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443B1 - 일회용 비닐위생복 - Google Patents

일회용 비닐위생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5443B1
KR102245443B1 KR1020190082652A KR20190082652A KR102245443B1 KR 102245443 B1 KR102245443 B1 KR 102245443B1 KR 1020190082652 A KR1020190082652 A KR 1020190082652A KR 20190082652 A KR20190082652 A KR 20190082652A KR 102245443 B1 KR102245443 B1 KR 102245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n
arm
sanitary
suit
w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6706A (ko
Inventor
이제원
박석주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82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443B1/ko
Publication of KR20210006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12Surgeons' or patients' gowns or d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02Details of protective gar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1281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41D19/0082Details
    • A41D19/0093Retaining means, e.g. loops for hanging the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2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52Dispos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비닐위생복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회용 비닐위생복은 절첩상태로 공급되며 신체의 착용상태에서 탄성 복원력으로 펼쳐지는 위생복; 상기 위생복의 뒷면으로 형성된 뒷절개단의 벌어짐을 통해 착용홀로 피착용 대상자의 팔을 포함한 신체 전면이 착용되며 후면에서 감싸지도록 벌어지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피착용 대상자의 신체 전면 착용시 안면을 감싸는 머리부; 및 상기 몸통부의 좌우측변 양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팔을 포함한 손가락이 끼워지는 팔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에 의해 일회용 비닐위생복이 공급되면서 펼쳐지고 팽창되어 피착용 대상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 피착용 대상자 상체 전면에 일회용 비닐위생복을 착용할 수 있어서 청정상태가 요구되는 곳을 출입할 때 착용과정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짐과, 피착용 대상자의 신체 크기에 관계없이 원활하게 착용되므로 청정공간의 출입이 신속하고 위생적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일회용 비닐위생복{single-use vinyl hygiene suit}
본 발명은 감염 예방이나, 최상의 청정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몸체에 모자와 장갑이 일체로 구성되되 연속 자동 착용을 위해 접혀진 상태로 장착되고, 착용 공급 시에 펼쳐져 신속하고 안정되게 착용 되는 일회용 비닐 위생 복에 관한 것이다.
수술실, 수술받은 환자의 회복실 및 고가의 장비, 제품을 외부의 미세 먼지에 의한 오염되는 것을 방지 및 미세 먼지에 포함된 세균에 의한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외에서 실내로 출입할 때 방문객들에게 일회용 가운이 제공되고 있는 상황에 이르렀으며, 실내에 근무하는 자의 경우에도 위생적인 관리수준이 높은 보호구역의 실내의 실험장비 및 실험체 또는 환자에게 접근 시에도 오염 및 감염 예방을 위해 일회용 가운이 제공되었다.
특히, 수술환자를 처치하며 간호하는 병원에서 수술환경의 보호와, 종사자 및 환자의 파티클(particle:미립자)에 의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일회용 가운이 필수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일회용 수술가운은 등록실용 20-0384170(이하 '선등록' 이라 함)으로 제안된 바 있으며, 이는 일회용 수술 가운에 있어서, 통상의 우의와 유사한 형태로 수술가운(1)과, 상기 수술가운(1)의 어깨부(8) 중앙에 형성된 머리삽입부(2)와, 상기 수술가운(1) 의 중앙 양측에 허리를 감싸 묶도록 형성된 허리끈(3)과, 상기 수술가운(1)의 소매(4) 끝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엄지손가락이 삽입되는 제 1삽입공(5)과,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4손가락이 삽입되는 제2삽입공(6)이 구비된 걸이부(7)로 구성된다.
