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6774B1 - 흡수성 수지, 흡수체,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흡수성 수지, 흡수체,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6774B1
KR102666774B1 KR1020217020719A KR20217020719A KR102666774B1 KR 102666774 B1 KR102666774 B1 KR 102666774B1 KR 1020217020719 A KR1020217020719 A KR 1020217020719A KR 20217020719 A KR20217020719 A KR 20217020719A KR 102666774 B1 KR102666774 B1 KR 102666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resin
chain
monomer
water
ab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0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0141A (ko
Inventor
쇼헤이 우에사카
게이이치 요코야마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9/047068 external-priority patent/WO2020129594A1/ja
Publication of KR20210100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7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28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285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containing a polyether chain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28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containing a polyether chain in the alcohol moiety and containing polyethylene oxide in the alcohol moiety, e.g. methoxy polyethylene glycol (meth)acry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32Polymerisation in water-in-oil emul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6/00Post-polymerisation treatments
    • C08F6/24Treatment of polymer suspensions

Abstract

흡수성 수지(21)는, 대략 구상의 복수의 입자(40)가 쇄상으로 연결된 형상을 갖는다.

Description

흡수성 수지, 흡수체,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흡수성(吸水性) 수지, 흡수체(吸收體), 흡수성(吸收性) 물품, 및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흡수성 수지와 친수성 섬유(예를 들면, 펄프)를 포함하는 흡수체가 종이 기저귀 등의 위생 용품 등에 이용되고 있다. 위생 용품은, 장시간 착용해도 쾌적할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흡수체를 소형화하는 것이나, 흡수체의 흡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 등의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흡수체에 포함되는 흡수성 수지의 흡수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장시간 사용해도 피부 염증이 발생하기 어려운 위생 용품을 제공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84472호
본 발명자들의 지견(知見)에 의하면, 흡수체를 박형화하기 위해서는, 흡수성 수지보다 부피가 큰 친수성 섬유의 함유량을 줄이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흡수체 내에 있어서 액체를 확산시키는 기능을 갖는 친수성 섬유의 함량을 줄임으로써, 흡수체 내에 있어서 액체 흡수의 국소화가 일어나고, 그 결과, 흡수체의 흡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개시는 상기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박형의 흡수체를 구성할 수 있고, 또한, 흡수체의 역행량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흡수체에 충분한 확산력을 부여할 수 있는 흡수성 수지, 그 흡수성 수지를 포함하는 흡수체, 및 그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흡수성 수지와 친수성 섬유의 기능을 겸비하는 새로운 흡수성 수지를 제작할 수 있으면, 흡수체를 박형화하면서, 그 흡수 성능을, 종래의 흡수체에 비하여 향상 또는 필요 충분한 상태로 유지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연구를 행했다. 그 결과, 흡수성 수지가 특정 형상을 갖는 경우에, 흡수체를 박형화 가능하고, 또한, 흡수체의 역행량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흡수체 내에 있어서 액체의 확산을 충분히 행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즉, 본 개시의 일 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는, 대략 구상(球狀)의 복수의 입자가 쇄상으로 연결된 형상을 갖는다.
대략 구상의 복수의 입자가 쇄상으로 연결된 형상을 갖는 흡수성 수지는, 입자가 흡수성 수지의 특성으로서의 흡수 성능을 가짐과 함께, 그 특이한 형상에 기인하여, 액체를 충분히 확산시킬 수 있다.
또, 흡수성 수지는, 2종류 이상의 단량체의 공중합물인 양태로 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일 형태에 관한 흡수체는, 상기의 흡수성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의 흡수체에는, 대략 구상의 복수의 입자가 쇄상으로 연결된 형상의 흡수성 수지가 포함된다. 따라서, 흡수체로서도, 흡수 성능을 가지면서, 액체의 확산을 충분히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자들은, 흡수체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가 특정 형상을 갖는 경우에, 당해 흡수성 수지를 친수성 섬유와 조합하여 흡수체로 함으로써 촉감이 양호해지는 것을 알아냈다. 즉, 본 발명자들은 박형의 흡수체를 구성할 수 있고, 또한, 흡수체의 역행량을 저감 가능할 뿐만 아니라, 촉감의 개선 효과도 얻어지는 것을 알아냈다.
즉, 본 개시의 일 형태에 관한 흡수체는, 대략 구상의 복수의 입자가 쇄상으로 연결된 형상을 갖는 흡수성 수지와, 친수성 섬유를 포함한다.
대략 구상의 복수의 입자가 쇄상으로 연결된 형상을 갖는 흡수성 수지는, 종래의 흡수성 수지와 비교하여 부드럽기 때문에, 이 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흡수체에 의하면, 촉감이 양호해진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촉감이 좋다(양호하다)"란, 마찰 특성을 나타내는 마찰 계수의 변동(MMD) 및 표면 조도(SMD)가 모두 작은 값을 나타내고 있는 상태를 가리키고, 매끄러운 촉감이 얻어지는 상태를 말한다.
또, 흡수성 수지는, 2종류 이상의 단량체의 공중합물로 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일 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상기의 흡수체를 포함한다.
상기의 흡수성 물품에는, 상술한 대략 구상의 복수의 입자가 쇄상으로 연결된 형상의 흡수성 수지를 포함하는 흡수체가 포함된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으로서도 촉감이 양호해진다.
또, 본 개시의 일 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은, 단량체 A 및 단량체 B를 역상(逆相) 현탁 중합법에 의하여 공중합시키는 중합 공정과, 상기 중합 공정에 있어서 얻어진 함수 젤을 건조하는 건조 공정을 갖고, 상기 단량체 A는, (메트)아크릴산 및 그 중화물 중 적어도 일방을 포함하며, 상기 단량체 B는, 알콕시폴리알킬렌글라이콜(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중합 공정에 있어서, 공중합에 제공하는 상기 단량체 A의 몰양(α)과 상기 단량체 B의 몰양(β)의 비(α/β)가, 1/4~4이다.
상기의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높은 흡수 성능을 갖고, 또한 액체의 확산을 충분히 행하는 것이 가능한, 대략 구상의 복수의 입자가 쇄상으로 연결된 형상의 흡수성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아크릴" 및 "메타크릴"을 합하여 "(메트)아크릴"이라고 표기한다.
여기에서, 상기 중합 공정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로서 자당 지방산 에스터 및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중 적어도 일방을 반응계에 첨가하는 양태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중합 공정에서의 계면활성제로서 자당 지방산 에스터 및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중 적어도 일방을 첨가함으로써, 대략 구상의 복수의 입자가 쇄상으로 연결된 형상의 흡수성 수지를 적합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 상기 중합 공정에 있어서, 고분자계 분산제의 존재하에 중합을 행하는 양태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분자 분산제의 존재하에서 중합을 행함으로써, 중합 공정에 있어서 입자가 적절히 분산되어, 괴상(塊狀)이 되기 어렵고, 그 때문에, 대략 구상의 복수의 입자가 쇄상으로 연결된 형상의 흡수성 수지를 적합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건조 공정에 있어서, 탄화수소 분산매의 공비(共沸) 증류에 의하여, 함수량이 50질량% 이하가 될 때까지 상기 함수 젤을 탈수하는 양태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건조 공정에 있어서, 탄화수소 분산매의 공비 증류에 의하여, 함수량이 50질량% 이하가 될 때까지 함수 젤을 탈수함으로써, 대략 구상의 복수의 입자가 쇄상으로 연결된 형상의 흡수성 수지를 적합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하면, 박형의 흡수체를 구성할 수 있고, 또한, 흡수체의 역행량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흡수체 내에 있어서 액체를 충분히 확산할 수 있는 흡수성 수지, 상기 흡수성 수지를 포함하는 흡수체, 및 상기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촉감이 좋은 흡수체 및 그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2의 (A) 및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의 (A)~도 3의 (F)는, 실시예에 관한 1개의 흡수성 수지의 SEM 화상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관한 복수의 흡수성 수지의 SEM 화상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흡수성 수지의 가압하 흡수능의 측정에 이용한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는 동일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복수의 하한값과 복수의 상한값이 별개로 기재되어 있는 경우, 임의의 하한값과 상한값을 선택하여, 특정 수치 범위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또,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개시된 값, 또는, 실시예로부터 일의적으로 도출되는 수치를 하한값 또는 상한값의 후보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각 구성 요소는, 적절히 조합 가능하다.
(흡수성 물품·흡수체)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1)은, 흡수체(2)와, 액체 투과성 시트(3)와, 액체 불투과성 시트(4)를 포함한다. 흡수체(2)는, 대향 배치된 액체 투과성 시트(3) 및 액체 불투과성 시트(4)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흡수성 물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종이 기저귀, 실금 패드, 생리용 냅킨, 실금 라이너, 팬티 라이너, 펫 시트, 식품용 드립 시트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개시의 흡수성 수지가 흡수체의 박형화를 실현 가능함과 함께, 촉감이 개선된 것인 것을 고려하면, 흡수성 물품은, 신체와 접촉하는 제품(종이 기저귀, 실금 패드, 생리용 냅킨, 실금 라이너, 팬티 라이너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흡수성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흡수체 및 그것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을 박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해도 눈에 띄지 않고, 수송 비용의 저감도 가능한 흡수성 물품을 얻을 수 있다. 본 개시의 흡수체를 이용함으로써, 그것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의 촉감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흡수성 물품(1)을 신체에 접촉하는 제품에 이용하는 경우는, 액체 투과성 시트(3)는, 신체와 접촉하는 측에 배치되고, 액체 불투과성 시트(4)는, 그 반대 측에 배치된다.
