레이크는 주행하는 자동차를 감속 또는 정지시키거나, 주차된 자동차의 정지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중에서 주차된 자동 차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자동차에는 핸드 브레이크 또는 사이드 브레이크라고 하는 주차 브레이크가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주차 브레이크는 자동차 내부의 운전석 일 측에 구비되는 주차 레버를 조작하면 작동된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주차 레버를 잡아당기면 이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당겨지면서, 케이블에 연결된 후륜 측 브레이크 어셈블리 가 작동되어 제동력이 형성된다. 역으로, 운전자가 주차 레버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면 케이블이 이완되면서 제동력이 사라진다.
주차 레버를 이용한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서 이루어지므로, 운전자가 부주의로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하지 않은 상태로 자동 차를 주차하는 경우, 자동차가 의도치 않게 이동하여 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 그리 고, 주차 레버를 작동하기 위해 일정한 힘으로 주차 레버를 당겨야 하기 때문에 주 차 브레이크를 작동하는 것은 자동차 운전자에게 있어 번거로울 수 있다.
이에, 최근에는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전자 식 주차 브레이크(EPB: Electronic Parking Brake)가 자동차에 적용되고 있다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는 운전자가 주차 레버를 당겨서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하는 대신에, 운전자의 간단한 스위치 조작, 또는 자동차 제어를 관장하는 전자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의 명령에 따라 모터가 구동되어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에는 전자 유압식 브레이크(EHB: Electro-Hydraulic Brake)와 전자 기계식 브레이크(EMB: Electro-Mechanical Brake)가 있다.
전자 유압식 브레이크는 유압 실린더와 피스톤을 이용하여 제동력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전자 기계식 브레이크는 모터와 기어를 이용하여 제동력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유압식 브레이크의 경우 유압 장치들의 복잡한 구성과, 제동 성능의 신뢰성에 한계가 있는 반면에, 전자 기계식 브레이크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갖고 제동 성능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전자 기계식 브레이크는 전자제어 유닛이 제동 상황을 검출하여 전 자 기계식 브레이크에 제동 신호를 전달하고, 전자 기계식 브레이크는 전달된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와 기어의 작동으로 패드가 변위 되며 디스크의 양 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제동력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모터의 기어의 작동을 역으로 하여 제동 력을 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기계식 브레이크는 장치 구성의 간소화를 위하여 제동력의 형성과 해제에 이용되는 모터가 한 개 제공되는데, 하나의 모터를 이용함에 있어서 제동력의 형성과 해제에 걸리는 시간이 동일하기 때문에, 제동력의 형성이 나 해제에 빠른 응답시간이 요구되는 상황에서도 적절하게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 이 있다.
나아가, 제동력의 형성과 해제에 걸리는 시간에 차이를 두려면 다수의 부품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브레이크 시스템 콤팩트한 소형화 설계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제1 원웨이 클러치 및 제2 원웨이 클러치가 제1 원동 기어 및 제2 원동 기어의 미리 설정되는 방향 회전만을 허용함으로써, 주차 제동 동작시 및 주차 제동 해제시에 서로 다른 속도와 힘으로 패드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는 제1 피스톤부 및 제2 피스톤부를 포함하는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력에 의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원동축을 구비하는 동력 전달부, 상기 동력 전달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차동 기어부, 상기 차동 기어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종동축, 상기 차동 기어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종동축을 구비하는 동력 분배부 및 상기 제1 종동축 및 상기 제2 종동축으로부터 상기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디스크에 제동력을 인가하는 가압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달 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동축이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압부가 상기 디스크에 선택적으로 제동력을 인가하는,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디스크에 제동력을 인가하는 패드 및 상기 패드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피스톤부와 제2 피스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 기어부는, 상기 제1 종동축으로부터 상기 제1 피스톤부로 상기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전달 기어 및 상기 제2 종동축으로부터 상기 제2 피스톤부로 상기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전달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원동축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원웨이 클러치, 상기 제1 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한 제1 원동 기어 상기 원동축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원웨이 클러치 및 상기 제2 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한 제2 원동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1 원동 기어에 치합 연결되고, 상기 제1 종동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종동 기어, 상기 제2 원동 기어에 치합 연결되고, 상기 제2 종동축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종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종동축과 상기 제2 종동축은 동일한 회전축을 공유하면서 직렬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원동 기어와 상기 제1 종동 기어의 기어비는, 상기 제2 원동 기어와 상기 제2 종동 기어의 기어비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원동 기어 및 상기 제1 종동 기어는 한 쌍의 평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원동 기어 및 상기 제2 종동 기어는 한 쌍의 평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동 기어부는, 상기 제1 종동 기어 및 제2 종동 기어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종동 기어 또는 상기 제2 종동 기어에 의해 제공된 상기 구동력의 분배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종동축 및 상기 제2 종동축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동 기어부는, 상기 제1 종동축과 동일한 회전축을 공유하도록 연결되는 제1 사이드 기어, 상기 제2 종동축과 동일한 회전축을 공유하도록 연결되는 제2 사이드 기어, 상기 제1 사이드 기어 및 상기 제2 사이드 기어와 각각 