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5750A -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5750A
KR20230155750A KR1020220055322A KR20220055322A KR20230155750A KR 20230155750 A KR20230155750 A KR 20230155750A KR 1020220055322 A KR1020220055322 A KR 1020220055322A KR 20220055322 A KR20220055322 A KR 20220055322A KR 20230155750 A KR20230155750 A KR 20230155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tch
cooking appliance
locking mechanism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수
변재원
여태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5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5750A/ko
Priority to PCT/KR2022/015793 priority patent/WO2023132442A1/ko
Publication of KR20230155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7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05B6/6417Door interlock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and rela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35Aspects relating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Abstract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도어설정키 조작시 도어의 위치가 폐쇄위치일 때에만 개방허용동작이 진행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로킹기구의 불필요한 동작 발생이 방지되고, 로킹기구의 잦은 동작으로 인한 고장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의 제어방법{MEHOD FOR CONTOLLING 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챔버, 즉 조리실이 본체의 내부에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조리실의 내부 또는 외부 공간에는 열원이 제공되어 조리실을 가열한다.
밀폐형 조리기기 중 전자레인지는, 전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시켜서 조리실 내부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에 침투시켜, 내부에서 분자운동을 일으키는 것에 의하여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는 조리장치이다.
전자레인지는, 마그네트론의 고주파를 조리물에 조사시켜 그 내부 및 외부를 동시에 가열하는 주방용 기구로서, 열효율이 높아 조리물의 조리시간을 대폭 단축하고, 조리물의 조리나 해동 및 데우기 과정에서 영양가의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조리물을 용기에 저장한 채로 직접 조리할 수 있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전자레인지는, 통상 본체 내부에 형성된 조리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를 구비한다. 전자레인지에 구비되는 도어로서, 그 개폐 형태에 따라 좌우 개폐식 도어, 상하 개폐식 도어, 슬라이딩 도어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의 도어는 좌우 개폐식 도어이다.
또한 본체와 도어 사이에는,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래치가 구비될 수 있다. 래치는, 걸이로서의 작용으로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한편, 도어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도어 개방 상태에서 조리가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등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래치에 의해서는 도어가 완전히 개방될 수 없게 고정되지는 않는다. 즉 도어가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에서 도어에 소정 이상의 힘을 가하면, 별도의 다른 조작 없이도 래치에 의한 도어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고, 이에 따라 도어가 회전 또는 슬라이딩하며 조리실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도어의 개폐 구조로 인해, 사용자가 도어를 잡아 당기면 도어가 쉽게 개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실수 또는 어린이의 장난 등으로 인해 전자레인지의 동작 중에 의도치 않게 조리실이 개방되는 일이 종종 발생될 수 있다.
전자레인지의 동작 중에 의도치 않게 조리실이 개방되는 경우, 음식물을 조리 중인 조리실 내부의 열기로 인해 사용자가 화상 등의 부상을 입을 위험성이 있다.
또한 조리 중이 아니라도 아이들이 빈번하게 도어를 개폐시키게 되면, 래치의 마모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마모된 래치로 인해 도어의 개폐 동작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선행문헌1(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5-0019743호)에는, 오븐렌지의 도어 잠금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1에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의 본체 상부에 설치된 가스렌지부(3)에는 작동봉(8)이 설치되고, 도어(10)의 상부에는 잠금공(13)이 형성된다.
작동봉(8)이 눌려진 상태에서는, 작동봉(8)이 잠금공(13)에 삽입되며 도어(10)와 결합된다. 이에 따라 도어(10)가 본체에 대하여 잠금 상태가 됨으로써, 도어(10)가 임의로 개방될 수 없게 된다.
작동봉(8)을 상측으로 잡아당기면, 작동봉(8)이 도어(10)의 잠금공(13)으로부터 이탈된다. 이에 따라 도어(10)가 본체로부터 개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선행문헌1의 도어잠금장치에 따르면, 도어(10) 개방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작동봉(8)으로 잡고 상측으로 잡아당기는 번거로운 동작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작동봉(8)을 잡고 상측으로 잡아당기는 동작은, 단순히 밀거나 터치하는 동작에 비해 상당히 번거로운 동작이다.
또한 작동봉(8)이 도어(10)와 결합된 상태에서는 작동봉(8)의 걸림환턱(8a)이 탄성편(7)의 걸림부(7')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을 정도의 힘을 들여야 작동봉(8)을 도어(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즉 선행문헌1의 도어잠금장치는, 힘을 들여 작동봉(8)을 상측으로 잡아당겨야 하는 등, 도어(8) 개방을 위해 힘들고 번거로운 동작을 요구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1의 도어잠금장치에 따르면, 본체를 개방했던 도어(10)가 본체를 다시 닫은 후 도어(10)를 잠그고자 할 경우에는, 작동봉(8)을 누르는 조작이 요구된다.
즉 작동봉(8)에 의한 도어(10) 잠금을 해제하고자 할 때는 물론 잠금이 해제된 도어(10)를 다시 잠그고자 할 때에도, 사용자가 직접 작동봉(8)을 잡고 작동봉(8)을 조작하여야 한다.
이 경우, 작동봉(8)으로 도어(10)를 잠그는 것을 잊는 일이 빈번히 발생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의도치 않은 조리실 개방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선행문헌1의 도어잠금장치에 따르면, 작동봉(8)이 오븐렌지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돌출물은, 오븐렌지의 미관을 해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선행문헌2(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9-0030842호)에는, 전자 렌지용 안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2에 개시된 전자 렌지용 안전 장치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2) 및 스위치(3)를 포함한다.
도어(52)를 닫고 스위치(3)를 동작시키면, 솔레노이드(2)의 플런저가 도어(52)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공(1)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플런저에 의해 도어(52)가 고정되고, 이에 따라 도어(52)가 본체(2)에 대하여 잠금 상태가 됨으로써, 도어(10)가 임의로 개방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선행문헌2의 경우에도, 솔레노이드(2)에 의한 도어(52)의 잠금은 자동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도어(52)를 닫았을 때 솔레노이드(2)의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도어(52)의 잠금을 해제하고자 할 때에는 물론 잠금이 해제된 도어(52)를 다시 잠그고자 할 때에도 스위치(3)의 조작이 요구된다.
또한 선행문헌2에서는, 도어(52)의 측면에 걸림공(1)이 형성된다. 걸림공(1)은 도어(52)의 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 걸림공(1)은 솔레노이드(2)의 플런저 삽입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지만, 이 걸림공(1)은 도어(52) 개방시 외부로 노출되면서 전자 렌지의 미관을 해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선행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제10-10-1995-0019743호 선행문헌2: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제10-1999-0030842호
본 발명은 도어의 임의 개방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면서도 번거롭고 힘든 조작 없이 쉽고 편리하게 도어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 임의 개방 방지를 위한 동작이 조리기기의 동작 상태, 도어 개방 상태 등에 따라 적합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변심 또는 실수로 인한 오조작에 의한 도어 임의 개방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 잠금 해제 후 별도의 조작 없이도 도어 잠금이 재개될 수 있도록 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기기는, 본체와 결합되며 도어를 폐쇄위치에 고정시키는 래치기구, 및 본체와 결합된 래치기구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로킹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래치기구의 고정 및 이를 통한 도어의 고정이 신뢰성 높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은, 도어설정키 조작시 도어의 위치가 폐쇄위치일 때에만 개방허용동작이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로킹기구의 불필요한 동작 발생이 방지되고, 로킹기구의 잦은 동작으로 인한 고장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가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에서 도어설정키 조작이 이루어질 때에 래치기구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로킹기구가 도어의 개방을 허용한 상태에서 설정시간 내에 도어의 위치가 개방위치로 변화되지 않으면 로킹기구가 도어 잠금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사용자의 변심 또는 실수로 인한 오조작으로 인한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도어의 임의 개방을 신뢰성 높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를 폐쇄위치에 고정시키는 래치기구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로킹기구를 포함하고, 이 로킹기구는 래치기구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게 마련되는 레버와 레버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의 작동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도어설정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번거롭고 힘든 조작 없이, 도어설정키에 대한 누름 조작만으로 쉽고 편리하게 도어의 임의 개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본체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래치보드와, 이 래치보드와 결합되며 도어를 폐쇄위치에 고정시키는 래치기구, 및 래치기구를 래치보드와 결합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로킹기구를 포함하고, 로킹기구는 래치보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를 폐쇄위치에 고정시키는 래치기구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로킹기구, 및 도어의 폐쇄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도어가 폐쇄위치로 이동하면, 로킹기구가 래치기구의 이동을 구속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도어 폐쇄시 별도의 조작 없이도 도어 잠금이 재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를 폐쇄위치에 고정시키는 래치기구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로킹기구, 및 각자 다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조작스위치들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조작스위치가 동시에 조작되면 로킹기구의 도어 잠금 기능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도어를 자동으로 안전하게 고정시키는 2중 도어 고정 기능과 이러한 기능이 해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은: 폐쇄위치와 개방위치를 이동하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상기 폐쇄위치에 고정시키는 래치기구, 및 상기 래치기구의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위치 또는 상기 래치기구의 이동을 허용하는 허용위치로 이동 가능 하게 마련되는 로커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으로서, 도어설정키 조작시, 상기 도어의 위치가 폐쇄위치일 때에만 개방허용동작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개방허용동작은, 상기 로커를 상기 허용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는, 동작설정값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설정키 조작시, 상기 입력키에 의해 상기 동작설정값이 입력된 상태에서는 설정값삭제동작이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설정값삭제동작은, 상기 입력키에 의해 입력된 상기 동작설정값을 삭제하는 동작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의 위치가 상기 개방위치이고 상기 입력키에 의해 상기 동작설정값이 입력된 상태일 때 상기 도어설정키가 조작되면, 상기 개방허용동작과 상기 설정값삭제동작 중 상기 설정값삭제동작만이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의 위치가 상기 폐쇄위치이고 상기 입력키에 의해 상기 동작설정값이 입력된 상태일 때 상기 도어설정키가 조작되면, 상기 개방허용동작 및 상기 설정값삭제동작이 함께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조리실 내부로 열 또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가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의 동작시에는, 상기 도어의 위치가 상기 폐쇄위치일 때에 상기 도어설정키가 조작되어도 상기 개방허용동작이 진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열부의 동작 중에 상기 도어설정키가 조작되면, 상기 가열부의 동작이 중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열부의 동작시에 상기 도어설정키가 조작되면, 상기 개방허용동작이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방허용동작 