이러한 선등록은 수술가운의 소매 끝단부에 걸이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착용 시 걸이 부에 형성된 제1삽입공과 제2삽입공에 엄지와 나머지 4손가락이 각각 삽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착용 시 엄지손가락에 걸이부가 걸리게 되어 손과 팔을 움직여도 소매 가 올라가는 현상이 발생 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일회용 보호가운으로는 공개특허 10-2011-0027385(이하 '선공개' 라 함)로 제안된 바 있으며, 이는 전면 가림부(10)와 어깨부(30)가 만나는 중앙에 머리삽입부(20)를 형성하고, 전면 가림부(10)와 어깨부(30)의 측면을 연장하여 소매부(40)를 형성하며, 전면 가림부(10)에 허리끈(50)을 형성한 일회용 보호가운(100)에 있어서, 상기 머리삽입부(20)에서 시작하여 어깨부(30)를 경사지게 가로지르는 절취선(110)을 형성하고, 전면 가림부(10)와 허리끈(50)이 만나는 부위에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시킨 절취선(120)을 형성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선등록은 일회용 보호가운을 착용한 상태에서 전면 가림부의 허리부위를 잡아당겨 허리끈을 간단히 절단하는 한편, 가슴부위를 잡아당겨 어깨부를 절단하여 쉽게 가운이 벗겨지게 되므로, 감염물질이 묻은 장갑으로 옷이나 신체가 접촉하는 경우를 사전에 차단하여 안전하게 가운을 벗을 수 있게 되어 감염물질이 묻어있는 수술장갑은 전면 가림부만 닿게 되어 교차감염의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이러한 일회용 보호가운 및 일회용 수술가운(이하 '일회용 가운'이라 한다)들은 통상적으로 낱개 포장된 상태로 보관되는 것이며, 착용 시에는 낱개포장 된 포장지를 뜯어서 그 내부에 보관중인 일회용 가운을 꺼낸 다음, 접혀져 있는 일회용 가운을 펼쳐서 피착용 대상자의 상체에 착용하게 되므로 일회용 가운의 착용과정이 매우 번거러웠던 것이다.
또한, 낱개 포장된 일회용 가운은 착용하기 위해 포장지를 뜯는 과정과, 착용하는 과정에서 포장지에 일회용 가운이 밀착되어 있는 상태로 인하여 포장지를 뜯어낼 때 보호 가운이 찢어지거나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등록실용 20-0384170(2005. 05. 11.등록) KR공개특허 10-2011-0027385(2011. 03. 16.공개)
본 발명은 신체의 상체에 일회용 비닐위생복을 착용할 때 피착용 대상자 는 손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일회용 비닐위생복이 공급되며 신체에 착용 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회용 비닐위생복을 착용하게 될 피착용 대상자의 신체 크기를 측정한 결과에 착용공간이 조절되므로 신체조건에 관계없이 안정된 착용이 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절첩 상태로 공급되며 신체의 착용상태에서 탄성복원력으로 펼쳐지는 위생복; 상기 위생복의 뒷면으로 형성된 뒷절개단의 벌어짐을 통해 착용홀로 피착용 대상자의 팔을 포함한 신체 전면이 착용 되며 후면에서 감싸지도록 벌어지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피착용 대상자의 신체 전면 착용시 안면을 감싸는 머리부; 및 상기 몸통부의 좌우측변 양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팔을 포함한 손가락이 끼워지는 팔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히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몸통부는, 상기 뒷절개단에는 신체의 팔 삽입이 유도되는 입구홀과, 착용장치의 착용공간에서 당겨져 상기 착용홀의 입구가 벌어짐으로 피착용 대상자의 신체 몸통이 진입되게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뒷절개단의 둘레에는 소재의 특성에 의해 구부리고 펼쳐짐이 자유로운 탄성프레임이 더 구비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팔부는, 상기 몸통부의 뒷절개단에서 오목하게 구비되는 입구홀과, 상기 입구홀 위치에서 상기 몸통부의 외측방향으로 수평 연장되어 팔과 손가락이 삽입되는 장갑체가 구비되고, 상기 장갑체와 입구홀 사이에 팔에서 흘러내리지 않도록 탄력 조임되는 조임부가 구비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몸통부는 상기 몸통부 상단에 형성된 머리부 양측위치에서 하측방향으로 제1절첩선이 형성되어 상기 몸통 양측이 몸통 내측방향으로 접어지고, 상기 팔부의 중간위치에 제2절첩선이 형성되어 상기 장갑체가 상기 몸통의 외측방향으로 접어지며, 상기 몸통부의 가슴위치에 형성되는 제3절첩선에 의해 상기 머리부측으로 접어지고, 상기 몸통부 하단은 제4절첩선에 의해 상기 머리부 반대측으로 접어지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위생복은, 상기 머리부의 외면 상단으로 착용장치의 가이드레일이 관통되는 걸이공이 천공된 고리편이 돌출 형성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착용 대상자가 일회용 비닐위생복 착용 시에 손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 상체에 착용되므로, 착용과정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짐과, 피착용 대상자의 신체 크기에 따라 착용공간이 조절되므로 모든 대상자가 편리한 자세와 손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 일회용 비닐위생복이 착용 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위생복의 전면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위생복의 측면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위생복의 뒷면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위생복이 위생복착용장치에 장착되는 절첩상태도로 (A)는 팔부가 절첩되는 상태이고, (B)는 몸체부가 종방향으로 절첩되는 상태이며, (C)는 몸체부를 가로방향으로 절첩되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위생복의 착용을 위한 장착 공급 및 펼침상태를 별도의 위생복착용장치에서 순서적으로 보인 진행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위생복의 착용홀이 별도의 위생복착용장치 착용공간에서 벌어지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는 예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위생복의 정면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위생복의 측면 상태이다.
