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1950B1 -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1950B1
KR102681950B1 KR1020227006021A KR20227006021A KR102681950B1 KR 102681950 B1 KR102681950 B1 KR 102681950B1 KR 1020227006021 A KR1020227006021 A KR 1020227006021A KR 20227006021 A KR20227006021 A KR 20227006021A KR 102681950 B1 KR102681950 B1 KR 102681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based copolymer
copolymer
mfr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6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2391A (ko
Inventor
다쓰야 사카이
기미노리 노다
노조미 가미야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42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1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19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 B32B9/0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comprising lea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210/08But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6Copolymers of ethene with alpha-alkenes, e.g. EP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6Copolymers of ethene with alpha-alkenes, e.g. EP rubbers
    • C08F210/18Copolymers of ethene with alpha-alkenes, e.g. EP rubbers with non-conjugated dienes, e.g. EPT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1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nitrogen, the blowing agent being a compound containing a nitrogen-to-nitrogen bond
    • C08J9/102Azo-compounds
    • C08J9/103Azodicarbon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6After-treatment
    • C08J9/365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5Polyolef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2Cellular or porous
    • B32B2305/022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6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2Tearability
    • B32B2307/5825Tear resis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 B32B2307/736Shrink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32B2437/02Gloves, sho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1/00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 C08J2201/02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pre- or post-treatments
    • C08J2201/026Crosslinking before of after foam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04N2 releasing, ex azodicarbonamide or nitroso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6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4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16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4Applications used for fo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 등의 신발용 부품의 용도에 적합하고, 경량성, 열수축성, 압축영구변형, 기계적 강도 등의 특성이 균형 좋게 우수한 가교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는 조성물, 해당 조성물을 이용한 발포체, 및 그것을 이용한 신발용 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하기 (A-a), (A-b), (A-c) 및 (A-d)의 요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에틸렌계 공중합체(A)와, 에틸렌·탄소 원자수 3∼20의 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 고무(B)와, 필요에 따라서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A-a) 탄소수 1000개당의 바이닐기 함유량이 0.025∼0.3개, (A-b) MFR10/MFR2.16이 7∼20, (A-c) 밀도가 0.850∼0.910g/cm3, (A-d) 멜트 플로 레이트가 0.01∼200g/10분.

Description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및 그 용도
본 발명은,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해당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발포체,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해당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발포체,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신발 혹은 신발용 부품, 예를 들어 스포츠 슈즈 등의 신발창(주로 미드솔)에도, 수지의 가교 발포체가 사용되고 있다. 신발 혹은 신발용 부품에는, 경량이고, 장기간의 사용에 의한 변형을 억제하고, 과혹한 사용 조건에 견딜 수 있는 기계적 강도 및 반발 탄성을 갖는 조건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신발창용으로는 종래,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EVA)를 과산화물 가교한 가교 발포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성형되는 가교 발포체는, 비교적 비중이 높고, 또한 압축영구변형이 크기 때문에, 예를 들어 신발창에 이용한 경우, 무겁고, 또한 장기의 사용에 의해 신발창이 압축되어 반발 탄성 등의 기계적 강도를 잃어 간다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계의 발포체의 압축영구변형이나 기계적 강도를 더 향상시킬 목적으로,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보다도 가교 효율이 좋은, 에틸렌·1-뷰텐 고무(EBR), 에틸렌·옥텐 고무(EOR) 등의 폴리올레핀계 고무의 블렌딩이 시도되어 왔다.
또한, 결정성이 낮은 재료일수록 반발 탄성이 좋은 것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특히 높은 반발 탄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EVA)와 에틸렌·프로필렌·다이엔 공중합체(EPDM)의 블렌딩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그 경우에는 열수축성이나 기계적 강도가 부족한 문제가 있어, 결정성이 높은 폴리올레핀계 고무를 추가로 첨가하여 기계적 강도를 보충하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으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종래부터 여러 가지 용도에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이용한 가교 발포체는, 기계적 강도가 높고, 경량이면서 유연하기 때문에, 건축용 외장재, 내장재, 도어 글라스 런 등의 자동차 부품, 포장 재료, 일용품 등에 이용되고 있다. 여기에서, 가교를 수반하지 않는 발포체는, 경량화는 달성되지만 기계적 강도는 낮기 때문에, 발포체를 전술한 바와 같은 용도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수지의 가교 반응을 행하는 것에 의해, 발포체 내의 분자쇄를 결합시켜, 기계적 강도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본원 출원인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이용한 가교 발포체가, 보다 경량인 신발용 부품 소재로서 적합한 것을 발견하여, 종래부터 여러 가지 검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계 중합체와 EPDM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발포체(특허문헌 1 참조), 바이닐기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발포체(특허문헌 2, 특허문헌 3 참조)가, 저비중이고 압축영구변형이 작아, 신발용 부품에 적합한 것을 발견했다.
또한, 특허문헌 4에는, 바이닐기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발포성 배합물을 이용하여 얻은, 고경도 및 저압축영구변형을 갖는 가교 발포체가, 신발 용도 등에 유용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국제 공개번호 2007/132731호 국제 공개번호 2015/129414호 일본 특허공개 2008-308619호 공보 일본 특허공표 2015-521670호 공보
본 발명은, 솔 등의 신발용 부품의 용도에 적합하고, 경량성, 열수축성, 압축영구변형, 기계적 강도 등의 특성이 균형 좋게 우수한 가교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는 조성물, 해당 조성물을 이용한 발포체, 및 그것을 이용한 신발용 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이하의 〔1〕∼〔15〕에 관한 것이다.
〔1〕
에틸렌과, 탄소수 3∼20의 α-올레핀만을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로서, 하기 (A-a), (A-b), (A-c) 및 (A-d)의 요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에틸렌계 공중합체(A)와,
에틸렌·탄소 원자수 3∼20의 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 고무(B)와,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A-a) 1H-NMR에 의해 구해지는 탄소수 1000개당의 바이닐기 함유량이 0.025∼0.3개의 범위에 있다.
(A-b) MFR10/MFR2.16이 7∼20의 범위에 있다. (단, MFR10은, ASTM D1238의 방법에 의해 190℃, 10kg 하중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 레이트이며, MFR2.16은, ASTM D1238의 방법에 의해 19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 레이트이다)
(A-c) 밀도가 0.850∼0.910g/cm3의 범위에 있다.
(A-d) ASTM D1238의 방법에 의해 19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 레이트(MFR2.16)가, 0.01∼200g/10분의 범위에 있다.
〔2〕
에틸렌과, 탄소수 3∼20의 α-올레핀만을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로서, 하기 (A-a), (A-b), (A-c) 및 (A-d)의 요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에틸렌계 공중합체(A) 5∼30질량부와,
하기 (B-a) 및 (B-b) 중 적어도 1개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에틸렌·탄소 원자수 3∼20의 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 고무(B) 95∼70질량부(단, 에틸렌계 공중합체(A)와, 에틸렌·탄소 원자수 3∼20의 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 고무(B)의 합계를 100질량부로 한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A-a) 1H-NMR에 의해 구해지는 탄소수 1000개당의 바이닐기 함유량이 0.025∼0.3개의 범위에 있다.
(A-b) MFR10/MFR2.16이 7∼20의 범위에 있다. (단, MFR10은, ASTM D1238의 방법에 의해 190℃, 10kg 하중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 레이트이며, MFR2.16은, ASTM D1238의 방법에 의해 19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 레이트이다)
(A-c) 밀도가 0.850∼0.910g/cm3의 범위에 있다.
(A-d) ASTM D1238의 방법에 의해 19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 레이트(MFR2.16)가, 0.01∼200g/10분의 범위에 있다.
(B-a) 에틸렌 유래의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60∼95질량%의 범위에 있다.
(B-b) JIS K6395의 방법에 의해 100℃에서 측정한 무니 점도(ML1+4)가 50∼120의 범위에 있다.
〔3〕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A)와, 에틸렌·탄소 원자수 3∼20의 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 고무(B)의 질량비[(A)/(B)]가, 5/95∼80/2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4〕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A)가 에틸렌·1-뷰텐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5〕
추가로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6〕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A)와, 상기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C)의 질량비[(A)/(C)]가, 1/99∼39/61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5〕에 기재된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7〕
추가로 발포제(D), 가교제(E),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8〕
〔7〕에 기재된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을 가교 발포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체.
〔9〕
JIS K6255의 방법에 의해 측정한 반발 탄성률이 5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8〕에 기재된 발포체.
〔10〕
발포체를 70℃ 환경에서 60분 열처리한 후, 23℃ 환경하에서 30분 경과 후의 열수축률(Sh)이, 3.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8〕 또는 〔9〕에 기재된 발포체.
〔11〕
〔8〕∼〔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층과, 폴리올레핀, 폴리유레테인, 고무, 피혁 및 인공 피혁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2〕
〔8〕∼〔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포체 또는 〔11〕에 기재된 적층체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3〕
〔8〕∼〔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포체 또는 〔11〕에 기재된 적층체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부품.
〔14〕
상기 신발용 부품이, 미드솔, 이너솔 또는 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에 기재된 신발용 부품.
〔15〕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을 발포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발포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솔 등의 신발용 부품의 용도에 적합하고, 경량성, 열수축성, 압축영구변형, 기계적 강도 등의 특성이 균형 좋게 우수한 가교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는 조성물, 해당 조성물을 이용한 발포체, 적층체, 및 그것들을 이용한 신발용 부품,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은, 에틸렌계 공중합체(A)와, 에틸렌·탄소 원자수 3∼20의 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 고무(B)와, 필요에 따라서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C)를 포함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발포제(D), 가교제(E), 및 그 밖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에틸렌계 공중합체(A)>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계 공중합체(A)는, 에틸렌과, 탄소수 3∼20의 α-올레핀만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이고,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과 탄소수 3∼1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계 공중합체(A)는, 에틸렌 유래의 구성 단위와, 탄소수 3∼20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성 단위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이다.
공중합 성분인 탄소수 3∼20의 α-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어, 프로필렌, 1-뷰텐, 1-펜텐, 3-메틸-1-뷰텐, 4-메틸-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3∼20의 α-올레핀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10의 α-올레핀이다. 공중합 성분인 탄소수 3∼20의 α-올레핀은, 1종 단독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계 공중합체(A)로서는, 이들 중 특히, 에틸렌·1-뷰텐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계 공중합체(A)를 구성하는 α-올레핀의 종류는, 에틸렌계 공중합체(A)를 제조할 때의 공중합 모노머의 종류에 따라 명확하지만, 에틸렌계 공중합체 중의 α-올레핀의 종류는, 예를 들어, 10mmφ의 시료관 중에서 약 200mg의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1ml의 헥사클로로뷰타다이엔에 균일하게 용해시킨 시료의 13C-NMR 스펙트럼을, 온도 120℃, 주파수 25.05MHz, 스펙트럼 폭 1500Hz, 펄스 반복 시간 4.2초, 45° 펄스 폭 6μsec의 측정 조건하에서 측정하여 동정할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에틸렌계 공중합체(A)의 에틸렌 유래의 구성 단위의 함유량(에틸렌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전체 구성 단위 중 50∼99몰%, 바람직하게는 60∼98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75∼97몰%의 범위에 있다. 또한, 에틸렌계 공중합체(A)의 탄소 원자수 3∼20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성 단위의 함유량(α-올레핀 함유량)은, 통상 전체 구성 단위 중 1∼50몰%, 바람직하게는 2∼4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3∼25몰%의 범위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계 공중합체(A)는, 하기 요건(A-a), (A-b), (A-c) 및 (A-d)를 동시에 만족시킨다.
(A-a) 1H-NMR에 의해 구해지는 탄소수 1000개당의 바이닐기 함유량이 0.025∼0.3개의 범위에 있다.
(A-b) MFR10/MFR2.16이 7∼20의 범위에 있다.
(A-c) 밀도가 0.850∼0.910g/cm3의 범위에 있다.
(A-d) 멜트 플로 레이트(MFR2.16)가, 0.01∼200g/10분의 범위에 있다.
이하, 이들의 각 요건 등에 대하여 추가로 설명한다.
(A-a) 바이닐기 함유량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계 공중합체(A)는, 1H-NMR에 의해 구해지는 탄소수 1000개당의 바이닐기 함유량이, 통상 0.025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0.026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7개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028개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03개 이상이며, 통상 0.3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0.2개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개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1개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9개 이하이다.
