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9326B1 - 길안내용 마커, 점자블록 및 이를 이용한 길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길안내용 마커, 점자블록 및 이를 이용한 길안내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89326B1 KR102689326B1 KR1020230033237A KR20230033237A KR102689326B1 KR 102689326 B1 KR102689326 B1 KR 102689326B1 KR 1020230033237 A KR1020230033237 A KR 1020230033237A KR 20230033237 A KR20230033237 A KR 20230033237A KR 102689326 B1 KR102689326 B1 KR 1026893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rker
- braille block
- destination
- route guidance
- braill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4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6992 Color Vision Defect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49 cogn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7254 color blind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23 defe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85 targe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6—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orientation information, e.g. compas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A61H2003/063—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with tactile perception
- A61H2003/065—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with tactile perception in the form of brail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8—Audio interfaces, e.g. voice or music controll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97—Control means thereof wirel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안내용 마커, 점자블록 및 이를 이용한 길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점자블록의 스캔을 통해 목적지의 위치 및 경로, 보행방향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시각장애인 및 교통약자의 독립보행 관련 이동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길안내용 마커, 길안내용 점자블록 및 이를 활용한 길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설치된 점자블록을 대상으로 길안내용 마커의 설치 및 길안내 정보의 동기화를 실시함으로써 저비용으로도 사용자를 위한 보다 간편하고 용이한 길안내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고, 시각장애인이 아닌 사용자도 길안내용 마커가 형성된 점자블록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목적지에 관한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 있어 점자블록에 관한 사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시각장애인에 해당하는 사용자는 보행 중에 발생하는 다양한 길안내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시간 및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독립 보행을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길안내용 마커, 점자블록 및 이를 이용한 길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점자블록의 스캔을 통해 목적지의 위치 및 경로, 보행방향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시각장애인 및 교통약자의 독립보행 관련 이동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길안내용 마커, 길안내용 점자블록 및 이를 활용한 길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도록 보행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다. 보행 안내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입력 받고, GPS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며, 탐색된 경로 정보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한다. 시각 또는 청각에 기반하여 보행 안내 정보를 제공하므로 지도 등의 영상으로 보행 안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없는 시각 장애인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시각에 기반하여 보행 안내 정보를 제공할 경우, 이동 중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으로 인하여 주위 상황에 대해 무감각해지고, 주위의 위험을 감지할 수 없어 사고 발생 확률이 높아지며, 시각 장애인은 상기와 같은 보행 안내를 받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도에 점자 블록을 형성하고 해당 점자 블록을 통해 주변 정보를 얻은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점자 블록이 시공되어 있거나 점자판 등이 부착되어 있다 하더라도 실제 점자 블록과 점자판을 찾는 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고, 기존의 점자블록만으로는 점자블록 자체의 유무만을 인식할 수 있으며, 위치 및 방향 등에 관한 추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시각 장애인 등 점자블록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이동권 보장 및 사회생활 확대를 위해 점자 블록으로 길안내를 받을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점자 블록의 스캔을 통해 목적지 및 주변 지물에 관한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시각장애인 등 교통약자의 경우에도 용이하게 목적지 이동 기능을 제공받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 아닌 일반인이더라도 점자 블록의 사용성 및 활용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저비용 및 고효율의 길안내용 마커, 길안내용 점자블록 및 길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자 블록에 일 지점에 형성되는 기준 마커; 및 상기 점자 블록의 타 지점에 형성되는 안내 마커;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 마커는, 제1목적지를 나타내는 제1위치 마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위치 마커는 상기 점자 블록에 형성된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제1목적지로의 도달 경로에 대응하는 제1구역에 형성되는, 길안내용 마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위치 마커는, 상기 제1구역에 포함된 복수의 지점 중 상기 제1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한 추가 이동방향에 대응하는 제1지점에 형성되는, 길안내용 마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목적지를 나타내는 제2위치 마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위치 마커는, 상기 제1목적지 및 제2목적지 간 위치관계에 대응하는 제2지점에 형성되는, 길안내용 마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마커는, 미리 지정된 배치규칙에 따라 상기 점자 블록에 복수로 형성되는, 길안내용 마커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길안내용 마커를 포함하는 점자 블록으로서, 일 지점에 형성되는 기준 마커; 및 타 지점에 형성되는 안내 마커;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 마커는, 제1목적지를 나타내는 제1위치 마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위치 마커는 점자 블록에 형성된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제1목적지로의 도달 경로에 대응하는 제1구역에 형성되는, 길안내용 점자블록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위치 마커는, 상기 제1구역에 포함된 복수의 지점 중 상기 제1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한 추가 이동방향에 대응하는 제1지점에 형성되는, 길안내용 점자블록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목적지를 나타내는 제2위치 마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위치 마커는, 상기 제1목적지 및 