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3682B1 -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3682B1
KR102673682B1 KR1020230166916A KR20230166916A KR102673682B1 KR 102673682 B1 KR102673682 B1 KR 102673682B1 KR 1020230166916 A KR1020230166916 A KR 1020230166916A KR 20230166916 A KR20230166916 A KR 20230166916A KR 102673682 B1 KR102673682 B1 KR 102673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cloth
pipe
asphyxiation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66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범
Original Assignee
이상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범 filed Critical 이상범
Priority to KR1020230166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36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3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3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iercing walls, heaped materia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8/00Hand tool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fire-fighting, e.g. tool boxes
    • A62C8/06Fire-blank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에서 전기자동차의 화재가 발생될 경우, 소방대가 도착할 때 까지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화재시 발생되는 유독가스를 효과적으로 실외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은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질식포(20)와, 상기 질식포(20)에 연결되어 질식포(20)의 내부로 소방수를 분사하는 급수수단(30)과, 상기 질식포(20)에 연결되어 질식포(2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수단(40)으로 구성되어, 전기자동차(1)에 화재가 발생될 경우, 전기자동차(1)의 둘레부를 덮은 상태에서 전기자동차(1)에 수방수를 분사하여 화재의 열을 식힐 뿐 아니라, 배기수단(40)을 이용하여 유독가스를 외부로 배출한다.
따라서, 전기자동차(1)의 화재발생시, 소방대가 도착할 때 까지, 화재의 열에 의해 주변에 피해가 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을 뿐 아니라, 화재시 발생되는 유독가스를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주변이 유독가스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suffocating fabric for delaying EV fire}
본 발명은 실내에서 전기자동차의 화재가 발생될 경우, 소방대가 도착할 때 까지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화재시 발생되는 유독가스를 효과적으로 실외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기자동차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가 늘어가고 있다.
이러한 전기자동차에서 화재가 발생될 경우, 전기자동차에 구비된 배터리에서 열폭주가 발생되며, 이에 따라, 물이나 소화재를 뿌리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화재가 손쉽게 진압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 소방대를 기다려야 하는데, 이때, 전기자동차에서 발생된 화재가 주변으로 번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지하주차장 등과 같이 실내에 주차된 전기자동차에서 화재가 발생될 경우, 전기자동차에서 발생되는 다량의 유독가스에 의해 주변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한편, 최근에는 내열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된 질식포로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를 덮어서 화재가 주변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이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질식포는 단순히 화염이 주변으로 번지지 못하도록 함으로, 열에 의해 주변에 피해가 가는 것을 막기 어려울 뿐 아니라, 유독가스가 주변으로 퍼지게 되는 것을 막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2491008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내에서 전기자동차의 화재가 발생될 경우, 소방대가 도착할 때 까지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화재시 발생되는 유독가스를 효과적으로 실외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질식포(20)와, 상기 질식포(20)에 연결되어 질식포(20)의 내부로 소방수를 분사하는 급수수단(30)과, 상기 질식포(20)에 연결되어 질식포(2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수단(4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수평부(11a)와 상기 수평부(11a)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한 싹의 수직부(11b)로 구성되며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지지바(11)와, 상기 지지바(11)를 상호 연결하는 링크부재(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급수수단(30)은 상기 질식포(20)의 일측에 구비된 분사노즐(31)과, 상기 분사노즐(31)에 연결되는 급수관(32)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기수단(40)은 상기 질식포(20)의 일측에 연결된 배기관(41)과, 상기 배기관(41)에 연결된 배기팬(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질식포(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기자동차의 유리창에 구멍을 형성하는 관통수단(A)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관(32)에는 분기관(33)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수단(A)은 상기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고 