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5176B1 - 다목적 고소작업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 고소작업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65176B1 KR102665176B1 KR1020210118880A KR20210118880A KR102665176B1 KR 102665176 B1 KR102665176 B1 KR 102665176B1 KR 1020210118880 A KR1020210118880 A KR 1020210118880A KR 20210118880 A KR20210118880 A KR 20210118880A KR 102665176 B1 KR102665176 B1 KR 1026651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rk
- crawler
- working
- unit
- ground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420 orch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38 pru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6—Endless track vehicles with tracks without ground wheels
- B62D55/07—Mono-track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고소작업장치에 있어서, 고소작업장치가 지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무한궤도(10)와, 무한궤도(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고소작업을 위한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부(20)와, 상기 작업부(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승강작동을 안내하는 승강부(30)와, 상기 승강부(30)를 승강작동시켜 작업부(20)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실린더(40)로 구성되며, 상기 무한궤도(10)는 지면을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상부에 설치된 작업부(20)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는 다수의 댐퍼(11)와, 고소작업장치가 정지하여 고소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넓은 면적으로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작업대(23)의 흔들림을 지지할 수 있도록 무한궤도(10)가 좌우측으로 각각 확장시켜 무한궤도(10) 간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하는 확장실린더(17)가 구성되어 고소작업장치를 이용한 고소작업시 양측 무한궤도(10)가 확장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고소작업시 안정적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고 이동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자가 안전하게 고소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목적 고소작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면에 지지된 무한궤도가 확장가능하게 설치되어 안정적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고 이동시 충격을 흡수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고소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고소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원이나 하우스 과수의 가지치기 및 과실수확을 하기 위해서는 높은 위치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통상 사다리를 놓고 작업을 하게 된다. 사다리는 작업자가 사다리를 오르고 내리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됨과 동시에 간혹 사다리가 넘어지는 원인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과수원이나 하우스 등에 사용되는 다목적 고소작업장치는 작업자가 서있는 상태의 작업이 곤란한 고소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과수의 가지치기, 과실수확 등에 이용된다. 이러한 고소작업 장치는 이동 및 정지수단을 갖는 차량이나 대차에 단순히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작업대에 탑승한 상태에서 상승시켜 높은 위치의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고소작업 장치는 하나 이상의 붐이 상하 회동하여 작업대를 승강시키는 붐타입(boom type)과, X자형 링크의 승강작동에 의해 작업대를 승강시키는 리프트타입(lift type)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중에서, 리프트타입 고소작업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는 무한궤도를 가진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리프트실린더에 의해 접혀지거나 펼쳐짐에 따라 작업대를 승강시키는 X자형 링크를 포함한다.
종래의 고소작업장치는 고소작업시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상부의 작업대의 작업공간 대비 하부의 궤도 폭이 넓지 못해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여 좌우로 흔들릴 우려가 있는 것이며, 또한 땅이 고르지 못한 곳을 이동하는 경우 바닥이 울퉁불퉁하여 탑승한 작업자가 흔들리게 되어 낙상사고의 위험도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소작업장치를 이용한 고소작업시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고소작업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소작업 이외에 다양한 기능을 갖도록 하는 다목적 고소작업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다목적 고소작업장치에 있어서, 고소작업장치가 지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무한궤도(10)와, 무한궤도(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고소작업을 위한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부(20)와, 상기 작업부(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승강작동을 안내하는 승강부(30)와, 상기 승강부(30)를 승강작동시켜 작업부(20)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실린더(40)로 구성되며, 상기 무한궤도(10)는 지면을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상부에 설치된 작업부(20)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는 다수의 댐퍼(11)와, 고소작업장치가 정지하여 고소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넓은 면적으로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작업대(23)의 흔들림을 지지할 수 있도록 무한궤도(10)가 좌우측으로 각각 확장시켜 무한궤도(10) 간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하는 확장실린더(17)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소작업장치를 이용한 고소작업시 양측 무한궤도가 확장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고소작업시 안정적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고 이동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자가 안전하게 고소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목적 고소작업장치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고소작업장치의 작업부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한궤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무한궤도가 좌우로 확장하는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작업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다른 다목적 고소작업장치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1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적재부의 작동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고소작업장치의 작업부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한궤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무한궤도가 좌우로 확장하는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작업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다른 다목적 고소작업장치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1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적재부의 작동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고소작업장치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작업부(20)가 상승하여 고소작업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목적 고소작업장치는 고소작업장치가 지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무한궤도(10)와, 무한궤도(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고소작업을 위한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부(20)와, 상기 작업부(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승강작동을 안내하는 승강부(30)와, 상기 승강부(30)를 승강작동시켜 작업부(20)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실린더(40)로 구성된다.
