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519B1 - 전동대차 - Google Patents

전동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519B1
KR101723519B1 KR1020150073715A KR20150073715A KR101723519B1 KR 101723519 B1 KR101723519 B1 KR 101723519B1 KR 1020150073715 A KR1020150073715 A KR 1020150073715A KR 20150073715 A KR20150073715 A KR 20150073715A KR 101723519 B1 KR101723519 B1 KR 101723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ing
frame
main frame
loading box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3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9214A (ko
Inventor
정승현
송희권
정석진
Original Assignee
엘앤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앤에스(주) filed Critical 엘앤에스(주)
Priority to KR1020150073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519B1/ko
Publication of KR20160139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L11/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0Spraying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이동유닛과,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승강프레임과, 메인프레임과 승강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플레임에 대해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과, 승강프레임에 설치되는 적재함과, 승강프레임과 적재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의 수평을 유지하는 레벨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대차는 적재함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레벨유닛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작업대상 구역의 지면이 울퉁불퉁하더라도 적재함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작업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동대차{Electronic cart}
본 발명은 전동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물을 적재하거나 작업자가 탑승하는 적재함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수평유지수단이 마련된 전동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원과 같은 농가에서는 열매를 수확할 때, 수확한 열매를 실어 나르는 대차를 이용한다.
경작지에는 보통 열매가 열린 나무나 줄기 사이로 작업자와 대차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가 형성되어 있고, 이 이동로를 따라서 작업자가 대차를 이동시켜가면서 이동로의 양 가장자리의 수확물을 따서 대차에 담는다.
그런데 종래의 대차는 이송에 따른 운반력이 전적으로 작업자의 힘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많은 화물을 적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운반에 따른 구동력을 제공하는 소형엔진 또는 구동모터를 운반차가 제안되었는데, 등록특허공보 제10-0512777호에는 하역이 용이한 대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대차는 일측에 일정한 높이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손잡이를 가지며, 저면에 수개의 활차를 갖는 대차와, 상기 대차의 일측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입설되어 내외중첩적으로 형합되는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와 가동부를 통해 길이가 신장.수축되고 복원을 위한 탄성부재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승강기둥과, 상기 대차상에 별도로 탑재되는 적재대와, 상기 적재대와 상기 대차의 사이에는 상기 대차상에 일측의 일단이 지축으로 설치되고 상기 적재대에 타측의 일단이 지축으로 설치되며, 각기의 타단들은 자유단으로 설치되어 가위식으로 절첩.전개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작용에 따라 보조적으로 복원력을 부가하는 보조탄성부재가 구비된 한 쌍의 링크와, 상기 승강기둥과 상기 적재대 각각에 양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승강기둥의 신축작용에 의해 연동하며 상기 적재대를 승강시키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와이어를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 하역이 용이한 대차는 적재대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지면이 울퉁불퉁한 구역에서 작업시 지면에 따라 적재대가 기울어져서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지면이 울퉁불퉁하더라도 적재함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수평조절수단이 마련된 전동대차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대차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이동유닛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승강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플레임에 대해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과, 상기 승강프레임에 설치되는 적재함과, 상기 승강프레임과 적재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의 수평을 유지하는 레벨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레벨유닛은 상기 적재함 상에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에 대한 상기 적재함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다수의 이격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적재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제1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1링크와, 일단이 상기 제1링크의 타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2링크와, 상기 승강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링크의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브라켓과, 상기 제1링크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을 승강시키기 위해 상기 제1링크들의 타단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적재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브라켓과, 상기 제3브라켓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링크와, 상기 제3링크의 타단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승강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링크와, 일단이 상기 제3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제4링크 또는 승강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적재함을 승강시키기 위해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길이가 신축되는 신축부재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동대차는 상기 적재함 또는 승강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에 수용된 사료를 상기 적재함 외부로 살포하는 살포유닛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살포유닛은 상기 사료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적재함에 형성된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적재함에 설치된 개폐부재와, 상기 배출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적재함 하부 또는 상기 배출구에 대향되는 승강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사료를 살포하는 살포부재와, 상기 살포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살포부재는 상기 배출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적재함 하부 또는 상기 배출구에 대향되는 승강프레임에 상기 회전부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판과,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상기 사료를 분산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 상기 회전판의 회전중심선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 다수의 살포날개와, 상기 살포날개를 통해 분산되는 상기 사료가 상방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살포날개들에 사이 공간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살포날개들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중앙부에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상기 사료가 상기 살포날개로 공급될 수 있도록 공급구가 형성된 분산덮개를 구비한다.
