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9421B1 - 분말식품 제조용 곡물선별장치 - Google Patents

분말식품 제조용 곡물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9421B1
KR102689421B1 KR1020230004660A KR20230004660A KR102689421B1 KR 102689421 B1 KR102689421 B1 KR 102689421B1 KR 1020230004660 A KR1020230004660 A KR 1020230004660A KR 20230004660 A KR20230004660 A KR 20230004660A KR 102689421 B1 KR102689421 B1 KR 102689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eve
grains
frame
shaft
shaf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4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5474A (ko
Inventor
이순복
Original Assignee
이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복 filed Critical 이순복
Priority to KR1020230004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9421B1/ko
Publication of KR20230015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5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9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94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2201/00Details applicable to machines for screening using sieves or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곡물을 볶아서 미숫가루와 같은 분말식품을 제조할 때, 크기가 작은 곡물이 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종류의 곡물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분말식품 제조용 곡물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단으로 높이가 다른 계단식프레임을 구비한 뒤에 그 계단식프레임의 상부에 서로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는 1,2,3번선별기를 계단식으로 높이가 차이 나도록 설치하되, 가장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1번선별기에는 가는 체(1번체)를 설치하고, 중간 높이에 설치되는 2번선별기에는 중간 체(2번체)를 설치하며,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3번선별기에는 굵은 체(3번체)를 설치한 상태에서 1번체에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곡물을 투입한 상태에서 1,2,3번체를 전후로 왕복 운동시켜서 체를 치되, 1번체를 통과하는 작은 곡물은 1번체 하측의 수납통에 받히게 되고, 1번체에 걸러진 중간크기 및 큰 곡물은 1번체를 힌지식으로 세워서 2번체로 쏟으면, 2번체에서 2차로 체를 처서 중간크기의 곡물이 2번체 하측의 수납통에 받히게 하며, 2번체에 걸러진 큰 곡물은 2번체를 힌지식으로 세워서 3번체로 쏟아서 3번체를 3차로 체를 처서 크기가 큰 곡물이 3번체 하측의 수납통에 받히게 하여 곡물을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계단식으로 높이가 차이 나게 형성되는 계단식프레임(10)과, 서로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며 계단식프레임(10)의 높은 위치와 중간위치와 낮은 위치에 각각 높이가 차이나게 설치되는 1,2,3번선별기(20,20a,20b)를 포함하여 곡물선별장치(100)가 구성되며;
상기 1,2,3번선별기(20,20a,20b)는 체(40)에 의해 선별된 곡물이 담기는 수납통(30)과, 상기 수납통(30)의 상부에서 전후로 왕복이동되고 일측방이 힌지식으로 세워졌다가 수평으로 눕히도록 설치되는 체(40)와, 계단식프레임(10)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체(40)를 왕복이동하게 하는 왕복운동기구(50)와, 계단식프레임(10)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체(40)를 각운동되게 하는 각운동기구(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납통(30)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측이 호퍼형으로 좁아지게 형성되는 수납통본체(31)의 일측면 하부에 배출통공(32)이 형성되고, 수납통본체(31)의 일측면 상부에 가이드레일(33)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며, 수납통본체(31)의 타측 상부에 상면지지부(34)가 형성되고;
상기 체(40)는 1번선별기(20)에 설치되는 1번체(40a)와, 2번선별기(20a)에 설치되는 2번체(40b)와, 3번선별기(20b)에 설치되는 3번체(40c)로 구분되며, 1,2,3번체(40a,40b,40c)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되, 1번체(40a)에 설치되는 철망(44)은 가는 망이 설치되고, 2번체(40b)에 설치되는 철망(44)은 중간 크기의 철망(44)이 설치되며, 3번체(40c)에 설치되는 철망(44)은 굵은 망이 설치되고;
