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2098B1 - 유리판재 정렬기 - Google Patents

유리판재 정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2098B1
KR102672098B1 KR1020240009686A KR20240009686A KR102672098B1 KR 102672098 B1 KR102672098 B1 KR 102672098B1 KR 1020240009686 A KR1020240009686 A KR 1020240009686A KR 20240009686 A KR20240009686 A KR 20240009686A KR 102672098 B1 KR102672098 B1 KR 102672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unit
sheet
glass plate
she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09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식
Original Assignee
(주)유창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창 filed Critical (주)유창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2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20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7Sheet handling, means, e.g. manipulators, devices for turning or tilting sheet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65G49/064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in a horizont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8Stacking or destack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damage to stacked sheets, e.g. spaces
    • B65G49/069Means for avoiding damage to stacked plate glass, e.g. by interposing paper or powder spacers in the stack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40/00Preventing adhesion between glass and glass or between glass and the means used to shape it, hold it or support it
    • C03B40/005Fabrics, felts or loos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재 정렬기는, 유리판재와 간지가 교번 적층된 유리적층물에서 간지가 얹어진 유리판재를 동시에 흡착 및 이송한 후 간지만 제거하는 유닛조립체와, 상기 유닛조립체가 제거한 간지를 수집하는 간지수집유닛과, 상기 유닛조립체가 이송한 유리판재를 지지하고, 미리 설정된 위치 및 각도로 정렬하는 유리정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리판재 정렬기{Glass pannel alignment device}
본 발명은 유리판재 정렬기에 관한 것으로, 유리판재를 지지하고 정렬하며 유리판재의 불량여부 및 안착 상태를 확인하는 유리정렬유닛이 구비되어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유리판재 정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번 적층된 유리판재와 간지를 동시에 흡착하여 유리판재에 자국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유리정렬유닛으로 이송하는 유닛조립체를 구비하여 긁힘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리판재 정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리판재 상/하측의 간지를 수집하는 간지수집유닛을 구비하여 유리정렬유닛에 유리판재만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유리판재 정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리판재와 간지 다수가 교번 적층된 유리적층물에서 간지가 얹어진 유리판재를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유리분리유닛을 구비하여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한 유리판재 정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리판재 하측의 간지가 딸려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는 간지분리유닛을 구비하여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리판재 정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간지가 얹어진 유리판재를 동시에 이송하여 목표지점에 안착한 후 간지만 제거하는 간지제거유닛이 구비된 유리판재 정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리정렬유닛에 안착된 유리판재가 뒤집히지 않고 바르게 안착되었는지 여부와, 유리판재의 인쇄부가 바르게 인쇄되었는지 여부를 감별하는 불량감별유닛을 구비하여 불량율을 낮출 수 있도록 한 유리판재 정렬기에 관한 것이다.
유리는 석영, 탄산 소다, 석회암을 섞어 높은 온도에서 녹인 다음 냉각하여 만든 물질로, 산업현장 또는 가정에서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유리판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원료를 배합하고 용융한 후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는 성형 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송레일을 따라 이송시키거나 별도의 이송장치를 사용하여 이송하게 된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50370호에는 도 1과 같이 흡착 플레이트의 양면에 유리판을 흡착할 수 있도록 한 유리판 로딩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57698호에는 도 2와 같이 유리판 이송로봇의 아암이 시소처럼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여 설치 면적이 적게 드는 유리판 이송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유리 가공 공장에서는 동일한 모양으로 가공된 유리판재가 대량으로 생산되며, 이러한 유리판재들은 적층 및 이송되고, 보관되는 과정에서 상호 마찰, 충격에 의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3과 같이 유리판 사이에 간지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한 유리판-간지 적층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간지가 삽입된 상태로 적층된 사출성형에 인서트되는 등의 후공정에 투입하고자 할 때에는 간지를 제거하여야 하며, 최종 사출성형기의 바로 직전 공정까지 이송할 때까지는 유리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간지가 끼워져 이동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898607호에는 도 4와 같이 