상기 무한궤도(10)는 양측에 설치되어 고소작업장치가 균형을 유지한 상태로 지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4a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무한궤도(1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한궤도(10) 내에는 다수의 댐퍼(11)가 설치되며, 다수 설치됨 댐퍼(11)에 의해 무한궤도(10)가 지면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울퉁불퉁한 지면을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상부에 설치된 작업부(20)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게 된다.
작업부(20)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고소작업장치가 이동하는 경우 지면에 고르지 못해 작업부(20)가 흔들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심한 경우 작업자의 낙상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무한궤도(10) 내에 충격흡수용으로 다수의 댐퍼(11)를 설치함으로써 지면에서 튀어나온 장애물을 넘어 이동하는 경우 개별 댐퍼(11)가 충격을 흡수하여 작업부(20) 전체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b를 참조하여 댐퍼(11)의 구성을 설명하면, 중심의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면서 무한궤도(10)를 따라 회전하는 풀리(13)와, 풀리(13)의 상하단부에서 무한궤도(10) 상에 고정설치되는 상,하부힌지축(14a)(14b)과, 일측이 상부힌지축(14a)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타측은 풀리(13)와 연결설치되어 지면의 상태에 따라 풀리(13)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수축과 확장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탄성부(15a)와, 일측이 하부힌지축(14b)에 고정설치되고 타측은 풀리(13)의 회전축과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탄성부(15a)의 충격흡수에 의한 풀리(13)의 상하작동을 지지하는 작동축(16)으로 구성된다.
도 4a에서와 같이 무한궤도(10)가 지면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지면의 장애물을 밟고 통과하는 경우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무한궤도(10)가 심하게 앞뒤좌우로 흔들릴 우려가 있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개별 댐퍼(11)를 설치하여 독립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무한궤도(10)의 진동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풀리(13)는 무한궤도(10)의 벨트와 함께 회전하도록 내측에 다수개가 설치되며, 개별 풀리(13)가 장애물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다른 풀리(13)에는 상하진동이 전달되지 않게 설치되는 것이다.
다시 도 4b를 참조하여 댐퍼(11)에 의한 충격흡수과정을 설명하면, 무한궤도(10)가 회전하면서 지면의 장애물을 통과하는 경우 벨트가 내부로 밀려들어가면서 벨트가 안쪽으로 밀려들어가게 되고, 이때 해당 위치에 설치된 풀리(13)도 함께 위로 밀려가게 된다.
풀리(13)가 위로 밀리면서 상부힌지축(14a)에 고정설치되고 풀리(13)에 연결설치된 탄성부(15a)가 수축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며, 하부힌지축(14b)에 고정설치되고 풀리(13)의 중심 회전축에 연결설치된 작동축(16)에 의해 풀리(13)의 상부작동을 지지하게 된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탄성부(15a)는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15a)는 지지판(15b)에 의해 풀리(13)와 연결설치되며, 풀리(13)가 상부로 밀려올라감에 따라 지지판(15b)이 탄성부(15a)를 밀게 되어 탄성부(15a)의 수축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탄성부(15a)의 일측은 상부힌지축(14a)에 고정된 상태임에 따라 상부힌지축(14a)을 중심으로 탄성부(15a)가 일부 회전하면서 지지판(15b)이 탄성부(15a)를 밀어 수축되게 하는 것이다.
반대로 지면의 장애물을 통과한 경우에는 탄성부(15a)가 원래 상태로 확장되면서 밀려나면서 풀리(13)는 하부로 밀어내게 되어 원래의 위치에서 벨트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탄성부(15a)의 수축과 확장이 개별 댐퍼(11)별로 이루어짐에 따라 댐퍼(11)간 충격이 전달되지 않아 무한궤도(10) 전체가 한번에 흔들이지 않고 개별 댐퍼(11)별로 충격을 흡수하면서 지면의 장애물을 통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댐퍼(11)의 다른 실시 예로서, 댐버의 상부에는 무한궤도(10)의 전, 후방으로 지면의 장애물을 통과되는 경우 무한궤도(10)의 벨트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벨트의 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장력조절롤러(50)가 설치될 수 있다.
