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5117B1 - 수납 시트 및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 - Google Patents

수납 시트 및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5117B1
KR102665117B1 KR1020177037877A KR20177037877A KR102665117B1 KR 102665117 B1 KR102665117 B1 KR 102665117B1 KR 1020177037877 A KR1020177037877 A KR 1020177037877A KR 20177037877 A KR20177037877 A KR 20177037877A KR 102665117 B1 KR102665117 B1 KR 102665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icroneedle
storage
adhesive
she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7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9663A (ko
Inventor
토모히로 마츠자키
마사히코 카리야
Original Assignee
닛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09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3/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attached to cards, sheets or webs
    • B65D73/0035Packages comprising articles attached to cards, sheets or webs the articles being retained within a recess or a series of recesses provided in a single c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2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 B65D77/2032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 B65D77/2044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 B65D77/204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whereby part of the container or cover has been weakened, e.g. perforated or precut
    • B65D77/2052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whereby part of the container or cover has been weakened, e.g. perforated or precut the container being weake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53Methods for produc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6Packaging for specific medical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마이크로니들 시트가 수납 시트 측에 남는 것 없이 깨끗하게 꺼내어지는 수납 시트와, 그러한 수납 시트를 이용한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수단] 본 발명에 관련되는 수납 시트는, 마이크로니들 시트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가지는 수납 시트이며, 수납부에는 미소바늘의 형상을 반전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수납부는 칼집을 가지고 있도록 구성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는, 마이크로니들 시트과 시트 상 기재로부터 비어져 나온 제1잉여부를 가지는 점착 시트와, 마이크로니들이 수납되는 수납부를 가지고, 칼집이 형성되며, 제1잉여부에 맞붙여지는 면을 가지는 수납 시트를 포함하도록 구성했다. 또한,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는, 점착 시트로부터 비어져 나온 제2잉여부를 가지는 봉지 시트와, 제2잉여부에 맞붙여지는 면을 더 가지는 수납 시트를 포함하도록 구성했다.

Description

수납 시트 및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
본 발명은, 수납 시트 및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梱包體, packaging body)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니들 시트는, 시트 상(狀)의 기재 상에 복수의 미소바늘이 배열된 것이다. 미소바늘은 피부에 찔러도 통증을 거의 느끼지 않는 형상이다. 마이크로니들 시트를 피부에 부착하는 것으로 미소바늘이 피부에 찔리면 광범위한 약물 등의 투여가 가능해진다.
미소바늘은 그 형상 때문에 매우 섬세하므로, 마이크로니들의 생산, 재고, 출하, 운반 등의 과정에 있어서 절손(折損)이나 파편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미소바늘의 절손이나 파편 등을 방지하기 위해, 미소바늘의 형상을 반전시킨 오목부가 형성된 트레이를 이용하여 마이크로니들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방법은, 미소바늘과 같은 형상의 돌기를 가지는 스탬퍼를 수납 시트에 강하게 눌러 미소바늘의 형상을 반전시킨 오목부를 형성하고, 오목부에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원재료를 부어 넣어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후면에 점착시트를 맞붙여서 마지막으로 봉지(seal) 시트를 이용하여 마이크로니들 시트를 밀봉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특개 2015-181895호 공보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마이크로니들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봉지 시트(10)을 벗기고(도 11(a) 참조), 점착 시트(9)의 끝을 잡고 수납 시트(8)로부터 마이크로니들 시트(7)를 잡아서 벗기기 때문에(도 11(b) 참조), 미소바늘(72)의 일부 또는 마이크로니들 시트(7) 전부가 수납 시트(8) 측에 남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도 12(a), (b), (c)-1, (c)-2 참조).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마이크로니들 시트가 수납 시트 측에 남는 것 없이 깨끗하게 꺼내어지는 수납 시트와, 이러한 수납 시트를 이용한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에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복수의 양태를 설명한다. 이러한 양태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납 시트는, 시트 상 기재의 일방의 면에 복수의 미소바늘이 배치된 마이크로니들 시트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갖는 수납 시트이며, 수납부에는 미소바늘 형상을 반전한 오목부가 형성되어있고, 수납부는 칼집(cuts)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칼집이 하프 컷 또는 점선이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는, 시트 상 기재의 일방의 면에 복수의 미소바늘이 배치된 마이크로니들 시트와, 시트 상 기재의 타방의 면 전체에 맞붙여지고, 시트 상 기재의 외주형상을 따라서 시트 상 기재로부터 비어져 나온 제1잉여부를 가지는 점착 시트와, 미소바늘의 형상을 반전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마이크로니들 시트가 수납되는 수납부를 가지고 칼집이 수납부에 형성되며, 제1잉여부에 맞붙여지는 면을 가지고있는 수납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는, 시트 상 기재의 일방의 면에 복수의 미소바늘이 배치된 마이크로니들 시트와, 시트 상 기재의 타방의 면 전체에 맞붙여지고, 시트 상 기재의 외주형상을 따라 시트 상 기재로부터 비어져 나온 제1잉여부를 가지는 점착 시트와, 점착 시트의 시트 상 기재가 맞붙여진 면과는 반대의 면 전체에 맞붙여진 점착 시트의 외주형상을 따라서 점착 시트로부터 비어져 나온 제2잉여부를 가지는 봉지 시트와, 미소바늘 형상을 반전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마이크로니들 시트가 수납되는 수납부를 가지고 칼집이 수납부에 형성되며, 제1잉여부에 맞붙여진 면과, 제2잉여부에 맞붙여진 면을 가지는 수납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봉지 시트는, 수지층 상에 금속층이 적층된 점착 시트와 맞붙여진 면 상에 점착층이 적층되고, 제2잉여부 상에 접착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칼집은 하프 컷 또는 점선이다.