간지이송로봇(120)과 유리판 이송로봇(110)을 별개로 구성하여 유리판 사이에 개재되는 간지를 제거하면서 유리판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한 유리판-간지 이송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4의 종래기술은 간지와 유리판을 교번하여 이송함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리판 이송로봇이 유리판을 들어올리기 위해 진공흡착단을 접촉시키는 경우 접촉부위에 자국이 남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뿐만 아니라 유리판에 남은 자국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제거해주어야 하므로 생산 원가를 증가시키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유리판재를 지지하고 정렬하며 유리판재의 불량여부 및 안착 상태를 확인하는 유리정렬유닛이 구비되어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유리판재 정렬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번 적층된 유리판재와 간지를 동시에 흡착하여 유리판재에 자국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유리정렬유닛으로 이송하는 유닛조립체를 구비하여 긁힘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리판재 정렬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리판재 상/하측의 간지를 수집하는 간지수집유닛을 구비하여 유리정렬유닛에 유리판재만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유리판재 정렬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리판재와 간지 다수가 교번 적층된 유리적층물에서 간지가 얹어진 유리판재를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유리분리유닛을 구비하여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한 유리판재 정렬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리판재 하측의 간지가 딸려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는 간지분리유닛을 구비하여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리판재 정렬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지가 얹어진 유리판재를 동시에 이송하여 목표지점에 안착한 후 간지만 제거하는 간지제거유닛이 구비된 유리판재 정렬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리정렬유닛에 안착된 유리판재가 뒤집히지 않고 바르게 안착되었는지 여부와, 유리판재의 인쇄부가 바르게 인쇄되었는지 여부를 감별하는 불량감별유닛을 구비하여 불량율을 낮출 수 있도록 한 유리판재 정렬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재 정렬기는, 유리판재와 간지가 교번 적층된 유리적층물에서 간지가 얹어진 유리판재를 동시에 흡착 및 이송한 후 간지만 제거하는 유닛조립체와, 상기 유닛조립체가 제거한 간지를 수집하는 간지수집유닛과, 상기 유닛조립체가 이송한 유리판재를 지지하고, 미리 설정된 위치 및 각도로 정렬하는 유리정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리정렬유닛은, 다수로 이루어져 다수의 유리판재를 동시에 정렬 가능하며, 상기 유리판재를 상방향으로 지지하는 안착블럭과, 상기 유리판재의 전/후 방향을 정렬하는 전후정렬부와, 상기 유리판재의 좌/우 방향을 정렬하는 좌우정렬부와, 상기 좌우정렬부 작동시 유리판재의 단부와 접촉하여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유리판재의 유무를 감지하는 유무감지센서와, 상기 스토퍼와 유리판재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닛조립체는,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흡착력을 발생하는 흡착유닛과, 다수의 유리판재와 간지 중 한 쌍을 선별하여 분리하는 유리분리유닛과, 상기 유리분리유닛이 분리한 유리판재 하측에 기체를 분사하여 간지를 분리하는 간지분리유닛과, 상기 유리정렬유닛에 투입된 유리판재 상면의 간지를 파지하여 제거하는 간지제거유닛과, 상기 흡착유닛, 유리분리유닛, 간지분리유닛 및 간지제거유닛을 동시에 지지하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하는 유닛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리분리유닛은, 유리판재의 측면 상부를 측방향으로 밀어 하측의 간지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블럭과, 상기 슬라이딩블럭에 의해 밀려진 유리판재의 타측 하면을 상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을 승강하여 슬라이딩된 유리판재와 하측의 간지를 이격하는 이격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지제거유닛은, 상기 유닛조립체의 하부에서 신축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와 연동하여 승강하며, 외부에서 공급된 힘에 의해 간지를 선택적으로 파지하는 파지구와, 상기 파지구 일측에 설치되어 간지와 접촉시 마찰력을 발생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지수집유닛 일측에는, 상기 간지제거유닛이 파지한 간지에 기체를 분사하여 간지수집유닛으로 낙하시키는 에어노즐과, 상기 간지와 직접 접촉하여 분리하는 브러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유닛은, 상기 지지블럭의 상승으로 유리판재가 기울어질 때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리정렬유닛 상측에는, 상기 유리정렬유닛에 안착된 유리판재가 뒤집히지 않고 바르게 안착되었는지 여부와, 유리판재의 인쇄부가 바르게 인쇄되었는지 여부를 감별하는 불량감별유닛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유리판재를 지지하고 정렬하며 유리판재의 불량여부 및 안착 상태를 확인하는 유리정렬유닛이 구비되어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교번 적층된 유리판재와 간지를 동시에 흡착하여 유리판재에 자국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유리정렬유닛으로 이송하는 유닛조립체를 구비하여 긁힘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리판재 상/하측의 간지를 수집하는 간지수집유닛을 구비하여 유리정렬유닛에 유리판재만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유리판재와 간지 다수가 교번 적층된 유리적층물에서 간지가 얹어진 유리판재를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유리분리유닛을 구비하여 자동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유리판재 하측의 간지가 딸려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는 간지분리유닛을 구비하여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유리정렬유닛에 안착된 유리판재가 뒤집히지 않고 바르게 안착되었는지 여부와, 유리판재의 인쇄부가 바르게 인쇄되었는지 여부를 감별하는 불량감별유닛을 구비하여 불량율을 낮출 수 있다.
