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9174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9174B1
KR102679174B1 KR1020170012359A KR20170012359A KR102679174B1 KR 102679174 B1 KR102679174 B1 KR 102679174B1 KR 1020170012359 A KR1020170012359 A KR 1020170012359A KR 20170012359 A KR20170012359 A KR 20170012359A KR 102679174 B1 KR102679174 B1 KR 102679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atch assembly
cooking appliance
doo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7943A (ko
Inventor
함형근
임현규
박남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2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9174B1/ko
Priority to EP18744372.6A priority patent/EP3560288B1/en
Priority to PCT/KR2018/001099 priority patent/WO2018139864A1/en
Priority to US15/881,361 priority patent/US10746411B2/en
Publication of KR20180087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9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9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2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 E05C3/2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in the form of a bifurcated member
    • E05C3/2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in the form of a bifurcated member engaging a stud-like kee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2La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05B6/6417Door interlock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and rela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05B15/020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 E05B2015/023Keeper shape
    • E05B2015/0235Stud-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B2047/0069Monitoring bolt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0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도어의 닫힘 여부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외부의 다른 물건에 의해 본체의 래치 어셈블리가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조리기기는, 본체에 구비되고, 도어의 키 부재를 구속하는 래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로서,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간섭 홀을 갖는 바디;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레버; 상기 키 부재의 가압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레버; 상기 제2 레버에 연결되며, 상기 간섭 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 레버의 제1 방향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 및 상기 제1 레버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되며, 상기 조리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도어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식품을 조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기기이다. 조리기기의 일례로 오븐이 있다.
오븐은, 조리실과 조리실에 열을 가하는 가열장치를 포함하고, 가열장치에서 발생된 열을 조리실 내부에서 순환시키는 순환장치를 구비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오븐은 조리물을 밀폐,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구로서, 그 열원에 따라 전기식, 가스식, 전자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기오븐은 전기히터를 열원으로 사용하고, 가스오븐과 전자레인지는 각각 가스에 의한 열과 고주파로 인한 물 분자의 마찰열을 열원으로 이용한다.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microwave)라 불리는 전자파의 성질을 이용해 식품을 가열하는 조리기기이다. 전자레인지는 유전 가열방식에 의해, 음식물의 내부로부터 열을 발생시켜 음식물을 데운다. 높은 주파수를 가지는 전자파가 음식물에 충돌하면 음식물 내부의 물 분자가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음식물의 분자 배열이 흐트러진다. 전자레인지는 물 분자가 회전함으로써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데운다.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전자레인지가 동작되어 인체에 해로운 마이크로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자레인지는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동작될 필요가 있다. 전자레인지의 본체에는 도어의 닫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센서에 구비되는 스위치가 가압되면 도어가 닫힌 것으로 보고 전자레인지가 동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어의 닫힘 여부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외부의 다른 물건에 의해 본체의 래치 어셈블리가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에 구비되고, 도어의 키 부재를 구속하는 래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로서,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간섭 홀을 갖는 바디;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레버; 상기 키 부재의 가압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레버; 상기 제2 레버에 연결되며, 상기 간섭 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 레버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 및 상기 제1 레버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되며, 상기 조리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레버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간섭 홀로부터 이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레버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제2 레버의 회전 축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레버가 회전할 때,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레버의 회전 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키 부재가 상기 래치 어셈블리에 삽입될 때, 상기 키 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레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레버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레버의 일 부분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제1 레버는 상기 제2 레버와 함께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일 단부가 상기 제1 레버에 연결되고 일 단부와 반대되는 타 단부가 상기 제2 레버에 연결되는 제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제2 레버가 상기 제1 레버에 대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레버에 의해 가압되도록 상기 제1 레버의 일 측에 마련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제1 레버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가압부재의 일측은 상기 센서에 마련된 스위치를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는 가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버는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가압돌기를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1 레버가 상기 가압돌기를 통과하도록 회전될 때, 상기 센서에 마련된 스위치의 가압을 해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일 단부가 상기 제1 레버에 