이러한 바람직한 양태에서, 수납부 내(內)는 진공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시트는, 시트 상 기재의 일방의 면에 복수의 미소바늘이 배치된 마이크로니들 시트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가지는 수납 시트이며, 수납부에는 미소바늘의 형상을 반전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 수납부는 칼집을 가지고 있도록 구성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는, 시트 상 기재의 일방의 면에 복수의 미소바늘이 배치된 마이크로니들 시트와, 시트 상 기재의 타방의 면 전체에 맞붙여지고, 시트 상 기재의 외주형상을 따라서 시트 상 기재로부터 비어져 나온 제1잉여부를 가지는 점착 시트와, 미소바늘의 형상을 반전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마이크로니들 시트가 수납되는 수납부를 가지며 칼집이 수납부에 형성되고, 제1잉여부에 맞붙여지는 면을 가지고 있는 수납 시트를 포함하도록 구성했다.
또한,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는, 시트 상 기재의 일방의 면에 복수의 미소바늘이 배치된 마이크로니들 시트와, 시트 상 기재의 타방의 면 전체에 맞붙여지고, 시트 상 기재의 외주형상을 따라 시트 상 기재로부터 비어져 나온 제1잉여부를 가지는 점착 시트와, 점착 시트의 시트 상 기재가 맞붙여진 면과는 반대의 면 전체에 맞붙여지고, 점착 시트의 외주형상을 따라서 점착 시트로부터 비어져 나온 제2잉여부를 가지는 봉지 시트와, 미소바늘 형상을 반전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마이크로니들 시트가 수납되는 수납부를 가지며 칼집이 수납부에 형성되고, 제1잉여부에 맞붙여진 면과, 제2잉여부에 맞붙여진 면을 가지는 수납 시트를 포함하도록 구성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로니들 시트가 수납 시트 측에 남는 것 없이 깨끗하게 꺼내지는 수납 시트와, 그러한 수납 시트를 이용한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수납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2] 본 발명의 수납 시트로부터 마이크로니들 시트를 꺼낼 때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4] 점착 시트의 수납 시트로부터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6] 봉지 시트를 수납 시트로부터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의 제조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의 제조방법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마이크로니들 시트를 사용할 때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마이크로니들 시트를 사용할 때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 마이크로니들 시트를 사용할 때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수납 시트에 대하여, 실시형태의 일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납 시트는, 시트 상 기재의 일방의 면에 복수의 미소바늘이 배치된 마이크로니들 시트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가지는 수납 시트이며, 수납부에는 미소바늘 형상을 반전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수납부는 칼집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마이크로니들 시트(2)는, 시트 상 기재(21)와 이 시트 상 기재(21)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미소바늘(22)을 구비하고 있다(도 1(a) 참조). 복수의 미소바늘(22)은, 시트 상 기재(21)의 일방 측의 면에 대해 규칙적(예를 들어, 격자상, 허니콤 상, 갈지자(千鳥) 상 등)이거나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시트 상 기재(21)와 미소바늘(22)은 서로 다른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하여도 좋고, 공통의 재료를 이용하여 일체적으로 구성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a)와 같이, 공통의 재료를 이용하여 시트 상 기재(21)와 복수의 미소바늘(22)을 일체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시트 상 기재(21)의 두께는 시트 전체의 기계적 강도가 확보 가능하고, 또한, 피부의 형상에 맞게 유연하게 변형 가능하도록, 예를 들어 10㎛ 이상 50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80㎛ 이하로 구성하면 좋다.