진행 후 설정시간 내에 상기 도어의 위치가 상기 개방위치로 변화되지 않으면, 도어단속동작이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단속동작은, 상기 로커를 상기 구속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로커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허용동작 진행시 상기 로커가 상기 허용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제1감지부와 접촉되면, 상기 제1감지부가 온(ON)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감지부가 온(ON)되면, 상기 로커의 이동이 중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도어의 위치가 폐쇄위치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가 상기 허용위치에서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제2감지부가 온(ON)되면, 도어단속동작이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단속동작은, 상기 로커를 상기 구속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도어설정키 조작시 도어가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에서만 개방허용동작이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로킹기구의 불필요한 동작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로킹기구의 잦은 동작으로 인한 로킹기구의 고장이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도어의 임의 개방을 신뢰성 높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상적인 조리기기에 마련된 입력키 외에 도어 잠금 기능 제어를 위한 별도의 입력키를 추가할 필요 없이 기존 입력키만으로도 도어 잠금 기능 제어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기존 조리기기 대비 부품 증가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신뢰성 높은 도어 잠금 기능을 갖는 조리기기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잠금 기능 제어를 위한 별도의 입력키가 추가될 필요가 없도록 함으로써, 기존 조리기기와의 호환성이 높은 조리기기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며, 입력키 추가로 인해 기존 조리기기의 외관 디자인 변경 필요성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래치기구를 본체에 고정시킬 수 있게 구비된 로킹기구에 의해 도어의 고정이 신뢰성 높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 동작 중에 의도치 않은 조리실 개방이 이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번거롭고 힘든 조작 없이 조작스위치 조작만으로 쉽고 편리하게 도어 잠금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높은 안전성과 편의성을 갖는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킹기구로 인해 조리기기의 미관이 손상되는 일 없이, 도어 잠금이 신뢰성 높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미관을 유지하면서 조리기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를 자동으로 안전하게 고정시키는 2중 도어 고정 기능을 제공할 뿐 아니라, 이러한 2중 도어 고정 기능이 불필요할 때에는 이 기능이 해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도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2중 도어 고정 기능 사용 여부를 선택하는 기능이 조리기기에 채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개방을 위해 2가지 이상의 동작이 이루어져야만 하도록 하는 2단계 잠금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2단계 잠금 기능이 불필요한 경우 해당 기능이 쉽고 간편하게 해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안정성과 편의성을 모두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조작 없이도, 조리실을 폐쇄한 도어에 대한 로킹기구의 도어 고정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이에 따른 조작의 편의성도 함께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고정 및 그 고정 해제가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불필요한 개폐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마모된 래치기구로 인해 도어의 개폐 동작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기구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7은 제1감지부가 포함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기구의 일부분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로킹기구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로커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로킹기구의 잠금 해제 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로킹기구의 잠금 해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5에 도시된 스위치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기구의 동작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스위치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기구의 동작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종래기술에 따른 오븐렌지의 도어가 잠긴 상태를 일부 절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9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 렌지용 안전 장치의 적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조리기기가 바닥(floor)에 놓인 상태에서, 조리기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도어가 설치된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도어를 열고 조리기기 내부로 진입하는 방향은 후방이 된다. 편의상 이렇게 전방과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제1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방은 제1방향의 일방, 후방은 제1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중력 방향을 하방,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조리기기의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 즉 조리기기의 도어 앞에서 조리기기를 바라볼 때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좌우방향이라 할 수 있다. 편의상 좌우방향을 제2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우측은 제2방향의 일방, 좌측은 제2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측방향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면 우측은 측방향의 일측, 좌측은 측방향의 타측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상하방향을 제3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상방은 제3방향의 일방, 하방은 제3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상하방향을 세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즉 제1방향과 제2방향을 포함하여 가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는, 캐비티(11) 및 캐비닛(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캐비티(11)는, 본체(10)의 내부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캐비티(11)는,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11)의 내부에는, 조리실(14)이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14)은, 캐비티(11)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 즉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14)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리실(14)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실(14)의 내부공간이 가열되면서 요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조리기기에서는, 조리실(14)의 내부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다.
캐비닛(13)은, 캐비티(11)의 외측에서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캐비닛(13)은, 캐비티(11)를 상부 및 측부에서 덮으며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캐비티(11)의 전방에 전면 플레이트(12)가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전면 플레이트(12)는, 캐비티(11)의 전방에서 본체(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전면 플레이트(12)는 중공이 형성된 금속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체(10)의 전방에는, 조리실(14)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20)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어(20)는, 그 측방향 일측을 중심으로 측방향 타측이 좌우로 회동하는 사이드 스윙(Side-swing) 방식으로 조리실(14)을 개폐할 수 있다. 예컨대, 도어(20)는 폐쇄위치에서 조리실(14)을 폐쇄할 수 있고, 폐쇄위치에서 회동하여 조리실(14)을 개방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20)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와 도어 사이에는, 힌지가 설치될 수 있다. 힌지는, 본체(10)의 측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도어(20)의 측방향 일측을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어(20)는, 본체(10)의 전면에서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조리실(14)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조리실(14) 내 가열을 위한 가열부(60)가 구비된다. 상기 가열부(60)는, 조리실(14) 내부로 열 또는 고주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가열부(60)는, 한 가지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고, 두 가지 이상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가열부(60)는 조리실(14) 내부에 고주파 열원을 공급할 수 있는 마그네트론(Magnetron)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때 마그네트론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되, 조리실(14)의 상부 또는 측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내부에는, 본체(10) 내 조리실(14)의 상부 또는 측부에 위치되는 전장실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그네트론 및 전장실이 조리실(14)의 측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전장실의 내부에는, 마그네트론, 고압트랜스(High Voltage Trans) 등의 전장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도어의 구조]
도어(20)는 도어(20)의 골격을 형성하는 도어패널(21)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패널(21)은, 본체(10)의 전면 형상에 대응되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패널(21)은 소정의 강도를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도어패널(21)의 외측에는, 도어프레임(25)이 설치될 수 있다. 도어프레임(25)은 도어(20)의 전면과 상면과 저면 및 측면 외관을 형성하며, 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프레임(25)의 내부에는 상기 도어패널(21)이 수용될 수 있다.
아울러 도어프레임(25)의 측방향 일측에는, 도어패널(21)을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는, 도어프레임(25)의 측방향 일측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어패널(21) 및 도어프페임(25)에 의해 형성되는 도어(20)는, 조리실(14)의 전방을 덮는 도어본체부(20a), 및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게 마련되는 손잡이부(20b)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도어(20)에는, 컨트롤패널(15)이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15)은, 도어본체부(20a)와 손잡이부(2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15)은,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20)의 대부분의 영역이 도어본체부(20a) 및 컨트롤패널(15)에 해당된다. 즉 도어(20) 중, 후술할 손잡이부(20b)를 제외한 도어(20)의 대부분의 영역이 도어본체부(20a) 및 컨트롤패널(15)에 해당된다.
도어본체부(20a)과 컨트롤패널(15)은 측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도어본체부(20a)의 측방향 타측에 컨트롤패널(15)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열된 도어본체부(20a)과 컨트롤패널(15) 사이는, 격벽(26)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15)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동작시키는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패널(15)에는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의 동작 정보 또는 음식물의 요리 정보 등을 제공하는 표시부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표시부를 통해 조리기기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본체부(30a)는 측방향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조리실(14)을 개폐할 수 있고, 컨트롤패널(15)은 도어본체부(30a)의 측방향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30b)는, 컨트롤패널(15)에서 측방향 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컨트롤패널(15)은, 도어본체부(30a)와 손잡이부(3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도어프레임(25)은 도어본체부(30a) 및 컨트롤패널(15)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도어프레임(25)에서 측방향 타측으로 연장된 부분이 손잡이부(30b)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20)의 전면에서는 도어본체부(30a) 및 컨트롤패널(15)의 전면과 손잡이부(30b)의 전면이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30b)의 측면은 측방향 일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즉 손잡이부(30b)는, 측방향으로 함몰된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30b)의 내부 공간은 측방향 타측으로 개방되며, 사용자는 이러한 내부 공간으로 손을 집어넣은 상태로 손잡이부(30b)를 잡고 도어(20)를 개폐할 수 있다.