연결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도어의 개방이 시작될 때,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레버에 탄성력을 가하고, 상기 도어의 개방이 종료될 때,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레버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일 단부가 상기 제2 탄성부재에 연결되는 제3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탄성부재는 상기 키 부재가 상기 래치 어셈블리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탄성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레버 및 상기 제2 레버가 장착되는 회전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레버는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 부재는 고정홀을 포함하며, 상기 키 부재가 상기 래치 어셈블리로 삽입될 때 상기 후크부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구속하는 래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로서,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에 마련된 키 부재를 구속하는 후크부가 형성된 제1 레버;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레버와 함께 제1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레버; 및 상기 제1 레버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간섭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레버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레버에 대한 간섭을 해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레버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레버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스토퍼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상기 제2 레버가 상기 제1 레버에 대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2 레버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레버 및 상기 제1 레버가 순차적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레버 및 상기 제2 레버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일 단부가 상기 제1 레버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레버를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외력이 제거될 때 상기 제1 레버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도어의 닫힘 여부가 정확하게 감지되어 도어가 닫힌 경우에만 동작될 수 있으며, 도어가 닫히지 않은 경우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외부의 다른 물건에 의해 래치 어셈블리가 가압되어 도어가 닫힌 것으로 감지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래치 어셈블리 및 도어의 키 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키 부재에 의해 래치 어셈블리가 가압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키 부재에 의해 래치 어셈블리가 가압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의 일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의 스토퍼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조리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 내부에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이 형성된 조리실(2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조리기기(1)를 기준으로 도어(100)가 설치된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조리실(20)은 본체(1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조리실(20)은 본체(10)의 내측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측에는 전장실(30)이 형성될 수 있다. 전장실(30)은 조리 기기(1)를 동작시키는 전장품들이 설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장실(30)은 조리실(20) 상부에서 조리실(20)과 본체(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조리실(20)은 전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조리실(20)의 개방된 전면은 도어(1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100)는 본체(10)의 전면 일 측에 힌지 결합되어 조리실(20)을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100)는 조리실(20)을 폐쇄한 상태에서 조리실(20)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전면에 투시창(101)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100)에 마련된 투시창(101)을 통하여 음식물 조리 시에 조리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조리실(20)은 복수개의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조리실(20)은 조리실(20)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플레이트, 조리실(2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 플레이트, 그리고 조리실(20)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면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플레이트와 상면 플레이트, 그리고 저면 플레이트는 각각 용접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측면 플레이트와 상면 플레이트, 그리고 저면 플레이트는 나사 결합에 의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조리실(20)은 하나의 플레이트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조리 기기(1)의 전면 상부에는 컨트롤 패널(50)이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50)은 전장실(30) 내부에 마련된 전장품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50)은 입력부(59)와 디스플레이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59)는 사용자가 조리 기기의 조리 기능, 조리 모드, 조리 시간 등의 동작에 대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입력부(59)는 사용자가 조리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다. 입력부(59)는 복수의 스위치가 터치 센싱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1)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조건 및 이에 따른 동작 상태 등을 문자, 숫자 및 기호를 이용하여 표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100)는 본체(10)와 힌지 결합되어 개폐될 수 있다. 일례로 도어(100)의 하단과 본체(10)의 전방 하단은 힌지(미도시)로 결합될 수 있다. 도어(100)의 타측에는 도어(100)가 닫힌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장치(40,110)가 구비될 수 있다. 힌지가 도어(100)와 본체(10)의 하단에 구비되는 경우, 고정장치(40,110)는 도어(100)와 본체(10)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고정장치(40,110)는, 도어(100)에 구비되는 키 부재(110) 및 본체(10)에 구비되어 키 부재(110)를 고정시키는 래치 어셈블리(40)를 포함한다. 키 부재(110)는 도어(100)의 내측 상단에 구비되고, 래치 어셈블리(40)는 키 부재(11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본체(10)의 전방 상단에 위치될 수 있다. 래치 어셈블리(40)와 키 부재(110)의 설치 위치는 상기 기재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래치 어셈블리(40)에는 도어(100)의 닫힘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61,62)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센서(61,62)에 의해 도어(100)가 정상적으로 닫힌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만 동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조리기기(1)는 도어(100)가 정상적으로 닫히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동작되지 않도록 마련되므로,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100)가 닫히면서 키 부재(110)가 래치 어셈블리(40)를 가압하면, 래치 어셈블리(40)에 의해 센서(61,62)에 구비되는 스위치(610,620:도 4 참조)가 가압되어 도어(100)가 정상적으로 닫힌 것으로 감지될 수 있다.