도 1 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50370호에 개시된 유리판 로딩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2 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57698호에 개시된 유리판 이송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501225호에 개시된 유리판-간지 적층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898607호에 개시된 유리판-간지 이송장치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재 정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측면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재 정렬기에 투입되는 유리판재 및 간지가 적재된 모습을 보인 정면사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재 정렬기에서 요부 구성인 유닛조립체의 외관을 보인 확대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재 정렬기에서 요부 구성인 유닛조립체의 세부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재 정렬기에서 요부 구성인 유닛조립체의 세부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재 정렬기에서 일 구성인 유리분리유닛 사이에 유리판재가 위치한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재 정렬기에서 일 구성인 유리분리유닛의 작용을 보인 측면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재 정렬기에서 일 구성인 간지분리유닛의 작용을 보인 측면도.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재 정렬기에서 일 구성인 승강실린더의 작용을 보인 측면도.
도 14 는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재 정렬기에서 유리판재가 안착된 모습을 보인 실물 사진.
도 15 는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재 정렬기에서 요부구성인 유리정렬유닛을 세부적으로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16 은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재 정렬기에서 요부 구성인 유리정렬유닛의 세부 구조를 보인 도 15의 "A"부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재 정렬기(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재 정렬기(10)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측면 외관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재 정렬기(10)에 투입되는 유리판재(G) 및 간지(P)가 적재된 모습을 보인 정면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5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재 정렬기(10)는 좌/우로 긴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우측에 적재된 유리판재(G) 및 간지(P)를 하나씩 동시에 흡착하여 좌측으로 옮긴 후 간지(P)는 제거하고 유리판재(G)는 정렬한 후 사출장치 등의 후공정장치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유리판재 정렬기(10)는 도 6과 같이 교번하여 적층된 유리판재(G)와 간지(P)를 이송하는 것으로서, 가장 상측에는 간지(P)가 위치하고 아래 방향으로 유리판재(G)와 간지(P)가 교번하여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유리판재 정렬기(10)는 간지(P)와 접촉한 상태로 흡입력을 제공하여 간지(P)의 하측에 위치한 유리판재(G)와 함께 흡착하여 이송한 후 정렬하게 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유리판재 정렬기(10)는 크게 유리판재(G)와 간지(P)가 교번 적층된 유리적층물에서 간지(P)가 얹어진 유리판재(G)를 동시에 흡착 및 이송한 후 간지(P)만 제거하는 유닛조립체(200)와, 상기 유닛조립체(200)가 제거한 간지(P)를 수집하는 간지수집유닛(300)과, 상기 유닛조립체(200)가 이송한 유리판재(G)를 지지하고, 미리 설정된 위치 및 각도로 정렬하는 유리정렬유닛(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리적층물은 간지(P)와 유리판재(G) 다수가 적층된 것으로서, 외부에서 공급되며 이송테이블(20)의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송한 후 멈추어 대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테이블(20)의 우측 상면을 따라 이송된 유리판재(G) 및 간지(P)의 유리적층물은 이송테이블(20) 상면을 따라 좌측 방향으로 이송되며, 유닛조립체(200)에 의해 맨 상측의 간지(P) 및 유리판재(G)만 들어올려진 후 유리정렬유닛(100)으로 이송하여 안착하게 된다.