바이닐기 함유량(바이닐형 이중 결합량)의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의 측정·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계 공중합체(A) 중에 있어서, 바이닐기는 통상 공중합체의 말단부에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계 공중합체(A)는, 탄소수 1000개당의 바이닐기의 함유량이 상기의 범위이며, 가교성을 갖는다. 바이닐기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얻어지는 성형체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바이닐기의 함유량이, 에틸렌계 공중합체(A)의 탄소수 1000개당 0.3개 이하이면, 가열 성형 시의 가교나 중합체 주쇄의 절단이 적어지고, 성형 가공성이 우수하다. 바이닐기의 함유량이, 에틸렌계 공중합체(A)의 탄소수 1000개당 0.025개 이상이면, 가교가 하기 쉬워지고, 성형체나 가교 발포체의 압축영구변형(CS)이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다.
(A-b) MFR 10 /MFR 2.16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계 공중합체(A)는, MFR10/MFR2.16이, 7∼20, 바람직하게는 7.2∼15, 보다 바람직하게는 7.5∼12의 범위에 있다. 여기에서, MFR10은, ASTM D1238의 방법에 의해 190℃, 10kg 하중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 레이트(g/10분)이며, MFR2.16은, ASTM D1238의 방법에 의해 19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 레이트(g/10분)이다.
MFR10/MFR2.16은, 공중합체의 장쇄 분기의 정도의 지표의 하나가 된다고 생각되고 있는 값이며, MFR10/MFR2.16치가 상기의 범위이면, 장쇄 분기를 갖는 것이 특정된다. MFR10/MFR2 .16치가 작으면, 장쇄 분기가 적은 것이 나타난다. MFR10/MFR2 .16치가 7 이상인 경우에는, 이것을 많이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가교 발포체를 제조하는 경우에, 얻어지는 가교 발포체의 형상의 정밀도가 높아지고, 가교 발포체의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에틸렌계 공중합체의 MFR10/MFR2 .16치가 20 이하인 경우, 강도 등의 물성이 우수하다.
(A-c) 밀도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계 공중합체(A)는, 밀도가 통상 0.850g/cm3 이상, 바람직하게는 0.855g/cm3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857g/cm3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858g/cm3 이상이며, 통상 0.910g/cm3 이하, 바람직하게는 0.909g/cm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08g/cm3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907g/cm3 이하이다. 한편, 에틸렌계 공중합체(A)의 밀도는, ASTM D1505에 의해 23℃에서 측정한 값이다. 밀도가 이와 같은 범위를 만족시키는 경우에는, 얻어지는 성형체나 가교 발포체가, 유연성과 강도의 균형이나, 강성과 내충격강도의 균형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A-d) 멜트 플로 레이트(MFR 2.16 )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계 공중합체(A)는, ASTM D1238의 방법에 의해 19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 레이트(MFR2.16)가, 통상 0.01g/10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0.08g/10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g/10분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1g/10분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2g/10분, 통상 200g/10분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g/10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g/10분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5g/10분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g/10분 이하이다.
에틸렌계 공중합체(A)의 멜트 플로 레이트(MFR2.16)는, 분자량이 클수록 작아지는 경향을 갖는다. 분자량의 조절 방법에 대해서는 「에틸렌계 공중합체(A)의 제조」의 항에서 기술한다. MFR2.16이 상기 상한치 이하인 것은, 얻어지는 성형체의 강도가 향상되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MFR2.16이 상기 하한치 이상인 것은, 에틸렌계 공중합체(A)의 용융 성형 시의 유동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A-e) Mw/Mn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계 공중합체(A)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한 측정치로부터 구해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 Mw와 수 평균 분자량 Mn의 비로서 산출되는 분자량 분포(Mw/Mn)가, 바람직하게는 1.5∼3.5, 보다 바람직하게는 1.5∼3.0이다. Mw/Mn은, 올레핀 중합용 촉매의 항에서 기재한 대로 중합용 촉매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상기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것은, 용융 성형성 및 얻어지는 성형체의 강도가 향상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A-f) 융점(Tm)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계 공중합체(A)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DSC의 흡열 곡선으로부터 구해지는 융점(Tm)이,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5℃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10℃ 이하이다. 에틸렌계 공중합체(A)의 융점이 상기 범위이면, 반발 탄성과 열수축률의 균형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에틸렌계 공중합체(A)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계 공중합체(A)는, 전술한 요건(A-a), (A-b), (A-c) 및 (A-d)를 만족시키는 것이면 되고, 그 제조 방법을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올레핀 중합용 촉매의 존재하에, 에틸렌과, 탄소수 3∼20의 α-올레핀 중 적어도 1종을 공중합시키는 것에 의해 적합하게 제조할 수 있다.
· 올레핀 중합용 촉매
본 발명의 에틸렌계 공중합체(A)는, 전술한 특성을 갖는 것이고, 그 제조 방법은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하기 촉매 성분〔A〕 및 〔B〕로 이루어지는 올레핀 중합용 촉매의 존재하에, 에틸렌과, 탄소수 3∼20의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공중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A〕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가교형 메탈로센 화합물.
[화학식 1]
(식[I] 중, M은 전이 금속을 나타내고, p는 전이 금속의 원자가를 나타내고, X는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각각은 수소 원자, 할로젠 원자 또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R1 및 R2는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는 M에 배위한 π 전자 공액 배위자를 나타내고, Q는 R1과 R2를 가교하는 2가의 기를 나타낸다.)
〔B〕 (b-1) 유기 알루미늄 옥시 화합물,
(b-2) 상기 메탈로센 화합물〔A〕와 반응하여 이온쌍을 형성하는 화합물, 및
(b-3)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
공중합은,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올레핀 중합용 촉매의 존재하에, 에틸렌 및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모노머를 0∼200℃의 온도에서 용매의 공존하에서 용액 중합하는 것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계 공중합체(A)는, 전술한 특성을 만족시키는 한 상기 제조 방법에는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공중합에 있어서 상기 식[I]과는 상이한 구조의 메탈로센 화합물을 사용해도 되고, 상기 촉매 성분〔B〕이외의 조촉매를 사용해도 되고, 공지된 2종류 이상의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반응기 블렌딩이나 물리 블렌딩 등의 수법에 의해 조제해도 된다.
이하, 촉매 성분〔A〕 및 〔B〕를 포함하는 올레핀 중합용 촉매의 존재하에, 에틸렌과, 탄소수 3∼20의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공중합하는, 에틸렌계 공중합체(A)를 제조하는 전술한 방법에 대하여 추가로 설명한다.
촉매 성분〔A〕
촉매 성분〔A〕는, 상기 식[I]로 표시되는 가교형 메탈로센 화합물이다. 상기 식[I] 중, M으로 표시되는 전이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어, Zr, Ti, Hf, V, Nb, Ta 및 Cr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한 전이 금속은 Zr, Ti 또는 Hf이며, 더 바람직한 전이 금속은 Zr 또는 Hf이다.
일반식[I] 중, R1 및 R2로 표시되는 π 전자 공액 배위자로서는, η-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 구조, η-벤젠 구조, η-사이클로헵타트라이엔일 구조, 및 η-사이클로옥타테트라엔 구조를 갖는 배위자를 들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한 배위자는 η-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 구조를 갖는 배위자이다. η-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 구조를 갖는 배위자로서, 예를 들어, 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기, 인덴일기, 수소화 인덴일기, 플루오렌일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기는, 할로젠 원자, 알킬, 아릴, 아르알킬, 알콕시, 아릴옥시 등의 탄화수소기, 트라이알킬실릴기 등의 탄화수소기 함유 실릴기, 쇄상 또는 환상 알킬렌기 등으로 더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일반식[I] 중, Q로 표시되는 R1과 R2를 가교하는 기는, 2가의 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기, 비치환 또는 치환 사이클로알킬렌기, 알킬리덴기, 비치환 또는 치환 사이클로알킬리덴기, 비치환 또는 치환 페닐렌기, 실릴렌기, 다이알킬 치환 실릴렌기, 저밀기, 다이알킬 치환 저밀기 등을 들 수 있다.
촉매 성분〔A〕로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메탈로센 착체를 구체적으로 예시할 수 있지만, 이들 화합물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촉매 성분〔A〕는, 촉매 성분〔B〕와 함께 올레핀 중합용 촉매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촉매 성분〔B〕
촉매 성분〔A〕를, 에틸렌계 공중합체(A)를 제조하기 위한 올레핀 중합 촉매의 성분으로서 이용하는 경우, 올레핀 중합 촉매는, (b-1) 유기 알루미늄 옥시 화합물, (b-2) 촉매 성분〔A〕와 반응하여 이온쌍을 형성하는 화합물, 및 (b-3)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로 구성되는 촉매 성분〔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촉매 성분〔B〕는, 중합 활성과 생성 올레핀 중합체의 성상의 시점에서, 다음의 [c1]∼[c4] 중 어느 태양에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c1] (b-1) 유기 알루미늄 옥시 화합물만,
[c2] (b-1) 유기 알루미늄 옥시 화합물과 (b-3)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c3] (b-2) 촉매 성분〔A〕와 반응하여 이온쌍을 형성하는 화합물과 (b-3)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c4] (b-1) 유기 알루미늄 옥시 화합물과 (b-2) 촉매 성분〔A〕와 반응하여 이온쌍을 형성하는 화합물.
단, 촉매 성분〔A〕로서, 일반식[I]에 있어서 Q가 실릴렌기인 메탈로센 화합물을 이용하는 경우는, 〔B〕 성분으로서는, (b-2) 촉매 성분〔A〕와 반응하여 이온쌍을 형성하는 화합물이 사용되는 경우는 없고, 상기의 바람직한 〔B〕 성분; [c1]∼[c4]에 있어서도, [c1]과 [c2]만이 채용된다.
이하, 촉매 성분〔B〕를 구성할 수 있는 각 성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b-1) 유기 알루미늄 옥시 화합물
유기 알루미늄 옥시 화합물(b-1)로서는, 종래 공지된 알루미녹세인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일반식[II] 및/또는 일반식[II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2]
(식[II] 또는 [III] 중, R은 탄소수 1∼10의 탄화수소기, n은 2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로 대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고, 특히 R이 메틸기인 메틸알루미녹세인으로 n이 3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인 것이 이용된다. (일반식[II] 또는 [III]에 있어서 R이 메틸기인 유기 알루미늄 옥시 화합물을, 이하 「메틸알루미녹세인」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또한, 유기 알루미늄 옥시 화합물(b-1)로서는, 포화 탄화수소에 용해되는 메틸알루미녹세인 유연체(類緣體)를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IV]와 같은 수식 메틸알루미녹세인을 예시할 수 있다.
[화학식 3]
(식[IV] 중, R은 탄소수 2∼20의 탄화수소기, m, n은 2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IV]로 표시되는 수식 메틸알루미녹세인은, 트라이메틸알루미늄과 트라이메틸알루미늄 이외의 알킬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조제되고(예를 들면, US4960878이나 US5041584 등에 제조법이 개시), 도소·파인켐사 등 메이커로부터 트라이메틸알루미늄과 트라이아이소뷰틸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조제된, R이 아이소뷰틸기인 것이 MMAO, TMAO라는 상품명으로 상업 생산되고 있다(예를 들면, 「도소 연구·기술 보고」 제47권 55(2003) 참조).
또 유기 알루미늄 옥시 화합물(b-1)로서는, 일본 특허공개 평2-78687호 공보에 예시되어 있는 벤젠 불용성의 유기 알루미늄 옥시 화합물을 이용해도 되고, 하기 일반식[V]로 표시되는 보론을 포함한 유기 알루미늄 옥시 화합물을 이용해도 된다.
[화학식 4]
(식[V] 중, Rc는 탄소 원자수가 1∼10인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d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수소 원자, 할로젠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가 1∼10인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한편, 전술한 (b-1) 유기 알루미늄 옥시 화합물 중에는 약간의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이 혼입되어 있어도 지장없다.
(b-2) 촉매 성분〔A〕와 반응하여 이온쌍을 형성하는 화합물
상기 촉매 성분〔A〕와 반응하여 이온쌍을 형성하는 화합물(b-2)(이하, 「이온성 화합물(b-2)」라고 약칭하는 경우가 있다.)로서는, 일본 특허공표 평1-501950호 공보, 일본 특허공표 평1-50203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3-17900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3-17900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3-20770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3-207704호 공보, USP5321106호 등에 기재된 루이스산, 이온성 화합물, 보레인 화합물 및 카보레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온성 화합물(b-2)로서는, 헤테로폴리 화합물 및 아이소폴리 화합물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채용되는 이온성 화합물(b-2)는, 하기 일반식[V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5]
식[VI] 중, Re+로서는, H+, 카베늄 양이온, 옥소늄 양이온, 암모늄 양이온, 포스포늄 양이온, 사이클로헵틸트라이엔일 양이온, 전이 금속을 갖는 페로세늄 양이온 등을 들 수 있다. Rf∼Ri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유기 기, 바람직하게는 아릴기이다.
