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3511B1 - 레일 시스템 및 레일 시스템용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레일 시스템 및 레일 시스템용 연결부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73511B1 KR102673511B1 KR1020220048052A KR20220048052A KR102673511B1 KR 102673511 B1 KR102673511 B1 KR 102673511B1 KR 1020220048052 A KR1020220048052 A KR 1020220048052A KR 20220048052 A KR20220048052 A KR 20220048052A KR 102673511 B1 KR102673511 B1 KR 1026735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ams
- support
- connecting member
- connection part
- rail system
- Prior art date
Links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08—Tracks for mono-rails with centre of gravity of vehicle above the load-bearing rail
- E01B25/10—Mono-rails; Auxiliary balancing rails; Supports or connections for r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1/00—Rail joints
- E01B11/02—Dismountable rail joints
- E01B11/04—Flat fishpl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1/00—Rail joints
- E01B11/02—Dismountable rail joints
- E01B11/36—Fastening means for fishpl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1/0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 E01B2201/04—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by bolting, nailing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시스템용 연결부재는, 하부 빔과, 상기 하부 빔과 마주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상부 빔과, 상기 하부 빔의 중간 부분과 상기 상부 빔의 중간 부분을 연결하는 빔 연결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끝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의 H빔; 상기 H빔을 떠받치는 받침 프레임; 및 상기 하부 빔에 대응하는 형상의 하부 연결부와, 상기 상부 빔에 대응하는 형상의 상부 연결부와, 상기 빔 연결부와 마주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연결부와 상기 상부 연결부를 연결하는 중간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H빔 중에서 이웃하는 두 개의 H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이웃하는 두 개의 H빔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레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H빔이 일렬로 연결되어 이동체가 주행할 수 있는 선로를 제공할 수 있는 레일 시스템 및 이웃하는 두 개의 H빔 사이에 개재되어 이웃하는 두 개의 H빔을 연결할 수 있는 레일 시스템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물류라는 용어는 물적 유통(physical distribution)의 줄임말로서,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제품, 재화를 효과적으로 옮겨주는 기능 또는 활동의 총칭이다. 일반적으로 물류는 포장, 하역, 수송, 보관 및 정보와 같은 여러 활동을 말한다. 통상적으로 제품이나 재화를 수송하는 데에는 포장, 보관, 집하/적재, 수송, 하역/배달, 보관 등의 여러 과정을 거치게 된다. 어떠한 수송수단을 이용하든 이러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는 제품, 재화의 이동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이동의 전체를 종합적으로 보는 것이 물적 유통인 것이다.
근래 들어, 대량 생산, 대량 판매, 대량 소비가 시대의 추세가 되었으며, 그 사이를 잇는 물자의 흐름을 효율화할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에 물류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또한 물류 기업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물류 기업들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대형 물류 창고에 무인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하고, 인력으로 작업하기 힘든 곳에 로봇을 확대 사용함으로써 인건비 절약 및 작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고 있다. 자동화된 물류 창고에서는 스태커 크레인, 셔틀, 리프트, 박스 픽커, 갠트리 로봇 등의 자동화 설비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물류 산업에 이용되는 갠트리 로봇은 선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다양한 물품을 픽업하여 운반할 수 있다. 갠트리 로봇은 비교적 큰 작업 영역에서의 작업에 적합하고, 건물의 천장 부근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물류 창고 이외에, 각종 자동화 공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갠트리 로봇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서는 갠트리 로봇이 주행할 수 있는 선로를 제공하기 위한 레일 시스템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갠트리 로봇의 주행을 위한 레일 시스템은 H빔이 차례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레일 시스템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H빔의 가공 오차나 조립 오차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H빔 사이가 벌어지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H빔 사이가 벌어진 레일 시스템은 갠트리 로봇의 주행 안정성을 크게 떨어트리게 된다.