한편 조리기기는, 래치기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래치기구(40)는, 도어(20)를 폐쇄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래치기구(40)는 도어(20)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이 도어(20)에 설치되는 래치기구(40)는, 도어(20)가 조리실(14)을 차폐할 때, 본체(10)의 전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래치슬롯을 관통하여 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된 래치기구(40)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래치보드(50)와 맞물려서 결합됨으로써 도어(20)를 본체(10)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래치기구(40)의 작용에 의해 본체(10)에 대한 도어(20)의 회동이 제한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조리실(14)이 도어(20)에 의해 차폐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래치기구(40)와 래치보드(50) 간의 맞물림 여부를 감지하는 동작을 통해 도어(20)의 닫힘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어(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조리가 진행되지 않도록 조리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캐비티(11)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 플레이트(12)에 래치보드(50)가 설치되고, 도어(20)에 설치된 래치기구(40)가 이 래치보드(50)에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한편 조리기기는, 로킹기구(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킹기구(100)는, 래치기구(40)의 이동을 구속함으로써 래치기구(40)를 래치보드(5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로킹기구(100)는, 도어(20)를 폐쇄위치에 고정시키고 있는 래치기구(40)를 래치보드(50)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로킹기구(100)는, 래치보드(50)와 결합된 래치기구(40)의 이동을 구속하여 래치기구(40)와 래치보드(50) 간의 결합이 해제되지 못하도록 한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도어(20)가 래치기구(40)에 의해 고정되고 래치기구(40)는 로킹기구(100)에 의해 고정되는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 도어(20)가 조리실(14)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래치기구(40)와 본체(10) 간의 결합이 해제되어야 할 뿐 아니라, 로킹기구(100)에 의해 이루어지는 래치기구(40)의 고정도 함께 해제되어야 한다.
[래치기구 및 래치보드의 구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기구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래치보드(50)는 본체(10)의 전방측,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전면 플레이트(12)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래치보드(50)는, 래치보드본체부(51)와 래치고정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보드본체부(51)는, 래치보드(50)의 골격을 형성하며, 전면 플레이트(12)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래치보드본체부(51)는, 상하방향 길이에 비해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 길이가 짧은 형상, 예컨대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래치보드본체부(51)는, 전면 플레이트(12)의 후방에 배치되어 전면 플레이트(12)와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래치보드본체부(51)의 전면이 전면 플레이트(12)의 배면에 맞닿은 상태로 래치보드본체부(51)와 전면 플레이트(12)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래치보드본체부(51)와 전면 플레이트(12) 간의 결합을 위해, 래치보드(50)에는 체결보스(52)가 마련될 수 있다. 체결보스(52)는, 래치보드본체부(51)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면 플레이트(12) 및 체결보스(52)에는 체결공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가 이 체결공을 통해 전면 플레이트(12) 및 체결보스(52)을 관통하며 전면 플레이트(12) 및 체결보스(52)와 결합될 수 있다.
래치고정부(53)는, 래치기구(40)와 결합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래치고정부(53)는, 본체(10)의 전방으로 노출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삽입홀(53a)과 걸림단(53b)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플레이트(12)에는 래치슬롯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래치슬롯은, 래치기구(40)가 전면 플레이트(12)를 전후방향으로 통과하는데 필요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래치고정부(53)는, 이 래치슬롯을 통해 본체(10)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삽입홀(53a)은, 전면 플레이트(12)에 형성된 관통홀과 연결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삽입홀(53a)은, 래치보드본체부(51)의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래치기구(40)는, 이러한 삽입홀(53a)을 통해 래치고정부(53)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래치보드(50)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되는 래치기구(40)는, 고정위치와 고정해제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도어(20)에 설치될 수 있다. 래치기구(40)가 고정위치에 있을 때, 래치기구(40)는 본체(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래치보드(50)와 결합되어 도어(20)를 폐쇄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래치기구(40)가 고정해제위치에 있을 때, 도어(20)는 본체(10)로부터 분리되어 조리실(14)을 개방할 수 있다.
래치기구(40)는, 본체(10)를 향해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고정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본체(10)와 멀어지는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고정해제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래치기구(40)는, 래치레버(41) 및 래치(43)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레버(41)는, 도어(20)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래치레버(4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래치레버(41)는, 도어(20) 내부에 구비된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래치레버(41)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는, 상방으로 이동한 래치레버(41)를 하방으로 다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래치(43)는, 래치레버(4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례로서, 래치(43)는 후방 단부가 하방으로 돌출된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래치(43)는, 래치슬롯을 통해 전면 플레이트(12)를 통과할 수 있으며, 삽입홀(53a)을 통해 래치보드(5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처럼 래치보드(50)에 삽입된 래치(43)는, 래치보드(50)의 배면에 걸리는 형태로 래치보드(50)와 결합될 수 있다.
래치기구(40)가 고정위치에 있을 때, 즉 래치기구(40)가 래치보드(50)에 결합되었을 때, 래치보드(50)에 삽입된 래치(43)의 후방 단부가 삽입홀(53a)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래치(43)가 래치보드(50)의 배면에 걸리는 형태로 래치보드(5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로커(110)의 자세가 잠금자세일 때에는, 래치(43)와 래치보드(50)의 배면이 전후방향으로 맞닿으며 래치(43)와 래치보드(5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래치(43)의 전방 이동이 래치보드(50)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방향으로 배열된 한 쌍의 래치(43)가 래치기구(40)에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한 쌍의 래치고정부(53)가 래치보드(50)에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래치기구(40)의 셋 이상의 래치(43)가 마련되고 래치고정부(53)에도 이에 대응하는 개수의 래치고정부(53)가 마련될 수도 있는 등, 래치기구(40)와 래치보드(50)와 관련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 따르면, 래치보드(50)에는 걸림단(51b)이 마련될 수 있다. 걸림단(51b)은, 삽입홀(53a)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걸림단(51b)은, 래치보드(50)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삽입홀(53a)의 하부 경계를 규정할 수 있다.
래치기구(40)가 고정위치에 있을 때, 래치보드(50)에 삽입된 래치(43)의 후방 단부가 삽입홀(53a)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래치(43)가 걸림단(51b)의 후방 단부에 걸리는 형태로 래치보드(5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걸림단(51b)은, 래치보드(50)의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래치기구(40)가 래치보드(50)에 삽입될 때에는, 래치(43)가 걸림단(51b)의 경사면을 타고 삽입홀(53a)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즉 로커(110)와 래치보드(50)의 결합을 위한 로커(110)의 이동이 걸림단(51b)에 의해 효과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래치기구(40)가 래치보드(50)에 결합되었을 때 걸림단(51b)과 접촉되는 래치(43)의 저면은, 전방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래치기구(40)가 고정위치에서 고정해제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래치(43)의 저면이 걸림단(51b)의 후방 단부를 타고 올라가면서 래치(43)의 전방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래치(43)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래치(43)가 래치기구(40)로부터 이탈되며 래치기구(40)와 래치보드(50) 간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이때 래치기구(40)의 이동방향은, 전방과 상방 사이의 방향이 된다. 즉 래치기구(40)가 고정위치에서 고정해제위치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래치기구(40)의 전방 이동뿐 아니라 상방 이동도 함께 이루어져야만 한다.
한편 래치보드(50)는, 제1지지부(54) 및 제2지지부(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54)와 제2지지부(55)는, 로킹기구(100)를 지지하기 위해 래치보드(5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1지지부(54)와 제2지지부(55)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로킹기구의 구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기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제1감지부가 포함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기구의 일부분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로킹기구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로커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로킹기구(100)는 로커(110) 및 구동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로킹기구(100)에 포함되는 로커(110)와 구동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래치보드(50)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로커(110)와 구동부(120) 모두가 래치보드(50)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로커(110)는, 래치기구(4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로커(110)는, 래치보드(50)에 설치될 수 있으며, 회전축(111) 및 레버(11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11)은, 상하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축(111)은, 후술할 구동부(120)와 연결되며, 구동부(12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지지부(54)와 제2지지부(55)가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리고 회전축(111)은 제1지지부(54)와 제2지지부(5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회전축(111)의 상단이 제1지지부(5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축(111)의 하단이 제2지지부(55)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레버(113)는, 회전축(111)의 회전에 연동되어 이동할 수 있게 회전축(111)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레버(113)는, 회전축(111)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레버(113)는, 구속위치와 허용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레버(113)가 구속위치에 있을 때, 레버(113)는 래치기구(40)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또한 레버(113)가 허용위치에 있을 때, 레버(113)는 래치기구(40)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래치기구(40)가 고정위치에서 고정해제위치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래치기구(40)의 전방 이동뿐 아니라 상방 이동도 함께 이루어져야만 한다. 즉 래치기구(40)의 상방 이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면, 래치기구(40)가 고정위치에서 고정해제위치로 이동할 수 없다.