댐퍼(11)에 의해 지면의 충격이 흡수되는 과정에서 무한궤도(10)의 하부의 벨트가 상부로 밀려 올라가면 무한궤도(10)의 벨트가 상부로 늘어나게 되어 무한궤도(10)에서 이탈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장력조절밸브(50)는 하부에 설치된 댐퍼(11)와 연결설치되어 댐퍼(11)에 의해 지면의 충격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하부의 벨트가 밀려올라가면서 상부의 벨트도 함께 밀려 올라가면서 벨트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벨트가 무한궤도(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지면의 장애물 통과시 풀리(13)가 상승하면서 탄성부(15a)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상부힌지축(14b)에 연결설치된 장력조절롤러(50)가 함께 상부로 상승하면서 무한궤도(10)의 벨트를 상부로 밀어올려 늘어나게 함으로써 벨트의 장력이 유지되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고소작업장치가 정지하여 고소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넓은 면적으로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작업부(20)의 흔들림을 지지할 수 있도록 무한궤도(10)가 좌우측으로 각각 확장되는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무한궤도(10)의 확장구성을 보면, 무한궤도(10)를 좌우측으로 확장시키기 위해 무한궤도(10)와 연결설치되는 확장실린더(17)와, 무한궤도(10)에 일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확장실린더(17)의 작동에 의해 무한궤도(10)가 좌우측 확장되는 것을 지지하는 확장축(19)과, 무한궤도(10)가 외측으로 확장되거나 내측으로 수용되는 경우 함께 이동하는 확장축(19)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관(18)으로 구성된다.
상기 확장실린더(17)는 양측의 무한궤도(10) 사이에 설치되어 무한궤도(10)가 좌우측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밀어내거나 원래의 위치로 수용되도록 당기게 되며, 확장실린더(17)에 의해 무한궤도(10)를 밀어내거나 당기는 경우 무한궤도(10)가 안정적으로 확장 또는 수용될 수 있도록 확장축(19)이 함께 확장 또는 수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확장축(19)의 일측은 무한궤도(10)와 고정설치되고 타측은 확장축(19)의 확장과 수용을 안내하는 가이드관(18) 내에 설치된다.
확장실린더(17)에 의해 무한궤도(10)를 밀어내게 되면, 무한궤도(10)가 외측으로 밀려나면서 양측 무한궤도(1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면서 작업부(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며, 이때 확장축(19)이 가이드관(18)에서 외측으로 함게 밀려나면서 무한궤도(10)가 안정적으로 밀려나가도록 지지하게 된다.
가이드관(18) 역시 확장축(19)의 외측 확장을 안내하여 직선상으로 확장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확장실린더(17)에 의해 무한궤도(10)가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당기게 되면 무한궤도(10)가 당겨지면서 확장축(19)도 함게 가이드관(18)을 따라 내측으로 밀려들어오면서 직선상으로 무한궤도(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확장실린더(17)에 의해 무한궤도(10)가 확장되거나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고소장업장치를 정지시키고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확장실린더(17)에 의해 무한궤도(10)를 확장시켜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고소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며, 고소작업장치의 이동시에는 확장실린더(17)에 의해 무한궤도(10)를 당겨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하여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무한궤도(10)의 확장과 수용은 고소작업장치가 이동중에도 가능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무한궤도(10)의 확장과 수용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다시 도 4a를 참조하면, 무한궤도(10)에는 무한궤도(1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벨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텐션부(12)가 설치될 수 있다.
텐션부(12)의 내측에는 스프링(12a)이 설치되어 무한궤도(10)의 텐션을 유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고르지 못한 지면을 이동하는 경우 벨트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무한궤도(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기 위한 작업부(20)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고소작업시에는 무한궤도(10)가 정지한 상태에서 승강부(30)에 의해 작업부(20)가 상승하여 작업이 이루어지며, 고소작업장치의 이동시에는 승강부(30)에 의해 작업부(20)가 하강하여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작업부(20)의 구성을 보면,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작업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바(21)와, 과일과 같은 작업물의 수확시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작업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에 작업박스가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작업대(23)와, 작업박스에 작업물이 모두 담긴 후 작업대(23)를 회전시켜 작업박스를 별도 보관하도록 하는 회전부(24)와, 작업부(20)의 공간을 좌우로 확장시켜 작업자가 넓은 공간에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확장부(22)로 구성된다.
