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7138B1 - 플러그 록킹 장치 - Google Patents

플러그 록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7138B1
KR102667138B1 KR1020230180021A KR20230180021A KR102667138B1 KR 102667138 B1 KR102667138 B1 KR 102667138B1 KR 1020230180021 A KR1020230180021 A KR 1020230180021A KR 20230180021 A KR20230180021 A KR 20230180021A KR 102667138 B1 KR102667138 B1 KR 102667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plug
outlet
lower body
lock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80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창훈
배병주
Original Assignee
(주)컴엑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컴엑스아이 filed Critical (주)컴엑스아이
Priority to KR1020230180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71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플러그 록킹 장치는 콘센트의 오목한 소켓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측벽에 접촉되는 통형 하부 몸체, 상기 콘센트의 소켓부의 측면에 형성된 접지 단자와 대응하는 상기 하부 몸체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절개부, 상기 절개부로부터 상기 접지 단자에 삽입되게 상기 하부 몸체로부터 돌출된 삽입부 및 상기 하부 몸체가 상기 소켓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콘센트의 외부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 몸체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제1 록킹 구조체와 양단이 개구된 통 형상으로 하단이 상기 하부 몸체의 상단에 배치되며 내측면 상단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미들 몸체 및 상기 걸림턱과 대응하는 상기 미들 몸체를 혀 형상으로 절개한 상태에서 상기 미들 몸체의 내부를 향하게 경사지게 절곡 및 단부에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된 록킹부를 갖는 제2 록킹 구조체 및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방식으로 체결되는 숫나사부가 형성된 통형 상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노브 몸체 및 상기 상부 몸체의 하단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록킹부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통형 작동 몸체를 갖는 제3 록킹 구조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러그 록킹 장치{PLUGE ROCKING DEVICE}
본 발명은 플러그 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센트에 삽입된 플러그가 콘센트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 플러그 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을 사용하는 전자제품의 전원선에는 전원 플러그가 형성되어 있고, 전원 플러그는 상용 전원이 인가된 콘센트에 접속되어 요구되는 전기가 공급된다.
종래 콘센트에는 전원이 인가된 콘센트 단자가 형성되고 플러그에는 콘센트 단자에 결합되는 플러그 단자가 형성되며, 플러그 단자는 콘센트 단자에 끼워맞춤 방식을 삽입 또는 분리된다.
플러그 단자 및 콘센트 단자가 단순 접촉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외력에 의하여 플러그 또는 콘센트에 힘이 가해지면 콘센트 단자로부터 플러그 단자가 임의로 이탈되고 이로 인해 전자제품의 작동이 중단 된다.
외력에 의하여 플러그 단자가 콘센트 단자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로서는 공개실용신안 20-2010-0002870, 분리방지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플러그(공개일자 2010년03월11일)가 대표적이다.
상기 분리방지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플러그는 플러그를 콘센트 단자에 삽입한 상태에서 플러그를 콘센트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플러그가 콘센트에 록킹되도록 하고 플러그를 콘센트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리방지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플러그는 플러그를 콘센트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플러그의 록킹 또는 분리를 수행하지만 플러그를 콘센트에 대하여 강제로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플러그가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방지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플러그는 플러그에 별도 기둥 형상을 갖는 접속 단자 및 탄성 부재를 결합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플러그를 다른 일반 콘센트에 결합하기 어려워 범용성이 낮은 문제점을 갖는다.
공개실용신안 20-2010-0002870, 분리방지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플러그(공개일자 2010년03월11일)
본 발명은 콘센트의 콘센트 단자에 플러그의 플러그 단자가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플러그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플러그가 외력에 의하여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 플러그 록킹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플러그 록킹 장치는 콘센트의 오목한 소켓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측벽에 접촉되는 통형 하부 몸체, 상기 콘센트의 소켓부의 측면에 형성된 접지 단자와 대응하는 상기 하부 몸체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절개부, 상기 절개부로부터 상기 접지 단자에 삽입되게 상기 하부 몸체로부터 돌출된 삽입부 및 상기 하부 몸체가 상기 소켓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콘센트의 외부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 몸체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제1 록킹 구조체와 양단이 개구된 통 형상으로 하단이 상기 하부 몸체의 상단에 배치되며 내측면 상단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미들 몸체 및 상기 걸림턱과 대응하는 상기 미들 몸체를 혀 형상으로 절개한 상태에서 상기 미들 몸체의 내부를 향하게 경사지게 절곡 및 단부에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된 록킹부를 갖는 제2 록킹 구조체 및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방식으로 체결되는 숫나사부가 형성된 통형 상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노브 몸체 및 상기 상부 몸체의 하단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록킹부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통형 작동 몸체를 갖는 제3 록킹 구조체를 포함한다.
