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5247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5247A
KR20230105247A KR1020220000548A KR20220000548A KR20230105247A KR 20230105247 A KR20230105247 A KR 20230105247A KR 1020220000548 A KR1020220000548 A KR 1020220000548A KR 20220000548 A KR20220000548 A KR 20220000548A KR 20230105247 A KR20230105247 A KR 20230105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locking
door
button
r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태홍
최은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0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5247A/ko
Priority to PCT/KR2022/015797 priority patent/WO2023128179A1/ko
Priority to CN202280084614.5A priority patent/CN118414885A/zh
Publication of KR20230105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2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05B6/6417Door interlock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and related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2Latch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누름 조작되면 측방향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도어를 개방시키는 도어버튼 및 누름 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도어버튼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저지하는 로킹기구를 포함하고, 이 로킹기구는 자세 변화 가능하게 마련되는 로커 및 누름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는 조작버튼을 포함하며, 조작버튼은 로커의 자세를 도어버튼의 후방 이동을 저지하는 자세와 도어버튼의 후방 이동을 허용하는 자세로 변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챔버, 즉 조리실이 본체의 내부에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조리실의 내부 또는 외부 공간에는 열원이 제공되어 조리실을 가열한다.
밀폐형 조리기기 중 전자레인지는, 전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시켜서 조리실 내부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에 침투시켜, 내부에서 분자운동을 일으키는 것에 의하여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는 조리장치이다.
전자레인지는, 마그네트론의 고주파를 조리물에 조사시켜 그 내부 및 외부를 동시에 가열하는 주방용 기구로서, 열효율이 높아 조리물의 조리시간을 대폭 단축하고, 조리물의 조리나 해동 및 데우기 과정에서 영양가의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조리물을 용기에 저장한 채로 직접 조리할 수 있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전자레인지는, 통상 본체 내부에 형성된 조리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를 구비한다. 전자레인지에 구비되는 도어로서, 그 개폐 형태에 따라 좌우 개폐식 도어, 상하 개폐식 도어, 슬라이딩 도어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의 도어는 좌우 개폐식 도어이다.
또한 본체와 도어 사이에는,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래치가 구비될 수 있다. 래치는, 걸이로서의 작용으로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한편, 도어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도어 개방 상태에서 조리가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등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래치에 의해서는 도어가 완전히 개방될 수 없게 고정되지는 않는다. 즉 도어가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에서 도어에 소정 이상의 힘을 가하면, 별도의 다른 조작 없이도 래치에 의한 도어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고, 이에 따라 도어가 회전 또는 슬라이딩하며 조리실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도어의 개폐 구조로 인해, 사용자가 도어를 잡아 당기면 도어가 쉽게 개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실수 또는 어린이의 장난 등으로 인해 전자레인지의 동작 중에 의도치 않게 조리실이 개방되는 일이 종종 발생될 수 있다.
전자레인지의 동작 중에 의도치 않게 조리실이 개방되는 경우, 음식물을 조리 중인 조리실 내부의 열기로 인해 사용자가 화상 등의 부상을 입을 위험성이 있다.
또한 조리 중이 아니라도 아이들이 빈번하게 도어를 개폐시키게 되면, 래치의 마모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마모된 래치로 인해 도어의 개폐 동작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도치 않은 조리실 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의 고정이 신뢰성 높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고정 및 고정 해제가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기기는, 누름 조작되면 측방향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도어를 개방시키는 도어버튼 및 누름 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도어버튼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저지하는 로킹기구를 포함하고, 이 로킹기구는 자세 변화 가능하게 마련되는 로커 및 누름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는 조작버튼을 포함하며, 조작버튼은 로커의 자세를 도어버튼의 후방 이동을 저지하는 자세와 도어버튼의 후방 이동을 허용하는 자세로 변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로커의 자세가 도어버튼의 후방 이동을 저지하는 자세일 때, 로커는 도어버튼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후방돌기와 간섭되어 도어버튼의 후방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로커의 자세가 도어버튼의 후방 이동을 허용하는 자세일 때, 로커는 후방돌기의 이동 경로에서 이탈되어 도어버튼의 후방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어를 자동으로 안전하게 고정시키는 2중 도어 고정 기능과 이러한 기능이 해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며, 전면이 개구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본체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상기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도어를 폐쇄위치에 고정시키는 래치기구와; 누름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고, 누름 조작되면 측방향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눌림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눌림위치에서 상기 래치기구를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시키는 도어버튼; 및 상기 도어버튼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저지하는 로킹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킹기구는, 상기 도어버튼이 상기 눌림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잠금자세와 상기 도어버튼이 상기 눌림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잠금해제자세로 자세 변화 가능하게 마련되는 로커; 및 누름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며, 누름 조작되면 상기 로커의 자세를 상기 잠금자세에서 상기 잠금해제자세로 변화시키는 조작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커가 전후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로커의 자세가 변화되고, 상기 조작버튼은 상기 조작버튼의 측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로커를 측방향 일측에서 가압하며 상기 로커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커는, 전후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축과; 제1잠금위치에서 상기 도어버튼의 이동을 저지하고, 제1잠금해제위치에서 상기 도어버튼의 이동을 허용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제1잠금위치와 상기 제1잠금해제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제1걸림돌기; 및 상기 조작버튼과 연결될 수 있게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조작버튼의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하며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연결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연결돌기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상기 조작버튼은, 상기 제1연결돌기의 측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연결돌기는, 상기 조작버튼의 측방향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걸림돌기 및 상기 제1연결돌기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되,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커는, 상기 제1걸림돌기가 상기 제1잠금위치에 있을 때 제2잠금위치에서 상기 도어버튼의 이동을 저지하는 제2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걸림돌기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1걸림돌기의 돌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걸림돌기 및 상기 제1연결돌기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되,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커는, 상기 제1걸림돌기가 상기 제1잠금위치에 있을 때 제3잠금위치에서 상기 도어버튼의 이동을 저지하는 제3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걸림돌기는, 상기 제1연결돌기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1연결돌기의 돌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걸림돌기 및 상기 제1연결돌기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되,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커는, 제1걸림돌기가 상기 제1잠금위치에 있을 때 제2잠금위치 및 제3잠금위치에서 상기 도어버튼의 이동을 저지하는 제2걸림돌기 및 제3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버튼은, 누름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는 누름면, 및 상기 누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 내지 제3후방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걸림돌기는 상기 제1잠금위치에서 상기 제1후방돌기의 이동 경로에 배치되고, 상기 제2걸림돌기는 상기 제2잠금위치에서 상기 제2후방돌기의 이동 경로에 배치되며, 상기 제3걸림돌기는 상기 제3잠금위치에서 상기 제3후방돌기의 이동 경로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후방돌기가 상기 제2후방돌기와 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후방돌기와 상기 제2후방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제3후방돌기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위치와 결합해제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동력전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래치기구와 상기 본체의 결합을 허용하며, 상기 결합해제위치에서 상기 래치기구와 상기 본체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버튼은, 상기 눌림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동력전달부재를 상기 결합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버튼은, 누름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는 누름면, 및 상기 누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푸싱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측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래치기구와 연결되는 전달축, 및 상기 전달축과 연결되어 상기 푸싱돌기의 후방측에 배치되며 상기 전달축과 연결된 일측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전달패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푸싱돌기는, 상기 전달패널을 후방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상기 전달패널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버튼이 상기 눌림위치로 이동했을 때, 상기 푸싱돌기가 상기 상기 전달패널을 후방측으로 밀어 상기 동력전달부재를 상기 결합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상기 결합해제위치로 이동했을 때, 상기 전달축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래치기구와 상기 본체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의 전방 및 상기 도어의 측방에 배치되는 컨트롤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도어와 나란한 면을 형성하는 전면, 및 상기 전면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도어버튼삽입홀, 및 상기 전면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면을 상기 도어버튼삽입홀 내부에 형성하는 후방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방지지면은 상기 누름면과 상기 전달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푸싱돌기는 상기 후방지지면을 관통하여 상기 전달패널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커는, 전후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축; 및 잠금위치에서 상기 도어버튼의 이동을 후방에서 저지하고, 잠금해제위치에서 상기 도어버튼의 이동을 허용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잠금위치와 상기 잠금해제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커는, 상기 전달패널과 연결될 수 있게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되는 로커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커고정부재는, 