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4430B1 - 유지보수가 용이한 핀치롤 - Google Patents

유지보수가 용이한 핀치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4430B1
KR102674430B1 KR1020240020233A KR20240020233A KR102674430B1 KR 102674430 B1 KR102674430 B1 KR 102674430B1 KR 1020240020233 A KR1020240020233 A KR 1020240020233A KR 20240020233 A KR20240020233 A KR 20240020233A KR 102674430 B1 KR102674430 B1 KR 102674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oll
pinch roll
aligner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20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선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선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선기계
Priority to KR1020240020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44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4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4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 B21B28/02Maintaining rolls in effective condition, e.g. re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58Roll-force control; Roll-gap control
    • B21B37/66Roll eccentricity compens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12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roll c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8Rolls or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핀치롤은 핀치롤부, 상측얼라인부, 하측얼라인부, 상측표면판단부 및 하측표면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얼라인부는 상기 핀치롤부에서 전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하측얼라인부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상측전방얼라인부 및 상기 핀치롤부에서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하측얼라인부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상측후방얼라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얼라인부는 상기 상측전방얼라인부에서 조사된 빛을 인식하는 하측전방얼라인부 및 상기 상측후방얼라인부에서 조사된 빛을 인식하는 하측후방얼라인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전방얼라인부와 상기 핀치롤부의 전단부 사이의 전후방향 제1거리(D1)는 상기 상측후방얼라인부와 상기 핀치롤부의 후단부 사이의 전후방향 제2거리(D2)의 0.8 내지 0.9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핀치롤의 틀어짐을 정확히 판단하여 제품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지보수가 용이한 핀치롤{Pinch roll for easy maintenance}
본 발명은 유지보수가 용이한 핀치롤에 관한 것이다.
가열로에서 가열된 슬라브는 슬라브 사이징 프레스에서 폭압연이 수행된 후 조질압연기에서 사상압연이 가능한 사이즈로 폭 및 두께를 맞춰 바로 제조되고, 그 후 사상압연기를 거쳐 원하는 사이즈의 스트립으로 제조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마무리 압연기에 의해 소정의 두께까지 압연된 스트립은 다운 코일러에 의해 권취되어 코일 형태의 완성품이 된다. 이때, 핀치롤은 상하로 한 쌍이 배치되며, 테이블 롤러 상에서 주행하는 스트립을 맨드릴로 유도한다.
핀치롤은 스트립의 권취 초기에 스트립을 신장시켜 다운 코일러에 안내하는 기능과, 스트립이 다운 코일러의 맨드릴에 권취된 후 스트립을 역방향으로 신장시켜 스트립과 맨드릴과의 사이에 적정한 장력을 유지하는 기능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핀치롤은 슬라브를 코일까지 제조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이러한 이유로 핀치롤의 유지보수도 장치를 운영함에 있어 중요한 업무로 취급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핀치롤이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구조적 설계 및 제어적 설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핀치롤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핀치롤을 이동시킬 때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23-0064130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핀치롤의 틀어짐을 정확히 판단하여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핀치롤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핀치롤의 표면불량을 정확히 판단하여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핀치롤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지보수를 위해 편리하게 핀치롤을 이동시킬 수 있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핀치롤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핀치롤 이송시 안정성이 향상되고 한쌍의 핀치롤의 상대적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핀치롤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지보수가 용이한 핀치롤은 상측얼라인부 및 하측얼라인부를 통해 한쌍의 핀치롤의 틀어짐을 정확하게 판단하여 제품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재의 이동로에 배치되어 소재를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핀치롤부, 상기 핀치롤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핀치롤부의 전후방향 틀어짐을 판단하는 상측얼라인부, 상기 핀치롤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핀치롤부의 전후방향 틀어짐을 판단하는 하측얼라인부, 상기 상측얼라인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핀치롤부의 표면 불량을 판단하는 상측표면판단부 및 상기 하측얼라인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핀치롤부의 표면 불량을 판단하는 하측표면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얼라인부는 상기 핀치롤부에서 전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하측얼라인부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상측전방얼라인부 및 상기 핀치롤부에서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하측얼라인부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상측후방얼라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측얼라인부는 상기 상측전방얼라인부에서 조사된 빛을 인식하는 하측전방얼라인부 및 상기 상측후방얼라인부에서 조사된 빛을 인식하는 하측후방얼라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전방얼라인부와 상기 핀치롤부의 전단부 사이의 전후방향 제1거리(D1)는 상기 상측후방얼라인부와 상기 핀치롤부의 후단부 사이의 전후방향 제2거리(D2)의 0.8 내지 0.9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치롤부, 상기 상측얼라인부, 상기 하측얼라인부, 상기 상측표면판단부, 상기 하측표면판단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핀치롤부는 상부핀치롤부 및 상기 상부핀치롤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핀치롤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전방얼라인부는 상기 상부핀치롤부의 너비방향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상측후방얼라인부는 상기 상부핀치롤부의 너비방향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측전방얼라인부가 상기 상측전방얼라인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상기 하측후방얼라인부가 상기 상측후방얼라인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핀치롤부가 틀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얼라인부는 상기 핀치롤부의 중앙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핀치롤부를 촬영하는 상측얼라인촬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측얼라인부는 상기 핀치롤부의 중앙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핀치롤부를 촬영하는 하측얼라인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측얼라인촬영부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상측촬영본체부, 상기 상측촬영본체부를 감싸며, 상기 상측촬영본체부 내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상측촬영단열부, 상기 상측촬영본체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핀치롤부를 촬영하는 상측촬영수행부 및 상기 상측촬영본체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측촬영수행부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상측촬영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측얼라인촬영부는 와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측촬영본체부, 상기 하측촬영본체부를 감싸며, 상기 하측촬영본체부 내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하측촬영단열부, 상기 하측촬영본체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핀치롤부를 촬영하는 하측촬영수행부 및 상기 하측촬영본체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측촬영수행부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하측촬영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핀치롤부가 틀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상측촬영개폐부를 개방하고 상기 상측촬영수행부를 통해 상기 상부핀치롤부를 촬영하여 상기 상부핀치롤부의 틀어짐을 판단하고, 상기 상부핀치롤부의 위치가 정상인 경우 상기 상측촬영개폐부를 폐쇄하고 상기 하측촬영개폐부를 개방하며, 상기 하측촬영수행부를 통해 상기 하부핀치롤부를 촬영하여 상기 하부핀치롤부의 