흡수체(2)는, 적어도 흡수 코어(20)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2)는, 흡수 코어(20)에 더하여 코어랩(23)을 더 포함하고 있다. 흡수 코어(20)는, 흡수체(2)의 흡수 성능을 좌우하는 중핵(中核)적인 부재이며, 적어도 흡수성 수지(21)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 코어(20)는, 흡수성 수지(21)에 더하여 친수성 섬유(22)를 더 포함하고 있지만, 친수성 섬유(22)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코어랩(23)은, 흡수 코어(20)를 보형(保型)하는 시트상의 부재이다. 코어랩(23)으로서는, 예를 들면, 티슈,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코어랩(23)을 이용하는 경우, 흡수 코어(20)의 보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매의 코어랩(23)에 의하여 흡수 코어(20)를 감쌈으로써 흡수 코어(20)를 보형해도 되고, 2매의 코어랩(23)에 의하여 흡수 코어(20)를 협지함으로써 흡수 코어(20)를 보형해도 된다(도시하지 않는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의 층 구성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액체 투과성 시트(3), 흡수체(2), 및 액체 불투과성 시트(4)의 사이에 간극이 있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본래, 이들 구성 요소는 밀착되어 있다(흡수체(2)의 코어랩(23) 및 흡수 코어(20)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친수성 섬유(22)는, 흡수체(2)의 내부에 있어서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액체를 확산시키는 기능을 갖는 부재이다. 친수성 섬유(22)로서는, 예를 들면, 셀룰로스 섬유 및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셀룰로스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목재로부터 얻어지는 솜형상 펄프, 메커니컬 펄프, 케미컬 펄프, 세미케미컬 펄프 등의 천연 셀룰로스 섬유; 레이온, 피브릴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스 섬유; 아세테이트, 트라이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스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친수화 처리된 폴리아마이드, 폴리에스터, 폴리올레핀 등으로 이루어지는 섬유를 들 수 있다. 이들 섬유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한 혼합 섬유로서 이용해도 된다.
흡수체(2)에 있어서의 친수성 섬유(22)의 사용량은, 흡수체(2) 및 흡수성 물품(1)의 박형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흡수 코어(20)의 질량을 기준(100질량%)으로 하여, 예를 들면 60질량%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5질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하이다. 친수성 섬유(22)의 사용량은 0질량%여도 된다(즉, 흡수 코어(20)가 친수성 섬유(22)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단, 흡수 코어(20)에 소량의 친수성 섬유(22)를 포함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흡수체(2) 및 흡수성 물품(1)의 액체 확산력을 보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친수성 섬유(22)의 사용량은, 흡수 코어(20)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상이다.
흡수 코어(20)는, 보강제로서, 폴리아마이드, 폴리에스터, 폴리올레핀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합성 섬유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 흡수 코어(20)에 흡수체의 형태 유지성을 높이기 위한 열융착성 합성 섬유, 핫멜트 접착제, 접착성 에멀션 등의 접착성 바인더가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또, 흡수체(2)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10mm로 할 수 있다. 흡수체(2)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20)의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흡수성 수지(21)와 친수성 섬유(22)를 균일하게 블렌딩한 믹싱 구조, 친수성 섬유(22)의 복수의 층의 사이에 흡수성 수지(21)를 유지한 샌드위치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단,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2) 및 흡수 코어(20)는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흡수체(2)에 있어서의 흡수성 수지(21)의 사용량은, 흡수 코어(20)의 질량을 기준(100질량%)으로 하여, 예를 들면, 5~100질량%, 30~90질량%, 또는 50~80질량%이다. 흡수성 수지(21)의 사용량이 5질량% 이상임으로써, 흡수체(2)의 흡수 용량이 커져, 액누출 및 역행을 억제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흡수체(2)를 구성하는 흡수성 수지(21)에는, 적어도 대략 구상의 복수의 입자가 쇄상으로 연결된 형상을 갖는 흡수성 수지(211)(이하, 쇄상 흡수성 수지(211)라고 칭한다)가 포함되어 있다. 쇄상 흡수성 수지(211)는, 입자가 쇄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장척 부분을 갖는다(즉, 가늘고 길다). 흡수성 수지(21)에는, 쇄상 흡수성 수지(211)와는 다른 형상을 갖는 흡수성 수지(212)(이하, 비쇄상 흡수성 수지(212)라고 칭한다)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수지(21)는, 쇄상 흡수성 수지(211)와 비쇄상 흡수성 수지(212)를 포함하고 있다. 쇄상 흡수성 수지(211)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비쇄상 흡수성 수지(212)는, 후술하는 쇄상 흡수성 수지(211)에는 해당하지 않는 수지이며, 예를 들면, 대략 구상, 파쇄상, 과립상, 혹은 그들의 복수의 입자가 괴상이 된 형상을 갖는 흡수성 수지이다. 비쇄상 흡수성 수지(212)의 형상은, 쇄상 흡수성 수지(211)와 다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흡수체(2)에 포함되는 흡수성 수지(21)에 있어서의 쇄상 흡수성 수지(211)의 비율은, 흡수성 수지(21)의 전체량을 기준(100질량%)으로 하여, 하한값이 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질량%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40질량%이다. 또, 그 상한값은, 예를 들면, 50질량%이고, 바람직하게는 60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질량%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90질량%이다. 상한값은 100질량%(즉, 흡수성 수지(21)로서, 쇄상 흡수성 수지(211)만을 사용한다)여도 되지만, 쇄상 흡수성 수지(211)의 비율을 상기의 범위로 함으로써, 보다 흡수체를 박형화할 수 있고, 또한, 흡수체의 역행량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흡수체에 액체의 확산성을 보다 부여할 수 있다.
액체 투과성 시트(3)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폴리아마이드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다공질의 합성 수지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액체 불투과성 시트(4)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 바이닐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 이들 합성 수지와 부직포의 복합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액체 투과성 시트(3) 및 액체 불투과성 시트(4)의 크기 및 두께는, 흡수성 물품 등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정된다. 본 발명의 쇄상 흡수성 수지(211)를 이용함으로써 박형의 흡수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두꺼운 액체 투과성 시트(3) 및/또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4)를 사용해도, 박형의 흡수성 물품(1)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흡수체(2) 및 흡수성 물품(1)은, 활제(滑劑), 소취제, 항균제, 향료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 첨가제의 첨가 부위는 첨가제의 기능에 근거하여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흡수 코어(20) 내, 코어랩(23)과 흡수 코어(20)의 사이, 액체 투과성 시트(3) 및/또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4)와 코어랩(23)의 사이에 첨가할 수 있다.
상기 흡수체(2)는, 후술하는 마찰 계수의 변동(MMD)이 0 초과 0.0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 초과 0.01 이하이다. 마찰 계수의 변동(MMD)은 거칠기의 지표이며, 값이 클수록 거칠거칠한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마찰 계수의 변동(MMD)은 그 측정값이 작을수록 거친감이 적어 흡수체에 대한 사용에 바람직하다. 또한, 마찰 계수의 변동(MMD)의 측정 방법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다.
상기 흡수체(2)는, 표면 조도(SMD)가 0 초과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 초과 3.0 이하이다. 표면 조도(SMD)는 표면의 요철에 관한 지표이며, 값이 클수록 표면의 요철이 현저한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표면 조도(SMD)는 그 측정값이 작을수록 요철감이 적어 흡수체에 대한 사용에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조도(SMD)의 측정 방법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다.
상술한 마찰 계수의 변동(MMD), 및 표면 조도(SMD)는 모두, 촉감에 관련되는 지표이다. 마찰 계수의 변동(MMD) 및 표면 조도(SMD) 모두가 상술한 범위를 충족시키는 흡수체(2)는, 촉감이 좋다.
(흡수성 수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21)에 포함되는 쇄상 흡수성 수지(21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쇄상 흡수성 수지(211)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쇄상 흡수성 수지(211)는, 복수의 대략 구상의 입자(40)가 쇄상으로 연결된 형상을 갖는다.
대략 구상의 입자(40)란, 단면이 대략 원상(圓狀)인 입자이다. 입자(40)의 단면 형상은 진원(眞圓)에 한정되지 않으며, 타원이어도 되고, 원에 가까운 부정형(不定形)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애스펙트비가 1.5 이하인 것을 "대략 구상"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입자(40)는, 예를 들면, 그 입자경이 10μm~600μm이며, 바람직하게는 50μm~500μm이다. 입자(40)의 입자경은, 예를 들면, 후술하는 계면활성제의 사용량, 중합 시의 교반 속도 등에 의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 복수의 입자(40)는, 각 입자가 판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2의 (A)의 쇄상 흡수성 수지(211A)에 있어서의 복수의 입자(40)에 포함되는 입자(40a)와 입자(40b)는 서로 인접하는 배치이며, 입자(40a)의 표면의 일부가 입자(40b)의 표면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입자(40a)와 입자(40b)가 연결되어 있다. 입자(40a) 및 입자(40b)와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의 입자(40a) 및 입자(40b)의 경계(45)는, 입자(40a) 및 입자(40b)의 최대 직경보다 그 폭(연결 부분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폭)이 짧다. 따라서, 인접하는 입자(40a)와 입자(40b)의 사이에는, 잘록한 형상의 경계(45)를 특정할 수 있고, 이 경계(45)를 구분선으로 하여 입자(40a)와 입자(40b)를 판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복수의 입자(40)는, 인접하는 입자와 서로 판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대략 구상의 입자(40)가, 서로 판별 가능한 상태에서 선상으로 연결됨으로써, "쇄상으로 연결된" 형상의 쇄상 흡수성 수지(211)가 얻어진다. 이 쇄상 흡수성 수지(211)는, 마치 염주(관통 구멍을 갖는 복수의 구슬이 실을 통과하여, 선상 또한 인접하는 구슬 사이에 간극이 없도록 연속적으로 연결된 법구(法具))와 같은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복수의 입자(40)가 쇄상으로 연결되어 있다란, 복수의 입자(40)가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쇄상 흡수성 수지(211)에서는, 적어도 5개 이상의 입자(40)가 쇄상으로 연결되어 있고, 그 중, 3개 이상의 입자(40)가 주쇄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주쇄란, 쇄상 흡수성 수지(211)의 가장 긴 부분에 상당한다. 도 2의 (A)에 나타내는 쇄상 흡수성 수지(211A)에서는, 5개의 입자(40)가 직쇄를 형성하고 있다. 또, 도 2의 (B)에 나타내는 쇄상 흡수성 수지(211B)에서는, 7개의 입자(40)가 쇄상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그 중 4개의 입자(40)가 주쇄(41)를 구성하고, 2개의 입자(40)에 의한 분기쇄(42) 및 1개의 입자(40)에 의한 분기쇄(43)가 주쇄(41)에 대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쇄상 흡수성 수지(211)는, 복수의 입자(40)가 쇄상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되고, 그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분기쇄상이 된 입자(40) 각각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입자경이 서로 다른 입자(40)끼리가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쇄상으로 연결되는 입자(40)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5개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개 이상이다. 또, 그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많으면 많을수록 긴 쇄상 흡수성 수지가 얻어지지만, 현실적으로는, 100개 이하이다.