상기 걸림돌기의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잠금해제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전달패널과 결합되어 상기 로커를 상기 전달패널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커고정부재는, 상기 걸림돌기와 연결되는 돌출보스와; 상기 돌출보스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돌출보스로부터 상기 전달패널 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 및 상기 고정돌기를 상기 전달패널 측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전달패널과 결합되어 상기 로커고정부재가 상기 전달패널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와 마주보는 상기 전달패널의 전면에는 고정홈이 후방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잠금해제위치에 있을 때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며 상기 전달패널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도어가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도어를 본체에 고정시킬 수 있게 구비된 로킹기구에 의해 도어의 고정이 신뢰성 높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 동작 중에 의도치 않은 조리실 개방이 이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조작 없이도, 조리실을 폐쇄한 도어에 대한 로킹기구의 도어 고정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이에 따른 조작의 편의성도 함께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고정 및 그 고정 해제가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불필요한 개폐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마모된 래치기구로 인해 도어의 개폐 동작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컨트롤패널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컨트롤패널 및 로킹기구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정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컨트롤패널 및 로킹기구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도어버튼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 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Ⅶ-Ⅶ"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로킹기구의 잠금 해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Ⅹ-Ⅹ"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로커가 잠금위치에 있을 때의 전달패널과 로킹기구의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로커가 잠금해제위치에 있을 때의 전달패널과 로킹기구의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도 13은 12의 "ⅩⅢ-Ⅹ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동력전달부재가 결합해제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조리기기가 바닥(floor)에 놓인 상태에서, 조리기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도어가 설치된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도어를 열고 조리기기 내부로 진입하는 방향은 후방이 된다. 편의상 이렇게 전방과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제1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방은 제1방향의 일방, 후방은 제1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중력 방향을 하방,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조리기기의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 즉 조리기기의 도어 앞에서 조리기기를 바라볼 때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좌우방향이라 할 수 있다. 편의상 좌우방향을 제2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우측은 제2방향의 일방, 좌측은 제2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측방향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면 우측은 측방향의 일측, 좌측은 측방향의 타측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상하방향을 제3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상방은 제3방향의 일방, 하방은 제3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상하방향을 세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즉 제1방향과 제2방향을 포함하여 가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는, 캐비티(11) 및 캐비닛(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캐비티(11)는, 본체(10)의 내부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캐비티(11)는,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11)의 내부에는, 조리실(14)이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14)은, 캐비티(11)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 즉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14)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리실(14)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실(14)의 내부공간이 가열되면서 요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조리기기에서는, 조리실(14)의 내부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다.
캐비닛(13)은, 캐비티(11)의 외측에서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캐비닛(13)은, 캐비티(11)를 상부 및 측부에서 덮으며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캐비티(11)의 전방에 전면 플레이트(12)가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전면 플레이트(12)는, 캐비티(11)의 전방에서 본체(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전면 플레이트(12)는 중공이 형성된 금속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체(10)의 전방에는, 조리실(14)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20)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어(20)는, 그 측방향 일측을 중심으로 측방향 타측이 좌우로 회동하는 사이드 스윙(Side-swing) 방식으로 조리실(14)을 개폐할 수 있다. 예컨대, 도어(20)는 폐쇄위치에서 조리실(14)을 폐쇄할 수 있고, 폐쇄위치에서 회동하여 조리실(14)을 개방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20)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와 도어 사이에는, 힌지가 설치될 수 있다. 힌지는, 본체(10)의 측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도어(20)의 측방향 일측을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어(20)는, 본체(10)의 전면에서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조리실(14)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조리실(14) 내 가열을 위한 조리실 열원이 구비된다. 상기 조리실 열원은 한 가지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고, 두 가지 이상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조리실 열원은 조리실(14) 내부에 고주파 열원을 공급할 수 있는 마그네트론(Magnetron)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때 마그네트론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되, 조리실(14)의 상부 또는 측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내부에는, 본체(10) 내 조리실(14)의 상부 또는 측부에 위치되는 전장실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그네트론 및 전장실이 조리실(14)의 측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전장실의 내부에는, 마그네트론, 고압트랜스 등의 전장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체(10)의 전면에는, 컨트롤패널(15)이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15)은, 캐비티(11)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조리실(14)과 전후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조리실(14)의 측부에는 전장실이 배치될 수 있으며, 컨트롤패널(15)은 전장실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15)은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컨트롤패널(15)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동작시키는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16)가 제공된다.
입력부(16)에는 다수의 조작스위치가 마련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패널(15)에는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의 동작 정보 또는 음식물의 요리 정보 등을 제공하는 표시부(17)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표시부(17)를 통해 조리기기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컨트롤패널(15)에는, 도어버튼(30)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버튼(30)이 표시부(17) 및 입력부(16)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도어버튼(30)은, 도어(20)를 개방하는데 이용되는 스위치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버튼(30)이 푸시버튼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 경우, 도어버튼(30)을 누르면, 후술할 래치기구를 잡고 있던 구조물로부터 래치기구(40)가 이탈되면서 도어(20)가 개방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도어버튼(30)은 전자식 버튼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도어버튼(30) 없이 도어(20)의 개방이 가능한 구조로 도어(20)가 제공될 수도 있는 등, 도어(20)의 개방과 관련된 구조물의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어의 구조]
도어(20)는, 도어(20)의 골격을 형성하는 도어패널(21)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패널(21)은, 본체(10)의 전면 형상에 대응되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패널(21)의 내측에는 조리실(14) 내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개방창(22)이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패널(21)은 소정의 강도를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도어패널(21)의 외측에는, 도어프레임(25)이 설치될 수 있다. 도어프레임(25)은 도어(20)의 전면과 상면과 저면 및 측면 외관을 형성하며, 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프레임(25)의 내부에는 상기 도어패널(21)이 수용될 수 있다.
아울러 도어프레임(25)의 측방향 일측에는, 도어패널(21)을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는, 도어프레임(25)의 측방향 일측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조리기기는, 래치기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래치기구(40)는, 도어(20)를 폐쇄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래치기구(40)는 도어(20)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이 도어(20)에 설치되는 래치기구(40)는, 도어(20)가 조리실(14)을 차폐할 때, 본체(10)의 전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래치슬롯을 관통하여 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된 래치기구(40)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걸림구조물과 맞물려서 결합됨으로써 도어(20)를 본체(10)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래치기구(40)의 작용에 의해 본체(10)에 대한 도어(20)의 회동이 제한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조리실(14)이 도어(20)에 의해 차폐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래치기구(40)와 걸림구조물 간의 맞물림 여부를 감지하는 동작을 통해 도어(20)의 닫힘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어(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조리가 진행되지 않도록 조리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조리기기는, 로킹기구(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킹기구(100)는, 래치기구(40)와 함께 도어(20)를 폐쇄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로킹기구(100)는, 도어버튼(30)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도어버튼(30)을 고정시킬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로킹기구(100)는, 컨트롤패널(15)에 배치되되, 도어버튼(3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킹기구(100)는 컨트롤패널(15)의 하부측 및 도어버튼(30)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로킹기구(100)는, 도어버튼(30)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게 마련된다. 도어버튼(30)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못하면, 도어(20)가 개방되지 못하므로, 로킹기구(100)는 도어버튼(30)의 이동을 구속함으로써 결국 도어(20)의 회동을 구속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도어(20)가 래치기구(40)와 로킹기구(100)에 의해 2중으로 고정되는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 도어(20)가 조리실(14)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래치기구(40)와 본체(10) 간의 결합이 해제되어야 할 뿐 아니라, 로킹기구(100)와 도어버튼(30) 간의 결합도 함께 해제되어야 한다.