상기 살포날개는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상기 회전판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단부 좌우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제1조향륜과, 상기 제1조향륜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측에, 전후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좌측륜과, 상기 제1조향륜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메인프레임의 우측에, 전후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우측륜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1 및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와 상기 좌측륜들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제1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좌측륜들 중 어느 하나에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와, 상기 좌축륜들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좌측륜들 중 어느 하나에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좌측륜들 중 다른 하나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와, 상기 제2구동모터와 상기 우측륜들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제2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우측륜들 중 어느 하나에 전달하는 제3동력전달부와, 상기 우측륜들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우측륜들 중 어느 하나에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우측륜들 중 다른 하나에 전달하는 제4동력전달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대차는 적재함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레벨유닛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작업대상 구역의 지면이 울퉁불퉁하더라도 적재함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작업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대차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동대차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3는 도 1의 전동대차의 이격부재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대차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전동대차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전동대차의 이격부재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대차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전동대차의 살포유닛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9은 도 7의 전동대차의 살포부재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대차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11는 도 10의 전동대차에 대한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대차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대차(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동대차(100)는 메인프레임(200)과, 상기 메인프레임(200)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프레임(200)을 이동시키는 이동유닛(300)과, 상기 메인프레임(200)에 설치되는 승강프레임(400)과, 상기 메인프레임(200)과 승강프레임(4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플레임에 대해 상기 승강프레임(400)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500)과, 상기 승강프레임(400)에 설치되는 적재함(600)과, 상기 승강프레임(400)과 적재함(6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600)의 수평을 유지하는 레벨유닛(700)을 구비한다.
메인프레임(200)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단위빔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2단위빔이 상호 연결되어 사각 구조물을 이룬다. 메인프레임(200)의 전방측 상부에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운전석(210)과, 운전석(210)에 탑승한 작업자가 이동유닛(300), 승강유닛(500) 및 레벨유닛(700)을 작동시키는 제어패널(220)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메인프레임(200)의 좌우측에는 적재함(600)으로 적재물을 이송시 상기 적재물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유닛(23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유닛(230)은 일단이 메인프레임(200)의 좌우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며,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지지바(231)와, 일단이 제1지지바(231)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메인프레임(200)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며,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2지지바(232)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바(231,232)의 타단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롤러(233)와, 양단이 가이드롤러(233)에 대해 메인프레임(200) 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제1 및 제2지지바(231,232)에 고정된 보강바(234)와, 양단이 메인프레임(200) 및 제1지지바(231)에 연결되며 상기 제1지지바(231)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양단이 신축되는 제1잭스크류(235)와, 양단이 메인프레임(200) 및 제2지지바(232)에 연결되며, 상기 제2지지바(232)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양단이 신축되는 제2잭스크류(236)를 구비한다.
작업자가 적재물을 적재함(600)에 운반시 가이드롤러(233)가 지면에 인접하도록 제1 및 제2지지바(231,232)를 하방으로 회동시키고, 가이드롤러(233)와 제1 및 제2지지바(231,232)를 따라 적재물을 적재함(600)에 이송시킨다. 또한, 이동시에는 제1 및 제2지지바(231,232)를 상방으로 회동시킨다.
이동유닛(300)은 메인프레임(200)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좌측 캐터필러(310) 및 우측 캐터필러(320)를 구비한다.