본 발명에서 피착용 대상자에게 공급되는 위생복(100)은 신체의 몸체를 가리는 몸체부(200)의 상부에 머리를 감싸는 머리부(300)가 형성되어 머리에서 무릎 하단에 이르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200)의 양측변에서 팔부(400)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가운형태의 의복이다.
상기 가운형태의 위생복(100)은 피착용 대상자의 신체에 착용될 때 신체의 전면을 가리는 상태로 감싸면서 신체 후면에서 결속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부(200)의 전면(201)은 막혀있고, 후면(203)은 머리부(300) 상단에서 몸체부(200) 하단까지 절개되어 몸체부(200)의 내부 착용홀(210)이 개폐되는 뒷절개단(130)이 형성된다.
이러한 위생복(100)에 형성된 머리부(300)는 피착용 대상자의 머리의 안면을 가리는 상태로 씌워지는 캡(310)이 구비되며 상기 캡(310) 전면에는 안면으로 씌워질 때 전방의 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크기로 절개된 투시홀(32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머리부(300) 전면에 형성된 투시홀(320)을 통해 위생복(100)을 착용하는 의사, 시술자 및 관련자들이 수술, 진료활동하기에 충분한 시야를 확보하기에 충분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200)의 전면(201) 양측에는 피착용 대상자의 팔이 삽입되기에 충분한 길이로 팔부(400)가 돌출 형성한 끝단에는 손가락이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장갑체(42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팔부(400)는 팔의 출입이 원활한 직경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팔부(400)는 착용 후에는 팔에 밀착되지 않고 자유로운 상태를 이루는 것이어서 진료 또는 시술 시 흘러내려 장갑체(420)가 손가락에서 빠져 나가는 상태가 예상되고 이는 진료 또는 시술을 방해하게 되므로 상기 팔부(400)의 중앙 위치에는 신축성 소재로 된 밴드를 하나 이상 설치하여 신축성에 의해 팔에 밀착되어 손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조임부(410)가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위생복의 뒷면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위생복(100)에 형성되는 몸체부(200)와 머리부(300)의 뒷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처럼 상기 머리부(300)의 캡(310)에서 몸체부(200)의 하단까지 절개되어 상기 몸체부(200) 내부의 착용홀(210)로의 출입을 이루게 하는 뒷절개단(130)이 형성되게 한다.
상기 몸체부(200)의 뒷면에 형성된 뒷절개단(130)은 상기 위생복(100)을 신체에 착용할 때 피착용 대상자의 양 손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몸체 전면으로 상기 몸체부(200)의 착용홀(210)이 씌워지게 하는 통로 역할을 이루게 되므로 상기 위생복(100) 착용 시 상기 뒷절개단(130)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뒷절개단의 중간위치에 결합부재(150)가 형성되게 한다.
또한, 상기 뒷절개단(130)에는 몸체 착용 시에 피착용 대상자의 팔이 팔부(400)에 끼워짐을 유도하기 위한 입구홀(140)이 형성되게 한다.
상기 입구홀(140)을 형성함에 있어 상기 뒷절개단(130)을 상기 팔부(400) 위치에서 오목하게 형성한다.