[도어버튼 및 그 주변부의 구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컨트롤패널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컨트롤패널 및 로킹기구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정면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컨트롤패널 및 로킹기구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배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도어버튼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어버튼(30)은 컨트롤패널(15)에 설치되며, 누름 조작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버튼(30)은, 누름 조작되면 눌림위치로 이동하여 래치기구(40)가 본체(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본체(10)에 마련된 걸림구조물로부터 분리되도록 작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버튼(30)의 측방향 일측이 컨트롤패널(1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도어버튼(30)은 측방향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눌림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어버튼(30)은 누름면(31) 및 테두리돌기(33)를 포함할 수 있다. 누름면(31)은, 누름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버튼(30)의 전면에 해당된다. 이러한 누름면(31)은, 컨트롤패널(15)의 전면과 대략 나란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테두리돌기(33)는, 누름면(31)의 측방향 테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버튼(30)은, 힌지부(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32)는, 도어버튼(30)의 측방향 일측과 타측 중 일측에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힌지부(32)는, 상하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컨트롤패널(15)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부(32)와 컨트롤패널(15) 간의 결합에 의해, 도어버튼(30)은 힌지부(32)가 배치된 측방향 일측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15)은, 컨트롤패널(15)의 전방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그리고 컨트롤패널(15)의 전면 테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15)의 전면은, 도어(20)와 대략 나란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패널(15)의 전면에는, 입력부(16) 및 표시부(17)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컨트롤패널(15)은, 후방지지면(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방지지면(19)은, 컨트롤패널(15)의 하부측에 배치되며, 컨트롤패널(15)의 전면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면을 컨트롤패널(15)의 하부측에 형성할 수 있다.
로킹기구(100)는, 도어버튼(30)의 누름면(31)과 후방지지면(19) 사이에 배치되며, 후방지지면(19)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15)에는, 측벽면(18)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15)의 측벽면(18)은, 후방지지면(19)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벽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측벽면(18)은, 후방지지면(19)의 테두리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벽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버튼(30)의 테두리돌기(33)는, 상기 컨트롤패널(15)의 측벽면(18)과 나란한 면을 형성하며 누름면(31)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어버튼(30)의 테두리돌기(33)는, 컨트롤패널(15)의 측벽면(18)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끼움돌기(35)는, 누름면(31)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어버튼(30)에는, 복수개의 끼움돌기(35)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도어버튼(30)의 상단측과 하단측에 끼움돌기(35)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끼움돌기(35)는, 후방지지면(19)을 관통하며 후방지지면(19)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끼움돌기(35)와 후방지지면(19) 간의 결합에 의해, 도어버튼(30)은 컨트롤패널(15)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각 끼움돌기(35)의 후방측 단부에는, 후크돌기(37a)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후크돌기(37a)는, 끼움돌기(35)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상하방향 또는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어버튼(30)의 상단측에 배치되는 끼움돌기(35)에 마련되는 후크돌기(37a)는,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버튼(30)의 하단측에 배치되는 끼움돌기(35)에 마련되는 후크돌기(37a)는,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후크돌기(37a)는, 후방지지면(19)의 배면에 걸려 끼움돌기(35)의 전방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즉 도어버튼(30)은 끼움돌기(35)와 후방지지면(19) 간의 결합에 의해 컨트롤패널(15)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후크돌기(37a)가 후방지지면(19)에 걸리면서 도어버튼(30)이 컨트롤패널(15)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동력전달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50)는, 결합위치와 결합해제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50)는, 결합위치에서 래치기구(40)와 본체(10)의 결합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부재(50)는, 결합해제위치에서 래치기구(40)와 본체(10)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재(50)는, 후방지지면(19)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후방지지면(19)은 후방지지면(19)과 동력전달부재(50) 사이, 좀 더 구체적으로는 후방지지면(19)과 후술할 전달패널(5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동력전달부재(50)는 전달축(51) 및 전달패널(55)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전달축(51)은, 측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전달축(51)은, 래치기구(40)와 연결되어 래치기구(40)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걸림구조물과 맞물려 결합된 래치기구(40)는,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축(111)에 의해, 걸림구조물과 분리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축(111)에 의해, 래치기구(40)가 걸림구조물과 맞물려 결합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동력전달부재(50)가 결합위치에서 결합해제위치로 이동할 때, 전달축(51)은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래치기구(40)와 본체(10)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부재(50)가 결합해제위치에서 결합위치로 이동할 때, 전달축(51)은 타방향으로 회전되며 래치기구(40)와 본체(10)의 결합을 허용할 수 있다.
도어버튼(30)은, 누름 조작시 눌림위치로 이동하여 동력전달부재(50)를 결합해제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어버튼(30)에는 푸싱돌기(37)가 마련되며, 동력전달부재(50)에는 전달패널(55)이 마련될 수 있다.
푸싱돌기(37)는, 누름면(31)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푸싱돌기(37)는, 누름면(31)과 전달패널(55) 사이에 배치되는 후방지지면(19)을 관통하여 전달패널(55)과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서, 푸싱돌기(37)의 전후방향 길이는 누름면(31)과 전달패널(55)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푸싱돌기(37)는, 도어버튼(30)이 눌림위치로 이동했을 때, 전달패널(55)을 후방으로 밀어 동력전달부재(50)를 결합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푸싱돌기(37)는 도어버튼(30)의 측방향 일측과 타측 중 타측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힌지부(32)는 도어버튼(30)의 측방향 중심으로부터 측방향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고, 푸싱돌기(37)는 도어버튼(30)의 측방향 중심으로부터 측방향 타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푸싱돌기(37)는, 도어버튼(3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멀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푸싱돌기(37)는, 도어버튼(30)에 대한 누름 조작이 이루어질 때, 후방으로 더 효과적으로 이동하며 동력전달부재(5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푸싱돌기(37)는, 도어버튼(30)의 상하방향 중심으로부터 상부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푸싱돌기(37)는, 동력전달부재(50)의 회전 중심과 가까운 위치에서 동력전달부재(5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푸싱돌기(37)의 후방 이동 거리 대비 동력전달부재(50)의 이동거리가 증가될 수 있게 되므로, 도어버튼(30)이 동력전달부재(50)를 좀 더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푸싱돌기(37)가 도어버튼(30)의 측방향 타측 및 상측에 배치됨으로써, 도어버튼(30)의 누름 조작이 깊게 이루어지지 않아도 도어(20)의 개방이 좀 더 쉽고 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전달패널(55)은, 전달축(51)과 연결되어 푸싱돌기(37)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달패널(55)은, 전달축(51)과 연결된 일측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푸싱돌기(37)와 마주보는 전달패널(55)의 전면은, 평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달패널(55)은, 전달패널(55)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지지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전달축(51)은, 전달패널(55)의 전면보다 후방측에 배치되며, 전달패널(55)의 후방으로 돌출된 지지구조물과 연결될 수 있다.