그러나, 도어(100)가 닫힌 경우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외부의 다른 물체가 의해 래치 어셈블리(40)에 삽입되어 제2 레버(43)가 회전함에 따라 센서(61,62)의 스위치(610,620)가 가압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스위치(610,620)가 가압되면 도어(100)가 닫힌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조리기기(1)는 오작동될 수 있다. 도어(100)가 열린 상태에서 조리기기(1)가 동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의 다른 물체에 의해 래치 어셈블리(40)가 가압되어 도어(100)가 닫힌 것으로 감지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래치 어셈블리 및 도어의 키 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키 부재에 의해 래치 어셈블리가 가압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키 부재에 의해 래치 어셈블리가 가압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40)는 본체(10)에 장착되는 바디(41), 바디(4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레버(42) 및 제2 레버(43)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 어셈블리(40)는 스토퍼(44)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41)에는 스토퍼(44)가 삽입될 수 있는 간섭 홀(415)이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44)가 간섭 홀(415)에 삽입되면, 제1 레버(42)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바디(41)에는 제1 레버(42)와 제2 레버(4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회전축(410)이 구비될 수 있다. 도어(100)가 닫히면 키 부재(110)에 의해 제1 레버(42) 및 제2 레버(43)는 제1 회전축(410)을 중심으로 제1 방향(A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레버(42)와 제2 레버(43)에는 각각 제1 회전축(411)이 삽입되는 축 홀(420,43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레버(43)는 제1 레버(42)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버(42)에는 제2 레버(43)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제2 레버(43)가 회전하면 제1 레버(42)의 내측 벽의 일 부분을 제2 레버(43)가 가압하여 제1 레버(42)와 제2 레버(43)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레버(42)에는 제2 레버(43)에 의해 간섭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제2 레버(43)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 돌출부에 의해 제1 레버(42)와 제2 레버(43)가 함께 회전할 수도 있다. 제1 레버(42)와 제2 레버(43)가 함께 회전할 수 있는 구조는 상기 기재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키 부재(110)가 래치 어셈블리(40) 측으로 접근하면, 먼저 제2 레버(43)를 가압하고, 제2 레버(43)가 제1 방향으로 회전을 할 수 있다. 스토퍼(44)는 제1 레버(42)를 간섭하도록 록킹 상태에 있다가 제2 레버(43)가 회전함에 따라 록킹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스토퍼(44)에 의한 록킹 상태가 해제되면 제1 레버(42)는 제2 레버(43)와 함께 제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바디(41)에는 도어(100)의 닫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제1 센서(61) 및 제2 센서(62)가 장착될 수 있다. 제1 센서(61) 및 제2 센서(62)에는 각각 제1 레버(42)에 의해 가압될 수 있게 구비되는 제1 스위치(610) 및 제2 스위치(620)가 구비될 수 있다. 도어(100)가 닫히면 제1 레버(42)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스위치(610) 및 제2 스위치(620)를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 센서(61) 또는 제2 센서(62)는, 바디(41)에 장착되지 않고, 제1 레버(42)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바디(41)의 외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제1 센서(61)는 제1 레버(42)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2 센서(62)는 제1 레버(42)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레버(42)는, 제1 센서(61)에 구비되는 제1 스위치(610)를 가압할 수 있는 제1 가압부(422) 및 제2 센서(62)에 구비되는 제2 스위치(620)를 가압할 수 있는 제2 가압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버(42)의 상부에는 가압부재(45)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레버(42)에 의해 제1 스위치(610)가 직접 가압되지 않고, 제1 레버(42)가 가압부재(45)를 가압하면 제1 센서(61)에 인접하게 위치된 가압부재(45)가 제1 스위치(610)를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가압부재(45)에는 돌출된 가압돌기(45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레버(42)는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압돌기(452)를 가압할 수 있다. 가압돌기(452)가 가압되면 가압부재(45)는 제3 방향(C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스위치(610)를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제1 레버(42)의 제1 가압부(422)가 정상 각도보다 많은 각도만큼 회전하여 가압돌기(452)를 지나치는 경우, 가압부재(45)는 다시 제4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부재(45)의 일 측(451)은 제1 센서(61)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센서(61)의 제1 스위치(610)는 가압부재(45)의 일 측(451)에 의해 과도하게 가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가압부재(45)의 가압상태가 해제되면 가압부재(45)는 제3 방향과 반대되는 제4 방향(D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때 바디(41)에는 가압부재(45)를 지지하는 지지리브(412)가 구비될 수 있다. 가압부재(45)는 지지리브(412)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가, 제1 레버(42)에 의해 가압되면 제3 방향으로 회전하여 지지리브(41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가압부재(45)의 일 측(451)은 제1 센서(61)의 제1 스위치(610)를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재(45)의 타 측에는 바디(41)에 구비되는 제2 회전축(411)이 삽입되는 축 홀(45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45)는 바디(41)에 구비되는 제2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레버(42)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압부재(45)의 일 측을 가압하면, 가압부재(45)는 제2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제3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스위치(610)를 가압할 수 있다. 가압부재(45)는 제1 센서(61)에 인접한 위치에서 제1 스위치(610)를 신뢰성있게 가압할 수 있다.