레버(113)가 구속위치에 있을 때, 레버(113)는 래치기구(40)의 상부에서 래치기구(40)의 상방 이동을 구속함으로써 래치기구(40)의 위치를 고정위치로 유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버(113)는 래치(43)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래치기구(40)에 마련된 한 쌍의 래치(43) 중 상측에 배치된 래치(43)의 상부에 레버(113)가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레버(113)가 구속위치에 있을 때, 레버(113)는 래치(43)의 상하방향 이동 경로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레버(113)는, 래치(43)의 상부에서 래치(43)와 간섭되며 래치(43)의 상방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이로써 레버(113)는, 래치(43)가 래치고정부(53)와 결합된 상태에서 빠져나올 수 없도록 래치(43)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레버(113)의 적어도 일부분은 래치고정부(53)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레버(113)가 구속위치에 있을 때, 레버(113)의 적어도 일부분은 래치고정부(53),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삽입홀(53a)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처럼 삽입홀(53a)의 내부에 삽입된 레버(113)의 적어도 일부분은, 래치(43)의 상부에서 래치(43)의 상방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레버(113)는, 래치(43)가 삽입홀(53a) 내부에서 상방으로 이동할 수 없게 래치(43)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상기 레버(113)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버부(113a) 및 제2레버부(11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레버부(113a)는, 회전축(111)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레버부(113a)는, 회전축(111)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례로서, 회전축(111)은 래치고정부(53)와 결합된 래치(43)와 측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레버부(113a)는, 이 회전축(111)으로부터 돌출되되, 래치고정부(53)와 결합된 래치(43)의 래치(43)의 상부를 덮을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레버부(113a)는, 레버(113)가 구속위치에 있을 때, 래치(43)의 상부에서 래치(43)와 간섭되며 래치(43)의 상방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제2레버부(113b)는, 제1레버부(113a)의 단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레버부(113b)는, 회전축(111)의 회전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레버부(113b)는 레버(113)가 허용위치에서 구속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레버(113)가 허용위치에서 구속위치로 이동할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고 하면, 제2레버부(113b)는 제1레버부(113a)의 단부로부터 시계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제2레버부(113b)는, 레버(113)가 래치(43)를 상부에서 덮는 영역을 확장시킴으로써, 레버(113)에 의한 래치(43)의 고정이 더욱 안정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로킹기구(100)는, 제1감지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감지부(130)는, 레버(113)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감지부(130)가 마이크로스위치(Microswitch)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1감지부(130)는, 마이크로스위치 상에 돌출된 액추에이터의 움직임에 따라 온(ON)/오프(OFF)될 수 있다.
예컨대, 마이크로스위치의 액추에이터가 움직이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때, 제1감지부(130)는 오프(OFF)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는 제1감지부(130)에 의해, 레버(113)가 구속위치에 있음이 파악될 수 있다.
마이크로스위치의 액추에이터가 움직였을 때, 제1감지부(130)가 온(ON)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온(ON)된 제1감지부(130)에 의해, 레버(113)가 허용위치에 있음이 파악될 수 있다.
로커(110)는, 접촉돌기(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촉돌기(115)는, 회전축(111)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돌기(115)는, 회전축(111)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례로서, 로커(110)는 래치기구(40)와 제1감지부(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로커(110)의 전방측에 래치기구(40)가 배치되고, 로커(110)의 후방측에 제1감지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레버(113)는 회전축(111)으로부터 래치(43)를 향한 측인 대략 전방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접촉돌기(115)는, 제1감지부(130)를 향한 측인 후방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접촉돌기(115)는, 레버(113)와 마찬가지로, 회전축(111)의 회전에 연동되어 이동할 수 있다. 일례로서, 레버(113)가 허용위치에 있을 때, 접촉돌기(115)는 마이크로스위치 상에 돌출된 액추에이터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레버(113)가 구속위치로 이동하면, 접촉돌기(115)는 마이크로스위치와 이격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접촉돌기(115)가 마이크로스위치 상에 돌출된 액추에이터가 접촉돌기(115)와의 접촉에 의해 움직였을 때, 제1감지부(130)가 온(ON)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감지부(130)는, 레버(113)가 허용위치에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접촉돌기(115)가 마이크로스위치와 이격된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제1감지부(130)가 오프(OFF)될 수 있다. 이처럼 오프(OFF)된 제1감지부(130)를 통해, 레버(113)가 구속위치에 있음이 파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래치보드(50)는 제1지지부(54) 및 제2지지부(55)를 포함하며, 제1감지부(130)는 제1지지부(54)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지지부(54)는, 래치고정부(53)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하방향으로 배열된 한 쌍의 래치고정부(53) 중 상부에 배치된 것보다 더 상부에 제1지지부(54)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지지부(54)에는, 구동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지지부(54)는 래치보드본체부(51)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측으로 돌출된 가로방향의 평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처럼 평면 형태로 형성된 제1지지부(54)의 상부면에 구동부(120)가 안착되는 형태로, 구동부(120)가 제1지지부(5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54)에는, 제1지지보스(54a) 및 제2지지보스(54b)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지지보스(54a) 및 제2지지보스(54b)는, 제1지지부(54)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120)는, 제1지지보스(54a) 및 제2지지보스(54b)의 상단에 안착됨으로써, 제1지지부(54)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지지보스(54a)는, 구동부(120)의 평면방향 중앙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120)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구동축을 갖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모터의 구동축은, 구동부(120)의 평면방향 중앙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지지보스(54a)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로커(110)의 회전축(111)과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제2지지보스(54b)가 전후방향 또는 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처럼 배치된 제2지지보스(54b)는, 제1지지보스(54a)와 함께 구동부(12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제1지지부(54)의 하부측에는, 로커(110)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12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모터의 구동축은, 제1지지부(54)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로커(110)의 회전축(111)과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구동축과 연결된 회전축(111)을 갖는 로커(110)는, 제1지지부(54)의 하부에서 구동부(12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제1감지부(130)는, 로커(110)의 후방에 배치되며, 제1지지부(54)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감지부(130)는, 접촉돌기(115)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제1지지부(54)에 결합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마이크로스위치의 액추에이터와 접촉돌기(115)의 접촉이 가능한 위치에 제1감지부(130)가 배치되고, 이 위치에서 제1감지부(130)가 제1지지부(54)에 결합될 수 있다.
제1감지부(130)는, 제1지지부(54)의 하부측에서 제1지지부(54)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감지부(130)는, 제1지지부(54)와 제2지지부(55)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제1지지부(54)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접촉돌기(115)는,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제1감지부(130)와 접촉 가능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접촉돌기(115)는 레버(113)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레버(113)와 제1감지부(130)는 모두 래치보드(50)에 설치되고, 이 중 제1감지부(130)는 래치보드(50)의 최상단에 배치된 제1지지부(54)에 설치된다. 즉 제1감지부(130)는, 레버(113)와 동등하거나 레버(113)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54)의 하부에 배치된 래치고정부(53)에 래치(43) 및 레버(113)가 삽입되는 점을 고려하면, 제1지지부(54)에 설치되는 제1감지부(130)는 래치(43) 및 레버(113)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에 배치되는 제1감지부(130)와 접촉 가능한 높이에 배치되기 위해, 접촉돌기(115)는 적어도 레버(113)의 높이 이상의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촉돌기(115)가 레버(113)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만약 접촉돌기(115)와 레버(113)가 동일 높이에 배치되거나 접촉돌기(115)가 레버(113)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경우, 접촉돌기(115)가 래치(43)의 이동을 방해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레버(113)가 잠금해제위치로 이동했을 때, 레버(113)는 래치(43)의 이동 경로에서 벗어났지만 접촉돌기(115)의 적어도 일부분이 래치(43)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촉돌기(115)가 삽입홀(53a)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다면 접촉돌기(115)가 래치(43)의 상방 이동을 방해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접촉돌기(115)가 삽입홀(53a) 내부로 삽입 가능한 높이에 위치한다면, 접촉돌기(115)가 래치(43)의 상방 이동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접촉돌기(115)가 레버(113)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로써 래치보드(50)의 상단측에 설치되는 제1감지부(130)와 접촉돌기(115) 간의 접촉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접촉돌기(115)가 래치(43)의 이동을 방해함으로 인한 도어(20) 개방 불량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제2지지부(55)는, 제1지지부(54)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래치고정부(53)의 후방측에 제2지지부(55)가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2지지부(55)는, 로커(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일례로서, 제2지지부(55)는 래치보드본체부(51)로부터 후방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지지부(55)는, 지지프레임(55a) 및 지지축(55b)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55a)은, 래치보드본체부(51)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축(55b)은, 이 지지프레임(55a)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111)의 하단은 지지축(55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지지부(55)는, 로커(110)의 하부에서 로커(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로킹기구 제어 관련 구조]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제2감지부(140,150,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감지부(140,150,160)는, 