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0993B1 -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의 방호복 - Google Patents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의 방호복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0993B1
KR102680993B1 KR1020210061124A KR20210061124A KR102680993B1 KR 102680993 B1 KR102680993 B1 KR 102680993B1 KR 1020210061124 A KR1020210061124 A KR 1020210061124A KR 20210061124 A KR20210061124 A KR 20210061124A KR 102680993 B1 KR102680993 B1 KR 102680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lothing
zipper
hood
opening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4273A (ko
Inventor
김하늘
김하연
문현지
Original Assignee
김하늘
김하연
문현지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하늘, 김하연, 문현지 filed Critical 김하늘
Priority to KR1020210061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0993B1/ko
Publication of KR20220154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0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09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2Overalls, e.g. bodysuits or bib overal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5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 A41D13/0556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releasable fastening means
    • A41D13/0568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releasable fastening means with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0Sleeves; Armh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20Hoo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Closures using straps or 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Abstract

본 발명은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의 방호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 방호복이 전면의 지퍼 덮개를 열고 지퍼를 내리는 과정에서 감염원에 노출된 방호복을 만지고, 또한 오염된 장갑으로 턱, 목, 얼굴 등에 접촉하여 교차 감염이 이루어지는 것을 개선하여, 탈의 과정에서 지퍼를 손으로 직접 개방하지 않는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감염 위험을 철저히 차단함과 동시에 쉽게 탈의할 수 있는 방호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의 방호복{Protective clothing with an open rear undressing type}
본 발명은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의 방호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 방호복이 전면의 지퍼 덮개를 열고 지퍼를 내리는 과정에서 감염원에 노출된 방호복을 만지고, 또한 오염된 장갑으로 턱, 목, 얼굴 등에 접촉하여 교차 감염이 이루어지는 것을 개선하여, 탈의 과정에서 지퍼를 손으로 직접 개방하지 않는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감염 위험을 철저히 차단함과 동시에 쉽게 탈의할 수 있는 방호복에 관한 것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질병관리본부의 레벨D 방호복 탈의 과정을 보면 직접 방호복 지퍼 덮개를 열고 지퍼를 내리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이 과정에서 장갑을 착용한 손으로 감염원에 노출된 방호복 외부를 만지게 된다. 감염된 방호복으로 인해 오염된 장갑이 지퍼를 내리는 과정에서 턱을 포함한 얼굴이나 목 주변에 접촉하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
이와 같이, 탈의하는 과정에서 감염 위험성에 노출된다면 이는 방역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특허는 아래와 같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7104호에는 착용시 작업자를 외부의 병원균으로부터 보호하며 탈의시 복수개의 파트로 해체되도록 형성된 안전보호복; 상기 작업자가 안전보호복을 입고 입장하는 밀폐챔버; 상기 밀폐챔버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안전보호복의 헬맷측과 연결되어 상기 작업자에게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부; 상기 밀폐챔버의 일측에 형성되는 소독액 및 멸균수단 분사부; 및 상기 밀폐챔버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파트마다 각각 반대 방향으로 물리력이 발생하도록 하여, 상기 안전보호복을 상기 작업자의 신체로부터 해체시키는 자동탈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보호복 자동탈의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83421호에는 전방 일측에 제1밀폐도어가 설치되고 내측에는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보호복을 공기흡입력으로 흡착시켜 작업자의 신체로부터 해체시키는 자동탈의수단이 설치되고, 후방 일측에 제2밀폐도어가 설치되는 제1멸균챔버와; 상기 제2밀폐도어와 연통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소독액 및 멸균수단 분사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2밀폐도어와 대향되는 면에 제3밀폐도어가 설치되는 제2멸균챔버와; 상기 제1멸균챔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탈의수단에 의해 탈의되는 안전보호복이 수거되는 통로가 마련되고, 상기 통로와 연통되어 상기 수거된 안전보호복의 적재공간이 마련되는 수거부와; 상기 제1,제2멸균챔버와 수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안전보호복을 착용한 작업자가 상기 제1밀폐도어를 개방하여 상기 제1멸균챔버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자동탈의수단에 공기흡입력을 제공하여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보호복이 상기 자동탈의수단에 흡착되도록 한 다음,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안전보호복이 작업자의 신체로부터 해체되도록 하며, 작업자가 제2밀폐도어를 개방시켜 제2멸균챔버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자동탈의수단의 공기 흡입력을 정지시키고 상기 수거부를 동작시켜 안전보호복이 통로를 통해 수거되되, 상기 자동탈의수단은 원통형상으로 상기 제1멸균챔버의 