평면 형태로 형성된 전달패널(55)의 전면은, 푸싱돌기(37)가 전달패널(55)을 후방으로 밀어낼 때 푸싱돌기(37)가 전달패널(55) 상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는 접촉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달패널(55)의 후방으로 돌출된 지지구조물에 의해, 동력전달부재(50)의 강도가 더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전달패널(55)의 후방으로 돌출된 지지구조물에 전달축(51)이 연결됨으로써, 전달패널(55)과 푸싱돌기(37) 간의 접촉점이 전달축(51)에 비해 좀 더 전방측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푸싱돌기(37)의 길이가 좀 더 짧아질 수 있게 됨으로써, 푸싱돌기(37)의 흔들림이나 파손 발생 위험성이 낮아지고, 이 푸싱돌기(37)를 포함하는 도어버튼(30)의 구조적 안정성이 좀 더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어버튼(30)의 누름면(31)과 컨트롤패널(15)의 후방지지면(19) 사이에는, 도어버튼(30)을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39)가 구비될 수 있다. 제1탄성부재(39)는, 눌림위치로 이동한 도어버튼(3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1탄성부재(39)는, 후방측 단부가 후방지지면(19)에 지지되고 전방측 단부가 누름면(31)을 지지하는 코일스프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서, 후방지지면(19)에는, 지지돌기(19a)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돌기(19a)는 후방지지면(19)으로부터 돌출되며, 코일스프링이 이 지지돌기(19a)에 끼워지며 후방지지면(19)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지지돌기(19a)는, 제1탄성부재(39)를 지지하며 후방지지면(19)에 고정시킴으로써, 제1탄성부재(39)가 컨트롤패널(15)에 안정되게 고정되며 도어버튼(30)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도어버튼(30)은, 복수개의 후방돌기(30a,30b,30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버튼(30)에 제1후방돌기(30a)와 제2후방돌기(30b) 및 제3후방돌기(30c)가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1후방돌기(30a)와 제2후방돌기(30b) 및 제3후방돌기(30c)는, 각각 누름면(31)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후방돌기(30a)와 제2후방돌기(30b) 및 제3후방돌기(30c)는, 도어버튼(30)이 눌림위치로 이동될 때, 도어버튼(30)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로킹기구의 전반적인 구조]
로킹기구(100)는, 도어버튼(3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저지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로킹기구(100)는, 로커(110) 및 조작버튼(120)을 포함할 수 있다.
로커(110)는, 도어버튼(30)의 이동을 실질적으로 저지하는 구성에 해당된다. 이러한 로커(110)는, 잠금자세와 잠금해제자세로 자세 변화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잠금자세에서, 로커(110)는 도어버튼(30)이 눌림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잠금해제자세에서, 로커(110)는 도어버튼(30)이 눌림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로커(110)는, 컨트롤패널(1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로커(110)의 대부분은, 도어버튼(30)에 의해 덮인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로커(110)는, 도어버튼(30)의 후방에 배치되어 전후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로커(110)의 자세는,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로커(100)의 회전에 의해 잠금자세와 잠금해제자세로 변화될 수 있다.
로커(110)는, 회전축(111)과 걸림돌기(112,113,114) 및 제1연결돌기(11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11)은, 전후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112,113,114)는, 회전축(111)의 회전에 연동되어 이동할 수 있게 회전축(111)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연결돌기(115)는, 조작버튼(120)과 연결될 수 있게 회전축(111)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연결돌기(115)는 회전축(111)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연결돌기(115)는, 조작버튼(120)의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하며 회전축(11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조작버튼 및 그 주변부의 구조]
도 7은 도 6의 “Ⅶ-Ⅶ”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Ⅶ-Ⅶ"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로킹기구의 잠금 해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Ⅹ-Ⅹ"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조작버튼(120)은, 누름 조작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누름 조작된 조작버튼(120)은, 로커(110)의 자세를 잠금자세에서 잠금해제자세로 변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작버튼(120)은 컨트롤패널(15)의 측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조작버튼(120)은 컨트롤패널(15)의 측면에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버튼(120)은, 누름 조작시 측방향 타측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15)에는, 조작버튼삽입홈(15a)이 마련될 수 있다. 조작버튼삽입홈(15a)은, 컨트롤패널(15)의 측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조작버튼(120)은, 조작버튼삽입홈(15a)에 삽입되며 컨트롤패널(15)에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버튼(120)은, 조작버튼삽입홈(15a)을 측방향으로 관통하며 제1연결돌기(115)와 연결될 수 있다.
조작버튼삽입홈(15a)의 내부에는, 조작버튼(120)을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125)가 구비될 수 있다. 제2탄성부재(125)는, 누름 조작되어 후방으로 이동한 조작버튼(12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2탄성부재(125)는, 후방측 단부가 조작버튼삽입홈(15a)에 지지되고 전방측 단부가 조작버튼(120)을 지지하는 코일스프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조작버튼(120)은, 도어버튼(3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어버튼(30)과 인접하게 컨트롤패널(15)의 측면에 배치된 조작버튼(120)을 측방향으로 누름으로써, 로킹기구(100)의 상태를 잠금 해제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로커(110)의 자세는, 조작버튼(120)과 제1연결돌기(115)의 연계 작용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조작버튼(120)은 누름 조작시 측방향 타측을 향해 이동할 수 있으며, 제1연결돌기(115)는 조작버튼(120)의 측방향 이동에 연동되어 회전축(111)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작버튼(120)과 제1연결돌기(115)는 측방향으로 맞대어진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연결돌기(115)와 연결된 조작버튼(120)이 누름 조작되면, 조작버튼(120)은 측방향 타측을 향해 이동한다.
조작버튼(120)과 제1연결돌기(115)가 측방향으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조작버튼(120)은, 제1연결돌기(115)를 회전축(111)의 회전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축(111)이 회전되고, 걸림돌기(112,113,114)는 이러한 회전축(111)의 회전에 연동되어 잠금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도 9 참조).
[걸림돌기 및 그 주변부의 구조]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로커(110)는 제1연결돌기(115)와 연결되는 회전축(111) 및 회전축(111)과 연결되는 걸림돌기(112,113,114)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11)은, 전후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축(111)은, 조작버튼(120)에 의해 이동되는 제1연결돌기(115)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일례로서, 회전축(111)은,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축(111)은, 컨트롤패널(15), 좀 더 구체적으로는 후방지지면(1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후방지지면(19)에는 지지축(19b)이 마련될 수 있다. 지지축(19b)은, 후방지지면(19)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축(19b)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111)은, 지지축(19b)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됨으로써, 도어버튼(30)의 누름면(31)과 후방지지면(19)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축(111)과 연결되는 제1연결돌기(115)는, 회전축(111)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되, 대략 조작버튼(120)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회전축(111)과 조작버튼(120)은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조작버튼(120)은 로킹기구(100)의 측방향 일측에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축(111)은 조작버튼(120)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연결돌기(115)는, 회전축(111)으로부터 조작버튼(120)을 향한 방향, 즉 측방과 하방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되게 돌출될 수 있다.
걸림돌기(112,113,114)는, 회전축(111)의 회전에 연동되어 이동할 수 있게 회전축(111)과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돌기(112,113,114)가 회전축(111)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로킹기구(100)는, 제1걸림돌기(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걸림돌기(112)는, 회전축(111)으로부터 회전축(111)의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되, 제1연결돌기(115)와 다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제1걸림돌기(112) 및 제1연결돌기(115)는, 회전축(111)으로부터 회전축(111)의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되,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걸림돌기(112)는, 회전축(111)의 회전에 연동되어 이동할 수 있게 회전축(111)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걸림돌기(112)는, 회전축(111)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1잠금위치와 제1잠금해제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로커(110)의 자세가 잠금자세일 때, 제1걸림돌기(112)는 제1잠금위치에서 도어버튼(30)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로커(110)의 자세가 잠금해제자세일 때, 제1걸림돌기(112)는 제1잠금해제위치에서 도어버튼(30)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걸림돌기(112)와 제1후방돌기(30a)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가 제1잠금위치인 것으로 정의된다. 이에 따르면, 제1걸림돌기(112)가 제1잠금위치에 있을 때, 제1걸림돌기(112)가 제1후방돌기(30a)의 후방에 배치되되, 제1후방돌기(30a)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제1잠금위치에 위치한 제1걸림돌기(112)는, 제1후방돌기(30a)의 후방에서 제1후방돌기(30a)와 간섭되며 도어버튼(30)의 이동을 후방에서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걸림돌기(112)가 제1잠금위치에서 벗어나 상측으로 이동한 위치가 제1잠금해제위치인 것으로 정의된다. 이에 따르면, 제1걸림돌기(112)가 제1잠금해제위치에 있을 때, 제1걸림돌기(112)가 제1후방돌기(30a)의 이동 경로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후방돌기(30a)는 도어버튼(30)의 측방향 중심에서 측방향 타측으로 치우친 위치 및 도어버튼(30)의 상하방향 중심에서 하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후방돌기(30a)는, 도어버튼(30)의 측방향 일측 하단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걸림돌기(112)는, 회전축(111)으로부터 제1후방돌기(30a)를 향한 방향, 즉 측방과 하방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되게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1걸림돌기(112)에는, 제1걸림돌기(112)의 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돌출부(114a)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사돌출부(114a)가 제1걸림돌기(112)의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경사돌출부(114a)는, 제1걸림돌기(112)가 제1잠금위치에 있을 때 제1후방돌기(30a)와 직접 접촉되는 부분이다.