이처럼 상기 입구홀(140)을 오목하게 형성하는 것은 상기 위생복(100)이 착용장치(S)의 착용공간(S3)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상기 뒷절개단(130)이 당겨져 착용홀(210) 입구가 벌어지고, 동시에 착용공간(S3)에서는 벌어진 착용홀(210) 측으로 공기가 분출되는 상태가 되어 착용홀(210)의 내부 공간과 팔부(400)는 팽창된 상태로 피착용 대상자에게 접근 이동되므로 이때 앞으로 뻗은 피착용 대상자의 팔이 위생복(100)의 뒷절개단(130)에 걸리지 않고 팔부(400)의 내부공간으로 곧 바로 삽입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팔부(400)의 삽입유도는 상기 팔부(400)를 상기 위생복(100)의 몸체부(200)에 형성함에 있어 몸체부(200)의 전면(201)에 형성하는 구성에 의해 가능하다.
즉, 착용공간에서 분출되는 공기로 몸체부(200)의 착용홀(210)이 팽창될 때 팔부(400)는 몸체부(200)의 전면에 형성한 구성으로 인해 전방을 향해 팽창되는 상태를 이루게 되어 피착용 대상자의 뻗은 팔 삽입이 방해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위생복(100)의 착용과정에서 신체에 착용되는 상태를 원활하기 위해 상기 뒷절개단(130)에는 착용공간에서의 발생되는 흡입력 뿐만 아니라 자력에 의해 금속소재로 형성된 착용장치 표면에 접착되는 결합부재(1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위생복(100)의 몸체부(200) 뒷면(203)에 형성되는 뒷절개단(130)에는 소재의 탄성적인 특성에 의해 구부러짐과 펼쳐짐이 자유롭게 되는 탄성프레임(160)이 더 구비되게 한다.
상기 탄성프레임(160)은 그 두께가 0.2mm ~ 0.5mm 범위로 얇은 띠 형태의 것을 채택하며 합성수지제로 된 것은 선택함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스프링강선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200)의 뒷면(203)에는 상기 위생복(100)이 피착용 대상자의 신체 전면에 착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결속부재(170)가 더 구비된다.
상기 결속부재(170)는 밴드형태로 뒷면(203)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위생복(100의 착용 후 상호 결속되는 상태에 의해 고정력이 위생복(100)에 제공되며, 매직테이프, 스냅단추, 자석 밴드등과 같은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위생복의 절첩상태에 대해 예시되는 것으로, 상기 위생복(100)은 두께가 얇으므로 취급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펼쳐진 상태에서는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없으므로 별도의 위생복착용장치(S)에 장착되게 하기 위해 상기 위생복(100)을 잘 펴지는 순서로 접는다.
즉, 상기 위생복(100)은 뒷절개단(130)이 가지런하게 모아 지게 몸체부(200)를 펼친 다음 가지런하게 펼쳐진 상기 몸체부(200)를 뒤집어 전면이 표면으로 드러나게 하고, 상기 팔부(400)에 구비된 제1절첩선(T1)을 접어 팔부(400)가 양방향에서 몸체부(200)의 전면(201) 내측으로 접어지게 한다.
이후에 상기 몸체부(200)를 종방향으로 접되, 상기 몸체부(200) 양측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제2절첩선(T2)을 기준하여 몸체 내측으로 각각 접어지게 하면 상기 몸체부(200)는 세로 폭으로 길게 접어진 상태가 된다.
세로 폭으로 길게 접어진 상기 몸체부(200)를 가로방향으로 접되, 상기 몸체부(200)를 3등분되는 제3절첩선(T3)와 제4절첩선(T4)의 위치를 지그재그(zizag)형태로 접는다.
상기 몸체부(200)의 제3, 제4 절첩선(T3, T4) 위치를 지그재그로 접는 상태에서 상기 머리부(200)를 상기 몸체부(300)를 접어 접촉되게 접으면 상기 위생복(100)은 두께와 부피가 줄어들게 되는데, 이는 착용장치(S)에 공급하기에 적당한 크기이다.
도 5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위생복의 착용을 위한 장착 공급 및 펼침상태를 별도의 위생복착용장치에서 순서적으로 진행되는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위생복의 착용홀이 별도의 위생복착용장치 착용공간에서 벌어지는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위생복(100)이 상술한 제1, 제2, 제3, 제4 절첩선(T1, T2, T3, T4)을 따라 접어지면 그 크기는 상기 착용장치(S)에 장착하기에 적당한 크기가 되므로 연속적으로 공급할 목적으로 여러 장을 한꺼번에 장착하게 된다.