제2목적지 간 위치관계에 대응하는 제2지점에 형성되는, 길안내용 점자블록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마커는, 미리 지정된 배치규칙에 따라 상기 점자 블록에 복수로 형성되는, 길안내용 점자블록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자 블록에 형성된 길안내용 마커; 및 상기 점자 블록을 기반으로 길안내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를 포함하고, 상기 길안내용 마커는, 상기 점자 블록의 일 지점에 형성된 기준 마커; 및 상기 점자 블록의 타 지점에 형성된 안내 마커;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 마커는, 제1목적지를 나타내는 제1위치 마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위치 마커는 상기 점자 블록에 형성된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제1목적지로의 도달 경로에 대응하는 제1구역에 형성되는, 길안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위치 마커는, 상기 제1구역에 포함된 복수의 지점 중 상기 제1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한 추가 이동방향에 대응하는 제1지점에 형성되는, 길안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목적지를 나타내는 제2위치 마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위치 마커는, 상기 제1목적지 및 제2목적지 간 위치관계에 대응하는 제2지점에 형성되는, 길안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마커는, 미리 지정된 배치규칙에 따라 상기 점자 블록에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복수의 상기 기준 마커의 배열을 인식함에 따라 방위 기준 정보를 획득하는, 길안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설치된 점자블록을 대상으로 길안내용 마커의 설치 및 길안내 정보의 동기화를 실시함으로써, 저비용으로도 사용자를 위한 보다 간편하고 용이한 길안내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시각장애인이 아닌 사용자도 길안내용 마커가 형성된 점자블록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목적지에 관한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 있어, 점자블록에 관한 사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시각장애인에 해당하는 사용자는 보행 중에 발생하는 다양한 길안내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시간 및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독립 보행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길안내용 마커, 길안내용 점자블록이 적용된 길안내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길안내 시스템 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길안내용 마커가 적용된 길안내용 점자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구역 및 기준 마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위치 마커 및 제2위치 마커가 제1구역에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위치 마커 및 제2위치 마커가 각각 제1지점 및 제2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서 제1지점 및 제2지점으로 직진 이동한 상태에서 또다른 점자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제1지점을 향해 좌회전 이동한 상태에서 또다른 점자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위치 마커 및 제2위치 마커가 서로 다른 구역에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길안내 시스템 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길안내용 마커가 적용된 길안내용 점자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구역 및 기준 마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위치 마커 및 제2위치 마커가 제1구역에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위치 마커 및 제2위치 마커가 각각 제1지점 및 제2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서 제1지점 및 제2지점으로 직진 이동한 상태에서 또다른 점자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제1지점을 향해 좌회전 이동한 상태에서 또다른 점자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위치 마커 및 제2위치 마커가 서로 다른 구역에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길안내용 마커, 상기 길안내용 마커가 적용된 점자블록 및 상기 점자브록과 마커를 이용한 길안내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주체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점자 블록(10)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길 안내를 받을 수 있는 비장애인 및 점자 블록(10)의 인식에 따라 음성 또는 진동의 형태로 길안내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도 해당된다.
종래의 점자 블록에 비콘 등 인식수단이 설치되어 길안내 정보를 시각장애인의 단말이나 센서가 부착된 지팡이를 통해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음성 또는 진동 형태의 길안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기술의 경우, 설치 비용이 많이 들고 설치 과정이 용이하지 않으며 시각장애인 만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상용화에 어려움이 있고 사용성 자체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응하여, 본 발명은 비장애인도 용이하게 길안내 관련 정보를 제공받으면서, 설치 비용을 줄이고 설치 관련 편의성을 극대화하여 상용화가 용이한 점자 블록(10), 길안내용 마커(20) 및 이를 이용한 길안내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길안내용 마커, 길안내용 점자블록이 적용된 길안내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길안내 시스템은 점자 블록(10)에 형성된 길안내용 마커(20) 및 점자 블록(10)을 촬영하여 길안내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3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에게 제1목적지로의 이동 경로, 이동 방향, 제1목적지 및 또다른 제2목적지 간 위치 관계, 방위 기준 정보 등을 길안내 정보로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길안내 시스템 내 구성도이다.
점자 블록(10)은 길안내용 마커(20)를 포함할 수 있는 구성으로 지하철의 내부 공간, 거리 등 사용자의 보행이 가능한 보행경로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점자 블록(10)은 지면에 설치되되 상측 방향을 향하는 상면 상에 복수의 돌출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형태를 가진다. 또한, 점자 블록(10)은 기존에 인도 등의 도로에 설치된 점자블록과 연계하여 지면 상 설치가 용이하도록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필요에 따라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점자 블록(10)의 상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재는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으며, 일례로 복수의 돌출부재는 도 1과 같이 6X6의 배열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복수의 돌출부재를 통해, 후술할 기준 마커(21) 및 안내 마커(22)의 상대적 위치를 특정하고, 제1위치 마커(221) 및 제2위치 마커(222)의 위치관계를 표현할 수 있다. 즉, 제1위치 마커(221) 및 제2위치 마커(222)가 설치되는 제1지점 및 제2지점은 복수의 돌출부재에 대응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점자 블록(10)은 복수의 구역을 포함하며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길안내용 마커(20)는 점자 블록(10)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점자 블록(10)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재에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상세하게, 길안내용 마커(20)는 색상 또는 형태로 구분가능한 마킹 포인트의 형태를 가지며, 점자 블록(10)에 형성되는 위치 및 배열 등을 통해 점자 블록(10)의 근처에 위치한 지형 및 지물에 관한 위치 및 이동 경로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길안내용 마커(20)는 방위 기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기준 마커(21) 및 목적지의 위치 정보 및 이동 경로에 관한 정보 등을 휙득할 수 있는 안내 마커(22)를 포함한다.
