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6461B1 - 경통 조립체 - Google Patents

경통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6461B1
KR102686461B1 KR1020160062177A KR20160062177A KR102686461B1 KR 102686461 B1 KR102686461 B1 KR 102686461B1 KR 1020160062177 A KR1020160062177 A KR 1020160062177A KR 20160062177 A KR20160062177 A KR 20160062177A KR 102686461 B1 KR102686461 B1 KR 102686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groove
pair
lens
aper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1042A (ko
Inventor
마사오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한화비전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비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비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2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6461B1/ko
Publication of KR20170131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6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6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3Align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G03B7/081Analogue circuits
    • G03B7/085Analogue circuits for control of aper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며, 벽면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슬롯들과, 상기 벽면의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된 비드홈과, 상기 벽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적어도 일부가 절곡된 절곡홈을 갖는 경통, 상기 경통의 단면을 가로질러 상기 한 쌍의 슬롯들에 삽입된 조리개부, 상기 비드홈에 삽입되는 비드가 형성된 원통형 내면을 갖고, 상기 렌즈를 구동하는 모터가 설치된 구동부 및 상기 절곡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갖고, 상기 벽면의 상기 일단에 결합되는 홀더부를 구비하는, 경통 조립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경통 조립체{Lens barrel assembl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경통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나사, 볼트 등의 체결부품 수를 줄일 수 있는 경통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캠코더, CCTV 등과 같은 촬영장치에 장착되는 경통 조립체는 렌즈군의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초점 거리를 갖는 광학계를 구현한다. 경통 조립체를 이용하면 카메라의 광학계를 광각렌즈나 망원렌즈로 변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움직이지 않고 제자리에서 다양한 시야각으로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경통 조립체는 렌즈를 구비한 경통의 다양한 위치에 조리개, 모터 등이 결합되는데, 이러한 결합 과정에서 다수의 체결부품들이 사용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24410호는 경통 조립체에 나사류, 볼트류 등의 체결부품들이 다수 개 체결되어 있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다수의 체결부품들을 사용하는 경우,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가지고 체결부품들을 일일이 체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체결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전체 공정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24410호 (2013.03.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나사, 볼트 등의 체결부품 수를 줄일 수 있는 경통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렌즈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며, 벽면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슬롯들과, 상기 벽면의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된 비드홈과, 상기 벽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적어도 일부가 절곡된 절곡홈을 갖는 경통, 상기 경통의 단면을 가로질러 상기 한 쌍의 슬롯들에 삽입된 조리개부, 상기 비드홈에 삽입되는 비드가 형성된 원통형 내면을 갖고, 상기 렌즈를 구동하는 모터가 설치된 구동부 및 상기 절곡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갖고, 상기 벽면의 상기 일단에 결합되는 홀더부;를 구비하는, 경통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조리개부는 일단에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돌기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홈을 갖고, 상기 조리개부의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된 부분의 폭은 상기 한 쌍의 슬롯들의 폭보다 넓을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비드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절곡된 제2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절곡홈은 상기 삽입돌기의 상기 절곡홈 내에서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고정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통의 내부에 배치되고, 나선형으로 연장된 가이드홈을 갖는 조절링; 및 상기 렌즈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된 조절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경통과 상기 홀더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경통 조립 시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체결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전체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품 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통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경통 조립체의 경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경통 조립체로부터 조리개부를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평면도이다.
도 5a는 도 3의 B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X1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1의 경통 조립체의 홀더부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b의 X2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1의 경통 조립체의 홀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통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경통 조립체의 경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통 조립체(10)는 경통(100), 조리개부(200), 구동부(300) 및 홀더부(400)를 구비한다.
경통(100)은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며, 그 내부에는 렌즈가 수용된다. 경통(100)의 내부에는 다수의 렌즈들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이 입사되는 경통(100)의 입구에는 제1렌즈군(L1)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렌즈군(L1)은 서로 인접한 복수 개의 렌즈들이 모여 군(group)을 형성한 것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경통(100)은 광이 입사되는 경통(100)의 입구측에 배치되는 전단부(100a)와 이러한 전단부(100a)로부터 연장되어 카메라 세트에 연결되는 후단부(100b)를 구비할 수 있다.