제2 레버(43)에는 키 부재(110)에 의해 가압되는 레버부(431)가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레버(43)에는 스토퍼(44)에 의해 제1 레버(42)가 록킹 또는 록킹 해제될 때 스토퍼(44)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브부(432)가 구비될 수 있다.
래치 어셈블리(40)는 제1 레버(42)와 제2 레버(43) 사이에 게재되는 제1 탄성부재(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46)는 제1 레버(42)의 일 측면과 제2 레버(43)의 일 측면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외력이 없는 한, 제1 레버(42)의 일 측면과 제2 레버(43)의 일 측면은 제1 탄성부재(46)에 의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1 탄성부재(46)는 일 단부가 제1 레버(42)에 연결되고, 일 단부와 반대되는 타 단부가 제2 레버(43)에 연결되는 제1 탄성부재(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46)는 제2 레버(43)가 제1 레버(42)에 대해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키 부재(110)에 의해 제2 레버(43)는, 제1 탄성부재(46)의 탄성력의 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즉, 제2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제2 레버(43)의 일 측면과 제1 레버(42)의 일 측면이 서로 접촉되고 키 부재(110)에 의해 제2 레버(43)가 계속해서 가압되면 제1 레버(42)와 제2 레버(43)는 제1 방향으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키 부재(110)에 의한 외력이 제거되면 제1 탄성부재(46)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레버(42)의 일 측면과 제2 레버(43)의 일 측면은 서로 멀어져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키 부재(110)에 의해 제2 레버(43)가 먼저 소정 거리 이격하면서 후술할 스토퍼(44)를 이동시켜 제1 레버(42)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제1 레버(42)의 록킹 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제2 레버(43)의 일 측면과 제1 레버(42)의 일 측면이 접촉되면 제1 레버(42)와 제2 레버(43)가 함께 제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레버(42)와 바디(41) 사이에는 제2 탄성부재(47)가 게재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47)의 일 단부(471)는 제1 레버(42)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장착부(425)에 장착되고, 타 단부(472)는 바디(41)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장착부(414)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47)는 제1 레버(42)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어(100)가 닫히면 제1 레버(42)가 제2 레버(43)에 의해 가압되어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도어(100)가 열리면 제1 레버(42)는 제2 탄성부재(47)의 탄성력에 의해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탄성부재(47)는 일 단부(471)와 타 단부(472)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100)가 폐쇄되는 순간부터 제1 레버(42)가 소정 각도만큼 화전할 때까지 제2 탄성부재(47)는 제1 레버(42)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이후, 제1 레버(42)가 회전함에 따라 제2 탄성부재(47)의 일 단부(471)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제2 탄성부재(47)는 일 단부(471)와 타 단부(472)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므로, 제1 레버(42)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비교적 적은 힘으로 도어(100)르 폐쇄 동작을 마무리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47)와 바디(41) 사이에는 제3 탄성부재(4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바디(41)에는 제3탄성부재(48)의 일 측이 장착되는 제2 장착부(413)가 구비될 수 있다. 제3 탄성부재(48)의 타 측은 제2 탄성부재(47)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탄성부재(48)는 키 부재(110)가 래치 어셈블리(40)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제3 탄성부재(48)는 제2 탄성부재(47)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비교적 적은 힘으로 제1 레버(42)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제2 탄성부재(47)는 일 단부(471)의 위치가 제1 레버(42)의 회전과 함께 변경되도록 마련되어 제1 레버(42)가 제1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한 경우에 제1 레버(42)에 가하는 탄성력의 방향이 전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 레버(42)에는 후크부(423)가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키 부재(110)에는 고정 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100)가 닫히면 후크부(423)는 고정 홀(111)에 삽입되어 도어(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외력이 없는 한, 후크부(423)는 고정 홀(111)에서 이탈되지 않으므로 도어(10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의 일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의 스토퍼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40)에는 제1 레버(42)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토퍼(44)가 구비된다. 제2 레버(43)의 가이드부(432)에는 가이드 돌기(433)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44)에는 가이드 돌기(433)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44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440)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되, 좌우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 례로 가이드 홈(440)은 우측 전방으로부터 좌측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레버(43)가 가압되거나 가압 상태가 해제되면, 가이드 돌기(433)가 가이드 홈(440)을 따라 이동하고, 스토퍼(44)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레버(43)의 회전 축의 연장 방향과 스토퍼(44)의 이동 방향은 대략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스토퍼(44)는 제1 레버(42)를 간섭하여 제1 레버(42)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1 레버(42)를 간섭할 수 있다.