상기 1,2,3번체(40a,40b,40c)는 "ㄷ" 형으로 형성되는 수직벽(41)의 개방된 부분에 경사배출부(42)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체프레임(43)의 내측 바닥부에 철망(44)이 설치되며, 체프레임(43)의 하부에 하향돌출테(45)가 형성되고, 경사배출부(42) 반대편의 수직벽(41)의 외부에 가이드레일(33)에 안내되는 한 쌍의 가이드휠(46)이 전후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경사배출부(42)의 하부에는 연결브래킷(47)에 의해 각관(48)이 전후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왕복운동기구(50)는 감속모터(51)의 모터축(51a)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는 회전판(52)과, 양단부에 힌지부를 형성하며 후방측 힌지부가 회전판(52) 상면의 편심된 위치에 힌지식으로 설치되는 회전암(53)과, 회전암(53)의 전방측 힌지부와 말단부가 힌지식으로 설치되며 전방측 상부에 하향돌출테(45)가 삽입 안착되는 안착홈(54)이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슬라이더(55)와, 계단식프레임(10)에 설치되어 슬라이더(55)가 전후길이방향으로 안내되게 하는 수평안내구(5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각운동기구(60)는 계단식프레임(10)의 전후방 상부에 설치되는 축지지구(61)와, 전후방에 축지지구(61)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원형축부(62)가 구비되고 전후방측 원형축부(62)의 사이에 각관(48)으로 삽입되는 사각축부(63)가 형성되며 전방측 원형축부(62)의 외측단에 손잡이부(64)가 설치되는 체회동축(65)과, 계단식프레임(10)의 후방측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감속모터(67)의 모터축에 설치되며 전방측에 체회동축(65)의 후방측 원형축부(62)가 삽입되는 축연결구(68)와, 축연결구(68)로 삽입된 원형축부(62)를 나사식으로 고정시켜서 감속모터(67)의 동력을 체회동축(65)에 전달하도록 하는 볼트(6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말식품 제조용 곡물선별장치{Grain sorter device for manufacturing powdered food}
본 발명은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곡물을 볶아서 미숫가루와 같은 분말식품을 제조할 때, 크기가 작은 곡물이 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종류의 곡물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분말식품 제조용 곡물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단으로 높이가 다른 계단식프레임을 구비한 뒤에 그 계단식프레임의 상부에 서로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는 1,2,3번선별기를 계단식으로 높이가 차이 나도록 설치하되, 가장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1번선별기에는 가는 체(1번체)를 설치하고, 중간 높이에 설치되는 2번선별기에는 중간 체(2번체)를 설치하며,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3번선별기에는 굵은 체(3번체)를 설치한 상태에서 1번체에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곡물을 투입한 상태에서 1,2,3번체를 전후로 왕복 운동시켜서 체를 치되, 1번체를 통과하는 작은 곡물은 1번체 하측의 수납통에 받히게 되고, 1번체에 걸러진 중간크기 및 큰 곡물은 1번체를 힌지식으로 세워서 2번체로 쏟으면, 2번체에서 2차로 체를 처서 중간크기의 곡물이 2번체 하측의 수납통에 받히게 하며, 2번체에 걸러진 큰 곡물은 2번체를 힌지식으로 세워서 3번체로 쏟아서 3번체를 3차로 체를 처서 크기가 큰 곡물이 3번체 하측의 수납통에 받히게 하여 곡물을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숫가루와 같은 분말식품을 제조할 때는 쌀, 보리, 율무, 콩 등과 같은 다양한 곡물(곡류)를 동일한 곡물끼리 볶은 뒤에, 그 볶아진 곡물을 분쇄하여 분말식품을 제조하고 있다.
이와 같이 분말식품을 제조하는 과정 중에 곡물을 볶는 공정이 포함되는데, 일반적으로 동일한 곡물, 예를 들어 콩을 볶을 때, 콩의 크기가 균일하지 못하여 큰 것과 작은 것이 섞여있는 상태이다.
이렇게 크기가 각기 다른 콩이 섞인 상태로 콩을 볶게 되면, 크기가 작은 콩은 먼저 볶아지고 크기가 큰 콩은 나중에 볶아져서 큰 콩이 볶아지도록 계속하여 볶으면, 크기가 작은 콩이 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별기를 이용하여 곡물을 크기별로 선별하여 유사한 크기별로 선별된 곡물끼리 볶아서 크기가 작은 곡물이 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선별기는 다양한 구조로 다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본 발명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구조로 구성된 선별기가 제품화된 것이나, 특허정보검색서비스 키프리스를 이용하여 검색해보았으나 찾지는 못하였다.
위와 같은 키프리스를 이용하여 검색하는 과정에서 본 발명과 일부에서 공통점이 있는 종래발명에 대하여 살펴보는데, 이 종래발명은 특허출원 제10-2005-61095호(발명의 명칭 : 곡물 선별기)로 출원되어 공개특허공보에 의해 알려지고 있으며, 본 발명과의 공통점은 체를 사용한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으나, 나머지 구조는 전혀 상이한 별개의 발명이다.