즉, 접혀진 위생복(100)을 착용장치(S)의 장착실(S1)에 장착할 때 머리부(300)의 외면 상단으로 돌출된 걸이편(330)의 걸이공(331)을 착용장치의 가이드레일(S2)에 끼워서 공급하고 통상의 방법과 같이 장착실(S1)에서 착용공간(S3)으로 공급하면 가이드레일(S2)을 따라 이동하여 자유낙하상태로 착용공간(S3)으로 공급되는 데, 낙하되는 과정에서 상기 위생복(100)은 걸이편(330)이 가이드레일(S2)에 걸린 상태로 접혀진 상기 몸체부(300)의 제1, 제2, 제3, 제4절첩선(T1,T2,T3,T4)부분들이 상기 탄성프레임(160)의 탄성복원력으로 펼쳐지는 상태가 된다.
상기 탄성프레임(1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접혀졌던 위생복(100)이 펼쳐지게 되면 상기 몸체부(200)의 전면에 형성되어 접혀진 팔부(400)도 펼쳐져서 상기 위생복(100)은 피착용 대상자의 전면을 덮어 씌울 수 있는 상태이다.
이때, 위생복(100)의 펼쳐진 상태는 착용장치(S)에서 착용을 위해 벌어진 상태로 고정되어야 하는데, 뒷절개단(130)의 중간위치에 설치된 결합부재(150)가 착용장치(S)의 표면에 자력으로 접착되어 뒷절개단(130)의 벌어짐 상태가 유지되며 동시에 착용홀(210)의 입구도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착용장치(S)에서 공기가 위생복(100)의 벌어진 뒷절개단(130)측으로 토출되는데,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착용홀(210)에서 모아지므로 몸체부(200)와 팔부(400)가 팽창되는 상태로 된다.
이처럼 착용장치(S)의 착용공간(S3)에서 펼쳐지고 벌어지는 상태를 이루면 상기 위생복(100)은 착용장치(S)에서 피착용 대상자 측으로 이동되는 구동상태가 된다.
동시에 피착용 대상자는 상기 착용장치(S)의 착용공간(S3)에서 손을 전방으로 뻗은 자세를 취하게 되면 착용장치(S)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위생복(100)의 몸체부(200)에서 벌어진 뒷절개단(130)의 입구(140)를 통해 피착용 대상자의 신체 전면을 감싸는 상태가 되고, 계속되는 위생복(100)의 이동으로 벌어진 뒷절개단(130)으로 피착용 대상자의 신체 전면이 진입되는 상태가 되므로 위생복(100)의 착용홀(210) 내부공간이 피착용 대상자의 신체에 씌워지는 상태로 된다.
이처럼 상기 위생복(100)이 신체에 씌워지게 되면 피착용 대상자의 얼굴에는 위생복(100)의 머리부(200)에 구비된 캡(310)이 씌워지게 되고 이어서 캡(310)의 투시홀(320)에 얼굴의 눈과 코와 입부분이 위치하게 되므로 피착용 대상자의 전방 상황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피착용 대상자의 몸체 전면에 상기 위생복(100)이 착용 되면 앞으로 뻗은 손을 뒤로하여 뒷절개단(130)의 결속부재(170)를 결속하는 것으로 상기 위생복(100)은 피착용 대상자의 몸체에 착용 완료 상태가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위생복 130 : 뒷절개단 140 : 입구
150 : 결합부재 160 : 탄성프레임 170 : 결속부재
200 : 몸체부 201 : 전면 203 : 후면
210 : 착용홀 300 : 머리부 310 : 캡
320 : 투시홀 330 : 걸이편 331 : 걸이공
400 : 팔부 410 : 조임부 420 : 장갑체

Claims (5)

  1. 절첩상태로 공급되며 신체의 착용상태에서 탄성복원력으로 펼쳐지는 위생복;
    상기 위생복의 뒷면으로 형성된 뒷절개단의 벌어짐을 통해 착용홀로 피착용 대상자의 팔을 포함한 신체 전면이 착용되며 후면에서 감싸지도록 벌어지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피착용 대상자의 신체전면 착용시 안면을 감싸는 머리부; 및
    상기 몸통부의 좌우측변 양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팔을 포함한 손가락이 끼워지는 장갑체가 구비된 팔부;를 포함하여
    상기 몸통부는,
    상기 뒷절개단에는 신체의 팔 삽입이 유도되는 입구홀과, 피착용 대상자의 신체 몸통이 진입되게 상기 착용홀의 입구가 벌어지게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뒷절개단의 둘레에는 소재의 특성에 의해 구부리고 펼쳐짐이 자유로운 탄성프레임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닐위생복.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부는,
    상기 몸통부의 뒷절개단에서 오목하게 구비되는 입구홀과, 상기 몸통부의 전방으로 돌출 연장되어 팔과 손가락이 삽입되는 장갑체가 구비되고, 상기 장갑체와 입구홀 사이에 팔에서 흘러내지 않도록 탄력 조임되는 조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닐위생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복은,
    상기 몸통부 상단에 형성된 머리부 양측위치에서 하측방향으로 제1절첩선이 형성되어 상기 몸통부 양측이 내측방향으로 접어지고,
    상기 팔부의 중간위치에 제2절첩선이 형성되어 상기 장갑체가 상기 몸통의 외측방향으로 접어지며,