따라서 레일 시스템의 시공 시 인접하는 H빔들 사이의 간극을 제거하거나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웃하는 두 개의 H빔들 사이에 간단하게 개재될 수 있는 연결부재를 통해 H빔들이 간극없이 안정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레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웃하는 두 개의 H빔 사이에 개재되어 이웃하는 두 개의 H빔을 간극없이 연결할 수 있는 레일 시스템용 연결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시스템은, 하부 빔과, 상기 하부 빔과 마주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상부 빔과, 상기 하부 빔의 중간 부분과 상기 상부 빔의 중간 부분을 연결하는 빔 연결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끝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의 H빔; 상기 H빔을 떠받치는 받침 프레임; 및 상기 하부 빔에 대응하는 형상의 하부 연결부와, 상기 상부 빔에 대응하는 형상의 상부 연결부와, 상기 빔 연결부와 마주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연결부와 상기 상부 연결부를 연결하는 중간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H빔 중에서 이웃하는 두 개의 H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이웃하는 두 개의 H빔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시스템은, 상기 각 H빔의 일단에 상기 각 H빔의 일단보다 돌출되지 않게 배치되는 제 1 위치 결정 블록; 상기 각 H빔의 타단에 상기 각 H빔의 타단보다 돌출되지 않게 배치되는 제 2 위치 결정 블록; 및 이웃하는 두 개의 H빔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상기 제 1 위치 결정 블록의 제 1 삽입 홀과 이웃하는 두 개의 H빔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상기 제 2 위치 결정 블록의 제 2 삽입 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이웃하는 두 개의 H빔을 연결하는 고정 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고정 핀이 삽입되는 관통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관통 홀이 형성된 확장부를 구비하되, 상기 확장부는 상기 하부 연결부와 상기 중간 연결부의 사이 및 상기 상부 연결부와 상기 중간 연결부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하부 연결부와, 상기 상부 연결부와, 상기 중간 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부재 바디와, 이웃하는 두 개의 H빔 중에서 어느 하나의 끝단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 바디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 1 탄성패드와, 이웃하는 두 개의 H빔 중에서 다른 하나의 끝단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 바디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 2 탄성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시스템은, 상기 받침 프레임의 제 1 받침부에 접하도록 상기 각 H빔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 1 받침대; 및 상기 받침 프레임의 제 2 받침부에 접하도록 상기 각 H빔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 2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받침대는 상기 H빔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받침 프레임 쪽으로 돌출되는 바닥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받침부에는 상기 제 1 받침대를 수용할 수 있는 프레임 홈과, 상기 바닥 돌출부를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홈 속에 배치되는 복수의 받침면이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받침면은 상기 바닥 돌출부를 각기 다른 높이로 떠받칠 수 있도록 계단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시스템은, 상기 베이스부를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홈 속에 삽입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시스템용 연결부재는, 하부 빔과, 상기 하부 빔과 마주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상부 빔과, 상기 하부 빔의 중간 부분과 상기 상부 빔의 중간 부분을 연결하는 빔 연결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H빔이 차례로 연결되는 레일 시스템에 구비되는 레일 시스템용 연결부재로서, 상기 하부 빔에 대응하는 형상의 하부 연결부; 상기 상부 빔에 대응하는 형상의 상부 연결부; 및 상기 빔 연결부와 마주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연결부와 상기 상부 연결부를 연결하는 중간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H빔 중에서 이웃하는 두 개의 H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이웃하는 두 개의 H빔을 연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시스템은 시공 과정에서 H빔의 가공 오차나 조립 오차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이웃하는 두 개의 H빔이 이격되더라도, 연결부재가 이웃하는 두 개의 H빔 사이에 개재되어 이웃하는 H빔들 사이의 간극을 메우고 이들 H빔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H빔들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갠트리 로봇 등 이동체의 주행 안정성을 떨어트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의 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레일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3은 도 5에 나타낸 레일 시스템의 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시스템용 연결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의 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레일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3은 도 5에 나타낸 레일 시스템의 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시스템용 연결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의 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100)은 차례로 연결되는 복수의 H빔(110)과, 복수의 H빔(110)을 떠받치기 위한 복수의 받침 프레임(130)과, 각각의 H빔(110)에 구비되는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 및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과, H빔(110)을 받침 프레임(130)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기구(150)와, 이웃하는 두 개의 H빔(110)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부재(160)와, 이웃하는 두 개의 H빔(110)을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 핀(17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100)은 갠트리 로봇 등의 이동체가 주행할 수 있는 선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H빔(110)은 각각의 끝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차례로 배치되어 이동체를 가이드할 수 있다. H빔(110)은 서로 마주하도록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하부 빔(111) 및 상부 빔(112)과, 하부 빔(111)과 상부 빔(112)을 연결하는 빔 연결부(113)를 포함한다.