또한, 쇄상 흡수성 수지(211)는, 대략 구상의 입자(40)만으로의 구성(즉, 대략 구상의 입자(40)가 연속적으로 연결된 "쇄상부"만을 갖는 구성)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대략 구상의 입자(40)는, 대략 구상이 아닌 입자를 통하여, 단속적으로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즉, 인접하는 대략 구상의 입자(40)의 사이에, 대략 구상이 아닌 입자가 개재되어 있어도 된다. 또, 쇄상 흡수성 수지(211)는, 쇄상부의 단부에 대략 구상이 아닌 입자가 연결된 구조여도 된다. 쇄상 흡수성 수지(211)가 대략 구상이 아닌 입자를 포함하는 경우, 대략 구상의 입자(40)가 차지하는 비율은 70질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이다.
대략 구상의 입자(40)가 복수 쇄상으로 연결된 형상의 쇄상 흡수성 수지(211)는, 주쇄의 연장 방향이 길이 방향이 되는 장척상이 된다.
쇄상 흡수성 수지(211)의 입자경은, 예를 들면, 150μm이고, 바람직하게는 200μ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μm이다. 또, 그 상한값은, 예를 들면, 5000μm이고, 바람직하게는 3000μ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0μm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00μm이다.
쇄상 흡수성 수지(211)의 입자경의 측정에는, 체가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JIS 표준 체를 위로부터, 눈 크기 850μm의 체, 눈 크기 600μm의 체, 눈 크기 500μm의 체, 눈 크기 425μm의 체, 눈 크기 300μm의 체, 눈 크기 250μm의 체, 눈 크기 150μm의 체, 및 받침 접시의 순서로 조합한다. 그 후, 조합한 가장 위의 체에, 쇄상 흡수성 수지(211)를 넣고, 로 탭식 진탕기를 이용하여 20분간 진탕시켜 분급한다. 분급 후, 각 체 위에 남은 쇄상 흡수성 수지의 질량을 전체량에 대한 질량 백분율로서 산출하여, 입도 분포를 구한다. 이 입도 분포에 관하여 입자경이 큰 쪽부터 순서대로 체 위를 적산함으로써, 체의 눈 크기와 체 위에 남은 쇄상 흡수성 수지의 질량 백분율의 적산값의 관계를 대수 확률지에 플롯한다. 확률지 상의 플롯을 직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적산 질량 백분율 50질량%에 상당하는 입자경(중위 입자경)이 쇄상 흡수성 수지(211)의 입자경이다.
쇄상 흡수성 수지(211)는, 그 자체가 흡수성 수지이기 때문에, 친수성 섬유에 비하여 보수능이 높아, 흡수체의 역행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쇄상 흡수성 수지(211)는, 종래의 흡수성 수지(비쇄상 흡수성 수지)에 비하여 부드럽고, 따라서, 촉감이 양호한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쇄상 흡수성 수지(211)는, 흡수체 내에 있어서, 액체의 확산을 충분히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쇄상 흡수성 수지(211)는, 친수성 섬유보다 부피가 커지지 않기 때문에, 박형의 흡수체(2)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쇄상 흡수성 수지(211)의 생리 식염수에 대한 보수능은, 쇄상 흡수성 수지 1g에 대하여, 예를 들면, 그 하한값이 15g이고, 바람직하게는 20g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g이다. 또, 그 상한값은, 예를 들면, 60g이고, 바람직하게는 50g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5g이다. 생리 식염수 보수능의 측정 방법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다.
상기의 쇄상 흡수성 수지(211)의 생리 식염수에 대한 흡수 속도는, 예를 들면, 그 하한값이 10초이고, 바람직하게는 20초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초이다. 또, 그 상한값은, 예를 들면, 90초이고, 바람직하게는 70초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초이다. 흡수 속도의 측정 방법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다.
상기의 쇄상 흡수성 수지(211)의 생리 식염수에 대한 가압하 흡수능은, 쇄상 흡수성 수지 1g에 대하여, 예를 들면, 그 하한값이 3ml이고, 바람직하게는 5ml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ml이다. 가압하 흡수능의 측정 방법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다.
상기의 쇄상 흡수성 수지(211)는, 그 특이적인 형상에 의하여 비쇄상 흡수성 수지와 비교하여 부드러운 촉감을 나타낸다. 비쇄상 흡수성 수지보다 부드러운 촉감인 쇄상 흡수성 수지(211)를 흡수체(2) 및 흡수성 물품(1)에 사용함으로써, 촉감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특히, 흡수체(2)에 있어서의 친수성 섬유(22)의 비율이 낮은 경우, 흡수체(2)에 포함되는 흡수성 수지(21)의 촉감이, 흡수체(2)로서의 촉감에 크게 영향을 준다. 따라서, 부드러운 촉감을 갖는 쇄상 흡수성 수지(211)를 흡수체(2)에 포함시킴으로써, 흡수체(2)로서의 촉감이 양호해진다. 또, 흡수체(2)의 촉감이 양호해짐으로써, 흡수성 물품(1)으로서의 촉감도 양호해진다.
(쇄상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쇄상 흡수성 수지(211)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쇄상 흡수성 수지(211)는, 예를 들면, 2종류 이상의 단량체를 공중합시킴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쇄상 흡수성 수지(211)의 제조 방법은, 단량체 A 및 단량체 B(단량체 A와 종류가 다르다)를 역상 현탁 중합법에 의하여 공중합시키는 중합 공정과, 중합 공정에 있어서 얻어진 함수 젤을 건조하는 건조 공정을 포함한다.
<중합 공정>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합 공정에 제공되는 단량체 A는, (메트)아크릴산 및 그 중화물 중 적어도 일방을 포함하고 있으며, 단량체 B는, 알콕시폴리알킬렌글라이콜(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아크릴" 및 "메타크릴"을 합하여 "(메트)아크릴"이라고 표기한다.
(메트)아크릴산의 중화물은,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을 알칼리성 중화제에 의하여 중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쇄상 흡수성 수지의 침투압을 높게 하고, 흡수 속도를 높이면서, 보다 흡수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중화물의 중화도는, (메트)아크릴산 중의 산성기의 10~100몰%, 바람직하게는 50~9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80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칼리성 중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수산화 나트륨, 탄산 나트륨, 탄산 수소 나트륨, 수산화 칼륨, 탄산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염; 암모니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알칼리성 중화제는, 중화 조작을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수용액의 상태로 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상술한 알칼리성 중화제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메트)아크릴산의 산기의 중화는, 예를 들면,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등의 알칼리성 중화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중화 수용액)을 (메트)아크릴산 수용액에 적하하여 혼합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중화 수용액의 농도는, 예를 들면, 20질량%~50질량%이다.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산의 중화물은, 상술한 중화도로 부분적으로 중화된 (메트)아크릴산의 알칼리 금속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중화도로 중화된 (메트)아크릴산의 나트륨염이다.
단량체 B에 포함되는 알콕시폴리알킬렌글라이콜(메트)아크릴레이트는, 하기 일반식 (1)로 나타난다.
CH2=CHCO(OCH2CH2)nOR (1)
또한, 상기 일반식 (1)에 있어서, "n"은, 에틸렌글라이콜의 반복 단위의 수를 나타내고 있으며, 0보다 큰 정수이다. n의 하한값은, 예를 들면 5이고, 바람직하게는 7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이다. n의 상한값은, 예를 들면 18이고, 바람직하게는 1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3이다. 상기 일반식 (1)에 있어서, "R"은 수소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의 (메트)아크릴산 또는 그 중화물과 공중합시키기 쉬운 점에서, R의 탄소수는, 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1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R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3 이하인 무치환의 알킬기(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또는 아이소프로필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2 이하인 무치환의 알킬기(메틸기 또는 에틸기)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1인 무치환의 알킬기(메틸기)이다.
공중합에 제공하는 단량체 A의 몰양(α)과, 단량체 B의 몰양(β)의 비(α/β)는, 바람직하게는 그 하한값이 1/4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7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2/3이다. 또, 그 상한값은 바람직하게는 4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3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3/2이다. 이들 단량체의 비(α/β)가 당해 범위 내이면, 대략 구상의 입자(40)가 쇄상으로 연결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쇄상 흡수성 수지를 높은 수율로 제작할 수 있고, 또, 제작한 쇄상 흡수성 수지가 응집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친수성 섬유와 양호하게 혼합시킬 수 있다.
쇄상 흡수성 수지(211)의 제조에 있어서는, 상기의 2종류의 단량체 A 및 B에 더하여, 다른 단량체 C를 추가하여 공중합해도 된다. 단량체 C로서는, 예를 들면,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들 수 있다.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2-(메트)아크릴아마이드-2-메틸프로페인설폰산 및 그 알칼리염,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N-다이메틸(메트)아크릴아마이드,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마이드, 폴리에틸렌글라이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N,N-다이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N-다이에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에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가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당해 아미노기는 4급화되어 있어도 된다.
또, 단량체 C로서는, 본 개시의 효과 발현이 저해되지 않는 한, 상기의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이외의 수용성 단량체가 선택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단량체는, 예를 들면, 상기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단량체 C가 산기를 포함하는 경우, 단량체 C는, 상술한 (메트)아크릴산의 중화물과 동일하게, 알칼리 중화제에 의하여 중화하여 이용해도 된다. 중화에 이용되는 중화제 및 바람직한 중화도의 범위에 대해서는, (메트)아크릴산의 중화물과 동일하다.
단량체 C를 추가하는 경우이더라도, 단량체 A와 단량체 B의 합계량은, 단량체 전체량에 대하여 70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이 경우, 그 합계량은, 필연적으로 100몰% 미만이다.
중합 공정에 제공되는 단량체 A~C는, 통상, 수용액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 경우, 단량체의 수용액(이하, 단량체 수용액이라고 한다)에 있어서의 단량체의 농도는, 통상, 25질량%~포화 농도의 범위이며, 35질량%~6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물은, 예를 들면, 수돗물, 증류수, 이온 교환수 등을 들 수 있다.
역상 현탁 중합법에 있어서는, 계면활성제의 존재하에서, 탄화수소 분산매 중에서 단량체 수용액을 분산하고,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 등을 이용하여, 상기의 단량체의 중합이 행해진다. 중합 시에, 내부 가교제를 이용해도 된다.