상기 안전바(21)는 작업부(20)에 탑승한 작업자가 고소작업중 고소작업장치에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부(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며, 확장부(22)의 확장과 축소에 따른 작업부(20)의 공간 확장 및 축소에 대응하여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작업부(20)의 가운데 설치된 안전바(21)는 자동 락업기능이 있어 상부로 올려진 상태에서 하부로 내리게 되면 자동으로 잠김 기능을 갖도록 하여 용이하게 안전바(21)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작업대(23)는 작업박스가 놓여진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X관절부(25)가 설치되며, 작업이 위치에 따라 X관절부(25)가 수평방향으로 확장, 축소되게 이동하여 작업박스를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작업대(23)는 작업부(20)에서 고소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과일 수확과 같은 고소작업을 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에 작업박스가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작업대(23)에 작업박스가 얹혀진 상태에서 과일 수확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의 반복적인 작업으로 인한 피로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작업대(23)는 작업박스에 과일이 모두 담긴 경우에는 작업위치에서 회전하여 작업부(20)의 적재공간으로 작업박스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작업대(23)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부(24)가 연결설치된다.
상기 회전부(24)는 작업대(23)에 놓여진 작업박스를 회전시켜 작업부(20)의 별도 공간에 놓이도록 하며, 회전후 작업박스를 내리고 다시 빈 작업박스를 올려 작업대(23)가 작업위치로 원위치하여 고소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확장부(22)는 작업부(20)의 작업공간을 확장시키기 위해 작업부(20)의 바닥면이 좌우로 돌출되면서 공간이 확장되도록 하며, 고소작업의 초기에는 내측으로 수용된 상태이며, 고소작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추가 작업공간의 확보가 필요한 경우 확장부(22)가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작업부(20) 상의 작업공간이 확장되도록 한다.
확장부(22)는 승강부(30) 내측에 수용됨 상태이며, 승강부(30)의 승강작동시에는 내측에 수용된 상태가 되고 고소작업시에는 승강부(30)의 외부도 확장되도록 함으로써 작업부(20)의 공간을 넓힐 수 있게 된다.
이때, 앞서 설명하였듯이 확장부(22)의 확장과 함께 안전바(21)도 함께 펴짐에 따라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무한궤도(10)의 상부에서는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부(20)를 대신하여 덤프차량의 기능을 갖도록 하는 적재부(6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무한궤도(10)의 상부에 교체가능한 형태의 작업부(20)나 적재부(60)를 교체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목적물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적재부(60)는 승강실린더(40)의 작동에 의해 리트프가 이동레일(31)을 따라 이동하면서 적재부(60)를 상하로 승강작동하지 않고 리프트(32)의 일측이 힌지작동하면서 기울어지도록 작동하여 적재부(60)에 실어 놓은 적재물을 한번에 내릴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을 참조하여 적재부(60)가 기울어지게 상승하여 적재물을 내릴 수 있도록 작동되는 구성을 설명한다.
승강작동하는 작업부(20)는 일측의 리프트(32)가 이동레일(31)을 따라 수평상으로 이동하면서 적재부(60)를 상부로 밀어올려 상승하게 되는 것이나 적재부(60)의 작동시에는 일측의 리프트(32)가 이동레일(31)을 따라 이동하지 않고 바로 상부로 들어올려지면서 적재부(60)가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비교 설명을 위해 작업부(20)의 승강작동구성을 먼저 설명하면, 리프트(32)의 끝단에는 롤러(33)가 설치되고, 이동레일(31)에는 리프트(32)에 설치된 롤러(33)가 상승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커버가 설치되며, 롤러(33)가 이동레일(31)을 따라 이동하면서 커버에 의해 상승이 제한되어 수평상으로 이동하면서 리프트(32)에 의해 작업부(20)가 상승하게 된다.
적재부(60)의 작동구성은 이와 달리 리프트(32)의 롤러(33)가 수평상으로 이동하지 않고 바로 올려지도록 하여 리프트(32)가 적재부(60)를 밀어올리지 않고 적재부(60)와 함께 상부로 상승하면서 힌지작동하여 적재부(60)가 기울어지게 된다.
이동레일(31)의 커버 끝단에는 상부로 개방된 공간부(37)가 형성되며, 롤러(33)가 커버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지 않고 공간부(37)를 통해 바로 상승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롤러(33)가 커버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하면 작업부(20)가 승강하게 되고, 롤러(33)가 이동레일(31)의 커버를 따라 이동하지 않고 바로 공간부(37)를 통해 상승하는 경우에는 적재부(60) 기능하게 된다.