양측면벽에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내측으로는 작업자가 손을 집어넣을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둘러싸도록 공기흡입구가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보호복의 양측 팔부분이 흡착되는 측면흡착부와, 상기 제1멸균챔버의 바닥면상에 복수개의 공기흡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 보호복의 하단부가 흡착되는 하부흡착부와, 상기 제1멸균챔버의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흡착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내측면에는 공기흡입구가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보호복의 다리부분에 흡착력을 가하게 되는 가이드흡착부와, 상기 각 공기흡입구로 흡입공기를 제공하는 공기압생성부와, 상기 제1멸균챔버의 천정에 설치되어 모터구동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되, 작업자가 안전보호복을 착용하기 위해 안전보호복에 설치되는 지퍼의 손잡이에 부착되어 상기 지퍼 손잡이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지퍼가 개방되는 지퍼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보호복 자동탈의 기능을 갖춘 멸균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기 선행특허의 경우, 별도의 멸균 챔버가 구비되지 않은 시설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별도의 멸균 시설이 없는 방호 구역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방호복 탈의시 교차감염의 위험성을 철저히 차단하고, 방역 활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감염 위험을 줄이면서 쉽게 탈의할 수 있는 방호복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710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83421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방호복이 전면의 지퍼 덮개를 열고 지퍼를 내리는 과정에서 감염원에 노출된 방호복을 만지고, 또한 오염된 장갑으로 턱, 목, 얼굴 등에 접촉하여 교차 감염이 이루어지는 것을 개선하여, 탈의 과정에서 지퍼를 손으로 직접 개방하지 않는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감염 위험을 차단하면서 쉽게 탈의할 수 있는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의 방호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매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방호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덧신부에 미끄럼 방지 패드를 형성함으로써, 방역 과정에서 바닥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의 방호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의 방호복은 머리 부분을 덮으며 전방에는 안면 개방부가 마련되는 후드부와; 상기 후드부와 연결되어 상반신을 감싸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좌우로 연결되어 팔을 보호하는 한 쌍의 소매부를 포함하는 상의부와; 상기 몸통부와 연결되어 하반신을 감싸는 하의부와; 상기 후드부 및 몸통부 각각의 후면 중심에 형성되는 지퍼부와; 상기 지퍼부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한 쌍이 마련되어 탈의시 사용자가 좌우로 잡아당겨 상기 지퍼부가 개방되도록 해주는 당김스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의 방호복에 있어서, 지퍼부는, 상기 후드부의 후면부 상단에서부터 상기 몸통부의 후면부 하단까지 종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다수의 코일이 맞물린 구조로 이루어지는 체인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부, 또는 상기 후드부와 몸통부 사이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체인부를 개방하는 상측 슬라이드몸체와, 하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체인부를 개방하는 하측 슬라이드몸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의 방호복에 있어서, 당김스트랩은 일단은 상기 몸통부 일측 또는 상기 후드부와 몸통부 사이에 고정되는 고정단으로 이루어지고, 타단은 상기 소매부 또는 몸통부 타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자유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퍼부 개방시에는 좌우측 당김스트랩이 좌우로 당겨지면서 상기 지퍼부를 개방하여 상기 후드부와 몸통부가 탈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후드부와 몸통부가 탈의된 상태에서는 좌우측 당김스트랩이 연결된 상태에서 벽면에 설치된 탈의보조용 고리에 걸려서 고정되어, 상기 소매부가 뒤집어지면서 탈의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의 방호복에 있어서, 소매부에는 길이 조절을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벨크로테입이 형성되며, 상기 소매부 끝단에는 소매가 빠지지 않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에 걸리도록 한 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의 방호복은, 사용자의 발 및 다리의 일부를 보호하는 덧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덧신부의 저면에는 미끄럼 방지 패드가 형성되고, 상기 덧신부는 사용자의 발 또는 다리에 밀착 고정되도록 고정끈으로 묶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의 방호복에 의하면, 기존 방호복이 전면의 지퍼 덮개를 열고 지퍼를 내리는 과정에서 감염원에 노출된 방호복을 만지고, 또한 오염된 장갑으로 턱, 목, 얼굴 등에 접촉하여 교차 감염이 이루어지는 것을 개선하여, 탈의 과정에서 지퍼를 손으로 직접 개방하지 않는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감염 위험을 차단하면서 쉽게 탈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의 방호복에 의하면, 덧신부에 미끄럼 방지 패드를 형성함으로써, 방역 과정에서 바닥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소매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의 방호복의 전면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의 방호복의 후면부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당김스트랩을 이용하여 지퍼부를 상하로 개방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쌍의 당김스트랩을 결합하여 탈의보조용 고리에 걸어 소매부를 탈의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소매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덧신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방호복을 탈의하는 과정을 순차로 표현한 설명도이다.