틀어짐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표면판단부는 상기 상부핀치롤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핀치롤부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상측표면조사부, 상기 상측표면조사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상측표면조사부에서 조사되어 상기 상부핀치롤부로부터 반사된 광을 인식하는 상측표면인식부, 상기 상측표면인식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상부핀치롤부를 촬영하는 상측표면촬영부 및 상기 상측표면촬영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상부핀치롤부를 향하여 조명을 비추는 상측표면조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측표면판단부는 상기 하부핀치롤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핀치롤부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하측표면조사부, 상기 하측표면조사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하측표면조사부에서 조사되어 상기 하부핀치롤부로부터 반사된 광을 인식하는 하측표면인식부, 상기 하측표면인식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하부핀치롤부를 촬영하는 하측표면촬영부 및 상기 하측표면촬영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하부핀치롤부를 향하여 조명을 비추는 하측표면조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핀치롤부의 작동시간이 일정시간 이상 경과되면 상기 핀치롤부의 작동을 정지하며 상기 상측표면조사부와 상기 하측표면조사부를 가동하고, 상기 상측표면조사부로부터 조사되며 상기 상부핀치롤부에 반사되어 상기 상측표면인식부에 인식되는 반사된 광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상기 상측표면인식부에 광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상측표면조명부를 작동하여 상기 상부핀치롤부에 조명을 비추고 상기 상측표면촬영부로 상기 상부핀치롤부의 표면을 촬영하며, 기 설정된 이미지와 상기 상측표면촬영부로 촬영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상부핀치롤부의 표면불량을 판단하고, 상기 하측표면조사부로부터 조사되며 상기 하부핀치롤부에 반사되어 상기 하측표면인식부에 인식되는 반사된 광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상기 하측표면인식부에 광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하측표면조명부를 작동하여 상기 하부핀치롤부에 조명을 비추고 상기 하측표면촬영부로 상기 하부핀치롤부의 표면을 촬영하며, 기 설정된 이미지와 상기 하측표면촬영부로 촬영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하부핀치롤부의 표면불량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치롤부에 결합되어 상기 핀치롤부를 상기 이동로에 배치시키거나 분리시키도록 구비되는 유지보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핀치롤부는 소재를 가압하는 상부롤수행부, 상기 상부롤수행부의 양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로에 고정되는 상부롤고정부, 상기 상부롤고정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핀치롤부와 결합되는 상부롤체결부, 상기 상부롤고정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롤수행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상부롤동력부 및 상기 상부롤고정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지보수부를 지지하는 상부롤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핀치롤부는 상기 상부롤수행부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상부롤수행부와 함께 소재를 가압하는 하부롤수행부, 상기 하부롤수행부의 양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로에 고정되는 하부롤고정부, 상기 하부롤고정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롤체결부와 결합되는 하부롤체결부, 상기 하부롤고정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롤수행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하부롤동력부 및 상기 하부롤고정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지보수부와 결합되는 하부롤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지보수부는 양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하부롤결합부 및 상기 상부롤지지부를 감싸는 유지본체부, 상기 유지본체부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유지일단결합부, 상기 유지본체부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지일단결합부와 맞물려 결합되는 유지타단결합부, 상기 유지본체부에 결합되어 이송장치에 고정되는 이송연결부, 상기 유지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연결부가 결합되는 유지연결부, 상기 유지본체부의 상기 하부롤결합부를 마주하는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롤결합부와 결합되는 유지하부고정부 및 상기 유지본체부의 상기 상부롤지지부를 마주하는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롤지지부와 결합되는 유지상부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롤결합부는 상기 하부롤고정부의 상기 유지하부고정부를 마주하는 일면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유지하부고정부가 삽입되는 하부롤결합함몰부, 상기 하부롤결합함몰부의 내측면에서 외측으로 만입형성되는 하부롤결합만입부, 상기 하부롤결합함몰부에 복수 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유지하부고정부의 단부와 맞물리도록 구비되는 하부롤결합체결부 및 복수 개의 상기 하부롤결합체결부 사이에 배치되며 자성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유지하부고정부의 단부와 접촉되는 하부롤결합자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지하부고정부는 상기 하부롤결합함몰부에 삽입되는 하부고정본체부, 상기 하부고정본체부와 상기 유지본체부를 연결하며 상기 하부고정본체부를 회동시키는 하부고정회동부, 상기 하부고정본체부의 양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롤결합만입부에 삽입되는 하부고정후크부, 상기 하부고정본체부의 단부에 복수 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롤결합자성부와 접촉되는 하부고정돌출부, 복수 개의 상기 하부고정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며 자성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부롤결합체결부와 접촉되는 하부고정자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롤지지부는 상기 상부롤고정부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유지본체부 및 상기 유지상부고정부가 삽입되는 상부롤지지본체부, 상기 상부롤지지본체부의 내측면에 만입 형성되어 상기 유지상부고정부가 삽입되는 상부롤지지수용부 및 상기 상부롤지지본체부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결합을 통해 상기 유지본체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상부롤지지마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지상부고정부는 상기 유지본체부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롤지지본체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부고정본체부, 상기 상부고정본체부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롤지지수용부에 삽입되는 상부고정후크부, 상기 유지본체부와 상기 상부고정본체부를 연결하며 상기 상부고정본체부를 회동시키는 상부고정회동부 및 상기 유지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롤지지마감부와 결합되는 상부고정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핀치롤의 틀어짐을 정확히 판단하여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핀치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핀치롤의 표면불량을 정확히 판단하여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핀치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지보수를 위해 편리하게 핀치롤을 이동시킬 수 있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핀치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핀치롤 이송시 안정성이 향상되고 한쌍의 핀치롤의 상대적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핀치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의 이동로에 설치된 핀치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치롤, 상측얼라인부, 하측얼라인부, 상측표면판단부 및 하측표면판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측얼라인촬영부 및 하측얼라인촬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치롤의 이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롤결합부 및 상부롤체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A부분과 B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의 이동로에 설치된 핀치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치롤, 상측얼라인부, 하측얼라인부, 상측표면판단부 및 하측표면판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측얼라인촬영부 및 하측얼라인촬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핀치롤(S)은 핀치롤부(D), 상측얼라인부(3), 하측얼라인부(4), 상측표면판단부(5) 및 하측표면판단부(6)를 포함할 수 있다.
핀치롤부(D)는 소재의 이동로(A)에 배치되어 소재를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핀치롤부(D)는 주편인발장치로 소재인 초기 더미바(dummy bar) 및 슬래브(slab)를 모터와 유압장치를 통해 인발을 수행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핀치롤부(D)는 한쌍의 롤러로 구비되어 한쌍의 롤러 사이 공간으로 소재가 투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핀치롤부(D)의 얼라인과 표면상태는 소재를 가압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상측얼라인부(3)는 핀치롤부(D)의 상측에 배치되어 핀치롤부(D)의 전후방향 틀어짐을 판단할 수 있다. 하측얼라인부(4)는 핀치롤부(D)의 하측에 배치되어 핀치롤부(D)의 전후방향 틀어짐을 판단할 수 있다.