롤러(33)에 의한 작업부(20)와 적재부(60)의 변경 작동구성을 보면, 이동레일(31)의 공간부(37)에는 회전작동하면서 롤러(33)의 수평방향 이동과 수직방향 이동 변경을 안내하는 가이드부(34)와, 상기 가이드부(34)의 일측에 고정되어 가이드부(34)를 회전작동시키는 회전바(35)와, 상기 회전바(35)를 회전시켜 가이드바가 수평방향으로 놓이도록 하여 롤러(33)가 가이드바에 의해 상부로 들려지지 않고 커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리프트(32)에 의해 작업부(20)를 밀어올려 승강작동하도록 하고, 회전바(35)를 회전시켜 가이드바가 수직방향으로 놓이도록 하여 롤러(33)가 가이드바에 의해 상승을 제한받지 않도록 하고 공간부(37)를 통해 리프트(32)가 적재부(60)와 함께 상승하면서 힌지작동하여 적재부(60)가 기울어지도록 제어하는 손잡이(36)로 구성된다.
도 11에 의해 작업부(20)의 승강작동 구성과 적재부(60)의 힌지작동구성을 설명한다.
도 11의 (a)는 작업부(20)가 승강작동하는 구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작업부(20)의 승강작동시에는 손잡이(36)를 회전시켜 가이드부(34)가 수평방향으로 놓이도록 하여 롤러(33)의 상부에 위치함에 따라 롤러(33)가 상승하지 못하도록 제한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한 후 이동레일(31)의 커버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리프트(32)가 작업부(20)를 상부로 밀어올리도록 한다.
적재부(60)의 힌지작동시에는 손잡이(36)를 회전시켜 가이드부(34)가 수직방향으로 놓이도록 하여 롤러(33)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위치함에 따라 롤러(33)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공간부(37)를 통해 상부방향으로 들려지면서 리프트(32)가 적재부(60)와 함께 상승하여 힌지작동하여 기울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손잡이(36)의 작동에 의해 회전바(35)에 설치된 가이드부(34)가 수평방향, 수직방향으로 높이도록 한 후 손잡이(36)의 작동을 고정시킴으로써 롤러(33)가 가이드부(34)에 의해 수평방향,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작업부(20)의 승강작동, 적재부(60)의 힌지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리프트(32)의 힌지작동에 의한 덤프차량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적재부(60)를 변경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작업부(20)가 설치된 상태에서도 리프트(32)가 힌지작동하여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써 덤프차량의 기능을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10)-- 무한궤도
(11)-- 댐퍼 (12)-- 텐션부
(13)-- 풀리 (14a)-- 상부힌지축
(14b)-- 하부힌지축 (15a)-- 탄성부
(15b)-- 지지판 (16)-- 작동축
(17)-- 확장실린더 (18)-- 가이드관
(19)-- 확장축
(20)-- 작업부
(21)-- 안전바 (22)-- 확장부
(23)-- 작업대 (24)-- 회전부
(25)-- X관절부
(30)-- 승강부
(31)-- 이동레일 (32)-- 리프트
(33)-- 롤러 (34)-- 가이드부
(35)-- 회전바 (36)-- 손잡이
(37)-- 공간부
(40)-- 승강실린더 (50)-- 장력조절롤러
(60)-- 적재부
(11)-- 댐퍼 (12)-- 텐션부
(13)-- 풀리 (14a)-- 상부힌지축
(14b)-- 하부힌지축 (15a)-- 탄성부
(15b)-- 지지판 (16)-- 작동축
(17)-- 확장실린더 (18)-- 가이드관
(19)-- 확장축
(20)-- 작업부
(21)-- 안전바 (22)-- 확장부
(23)-- 작업대 (24)-- 회전부
(25)-- X관절부
(30)-- 승강부
(31)-- 이동레일 (32)-- 리프트
(33)-- 롤러 (34)-- 가이드부
(35)-- 회전바 (36)-- 손잡이
(37)-- 공간부
(40)-- 승강실린더 (50)-- 장력조절롤러
(60)-- 적재부
Claims (5)
- 다목적 고소작업장치에 있어서,
고소작업장치가 지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무한궤도(10)와,
무한궤도(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고소작업을 위한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부(20)와,
상기 작업부(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승강작동을 안내하는 승강부(30)와,
상기 승강부(30)를 승강작동시켜 작업부(20)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실린더(40)로 구성되며,
상기 무한궤도(10)는 지면을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상부에 설치된 작업부(20)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는 다수의 댐퍼(11)와,
고소작업장치가 정지하여 고소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넓은 면적으로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작업대(23)의 흔들림을 지지할 수 있도록 무한궤도(10)가 좌우측으로 각각 확장시켜 무한궤도(10) 간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하는 확장실린더(17)로 구성되며,