이휴 상기 유닛조립체(200)는 유리정렬유닛(100)에 공급된 유리판재(G)와 간지(P) 중 유리판재(G) 상면에 덮여있는 간지(P)만 파지하여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간지수집유닛(300)에 버리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유닛조립체(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리판재(G) 및 간지(P)를 흡착하고, 이송하며 유리정렬유닛(100)에 투입하는 기능과, 투입된 간지(P)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기능도 동시에 수행하는 것으로, 가이드레일(400)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며, 상기 가이드레일(400)은 이송테이블(20)에서 유리정렬유닛(100)까지 좌/우로 길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테이블(20)과 유닛조립체(200)에는 유리판재(G)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S)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S)는 적외선센서가 적용될 수도 있고, 근접센서가 적용될 수도 있으며, 물리적 힘에 의해 눌러져 유무를 감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테이블(20)에 대기중인 유리판재(G)와 간지(P)는 하중을 가지므로 접촉스위치가 적용되고, 이에 더하여 투명한 유리판재(G) 위에 간지(P) 여부를 동시에 감지할 수 있도록 적외선 센서가 병행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유닛조립체(200)에는 도 7과 같이 접촉여부로서 유리판재(G)의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S)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간지수집유닛(300) 인근에는 에어노즐(N)이 구비된다. 상기 에어노즐(N)은 유닛조립체(200)가 유리정렬유닛(100)에 안착된 유리판재(G) 상면의 간지(P)를 파지하여 옮길 때 기체를 분사하여 간지(P)를 간지수집유닛(300)에 낙하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간지수집유닛(300)에는 브러쉬(B)가 더 구비된다. 상기 브러쉬(B)는 간지(P)와 직접 접촉하여 유리판재(G)로부터 간지(P)를 분리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브러쉬(B)는 회전하는 원기둥 형태가 채택되었으며, 상기 유리판재(G)가 유닛조립체(200)에 의해 흡착되어 좌측으로 이동할 때 유리판재(G) 하면과 접촉함으로써 유리판재(G) 하면에 정전기 등으로 인해 부착된 간지(P)를 분리하게 된다.
상기 유리정렬유닛(100) 상측에는 불량감별유닛(5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불량감별유닛(500)은 다수의 유리정렬유닛(100)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구비되어 있으며, 유리정렬유닛(100)의 수직 상방에 배치되어 하측 방향으로 촬상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불량감별유닛(500)은 유리정렬유닛(100)에 안착된 유리판재(G)를 촬상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양품 사진과 차이점을 비교함으로써 불량 여부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상기 유리판재(G)에 인쇄된 인쇄부의 위치가 상이한 경우 유리판재(G)가 뒤집혀 있는 상태이므로 이를 감지할 수 있고, 인쇄부 일부가 지워져 있거나, 완전하지 않게 인쇄된 경우에도 이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양품 사진과 비교함으로써 차이를 감지하여 불량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판재(G) 상/하면에 간지(P)가 부착된 상태라 하더라도, 간지(P)가 흰색 등 색상을 가지고, 유리판재(G)가 투명함에 따라 미리 저장된 양품 사진과 비교하여 불량 여부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유닛조립체(2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재 정렬기(10)에서 요부 구성인 유닛조립체(200)의 외관을 보인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재 정렬기(10)에서 요부 구성인 유닛조립체(200)의 세부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재 정렬기(10)에서 요부 구성인 유닛조립체(200)의 세부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유닛조립체(200)는 가이드레일(400)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유닛조립체(200)는,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흡착력을 발생하는 흡착유닛(210)과, 다수의 유리판재(G)와 간지(P) 중 한 쌍을 선별하여 분리하는 유리분리유닛(220)과, 상기 유리분리유닛(220)이 분리한 유리판재(G) 하측에 기체를 분사하여 간지(P)를 분리하는 간지분리유닛(230)과, 상기 유리정렬유닛(100)에 투입된 유리판재(G) 상면의 간지(P)를 파지하여 제거하는 간지제거유닛(240)과, 상기 흡착유닛(210), 유리분리유닛(220), 간지분리유닛(230) 및 간지제거유닛(240)을 동시에 지지하며 가이드레일(400)을 따라 이송하는 유닛블럭(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흡착유닛(210)은 외부에 설치된 흡입장치(미도시)와 호스로 연결되어 간지(P) 및 유리판재(G)에 흡입력을 발생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4개로 구성하였으며, 사각형 형태로 배치하되, 상기 간지(P)의 외곽 크기보다 작은 사각형을 그리도록 배치하였다.