H빔(110)의 양쪽 끝단에는 제 1 받침대(120) 및 제 2 받침대(125)가 각각 구비된다. 제 1 받침대(120)는 H빔(110)의 일단에 고정되고, 제 2 받침대(125)는 H빔(110)의 타단에 고정된다. 제 1 받침대(120)에는 제 1 슬릿(121)이 제 1 받침대(12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제 2 받침대(125)에는 제 2 슬릿(126)이 제 2 받침대(125)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제 1 슬릿(121)과 제 2 슬릿(126)은 H빔(11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받침 프레임(130)은 이웃하는 두 개의 H빔(110) 각각의 끝단을 떠받친다. 받침 프레임(130)에는 제 1 슬릿(121)에 대응하는 제 1 프레임 홀(131)과 제 2 슬릿(126)에 대응하는 제 2 프레임 홀(132)이 형성된다.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은 H빔(110)의 일단에 배치된다.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에는 고정 핀(170)이 삽입되는 제 1 삽입 홀(141)이 형성된다.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은 H빔(110)의 일단보다 돌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의 끝단은 H빔(110)의 끝단과 동일한 가상의 평면 상에 놓일 수 있다.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 중 하나 이상의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은 하부 빔(111)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다른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은 상부 빔(112)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빔(111)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은 하부 빔(111) 및 빔 연결부(113)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빔(112)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은 상부 빔(112) 및 빔 연결부(113)에 고정될 수 있다.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은 용접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H빔(1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은 H빔(110)의 타단에 배치된다.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에는 고정 핀(170)이 삽입되는 제 2 삽입 홀(146)이 형성된다.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은 H빔(110)의 타단보다 돌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것과 같이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의 끝단은 H빔(110)의 끝단과 동일한 가상의 평면 상에 놓일 수 있다.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 중 하나 이상의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은 하부 빔(111)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다른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은 상부 빔(112)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빔(111)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은 하부 빔(111) 및 빔 연결부(113)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빔(112)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은 상부 빔(112) 및 빔 연결부(113)에 고정될 수 있다.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은 용접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H빔(1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이나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의 개수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는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 및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이 중앙 부분이 비어 있는 중공형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이들 위치 결정 블록(140)(145)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고정기구(150)는 제 1 받침대(120) 및 제 2 받침대(125)를 받침 프레임(130)에 고정한다. 고정기구(150)는 제 1 받침대(120)를 받침 프레임(130)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 1 고정 스터드(151) 및 복수의 제 1 체결부재(152)와, 제 2 받침대(125)를 받침 프레임(130)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 2 고정 스터드(154) 및 복수의 제 2 체결부재(155)를 포함한다. 제 1 고정 스터드(151) 및 제 2 고정 스터드(154)는 볼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 1 체결부재(152) 및 제 2 체결부재(155)는 각각의 고정 스터드(151)(154)와 결합되는 너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고정 스터드(151)는 제 1 받침대(120)의 제 1 슬릿(121) 및 받침 프레임(130)의 제 1 프레임 홀(131)에 삽입되고, 제 2 고정 스터드(154)는 제 2 받침대(125)의 제 2 슬릿(126) 및 받침 프레임(130)의 제 2 프레임 홀(132)에 삽입된다. 제 1 고정 스터드(151)가 제 1 슬릿(121) 및 제 1 프레임 홀(1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1 고정 스터드(151)에 제 1 체결부재(152)가 결합됨으로써 제 1 받침대(120)가 받침 프레임(13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고정 스터드(154)가 제 2 슬릿(126) 및 제 2 프레임 홀(1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2 고정 스터드(154)에 제 2 체결부재(155)가 결합됨으로써 제 2 받침대(125)가 받침 프레임(13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고정기구(150)는 도시된 것과 같은 볼트 형태의 고정 스터드(151)(154)와, 고정 스터드(151)(154)에 결합되는 너트 형태의 체결부재(152)(155)를 포함하는 구성 이외에, 받침대(120)(125)를 받침 프레임(130)에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연결부재(160)는 받침 프레임(130) 상에서 서로 이웃하는 두 H빔(110) 사이에 개재되어 두 H빔(110) 사이의 간극을 메우고, 두 H빔(110)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재(160)는 H빔(110)의 하부 빔(111)에 대응하는 형상의 하부 연결부(161)와, 상부 빔(112)에 대응하는 형상의 상부 연결부(162)와, 빔 연결부(113)와 마주하도록 하부 연결부(161)와 상부 연결부(162)를 연결하는 중간 연결부(163)와, 하부 연결부(161)와 중간 연결부(163) 사이 및 상부 연결부(162)와 중간 연결부(163)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확장부(164)(165)를 포함한다. 확장부(164)(165)는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 또는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과 마주하는 부분이다. 각각의 확장부(164)(165)에는 고정 핀(170)이 삽입되는 관통 홀(166)이 형성된다.