중합 반응 시에 이용되는 계면활성제, 고분자계 분산제, 탄화수소 분산매,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 내부 가교제 등은, 역상 현탁 중합법에 있어서, 통상 사용될 수 있는 것을 이용하면 된다.
계면활성제로서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중, 자당 지방산 에스터,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프로필렌글라이콜 지방산 에스터, 소비탄 지방산 에스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자당 지방산 에스터 및/또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를 이용함으로써, 쇄상 흡수성 수지를 적합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로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산염, 알킬벤젠설폰산염, 알킬메틸타우린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터 황산 에스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설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의 인산 에스터, 및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알릴에터의 인산 에스터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들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계면활성제의 HLB(친수성/친유성 밸런스)는, 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의 HLB의 하한값은, 예를 들면 2이며, 바람직하게는 3이다. 계면활성제의 HLB가 이 범위 내이면, 대략 구형의 입자가 얻어지기 쉬워지고, 또한, 입자끼리가 연결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쇄상 흡수성 수지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반응계에 첨가하는 계면활성제의 양은, 사용량에 대한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고, 또한 경제적인 관점에서, 중합 공정에 제공되는 단량체 수용액 100질량부에 대하여 0.1질량부~5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0.2질량부~3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질량부~2질량부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본 개시의 쇄상 흡수성 수지의 제법에 있어서는, 역상 현탁 중합에 계면활성제와 함께 고분자계 분산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분산제를 이용함으로써 탄화수소 분산매 중에 있어서 흡수성 수지의 입자가 적절히 분산되고, 괴상이 되지 않아, 쇄상 흡수성 수지를 적합하게 얻을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고분자계 분산제로서는,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 변성 EPDM(에틸렌·프로필렌·다이엔·터폴리머),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뷰타다이엔, 무수 말레산·에틸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프로필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뷰타다이엔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산화형 폴리에틸렌, 산화형 폴리프로필렌, 산화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셀룰로스, 에틸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단량체의 분산 안정성의 면에서,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에틸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프로필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산화형 폴리에틸렌, 산화형 폴리프로필렌, 산화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 고분자계 분산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반응계에 첨가하는 고분자계 분산제의 양은, 탄화수소 분산매 중에 있어서의, 단량체의 분산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고, 또한 사용량에 맞는 분산 효과를 얻기 위하여, 중합 공정에 제공되는 단량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0.1질량부~5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2질량부~3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5질량부~2질량부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과황산 칼륨, 과황산 암모늄, 과황산 나트륨 등의 과황산염;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메틸아이소뷰틸케톤퍼옥사이드, 다이-t-뷰틸퍼옥사이드, t-뷰틸큐밀퍼옥사이드, t-뷰틸퍼옥시아세테이트, t-뷰틸퍼옥시아이소뷰티레이트, t-뷰틸퍼옥시피발레이트, 및 과산화 수소 등의 과산화물;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 2염산염, 2,2'-아조비스[2-(N-페닐아미디노)프로페인] 2염산염, 2,2'-아조비스[2-(N-알릴아미디노)프로페인] 2염산염, 2,2'-아조비스{2-[1-(2-하이드록시에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페인} 2염산염, 2,2'-아조비스{2-메틸-N-[1,1-비스(하이드록시메틸)-2-하이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마이드}, 2,2'-아조비스[2-메틸-N-(2-하이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마이드], 4,4'-아조비스(4-사이아노발레르산) 등의 아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라디칼 중합 개시제는, 각각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반응계에 첨가하는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양은, 예를 들면, 중합 공정에 제공되는 단량체 100몰에 대하여 0.005~1몰이다.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이 0.005몰 이상이면, 중합 반응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효율적이다. 사용량이 1몰 이하이면, 적절한 속도의 중합 반응이 되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는, 아황산 나트륨, 아황산 수소 나트륨, 황산 제1철, L-아스코브산 등의 환원제와 병용하여, 레독스 중합 개시제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중합 반응 시에는, 쇄상 흡수성 수지의 흡액 특성을 제어하기 위하여, 중합에 이용하는 단량체 수용액 중에, 연쇄 이동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연쇄 이동제로서는, 예를 들면, 차아인산염류, 싸이올류, 싸이올산류, 제2급 알코올류, 아민류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 분산매로서는, 예를 들면, n-헥세인, n-헵테인, 2-메틸헥세인, 3-메틸헥세인, 2,3-다이메틸펜테인, 3-에틸펜테인, n-옥테인 등의 쇄상 지방족 탄화수소; 사이클로헥세인, 메틸사이클로헥세인, 사이클로펜테인, 메틸사이클로펜테인, trans-1,2-다이메틸사이클로펜테인, cis-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테인, trans-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테인 등의 지환족 탄화수소;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탄화수소 분산매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탄화수소 분산매는, 탄소수 6~8의 쇄상 지방족 탄화수소, 및 탄소수 6~8의 지환족 탄화수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W/O형 역상 현탁의 상태가 양호하고, 우수한 흡수 속도의 쇄상 흡수성 수지가 적합한 입자경으로 얻어지기 쉬우며, 공업적으로 입수가 용이하고, 또한 품질이 안정되어 있는 관점에서, 탄화수소 분산매는, n-헵테인, 사이클로헥세인, 또는 이들의 양방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 동일한 관점에서, 상기 탄화수소 분산매의 혼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시판되고 있는 엑솔헵테인(엑슨 모빌사제: n-헵테인 및 이성체의 탄화수소 75~85% 함유)을 이용해도 된다.
탄화수소 분산매의 사용량은, 중합열을 적당히 제거하여, 중합 온도를 제어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중합 공정에 제공되는 단량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100~10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80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0~700질량부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탄화수소 분산매의 사용량이 100질량부 이상임으로써, 중합 온도의 제어가 용이해지는 경향이 있다. 탄화수소 분산매의 사용량이 1000질량부 이하임으로써, 중합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어, 경제적이다.
중합 시에 발생하는 자기 가교 반응에 의하여 내부에 내부 가교 구조를 갖는 쇄상 흡수성 수지가 얻어지지만, 중합 시에 내부 가교제를 이용함으로써, 내부의 가교 밀도를 조정하여, 쇄상 흡수성 수지의 흡액 특성을 제어해도 된다. 이용되는 내부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글리세린, 폴리옥시에틸렌글라이콜, 폴리옥시프로필렌글라이콜, 폴리글리세린 등의 폴리올류; 상기 폴리올류와의 다이 또는 트라이(메트)아크릴산 에스터류; 상기 폴리올류와 말레산, 푸마르산 등의 불포화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불포화 폴리에스터류; N,N'-메틸렌비스(메트)아크릴아마이드 등의 비스(메트)아크릴아마이드류; 폴리에폭사이드와 (메트)아크릴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다이 또는 트라이(메트)아크릴산 에스터류; 톨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와 (메트)아크릴산 하이드록시에틸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다이(메트)아크릴산 카밤일에스터류; 알릴화 전분, 알릴화 셀룰로스, 다이알릴프탈레이트, N,N',N''-트라이알릴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다이바이닐벤젠 등의 중합성 불포화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 (폴리)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폴리)"란 "폴리"의 접두어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쌍방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 동일.), 글리세린다이글리시딜에터, 글리세린트라이글리시딜에터,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폴리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터 등의 폴리글리시딜 화합물; 에피클로로하이드린, 에피브로모하이드린, α-메틸에피클로로하이드린 등의 할로에폭시 화합물; 2,4-톨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등의, 반응성 관능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교제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반응계에 첨가하는 내부 가교제의 양은, 0몰%(즉, 내부 가교제를 사용하지 않는다)여도 되지만, 얻어지는 쇄상 흡수성 수지가 충분한 흡수량을 나타내도록 하는 관점에서, 중합 공정에 제공되는 단량체 1몰당, 0 초과 0.03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 초과 0.01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 초과 0.005몰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 공정에 제공되는 단량체,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 필요에 따라 내부 가교제 등, 계면활성제, 고분자계 분산제, 탄화수소 분산매를 혼합하고, 교반하에서 가열하여, 유중수계(油中水系)에 있어서, 역상 현탁 중합을 행한다. 각 성분의 첨가 순서 등은 적절히 조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를, 탄화수소 분산매와 미리 혼합해 두고, 또,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 및 내부 가교제와, 단량체를, 미리 각각 혼합해 두며, 각각에서 얻어지는 혼합액을 혼합하여, 중합을 개시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 단량체 수용액을 복수 회로 분할하여 첨가하는 다단 중합법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다단 중합법을 채용하는 경우, 1단째의 중합 공정에 제공되는 단량체는 단량체 A와 단량체 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2단째 이후의 중합 공정에 제공되는 단량체는, 바람직하게는 단량체 A를 포함하고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량체 A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2단째 이후의 중합에 제공되는 단량체를 단량체 A만으로 함(즉, 단량체 B를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함수 젤의 괴상화를 억제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쇄상 흡수성 수지를 얻을 수 있다. 또, 다단 중합법을 채용하는 경우, 각 단의 중합 공정에 제공되는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 및 내부 가교제의 사용량은, 각 단의 중합 공정에 제공되는 단량체를 기준으로 하여, 상술한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고분자계 분산제, 및 탄화수소 분산매를 첨가해도 된다.
중합 반응의 온도는, 사용하는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에 따라 다르지만, 중합을 신속히 진행시켜, 중합 시간을 짧게 함으로써, 경제성을 높임과 함께, 용이하게 중합열을 제거하여 원활히 반응을 행하는 관점에서, 20~110℃가 바람직하고, 40~90℃가 보다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통상, 0.1~4시간이다. 중합 반응의 종료는, 예를 들면, 반응계 내의 온도 상승의 정지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쇄상 흡수성 수지는, 통상, 함수 젤의 상태로 얻어진다.
<건조 공정>
이어서, 얻어진 함수 젤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건조를 행한다. 건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a) 상기 함수 젤이 탄화수소 분산매에 분산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가열함으로써 공비 증류를 행하여, 탄화수소 분산매를 환류시켜 수분을 제거(탈수)하는 방법, (b) 데칸테이션에 의하여 함수 젤을 취출하여, 감압 건조하는 방법, (c) 필터에 의하여 함수 젤을 여과 분리하여, 감압 건조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쇄상 흡수성 수지를 효율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a)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탄화수소 분산제의 공비 증류에 의한 탈수에 의하여, 함수 젤의 함수량을 50질량% 정도까지 저하시킴으로써, 쇄상 흡수성 수지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함수 젤의 함수량이 많은 상태에서, 탄화수소 분산매를 먼저 휘발시켜 건조시키면, 입자가 괴상화되어 쇄상 흡수성 수지가 얻어지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다.