일례로서, 제1후방돌기(30a)는 누름면(31)으로부터 돌출되되, 직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후방돌기(30a)는, 그 저면 및 상면이 지면 또는 바닥면과 평행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경사돌출부(114a)는, 이러한 제1후방돌기(30a)의 저면 및 상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후방돌기(30a)와 경사돌출부(114a)가 상기와 같은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제1후방돌기(30a)와 제1걸림돌기(112) 간의 접촉 면적이 효과적으로 확장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로킹기구(100)가 도어버튼(30)을 잠금 상태로 유지할 때, 제1걸림돌기(112)가 제1후방돌기(30a)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도어버튼(30)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로커(110)는, 제2걸림돌기(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걸림돌기(113)는, 회전축(111)으로부터 회전축(111)의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되, 제1연결돌기(115) 및 제1걸림돌기(112)와 다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제1연결돌기(115)와 제1걸림돌기(112) 및 제2걸림돌기(113)는, 회전축(111)으로부터 회전축(111)의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되,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걸림돌기(113)는, 회전축(111)의 회전에 연동되어 이동할 수 있게 회전축(111)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걸림돌기(113)는, 회전축(111)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2잠금위치와 제2잠금해제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로커(110)의 자세가 잠금자세일 때, 제2걸림돌기(113)는 제2잠금위치에서 도어버튼(30)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로커(110)의 자세가 잠금해제자세일 때, 제2걸림돌기(113)는 제2잠금해제위치에서 도어버튼(30)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걸림돌기(113)와 제2후방돌기(30b)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가 제2잠금위치인 것으로 정의된다. 이에 따르면, 제2걸림돌기(113)가 제2잠금위치에 있을 때, 제2걸림돌기(113)가 제2후방돌기(30b)의 후방에 배치되되, 제2후방돌기(30b)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제2잠금위치에 위치한 제2걸림돌기(113)는, 제2후방돌기(30b)의 후방에서 제2후방돌기(30b)와 간섭되며 도어버튼(30)의 이동을 후방에서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2걸림돌기(113)가 제2잠금위치에서 벗어나 상측(또는 측방향 일측)으로 이동한 위치가 제2잠금해제위치인 것으로 정의된다. 이에 따르면, 제2걸림돌기(113)가 제2잠금해제위치에 있을 때, 제2걸림돌기(113)가 제2후방돌기(30b)의 이동 경로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후방돌기(30a)와 제2후방돌기(30b)는 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후방돌기(30a)와 제2후방돌기(30b)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후방돌기(30a)와 제2후방돌기(30b)가 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예컨대, 제1후방돌기(30a)는 도어버튼(30)의 측방향 일측 하단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제2후방돌기(30b)는 도어버튼(30)의 상단 중앙 또는 측방향 타측 상단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커(110)는, 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두 지점에서 두 후방돌기(30a,30b)를 함께 지지하며 도어버튼(30)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즉 로커(110)는, 복수의 지점에서 도어버튼(30)을 안정되게 저지하며 도어버튼(30)의 잠금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로커(110)는, 제3걸림돌기(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걸림돌기(114)는, 회전축(111)으로부터 돌출되되, 제1연결돌기(115)와 제1걸림돌기(112) 및 제2걸림돌기(113)와 다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제1연결돌기(115)와 제1걸림돌기(112)와 제2걸림돌기(113) 및 제3걸림돌기(114)는, 회전축(111)으로부터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3걸림돌기(114)는 제1연결돌기(115)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즉 제3걸림돌기(114)는, 회전축(111)과 직접 연결되지 않고, 회전축(111)과 제3걸림돌기(114)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돌기(115)를 매개로 회전축(111)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걸림돌기(114)는, 제1연결돌기(115)로부터 돌출되되, 제1연결돌기(115)의 돌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연결돌기(115)는 회전축(111)의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고, 제3걸림돌기(114)는 회전축(111)의 회전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3걸림돌기(114)는, 회전축(111)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3잠금위치와 제3잠금해제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로커(110)의 자세가 잠금자세일 때, 제3걸림돌기(114)는 제3잠금위치에서 도어버튼(30)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로커(110)의 자세가 잠금해제자세일 때, 제3걸림돌기(114)는 제3잠금해제위치에서 도어버튼(30)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걸림돌기(114)와 제3후방돌기(30c)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가 제3잠금위치인 것으로 정의된다. 이에 따르면, 제3걸림돌기(114)가 제3잠금위치에 있을 때, 제3걸림돌기(114)가 제3후방돌기(30c)의 후방에 배치되되, 제3후방돌기(30c)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제3잠금위치에 위치한 제3걸림돌기(114)는, 제3후방돌기(30c)의 후방에서 제3후방돌기(30c)와 간섭되며 도어버튼(30)의 이동을 후방에서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3걸림돌기(114)가 제3잠금위치에서 벗어나 상측(또는 측방향 타측)으로 이동한 위치가 제3잠금해제위치인 것으로 정의된다. 이에 따르면, 제3걸림돌기(114)가 제3잠금해제위치에 있을 때, 제3걸림돌기(114)가 제3후방돌기(30c)의 이동 경로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후방돌기(30a)와 제2후방돌기(3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3후방돌기(30c)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후방돌기(30a)와 제2후방돌기(3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3후방돌기(30c)와 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후방돌기(30a)와 제2후방돌기(30b) 및 제3후방돌기(30c)가 각각 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제2후방돌기(30b)와 제3후방돌기(30c)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예컨대, 제1후방돌기(30a)는 도어버튼(30)의 측방향 일측 하단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제2후방돌기(30b)는 도어버튼(30)의 상단 중앙 또는 측방향 타측 상단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3후방돌기(30c)는 도어버튼(30)의 측방향 타측 하단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커(110)는, 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세 지점에서 세 후방돌기(30a,30b,30c)를 함께 지지하며 도어버튼(30)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즉 로커(110)는, 복수의 지점에서 도어버튼(30)을 더욱 안정되게 저지하며 도어버튼(30)의 잠금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로킹기구(100)는, 로커(110)를 탄성 지지하는 제3탄성부재(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탄성부재(117)는, 잠금해제자세로 변화된 로커(110)의 자세를 잠금자세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탄성부재(117)는 일측 단부가 컨트롤패널(15)에 지지되고 타측 단부가 로커(110)를 지지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일례로서, 제3탄성부재(117)의 일측 단부는 후방지지면(19)에 결합되고 제3탄성부재(117)의 타측 단부는 제1걸림돌기(1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3탄성부재(117)는, 제1잠금해제위치로 이동한 제1걸림돌기(112)를 제1잠금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3탄성부재(117)는, 상기와 같이 제1걸림돌기(112)를 이동시킴으로써, 제2걸림돌기(113) 및 제3걸림돌기(114)도 함께 이동시키면서 로커(110)의 자세를 잠금자세로 복귀시킬 수 있다.