좌측 캐터필러(310)는 전후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메인프레임(200) 좌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구동롤러(311) 및 제1피동롤러(312)와, 제1구동롤러(311)와 제1피동롤러(312) 사이의 메인프레임(200) 좌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제1지지롤러(313)와, 상기 제1구동롤러(311), 제1피동롤러(312) 및 제1지지롤러(313)들에 지지되어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제1이동벨트(314)와, 상기 제1구동롤러(311)에 설치되어 상기 제1구동롤러(311)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모터(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좌측 캐터필러(310)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캐터필러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측 캐터필러(32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전후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메인프레임(200) 우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구동롤러 및 제2피동롤러와, 제2구동롤러와 제2피동롤러 사이의 메인프레임(200) 좌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제2지지롤러와, 상기 제2구동롤러, 제2피동롤러 및 제2지지롤러들에 지지되어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제2이동벨트(321)와, 상기 제2구동롤러에 설치되어 상기 제2구동롤러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모터를 구비한다. 상기 우측 캐터필러(320)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캐터필러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승강프레임(400)은 메인프레임(2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승강유닛(500)에 의해 승강한다. 승강프레임(400)은 소정의 강도를 갖는 금속성 소재인 사각 구조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유닛(500)은 승강프레임(400)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승강프레임(40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펜타그래프부(510)와, 승강프레임(400) 및 메인프레임(200)에 설치되어 메인프레임(200)에 대해 승강프레임(40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리프트부(520)를 구비한다.
펜타그래프부(510)는 상단이 승강프레임(400)의 전방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은 메인프레임(200)의 후방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회동바(511)와, 상단이 제1회동바(511)의 상단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승강프레임(400)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은 제1회동바(511)의 하단에 대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메인프레임(20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제2회동바(512)를 구비한다. 이때, 제1 및 제2회동바(512)는 상호 교차되는 부분이 힌지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상호 연결되어 있다.
리프트부(520)는 메인프레임(200)의 전방부 중앙부분에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리프트바(521)와, 제1리프트바(521)의 상단에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은 승강프레임(400)의 전방부 중앙부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리프트바(522)와, 양단이 각각 제1리프트바(521) 및 제2리프트바(52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리프트바(521)를 회동시키는 액츄에이터(523)를 구비한다. 상기 액츄에이터(523)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양단이 신축되는 잭스크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승강유닛(500)은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메인프레임(200)으로부터 승강프레임(400)을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수단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적재함(600)은 내부에 적재물 또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된 사각 구조물로 형성되며, 레벨유닛(700)에 의해 승강프레임(400) 상부에 지지된다.
레벨유닛(700)은 상기 적재함(600) 상에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승강프레임(400)에 대한 상기 적재함(600)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다수의 이격부재(710)를 구비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4개의 이격부재(710)가 적재함(600)은 전단부 가장자리, 후단부 가장자리, 좌측 단부 가장자리 및 우측 단부 가장자리에 각각 설치된 구조가 설명되었으나, 이격부재(710)의 설치개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3개 이하 및 5개 이상일 수도 있다.
이격부재(710)는 상기 적재함(6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브라켓(711)과, 일단이 상기 제1브라켓(7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1링크(712)와, 일단이 상기 제1링크(712)의 타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2링크(713)와, 상기 승강프레임(4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링크(713)의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브라켓(714)과, 상기 제1링크(712)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600)을 승강시키기 위해 상기 제1링크(712)들의 타단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부재(715)를 구비한다.
상기 제1브라켓(711)은 인접된 적재함(600)의 가장자리와 나란하게 연장된 제1회전중심선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적재함(600) 하면에 설치된다. 상기 제1브라켓(711)은 적재함(600)의 하면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제1링크(712)는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상단이 상기 제1회전중심선에 대해 직교하는 제2회전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브라켓(711)에 힌지결합된다. 이때, 복수의 제1링크(712)는 상기 제1회전중심선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링크(713)는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상단이 제1링크(712)의 제2회전중심선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3회전중심선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제1링크(712)의 타단부에 힌지결합된다. 또한, 제2링크(713)는 하단이 제2브라켓(714)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복수개가 제1회전중심선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브라켓(714)은 제1브라켓(711)에 대향되는 위치의 승강프레임(400)에, 제1회전중심선과 나란하게 연장된 가상선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브라켓(714)은 제2링크(713)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승강프레임(400)의 상면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리조절부재(715)는 제1링크(712)들의 하단부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조절블럭(716)과, 상기 조절블럭(716)에 관통되게 나사결합된 스크류(717)와, 상기 스크류(717)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717)를 회전시키는 작동모터(718)를 구비한다.