도 8a는 기존 전면 개방 방식의 방호복을 탈의하는 과정을 순차로 표현한 설명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의 방호복의 전면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의 방호복의 후면부를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당김스트랩을 이용하여 지퍼부를 상하로 개방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쌍의 당김스트랩을 결합하여 탈의보조용 고리에 걸어 소매부를 탈의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소매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덧신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의 방호복은 전면에 지퍼가 설치된 전면 개방 탈의 방식의 기존 방호복이 전면의 지퍼 덮개를 열고 지퍼를 내리는 과정에서 감염원에 노출된 방호복을 만지고, 오염된 장갑으로 턱, 목, 얼굴 등에 접촉하여 교차 감염이 이루어지는 것과 달리, 탈의 과정에서 지퍼를 손으로 직접 개방하지 않는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을 채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의 방호복(100)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머리 부분을 덮으며 전방에는 안면 개방부(111)가 마련되는 후드부(110)와, 상기 후드부(110)와 연결되어 상반신을 감싸는 몸통부(121)와, 상기 몸통부(121)의 좌우로 연결되어 팔을 보호하는 한 쌍의 소매부(123)를 포함하는 상의부(120)와, 상기 몸통부(121)와 연결되어 하반신을 감싸는 하의부(125)와, 상기 후드부(110) 및 몸통부(121) 각각의 후면 중심에 형성되는 지퍼부(130)와, 상기 지퍼부(130)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한 쌍이 마련되어 탈의시 사용자가 좌우로 잡아당겨 상기 지퍼부(130)가 개방되도록 해주는 당김스트랩(150)과, 사용자의 발 및 다리의 일부를 보호하는 덧신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상의부와 하의부가 분리 형성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방호복이 전체적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상의부와 하의부 사이에 탄성 밴드(미도시)를 게재함으로 인한 것일 뿐, 상의부와 하의부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지퍼부(130)는 방호복(100)의 후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크게 체인부(131)와, 슬라이드몸체(133a, 133b)로 구성된다.
상기 체인부(131)는 도 2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드부(110)의 후면부 상단에서부터 상기 몸통부(121)의 후면부 하단까지 종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다수의 코일(132)이 맞물린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몸체(133a, 133b)는 상기 몸통부(121)의 상부, 또는 상기 후드부(110)와 몸통부(121) 사이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체인부(131)를 개방하는 상측 슬라이드몸체(133a)와 하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체인부(131)를 개방하는 하측 슬라이드몸체(133b)로 구성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기존 방호복과 달리 사용자가 손으로 슬라이드몸체의 탭(tap)을 잡고 지퍼부를 개방하지 않고 당김스트랩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상기 당김스트랩(150)은 일단은 상기 몸통부(121) 일측 또는 상기 후드부(110)와 몸통부(121) 사이에 고정되는 고정단으로 이루어지고, 타단은 상기 소매부 또는 몸통부 타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자유단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당김스트랩(150)의 고정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양쪽으로 잡아당겼을 때 지퍼부(130)에 가해지는 힘으로 상기 상측 슬라이드몸체(133a)는 위로 올라가고, 하측 슬라이드몸체(133b)는 아래로 내려가도록 상측 슬라이드몸체(133a)와, 하측 슬라이드몸체(133b)와 인접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당김스트랩(150)은 방역 활동시 지장을 주지 않음은 물론, 탈의시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 부분 및 소매부를 따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당김스트랩은 어깨 부분 및 소매부와 벨크로 테입이나 스냅 단추 등과 같은 연결부재(124a) 등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당김스트랩(150)은 상기 지퍼부 개방시에는 좌우측 당김스트랩(150a,150b)이 좌우로 당겨지면서 상기 지퍼부(130)를 개방하여 상기 후드부(110)와 몸통부(121)가 탈의되도록 하는 1차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지퍼부(130)를 개방할 때 슬라이드몸체의 탭(134)을 잡지 않고 당김스트랩(150)을 잡기 때문에 기존 방호복에서 전면의 지퍼부를 개방할 때 발생하는 감염 우려를 철저히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당김스트랩(150)은 상기 후드부와 몸통부가 탈의된 상태에서는 좌우측 당김스트랩이 연결된 상태에서 벽면에 설치된 탈의보조용 고리(A)에 걸려서 고정되며, 상기 소매부(123)가 탈의되도록 보조하는 2차 역할을 수행한다.