상측얼라인부(3) 및 하측얼라인부(4)는 핀치롤부(D)를 복합적으로 검사할 수 있어 핀치롤부(D)의 전후방향 틀어짐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 핀치롤부(D)에 의한 불량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측표면판단부(5)는 상측얼라인부(3)와 이격 배치되며 핀치롤부(D)의 표면 불량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상측표면판단부(5)는 한쌍의 롤러 중 상측에 배치되는 롤러의 표면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하측표면판단부(6)는 하측얼라인부(4)와 이격 배치되며 핀치롤부(D)의 표면 불량을 판단할 수 있다. 즉, 하측표면판단부(6)는 한쌍의 롤러 중 하측에 배치되는 롤러의 표면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측얼라인부(3)는 상측전방얼라인부(31) 및 상측후방얼라인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전방얼라인부(31)는 핀치롤부(D)에서 전방으로 이격 배치되며 하측얼라인부(4)를 향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상측후방얼라인부(33)는 핀치롤부(D)에서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며 하측얼라인부(4)를 향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상측얼라인부(3)에서 조사하는 광은 통상적인 레이저일 수 있다.
또한, 하측얼라인부(4)는 하측전방얼라인부(41) 및 하측후방얼라인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전방얼라인부(41)는 상측전방얼라인부(31)에서 조사된 빛을 인식할 수 있다. 하측후방얼라인부(43)는 상측후방얼라인부(33)에서 조사된 빛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상측전방얼라인부(31)에서 조사된 빛을 하측전방얼라인부(41)가 인식한다면 핀치롤부(D)의 얼라인을 정상으로 판단하고, 상측후방얼라인부(33)에서 조사된 빛을 하측후방얼라인부(43)가 인식한다면 핀치롤부(D)의 얼라인을 정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상측전방얼라인부(31)에서 조사된 빛을 하측전방얼라인부(41)가 인식하지 못한다면 핀치롤부(D)의 얼라인을 비정상으로 판단하고, 상측후방얼라인부(33)에서 조사된 빛을 하측후방얼라인부(43)가 인식하지 못한다면 핀치롤부(D)의 얼라인을 비정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측전방얼라인부(31)와 하측전방얼라인부(41)를 하나의 세트 및 상측후방얼라인부(33)와 하측후방얼라인부(43)를 하나의 세트로 복수의 핀치롤부(D)의 얼라인 체크 포인트를 만들어 핀치롤부(D)의 틀어짐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측전방얼라인부(31)는 핀치롤부(D)의 전단부와 전후방향으로 제1거리(D1)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핀치롤부(D)가 제1거리(D1)를 초과하여 틀어지는 경우 상측전방얼라인부(31)에서 조사된 빛이 하측전방얼라인부(41)에 인식되지 않아 핀치롤부(D)의 얼라인을 비정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핀치롤부(D)가 제1거리(D1) 이하로 틀어지는 경우 미세한 틀어짐으로 소재의 가압에 전혀 문제가 없는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측후방얼라인부(33)는 핀치롤부(D)의 후단부와 전후방향으로 제2거리(D2)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핀치롤부(D)가 제2거리(D2)를 초과하여 틀어지는 경우 상측후방얼라인부(33)에서 조사된 빛이 하측후방얼라인부(43)에 인식되지 않아 핀치롤부(D)의 얼라인을 비정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2거리(D2)는 제1거리(D1)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핀치롤부(D)가 제1거리(D1)와 제2거리(D2) 사이로 틀어지는 경우 약간의 틀어짐으로 소재의 가압에 큰 문제가 없으나 곧 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핀치롤(S)은 핀치롤부(D)가 제1거리(D1)를 초과하여 틀어진 경우 핀치롤부(D)의 얼라인을 비정상으로 판단하고, 외부로 알려 조치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거리(D1)를 초과하였는데도 오류로 인해 비정상이 판단되지 않는 경우, 다시 한번 제2거리(D2)를 초과할 때 비정상으로 판단하여 판단의 정확성ss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측전방얼라인부(31)와 핀치롤부(D)의 전단부 사이의 전후방향 제1거리(D1)는 상측후방얼라인부(33)와 핀치롤부(D)의 후단부 사이의 전후방향 제2거리(D2)의 0.8 내지 0.9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핀치롤(S)은 상측전방얼라인부(31) 및 하측전방얼라인부(41)의 상호 작동과 상측후방얼라인부(33) 및 하측후방얼라인부(43)의 상호 작동이 복합적으로 구비되어 핀치롤부(D)의 틀어짐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거리(D1)를 제2거리(D2)의 0.8 내지 0.9로 설정하여 소재가 투입되는 핀치롤부(D)의 전방에서 핀치롤부(D)의 틀어짐을 먼저 판단하도록 하고, 핀치롤부(D)의 파손이나 장치 오작동 등의 사유로 상측전방얼라인부(31) 및 하측전방얼라인부(41)에서 핀치롤부(D)의 틀어짐을 판단 못하는 경우 상측후방얼라인부(33) 및 하측후방얼라인부(43)를 통해 핀치롤부(D)의 틀어짐을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측전방얼라인부(31)와 핀치롤부(D)의 전단부 사이의 전후방향 제1거리(D1)는 상측후방얼라인부(33)와 핀치롤부(D)의 후단부 사이의 전후방향 제2거리(D2)의 0.84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핀치롤부(D)의 얼라인 비정상에 따른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핀치롤(S)은 제어부(P)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P)는 핀치롤부(D), 상측얼라인부(3), 하측얼라인부(4), 상측표면판단부(5) 및 하측표면판단부(6)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핀치롤부(D)는 상부핀치롤부(1) 및 하부핀치롤부(2)를 포함할 수 있고, 상부핀치롤부(1)가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고, 하부핀치롤부(2)가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한쌍의 롤러 중 상측에 배치되는 롤러가 상부핀치롤부(1)이고, 하측에 배치되는 롤러가 하부핀치롤부(2)일 수 있다.
상측전방얼라인부(31)는 상부핀치롤부(1)의 너비방향 일측에 배치되며, 상측후방얼라인부(33)는 상부핀치롤부(1)의 너비방향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측전방얼라인부(41)는 상측전방얼라인부(31)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하측후방얼라인부(43)는 상측후방얼라인부(33)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측전방얼라인부(31)와 상측후방얼라인부(33)는 대각선으로 배치되어 효율적으로 핀치롤부(D)의 틀어짐을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상황에 따라 상측전방얼라인부(31) 및 상측후방얼라인부(33)는 모두 너비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판단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부(P)는 하측전방얼라인부(41)가 상측전방얼라인부(31)에서 조사되는 광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하측후방얼라인부(43)가 상측후방얼라인부(33)에서 조사되는 광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핀치롤부(D)가 틀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P)는 하측전방얼라인부(41) 및 하측후방얼라인부(43) 중 어느 하나라도 광을 인식 못하지 못한 경우 핀치롤부(D)가 틀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복합적 판단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P)는 하측전방얼라인부(41)를 통해 먼저 핀치롤부(D)의 틀어짐이 감지되도록 하고, 불량이나 파손으로 인해 하측전방얼라인부(41)를 통해 핀치롤부(D)의 틀어짐이 감지되지 않더라도 바로 하측후방얼라인부(43)를 통해 핀치롤부(D)의 틀어짐을 감지하도록 하여 핀치롤부(D)의 틀어짐 판단의 정교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측얼라인부(3)는 상측얼라인촬영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얼라인촬영부(35)는 핀치롤부(D)의 중앙 상측에 배치되어 핀치롤부(D)를 촬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측얼라인촬영부(35)는 상측촬영본체부(351), 상측촬영단열부(353), 상측촬영수행부(355) 및 상측촬영개폐부(3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촬영본체부(351)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측촬영단열부(353)는 상측촬영본체부(351)를 감싸며, 상측촬영본체부(351) 내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상측촬영단열부(353)는 상측촬영수행부(355)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상측촬영수행부(355)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측촬영수행부(355)는 상측촬영본체부(351) 내부에 배치되며 핀치롤부(D)를 촬영할 수 있다. 즉, 상측촬영수행부(355)는 핀치롤부(D)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통해 핀치롤부(D)의 틀어짐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측촬영수행부(355)는 상부핀치롤부(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부핀치롤부(1)의 이미지를 통해 상부핀치롤부(1)의 틀어짐을 판단하거나 상부핀치롤부(1)를 벗어나 돌출된 하부핀치롤부(2)를 촬영하여 하부핀치롤부(2)의 틀어짐을 판단할 수도 있다.