그리고 상기 흡착유닛(210)은 유리판재(G)가 기울어질 때 구부러지거나 꺽이지 않고 흡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요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리분리유닛(220)은 교번하여 적층된 간지(P)와 유리판재(G)에서 맨 상측의 유리판재(G)에 측방향 힘을 가하고, 힘이 가해진 반대측에서는 돌출된 유리판재(G)의 하면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려 분리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유리분리유닛(220)은, 유리판재(G)의 측면 상부를 측방향으로 밀어 하측의 간지(P)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블럭(222)과, 상기 슬라이딩블럭(222)에 의해 밀려진 유리판재(G)의 타측 하면을 상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블럭(224)과, 상기 지지블럭(224)을 승강하여 슬라이딩된 유리판재(G)와 하측의 간지(P)를 이격하는 이격구(2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블럭(222)은 하단부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유리판재(G)의 측면과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블럭(222)은 제1실린더(223)와 연동하여 좌/우로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다.
상기 슬라이딩블럭(222)의 반대편에는 지지블럭(224)이 배치된다. 상기 지지블럭(224)은 하부가 돌출되되 상기 슬라이딩블럭(222)의 돌출된 하부보다는 길게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된 부위의 상면은 상기 유리판재(G) 하면을 상방향으로 떠받쳐 지지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상기 지지블럭(224)은 제2실린더(225)와 연동하여 좌/우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지지블럭(224)은 이격구(226)에 설치되며, 상기 이격구(226)는 제2실린더(225)에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격구(226)는 하부가 상/하 방향으로 신축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블럭(224)은 이격구(226)에 의해 승강 가능하고, 제2실린더(225)에 의해 좌/우 방향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블럭(224)에는 간지분리유닛(230)이 위치한다. 상기 간지분리유닛(230)은 지지블럭(224)의 돌출된 하부에서 천공되어 기체를 분사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유리분리유닛(220)에 의해 간지(P)가 얹혀진 유리판재(G)가 들어올려질 때 유리판재(G) 하측에 위치한 간지(P)가 딸려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간지분리유닛(230)이 기체를 분사하게 되면, 상기 유리판재(G)의 하면에 정전기나 표면장력 등의 이유로 딸려 올라오는 간지(P)는 유리판재(G)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간지제거유닛(240)은 슬라이딩블럭(222)과 지지블럭(224) 사이에 위치하며 하측 방향으로 파지력을 발생하여 간지(P)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간지제거유닛(240)은 도 7과 같이 하부가 오므린 상태를 유지하다가, 도 9와 같이 벌어진 후 다시 오므리는 동작을 수행하여 간지(P)를 파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흡착유닛(210)은 상측을 상승하여 간지제거유닛(210) 보다 상측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간지제거유닛(240)은 유닛조립체(200)의 하부에서 신축하는 승강실린더(242)와, 상기 승강실린더(242)와 연동하여 승강하며, 외부에서 공급된 힘에 의해 선택적으로 간지(P)를 파지하는 파지구(244)와, 상기 파지구(244)의 하부에 설치되어 간지(P)와 접촉시 마찰력을 발생하는 마찰부재(2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파지구(244)는 다양한 힘을 제공받아 작동 가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파지구(244)는 기압을 제공받아 작동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흡착유닛(210), 유리분리유닛(220), 간지분리유닛(230) 및 간지제거유닛(240)은 모두 유닛블럭(250)에 설치되어 지지되며, 상기 유닛블럭(250)은 가이드레일(400)을 따라 이동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유리판재 정렬기(10)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재 정렬기(10)에서 일 구성인 유리분리유닛(220) 사이에 유리판재(G)가 위치한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재 정렬기(10)에서 일 구성인 유리분리유닛(220)의 작용을 보인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재 정렬기(10)에서 일 구성인 간지분리유닛(230)의 작용을 보인 측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재 정렬기(10)에서 일 구성인 승강실린더(242)의 작용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10과 같이 유리판재(G)와 간지(P)가 적층된 상태로 대기하고 있으면, 상기 유닛조립체(200)는 가이드레일(400)을 따라 이동하여 유리판재(G)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1실린더(223)는 길이를 신장하여 슬라이딩블럭(222)을 외측으로 밀어내고, 슬라이딩블럭(222)의 하부에 돌출된 부위가 맨 상측에 위치하는 유리블럭의 측면에서 상부와 접촉하는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블럭(224)의 돌출된 하부는 맨 상측의 유리판재(G)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정렬된다.