조절블럭(716)은 제1링크(712)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제1브라켓(711)의 제1회전중심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나사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홀은 상기 스크류(717)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때, 조절블럭(716)들은 상기 나사홀에 형성된 나사산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류(717)는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환봉형으로 형성되며, 중앙부분부터 일단부 외주면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중앙부분부터 타단부 외주면에는 제2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때, 제2나사산은 스크류(717)의 회전에 따라 조절블럭(716)들이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제1나사산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자는 적재함(600)의 전단부, 후단부 및 좌우측 단부에 설치된 이격부재(710)의 스크류(717)를 개별적으로 회전시켜 각 이격부재(710)를 신축시키므로 적재함(600)의 수평 또는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동대차(100)는 적재함(60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레벨유닛(700)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작업대상 구역의 지면이 울퉁불퉁하더라도 적재함(600)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작업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격부재(75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이격부재(750)는 상기 적재함(6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브라켓(751)과, 상기 제3브라켓(751)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링크(752)와, 상기 제3링크(752)의 타단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승강프레임(4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링크(753)와, 일단이 상기 제3링크(75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제4링크(753) 또는 승강프레임(4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적재함(600)을 승강시키기 위해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길이가 신축되는 신축부재(754)를 구비한다.
제3브라켓(751)은 인접된 적재함(600)의 가장자리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제1가상선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적재함(600) 하면에 설치된다. 제3브라켓(751)은 적재함(600)의 하면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제3링크(75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제1가상선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제2가상선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제3브라켓(751)에 설치된다.
제4링크(75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단이 제2가상선과 나란하게 연장된 가상의 연장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제3링크(752)의 하단에 설치된다. 또한, 제4링크(753)는 하단이 제2가상선과 나란하게 연장된 가상의 연장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승강프레임(400)에 설치된다.
신축부재(754)는 양단이 각각 제3링크(752) 및 제4링크(75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신축될 수 있도록 잭스크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자는 적재함(600)의 전단부, 후단부 및 좌우측 단부에 설치된 이격부재(750)의 스크류를 개별적으로 회전시켜 각 이격부재(750)를 신축시키므로 적재함(600)의 수평 또는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대차(8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동대차(800)는 상기 적재함(600)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600)에 수용된 사료를 상기 적재함(600) 외부로 살포하는 살포유닛(805)을 더 구비한다.
상기 살포유닛(805)은 상기 사료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적재함(600)에 형성된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적재함(600)에 설치된 개폐부재(810)와, 상기 배출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적재함(600) 하부 또는 상기 배출구에 대향되는 승강프레임(4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사료를 살포하는 살포부재(820)와, 상기 살포부재(82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83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배출구는 적재함(600)의 후방부 바닥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개폐부재(810)는 배출구에 대응되는 적재함(600)의 하면에 설치된 배출호퍼(811)와, 상기 배출호퍼(811) 내부로 진퇴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판(812)과, 상기 개폐판(812)을 슬라이딩시키는 판구동부(813)를 구비한다.
배출호퍼(811)는 내부에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사료가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통과유로가 형성된다. 이때, 배출호퍼(811)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내부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출호퍼(811)는 상단 전단부에 상기 개폐판(81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개폐판(812)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어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적재함(600)의 하면에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개폐판(812)은 배출구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구동부(813)는 개폐판(812)의 전단부에 고정되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마련된 결합홀이 형성된 고정너트(814)와, 상기 고정너트(814)의 결합홀에 나사결합되며, 적재함(60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봉(815)과, 상기 이동봉(815)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봉(815)을 회전시키는 전기모터(816)를 구비한다.
작업자는 사료를 살포할 경우에, 개폐판(812)을 배출구로부터 이격시켜 배출구를 개방하고, 사료의 살포작업을 중단할 경우에는 배출구를 덮도록 개폐판(812)을 이동시킨다.
살포부재(820)는 상기 배출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적재함(600) 하부 또는 상기 배출구에 대향되는 승강플레이트에 상기 회전부(830)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판(821)과,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상기 사료를 분산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821)의 상면에, 상기 회전판(821)의 회전중심선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 다수의 살포날개(822)와, 상기 살포날개(822)를 통해 분산되는 상기 사료가 상방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살포날개(822)들에 사이 공간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살포날개(822)들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중앙부에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상기 사료가 상기 살포날개(822)로 공급될 수 있도록 공급구(824)가 형성된 분산덮개(823)를 구비한다.