본 실시형태에 기재한 쇄상 흡수성 수지를 구성하는 입자의 입자경은,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의 양, 증점제의 양, 중합 시의 교반 속도 등에 의하여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쇄상 흡수성 수지의 제조에 있어서는, 건조 공정 혹은 그 이후의 어느 하나의 공정에 있어서, 가교제를 이용하여 함수 젤 표면 부분의 가교(후가교)가 행해져도 된다. 이러한 처리에 의하여, 흡수성 수지의 표면 부분의 가교 밀도가 높아져, 흡수 속도, 가압하 흡수능 등의 모든 성능을 높인 위생 재료 용도에 적합한 쇄상 흡수성 수지를 얻을 수 있다. 후가교는, 함수 젤이 특정 함수량인 타이밍에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가교의 시기는, 함수 젤의 함수량이 10~60질량%인 시점이 바람직하고, 20~55질량%인 시점이 보다 바람직하며, 30~50질량%인 시점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함수 젤의 함수량(질량%)은, 다음의 식으로 산출된다.
함수량=[Ww÷(Ww+Ws)]×100
Ww: 전체 중합 공정의 중합 전의 수성액에 포함되는 수분량으로부터, 건조 공정에 의하여 외부로 추출된 수분량을 뺀 양에, 후가교제 등을 혼합할 때에 필요에 따라 이용되는 수분량을 더한 함수 젤의 수분량
Ws: 함수 젤을 구성하는 단량체, 가교제, 개시제 등의 재료의 도입량으로부터 산출되는 고형분량
후가교를 행하기 위한 후가교제로서는, 반응성 관능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그 예로서는, 에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1,4-뷰테인다이올,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글리세린, 폴리옥시에틸렌글라이콜, 폴리옥시프로필렌글라이콜, 폴리글리세린 등의 폴리올류; (폴리)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린다이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린트라이글리시딜에터,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트라이글리시딜에터(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폴리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터 등의 폴리글리시딜 화합물; 에피클로로하이드린, 에피브로모하이드린, α-메틸에피클로로하이드린 등의 할로에폭시 화합물; 2,4-톨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3-메틸-3-옥세테인메탄올, 3-에틸-3-옥세테인메탄올, 3-뷰틸-3-옥세테인메탄올, 3-메틸-3-옥세테인에탄올, 3-에틸-3-옥세테인에탄올, 3-뷰틸-3-옥세테인에탄올 등의 옥세테인 화합물; 1,2-에틸렌비스옥사졸린 등의 옥사졸린 화합물; 에틸렌카보네이트 등의 카보네이트 화합물; 비스[N,N-다이(β-하이드록시에틸)]아디프아마이드 등의 하이드록시알킬아마이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린다이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린트라이글리시딜에터,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폴리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터 등의 폴리글리시딜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후가교제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후가교제의 사용량은, 후가교제의 종류에 따라 다르므로 일률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지만, 통상, 중합 공정에 제공한(다단 중합을 행한 경우는, 전체 단의 중합 공정에 제공한) 단량체 1몰에 대하여 0몰(즉, 후가교제를 사용하지 않는다)이어도 되지만, 쇄상 흡수성 수지의 표면에 있어서의 가교 밀도를 충분히 높이고, 쇄상 흡수성 수지의 젤 강도를 높이는 관점에서 0 초과 0.2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0 초과 0.1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 초과 0.05몰 이하이다.
후가교 반응을 행한 경우,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물 및 탄화수소 분산매를 증류 제거함으로써, 쇄상 흡수성 수지의 건조품을 얻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쇄상 흡수성 수지는, 예를 들면, 젤 안정제, 금속 킬레이트제, 활제 등을 첨가하여 이용할 수 있다. 활제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 알루미늄, 산화 타이타늄, 카올린, 탤크, 벤토나이트, 비정질 실리카 등을 들 수 있다.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고, 흡수 성능에 대한 저해성이 낮기 때문에, 비정질 실리카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수지에 대한 비정질 실리카의 첨가량은, 예를 들면, 흡수성 수지의 질량을 기준(100질량부)으로 하여, 그 하한값이 0.05질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0.1질량부이다. 또, 그 상한값은, 예를 들면, 2질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1질량부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쇄상 흡수성 수지는, 상술한 제조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시점에서 원하는 입도 분포를 갖는 것으로 할 수 있지만, 추가로 체에 의한 분급을 이용한 입도 조정 등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입도 분포를 소정의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상술한 제조 방법에서는, 쇄상 흡수성 수지뿐만 아니라, 비쇄상 흡수성 수지도 얻어지지만, 이 경우, 분급을 이용하여, 쇄상 흡수성 수지를 선택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작되는 본 개시의 쇄상 흡수성 수지는, 친수성 섬유보다 벌키하지 않기 때문에, 친수성 섬유의 대체로서 이용하면,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의 두께를 종래의 것에 비하여 보다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쇄상 흡수성 수지는, 흡수성 수지이기 때문에, 그 자체가 높은 보수능을 갖는다(한편, 친수성 섬유는 보수능을 거의 갖지 않는다). 그 때문에, 본 개시의 쇄상 흡수성 수지를 친수성 섬유의 대체로서 이용하면,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의 역행량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쇄상 흡수성 수지는, 액체를 충분히 확산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명확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자들은 이하와 같이 추측하고 있다. 종래의 비쇄상 흡수성 수지는, 흡수체를 제작했을 때, 각 비쇄상 흡수성 수지가 다른 비쇄상 흡수성 수지와 비접촉인 독립적인 상태로 분산되기 쉽고, 이 독립적인 분산이 흡수체 내에 있어서의 액체의 확산을 저해하는 한 요인이라고 생각된다. 이에 대하여, 본 개시의 쇄상 흡수성 수지는, 가늘고 길기 때문에, 흡수체 내에 있어서 각 쇄상 흡수성 수지가 다른 쇄상 흡수성 수지와 접촉한 상태로 분산되기 쉽고, 그 때문에 액체를 충분히 확산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자체의 형상(인접하는 입자가 판별 가능하게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상)도 액체의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상과 같이 제작되는 본 개시의 쇄상 흡수성 수지는, 종래의 흡수성 수지(비쇄상 흡수성 수지)보다 부드러운 촉감을 갖기 때문에, 종래의 흡수성 수지의 대체로서 이용하면,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의 촉감을 종래의 것에 비하여 좋게 할 수 있다. 즉, 종래의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과 비교하여, 부드러운 촉감을 갖는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쇄상 흡수성 수지도 흡수성 수지이며, 충분히 높은 보수능을 갖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쇄상 흡수성 수지를 비쇄상 흡수성 수지의 대체로서 이용한 경우에서도, 종래의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흡수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개시를 더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개시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5에 관한 흡수성 수지의 작성]
(실시예 1)
환류 냉각기, 적하 깔때기, 질소 가스 도입관, 및 날개 직경 50mm의 4매 경사 패들 날개를 2단으로 갖는 교반 날개를 구비한 내경 110mm이며 용적 2L의 둥근 바닥 원통형 세퍼러블 플라스크를 준비했다. 이 플라스크에, 탄화수소 분산매로서 n-헵테인 300g을 넣고, 고분자계 분산제로서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상품명: 하이왁스 1105A, 미쓰이 가가쿠 주식회사제) 0.37g, 및 계면활성제로서 자당 스테아르산 에스터(상품명: 료토 슈가에스터 S-370, HLB값 3, 미쓰비시 가가쿠 푸즈 주식회사제) 0.37g을 첨가하여, 550rpm으로 교반하면서 가온 용해한 후, 55℃까지 냉각했다.
한편, 용적 500mL 용량의 삼각 플라스크에 80질량%의 아크릴산 수용액 28g(0.3몰)을 넣고, 외부로부터 냉각하면서, 30질량%의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31g을 적하하여 중화를 행했다. 거기에, 증점제로서 하이드록실에틸셀룰로스 0.028g(상품명: HEC AW-15F, 스미토모 세이카 주식회사제)을 첨가하고, 용해시켰다. 증점제의 용해 후,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 #400 아크릴레이트 99g(0.20몰),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계 화합물인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페인) 2염산염 0.046g(0.17밀리몰), 내부 가교제로서 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0.005g(0.029밀리몰) 및 이온 교환수 79.0g을 첨가하고 용해하여, 단량체 수용액을 조제했다. 또한, 상기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 #400 아크릴레이트는, 일반식 (1)로 나타나는 알콕시폴리알킬렌글라이콜(메트)아크릴레이트의 구조식에 있어서, n=9로 하고, R=CH3으로 한 것에 대응한다.
상기의 단량체 수용액을, 고분자계 분산제 및 계면활성제가 용해된 탄화수소 분산매가 투입되어 있는 상기의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첨가했다. 세퍼러블 플라스크 내를 교반하면서, 계 내를 질소로 충분히 치환한 후, 플라스크를 70℃의 수욕에 침지하여 승온하고, 중합 반응을 실시, 완결시켜, 함수 젤을 얻었다.
중합 후, 125℃의 유욕(油浴)에 세퍼러블 플라스크를 침지하여 반응액을 승온하고, n-헵테인과 물의 공비 증류에 의하여 n-헵테인을 환류하면서 함수 젤을 탈수했다. 그 후, 후가교제로서 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의 2% 수용액 4.42g(0.51밀리몰)을 함수 젤에 첨가하고, 80℃에서 2시간 유지한 후, n-헵테인을 증류 제거하여 건조시켰다. 얻어진 중합물을 눈 크기 850μm 및 250μm의 체에 통과시켜, 850μm를 통과하고, 250μm의 체 위에 남은 중합물 40.5g을 회수했다. 그 후, 회수한 중합물의 0.2질량%에 상당하는 양의 비정질 실리카(상품명: 카플렉스 #80, 에보닉 데구사 재팬 주식회사제)를, 회수한 중합물(40.5g)에 첨가·혼합하여, 실시예 1에 관한 쇄상 흡수성 수지의 평가를 행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 #400 아크릴레이트 99g(0.20몰) 대신에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 #550 아크릴레이트 135g(0.20몰),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계 화합물로서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페인) 2염산염 0.046g(0.17밀리몰) 대신에 과황산 칼륨 0.046g(0.17밀리몰)을 사용하여 중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중합물 28.2g을 회수했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회수한 중합물의 0.2질량%에 상당하는 양의 비정질 실리카를, 회수한 중합물(28.2g)에 첨가·혼합하여, 실시예 2의 쇄상 흡수성 수지로서 취득했다. 그 후, 후술하는 평가 방법에 따라, 실시예 2의 쇄상 흡수성 수지의 평가를 행했다.