수직으로 치합 연결되며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피니언 기어는 상기 제1 종동 기어 및 제2 종동 기어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동축과 상기 제1 종동축은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동축과 상기 제2 종동축은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피스톤부와 상기 제2 피스톤부는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패드의 동일한 일면에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의 차동 기어부가 제1 피스톤부 및 제2 피스톤부로 균등한 구동력을 분배함으로써 제동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가 제1 원웨이 클러치 및 제2 원웨이 클러치를 포함함으로써 주차 제동 동작시에 출력되는 토크와 주차 제동 해제시에 출력되는 토크의 크기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기준으로 단면 처리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부 및 동력 분배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부 및 동력 분배부를 분해한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력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부 및 동력 분배부의 회전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을 기준으로 단면 처리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부 및 동력 분배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부 및 동력 분배부를 분해한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력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부 및 동력 분배부의 회전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1)는 구동부(100), 동력 전달부(200), 동력 분배부(300), 전달 기어부(400) 및 가압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00)는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구동 모터(110)와 구동축(1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11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제동력의 형성 또는 해제에 요구되는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모터(110)는 구동 모터(110)에 인가되는 전류 방향에 대응되는 제1 구동력(PW1) 또는 제2 구동력(PW2)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구동력(PW1)과 제2 구동력(PW2)은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의 회전 방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구동력(PW1)과 제2 구동력(PW2)이 서로 다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방향인 경우 미리 설정되는 각도를 이루는 회전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동 모터(110)는 DC모터, 스텝 모터 등 외부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구동력을 생성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동력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구동 모터(110)는 향상된 제동력을 위하여 큰 회전 토크를 가질 수 있으며, 향상된 응답성을 위하여 높은 회전 RPM을 가질 수 있다. 구동 모터(110)는 종래의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1)에 다양한 구조로 적용되고 있는 바, 구동 모터(110)의 내부구성 및 작동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축(120)은 구동 모터(110)의 일측에 연결되어 구동 모터(110)로부터 뒤에 설명할 동력 전달부(20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축(120)은 샤프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축(120)의 일측, 구체적으로 동력 전달부(200)와 연결되는 영역에 미리 설정되는 깊이와 폭을 가지는 스크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동축(120)은 복수 개의 기어 및 샤프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등 구동 모터(110)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을 동력 전달부(200)로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구동축(120)의 일측에는 기어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기어는 구동축(120)과 결합면이 존재하지 않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별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기어와 뒤에 설명할 구동 기어(220)는 한 쌍의 헬리컬(helical) 기어 또는 한 쌍의 베벨(bevel) 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부(200)는 구동부(100)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동력 분배부(300)로 전달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동력 전달부(200)는 차량의 주차 제동 동작 상황 또는 해제 상황에 요구되는 토크를 선택적으로 동력 분배부(300)에 전달할 수 있다.
동력 전달부(200)는 원동축(210), 구동 기어(220), 제1,2 원동 기어(230), 제1,2 종동 기어(240), 제1,2 원웨이 클러치(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동축(210)은 구동부(100)의 일측과 연결되어 구동력에 의해 제1 방향(R) 또는 제2 방향(L)으로 회전할 수 있다.
원동축(210)은 제1 회전축(AX1)을 기준으로 제1 방향(R) 또는 제2 방향(L)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회전 방향은 구동부(100)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에 대응되어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구동부(100)로부터 제1 구동력(PW1)을 전달받는 경우 원동축(210)은 제1 방향(R)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구동부(100)로부터 제2 구동력(PW2)을 전달받는 경우 원동축(210)은 제2 방향(L)으로 회전할 수 있다.
원동축(2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은 제1 회전축(AX1)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 기어(220)는 원동축(21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구동 기어(220)는 중앙에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 홀에 원동축(210)이 삽입 체결될 수 있다. 