도어(20)의 위치가 폐쇄위치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감지부(140,150,160)가 제1감지부(130)와 마찬가지로 마이크로스위치(Microswitch)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2감지부(140,150,160)는, 마이크로스위치 상에 돌출된 액추에이터의 움직임에 따라 온(ON)/오프(OFF)되며 도어(2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마이크로스위치의 액추에이터가 래치(43)에 의해 움직였을 때, 제2감지부(140,15,160)가 온(ON)되고, 이에 따라 제2감지부(140,150,160)는 도어(20)의 위치가 폐쇄위치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2감지부(140,150,160)가 프라이머리 스위치(140)와 세컨더리 스위치(150) 및 모니터 스위치(16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일례로서, 프라이머리 스위치(140)는 도어(20)가 조리실(14)을 폐쇄하는 경우에 온(ON)되어 고압트랜스와 마그네트론 등의 고압부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프라이머리 스위치(140)는, 도어(20)가 조리실(14)을 개방할 때에는 항상 오프(OFF)된 상태를 유지하여 고압트랜스와 마그네트론 등의 고압부로 전원이 공급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세컨더리 스위치(140)는, 프라이머리 스위치(140)와 함께 도어(2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세컨더리 스위치(140)의 도어(20) 위치 감지 결과에 의해, 조리기기로의 전원 인가가 단속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컨더리 스위치(140)의 도어(20) 위치 감지 결과에 의해 로킹기구(100)로의 전원 인가가 단속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모니터스위치(150)는, 도어(20)가 조리실(14)을 폐쇄하는 경우에 오프(OFF) 되어있다가, 도어(20)가 조리실(14)을 개방하는 경우 온(ON)되어 전기적 폐루프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입력전압을 바이패스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스위치(150)는, 프라이머리 스위치(130)와 세컨더리 스위치(140)가 오작동할 경우 조리기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제1감지부(130) 및 세컨더리 스위치(140)와 함께 안전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래치보드(50)는, 제3지지부(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지지부(56)는, 제2지지부(55)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래치고정부(53)의 후방측에 제3지지부(56)가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3지지부(56)는, 래치보드본체부(51)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부(56)에는, 제2감지부(140,150,160) 중 어느 하나, 좀 더 구체적으로는 프라이머리 스위치(140)가 결합될 수 있다. 프라이머리 스위치(140)는, 제3지지부(56)에 결합되어 래치고정부(53)의 후방측에 고정됨으로써, 래치고정부(53)에 결합된 래치(43)와 직, 간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제2지지부(55)의 하부측, 또는 제2지지부(55)와 제3지지부(56) 사이에는, 후크(56a)가 마련될 수 있다. 후크(56a)는, 제3지지부(56)와 함께 프라이머리 스위치(140)를 래치보드(50)에 고정시키거나, 래치보드(50)를 본체(10)에 고정시키거나, 본체(10)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 또는 구조물에 래치보드(50)를 고정시키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래치보드(50)는, 적어도 하나의 제4지지부(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지지부(57)는, 제3지지부(56)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래치보드본체부(51)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되, 제3지지부(56)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4지지부(57)는, 상하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감지부(140,150,160) 중 일부, 즉 세컨더리 스위치(150)와 모니터 스위치 (1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4지지부(57)에 결합되어 래치보드(5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서, 래치보드(50)에는 한 쌍의 제4지지부(57)가 배치되고, 세컨더리 스위치(150)와 모니터 스위치 (160)가 이 한 쌍의 제4지지부(57)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컨더리 스위치(150)와 모니터 스위치 (160)가 상하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제어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조리기기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으며, 로킹기구(100)의 동작 또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제1감지부(130) 및 제2감지부(140,150,16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70)는, 제1감지부(130) 및 제2감지부(140,150,160)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로킹기구(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70)는, 제1감지부(130) 및 제2감지부(140,150,160)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기초로 구동부(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2감지부(140,150,160)가 온(ON)되어 제어부(70)로 신호를 전송하면, 제어부(70)는 도어(20)의 위치가 폐쇄위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어(20)의 위치가 폐쇄위치일 때, 제어부(70)는 로커(110)가 구속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부(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감지부(130)가 온(ON)되어 제어부(70)로 신호를 전송하면, 제어부(70)는 로커(110)가 허용위치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로커(110)의 위치가 허용위치일 때, 제어부(70)는 로커(110)의 이동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동부(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어설정키(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설정키(80)는, 제어부(70)와 연결되며, 구동부(120)의 작동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어부(70)는, 도어설정키(80)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기초로 구동부(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설정키(80)가 컨트롤패널(15; 도 1 참조)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컨트롤패널(15)의 입력부에 도어설정키(8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설정키(80)는,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서, 도어설정키(80)가 누름 조작되어 제어부(70)로 신호를 전송하면, 제어부(70)는 로커(110)가 허용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부(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도어설정키(80)는, 로킹기구(100)에 의한 도어(20)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스위치로 마련될 수 있다.
[로킹기구의 작용, 효과]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로킹기구의 잠금 해제 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로킹기구의 잠금 해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도어(20)가 조리실(14)을 폐쇄하고, 이에 따라 래치(43)가 래치고정부(53)에 결합되면, 제2감지부(140,150,160)가 온(ON)될 수 있다.
이처럼 온(ON)된 제2감지부(140,150,160)가 제어부(70)로 신호를 전송하면, 제어부(70)는 도어(20)의 위치가 폐쇄위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어(20)의 위치가 폐쇄위치일 때, 제어부(70)는 구동부(120)가 로커(110)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부(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구동부(120)는 로커(110)의 회전축(111)을 일방향,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레버(113)는 구속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레버(113)가 구속위치에 있을 때, 레버(113)는 래치(43)의 상하방향 이동 경로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레버(113)는, 래치(43)의 상부에서 래치(43)와 간섭되며 래치(43)의 상방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이로써 레버(113)는, 래치(43)가 래치고정부(53)와 결합된 상태에서 빠져나올 수 없도록 래치(43)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로킹기구(100)에 의해 래치(43)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도어(20)를 개방시키고자 도어(20)를 잡고 당기더라도, 도어(20)가 개방될 수 없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 조리실(14)을 폐쇄한 상태의 도어(20)는 래치기구(40)와 로킹기구(100)에 의해 2중으로 잠긴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20)가 래치기구(40)와 로킹기구(100)에 의해 2중으로 잠긴 상태에서는, 도어(20)가 조리실(14)을 개방할 수 없다. 상기 상태에서 도어(20)가 조리실(14)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로킹기구(100)에 의한 래치기구(40)의 잠금 해제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즉 도어(20)가 조리실(14)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43)의 이동이 로킹기구(100)에 의해 구속된 상태가 먼저 해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도어설정키(80)를 눌러 로킹기구(1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누름 조작된 도어설정키(80)가 제어부(70)로 신호를 전송하면, 제어부(70)는 구동부(120)가 로커(110)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부(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구동부(120)는 로커(110)의 회전축(111)을 타방향, 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레버(113)는 구속위치에서 허용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레버(113)가 허용위치에 있을 때, 레버(113)는 래치(43)의 상하방향 이동 경로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래치(43)는, 레버(113)의 영향을 받지 않고 상방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20)를 잡고 전방을 향해 당기면, 래치(43)가 래치고정부(53)로부터 이탈되며 래치기구(40)와 래치보드(50) 간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고, 도어(20)가 전방을 향해 회전하면서 조리실(14)을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레버(113)가 허용위치로 이동하면, 접촉돌기(115)는 레버(113)의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한 접촉돌기(115)는, 제1감지부(130)의 액추에이터와 접촉하며 제1감지부(130)를 온(ON)시킬 수 있다.
제1감지부(130)가 온(ON)되어 제어부(70)로 신호를 전송하면, 제어부(70)는 로커(110)가 허용위치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70)는, 구동부(120)의 동작을 중지시킴으로써, 로커(110)의 이동이 불필요하게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어(20)가 조리실(14)을 개방한 상태에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어(20)를 밀어 도어(20)가 조리실(14)을 폐쇄하면, 제2감지부(140,150,160)가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도어(20)가 조리실(14)을 폐쇄할 때, 즉 도어(20)가 폐쇄위치로 이동했을 때, 래치보드(50)와 결합된 래치(43)가 제2감지부(140,150,160)의 액추에이터와 접촉하며 제2감지부(140,150,160)를 온(ON)시킬 수 있다.
제2감지부(140,150,160)가 온(ON)되어 제어부(70)로 신호를 전송하면, 제어부(70)는 도어(20)가 폐쇄위치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70)는, 로커(110)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부(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구동부(120)는 로커(110)의 회전축(111)을 일방향,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레버(113)는 구속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레버(113)가 구속위치에 있을 때, 레버(113)는 래치(43)의 상하방향 이동 경로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레버(113)는, 래치(43)의 상부에서 래치(43)와 간섭되며 래치(43)의 상방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이로써 레버(113)는, 래치(43)가 래치고정부(53)와 결합된 상태에서 빠져나올 수 없도록 래치(43)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레버(113)가 구속위치로 이동하면, 접촉돌기(115)도 레버(113)의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돌기(115)와 제1감지부(130)의 액추에이터 간의 접촉이 해제되며 제1감지부(130)가 오프(OFF)될 수 있다.