이후 상기 제1실린더(223)는 길이를 축소하여 슬라이딩블럭(222)을 도 10의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으로 인해 상기 유리판재(G)는 도 11과 같이 좌측부가 지지블럭(224)의 상면에 안착되며, 이때 유리판재(G) 상면에 덮인 간지(P)도 같이 이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 흡착유닛(210)은 하측으로 이동하여 간지(P) 및 유리판재(G)에 흡착력을 발생하게 되며, 상기 이격구(226)는 도 11의 화살표 방향으로 축소하여 상기 지지블럭(224)을 들어올리게 된다.
상기 지지블럭(224)의 상승으로 인해 상기 유리판재(G)는 도 12와 같이 좌측부가 들어올려져 경사진 상태가 되어 하측에 위치하는 간지(P) 및 유리판재(G)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들어올려진 유리판재(G)의 하측에 위치한 간지(P)가 딸려 부착될 수 있는데 상기 간지분리유닛(230)은 기체를 분사하여 상측의 유리판재(G)로부터 간지(P)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블럭(224)이 상승할 때 좌측에 위치한 흡착유닛(210)은 가요성을 가지므로 도 12와 같이 휘어진 상태로 흡착력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유닛블럭(250)은 가이드레일(40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간지(P) 및 유리판재(G)를 유리정렬유닛(100)로 안착시키게 된다.
상기 유리정렬유닛(100)에 안착된 간지(P)와 유리판재(G) 중 간지(P)는 상기 간지제거유닛(240)의 파지작용에 의해 유리판재(G)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마찰부재(246)의 마찰력으로 인해 간지(P)의 이탈은 방지된다.
이후 상기 유닛조립체(200)가 다시 유리판재(G) 정렬기(10)쪽으로 이동하다가 간지제거유닛(240)이 간지수집유닛(300) 상측에 위치할 때 간지제거유닛(240)의 파지력을 해지하면서 상기 에어노즐(N)에는 기체가 분사되어 간지제거유닛(240)에서 낙하하는 간지(P)를 간지수집유닛(300) 안으로 바르게 낙하하도록 강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노즐(N)가 기체를 분사했음에도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간지(P)는 상기 브러쉬(B)과 접촉되어 물리력으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유리판재 정렬기(10)는 간지(P)가 얹혀진 유리판재(G)를 하나씩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상기 유리정렬유닛(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재 정렬기(10)에서 유리판재(G)가 안착된 모습을 보인 실물 사진이 도시되어 있고, 도 1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재 정렬기(10)에서 요부구성인 유리정렬유닛(100)을 세부적으로 나타낸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재 정렬기(10)에서 요부 구성인 유리정렬유닛(100)의 세부 구조를 보인 도 15의 "A"부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유리정렬유닛(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2개를 나란히 설치하여 운용하였으며, 각각의 유리정렬유닛(100)은 방향만 반대일 뿐 동일한 작용을 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유리정렬유닛(100)은 유리판재(G)를 상방향으로 지지하는 안착블럭(110)과, 상기 유리판재(G)의 전/후 방향을 정렬하는 전후정렬부(120)와, 상기 유리판재(G)의 좌/우 방향을 정렬하는 좌우정렬부(130)와, 상기 좌우정렬부(130) 작동시 유리판재(G)의 단부와 접촉하여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140)와, 상기 유리판재(G)의 유무를 감지하는 유무감지센서(150)와, 상기 스토퍼(140)와 유리판재(G)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감지센서(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착블럭(1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원기둥 형태로 적용하여 한 쌍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여 외주면으로 유리판재(G)의 하면을 접촉시켜 지지하는 구성이며, 유리판재(G) 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 플라스틱 소재가 적용되었다.