종래발명을 포함한 대부분의 선별기의 문제점 중의 하나는, 체 또는 망을 이용하여 곡물이나 이물질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체나 철망을 계속적으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곡물이나 이물질이의 크기가 체나 철망의 망눈(메시:mesh)에 걸릴 정도의 크기인 경우에 망눈에 곡물이나 이물질이 끼어서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출원 제10-2005-61095호(발명의 명칭 : 곡물 선별기)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는 1,2,3번선별기를 계단식으로 높이가 차이 나도록 설치하되,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선별기에는 가는 체를 설치하고, 낮은 위치로 갈수록 굵은 체를 설치하며, 각각의 선별기에 설치되는 각각의 체를 전후로 왕복 운동시키면서 체를 처서 해당체의 망눈을 통과하는 곡물을 선별하고, 그 체에 걸려서 남은 곡물은 체를 측방으로 회동시켜서 그 옆의 체로 쏟아서 다시 체를 침에 따라 망눈이 막히지 않으면서 곡물을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계단식으로 높이가 차이 나게 형성되는 계단식프레임과, 서로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며 계단식프레임의 높은 위치와 중간위치와 낮은 위치에 각각 높이가 차이나게 설치되는 1,2,3번선별기를 포함하여 곡물선별장치가 구성되며;
상기 1,2,3번선별기는 체에 의해 선별된 곡물이 담기는 수납통과, 상기 수납통의 상부에서 전후로 왕복이동되고 일측방이 힌지식으로 세워졌다가 수평으로 눕히도록 설치되는 체와, 계단식프레임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체를 왕복이동하게 하는 왕복운동기구와, 계단식프레임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체를 각운동되게 하는 각운동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납통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측이 호퍼형으로 좁아지게 형성되는 수납통본체의 일측면 하부에 배출통공이 형성되고, 수납통본체의 일측면 상부에 가이드레일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며, 수납통본체의 타측 상부에 상면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는 1번선별기에 설치되는 1번체와, 2번선별기에 설치되는 2번체와, 3번선별기에 설치되는 3번체로 구분되며, 1,2,3번체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되, 1번체에 설치되는 철망은 가는 망이 설치되고, 2번체에 설치되는 철망은 중간 크기의 철망이 설치되며, 3번체에 설치되는 철망은 굵은 망이 설치되고;
상기 1,2,3번체는 "ㄷ" 형으로 형성되는 수직벽의 개방된 부분에 경사배출부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체프레임의 내측 바닥부에 철망이 설치되며, 체프레임의 하부에 하향돌출테가 형성되고, 경사배출부 반대편의 수직벽의 외부에 가이드레일에 안내되는 한 쌍의 가이드휠이 전후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경사배출부의 하부에는 연결브래킷에 의해 각관이 전후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왕복운동기구는 감속모터의 모터축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는 회전판과, 양단부에 힌지부를 형성하며 후방측 힌지부가 회전판 상면의 편심된 위치에 힌지식으로 설치되는 회전암과, 회전암의 전방측 힌지부와 말단부가 힌지식으로 설치되며 전방측 상부에 하향돌출테가 삽입 안착되는 안착홈이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슬라이더와, 계단식프레임에 설치되어 슬라이더가 전후길이방향으로 안내되게 하는 수평안내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각운동기구는 계단식프레임의 전후방 상부에 설치되는 축지지구와, 전후방에 축지지구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원형축부가 구비되고 전후방측 원형축부의 사이에 각관으로 삽입되는 사각축부가 형성되며 전방측 원형축부의 외측단에 손잡이부가 설치되는 체회동축과, 계단식프레임의 후방측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감속모터의 모터축에 설치되며 전방측에 체회동축의 후방측 원형축부가 삽입되는 축연결구와, 축연결구로 삽입된 원형축부를 나사식으로 고정시켜서 감속모터의 동력을 체회동축에 전달하도록 하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분말식품 제조용 곡물선별장치는, 서로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는 1,2,3번선별기를 계단식으로 높이가 차이 나도록 설치하되,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선별기에는 가는 체를 설치하고, 낮은 위치로 갈수록 굵은 체를 설치하며, 각각의 선별기에 설치되는 각각의 체를 전후로 왕복 운동시키면서 체를 처서 해당 체의 망눈을 통과하는 곡물을 선별하고, 그 체에 걸려서 남은 곡물은 체를 측방으로 회동시켜서 그 옆의 체로 쏟아서 다시 체를 침에 따라 망눈이 막히지 않으면서 곡물을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와 구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선별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도 3의 "C"부를 확대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1~3번체를 나타내는 저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분말식품 제조용 곡물선별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곡물선별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계단식으로 높이가 차이 나게 형성되는 계단식프레임(10)과, 서로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며 계단식프레임(10)의 높은 위치와 중간위치와 낮은 위치에 각각 높이가 차이나게 설치되는 1,2,3번선별기(20,20a,2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1,2,3번선별기(20,20a,20b)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40)에 의해 선별된 곡물이 담기는 수납통(30)과, 상기 수납통(30)의 상부에서 전후로 왕복이동되고 일측방이 힌지식으로 세워졌다가 수평으로 눕히도록 설치되는 체(40)와, 계단식프레임(10)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체(40)를 왕복이동하게 하는 왕복운동기구(50)와, 계단식프레임(10)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체(40)를 세워졌다 수평으로 눕혀지는(각운동되는) 각운동기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납통(30)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측이 호퍼형으로 좁아지게 형성되는 수납통본체(31)의 일측면 하부에 배출통공(32)이 형성되고, 수납통본체(31)의 일측면 상부에 가이드레일(33)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며, 수납통본체(31)의 타측 상부에 상면지지부(3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통공(32)에는 수납통본체(31)에 담겨지는 곡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배출기유닛(80)이 설치되는데, 이 배출기유닛(80)은 배출통공(32)의 외측에 외향배출관(81)을 외향 돌출되게 설치하되 이 외향배출관(81)의 하부에 외향배출관(81)의 내부와 통하는 배출구(82)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 외향배출관(81)의 외측 단부에 감속모터(83)가 설치된다.
또한, 외향배출관(81)의 내부와 수납통본체(31)의 하부에는 배출통공(32)을 관통하는 배출스크류(84)가 설치되며, 이 배출스크류(84)의 축부는 감속모터(83)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있다.