상기 카베늄 양이온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트라이페닐카베늄 양이온, 트리스(메틸페닐)카베늄 양이온, 트리스(다이메틸페닐)카베늄 양이온 등의 3치환 카베늄 양이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암모늄 양이온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트라이메틸암모늄 양이온, 트라이에틸암모늄 양이온, 트라이(n-프로필)암모늄 양이온, 트라이아이소프로필암모늄 양이온, 트라이(n-뷰틸)암모늄 양이온, 트라이아이소뷰틸암모늄 양이온 등의 트라이알킬암모늄 양이온, N,N-다이메틸아닐리늄 양이온, N,N-다이에틸아닐리늄 양이온, N,N-2,4,6-펜타메틸아닐리늄 양이온 등의 N,N-다이알킬아닐리늄 양이온, 다이아이소프로필암모늄 양이온, 다이사이클로헥실암모늄 양이온 등의 다이알킬암모늄 양이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포스포늄 양이온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트라이페닐포스포늄 양이온, 트리스(메틸페닐)포스포늄 양이온, 트리스(다이메틸페닐)포스포늄 양이온 등의 트라이아릴포스포늄 양이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 Re+로서는, 카베늄 양이온, 암모늄 양이온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트라이페닐카베늄 양이온, N,N-다이메틸아닐리늄 양이온, N,N-다이에틸아닐리늄 양이온이 바람직하다.
카베늄염인 이온성 화합물(b-2)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트라이페닐카베늄 테트라페닐보레이트, 트라이페닐카베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라이페닐카베늄 테트라키스(3,5-다이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보레이트, 트리스(4-메틸페닐)카베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스(3,5-다이메틸페닐)카베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암모늄염인 이온성 화합물(b-2)로서는, 트라이알킬 치환 암모늄염, N,N-다이알킬아닐리늄염, 다이알킬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트라이알킬 치환 암모늄염인 이온성 화합물(b-2)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트라이에틸암모늄 테트라페닐보레이트, 트라이프로필암모늄 테트라페닐보레이트, 트라이(n-뷰틸)암모늄 테트라페닐보레이트, 트라이메틸암모늄 테트라키스(p-톨릴)보레이트, 트라이메틸암모늄 테트라키스(o-톨릴)보레이트, 트라이(n-뷰틸)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라이에틸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라이프로필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라이프로필암모늄 테트라키스(2,4-다이메틸페닐)보레이트, 트라이(n-뷰틸)암모늄 테트라키스(3,5-다이메틸페닐)보레이트, 트라이(n-뷰틸)암모늄 테트라키스(4-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보레이트, 트라이(n-뷰틸)암모늄 테트라키스(3,5-다이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보레이트, 트라이(n-뷰틸)암모늄 테트라키스(o-톨릴)보레이트, 다이옥타데실메틸암모늄 테트라페닐보레이트, 다이옥타데실메틸암모늄 테트라키스(p-톨릴)보레이트, 다이옥타데실메틸암모늄 테트라키스(o-톨릴)보레이트, 다이옥타데실메틸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다이옥타데실메틸암모늄 테트라키스(2,4-다이메틸페닐)보레이트, 다이옥타데실메틸암모늄 테트라키스(3,5-다이메틸페닐)보레이트, 다이옥타데실메틸암모늄 테트라키스(4-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보레이트, 다이옥타데실메틸암모늄 테트라키스(3,5-다이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보레이트, 다이옥타데실메틸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N,N-다이알킬아닐리늄염인 이온성 화합물(b-2)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N,N-다이메틸아닐리늄 테트라페닐보레이트, N,N-다이메틸아닐리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N,N-다이메틸아닐리늄 테트라키스(3,5-다이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보레이트, N,N-다이에틸아닐리늄 테트라페닐보레이트, N,N-다이에틸아닐리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N,N-다이에틸아닐리늄 테트라키스(3,5-다이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보레이트, N,N-2,4,6-펜타메틸아닐리늄 테트라페닐보레이트, N,N-2,4,6-펜타메틸아닐리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다이알킬암모늄염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다이(1-프로필)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다이사이클로헥실암모늄 테트라페닐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이온성 화합물(b-2)로서는,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일본 특허공개2004-51676호 공보)되어 있는 이온성 화합물도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의 이온성 화합물(b-2)는, 1종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 혼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b-3)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b-3)으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일반식[VII]로 표시되는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하기 일반식[VIII]로 표시되는 제1족 금속과 알루미늄의 착알킬화물 등을 들 수 있다.
Ra mAl(ORb)nHpXq … [VII]
(식[VII] 중, Ra 및 Rb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탄소 원자수가 1∼15, 바람직하게는 1∼4인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X는 할로젠 원자를 나타내고, m은 0<m≤3, n은 0≤n<3, p는 0≤p<3, q는 0≤q<3의 수이며, 또한 m+n+p+q=3이다.)
상기 일반식[VII]로 표시되는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트라이메틸알루미늄, 트라이에틸알루미늄, 트라이n-뷰틸알루미늄, 트라이헥실알루미늄, 트라이옥틸알루미늄 등의 트라이n-알킬알루미늄;
트라이아이소프로필알루미늄, 트라이아이소뷰틸알루미늄, 트라이sec-뷰틸알루미늄, 트라이tert-뷰틸알루미늄, 트라이2-메틸뷰틸알루미늄, 트라이3-메틸헥실알루미늄, 트라이2-에틸헥실알루미늄 등의 트라이 분기쇄 알킬알루미늄;
트라이사이클로헥실알루미늄, 트라이사이클로옥틸알루미늄 등의 트라이사이클로알킬알루미늄;
트라이페닐알루미늄, 트라이톨릴알루미늄 등의 트라이아릴알루미늄;
다이아이소프로필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다이아이소뷰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등의 다이알킬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일반식 (i-C4H9)xAly(C5H10)z(식 중, x, y, z는 양의 수이며, z≤2x이다.) 등으로 표시되는 아이소프렌일알루미늄 등의 알켄일알루미늄;
아이소뷰틸알루미늄 메톡사이드, 아이소뷰틸알루미늄 에톡사이드 등의 알킬알루미늄 알콕사이드;
다이메틸알루미늄 메톡사이드, 다이에틸알루미늄 에톡사이드, 다이뷰틸알루미늄 뷰톡사이드 등의 다이알킬알루미늄 알콕사이드;
에틸알루미늄 세스퀴에톡사이드, 뷰틸알루미늄 세스퀴뷰톡사이드 등의 알킬알루미늄 세스퀴알콕사이드;
일반식 Ra 2 . 5Al(ORb)0 .5 등으로 표시되는 평균 조성을 갖는 부분적으로 알콕시화된 알킬알루미늄;
다이에틸알루미늄 페녹사이드, 다이에틸알루미늄(2,6-다이-t-뷰틸-4-메틸페녹사이드) 등의 알킬알루미늄 아릴옥사이드;
다이메틸알루미늄 클로라이드, 다이에틸알루미늄 클로라이드, 다이뷰틸알루미늄 클로라이드, 다이에틸알루미늄 브로마이드, 다이아이소뷰틸알루미늄 클로라이드 등의 다이알킬알루미늄 할라이드;
에틸알루미늄 세스퀴클로라이드, 뷰틸알루미늄 세스퀴클로라이드, 에틸알루미늄 세스퀴브로마이드 등의 알킬알루미늄 세스퀴할라이드;
에틸알루미늄 다이클로라이드 등의 알킬알루미늄 다이할라이드 등의 부분적으로 할로젠화된 알킬알루미늄;
다이에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다이뷰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등의 다이알킬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에틸알루미늄 다이하이드라이드, 프로필알루미늄 다이하이드라이드 등의 알킬알루미늄 다이하이드라이드 등 그 밖의 부분적으로 수소화된 알킬알루미늄;
에틸알루미늄 에톡시클로라이드, 뷰틸알루미늄 뷰톡시클로라이드, 에틸알루미늄 에톡시브로마이드 등의 부분적으로 알콕시화 및 할로젠화된 알킬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
M2AlRa 4 … [VIII]
(식[VIII] 중, M2는 Li, Na 또는 K를 나타내고, Ra는 탄소 원자수가 1∼15, 바람직하게는 1∼4인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주기율표 제1족 금속과 알루미늄의 착알킬화물. 이와 같은 화합물로서는, LiAl(C2H5)4, LiAl(C7H15)4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반식[VII]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유사한 화합물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질소 원자를 개재시켜 2 이상의 알루미늄 화합물이 결합한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는, (C2H5)2AlN(C2H5)Al(C2H5)2 등을 들 수 있다.
(b-3)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로서는, 입수 용이성의 점에서, 트라이메틸알루미늄, 트라이아이소뷰틸알루미늄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 에틸렌계 공중합체(A)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계 공중합체(A)는, 전술한 올레핀 중합용 촉매의 존재하에, 에틸렌과, 탄소수 3∼20의 α-올레핀의 적어도 1종을 공중합시키는 것에 의해 적합하게 제조할 수 있다. 공중합은, 예를 들어, 용매의 공존하에서 용액 중합하는 것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중합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140℃ 이상,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온도에서 공중합 반응을 행하면, 얻어지는 에틸렌계 공중합체(A)의 MFR10/MFR2.16을 크게 할 수 있고, 또한 바이닐기 함유량을 많은 것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중합 시에는, 각 성분의 사용법, 첨가 순서는 임의로 선택되지만, 예를 들면 촉매 성분〔A〕 및 촉매 성분〔B〕를 임의의 순서로 중합기에 첨가하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는, 각 촉매 성분의 2개 이상이 미리 접촉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와 같은 올레핀 중합용 촉매를 이용하여, 에틸렌과 탄소수 3∼20의 α-올레핀의 적어도 1종의 공중합을 행하여, 본 발명의 에틸렌계 공중합체(A)를 제조하는 경우, 촉매 성분〔A〕는, 반응 용적 1리터당, 통상 10-9∼10-1몰, 바람직하게는 10-8∼10-2몰이 되는 양으로 이용된다.
성분(b-1)은, 성분(b-1)과, 성분〔A〕 중의 전체 전이 금속 원자(M)의 몰비[(b-1)/(M)]가 통상 1∼10000, 바람직하게는 10∼5000이 되는 양으로 이용된다. 성분(b-2)는, 성분〔A〕 중의 전체 전이 금속(M)과의 몰비[(b-2)/(M)]가, 통상 0.5∼50, 바람직하게는 1∼20이 되는 양으로 이용된다. 성분(b-3)은, 중합 용적 1리터당, 통상 0∼5밀리몰, 바람직하게는 약 0∼2밀리몰이 되는 양으로 이용된다.
여기에서, 에틸렌과, 탄소수 3∼20의 α-올레핀의 투입 몰비는, 목적으로 하는 에틸렌계 공중합체(A)의 특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에틸렌:α-올레핀=10:90∼99.9:0.1, 바람직하게는 에틸렌:α-올레핀=30:70∼99.9:0.1, 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α-올레핀=50:50∼95.0:5.0이다.