연결부재(160)는 두 H빔(110) 사이의 간극 크기에 따라 다양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핀(170)은 받침 프레임(130) 상에서 상호 마주하는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과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에 각각 결합되는 방식으로 이웃하는 두 개의 H빔(110)을 연결할 수 있다. 즉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웃하는 두 개의 H빔(110)이 받침 프레임(130) 상에 마주하도록 놓일 때 어느 한 H빔(110)의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과 다른 H빔(110)의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이 마주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 핀(170)이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의 제 1 삽입 홀(141)과 연결부재(160)의 관통 홀(166) 및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의 제 2 삽입 홀(146)에 삽입됨으로써 H빔들(110)을 연결하고, 연결부재(160)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100)의 시공 시 작업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한 H빔(110)의 끝단을 받침 프레임(130) 위에 올려놓고 고정기구(150)를 이용하여 H빔(110)을 받침 프레임(130)에 가고정한 후, 다른 H빔(110)의 끝단을 받침 프레임(130)에 가고정된 H빔(110)의 끝단과 마주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작업자는 한 H빔(110)의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과 다른 H빔(110)의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을 이용함으로써 H빔들(110) 각각의 끝단을 받침 프레임(130) 상에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즉 작업자는 받침 프레임(130) 상에서 한 H빔(110)의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과 다른 H빔(110)의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을 상호 마주하게 함으로써 두 개의 H빔(110)을 받침 프레임(130) 상에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이웃하는 두 개의 H빔(110) 사이의 간극에 맞춰 적절한 두께의 연결부재(160)를 두 개의 H빔(110)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핀(170)을 제 1 삽입 홀(141)과 관통 홀(166) 및 제 2 삽입 홀(146)에 삽입하여 두 개의 H빔(110)을 연결부재(160)를 통해 연결하고, 고정기구(150)를 이용하여 연결된 두 개의 H빔(110)을 받침 프레임(13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작업자가 제 1 고정 스터드(151) 및 제 1 체결부재(152)로 H빔(110)을 받침 프레임(130)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제 1 고정 스터드(151)는 제 1 슬릿(121) 속에서 그 위치가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어 제 1 받침대(120)가 구비된 H빔(110)의 끝단은 받침 프레임(130) 상에서 그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제 2 고정 스터드(154) 및 제 2 체결부재(155)로 H빔(110)을 받침 프레임(130)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제 2 고정 스터드(154)는 제 2 슬릿(126) 속에서 그 위치가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어 제 2 받침대(125)가 구비된 H빔(110)의 끝단은 받침 프레임(130) 상에서 그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100)은 시공 과정에서 H빔(110)의 가공 오차나 조립 오차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이웃하는 두 개의 H빔(110)이 이격되더라도, 연결부재(160)가 이웃하는 두 개의 H빔(110) 사이에 개재되어 이웃하는 H빔들(110) 사이의 간극을 메우고 이들 H빔(110)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H빔들(11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갠트리 로봇 등 이동체의 주행 안정성을 떨어트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레일 시스템(200)은 앞서 설명한 레일 시스템(100)과 비교하여 H빔(110)에 구비되는 제 1 위치 결정 블록(210)과 제 2 위치 결정 블록(215)이 변형된 것이다. H빔(110)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 1 위치 결정 블록(210)은 삽입 홀(211)을 갖는다. 그리고 H빔(110)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 1 위치 결정 블록(210)은 제 1 위치 결정 블록(210)이 삽입 홀(2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H빔(110)의 끝단에서 H빔(11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 핀(21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200)은 받침 프레임(130) 상에서 제 2 위치 결정 블록(215)의 고정 핀(216)이 연결부재(160)의 관통 홀(166)을 통과하여 제 1 위치 결정 블록(210)의 삽입 홀(211)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이웃하는 두 개의 H빔(110)이 연결부재(16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레일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7 내지 도 13은 도 5에 나타낸 레일 시스템의 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300)은 차례로 연결되는 복수의 H빔(110)과, H빔(110)을 떠받치기 위한 받침 프레임(320)과, H빔(110)을 받침 프레임(32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기구(150)와, 이웃하는 두 개의 H빔(1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는 연결부재(160)와, 이웃하는 두 개의 H빔(110)을 연결하기 위한 고정 핀(17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고정기구(150)와, 연결부재(160) 및 고정 핀(170)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다.