플러그 록킹 장치의 상기 하부 몸체에는 상기 플러그와 접촉되는 부분을 절개하여 상기 플러그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도피부가 형성되고, 상기 미들 몸체 중 상기 제1 도피부와 대응하는 부분은 상기 플러그와 간섭되지 않도록 절개된 제2 도피부가 형성된다.
플러그 록킹 장치의 상기 회전 노브 몸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작동 몸체가 하강하여 상기 록킹부가 상기 걸림턱에 결합될 때 상기 작동 몸체의 하단은 상기 플러그의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플러그의 이탈을 방지한다.
플러그 록킹 장치의 상기 록킹부의 상기 걸림홈이 상기 걸림턱에 결합되도록 상기 록킹부는 상기 미들 몸체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결합홀에 대응하게 돌출된다.
플러그 록킹 장치의 상기 작동 몸체가 하강하여 상기 플러그와 접촉되면 상기 록킹부는 상기 미들 몸체의 내측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 및 상기 걸림홈은 상호 록킹된다.
플러그 록킹 장치의 상기 상부 몸체는 통 형상으로 외측면에 상기 숫나사부가 형성된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의 상단에 도우넛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노브 몸체는 상기 결합 부재의 외주면, 상기 결합 부재의 상면 및 상기 결합 부재의 내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록킹 장치는 콘센트의 콘센트 단자에 플러그의 플러그 단자가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플러그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플러그가 외력에 의하여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록킹 장치가 플러그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관계 및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콘센트 및 도 2에 도시된 제1 록킹 구조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록킹 구조체가 콘센트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록킹 부재를 도시한 외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3 록킹 구조체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특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특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특허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각각 기재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별다른 기재가 없더라도 각 실시예들은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호 병합 및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록킹 장치가 플러그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플러그 록킹 장치(500)는 제1 록킹 구조체(100), 제2 록킹 구조체(200) 및 제3 록킹 구조체(300)를 포함한다.
제1 록킹 구조체(100)는 콘센트(10)에 빠지지 않게 결합되고, 제2 록킹 구조체(200)는 제1 록킹 구조체(100)에 스냅핏 방식으로 결합되며, 제3 록킹 구조체(300)는 제2 록킹 구조체(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플러그(20)의 상단을 눌러 플러그(20)가 콘센트(1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 및 제2 록킹 구조체(200)가 제1 록킹 구조체(100)에 록킹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결합 관계 및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콘센트 및 도 2에 도시된 제1 록킹 구조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록킹 구조체가 콘센트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록킹 구조체(100)는 콘센트(10)에 삽입 및 콘센트(1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예를 들어, 육면체 블럭 형상으로 형성된 콘센트(10)는 플러그(20)가 삽입되는 적어도 1개의 오목한 소켓부(12)가 형성된다. 소켓부(12)의 바닥면에는 한 쌍의 단자홀(14)들이 형성된다.
콘센트(10)의 오목한 소켓부(12)의 측면에는 접지 단자(16)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접지 단자(16)는 플러그(20)의 접지 단자(미도시)와 쉽게 접지되도록 구부러진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로 인해 접지 단자(16)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제1 록킹 구조체(100)는 콘센트(10)의 접지 단자(16)를 이용하여 콘센트(1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록킹 구조체(100)는 하부 몸체(110), 절개부(120), 삽입부(130) 및 걸림턱(140, 도 5 참조)을 포함한다.