탄소수 3∼20의 α-올레핀으로서는,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α-올레핀, 예를 들면 프로필렌, 1-뷰텐, 2-뷰텐, 1-펜텐, 3-메틸-1-뷰텐, 1-헥센, 4-메틸-1-펜텐, 3-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1-도데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α-올레핀 중에서는, 1-뷰텐, 1-헥센, 4-메틸-1-펜텐 및 1-옥텐이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중 탄소수 3∼10의 α-올레핀이 보다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에틸렌계 공중합체(A)의 제조에 바람직하게 채용되는 「용액 중합」이란, 공중합 반응에 불활성인 탄화수소 용매 중에 폴리머가 용해된 상태로 중합을 행하는 방법의 총칭이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용액 중합에 있어서의 중합 온도는, 통상 0∼200℃ 정도의 범위로 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14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용액 중합에 있어서는, 중합 온도가 0℃에 미치지 않는 경우, 그 중합 활성은 극단적으로 저하되므로 생산성의 점에서 실용적이지 않고, 더욱이 에틸렌계 공중합체(A)의 바이닐기 함량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0℃ 이상의 중합 온도 영역에서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중합 시의 용액 점도가 저하되고, 중합열의 제열도 용이해지며, 더욱이 에틸렌계 공중합체(A)의 바이닐기 함량이 증가한다. 그러나, 중합 온도가 200℃를 초과하면, 중합 활성이 극단적으로 저하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계 공중합체(A)는, 비교적 높은 MFR10/MFR2.16치를 갖고, 바이닐기 함량이 비교적 많은 것이기 때문에 140℃ 이상,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의 비교적 고온에서 공중합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압력은, 통상 상압∼10MPa 게이지압, 바람직하게는 상압∼8MPa 게이지압의 조건하이며, 공중합은, 회분식, 반연속식, 연속식의 어느 방법에 있어서도 행할 수 있다. 반응 시간(공중합 반응이 연속법으로 실시되는 경우에는 평균 체류 시간)은, 촉매 농도, 중합 온도 등의 조건에 따라서도 상이하고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통상 1분간∼3시간, 바람직하게는 10분간∼2.5시간이다. 더욱이 중합을 반응 조건이 상이한 2단 이상으로 나누어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얻어지는 에틸렌계 공중합체(A)의 분자량은, 중합계 중의 수소 농도나 중합 온도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조절할 수 있다. 더욱이, 사용하는 촉매 성분〔B〕의 양에 의해 조절할 수도 있다. 중합계에 수소를 첨가하는 경우, 그 양은 생성되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1kg당 0.001∼5,000NL 정도가 적당하다. 또한, 얻어지는 에틸렌계 공중합체(A)의 바이닐기량은, 중합 온도를 높이는 것, 수소 첨가량을 최대한 줄이는 것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얻어지는 에틸렌계 공중합체(A)의 MFR10/MFR2.16은, 클수록 장쇄 분기 구조를 많이 함유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지표가 되지만, 후술하는 실시예와 같은 배위 중합의 경우, 에틸렌계 공중합체(A) 중의 장쇄 분기 구조는, β-수소 탈리 반응에 의해 생성된 말단 바이닐기를 갖는 분자쇄(매크로모노머)가, 재삽입되는 것에 의해 생성된다고 생각되고 있다. 이 때문에, 용액 중의 매크로모노머 농도와 에틸렌 농도의 비([매크로모노머]/[에틸렌])를 증감시킴으로써, 에틸렌계 공중합체(A)의 MFR10/MFR2.16의 값을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매크로모노머]/[에틸렌]이 높으면 에틸렌계 공중합체 중의 장쇄 분기량은 증가하고, [매크로모노머]/[에틸렌]이 낮으면 에틸렌계 공중합체 중의 장쇄 분기량은 저하된다. 용액 중의 [매크로모노머]/[에틸렌]을 증감시키는 수법으로는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1]∼[4]와 같은 방법을 들 수 있다.
[1] 중합 온도
중합 온도가 높을수록 β-수소 탈리 반응은 일어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중합 온도를 높이면, [매크로모노머]/[에틸렌]이 커져, 에틸렌계 공중합체 중의 장쇄 분기량은 증가한다.
[2] 폴리머 농도
용액 중의 폴리머 농도를 높이면, 상대적으로 매크로모노머 농도도 높아지기 때문에, [매크로모노머]/[에틸렌]이 커져, 에틸렌계 공중합체 중의 장쇄 분기량은 증가한다.
[3] 에틸렌 전화율
에틸렌 전화율을 높이면, 용액 중의 에틸렌 농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매크로모노머]/[에틸렌]이 커져, 에틸렌계 공중합체 중의 장쇄 분기량은 증가한다.
[4] 용매종
중합 용매를 저비점의 용매로 하면, 용액 중의 에틸렌 농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매크로모노머]/[에틸렌]이 커져, 에틸렌계 공중합체 중의 장쇄 분기량은 증가한다.
그 밖에도, β-수소 탈리 반응을 제어하는 것 이외에 Al에 대한 연쇄 이동 반응 등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매크로모노머]/[에틸렌]을 증감시켜, 에틸렌계 공중합체 중의 장쇄 분기량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용액 중합에 있어서 이용되는 용매는 통상, 불활성 탄화수소 용매이며, 바람직하게는 상압하에 있어서의 비점이 50℃∼200℃인 포화 탄화수소이다. 구체적으로는, 펜테인, 헥세인, 헵테인, 옥테인, 데케인, 도데케인, 등유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사이클로펜테인, 사이클로헥세인, 메틸사이클로펜테인 등의 지환족 탄화수소를 들 수 있다. 한편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나 에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벤젠, 다이클로로메테인 등의 할로젠화 탄화수소도 본 발명의 고온 용액 중합에 관련되는 「불활성 탄화수소 용매」의 범주에 들어가며, 그 사용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온 용액 중합에 있어서는, 종래 범용되어 온 방향족 탄화수소 용해 타입의 유기 알루미늄 옥시 화합물뿐만 아니라, 지방족 탄화수소나 지환족 탄화수소에 용해되는 MMAO와 같은 수식 메틸알루미녹세인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결과, 용액 중합용의 용매로서 지방족 탄화수소나 지환족 탄화수소를 채용하면, 중합계 내나 생성되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중에 방향족 탄화수소가 혼입될 가능성을 거의 완전히 배제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즉,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고온 용액 중합 방법은, 환경 부하를 경감화할 수 있어 인체 건강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특징도 갖는 것이다.
물성치의 격차를 억제하기 위해, 중합 반응에 의해 얻어진 에틸렌계 공중합체(A) 및 희망에 따라 첨가되는 다른 성분은, 임의의 방법으로 용융되고, 혼련, 조립(造粒) 등이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그래프트 변성
본 발명의 에틸렌계 공중합체(A)는, 일부 또는 전부를 극성 모노머에 의해 그래프트 변성하여 이용해도 된다.
이 극성 모노머로서는, 수산기 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아미노기 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에폭시기 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불포화 카복실산 혹은 그의 유도체, 바이닐 에스터 화합물, 염화 바이닐, 카보다이이미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극성 모노머로서는, 특히 불포화 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불포화 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로서는, 카복실산기를 1 이상 갖는 불포화 화합물, 카복실산기를 갖는 화합물과 알킬 알코올의 에스터, 무수 카복실산기를 1 이상 갖는 불포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불포화기로서는, 바이닐기, 바이닐렌기, 불포화 환상 탄화수소기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크로톤산, 아이소크로톤산, 나딕산〔상표〕(엔도시스-바이사이클로[2.2.1]헵트-5-엔-2,3-다이카복실산) 등의 불포화 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 예를 들면 산 할라이드, 아마이드, 이미드, 무수물, 에스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유도체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 말렌일, 말레이미드, 무수 말레산, 무수 시트라콘산, 말레산 모노메틸, 말레산 다이메틸, 글라이시딜 말레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불포화 카복실산 및/또는 그의 유도체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는, 불포화 다이카복실산 또는 그의 산 무수물이 적합하고, 특히 말레산, 나딕산 또는 이들의 산 무수물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변성은, 피변성체에, 극성 모노머를 그래프트 중합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피변성체에, 상기와 같은 극성 모노머를 그래프트 중합시킬 때에는, 극성 모노머는, 피변성체 100질량부에 대해서, 통상 1∼10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5∼80질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그래프트 중합은, 통상 라디칼 발생제의 존재하에 행해진다.
라디칼 발생제로서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라디칼 발생제(C)에 있어서 예시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라디칼 발생제는, 피변성체 및 극성 모노머와 그대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소량의 유기 용매에 용해하고 나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유기 용매로서는, 라디칼 발생제를 용해할 수 있는 유기 용매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피변성체에 극성 모노머를 그래프트 중합시킬 때에는, 환원성 물질을 이용해도 된다. 환원성 물질을 이용하면, 극성 모노머의 그래프트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피변성체의 극성 모노머에 의한 그래프트 변성은, 종래 공지된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지는 변성체의 변성량(극성 모노머의 그래프트량)은, 변성체를 100질량%로 한 경우에 통상 0.1∼50질량%, 바람직하게는 0.2∼30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0.2∼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에틸렌계 공중합체(A)의 일부 또는 전부를 극성 모노머에 의해 그래프트 변성하여 이용하면, 다른 수지와의 접착성, 상용성이 우수하고, 또한 얻어진 성형체 표면의 젖음성이 개량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극성 모노머, 예를 들면 불포화 카복실산 및/또는 그의 유도체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에 있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에틸렌계 공중합체(A)의 일부 또는 전부를 그래프트 변성하여 이용한 경우, 극성기 함유 수지(예를 들어 폴리에스터, 폴리바이닐 알코올, 에틸렌·바이닐 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아마이드, PMMA, 폴리카보네이트 등)에 대해서 높은 접착 강도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에틸렌계 공중합체(A)의 일부 또는 전부를 그래프트 변성하여 얻어진 그래프트 변성 에틸렌계 공중합체(A)에는, 해당 변성물이 갖는 특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중합체,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나 엘라스토머 등을 배합할 수 있다. 그들의 배합은, 그래프트 변성 단계여도 변성 후의 혼합이어도 된다.
<에틸렌·탄소 원자수 3∼20의 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 고무(B)>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탄소 원자수 3∼20의 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 고무(B)는, 에틸렌과 탄소 원자수가 3∼20인 α-올레핀과 비공액 폴리엔을 구성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무정형, 혹은 저결정성의 랜덤인 탄성 공중합체 고무이다. 이와 같은 에틸렌·탄소 원자수 3∼20의 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 고무(B)(이하, 간단히 (B) 성분이라고도 한다)로서는, 공지된 광각 X선 회절법에 의해 구한 결정화도가 통상 10% 미만인 것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이와 같은 (B) 성분은, 에틸렌 유래의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2질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5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95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5질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83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하이다. (여기에서 에틸렌 유래의 구성 단위와 탄소수 3∼20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성 단위와 비공액 폴리엔 유래의 구성 단위의 합계를 100질량%로 한다). 이와 같은 (B) 성분의 에틸렌 유래의 구성 단위와 α-올레핀 유래의 구성 단위의 질량비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통상 55/45∼85/15이며, 그 중에서도 60/40∼83/17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성분의 에틸렌 유래의 구성 단위가 바람직한 범위, 특히 60∼95질량%의 범위에 있다는 요건(B-a)를 만족시키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성형체나 발포체가, 열수축률이 작고,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것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탄소수 3∼20의 α-올레핀으로서는,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α-올레핀, 예를 들면 프로필렌, 1-뷰텐, 2-뷰텐, 1-펜텐, 3-메틸-1-뷰텐, 1-헥센, 4-메틸-1-펜텐, 3-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1-도데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α-올레핀 중에서는, 1-뷰텐, 1-헥센, 4-메틸-1-펜텐 및 1-옥텐이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중 탄소수 3∼10의 α-올레핀이 보다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비공액 폴리엔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 1,4-헥사다이엔, 사이클로옥타다이엔, 메틸렌 노보넨, 에틸리덴 노보넨, 바이닐 노보넨 등을 들 수 있다. (B) 성분 중에 있어서, 비공액 폴리엔 유래의 구성 단위 함유량은, 통상 0.01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질량% 이상이며, 통상 3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하이다. 한편 여기에서 에틸렌 유래의 구성 단위와 탄소수 3∼20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성 단위와 비공액 폴리엔 유래의 구성 단위의 합계를 100질량%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B) 성분으로서는, 이들 중, 에틸렌·프로필렌·비공액 다이엔 공중합체 고무, 에틸렌·1-뷰텐·비공액 다이엔 공중합체 고무가 바람직하고, 특히 에틸렌·프로필렌·비공액 다이엔 공중합체 고무, 그 중에서도 에틸렌·프로필렌·에틸리덴 노보넨 공중합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바이닐 노보넨 공중합체 고무를 이용하면,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이, 적당한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 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B) 성분으로서는, 특히 에틸렌·프로필렌·에틸리덴 노보넨 공중합체 고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B) 성분을 구성하는 비공액 폴리엔 성분으로서, 상기와 같은 비공액 폴리엔, 예를 들면 비공액 다이엔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이용해도 된다. 또, 상기와 같은 비공액 폴리엔 외에, 다른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를,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B) 성분을 구성하는 비공액 다이엔 등의 비공액 폴리엔의 함유량은, 0.01∼30질량%, 바람직하게는 0.1∼20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1∼10질량%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B)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탄소수 3∼20의 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로서, 에틸렌과 탄소수 3 이상의 α-올레핀의 비율인 에틸렌/탄소수 3 이상의 α-올레핀(질량비)이 40/60∼95/5인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B) 성분의 135℃ 데칼린 용매 중에서 측정한 극한 점도[η]는, 통상 1.0∼10.0dl/g, 바람직하게는 1.5∼7dl/g의 범위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B) 성분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DSC의 흡열 곡선으로부터 구해지는 융점(Tm)이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120℃ 미만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B) 성분의, 100℃에서의 무니 점도(ML1+4), 즉 JIS K6395의 방법에 의해 100℃에서 측정한 무니 점도(ML1+4)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4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B) 성분은, 이 중 특히, 100℃에서의 무니 점도(ML1+4)가 50∼120의 범위에 있다는 요건(B-b)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성분의 무니 점도(ML1+4)가 상기의 하한치 이상, 특히 50 이상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성형체나 발포체의 열수축률이 낮고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것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또한, (B) 성분의 무니 점도가 상기의 상한치 이하, 특히 120 이하인 경우에는, 얻어지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의 용융 성형 시의 유동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B) 성분이 요건(B-a) 및 (B-b) 중 적어도 1개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어느 한쪽을 만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B-a) 에틸렌 유래의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60∼95질량%의 범위에 있다.