온(ON) 상태이던 제1감지부(130)의 상태가 오프(OFF)로 변화되면, 제어부(70)는 로커(110)가 허용위치에서 구속위치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70)는, 구동부(120)의 동작을 중지시킴으로써, 로커(110)의 위치가 구속위치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조리실(14)을 개방하던 도어(20)가 다시 폐쇄위치로 이동하여 조리실(14)을 폐쇄하면, 로킹기구(100)에 대한 별도의 조작 없이도 로킹기구(100)에 의한 래치(43) 잠금이 재개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도어설정키(80)를 누르는 조작만으로 로킹기구(100)에 의한 래치(43) 잠금 상태의 해제가 이루어지고, 별도의 조작 없이도 로킹기구(100)에 의한 래치(43) 잠금이 재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의도치 않은 조리실(14) 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20)의 고정 및 그 고정 해제가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별도의 조작 없이도 도어(20) 고정이 자동으로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로킹기구(100)는, 도어(20)의 고정 및 그 고정 해제가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20)의 불필요한 개폐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로킹기구(100)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마모된 래치기구(40)로 인해 도어(20)의 개폐 동작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로킹기구(100)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로킹기구(100)에 포함되는 로커(110), 구동부(120) 등이 모두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되며 조리기기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즉 로킹기구(100)는, 조리기기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된 래치(43)의 이동을 본체(10)의 내부에서 구속할 수 있다.
이러한 로킹기구(100)는, 도어(20)가 어떤 위치에 있던지 로커(110)의 레버(113)가 어느 위치에 있던지와 상관없이 조리기기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로킹기구(100)로 인해 조리기기의 미관이 손상되는 일 없이, 도어(20) 잠금이 신뢰성 높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로킹기구(100)를 이용한 도어(20)의 잠금 기능을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핸들부(123)를 제2경로(b) 측으로 이동시켜 로킹기구(100)의 상태를 기능해제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고정위치에 위치한 로커(120)를 측방향 타측으로 이동시킨 후, 핸들부(123)를 앞으로 당겨 로커(120)를 전방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끼움부(121)는 도어(20)로부터 이탈되고, 핸들부(123)는 제1경로(a)와 제2경로(b) 사이의 연결통로(c)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핸들부(123)의 측방향 일측에는 걸림돌기(d)가 위치하며, 핸들부(123)의 측방향 일측으로의 이동은 걸림돌기(d)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커(120)는 해제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로킹기구(100)는 도어(20)와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인 기능해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로킹기구(100)는, 도어(20)를 자동으로 안전하게 고정시키는 2중 도어 고정 기능을 제공할 뿐 아니라, 이러한 2중 도어 고정 기능이 불필요할 때에는 이 기능이 해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로써 어린이가 없는 집과 같이 2중 도어 고정 기능이 불필요한 곳에서는, 2중 도어 고정 기능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등,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2중 도어 고정 기능 사용 여부가 선택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로킹기구의 기능 해제 동작]
도 13은 도 5에 도시된 스위치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제1입력키(85) 및 제2입력키(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입력키(85) 및 제2입력키(90)는, 각각 제어부(70)와 연결되며, 조리기기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어부(70)는, 제1입력키(85) 및 제2입력키(90)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기초로 조리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입력키(85)는 조리기기가 조리를 시작하도록 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제2입력키(90)는 조리 중인 조리기기의 동작을 중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입력키(85) 및 제2입력키(90)가 도어설정키(80)와 함께 컨트롤패널(15)의 입력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1입력키(85) 및 제2입력키(90)는,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입력키(85)를 누름 조작하여 조리기기가 조리를 시작하도록 할 수 있고, 제2입력키(90)를 누름 조작하여 조리기기가 조리를 중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어설정키(80)를 누름 조작하여 로킹기구(100)를 이용한 도어(20)의 잠금 기능을 해제할 수도 있다.
아울러 컨트롤패널(15)의 입력부에는, 설정값입력키(9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설정값입력키(95)는, 동작설정값을 입력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서, 동작설정값은 가열부(60)의 동작과 관련된 설정값일 수 있다. 예컨대, 동작설정값은 가열부(60)가 조리물을 가열하는 시간이나 세기 등과 관련된 설정값일 수 있다. 즉 설정값입력키(95) 조작에 의해, 가열부(60)의 가열 세기 또는 가열 시간 등의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설정키(80)와 제1입력키(85) 및 제2입력키(90) 중 적어도 둘 이상이 누름 조작될 경우, 로킹기구(100)의 기능이 해제될 수 있다. 로킹기구(100)의 기능이 해제되면, 도어(20)가 조리실(14)을 폐쇄한 상태이더라도 로킹기구(100)에 의한 래치(43)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예컨대, 로킹기구(100)의 기능이 해제되면, 레버(113)가 허용위치에 있는 상태가 계속해서 유지된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20)가 조리실(14)을 폐쇄했음이 제2감지부(140,150,160)에 의해 감지되더라도, 레버(113)는 구속위치로 이동하지 않는다.
즉 로킹기구(100)의 기능이 해제되면, 레버(113)의 위치는 허용위치로 유지되고, 로킹기구(100)는 래치(43)의 이동을 자유롭게 허용하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로킹기구(100)는, 도어(20)를 자동으로 안전하게 고정시키는 2중 도어 고정 기능을 제공할 뿐 아니라, 이러한 2중 도어 고정 기능이 불필요할 때에는 이 기능이 해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로써 어린이가 없는 집과 같이 2중 도어 고정 기능이 불필요한 곳에서는, 2중 도어 고정 기능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등,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2중 도어 고정 기능 사용 여부가 선택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일례로서, 도어설정키(80)와 제1입력키(85) 및 제2입력키(90) 모두가 누름 조작될 경우, 로킹기구(100)의 기능이 해제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입력키(85)와 제2입력키(90) 중 어느 하나와 도어설정키(80)가 동시에 누름 조작될 경우, 로킹기구(100)의 기능이 해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1입력키(85)와 제2입력키(90)가 동시에 누름 조작될 경우, 로킹기구(100)의 기능이 해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리기기에 도어설정키(80)와 제1입력키(85) 및 제2입력키(90)가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조리기기에는 제1입력키(85)와 제2입력키(90) 중 어느 하나와 도어설정키(80)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두 개의 스위치가 동시에 누름 조작되면 로킹기구(100)의 기능이 해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조리기기에는 도어설정키(80)와 제1입력키(85) 및 제2입력키(90) 외에 다른 스위치들이 더 마련될 수 있고, 넷 이상의 스위치가 동시에 누름 조작될 경우에 로킹기구(100)의 기능이 해제될 수도 있다.
[로킹기구의 동작 제어의 일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기구의 동작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기구의 동작 제어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어(20)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어설정키(80) 조작이 이루어져야 한다. 사용자가 도어설정키(80)를 누르면(S110), 제어부(70)는 먼저 도어(2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S130).
도어(20) 위치의 확인은, 제2감지부(140,150,16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어(20)가 조리실(14; 도 2 참조)을 폐쇄하며 래치고정부(53)에 결합되었을 때, 제2감지부(140,150,160)가 온(ON)될 수 있다. 이처럼 온(ON)된 제2감지부(140,150,160)가 제어부(70)로 신호를 전송하면, 제어부(70)는 도어(20)의 위치가 폐쇄위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어(20)가 조리실(14)을 개방하며 래치고정부(53)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제2감지부(140,150,160)가 오프(OFF)될 수 있다 이처럼 제2감지부(140,150,160)가 오프(OFF)되면, 제어부(70)는 도어(20)의 위치가 개방위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어부(70)는 세컨더리 스위치(150)의 감지 결과에 따라 도어(20)의 상태를 확인하고, 이 정보를 기초로 로킹기구(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70)는 프라이머리 스위치(140)의 감지 결과에 따라 고압트랜스와 마그네트론 등의 고압부로의 전원 인가를 단속할 수 있고, 세컨더리 스위치(150)의 감지 결과에 따라 로킹기구(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세컨더리 스위치(150)가 오프(OFF)된 경우, 제어부(70)는 도어(20)의 위치가 개방위치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70)는 도어설정키(80)에 조작에 의해 제어부(70)로 입력되는 신호를 무시하고, 이에 따라 도어설정키(80)의 조작과 관련된 어떠한 동작도 진행되지 않는다(S135).
세컨더리 스위치(150)가 온(ON)된 경우, 제어부(70)는 도어(20)의 위치가 폐쇄위치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70)는 개방허용동작을 진행시킬 수 있다(S140).
본 실시예에서, 개방허용동작은 로커(110)를 허용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인 것으로 정의된다. 이에 따르면, 개방허용동작을 진행하기 위해, 제어부(70)는 구동부(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70)는, 구동부(120)가 로커(110)를 허용위치 측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부(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70)는 도어(20)의 위치가 폐쇄위치일 때에만, 바꾸어 말하면 도어(20)가 조리실(14)을 폐쇄하고 있을 때에만, 개방허용동작을 진행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70)는, 도어(20)가 이미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는, 도어설정키(80) 조작이 이루어지더라도 개방허용동작을 진행하지 않는다. 이미 도어(20)가 조리실(14)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어(20) 개방을 위한 동작을 불필요하게 진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로킹기구(100)가 불필요하게 동작됨으로 인한 로킹기구(100)의 고장 발생 위험이 증가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70)는, 도어(20)의 위치를 확인하기 전에 먼저 가열부(60)의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20).