전단부(100a)의 내부에는 조절링(110a)이 배치될 수 있는데, 이로써 조절링(110a)은 광이 입사되는 경통(100)의 입구측에 위치하게 된다.
조절링(110a)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된 가이드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가이드홈(111) 형상이 반드시 이러한 나선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이드홈(111)의 적어도 일부가 광축에 대해 경사를 이루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것이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또한, 가이드홈(111)은 조절링(100a)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될 수도 있다.
가이드홈(111)은 조절핀(112)의 운동을 가이드한다. 구체적으로, 조절핀(112)은 가이드홈(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홈(111) 내에서 이동하고, 이로써 조절핀(112)은 조절링(110a)의 벽면에서 가이드홈(111)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운동하게 된다. 한편, 조절핀(112)은 제1렌즈군(L1)과 연결될 수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홈(111)이 조절핀(112)의 운동을 가이드함에 따라 제1렌즈군(L1)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홈(111)의 개수 및 위치, 가이드홈(111)이 광축에 대해 이루는 경사각 등을 적절히 설계함으로써, 제1렌즈군(L1)의 광축 방향에서 정의되는 위치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조절링(110a)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경통(100)의 입구측 외에 전단부(100a)의 후미나 후단부(100b)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로써 조절링(110a)은 경통(100) 내부의 다양한 지점에 위치하는 렌즈들을 광축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렌즈들이 줌렌즈인 경우 조절링(110a)은 배율을 조절하는 줌링(zoom ring)으로 기능하고, 상기 렌즈들이 포커스링인 경우 조절링(110a)은 초점을 조절하는 포커스(focus ring)으로 기능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 제1렌즈군(L1)은 포커스렌즈일 수 있고, 조절핀(112)의 위치를 고정시켜 제1렌즈군(L1)의 초점을 별도로 조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경통(100)의 벽면(100w)에는 한 쌍의 슬롯들(120)이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개부(200)가 경통(100)의 벽면(100w)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슬롯들(120)은 경통(100)의 벽면(100w)에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는 한 쌍의 슬롯들(120)이 전단부(100a)의 후미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물론 후단부(100b)의 선단에 형성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경통(100)의 벽면(100w)에는 절곡홈(140)이 형성된다. 절곡홈(140)은 후단부(100b)의 후미에 형성되는데, 후단부(100b)의 벽면(100w)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적어도 일부가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절곡홈(140)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해서는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경통(100)의 벽면(100w)에는 비드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러한 비드홈은 벽면(100w)의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된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5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경통(100)의 벽면(100w)에는 모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모터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홈(130)은 경통(100)에 설치되는 모터의 수에 따라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슬롯들(120) 중 어느 하나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제1모터(31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하거나, 한 쌍의 슬롯들(120)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배치되어 제2모터(32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경통(100)의 한 쌍의 슬롯들(120)에는 조리개부(200)가 삽입된다. 조리개부(200)가 경통(100) 벽면(100w)의 대향하는 한 쌍의 슬롯들(120)에 삽입됨으로써 조리개부(200)는 경통(100)의 단면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조리개부(200)는 렌즈를 통과하는 광량을 조절하는 판상의 조리개를 구비하고, 상기 조리개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기어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판상의 상기 조리개가 한 쌍의 슬롯들(120)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조리개 구동부는 경통(1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조리개부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경통(100) 벽면(100w)에는 경통(100) 벽면(100w)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동부(300)가 배치된다. 구동부(300)는 프레임(300a), 제1모터수용부(300b), 제2모터수용부(300c) 등을 구비할 수 있는데, 제1모터수용부(300b), 제2모터수용부(300c) 등에 모터 등의 부품이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300a)은 경통(100)의 벽면(100w)을 둘러싸는 부분으로, 벽면(100w)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 내면을 갖는다.