기준 마커(21)는 점자 블록(10)의 일 지점에 형성되어 길안내용 마커(20)가 형성된 상기 점자 블록(10)의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분석하고, 길 안내에 관한 방위 기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기준 마커(21)는 점자 블록(10)에 형성된 돌출부재에 대응하여 부착 또는 설치되어 배치된다. 또한, 기준 마커(21)는 사용자가 점자 블록(10)을 대상으로 방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기준 마커(21)는 사용자가 점자 블록(10)의 육안 인식 또는 단말, 지팡이 등 별도의 인식수단을 통한 인식을 통해 동서남북 등의 방위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하고, 사용자의 도달 경로 및 추가 이동방향에 대한 기준을 정확히 설정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즉, 기준 마커(21)는 점자 블록(10)에 형성된 길안내용 마커(20)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길안내용 마커(20)에 따른 제1목적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목적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정확히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안내 마커(22)는 선술한 기준 마커(21)와 동일하게 점자 블록(10)에 형성된다. 상세하게, 안내 마커(22)는 점자 블록(10)의 타 지점에 형성되어 기준 마커(21)와 구분되도록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 마커(22)는 기준 마커(21)와 육안으로 구별될 수 있는 형상 또는 색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안내 마커(22)가 구비됨으로써, 시각을 이용한 육안 확인이 가능한 사용자는 점자 블록(10)의 근처에 위치하는 지형 및 지물에 관한 대략적인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시각장애인인 사용자의 경우에는 점자 블록(10)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안내 마커(22)에 대응하여 제1목적지, 제2목적지에 관한 도달 경로, 추가 이동방향, 위치관계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길안내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안내 마커(22)는 현재 점자 블록(10)으로부터 제1목적지 및 제2목적지로의 이동 경로를 각각 표현하기 위한 제1위치 마커(221) 및 제2위치 마커(222)를 포함한다.
제1위치 마커(221)는 제1목적지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으로서, 점자 블록(10)의 타 지점에 형성된다. 상세하게, 제1위치 마커(221)는 점자 블록(10)과 근접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상기 점자 블록(10)으로부터 제1목적지로의 도달 경로 및 추가 이동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1위치 마커(221)는 기준 마커(21)와 구분되는 형태 및 색상으로 구분되어 점자 블록(10) 내 제1지점에 형성되며, 이는 후술할 제2위치 마커(222)와도 구분될 수 있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제2위치 마커(222)는 제1위치 마커(221)와 대응하여 제2목적지의 도달 경로 및 추가 이동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제2위치 마커(222)는 제1목적지 및 제2목적지 간 위치관계에 대응하는 제2지점에 형성된다. 즉, 제2위치 마커(222)는 사용자가 인식하고 있는 점자 블록(10)으로부터 제2목적지로 바로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도달 경로 및 이를 위한 이동방향을 안내하며, 이는 제1목적지와의 상대적인 위치에 대응하여 점자 블록(10)의 제2지점에 형성된다.
제1위치 마커(221) 및 제2위치 마커(222)에는 각각의 제1목적지 및 제2목적지에 대응하는 문자열이 형성되어 점자 블록(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화장실"에 관한 제1위치 마커(221)가 배치되는 점자 블록(10)의 돌출부재 상면 상에는 "화"의 문자가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승강장"에 관한 제2위치 마커(222)를 포함하는 점자 블록(10)의 돌출부재에는 "승"의 문자가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될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위치 마커(221) 및 제2위치 마커(222)에 관한 인식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제1위치 마커(221) 및 제2위치 마커(222)에 대응하는 점자 블록(10) 내 돌출부재는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한 색상이 도포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즉, 점자 블록(10)에 형성된 돌출부재는 목적지의 유형에 따라 색상으로 구분 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재에 반영되는 색상은 목적지의 유형에 따라 상이하도록 구비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구분되는 색상으로의 표시는 기준 마커(21)에도 적용할 수도 있다.
일례로, “고객센터”가 초록색으로 표시될 경우, 점자 블록(10)에 형성된 초록색의 돌출부재를 통해 사용자가 따라감으로써, 해당 고객센터에 정확하게 도착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돌출부재에 도포되는 색상은 점자 블록(10)과의 거리에 대응하여 채도가 상이하도록 표시될 수도 있다. 일례로, “고객센터”를 의미하는 돌출부재에 채색되는 색상은 상기 고객센터가 점자 블록(10)과 가까울 시 원색에 근접하는 채도를 가지고, 멀 경우 무채색에 근접하는 채도를 가진다. 여기서, 무채색에 근접하는 채도를 가지는 색상이더라도 사용자가 육안으로 구별 가능한 색상으로 인식되기 위해, 과도하게 낮은 채도를 가지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1위치 마커(221) 및 제2위치 마커(222)에 채색되는 색상은 채도가 일정하고 목적지와의 이격 거리에 기반하여 상이한 명도를 가질 수도 있으며, 채도 및 명도가 모두 상이한 색상 변화를 가질 수도 있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와 같은 구분가능한 색상이 반영된 제1위치 마커(221) 및 제2위치 마커(222)에는 선술한 문자열이 추가로 구성되거나 “^” 등의 작대기, 화살표 등 별도의 표식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문자를 모르더라도 점자 블록(10)을 보았을 때 직관적으로 목적지 및 경로를 알 수 있게 유도하는 편의성 극대화 효과를 가지며, 색약 등 색상 인식에 불편함을 겪는 사용자도 용이하게 목적지를 향한 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점자 블록(10)에 목적지 별로 상이한 색상을 가지는 제1위치 마커(221) 및 제2위치 마커(222)를 통해, 사용자는 도로에 색상 표시된 주행유도선에 기반한 목적지 및 방향 파악 방법과 동일하게 색상만 파악하더라도 용이하게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점자 블록(10)이 설치되는 위치에 제한받지 않고 다양한 유형의 목적지를 색상으로 구분 및 인식할 수 있는 직관성을 극대화하여, 목적지를 찾지 못하는 상황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30)는 선술한 점자 블록(10) 및 길안내용 마커(20)를 기반으로 길안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사용자 클라이언트(30)는 점자 블록(10)의 인식에 기반하여 길안내 정보를 제공받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 클라이언트(30)는 점자 블록(10)의 인식을 시각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카메라 등의 