가열부(60)의 동작시에 도어설정키(80)가 조작되면, 제어부(70)는 개방허용동작을 진행시킬 수 있다(S140). 그리고 가열부(60)가 동작되지 않는 상태에서 도어설정키(80)가 조작되면, 제어부(70)는 도어(20)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 후(S130), 개방허용동작을 진행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부(60)는 조리실(14)이 도어(20)에 의해 폐쇄된 상태, 바꾸어 말하면 도어(20)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만 동작될 수 있다. 즉 가열부(60)가 동작되고 있는 상태라면, 도어(20)가 폐쇄위치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어부(70)는 가열부(60)의 동작 여부로 도어(20)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먼저 확인한 후, 가열부(60)의 동작시에는 도어(20)의 위치 확인 작업을 생략하고 곧바로 개방허용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20) 위치 확인 작업이 불필요하게 반복되지 않게 됨으로써, 센싱 과정의 불필요한 반복으로 인한 동작 지연이나 동작 오류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게 된다.
도어(20)의 위치가 폐쇄위치인 것으로 확인되고, 이에 따라 개방허용동작이 진행될 때, 구동부(120)는 로커(110)의 회전축(111)을 타방향, 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회전축(111)의 회전에 의해, 레버(113)는 구속위치에서 허용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레버(113)가 허용위치에 있을 때, 레버(113)는 래치(43)의 상하방향 이동 경로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래치(43)는, 레버(113)의 영향을 받지 않고 상방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20)를 잡고 전방을 향해 당기면, 래치(43)가 래치고정부(53)로부터 이탈되며 래치기구(40)와 래치보드(50) 간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고, 도어(20)가 전방을 향해 회전하면서 조리실(14)을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레버(113)가 허용위치로 이동하면, 접촉돌기(115)는 레버(113)의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한 접촉돌기(115)는, 제1감지부(130)의 액추에이터와 접촉하며 제1감지부(130)를 온(ON)시킬 수 있다(S145).
제1감지부(130)가 온(ON)되어 제어부(70)로 신호를 전송하면, 제어부(70)는 로커(110)가 허용위치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70)는, 구동부(120)의 동작을 중지시킴으로써, 로커(110)의 불필요한 추가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S150).
개방허용동작이 진행된 후, 도어(20) 위치의 확인이 다시 이루어질 수 있다(S160). 이때에도, 도어(20) 위치의 확인은 제2감지부(140,150,16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개방허용동작 진행 후 도어(20)의 위치가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변화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어(20) 위치 확인 결과, 도어(20)의 위치가 개방위치로 변화된 것으로 확인되면, 도어(20) 개방을 위한 로킹기구(100)에 대한 동작 제어는 종료될 수 있다. 즉 로커(110)가 허용위치로 이동한 후 구동부(120)의 동작이 중지된 상태에서, 로킹기구(100)의 동작이 종료될 수 있다.
로킹기구(100)의 동작 종료 상태는, 도어(20)가 조리실(14)을 다시 폐쇄할 때까지 유지될 수 있다. 도어(20)가 조리실(14)을 다시 폐쇄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로킹기구(100)는 다시 도어(20)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게 동작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도어단속동작과 동일한 동작으로, 도어단속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만약 개방허용동작 진행 후 설정시간 내에 도어(20)의 위치가 개방위치로 변화되지 않으면, 제어부(70)는 도어단속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S170).
본 실시예에서, 도어단속동작은 로커(110)를 구속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인 것으로 정의된다. 이에 따르면, 도어단속동작을 진행하기 위해, 제어부(70)는 구동부(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70)는, 구동부(120)가 로커(110)를 구속위치 측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부(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도 4 참조).
상기 설정시간은, 로킹기구(100)가 도어(20)의 개방을 허용한 상태에서 도어(20)를 개방하는데 통상적으로 소요되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설정시간은 약 10초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개방허용동작 진행 후 약 10초 내에 도어(20)의 위치가 개방위치로 변화되지 않으면, 제어부(70)는 도어단속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로킹기구(100)가 도어(20)의 개방을 허용한 상태에서 설정시간 내에 도어(20)의 위치가 개방위치로 변화되지 않는 경우, 도어설정키(80) 조작 여부와 관계없이, 사용자가 도어(20)를 개방시킬 의도가 없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킹기구(100)가 도어(20)의 개방을 허용한 상태가 유지된다면, 단 한 번의 도어설정키(80) 조작만으로 로킹기구(100)는 사실상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상태로 방치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20) 개방에 통상적으로 소요되는 시간 내 도어(20)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로킹기구(100)가 도어(20) 잠금을 재개하는 동작이 진행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사용자의 변심 또는 실수로 인한 오조작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악영향을 효과적으로 커버하면서 도어(20)의 임의 개방을 신뢰성 높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레버(113)가 구속위치로 이동하면, 접촉돌기(115)는 레버(113)의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한 접촉돌기(115)는 제1감지부(130)의 액추에이터와 이격되며, 이에 따라 제1감지부(130)의 상태는 오프(OFF)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S175).
제1감지부(130)가 오프(OFF)되면, 제어부(70)는 로커(110)가 구속위치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70)는, 구동부(120)의 동작을 중지시킴으로써, 로커(110)의 불필요한 추가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S180).
즉 도어(20)가 조리실(14)을 폐쇄한 상태에서 로킹기구(100)가 다시 도어(20)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상태가 되면, 로킹기구(100)에 대한 동작 제어는 종료될 수 있다. 즉 로커(110)가 구속위치로 이동한 후 구동부(120)의 동작이 중지된 상태에서, 로킹기구(100)의 동작이 종료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 제어방법에 따르면, 도어설정키(80) 조작시 도어(20)가 조리실(14)을 폐쇄한 상태에서만 개방허용동작이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로킹기구(100)의 불필요한 동작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로킹기구(100)의 잦은 동작으로 인한 로킹기구(100)의 고장이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도어(20)의 임의 개방을 신뢰성 높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 제어방법에 따르면, 도어(20) 개방에 통상적으로 소요되는 시간 내 도어(20)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로킹기구(100)가 도어(20) 잠금을 재개하는 동작이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변심 또는 실수로 인한 오조작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악영향을 효과적으로 커버하면서 도어(20)의 임의 개방을 신뢰성 높게 방지할 수 있다.
[로킹기구의 동작 제어의 다른 예]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스위치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기구의 동작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2,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킹기구의 동작 제어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는 도어설정키와 제2입력키가 하나의 입력키로 합쳐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전술한 실시예의 조리기기 대비, 컨트롤패널(15)의 입력부에서 도어설정키(80; 도 13 참조)와 제2입력키(90; 도 13 참조) 중 어느 하나가 제거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패널(15)에 도어설정키가 별도로 마련되지 않고, 제2입력키의 기능을 갖는 입력키에 도어설정키의 기능이 부가된 형태로 도어설정키(280)가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로킹기구(100)가 구비되지 않은 통상의 조리기기에 일반적으로 마련되는 입력키 중 어느 하나에 도어설정키의 기능이 부가된 형태로 도어설정키(280)가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서, 도어설정키(280)는 전술한 조리기기에서 제2입력키의 기능을 하는 입력키에 도어설정키의 기능이 부가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도어설정키(280)는 제2입력키의 기능과 도어설정키의 기능을 조리실(14; 도 2)의 개방 여부, 가열부(60)의 동작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입력키의 기능과 도어설정키의 기능이 하나의 공용 입력키에 의해 제공되는 경우, 로킹기구의 동작 제어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이전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도어(20)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어설정키(280) 조작이 이루어져야 한다. 사용자가 도어설정키(280)를 누르면(S210), 제어부(70)는 먼저 가열부(60)의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220).
가열부(60)의 동작시에 도어설정키(280)가 조작되면, 개방허용동작이 진행되지 않는다. 즉 가열부(60)의 동작시에는, 도어(20)의 위치와 폐쇄위치일 때 도어설정키(280)가 조작되어도 개방허용동작이 진행되지 않는다.
가열부(60)의 동작시에 도어설정키(280)가 조작되면, 제어부(70)는 개방허용동작을 진행하는 대신 가열부(60)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즉 가열부(60)의 동작시에 도어설정키(280)가 조작되면, 이때의 도어설정키(280)는 제2입력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열부(60)가 동작되지 않는 상태에서 도어설정키(280)가 조작되면, 제어부(70)는 도어(20)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 후(S230), 개방허용동작을 진행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어(20) 위치의 확인은 제2감지부(140,150,16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세컨더리 스위치(1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세컨더리 스위치(150)가 오프(OFF)된 경우, 제어부(70)는 동작설정값이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70)는 가열부(60)의 동작과 관련된 설정값 등이 설정값입력키(95) 조작에 의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세컨더리 스위치(150)가 오프(OFF)된 상태이고 동작설정값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제어부(70)는 도어설정키(280)에 조작에 의해 제어부(70)로 입력되는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따라 도어설정키(280)의 조작과 관련된 어떠한 동작도 진행되지 않는다(S233).
세컨더리 스위치(150)가 오프(OFF)된 상태인데 동작설정값 입력은 이루어진 경우, 즉 설정값입력키(95) 조작에 의한 동작설정값 입력 및 도어(20)의 조리실(14) 개방이 이루어진 조건에서 도어설정키(280)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70)는 설정값삭제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S235).