(B-b) JIS K6395의 방법에 의해 100℃에서 측정한 무니 점도(ML1+4)가 50∼120의 범위에 있다.
또한, (B) 성분의 아이오딘가는, 3∼30인 것이 바람직하고, 5∼25의 범위에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B) 성분의 아이오딘가가 이와 같은 범위에 있으면, 얻어지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이, 균형 있게 가교되어, 성형성과 고무 탄성이 우수한 것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와 같은 (B) 성분은, 예를 들어, 올레핀 중합용 촉매의 존재하에, 에틸렌과, 탄소 원자수 3∼20의 α-올레핀과, 비공액 폴리엔을 공중합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B) 성분을 구성하는 α-올레핀 및 비공액 폴리엔은, 각각 1종 단독이어도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중에 있어서, (B) 성분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전술한 에틸렌계 공중합체(A)((A) 성분)와의 질량비[(A)/(B)]가, 통상 1/99∼95/5이며, 바람직하게는 하한치가 2/98,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한치가 4/96, 더 바람직하게는 하한치가 5/95, 특히 바람직하게는 하한치가 10/90이고, 바람직하게는 상한치가 80/20,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한치가 75/25, 더 바람직하게는 상한치가 39/61,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한치가 30/70의 범위이다. 또한, (B) 성분이 전술한 요건(B-a) 및 (B-b) 중 적어도 1개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A) 성분과 (B) 성분의 질량비[(A)/(B)]가 5/95∼30/70을 만족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A) 성분과 (B) 성분의 배합비가 이와 같은 범위를 만족시키는 경우에는, 반발 탄성과 열수축, 기계 특성의 균형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C)>
본 발명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C)를 함유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C)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C)의 극성 모노머로서는, 불포화 카복실산, 그의 염, 그의 에스터, 그의 아마이드, 바이닐 에스터, 일산화 탄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말레산 모노메틸, 말레산 모노에틸,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불포화 카복실산, 이들 불포화 카복실산의 리튬, 나트륨, 칼륨 등의 1가 금속의 염이나 마그네슘, 칼슘, 아연 등의 다가 금속의 염,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아이소프로필, 아크릴산 아이소뷰틸, 아크릴산 n-뷰틸, 아크릴산 아이소옥틸,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아이소뷰틸, 말레산 다이메틸 등의 불포화 카복실산 에스터, 아세트산 바이닐, 프로피온산 바이닐과 같은 바이닐 에스터, 일산화 탄소, 이산화 황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C)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와 같은 에틸렌·불포화 카복실산 공중합체, 상기 에틸렌·불포화 카복실산 공중합체의 카복실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금속으로 중화된 아이오노머, 에틸렌·아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아이소뷰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n-뷰틸 공중합체와 같은 에틸렌·불포화 카복실산 에스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아이소뷰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n-뷰틸·메타크릴산 공중합체와 같은 에틸렌·불포화 카복실산 에스터·불포화 카복실산 공중합체 및 그 카복실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금속으로 중화된 아이오노머,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와 같은 에틸렌·바이닐 에스터 공중합체 등을 대표예로서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특히, 에틸렌과, 불포화 카복실산, 그의 염, 그의 에스터 및 아세트산 바이닐로부터 선택되는 극성 모노머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특히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또는 그의 아이오노머나 에틸렌·(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 또는 그의 아이오노머,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유연성, 접착성 및 비용의 관점에서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C)로서는, 극성 모노머의 종류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극성 모노머 함량이 통상 1∼50질량%, 특히 5∼4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로서는 또한, 성형 가공성, 기계적 강도 등을 고려하면, 190℃, 2.16kg 하중에 있어서의 멜트 플로 레이트가 0.05∼500g/10분, 특히 0.1∼100g/10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과 불포화 카복실산, 불포화 카복실산 에스터, 바이닐 에스터 등의 공중합체는, 고온, 고압하의 라디칼 공중합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또한 에틸렌과 불포화 카복실산의 금속염의 공중합체(아이오노머)는, 에틸렌·불포화 카복실산 공중합체와 상당하는 금속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C)가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인 경우,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 중의 아세트산 바이닐 함유량은, 통상 10∼30질량%, 바람직하게는 15∼30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15∼25질량%이다.
또한, 이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는, 멜트 플로 레이트(MFR; ASTM D1238, 190℃, 하중 2.16kg)가, 바람직하게는 0.1g/10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g/10분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5g/10분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0g/10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g/10분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g/10분 이하이다.
본 발명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에 있어서,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C)는 임의 성분이지만, 이용한 경우에는, 얻어진 발포체층이 폴리유레테인, 고무, 피혁 등으로 이루어지는 다른 층과 접착성이 우수하여, 적층체로서도 바람직하다.
특히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C)가 에틸렌과 불포화 카복실산의 공중합체인 경우, 상기의 비율로 이용하면, 인열 강도 특성 및 폴리유레테인, 고무, 피혁 등으로 이루어지는 다른 층과 접착성이 우수한 가교 발포체를 제공할 수 있는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중에 있어서,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C)((C) 성분)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전술한 에틸렌계 공중합체(A)((A) 성분)와의 질량비[(A)/(C)]가, 바람직하게는 1/99∼39/61, 보다 바람직하게는 1/99∼29/71, 더 바람직하게는 1/99∼19/81의 범위이다. (A) 성분과 (C) 성분의 배합비가 이와 같은 범위를 만족시키는 경우에는, 성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발포제(D)>
본 발명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발포제(D)를 포함해도 된다. 발포제(D)를 함유하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은, 발포체, 가교 발포체의 제조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이 발포제(D)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발포제(D)의 종류에도 따르지만, 에틸렌계 공중합체(A), 에틸렌·탄소 원자수 3∼20의 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 고무(B) 및 필요에 따라서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C), 및 그 밖의 수지 성분의 합계 100질량부(즉 전체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발포제(D)가 바람직하게는 0.1∼3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25질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0.5∼20질량부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포제(D)로서는, 화학 발포제, 물리 발포제의 어느 것도 이용할 수 있다.
화학 발포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ADCA),
1,1'-아조비스(1-아세톡시-1-페닐에테인),
다이메틸-2,2'-아조비스뷰티레이트,
다이메틸-2,2'-아조비스아이소뷰티레이트,
2,2'-아조비스(2,4,4-트라이메틸펜테인),
1,1'-아조비스(사이클로헥세인-1-카보나이트릴),
2,2'-아조비스[N-(2-카복시에틸)-2-메틸-프로피온아미딘] 등의 아조 화합물;
N,N'-다이나이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민(DPT) 등의 나이트로소 화합물;
4,4'-옥시비스(벤젠설폰일하이드라자이드),
다이페닐설폰-3,3'-다이설폰일하이드라자이드 등의 하이드라진 유도체;
p-톨루엔설폰일세미카바자이드 등의 세미카바자이드 화합물;
트라이하이드라지노트라이아진 등의 유기계 열분해형 발포제, 더욱이,
탄산수소 나트륨, 탄산수소 암모늄 등의 중탄산염, 탄산 나트륨, 탄산 암모늄 등의 탄산염;
아질산 암모늄 등의 아질산염,
수소 화합물 등의 무기계 열분해형 발포제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ADCA), 탄산수소 나트륨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발포 시에 화학 반응을 반드시 수반하지는 않는 발포제인 물리 발포제로서는,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프로페인, 뷰테인, 펜테인, 헥세인 등의 각종 지방족 탄화수소류; 다이클로로에테인, 다이클로로메테인, 사염화 탄소 등의 각종염화 탄화수소류; 플론 등의 각종 불화염화 탄화수소류 등의 유기계 물리 발포제, 더욱이 공기, 이산화 탄소, 질소, 아르곤, 물 등의 무기계 물리 발포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증기로 할 필요가 없고, 염가이며, 환경 오염, 발화의 가능성이 극히 적은 이산화 탄소, 질소, 아르곤이 가장 우수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포제(D)로서 물리 발포제를 이용하면, 발포제의 분해 잔사가 없기 때문에, 조성물의 가교 발포 시에 있어서의 금형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물리 발포제는, 분상(粉狀)은 아니므로, 혼련성이 우수하다. 또한, 이 물리 발포제를 이용하면, 얻어지는 발포체의 이취(異臭)(ADCA 분해 시에 생성되는 암모니아 냄새 등)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발포제(D)로서, 취기(臭氣), 금형 오염 등의 악영향을 일으키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와 같은 화학 발포제를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해도 되며, 물리 발포제와 화학 발포제를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물리 발포제의 저장 방법으로서는, 소규모의 생산이면, 이산화 탄소, 질소 등을 봄베에 들어 있는 상태로 사용하여, 사출 성형기 및 압출 성형기 등에 감압 밸브를 통해서 공급할 수 있고, 또한 펌프 등에 의해 승압하여, 사출 성형기 및 압출 성형기 등에 공급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대규모로 발포 제품을 제조하는 설비이면, 액화 이산화 탄소, 액화 질소 등의 저장 탱크를 설치하고, 열교환기를 통해, 기화하고, 배관에 의해, 감압 밸브에 의해 사출 성형기 및 압출 성형기 등에 공급한다.
또한, 액상의 물리 발포제의 경우, 저장 압력으로서는, 0.13∼100MPa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제(D)로서 화학 발포제를 이용하는 경우, 화학 발포제는, 에틸렌계 공중합체(A), 에틸렌·탄소 원자수 3∼20의 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 고무(B) 및 필요에 따라서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C), 및 그 밖의 수지 성분의 합계 100질량부(즉 전체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2∼3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3∼20질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5∼15질량부의 비율로 이용된다. 단, 화학 발포제의 사용량은, 사용하는 발포제의 종류·그레이드에 따라 발생 가스량이 상이하기 때문에, 목적하는 발포 배율에 따라, 적절히 증감될 수 있다.
또한, 발포제(D)로서 물리 발포제를 이용하는 경우, 물리 발포제의 첨가량은, 원하는 발포 배율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되지만, 에틸렌계 공중합체(A), 에틸렌·탄소 원자수 3∼20의 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 고무(B) 및 필요에 따라서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C), 및 그 밖의 수지 성분의 합계 100질량부(즉 전체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0.1∼15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0질량부이다.
본 발명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발포제(D)와 함께 발포 조제를 함유해도 된다. 발포 조제는, 발포제(D)의 분해 온도의 저하, 분해 촉진, 기포의 균일화 등의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은 발포 조제로서는, 산화 아연(ZnO), 스테아르산 아연, 살리실산, 프탈산, 스테아르산, 옥살산 등의 유기 산, 요소 또는 그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가교제(E)>
본 발명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가교제(E)를 포함해도 된다. 가교제(E)를 함유하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은, 가교 성형체, 가교 발포체의 제조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가교제(E)로서는, 가교제로서 작용하는 라디칼 발생제를 특별히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이 가교제(E)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수지 성분의 특성이나 원하는 가교 정도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되지만, 에틸렌계 공중합체(A), 에틸렌·탄소 원자수 3∼20의 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 고무(B) 및 필요에 따라서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C), 및 그 밖의 수지 성분의 합계 100질량부(즉 전체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0.1∼2.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3∼1.8질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0.6∼1.6질량부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E)를 이와 같은 양으로 함유하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을 이용하면, 적당한 가교 구조를 갖는 성형체나 발포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가교제(E)로서는, 유기 과산화물이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구체적으로는,
다이큐밀 퍼옥사이드,
다이-t-뷰틸 퍼옥사이드,
2,5-다이메틸-2,5-다이-(t-뷰틸퍼옥시)헥세인,
2,5-다이메틸-2,5-다이-(t-뷰틸퍼옥시)헥신-3,
1,3-비스(t-뷰틸퍼옥시아이소프로필)벤젠,
1,1-비스(t-뷰틸퍼옥시)-3,3,5-트라이메틸사이클로헥세인,
n-뷰틸-4,4-비스(t-뷰틸퍼옥시)발레레이트,
벤조일 퍼옥사이드,
p-클로로벤조일 퍼옥사이드,
2,4-다이클로로벤조일 퍼옥사이드,
t-뷰틸퍼옥시 벤조에이트,
t-뷰틸 퍼벤조에이트,
t-뷰틸퍼옥시아이소프로필 카보네이트,
다이아세틸 퍼옥사이드,
라우로일 퍼옥사이드,
t-뷰틸큐밀 퍼옥사이드 등의 유기 퍼옥사이드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다이큐밀 퍼옥사이드가 바람직하다.