구동 기어(220)와 원동축(210)은 별물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동 기어(220)와 원동축(21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 기어(220)는 제1 원동 기어(230a)와 제2 원동 기어(23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2 원동 기어(230)와 동일한 회전축을 공유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동축(210) 상에서 구동 기어(220), 제1,2 원동 기어(230)가 위치하는 순서는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구동 기어(220)는 기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어의 지름, 기어 잇수 등 기어의 형상은 구동축(1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원동 기어(230a) 및 제2 원동 기어(230b)는 원동축(210)의 서로 다른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2 원동 기어(230)가 원동축(2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1,2 원동 기어(230)의 중심에 형성되는 홀부에 원동축(210)이 삽입되는 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원동 기어(230a) 및 제2 원동 기어(230b)는 동일한 축을 공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원동 기어(230a) 및 제2 원동 기어(230b)는 원동축(210) 및 구동 기어(220)와 함께 제1 회전축(AX1)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원동축(210)이 제1 방향(R)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원동 기어(230a)는 제1 방향(R)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원동축(210)이 제2 방향(L)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 원동 기어(230b)는 제2 방향(L)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원동축(210)이 제1 방향(R) 또는 제2 방향(L)으로 회전함에 따라 가압부(500)가 디스크에 선택적으로 제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00)에서 제1 구동력(PW1)을 발생하는 경우 원동축(210)은 제1 방향(R)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1,2 피스톤부(520)가 패드(510)에 제동력을 인가하여 디스크를 제동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00)에서 제2 구동력(PW2)을 발생하는 경우 원동축(210)은 제2 방향(L)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1,2 피스톤부(520)가 패드(510)에 가해진 제동력을 제거하여 디스크의 제동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제1 원동 기어(230a)와 제2 원동 기어(230b)의 형상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원동 기어(230a)의 반지름은 제2 원동 기어(230b)의 반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원동 기어(230a)의 잇수는 제2 원동 기어(230b)의 잇수보다 상대적으로 적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원웨이 클러치(250a) 및 제2 원웨이 클러치(250b)는 원동축(210)으로부터 제1 원동 기어(230a) 및 제2 원동 기어(230b)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원동축(21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원웨이 클러치(250a)에 의해 제1 원동 기어(230a)는 제1 방향(R)으로만 회전 가능하며, 제2 원웨이 클러치(250b)에 의해 제2 원동 기어(230b)는 제2 방향(L)으로만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1 원웨이 클러치(250a)는 제1 원동 기어(230a)에 대하여 제1 구동력(PW1)만을 전달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축이음으로서, 제1 방향(R)에 대한 회전을 허용하고 제2 방향(L)에 대한 회전을 차단하여 제2 구동력(PW2)의 전달을 단속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원동 기어(230a)는 원동축(210)과 제1 원웨이 클러치(250a)를 통하여 축이음되며, 제1 원웨이 클러치(250a)는 구동부(100)에서 제1 구동력(PW1)을 전달받아 제1 원동 기어(230a)의 제1 방향(R) 회전을 허용하여 원동축(210)과 제1 회전축(AX1)을 기준으로 회전하되, 제2 구동력(PW2)이 구동부(100)로부터 제1 원동 기어(230a)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제1 원동 기어(230a)가 제2 방향(L)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제2 원웨이 클러치(250b)는 제2 원동 기어(230b)에 대하여 제2 구동력(PW2)만을 전달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축이음으로서, 제2 방향(L)에 대한 회전을 허용하고 제1 방향(R)에 대한 회전을 차단하여 제1 구동력(PW1)의 전달을 단속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원동 기어(230b)는 원동축(210)과 제2 원웨이 클러치(250b)를 통하여 축이음되며, 제2 원웨이 클러치(250b)는 구동부(100)에서 제2 구동력(PW2)을 전달받아 제2 원동 기어(230b)의 제2 방향(L) 회전을 허용하여 원동축(210)과 제2 회전축(AX2)을 기준으로 회전하되, 제1 구동력(PW1)이 구동부(100)로부터 제2 원동 기어(230b)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제2 원동 기어(230b)가 제1 방향(R)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원동 기어(230a)는 원동축(210) 및 제1 원웨이 클러치(250a)로부터 제2 구동력(PW2)의 전달에 의한 제2 방향(L) 회전이 제한된다는 의미이며 제1 원동 기어(230a)가 뒤에 설명할 제1 종동 기어(240a)와 치합 연결되어 제1 종동 기어(240a)의 회전에 의한 제2 방향(L)으로 회전은 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원동 기어(230b)는 원동축(210) 및 제2 원웨이 클러치(250b)로부터 제1 구동력(PW1)의 전달에 의한 제1 방향(R) 회전이 제한된다는 의미이고 제2 원동 기어(230b)가 뒤에 설명할 제2 종동 기어(240b)와 치합 연결되어 제2 종동 기어(240b)의 회전에 의한 제1 방향(R)으로 회전은 가능할 수 있다.
제1 원웨이 클러치(250a) 및 제2 원웨이 클러치(250b)는 차량에 다양한 구조로 적용되고 있는 바, 내부구성 및 작동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종동 기어(240a)는 제1 원동 기어(230a)와 치합 연결되고, 뒤에 설명할 제1 종동축(350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종동 기어(240b)는 제2 원동 기어(230b)와 치합 연결되고, 뒤에 설명할 제2 종동축(350b)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종동 기어(240a) 및 제2 종동 기어(240b)는 기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어의 반지름 및 기어 잇수, 이끝 높이, 이뿌리 높이 등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종동 기어(240a)의 반지름은 제2 종동 기어(240b)의 반지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종동 기어(240a)의 기어 잇수는 제2 종동 기어(240b)의 기어 잇수보다 상대적으로 많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종동 기어(240a)와 제1 원동 기어(230a)의 반지름의 합은 제2 종동 기어(240b)와 제2 원동 기어(230b)의 반지름의 합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 원동 기어(230a) 및 제2 원동 기어(230b)의 회전 중심축이 되는 원동축(210)과 제1 종동 기어(240a) 및 제2 종동 기어(240b)의 회전 중심축이 되는 종동축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종동 기어(240a)의 반지름은 제1 원동 기어(230a)의 반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 구동력(PW1)이 제1 원동 기어(230a)로부터 제1 종동 기어(240a)로 전달되면서 회전 각속도는 감소하고 토크가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종동 기어(240b)의 반지름은 제2 원동 기어(230b)의 반지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2 구동력(PW2)이 제2 원동 기어(230b)로부터 제2 종동 기어(240b)로 전달되면서 회전 각속도가 증가하고 토크가 감소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2 종동 기어(240b)의 반지름은 제2 원동 기어(230b)의 반지름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종동 기어(240a)와 제1 원동 