한편, 시트 상 기재(21)와 미소바늘(22)을 서로 다른 재료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시트 상 기재(21)는 유연성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종이류, 수지 필름, 부직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미소바늘(22)은 예를 들면, 원뿔형, 각뿔형, 원뿔사다리꼴형, 원추형 등으로 할 수 있다. 원추형은, 원뿔형 또는 원뿔사다리꼴형의 측면이 안쪽으로 향하는 만곡한 형상을 나타낸다. 시트 상 기재(21)로부터 미소바늘(22)의 돌출높이는, 예를 들어, 10㎛ 이상 500㎛ 이하로 할 수 있다. 미소바늘(22)의 밀도는, 예를 들어, 들어 100개/cm2 이상 500개/cm2 이하로 할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 시트(2)의 재료로서는, 생체 내에서 용해되는 성질 및 생체 내에서 분해되는 성질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재료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성질의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재료로 미소바늘(22)을 형성함으로써, 피부 내로 침입한 미소바늘(22)은 생체 내에서 용해 및 분해 중 적어도 하나의 작용을 받아 시간의 경과와 함께 서서히 변화하기 때문에, 고체인 채로 피부 내에 장기간 잔류할 수 없다. 또한, 피부 내의 수분으로 미소바늘(22)이 용해되기 때문에, 미소바늘(22)을 이용하여 목적물질을 피부 내로 부드럽게 도입하기 쉬워진다.
생체 내 용해성 및 생체 내 분해성 중 적어도 하나의 성질을 가지는 마이크로니들 시트(2)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호적한 수용성 고분자는, 플루란(Pullulan), 히알루론산나트륨, 덱스트란, 콘드로이틴 황산나트륨, 잔탄검, 타마린드검, 글리코겐, 키틴, 키토산, 아가로스, 펙틴,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수용성 고분자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한편, 마이크로니들 시트(2)의 용해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한, 저분자 유기 화합물 등의 다른 첨가제를 포함해도 좋다.
수납 시트(3)는, 시트 상의 부재이며, 마이크로니들 시트(2)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31)을 가진다. 수납 시트(3)의 재료로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등의 수지를 들 수 있고, 수납 시트(3)는 이들 수지로부터 만들어진 1층 또는 복수층의 구조이다. 수납부(31)는 수납 시트(3)의 외측으로 향해 팽창된 볼록 형상이다(도 1 참조). 수납부(31)의 저면에는, 미소바늘(22)의 형상을 반전한 오목부(33)를 형성한다. 또한, 수납부(31)에는 칼집(32)을 형성한다. 칼집은 직선이어도 좋고, 곡선을 포함해도 괜찮지만, 하프 컷 또는 점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칼집으로 하면, 마이크로니들 시트(2)를 수납 시트(3)으로부터 꺼내기 전이면 수납 시트(3)의 강도를 유지 할 수 있고, 마이크로니들 시트(2)를 수납 시트(3)로부터 꺼낼 때에는 용이하게 수납 시트(3)을 칼집으로부터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수납 시트(3)는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34)에 의해서 복수의 수납부(31)을 가지는 것이어도 좋다. 한편, 마이크로니들 시트(2)를 수납하는 수납부(31)의 깊이는, 마이크로니들 시트(2)의 높이와 같아도 좋고, 마이크로니들 시트(2)를 수납할 수 있는 깊이이면 좋다.
그 다음, 수납 시트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우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등의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수지 시트를 준비한다. 그 다음, 진공 성형, 진공압공(空空)성형, 냉간성형 등의 성형 방법을 이용하여 수지 시트에 수납부를 형성한다. 그 다음, 마이크로니들 시트(2)의 미소바늘(22)의 형상과 동 형상의 돌기를 가지는 형태를, 수납부(31)의 저면으로 강하게 누른다. 이것에 의해서, 미소바늘(22)의 형상을 반전한 오목부(33)를 형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수납부(31)에 칼집(32)을 형성한다. 칼집(32)은, 칼집을 형성하는 면에 대해서, 예를 들어, 고정날 또는 회전날을 상하로 움직이거나 수평으로 슬라이드 하는 것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를 주사해서 칼집을 형성할 수도 있다. 칼집(32)은, 적어도 1개의 오목부(33)의 선단(先端)을 향해 뻗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a), (b) 참조). 이와 같이 하면, 수납 시트(3)을 칼집(32)로 분할하여 마이크로니들 시트(2)를 꺼낼 때에, 오목부(33)의 선단으로 응력이 집중하여 수납 시트(3)를 분할하기 쉬워진다. 수납 시트(3)는, 1매의 수지 시트에 복수의 수납부(31)을 형성한 것이어도 좋고(도 1(b), (c) 참조), 연결부(34)를 절단하여 개편(個片)으로 한 것이어도 좋다(도 1(a) 참조). 다만,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1매의 수지 시트에 복수의 수납부(31)을 형성한 수납 시트(3)라면, 각각의 수납부(31)의 같은 개소(箇所)에 칼집(32)을 형성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수납부(31)에 복수의 칼집(32)을 형성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수납 시트를 얻을 수 있다.