<가교 조제(F)>
본 발명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이, 가교제(E)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가교제(E)와 함께 필요에 따라서 가교 조제(F)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가교 조제(F)로서는, 예를 들면, 황, p-퀴논다이옥심, p,p'-다이벤조일퀴논다이옥심, N-메틸-N-4-다이나이트로소아닐린, 나이트로소벤젠, 다이페닐구아니딘,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N,N'-m-페닐렌다이말레이미드와 같은 퍼옥시 가교용 조제; 혹은 다이바이닐벤젠, 트라이알릴 사이아누레이트(TAC), 트라이알릴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TAIC)를 들 수 있다.
또한, 가교 조제(F)로서는, 에틸렌 글라이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트라이메타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다작용성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바이닐 뷰티레이트, 바이닐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다작용성 바이닐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트라이알릴 사이아누레이트(TAC), 트라이알릴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TAIC)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가교 조제는, 가교 조제(F)와 가교제(E)의 질량비[가교 조제(F)/가교제(E)]가 바람직하게는 1/30∼5/1,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3/1, 더 바람직하게는 1/15∼2/1이 되는 양, 특히 바람직하게는 1/10∼1/1이 되는 양으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의 성분>
본 발명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서, 전술한 각 성분 이외의 그 밖의 성분을 임의 성분으로서 함유해도 되고, 예를 들어, 필러, 내열 안정제, 내후 안정제, 난연제, 염산 흡수제, 안료 등의 각종 첨가제, 전술한 성분(A)∼(C) 이외의 수지 성분 등을 함유해도 된다. 각종 첨가제로서는, 올레핀계 수지에 첨가할 수 있는 첨가제로서 공지된 것을 들 수 있다.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의 조제≫
본 발명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은, 전술한 각 성분을 공지된 방법에 의해 축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혼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은, 펠릿상, 시트상 등의 형태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의 펠릿은, 에틸렌계 공중합체(A), 에틸렌·탄소 원자수 3∼20의 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 고무(B), 및 필요에 따라서,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C), 발포제(D), 가교제(E), 가교 조제(F), 및 첨가제 등의 임의 성분을, 전술한 비율에 의해 헨셸 믹서 등으로 혼합하고, 밴버리 믹서, 롤, 압출기 등의 혼련기로, 발포제(D)나 가교제(E)가 분해되지 않는 온도에서 용융 가소화하고, 균일하게 혼합 분산시켜 조립기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한편 가교 발포의 방법으로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열처리에 의한 가교, 전리성 방사선 가교 등을 들 수 있다. 열처리에 의한 가교의 경우에는, 이 조성물 중에, 가교제(E) 및 가교 조제(F)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리성 방사선에 의한 가교의 경우에는, 가교 조제(F)를 배합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의 시트는,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이 해서 얻어진 펠릿을 압출기 혹은 캘린더 성형기를 이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혹은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을, 브라벤더 등으로 혼련한 후, 캘린더 롤로 시트상으로 성형하는 방법, 프레스 성형기로 시트화하는 방법, 또는 압출기를 이용하여 혼련한 후 T 다이 또는 환상 다이를 통하여 시트화하는 방법 등에 의해, 미가교이면서 미발포 상태의 발포성 시트를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은, 사출 성형이나 발포 성형 등의 각종 성형 용도에 이용할 수 있고, 또한, 가교체 혹은 가교 발포체의 제조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발포체의 제조≫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가교 발포체 등의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다. 발포체의 제조에는, 발포제(D), 가교제(E)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발포체의 제조에 이용되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은, 미가교이면서 미발포 상태이며, 용융 상태여도 되고, 또한, 냉각 고화된 펠릿 또는 시트여도 된다.
본 발명의 발포체(비가교 또는 가교 발포체)는, 그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방법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본 발명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시트를, 캘린더 성형기, 프레스 성형기, T 다이 압출기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이 시트 성형 시에 있어서는, 발포제(D) 및 유기 퍼옥사이드 등의 가교제(E)의 분해 온도 이하에서 시트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100∼130℃의, 수지 성분이 용융 상태가 되는 온도 조건으로 설정해서 시트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시트로부터, 일차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130∼200℃로 유지된 금형에, 금형의 용적에 대해서 1.0∼1.2의 범위로 재단하여, 금형 내에 삽입하고, 금형의 형체(型締) 압력은 예를 들면 30∼300kgf/cm2로 하고, 유지 시간은 예를 들면 10∼90분의 조건하에서, 일차 발포체(비가교 또는 가교 발포체)를 제작한다. 즉 열처리에 의해 발포체(비가교 또는 가교 발포체)를 제조한다. 한편 유지 시간은, 금형의 두께에 의존하기 때문에, 이 범위를 초과해서, 적절히 증감될 수 있다.
상기 (가교) 발포체용 금형은, 그 형상은 특별히 제한은 되지 않지만, 통상 시트가 얻어지는 형상을 갖고 있는 금형이 이용된다. 이 금형은, 용융 수지 및 발포제 분해 시에 발생하는 가스가 빠지지 않도록, 완전히 밀폐된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형틀로서는, 내면에 테이퍼가 붙어 있는 형틀이 수지의 이형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법 이외에도,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을 압출기로부터 압출하고, 대기 중에 해방함과 동시에 발포시키는 압출 발포법에 의해, 본 발명의 발포체를 제조할 수도 있다. 즉 열처리에 의해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을, 발포제(D) 및 가교제(E)의 분해 온도 이하에서 금형 내에 사출하고, 금형 내에서 예를 들면 130℃∼200℃ 정도의 온도로 유지하여 가교 발포시키는 방법(사출 발포법)도 들 수 있다. 즉 열처리에 의해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진 발포체를, 압축 성형에 의해 소정의 형상의 부여를 행할 수 있다. 이때의 압축 성형 조건의 일례를 들면, 금형 온도가 130∼200℃, 형체 압력이 30∼300kgf/cm2, 압축 시간이 5∼60분, 압축비가 1.1∼3.0, 바람직하게는 1.3∼2의 범위이다.
또한, 전리성 방사선 조사에 의한 가교 방법에 의해 가교 발포체를 얻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유기계 열분해형 발포제인 발포제(D)를 포함하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을, 유기계 열분해형 발포제의 분해 온도 미만의 온도에서 용융 혼련 하고, 얻어진 혼련물을 예를 들어 시트상으로 성형하여, 시트상의 발포체를 얻고, 이어서 얻어진 시트상의 발포체에 전리성 방사선을 소정량 조사하여 시트상 발포체를 가교시킨 후, 얻어진 시트상의 가교 발포체를 유기계 열분해형 발포제의 분해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발포시키는 것에 의해, 시트상의 가교 발포체를 얻을 수 있다. 즉 열처리에 의해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다. 전리성 방사선으로서는, α선, β선, γ선, 전자선, 중성자선, X선 등이 이용된다. 이 중 코발트-60의 γ선, 전자선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발포체의 제품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시트상, 후물(厚物) 보드상, 네트상, 형물(型物)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해서 얻어진 가교 발포체에 대하여, 압축 성형에 의해 소정의 형상의 부여를 행하는 것에 의해 이차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의 압축 성형 조건의 일례를 들면, 금형 온도가 130∼200℃, 형체 압력이 30∼300kgf/cm2, 압축 시간이 5∼60분, 압축비가 1.1∼3.0의 범위이다.
상기와 같은 제조법 중에서도,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을 열처리하여 발포체를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체는, 가교 발포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을 발포시켜 얻어지는 본 발명의 발포체는, 비중이 0.03∼0.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발포체도 후술하는 적층체, 신발 또는 신발용 부품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적층체≫
본 발명의 적층체는, 전술한 본 발명의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층과, 폴리올레핀, 폴리유레테인, 고무, 피혁 및 인공 피혁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는 적층체이다.
상기의 폴리올레핀, 폴리유레테인, 고무, 피혁 및 인공 피혁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종래 공지된 폴리올레핀, 폴리유레테인, 고무, 피혁, 인공 피혁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적층체는, 특히 신발 내지 신발용 부품의 용도에 적합하다.
≪신발, 신발용 부품≫
본 발명의 신발 내지 신발용 부품은, 상기한, 본 발명의 발포체 또는 적층체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신발용 부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신발창, 신발의 미드솔, 이너솔, 솔, 샌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신발 또는 신발용 부품은, 본 발명의 발포체 또는 적층체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경량이고, 장기간의 사용에 의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각종 물성은 이하와 같이 해서 측정 혹은 평가했다.
[공중합체의 물성 평가]
이중 결합량
이중 결합량의 정량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1H-NMR 측정(니혼 전자(주)제, 「ECX400P형 핵자기 공명 장치」)에 의해 행했다. 여기에서, 이중 결합에서 유래하는 시그널로서, 바이닐형 이중 결합, 바이닐리덴형 이중 결합, 2치환 올레핀형 이중 결합 및 3치환 올레핀형 이중 결합이 관측된다. 각 시그널의 적분 강도로부터 이중 결합량을 정량했다. 한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주쇄 메틸렌 시그널을 케미컬 시프트 기준(1.2ppm)으로 했다.
[화학식 6]
각 식 중, *는 수소 원자 이외의 원자와의 결합손을 나타낸다.
각 수소 원자 a∼e의 피크는, 하기 부근에 관측된다.
· 수소 원자 a의 피크: 4.60ppm
· 수소 원자 b의 피크: 4.85ppm
· 수소 원자 c의 피크: 5.10ppm
· 수소 원자 d의 피크: 5.25ppm
· 수소 원자 e의 피크: 5.70ppm
이중 결합량의 정량식은, 이하와 같다.
· 바이닐형 이중 결합량={(시그널 b의 적분 강도)+(시그널 e의 적분 강도)}/3
· 바이닐리덴형 이중 결합량=(시그널 a의 적분 강도)/2
· 2치환 올레핀형 이중 결합량=(시그널 d의 적분 강도)/2
· 3치환 올레핀형 이중 결합량=(시그널 c의 적분 강도)
이들 결과로부터, 탄소수 1000개(1000C)당의 바이닐기 함유량(바이닐형 이중 결합량)을 구했다.
밀도 d
밀도 d(kg/m3)는, ASTM D1505에 따라, 23℃에서 구했다.
MFR
MFR(멜트 플로 레이트, g/10분)은, ASTM D1238에 따라, 190℃에서 구했다. 2.16kg 하중에서의 측정치를 MFR2.16, 10kg 하중에서의 측정치를 MFR10으로 했다.
분자량 분포(Mw/Mn)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오쏘다이클로로벤젠 용매, 140℃에서 구했다. Waters사제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프 Alliance GPC-2000형을 이용하여, 이하와 같이 해서 측정했다. 분리 컬럼은, TSKgel GNH6-HT를 2개, 및 TSKgel GNH6-HTL을 2개이며, 컬럼 사이즈는 모두 직경 7.5mm, 길이 300mm이고, 컬럼 온도는 140℃로 하고, 이동상으로는 o-다이클로로벤젠(와코 준야쿠 공업) 및 산화 방지제로서 BHT(다케다 약품) 0.025질량%를 이용하여, 1.0ml/분으로 이동시키고, 시료 농도는 15mg/10ml로 하고, 시료 주입량은 500μl로 하고, 검출기로서 시차 굴절계를 이용했다. 표준 폴리스타이렌은, 분자량이 Mw<1000, 및 Mw>4×106에 대해서는 도소사제를 이용하고, 1000≤Mw≤4×106에 대해서는 프레셔 케미컬사제를 이용했다.
융점(Tm)
시차 주사 열량계〔SII사 DSC220〕를 이용하여, 약 5.0mg의 시료를 질소 분위기하에서 30℃부터 승온 속도 10℃/min으로 200℃까지 승온하고, 그 온도에서 10분간 유지했다. 추가로 강온 속도 10℃/min으로 30℃까지 냉각하고, 그 온도에서 5분간 유지한 후, 승온 속도 10℃/min으로 200℃까지 승온했다. 이 2번째의 승온 시에 관측되는 흡열 피크를 융해 피크로 하고, 융해 피크가 나타나는 온도를 융점(Tm)으로서 구했다.
무니 점도(ML 1+4 )
무니 점도(ML1+4)는, JIS K6395의 방법에 의해 100℃에서 측정을 행했다.
[가교 발포체의 물성 평가]
비중
비중은, JIS K7222에 따라 측정했다. 샘플은, 발포체가 입방체이면 최대 면적의 평면의 사방으로부터 각각 20mm 이상 내부, 또한 해당 평행 평면의 표면으로부터 스킨을 남긴 상태로 샘플링했다. 예를 들면 미드솔의 경우, 단부로부터 각각 20mm 이상 내부, 대략 평행 평면의 양 표면으로부터 스킨을 남긴 상태로 샘플을 조제했다.
