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5252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5252A
KR20230105252A KR1020220000553A KR20220000553A KR20230105252A KR 20230105252 A KR20230105252 A KR 20230105252A KR 1020220000553 A KR1020220000553 A KR 1020220000553A KR 20220000553 A KR20220000553 A KR 20220000553A KR 20230105252 A KR20230105252 A KR 20230105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ain body
disposed
control panel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태홍
최은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0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5252A/ko
Publication of KR20230105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2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05B6/6417Door interlock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and related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2La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도어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본체의 전방에 배치되어 도어의 이동을 구속하는 로킹기구를 포함하고, 이 로킹기구는 본체에 마련된 홀더와 결합되는 잠금자세 및 홀더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잠금해제자세로 자세 변화될 수 있게 도어에 설치되는 로커, 및 누름 조작되면 로커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조작버튼을 포함하고, 링크는 도어에 마련된 컨트롤패널을 측방향으로 통과하며 로커와 조작버튼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챔버, 즉 조리실이 본체의 내부에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조리실의 내부 또는 외부 공간에는 열원이 제공되어 조리실을 가열한다.
밀폐형 조리기기 중 전자레인지는, 전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시켜서 조리실 내부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에 침투시켜, 내부에서 분자운동을 일으키는 것에 의하여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는 조리장치이다.
전자레인지는, 마그네트론의 고주파를 조리물에 조사시켜 그 내부 및 외부를 동시에 가열하는 주방용 기구로서, 열효율이 높아 조리물의 조리시간을 대폭 단축하고, 조리물의 조리나 해동 및 데우기 과정에서 영양가의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조리물을 용기에 저장한 채로 직접 조리할 수 있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전자레인지는, 통상 본체 내부에 형성된 조리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를 구비한다. 전자레인지에 구비되는 도어로서, 그 개폐 형태에 따라 좌우 개폐식 도어, 상하 개폐식 도어, 슬라이딩 도어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의 도어는 좌우 개폐식 도어이다.
또한 본체와 도어 사이에는,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래치가 구비될 수 있다. 래치는, 걸이로서의 작용으로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한편, 도어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도어 개방 상태에서 조리가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등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래치에 의해서는 도어가 완전히 개방될 수 없게 고정되지는 않는다. 즉 도어가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에서 도어에 소정 이상의 힘을 가하면, 별도의 다른 조작 없이도 래치에 의한 도어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고, 이에 따라 도어가 회전 또는 슬라이딩하며 조리실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도어의 개폐 구조로 인해, 사용자가 도어를 잡아 당기면 도어가 쉽게 개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실수 또는 어린이의 장난 등으로 인해 전자레인지의 동작 중에 의도치 않게 조리실이 개방되는 일이 종종 발생될 수 있다.
전자레인지의 동작 중에 의도치 않게 조리실이 개방되는 경우, 음식물을 조리 중인 조리실 내부의 열기로 인해 사용자가 화상 등의 부상을 입을 위험성이 있다.
또한 조리 중이 아니라도 아이들이 빈번하게 도어를 개폐시키게 되면, 래치의 마모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마모된 래치로 인해 도어의 개폐 동작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도치 않은 조리실 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의 고정이 신뢰성 높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고정 및 고정 해제가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기기는, 도어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본체의 전방에 배치되어 도어의 이동을 구속하는 로킹기구를 포함하고, 이 로킹기구는 본체에 마련된 홀더와 결합되는 잠금자세 및 홀더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잠금해제자세로 자세 변화될 수 있게 도어에 설치되는 로커, 및 누름 조작되면 로커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조작버튼을 포함하고, 링크는 도어에 마련된 컨트롤패널을 측방향으로 통과하며 로커와 조작버튼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로커는, 해제위치에 위치한 로커가 고정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제1경로, 및 로커의 위치가 해제위치로 유지되도록 로커의 이동을 제한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2경로 사이를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어를 자동으로 안전하게 고정시키는 2중 도어 고정 기능과 이러한 기능이 해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며, 전면이 개구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본체의 전방 및 상기 도어의 측방에 배치되는 컨트롤패널과; 상기 본체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상기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도어를 폐쇄위치에 고정시키는 래치기구; 및 상기 본체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상기 도어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래치기구와 별도로 상기 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이동을 구속하는 로킹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킹기구는,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홀더와 결합되는 잠금자세 및 상기 홀더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잠금해제자세로 자세 변화 가능하게 도어에 설치되는 로커와; 누름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고, 누름 조작되면 상기 로커의 자세를 상기 잠금자세에서 상기 잠금해제자세로 변화시키며, 상기 도어의 측부에 배치되는 조작버튼; 및 상기 로커와 상기 조작버튼을 연결하는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도어에 마련되고, 상기 링크는, 컨트롤패널을 측방향으로 통과하며 상기 로커와 상기 조작버튼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는 측방향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고,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도어의 측방향 타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되고, 상기 조작버튼은 상기 도어의 측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는, 측방향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본체부, 및 상기 컨트롤패널의 