그 다음, 본 발명의 수납 시트로부터 마이크로니들 시트를 꺼내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마이크로니들 시트(2)의 사용자는, 마이크로니들 시트가 수납된 수납 시트(3)을, 칼집(32)을 위로 한 상태로 잡는다(도 2(a) 참조). 그 다음, 도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수납 시트(3)을 구부리고, 칼집(32)에서 수납 시트(3)을 분할한다. 마이크로니들 시트(2)가 유연하기 때문에, 수납 시트(3)는 용이하게 구부려질 수 있다. 분할에 의한 반동으로 칼집(32) 부근의 수납 시트는, 마이크로니들 시트(2)로부터 약간 들뜬다(도 2(b) 참조). 사용자는 들뜬 부분을 잡고, 천천히 분할된 수납 시트를 벗긴다. 계속해서, 사용자는 분할된 다른 일방의 수납 시트의 들뜬 부분을 잡고, 천천히 벗기는 것으로, 마이크로니들 시트(2)를 꺼낼 수 있다(도 2(c), (d) 참조). 즉, 본 발명의 수납 시트에 의하면, 마이크로니들 시트를 꺼낼 때에 미소바늘의 일부 또는 전부가 수납 시트 측에 남는 것이 없다.
한편, 상기의 예에서는 칼집(32)을 위로 한 상태로 수납 시트(3)을 벗기는 형태를 나타냈지만, 칼집(32)을 아래로 한 상태로 수납 시트(3)을 벗겨도 좋다.
그 다음,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에 대해서, 실시형태의 일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는, 시트 상 기재의 일방의 면에 복수의 미소바늘이 배치된 마이크로니들 시트와 시트 상 기재 타방의 면 전체에 맞붙여지고, 시트 상 기재의 외주형상을 따라 시트 상 기재로부터 비어져 나온 제1잉여부를 가지는 점착 시트와, 미소바늘의 형상을 반전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마이크로니들 시트가 수납되는 수납부를 가지고, 칼집이 수납부에 형성되어 제1잉여부에 맞붙여지는 면을 가지는 것인 수납 시트를 포함하는 것이다(도 3, 도 4 참조).
마이크로니들 시트(2)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점착 시트(4)는, 지지 시트(41)와 그 일방의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42)으로 이루어진다. 점착 시트는, 시트 상 기재(21)의 외주형상을 따라서 시트 상 기재(21)로부터 비어져 나온 제1잉여부(43)을 가지고 있다. 즉, 점착 시트가 시트 상 기재(21)보다도 면적이 크고, 양자의 외주형상은 유사하다. 점착 시트(4)는, 시트 상 기재(21)의 타방의 면, 즉 미소바늘(2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 전체에, 점착제층(42)을 개재하여 맞붙인다. 따라서, 점착 시트(4)와 시트 상 기재(21)을 맞붙인 때에, 점착 시트(4)에는 시트 상 기재(21)로부터 비어져 나온 제1잉여부(43)가 생기게 된다. 제1잉여부(43)는 점착제층(42)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점착 시트(4)가 맞붙여진 마이크로니들 시트(2)를 수납 시트(3)로부터 꺼낸 후, 제1잉여부(43)의 점착제층(42)에 의해서 마이크로니들 시트(2)를 사용자의 피부에 붙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수납 시트(3)은, 제1잉여부에 맞붙여지는 면(36)을 가지고 있는 점에서, 상기에서 설명한 수납 시트와는 다르다. 제1잉여부에 맞붙여지는 면(36)은, 마이크로니들 시트(2)를 수납부(31)에 수납했을 때의 시트 상 기재(21)의 점착제층(42)과 맞붙여진 면의 높이가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다만, 마이크로니들 시트(2)를 수납부(31)에 수납한 후에 점착 시트(4)를 맞붙여서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1)를 제조하는 경우는, 제1잉여부에 맞붙여지는 면(36)과 마이크로니들 시트(2)를 수납부(31)에 수납했을 때의 시트 상 기재(21)의 점착제층(42)이 맞붙여진 면과는, 같은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마이크로니들 시트(2)를 수납부(31)에 수납했을 때, 시트 상 기재(21)의 점착제층(42)이 맞붙여지는 면과 제1잉여부에 맞붙여지는 면(36)과의 사이에 단차가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점착 시트를 맞붙일 때에, 맞붙이는 힘이 분산되지 않고 전해지기 때문에, 점착 시트(4)를 수납 시트(3)와 마이크로니들 시트(2)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이하에, 본 실시형태의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우선,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원료 용액을 조제한다. 