기어(230a)의 기어비는 제2 종동 기어(240b)와 제2 원동 기어(230b)의 기어비와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00)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상이한 속도와 토크로 가압부(500)에 전달하도록, 제1 종동 기어(240a)와 제1 원동 기어(230a)의 제1 기어비(제1 종동 기어(240a)의 잇수/제1 원동 기어(230a)의 잇수)는 제2 종동 기어(240b)와 제2 원동 기어(230b)의 제2 기어비(제2 종동 기어(240b)의 잇수/제2 원동 기어(230b)의 잇수)와 상이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종동 기어(240a)와 제1 원동 기어(230a)의 기어비는 제2 종동 기어(240b)와 제2 종동 기어(240b)의 기어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 구동력(PW1)이 제1 원동 기어(230a), 제1 종동 기어(240a), 제1,2 종동축(350)을 통하여 전달되어 제1,2 전달 기어부(400)로 제공되는 출력 토크는 제2 구동력(PW2)이 제2 원동 기어(230b), 제2 종동 기어(240b), 제1,2 종동축(350)을 통하여 전달되어 제1,2 전달 기어부(400)로 제공되는 출력 토크보다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질 수 있으며, 회전 각속도는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기어비는 1 보다 크고, 제2 기어비는 1 이하일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구동부(100)에서 제공되는 제1 구동력(PW1)에 의한 패드(510) 이동 속도가 제2 구동력(PW2)에 의한 패드(510) 이동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느리되, 더 큰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원동 기어(230a) 및 제1 종동 기어(240a)는 서로 치합 하는 한 쌍의 평기어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원동 기어(230a) 및 제1 종동 기어(240a)는 외주면에 원동축(210)과 나란한 기어 이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1 원동 기어(230a) 및 제1 종동 기어(240a)는 서로 축이 평행하고 상이한 잇수를 가지고 치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원동 기어(230a) 및 제1 종동 기어(240a)는 헬리컬 기어 또는 베벨 기어 등 구동력을 전달하면서 토크를 증감시킬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기어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원동 기어(230b) 및 제2 종동 기어(240b)는 서로 치합 하는 한 쌍의 평기어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원동 기어(230b) 및 제2 종동 기어(240b)는 외주면에 원동축(210)과 나란한 기어 이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2 원동 기어(230b) 및 제2 종동 기어(240b)는 서로 축이 평행하고 상이한 잇수를 가지고 치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원동 기어(230b) 및 제2 종동 기어(240b)는 헬리컬 기어 또는 베벨 기어 등 구동력을 전달하면서 토크를 증감시킬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기어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분배부(300)는 동력 전달부(200)로부터 전달 기어부(400)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차동 기어부(310), 제1 종동축(350a) 및 제2 종동축(350b)을 포함할 수 있다.
차동 기어부(310)는 동력 전달부(20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으며, 동력 전달부(200)로부터 제공받은 구동력의 분배를 제어하여 분배된 구동력을 제1 종동축(350a) 및 제2 종동축(350b)으로 전달할 수 있다.
차동 기어부(310)는 제1 종동축(350a) 및 제2 종동축(350b)에 균일하거나 동등하게 구동력을 분배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뒤에 설명할 제1 피스톤부(520a) 및 제2 피스톤부(520b)에 균일하거나 동등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1)는 제1 피스톤부(520a) 및 제2 피스톤부(520b)를 이용하여 패드(510)에 균일한 가압력을 인가할 수 있으므로 디스크를 효과적으로 제동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동 기어부(310)는 제1,2 사이드 기어(311), 제1,2 피니언 기어(312), 피니언 샤프트(313) 및 차동 기어 하우징(3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이드 기어(311a)는 제1 종동축(350a)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종동축(350a)에 구동력을 분배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사이드 기어(311a)는 제1 종동축(350a)과 동일한 회전축을 공유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동일한 회전 중심축은 제2 회전축(AX2)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사이드 기어(311a)와 제1 종동축(350a)은 수직하게 연결되어 제1 사이드 기어(311a)와 제1 종동축(350a)의 회전 중심축은 서로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는 등 제1 사이드 기어(311a)로부터 제1 종동축(350a)으로 구동력을 분배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2 사이드 기어(311b)는 제2 종동축(350b)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종동축(350b)에 구동력을 분배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사이드 기어(311b)는 제2 종동축(350b)과 동일한 회전축을 공유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동일한 회전 중심축은 제2 회전축(AX2)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사이드 기어(311b)와 제2 종동축(350b)은 수직하게 연결되어 제2 사이드 기어(311b)와 제2 종동축(350b)의 회전 중심축은 서로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는 등 제2 사이드 기어(311b)로부터 제2 종동축(350b)으로 구동력을 분배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로, 제1 사이드 기어(311a)와 제2 사이드 기어(311b)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사이드 기어(311a)와 제2 사이드 기어(311b)는 미리 설정되는 각도를 이루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종동축(350a)과 제2 종동축(350b)이 서로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제1 사이드 기어(311a)와 제2 사이드 기어(311b)는 서로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1 종동축(350a)이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되는 반지름을 가지는 홀부가 제1 종동축(350a)의 일 끝부에서 타 끝부까지 연장 형성되고 제2 종동축(350b)이 상기 홀부에 삽입되는 경우에 제1 사이드 기어(311a)와 제2 사이드 기어(311b)는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게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 제2 사이드 기어(311b)가 제1 사이드 기어(311a)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이드 기어(311a)의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되는 반지름을 가지는 홀부가 제1 사이드 기어(311a)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홀부에 제2 사이드 기어(311b)가 삽입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2 종동축(350b)이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되는 반지름을 가지는 홀부가 제2 종동축(350b)의 일 끝부에서 타 끝부까지 연장 형성되고 제1 종동축(350a)이 상기 홀부에 삽입되는 경우에 제1 사이드 기어(311a)와 제2 사이드 기어(311b)는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게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 제1 사이드 기어(311a)가 제2 사이드 기어(311b)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사이드 기어(311b)의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되는 반지름을 가지는 홀부가 제2 사이드 기어(311b)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홀부에 제1 사이드 기어(311a)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피니언(312a) 기어 및 제2 피니언 기어(312b)(이하, 제1,2 피니언 기어(312)를 총칭하는 용어를 한 쌍의 피니언 기어(312)라 정의한다.)