2차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좌우측 당김스트랩이 연결되어야 하는데, 끝단을 매듭으로 묶어서 연결할 수도 있고,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크로 테입이나 스냅 단추 등과 같은 연결부재(124b)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4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소매부(123)를 탈의하기 위해 당김스트랩(150)을 탈의보조용 고리(B)에 건 상태에서 팔을 앞으로 내밀고 몸을 뒤로 빼면 소매부(123)가 뒤집어지면서 팔을 쉽게 뺄 수 있다.
한편, 벽면의 고리 거치가 여의치 않은 경우를 고려하여, 고리 이용 없이도 탈의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 경우, 좌우의 당김스트랩을 각각 횡 방향으로 당겨 후면 슬라이드 몸체를 개방한 이후의 여러 탈의 방식이 존재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식을 들 수 있다. 좌측 손으로 우측 어깨솔기를 잡아 우측 소매에서 팔을 빼낸 후, 안장갑만 남은 우측 손으로 이미 밖으로 노출된 왼쪽 어깨솔기 안감을 잡고 왼쪽 팔을 빼내는 방식이다. 이는 좌우 반전 형태로도 진행할 수 있으며, 이후 안감을 말아 탈의하는 방식은 같다.
본 발명의 소매부(123)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조절을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벨크로테입 또는 스냅단추 등의 연결부재(124c)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소매부(123) 끝단에는 소매부가 올라가 팔이 노출되지 않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에 걸리도록 한 고리(123a)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덧신부(1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 및 다리의 일부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소매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분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덧신부(160)가 소매부(123)와 분리 형성된 경우, 덧신부를 착용하였을 때 흘러내리지 않도록 상단에는 고무줄 등의 탄성소재로 마감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고정끈(163)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과 다리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끈(163)은 덧신부(160) 바닥에 걸은 다음, 발목 부분에서 X자로 교차시키고 발목 윗 부분에서 매듭을 짓는 방식으로 덧신부를 밀착 고정시키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끈 고정방식을 통해 덧신부 바닥이 사용자의 발바닥과 밀착됨과 동시에 발목 부분 등을 압착함으로써, 보행시 발과 덧신부가 이격됨으로 인해 겪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덧신부(160)의 바닥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미끄럼 방지 패드(16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방호복을 탈의하는 과정을 순차로 표현한 설명도로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호복 탈의 순서는 당김스트랩을 잡아당겨 지퍼부를 개방하는 1단계와, 후드부와 몸통부 일부를 탈의하고 한 쌍의 당김스트랩을 연결하여 탈의보조용 고리에 거는 2단계와, 탈의보조용 고리를 거치한 상태로 소매부에서 팔을 빼내고 나머지 몸통부를 탈의하는 3단계와, 당김스트랩을 탈의보조용 고리에서 빼낸 후 상의부를 감으면서 하의부를 탈의하는 4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3단계에서는 소매부 탈의시 겉장갑도 함께 탈의된다.