원료 용액은, 생체 내 용해성 및 생체 내 분해성 중 적어도 일방의 성질을 가지고, 마이크로니들 시트(2)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호적한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한다. 그러한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플루란, 히알루론산나트륨, 덱스트란, 콘드로이틴 황산나트륨, 잔탄검, 타마린드검, 글리코겐, 키틴, 키토산, 아가로스, 펙틴,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를 용매 중에 용해 시켜 원료 용액을 얻는다. 용매는 예를 들어, 물이나 물과 알코올과의 혼합용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 다음, 수납부(31)의 저면에 복수의 오목부(33)가 형성된 수납 시트(3)를 준비한다(도 7(a) 참조). 오목부(33)는, 수납 시트(3)의 일방 측의 면에, 규칙적(예를 들어 격자 상, 허니콤 상, 갈지자 상 등)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한다. 오목부(33)는, 예를 들어 원뿔형, 각뿔형, 원뿔사다리꼴형, 원추형 등의 반전 형상을 나타내도록 형성한다. 오목부(33)의 깊이는, 예를 들어 10㎛ 이상 500㎛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200㎛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33)는, 예를 들어 100개/cm2 이상 500개/cm2 이하의 밀도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원료 용액을, 예를 들어 디스펜서, 분주기, 스퀴지, 잉크젯 등을 이용해 수납부(31)에 주입해서, 수납부(31)의 내벽의 높이와 같게 되도록 공급한다(도 7(b) 참조). 이 때, 오목부(33)로의 원료 용액의 충전을 촉진하기 위해서, 수납 시트(3)의 상면 측을 대기압보다 고압으로 해도 좋다.
수납부(31)에 충전한 원료 용액을 건조 하는 것으로, 마이크로니들 시트(2)를 제조할 수 있다(도 7(b) 참조). 그 다음, 점착 시트(4)를, 시트 상 기재(21)의 미소바늘(22)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의 면으로부터, 수납 시트(3)의 전면에 맞붙인다(도 7(c) 참조). 그리고, 수납 시트(3)의 점착 시트(4)가 맞붙여진 면과는 반대의 면에 칼집(32)을 형성해, 예를 들어, 펀칭형을 이용해 수납 시트를 절단해서 개편(個片)의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1)를 얻는다(도 7(d)-1 참조). 한편, 칼집(32)은, 개편의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1)를 얻은 후에 형성해도 좋고,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원재료를 충전하기 전에 형성해도 좋다.
한편, 도 7(d)-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 시트만을 시트 상 기재(21)의 외주형상을 확대한 형상에 구멍을 내어, 칼집(32)을 형성한 시트 상의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1)로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는, 시트 상 기재의 일방의 면에 복수의 미소바늘이 배치된 마이크로니들 시트와, 시트 상 기재 타방의 면 전체에 맞붙여지고, 시트 상 기재의 외주형상을 따라서 시트 상 기재에서 비어져 나온 제1잉여부를 가지는 점착 시트와, 점착 시트의 시트 상 기재가 맞붙여진 면과는 반대의 면 전체에 맞붙여지고, 점착 시트의 외주형상을 따라서 점착 시트로부터 비어져 나온 제2잉여부를 가지는 봉지 시트와, 미소바늘의 형상을 반전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마이크로니들 시트가 수납되는 수납부를 가지고 칼집이 수납부에 형성되며, 제1잉여부에 맞붙여지는 면과 제2잉여부에 맞붙여지는 면을 가지는 수납 시트를 포함하는 것이다(도 5, 도 6 참조).
이 형태의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는, 수납 시트(3)가 제2잉여부에 맞붙여지는 면(37)를 가지고, 또한, 봉지 시트(5)를 가지는 점에서, 도 3이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와는 다르다.