는 제1 사이드 기어(311a) 및 제2 사이드 기어(311b)와 각각 수직으로 치합 연결될 수 있으며, 한 쌍의 피니언 기어(312)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차동 기어 하우징(315)은 차동 기어부(31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제1,2 사이드 기어(311), 한 쌍의 피니언 기어(312)를 미리 설정되는 위치에 배열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차동 기어 하우징(315)은 동력 전달부(2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1 종동 기어(240a), 제2 종동 기어(240b)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구동부(100)에서 제1 구동력(PW1)을 발생하는 경우 차동 기어 하우징(315)은 제1 종동 기어(240a)로부터 제1 구동력(PW1)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구동부(100)에서 제2 구동력(PW2)을 발생하는 경우 차동 기어 하우징(315)은 제2 종동 기어(240b)로부터 제2 구동력(PW2)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종동 기어(240a) 및 제2 종동 기어(240b)는 한 쌍의 피니언 기어(312) 또는 피니언 샤프트(313)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100)에서 제1 구동력(PW1)을 발생하는 경우 한 쌍의 피니언 기어(312) 또는 피니언 샤프트(313)는 제1 종동 기어(240a)로부터 제1 구동력(PW1)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구동부(100)에서 제2 구동력(PW2)을 발생하는 경우 한 쌍의 피니언 기어(312) 또는 피니언 샤프트(313)는 제2 종동 기어(240b)로부터 제2 구동력(PW2)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동 기어부(310)는 동력 전달부(200)와 연결되되 제1 종동축(350a)과 제2 종동축(35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차동 기어부(310)는 동력 전달부(200)의 제1,2 원웨이 클러치(250)에 의해 회전 방향이 서로 상이한 제1 구동력(PW1) 또는 제2 구동력(PW2)을 선택적으로 제공받아 제1 종동축(350a) 및 제2 종동축(350b)으로 제공받은 구동력을 분배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1)는 제1 원동 기어(230a) 및 제1 종동 기어(240a)로 이루어진 하나의 기어 쌍과 제2 원동 기어(230b) 및 제2 종동 기어(240b)로 이루어진 다른 기어 쌍만으로 2가지 토크를 출력할 수 있어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1)가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차동 기어부(310)는 종래의 차량에 다양한 구조로 적용되고 있는 바, 차동 기어부(310)의 내부구성 및 작동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종동축(350a)은 차동 기어부(310)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제1 전달 기어(41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샤프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전달 기어(41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1 종동축(350a)은 복수 개의 샤프트 및 기어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종동축(350a)은 제1 종동 기어(240a)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종동축(350a)과 제1 종동 기어(240a)는 베어링(bearing)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1 종동축(350a)과 제1 종동 기어(240a)의 회전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2 종동축(350b)은 차동 기어부(310)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제2 전달 기어(42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샤프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전달 기어(42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2 종동축(350b)은 복수 개의 샤프트 및 기어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종동축(350b)은 제2 종동 기어(240b)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종동축(350b)과 제2 종동 기어(240b)는 베어링(bearing)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2 종동축(350b)과 제2 종동 기어(240b)의 회전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니언 샤프트(313)는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샤프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피니언 기어(312)의 회전 중심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종동축(350a)과 제1 종동 기어(240a)는 미리 설정되는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종동축(350a)과 제1 종동 기어(240a)는 미리 설정되는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종동축(350a)과 제2 종동축(350b)은 동일한 회전축을 공유하면서 직렬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종동축(350a)과 제2 종동축(350b)은 제2 회전축(AX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종동축(350a)과 제2 종동축(350b)은 미리 설정되는 각도를 이루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사이드 기어(311a) 및 제2 사이드 기어(311b)는 상기 미리 설정되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원동축(210)과 제1 종동축(350a)은 병렬로 배치될 수 있으며, 원동축(210)과 제2 종동축(350b)은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원동축(210)의 임의의 지점과 제1 종동축(350a)과의 수직 거리는 원동축(210)의 임의의 지점과 제2 종동축(350b)과의 수직 거리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 거리는 제1 원동 기어(230a) 및 제1 종동 기어(240a)의 반지름의 합 및 제2 원동 기어(230b) 및 제2 종동 기어(240b)의 반지름의 합과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원동축(210), 제1 원동 기어(230a), 제2 원동 기어(230b), 제1 원웨이 클러치(250a) 및 제2 원웨이 클러치(250b)는 제1 회전축(AX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차동 기어부(310), 제1 종동축(350a), 제2 종동축(350b), 제1 종동 기어(240a) 및 제2 종동 기어(240b)는 제2 