측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도어본체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로커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도어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버튼은 상기 손잡이부에 의해 덮인 영역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작버튼은, 상기 도어본체부 및 상기 컨트롤패널로부터 측방향 타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본체부 및 상기 컨트롤패널의 전면과 상기 손잡이부의 전면이 동일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측면이 측방향 일측으로 함몰되고, 상기 조작버튼은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커는, 측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도어본체부에 결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회전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되게 상기 본체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잠금자세에서 상기 홀더에 삽입되며 상기 홀더와 결합되는 걸림부; 및 상기 본체부의 회전 중심보다 전방에 배치되게 상기 본체부의 전방측에 마련되며, 상기 링크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측방향 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크는, 상기 본체부의 전방측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크는 전후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방으로 이동한 상기 조작버튼은 상기 링크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일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링크는 상기 연결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크의 측방향 일측 단부에는 안착홈이 마련되고, 상기 안착홈은 상기 링크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링크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도어본체부와 상기 컨트롤패널 사이가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도어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링크는, 상기 격벽 및 상기 컨트롤패널의 측면을 측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컨트롤패널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본체부와 상기 조작버튼 사이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홀더에는 삽입홀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후방 단부가 상방으로 돌출된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을 통해 상기 홀더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커가 상기 잠금자세일 때, 상기 홀더에 삽입된 상기 걸림부의 후방 단부가 상기 삽입홀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커가 상기 잠금해제자세일 때, 상기 걸림부의 후방 단부가 상기 삽입홀과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킹기구는, 상기 도어본체부와 상기 컨트롤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브라켓, 및 상기 로커를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축은, 상기 걸림부와 상기 연장부 사이에 배치되게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도어가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도어를 본체에 고정시킬 수 있게 구비된 로킹기구에 의해 도어의 고정이 신뢰성 높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 동작 중에 의도치 않은 조리실 개방이 이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를 자동으로 안전하게 고정시키는 2중 도어 고정 기능을 제공할 뿐 아니라, 이러한 2중 도어 고정 기능이 불필요할 때에는 이 기능이 해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도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2중 도어 고정 기능 사용 여부를 선택하는 기능이 조리기기에 채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개방을 위해 2가지 이상의 동작이 이루어져야만 하도록 하는 2단계 잠금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2단계 잠금 기능이 불필요한 경우 해당 기능이 쉽고 간편하게 해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안정성과 편의성을 모두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조작 없이도, 조리실을 폐쇄한 도어에 대한 로킹기구의 도어 고정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이에 따른 조작의 편의성도 함께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고정 및 그 고정 해제가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불필요한 개폐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마모된 래치기구로 인해 도어의 개폐 동작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기구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기구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기구의 잠금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로킹기구의 잠금 해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조리기기가 바닥(floor)에 놓인 상태에서, 조리기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도어가 설치된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도어를 열고 조리기기 내부로 진입하는 방향은 후방이 된다. 편의상 이렇게 전방과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제1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방은 제1방향의 일방, 후방은 제1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중력 방향을 하방,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조리기기의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 즉 조리기기의 도어 앞에서 조리기기를 바라볼 때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좌우방향이라 할 수 있다. 편의상 좌우방향을 제2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우측은 제2방향의 일방, 좌측은 제2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측방향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면 우측은 측방향의 일측, 좌측은 측방향의 타측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상하방향을 제3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상방은 제3방향의 일방, 하방은 제3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상하방향을 세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즉 제1방향과 제2방향을 포함하여 가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는, 캐비티(11) 및 캐비닛(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캐비티(11)는, 본체(10)의 내부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캐비티(11)는,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11)의 내부에는, 조리실(14)이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14)은, 캐비티(11)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 즉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14)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리실(14)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실(14)의 내부공간이 가열되면서 요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조리기기에서는, 조리실(14)의 내부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다.