또한, 상기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 #550 아크릴레이트는, 일반식 (1)로 나타나는 알콕시폴리알킬렌글라이콜(메트)아크릴레이트의 구조식에 있어서, n=13으로 하고, R=CH3으로 한 것에 대응한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로서의 자당 스테아르산 에스터 0.37g 대신에 폴리글리세린산 에스터(상품명: 폴리글리에스터 B-100D, HLB값 3, 미쓰비시 가가쿠 푸즈 주식회사제) 0.37g을 사용하여 중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중합물 35.3g을 회수했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회수한 중합물의 0.2질량%에 상당하는 양의 비정질 실리카를, 회수한 중합물(35.3g)에 첨가·혼합하여, 실시예 3의 쇄상 흡수성 수지로서 취득했다. 그 후, 후술하는 평가 방법에 따라, 실시예 3의 쇄상 흡수성 수지의 평가를 행했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반응 장치에, 탄화수소 분산매로서 엑솔헵테인 300g을 넣고, 고분자계 분산제로서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상품명: 하이왁스 1105A, 미쓰이 가가쿠 주식회사제) 0.37g, 및 계면활성제로서 자당 스테아르산 에스터(상품명: 료토 슈가에스터 S-370, HLB값 3, 미쓰비시 가가쿠 푸즈 주식회사제) 0.37g을 첨가하여, 400rpm으로 교반하면서 가온 용해한 후, 55℃까지 냉각했다.
한편, 용적 500mL 용량의 삼각 플라스크에 80질량%의 아크릴산 수용액 28g(0.3몰)을 넣고, 외부로부터 냉각하면서, 30질량%의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31g을 적하하여 중화를 행했다. 거기에, 증점제로서 하이드록실에틸셀룰로스 0.022g(상품명: HEC AW-15F, 스미토모 세이카 주식회사제)을 첨가하고, 용해시켰다. 증점제의 용해 후,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 #400 아크릴레이트 99g(0.20몰),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계 화합물인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페인) 2염산염 0.046g(0.17밀리몰), 내부 가교제로서 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0.005g(0.029밀리몰) 및 이온 교환수 172.7g을 첨가하고 용해하여, 단량체 수용액을 조제했다.
상기의 단량체 수용액을, 고분자계 분산제 및 계면활성제가 용해된 탄화수소 분산매가 투입되어 있는 상기의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첨가했다. 세퍼러블 플라스크 내를 교반하면서, 계 내를 질소로 충분히 치환한 후, 플라스크를 70℃의 수욕에 침지하여 승온하고, 중합 반응을 실시, 완결시켜, 함수 젤을 얻었다.
이후의 조작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중합물 44.6g을 회수했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회수한 중합물의 0.2질량%에 상당하는 양의 비정질 실리카를, 회수한 중합물(44.6g)에 첨가·혼합하여, 실시예 4의 쇄상 흡수성 수지로서 취득했다. 그 후, 후술하는 평가 방법에 따라, 실시예 4의 쇄상 흡수성 수지의 평가를 행했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반응 장치에, 탄화수소 분산매로서 n-헵테인 416g을 넣고, 고분자계 분산제로서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상품명: 하이왁스 1105A, 미쓰이 가가쿠 주식회사제) 0.37g, 및 계면활성제로서 자당 스테아르산 에스터(상품명: 료토 슈가에스터 S-370, HLB값 3, 미쓰비시 가가쿠 푸즈 주식회사제) 0.37g을 첨가하여, 550rpm으로 교반하면서 가온 용해한 후, 55℃까지 냉각했다.
한편, 용적 500mL 용량의 삼각 플라스크에 80질량%의 아크릴산 수용액 28g(0.3몰)을 넣고, 외부로부터 냉각하면서, 30질량%의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31g을 적하하여 중화를 행했다. 거기에, 증점제로서 하이드록실에틸셀룰로스 0.028g(상품명: HEC AW-15F, 스미토모 세이카 주식회사제)을 첨가하고, 용해시켰다. 증점제의 용해 후,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 #400 아크릴레이트 99g(0.20몰),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계 화합물인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페인) 2염산염 0.046g(0.17밀리몰), 내부 가교제로서의 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0.005g(0.029밀리몰) 및 이온 교환수 172.7g을 첨가하고 용해하여, 단량체 수용액을 조제했다.
상기의 단량체 수용액을, 고분자계 분산제 및 계면활성제가 용해된 탄화수소 분산매가 투입되어 있는 상기의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첨가했다. 세퍼러블 플라스크 내를 교반하면서, 계 내를 질소로 충분히 치환한 후, 플라스크를 70℃의 수욕에 침지하여 승온하고, 중합 반응을 실시, 완결시켜, 함수 젤을 얻었다.
이후의 조작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중합물 36.9g을 회수했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회수한 중합물의 0.2질량%에 상당하는 양의 비정질 실리카를, 회수한 중합물(36.9g)에 첨가·혼합하여, 실시예 5의 쇄상 흡수성 수지로서 취득했다. 그 후, 후술하는 평가 방법에 따라, 실시예 5의 쇄상 흡수성 수지의 평가를 행했다.
(실시예 6)
환류 냉각기, 적하 깔때기, 질소 가스 도입관, 및 날개 직경 50mm의 4매 경사 패들 날개를 2단으로 갖는 교반 날개를 구비한 내경 110mm이며 용적 2L의 둥근 바닥 원통형 세퍼러블 플라스크를 준비했다. 이 플라스크에, 탄화수소 분산매로서 n-헵테인 300g을 넣고, 고분자계 분산제로서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상품명: 하이왁스 1105A, 미쓰이 가가쿠 주식회사제) 0.37g, 및 계면활성제로서 자당 스테아르산 에스터(상품명: 료토 슈가에스터 S-370, HLB값 3, 미쓰비시 가가쿠 푸즈 주식회사제) 0.37g을 첨가하여, 550rpm으로 교반하면서 가온 용해한 후, 55℃까지 냉각했다.
한편, 용적 500mL 용량의 삼각 플라스크에 80질량%의 아크릴산 수용액 28g(0.3몰)을 넣고, 외부로부터 냉각하면서, 30질량%의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31g을 적하하여 중화를 행했다. 거기에, 증점제로서 하이드록실에틸셀룰로스 0.028g(상품명: HEC AW-15F, 스미토모 세이카 주식회사제)을 첨가하고, 용해시켰다. 증점제의 용해 후,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 #400 아크릴레이트 99g(0.20몰),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계 화합물인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페인) 2염산염 0.046g(0.17밀리몰), 내부 가교제로서 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0.005g(0.029밀리몰) 및 이온 교환수 79.0g을 첨가하고 용해하여, 제1단째의 단량체 수용액을 조제했다.
상기의 제1단째의 단량체 수용액을, 고분자계 분산제 및 계면활성제가 용해된 탄화수소 분산매가 투입되어 있는 상기의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첨가했다. 세퍼러블 플라스크 내를 교반하면서, 계 내를 질소로 충분히 치환한 후, 플라스크를 70℃의 수욕에 침지하여 승온하고, 중합 반응을 실시, 완결시켜, 제1단째의 함수 젤을 얻었다.
한편, 500mL 용량의 삼각 플라스크에 80질량%의 아크릴산 수용액 64.4g(0.71몰)을 취하고, 외부로부터 냉각하면서, 30질량%의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71.6g을 적하하여 75몰%의 중화를 행했다. 거기에, 아조계 화합물로서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페인) 2염산염 0.065g(0.238밀리몰), 내부 가교제로서 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0.007g(0.040밀리몰) 및 이온 교환수 5.7g을 첨가하고 용해하여, 제2단째의 단량체 수용액을 조제했다.
상기의 제1단째의 함수 젤을 25℃로 냉각한 후, 상기 제2단째의 단량체 수용액의 전체량을, 제1단째의 함수 젤에 첨가하고, 계 내를 질소로 치환하면서 25℃에서 30분간 유지했다. 그 후, 재차, 플라스크를 70℃의 수욕에 침지하여 승온하고, 중합 반응을 실시, 완결시켜, 제2단째의 함수 젤을 얻었다.
중합 후, 125℃의 유욕에 세퍼러블 플라스크를 침지하여 반응액을 승온하고, n-헵테인과 물의 공비 증류에 의하여 n-헵테인을 환류하면서 함수 젤을 탈수했다. 그 후, n-헵테인을 증류 제거하여 건조시켰다. 얻어진 중합물을 눈 크기 850μm 및 250μm의 체에 통과시켜, 850μm를 통과하고, 250μm의 체 위에 남은 중합물 58.5g을 회수했다. 그 후, 회수한 중합물의 0.2질량%에 상당하는 양의 비정질 실리카(상품명: 카플렉스 #80, 에보닉 데구사 재팬 주식회사제)를, 회수한 중합물(58.5g)에 첨가·혼합하여, 실시예 6의 쇄상 흡수성 수지로서 취득했다. 그 후, 후술하는 평가 방법에 따라, 실시예 6의 쇄상 흡수성 수지의 평가를 행했다.
실시예 1~6에 의하여 얻어진 흡수성 수지에 포함되는 1개의 쇄상 흡수성 수지의 SEM 화상을 도 3의 (A)~도 3의 (F)에 나타낸다. 실시예 1에 의하여 얻어진 흡수성 수지에 포함되는 1개의 쇄상 흡수성 수지의 SEM 화상이 도 3의 (A)에 대응한다. 동일하게, 실시예 2가 도 3의 (B), 실시예 3이 도 3의 (C), 실시예 4가 도 3의 (D), 실시예 5가 도 3의 (E), 실시예 6이 도 3의 (F)에 대응한다. 또, 실시예 1에 의하여 얻어진 흡수성 수지로부터 무작위로 취득한 복수의 흡수성 수지의 SEM 화상을 도 4에 나타낸다.