하부 몸체(110)는 콘센트(10)의 소켓부(12)에 삽입되며, 소켓부(12)의 측면과 접촉되고 양단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부 몸체(110)의 높이는 소켓부(12)의 깊이보다 높게 형성되며 소켓부(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소켓부(12)의 일부는 콘센트(10)로부터 돌출된다.
절개부(120)는 하부 몸체(110)에 형성되며, 절개부(120)는 하부 몸체(110) 중 콘센트(10)의 소켓부(12)의 측면에 형성된 접지 단자(16)와 대응하는 부분을 절개하여 형성된다. 절개부(120)에 의하여 하부 몸체(110)는 접지 단자(16)로부터 도피하여 간섭되지 않게 된다.
삽입부(130)는 절개부(120)에 의하여 형성된 하부 몸체(110)로부터 접지 단자(16)와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접지 단자(16)를 향하는 돌출되며, 삽입부(130)는 접지 단자(16)에 삽입되는 길이 및 사이즈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하부 몸체(110)가 소켓부(12)에 삽입되는 시점에서 삽입부(130) 및 접지 단자(16)는 상호 결합되지 않지만 하부 몸체(110)가 소켓부(12)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 몸체(110)를 소켓부(12)로부터 회전시킴으로써 하부 몸체(110)의 삽입부(130)는 접지 단자(16)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접지 단자(16)에 삽입부(130)가 삽입되어 결합될 경우, 하부 몸체(110)는 콘센트(1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소켓부(12) 및 접지 단자(16)가 임의로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서 삽입부(130)에는 접지단자(16)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홈 또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40)은 후술될 제2 록킹 구조체(200)의 록킹부(220)와 록킹되는 부분으로 걸림턱(140)은 하부 몸체(110)가 소켓부(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콘센트(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형성된다. 걸림턱(140)은 하부 몸체(100)의 측벽을 홈 또는 홀 형상으로 가공하여 형성된다.
걸림턱(140)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하부 몸체(110)에 후술될 제2 록킹 구조체(200)의 미들 몸체(210)를 쉽고 빠르게 결합 및 제2 록킹 구조체(200)를 제1 록킹 구조체(100)의 지정된 위치에 쉽고 빠르게 결합하는 가이드 돌기(115)가 형성된다.
한편, 하부 몸체(110)의 상단에는 하부 몸체(110)로 삽입된 플러그(20) 및 하부 몸체(110)가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러그(20)와 접촉되는 부분을 절개하여 제거한 제1 도피부(150)가 형성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록킹 부재들을 도시한 외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록킹 구조체(200)는 미들 몸체(210) 및 록킹부(220)를 포함한다.
미들 몸체(210)는 양단이 개구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미들 몸체(210)는 하부 몸체(110)와 동일한 직경 및 동일한 살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미들 몸체(210)의 하단은 하부 몸체(110)의 상단에 배치 및 접촉되며, 미들 몸체(210)의 내측면의 상단에는 암나사부(215)가 형성된다. 이때, 미들 몸체(210) 중 암나사부(215)가 형성된 부분의 살두께는 암나사부(215)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 대비 얇게 형성된다.
록킹부(220)는 미들 몸체(210)에 형성되며, 록킹부(220)는 미들 몸체(210)를 하부 몸체(110)에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록킹부(220)는 하부 몸체(110)에 형성된 걸림턱(140)과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며, 록킹부(220)는 미들 몸체(210)를 혀(tongue) 형상으로 좁고 길게 절개하여 형성되며, 미들 몸체(210)를 혀 형상으로 절개하여 형성된 록킹부(220)는 미들 몸체(210)의 중앙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미들 몸체(210)로부터 절개되어 형성된 록킹부(220)는 미들 몸체(210)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또는 형성된다.
록킹부(220)의 하단은 미들 몸체(210)의 하단보다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록킹부(220) 중 미들 몸체(210)의 하단보다 아래쪽으로 연장된 부분에는 하부 몸체(110)의 걸림턱(140)에 삽입되기에 적합한 사이즈 및 형상을 갖는 오목한 걸림홈(225)이 형성된다.