캐비닛(13)은, 캐비티(11)의 외측에서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캐비닛(13)은, 캐비티(11)를 상부 및 측부에서 덮으며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캐비티(11)의 전방에 전면 플레이트(12)가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전면 플레이트(12)는, 캐비티(11)의 전방에서 본체(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전면 플레이트(12)는 중공이 형성된 금속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체(10)의 전방에는, 조리실(14)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20)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어(20)는, 그 측방향 일측을 중심으로 측방향 타측이 좌우로 회동하는 사이드 스윙(Side-swing) 방식으로 조리실(14)을 개폐할 수 있다. 예컨대, 도어(20)는 폐쇄위치에서 조리실(14)을 폐쇄할 수 있고, 폐쇄위치에서 회동하여 조리실(14)을 개방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20)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와 도어 사이에는, 힌지가 설치될 수 있다. 힌지는, 본체(10)의 측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도어(20)의 측방향 일측을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어(20)는, 본체(10)의 전면에서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조리실(14)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조리실(14) 내 가열을 위한 조리실 열원이 구비된다. 상기 조리실 열원은 한 가지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고, 두 가지 이상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조리실 열원은 조리실(14) 내부에 고주파 열원을 공급할 수 있는 마그네트론(Magnetron)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때 마그네트론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되, 조리실(14)의 상부 또는 측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내부에는, 본체(10) 내 조리실(14)의 상부 또는 측부에 위치되는 전장실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그네트론 및 전장실이 조리실(14)의 측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전장실의 내부에는, 마그네트론, 고압트랜스 등의 전장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도어의 구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어(20)는 도어(20)의 골격을 형성하는 도어패널(21)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패널(21)은, 본체(10)의 전면 형상에 대응되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패널(21)은 소정의 강도를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도어패널(21)의 외측에는, 도어프레임(25)이 설치될 수 있다. 도어프레임(25)은 도어(20)의 전면과 상면과 저면 및 측면 외관을 형성하며, 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프레임(25)의 내부에는 상기 도어패널(21)이 수용될 수 있다.
아울러 도어프레임(25)의 측방향 일측에는, 도어패널(21)을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는, 도어프레임(25)의 측방향 일측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어패널(21) 및 도어프페임(25)에 의해 형성되는 도어(20)는, 조리실(14)의 전방을 덮는 도어본체부(20a), 및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게 마련되는 손잡이부(20b)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도어(20)에는, 컨트롤패널(15)이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15)은, 도어본체부(20a)와 손잡이부(2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15)은,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20)의 대부분의 영역이 도어본체부(20a) 및 컨트롤패널(15)에 해당된다. 즉 도어(20) 중, 후술할 손잡이부(20b)를 제외한 도어(20)의 대부분의 영역이 도어본체부(20a) 및 컨트롤패널(15)에 해당된다.
도어본체부(20a)과 컨트롤패널(15)은 측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도어본체부(20a)의 측방향 타측에 컨트롤패널(15)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열된 도어본체부(20a)과 컨트롤패널(15) 사이는, 격벽(26)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15)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동작시키는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패널(15)에는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의 동작 정보 또는 음식물의 요리 정보 등을 제공하는 표시부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표시부를 통해 조리기기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본체부(30a)는 측방향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조리실(14)을 개폐할 수 있고, 컨트롤패널(15)은 도어본체부(30a)의 측방향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30b)는, 컨트롤패널(15)에서 측방향 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컨트롤패널(15)은, 도어본체부(30a)와 손잡이부(3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도어프레임(25)은 도어본체부(30a) 및 컨트롤패널(15)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도어프레임(25)에서 측방향 타측으로 연장된 부분이 손잡이부(30b)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20)의 전면에서는 도어본체부(30a) 및 컨트롤패널(15)의 전면과 손잡이부(30b)의 전면이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30b)의 측면은 측방향 일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즉 손잡이부(30b)는, 측방향으로 함몰된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30b)의 내부 공간은 측방향 타측으로 개방되며, 사용자는 이러한 내부 공간으로 손을 집어넣은 상태로 손잡이부(30b)를 잡고 도어(20)를 개폐할 수 있다.