일 례로, 스토퍼(44)가 바디(41)에 구비된 간섭 홀(415)에 삽입되면 제1 레버(42)는 록킹되어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제2 레버(43)가 가압되면, 스토퍼(44)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간섭 홀(415)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스토퍼(44)가 간섭 홀(415)로부터 빠져나오면 제1 레버(42)의 록킹 상태가 해제되어 제1 레버(42)는 제2 레버(43)와 함께 제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레버(43)가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토퍼(44)는 제1 레버(42)의 회전을 제한한다. 상세히, 제2 레버(43)의 레버부(431)가 가압되지 않으면, 스토퍼(44)에 의해 제1 레버(42)가 회전하지 않고, 제1 스위치(610) 및 제2 스위치(620)가 가압되지 않으므로 도어(100)는 닫힌 것으로 감지되지 않는다. 도어(100)가 닫힌 것으로 감지되지 않으므로 조리기기(1)는 동작되지 않는다.
제2 레버(43)의 레버부(431)는 제2 레버(43)의 몸체로부터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되고, 가로 길이가 소정 길이 이상이 되는 키 부재(100)와 같은 구성이 아닌 다른 물체가 래치 어셈블리(40)로 삽입되더라도 레버부(431)를 정확하게 가압하기 힘들다. 따라서 키 부재(100)가 아닌 다른 물체가 래치 어셈블리(40)에 삽입되더라도 스토퍼(44)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기 어렵다. 따라서 제1 레버(42)는 스토퍼(44)에 의해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고, 제1 센서(61) 및 제2 센서(62)에 구비되는 제1 스위치(610) 및 제2 스위치(620)도 가압되지 않는다. 즉, 키 부재(100)가 아닌 다른 물체가 래치 어셈블리(40)에 삽입되더라도 제2 레버(43)를 회전시킬 수는 없으며, 이에 따라 스토퍼(44)가 제1 레버(42)의 회전을 제한한 상태가 유지되므로, 조리기기(1)는 도어(1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오작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키 부재(110) 이외에 외부의 물체에 의해 도어(100)가 닫힌 것으로 잘못 감지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어(100)가 열린 상태에서 조리기기(1)가 동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00)가 열린 상태에서 조리기기(1)가 동작되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1: 조리기기 10: 본체
40: 래치 어셈블리 41: 바디
42: 제1 레버 43: 제2 레버
44: 스토퍼 45: 가압부재
46: 제1 탄성부재 47: 제2 탄성부재
48: 제3 탄성부재 61: 제1 센서
62: 제2 센서 100: 도어
110: 키 부재 111: 고정 홀
423: 후크부 431: 레버부
432: 가이드부 433: 가이드 돌기
440: 가이드 홈 610: 제1 스위치
620: 제2 스위치

Claims (20)

  1. 본체에 구비되고, 도어의 키 부재를 구속하는 래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로서,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간섭 홀을 갖는 바디;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레버;
    상기 키 부재의 가압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레버;
    상기 제2 레버에 연결되며, 상기 간섭 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 레버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 및
    상기 제1 레버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되며, 상기 조리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레버가 회전할 때, 상기 제2 레버의 회전 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레버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간섭 홀로부터 이탈되도록 마련되는 조리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버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제2 레버의 회전 축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리기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키 부재가 상기 래치 어셈블리에 삽입될 때, 상기 키 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버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레버의 일 부분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제1 레버는 상기 제2 레버와 함께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조리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일 단부가 상기 제1 레버에 연결되고 일 단부와 반대되는 타 단부가 상기 제2 레버에 연결되는 제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제2 레버가 상기 제1 레버에 대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조리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에 의해 가압되도록 상기 제1 레버의 일 측에 마련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제1 레버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가압부재의 일 측은 상기 센서에 마련된 스위치를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조리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가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버는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가압돌기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조리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1 레버가 상기 가압돌기를 통과하도록 회전될 때, 상기 센서에 마련된 스위치의 가압을 해제하도록 마련되는 조리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일 단부가 상기 제1 레버에 연결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도어의 개방이 시작될 때,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레버에 탄성력을 가하고,