회전판(821)은 소정의 외경을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배출호퍼(811)의 하측에 회전부(83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살포날개(822)는 회전판(821)의 반경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며, 하단 가장자리가 회전판(821)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살포날개(822)는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상기 회전판(821)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배출호퍼(811)로부터 배출되는 사료를 분산덮개(823)의 하면 또는 회전판(821)의 상면으로 비산시킨다. 즉, 배출호퍼(811)로부터 배출된 사료는 살포날개(822)에 일차적으로 충돌하여 분쇄되고, 다시 회전판(821)의 상면 및 분산던팩의 하면에 충돌하여 재차 분쇄되어 외부로 배출되므로 사료의 입자를 보다 미세화시킬 수 있다.
한편, 살포날개(820)는 회전판(821)의 회전중심에 인접된 단부에는 덮개의 공급구(824)를 통해 투입된 사료가 살포날개(820)들 사이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홈(8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입홈(826)은 살포날개(820)의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소정길이 인입되게 형성된다.
분산덮개(823)는 회전판(821)의 외경의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상기 공급구(82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분산덮개(823)는 공급구(824)로 유입되는 사료가 분산덮개(823)의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공급구(824)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게 돌출부재(8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재(825)는 분산덮개(823)의 상면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부(830)는 승강프레임(400)에 고정브라켓(831)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회전판(821)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832)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모터(832)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전기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회전모터(832)가 승강프레임(400)에 고정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회전모터(832)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배출구에 인접된 위치의 적재함(600) 하면에 고정브라켓(831)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적재함(600)에 수용된 사료를 살포하기 위해 작업자는 개폐판(812)을 작동시켜 배출구를 개방시킨다. 개방된 배출구를 통해 사료를 배출호퍼(811)로 배출되고, 배출호퍼(811)를 따라 살포부재(820) 내부로 사료가 인입된다. 살포부재(820)로 인입된 사료는 회전하는 살포날개(822)에 의해 충돌하며 살포부재(820)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는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유닛(9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유닛(900)은 상기 메인프레임(200)의 전단부 좌우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제1조향륜(910)과,상기 제1조향륜(910)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메인프레임(200)의 좌측에, 전후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좌측륜(920)과, 상기 제1조향륜(910)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메인프레임(200)의 우측에, 전후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우측륜(930)과, 상기 메인프레임(200)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1 및 제2구동모터(940,950)와, 상기 제1구동모터(940)와 상기 좌측륜(920)들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제1구동모터(940)의 회전력을 상기 좌측륜(920)들 중 어느 하나에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960)와, 상기 좌축륜들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좌측륜(920)들 중 어느 하나에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좌측륜(920)들 중 다른 하나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970)와, 상기 제2구동모터(950)와 상기 우측륜(930)들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제2구동모터(950)의 회전력을 상기 우측륜(930)들 중 어느 하나에 전달하는 제3동력전달부(980)와, 상기 우측륜(930)들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우측륜(930)들 중 어느 하나에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우측륜(930)들 중 다른 하나에 전달하는 제4동력전달부(990)를 구비한다.
제1조향륜(910)과 제2조향륜(916)의 회전브라켓(911)에 의해 좌우방향을 회동가능하게 메인프레임(200)에 설치되며, 조향부(912)에 의해 회동된다. 조향부(912)는 양단이 각각 제1조향륜(910)의 회전브라켓(911)과 제2조향륜(916)의 회전브라켓(9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조향바(913)와, 양단이 제1조향륜(910)의 회전브라켓(911)과 메인프레임(200)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양단부가 신축되는 제1신축실린더(914)와, 양단이 제2조향륜(916)의 회전브라켓(911)과 메인프레임(200)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양단부가 신축되는 제2신축실린더(915)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1신축실린더(914) 및 제2신축실린더(915)는 작업자가 조작하는 제어패널(220)에 의해 작동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잭스크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동력전달부(960)는 제1구동모터(940)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스프로켓(961)과, 상기 좌측륜(920)들 중 후방에 위치한 좌측륜(920)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2스프로켓(962)과, 제1스프로켓(961) 및 제2스프로켓(962)에 연결된 제1전달체인(963)을 구비한다.