제2잉여부에 맞붙여지는 면(37)은, 점착 시트(4)가 부착된 마이크로니들 시트(2)를 수납부(31)에 수납했을 때의 지지 시트(41)의 점착제층(42)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의 면과 높이가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다만, 점착 시트(4) 가 부착된 마이크로니들 시트(2)를 수납부(31)에 수납한 후에 봉지 시트(5)를 맞붙여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1)을 제조하는 경우는, 제2잉여부에 맞붙여지는 면(37)과 점착 시트(4)가 부착된 마이크로니들 시트(2)를 수납부(31)에 수납했을 때의 지지 시트(41)의 점착제층(42)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의 면은, 같은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점착 시트(4)가 부착된 마이크로니들 시트(2)를 수납부(31)에 수납했을 때, 지지 시트(41)의 점착제층(42)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의 면과 제2잉여부에 맞붙여지는 면(37)과의 사이에 단차가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봉지 시트(5)를 수납 시트(3)와 점착 시트(4)에 맞붙일 때에, 맞붙이는 힘이 분산되는 것 없이 전해지기 때문에, 봉지 시트(5)를 수납 시트(3)와 점착 시트(4)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봉지 시트(5)를 수납 시트(3)와 점착 시트(4)에 맞붙여서 얻은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1)는, 수납부(31) 내가 진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무균상태가 유지 되기 때문에,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열화가 없고, 또한, 청결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봉지 시트(5)는, 수지층(51) 상에 금속층(52)이 적층되어 점착 시트(4)와 맞붙여지는 면에 점착층(54)이 적층되고, 제2잉여부(55) 상에 접착층(53)이 적층되어 있다. 수지층(51)의 금속층(52)이 적층된 면과는 반대의 면에는, 문자나 도형 등의 정보를 인쇄 할 수 있다. 또한, 금속층(52)을 보호 하는 기능도 가진다. 금속층(52)은,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재질 등으로 형성되어, 방습성이 높다.
봉지 시트는, 점착 시트(4)의 외주형상을 따라서 점착 시트(4)로부터 비어져 나온 제2잉여부(55)를 가지고 있다. 즉, 봉지 시트가 점착 시트(4)보다도 면적이 크고, 양자의 외주형상은 유사하다. 봉지 시트(5)는, 점착 시트(4)의 마이크로니들 시트가 맞붙여진 면과는 반대의 면 전체에, 점착층(54)를 개재시켜 맞붙인다. 따라서, 봉지 시트(5)와 점착 시트(4)를 맞붙일 때에, 봉지 시트(5)에는 점착 시트(4)에서 비어져 나온 제2잉여부(55)가 생기게 된다. 제2잉여부(55) 상에는 접착층(53)을 형성한다. 접착층(53)에 의해, 봉지 시트(5)와 수납 시트(3)를 고정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우선,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원료 용액을 조제한다. 원료 용액은, 생체 내 용해성 및 생체 내 분해성 중 적어도 한쪽의 성질을 가지고, 마이크로니들 시트(2)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호적한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한다. 그러한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플루란, 히알루론산나트륨, 덱스트란, 콘드로이틴 황산나트륨, 잔탄검, 타마린드검, 글리코겐, 키틴, 키토산, 아가로스, 펙틴,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를 용매 중에 용해 시켜 원료 용액을 얻는다. 용매는 예를 들어, 물이나 물과 알코올과의 혼합용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 다음, 수납부(31)의 저면에 복수의 오목부(33)가 형성되어 수납부(31)의 내벽에 단차부(35)가 형성된 수납 시트(3)를 준비한다(도 8(a) 참조). 오목부(33)는, 수납 시트(3)의 일방 측의 면에, 규칙적(예를 들어 격자 상, 허니콤 상, 갈지자 상 등)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한다. 오목부(33)는, 예를 들어 원뿔형, 각뿔형, 원뿔사다리꼴형, 원추형 등의 반전 형상을 나타내도록 형성한다. 오목부(33)의 깊이는, 예를 들어 10㎛ 이상 500㎛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200㎛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33)는, 예를 들어 100개/cm2 이상 500개/cm2 이하의 밀도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원료 용액을, 예를 들어 디스펜서, 분주기, 스퀴지, 잉크젯 등을 이용해 수납부(31)에 주입해서, 단차부(35)의 높이와 같게 되도록 공급한다(도 8(b) 참조). 이 때, 오목부(33)로의 원료 용액의 충전을 촉진하기 위해서, 수납 시트(3)의 상면 측을 대기압보다 고압으로 해도 좋다.