상기 전후정렬부(120)는 도 15에서 볼 때 서로 마주보는 화살표의 방향과 같이 근접함으로써 사이에 위치한 유리판재(G)를 정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좌우정렬부(130)는 도 15의 좌측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여 유리정렬유닛(100)의 중앙부에 유리판재(G)의 단부가 멈추도록 함으로써 유리판재(G)를 정렬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유리판재(G)가 안착블럭(110) 상면에 회전한 상태로 안착되더라도 상기 전후정렬부(120)와 좌우정렬부(130)를 교번하여 작동시킴에 따라 요구되는 위치에 정렬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후정렬부(120)와 좌우정렬부(130)에는 유리판재(G)와 접촉시 자유회전할 수 있도록 한 롤러(R)를 다수 배치하여 유리판재(G)의 손상을 방지하였으며, 실린더의 직선 왕복운동을 이용하여 유리판재(G)가 정렬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스토퍼(140)는 상기 좌우정렬부(130)가 동작하여 유리판재(G)를 밀어낼 때 상기 유리판재(G)의 단부와 접촉하여 더 이상 밀려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140)는 도 16과 같이 별도의 블럭형태로 구성하여 유리판재(G)와의 빈번한 접촉으로 인한 마모시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도 15의 도면부호 "170"은 조절노브로서, 상기 전후정렬부(120)와 좌우정렬부(130)의 위치가 틀어져 다시 세팅할 필요가 있는 경우 조절노브(170)를 이용하여 조정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유리판재 정렬기 20. 이송테이블
100. 유리정렬유닛 110. 안착블럭
120. 전혀정렬부 130. 좌우정렬부
140. 스토퍼 150. 유무감지센서
160. 접촉감지센서 170. 조절노브
200. 유닛조립체 210. 흡착유닛
220. 유리분리유닛 222. 슬라이딩블럭
223. 제1실린더 224. 지지블럭
225. 제2실린더 226. 이격구
230. 간지분리유닛 240. 간지제거유닛
242. 승강실린더 244. 파지구
246. 마찰부재 250. 유닛블럭
300. 간지수집유닛 400. 가이드레일
500. 불량감별유닛 B . 브러쉬
G. 유리판재 N. 에어노즐
P. 간지 S. 감지센서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유리판재와 간지가 교번 적층된 유리적층물에서 간지가 얹어진 유리판재를 동시에 흡착 및 이송한 후 간지만 제거하는 유닛조립체와, 상기 유닛조립체가 제거한 간지를 수집하는 간지수집유닛과, 상기 유닛조립체가 이송한 유리판재를 지지하고, 미리 설정된 위치 및 각도로 정렬하는 유리정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리판재 정렬기에 있어서,
    상기 유리정렬유닛은,
    다수로 이루어져 다수의 유리판재를 동시에 정렬 가능하며,
    상기 유리판재를 상방향으로 지지하는 안착블럭과,
    상기 유리판재의 전/후 방향을 정렬하는 전후정렬부와,
    상기 유리판재의 좌/우 방향을 정렬하는 좌우정렬부와,
    상기 좌우정렬부 작동시 유리판재의 단부와 접촉하여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유리판재의 유무를 감지하는 유무감지센서와, 상기 스토퍼와 유리판재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닛조립체는,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흡착력을 발생하는 흡착유닛과,
    다수의 유리판재와 간지 중 한 쌍을 선별하여 분리하는 유리분리유닛과,
    상기 유리분리유닛이 분리한 유리판재 하측에 기체를 분사하여 간지를 분리하는 간지분리유닛과,
    상기 유리정렬유닛에 투입된 유리판재 상면의 간지를 파지하여 제거하는 간지제거유닛과,
    상기 흡착유닛, 유리분리유닛, 간지분리유닛 및 간지제거유닛을 동시에 지지하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하는 유닛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재 정렬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분리유닛은,
    유리판재의 측면 상부를 측방향으로 밀어 하측의 간지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블럭과,
    상기 슬라이딩블럭에 의해 밀려진 유리판재의 타측 하면을 상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을 승강하여 슬라이딩된 유리판재와 하측의 간지를 이격하는 이격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재 정렬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간지제거유닛은,