회전축(AX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1 회전축(AX1)과 제2 회전축(AX2)은 서로 병렬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1)가 서로 인접하게 평행한 2개의 회전축만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2가지 토크 출력이 가능하므로,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1)가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 기어부(400)는 제1 종동축(350a) 및 제2 종동축(350b)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디스크에 제동력을 인가하는 가압부(50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전달 기어부(400)는 제1 종동축(350a) 및 제1 피스톤부(520a)와 각각 연결되는 제1 전달 기어(410) 및 제2 종동축(350b) 및 제2 피스톤부(520b)와 각각 연결되는 제2 전달 기어(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달 기어(410) 및 제2 전달 기어(420)는 복수 개의 기어와 복수 개의 기어의 회전 중심축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샤프트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는 등 제1 종동축(350a) 및 제2 종동축(350b)으로부터 제1 피스톤부(520a) 및 제2 피스톤부(520b)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전달 기어(410) 및 제2 전달 기어(420)는 복수 개의 감속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 구동력(PW1) 또는 제 구동력에 의해 제1 종동축(350a) 및 제2 종동축(350b)으로 출력되는 토크를 증가시켜 가압부(500)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브레이크의 제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500)는 디스크에 선택적으로 제동력을 인가하는 것으로서 패드(510), 제1 피스톤부(520a), 제2 피스톤부(520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피스톤부(520a)와 제2 피스톤부(520b)는 병렬로 배치될 수 있으며, 패드(510)의 동일한 일면에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피스톤부(520a)의 길이 방향 중심축과 제2 피스톤부(520b)의 길이 방향 중심축은 제1 회전축(AX1) 또는 제2 회전축(AX2)과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피스톤부(520a)와 제2 피스톤부(520b)는 동일한 길이 방향 중심축을 공유하면서 서로 다른 패드(510)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서로 다른 패드(510)는 디스크의 서로 다른 면에 제동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1 피스톤부(520a)와 제2 피스톤부(520b)에 의해 서로 다른 패드(510)는 디스크의 양면에 제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
패드(510), 제1,2 피스톤부(520)는 종래의 브레이크 장치에 다양한 구조로 적용되고 있는 바, 패드(510), 제1,2 피스톤부(520)의 내부구성 및 작동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피스톤부(520a) 및 제2 피스톤부(520b)는 가압 방향(D)으로 디스크에 제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00)에서 제1 구동력(PW1)을 발생시키는 경우 제1 피스톤부(520a) 및 제2 피스톤부(520b)는 디스크를 향하는 가압 방향(D)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00)에서 제2 구동력(PW2)을 발생시키는 경우 제1 피스톤부(520a) 및 제2 피스톤부(520b)는 디스크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가압 방향(D)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동력을 해제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작동원리를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작동원리 및 구동력의 흐름 등은 설명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1)는 차동 기어부(310)를 포함함으로써 제1 피스톤부(520a) 및 제2 피스톤부(520b)에 균일한 구동력을 분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제1,2 피스톤부(52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동력이 집중되어 발생하는 제동 기능의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1)는 제1,2 원웨이 클러치(250) 및 서로 다른 기어비를 가지는 제1 원동 기어(230a) 및 제1 종동 기어(240a), 제2 원동 기어(230b) 및 제2 종동 기어(240b)를 포함함으로써, 주차 제동 동작시에 출력하는 토크의 크기와 주차 제동 해제시에 출력하는 토크의 크기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1)는 제1 기어비(제1 종동 기어(240a)의 잇수/제1 원동 기어(230a)의 잇수)가 제2 기어비(제2 종동 기어(240b)의 잇수/제2 원동 기어(230b)의 잇수)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주차 제동 동작시에는 제1 원웨이 클러치(250a)를 포함함으로써 제1 원동 기어(230a), 제1 종동 기어(240a)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1)는 주차 제동 해제 시에는 제2 원웨이 클러치(250b)를 포함함으로써 제2 원동 기어(230b), 제2 종동 기어(240b)를 통해 구동력이 전달되어 주체 제동 동작시에 출력되는 토크의 크기가 주차 제동 해제시에 출력되는 토크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00)는 주차 제동 동작을 위해 동력 전달부(200)로 제1 구동력(PW1)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구동력(PW1)의 방향은 원동축(210)이 제1 방향(R)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방향으로 설정될 있으며, 제2 구동력(PW2)의 방향은 원동축(210)이 제2 방향(L)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고, 제1 구동력(PW1)과 제2 구동력(PW2)의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주차 제동 동작 시 원동축(210)은 구동부(100)로부터 제1 구동력(PW1)을 전달받아 제1 방향(R)으로 회전할 수 있다. 원동축(210)은 제1 원웨이 클러치(250a)를 통해 제1 원동 기어(230a)에 제1 구동력(PW1)을 전달할 수 있으며 제1 원동 기어(230a)는 제1 방향(R)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원동 기어(230b)는 제2 방향(L) 회전 회전만 허용하는 제2 원웨이 클러치(250b)로 인하여 원동축(210)을 통해 제1 구동력(PW1)을 전달받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제1 원동 기어(230a)는 제1 종동 기어(240a)와 치합 연결되어, 원동축(210)으로부터 제공받은 제1 구동력(PW1)을 제1 종동 기어(240a)에 전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1 종동 기어(240a)는 제2 방향(L)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종동 기어(240a)는 제1 종동 기어(240a) 일측에 고정되게 연결되는 차동 기어부(310), 구체적으로 차동 기어 하우징(315), 한 쌍의 피니언 기어(312) 또는 피니언 샤프트(31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원동 기어(230a)와 제1 종동 기어(240a)는 제1 기어비가 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1 종동 기어(240a)는 제1 원동 기어(230a)의 회전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회전 속도로 회전할 수 있으면서, 제1 종동 기어(240a)는 제1 원동 기어(230a)가 원동축(210)으로부터 전달받은 토크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토크를 차동 기어부(310)로 전달할 수 있다.