제1모터수용부(300b)는 프레임(300a)에 결합되며, 제1모터(31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1모터(310)는 제1모터수용부(300a)에 수용되어 경통(100)에 형성된 제1모터홈(미표기)에 장착될 수 있다. 제2모터(320) 또한 제2모터수용부(300c)에 수용되어 경통(100)에 형성된 제2모터홈(미표기)에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모터들(310, 320)은 렌즈를 구동하는 모터일 수 있고, 특히 경통(100)의 후단부(100b)에 배치될 수 있는 줌렌즈를 구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300a)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수용부들이 구비됨으로써, 경통(100)의 벽면(100w) 상에 다양한 부품들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모터와 같은 부품의 착탈이 용이해져 재조립 및 정비의 관점에서 유리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300a)의 내면에는 비드(미도시)가 형성된다. 이러한 비드는 경통(100) 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 전술한 경통(100)의 벽면(100w)에 형성된 비드홈(미도시)에 삽입된다. 상기 비드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5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구동부(300)는 경통(100)의 후단부(100b)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줌렌즈가 후단부(100b)에 배치되는 경우 모터 등을 이용하여 상기 줌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
경통(100) 후단부(100b)의 후미에는 홀더부(400)가 결합된다. 홀더부(400)는 제1홀더부(400a) 및 제2홀더부(400b)를 포함하고, 제1홀더부(400a)는 제2홀더부(400b)보다 경통(100) 후단부(100b)에 더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제1홀더부(400a)의 단면적은 제2홀더부(400b)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홀더부(400)는 경통(100)을 카메라 세트에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홀더부(400a)는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삽입돌기(미도시)를 갖는다. 이러한 삽입돌기는 전술한 절곡홈(140)에 삽입되어 경통(100)의 후단부(100b)를 홀더부(4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삽입돌기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도 1의 경통 조립체로부터 조리개부를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평면도이다. 또한, 도 5a는 도 3의 B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X1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조리개부(200)는 중앙부에 개구(220)를 갖는 판상의 조리개(210)를 구비한다. 이때 조리개(210)에는 개구(220)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개구(220)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는 날개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날개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는데, 가령 한 쌍의 날개들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개구(220)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식일 수도 있고, 다수의 날개들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개구(220)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조리개부(200)의 일측에는 조리개 모터(미표기)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리개 모터는 상기 날개부에 연결되어 개구(220)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상기 날개부 등을 구동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판상의 조리개(210)의 일단(210E)에는 걸림돌기(212) 및 제1홈(211)이 배치된다. 이때 걸림돌기(212)는 일단(210E)의 양쪽 끝에 배치된 한 쌍의 돌기들을 포함할 수 있고, 제1홈(211)은 걸림돌기(212)의 상기 돌기들 사이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홈(211)은 조리개(2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제1홈(211)이 걸림돌기(212)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 걸림돌기(212)가 위치하는 일단(210E)의 양쪽 끝에서 조리개(210)의 폭방향으로의 탄성력이 증가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경통 전단부(100a)의 벽면에는 한 쌍의 슬롯들(120)이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슬롯들(120)은 제1슬롯(120a)과 제1슬롯(120a)에 대향하는 제2슬롯(120b)을 포함한다. 이때 제2슬롯(120b)에서 제1슬롯(120a)을 향하는 방향으로 조리개부(200)가 경통 전단부(100a) 내에 삽입된다.