수납부(31)에 충전한 원료 용액을 건조 하는 것으로, 마이크로니들 시트(2)를 제조할 수 있다(도 8(b) 참조). 그 다음, 점착 시트(4)를 맞붙인 봉지 시트(5)를, 시트 상 기재(21)의 미소바늘(22)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의 면으로부터, 수납 시트(3)와 시트 상 기재(21)에 맞붙인다(도 8(c) 참조). 그리고, 수납 시트(3)의 점착 시트(4)와 봉지 시트(5)가 맞붙여진 면과는 반대의 면에 칼집(32)을 형성하고, 예를 들어, 펀칭형을 이용해 절단하여 개편의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1)을 얻는다(도 8(d) 참조). 칼집(32)은, 개편의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1)을 얻은 후에 형성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를 얻을 수 있다.
그 다음,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로부터 마이크로니들 시트를 꺼내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사용자는,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1)를, 칼집(32)을 위로 한 상태로 잡는다(도 9(a) 참조). 그 다음, 도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1)을 구부리고, 칼집(32)으로 수납 시트(3)를 분할한다. 마이크로니들 시트(2)가 유연하기 때문에,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1)는 용이하게 구부려질 수 있다. 분할에 의한 반동으로 칼집(32) 부근의 수납 시트는, 점착 시트(4)의 점착제층(42)로부터 약간 들뜬다. 사용자는 들뜬 부분을 잡고, 천천히 분할한 수납 시트를 벗긴다(도 9(b) 참조). 계속해서, 사용자는 분할한 다른 일방의 수납 시트의 들뜬 부분을 잡고, 천천히 벗기는 것으로, 점착 시트(4)가 맞붙여진 패치 상의 마이크로니들 시트(2)를 꺼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에 의하면, 마이크로니들 시트를 꺼낼 때에, 미소바늘의 적어도 일부 또는 마이크로니들 시트가 수납 시트 측에 남는 것이 없다.
한편, 상기의 예에서는 칼집(32)을 위로 한 상태로 수납 시트(3)를 벗기는 형태를 나타냈지만, 칼집(32)을 아래로 한 상태로 수납 시트(3)를 벗겨도 좋다.
그 다음, 마이크로니들 시트를 꺼내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9(b)와 같이 다른 한쪽의 수납 시트를 벗긴 상태에서, 점착제층(42)에 손잡이부(6)를 붙인다(도 10(a) 참조). 사용자는 손잡이부(6)와 다른 한쪽의 수납 시트를 잡고, 손잡이부(6)를 도의 아래 쪽으로 잡아당겨, 수납 시트를 도의 위쪽으로 잡아당겨 수납 시트를 벗길 수 있다. 손잡이부(6)를 구비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점착제층(42)에 닿는 것이 없다. 따라서, 점착제층(42)이 청결한 상태로, 패치 상의 마이크로니들 시트를 사용자의 피부에 붙일 수 있다. 봉지 시트(5)가 있는 경우는, 접착층(53)에 손잡이부(6)를 붙여 수납 시트를 벗긴 후(도 11(a) 참조), 점착제층(42)에 손잡이부(6')를 붙인다(도 11(b) 참조). 사용자는 손잡이부(6)와 손잡이부(6')를 잡고, 손잡이부(6)를 도의 아래 쪽으로 잡아당기고, 손잡이부(6')를 도의 위쪽으로 잡아당기는 것으로 봉지 시트(5)를 벗길 수 있다(도 11(b)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에 의하면, 마이크로니들 시트를 꺼낼 때에, 미소바늘의 적어도 일부 또는 마이크로니들 시트가 수납 시트 측에 남는 것이 없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로부터 마이크로니들 시트를 꺼내 사용할 수 있다.
1: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
2:마이크로니들 시트
21:시트 상 기재
22:미소바늘
3:수납 시트
31:수납부
32:칼집
33:오목부
34:연결부
35:단차부
4:점착 시트
41:지지 시트
42:점착제층
43:제1잉여부
5:봉지 시트
51:수지층
52:금속층
53:접착층
54:점착층
55:제2잉여부
6, 6′:손이부
7:마이크로니들 시트
71:시트 상 기재
72:미소바늘
8:수납 시트
9:점착 시트
10:봉지 시트

Claims (7)

  1. 시트 상(狀) 기재의 일방의 면에 복수의 미소바늘이 배치된 마이크로니들 시트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가지는 수납 시트로,
    상기 수납부에는 상기 미소바늘의 형상을 반전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부는 칼집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집은, 하프 컷 또는 점선인, 수납 시트.