상측촬영개폐부(357)는 상측촬영본체부(351)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측촬영수행부(355)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즉, 상측촬영개폐부는 상측촬영수행부(355)를 사용할 때만 노출시켜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측얼라인부(4)는 하측얼라인촬영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얼라인촬영부(45)는 핀치롤부(D)의 중앙 하측에 배치되어 핀치롤부(D)를 촬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측얼라인촬영부(45)는 하측촬영본체부(451), 하측촬영단열부(453), 하측촬영수행부(455) 및 하측촬영개폐부(457)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촬영본체부(451)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하측촬영단열부(453)는 하측촬영본체부(451)를 감싸며, 하측촬영본체부(451) 내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하측촬영단열부(453)는 하측촬영수행부(455)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하측촬영수행부(455)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하측촬영수행부(455)는 하측촬영본체부(451) 내부에 배치되며 핀치롤부(D)를 촬영할 수 있다. 즉, 하측촬영수행부(455)는 핀치롤부(D)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통해 핀치롤부(D)의 틀어짐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측촬영수행부(455)는 하부핀치롤부(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하부핀치롤부(2)의 이미지를 통해 하부핀치롤부(2)의 틀어짐을 판단하거나 하부핀치롤부(2)를 벗어나 돌출된 상부핀치롤부(1)를 촬영하여 상부핀치롤부(1)의 틀어짐을 판단할 수도 있다.
하측촬영개폐부(457)는 하측촬영본체부(451)의 상측에 구비되어 하측촬영수행부(455)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즉, 하측촬영개폐부는 하측촬영수행부(455)를 사용할 때만 노출시켜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P)는 핀치롤부(D)가 틀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상측촬영개폐부(357)를 개방하고, 상측촬영수행부(355)를 통해 상부핀치롤부(1)를 촬영하여 상부핀치롤부(1)의 틀어짐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P)는 상부핀치롤부(1)의 위치가 정상인 경우 상측촬영개폐부(357)를 폐쇄하고 하측촬영개폐부(457)를 개방하며, 하측촬영수행부(455)를 통해 하부핀치롤부(2)를 촬영하여 하부핀치롤부(2)의 틀어짐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P)는 상측전방얼라인부(31)와 하측전방얼라인부(41)의 작동 및 상측후방얼라인부(33)와 하측후방얼라인부(43)의 작동을 통해 핀치롤부(D)의 틀어짐이 판단되면, 상부핀치롤부(1)와 하부핀치롤부(2) 중 어느 것이 틀어졌는지 판단하기 위해 상측얼라인촬영부(35)와 하측얼라인촬영부(45)를 작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P)는 효율적으로 핀치롤부(D)의 틀어짐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측표면판단부(5)는 상측표면조사부(51), 상측표면인식부(53), 상측표면촬영부(55) 및 상측표면조명부(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표면조사부(51)는 상부핀치롤부(1)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부핀치롤부(1)를 향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상측표면인식부(53)는 상측표면조사부(51)와 이격 배치되며 상측표면조사부(51)에서 조사되어 상부핀치롤부(1)로부터 반사된 광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상부핀치롤부(1)의 표면이 정상인 경우 상측표면조사부(51)에서 조사된 광이 상부핀치롤부(1)에 반사되어 상측표면인식부(53)로 안정적으로 입사될 수 있다. 반대로, 상부핀치롤부(1)의 표면이 비정상인 경우 상측표면조사부(51)에서 조사된 광이 상부핀치롤부(1)에 반사되어 상측표면인식부(53)로 입사되지 않을 수 있다.
상측표면촬영부(55)는 상측표면인식부(53)와 이격 배치되며, 상부핀치롤부(1)를 촬영할 수 있다. 즉, 상측표면촬영부(55)는 상부핀치롤부(1)의 표면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통해 상부핀치롤부(1)의 표면불량을 판단할 수 있다.
상측표면조명부(57)는 상측표면촬영부(55)와 이격 배치되며, 상부핀치롤부(1)를 향하여 조명을 비출 수 있다. 즉, 상측표면조명부(57)는 상측표면촬영부(55)의 안정적인 촬영을 위해 상부핀치롤부(1)를 향하여 조명을 비출 수 있다.
하측표면판단부(6)는 하측표면조사부(61), 하측표면인식부(63), 하측표면촬영부(65) 및 하측표면조명부(67)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표면조사부(61)는 하부핀치롤부(2)의 하측에 배치되어 하부핀치롤부(2)를 향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다.
하측표면인식부(63)는 하측표면조사부(61)와 이격 배치되며 하측표면조사부(61)에서 조사되어 하부핀치롤부(2)로부터 반사된 광을 인식할 수 있다.
즉, 하부핀치롤부(2)의 표면이 정상인 경우 하측표면조사부(61)에서 조사된 광이 하부핀치롤부(2)에 반사되어 하측표면인식부(63)로 안정적으로 입사될 수 있다. 반대로, 하부핀치롤부(2)의 표면이 비정상인 경우 하측표면조사부(61)에서 조사된 광이 하부핀치롤부(2)에 반사되어 하측표면인식부(63)로 입사되지 않을 수 있다.
하측표면촬영부(65)는 하측표면인식부(63)와 이격 배치되며, 하부핀치롤부(2)를 촬영할 수 있다. 즉, 하측표면촬영부(65)는 하부핀치롤부(2)의 표면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통해 하부핀치롤부(2)의 표면불량을 판단할 수 있다.
하측표면조명부(67)는 하측표면촬영부(65)와 이격 배치되며, 하부핀치롤부(2)를 향하여 조명을 비출 수 있다. 즉, 하측표면조명부(67)는 하측표면촬영부(65)의 안정적인 촬영을 위해 하부핀치롤부(2)를 향하여 조명을 비출 수 있다.