한편 조리기기는, 래치기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래치기구(40)는, 도어(20)를 폐쇄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래치기구(40)는 도어(20)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이 도어(20)에 설치되는 래치기구(40)는, 도어(20)가 조리실(14)을 차폐할 때, 본체(10)의 전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래치슬롯을 관통하여 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된 래치기구(40)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걸림레버와 맞물려서 결합됨으로써 도어(20)를 본체(10)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래치기구(40)의 작용에 의해 본체(10)에 대한 도어(20)의 회동이 제한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조리실(14)이 도어(20)에 의해 차폐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래치기구(40)와 걸림레버 간의 맞물림 여부를 감지하는 동작을 통해 도어(20)의 닫힘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어(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조리가 진행되지 않도록 조리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조리기기는, 로킹기구(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킹기구(100)는, 래치기구(40)와 함께 도어(20)를 폐쇄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로킹기구(100)는, 래치기구(40)와 별도로 도어(20)를 본체(1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로킹기구(100)는, 조리실(14)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로 래치기구(4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도어(20)를 본체(10)에 고정시키되, 래치기구(40)와 다른 위치에서 래치기구(40)와는 별도로 도어(20)를 본체(10)에 폐쇄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로킹기구(100)는, 본체(10)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도어(20)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로킹기구(100)는, 도어(20)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즉 도어(20)가 조리실(14)을 폐쇄한 상태일 때 본체(10)와 결합되어 도어(20)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캐비티(11)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 플레이트(12)에 홀더(50)가 설치되고, 도어(20)에 설치된 로킹기구(100)가 이 홀더(50)에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전면 플레이트(12)에는, 두 개의 큰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두 중공은 측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 중 하나는 조리실의 전방에 배치되며, 다른 하나는 컨트롤패널(15)과 전장실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50)는, 전면 플레이트(12)의 두 중공 사이에 배치되도록 전면 플레이트(12)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홀더(50)는, 도어(20)에 설치된 로킹기구(100)와 결합되어 도어(20)를 본체(10)에 폐쇄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로킹기구(100)와 홀더(50)는, 도어(20)의 측방향 타측을 전면 플레이트(12)에 고정시킴으로써, 래치기구(40)와 별도로, 도어(20)를 폐쇄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도어(20)가 래치기구(40)와 로킹기구(100)에 의해 2중으로 고정되는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 도어(20)가 조리실(14)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래치기구(40)와 본체(10) 간의 결합이 해제되어야 할 뿐 아니라, 로킹기구(100)와 본체(10) 간의 결합도 함께 해제되어야 한다.
[로킹기구의 구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기구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배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기구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기구의 잠금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로킹기구(100)는 로커(110)와 링크(120) 및 조작버튼(130)을 포함할 수 있다.
로커(110)는, 잠금자세와 잠금해제자세로 자세 변화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로커(110)의 자세가 잠금자세일 때, 로커(110)는 홀더(50)와 결합될 수 있다. 로커(110)의 자세가 잠금해제자세일 때, 로커(110)와 홀더(50)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로커(110)는, 본체부(111) 및 걸림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1)는, 로커(110)의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111)는, 도어(20)의 내부에서 도어(20)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본체부(111)는 도어(20)의 내부에서 도어프레임(25)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111)는, 도어프레임(25)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111)는, 측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도어(20)에 결합될 수 있다.
걸림부(113)는, 본체부(11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113)는, 본체부(111)의 회전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되도록, 본체부(11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림부(113)는, 도어(20)로부터 본체(10)를 향해 후방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로커(110)의 자세가 잠금자세일 때, 걸림부(113)는 홀더(50)에 삽입되며 홀더(50)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홀더(50)에는, 걸림부(113)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50a)이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홀(50a)은, 홀더(50)의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부(113)는, 이러한 삽입홀(50a)을 통해 홀더(50)에 삽입될 수 있다.
걸림부(113)는, 후방 단부가 상방으로 돌출된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113)는, 삽입홀(50a)을 통해 홀더(50)에 삽입되어 홀더(50)의 배면에 걸리는 형태로 홀더(50)와 결합될 수 있다.
