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7080B1 -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이용 - Google Patents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이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7080B1
KR102667080B1 KR1020230113248A KR20230113248A KR102667080B1 KR 102667080 B1 KR102667080 B1 KR 102667080B1 KR 1020230113248 A KR1020230113248 A KR 1020230113248A KR 20230113248 A KR20230113248 A KR 20230113248A KR 102667080 B1 KR102667080 B1 KR 102667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kin
antibacterial
wild ginse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3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영민
길영숙
안민주
신승미
안형재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함양산양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함양산양삼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함양산양삼
Priority to KR1020230113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70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0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증숙 산양삼 잎, 오미자 및 여주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유해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된다.
특정 배합비로 혼합된 증숙 산양삼 잎, 오미자 및 여주의 혼합물을 특정 용매로 복합추출하여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추출물은 피부유해균에 대해 현저히 증진된 항균 효과가 있어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의 소재(첨가제)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세포독성과 같은 부작용 없이 항염 효과 및 피부유해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염증 개선용, 피부 화농 개선용, 및 칸디다증 개선용으로 유용하다.

Description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이용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nti-microbial effect and its use}
본 발명은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이용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증숙 산양삼 잎, 오미자 및 여주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유해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로서, 부작용 없이 피부유해균에 대한 항균 효과와 항염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에는 다양한 미생물들이 존재하며, 이들 미생물들은 각종 피부 질환을 야기시킨다. 피부에 존재하는 미생물들로는 여드름 유발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피부에서 화농을 일으키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외음질염 또는 항문주위 칸디다증 유발균인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등이 있으며, 이 균들은 피부상에서 분비된 피지나 땀을 분해시켜 냄새를 발생시키며, 이와 더불어 분해산물들은 피부에 자극을 주고 염증을 발생시킨다 (등록특허 10-0721421호).
상기 균들은 피부에 악영향을 주고 있어 이들을 조절하기 위하여 항생제 또는 항염제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합성 항생제/항염제는 피부자극이나 안전성 문제를 나타낼 수 있어 인체에 무해한 천연 항균제/항염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천연물 유래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례로 꼬시래기 추출물, 꼬물꼬시래기 추출물, 돌가사리 추출물 및 불등풀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 10-2493311호). 그러나 여전히 새로운 천연물 유래의 생체에 안전하고 피부유해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성을 갖는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기술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한 결과, 특정 배합비로 혼합된 증숙 산양삼 잎, 오미자 및 여주의 혼합물을 특정 용매로 복합추출한 조성물이 피부유해균에 대해 현저히 증진된 항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증숙 산양삼 잎, 오미자 및 여주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증숙 산양삼 잎, 오미자 및 여주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해유해균에 대한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항균(anti-microbial)'이라 함은 피부유해균의 성장, 번식 또는 생존을 억제하는 작용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피부유해균'은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및 에스케리키아 콜리(Escherichia coli) 등을 포함한다.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는 진균의 종으로, 피부에 보편적으로 분포하며 면역체계가 약해지거나 기타 조건이 합쳐지면 병원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주로 외음질염 또는 항문주위 칸디다증을 유발한다.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그람 양성균에 속하는 세균으로, 피부에 흔하게 서식하며 다양한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주요한 병원균이다. 피부 감염의 예로는 뾰루지, 피지선염, 피부 농양 등의 피부 화농을 일으킬 수 있다. 에스케리키아 콜리(Escherichia coli)는 일반적으로 E. coli로 줄여 부르는 세균으로, 그람 음성 균류에 속한다. 대부분의 E. coli 균주는 유익하나 일부 균주는 병원성을 가져서 피부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산양삼은 「산지관리법」제2조 제1호에서 정의하고 있는 산지에서 차광막 등 인공시설을 설치하지 아니하고 생산되는 삼을 칭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3년 이상 재배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산양삼 잎을 사용한다. 산양삼은 주로 뿌리가 이용되고 통상적으로 잎은 버려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산양삼 잎을 이용하여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에서 '증숙 산양삼 잎'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증숙'은 121℃에서 5~12분간 수증기로 찌는 것을 의미한다. 증숙시간이 5분 미만인 경우 충분한 증숙이 진행되지 않아 산양삼 잎의 생리활성성분의 전환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고 잡균의 오염이 발생될 수 있으며, 12분 초과하여 증숙될 경우는 오랜 열처리로 산양삼 잎의 생리활성성분이 파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산양삼 잎의 증숙은 3회 이상, 바람직하게는 3회 진행한다. 구체적으로는 121℃에서 5~12분간 증숙한 후 냉각하여 40~50℃에서 4~6시간 건조하는 과정을 3회 반복한다.