이러한 삽입 공정이 용이하게 수행되려면, 조리개부(200) 중에서 제2슬롯(120b)에 가장 먼저 진입하는 일단(210E)이 제2슬롯(120b)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좁은 폭을 가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조리개(210)의 일단(210E)이 상기의 좁은 폭을 유지하게 되면, 제1슬롯(120a)을 통과한 이후에도 조리개(210)의 일단(210E)은 경통 전단부(100a)에 고정되지 못한 채 경통과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리개(210)의 일단(210E)에 제1홈(211)의 폭을 줄이는 방향으로 스냅력(S1)을 작용시켜 조리개(210)의 일단(210E)이 제2슬롯(120b) 및 제1슬롯(120a)을 차례로 통과하도록 한 후, 상기 스냅력(S1)을 해제하여 걸림돌기(212)가 제1슬롯(120a) 외측의 경통 벽면에 걸리도록 한다. 즉, 스냅력(S1)이 해제됨에 따라 조리개부(200)의 걸림돌기(212)가 형성된 부분의 폭이 제1슬롯(120a) 및 제2슬롯(120b)의 폭보다 넓게 되어 조리개부(200)는 경통 전단부(100a)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과,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구동부(300)는 프레임(300a), 제1모터(310)를 수용하는 제1모터수용부(300b), 커넥터(330)를 수용하는 커넥터수용부(300d) 등을 구비한다. 제1모터(310)는 제1모터수용부(300a)에 수용되어 프레임(300a)에 설치되고, 커넥터(330) 또한 커넥터수용부(300d)에 수용되어 프레임(300a)에 설치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프레임(300a)의 경통 후단부(100b)와 결합되는 부분은, 적어도 일부가 절곡된 제2홈(302)을 갖는다. 일 실시예로, 제2홈(302)은, 경통 후단부(100b)의 원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경통의 광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짧게 연장된 'ㄱ'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프레임(300a) 중에 제2홈(302)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을 내측부(301), 제2홈(302)을 둘러싸는 부분을 외측부(303)라 하면, 내측부(301)는 광축 방향(수직 방향) 및/또는 내측부(301)를 들어 올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력을 이용하여 프레임(300a)과 경통 후단부(100b)를 체결하기 위해, 내측부(301)의 내면에는 두께방향으로 돌출된 비드(301a)가 형성된다. 또한, 경통 후단부(100b)의 비드(301a)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벽면의 일부가 함몰된 비드홈(미표기)이 형성된다. 이로써 내측부(301)에는 광축 방향(수직 방향) 및/또는 내측부(301)를 들어 올리는 방향으로 스냅력(S2)이 작용하여 내측부(301)의 비드(301a)가 경통 후단부(100b)의 비드홈에 삽입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프레임(300a)은 경통 후단부(100b)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도 6a는 도 1의 경통 조립체의 홀더부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b의 X2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며, 도 6c는 도 1의 경통 조립체의 홀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경통 후단부(100b)에는 홀더부(400)가 결합된다. 홀더부(400)는 제1홀더부(400a), 제2홀더부(400b) 및 제1홀더부와 제2홀더부 사이의 경계부(400c)를 포함한다. 이때 제1홀더부(400a)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고 그 내부에 경통 후단부(100b)가 삽입되는 부분에 해당하며, 제2홀더부(400b)는 제1홀더부(400a)와 마찬가지로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고 경통을 카메라 세트에 연결시키는 부분이다. 또한, 제2홀더부(400b)는 줌렌즈와 포커스렌즈의 위치 등을 검출하는 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1홀더부(400a)의 단면은 제2홀더부(400b)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는데, 이로써 제1홀더부(400a)의 내부에 삽입된 경통 후단부(100b)는 경계부(400c)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도 6a 및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홀더부(400a)의 내면에는 돌출된 형태의 삽입돌기(401)가 형성된다. 도 6a 및 도 6b에는 삽입돌기(401)가 사각형 돌기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절곡홈(140)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경통 후단부(100b)에는 절곡홈(140)이 배치되는데, 이 절곡홈(140)은 진입홈(141), 이동홈(142) 및 고정홈(143)을 포함할 수 있다. 진입홈(141)은 제1홀더부(400a)의 삽입돌기(401)가 절곡홈(140) 내부로 맨 처음 진입하게 되는 부분으로, 경통 후단부(100b)의 일단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동홈(142)은 진입홈(141)으로부터 절곡되어 경통 후단부(100b)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고정홈(143)은 이동홈(142)의 후미에 배치되어 이동홈(142)에 비해 제2홀더부(400b) 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인 부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홀더부(400a)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삽입돌기(401)는, 진입홈(141)을 통해 절곡홈(140) 내부로 삽입된 후 이동홈(142)을 따라 경통 후단부(100b)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고정홈(143)의 오목하게 패인 부분에 삽입된다. 이후 삽입돌기(401)는 고정홈(143)으로부터 빠져 나오지 못하여 그 움직임을 구속받게 된다. 이로써 경통 후단부(100b)가 제1홀더부(400a) 내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부(400)와 경통 후단부(100b) 사이에는 제1탄성부재(410)가 개재될 수 있다. 또한, 경통 후단부(100b)와 보호링(110b) 사이에도 제2탄성부재(420)가 개재될 수 있다. 