로커(110)의 자세가 잠금자세일 때, 홀더(50)에 삽입된 걸림부(113)의 후방 단부가 삽입홀(50a)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걸림부(113)가 홀더(50)의 배면에 걸리는 형태로 홀더(5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로커(110)의 자세가 잠금자세일 때에는, 걸림부(113)와 홀더(50)의 배면이 전후방향으로 맞닿으며 걸림부(113)와 홀더(5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걸림부(113)의 전방 이동이 홀더(50)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또한 로커(110)의 자세가 잠금해제자세일 때, 홀더(50)에 삽입된 걸림부(113)의 후방 단부가 삽입홀(50a)과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걸림부(113)가 홀더(50)에 걸리지 않고 홀더(50)로부터 전방으로 이탈될 수 있다.
즉 로커(110)의 자세가 잠금해제자세일 때에는, 걸림부(113)와 홀더(50) 간의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걸림부(113)가 홀더(50)에 삽입된 상태를 벗어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홀더(50)에는, 걸림단(51)이 마련될 수 있다. 걸림단(51)은, 삽입홀(50a)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걸림단(51)은, 홀더(50)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삽입홀(50a)의 상부 경계를 규정할 수 있다.
로커(110)의 자세가 잠금자세일 때, 홀더(50)에 삽입된 걸림부(113)의 후방 단부가 삽입홀(50a)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걸림부(113)가 걸림단(51)의 후방 단부에 걸리는 형태로 홀더(5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걸림단(51)은, 홀더(50)의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걸림단(51)과 마주보는 걸림부(113)의 저면도 걸림단(51)과 나란한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로커(110)가 홀더(50)에 삽입될 때에는, 걸림부(113)가 걸림단(51)의 경사면을 타고 삽입홀(50a)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즉 로커(110)와 홀더(50)의 결합을 위한 로커(110)의 이동이 걸림단(51)에 의해 효과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그리고 로커(110)와 홀더(50)의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걸림부(113)가 걸림단(51)의 후방 단부에 단단히 걸리며 로커(110)와 홀더(50) 간의 결합이 굳건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로커(110)는, 연결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15)는, 본체부(111)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115)는, 본체부(111)의 회전 중심보다 전방에 배치되게 본체부(111)의 전방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15)는, 본체부(111)로부터 측방향 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115)는, 본체부(111)로부터 조작버튼(130)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15)는, 로커(110)의 측방향 일측에 배치된 링크(120)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15)와 링크(120) 간의 연결에 의해, 로커(110)와 링크(12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링크(120)는, 본체부(111)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링크(120)는, 본체부(111)의 회전 중심보다 전방에 배치되게 본체부(11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링크(120)는, 로커(110)와 조작버튼(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링크(120)는, 컨트롤패널(15)을 측방향으로 통과하며 로커(110)와 조작버튼(130)을 연결할 수 있다.
링크(120)는, 본체부(111)의 전방측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연결부(115)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링크(120)에는, 안착홈(121)이 마련될 수 있다. 안착홈(121)은 링크(120)의 측방향 일측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홈(121)은, 링크(120)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15)는, 안착홈(121)에 안착되어 링크(12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로커(110)에서 돌출된 돌출물인 연결부(115)가 링크(120)에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홈(121)에 안착되며 링크(120)에 끼워짐으로써, 로커(110)와 링크(120)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이루어지는 로커(110)와 링크(120)의 연결에 의해, 링크(120)는 본체부(111)의 전방측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며 링크(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링크(120)는, 전후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어(20)에는 지지축(28)이 마련될 수 있다. 지지축(28)은, 도어(2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컨트롤패널(15)에 배치될 수 있으며, 컨트롤패널(15)로부터 후방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링크(120)는, 상기 지지축(2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축(28)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링크(120)의 측방향 일측은 연결부(115)를 통해 로커(110)와 연결되고, 링크(120)의 측방향 타측은 조작버튼(130)과 연결될 수 있다.