촬영수단 및 길안내 정보를 시각, 청각 또는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단말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클라이언트(3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길안내 제공 서버(4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UI(예: 길안내 UI, 이동경로 UI 등)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클라이언트(30)는 스마트폰 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길안내 제공 서버(40)로부터 웹 또는 앱 상으로 구현되는 선술한 UI를 제공받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다른 일례로, 사용자 클라이언트(30)는 점자 블록(10)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등의 촬영수단을 포함하는 지팡이 등 인식수단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길안내 제공 서버(40)에는 사용자 클라이언트(30)로 제공하기 위한 길안내 정보가 점자 블록(10)과 연계되어 미리 저장된다. 또한, 길안내 제공 서버(40)를 통해 사용자 클라이언트(30) 상에서 구현되는 앱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30) 내 촬영수단(예: 카메라)를 활성화한 이후, 사용자 클라이언트(30)를 통해 촬상되는 점자 블록(10)에 관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길안내 제공 서버(40)에서는 사용자 클라이언트(30)를 통해 전달된 이미지 정보로부터 기준 마커(21)를 검출하여 점자 블록(10) 및 사용자에 관한 방위 기준 정보를 사용자 클라이언트(30)에 제공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로부터 안내 마커(22)를 검출하여 방위 기준 정보에 기초한 길안내 정보를 사용자 클라이언트(30)에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길안내용 마커가 적용된 길안내용 점자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구역 및 기준 마커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위치 마커 및 제2위치 마커가 제1구역에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준 마커(21)는 점자 블록(10)에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 기준 마커(21)는 미리 지정된 배치규칙에 따라 점자 블록(10)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지정된 배치규칙은 기준 마커(21)가 점자 블록(10)에 형성되는 위치를 한정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기준 마커(21)의 인식을 통해 해당 점자 블록(10)을 기준으로 하는 방위 기준을 잡을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일례로, 미리 지정된 배치규칙은 전방에 점자 블록(10)이 위치하도록 사용자를 기준으로 전방을 향하되 상기 전방의 좌우측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기준 마커(21)의 위치를 기반으로 점자 블록(10)에서 상기 기준 마커(21)의 위치가 전방을 향함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기준 마커(21)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양측으로 분리 형성된 경우,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기준 마커(21)의 위치가 전방의 좌측을 지칭함을 알 수 있고 나머지 기준 마커(21)가 전방의 우측을 향함을 알 수 있다.
또다른 일례로, 미리 지정된 배치규칙은 한 쌍의 기준 마커(21)가 점자 블록(10)의 동쪽 방향 및 서쪽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와 같은 한 쌍의 기준 마커(21)는 북쪽 및 남쪽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기준 마커(21)의 배열을 인식함에 따라 방위 기준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상세하게, 복수의 기준 마커(21)가 점자 블록(10)에 복수로 형성되는 배열을 인식하며, 인식되는 배열에 따라 사용자가 점자 블록(10)을 바라보는 위치를 한정할 수도 있다. 일례로, 복수의 기준 마커(21)가 3개로 구비되어 각각 최북서단, 최북동단 및 최남동단에 위치하는 "ㄱ"자의 배열을 가질 경우, 사용자 클라이언트(30)는 상기와 같은 기준 마커(21)의 ㄱ"자 배열을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점자 블록(10)이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하고 해당 점자 블록(10)의 좌우방향이 각각 서쪽 및 동쪽을 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복수의 기준 마커(21)의 배열에 대응하는 방위 기준 정보는 선술한 길안내 제공 서버(40)에 기설정되어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30)의 인식에 대응하여 발화 방식으로 방위 기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복수의 기준 마커(21)는 점자 블록(10)에 형성되되 자북에 대응하는 방향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세하게, 한 쌍의 기준 마커(21)는 점자 블록(10)의 동서남북에 설치되며, 이는 점자 블록(10)을 구획하는 복수의 구역 중 제2행 및 제3열, 제2행 및 제1열, 제3행 및 제2열, 제1행 및 제2열에 위치한 각각의 구역 내 일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준 마커(21)는 안내 마커(22)와 구분되는 형태 또는 색상으로 구비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준 마커(21)는 단일 개로 구성되어 점자 블록(10)의 일 지점에 위치할 수도 있고, 사용자 클라이언트(30)가 일 지점에 위치한 단일의 기준 마커(21)를 인식함에 대응하여 방위 기준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선술한 바와 같이, 점자 블록(10)에는 복수의 구역이 형성된다. 구역은 점자 블록(10)에 형성되는 안내 마커(22)의 도달 경로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비된다. 즉, 사용자 및 구역의 상대적인 위치관계에 대응하여 상기 구역에 포함되는 제1목적지 또는 제2목적지의 도달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역은 동일한 크기 및 규격을 가지도록 점자 블록(10)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5와 같이 점자 블록(10)에 형성된 돌출부재에 대응하는 지점이 6X6의 구도를 가지는 상태에서, 복수의 구역의 경우 내부의 지점이 2X2의 구도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즉, 복수의 지점이 하나의 구역의 내부에 위치하고, 복수의 구역은 점자 블록(10) 상에 위치하는 형태를 가진다. 한편, 점자 블록(10)에 형성되는 복수의 구역은 해당 점자 블록(10)의 표면으로부터 인식 가능하도록 음각 형성될 수도 있으며, 구비되는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를 일례로, 점자 블록(10)이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안내 마커(22)가 형성된 지점이 상기 점자 블록(10)의 1번째 행 및 2번째 열에 위치한 구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내 마커(22)는 해당 점자 블록(10)의 후방에 위치한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전방으로 이동할 시 해당 안내 마커(22)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안내 마커(22)의 도달 경로는 해당 점자 블록(10)을 기준으로 전방으로의 직진 이동인 것을 뜻한다.