    상기 몸통부의 가슴위치에 형성되는 제3절첩선에 의해 상기 머리부측으로 접어지고, 상기 몸통부 하단은 제4절첩선에 의해 상기 머리부 반대측으로 접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닐위생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복은,
    상기 머리부의 외면 상단으로 연속공급을 위한 착용장치의 가이드레일에 끼워지는 걸이공이 구비된 걸이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닐위생복.
KR1020190082652A 2019-07-09 2019-07-09 일회용 비닐위생복 KR102245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652A KR102245443B1 (ko) 2019-07-09 2019-07-09 일회용 비닐위생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652A KR102245443B1 (ko) 2019-07-09 2019-07-09 일회용 비닐위생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706A KR20210006706A (ko) 2021-01-19
KR102245443B1 true KR102245443B1 (ko) 2021-04-29

Family

ID=74237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652A KR102245443B1 (ko) 2019-07-09 2019-07-09 일회용 비닐위생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54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619B1 (ko) * 2023-07-13 2024-04-01 김우만 보조부재의 착탈이 가능한 우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6748A1 (en) * 2001-04-25 2003-03-13 Michael Tanenbaum Elastic flap with sleeve and glove for liquid impervious seal
KR101913509B1 (ko) * 2017-08-21 2018-10-3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일회용 비닐가운 착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170Y1 (ko) 2005-02-26 2005-05-11 임신조 일회용 수술 가운
KR101116311B1 (ko) 2009-09-10 2012-03-13 (주)아원 일회용 보호가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6748A1 (en) * 2001-04-25 2003-03-13 Michael Tanenbaum Elastic flap with sleeve and glove for liquid impervious seal
KR101913509B1 (ko) * 2017-08-21 2018-10-3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일회용 비닐가운 착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706A (ko) 202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6311B1 (ko) 일회용 보호가운
US9248322B2 (en) Disposable safety garment with improved doffing and neck closure
US5414867A (en) Disposable garment for use in emergency situations
JPH05125604A (ja) 保護衣
KR200384170Y1 (ko) 일회용 수술 가운
JPH05125606A (ja) 外科用フード
US9643033B2 (en) Disposable safety garment with improved neck closure
KR101116315B1 (ko) 일회용 보호가운
US11896067B2 (en) Hood with face mask
US20220047018A1 (en) Protective gown with collar extension
JPS5949322B2 (ja) 外科医用ガウンのベルト
US6826779B1 (en) Arm protection device
JP2024028932A (ja) ハーネスアクセスを有する改良された防護服
KR102245443B1 (ko) 일회용 비닐위생복
KR101913509B1 (ko) 일회용 비닐가운 착용장치
WO2005120263A1 (ja) 防護衣
JPH05125605A (ja) 保護衣用カフスアセンブリ
KR102267758B1 (ko) 의료용 가운
CN210299645U (zh) 一种医用防护服
KR20110027391A (ko) 일회용 보호가운의 접는 방법
KR102559280B1 (ko) 방역 마스크가 구비된 스마트 일회용 가운
KR102121148B1 (ko) 스마트 일회용 비닐 위생복 착용장치
JP3138401U (ja) 手を覆う抑制具
RU214621U1 (ru) Изолирующий костюм с капюшоном
EP2757913B1 (en) Disposable safety gar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