한편 후방지지면(19)에는, 스토퍼(19c)가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19c)는, 로커(110)의 자세가 잠금자세로 유지되도록 로커(11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19c)는, 후방지지면(19)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되, 걸림돌기(112,113,114)의 이동 경로 상에 돌출되어 걸림돌기(112,113,114)를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서, 스토퍼(19c)는, 제1걸림돌기(112)에 인접되게 배치되어 제1걸림돌기(112)를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19c)는, 제3탄성부재(117)의 탄성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려는 제1걸림돌기(112)를 하측에서 지지하며 제1걸림돌기(112)의 하측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9c)에 의해 지지되는 제1걸림돌기(112)의 위치는 제1잠금위치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로써 로커(110)의 자세도 잠금자세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후방지지면(19)에는, 지지리브(19d)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지지리브(19d)는, 후방지지면(19)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로커(110)를 후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돌기(112,113,114)는 후방에서 도어버튼(30)을 지지하며 도어버튼(30)의 이동을 구속한다. 따라서 걸림돌기(112,113,114)가 도어버튼(30)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구속하기 위해서는, 걸림돌기(112,113,114)가 후방지지면(19)에 안정되게 지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걸림돌기(112,113,114) 전체가 후방지지면(19)에 접촉된 형태로 걸림돌기(112,113,114)가 후방지지면(19)에 지지된다면, 걸림돌기(112,113,114)와 후방지지면(19)에 지나친 마찰이 발생될 수 있다. 그 결과, 걸림돌기(112,113,114)의 이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수도 있고, 걸림돌기(112,113,114) 또는 후방지지면(19)의 마모 또는 파손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돌기(112,113,114)의 일부분과 지지리브(19d) 간의 접촉만이 이루어진 상태로 걸림돌기(112,113,114)의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에 따르면, 제1걸림돌기(112), 좀 더 구체적으로는 경사돌출부(112a)와 지지리브(19d) 간의 접촉만이 이루어진 상태로 걸림돌기(112,113,114)에 대한 후방지지면(19)의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걸림돌기(112)는, 걸림돌기(112,113,114) 중에서 가장 긴 길이를 갖는 부재이다. 지지리브(19d)는, 걸림돌기(112,113,114) 중 지지 필요성이 가장 높은 제1걸림돌기(112)만을 선택적으로 지지함으로써, 걸림돌기(112,113,114)와 후방지지면(19) 간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도록 하면서도 걸림돌기(112,113,114)에 대한 지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지리브(19d)는, 제1후방돌기(30a)와 직접 접촉되는 제1걸림돌기(112)의 단부, 즉 경사돌출부(112a)를 지지함으로써, 걸림돌기(112,113,114)가 도어버튼(30)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에도 걸림돌기(112,113,114)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리브(19d)는, 후방지지면(19)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경사돌출부(112a)의 이동 경로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리브(19d)는 제1걸림돌기(112)가 제1잠금위치에서 제1잠금해제위치까지 이동하는 경로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지지리브(19d)는, 제1걸림돌기(112)가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걸림돌기(112,113,114)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로커고정부재 및 그 주변부의 구조]
도 11은 로커가 잠금위치에 있을 때의 전달패널과 로킹기구의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12는 로커가 잠금해제위치에 있을 때의 전달패널과 로킹기구의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도 13은 12의 "ⅩⅢ-Ⅹ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동력전달부재가 결합해제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11을 참조하면, 로커(110)는 로커고정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커고정부재(130)는, 걸림돌기(112,113,114)의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로커고정부재(130)는, 걸림돌기(112,113,114)가 잠금해제위치에 있을 때 전달패널(55)과 결합되어 로커(110)를 전달패널(55)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로커고정부재(130)가 회전축(111)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로커고정부재(130)는, 걸림돌기(112,113,114)가 잠금해제위치에 있을 때 로커(110)를 전달패널(55)에 고정시킴으로써, 잠금해제자세로 변화된 로커(110)의 자세가 잠금자세로 복귀되지 않고 잠금해제자세로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서, 로커고정부재(130)는 회전축(111)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된 제2연결돌기(116)를 매개로 회전축(111)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로커고정부재(130)는, 제2연결돌기(116)의 단부에 연결되고, 제2연결돌기(116)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방으로 돌출된 로커고정부재(130)는, 후방지지면(19)을 관통하여 동력전달부재(5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후방지지면(19)에는, 제2통과홀(19d)이 마련될 수 있다. 제2통과홀(19d)은, 후방지지면(19)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로커고정부재(130)는, 제2통과홀(19d)을 통해 후방지지면(19)을 관통하여 동력전달부재(5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전달패널(55)과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로커고정부재(130)는 돌출보스(131,132)와 고정돌기(133,134) 및 제4탄성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보스(131,132)는, 제2연결돌기(116)와 연결되게 마련될 수 있다. 돌출보스(131,132)는, 제2연결돌기(116)의 단부에 연결되되, 제2연결돌기(116)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보스(131,132)가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돌출보스(131,132)는, 고정돌기(133,134) 및 제4탄성부재(135)를 수용하며 지지할 수 있다.
고정돌기(133,134)는, 돌출보스(131,13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돌기(133,134)는, 돌출보스(131,132)의 내부에 삽입되어 돌출보스(131,132)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고정돌기(133,134)의 대부분은 돌출보스(131,132)의 내부에 수용되며, 고정돌기(133,134)의 후방측 일부분이 돌출보스(131,132)를 관통하여 돌출보스(131,132)의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돌기(133,134)는, 돌기부(133) 및 플랜지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133)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부(133)의 대부분은 돌출보스(131,132)의 내부에 수용되며, 돌기부(133)의 후방측 일부분이 돌출보스(131,132)를 관통하여 돌출보스(131,132)의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기부(133)의 후방 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134)는, 돌기부(133)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부(134)는, 돌출보스(131,132)의 내부에 수용되며, 돌기부(133)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돌출보스(131,132)는, 전방구간(131)과 후방구간(13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방구간(131)과 후방구간(132)은 전후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전방구간(131)의 내경이 후방구간(132)의 내경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전방구간(131)의 내경은 플랜지부(134)의 외경 이상의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후방구간(132)의 내경은, 돌기부(133)의 외경과 플랜지부(134)의 외경 사이의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전방구간(131)과 후방구간(132)의 경계 부분에는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134)는, 전방구간(131)의 내부에 수용되어 전방구간(131) 영역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돌기부(133) 중 플랜지부(134)의 후방에 배치된 부분은, 후방구간(132) 영역을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방을 향한 고정돌기(133,134)의 이동은, 플랜지부(134)와 단턱의 간섭이 발생되는 위치까지로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플랜지부(134)와 단턱의 간섭에 의해, 돌출보스(131,132)의 후방측을 통한 고정돌기(133,134)의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로커고정부재(130)는, 보스캡(1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스캡(137)은, 돌출보스(131,132)의 개방된 전방측을 덮으며 돌출보스(131,132)와 결합될 수 있다.
제4탄성부재(135)는, 고정돌기(133,134)를 전달패널(55) 측으로, 즉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4탄성부재(135)는, 전방측 단부가 보스캡(137)에 의해 지지되고 후방측 단부가 플랜지부(134)를 지지하는 코일스프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돌기(133,134)가 전달패널(55)과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로커고정부재(130)가 전달패널(55)과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달패널(55)에는 고정홈(55a)이 마련되고, 고정돌기(133,134)는 이 고정홈(55a)에 삽입되며 전달패널(55)과 결합될 수 있다.
고정홈(55a)은, 고정돌기(133,134)와 마주보는 전달패널(55)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홈(55a)은, 전달패널(55)의 전면에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돌기(133,134)의 후방측 단부가 대략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리고 고정홈(55a)은, 고정돌기(133,134)의 후방측 단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반구 형상으로 전달패널(55)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로커(110)의 자세가 잠금자세일 때, 즉 걸림돌기(112,113,114)가 잠금위치에 있을 때, 고정돌기(133,134)는 고정홈(55a)의 외측에서 전달패널(55)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고정돌기(133,134)는, 후방으로 최대로 돌출 가능한 위치보다는 전방으로 물러선 상태로 전달패널(55)과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돌기(133,134)는, 제4탄성부재(135)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전달패널(55)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로커(110)가 잠금해제자세일 때, 즉 걸림돌기(112,113,114)가 잠금해제위치에 있을 때, 고정돌기(133,134)는 걸림돌기(112,113,114)를 따라 고정홈(55a)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돌기(133,134)는, 고정홈(55a)에 삽입되며 전달패널(55)과 결합될 수 있다.