상기와 같은 증숙을 3회 진행시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과 진세노사이드 Rg6, Rk3, Rh4, Rg3, CK의 함량이 증진된다. 본 발명의 증숙 산양삼 잎은 총 진세노사이드를 46.8 mg/g 이상, 진세노사이드 Rg6, Rk3, Rh4, Rg3, CK를 각각 6.5 mg/g 이상, 9.7 mg/g 이상, 8.7 mg/g 이상, 1.2 mg/g 이상, 0.9 mg/g 이상으로 함유한다 (도 1, 표 3).
본 발명의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에서 증숙 산양삼 잎은 46 ~ 54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증숙 산양삼 잎이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면 진세노사이드 등의 생리활성성분의 함량이 미흡하며 상기 범위 초과로 포함되면 세포나 인체 독성이 유발될 수 있으며 단가적인 부분에 있어 경제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에서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는 원형형태로 지름은 약 1cm이며 색상은 짙고 붉은 빛깔을 담은 과실로 그 속에는 빨간 즙과 적갈색 종자가 1개 내지 2개를 함유하고 있다. 단맛, 신맛, 쓴맛, 짠맛, 매운맛의 5가지 맛이 느껴진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의 오미자는 크게 기관지 개선, 간 기능 개선, 뇌 질환 예방, 신장 기능 강화, 기력회복 등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에서 오미자는 23 ~ 27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오미자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면 오미자 유래의 생리활성성분의 함량이 미흡하며 상기 범위 초과로 포함되면 피부발진, 트러블, 위장장애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세포나 인체 독성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여주는 박과의 덩굴식물로 영어명은 비터 멜론(bitter melon)이다. 정식 학명은 모모르디카 카란티아(Momordica charantia)이다. 여주에는 비타민 C가 풍부하고 다른 과실의 비타민 C와 달리 여주에 함유된 비타민 C의 경우는 열에 안정해서 열을 가해도 다른 과실보다는 비타민 C의 파괴가 잘되지 않아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다. 또 여주는 체내에서 비타민 A로 전환되는 베타카로틴 및 철, 칼륨 등의 미네랄도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에서 여주는 23 ~ 27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여주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면 여주 유래의 생리활성성분의 함량이 미흡하며 상기 범위 초과로 포함되면 세포나 인체 독성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복합추출물은 증숙 산양삼 잎, 오미자 및 여주의 분말을 혼합한 후, 전체 용량 대비 5 ~ 10배의 용량으로 추출용매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4 ~ 72 시간의 추출한 후 여과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용매로는 65~75% 메탄올 또는 65~75%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을 사용한다. 추출용매의 농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추출되는 생리활성성분의 함량이 떨어지고, 그리고 항균 활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의 본 발명에 따른 복합추출시 피부유해균인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및 에스케리키아 콜리(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 활성이 현저히 증진된다 (도 5).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은 항염 활성도 현저히 증진된다 (도 4).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은 고농도(2000ppm)에서도 세포독성이 없어 안전하다 (도 2 및 도 3).
또한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은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과 진세노사이드 Rg6, Rk3, Rh4, Rg3, CK의 함량이 증진된다 (도 1).
본 발명의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과 같은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과 같은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과 같은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 클렌징 워터와 같은 메이크업 제거제, 클렌징 폼, 비누, 바디 워쉬, 물휴지 등과 같은 세정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 클렌징 워터와 같은 메이크업 제거제, 클렌징 폼, 비누, 바디 워쉬, 물휴지 등과 같은 세정제의 제형을 갖는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복합추출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복합추출물을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이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충분한 항균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제조비용이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세포독성 없이 항균 효과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하다 (도 2 ~ 도 5).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증진된 항균 및 항염 효과로 인하여 피부염증 개선용, 피부 화농 개선용 및 칸디다증 개선용으로 유용하다.
특정 배합비로 혼합된 증숙 산양삼 잎, 오미자 및 여주의 혼합물을 특정 용매로 복합추출하여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추출물은 피부유해균에 대해 현저히 증진된 항균 효과가 있어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의 소재(첨가제)로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세포독성과 같은 부작용 없이 항염 효과 및 피부유해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염증 개선용, 피부 화농 개선용 및 칸디다증 개선용으로 유용하다.