상기와 같이 점자 블록(10)에 형성된 복수의 구역 중 제1목적지 또는 제2목적지로의 도달 경로에 대응하는 제1구역 또는 제2구역에 형성되는 안내 마커(22)를 통해, 사용자는 제1목적지 또는 제2목적지를 향해 해당 점자 블록(10)에서 이동 방향을 올바르게 설정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하면서도 편리한 길안내의 제공이 가능하다.
도 5와 같이, 제1목적지 및 제2목적지의 위치를 각각 표현하는 제1위치 마커(221) 및 제2위치 마커(222)는 동일한 구역에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목적지, 제2목적지 및 사용자 간 위치관계가 서로 동일할 경우, 제1위치 마커(221) 및 제2위치 마커(222)는 동일한 구역의 내부에 위치한다. 즉, 점자 블록(10)을 확인하는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1위치 마커(221) 및 제2위치 마커(222)가 서로 동일한 도달 경로에 위치할 경우, 제1위치 마커(221)가 위치하는 제1구역 및 제2위치 마커(222)가 위치하는 제2구역은 서로 동일하도록 구비된다. 반면, 사용자를 기준으로 제1위치 마커(221) 및 제2위치 마커(222)의 도달 경로가 명백히 상이한 경우(도 9 참조), 제1위치 마커(221) 및 제2위치 마커(222)는 서로 다른 위치의 제1구역 및 제2구역에 각각 형성된다.
제1위치 마커(221) 및 제2위치 마커(222)는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한 구역에 포함되되 각각 제1지점 및 제2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위치 마커(221)는 제1지점에 형성되고 제2위치 마커(222)는 제2지점에 형성되어, 제1목적지 또는 제2목적지로의 도달 경로에서 추가 이동방향의 안내를 유도할 수 있다.
제1위치 마커(221)를 기준으로, 상기 제1위치 마커(221)는 제1구역에 포함된 복수의 지점 중 제1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한 추가 이동방향에 대응하는 제1지점에 형성된다. 제1지점은 제1구역 내에 포함된 전체 지점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위치관계에 기반하여 제1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추가 이동방향을 제시한다.
도 5를 일례로, 점자 블록(10)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1목적지 및 이에 대응하는 제1위치 마커(221)에 근접하기 위해, 사용자는 제1위치 마커(221)가 형성된 제1구역 및 사용자 간 위치관계에 기반하여 직진한다. 이후, 제1구역에 형성된 제1지점이 제1구역 내 전체 지점을 기준으로 좌하측 방향에 위치함에 따라, 사용자는 좌회전하여 제1목적지가 근처에 위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점자 블록(10)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2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 사용자는 제2위치 마커(222)가 형성된 제2구역을 향해 직진 이동하되 제1위치 마커(221)에 대응하는 제1목적지를 지나치도록 이동한 후, 제2구역 내 전체 지점을 기준으로 제2지점이 우상측 방향에 위치함에 따라 우회전하여 제2목적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점자 블록(10) 내 구역이 구비됨으로써, 해당 점자 블록(10)을 확인하는 사용자 및 목적지 간 위치관계에 따라 상기 목적지로의 도달 경로를 먼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점자 블록(10) 내 구역에 형성된 제1위치 마커(221) 또는 제2위치 마커(222)가 위치하는 제1지점 또는 제2지점의 위치를 통해, 목적지로의 도달 경로에 기반한 이동 이후 상기 제1목적지 또는 제2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한 추가 이동방향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즉, 점자 블록(10)이 위치한 곳에서 제1목적지 또는 제2목적지로의 위치를 구역과 제1지점, 제2지점을 통해 2단계로 안내받을 수 있다.