고정돌기(133,134)는, 제4탄성부재(135)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후방으로 돌출되며 고정홈(55a)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돌기(133,134)는, 고정홈(55a)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달패널(55)에 밀착되며 전달패널(55)과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전달패널(55)과 결합되는 고정돌기(133,134)에 의해, 로커고정부재(130)가 전달패널(55)과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커고정부재(130)가 전달패널(55)과 결합되면, 잠금해제위치로 이동한 걸림돌기(112,113,114)의 위치가 잠금해제위치에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르면, 걸림돌기(112,113,114)를 잠금해제위치로 이동시키던 힘이 해제되더라도, 로커고정부재(130)가 전달패널(55)과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에는 걸림돌기(112,113,114)가 잠금위치로 되돌아가지 않게 된다.
로커고정부재(130)와 전달패널(55)의 결합 상태는, 걸림돌기(112,113,114)를 잠금해제위치로 이동시키던 힘이 해제되는 경우에도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일단 로커(110)의 자세가 잠금자세에서 잠금해제자세로 변화되면, 로킹기구(100)에 대한 추가적인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로커(110)의 자세가 잠금해제자세로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로커(110)의 자세가 잠금해제자세로 유지된 상태는, 도어버튼(30)에 대한 누름 조작이 가능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도어버튼(30)이 누름 조작에 의해 눌림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어버튼(30)이 눌림위치로 이동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패널(55)이 푸싱돌기(37)에 의해 밀려나면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달패널(55)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래치기구와 본체 간의 결합이 해제되는 동시에, 로커고정부재(130)와 전달패널(55) 간의 결합도 함께 해제될 수 있다.
그 결과, 도어는 개방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걸림돌기(112,113,114)는 잠금해제위치에서 잠금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이에 따라 로커(110)의 자세는 잠금해제자세에서 잠금자세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
[로킹기구의 작용, 효과]
이하, 도 6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도어(20)가 조리실(14)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일 때, 이 도어(20)는 래치기구(40; 도 2 참조)에 의해 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도어버튼(30)은, 누름 조작에 의해 눌림위치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로킹기구(1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조리실(14)을 폐쇄한 상태의 도어(20)는 래치기구(40)에 의해 본체(10)에 고정되고, 도어(20)를 개방하기 위한 도어버튼(30)은 로킹기구(1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 도어(20)의 개방이 래치기구(40)와 로킹기구(100)에 의해 2중으로 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20)의 개방이 래치기구(40)와 로킹기구(100)에 의해 2중으로 저지된 상태에서는, 먼저 로킹기구(100)에 의한 도어버튼(30)의 고정 상태 해제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즉 도어(20)가 조리실(14)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버튼(30)의 이동을 후방에서 저지하고 있는 로킹기구(100)의 자세가 잠금자세에서 잠금해제자세로 변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컨트롤패널(15)의 측면에 마련된 조작버튼(120)을 눌러 측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작버튼(120)과 연결된 제1연결돌기(115)는, 회전축(111)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며 회전축(11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잠금위치에 있던 걸림돌기(112,113,114)가 회전축(111)의 회전에 연동되어 잠금해제위치로 이동하고, 그 결과 걸림돌기(112,113,114)가 후방돌기(30a,30b,30c)의 이동 경로에서 이탈된다.
이와 같이 로커(110)의 자세가 잠금해제자세로 변화되면, 도어버튼(30)의 이동을 후방에서 저지하는 방해물이 도어버튼(30)의 이동 경로에서 사라지게 된다. 이로써 도어버튼(30)에 대한 누름 조작 및 이에 따른 도어버튼(30)의 눌림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로커(110)의 자세가 잠금해제자세로 변화되면,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기(133,134)가 고정홈(55a)에 삽입되며 전달패널(55)과 결합되고, 이에 따라 로커고정부재(130)가 전달패널(55)과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달패널(55)과 결합된 로커고정부재(130)는, 로커(110)의 자세를 잠금해제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한 번 조작버튼(120)을 눌러 로커(110)의 자세가 잠금해제자세로 변화되도록 하면, 사용자가 조작버튼(120)을 계속 누르고 있지 않아도 로커(110)의 자세가 잠금해제자세로 계속해서 유지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조작버튼(120)을 눌렀던 손으로 다시 도어버튼(30)을 눌러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되므로, 두 손을 함께 이용할 필요 없이 한 손만으로도 도어를 쉽고 편리하게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어버튼(30)에 대한 누름 조작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도어가 개방되면, 래치기구와 본체 간의 결합이 해제되는 동시에, 로커고정부재(130)와 전달패널(55) 간의 결합도 함께 해제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도어버튼(30)을 누르고 있던 힘이 사라지면, 도어버튼(30)이 다시 전방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이와 함께 걸림돌기(112,113,114)도 잠금해제위치에서 잠금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버튼(30)에 대한 누름 조작에 의해 도어의 개방과 로커(110)의 자세 복귀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써, 도어(20)가 다시 폐쇄되었을 때 추가적인 조작 없이도 도어버튼(30)에 대한 잠금이 자동으로 다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로커(120)가 고정위치로 자동으로 복귀함에 따라, 도어(20)가 다시 후방으로 회전하여 조리실(14)을 폐쇄하는 경우에 로킹기구(100)에 대한 별도의 조작 없이도 로킹기구(100)에 의한 도어(20) 잠금이 재개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조작버튼(120)을 누르는 조작만으로 로킹기구(100)에 의한 도어버튼(30) 고정 상태의 해제가 이루어지고, 별도의 조작 없이도 로킹기구(100)에 의한 도어버튼(30) 잠금이 재개될 수 있다.