도 1은 산양삼 잎의 증숙 횟수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분석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2a는 RAW 264.7 세포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추출물의 세포독성 검사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N은 무처리구
도 3은 CCD-986SK Cell 세포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추출물의 세포독성 검사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N은 무처리구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추출물의 항염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추출물의 피부유해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다음의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이 더 상세히 설명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제조예 1: 증숙 산양삼 잎의 제조
3년근 이상 산양삼의 잎을 흐르는 물에 3회 세척하고 완전히 물기를 제거한 후, 세 그룹으로 나눈 뒤 각각 증자기에서 121℃에서 10분 증숙한 후 냉각하여 50℃에서 4시간 건조하는 과정을 각각 1회, 2회 및 3회 진행하여 3종류의 증숙 산양삼 잎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3종류의 증숙 산양삼 잎에 대하여 14종의 진세노사이 함량 분석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증숙 산양삼 잎에 70% 에탄올 10배(v/w)를 첨가하여 추출한 추출 시료로 하여 기능성식품 분석법에 기술된 방법을 변형하여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로 분석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증숙 전의 산양삼 잎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분석하였다. 분석조건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항목 조건
기기 Acquity UPLC H-class System
검출기 Acquity UPLC PDA detector
컬럼 Cortecs (2.1 × 500 ㎜, 1.6 ㎛)
컬럼 온도 40 ℃
흡수파장 203 nm
주입 용량 2 μL
유속 0.4 mL/min
이동상 A: 0.005% phosphoric acid in water B: acetonitrile
82 구배 시간(min) 0 3 6.5 7.5 17 19 22 24 29 29.5
A 82 82 80 74 68 63 60 50 20 82
B 18 18 20 26 32 37 40 50 80 18
분석시료 중의 각 진세노사이의 함량은 크로마토그램상의 피크 면적값을 표준검량선에 대입하여 검출농도를 구한 뒤 아래의 계산식으로 값을 구하고 검량곡선에 의해 값을 산출하였다.
진세노사이드 함량(mg/g) = C × (a × b) / S
C : 시료 중의 개별 진세노사이드의 농도(mg/mL)
a : 시료 총량(mL)
b : 희석배수
S : 시료 무게(g)
산출된 결과를 표 2 및 도 1에 나타냈다.
 진세노사이드(mg/g) 증숙 전 증숙 1회 증숙 2회 증숙 3회
Rg1 4.0 2.2 2.9 2.6
Re 8.6 6.6 7.2 8.4
Rf 0.2 0.2 0.3 0.3
Ro 0.5 0.3 0.5 0.9
Rb1 0.2 0.1 0.2 0.3
Rc 1.0 1.1 1.4 2.1
F1 2.1 1.1 1.5 2.4
Rb2 2.7 2.2 1.5 2.3
Rg6 0.2 0.6 1.5 6.5
Rk3 0.4 2.2 3.6 9.7
Rh4 nd 0.7 2.1 8.7
Rg3 0.1 0.1 0.2 1.2
Rg3(20r) 0.2 0.1 0.2 0.6
CK 0.1 0.2 0.3 0.9
총 합 20.1 17.6 23.4 46.8
산양삼 잎은 증숙 전에는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20.1 mg/g이었으나, 증숙 3회 수행된 증숙 산양삼 잎은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46.8 mg/g로 3배 이상 증진되었다. 이에 비하여 증숙 1회 및 2회의 경우는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거의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감소하였다.
특히 진세노사이드 Rg6, Rk3, Rh4, Rg3, CK가 증숙 3회시 현저히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다. 진세노사이드 Rg6의 경우는 증숙 전에는 0.2 mg/g 이였으나 증숙 3회시 6.5 mg/g으로 30배 이상 증가하였고, 진세노사이드 Rg3, CK 역시 5배 이상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진세노사이드 Rh4의 경우 증숙 전에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증숙 3회시 8.7mg/g 으로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다.
제조예 2: 복합추출물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증숙 3회 수행된 증숙 산양삼 잎을 건조하여 분말화하여 준비하였다. 오미자 및 여주는 건조된 것을 구입하여 분말화하여 각각의 분말을 준비하였다.