본 실시예에서, 설정값삭제동작은 입력키에 의해 입력된 동작설정값을 삭제하는 동작인 것으로 정의된다. 예컨대, 설정값삭제동작은 설정값입력키(95) 조작에 의해 입력된 가열부(60)의 동작과 관련된 설정값 등을 삭제하는 동작일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세컨더리 스위치(150)가 오프(OFF)된 상태인데 동작설정값 입력은 이루어진 경우에는, 개방허용동작은 진행되지 않고, 설정값입력키(95) 조작에 의해 입력된 설정값을 삭제하는 동작만이 진행될 수 있다.
정리하면, 도어(20)의 위치가 개방위치이고 동작설정값 입력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일 때에는 도어설정키(280)가 조작되더라도 어떠한 동작도 진행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어(20)의 위치가 개방위치이고 설정값입력키(95)에 의해 동작설정값이 입력된 상태일 때일 때 도어설정키(280) 조작이 이루어지면, 개방허용동작과 설정값삭제동작 중 설정값삭제동작만이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세컨더리 스위치(150)가 온(ON)된 경우, 제어부(70)는 도어(20)의 위치가 폐쇄위치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70)는 개방허용동작을 진행시킬 수 있다(S240).
세컨더리 스위치(150)가 온(ON)된 상태에서 동작설정값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즉 설정값입력키(95) 조작에 의한 동작설정값 입력 및 도어(20)의 조리실(14) 폐쇄가 이루어진 조건에서 도어설정키(280)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70)는 설정값삭제동작의 진행(S235) 및 개방허용동작의 진행(S240)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설정값입력키(95) 조작에 의해 입력된 가열부(60)의 동작과 관련된 설정값 등이 삭제됨과 함께, 로커(110)가 허용위치로 이동하는 동작이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로커(110)가 허용위치로 이동하고, 이러한 로커(110)의 이동에 의해 제1감지부(130)가 온(ON)되면(S245), 제어부(70)는 구동부(120)의 동작을 중지시킴으로써, 로커(110)의 불필요한 추가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S250).
개방허용동작이 진행된 후, 도어(20) 위치의 확인이 다시 이루어질 수 있으며(S260), 이에 따라 제어부(70)는 개방허용동작 진행 후 도어(20)의 위치가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변화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어(20) 위치 확인 결과, 도어(20)의 위치가 개방위치로 변화된 것으로 확인되면, 도어(20) 개방을 위한 로킹기구(100)에 대한 동작 제어는 종료될 수 있다.
만약 개방허용동작 진행 후 설정시간 내에 도어(20)의 위치가 개방위치로 변화되지 않으면, 제어부(70)는 도어단속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S270).
그 결과로 로커(110)가 구속위치로 이동하여 제1감지부(130)의 상태가 오프(OFF) 상태로 변화되면(S275), 제어부(70)는, 구동부(120)의 동작을 중지시킴으로써, 로커(110)의 불필요한 추가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S280).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 제어방법에 따르면, 통상적인 조리기기에 마련된 입력키 외에 도어 잠금 기능 제어를 위한 별도의 입력키를 추가할 필요 없이 기존 입력키만으로도 도어 잠금 기능 제어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기존 조리기기 대비 부품 증가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신뢰성 높은 도어 잠금 기능을 갖는 조리기기가 제공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기존 조리기기와의 호환성이 높은 조리기기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제어방법은, 도어 잠금 기능 제어를 위한 별도의 입력키가 추가될 필요가 없도록 함으로써, 입력키 추가로 인해 기존 조리기기의 외관 디자인 변경 필요성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1 : 캐비티
12 : 전면 플레이트
13 : 캐비닛
14 : 조리실
15 : 컨트롤패널
16 : 입력부
17 : 표시부
20 : 도어
20a : 도어본체부
20b : 손잡이부
21 : 도어패널
25 : 도어프레임
26 : 측면
27 : 통과홀
40 : 래치기구
41 : 래치레버
43 : 래치
50 : 래치보드
51 : 본체부
52 : 체결보스
53 : 래치고정부
53a : 삽입홀
53b : 걸림단
54 : 제1지지부
54a : 제1지지보스
54b : 제2지지보스
55 : 제2지지부
55a : 지지프레임
55b : 지지축
56 : 제3지지부
56a : 후크
57 : 제4지지부
70 : 제어부
80,280 : 도어설정키
85 : 제1입력키
90 : 제2입력키
95 : 설정값입력키
100 : 로킹기구
110 : 로커
111 : 회전축
113 : 레버
113a: 제1레버부
113b : 제2레버부
115 : 접촉돌기
120 : 구동부
130 : 제1감지부
140,150,160 : 제2감지부

Claims (10)

  1. 폐쇄위치와 개방위치를 이동하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상기 폐쇄위치에 고정시키는 래치기구, 및 상기 래치기구의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위치 또는 상기 래치기구의 이동을 허용하는 허용위치로 이동 가능 하게 마련되는 로커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으로서,
    도어설정키 조작시, 상기 도어의 위치가 폐쇄위치일 때에만 개방허용동작이 진행되고,
    상기 개방허용동작은, 상기 로커를 상기 허용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인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기는, 동작설정값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설정키 조작시, 상기 입력키에 의해 상기 동작설정값이 입력된 상태에서는 설정값삭제동작이 진행되고,
    상기 설정값삭제동작은, 상기 입력키에 의해 입력된 상기 동작설정값을 삭제하는 동작인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위치가 상기 개방위치이고 상기 입력키에 의해 상기 동작설정값이 입력된 상태일 때 상기 도어설정키가 조작되면, 상기 개방허용동작과 상기 설정값삭제동작 중 상기 설정값삭제동작만이 진행되는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위치가 상기 폐쇄위치이고 상기 입력키에 의해 상기 동작설정값이 입력된 상태일 때 상기 도어설정키가 조작되면, 상기 개방허용동작 및 상기 설정값삭제동작이 함께 진행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조리실 내부로 열 또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의 동작시에는, 상기 도어의 위치가 상기 폐쇄위치일 때에 상기 도어설정키가 조작되어도 상기 개방허용동작이 진행되지 않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의 동작 중에 상기 도어설정키가 조작되면, 상기 가열부의 동작이 중단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기는, 동작설정값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와, 상기 입력키에 의해 입력된 동작설정값을 삭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설정취소키, 및 상기 조리실 내부로 열 또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의 동작시에 상기 도어설정키가 조작되면, 상기 개방허용동작이 진행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허용동작 진행 후 설정시간 내에 상기 도어의 위치가 상기 개방위치로 변화되지 않으면, 도어단속동작이 진행되고,
    상기 도어단속동작은, 상기 로커를 상기 구속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인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로커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방허용동작 진행시 상기 로커가 상기 허용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제1감지부와 접촉되면, 상기 제1감지부가 온(ON)되고,
    상기 제1감지부가 온(ON)되면, 상기 로커의 이동이 중단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도어의 위치가 폐쇄위치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상기 허용위치에서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제2감지부가 온(ON)되면, 도어단속동작이 진행되고,
    상기 도어단속동작은, 상기 로커를 상기 구속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인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20220055322A 2022-01-07 2022-05-04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2023015575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322A KR20230155750A (ko) 2022-05-04 2022-05-04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PCT/KR2022/015793 WO2023132442A1 (ko) 2022-01-07 2022-10-18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322A KR20230155750A (ko) 2022-05-04 2022-05-04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750A true KR20230155750A (ko) 2023-11-13

Family

ID=88746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322A KR20230155750A (ko) 2022-01-07 2022-05-04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575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9743A (ko) 1993-12-29 1995-07-24 조말수 변압기의 온라인 변압특성 측정장치
KR19990030842A (ko) 1997-10-06 1999-05-06 윤종용 전자 렌지용 안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9743A (ko) 1993-12-29 1995-07-24 조말수 변압기의 온라인 변압특성 측정장치
KR19990030842A (ko) 1997-10-06 1999-05-06 윤종용 전자 렌지용 안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0882B2 (en) Child-safe door latching system for a cooking appliance
US11236911B2 (en) Push-to-open/signal-to-open appliance door latching system with an integrated locking device
EP0075309B1 (en) Locking device for door of cooking apparatus
US20040004077A1 (en) Wall-mounted microwave oven
KR20230155750A (ko)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US20090139286A1 (en) Door lock control device in heating cooker
KR20110083850A (ko) 전기 밥솥
KR20230106837A (ko) 조리기기
KR20230139273A (ko) 조리기기
US10306711B2 (en) Microwave oven with dual doors
KR20230139272A (ko) 조리기기
KR20230047046A (ko) 조리기기
KR20230105248A (ko) 조리기기
KR20230105249A (ko) 조리기기
KR100267934B1 (ko) 전자렌지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46852A (ko) 조리기기
KR20230088288A (ko) 조리기기
KR20230047045A (ko) 조리기기
KR20230088240A (ko) 조리기기
KR20230105246A (ko) 조리기기
KR20230105247A (ko) 조리기기
EP1564497B1 (en)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electric oven
US20070235449A1 (en) Microwave Oven and Latch Board in the Microwave Oven
KR20230088287A (ko) 조리기기
KR20230105252A (ko) 조리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