로킹기구(100)를 측방향으로 당기는 조작만으로 로킹기구(100)가 도어버튼(30)을 잠근 상태가 해제되고, 도어(20; 도 2 참조)의 개폐가 이루어진 후 별도의 조작 없이도 로킹기구(100)에 의한 도어버튼(30) 잠금이 재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의도치 않은 조리실(14; 도 2 참조) 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20)의 구속이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별도의 조작 없이도 도어버튼(30)의 잠금이 자동으로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어버튼(30)의 구속 상태 해제가 먼저 이루어져야 도어(20) 개방을 위한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 동작 중에 의도치 않은 조리실(14) 개방이 이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별도의 조작 없이도, 로커(110)가 도어버튼(30)을 잠그는 폐쇄하는 원래 자세로 자동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이에 따른 조작의 편의성도 함께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또한 본 발명은, 불필요한 개폐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마모된 래치기구로 인해 도어의 개폐 동작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1 : 캐비티
13 : 캐비닛
14 : 조리실
15 : 컨트롤패널
15a : 조작버튼삽입홈
16 : 입력부
17 : 표시부
18 : 측벽면
19 : 후방지지면
19a : 지지돌기
19b : 지지축
19c : 스토퍼
19d : 지지리브
19e : 제2통과홀
20 : 도어
21 : 도어패널
22 : 개방창
25 : 도어프레임
30 : 도어버튼
30a : 제1후방돌기
30b : 제2후방돌기
30c : 제3후방돌기
31 : 누름면
32: 힌지부
33 : 테두리돌기
35 : 끼움돌기
35a : 후크돌기
37 : 푸싱돌기
39 : 제1탄성부재
40 : 래치기구
50 : 동력전달부재
51 : 전달축
55 : 전달패널
55a : 고정홈
100 : 로킹기구
110 : 로커
111 : 회전축
112 : 제1걸림돌기
112a : 경사돌출부
113 : 제2걸림돌기
114 : 제3걸림돌기
115 : 제1연결돌기
116 : 제2연결돌기
117 : 제3탄성부재
120 : 조작버튼
125 : 제2탄성부재
130 : 로커고정부재
131,132 : 돌출보스
133,134 : 고정돌기
135 : 제4탄성부재
137 : 보스캡

Claims (16)

  1.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며, 전면이 개구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본체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상기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도어를 폐쇄위치에 고정시키는 래치기구;
    누름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고, 누름 조작되면 측방향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눌림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눌림위치에서 상기 래치기구를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시키는 도어버튼; 및
    상기 도어버튼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저지하는 로킹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기구는,
    상기 도어버튼이 상기 눌림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잠금자세와 상기 도어버튼이 상기 눌림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잠금해제자세로 자세 변화 가능하게 마련되는 로커; 및
    누름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며, 누름 조작되면 상기 로커의 자세를 상기 잠금자세에서 상기 잠금해제자세로 변화시키는 조작버튼;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가 전후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로커의 자세가 변화되고,
    상기 조작버튼은, 상기 조작버튼의 측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로커를 측방향 일측에서 가압하며 상기 로커를 회전시키는 조리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는,
    전후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축;
    제1잠금위치에서 상기 도어버튼의 이동을 저지하고, 제1잠금해제위치에서 상기 도어버튼의 이동을 허용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제1잠금위치와 상기 제1잠금해제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제1걸림돌기; 및
    상기 조작버튼과 연결될 수 있게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조작버튼의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하며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연결돌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돌기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조작버튼은, 상기 제1연결돌기의 측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연결돌기는, 상기 조작버튼의 측방향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조리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돌기 및 상기 제1연결돌기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되,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로커는, 상기 제1걸림돌기가 상기 제1잠금위치에 있을 때 제2잠금위치에서 상기 도어버튼의 이동을 저지하는 제2걸림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걸림돌기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1걸림돌기의 돌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는 조리기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돌기 및 상기 제1연결돌기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되,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로커는, 상기 제1걸림돌기가 상기 제1잠금위치에 있을 때 제3잠금위치에서 상기 도어버튼의 이동을 저지하는 제3걸림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걸림돌기는, 상기 제1연결돌기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1연결돌기의 돌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는 조리기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돌기 및 상기 제1연결돌기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되,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로커는, 제1걸림돌기가 상기 제1잠금위치에 있을 때 제2잠금위치 및 제3잠금위치에서 상기 도어버튼의 이동을 저지하는 제2걸림돌기 및 제3걸림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버튼은, 누름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는 누름면, 및 상기 누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 내지 제3후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걸림돌기는 상기 제1잠금위치에서 상기 제1후방돌기의 이동 경로에 배치되고, 상기 제2걸림돌기는 상기 제2잠금위치에서 상기 제2후방돌기의 이동 경로에 배치되며, 상기 제3걸림돌기는 상기 제3잠금위치에서 상기 제3후방돌기의 이동 경로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후방돌기가 상기 제2후방돌기와 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후방돌기와 상기 제2후방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제3후방돌기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조리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결합위치와 결합해제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동력전달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래치기구와 상기 본체의 결합을 허용하며, 상기 결합해제위치에서 상기 래치기구와 상기 본체의 결합을 해제시키고,
    상기 도어버튼은, 상기 눌림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동력전달부재를 상기 결합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조리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버튼은, 누름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는 누름면, 및 상기 누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푸싱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측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래치기구와 연결되는 전달축, 및 상기 전달축과 연결되어 상기 푸싱돌기의 후방측에 배치되며 상기 전달축과 연결된 일측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전달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푸싱돌기는, 상기 전달패널을 후방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상기 전달패널과 연결되는 조리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버튼이 상기 눌림위치로 이동했을 때, 상기 푸싱돌기가 상기 상기 전달패널을 후방측으로 밀어 상기 동력전달부재를 상기 결합해제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상기 결합해제위치로 이동했을 때, 상기 전달축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래치기구와 상기 본체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조리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방 및 상기 도어의 측방에 배치되는 컨트롤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도어와 나란한 면을 형성하는 전면, 및 상기 전면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도어버튼삽입홀, 및 상기 전면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면을 상기 도어버튼삽입홀 내부에 형성하는 후방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지지면은, 상기 누름면과 상기 전달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푸싱돌기는, 상기 후방지지면을 관통하여 상기 전달패널과 연결되는 조리기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는,
    전후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축; 및
    잠금위치에서 상기 도어버튼의 이동을 후방에서 저지하고, 잠금해제위치에서 상기 도어버튼의 이동을 허용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잠금위치와 상기 잠금해제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는, 상기 전달패널과 연결될 수 있게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되는 로커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커고정부재는, 상기 걸림돌기의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잠금해제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전달패널과 결합되어 상기 로커를 상기 전달패널에 고정시키는 조리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고정부재는,
    상기 걸림돌기와 연결되는 돌출보스;
    상기 돌출보스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돌출보스로부터 상기 전달패널 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 및
    상기 고정돌기를 상기 전달패널 측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전달패널과 결합되어 상기 로커고정부재가 상기 전달패널과 결합되는 조리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와 마주보는 상기 전달패널의 전면에는, 고정홈이 후방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잠금해제위치에 있을 때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며 상기 전달패널과 결합되는 조리기기.
KR1020220000548A 2022-01-03 2022-01-03 조리기기 KR2023010524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548A KR20230105247A (ko) 2022-01-03 2022-01-03 조리기기
PCT/KR2022/015797 WO2023128179A1 (ko) 2022-01-03 2022-10-18 조리기기
CN202280084614.5A CN118414885A (zh) 2022-01-03 2022-10-18 烹饪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548A KR20230105247A (ko) 2022-01-03 2022-01-03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247A true KR20230105247A (ko) 2023-07-11

Family

ID=86999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548A KR20230105247A (ko) 2022-01-03 2022-01-03 조리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30105247A (ko)
CN (1) CN118414885A (ko)
WO (1) WO202312817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9811U (ko) * 1997-12-29 1999-07-26 윤홍구 기계식 전자레인지의 안전 잠금장치
KR100412105B1 (ko) * 2000-10-18 2003-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KR100516660B1 (ko) * 2003-07-16 2005-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오븐레인지의 도어 인터락 시스템
KR101960820B1 (ko) * 2012-10-08 2019-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CN212305700U (zh) * 2020-01-22 2021-01-05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烹饪电器及自锁按钮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414885A (zh) 2024-07-30
WO2023128179A1 (ko)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0820B1 (ko) 오븐
US11236911B2 (en) Push-to-open/signal-to-open appliance door latching system with an integrated locking device
KR102464262B1 (ko) 도어의 회전에 연동하는 도어 키를 구비한 가전기기
CN215803931U (zh) 门锁结构和烹饪设备
KR20230105247A (ko) 조리기기
KR20230105246A (ko) 조리기기
KR20230139272A (ko) 조리기기
KR20230047045A (ko) 조리기기
KR20230139273A (ko) 조리기기
KR20230047046A (ko) 조리기기
KR20230046852A (ko) 조리기기
KR20110083850A (ko) 전기 밥솥
KR20230105248A (ko) 조리기기
KR20230105249A (ko) 조리기기
KR20230106837A (ko) 조리기기
KR20230088240A (ko) 조리기기
KR20230105252A (ko) 조리기기
KR20230088287A (ko) 조리기기
KR20230088288A (ko) 조리기기
KR102093435B1 (ko) 냉장고
US20230217557A1 (en) Cooking appliance
CN221306140U (zh) 烹饪厨具
KR20230155750A (ko)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US20220307698A1 (en) Door assembly and a cooking appliance therewith
KR20190104109A (ko)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