H빔(110)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것으로, H빔(110)에는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 및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이 구비된다. 또한 H빔(110)의 양쪽 끝단에는 제 1 받침대(310) 및 제 2 받침대(315)가 각각 구비된다. 제 1 받침대(310)는 H빔(110)의 일단에 고정되고, 제 2 받침대(315)는 H빔(110)의 타단에 고정된다. 제 1 받침대(310)는 H빔(110)에 고정되는 베이스부(311)와, 베이스부(311)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바닥 돌출부(313)를 포함한다. 베이스부(311)에는 제 1 고정 스터드(151)가 삽입될 수 있는 제 1 슬릿(312)이 구비된다. 제 1 슬릿(312)은 H빔(11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 1 받침대(310)는 받침 프레임(320) 쪽으로 돌출되는 바닥 돌출부(313)가 받침 프레임(320)에 접함으로써 받침 프레임(320)에 의해 떠받쳐질 수 있다. 제 2 받침대(315)에는 제 2 고정 스터드(154)가 삽입될 수 있는 제 2 슬릿(316)이 구비된다.
받침 프레임(320)은 이웃하는 두 개의 H빔(110) 중 어느 한 H빔(110)의 끝단을 떠받치는 제 1 받침부(321)와, 다른 H빔(110)의 끝단을 떠받치는 제 2 받침부(326)를 포함한다. 제 1 받침부(321)에는 제 1 고정 스터드(151)가 삽입될 수 있는 제 1 프레임 홀(322a)(322b)(322c)이 형성되고, 제 2 받침부(326)에는 제 2 고정 스터드(154)가 삽입될 수 있는 제 2 프레임 홀(327)이 형성된다.
또한 제 1 받침부(321)에는 제 1 받침대(310)를 수용할 수 있는 프레임 홈(323)이 마련된다. 프레임 홈(323) 속에는 제 1 받침대(310)의 바닥 돌출부(313)를 떠받칠 수 있는 복수의 받침면(324a)(324b)(324c)이 구비된다. 복수의 받침면(324a)(324b)(324c)은 바닥 돌출부(313)를 각기 다른 높이로 떠받칠 수 있도록 계단식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 2 받침부(326)에 가장 가까운 제 1 받침면(324a)은 가장 높게 위치하여 바닥 돌출부(313)를 가장 높게 떠받칠 수 있다. 제 1 받침면(324a)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 2 받침면(324b)은 제 1 받침면(324a)보다 낮게 배치되어 바닥 돌출부(313)를 제 1 받침면(324a)보다 낮게 떠받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받침면(324b)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 3 받침면(324c)은 제 2 받침면(324b)보다 낮게 배치되어 바닥 돌출부(313)를 제 2 받침면(324b)보다 낮게 떠받칠 수 있다.
제 1 받침부(321)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 1 프레임 홀(322a)(322b)(322c)은 각각의 한쪽 끝단이 프레임 홈(323) 속에 위치한다. 또한 복수의 제 1 프레임 홀(322a)(322b)(322c)은 제 2 받침부(326)로부터의 거리가 각기 다르게 이격 배치된다.
H빔(110)이나 받침대(310)(315)의 가공 오차, 또는 H빔(110)과 받침대(310)(315)의 조립 오차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받침 프레임(320)에 놓이는 두 H빔(110)의 높이가 다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300)은 시공 과정에서 바닥 돌출부(313)가 복수의 받침면(324a)(324b)(324c) 중 적절한 것 위에 놓임으로써 받침 프레임(320)에 놓이는 두 H빔(110)의 높이가 일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300)을 시공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H빔(110)을 받침 프레임(32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제 2 받침대(315)가 구비된 H빔(110)의 끝단이 먼저 제 2 받침부(326) 위에 배치된다. 이후, 다른 H빔(110)의 끝단이 제 2 받침부(326)에 놓인 H빔(110)의 끝단과 마주하도록 제 1 받침부(321) 위에 놓인다. 작업자는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다른 H빔(110)에 구비된 제 1 받침대(310)의 바닥 돌출부(313)가 제 1 받침면(324a)에 접하도록 제 1 받침대(310)를 제 1 받침부(321)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두 H빔(110) 사이의 간극은 연결부재(160)로 메워질 수 있다. 즉 작업자는 두 H빔(110) 사이의 간극 크기에 따라 적절한 두께의 연결부재(160)를 두 H빔(110) 사이에 끼워넣어 두 H빔(110)을 연결부재(160)로 연결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고정 핀(170)과 고정기구(150)를 이용하여 두 H빔(110)을 연결부재(160)를 통해 연결하고, 각각의 H빔(110)을 받침 프레임(320)에 고정할 수 있다. 고정기구(150)의 제 1 고정 스터드(151)는 복수의 제 1 프레임 홀(322a)(322b)(322c) 중에서 제 1 받침대(310)의 제 1 슬릿(312)과 마주하는 제 1 프레임 홀(322a)에 삽입되어 제 2 체결부재(15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받침 프레임(320)과 제 1 받침대(310)의 베이스부(311) 사이의 틈새 높이에 맞춰 적절한 두께의 받침부재(340)를 프레임 홈(323) 속에 삽입할 수 있다. 프레임 홈(323) 속에 삽입되는 받침부재(340)는 베이스부(311)를 떠받침으로써 제 1 받침대(310)가 받침 프레임(320)에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해준다.