제어부(P)는 핀치롤부(D)의 작동시간이 일정시간 이상 경과되면 핀치롤부(D)의 작동을 정지하며 상측표면조사부(51)와 하측표면조사부(61)를 가동할 수 있다. 일정시간은 통상적인 핀치롤부(D)의 표면이 마모되는 시간의 40%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어부(P)는 핀치롤부(D)의 표면이 마모되기 전에 핀치롤부(D)의 표면을 확인할 수 있다. 일정시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P)는 상측표면조사부(51)로부터 조사되며 상부핀치롤부(1)에 반사되어 상측표면인식부(53)에 인식되는 반사된 광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상측표면인식부(53)에 광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측표면조명부(57)를 작동하여 상부핀치롤부(1)에 조명을 비추고 상측표면촬영부(55)로 상부핀치롤부(1)의 표면을 촬영하며, 기 설정된 이미지와 상측표면촬영부(55)로 촬영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부핀치롤부(1)의 표면불량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P)는 하측표면조사부(61)로부터 조사되며 하부핀치롤부(2)에 반사되어 하측표면인식부(63)에 인식되는 반사된 광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하측표면인식부(63)에 광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하측표면조명부(67)를 작동하여 하부핀치롤부(2)에 조명을 비추고 하측표면촬영부(65)로 하부핀치롤부(2)의 표면을 촬영하며, 기 설정된 이미지와 하측표면촬영부(65)로 촬영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하부핀치롤부(2)의 표면불량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P)는 일차적으로 상측표면조사부(51)와 상측표면인식부(53)를 통해 상부핀치롤부(1)의 표면과 하측표면조사부(61)와 하측표면인식부(63)를 통해 하부핀치롤부(2)의 표면을 점검할 수 있고 점검결과 문제가 있는 경우, 이차적으로 상측표면촬영부(55)와 하측표면촬영부(65)를 통해 상부핀치롤부(1)의 표면과 하부핀치롤부(2)의 표면을 정밀 검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P)는 복합적으로 상부핀치롤부(1)의 표면 및 하부핀치롤부(2)의 표면을 점검하여 제품의 불량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치롤의 이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롤결합부 및 상부롤체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A부분과 B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A부분을 확대하여 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7(b)는 B부분을 확대하여 상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핀치롤(S)은 유지보수부(7)를 포함할 수 있다. 유지보수부(7)는 핀치롤부(D)에 결합되어 핀치롤부(D)를 이동로(A)에 배치시키거나 분리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유지보수부(7)는 핀치롤부(D)의 유지보수를 위해 이동로(A)에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때 핀치롤부(D)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핀치롤부(1)는 상부롤수행부(11), 상부롤고정부(13), 상부롤체결부(15), 상부롤동력부(17) 및 상부롤지지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롤수행부(11)는 소재를 가압할 수 있다. 즉, 상부롤수행부(11)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소재와 접촉될 수 있다.
상부롤고정부(13)는 상부롤수행부(11)의 양단부에 결합되며, 이동로(A)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부롤고정부(13)는 이동로(A)에 결합되며 상부롤수행부(11)가 안정적으로 소재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상부롤체결부(15)는 상부롤고정부(13)의 하부에 구비되어 하부핀치롤부(2)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부롤체결부(15)는 상부핀치롤부(1)와 하부핀치롤부(2)의 이동이 필요할 때 상부핀치롤부(1)와 하부핀치롤부(2)가 함께 이동되도록 할 수 있고, 상부핀치롤부(1)와 하부핀치롤부(2)가 이동로(A)에서 운전 시 상호 위치를 고정하여 얼라인 유지를 보조할 수 있다.
상부롤동력부(17)는 상부롤고정부(13)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부롤수행부(11)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부롤동력부(17)는 상부롤수행부(11)가 소재를 가압할 수 있는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부롤지지부(19)는 상부롤고정부(13)에 구비되어 유지보수부(7)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상부롤지지부(19)는 유지보수부(7)를 통해 상부핀치롤부(1)와 하부핀치롤부(2)를 함께 이동시킬 때 유지보수부(7)와 결합되어 상부핀치롤부(1)와 하부핀치롤부(2)가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부핀치롤부(2)는 하부롤수행부(21), 하부롤고정부(23), 하부롤체결부(25), 하부롤동력부(27) 및 하부롤결합부(29)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롤수행부(21)는 상부롤수행부(11)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소재를 가압할 수 있다. 즉, 하부롤수행부(21)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소재와 접촉될 수 있다.
하부롤고정부(23)는 하부롤수행부(21)의 양단부에 결합되며, 이동로(A)에 고정될 수 있다. 즉, 하부롤고정부(23)는 이동로(A)에 결합되며 하부롤수행부(21)가 안정적으로 소재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하부롤체결부(25)는 하부롤고정부(23)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롤체결부(15)와 결합될 수 있다. 즉, 하부롤체결부(25)는 상부핀치롤부(1)와 하부핀치롤부(2)의 이동이 필요할 때 상부핀치롤부(1)와 하부핀치롤부(2)가 함께 이동되도록 할 수 있고, 상부핀치롤부(1)와 하부핀치롤부(2)가 이동로(A)에서 운전 시 상호 위치를 고정하여 얼라인 유지를 보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롤체결부(15)는 상부롤고정부(13)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모터에 의해 이동 가능하며, 하부롤체결부(25)는 하부롤고정부(23)의 상단에 모터에 의해 좌우로 이동 가능한 개폐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롤체결부(25)의 개폐부가 개방되고, 상부롤체결부(15)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상부롤체결부(15)와 하부롤체결부(25)가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하부롤동력부(27)는 하부롤고정부(23)의 일측에 구비되어 하부롤수행부(21)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하부롤동력부(27)는 하부롤수행부(21)가 소재를 가압할 수 있는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하부롤결합부(29)는 하부롤고정부(23)에 구비되어 유지보수부(7)와 결합될 수 있다. 즉, 하부롤결합부(29)는 유지보수부(7)를 통해 상부핀치롤부(1)와 하부핀치롤부(2)를 함께 이동시킬 때 유지보수부(7)와 결합되어 상부핀치롤부(1)와 하부핀치롤부(2)가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유지보수부(7)는 유지본체부(71), 유지일단결합부(72), 유지타단결합부(73), 이송연결부(74), 유지연결부(77), 유지하부고정부(75) 및 유지상부고정부(76)를 포함할 수 있다.