제2동력전달부(970)는 좌측륜(920)들 중 후방에 위치한 좌측륜(920)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3스프로켓(971)과, 좌측륜(920)들 중 전방에 위치한 좌측륜(920)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4스프로켓(972)과, 제3스프로켓(971)과 제4스프로켓(972)에 연결된 제2전달체인(973)을 구비한다.
제3동력전달부(980)는 제2구동모터(950)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5스프로켓(981)과, 우측륜(930)들 중 후방에 위한 우측륜(930)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6스프로켓(982)과, 제5스프로켓(981) 및 제6스프로켓(982)에 연결된 제3전달체인(983)을 구비한다.
제4동력전달부(990)는 우측륜(930)들 중 후방에 위치한 우측륜(930)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7스프로켓(991)과, 우측륜(930)들 중 전방에 위치한 우측륜(930)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8스프로켓(992)과, 제7스프로켓(991) 및 제8스프로켓(992)에 연결된 제4전달체인(993)을 구비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이동유닛(900)은 복수의 좌측륜(920)과 복수의 우측륜(930)에 모두 회전력이 전달되므로 지면이 경사지거나 고르지 않더라도 안정적이 주행성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전동대차
200: 메인프레임
300: 이동유닛
400: 승강프레임
500: 승강유닛
510: 펜타그래프부
511: 제1회동바
512: 제2회동바
520: 리프트부
521: 제1리프트바
522: 제2리프트바
523: 액츄에이터
600: 적재함
700: 레벨유닛
710: 이격부재
711: 제1브라켓
712: 제1링크
713: 제2링크
714: 제2브라켓
715: 거리조절부재

Claims (9)

  1.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이동유닛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승강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과;
    상기 승강프레임에 설치되는 적재함과;
    상기 승강프레임과 적재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적재함 상에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에 대한 상기 적재함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다수의 이격부재를 포함하는 레벨유닛과;
    상기 적재함 또는 승강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에 수용된 사료를 상기 적재함 외부로 살포하는 살포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적재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제1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1링크와, 일단이 상기 제1링크의 타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2링크와, 상기 승강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링크의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브라켓과, 상기 제1링크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을 승강시키기 위해 상기 제1링크들의 타단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거리조절부재는 상기 제1링크들의 하단부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조절블록과, 상기 조절블록에 관통되게 나사결합된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작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살포유닛은 상기 사료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적재함에 형성된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적재함에 설치된 개폐부재와, 상기 배출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적재함 하부 또는 상기 배출구에 대향되는 승강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사료를 살포하는 살포부재와, 상기 살포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살포부재는 상기 배출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적재함 하부 또는 상기 배출구에 대향되는 승강프레임에 상기 회전부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판과,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상기 사료를 분산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 상기 회전판의 회전중심선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 다수의 살포날개와, 상기 살포날개를 통해 분산되는 상기 사료가 상방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살포날개들에 사이 공간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살포날개들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중앙부에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상기 사료가 상기 살포날개로 공급될 수 있도록 공급구가 형성된 분산덮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대차.
  2. 삭제
  3. 삭제
  4.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이동유닛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승강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과;
    상기 승강프레임에 설치되는 적재함과;
    상기 승강프레임과 적재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적재함 상에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에 대한 상기 적재함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다수의 이격부재를 포함하는 레벨유닛과;
    상기 적재함 또는 승강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에 수용된 사료를 상기 적재함 외부로 살포하는 살포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적재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브라켓과, 상기 제3브라켓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링크와, 상기 제3링크의 타단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승강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링크와, 일단이 상기 제3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제4링크 또는 승강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적재함을 승강시키기 위해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길이가 신축되는 신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살포유닛은 상기 사료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적재함에 형성된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적재함에 설치된 개폐부재와, 상기 배출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적재함 하부 또는 상기 배출구에 대향되는 승강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사료를 살포하는 살포부재와, 상기 살포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살포부재는 상기 배출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적재함 하부 또는 상기 배출구에 대향되는 승강프레임에 상기 회전부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판과,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상기 사료를 분산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 상기 회전판의 회전중심선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 다수의 살포날개와, 상기 살포날개를 통해 분산되는 상기 사료가 상방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살포날개들에 사이 공간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살포날개들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중앙부에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상기 사료가 상기 살포날개로 공급될 수 있도록 공급구가 형성된 분산덮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대차.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살포날개는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상기 회전판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대차.