미들 몸체(210)가 하부 몸체(110)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록킹부(220)는 미들 몸체(210)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후술될 제3 록킹 구조체(300)가 결합되기 이전에는 록킹부(220)의 걸림홈(225)은 하부 몸체(110)의 걸림턱(140)에 결합되지 않는다.
록킹부(220)에 후술될 제3 록킹 구조체(300)가 삽입되면서 록킹부(220)와 제3 록킹 구조체(300)가 상호 간섭하여 걸리지 않도록 록킹부(220) 중 미들 몸체(210)의 내부에 형성된 상부에는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부(227)가 형성된다.
한편, 하부 몸체(110)의 제1 도피부(150)와 대응하는 미들 몸체(210)에는 제2 도피부(250)가 형성된다.
제2 도피부(250)는 플러그(20)와 미들 몸체(210)가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하며, 제2 도피부(250)는 플러그(20)와 접촉되는 부분을 절개하여 형성되며, 제2 도피부(250)에 의하여 플러그(20)는 미들 몸체(210)와 접촉되지 않게 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3 록킹 구조체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3 록킹 구조체(300)는 제2 록킹 구조체(200)의 록킹부(220)를 제1 록킹 구조체(110)의 걸림턱(140)에 걸리도록 함과 동시에 플러그(20)의 상단을 눌러 플러그(20)가 콘센트(10)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다.
제3 록킹 구조체(300)는 상부 몸체(310), 회전 노브 몸체(320) 및 작동 몸체(330)를 포함한다.
상부 몸체(310)는 회전 부재(314) 및 결합 부재(312)를 포함한다.
회전 부재(314)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 부재(314)의 외측면 하단에는 제2 록킹 구조체(200)의 미들 몸체(2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암나사부(215)와 나사 방식으로 체결되는 숫나사부(316)가 형성된다.
결합 부재(312)는 후술될 작동 몸체(330)와 결합을 위해 도우넛 형상으로 형성되며, 결합 부재(312)의 하단에는 회전 부재(314)가 조립 또는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결합 부재(312) 및 회전 부재(314)가 만나 형성되는 모서리 부분에는 원형 그루브 형상으로 오목한 걸림홈이 형성되는데, 걸림홈은 후술될 작동 몸체(330)와 걸려 작동 몸체(330)의 이탈을 방지한다.
작동 몸체(330)는 결합 부재(312)의 외주면, 결합 부재(312)의 상면 및 결합 부재의 내주면을 각각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작동 몸체(330)는 상부 몸체(310)를 회전시켜 상부 몸체(310)의 회전 부재(314)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회전 노브 몸체(320)는 상부 몸체(310)에 결합되며, 회전 노브 몸체(320)는 상부 몸체(310)와 함께 승강 및 하강된다.
회전 노브 몸체(320)는 하강하면서 제2 록킹 구조체(200)의 미들 몸체(210)에 형성된 록킹부(220)가 제1 록킹 구조체(100)의 하부 몸체(110)에 형성된 걸림턱(140)에 결합되도록 한다.
반대로 회전 노브 몸체(320)가 상승되면, 제2 록킹 구조체(200)의 미들 몸체(210)에 형성된 록킹부(220)가 제1 록킹 구조체(100)의 하부 몸체(110)에 형성된 걸림턱(140)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제2 록킹 구조체(200)는 제1 록킹 구조체(100)로부터 분리된다.
회전 노브 몸체(320)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 노브 몸체(320)의 외측면은 제2 록킹 구조체(200)의 미들 몸체(21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형상 및 사이즈를 갖는다.
회전 노브 몸체(320)는 미들 몸체(210)의 살두께보다는 두껍게 형성되며, 회전 노브 몸체(320)의 상단에는 회전 부재(314)의 하단과 접촉되는 단턱이 형성된다.
한편, 회전 노브 몸체(320)가 회전 부재(314)의 하단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 노브 몸체(320)의 내측면으로부터는 통 형상으로 연장부(332)가 형성되며, 연장부(332)에는 상부 몸체(3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홈(313)에 걸리는 스냅핏(333)이 형성된다.
작동적인 측면에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10)의 소켓부(12)의 접지 단자(16)를 이용하여 제1 록킹 구조체(100)가 콘센트(1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제1 록킹 구조체(100)가 콘센트(10)에 견고하게 결합되면 제1 록킹 구조체(100)가 장착된 콘센트(10)의 소켓부(12)에는 플러그(20)가 삽입된다.