유지본체부(71)는 양단부가 결합되어 하부롤결합부(29) 및 상부롤지지부(19)를 감쌀 수 있다. 즉, 유지본체부(71)는 하부롤결합부(29)와 상부롤지지부(19)를 용이하게 감싸도록 양단부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유지일단결합부(72)는 유지본체부(71)의 일단부에 구비될 수 있고, 유지타단결합부(73)는 유지본체부(71)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유지일단결합부(72)와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즉, 유지일단결합부(72)와 유지타단결합부(73)는 탈부착 가능하여 용이하게 상부핀치롤부(1)와 하부핀치롤부(2)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지일단결합부(72)는 일단결합본체부(721), 일단결합돌출부(723), 일단결합자성부(725)를 포함할 수 있다. 일단결합본체부(721)는 유지본체부(71)의 일단부에서 유지본체부(71)의 타단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고, 유지본체부(71)의 타단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일단결합돌출부(723)는 일단결합본체부(721)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어 유지본체부(71)의 타단부와 맞물려 구비될 수 있어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단결합자성부(725)는 일단결합본체부(721)의 단부에 배치되어 유지본체부(71)의 타단부 내부에서 자성에 의해 유지본체부(71)의 타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유지타단결합부(73)는 타단결합함몰부(731), 타단결합만입부(733) 및 타단결합자성부(735)를 포함할 수 있다. 타단결합함몰부(731)는 유지본체부(71)의 타단부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일단결합본체부(721) 및 일단결합돌출부(723)가 삽입될 수 있다. 타단결합만입부(733)는 타단결합함몰부(731)의 내측면에서 외측으로 만입되어 일단결합돌출부(723)가 삽입되어 배치되며 맞물릴 수 있다. 타단결합자성부(735)는 자성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타단결합함몰부(731)에 내측에 배치되어 일단결합자성부(725)와 결합될 수 있다.
이송연결부(74)는 유지본체부(71)에 결합되어 이송장치(U)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유지본체부(71)가 상부핀치롤부(1)와 하부핀치롤부(2)에 고정되고, 유지본체부(71)에 이송연결부(74)의 일단을 결합시키고, 이송연결부(74)의 타단을 이송장치(U)에 고정시켜 이송장치(U)를 통해 상부핀치롤부(1)와 하부핀치롤부(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유지연결부(77)는 유지본체부(71)에 구비되어 이송연결부(74)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이송장치(U), 이송연결부(74), 유지연결부(77), 유지본체부(71)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상부핀치롤부(1)와 하부핀치롤부(2)를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유지하부고정부(75)는 유지본체부(71)의 하부롤결합부(29)를 마주하는 일면에 구비되어 하부롤결합부(29)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유지하부고정부(75)는 하부롤결합부(29)와 결합되어 유지본체부(71)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고, 안정적으로 상부핀치롤부(1)와 하부핀치롤부(2)가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유지상부고정부(76)는 유지본체부(71)의 상부롤지지부(19)를 마주하는 일면에 구비되어 상부롤지지부(19)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유지상부고정부(76)는 상부롤체결부(15)와 결합되어 유지본체부(71)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고, 안정적으로 상부핀치롤부(1)와 하부핀치롤부(2)가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하부롤결합부(29)는 하부롤결합함몰부(291), 하부롤결합만입부(293), 하부롤결합체결부(295) 및 하부롤결합자성부(29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롤결합함몰부(291)는 하부롤고정부(23)의 유지하부고정부(75)를 마주하는 일면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유지하부고정부(75)가 삽입될 수 있다.
하부롤결합만입부(293)는 하부롤결합함몰부(291)의 내측면에서 외측으로 만입형성될 수 있다. 즉, 하부롤결합만입부(293)는 하부롤결합함몰부(291)로 삽입된 유지하부고정부(75)의 외측에 돌출 형성된 돌기가 삽입될 수 있다. 유지하부고정부(75)의 외측에 돌출 형성된 돌기는 후술할 하부고정후크부(753)일 수 있다.
하부롤결합체결부(295)는 하부롤결합함몰부(291)에 복수 개로 돌출 형성되어 유지하부고정부(75)의 단부와 맞물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하부롤결합체결부(295)는 유지하부고정부(75)의 결합을 가이드하며,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따.
하부롤결합자성부(297)는 복수 개의 하부롤결합체결부(295) 사이에 배치되며 자성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유지하부고정부(75)의 단부와 접촉될 수 있다. 즉, 하부롤결합자성부(297)는 유지하부고정부(75)와 자성에 의해 결합되어 결합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유지하부고정부(75)는 하부고정본체부(751), 하부고정회동부(752), 하부고정후크부(753), 하부고정돌출부(754) 및 하부고정자성부(755)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고정본체부(751)는 하부롤결합함몰부(291)에 삽입될 수 있다.
하부고정회동부(752)는 하부고정본체부(751)와 유지본체부(71)를 연결하며, 하부고정본체부(751)를 회동시킬 수 있다. 즉, 하부고정회동부(752)는 하부고정본체부(751)를 하부롤결합함몰부(291)에 삽입시킬 때만 돌출시킬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유지본체부(71)에 밀착되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고정회동부(752)는 하부고정본체부(751)의 파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하부고정후크부(753)는 하부고정본체부(751)의 양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하부롤결합만입부(293)에 삽입될 수 있다. 즉, 하부고정후크부(753)는 하부롤결합만입부(293)에 삽입되어 접촉면적이 증대되고, 구조적으로 맞물려 결합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하부고정돌출부(754)는 하부고정본체부(751)의 단부에 복수 개로 돌출 형성되어 하부롤결합자성부(297)와 접촉될 수 있다. 즉, 하부고정돌출부(754)는 하부롤결합자성부(297)와 접촉되어 자성에 의해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하부고정돌출부(754)도 자성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결합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하부고정자성부(755)는 복수 개의 하부고정돌출부(754) 사이에 배치되며 자성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하부롤결합체결부(295)와 접촉될 수 있다. 즉, 하부고정자성부(755)는 자성에 의해 하부롤결합체결부(295)와 결합되어 전체적인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부롤지지부(19)는 상부롤지지본체부(191), 상부롤지지수용부(193) 및 상부롤지지마감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롤지지본체부(191)는 상부롤고정부(13)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유지본체부(71) 및 유지상부고정부(76)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상부롤지지본체부(191)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유지본체부(71)와 유지상부고정부(76)가 삽입될 수 있다.
상부롤지지수용부(193)는 상부롤지지본체부(191)의 내측면에 만입 형성되어 유지상부고정부(76)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상부롤지지수용부(193)는 유지상부고정부(76)의 외측에 돌출 형성된 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지상부고정부(76)의 외측에 돌출 형성된 돌기는 후술할 상부고정후크부(762)일 수 있다.