측정은 발포체의 5 부위의 평균으로 한다. 또한 발포체의 품질의 균일성의 척도인, 5 부위의 비중의 측정치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가 0.0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6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가 0.08을 초과하면, 성형체 품질(경도, 기계 물성, 압축영구변형 등)이 일정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스카 C 경도
아스카 C 경도는, JIS K7312-1996 부속서 2에 기재된 「스프링 경도 시험 타입 C 시험 방법」에 따라, 23℃ 환경하에서 측정을 행했다.
반발 탄성
반발 탄성은, JIS K6255에 준해서 측정을 행했다. 샘플은 상기 (2) 압축영구변형(CS)에 사용하는 샘플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제한 샘플을 준비하여, 23℃ 분위기하에서 측정을 행했다.
층간 인열 강도
층간 인열 강도는, 시험 온도 23℃ 환경하, 시험기는 인테스코 205X를 이용하여 측정을 행했다. 단책상(短冊狀)으로 폭 25mm, 두께 15mm로 조제한 샘플을 척간 30mm로 세팅하고, 시험 속도 50mm/min으로 두께 방향으로 박리했다. 층간 인열 강도 S(N/mm)는 다음 식으로 계산했다.
S=S0/S1
S0: 인열 응력(N)
S1: 샘플 폭(mm)
압축영구변형(CS)
압축영구변형(CS)은, JIS K6262에 준해서 측정을 행했다. 샘플은, 발포체를φ 30mm, 두께 15mm 이상의 원기둥형으로 잘라내고, 원기둥의 2개의 평행 평면의 각각에 대하여, 해당 평행 평면의 표면으로부터 발출하여, 다른 쪽에 스킨을 남긴 상태로 두께 10mm로 한 것을 이용했다.
한편, 샘플 채취 대상이 되는 발포체가, 여러 가지 형상의 입체인 경우에도, φ 30mm, 두께 15mm 이상의 원기둥형으로 잘라내고, 원기둥의 2개의 평행 평면의 각각에 대하여, 해당 평행 평면의 표면으로부터 발출하여, 다른 쪽에 스킨을 남긴 상태로 두께를 10mm로 함으로써 샘플로 했다.
발포체로부터 원기둥형으로의 잘라내기, 및 평행 평면의 표면으로부터의 발포체의 절취는 원기둥 뽑기 덤벨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샘플을, 50% 압축, 50℃ 환경에서 6시간 정치하고, 압축으로부터 해방하여 30분 후에 측정했다. 압축영구변형(CS)(%)은, 이하의 식에 의해 산출했다.
CS=(t0-t1)/(t0-t2)×100
t0: 샘플 원래 두께(mm)
t1: 샘플을 압축 장치로부터 꺼낸지 30분 후의 두께(mm)
t2: 스페이서 두께(mm)
열수축률
열수축률은, 성형 후의 발포체를 70℃ 환경에서 60분 열처리하고, 23℃ 환경하에 꺼내고 30분 후에 측정했다. 열수축률(Sh)(%)은, 이하의 식에 의해 산출했다.
Sh=s1/s0×100
s0: 열처리 전의 샘플 세로 길이(mm)
s1: 열처리 후의 샘플 세로 길이(mm)
[실시예 1]
에틸렌·1-뷰텐 공중합체(A-1)의 제조
교반 날개를 구비한 내용적 100L의 스테인리스제 중합기(교반 회전수=250rpm)를 이용하여, 중합 온도 130℃, 중합 압력 2.5MPaG에서, 연속적으로 에틸렌과 1-뷰텐의 공중합을 행했다. 중합기 측부로부터 매시(每時), 탈수 정제한 헥세인을 22L, 에틸렌을 4.8kg, 1-뷰텐을 2.0kg의 속도로, 또한 수소를 100NL, 다이(p-톨릴)메틸렌(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옥타메틸옥타하이드로다이벤조플루오렌일)지르코늄 다이클로라이드를 0.003mmol, 메틸알루미녹세인을 알루미늄 환산으로 1.5mmol, 트라이아이소뷰틸알루미늄을 5mmol의 속도로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공중합 반응을 행했다. 생성된 에틸렌·1-뷰텐 공중합체의 헥세인 용액을, 중합기 측벽부에 마련된 배출구를 개재시켜, 중합기 내 용액량 28L를 유지하도록 액면 제어 밸브의 개방도를 조절하면서 연속적으로 배출했다. 얻어진 에틸렌·1-뷰텐 공중합체의 헥세인 용액을 가열기로 유도하여 180℃로 승온시키고, 촉매 실활제로서 매시, 메탄올을 80mL로 첨가하여 중합을 정지시키고, 감압한 탈휘 공정에 연속적으로 이송하여 건조하는 것에 의해, 에틸렌·1-뷰텐 공중합체(A-1)을 얻었다.
상기와 같이 해서 얻어진 에틸렌·1-뷰텐 공중합체(A-1)은, 밀도 d가 905kg/m3, MFR2.16이 0.5g/10분, MFR10이 3.9g/10분, MFR10/MFR2.16이 7.8, Mw/Mn이 2.1, 바이닐형 이중 결합량이 0.049개/1000C, 융점이 94℃, 수량(收量)이 매시 7.0kg이었다.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가교 발포체의 제조
상기에서 얻은 에틸렌·1-뷰텐 공중합체(A-1) 5질량부, 공중합체 고무(B-1)(EPDM, 상품명 미쓰이 EPT3092PM, 미쓰이 화학(주)제) 20질량부, 에틸렌 바이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C-1)(VA 함량=28wt%, 상품명 에바플렉스 EV270, 미쓰이·다우 폴리케미컬(주)제) 75질량부, 아크릴레이트 유도체 마스터배치(상품명 ZnRicon50, Sambu fine chemical사제) 0.6질량부, 산화 아연 2.0질량부, 스테아르산 0.7질량부, 아크릴레이트 유도체 마스터배치(상품명 IB50, Sambu fine chemical사제) 0.6질량부, 산화 타이타늄 5.0질량부, 스테아르산 아연 1.0질량부, 다이큐밀 퍼옥사이드(DCP) 1.0질량부,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 4.7질량부, 및 실리콘 고무(고분자 실리콘 고무 콤파운드, 상품명 CF201U, 다우 코닝사제) 2질량부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롤에 의해, 롤 표면 온도 120℃에서 10분간 혼련한 후, 2축 테이퍼 스크루가 부속된 단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혼합물이 가교, 발포를 개시하지 않는 온도 이하(130℃ 정도)에서 펠릿화했다. 여기에서, 공중합체(B-1)은, 에틸렌 유래의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65질량%, 100℃에서 측정한 무니 점도(ML1+4)가 90이었다.
얻어진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의 펠릿을, 사출 발포 성형기(KingSteel사제)에 투입하여, 가교 발포체를 얻었다. 금형 조건은 100kg/cm2, 170℃, 7분이고, 사출 발포의 조건(사출 실린더 조건)은, 사출 압력 90kg/cm2, 실린더 온도 설정: C1/C2/C3/C4=80/85/90/95℃, 사출 속도: C1/C2/C3/C4=28/26/24/22%로 설정했다. 금형 사이즈는, 두께 10mm, 세로 180mm, 가로 60mm로 했다.
얻어진 가교 발포체를, 성형 직후에, 60℃에서 30분간 어닐링을 실시하고, 24시간 후에 비중, 압축영구변형, 아스카 C 경도, 반발 탄성, 층간 인열 강도, 열수축률을 상기 방법에 따라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아울러 나타낸다.
한편 이 가교 발포체에 대하여 190℃, 2.16kg 하중에서 MFR 측정을 시도했지만, 전혀 유동하지 않았다. 즉 MFR2 .16은 0.01g/10분보다도 낮은 것이었다.
[실시예 2]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가교 발포체의 제조, 및 물성 평가 및 성형 안정성 평가
실시예 1에 있어서, 다이큐밀 퍼옥사이드(DCP) 0.9질량부,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 4.4질량부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펠릿 및 가교 발포체의 제조, 및 물성의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1에 아울러 나타낸다.
[실시예 3]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가교 발포체의 제조, 및 물성 평가 및 성형 안정성 평가
실시예 1에 있어서, 다이큐밀 퍼옥사이드(DCP) 0.8질량부,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 4.2질량부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펠릿 및 가교 발포체의 제조, 및 물성의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1에 아울러 나타낸다.
[비교예 1]
에틸렌·1-뷰텐 공중합체(A-2)의 제조
교반 날개를 구비한 실질 내용적 1L의 스테인리스제 중합기(교반 회전수=500rpm)를 이용하여, 중합 온도 130℃에서, 만액 상태로 연속적으로 에틸렌과 1-뷰텐의 공중합을 행했다. 중합기 측부로부터 액상으로 매시, 헥세인을 1.82L, 에틸렌을 56g, 1-뷰텐을 40g의 속도로, 또한 수소를 0.6NL, 비스(p-톨릴)메틸렌(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1,1,4,4,7,7,10,10-옥타메틸-1,2,3,4,7,8,9,10-옥타하이드로다이벤즈(b,h)-플루오렌일)지르코늄 다이클로라이드를 0.0001mmol, 메틸알루미녹세인/톨루엔 용액을 알루미늄 환산으로 0.05mmol, 트라이아이소뷰틸알루미늄을 1.0mmol의 속도로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중합 압력 3.8MPaG가 되도록 유지하여 공중합 반응을 행했다. 한편, 연속적으로 얻어진 에틸렌·1-뷰텐 공중합체의 헥세인 용액을 홀드 드럼에 저장하고, 거기에 촉매 실활제로서, 매시, 메탄올을 0.2ml로 첨가하여 중합을 정지했다.
얻어진 에틸렌·1-뷰텐 공중합체의 헥세인 용액을, 1시간마다 발출하여 2L의 메탄올 중에서 중합 용액으로부터 폴리머를 석출하고, 진공하 130℃, 10시간 건조하여 에틸렌·1-뷰텐 공중합체(A-2)를 얻었다.
상기와 같이 해서 얻어진 에틸렌·1-뷰텐 공중합체(A-2)는, 밀도 d가 905kg/m3, MFR2.16이 1.2g/10분, MFR10이 7.9g/10분, MFR10/MFR2.16이 6.6, Mw/Mn이 2.0, 바이닐형 이중 결합량이 0.020개/1000C, 융점이 94℃, 수량이 매시 43.5g이었다.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가교 발포체의 제조, 및 물성 평가 및 성형 안정성 평가
실시예 1에 있어서, 에틸렌·1-뷰텐 공중합체(A-1) 대신에 에틸렌·1-뷰텐 공중합체(A-2)를 이용하고,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의 첨가량을 4.6질량부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펠릿 및 가교 발포체의 제조, 및 물성의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1에 아울러 나타낸다.
[비교예 2]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가교 발포체의 제조, 및 물성 평가 및 성형 안정성 평가
실시예 1에 있어서, 에틸렌·1-뷰텐 공중합체(A-1) 0질량부, EPDM[상품명 미쓰이 EPT3092PM] 25질량부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펠릿 및 가교 발포체의 제조, 및 물성의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1에 아울러 나타낸다.
[실시예 4∼7]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가교 발포체의 제조, 및 물성 평가 및 성형 안정성 평가
실시예 1에 있어서, 에틸렌·1-뷰텐 공중합체(A-1), 공중합체 고무(B-1), 다이큐밀 퍼옥사이드(DCP) 및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의 배합량을, 표 1에 기재된 양(질량부)으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펠릿 및 가교 발포체의 제조, 및 물성의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1에 아울러 나타낸다.
[실시예 8∼10]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가교 발포체의 제조, 및 물성 평가 및 성형 안정성 평가
실시예 1에 있어서, 공중합체 고무(B-1) 대신에, 공중합체 고무(B-2)(EPDM, 상품명 미쓰이 EPT2060M, 미쓰이 화학(주)제, 에틸렌 유래의 구성 단위의 함유량: 55질량%, 100℃에서 측정한 무니 점도(ML1+4): 60)를 이용하고, 각 성분의 배합량을, 표 1에 기재된 양(질량부)으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펠릿 및 가교 발포체의 제조, 및 물성의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1에 아울러 나타낸다.
[실시예 11]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가교 발포체의 제조, 및 물성 평가 및 성형 안정성 평가
실시예 1에 있어서, 공중합체 고무(B-1) 대신에, 공중합체 고무(B-3)(EPDM, 상품명 미쓰이 EPT3045, 미쓰이 화학(주)제, 에틸렌 유래의 구성 단위의 함유량: 56질량%, 100℃에서 측정한 무니 점도(ML1+4): 40) 20질량부를 이용하고,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의 첨가량을 4.6질량부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펠릿 및 가교 발포체의 제조, 및 물성의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1에 아울러 나타낸다.