도 1, 2, 3 및 도 6,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체(40)는 1번선별기(20)에 설치되는 1번체(40a)와, 2번선별기(20a)에 설치되는 2번체(40b)와, 3번선별기(20b)에 설치되는 3번체(40c)로 구분되며, 1,2,3번체(40a,40b,40c)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되, 1번체(40a)에 설치되는 철망(44)은 망눈(mesh)의 크기가 작은 가는 망이 설치되고, 2번체(40b)에 설치되는 철망(44)은 망눈의 크기가 중간 크기의 철망(44)이 설치되며, 3번체(40c)에 설치되는 철망(44)은 망눈의 크기가 큰 굵은 망이 설치된다.
위에서 설명한 망눈이 가늘고 , 중간크기이고, 굵은 망이라는 것은 1,2,3번체(40a,40b,40c)에 설치되는 철망(44) 중에서 1번체(40a)에 설치되는 철망(44)은 망눈의 크기가 작고, 2번체(40b)에 설치되는 철망(44)은 망눈의 크기가 중간 크기이며, 3번체(40c)에 설치되는 철망(44)은 망눈의 크기가 크다는 것이다.
상기 1,2,3번체(40a,40b,40c)는 평면에서 볼 때, "ㄷ" 형으로 형성되는 수직벽(41)의 개방된 부분에 경사배출부(42)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체프레임(43)의 내측 바닥부에 철망(44)이 설치되며, 체프레임(43)의 하부에 하향돌출테(45)가 형성되고, 경사배출부(42) 반대편의 수직벽(41)의 외부에 가이드레일(33)에 안내되는 한 쌍의 가이드휠(46)이 전후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경사배출부(42)의 하부에는 연결브래킷(47)에 의해 각관(48)이 전후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왕복운동기구(50)는 감속모터(51)의 모터축(51a)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는 회전판(52)과, 양단부에 힌지부를 형성하며 후방측 힌지부가 회전판(52) 상면의 편심된 위치에 힌지식으로 설치되는 회전암(53)과, 회전암(53)의 전방측 힌지부와 말단부가 힌지식으로 설치되며 전방측 상부에 하향돌출테(45)가 삽입 안착되는 안착홈(54)이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슬라이더(55)와, 계단식프레임(10)에 설치되어 슬라이더(55)가 전후길이방향으로 안내되게 하는 수평안내구(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운동기구(60)는 도 2, 5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계단식프레임(10)의 전후방 상부에 설치되는 축지지구(61)와, 전후방에 축지지구(61)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원형축부(62)가 구비되고 전후방측 원형축부(62)의 사이에 각관(48)으로 삽입되어 전후이동과 각관(48)을 회전시키는 사각축부(63)가 형성되며 전방측 원형축부(62)의 외측단에 손잡이부(64)가 설치되는 체회동축(65)과, 계단식프레임(10)의 후방측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감속모터(67)의 모터축에 설치되며 전방측에 체회동축(65)의 후방측 원형축부(62)가 삽입되는 축연결구(68)와, 축연결구(68)로 삽입된 원형축부(62)를 나사식으로 고정시켜서 감속모터(67)의 동력을 체회동축(65)에 전달하는 볼트(6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관(48)의 사방 전체면에는 수개의 볼플런저(70)를 내향 설치하되, 볼플런저(70)의 선단부에 탄력적으로 설치된 볼(71)이 각관(48)의 내측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돌출되게 설치되어 각관(48)의 내부에서 사각축부(63)가 원활하게 슬라이딩되고 하고 왕복 이동하는 과정에서 마찰소음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그리고, 축연결구(68)의 입구에는 후방측 원형축부(62)가 축연결구(68)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테이퍼홈(69a)이 형성되고,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착홈(54)의 개방된 입구에는 하향돌출테(45)가 안착홈(54)으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V'형 삽입안내부(5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지된 곡물공급장치(90)의 호퍼(91)에 선별할 곡물을 투입한 상태에서 이송관(92)의 상측에 설치된 감속모터(93)를 구동시키면, 감속모터(93)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이송스크류(94)에 의해 호퍼(91)에 담겨진 곡물이 이송관(92)을 따라 상측으로 이송되게 되고, 상측으로 올라오는 곡물은 이송관(92)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도록 분기된 배출구(95)로 배출되게 되며, 이렇게 배출되는 곡물이 본 발명에 의한 곡물선별장치(100)의 1번선별기(20) 상측에 설치된 1번체(40a)에 받쳐져 담기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1번체(40a)를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운동기구(50)를 구동시키면,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왕복운동기구(50)에 포함되어 있는 감속모터(51)가 회전하면서 감속모터(51)의 구동으로 모터축(51a)에 설치된 회전판(52)이 회전하게 된다.