누름 조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한 조작버튼(130)은, 링크(1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처럼 일방향으로 회전된 링크(120)는, 연결부(115)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례로서, 링크(1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링크(120)의 측방향 타측은 하강하고 링크(120)의 측방향 일측은 상승할 수 있다. 이 경우, 일방향으로 회전된 링크(120)는 연결부(115)를 상승시키면서 로커(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로커(110), 좀 더 구체적으로 본체부(111)는 도어본체부(30a)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링크(120)는, 격벽(26) 및 컨트롤패널(15)의 외측면을 측방향으로 관통하며 컨트롤패널(15)의 내부 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 링크(120)는, 이처럼 컨트롤패널(15)의 내부 공간을 통과함으로써, 본체부(111)와 조작버튼(13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로킹기구(100)는, 브라켓(140) 및 결합축(1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140)은, 로커(110)를 도어(20)에 결합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도어(2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브라켓(140)은 제1결합면(141) 및 제2결합면(142)이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면(141)은 도어프레임(25)의 측면과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고, 제2결합면(142)은 제1결합면(141)과 다른 방향의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로커(110)는 제1결합면(141)에 결합될 수 있고, 브라켓(140)은 제2결합면(142)을 통해 도어프레임(25)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브라켓(140)과 로커(110) 간의 결합과 브라켓(140)과 도어프레임(25) 간의 결합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브라켓(140)과 도어프레임(25)을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부재가 로커(110)의 회전을 방해하거나 브라켓(140)과 로커(110) 간의 결합을 어렵게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브라켓(140)과 로커(110) 간의 결합과 브라켓(140)과 도어프레임(25) 간의 결합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브라켓(140)과 도어프레임(25)을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 작업이 로커(110)로 인해 방해 받지 않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결합축(145)은, 로커(110)를 브라켓(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결합축(145)은, 걸림부(113)와 링크(120) 사이에 배치되게 본체부(111)와 결합될 수 있다. 결합축(145)은, 로커(110) 및 제1결합면(141)에 측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로커(110)는, 결합축(145)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조작버튼(130)은, 누름 조작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누름 조작된 조작버튼(130)은, 로커(110)의 자세를 잠금자세에서 잠금해제자세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조작버튼(130)은, 도어(20)의 측방향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버튼(130)은, 도어본체부(30a) 및 컨트롤패널(15)로부터 측방향 타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서, 조작버튼(130)은 손잡이부(30b)에 의해 덮인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버튼(130)은, 전방에서 봤을 때 조작버튼(130)이 보이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조작버튼(130)은, 손잡이부(30b)의 내부에 숨겨진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전방에서 봤을 때 조리기기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로써 로킹기구(100) 조작을 위한 조작버튼(130)과 같은 돌출 구조물이 도어(20)에 추가됨에도 불구하고, 조리기기의 외관이 미려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조리기기의 외관이 조작버튼(130)에 의해 영향 받지 않고 미려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 조리기기의 미관이 유려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도어(20) 전면의 배후에 숨겨진 조작버튼(130)을 아래로 누르는 형태로 조작버튼(130)을 조작할 수 있다. 도어(20)가 개방되지 못하게 로킹기구(100)가 도어(20)를 잠근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조작버튼(130)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로커(110)의 자세가 잠금자세에서 잠금해제자세로 변화되고, 이에 따라 로킹기구(100)에 의한 도어(20)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버튼(130)이 손잡이부(30b)와 인접되게 배치됨으로써, 도어(20) 개방을 위한 두 가지 동작이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도어버튼(30)과 조작버튼(130)이 상기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한 손으로 도어버튼(30)과 조작버튼(130)을 동시에 함께 조작할 수도 있게 될 수도 있는 등, 도어(20) 개방을 위한 두 가지 동작이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로킹부재의 작용, 효과]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로킹기구의 잠금 해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도어(20)가 조리실(14)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일 때, 이 도어(20)는 래치기구(40; 도 2 참조)에 의해 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도어(20)는, 홀더(50)와 결합된 로킹기구(100)에 의해 본체(10) 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 조리실(14)을 폐쇄한 상태의 도어(20)는 래치기구(40)와 로킹기구(100)에 의해 본체(10)에 2중으로 고정될 수 있다.
로커(110)의 자세가 잠금자세일 때, 로커(110)는 홀더(50)와 결합될 수 있다. 로커(110)와 홀더(50) 간의 결합은, 걸림부(113)가 걸림단(51)의 후방 단부에 걸리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20)가 래치기구(40)와 로킹기구(100)에 의해 본체(10)에 2중으로 고정된 상태에서는, 래치기구(40)와 본체(10) 간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는 것만으로는 도어(20)가 조리실(14)을 개방할 수 없다. 상기 상태에서 도어(20)가 조리실(14)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래치기구(40)와 본체(10) 간의 고정 상태 해제 및 로킹기구(100)와 본체(10) 간의 고정 상태 해제가 함께 이루어져야만 한다.