위와 같이, 레일 시스템(300)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작업자는 프레임 홈(323) 속에서 제 1 받침대(310)의 바닥 돌출부(313) 위치를 적절하게 변경하는 방식으로 이웃하는 두 H빔(110)의 높이를 일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1 받침대(310)의 바닥 돌출부(313)가 제 2 받침면(324b)에 접하도록 제 1 받침대(310)를 제 1 받침부(321)에 위치시켜 이웃하는 두 H빔(110)의 높이를 일치시킬 수 있다. 이때, 두 H빔(110) 사이의 간극은 연결부재(160')로 메워질 수 있다. 즉 작업자는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두 H빔(110) 사이의 간극 크기에 따라 적절한 두께의 연결부재(160')를 두 H빔(110) 사이에 끼워넣어 두 H빔(110)을 연결부재(160')로 연결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고정 핀(170)을 이용하여 두 H빔(110)을 연결부재(160')를 통해 연결하고, 고정기구(150)를 이용하여 각각의 H빔(110)을 받침 프레임(320)에 고정할 수 있다. 고정기구(150)의 제 1 고정 스터드(151)는 복수의 제 1 프레임 홀(322a)(322b)(322c) 중에서 제 1 받침대(310)의 제 1 슬릿(312)과 마주하는 제 1 프레임 홀(322b)에 삽입되어 제 2 체결부재(15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받침 프레임(320)과 제 1 받침대(310)의 베이스부(311) 사이의 틈새 높이에 맞춰 적절한 두께의 받침부재(340')를 프레임 홈(323) 속에 삽입하여 받침부재(340')로 제 1 받침대(310)를 떠받칠 수 있다.
또한 레일 시스템(300)의 시공 과정에서 작업자는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1 받침대(310)의 바닥 돌출부(313)가 제 3 받침면(324c)에 접하도록 제 1 받침대(310)를 제 1 받침부(321)에 위치시켜 이웃하는 두 H빔(110)의 높이를 일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두 H빔(110) 사이의 간극 크기에 맞춰 적절한 두께의 연결부재(160")를 두 H빔(110) 사이에 끼워넣어 두 H빔(110) 사이의 간극을 메울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고정기구(150)의 제 1 고정 스터드(151)를 복수의 제 1 프레임 홀(322a)(322b)(322c) 중에서 제 1 받침대(310)의 제 1 슬릿(312)과 마주하는 제 1 프레임 홀(322c)에 삽입하고 제 2 체결부재(155)를 제 1 고정 스터드(151)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받침 프레임(320)과 제 1 받침대(310)의 베이스부(311) 사이의 틈새 높이에 맞춰 적절한 두께의 받침부재(340")를 프레임 홈(323) 속에 삽입하여 받침부재(340")로 제 1 받침대(310)를 떠받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H빔(110)에 결합되는 제 1 받침대(310) 및 제 2 받침대(315) 모두가 바닥 돌출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받침 프레임(320)의 제 2 받침부(326)에도 프레임 홈과 복수의 받침면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시스템용 연결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에 나타낸 연결부재(410)는 연결부재 바디(420)와, 연결부재 바디(420)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 1 탄성패드(421)와, 연결부재 바디(420)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 2 탄성패드(429)를 포함한다. 연결부재 바디(420)는 하부 연결부(161)와, 상부 연결부(162)와, 중간 연결부(163)와, 확장부(164)(165)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들 부분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술한 것과 같다. 제 1 탄성패드(421)는 하부 연결부(161)에 대응하는 하부 패드부(422)와, 상부 연결부(162)에 대응하는 상부 패드부(423)와, 중간 연결부(163)에 대응하는 연결 패드부(424)와, 확장부(164)(165)에 대응하는 확장 패드부(425)(426)를 포함한다. 확장 패드부(425)(426)에는 연결부재 바디(420)의 관통 홀(166)에 대응하는 패드 홀(427)이 형성된다. 제 1 탄성패드(421)는 이웃하는 두 개의 H빔(110) 중에서 어느 하나의 끝단에 단단히 압착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제 2 탄성패드(429)는 이웃하는 두 개의 H빔(110) 중에서 다른 하나의 끝단에 압착될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구성은 제 1 탄성패드(421)와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410)는 이웃하는 두 개의 H빔(110) 사이에 개재될 때, 제 1 탄성패드(421) 및 제 2 탄성패드(429)가 이웃하는 두 개의 H빔(110) 각각의 끝단에 접하여 탄성 변형됨으로써, 두 개의 H빔(110)과 각각 더욱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고, H빔(110)의 길이 방향으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410)의 다른 변형예로서, 연결부재 바디의 한쪽 단부에만 탄성패드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고정 스터드가 삽입되는 받침대의 슬릿과 받침 프레임의 프레임 홀 중에서 받침대의 슬릿만 H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슬릿과 프레임 홀 모두 H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프레임 홀만 H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300 : 레일 시스템 110 : H빔