위와 같이 회전판(52)이 회전할 때, 회전판(52)의 편심된 위치에 회전암(53)의 후방측 힌지부가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회전암(53)의 전방측 힌지부는 슬라이더(55)의 말단부와 힌지식으로 연결되어서 회전판(52)과 회전암(53)의 크랭크(crank) 운동에 의해 슬라이더(55)가 직선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슬라이더(55)는 계단식프레임(10)에 고정 설치되는 수평안내구(56)에 전후방향으로 안내되게 설치되어서 슬라이더(55)가 수평안내구(56)에 안내되면서 직선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고, 슬라이더(55)의 전방측 상부에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안착홈(54)에는 1번체(40a)의 하부에 하향 돌출된 하향돌출테(45)가 삽입된 상태이므로 슬라이더(55)가 전후로 왕복 운동하는 것에 의해 1번체(40a)가 전후로 왕복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1번체(40a)가 전후로 왕복운동을 할 때, 도 2, 3 및 도 5,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1번체(40a)를 구성하는 일측 수직벽(41)의 외측에 외향 설치된 가이드휠(46)이 수납통(30)의 상부 일측에 전후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33)에 안착되어 있고, 반대편 경사배출부(42)의 하측에 설치된 각관(48)에는 체회동축(65)의 사각축부(63)가 삽입되어서 위와 같이 1번체(40a)가 전후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것을 안내하여 원활하게 전후로 왕복운동을 하게 한다.
위와 같이 1번체(40a)가 전후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1번체(40a)에는 선별할 곡물이 얹혀져 있는 상태이므로 1번체(40a)의 바닥에 설치된 철망(44)의 망눈의 크기보다 작은 곡물이 철망(44)의 망눈을 통과하여 하부로 낙하하면서 그 하측의 수납통(30)에 담기게 된다.
이렇게 1번체(40a)가 전후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서 체를 칠 때, 1번체(40a)에 포함하는 체프레임(43)은 "ㄷ" 형 수직벽(41)과, 그 수직벽(41)의 개방된 부분에 경사배출부(42)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1번체(40a)에 담긴 곡물이 체프레임(43)의 외측으로 이탈할 염려가 없음을 밝힌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축부(63)의 외측에 삽입된 각관(48)이 사각축부(63)의 외부에서 왕복운동할 때는, 각관(48)의 사방 전체면에 수개의 볼플런저(70)가 설치되되, 볼플런저(70)의 선단부에 탄력적으로 설치된 볼(71)이 각관(48)의 내면 보다 소정의 깊이만큼 내측으로 돌출되어서 다수개의 볼(71)이 사각축부(63)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각관(48)이 사각축부(63)의 외측에서 왕복운동할 때, 마찰소음을 최소화하고 원활한 왕복운동이 되게 한다.
위와 같이 1번체(40a)를 전후로 왕복운동하면서 체를 치는 시간은 1번체(40a)에 담기는 곡물의 량을 감안하여 공지된 제어부(미도시)의 작동시간을 설정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동작한 뒤에 왕복운동이 정지되며, 1번체(40a)가 정지된 뒤에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계단식프레임(10)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각운동기구(60)를 힌지식으로 회동하도록 각동작시켜서 1번체(40a)의 철망(44)을 빠져 내려가지 못하고 1번체(40a)에 남아 있던 곡물을 2번체(40b)로 쏟는다.
상기 각운동기구(60)의 동작은 감속모터(67)의 구동에 의해 모터축에 설치된 축연결구(68)가 회전하게 되고, 축연결구(68)에는 체회동축(65)의 후방측 원형축부(62)가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66)를 이용하여 후방측 원형축부(62)를 축연결구(68)에 고정시켜서 상기 축연결구(68)가 회전하는 대로 체회동축(65)이 회전하게 되며, 체회동축(65)의 사각축부(63)가 1번체(40a)의 경사배출부(42) 하부에 고정설치된 각관(48)에 삽입되어서 도 3의 "D"와 같이 1번체(40a)가 각운동하면서 세워지게 된다.
이때, 1번체(40a)를 각운동시키는 회전각도가 90도 내외로 회전하도록 감속모터(67)의 회전각도를 설정하여 1번체(40a)가 90도 내외의 각도로 세워지면, 1번체(40a)에 담겨있던 곡물이 2번선별기(20a)의 상측에 설치된 2번체(40b)의 상측으로 쏟아져 내리면서 2번체(40b)에 받쳐져 담기게 된다.
이렇게 1번체(40a)에 담겨있던 곡물이 2번체(40b)의 상측으로 쏟아져 내린 뒤에는 각운동기구(60)에 포함하는 감속모터(67)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90도 내외의 각도로 세워졌던 1번체(40a)가 수평으로 눕히게 되며, 이 때, 1번체(40a)의 하부에 형성된 하향돌출테(45)가 슬라이더(55)의 전방측에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안착홈(54)으로 삽입 안착되게 된다.