차동 기어부(310), 구체적으로 차동 기어 하우징(315), 한 쌍의 피니언 기어(312) 또는 피니언 샤프트(31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제1 종동 기어(240a)로부터 제1 구동력(PW1)을 전달받아, 제2 방향(L)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한 쌍의 피니언 기어(312)와 치합 연결되는 제1,2 사이드 기어(311)는 제1 구동력(PW1)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1 구동력(PW1)은 제1,2 사이드 기어(311)로 균등하게 분배될 수 있으며, 상기 균등하게 분배되는 구동력은 제1,2 종동축(35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종동축(350a)은 제1 전달 기어(410)를 통해 제1 피스톤부(520a)로 분배 받은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제1 전달 기어(410)는 복수 개의 감속 기어를 포함함으로써, 제1 종동축(350a)으로부터 전달받은 토크보다 상대적으로 큰 토크를 제1 피스톤부(520a)에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종동축(350b)은 제2 전달 기어(420)를 통해 제2 피스톤부(520b)로 분배 받은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제2 전달 기어(420)는 복수 개의 감속 기어를 포함함으로써 제2 종동축(350b)으로부터 전달받은 토크보다 상대적으로 큰 토크를 제2 피스톤부(520b)에 제공할 수 있다.
제1,2 피스톤부(520)는 각각 균등하게 분배된 제1 구동력(PW1)을 전달받음으로써 패드(51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가압 방향(D)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패드(510)는 디스크에 마찰력에 기반한 제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00)는 주차 제동 해제를 위해 동력 전달부(200)로 제2 구동력(PW2)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주차 제동 해제시 원동축(210)은 구동부(100)로부터 제2구동력을 전달받아 제2 방향(L)으로 회전할 수 있다. 원동축(210)은 제2 원웨이 클러치(250b)를 통해 제2 원동 기어(230b)에 제2 구동력(PW2)을 전달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2 원동 기어(230b)는 제2 방향(L)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제1 원동 기어(230a)는 제1 방향(R) 회전 회전만 허용하는 제1 원웨이 클러치(250a)로 인하여 원동축(210)을 통해 제2 구동력(PW2)을 전달받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제2 원동 기어(230b)는 제2 종동 기어(240b)와 치합 연결되어, 원동축(210)으로부터 제공받은 제2 구동력(PW2)을 제2 종동 기어(240b)에 전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2 종동 기어(240b)는 제1 방향(R)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종동 기어(240b)는 제2 종동 기어(240b) 일측에 고정되게 연결되는 차동 기어부(310), 구체적으로 차동 기어 하우징(315), 한 쌍의 피니언 기어(312) 또는 피니언 샤프트(31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원동 기어(230b)와 제2 종동 기어(240b)는 제2 기어비가 1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2 기어비는 1을 초과할 수 있지만, 제1 기어비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 종동 기어(240a)는 제2 원동 기어(230b)의 회전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속도로 회전할 수 있으면서, 제2 종동 기어(240b)는 제2 원동 기어(230b)가 원동축(210)으로부터 전달받은 토크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토크를 차동 기어부(310)로 전달할 수 있다.
차동 기어부(310), 구체적으로 차동 기어 하우징(315), 한 쌍의 피니언 기어(312) 또는 피니언 샤프트(31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제2 종동 기어(240b)로부터 제2 구동력(PW2)을 전달받아, 제1 방향(R)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한 쌍의 피니언 기어(312)와 치합 연결되는 제1,2 사이드 기어(311)는 제2 구동력(PW2)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2 구동력(PW2)은 제1,2 사이드 기어(311)로 균등하게 분배될 수 있으며, 상기 균등하게 분배되는 구동력은 제1,2 종동축(35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종동축(350a)은 제1 전달 기어(410)를 통해 제1 피스톤부(520a)로 분배 받은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제1 전달 기어(410)는 복수 개의 감속 기어를 포함함으로써, 제1 종동축(350a)으로부터 전달받은 토크보다 상대적으로 큰 토크를 제1 피스톤부(520a)에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종동축(350b)은 제2 전달 기어(420)를 통해 제2 피스톤부(520b)로 분배 받은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제2 전달 기어(420)는 복수 개의 감속 기어를 포함함으로써 제2 종동축(350b)으로부터 전달받은 토크보다 상대적으로 큰 토크를 제2 피스톤부(520b)에 제공할 수 있다.
제1,2 피스톤부(520)는 각각 균등하게 분배된 제1 구동력(PW1)을 전달받음으로써 패드(510)가 위치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압 방향(D)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패드(510)가 디스크에 가하고 있던 제동력을 해제할 수 있다.