즉 도어(20)가 조리실(14)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로킹기구(100)와 본체(10) 간의 결합, 좀 더 구체적으로는 로커(110)와 홀더(50) 간의 결합이 해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조작버튼(130)을 눌러 조작버튼(130)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처럼 조작버튼(130)이 하방으로 누름 조작되면, 링크(1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링크(120)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로커(110)의 자세는 잠금자세에서 잠금해제자세로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방향 축을 중심으로 한 로커(110)의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걸림부(113)가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처럼 하부로 이동된 걸림부(113)는, 걸림단(51)의 후방 단부에 걸린 상태에서 벗어나 삽입홀(50a)과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로커(110)의 자세가 잠금해제자세일 때에는, 걸림부(113)와 홀더(50) 간의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걸림부(113)가 홀더(50)에 삽입된 상태를 벗어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로킹기구(100)와 본체(10) 간의 결합이 해제되고, 래치기구(40)와 본체(10) 간의 결합에 의해서만 도어(20)의 고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로킹기구(100)와 도어(20) 간의 고정 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도어버튼(30)의 누름 조작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래치기구(40)와 본체(10) 간의 결합이 해제되면, 도어(20)가 전방을 향해 회전하면서 조리실(14)을 개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20)가 조리실(14)을 개방한 후, 조작버튼(130)을 누르던 힘이 해제되면, 로커(110)의 자세는 잠금자세로 다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로커(110)의 복귀는, 무게 중심이 전방측으로 치우치게 마련되는 로커(110)의 자중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로커(110)의 후방측을 상방으로 밀어내거나 당기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또는 로커(110)의 전방측을 하방으로 밀어내거나 당기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로커(110)의 복귀가 로커(110)의 후방측을 상방으로 당기는 탄성부재(117)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도어(20)가 후방을 향해 회전하여 조리실(14)을 다시 폐쇄했을 때, 걸림부(113)는 경사면을 타고 삽입홀(50a)을 향해 이동하여 홀더(50)와 다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조작 없이 도어(20)를 후방으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로커(110)와 홀더(50)의 결합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로커(110)가 잠금자세로 자동으로 복귀함에 따라, 도어(20)가 다시 후방측으로 회전하여 조리실(14)을 폐쇄하는 경우에 로킹기구(100)에 대한 별도의 조작 없이도 로킹기구(100)에 의한 도어(20) 잠금이 재개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조작버튼(130)을 누르는 누름 조작만으로 로킹기구(100)에 의한 도어(20) 고정 상태의 해제가 이루어지고, 별도의 조작 없이도 로킹기구(100)에 의한 도어(20) 잠금이 재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의도치 않은 조리실(14) 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20)의 고정 및 그 고정 해제가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별도의 조작 없이도 도어(20) 고정이 자동으로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로킹기구(100)는, 도어(20)의 고정 및 그 고정 해제가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20)의 불필요한 개폐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로킹기구(100)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마모된 래치기구로 인해 도어(20)의 개폐 동작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1 : 캐비티
12 : 전면 플레이트
13 : 캐비닛
14 : 조리실
15 : 컨트롤패널
16 : 입력부
17 : 표시부
20 : 도어
20a : 도어본체부
20b : 손잡이부
21 : 도어패널
25 : 도어프레임
26 : 격벽
27 : 통과홀
28 : 지지축
40 : 래치기구
50 : 홀더
50a : 삽입홀
51 : 걸림단
100 : 로킹기구
110 : 로커
111 : 본체부
113 : 걸림부
115 : 연결부
117 : 탄성부재
120 : 링크
121 : 안착홈
130 : 조작버튼
125 : 돌기부
130 : 브라켓
131 : 제1결합면
132 : 제2결합면
135 : 결합축

Claims (12)

  1.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며, 전면이 개구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본체의 전방 및 상기 도어의 측방에 배치되는 컨트롤패널;
    상기 본체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상기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도어를 폐쇄위치에 고정시키는 래치기구; 및
    상기 본체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상기 도어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래치기구와 별도로 상기 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이동을 구속하는 로킹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기구는,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홀더와 결합되는 잠금자세 및 상기 홀더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잠금해제자세로 자세 변화 가능하게 도어에 설치되는 로커;
    누름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고, 누름 조작되면 상기 로커의 자세를 상기 잠금자세에서 상기 잠금해제자세로 변화시키며, 상기 도어의 측부에 배치되는 조작버튼; 및
    상기 로커와 상기 조작버튼을 연결하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도어에 마련되고,
    상기 링크는, 컨트롤패널을 측방향으로 통과하며 상기 로커와 상기 조작버튼을 연결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측방향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고,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도어의 측방향 타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되고,