위와 같이 90도 내외의 각도로 세워졌던 1번체(40a)가 수평으로 눕혀질 때, 슬라이더(55)에 형성된 안착홈(54)이 하향돌출테(45)가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이도록 센서(미도시)를 설치하여 1번체(40a)가 수평으로 눕혀질 때 하향돌출테(45)가 안착홈(54)으로 삽입 안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54)의 상부측 입구에 'V'형 삽입안내부(54a)를 형성하여서 하향돌출테(45)가 안착홈(54)으로 원활하게 삽입 안착될 수 있는 것이며, 이렇게 1번체(40a)에 남아 있던 곡물을 2번체(40b)의 상측으로 쏟은 뒤에 1번체(40a)가 원위치로 복귀하여 1번체(40a) 하측의 하향돌출테(45)가 안착홈(54)으로 삽입 안착되어 다음 작업을 대비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2번체(40b)로 쏟아져 내린 곡물은 1번체(40a)에 설치된 철망(44)보다 망눈이 큰 철망(44)으로 쏟아져 얹히게 된 상태이며, 1번선별기(20)에서 체를 처서 1번체(40a)에 설치된 철망(44)의 망눈보다 작은 곡물은 아래로 내려가고, 그보다 큰 곡물은 1번체(40a)에 남아있어서 그렇게 남아있는 곡물을 2번체(40b)로 쏟아서 투입하는 동작이 2번선별기(20a)와 3번선별기(20b)에서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3번선별기(20b)의 3번체(40c)에 남은 곡물은 3번체(40c)의 철망에 형성되는 망눈 보다 비정상적으로 큰 것이 되므로 그 량은 극히 소량의 되고, 이런 소량의 큰 곡물과, 곡물의 껍질을 포함한 이물질이 남을 수 있으며, 이렇게 남은 큰 곡물이나 이물질은 3번체(40c) 외측에 별도F 비치하는 수거통(미도시)에 쏟아 내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1,2,3번선별기(20,20a,20b)에서 곡물을 크기별로 선별한 뒤에는 각각의 1,2,3번선별기(20,20a,20b) 하측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각각의 수납통(30)에 담겨진 곡물을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납통본체(31)의 하측에 수평 설치된 배출기유닛(80)을 통하여 개별적으로 배출한다.
상기 배출기유닛(80)의 작용관계는 외향배출관(81)의 외측단에 설치된 감속모터(83)의 회전에 의해 그와 연결된 배출스크류(84)가 회전하게 되고, 이 배출스크류(84)가 설치된 수납통본체(31)의 하부는 호퍼형태로 하부가 좁아지게 테이퍼형으로 형성되며, 수납통본체(31)의 내측에서 배출스크류(84)의 스크류날개부 상측이 개방되어서 배출스크류(84)의 나선형 스크류날개부에 의해 외향배출관(81)측으로 밀려나가게 되고, 이 외향배출관(81)의 하부에는 배출구(82)가 하측으로 분기되게 형성되어서 배출구(82)를 통하여 외부로 자동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1,2,3번체(40a,40b,40c)로 이루어지는 체(40)를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크기와 종류가 다른 곡물, 예를 들면 콩을 선별하다가 율무를 선별하는 경우와 같이 크기와 종류가 다른 곡물을 선별할 때, 그들 곡물의 크기에 적합한 크기의 망눈을 형성한 체(40)로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체(40)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축연결구(68)에 체결된 볼트(66)를 풀어서 체회동축(65)의 후방측 원형축부(62)가 축연결구(68)에서 빠져 나올 수 있게 한다.
이렇게 볼트(66)를 풀은 뒤에 체회동축(65)의 전방측 단부에 형성된 손잡이 부(64)를 잡아서 전방측으로 빼내면, 후방측 원형축부(62)가 축연결구(68)에서 빠져나오게 되고, 이어서 후방측 축지지구(61)와, 각관(48), 그리고 전방측 축지지구(61)에서 체회동축(65)이 빠져나오게 된다.
위와 같이 체회동축(65)을 전방측으로 빼내면, 도 3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드휠(46)은 가이드레일(33)에, 하향돌출테(45)는 슬라이더(55)의 안착홈(54)에 단순히 얹혀있는 상태이므로 체(40)을 상측으로 분리하고, 교체할 또 다른 체(40)를 장착하는데, 교체하는 체(40)의 일측 가이드휠(46)을 가이드레일(33) 위에 얹고, 하향돌출테(45)는 슬라이더(55)의 안착홈(54)에 얹은 상태에서 분리해내었던 체회동축(65)을 전방측 축지지구(61)로 삽입시키면서 이어서 각관(48)과, 후방측 축지지구(61)를 관통하고 후방측 원형축부(62)를 축연결구(68)로 끼우며, 볼트(66)를 체결하여 후방측 원형축부(62)를 축연결구(68)에 고정시킨다.