  9.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단부 좌우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제1조향륜과,
    상기 제1조향륜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측에, 전후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좌측륜과,
    상기 제1조향륜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메인프레임의 우측에, 전후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우측륜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1 및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와 상기 좌측륜들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제1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좌측륜들 중 어느 하나에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와,
    상기 좌측륜들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좌측륜들 중 어느 하나에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좌측륜들 중 다른 하나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와,
    상기 제2구동모터와 상기 우측륜들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제2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우측륜들 중 어느 하나에 전달하는 제3동력전달부와,
    상기 우측륜들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우측륜들 중 어느 하나에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우측륜들 중 다른 하나에 전달하는 제4동력전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대차.
KR1020150073715A 2015-05-27 2015-05-27 전동대차 KR101723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715A KR101723519B1 (ko) 2015-05-27 2015-05-27 전동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715A KR101723519B1 (ko) 2015-05-27 2015-05-27 전동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214A KR20160139214A (ko) 2016-12-07
KR101723519B1 true KR101723519B1 (ko) 2017-04-18

Family

ID=57573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3715A KR101723519B1 (ko) 2015-05-27 2015-05-27 전동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5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863A (ko) 2020-06-26 2022-01-04 엘앤에스(주) 적재차량과 운반차량을 이용한 화물 운반 및 적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596B1 (ko) * 2017-11-28 2019-03-20 진상욱 실내용 전동식 저상 작업 고소차
KR102164537B1 (ko) * 2018-11-13 2020-10-12 시너스텍 주식회사 무인운반차
KR102180751B1 (ko) * 2019-02-12 2020-11-19 박철규 계단승강 리프트
KR102172226B1 (ko) * 2020-06-25 2020-10-30 화동하이테크 주식회사 무인 물류 이송장치
KR102665176B1 (ko) * 2021-09-07 2024-05-09 김무열 다목적 고소작업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217Y1 (ko) * 2009-06-03 2009-10-09 (주)로지탑 분리 전동운반차
US20120181095A1 (en) * 2011-01-14 2012-07-19 Gilbert Thomas Lopez Apparatus for Farming, Gardening and Landscap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217Y1 (ko) * 2009-06-03 2009-10-09 (주)로지탑 분리 전동운반차
US20120181095A1 (en) * 2011-01-14 2012-07-19 Gilbert Thomas Lopez Apparatus for Farming, Gardening and Landscap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863A (ko) 2020-06-26 2022-01-04 엘앤에스(주) 적재차량과 운반차량을 이용한 화물 운반 및 적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214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519B1 (ko) 전동대차
US7708131B2 (en) Swing auger hopper drive
CA2873595C (en) Forestry machine
CA2695708A1 (en) Extendable frame work vehicle
US9763376B2 (en) Forward rotating transport axle
CA2944808C (en) Apparatus for discharge of bulk materials
US7527212B2 (en) Crusher
WO2018092764A1 (ja) 収穫機
KR200479291Y1 (ko) 신축붐의 회전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농업용 고소 작업차
EP3767037B1 (de) Fräsanlage
US11370617B2 (en) Flexible hopper for a conveyor system
KR101674718B1 (ko) 농업용 고소작업기
CA2639262C (en) Swing auger hopper drive
KR101330266B1 (ko) 수거형 승용 예초 장치
KR101324008B1 (ko) 콤바인
JP6752123B2 (ja) 収穫機
JP7030863B2 (ja) 収穫機
JP6925217B2 (ja) 乗用型草刈機
CA2820722A1 (en) Conveyor for hopper bottom transportation vehicle
US3512349A (en) Device for the picking up and loading of lump and fibrous materials
ES1260283U (es) Equipo para la recoleccion de frutos mediante vibrado de arboles
JP6716430B2 (ja) 肥料散布機及び作業機
IT202100021566A1 (it) Macchina agricola a traino
IT202100004112U1 (it) Macchina vendemmiatrice
WO2023084029A1 (de) Selbstfahrende bodenbearbeitungsmaschine mit elektrisch angetriebener arbeitsvorrichtung und ausgewogener gewichtsverteil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