    상기 유닛조립체의 하부에서 신축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와 연동하여 승강하며, 외부에서 공급된 힘에 의해 간지를 선택적으로 파지하는 파지구와,
    상기 파지구 일측에 설치되어 간지와 접촉시 마찰력을 발생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재 정렬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간지수집유닛 일측에는,
    상기 간지제거유닛이 파지한 간지에 기체를 분사하여 간지수집유닛으로 낙하시키는 에어노즐과,
    상기 간지와 직접 접촉하여 분리하는 브러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재 정렬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유닛은,
    상기 지지블럭의 상승으로 유리판재가 기울어질 때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재 정렬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정렬유닛 상측에는,
    상기 유리정렬유닛에 안착된 유리판재가 뒤집히지 않고 바르게 안착되었는지 여부와, 유리판재의 인쇄부가 바르게 인쇄되었는지 여부를 감별하는 불량감별유닛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재 정렬기.
KR1020240009686A 2024-01-22 유리판재 정렬기 KR102672098B1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2098B1 true KR102672098B1 (ko) 2024-06-04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280B1 (ko) 2007-02-13 2008-04-1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기판 투입 시스템
KR100898607B1 (ko) 2007-11-30 2009-05-21 주식회사 제우스 유리판-간지 이송장치 및 그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280B1 (ko) 2007-02-13 2008-04-1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기판 투입 시스템
KR100898607B1 (ko) 2007-11-30 2009-05-21 주식회사 제우스 유리판-간지 이송장치 및 그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81988B (zh) 夹持头和转运多个包装物的方法
EP0639519A1 (en) Plate material separating apparatus
US5676364A (en) Plate material separating apparatus
CN110980297B (zh) 一种上料装置及具有该上料装置的对位输入设备
EP2889241B1 (en) Method for separating and supplying sheet materials, device therefor, and method for applying adhesive agent to sheet materials
KR101830921B1 (ko) Pcb기판 운반장치 및 그 방법
CN109941713B (zh) 物件正反面识别与整列自动化设备
KR20180015625A (ko) 물체를 분류하기 위한 장치
JP4762116B2 (ja) シート供給装置
KR102672098B1 (ko) 유리판재 정렬기
JP2018024508A (ja) シート材分離装置
JP2022101793A (ja) ハンド装置および物品移送装置
KR101544285B1 (ko) 기판 이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검사 장치
KR102669758B1 (ko) 유리판재 투입기
JP7022084B2 (ja) ワーク搬送システム、搬送ワーク枚数検出装置及びワーク搬送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0813312B1 (ko)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안착시스템
JP2004238104A (ja) 曲げ炉内へのガラス板の自動投入システム
KR101842002B1 (ko) 솔더 커팅 장치
KR100569068B1 (ko) 패널 이송장치
JPH07304513A (ja) 物品移載装置
JPH05116831A (ja) シート状物積層装置
CN110733913A (zh) 一种软板吸附机构及上板机
JP2703625B2 (ja) 板金加工機の板材供給装置
KR20180000045A (ko) 다공성 용지가 적용되는 옵쇄 인쇄장치
JP2002211776A (ja) シート材の吸着移送装置における重送防止機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