따라서, 비장애인도 본 발명에 따른 점자 블록(10)의 육안 인식을 통해 제1목적지 및 제2목적지로의 용이한 이동 경로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에 시각장애인만 이용했던 점자블록에 관한 사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시각장애인인 사용자를 대상으로 지하철, 대형건물, 경기장 등 실내의 환경에서도 실외와 동일한 위치기반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면서도 이를 위한 설치비용 및 설치시간을 절감할 수 있어, 편의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통해 제1위치 마커(221) 및 제2위치 마커(222)에 각각 대응하는 제1목적지 및 제2목적지에 도달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내지 도 8에 따른 한 쌍의 기준 마커(21)는 동쪽 및 서쪽을 안내하기 위한 방위 기준 정보를 육안으로 제공하며, 이와 같은 방위 기준 정보는 사용자 클라이언트(30)의 인식을 통해 청각 또는 촉각의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위치 마커(221) 및 제2위치 마커(222)가 각각 제1지점 및 제2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1목적지 및 제2목적지가 점자 블록(10)으로부터 동일한 도달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하는 점자 블록(10)의 일 지점에는 기준 마커(21)가 형성된다. 여기서, 한 쌍의 기준 마커(21)은 각각 최북서단 및 최남서단에 위치하고, 미리 지정된 배치규칙이 "한 쌍의 기준 마커(21)가 동서 방향에 위치함"으로 선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제1위치 마커(221) 및 제2위치 마커(222)에 대응하는 제1지점 및 제2지점은 서로 동일한 구역의 내부에 위치함에 따라, 제1구역 및 제2구역이 서로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제1위치 마커(221) 및 제2위치 마커(222)가 제1지점 및 제2지점에 각각 형성된 점자 블록(10)의 인식을 통해, 인식된 해당 점자 블록(10)으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위치 마커(221) 및 제2위치 마커(222)를 통해 현재 확인 중인 점자 블록(10)에서 제1목적지 및 제2목적지로의 도달 경로가 직진 이동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서 사용자가 제1지점 및 제2지점을 향해 직진 이동한 상태에서 조우한 또다른 점자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 직진 이동함에 따라, 도 7에 따른 점자 블록(10)에 형성된 기준 마커(21)의 개수 및 위치는 도 6에서와 동일하게 구비된다. 또한, 제1목적지 및 제2목적지를 향해 사용자가 소폭 근접 이동함에 따라, 도 7에 따른 제1위치 마커(221) 및 제2위치 마커(222)는 도 6과 비교했을 때 사용자에 보다 근접하도록 점자 블록(10)의 2번째 행에 속한 제1구역 및 제2구역에 각각 형성된다. 상세하게, 도 7에서 제1위치 마커(221)에 대응하는 제1지점 및 상기 제1지점이 위치하는 제1구역은 도 6에서 점자 블록(10)의 제1행에 위치한 제1구역과 비교했을 때 사용자에게 보다 근접한 제2행에 위치하며, 이는 제2위치 마커(222)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제1위치 마커(221) 및 제2위치 마커(222)를 대상으로 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30)의 인식 시, 사용자 클라이언트(30)는 도 6과 비교하여 도 7에서 제1목적지 또는 제2목적지가 가까워졌음을 의미하는 길안내 정보를 추가로 획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 6에서 사용자가 직진 이동함에 따라 제1목적지 및 제2목적지와의 이격 거리가 줄어든 모습을 제1구역 및 제2구역의 배치 위치 변화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이 아닌 사용자는 점자 블록(10)을 기반으로 올바른 방향으로의 이동을 바로 인지하여, 제1목적지 또는 제2목적지를 향한 길 찾기 과정에서 겪는 시행착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시각장애인에 해당하는 사용자는 점자 블록(10)에 형성된 제1위치 마커(221) 및 제2위치 마커(222)의 스캔 과정에서 제1목적지 또는 제2목적지가 가까워졌음을 인식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서 제1지점을 향해 좌회전 이동한 상태에서 또다른 점자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사용자는 도 7에서의 점자 블록(10)을 기반으로 재차 직진 이동한 이후 제1목적지를 향해 좌회전함에 따라 도 8에 따른 점자 블록(10)과 마주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과 비교했을 때 서쪽 방향을 향해 좌회전(도면의 반시계 방향을 의미함)한 도 8의 점자 블록(10)은 한 쌍의 기준 마커(21)의 위치가 가변한다. 상세하게, 한 쌍의 기준 마커(21)는 점자 블록(10)의 최우상단 및 최우하단에 형성된 일 지점에 각각 구비된다. 또한, 제1위치 마커(221) 및 제2위치 마커(222)는 상호 간 위치관계에 대응하는 제1지점 및 제2지점에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도 7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방향을 전환하여 이동했기 때문에, 도 8에서 제1구역 및 제2구역은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제2행 및 제2열에 위치한 도 8의 점자 블록(10)에서의 구역 내에서, 제1위치 마커(221)는 좌측 방향에 위치함에 따라, 사용자는 정지 또는 소폭 전진한 상태에서 좌측 방향에 위치한 제1목적지를 확인하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사용자 클라이언트(30)를 통해 점자 블록(10)에 형성된 제2위치 마커(222)를 인식함으로써, 실제 제2목적지가 제1목적지와의 위치관계에 대응하여 후방에 위치함을 인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방향 전환에 따라 제1위치 마커(221) 및 제2위치 마커(222)의 위치가 가변하여 점자 블록(10)에 설치됨으로써, 사용자는 가려고 하는 목적지에 관한 인지 지속성을 가지고 길안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어 길찾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시각장애인인 사용자는 점자 블록(10)에 형성된 기준 마커(21)의 배열을 사용자 클라이언트(30)를 통해 인식함에 따라 방위 기준 정보를 청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장소 및 통신환경에 제한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현재 위치, 도달 경로 및 추가 이동방향에 관한 길안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어, 현재 실시되지 못하고 있는 이동 편의 관련 자립 생활을 구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위치 마커(221) 및 제2위치 마커(222)가 서로 다른 구역에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지하철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점자 블록(10)을 일례로 설명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클라이언트(30)를 이용하여 점자 블록(10)을 스캔하고, 이를 기반으로 확인되는 점자 블록(10)의 일 지점에 형성된 기준 마커(21) 및 상기 기준 마커(21)의 배열을 통해 방위 기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9를 일례로, 점자 블록(10)은 북쪽 및 남쪽을 향해 정위치 배치되어 좌면 및 우면이 서쪽 및 동쪽을 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위치 마커(221)는 점자 블록(10)의 제1행 및 제1열에 위치한 제1구역 내 제1지점에 위치하고, 제2위치 마커(222)는 상기 점자 블록(10)의 제3행 및 제3열에 위치한 제2구역 내 제2지점에 설치된다. 