전단부에는 관통공(51)이 형성되며 후단부에는 상기 분기관(33)이 연결되는 급수공(53)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단부는 상기 관통공(51)에 연결되는 가이드관체(52)가 구비된 본체(50)와, 상기 가이드관체(52)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관창(60)과, 상기 본체(50)에 구비되며 상기 관창(6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71)과, 상기 급수공(53)에 구비된 급수밸브(72)와, 상기 본체(50)의 내부에 구비되어 본체(5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73)와, 상기 본체(50)에 구비된 조작스위치(74)와, 상기 조작스위치(74)와 압력센서(73)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급수밸브(72)와 고정수단(7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75)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관체(52)는 내경이 상기 관창(60)의 외경에 비해 크게 구성되고, 가이드관체(52)의 전단부에는 내경이 상기 관창(60)의 외경에 대응되는 소경부(52a)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관체(52)의 둘레부에는 상기 소경부(52a)의 내주면으로 개방되는 공급공(52b)이 형성되며, 상기 관창(6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외경이 상기 소경부(52a)의 내경에 대응되며 전후단이 밀폐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고, 전단부가 뾰족하게 돌출되며, 후단부에는 상기 가이드관체(52)의 내주면에 수밀하게 밀착되며 관창(60)이 전진하면 소경부(52a)의 후단부에 걸리도록 된 플랜지부(61)가 형성되고, 후단부 둘레면에는 상기 공급공(52b)에 연결되는 연통공(63)이 형성되며, 전단부 둘레면에는 배수공(64)이 형성되고 전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수단(71)에 결합되는 고정부(6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은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질식포(20)와, 상기 질식포(20)에 연결되어 질식포(20)의 내부로 소방수를 분사하는 급수수단(30)과, 상기 질식포(20)에 연결되어 질식포(2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수단(40)으로 구성되어, 전기자동차(1)에 화재가 발생될 경우, 전기자동차(1)의 둘레부를 덮은 상태에서 전기자동차(1)에 수방수를 분사하여 화재의 열을 식힐 뿐 아니라, 배기수단(40)을 이용하여 유독가스를 외부로 배출한다.
따라서, 전기자동차(1)의 화재발생시, 소방대가 도착할 때 까지, 화재의 열에 의해 주변에 피해가 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을 뿐 아니라, 화재시 발생되는 유독가스를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주변이 유독가스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의 지지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을 접은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의 제2 실시예의 관통수단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의 제2 실시예의 관통수단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의 제2 실시예의 관통수단의 블록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을 도시한 것으로,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질식포(20)와, 상기 질식포(20)에 연결되어 질식포(20)의 내부로 소방수를 분사하는 급수수단(30)과, 상기 질식포(20)에 연결되어 질식포(2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수단(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지지바(11)와, 상기 지지바(11)를 연결하는 링크부재(12)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바(11)는 수평부(11a)와, 수평부(11a)와 상기 수평부(11a)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한 싹의 수직부(11b)로 구성된다.
상기 링크부재(12)는 2개의 바부재(12a)를 X자 형태로 연결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측단부는 상기 지지바(11)의 수직부(11b) 상단이 힌지결합되고, 하측단부는 상기 수직부(11b)의 중간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바(11)를 상호 인접방향으로 밀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링크부재(12)의 바부재(12a)가 회동되면서, 지지바(11)가 상호 평행을 유지하면서 근접 또는 이격되도록 지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지프레임(10)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지지바(11) 중에서 전후방에 위치된 지지바(11)의 하단에는 브라켓(13)이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13)에는 상기 지지바(11)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 회동바(14)가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질식포(20)는 내열성이 있는 재질의 원단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외부를 덮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바(14)를 하측으로 회동시키고, 지지프레임(10)의 지지바(11)를 이격되는 방향으로 당겨서 지지프레임(10)과 질식포(20)를 펼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바(14)를 상측으로 회동시키고, 지지바(11)를 인접방향으로 밀어서, 지지프레임(10)과 질식포(20)를 접을 수 있다.
상기 급수수단(30)은 상기 질식포(20)의 일측에 구비된 분사노즐(31)과, 상기 분사노즐(31)에 연결되는 급수관(32)으로 구성된다.
상기 분사노즐(31)은 상기 질식포(20)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급수관(32)은 일단은 상기 분사노즐(31)에 연결되고 타단은 소화전에 연결되어, 소화전으로 공급되는 고압의 수방수를 상기 분사노즐(31)로 공급한다.
상기 배기수단(40)은 상기 질식포(20)의 일측에 연결된 배기관(41)과, 상기 배기관(41)에 연결된 배기팬(42)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평상시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0)과 질식포(20)는 접혀진 상태로 보관된다.