    상기 조작버튼은, 상기 도어의 측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측방향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본체부, 및 상기 컨트롤패널의 측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도어본체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로커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도어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버튼은, 상기 손잡이부에 의해 덮인 영역에 설치되는 조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버튼은, 상기 도어본체부 및 상기 컨트롤패널로부터 측방향 타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조리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본체부 및 상기 컨트롤패널의 전면과 상기 손잡이부의 전면이 동일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측면이 측방향 일측으로 함몰되고,
    상기 조작버튼은,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조리기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는,
    측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도어본체부에 결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회전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되게 상기 본체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잠금자세에서 상기 홀더에 삽입되며 상기 홀더와 결합되는 걸림부; 및
    상기 본체부의 회전 중심보다 전방에 배치되게 상기 본체부의 전방측에 마련되며, 상기 링크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측방향 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링크는, 상기 본체부의 전방측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조리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전후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방으로 이동한 상기 조작버튼은, 상기 링크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일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링크는, 상기 연결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리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측방향 일측 단부에는 안착홈이 마련되고,
    상기 안착홈은, 상기 링크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링크와 연결되는 조리기기.
  10. 제6항에 있어서,
    측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도어본체부와 상기 컨트롤패널 사이가 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도어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링크는, 상기 격벽 및 상기 컨트롤패널의 측면을 측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컨트롤패널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본체부와 상기 조작버튼 사이를 연결하는 조리기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는, 삽입홀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후방 단부가 상방으로 돌출된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을 통해 상기 홀더에 삽입되고,
    상기 로커가 상기 잠금자세일 때, 상기 홀더에 삽입된 상기 걸림부의 후방 단부가 상기 삽입홀보다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로커가 상기 잠금해제자세일 때, 상기 걸림부의 후방 단부가 상기 삽입홀과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기구는, 상기 도어본체부와 상기 컨트롤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브라켓, 및 상기 로커를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축은, 상기 걸림부와 상기 연장부 사이에 배치되게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는 조리기기.
KR1020220000553A 2022-01-03 2022-01-03 조리기기 KR202301052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553A KR20230105252A (ko) 2022-01-03 2022-01-03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553A KR20230105252A (ko) 2022-01-03 2022-01-03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252A true KR20230105252A (ko) 2023-07-11

Family

ID=87159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553A KR20230105252A (ko) 2022-01-03 2022-01-03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52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0820B1 (ko) 오븐
US7708007B2 (en) Door assembly for home appliance, electric oven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ic oven
US11946648B2 (en) Cooking appliance
KR20230105252A (ko) 조리기기
KR20230105249A (ko) 조리기기
KR20230105248A (ko) 조리기기
KR102464262B1 (ko) 도어의 회전에 연동하는 도어 키를 구비한 가전기기
KR20230088287A (ko) 조리기기
KR20230105246A (ko) 조리기기
KR20230046852A (ko) 조리기기
KR20230047046A (ko) 조리기기
KR20060062202A (ko) 스윙 도어를 갖는 전자렌지
KR20230105247A (ko) 조리기기
KR20230106837A (ko) 조리기기
KR20230088288A (ko) 조리기기
KR20230047045A (ko) 조리기기
KR20230139273A (ko) 조리기기
KR20230088240A (ko) 조리기기
KR20230139272A (ko) 조리기기
KR20230155750A (ko)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US20230217557A1 (en) Cooking appliance
US8651099B2 (en) Oven appliance with a mechanism for securing a pair of doors in a closed configuration
JP5257039B2 (ja) ビルトイン型加熱機器及びこれを組み込んだ家具、壁体
KR20110045939A (ko) 조리기기
US20220307698A1 (en) Door assembly and a cooking appliance therewi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