    상기 도어의 개방이 종료될 때,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레버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마련되는 조리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일 단부가 상기 제2 탄성부재에 연결되는 제3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탄성부재는 상기 키 부재가 상기 래치 어셈블리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탄성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마련되는 조리기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레버 및 상기 제2 레버가 장착되는 회전 축이 형성되는 조리기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는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 부재는 고정홀을 포함하며,
    상기 키 부재가 상기 래치 어셈블리로 삽입될 때, 상기 후크부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조리기기.
  16.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구속하는 래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로서,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에 마련된 키 부재를 구속하는 후크부가 형성된 제1 레버;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레버와 함께 제1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레버; 및
    상기 제1 레버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간섭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레버가 회전할 때, 상기 제2 레버의 회전 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레버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레버에 대한 간섭을 해제하도록 구비되는 조리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레버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스토퍼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상기 제2 레버가 상기 제1 레버에 대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2 레버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레버 및 상기 제1 레버가 순차적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레버 및 상기 제2 레버에 탄성력을 가하는 조리기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일 단부가 상기 제1 레버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레버를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외력이 제거될 때 상기 제1 레버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0170012359A 2017-01-26 2017-01-26 조리기기 KR102679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359A KR102679174B1 (ko) 2017-01-26 2017-01-26 조리기기
EP18744372.6A EP3560288B1 (en) 2017-01-26 2018-01-25 Cooking apparatus
PCT/KR2018/001099 WO2018139864A1 (en) 2017-01-26 2018-01-25 Cooking apparatus
US15/881,361 US10746411B2 (en) 2017-01-26 2018-01-26 Cook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359A KR102679174B1 (ko) 2017-01-26 2017-01-26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943A KR20180087943A (ko) 2018-08-03
KR102679174B1 true KR102679174B1 (ko) 2024-06-28

Family

ID=62905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359A KR102679174B1 (ko) 2017-01-26 2017-01-26 조리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46411B2 (ko)
EP (1) EP3560288B1 (ko)
KR (1) KR102679174B1 (ko)
WO (1) WO20181398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1349A1 (ko) * 2021-03-31 2022-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래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220157051A (ko) * 2021-05-20 2022-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230016420A (ko) * 2021-07-26 2023-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래치 및 이를 포함한 조리기기
WO2023191293A1 (ko) * 2022-03-28 2023-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WO2023232114A1 (zh) * 2022-06-01 2023-12-07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微波炉的联锁装置、微波炉和家用电器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1580A (en) * 1973-11-19 1974-08-27 Corning Glass Works Lockable oven door latch
GB1534771A (en) * 1976-04-08 1978-12-06 Palmer J Latching devices and microwave ovens incorporating such devices
US4163443A (en) * 1977-08-15 1979-08-07 Preway, Inc. Latch mechanism for an oven door
JPS6040770B2 (ja) * 1981-09-21 1985-09-12 株式会社東芝 加熱調理器の扉開閉装置
JPS5846010U (ja) * 1981-09-21 1983-03-28 株式会社東芝 加熱調理器の扉開閉装置
DE3206606C2 (de) * 1982-02-24 1985-04-25 Bosch-Siemens Hausgeräte GmbH, 7000 Stuttgart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die Tür eines Backofens
US4554907A (en) * 1983-12-12 1985-11-26 Whirlpool Corporation Latch for self-cleaning oven door
US4745250A (en) * 1987-04-27 1988-05-17 Litton Systems, Inc. Interlock switch baseplate assembly
GB2207181B (en) * 1987-07-06 1991-09-11 Gold Star Co Door catch assembly.