이를 통해 제1위치 마커(221) 및 제2위치 마커(222)에 각각 대응하는 제1목적지 및 제2목적지가 도보 상으로 서로 다른 구역에 위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에 따른 점자 블록(10)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클라이언트(30)를 통해 점자 블록(10)을 촬영할 시, 상기 점자 블록(10)의 이미지 정보는 길안내 제공 서버(40)로 수집되고, 상기 길안내 제공 서버(40)는 이에 대응하여 제1목적지인 "화장실"의 위치 및 제2목적지인 "승강장"의 위치에 관한 길안내 정보를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사용자 클라이언트(3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30)에 제공하는 길안내 정보는 길안내 제공 서버(40)에 기저장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일련의 구성을 통해, 현재 고속도로에 설치되고 있는 도로 주행유도선과 같이 기준 마커(21), 제1위치 마커(221) 및 제2위치 마커(222)의 형상 및 색상을 구분하여 길안내 정보의 제공에 활용함으로써, 점자블록의 사용율 및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점자블록에 IoT 센서를 적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점자블록의 설치 및 보수 난이도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고 통신 환경에 따른 불규칙한 현장 적용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안내용 마커, 점자블록 및 이를 이용한 길안내 시스템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 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실시 형태를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 점자 블록
20 : 길안내용 마커
21 : 기준 마커
22 : 안내 마커
221 : 제1위치 마커
222 : 제2위치 마커
30 : 사용자 클라이언트
40 : 길안내 제공 서버
20 : 길안내용 마커
21 : 기준 마커
22 : 안내 마커
221 : 제1위치 마커
222 : 제2위치 마커
30 : 사용자 클라이언트
40 : 길안내 제공 서버
Claims (12)
- 점자 블록에 일 지점에 형성되는 기준 마커; 및
상기 점자 블록의 타 지점에 형성되는 안내 마커;를 포함하고,
상기 점자 블록은,
지면에 설치되되 상측 방향을 향하는 상면 상에 복수의 돌출 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기준 마커는,
상기 점자 블록에 형성된 상기 돌출 부재에 대응하여 부착 또는 설치되어 배치되고,
상기 안내 마커는,
제1목적지를 나타내는 제1위치 마커; 및
제2목적지를 나타내는 제2위치 마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위치 마커는 상기 점자 블록에 형성된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제1목적지로의 도달 경로에 대응하는 제1구역에 형성되고,
상기 점자 블록을 따라 이동하는 사용자의 방향 전환에 따라 상기 제1위치 마커 및 상기 제2위치 마커의 위치가 가변하여 상기 점자 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제1위치 마커 및 상기 제2위치 마커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목적지 및 상기 제2목적지를 향해 근접 이동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근접해지도록 상기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위치에 형성되는, 길안내용 마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 마커는,
상기 제1구역에 포함된 복수의 지점 중 상기 제1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한 추가 이동방향에 대응하는 제1지점에 형성되는, 길안내용 마커.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치 마커는,
상기 제1목적지 및 제2목적지 간 위치관계에 대응하는 제2지점에 형성되는, 길안내용 마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마커는,
미리 지정된 배치규칙에 따라 상기 점자 블록에 복수로 형성되는, 길안내용 마커. - 길안내용 마커를 포함하는 점자 블록으로서,
일 지점에 형성되는 기준 마커; 및
타 지점에 형성되는 안내 마커;를 포함하고,
상기 점자 블록은,
지면에 설치되되 상측 방향을 향하는 상면 상에 복수의 돌출 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기준 마커는,
상기 점자 블록에 형성된 상기 돌출 부재에 대응하여 부착 또는 설치되어 배치되고,
상기 안내 마커는,
제1목적지를 나타내는 제1위치 마커; 및
제2목적지를 나타내는 제2위치 마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위치 마커는 점자 블록에 형성된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제1목적지로의 도달 경로에 대응하는 제1구역에 형성되고,
상기 점자 블록을 따라 이동하는 사용자의 방향 전환에 따라 상기 제1위치 마커 및 상기 제2위치 마커의 위치가 가변하여 상기 점자 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제1위치 마커 및 상기 제2위치 마커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목적지 및 상기 제2목적지를 향해 근접 이동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근접해지도록 상기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위치에 형성되는, 길안내용 점자블록.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 마커는,
상기 제1구역에 포함된 복수의 지점 중 상기 제1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한 추가 이동방향에 대응하는 제1지점에 형성되는, 길안내용 점자블록.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치 마커는,
상기 제1목적지 및 제2목적지 간 위치관계에 대응하는 제2지점에 형성되는, 길안내용 점자블록.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마커는,
미리 지정된 배치규칙에 따라 상기 점자 블록에 복수로 형성되는, 길안내용 점자블록. - 점자 블록에 형성된 길안내용 마커; 및
상기 점자 블록을 기반으로 길안내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점자 블록은,
지면에 설치되되 상측 방향을 향하는 상면 상에 복수의 돌출 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길안내용 마커는,
상기 점자 블록의 일 지점에 형성된 기준 마커; 및
상기 점자 블록의 타 지점에 형성된 안내 마커;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마커는,
상기 점자 블록에 형성된 상기 돌출 부재에 대응하여 부착 또는 설치되어 배치되고,
상기 안내 마커는,
제1목적지를 나타내는 제1위치 마커; 및
제2목적지를 나타내는 제2위치 마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위치 마커는 상기 점자 블록에 형성된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제1목적지로의 도달 경로에 대응하는 제1구역에 형성되고,