제1 기어비는 제2 기어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될 수 있으므로 제1 구동력(PW1)에 의해 패드(510)를 디스크에 대해서 전진시키는 속도는 패드(510)를 디스크에 대해서 후진시키는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나아가 제2 구동력(PW2)에 의해 패드(510)를 디스크에 대해서 전진시키는 힘은 패드(510)를 디스크에 대해서 후진시키는 힘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동력의 형성에 있어서 더 큰 힘을 작용함으로써 안정적인 제동력을 형성할 수 있고, 제동력의 해제 있어서 더 빠른 속도로 응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 100: 구동부
200: 동력 전달부 300: 동력 분배부
400: 전달 기어부 500: 가압부
AX1: 제1 회전축 AX2: 제2 회전축

Claims (13)

  1.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력에 의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원동축을 구비하는 동력 전달부;
    상기 동력 전달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차동 기어부, 상기 차동 기어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종동축, 상기 차동 기어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종동축을 구비하는 동력 분배부; 및
    상기 제1 종동축 및 상기 제2 종동축으로부터 상기 구동력을 전달 받으며, 디스크에 제동력을 인가하는 가압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달 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원동축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원웨이 클러치, 상기 제1 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한 제1 원동 기어, 상기 원동축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원웨이 클러치 및 상기 제2 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한 제2 원동 기어, 상기 제1 원동 기어에 치합 연결되고 상기 제1 종동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종동 기어 및 상기 제2 원동 기어에 치합 연결되고 상기 제2 종동축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종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원동축이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압부가 상기 디스크에 선택적으로 제동력을 인가하는,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디스크에 제동력을 인가하는 패드; 및
    상기 패드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피스톤부와 제2 피스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 기어부는,
    상기 제1 종동축으로부터 상기 제1 피스톤부로 상기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전달 기어 및 상기 제2 종동축으로부터 상기 제2 피스톤부로 상기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전달 기어를 포함하는,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종동축과 상기 제2 종동축은 동일한 회전축을 공유하면서 직렬로 배치되는,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동 기어와 상기 제1 종동 기어의 기어비는, 상기 제2 원동 기어와 상기 제2 종동 기어의 기어비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동 기어 및 상기 제1 종동 기어는 한 쌍의 평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원동 기어 및 상기 제2 종동 기어는 한 쌍의 평기어로 이루어지는,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기어부는,
    상기 제1 종동 기어 및 제2 종동 기어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종동 기어 또는 상기 제2 종동 기어에 의해 제공된 상기 구동력의 분배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종동축 및 상기 제2 종동축으로 전달하는,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기어부는,
    상기 제1 종동축과 동일한 회전축을 공유하도록 연결되는 제1 사이드 기어;
    상기 제2 종동축과 동일한 회전축을 공유하도록 연결되는 제2 사이드 기어;
    상기 제1 사이드 기어 및 상기 제2 사이드 기어와 각각 수직으로 치합 연결되며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피니언 기어는 상기 제1 종동 기어 및 제2 종동 기어와 각각 연결되는,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축과 상기 제1 종동축은 병렬로 배치되는,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축과 상기 제2 종동축은 병렬로 배치되는,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부와 상기 제2 피스톤부는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패드의 동일한 일면에 접촉하는,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
KR1020220169659A 2022-12-07 2022-12-07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 KR102704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9659A KR102704457B1 (ko) 2022-12-07 2022-12-07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
PCT/KR2023/005947 WO2024122762A1 (ko) 2022-12-07 2023-05-02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9659A KR102704457B1 (ko) 2022-12-07 2022-12-07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4871A KR20240084871A (ko) 2024-06-14
KR102704457B1 true KR102704457B1 (ko) 2024-09-06

Family

ID=91379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9659A KR102704457B1 (ko) 2022-12-07 2022-12-07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704457B1 (ko)
WO (1) WO202412276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55917A (ja) * 2016-03-04 2017-09-07 Ntn株式会社 電動ブレーキ装置
CN211308536U (zh) * 2019-11-21 2020-08-21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行车-驻车集成制动器及具有其的车辆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7692B2 (en) * 2015-04-01 2017-03-07 Akebono Brake Industry Co., Ltd Differential for a parking brake assembly
JP6644524B2 (ja) * 2015-11-20 2020-02-12 Ntn株式会社 電動式ブレーキ装置
CN112498320A (zh) * 2020-12-25 2021-03-16 精诚工科汽车系统有限公司 用于车辆的双活塞电子驻车执行机构和车辆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55917A (ja) * 2016-03-04 2017-09-07 Ntn株式会社 電動ブレーキ装置
CN211308536U (zh) * 2019-11-21 2020-08-21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行车-驻车集成制动器及具有其的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22762A1 (ko) 2024-06-13
KR20240084871A (ko) 2024-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36388B1 (en) Electric parking brake system
US4793447A (en) Electrically operated disc brake
JP4319131B2 (ja) 単純構造を有する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4745279B2 (ja) 上り斜面における後進防止用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内蔵型アクスル装置
JP6602305B2 (ja) 不可逆なねじナットシステムを有するアクチュエータ、ドラムブレーキ、およびこれを備えるブレーキ装置
US20220297660A1 (en) Electric parking brake
EP1077846B1 (en) Braking arrangement and braking manoeuvre means
CN101782118A (zh) 电动盘式制动器
KR102582455B1 (ko)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JP2017502230A (ja) 軸線方向のガイドレールを有する、ギヤによって駆動される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これを備えるドラムブレーキおよびブレーキ装置
KR20170035156A (ko)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US20100122877A1 (en) Electric disc brake
KR20170035389A (ko)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KR102704457B1 (ko)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
JPH11193838A (ja) 車両の制動機の操作装置
RU2002117432A (ru) Дисковый тормоз
KR101654813B1 (ko) 전동식 브레이크
KR102719875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KR102719877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JP2018108747A (ja) 車両の制動装置
KR20240045812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KR20100039072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을 갖춘 디스크 브레이크
KR20240044988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KR101417863B1 (ko)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
KR20240116233A (ko)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