FR2672111B1 (fr) * 1991-01-25 1993-10-15 Moulinex Sa Dispositif de mise en position attente de demarrage d'un four a micro-ondes.
SE502225C2 (sv) 1994-01-12 1995-09-18 Whirlpool Europ Mikrovågsugn
KR0129240B1 (ko) * 1994-06-21 1998-04-08 구자홍 냉동사이클의 액압축 방지장치
AT407602B (de) * 1994-08-31 2001-05-25 Alfit Ag Einzugsvorrichtung für schubladen
DE19504574C2 (de) * 1995-02-11 2002-05-02 Miele & Cie Backofen mit einer Türverriegelungseinrichtung bei Mikrowellenbetrieb
KR100420339B1 (ko) 2001-03-09 2004-03-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전자레인지의 인터록장치
ES1048667Y (es) * 2001-04-11 2002-02-01 Ind Ragi S A Mecanismo de seguridad para cierre de cajones
DE20202520U1 (de) * 2002-02-18 2002-06-13 Anton Schneider GmbH & Co., 79341 Kenzingen Selbsteinzug für Schubladen o.dgl.
EP1469257B1 (en) * 2003-03-19 2015-01-28 LG Electronics, Inc. Door assembly for microwave oven
US7556033B2 (en) * 2003-07-16 2009-07-07 Lg Electronics Inc.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in electric oven
KR100578399B1 (ko) * 2004-03-05 2006-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AU2006311516A1 (en) * 2005-11-09 2007-05-18 Turbochef Technologies, Inc. Combination switch
DE102006001293B4 (de) * 2006-01-10 2021-05-27 BSH Hausgeräte GmbH Gar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Gargeräts
KR200416692Y1 (ko) 2006-03-08 2006-05-22 동우정밀(주) 가전제품용 도어래치유닛
TWM302606U (en) * 2006-06-02 2006-12-11 Gslide Corp Automatic closing equipment for hidden drawer rail
GB2455783B (en) * 2007-12-21 2012-07-18 Panasonic Mfg Uk Ltd Controlled door opening in domestic appliances
KR101056813B1 (ko) 2009-10-22 2011-08-16 동우정밀(주)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
PL2893109T3 (pl) * 2012-09-10 2018-01-31 Illinois Tool Works Ściskająca uszczelkę zapadka ze zakumulowaną energią o zmniejszonym tarciu obrotowy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60288A1 (en) 2019-10-30
EP3560288B1 (en) 2021-09-29
US20180209659A1 (en) 2018-07-26
WO2018139864A1 (en) 2018-08-02
KR20180087943A (ko) 2018-08-03
EP3560288A4 (en) 2019-12-18
US10746411B2 (en) 202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79174B1 (ko) 조리기기
US20130069512A1 (en) Actuated door opening mechanism for microwave and speedcooking products
EP3596395B1 (en) Cooking appliance
CN104879799A (zh) 一种防止蒸汽和微波泄漏的安全门锁机构
KR102132485B1 (ko) 조리기기
CN204678417U (zh) 一种防止蒸汽和微波泄漏的安全门锁机构
US20240090093A1 (en) Cooking appliance
EP1571891A1 (en) Microwave oven with door latch assembly
US20240110705A1 (en) Latch and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US10306711B2 (en) Microwave oven with dual doors
KR20230139745A (ko) 조리기기
JP4000534B2 (ja) 家電機器
EP1564497B1 (en)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electric oven
KR100734360B1 (ko) 전기 오븐 레인지
CN219864535U (zh) 一种门锁结构及烹饪设备
KR100277983B1 (ko) 전자렌지용 도어키 스위치 기구
KR102586020B1 (ko) 가전제품
KR100807383B1 (ko) 컨트롤러를 구비한 전자레인지의 도어장치
KR100762322B1 (ko) 조리실 가변형 전자레인지의 안전장치
KR20240011969A (ko)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레인지
KR20230151419A (ko) 조리기기
KR19990054689A (ko) 전자렌지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46200A (ko)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레인지
KR20230155750A (ko)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200232705Y1 (ko) 전자렌지의 도어와 전판의 밀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