플러그(20)가 소켓부(12)에 삽입되면 제2 록킹 구조체(200)의 미들 몸체(210)에 형성된 록킹부(220)는 제1 록킹 구조체(100)의 하부 몸체(110)의 상면에 안착되는데, 록킹부(220)는 하부 몸체(11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15)를 이용하여 쉽고 빠르게 하부 몸체(110)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미들 몸체(210)의 록킹부(220)는 하부 몸체(110)의 걸림턱(140)에 결합되지는 않는 상태이다.
이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록킹 구조체(300)의 상부 몸체(310)에 형성된 숫나사부(316)가 제2 록킹 구조체(200)의 미들 몸체(210)의 상단 내측면에 형성된 암나사부(215)에 나사 방식으로 체결된다.
이후, 제3 록킹 구조체(300)의 작동 몸체(330)가 회전됨에 따라 상부 몸체(310)는 미들 몸체(210)의 하부로 이동된다.
이때, 상부 몸체(310)에 결합된 회전 노브 몸체(320)도 상부 몸체(310)와 함께 하부로 이동되면서 회전 노브 몸체(320)가 미들 몸체(210)에 형성된 록킹부(220)를 미들 몸체(210)의 외부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록킹부(220)가 걸림턱(140)에 결합된다. 회전 노브 몸체(320)는 추가적으로 하강되다 플러그(20)의 상면에 접촉되고 회전 노브 몸체(320)가 플러그(20)의 상면을 견고하게 가압하여 플러그(20)의 이탈이 방지된다.
플러그(20)를 콘센트(1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제3 록킹 구조체(300)의 작동 몸체(330)를 역회전시켜 회전 노브 몸체(320)를 미들 몸체(210)에 대하여 상부로 이송하고 이 과정에서 미들 몸체(210)의 록킹부(220)는 하부 몸체(110)의 걸림턱(140)으로부터 분리된다.
제2 록킹 구조체(200)를 제1 록킹 구조체(100)로부터 분리한 후 플러그(20)를 콘센트(10)로부터 분리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콘센트의 콘센트 단자에 플러그의 플러그 단자가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플러그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플러그가 외력에 의하여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제1 록킹 구조체 200...제2 록킹 구조체
300...제3 록킹 구조체 500...플러그 록킹 장치

Claims (6)

  1. 콘센트의 오목한 소켓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소켓부의 측벽에 접촉되는 통형 하부 몸체, 상기 콘센트의 소켓부의 측면에 형성된 접지 단자와 대응하는 상기 하부 몸체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절개부, 상기 절개부로부터 상기 접지 단자에 삽입되게 상기 하부 몸체로부터 돌출된 삽입부 및 상기 하부 몸체가 상기 소켓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콘센트의 외부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 몸체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제1 록킹 구조체;
    양단이 개구된 통 형상으로 하단이 상기 하부 몸체의 상단에 배치되며 내측면 상단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미들 몸체 및 상기 걸림턱과 대응하는 상기 미들 몸체를 혀 형상으로 절개한 상태에서 상기 미들 몸체의 내부를 향하게 경사지게 절곡 및 단부에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된 록킹부를 갖는 제2 록킹 구조체; 및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방식으로 체결되는 숫나사부가 형성된 통형 상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노브 몸체 및 상기 상부 몸체의 하단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록킹부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통형 작동 몸체를 갖는 제3 록킹 구조체를 포함하는 플러그 록킹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에는 상기 플러그와 접촉되는 부분을 절개하여 상기 플러그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도피부가 형성되고,
    상기 미들 몸체 중 상기 제1 도피부와 대응하는 부분은 상기 플러그와 간섭되지 않도록 절개된 제2 도피부가 형성된 플러그 록킹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노브 몸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작동 몸체가 하강하여 상기 록킹부가 상기 걸림턱에 결합될 때 상기 작동 몸체의 하단은 상기 플러그의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플러그의 이탈을 방지하는 플러그 록킹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의 상기 걸림홈이 상기 걸림턱에 결합되도록 상기 록킹부는 상기 미들 몸체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게 돌출 형성된 플러그 록킹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몸체가 하강하여 상기 플러그와 접촉되면 상기 록킹부는 상기 미들 몸체의 내측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 및 상기 걸림홈은 상호 록킹되는 플러그 록킹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는 통 형상으로 외측면에 상기 숫나사부가 형성된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의 상단에 도우넛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노브 몸체는 상기 결합 부재의 외주면, 상기 결합 부재의 상면 및 상기 결합 부재의 내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플러그 록킹 장치.