[흡수성 수지의 평가]
(생리 식염수 보수능)
용적 500mL의 비커에, 0.9질량% 염화 나트륨 수용액(생리 식염수) 500g을 칭량하고, 마그네틱 스터러 바(8mmφ×30mm의 링 없음)를 이용하여 600r/min으로 교반시키면서, 실시예 1~5의 각각의 흡수성 수지 2.0g을, 뭉침(덩어리)이 발생하지 않도록 분산시켰다. 교반시킨 상태에서 30분간 방치하고, 흡수성 수지를 충분히 팽윤시켰다. 그 후, 면 백(bag)(면 브로드 60번, 가로 100mm×세로 200mm) 안에 주입하고, 면 백의 상부를 고무 밴드로 묶어, 원심력이 167G가 되도록 설정한 탈수기(주식회사 고쿠산사제, 품번: H-122)를 이용하여 면 백을 1분간 탈수하여, 탈수 후의 팽윤 젤을 포함한 면 백의 질량 Wa(g)를 측정했다. 흡수성 수지를 첨가하지 않고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면 백의 습윤 시의 공(空)질량 Wb(g)를 측정하고, 이하의 식으로부터 각 실시예의 흡수성 수지의 보수능을 산출했다.
생리 식염수 보수능(g/g)=[Wa-Wb](g)/흡수성 수지의 질량(g)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는, 25℃±1℃로 조절한 실내에서 측정했다. 용적 100mL의 비커 내에 넣은 생리 식염수 50±0.1g을 항온 수조에서 25±0.2℃의 온도로 조정한 후, 마그네틱 스터러 바(8mmφ×30mm, 링 없음)로 600rpm으로 교반하여 와류를 발생시켰다. 흡수성 수지 2.0±0.002g을, 상기 생리 식염수 중에 한 번에 첨가하고, 흡수성 수지의 첨가 후부터, 와류가 소실되어 액면이 평탄해질 때까지의 시간(초)을 측정하여, 당해 시간을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로 했다.
(가압하 흡수능)
흡수성 수지의 가압하 흡수능 측정에 사용한 측정 장치의 모식도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내는 측정 장치(50)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도 5에 나타내는 측정 장치(50)는, 뷰렛부(51), 도관(52), 측정대(53), 및 측정대(53) 상에 놓인 측정부(54)로 이루어진다. 뷰렛부(51)는, 뷰렛(60)의 상부에 고무 마개(64)가, 하부에 공기 도입관(61) 및 콕(62)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공기 도입관(61)은 선단에 콕(63)을 갖고 있다. 뷰렛부(51)와 측정대(53)의 사이에는, 도관(52)이 장착되어 있다. 도관(52)의 내경은 6mm이다. 측정대(53)의 중앙부에는, 직경 2mm의 구멍이 뚫려 있고, 도관(52)이 연결되어 있다. 측정부(54)는, 원통(70)(플렉시글라스제)과, 이 원통(70)의 바닥부에 접착된 나일론 메시(71)와, 추(72)를 갖고 있다. 원통(70)의 내경은, 20mm이다. 나일론 메시(71)의 눈 크기는, 75μm(메시 200)이다. 그리고, 측정 시에는 나일론 메시(71) 상에 흡수제(55)(측정 대상의 흡수성 수지)가 균일하게 살포되어 있다. 추(72)는, 직경 19mm, 질량 60g이다. 이 추(72)는, 흡수제(55) 상에 놓여, 흡수제(55)에 대하여 2.07kPa의 하중을 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측정 장치(50)의 아크릴 수지제 원통(70) 내에 측정 대상의 흡수성 수지 0.100g을 넣은 후, 추(72)를 얹어, 측정을 개시했다. 흡수성 수지가 흡수한 생리 식염수와 동일한 용적의 공기가, 공기 도입관으로부터, 신속하게 또한 원활하게 뷰렛 내부에 공급되기 때문에, 뷰렛 내부의 생리 식염수의 수위의 감량이, 흡수성 수지가 흡수한 생리 식염수량이 된다. 뷰렛의 눈금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0ml부터 0.5ml 단위로 각인되어 있으며, 생리 식염수의 수위로서, 흡수 개시 전의 뷰렛의 눈금 VA와, 흡수 개시부터 60분 후의 뷰렛의 눈금 VB를 판독하여, 하기 식으로부터 가압하 흡수능을 산출했다.
가압하 흡수능(ml/g)=(VB-VA)/0.1
실시예 1~6에 관한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보수능,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 및 가압하 흡수능에 관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의 평가-1]
(1) 시험액(인공뇨)의 조정
용적 10L의 용기에 적당량의 증류수를 넣고, 염화 나트륨 60g, 염화 칼슘·이수화물 1.8g 및 염화 마그네슘·육수화물 3.6g을 첨가하여, 용해했다. 다음으로,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터 0.15g을 첨가하고, 다시 증류수를 추가하여, 전체의 질량을 6000g으로 했다. 또한, 소량의 청색 1호로 착색하여, 시험액을 조제했다.
(2)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의 제작
단입자상이 응집되어, 포도송이상의 형상을 가진 입자에 의하여 구성되는 비쇄상 흡수성 수지(상품명: 아쿠아 킵 SA60S, 스미토모 세이카 주식회사제)를 준비했다. 또한, 비쇄상 흡수성 수지에는, 흡수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1질량부의 비정질 실리카가 포함되어 있다.
비쇄상 흡수성 수지,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5에 관한 쇄상 흡수성 수지, 및/또는 해쇄 펄프(레오니아사제 레이프록)를 표 2의 구성 비율로 합계 중량 20g이 되도록 공기 초조(抄造)에 의하여 균일 혼합함으로써, 40cm×12cm의 크기의 시트상의 흡수 코어를 제작했다.
다음으로, 흡수체 코어 전체에 분무기로 전체에 이온 교환수를 0.6g 분무한 후, 흡수체 코어와 동일한 크기이고, 평량(坪量) 16g/m2의 2매의 티슈페이퍼(코어랩)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전체에 141kPa의 하중을 30초간 가하여 프레스함으로써 흡수체를 제작했다. 또한 흡수체의 상면에, 흡수체와 동일한 크기이고, 평량 22g/m2의 폴리에틸렌제 에어 스루형 다공질 액체 투과성 시트를 배치하여, 흡수성 물품으로 했다.
흡수성 수지, 펄프 및 쇄상 흡수성 수지의 구성비를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화시켜, 실시예 A~D 및 비교예 A에 관한 흡수성 물품을 제작했다. 또한, 실시예 A~D의 제작에 사용한 흡수성 수지는, 실시예 1 또는 5에 관한 것이다.
(3) 두께의 평가
상기의 흡수성 물품의 중심부를 두께 측정기(상품 번호: J-B, 오자키 세이사쿠쇼사제)로 측정함으로써 흡수성 물품의 두께를 얻었다.
(4) 역행량
수평의 받침대 위에 흡수성 물품을 두었다. 흡수성 물품의 중심부에, 내경 3cm의 액투입용 실린더를 구비한 측정 기구를 두고, 50mL의 인공뇨를 그 실린더 내에 한 번에 투입한다(1회째). 다음으로, 상기 실린더를 분리하여, 흡수성 물품을 그대로의 상태로 정치하고, 1회째의 시험액 투입 개시부터 30분 후(2회째) 및 60분 후(3회째)에도, 1회째와 동일한 위치에 측정 기구를 이용하여 동일한 조작을 행했다. 3회째의 투입으로부터 60분 경과 후, 흡수성 물품 상의 시험액 투입 위치 부근에, 미리 질량(Wc(g))을 측정해 둔 사방 10cm의 여과지를 40매 두고, 그 위에 바닥면이 10cm×10cm인 질량 5kg의 추를 올렸다. 5분간의 하중 후, 여과지의 질량(Wd(g))을 측정하고, 증가한 질량을 역행량(g)으로 했다. 역행량이 작을수록, 흡수성 물품으로서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역행량(g)=Wd-Wc
(5) 확산 길이
상기 역행량의 측정 후 5분 이내에 시험액이 침투한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의 확산 치수(cm)를 측정했다. 확산 길이는 폭 방향의 중앙과 좌단(左端)과 우단(右端)의 3개소에서 측정하고, 그 평균의 수치로 했다. 또한, 소수점 이하의 수치는 반올림했다.
실시예 A~D 및 비교예 A에 관한 흡수성 물품을 구성하는 흡수체의 구성비와 두께, 역행량, 및 확산 길이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A~D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비교예 A에 관한 흡수성 물품과 비교하여, 두께를 현저히 얇게 할 수 있고, 확산 길이는 비교예 A에 비하여 약간 뒤떨어지지만, 역행량이 현저히 적어지는 것이 확인되어, 흡수성 물품으로서 충분한 성능을 갖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표 1과 같이, 실시예 1 또는 5의 쇄상 흡수성 수지와 실시예 2~4, 6의 쇄상 흡수성 수지는, 그 흡수능(생리 식염수 보수능,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 및 가압하 흡수능)이 동등하기 때문에, 실시예 A~D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한 실시예 1 또는 5의 쇄상 흡수성 수지를 실시예 2~4, 6의 쇄상 흡수성 수지로 대체해도, 표 2와 동일한 결과가 얻어진다고 추정된다.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의 평가-2]
(1)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의 제작
단입자상이 응집되어, 포도송이상의 형상을 가진 입자에 의하여 구성되는 비쇄상 흡수성 수지(상품명: 아쿠아 킵 SA60S, 스미토모 세이카 주식회사제), 해쇄 펄프(레오니아사제 레이프록), 및 실시예 1의 흡수성 수지(쇄상 흡수성 수지)를 준비했다. 이들을 표 3에 기재된 구성 비율에서의 합계 중량 8g이 되도록 공기 초조에 의하여 균일 혼합했다. 그 후, 40cm×12cm의 크기의 티슈페이퍼(평량 16g/m2)에 이것을 균일 살포시켜 흡수체 코어를 형성하고, 또한 40cm×12cm의 크기의 티슈페이퍼(평량 16g/m2)를 중첩했다. 상하 2매의 티슈페이퍼가 코어랩에 상당한다.