120, 310 : 제 1 받침대 125, 315 : 제 2 받침대
130, 320 : 받침 프레임 140, 210 : 제 1 위치 결정 블록
145, 215 : 제 2 위치 결정 블록 150 : 고정기구
151 : 제 1 고정 스터드 152 : 제 1 체결부재
154 : 제 2 고정 스터드 155 : 제 2 체결부재
160, 160', 160", 410 : 연결부재 170, 216 : 고정 핀
311 : 베이스부 313 : 바닥 돌출부
321 : 제 1 받침부 324a, 324b, 324c : 받침면
326 : 받침부 340, 340', 340" : 받침부재
420 : 연결부재 바디 421 : 제 1 탄성패드
429 : 제 2 탄성패드
120, 310 : 제 1 받침대 125, 315 : 제 2 받침대
130, 320 : 받침 프레임 140, 210 : 제 1 위치 결정 블록
145, 215 : 제 2 위치 결정 블록 150 : 고정기구
151 : 제 1 고정 스터드 152 : 제 1 체결부재
154 : 제 2 고정 스터드 155 : 제 2 체결부재
160, 160', 160", 410 : 연결부재 170, 216 : 고정 핀
311 : 베이스부 313 : 바닥 돌출부
321 : 제 1 받침부 324a, 324b, 324c : 받침면
326 : 받침부 340, 340', 340" : 받침부재
420 : 연결부재 바디 421 : 제 1 탄성패드
429 : 제 2 탄성패드
Claims (7)
- 하부 빔과, 상기 하부 빔과 마주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상부 빔과, 상기 하부 빔의 중간 부분과 상기 상부 빔의 중간 부분을 연결하는 빔 연결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끝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의 H빔;
상기 H빔을 떠받치는 받침 프레임;
상기 하부 빔에 대응하는 형상의 하부 연결부와, 상기 상부 빔에 대응하는 형상의 상부 연결부와, 상기 빔 연결부와 마주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연결부와 상기 상부 연결부를 연결하는 중간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H빔 중에서 이웃하는 두 개의 H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이웃하는 두 개의 H빔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받침 프레임의 제 1 받침부에 접하도록 상기 각 H빔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 1 받침대; 및
상기 받침 프레임의 제 2 받침부에 접하도록 상기 각 H빔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 2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받침대는 상기 H빔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받침 프레임 쪽으로 돌출되는 바닥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받침부에는 상기 제 1 받침대를 수용할 수 있는 프레임 홈과, 상기 바닥 돌출부를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홈 속에 배치되는 복수의 받침면이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받침면은 상기 바닥 돌출부를 각기 다른 높이로 떠받칠 수 있도록 계단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H빔의 일단에 상기 각 H빔의 일단보다 돌출되지 않게 배치되는 제 1 위치 결정 블록;
상기 각 H빔의 타단에 상기 각 H빔의 타단보다 돌출되지 않게 배치되는 제 2 위치 결정 블록; 및
이웃하는 두 개의 H빔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상기 제 1 위치 결정 블록의 제 1 삽입 홀과 이웃하는 두 개의 H빔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상기 제 2 위치 결정 블록의 제 2 삽입 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이웃하는 두 개의 H빔을 연결하는 고정 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고정 핀이 삽입되는 관통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관통 홀이 형성된 확장부를 구비하되,
상기 확장부는 상기 하부 연결부와 상기 중간 연결부의 사이 및 상기 상부 연결부와 상기 중간 연결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하부 연결부와, 상기 상부 연결부와, 상기 중간 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부재 바디와,
이웃하는 두 개의 H빔 중에서 어느 하나의 끝단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 바디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 1 탄성패드와,