상부롤지지마감부(195)는 상부롤지지본체부(191)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결합을 통해 유지본체부(71)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부롤지지마감부(195)는 유지본체부(71)가 상부핀치롤부(1)와 결합이 되면 유지본체부(71)를 감싸 유지본체부(71)가 상부핀치롤부(1)에서 분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롤지지마감부(195)는 상부롤마감이동부(1951), 상부롤마감회동부(1953), 상부롤마감덮개부(1955) 및 상부롤마감결합부(19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롤마감이동부(1951)는 상부롤지지본체부(191)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유지본체부(71)가 결합되었을 때 유지본체부(71)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부롤마감이동부(1951)는 상부롤지지본체부(19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부롤마감회동부(1953)는 상부롤마감이동부(1951)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부롤마감덮개부(1955)와 상부롤마감이동부(1951)를 연결하며, 상부롤마감덮개부(1955)를 회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지본체부(71)가 결합될 때 상부롤마감덮개부(1955)를 외측에 배치시키고, 유지본체부(71)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부롤마감덮개부(1955)를 유지본체부(71)가 마주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상부롤마감결합부(1957)는 자성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상부롤지지본체부(191)의 양측에 구비된 복수 개의 상부롤마감덮개부(1955)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유지본체부(71)를 감쌀 수 있다. 또한, 상부롤마감결합부(1957)는 후술할 상부고정결합부(765)와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유지상부고정부(76)는 상부고정본체부(761), 상부고정후크부(762), 상부고정회동부(763) 및 상부고정결합부(7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고정본체부(761)는 유지본체부(71)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부롤지지본체부(19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상부고정본체부(761)는 상부롤지지본체부(191)와 맞물리며 상부롤지지본체부(191)의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력을 최대한 제공할 수 있다.
상부고정후크부(762)는 상부고정본체부(761)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부롤지지수용부(193)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부고정후크부(762)는 상부고정본체부(761)와 접촉면적을 향상시키고, 구조적 결합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
상부고정회동부(763)는 유지본체부(71)와 상부고정본체부(761)를 연결하며 상부고정본체부(761)를 회동시킬 수 있다. 즉, 상부고정회동부(763)는 상부고정본체부(761)를 상부롤지지본체부(191)의 내부로 삽입시킬 때에만 유지본체부(71)에서 돌출시킬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유지본체부(71)에 밀착시켜 파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상부고정결합부(765)는 유지본체부(71)에 구비되어 상부롤지지마감부(195)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부고정결합부(765)는 유지본체부(71)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며, 자성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상부롤지지마감부(195)와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고정결합부(765)는 결합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S: 핀치롤 P: 제어부
D: 핀치롤부 A: 이동로
1: 상부핀치롤부 2: 하부핀치롤부
3: 상측얼라인부 4: 하측얼라인부
5: 상측표면판단부 6: 하측표면판단부
7: 유지보수부

Claims (9)

  1. 유지보수가 용이한 핀치롤에 있어서,
    소재의 이동로에 배치되어 소재를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핀치롤부;
    상기 핀치롤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핀치롤부의 전후방향 틀어짐을 판단하는 상측얼라인부;
    상기 핀치롤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핀치롤부의 전후방향 틀어짐을 판단하는 하측얼라인부;
    상기 상측얼라인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핀치롤부의 표면 불량을 판단하는 상측표면판단부; 및
    상기 하측얼라인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핀치롤부의 표면 불량을 판단하는 하측표면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얼라인부는
    상기 핀치롤부에서 전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하측얼라인부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상측전방얼라인부; 및
    상기 핀치롤부에서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하측얼라인부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상측후방얼라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얼라인부는
    상기 상측전방얼라인부에서 조사된 빛을 인식하는 하측전방얼라인부; 및
    상기 상측후방얼라인부에서 조사된 빛을 인식하는 하측후방얼라인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전방얼라인부와 상기 핀치롤부의 전단부 사이의 전후방향 제1거리(D1)는 상기 상측후방얼라인부와 상기 핀치롤부의 후단부 사이의 전후방향 제2거리(D2)의 0.8 내지 0.9로 구비되며,
    상기 핀치롤부, 상기 상측얼라인부, 상기 하측얼라인부, 상기 상측표면판단부, 상기 하측표면판단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핀치롤부는
    상부핀치롤부; 및
    상기 상부핀치롤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핀치롤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전방얼라인부는 상기 상부핀치롤부의 너비방향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상측후방얼라인부는 상기 상부핀치롤부의 너비방향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측전방얼라인부가 상기 상측전방얼라인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상기 하측후방얼라인부가 상기 상측후방얼라인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핀치롤부가 틀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상측얼라인부는
    상기 핀치롤부의 중앙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핀치롤부를 촬영하는 상측얼라인촬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측얼라인부는
    상기 핀치롤부의 중앙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핀치롤부를 촬영하는 하측얼라인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측얼라인촬영부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상측촬영본체부;
    상기 상측촬영본체부를 감싸며, 상기 상측촬영본체부 내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상측촬영단열부;
    상기 상측촬영본체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핀치롤부를 촬영하는 상측촬영수행부; 및
    상기 상측촬영본체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측촬영수행부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상측촬영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얼라인촬영부는
    와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측촬영본체부;
    상기 하측촬영본체부를 감싸며, 상기 하측촬영본체부 내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하측촬영단열부;
    상기 하측촬영본체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핀치롤부를 촬영하는 하측촬영수행부; 및
    상기 하측촬영본체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측촬영수행부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하측촬영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핀치롤부가 틀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상측촬영개폐부를 개방하고 상기 상측촬영수행부를 통해 상기 상부핀치롤부를 촬영하여 상기 상부핀치롤부의 틀어짐을 판단하고,
    상기 상부핀치롤부의 위치가 정상인 경우 상기 상측촬영개폐부를 폐쇄하고 상기 하측촬영개폐부를 개방하며, 상기 하측촬영수행부를 통해 상기 하부핀치롤부를 촬영하여 상기 하부핀치롤부의 틀어짐을 판단하고,
    상기 상측표면판단부는
    상기 상부핀치롤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핀치롤부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상측표면조사부;
    상기 상측표면조사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상측표면조사부에서 조사되어 상기 상부핀치롤부로부터 반사된 광을 인식하는 상측표면인식부;
    상기 상측표면인식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상부핀치롤부를 촬영하는 상측표면촬영부; 및
    상기 상측표면촬영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상부핀치롤부를 향하여 조명을 비추는 상측표면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표면판단부는
    상기 하부핀치롤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핀치롤부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하측표면조사부;
    상기 하측표면조사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하측표면조사부에서 조사되어 상기 하부핀치롤부로부터 반사된 광을 인식하는 하측표면인식부;
    상기 하측표면인식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하부핀치롤부를 촬영하는 하측표면촬영부; 및
    상기 하측표면촬영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하부핀치롤부를 향하여 조명을 비추는 하측표면조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핀치롤부의 작동시간이 일정시간 이상 경과되면 상기 핀치롤부의 작동을 정지하며 상기 상측표면조사부와 상기 하측표면조사부를 가동하고,