이렇게 후방측 원형축부(62)를 축연결구(68)로 끼울 때, 축연결구(68)의 입구에는 테이퍼홈(69a)이 형성되어서 후방측 원형축부(62)를 축연결구(68)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곡물선별장치(100)는, 서로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는 1,2,3번선별기를 계단식으로 높이가 차이 나도록 설치하되,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선별기에는 가는 체를 설치하고, 낮은 위치로 갈수록 굵은 체를 설치하며, 각각의 선별기에 설치되는 각각의 체를 전후로 왕복 운동시키면서 체를 처서 해당 체의 망눈을 통과하는 곡물을 선별하고, 그 체에 걸려서 남은 곡물은 그 해당 체를 측방으로 회동시켜서 그 옆의 체로 쏟아서 다시 체를 침에 따라 망눈이 막히지 않으면서 곡물을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곡물을 크기별로 선별하여서 크기가 동일한 곡물만 모아서 볶음에 따라 볶는 곡물이 타지 않고 균일하게 볶아져서 탄내가 나지 않으며, 균일한 맛을 내게 되어 양질의 식품을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체(40)는 포털사이트 다음사전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가루를 곱게 치거나 액체를 거르는 데 쓰는 기구" 를 의미하는 것이며, 체를 치되, 체를 처서, 체를 침과 같이 체를 친다는 의미는 체(40)를 왕복 운동하도록 흔들어서 체에 설치된 철망(44)의 망눈 보다 작은 곡물이 망눈 사이로 빠져나가서 해당 망눈 보다 작은 곡물을 선별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10 : 계단식프레임 20~20b : 1,2,3번선별기 30 : 수납통
31 : 수납통본체 32 : 배출통공 33 : 가이드레일
34 : 상면지지부 40 : 체 40a~40c : 1,2,3번체
41 : 수직벽 42 : 경사배출부 43 : 체프레임
44 : 철망 45 : 하향돌출테 46 : 가이드휠
47 : 연결브래킷 48 : 각관 50 : 왕복운동기구
51 : 감속모터 52 : 회전판 53 : 회전암
54 : 안착홈 54a : 'V'형 삽입안내부 55 : 슬라이더
56 : 수평안내구 60 : 각운동기구 61 : 축지지구
62 : 원형축부 63 : 사각축부 64 : 손잡이부
65 : 체회동축 66 : 볼트 67 : 감속모터
68 : 축연결구 70 : 볼플런저 71 : 볼
80 : 배출기유닛 81 : 외향배출관 82 : 배출구
83 : 감속모터 84 : 배출스크류 90 : 곡물공급장치
91 : 호퍼 92 : 이송관 93 : 감속모터
94 : 이송스크류 95 : 배출구 100 : 곡물선별장치

Claims (2)

  1. 계단식으로 높이가 차이 나게 형성되는 계단식프레임(10)과, 서로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며 계단식프레임(10)의 높은 위치와 중간위치와 낮은 위치에 각각 높이가 차이나게 설치되는 1,2,3번선별기(20,20a,20b)를 포함하여 곡물선별장치(100)가 구성되며;
    상기 1,2,3번선별기(20,20a,20b)는 체(40)에 의해 선별된 곡물이 담기는 수납통(30)과, 상기 수납통(30)의 상부에서 전후로 왕복이동되고 일측방이 힌지식으로 세워졌다가 수평으로 눕히도록 설치되는 체(40)와, 계단식프레임(10)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체(40)를 왕복이동하게 하는 왕복운동기구(50)와, 계단식프레임(10)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체(40)를 각운동되게 하는 각운동기구(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납통(30)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측이 호퍼형으로 좁아지게 형성되는 수납통본체(31)의 일측면 하부에 배출통공(32)이 형성되고, 수납통본체(31)의 일측면 상부에 가이드레일(33)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며, 수납통본체(31)의 타측 상부에 상면지지부(34)가 형성되고;
    상기 체(40)는 1번선별기(20)에 설치되는 1번체(40a)와, 2번선별기(20a)에 설치되는 2번체(40b)와, 3번선별기(20b)에 설치되는 3번체(40c)로 구분되며, 1,2,3번체(40a,40b,40c)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되, 1번체(40a)에 설치되는 철망(44)은 가는 망이 설치되고, 2번체(40b)에 설치되는 철망(44)은 중간 크기의 철망(44)이 설치되며, 3번체(40c)에 설치되는 철망(44)은 굵은 망이 설치되고;
    상기 1,2,3번체(40a,40b,40c)는 "ㄷ" 형으로 형성되는 수직벽(41)의 개방된 부분에 경사배출부(42)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체프레임(43)의 내측 바닥부에 철망(44)이 설치되며, 체프레임(43)의 하부에 하향돌출테(45)가 형성되고, 경사배출부(42) 반대편의 수직벽(41)의 외부에 가이드레일(33)에 안내되는 한 쌍의 가이드휠(46)이 전후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경사배출부(42)의 하부에는 연결브래킷(47)에 의해 각관(48)이 전후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왕복운동기구(50)는 감속모터(51)의 모터축(51a)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는 회전판(52)과, 양단부에 힌지부를 형성하며 후방측 힌지부가 회전판(52) 상면의 편심된 위치에 힌지식으로 설치되는 회전암(53)과, 회전암(53)의 전방측 힌지부와 말단부가 힌지식으로 설치되며 전방측 상부에 하향돌출테(45)가 삽입 안착되는 안착홈(54)이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슬라이더(55)와, 계단식프레임(10)에 설치되어 슬라이더(55)가 전후길이방향으로 안내되게 하는 수평안내구(5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각운동기구(60)는 계단식프레임(10)의 전후방 상부에 설치되는 축지지구(61)와, 전후방에 축지지구(61)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원형축부(62)가 구비되고 전후방측 원형축부(62)의 사이에 각관(48)으로 삽입되는 사각축부(63)가 형성되며 전방측 원형축부(62)의 외측단에 손잡이부(64)가 설치되는 체회동축(65)과, 계단식프레임(10)의 후방측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감속모터(67)의 모터축에 설치되며 전방측에 체회동축(65)의 후방측 원형축부(62)가 삽입되는 축연결구(68)와, 축연결구(68)로 삽입된 원형축부(62)를 나사식으로 고정시켜서 감속모터(67)의 동력을 체회동축(65)에 전달하도록 하는 볼트(6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식품 제조용 곡물선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관(48)의 사방 전체면에는 수개의 볼플런저(70)를 내향 설치하되, 볼플런저(70)의 선단부에 탄력적으로 설치된 볼(71)이 각관(48)의 내측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축연결구(68)의 입구에는 후방측 원형축부(62)가 축연결구(68)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테이퍼홈(69a)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54)의 개방된 입구에는 하향돌출테(45)가 안착홈(54)으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V'형 삽입안내부(54a)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통공(32)에는 수납통본체(31)에 담겨지는 곡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배출기유닛(80)을 설치하되, 이 배출기유닛(80)은 하측에 배출구(82)가 하향 형성되고 외측단부에 감속모터(83)가 설치된 외향배출관(81)이 배출통공(32)의 외측에 외향 돌출되게 설치되며, 외향배출관(81)의 내부와 수납통본체(31)의 하부에는 배출통공(32)을 관통하는 배출스크류(84)가 설치되며, 이 배출스크류(84)의 축부는 감속모터(83)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식품 제조용 곡물선별장치.