여기서 보호링(110b)은 제2렌즈군(L2)을 단순히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고, 전술한 조절링(110a)과 같이 제2렌즈군(L2)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제1탄성부재(410)는 홀더부(400)와 경통 후단부(100b)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채움으로써 홀더부(400) 상에서 경통 후단부(100b)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탄성부재(41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경통을 보호하는 완충재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탄성부재(420) 또한 경통 후단부(100b)와 보호링(110b)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채우고 외부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410, 420)로는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으나, 일 실시예로 웨이브와셔가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경통 조립 시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체결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전체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체결부품 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경통 조립체
100: 경통
111: 조절링
120: 한 쌍의 슬롯들
140: 절곡홈
200: 조리개부
300: 구동부
400: 홀더부

Claims (6)

  1. 렌즈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며, 벽면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슬롯들과, 상기 벽면의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된 비드홈과, 상기 벽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적어도 일부가 절곡된 절곡홈을 갖는 경통;
    상기 경통의 단면을 가로질러 상기 한 쌍의 슬롯들에 삽입된 조리개부;
    상기 비드홈에 삽입되는 비드가 형성된 원통형 내면을 갖고, 상기 렌즈를 구동하는 모터가 설치된 구동부; 및
    상기 절곡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갖고, 상기 벽면의 상기 일단에 결합되는 홀더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리개부는
    일단;
    상기 일단에 상기 조리개부의 폭 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돌기; 및
    상기 한 쌍의 걸림돌기와 상기 일단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제1홈;을 포함하고,
    상기 조리개부의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된 부분의 폭은 상기 한 쌍의 슬롯들의 폭보다 넓은, 경통 조립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비드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절곡된 제2홈을 갖는, 경통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홈은 상기 삽입돌기의 상기 절곡홈 내에서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고정홈를 포함하는, 경통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의 내부에 배치되고, 나선형으로 연장된 가이드홈을 갖는 조절링; 및
    상기 렌즈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된 조절핀을 더 구비하는, 경통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과 상기 홀더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경통 조립체.
KR1020160062177A 2016-05-20 경통 조립체 KR102686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177A KR102686461B1 (ko) 2016-05-20 경통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177A KR102686461B1 (ko) 2016-05-20 경통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042A KR20170131042A (ko) 2017-11-29
KR102686461B1 true KR102686461B1 (ko) 2024-07-18

Family

I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454Y1 (ko) * 2002-04-03 2002-06-29 대원전광주식회사 돔 카메라용 오토 아이리스 렌즈
KR200455372Y1 (ko) * 2011-06-01 2011-09-02 에이치디씨 주식회사 오토포커스용 렌즈경통
JP2015201685A (ja) * 2014-04-04 2015-11-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454Y1 (ko) * 2002-04-03 2002-06-29 대원전광주식회사 돔 카메라용 오토 아이리스 렌즈
KR200455372Y1 (ko) * 2011-06-01 2011-09-02 에이치디씨 주식회사 오토포커스용 렌즈경통
JP2015201685A (ja) * 2014-04-04 2015-11-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4414B2 (ja) レンズ鏡筒
US10082639B2 (en) Lens barrel
EP2220530B1 (en) Lens barrel, camera, portable data terminal equipment, image input equipment, and cylinder for lens barrel
US20160161699A1 (en) Lens module
CN104793309A (zh) 透镜筒
US10809490B2 (en) Lens barrel and imaging device
JP6801769B2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US9551855B2 (en) Lens barrel and optical apparatus
EP2708928B1 (en) Lens barrel assembly and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5679744B2 (ja) レンズ鏡筒
US10365451B2 (en) Lens array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KR102686461B1 (ko) 경통 조립체
US20210181602A1 (en) Camera module
JP5272579B2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KR20170131042A (ko) 경통 조립체
JP2009244719A (ja) 光学装置および撮像装置
US8098446B2 (en) Lens barrel and camera
US8265471B2 (en) Lens barrel and imaging device
JP4882321B2 (ja) レンズ鏡筒
WO2018041951A1 (en) Camera module for a motor vehicle
EP3388879B1 (en) Lens barrel
KR102149378B1 (ko) 카메라 모듈
JP6701370B2 (ja) 双眼鏡
JP2005084406A (ja) ズームレンズ鏡筒および光学機器
WO2010021150A1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