상기 점자 블록을 따라 이동하는 사용자의 방향 전환에 따라 상기 제1위치 마커 및 상기 제2위치 마커의 위치가 가변하여 상기 점자 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제1위치 마커 및 상기 제2위치 마커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목적지 및 상기 제2목적지를 향해 근접 이동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근접해지도록 상기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위치에 형성되는, 길안내 시스템.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 마커는,
상기 제1구역에 포함된 복수의 지점 중 상기 제1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한 추가 이동방향에 대응하는 제1지점에 형성되는, 길안내 시스템.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치 마커는,
상기 제1목적지 및 제2목적지 간 위치관계에 대응하는 제2지점에 형성되는, 길안내 시스템.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마커는,
미리 지정된 배치규칙에 따라 상기 점자 블록에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복수의 상기 기준 마커의 배열을 인식함에 따라 방위 기준 정보를 획득하는, 길안내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33237A KR102689326B1 (ko) | 2023-03-14 | 2023-03-14 | 길안내용 마커, 점자블록 및 이를 이용한 길안내 시스템 |
KR1020240096417A KR20240139594A (ko) | 2023-03-14 | 2024-07-22 | 길안내용 마커, 점자블록 및 이를 이용한 길안내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33237A KR102689326B1 (ko) | 2023-03-14 | 2023-03-14 | 길안내용 마커, 점자블록 및 이를 이용한 길안내 시스템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96417A Division KR20240139594A (ko) | 2023-03-14 | 2024-07-22 | 길안내용 마커, 점자블록 및 이를 이용한 길안내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89326B1 true KR102689326B1 (ko) | 2024-07-29 |
Family
ID=9217629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33237A KR102689326B1 (ko) | 2023-03-14 | 2023-03-14 | 길안내용 마커, 점자블록 및 이를 이용한 길안내 시스템 |
KR1020240096417A KR20240139594A (ko) | 2023-03-14 | 2024-07-22 | 길안내용 마커, 점자블록 및 이를 이용한 길안내 시스템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96417A KR20240139594A (ko) | 2023-03-14 | 2024-07-22 | 길안내용 마커, 점자블록 및 이를 이용한 길안내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689326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09176A (ja) * | 2001-09-26 | 2003-04-11 | Hiroshima Kasei Ltd | 歩行者誘導システム |
KR100647069B1 (ko) * | 2005-02-25 | 2006-11-24 | 주식회사 에이티알앤디 | 시각장애인용 보행안내시스템 |
JP3208457U (ja) * | 2016-10-31 | 2017-01-12 | 和也 千葉 | 点字ブロック |
JP2023018976A (ja) * | 2021-07-28 | 2023-02-09 | 真 芝田 | 歩行者用音声案内システム |
-
2023
- 2023-03-14 KR KR1020230033237A patent/KR10268932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4
- 2024-07-22 KR KR1020240096417A patent/KR20240139594A/ko unknow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09176A (ja) * | 2001-09-26 | 2003-04-11 | Hiroshima Kasei Ltd | 歩行者誘導システム |
KR100647069B1 (ko) * | 2005-02-25 | 2006-11-24 | 주식회사 에이티알앤디 | 시각장애인용 보행안내시스템 |
JP3208457U (ja) * | 2016-10-31 | 2017-01-12 | 和也 千葉 | 点字ブロック |
JP2023018976A (ja) * | 2021-07-28 | 2023-02-09 | 真 芝田 | 歩行者用音声案内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39594A (ko) | 2024-09-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576817B1 (en) | Selective information provision and indoor navigation assistance for the visually impaired | |
Fernandes et al. | A review of assistive spatial orientation and navigation technolog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 |
CN103674016B (zh) | 一种基于移动终端的步行指引系统及其实现方法 | |
JP6640156B2 (ja) | 位置ベースナビゲーションおよび拡張現実アプリケーション用のアンカー | |
Amemiya et al. | Virtual leading blocks for the deaf-blind: A real-time way-finder by verbal-nonverbal hybrid interface and high-density RFID tag space | |
EP3038012A1 (en) | Signal for identifying traffic lights for computer vision | |
Coughlan et al. | Crosswatch: a system for providing guidance to visually impaired travelers at traffic intersection | |
Coughlan et al. | Functional assessment of a camera phone-based wayfinding system operated by blind and visually impaired users | |
WO2020157995A1 (ja) |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端末 | |
JP2006251596A (ja) | 視覚障害者支援装置 | |
KR101690311B1 (ko) | 증강현실객체 배치, 공유 및 전시 시스템 및 배치, 공유 및 전시 방법 | |
CN112789480B (zh) | 用于将两个或更多个用户导航到会面位置的方法和设备 | |
US11334174B2 (en) | Universal pointing and interacting device | |
KR102689326B1 (ko) | 길안내용 마커, 점자블록 및 이를 이용한 길안내 시스템 | |
KR20100004022A (ko) | 도로 표지판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
KR101350219B1 (ko) | 등산로 음성 안내표지판 | |
CN113240816B (zh) | 基于ar和语义模型的城市精确导航方法及其装置 | |
JP6384898B2 (ja) | 経路案内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CN102637231A (zh) | 驾驶员行车动态视觉感知仿真方法 | |
KR102442239B1 (ko) |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실내 길안내 장치 | |
US20220398940A1 (en) | Non-Visual Virtual-Reality System for Navigation Training and Assessment | |
JP2001027534A (ja) | 地図表示装置 | |
KR101950713B1 (ko) | 안내도 이미지를 이용한 실내 측위 장치 및 그 방법 | |
KR101298526B1 (ko) |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 | |
CN105222794A (zh) |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