상기 작업부(20)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작업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바(21)와, 과일과 같은 작업물의 수확시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작업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에 작업박스가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작업대(23)와, 작업박스에 작업물이 모두 담긴 후 작업대(23)를 회전시켜 작업박스를 별도 보관하도록 하는 회전부(24)와, 작업부(20)의 공간을 좌우로 확장시켜 작업자가 넓은 공간에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확장부(2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고소작업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궤도(10)는 확장실린더(17) 작동시 무한궤도(10)에 일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확장실린더(17)의 작동에 의해 무한궤도(10)가 좌우측 확장되는 것을 지지하는 확장축(19)과,
무한궤도(10)가 외측으로 확장되거나 내측으로 수용되는 경우 함께 이동하는 확장축(19)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관(18)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고소작업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20)는 착탈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고소작업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21)는 확장부(22)의 확장과 연동되어 좌우로 펴지거나 접혀지도록 설치되어 작업자의 추락사고가 방지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고소작업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8880A KR102665176B1 (ko) | 2021-09-07 | 2021-09-07 | 다목적 고소작업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8880A KR102665176B1 (ko) | 2021-09-07 | 2021-09-07 | 다목적 고소작업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6248A KR20230036248A (ko) | 2023-03-14 |
KR102665176B1 true KR102665176B1 (ko) | 2024-05-09 |
Family
ID=85502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8880A KR102665176B1 (ko) | 2021-09-07 | 2021-09-07 | 다목적 고소작업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65176B1 (ko)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4440A (ja) * | 1983-06-21 | 1985-01-10 | Mametora Noki Kk | ダンプ兼リフトカ− |
US6482053B1 (en) * | 2001-07-18 | 2002-11-19 | Larry Prestenbach | Marsh excavator |
US9415818B1 (en) * | 2015-02-18 | 2016-08-16 | Ati, Inc. | Track-module apparatus with load-independent load distribution |
KR101723519B1 (ko) * | 2015-05-27 | 2017-04-18 | 엘앤에스(주) | 전동대차 |
KR101921030B1 (ko) | 2018-06-19 | 2018-11-21 | 이윤창 | 고소 작업차의 안전 발판 장치 |
KR102180751B1 (ko) * | 2019-02-12 | 2020-11-19 | 박철규 | 계단승강 리프트 |
KR102246999B1 (ko) * | 2019-02-22 | 2021-04-29 | 백도선 | 수륙양용 굴삭기 |
-
2021
- 2021-09-07 KR KR1020210118880A patent/KR102665176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6248A (ko) | 2023-03-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440788C (en) | Motorized scaffold with displaceable worker support platform | |
KR101923680B1 (ko) | 과수 작업차 | |
US5803204A (en) | Personnel lift with clamshell cage assembly | |
US20090152045A1 (en) | Mobile mount for attachment of a fall arrest system | |
KR102180751B1 (ko) | 계단승강 리프트 | |
KR100989822B1 (ko) | 농업용 고소작업대 | |
KR101008221B1 (ko) | 농업용 고소작업대 | |
KR101635394B1 (ko) | 고소작업대용 안전가드장치 | |
EP3286127B1 (en) | Telescopic boom conveyor with operator platform | |
KR20130096559A (ko) | 농업용 고소작업대 | |
KR102665176B1 (ko) | 다목적 고소작업장치 | |
KR20120104864A (ko) | 농업용 고소작업대 | |
US3311191A (en) | Collapsible scaffold | |
US2428184A (en) | Date picking apparatus | |
US3568796A (en) | Fruit workers platform | |
US2653826A (en) | Portable foldable shopping basket | |
KR200472815Y1 (ko) | 적재부 승강이 가능한 농업용 고소 작업차 | |
KR102670398B1 (ko) | 바퀴형 다목적 고소작업장치 | |
US3638758A (en) | Overhead guard | |
CN209872288U (zh) | 一种具有侧倾角调节和升降控制功能的农用高架作业机 | |
KR102056629B1 (ko) | 창호/방충방진망 설치용 이동식 작업 장치 | |
EP1007466A1 (en) | Personnel lift with movable cage assembly | |
KR102691943B1 (ko) | 차량에 적재된 저장탱크 위에서의 작업을 위한 안전장치 | |
KR101252098B1 (ko) | 농업용 고소작업대 | |
US20230094271A1 (en) | Lift and guar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