그리고, 전기자동차(1)에 화재가 발생될 경우,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차수막이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1)의 외부를 덮도록 배치하고, 상기 급수관(32)을 소화전에 연결하고 소화전을 작동시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화전을 통해 급수관(32)으로 공급된 소방수가 분사노즐(31)을 통해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1)로 분사되어 화재의 열을 식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관(41)을 실외로 연장한 후, 상기 배기팬(42)을 작동시키면, 전기자동차(1)가 연소되면서 발생된 유독가스가 배기관(41)을 통해 실외로 배출됨으로, 유독가스에 의해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은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질식포(20)와, 상기 질식포(20)에 연결되어 질식포(20)의 내부로 소방수를 분사하는 급수수단(30)과, 상기 질식포(20)에 연결되어 질식포(2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수단(40)으로 구성되어, 전기자동차(1)에 화재가 발생될 경우, 전기자동차(1)의 둘레부를 덮은 상태에서 전기자동차(1)에 수방수를 분사하여 화재의 열을 식힐 뿐 아니라, 배기수단(40)을 이용하여 유독가스를 외부로 배출한다.
따라서, 전기자동차(1)의 화재발생시, 소방대가 도착할 때 까지, 화재의 열에 의해 주변에 피해가 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을 뿐 아니라, 화재시 발생되는 유독가스를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주변이 유독가스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지하주차장과 같은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될 때,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분사노즐(31)은 상기 질식포(20)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분사노즐(31)은 질식포(20)의 측면, 즉, 전기자동차(1)의 측면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급수관(32)에는 분기관(33)이 연결되어, 소화전을 작동시키면 분기관(33)에도 고압의 소방수가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질식포(20)의 일측에는 전기자동차(1)의 유리창에 구멍을 형성하는 관통수단(A)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질식포(20)의 일측에는 결합공(2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21)은 마개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상기 마개를 열어 결합공(21)을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수단(A)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고 전단부에는 관통공(51)이 형성되며 후단부에는 상기 분기관(33)이 연결되는 급수공(53)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단부는 상기 관통공(51)에 연결되는 가이드관체(52)가 구비된 본체(50)와, 상기 가이드관체(52)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관창(60)과, 상기 본체(50)에 구비되며 상기 관창(6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71)과, 상기 급수공(53)에 구비된 급수밸브(72)와, 상기 본체(50)의 내부에 구비되어 본체(5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73)와, 상기 본체(50)에 구비된 조작스위치(74)와, 상기 조작스위치(74)와 압력센서(73)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급수밸브(72)와 고정수단(7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75)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50)는 외경이 상기 결합공(21)에 대응되는 원형관체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관통공(51)은 관창(60)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급수공(53)에는 상기 분기관(33)을 탈착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된 연결탭(53a)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본체(50)의 후단부에는 사용자가 어깨를 밀착시키도록 된 밀착부(54)가 형성되고, 후단부 하측에는 손잡이(55)가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55)의 전방에는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된 방아쇠(5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50)의 전단부에는 차량의 유리창에 밀착되는 연장바(57)가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관체(52)는 외경이 상기 본체(50)의 내경에 비해 작고 내경은 상기 관창(60)의 외경에 비해 큰 파이프를 이용하는 것으로, 전단부에는 내경이 상기 관창(60)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구성된 소경부(5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관체(52)의 전단부 둘레부에는 상기 소경부(52a)의 내주면으로 개방되는 공급공(52b)이 형성된다.
상기 관창(6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외경이 상기 소경부(52a)의 내경에 대응되며 전후단이 밀폐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전단부가 상기 소경부(52a)와 관통공(51)을 통과하여 본체(50)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후단부는 가이드관체(52)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가이드관체(52)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소경부(52a)의 내주면에는 상기 공급공(52b)의 전후측에 위치되도록 패킹(52c)이 구비되어, 소경부(52a)에 관창(60)이 결합되면, 관창(60)의 외주면이 공급공(52b)의 내측단을 막아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창(60)은 전단부가 뾰족하게 돌출되며, 후단부에는 상기 가이드관체(52)의 내주면에 수밀하게 밀착되며 관창(60)이 전진하면 소경부(52a)의 후단부에 걸리도록 된 플랜지부(61)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61)는 외주면에 오링(62)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관창(60)의 후단부 둘레면에는 상기 공급공(52b)에 연결되는 연통공(63)이 형성되며, 전단부 둘레면에는 배수공(64)이 형성되고, 전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수단(71)에 결합되는 고정부(65)가 형성된다.