각각의 분말을 하기 표 3과 같은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중량비) 증숙 산양삼 잎 오미자 여주
비교예 1 1 1 1
비교예 2 1 1
비교예 3 1 - 1
비교예 4 - 1 1
비교예 5 1 1 2
비교예 6 1 2 1
실시예 1 2 1 1
각각 혼합분말의 용량 대비 10배(v/w)의 추출용매(70% 에탄올)를 첨가하고, 2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추출한 후, 필터페이퍼로 여과하여 복합추출물의 제조하였다. 복합추출물은 동결건조하여 70%에탄올로 녹여서 분석시험에 사용하였다
시험예 1. 세포독성 분석
<RAW264.7 세포 시험>
마우스의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를 10% FBS (fetal bovine serum)와 1% P/S (penicilin-streptomycin)가 첨가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배지를 사용하여 세포배양하였다. 배양된 RAW264.7 세포가 80% 컨플루언트(confluent) 되었을 때 세포 스크래퍼(Cell Scraper)를 이용해 세포를 탈착시켜 4,000 rpm에서 4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2일 간격으로 계대 배양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96-웰 플레이트에 RAW264.7 (4×104 cells/well)가 되도록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그리고 나서 실시예 1, 비교예 1~비교예 5의 복합추출물 시료를 농도별로(500, 1000, 2000 ㎍/mL) 처리하여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나서 웰 당 MTT 용액 20 ㎕씩 첨가하고 인큐베이터에서 2~3시간 반응시킨 뒤 마이크로플레이터 리더(SpectraMax M5, Molecular Devices, CA, USA)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생존율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실시예 1)은 RAW264.7 세포 생존율 시험 결과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CD-986SK 세포 시험>
섬유아세포종 CCD-986SK 세포는 세포배양을 위해 10% FBS (fetal bovine serum)와 1% P/S (penicilin-streptomycin)가 첨가된 IMDM(Iscore's Modified Dulbecco's Medium) 배지를 사용하였다. 배양된 CCD-986SK 세포가 80% 컨플루언트(confluent) 되었을 때 Trypsin-EDTA (0.25%)를 이용해 세포를 탈착시켜 5,000 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2일 간격으로 계대 배양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96-웰 플레이트에 CCD-986SK 세포가 3×104 cells/well가 되도록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그리고 나서 실시예 1, 비교예 1 ~ 비교예 5의 복합추출물 시료를 농도별로(500, 1000, 2000 ㎍/mL) 처리하여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나서 웰 당 MTT 용액 20 ㎕씩 첨가하고 인큐베이터에서 2~3시간 반응시킨 뒤 마이크로플레이터 리더(SpectraMax M5, Molecular Devices, CA, USA)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생존율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실시예 1)은 섬유아세포종 CCD-986SK 세포 생존율 시험 결과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2. 항염 효과 분석 시험
Nitrite 농도를 Griess 반응법을 기반으로 하여 분석하여 NO 생성 지표로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RAW 264.7 세포를 4x104 cells/ml의 농도로 96 웰-플레이트에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 다음, 제조예 2에서 제조된 복합추출물 시료 (실시예 1 및 비교예 1~5)를 각각 농도별로(500, 1000 ㎍/mL) 2시간 전처리한 다음, LPS(100 ng/mL)를 처리하여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나서 배양액과 동량의 Griess 용액을 혼합한 후 5분간 실온에 방치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 (SpectraMax M5, Molecular Devices, CA, USA)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O의 농도는 NaNO2의 농도별 표준곡선을 기준으로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실시예 1)을 1000ppm 으로 처리한 결과, LPS로 염증이 유발된 대조구(LPS) 보다 절반이상 염증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LPS 처리후 NO 생성은 18.02 uM이었고,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 1000ppm으로 처리했을 경우 8.45 uM 정도로 NO 생성은 감소되었고, 정상구(N; LPS 무처리구)와 유사한 NO 생성을 나타낸바,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은 현저히 증진된 항염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 항균 효과 분석
항균활성 분석에는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에서 분양받아 연구소에 보관중인 공시 균주인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및 에스케리키아 콜리(Escherichia coli)의 총 3종의 공시균주를 사용하였다.
균주 온도(℃) 배지 ATCC no.
Candia albicans 25 YMB 10231
Escherichia coli 37 YMB 25922
Staphylococcus aureus 37 YMB 25923
상기 공시 균주들을 액체배지 (YMB 21 g/L)에서 37 ℃ 또는 25 ℃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2회 계대배양을 거쳐 ELISA 리더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4X 107 CFU로 맞추어 각각의 고체배지 (YMA 31 g/L)에 도말한 다음, 페이퍼 디스크를 올려놓고, 2000 ppm으로 희석시킨 제조예 2에서 제조된 복합추출물 각각을 30 ㎕씩 점적한 후 건조시킨 다음, 37℃에서 12∼36시간 배양하여 디스크 주위에 생기는 생육 저해 직경의 크기(mm)로 활성을 측정하였다. 대조군(N)으로는 추출한 용매를 점적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표 5 및 도 5에 나타냈다.