    상기 상측표면조사부로부터 조사되며 상기 상부핀치롤부에 반사되어 상기 상측표면인식부에 인식되는 반사된 광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상기 상측표면인식부에 광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상측표면조명부를 작동하여 상기 상부핀치롤부에 조명을 비추고 상기 상측표면촬영부로 상기 상부핀치롤부의 표면을 촬영하며, 기 설정된 이미지와 상기 상측표면촬영부로 촬영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상부핀치롤부의 표면불량을 판단하고,
    상기 하측표면조사부로부터 조사되며 상기 하부핀치롤부에 반사되어 상기 하측표면인식부에 인식되는 반사된 광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상기 하측표면인식부에 광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하측표면조명부를 작동하여 상기 하부핀치롤부에 조명을 비추고 상기 하측표면촬영부로 상기 하부핀치롤부의 표면을 촬영하며, 기 설정된 이미지와 상기 하측표면촬영부로 촬영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하부핀치롤부의 표면불량을 판단하고,
    상기 핀치롤부에 결합되어 상기 핀치롤부를 상기 이동로에 배치시키거나 분리시키도록 구비되는 유지보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핀치롤부는
    소재를 가압하는 상부롤수행부;
    상기 상부롤수행부의 양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로에 고정되는 상부롤고정부;
    상기 상부롤고정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핀치롤부와 결합되는 상부롤체결부;
    상기 상부롤고정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롤수행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상부롤동력부; 및
    상기 상부롤고정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지보수부를 지지하는 상부롤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핀치롤부는
    상기 상부롤수행부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상부롤수행부와 함께 소재를 가압하는 하부롤수행부;
    상기 하부롤수행부의 양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로에 고정되는 하부롤고정부;
    상기 하부롤고정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롤체결부와 결합되는 하부롤체결부;
    상기 하부롤고정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롤수행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하부롤동력부; 및
    상기 하부롤고정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지보수부와 결합되는 하부롤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보수부는
    양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하부롤결합부 및 상기 상부롤지지부를 감싸는 유지본체부;
    상기 유지본체부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유지일단결합부;
    상기 유지본체부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지일단결합부와 맞물려 결합되는 유지타단결합부;
    상기 유지본체부에 결합되어 이송장치에 고정되는 이송연결부;
    상기 유지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연결부가 결합되는 유지연결부;
    상기 유지본체부의 상기 하부롤결합부를 마주하는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롤결합부와 결합되는 유지하부고정부; 및
    상기 유지본체부의 상기 상부롤지지부를 마주하는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롤지지부와 결합되는 유지상부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롤결합부는
    상기 하부롤고정부의 상기 유지하부고정부를 마주하는 일면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유지하부고정부가 삽입되는 하부롤결합함몰부;
    상기 하부롤결합함몰부의 내측면에서 외측으로 만입형성되는 하부롤결합만입부;
    상기 하부롤결합함몰부에 복수 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유지하부고정부의 단부와 맞물리도록 구비되는 하부롤결합체결부; 및
    복수 개의 상기 하부롤결합체결부 사이에 배치되며 자성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유지하부고정부의 단부와 접촉되는 하부롤결합자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하부고정부는
    상기 하부롤결합함몰부에 삽입되는 하부고정본체부;
    상기 하부고정본체부와 상기 유지본체부를 연결하며 상기 하부고정본체부를 회동시키는 하부고정회동부;
    상기 하부고정본체부의 양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롤결합만입부에 삽입되는 하부고정후크부;
    상기 하부고정본체부의 단부에 복수 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롤결합자성부와 접촉되는 하부고정돌출부; 및
    복수 개의 상기 하부고정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며 자성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부롤결합체결부와 접촉되는 하부고정자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핀치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지지부는
    상기 상부롤고정부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유지본체부 및 상기 유지상부고정부가 삽입되는 상부롤지지본체부;
    상기 상부롤지지본체부의 내측면에 만입 형성되어 상기 유지상부고정부가 삽입되는 상부롤지지수용부; 및
    상기 상부롤지지본체부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결합을 통해 상기 유지본체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상부롤지지마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상부고정부는
    상기 유지본체부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롤지지본체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부고정본체부;
    상기 상부고정본체부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롤지지수용부에 삽입되는 상부고정후크부;
    상기 유지본체부와 상기 상부고정본체부를 연결하며 상기 상부고정본체부를 회동시키는 상부고정회동부; 및
    상기 유지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롤지지마감부와 결합되는 상부고정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핀치롤.
KR1020240020233A 2024-02-13 2024-02-13 유지보수가 용이한 핀치롤 KR102674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20233A KR102674430B1 (ko) 2024-02-13 2024-02-13 유지보수가 용이한 핀치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20233A KR102674430B1 (ko) 2024-02-13 2024-02-13 유지보수가 용이한 핀치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4430B1 true KR102674430B1 (ko) 2024-06-12

Family

ID=91469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20233A KR102674430B1 (ko) 2024-02-13 2024-02-13 유지보수가 용이한 핀치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44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0352A (ko) * 2003-07-19 2005-01-27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롤의 기울어짐에 대응 작동되는 견인장치
KR20120109915A (ko) * 2011-03-28 2012-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소자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KR20130034963A (ko) * 2011-09-29 2013-04-08 현대제철 주식회사 핀치롤 장치
KR20230064130A (ko) 2021-11-03 2023-05-10 주식회사 포스코 핀치롤 연마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0352A (ko) * 2003-07-19 2005-01-27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롤의 기울어짐에 대응 작동되는 견인장치
KR20120109915A (ko) * 2011-03-28 2012-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소자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KR20130034963A (ko) * 2011-09-29 2013-04-08 현대제철 주식회사 핀치롤 장치
KR20230064130A (ko) 2021-11-03 2023-05-10 주식회사 포스코 핀치롤 연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0819A (en) Photographic film loading method, photographic film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pparatus
JPH06236122A (ja) 加熱装置
JP6616339B2 (ja) 検査装置及び巻回装置
KR102674430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핀치롤
US20070098470A1 (en) Sheet conveying mechanism, intermediate sheet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H0425831A (ja) 放射線画像記録読取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S582843A (ja) レントゲンカセツトフイルム取り出し装置
JP2745390B2 (ja) 表面処理金属ストリップ用の巻取装置とその巻取方法
KR101225763B1 (ko) 스트립 이송장치
JP4797287B2 (ja) 複合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7031117B2 (ja) 画像形成装置
JPH04274813A (ja) 熱間圧延用コイリングおよびデコイリング方法および装置
US3771201A (en) Tubular fabric inspection machine
JP3743063B2 (ja) 熱延材巻取装置
JP2565952B2 (ja) ジャム処理装置
JP4265476B2 (ja) 搬送路開閉機構及びこの搬送路開閉機構を備えた情報処理装置
WO1996001548A1 (en) Steckel mill coiler furnace incorporating heated pinch rolls
JPH04367312A (ja) 圧延材誘導方法及び入口ローラガイド
JP2005024989A (ja) 画像読取装置及び該画像読取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450951B2 (ja) ジャム検知手段保護機構
US4908652A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having upper and lower sections separable from each other at medium exposing path
JP3295521B2 (ja) 紙幣払出装置
CN116872421A (zh) 一种复合膜热压设备以及复合膜加工生产线
JPH0714046A (ja) コイン搬送ダクト
JPH10206716A (ja) 画像形成装置のレンズユニット駆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