상기 연통공(63)은 상기 플랜지부(61)가 소경부(52a)에 걸리도록 관창(60)이 전진되면 상기 공급공(52b)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창(60)의 전단부 둘레면에는 오목부(66)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64)은 상기 오목부(66)에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65)는 관창(60)의 전단부 하측면에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71)은 상기 본체(50)의 전면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관창(60)이 후퇴되면 상기 고정부(65)와 결합되어 고정부(65)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도록 된 것으로, 내부에 도시 안된 솔레노이드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수단(75)에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고정부(65)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고정수단(71)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급수밸브(72)는 상기 급수공(53)에 연결된 연결탭(53a)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75)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연결탭(53a)을 통해 본체(50)로 공급되는 소방수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작스위치(74)는 상기 방아쇠(56)의 후방에 위치되며 전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푸쉬버튼(74a)이 구비된 것으로, 사용자가 방아쇠(56)를 당기면 상기 푸쉬버튼(74a)이 후방으로 가압되어, 사용자가 방아쇠(56)를 당긴 것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관통수단(A)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평상시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관창(60)은 후퇴되어, 고정부(65)가 상기 고정수단(71)에 결합되고, 상기 공급공(52b)은 관창(60)의 둘레면에 의해 막힌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1)의 외부에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을 배치하고, 상기 마개를 열어 결합공(21)을 개방하고, 관통수단(A)을 결합공(21)에 결합한 후, 상기 연결탭(53a)에 분기관(33)을 연결하여 준비를 완료한다.
이때, 상기 급수관(32)은 소화전에 연결되어, 분기관(33)에도 고압의 소방수가 공급되는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급수밸브(72)는 밀폐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밀착부(54)에 어깨를 밀착시키고, 손잡이(55)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기 연장바(57)가 전기자동차(1)의 창문에 밀착되도록 가압하고 상기 방아쇠(56)를 당기면, 상기 제어수단(75)은 상기 조작스위치(74)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상기 급수밸브(72)를 개방한다.
이와 같이 급수밸브(72)가 개방되면, 분기관(33)을 통해 공급된 고압의 소방수가 본체(50)의 내부로 공급되어 본체(50) 내부의 압력이 상승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75)은 상기 압력센서(73)의 신호를 수신하여 본체(50) 내부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제어수단(75)은 상기 고정수단(71)을 제어하여 고정부(65)의 고정을 해제한다.
이와 같이 고정부(65)의 고정이 해제되면,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50) 내부의 압력에 의해 상기 관창(60)이 전방으로 빠르게 밀리면서, 전기자동차(1)의 창문에 충돌하여 창문에 구멍을 형성하고, 구멍을 통해 차량의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관창(60)이 더욱 전진하여 관창(60)에 형성된 플랜지부(61)가 상기 가이드관체(52)의 소경부(52a) 후단부에 걸리면, 관창(60)은 더 이상 전진되지 않게 되며, 이때, 상기 공급공(52b)과 연통공(63)이 상호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50)의 내부로 공급된 소방수는 상기 공급공(52b)과 연통공(63)을 통해 관창(60)의 내부로 공급된 후, 배수공(64)을 통해 외부, 즉, 차량의 내부로 분사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은 관통수단(A)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1)의 창문에 구멍을 형성하고, 구멍을 통해 차량의 실내로 소방수를 분사함으로, 단순히 차량의 외부에 소방수를 분사하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 더욱 효과적으로 화재가 주변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화재의 열을 식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관통수단(A)은 차량의 측면에 구비된 창문에 구멍을 형성하도록 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관통수단(A)은 차량의 전면이나 후면의 유리창에 구멍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10. 지지프레임 20. 질식포
30. 급수수단 40. 배기수단

Claims (3)

  1.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질식포(20)와,
    상기 질식포(20)에 연결되어 질식포(20)의 내부로 소방수를 분사하는 급수수단(30)과,
    상기 질식포(20)에 연결되어 질식포(2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수단(40)과,
    상기 질식포(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기자동차의 유리창에 구멍을 형성하는 관통수단(A)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수평부(11a)와 상기 수평부(11a)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한 싹의 수직부(11b)로 구성되며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지지바(11)와,