KR1020230180021A 2023-12-12 2023-12-12 플러그 록킹 장치 KR102667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0021A KR102667138B1 (ko) 2023-12-12 2023-12-12 플러그 록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0021A KR102667138B1 (ko) 2023-12-12 2023-12-12 플러그 록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7138B1 true KR102667138B1 (ko) 2024-05-20

Family

ID=91282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0021A KR102667138B1 (ko) 2023-12-12 2023-12-12 플러그 록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713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7376U (ko) * 1995-12-22 1997-07-31 대우통신주식회사 플러그 잠금장치
JP2006100062A (ja) * 2004-09-29 2006-04-13 Oki Electric Ind Co Ltd 電源プラグ及びそのトラッキング防止構造
KR20100002870U (ko) 2008-09-03 2010-03-11 주식회사 주안 분리방지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플러그
KR101230252B1 (ko) * 2011-08-25 2013-02-06 정기호 전원 콘센트와 플러그의 체결구조
KR101258032B1 (ko) * 2011-11-21 2013-04-24 홍수형 전원 플러그
KR101457115B1 (ko) * 2013-01-25 2014-10-31 이정민 플러그용 어댑터 조립체
KR101928308B1 (ko) * 2017-06-30 2018-12-13 설덕주 안전플러그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7376U (ko) * 1995-12-22 1997-07-31 대우통신주식회사 플러그 잠금장치
JP2006100062A (ja) * 2004-09-29 2006-04-13 Oki Electric Ind Co Ltd 電源プラグ及びそのトラッキング防止構造
KR20100002870U (ko) 2008-09-03 2010-03-11 주식회사 주안 분리방지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플러그
KR101230252B1 (ko) * 2011-08-25 2013-02-06 정기호 전원 콘센트와 플러그의 체결구조
KR101258032B1 (ko) * 2011-11-21 2013-04-24 홍수형 전원 플러그
KR101457115B1 (ko) * 2013-01-25 2014-10-31 이정민 플러그용 어댑터 조립체
KR101928308B1 (ko) * 2017-06-30 2018-12-13 설덕주 안전플러그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7116A (en) Auto termination BNC T adaptor
US8360791B2 (en) Safe electrical outlet
US9071021B2 (en) Spring lock type connector
US7285008B2 (en) Upright battery seat
US9099805B2 (en) Spring lock type connector
US6234828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locking means
CA2680871C (en) Locking electrical receptacle
KR102667138B1 (ko) 플러그 록킹 장치
KR101348186B1 (ko)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
CN112802724B (zh) 电连接盒
KR20090116771A (ko) 밀봉가능한 전기 커넥터
KR101924456B1 (ko) 와이어 체결용 커넥터 장치
KR100340738B1 (ko) 다연형 나사식 터미널장치
KR100866092B1 (ko) 저삽입력 커넥터
US4257667A (en) Non-insulated printed circuit jack with retaining feature
KR200484359Y1 (ko) 동축 잭 커넥터
US9634431B1 (en) Clamp cup to secure electrical connectors having first and second mating structures
US20180175516A1 (en) Wire connection terminal structure
KR20130116357A (ko) 커넥터 감합 지그 및 저삽입력 커넥터
KR100427051B1 (ko) 커넥터의 단자 이중 록킹구조
KR101723054B1 (ko) 레버커넥터
KR102688346B1 (ko) 안전 콘센트
KR200370919Y1 (ko) 콘센트 안전 장치
JPH0673878U (ja) ソケットコネクタ
KR200372301Y1 (ko) 전선고정구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