특히, 1단계의 경우 당김스트랩을 이용함으로써, 얼굴을 포함한 신체 어떤 부위도 오염면과 접촉되지 않게 되며, 또한 3단계에서는 몸통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몸과 팔이 빠져나오는 방식으로 팔과 몸통이 탈의되기 때문에 오염원 접촉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방호복 110 : 후드부
111 : 안면 개방부 120 : 상의부
121 : 몸통부 123 : 소매부
123a : 고리 124 : 연결부재
125 : 하의부 130 : 지퍼부
131 : 체인부 132 : 코일
133a, 133b : 슬라이드몸체 134 : 탭
150 : 당김스트랩 160 : 덧신부
161 : 미끄럼 방지 패드 163 : 고정끈
A : 탈의보조용 고리 B : 장갑

Claims (5)

  1. 머리 부분을 덮으며 전방에는 안면 개방부가 마련되는 후드부와;
    상기 후드부와 연결되어 상반신을 감싸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좌우로 연결되어 팔을 보호하는 한 쌍의 소매부를 포함하는 상의부와;
    상기 몸통부와 연결되어 하반신을 감싸는 하의부와;
    상기 후드부 및 몸통부 각각의 후면 중심에 형성되는 지퍼부와;
    상기 지퍼부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한 쌍이 마련되어 탈의시 사용자가 좌우로 잡아당겨 상기 지퍼부가 개방되도록 해주는 당김스트랩;을 포함하되,
    상기 지퍼부는,
    상기 후드부의 후면부 상단에서부터 상기 몸통부의 후면부 하단까지 종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다수의 코일이 맞물린 구조로 이루어지는 체인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부, 또는 상기 후드부와 몸통부 사이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체인부를 개방하는 상측 슬라이드몸체와, 하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체인부를 개방하는 하측 슬라이드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당김스트랩은,
    일단은 상기 몸통부 일측 또는 상기 후드부와 몸통부 사이에 고정되는 고정단으로 이루어지고, 타단은 상기 소매부 또는 몸통부 타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자유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퍼부 개방시에는 좌우측 당김스트랩이 좌우로 당겨지면서 상기 지퍼부를 개방하여 상기 후드부와 몸통부가 탈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의 방호복.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부와 몸통부가 탈의된 상태에서는 좌우측 당김스트랩이 연결된 상태에서 벽면에 설치된 탈의보조용 고리에 걸려서 고정되어, 상기 소매부가 뒤집어지면서 탈의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의 방호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매부에는 길이 조절을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벨크로테입이 형성되며,
    상기 소매부 끝단에는 소매가 빠지지 않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에 걸리도록 한 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의 방호복.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 및 다리의 일부를 보호하는 덧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덧신부의 저면에는 미끄럼 방지 패드가 형성되고,
    상기 덧신부는 사용자의 발 또는 다리에 밀착 고정되도록 고정끈으로 묶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의 방호복.

KR1020210061124A 2021-05-12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의 방호복 KR102680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124A KR102680993B1 (ko) 2021-05-12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의 방호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124A KR102680993B1 (ko) 2021-05-12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의 방호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273A KR20220154273A (ko) 2022-11-22
KR102680993B1 true KR102680993B1 (ko) 2024-07-03

Family

I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676B1 (ko) * 2015-02-26 2016-03-30 엠텍에스티에스 주식회사 일회용 신발 커버
WO2020116347A1 (ja) * 2018-12-03 2020-06-11 株式会社モレーンコーポレーション 防護服
CN211882379U (zh) * 2020-03-30 2020-11-10 百色市人民医院 一种可调节式防感染医用防护服
CN212185183U (zh) * 2020-04-17 2020-12-22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防护服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676B1 (ko) * 2015-02-26 2016-03-30 엠텍에스티에스 주식회사 일회용 신발 커버
WO2020116347A1 (ja) * 2018-12-03 2020-06-11 株式会社モレーンコーポレーション 防護服
CN211882379U (zh) * 2020-03-30 2020-11-10 百色市人民医院 一种可调节式防感染医用防护服
CN212185183U (zh) * 2020-04-17 2020-12-22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防护服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8060B2 (en) Medical apparel with differentiating identifiers
US20180296862A1 (en) Cowl Neck Barrier Gown With Attachments
US5414867A (en) Disposable garment for use in emergency situations
US9248322B2 (en) Disposable safety garment with improved doffing and neck closure
EP3039977B1 (en) Suit designs and doffing methods for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US9643033B2 (en) Disposable safety garment with improved neck closure
US9380816B2 (en) Wheelchair-bound coat
KR102161789B1 (ko) 이지 타이 스트랩을 갖는 의료 가운
JP7044221B2 (ja) 防護服、およびシューカバー
US7665153B2 (en) Protective garment equipped with litter
CN210299645U (zh) 一种医用防护服
EP3581045A1 (en) Garment for a controlled environment, method for folding the garment, folded garment and method for donning the garment
CN212574237U (zh) 一种新型易收卷医用防护服
KR102680993B1 (ko)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의 방호복
KR102267758B1 (ko) 의료용 가운
KR20220154273A (ko) 후면 개방 탈의 방식의 방호복
KR200418858Y1 (ko) 환자복
KR20090011013U (ko) 상하 분리식 일체형 작업복
KR102245443B1 (ko) 일회용 비닐위생복
RU214621U1 (ru) Изолирующий костюм с капюшоном
JP3142686U (ja) 安全帯を一体化した作業服
CN211721933U (zh) 一种动物疫病检测用的隔离防护服
CN219229113U (zh) 一种一次性手术中快速病理检查与诊断标本取材服
WO2020115831A1 (ja) 防護服、およびシューカバー
CN217136925U (zh) 带约束功能的病号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