KR1020230004660A 2023-01-11 2023-01-11 분말식품 제조용 곡물선별장치 KR102689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4660A KR102689421B1 (ko) 2023-01-11 2023-01-11 분말식품 제조용 곡물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4660A KR102689421B1 (ko) 2023-01-11 2023-01-11 분말식품 제조용 곡물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474A KR20230015474A (ko) 2023-01-31
KR102689421B1 true KR102689421B1 (ko) 2024-07-26

Family

ID=85109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4660A KR102689421B1 (ko) 2023-01-11 2023-01-11 분말식품 제조용 곡물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894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383Y1 (ko) 2001-03-27 2001-10-10 강영대 곡물 운송용 적재함
KR200332210Y1 (ko) 2003-08-04 2003-11-05 안종운 착탈이 용이한 멸치 선별기용 배출부 조립구조
JP2008246397A (ja) 2007-03-30 2008-10-16 Hachinohe Cement Kk ボール選別装置
JP2018065102A (ja) 2016-10-20 2018-04-26 株式会社サタケ 選別機における残留物排出機構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081B1 (ko) * 2003-05-16 2005-12-14 최돈필 유과제조용 고물입힘장치
KR100543760B1 (ko) 2003-12-18 2006-01-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 공조장치용 디프로스터 덕트 구조
KR20170129405A (ko) * 2016-05-17 2017-11-27 김창식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
KR102189681B1 (ko) * 2018-12-19 2020-12-11 정상혁 선별기
KR20200107374A (ko) * 2019-03-07 2020-09-16 주식회사 씨지티 화력발전소 석탄 연소 후 발생하는 바닥재를 재활용하기 위한 건축재의 추출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383Y1 (ko) 2001-03-27 2001-10-10 강영대 곡물 운송용 적재함
KR200332210Y1 (ko) 2003-08-04 2003-11-05 안종운 착탈이 용이한 멸치 선별기용 배출부 조립구조
JP2008246397A (ja) 2007-03-30 2008-10-16 Hachinohe Cement Kk ボール選別装置
JP2018065102A (ja) 2016-10-20 2018-04-26 株式会社サタケ 選別機における残留物排出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474A (ko)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97419B (zh) 一种有机肥筛分设备
CN112974239B (zh) 一种大米加工的筛选分级设备
KR102689421B1 (ko) 분말식품 제조용 곡물선별장치
CN102494931A (zh) 一种颚式破碎旋转槽型缩分联合制样机
CN219880599U (zh) 一种成品松子风筛选别机
CN211587468U (zh) 一种中药振动筛
CN112473517A (zh) 一种大鲵蛋白粉加工装置
CN112499307A (zh) 一种米粉用的无尘输送装置
CN112044566A (zh) 一种化工原料研磨设备
CN113003240A (zh) 一种可对稻谷中的杂质进行筛除的稻谷存储用投料装置
CN217120870U (zh) 一种饲料生产用分级筛选装置
CN114425472B (zh) 一种生物质能原料碾碎筛选装置
CN112139010B (zh) 一种农作物加工用连续筛分装置
CN111871530B (zh) 一种饮料加工用具有分类筛选机构的青稞原料加工装置
CN214767082U (zh) 一种茶叶色选机的上料结构
CN209736058U (zh) 双仓高效平筛
CN112007846A (zh) 一种用于餐厨垃圾处理的智能分选装置
CN217342242U (zh) 一种花生半粒筛选机
CN218108339U (zh) 一种不合格品筛选装置
CN219702138U (zh) 一种饲料加工用粉碎饲料出料传输设备
CN110586462B (zh) 一种大豆种子多级筛分装置
CN202403957U (zh) 一种颚式破碎旋转槽型缩分联合制样机
CN109772705A (zh) 一种用于粮食加工多级振动谷物筛选机
CN109046948A (zh) 一种玉米分拣装置及其操作方法
CN219597295U (zh) 一种花生筛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