이웃하는 두 개의 H빔 중에서 다른 하나의 끝단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 바디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 2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시스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를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홈 속에 삽입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시스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8052A KR102673511B1 (ko) | 2022-04-19 | 2022-04-19 | 레일 시스템 및 레일 시스템용 연결부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8052A KR102673511B1 (ko) | 2022-04-19 | 2022-04-19 | 레일 시스템 및 레일 시스템용 연결부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48985A KR20230148985A (ko) | 2023-10-26 |
KR102673511B1 true KR102673511B1 (ko) | 2024-06-11 |
Family
ID=88509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48052A KR102673511B1 (ko) | 2022-04-19 | 2022-04-19 | 레일 시스템 및 레일 시스템용 연결부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73511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9162545U (zh) * | 2018-09-15 | 2019-07-26 | 杭州保利电梯导轨制造有限公司 | 一种铁路导轨接头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181602U (ko) * | 1986-05-08 | 1987-11-18 | ||
KR20090105184A (ko) | 2008-04-01 | 2009-10-07 | (주)나라 지엔에스 | 모노레일 시스템의 운송구조 및 이를 이용한 운송기구 |
DE102010037523A1 (de) * | 2010-09-14 | 2012-03-15 |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 Verbindungsanordnung zweier Schienenabschnitte |
KR20150019947A (ko) * | 2013-08-16 | 2015-02-25 | (주)신승엔지니어링 | 철도레일의 절연 이음매부 고정장치 |
-
2022
- 2022-04-19 KR KR1020220048052A patent/KR10267351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9162545U (zh) * | 2018-09-15 | 2019-07-26 | 杭州保利电梯导轨制造有限公司 | 一种铁路导轨接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48985A (ko) | 2023-10-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363883B2 (en) | Modular structure for a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 |
AU2021203812B2 (en) | A controller and method for transporting devices | |
US5097769A (en) | Structure for supporting trackway of a track following transportation system, in particular, a magnetic suspension railroad | |
US20160251159A1 (en) | Hole-Free Rail Bracket | |
KR102673511B1 (ko) | 레일 시스템 및 레일 시스템용 연결부재 | |
KR102673510B1 (ko) | 레일 시스템 | |
US4155444A (en) | Conveyor belt slat link | |
EP4063298A1 (en) | Stacker crane | |
KR102112957B1 (ko) | 브래킷 기구 | |
US20230303322A1 (en) | Warehouse for the storage and retrieval of goods or bundles of goods placed on load carriers | |
CN219703979U (zh) | 组对焊接设备和组对焊接系统 | |
JP2024047338A (ja) | 物品搬送設備 | |
KR102531276B1 (ko) | 타이어 적재용 팔레트 | |
CN219097294U (zh) | 托盘组件 | |
KR200393370Y1 (ko) | 철제 팔레트 | |
CN215709058U (zh) | 一种穿梭车导轨 | |
KR102525891B1 (ko) | 배터리 이송용 스키드 지그 장치 | |
CN219258470U (zh) | 一种料箱机器人的底盘和料箱机器人 | |
CN211309742U (zh) | 一种用于无巷道料箱搬运设备的轨道及货架 | |
CN221092292U (zh) | 一种交叉轨形式货架 | |
CN213324202U (zh) | 一种地铁空调壳体变位运输工装 | |
KR102163484B1 (ko) | 물품 이송 시스템 | |
JP2000127727A (ja) | 台車連結治具とそれを使用した台車連結構造 | |
JP6031296B2 (ja) | パレットチェンジャ及びパレットチェンジャの格納方法 | |
JPH08324727A (ja) | 格納棚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