다음으로, 상방으로부터 분무기로 전체에 이온 교환수를 0.6g 분무한 후, 전체에 141kPa의 하중을 30초간 가하여 프레스함으로써 흡수체를 제작했다.
제작한 흡수체의 중심부로부터 20cm×6cm의 크기의 흡수체를 잘라내고, 이것을 이하의 실시예, 비교예에 관한 시험용 흡수체로 했다.
흡수성 수지, 펄프 및 쇄상 흡수성 수지의 구성비를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화시켜, 실시예 E~G 및 비교예 B에 관한 시험용 흡수체를 제작했다.
(2) 두께의 평가
상기의 시험용 흡수체의 중심부를 두께 측정기(상품 번호: J-B, 오자키 세이사쿠쇼사제)로 측정함으로써 시험용 흡수체의 두께를 얻었다.
(3) 마찰 계수의 변동(거칠기) 및 표면 조도의 평가
촉감에 관한 특성의 평가를 목적으로 하여, 자동화 표면 시험기 KES-FB4-AUTO-A(가토 테크 주식회사제)를 이용하여 시험용 흡수체의 마찰 계수의 변동(MMD) 및 표면 조도(SMD)를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동일한 장치의 시험대에 시험용 흡수체를 두고, 봉상의 "척"이나 테이프를 이용하여 고정했다. 거기에 직경 0.5mm의 와이어로 감긴 10mm×10mm의 마찰용 단자에 50g의 하중을 가하여, 1mm/sec의 속도로 시험용 흡수체의 표면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표면 특성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로부터, 마찰 계수의 변동(MMD)을 구했다. 또한, 마찰 계수의 변동(MMD)은 거칠기의 지표이며, 값이 클수록 거칠거칠한 것을 나타낸다.
또, 마찰 특성의 측정과 동시에, 5mm 폭의 와이어 1개로 이루어지는 조도용 단자에 10g의 하중을 가하여, 1mm/sec의 속도로 시험용 흡수체의 표면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표면 특성을 측정하고, 결과로부터 표면 조도(SMD)를 구했다. 또한, 표면 조도(SMD)는 표면의 요철에 관한 지표이며, 값이 클수록 표면의 요철이 현저한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E~G 및 비교예 B에 관한 시험용 흡수체를 구성하는 흡수체 코어의 구성비, 시험용 흡수체 두께, 마찰 계수의 변동(MMD), 및 표면 조도(SMD)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E~G에 관한 시험용 흡수체는, 비교예 B에 관한 시험용 흡수체와 비교하여, 촉감에 관한 특성이 모두 양호하고, 특히, 표면 조도(SMD)의 값이 작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부기(付記)]
종래의 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흡수체, 및 이 흡수체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에는, 촉감의 관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그것은, 종래의 흡수성 수지 자체의 표면이 단단하기 때문에, 흡수체의 펄프를 줄여 박형화해 갈 때에 그들 흡수성 수지의 요철을 느끼기 쉬워지는 것이다.
본 개시는 상기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촉감이 좋은 흡수체 및 그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흡수체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가 특정 형상을 갖는 경우에, 당해 흡수성 수지를 펄프와 조합하여 흡수체로 함으로써 촉감이 좋아지는 것을 알아냈다.
즉, 본 개시의 일 형태에 관한 흡수체는, 대략 구상의 복수의 입자가 쇄상으로 연결된 형상을 갖는 흡수성 수지와, 친수성 섬유를 포함한다.
대략 구상의 복수의 입자가 쇄상으로 연결된 형상을 갖는 흡수성 수지는, 종래의 흡수성 수지와 비교하여 부드럽기 때문에, 이 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흡수체에 의하면, 촉감이 양호해진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촉감이 좋다(양호하다)"란, 마찰 특성을 나타내는 마찰 계수의 변동(MMD) 및 표면 조도(SMD)가 모두 작은 값을 나타내고 있는 상태를 가리키고, 매끄러운 촉감이 얻어지는 상태를 말한다.
또, 흡수성 수지는, 2종류 이상의 단량체의 공중합물로 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일 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상기의 흡수체를 포함한다.
상기의 흡수성 물품에는, 상술한 대략 구상의 복수의 입자가 쇄상으로 연결된 형상의 흡수성 수지를 포함하는 흡수체가 포함된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으로서도 촉감이 양호해진다.
1…흡수성 물품
2…흡수체
21…흡수성 수지
211…쇄상 흡수성 수지
40…입자

Claims (10)

  1. 대략 구상의 복수의 입자가 연속적으로 선상으로 연결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는 쇄상부를 갖고,
    상기 쇄상부가, 직쇄상으로 연결된 3개 이상의 상기 입자에 의해 형성되는 직쇄를 포함하고,
    상기 입자의 애스펙트비가 1.5 이하인,
    쇄상의 흡수성 수지로서,
    상기 흡수성 수지는 단량체 A 및 단량체 B를 포함하는 2종류 이상의 단량체의 공중합물이고,
    상기 단량체 A는, (메트)아크릴산 및 그 중화물 중 적어도 일방을 포함하며,
    상기 단량체 B는, 알콕시폴리알킬렌글라이콜(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2종류 이상의 단량체에 있어서의 상기 단량체 A의 몰량(α)과 상기 단량체 B의 몰량(β)의 비(α/β)가 1/4∼4인,
    흡수성 수지.
  2. 삭제
  3. 청구항 1에 기재된 흡수성 수지를 포함하는, 흡수체.
  4. 대략 구상의 복수의 입자가 연속적으로 선상으로 연결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는 쇄상부를 갖고, 상기 쇄상부가, 직쇄상으로 연결된 3개 이상의 상기 입자에 의해 형성되는 직쇄를 포함하는, 쇄상의 흡수성 수지와,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입자의 애스펙트비가 1.5 이하이고,
    상기 흡수성 수지는 단량체 A 및 단량체 B를 포함하는 2종류 이상의 단량체의 공중합물이고,
    상기 단량체 A는, (메트)아크릴산 및 그 중화물 중 적어도 일방을 포함하며,
    상기 단량체 B는, 알콕시폴리알킬렌글라이콜(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2종류 이상의 단량체에 있어서의 상기 단량체 A의 몰량(α)과 상기 단량체 B의 몰량(β)의 비(α/β)가 1/4∼4인,
    흡수체.
  5. 삭제
  6. 청구항 4에 기재된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7. 단량체 A 및 단량체 B를 역상 현탁 중합법에 의하여 공중합시키는 중합 공정과,
    상기 중합 공정에 있어서 얻어진 함수 젤을 건조하는 건조 공정을 갖고,
    상기 단량체 A는, (메트)아크릴산 및 그 중화물 중 적어도 일방을 포함하며,
    상기 단량체 B는, 알콕시폴리알킬렌글라이콜(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중합 공정에 있어서, 공중합에 제공하는 상기 단량체 A의 몰양(α)과 상기 단량체 B의 몰양(β)의 비(α/β)가, 1/4~4인, 청구항 1에 기재된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중합 공정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로서 자당 지방산 에스터 및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중 적어도 일방을 반응계에 첨가하는,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중합 공정에 있어서, 고분자계 분산제의 존재하에 중합을 행하는,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건조 공정에 있어서, 탄화수소 분산매의 공비 증류에 의하여, 함수량이 50질량% 이하가 될 때까지 상기 함수 젤을 탈수하는,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KR1020217020719A 2018-12-17 2019-12-02 흡수성 수지, 흡수체,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KR102666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35785 2018-12-17
JP2018235789 2018-12-17
JP2018235785 2018-12-17
JPJP-P-2018-235789 2018-12-17
PCT/JP2019/047068 WO2020129594A1 (ja) 2018-12-17 2019-12-02 吸水性樹脂、吸収体、吸収性物品、及び吸水性樹脂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141A KR20210100141A (ko) 2021-08-13
KR102666774B1 true KR102666774B1 (ko) 2024-05-16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28117A (ja) * 2014-07-11 2016-02-25 住友精化株式会社 吸水性樹脂の製造方法、吸水性樹脂、吸水剤、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28117A (ja) * 2014-07-11 2016-02-25 住友精化株式会社 吸水性樹脂の製造方法、吸水性樹脂、吸水剤、吸収性物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5226B2 (en) Water-absorbent resin, water-absorbent material, and water-absorbent article
CN107254013B (zh) 吸水性树脂的制造方法
WO2016006130A1 (ja) 吸水性樹脂及び吸収性物品
US20220155205A1 (en) Water absorbent resin particle, absorber, absorbent article, method for measuring permeation retention rate of water absorbent resin p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water absorbent resin particle
JP2021058771A (ja) 吸水性樹脂粒子、吸収性物品、吸水性樹脂粒子を製造する方法、及び吸収体の加圧下での吸収量を高める方法
JP7129490B2 (ja) 吸水性樹脂粒子、吸収体、吸収性物品、及び液吸引力測定方法
EP3936540A1 (en) Water absorbing resin particle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bsorbent body, and absorbent article
JP7233443B2 (ja) 吸水性樹脂、吸収体、吸収性物品、及び吸水性樹脂の製造方法
EP3895676A1 (en) Absorbent article
EP3896095A1 (en) Water-absorbent resin particles, absorbent body, and absorbent article
KR102666774B1 (ko) 흡수성 수지, 흡수체,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EP3960792A1 (en) Water-absorbent resin particles
JP6710303B1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2210115A1 (ja) 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JP7091556B2 (ja) 吸水性樹脂粒子、及び吸水シート
WO2023176644A1 (ja) 吸水性樹脂粒子及び吸収性物品
JP7457718B2 (ja) 吸収性物品及び補助シート
WO2020122203A1 (ja) 吸水性樹脂粒子、吸水性樹脂粒子の液体漏れ性の評価方法、及び吸水性樹脂粒子の製造方法並びに吸収性物品
WO2020122208A1 (ja) 吸水性樹脂粒子、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EP3896117A1 (en) Water-absorbing resin particles, method for evaluating water-absorbing resin particles for liquid leakage, method for producing water-absorbing resin particles, and absorbent article
JP2020121091A (ja) 吸収性物品
KR20240015069A (ko)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흡수성 수지,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
KR20230161963A (ko) 흡수성 수지,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
JP2020121094A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30165999A1 (en) Absorbent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