    상기 지지바(11)를 상호 연결하는 링크부재(12)를 포함하되,
    상기 급수수단(30)은 상기 질식포(20)의 일측에 구비된 분사노즐(31)과, 상기 분사노즐(31)에 연결되는 급수관(32)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기수단(40)은 상기 질식포(20)의 일측에 연결된 배기관(41)과, 상기 배기관(41)에 연결된 배기팬(42)을 포함하며,
    상기 급수관(32)에는 분기관(33)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수단(A)은
    상기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고 전단부에는 관통공(51)이 형성되며 후단부에는 상기 분기관(33)이 연결되는 급수공(53)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단부는 상기 관통공(51)에 연결되는 가이드관체(52)가 구비된 본체(50)와,
    상기 가이드관체(52)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관창(60)과,
    상기 본체(50)에 구비되며 상기 관창(6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71)과,
    상기 급수공(53)에 구비된 급수밸브(72)와,
    상기 본체(50)의 내부에 구비되어 본체(5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73)와,
    상기 본체(50)에 구비된 조작스위치(74)와,
    상기 조작스위치(74)와 압력센서(73)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급수밸브(72)와 고정수단(7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75)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관체(52)는 내경이 상기 관창(60)의 외경에 비해 크게 구성되고,
    가이드관체(52)의 전단부에는 내경이 상기 관창(60)의 외경에 대응되는 소경부(52a)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관체(52)의 둘레부에는 상기 소경부(52a)의 내주면으로 개방되는 공급공(52b)이 형성되며,
    상기 관창(6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외경이 상기 소경부(52a)의 내경에 대응되며 전후단이 밀폐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고, 전단부가 뾰족하게 돌출되며, 후단부에는 상기 가이드관체(52)의 내주면에 수밀하게 밀착되며 관창(60)이 전진하면 소경부(52a)의 후단부에 걸리도록 된 플랜지부(61)가 형성되고, 후단부 둘레면에는 상기 공급공(52b)에 연결되는 연통공(63)이 형성되며, 전단부 둘레면에는 배수공(64)이 형성되고 전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수단(71)에 결합되는 고정부(65)가 형성된 것인,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
  2. 삭제
  3. 삭제
KR1020230166916A 2023-11-27 2023-11-27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 KR102673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6916A KR102673682B1 (ko) 2023-11-27 2023-11-27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6916A KR102673682B1 (ko) 2023-11-27 2023-11-27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3682B1 true KR102673682B1 (ko) 2024-06-07

Family

ID=91480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6916A KR102673682B1 (ko) 2023-11-27 2023-11-27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36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85807A (zh) * 2017-09-19 2017-12-19 汪家琳 高楼超高楼火灾避险免逃救生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85807A (zh) * 2017-09-19 2017-12-19 汪家琳 高楼超高楼火灾避险免逃救生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857B1 (ko) 스프링클러의 누수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방재장치
KR102037710B1 (ko) 화재 방지 시스템
KR101681515B1 (ko) 소화설비를 구비한 건물 내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654704B1 (ko) 정역회전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를 구비한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JP3914466B2 (ja) 乗物用防災設備
KR102031859B1 (ko) 비상대피유도가 용이한 소방표시장치
KR20080114460A (ko) 패널형 소화장치
JP2003278500A (ja) トンネル内消火システム
KR102673682B1 (ko)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
WO2014120530A2 (en) Fluid dispensing ladder
JP2003000746A (ja) トンネル内火災の消火方法および消火設備
KR101343779B1 (ko) 이동식 건축물용 소방장치
KR101714738B1 (ko) 공동주택의 소방전용 도어 장치
KR102673683B1 (ko)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
CN114667170B (zh) 灭火器具、灭火设备以及灭火方法
KR102134913B1 (ko) 소방용 방수총 안전 차단장치
US7431100B2 (en) Fire fighting tool
KR102030806B1 (ko) 캐비넷형 호스릴 소화장치
JP6921683B2 (ja) 非常用消火設備
KR20190053592A (ko) 화재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US6644415B1 (en) Automatic engine fire extinguishing system
KR200390186Y1 (ko) 공기호흡기장착 소화약제겸용장치
KR102076987B1 (ko) 화재 초기 진화용 소화 설비 및 그 설비를 이용하는 다목적 분사기겸 압축공기 주입장치
JPH10246482A (ja) 消火剤飛散防止装置が装備された消火装置付きレンジフード
KR200334297Y1 (ko) 터널의 수벽차단 소화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