Candida albican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비교예 1 - +(8.13) -
비교예 2 - +(9.28) -
비교예 3 - - -
비교예 4 - - -
비교예 5 - +(9.81) -
비교예 6 - - -
실시예 1 ++(11.87) ++(11.15) +++(12.73)
- : no inhibition(~8mm)
+ : slight inhibition(8~9mm)
++ : moderate inhibition(10~11mm)
+++ : heavy inhibition(12mm~)
표 5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추출물 (실시예 1)은 피부유해균인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및 에스케리키아 콜리(Escherichia coli)에 대해 11mm 이상의 저해 존(Inhibition zone)을 보여 항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8)

  1. 증숙 산양삼 잎 46 ~ 54 중량%, 오미자 23 ~ 27 중량% 및 여주 23 ~ 27 중량%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유해균에 대한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로,
    상기 피부유해균은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및 에스케리키아 콜리(Escherichia coli)이고,
    상기 증숙 산양삼 잎은 121℃에서 5~12분간 증숙한 후 냉각하여 40~50℃에서 4~6시간 건조하는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제조된 것이고,
    상기 증숙 산양삼 잎은 총 진세노사이드를 46.8 mg/g 이상, 진세노사이드 Rg6, Rk3, Rh4, Rg3, CK를 각각 6.5 mg/g 이상, 9.7 mg/g 이상, 8.7 mg/g 이상, 1.2 mg/g 이상, 0.9 mg/g 이상으로 함유하는 것인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증숙 산양삼 잎, 오미자 및 여주의 분말을 혼합한 후, 전체 용량 대비 5 ~ 10배의 용량으로 65~75% 메탄올 또는 65~75% 에탄올의 추출용매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4 ~ 72 시간의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된 것인 피부유해균에 대한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비누, 바디 워쉬, 및 물휴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인, 피부유해균에 대한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염증 개선용인 것인 피부유해균에 대한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화농 개선용인 것인 피부유해균에 대한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칸디다증 개선용인 것인 피부유해균에 대한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
KR1020230113248A 2023-08-29 2023-08-29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이용 KR102667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3248A KR102667080B1 (ko) 2023-08-29 2023-08-29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이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3248A KR102667080B1 (ko) 2023-08-29 2023-08-29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이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7080B1 true KR102667080B1 (ko) 2024-05-20

Family

ID=91282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3248A KR102667080B1 (ko) 2023-08-29 2023-08-29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이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70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206A (ko) * 2015-03-23 2016-10-05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황금, 오미자, 금은화, 사상자 및 산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20170017318A (ko) * 2015-08-06 2017-02-15 주식회사 코스모코스 수경재배 인삼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20190112498A (ko) * 2018-03-26 2019-10-07 주식회사유한양행 인삼 뿌리, 잎 및 열매를 이용한 전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206A (ko) * 2015-03-23 2016-10-05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황금, 오미자, 금은화, 사상자 및 산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20170017318A (ko) * 2015-08-06 2017-02-15 주식회사 코스모코스 수경재배 인삼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20190112498A (ko) * 2018-03-26 2019-10-07 주식회사유한양행 인삼 뿌리, 잎 및 열매를 이용한 전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3041B1 (ko) 베리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 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704874B1 (ko) 노근, 함초 및, 매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986249B1 (ko) 관중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 방부제 조성물.
KR101806800B1 (ko)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288303B1 (ko) 색소 및 향 성분이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고함유 인삼액의 제조방법
Esawy et al. Evaluated bioactive component extracted from Punica granatum peel and its Ag NPs forms as mouthwash against dental plaque
KR101511747B1 (ko) 금전초, 오배자, 계피 및 정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복합 방부제 조성물
KR102059392B1 (ko) 정향, 히비스커스, 및 코코넛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KR101125224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조성물
KR102052523B1 (ko) 부처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125225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667080B1 (ko)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이용
Vignesh et al. A study on the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potential of the mucilage isolated from Hibiscus rosa-sinensis Linn.(Malvaceae)
KR102313373B1 (ko) 탱자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및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4084B1 (ko) 인체 흡수형 진세노사이드 및 오메가-6 지방산이 증진된 산양삼 숙성 복합발효물 및 그 제조방법
Tinrat et al.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Vernonia amygdalina leaf extracts as an auxiliary in natural hair shampoo
KR20200090573A (ko) 홍삼 및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2370528B1 (ko) 레드비트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차단 및 미백용 가지는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090028077A (ko) 올리유로핀, 마그놀롤 및 호노키올을 항균 성분으로함유하는 무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KR101776202B1 (ko) 천연 복합 방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59225B1 (ko) 왕가시천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84358B1 (ko) 홍삼의 비수용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JP2012121863A (ja) 抗炎症剤
Shouche et al. Screening of herbal formulation for anticariogenic ac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