[비교예 3]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가교 발포체의 제조, 및 물성 평가 및 성형 안정성 평가
실시예 1에 있어서, 공중합체 고무(B-1) 0질량부, 에틸렌 바이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C-1) 75질량부,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 3.5질량부, 다이큐밀 퍼옥사이드(DCP) 0.9질량부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펠릿 및 가교 발포체의 제조, 및 물성의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1에 아울러 나타낸다. 얻어진 가교 성형체는, 실시예 1∼3의 것과 비교해서, 반발 탄성이 낮은 것이었다.
가교 발포체의 평가 결과 및 성형 안정성 평가 결과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특정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에틸렌·탄소 원자수 3∼20의 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 고무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에는, 바이닐기 함량이 적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이용한 비교예 1이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이용하지 않은 비교예 2, 에틸렌·탄소 원자수 3∼20의 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 고무를 이용하지 않은 비교예 3과 비교해서, 열수축률이 작고, 인열 강도가 우수하고, 압축영구변형이 작은 것과 같은 특성을 균형 좋게 갖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2]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가교 발포체의 제조, 및 물성 평가 및 성형 안정성 평가
에틸렌·1-뷰텐 공중합체(A-1) 20질량부, 공중합체 고무(B-1) 80질량부, 산화 아연 2.0질량부, 스테아르산 1.0질량부, 산화 타이타늄 5.0질량부,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 4.5질량부 및 다이큐밀 퍼옥사이드(DCP) 0.3질량부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펠릿을 제조했다.
얻어진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의 펠릿을 프레스 금형에 충전하고, 150kg/cm2, 170℃, 13분의 조건에서 가압, 가열하여 발포체를 얻었다. 이 프레스의 금형의 사이즈는, 두께 12.5mm, 세로 175mm, 가로 105mm였다.
얻어진 가교 발포체를, 성형 직후에, 60℃에서 30분간 어닐링을 실시하고, 24시간 후에 비중, 압축영구변형, 아스카 C 경도, 반발 탄성, 층간 인열 강도를 상기 방법에 따라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가교 발포체의 제조, 및 물성 평가 및 성형 안정성 평가
에틸렌·1-뷰텐 공중합체(A-1) 100질량부, 공중합체 고무(B-1) 0질량부,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 5.5질량부 및 다이큐밀 퍼옥사이드(DCP) 1질량부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해서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펠릿 및 가교 발포체의 제조, 및 물성의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2에서 얻어진 가교 발포체는, 반발 탄성이 높고 압축영구변형이 작은 데 비해, 에틸렌·탄소 원자수 3∼20의 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 고무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4에서 얻어진 가교 발포체는, 압축영구변형은 작기는 하지만, 반발 탄성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은, 각종 성형체, 발포체의 제조에 적합하고, 특히 가교 성형체, 가교 발포체의 제조에 적합하며, 종래 공지된 용도에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성형체, 발포체, 적층체는, 자동차 내장 표피재, 웨더 스트립 스펀지, 보디 패널, 스티어링 휠, 사이드 실드 등의 자동차 내외장 부품; 지반 개량용 시트, 상수판, 소음 방지벽 등의 토목·건재; 공업 부품; 신발창, 샌들 등의 신발용 부품; 전선 피복재, 커넥터, 캡 플러그 등의 전기·전자 부품; 골프 클럽 그립, 야구 배트 그립, 수영용 핀, 수중 안경 등의 스포츠·레저 용품; 개스킷, 방수포, 가든 호스, 벨트, 탈수 시트, 화장용 퍼프 등의 잡화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신발창, 신발의 미드솔, 이너솔, 솔, 샌들 등의 신발용 부품으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에틸렌과, 탄소수 3∼20의 α-올레핀만을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로서, 하기 (A-a), (A-b), (A-c) 및 (A-d)의 요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에틸렌계 공중합체(A)와,
    에틸렌·탄소 원자수 3∼20의 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 고무(B)와,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C)
    를 포함하고,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A)와, 상기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C)의 질량비[(A)/(C)]가, 1/99~19/81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A-a) 1H-NMR에 의해 구해지는 탄소수 1000개당의 바이닐기 함유량이 0.025∼0.3개의 범위에 있다.
    (A-b) MFR10/MFR2.16이 7∼20의 범위에 있다. (단, MFR10은, ASTM D1238의 방법에 의해 190℃, 10kg 하중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 레이트이며, MFR2.16은, ASTM D1238의 방법에 의해 19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 레이트이다)
    (A-c) 밀도가 0.850∼0.910g/cm3의 범위에 있다.
    (A-d) ASTM D1238의 방법에 의해 19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 레이트(MFR2.16)가, 0.01∼200g/10분의 범위에 있다.
  2. 에틸렌과, 탄소수 3∼20의 α-올레핀만을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로서, 하기 (A-a), (A-b), (A-c) 및 (A-d)의 요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에틸렌계 공중합체(A) 5∼30질량부와,
    하기 (B-a) 및 (B-b) 중 적어도 1개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에틸렌·탄소 원자수 3∼20의 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 고무(B) 95∼70질량부(단, 에틸렌계 공중합체(A)와, 에틸렌·탄소 원자수 3∼20의 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 고무(B)의 합계를 100질량부로 한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A-a) 1H-NMR에 의해 구해지는 탄소수 1000개당의 바이닐기 함유량이 0.025∼0.3개의 범위에 있다.
    (A-b) MFR10/MFR2.16이 7∼20의 범위에 있다. (단, MFR10은, ASTM D1238의 방법에 의해 190℃, 10kg 하중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 레이트이며, MFR2.16은, ASTM D1238의 방법에 의해 19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 레이트이다)
    (A-c) 밀도가 0.850∼0.910g/cm3의 범위에 있다.
    (A-d) ASTM D1238의 방법에 의해 19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 레이트(MFR2.16)가, 0.01∼200g/10분의 범위에 있다.
    (B-a) 에틸렌 유래의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60∼95질량%의 범위에 있다.
    (B-b) JIS K6395의 방법에 의해 100℃에서 측정한 무니 점도(ML1+4)가 50∼120의 범위에 있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A)와, 에틸렌·탄소 원자수 3∼20의 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 고무(B)의 질량비[(A)/(B)]가, 5/95∼80/2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A)가 에틸렌·1-뷰텐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5. 제 2 항에 있어서,
    추가로 에틸렌·극성 모노머 공중합체(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6. 삭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추가로 발포제(D), 가교제(E),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8. 제 7 항에 기재된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을 가교 발포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체.
  9. 제 8 항에 있어서,
    JIS K6255의 방법에 의해 측정한 반발 탄성률이 5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체.
  10. 제 8 항에 있어서,
    발포체를 70℃ 환경에서 60분 열처리한 후, 23℃ 환경하에서 30분 경과 후의 열수축률(Sh)이, 3.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체.
  11. 제 8 항에 기재된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층과, 폴리올레핀, 폴리유레테인, 고무, 피혁 및 인공 피혁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2. 제 8 항에 기재된 발포체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3. 제 8 항에 기재된 발포체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부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용 부품이, 미드솔, 이너솔 또는 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부품.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을 발포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발포체의 제조 방법.
KR1020227006021A 2019-10-29 2020-10-20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및 그 용도 KR1026819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96473 2019-10-29
JP2019196473 2019-10-29
PCT/JP2020/039320 WO2021085225A1 (ja) 2019-10-29 2020-10-20 エチレン系共重合体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391A KR20220042391A (ko) 2022-04-05
KR102681950B1 true KR102681950B1 (ko) 2024-07-05

Family

ID=75715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6021A KR102681950B1 (ko) 2019-10-29 2020-10-20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372260A1 (ko)
EP (2) EP4417648A1 (ko)
JP (1) JP7369200B2 (ko)
KR (1) KR102681950B1 (ko)
CN (2) CN114364733B (ko)
BR (1) BR112022007685A2 (ko)
TW (1) TWI817050B (ko)
WO (1) WO202108522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8619A (ja) 2007-06-15 2008-12-25 Mitsui Chemicals Inc エチレン系共重合体、該共重合体を含む組成物ならびにその用途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85097A (en) 1987-01-30 1992-02-16 Exxon Chemical Patents Inc Catalysts based on derivatives of a bis(cyclopentadienyl)group ivb metal compound,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in polymerization processes
PL276385A1 (en) 1987-01-30 1989-07-24 Exxon Chemical Patents Inc Method for polymerization of olefines,diolefins and acetylene unsaturated compounds
US5155080A (en) 1988-07-15 1992-10-13 Fina Technology, Inc. Process and catalyst for producing syndiotactic polyolefins
JP2693517B2 (ja) 1988-09-14 1997-12-24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ベンゼン不溶性の有機アルミニウムオキシ化合物の製造方法
US4960878A (en) 1988-12-02 1990-10-02 Texas Alkyls, Inc. Synthesis of methylaluminoxanes
US5041584A (en) 1988-12-02 1991-08-20 Texas Alkyls, Inc. Modified methylaluminoxane
ATE137770T1 (de) 1989-10-10 1996-05-15 Fina Technology Metallocenkatalysator mit lewissäure und alkylaluminium
EP0426637B2 (en) 1989-10-30 2001-09-26 Fina Technology, Inc. Preparation of metallocene catalysts for polymerization of olefins
DE69026679T3 (de) 1989-10-30 2005-10-06 Fina Technology, Inc., Houston Addition von Alkylaluminium zum Verbessern eines Metallocenkatalysators
JP2545006B2 (ja) 1990-07-03 1996-10-16 ザ ダウ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付加重合触媒
JPH06107840A (ja) * 1991-04-24 1994-04-19 Tonen Chem Corp エラストマー発泡体の製造方法
JPH0726869B2 (ja) 1991-06-05 1995-03-29 中央電子計測株式会社 車輌用ライトの照度測定方法
JPH052036A (ja) 1991-06-24 1993-01-08 Osaka Gas Co Ltd 交流異常電流の検出装置
JP3607427B2 (ja) * 1996-07-25 2005-01-05 新日本石油化学株式会社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樹脂組成物
JP2004051676A (ja) 2002-07-16 2004-02-19 Mitsui Chemicals Inc エチレン系共重合体の製造方法
JP4865242B2 (ja) * 2005-03-08 2012-02-01 三井化学株式会社 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WO2007132731A1 (ja) * 2006-05-17 2007-11-22 Mitsui Chemicals, Inc. 発泡体、発泡体用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WO2013039850A1 (en) * 2011-09-12 2013-03-21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tions and articles formed from the same
BR112014030664A2 (pt) 2012-06-28 2017-06-2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ção de formulação capaz de formar espuma, processo para preparar uma composição transformada em espuma e composição transformada em espuma
JP6257613B2 (ja) * 2012-06-29 2018-01-10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熱可塑性加硫物のためのエチレン/αオレフィン/非共役ポリエン系組成物
BR112016018907B1 (pt) 2014-02-28 2021-07-06 Mitsui Chemicals, Inc método para a produção de um produto reticulado, artigo moldado laminado, copolímero de etileno (a) e composição de copolímero de etileno
KR101585671B1 (ko) 2014-05-12 2016-01-14 주식회사 포디존 볼 스크류 승강 방식의 6 링크 전동 구동 모션 시뮬레이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8619A (ja) 2007-06-15 2008-12-25 Mitsui Chemicals Inc エチレン系共重合体、該共重合体を含む組成物ならびにその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2007685A2 (pt) 2022-07-12
CN114364733B (zh) 2023-11-10
US20220372260A1 (en) 2022-11-24
CN117126483A (zh) 2023-11-28
KR20220042391A (ko) 2022-04-05
CN114364733A (zh) 2022-04-15
JP7369200B2 (ja) 2023-10-25
JPWO2021085225A1 (ko) 2021-05-06
TW202124468A (zh) 2021-07-01
EP4053210A1 (en) 2022-09-07
EP4053210A4 (en) 2023-12-06
TWI817050B (zh) 2023-10-01
EP4417648A1 (en) 2024-08-21
WO2021085225A1 (ja)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567B1 (ko) 에틸렌계 공중합체, 상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용도
US10004293B2 (en) Crosslinked produc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the use thereof, and ethylene copolymer
US8993647B2 (en) Foams, foaming compositions and applications thereof
KR102681950B1 (ko)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및 그 용도
JP4615181B2 (ja) 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7377065B2 (ja) エチレン系共重合体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4739308B2 (ja) 積層体およびその用途
JP2006008777A (ja) 発泡体およびその用途
JP2023137885A (ja) エチレン・1-ブテン共重合体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2023137884A (ja) エチレン・1-ブテン共重合体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2005068184A (ja) 組成物及びそ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