  3. 시트 상 기재의 일방의 면에 복수의 미소바늘이 배치된 마이크로니들 시트,
    상기 시트 상 기재 타방의 면 전체에 맞붙여지고, 상기 시트 상 기재의 외주형상을 따라서 상기 시트 상 기재로부터 비어져 나온 제1잉여부를 가지는 점착 시트, 및
    상기 미소바늘의 형상을 반전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마이크로니들 시트가 수납되는 수납부를 가지고 칼집이 상기 수납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잉여부에 맞붙여지는 면을 가지는 것인 수납 시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
  4. 시트 상 기재의 일방의 면에 복수의 미소바늘이 배치된 마이크로니들 시트,
    상기 시트 상 기재의 타방의 면 전체에 맞붙여지고, 상기 시트 상 기재의 외주형상을 따라서 상기 시트 상 기재로부터 비어져 나온 제1잉여부를 가지는 점착 시트,
    상기 점착 시트의 상기 시트 상 기재가 맞붙여진 면과는 반대의 면 전체에 맞붙여지고, 상기 점착 시트의 외주형상을 따라서 상기 점착 시트로부터 비어져 나온 제2잉여부를 가지는 봉지 시트, 및
    상기 미소바늘의 형상을 반전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마이크로니들 시트가 수납되는 수납부를 가지고 칼집이 상기 수납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잉여부에 맞붙여지는 면과, 상기 제2잉여부에 맞붙여지는 면을 가지는 수납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니들 시트의 곤포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시트는, 수지층 상에 금속층이 적층되고, 상기 점착 시트와 맞붙여지는 면 상에 점착층이 적층되며, 상기 제2잉여부 상에 접착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인,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칼집은, 하프 컷 또는 점선인,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 내는 진공인,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












KR1020177037877A 2016-02-11 2016-12-06 수납 시트 및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 KR102665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24208A JP6271614B2 (ja) 2016-02-11 2016-02-11 収納シート、マイクロニードルシートの梱包体
JPJP-P-2016-024208 2016-02-11
PCT/JP2016/086264 WO2017138240A1 (ja) 2016-02-11 2016-12-06 収納シート、マイクロニードルシートの梱包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663A KR20180109663A (ko) 2018-10-08
KR102665117B1 true KR102665117B1 (ko) 2024-05-13

Family

ID=59563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7877A KR102665117B1 (ko) 2016-02-11 2016-12-06 수납 시트 및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342447B1 (ko)
JP (1) JP6271614B2 (ko)
KR (1) KR102665117B1 (ko)
CN (1) CN107847723B (ko)
TW (1) TWI700107B (ko)
WO (1) WO20171382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72232B (zh) * 2019-01-07 2022-10-04 金德瓦药物控释有限公司 用于微阵列的包装
JP7289601B2 (ja) * 2020-04-28 2023-06-12 Nissha株式会社 マイクロニードルパッチの梱包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7030A1 (ja) 2014-03-26 2015-10-01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錐体状突起シートの梱包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181895A (ja) 2014-03-26 2015-10-22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錐体状突起シートの梱包体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256Y2 (ko) * 1973-12-28 1979-05-22
JPS6065254U (ja) * 1983-10-07 1985-05-09 山之内製薬株式会社 ブリスタ−パツク
IN188708B (ko) * 1995-10-31 2002-10-26 Mcneil Ppc Inc
US7121409B1 (en) * 1999-09-02 2006-10-17 Snap Pak Industries (Aust) Pty Ltd. Dispensing sachet by bending and method of sachet manufacture
JP2006508865A (ja) * 2002-10-04 2006-03-16 アルペックス ファーマ ソシエテ アノニム 改善されたブリスタパッケージング
EP1718452A1 (en) * 2004-02-23 2006-11-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olding for microneedle arrays
US8058057B2 (en) 2008-05-30 2011-11-15 Corning Incorporated Cell culture apparatus and method
KR20120036577A (ko) * 2010-10-08 2012-04-18 권성윤 고용체 퍼포레이터 패치의 제조 방법
TW201309351A (zh) * 2011-06-28 2013-03-01 Bioserentach Co Ltd 皮膚治療用微細針組合型製劑
JP6065254B2 (ja) 2011-09-28 2017-01-25 Toto株式会社 洗い場床パン
WO2015073919A1 (en) * 2013-11-14 2015-05-21 University Medical Pharmaceuticals Corporation Microneedles for therapeutic agent delivery with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CN205007427U (zh) * 2015-09-25 2016-02-03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一种微针贴片及包装盒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7030A1 (ja) 2014-03-26 2015-10-01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錐体状突起シートの梱包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181895A (ja) 2014-03-26 2015-10-22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錐体状突起シートの梱包体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663A (ko) 2018-10-08
TW201731552A (zh) 2017-09-16
CN107847723A (zh) 2018-03-27
CN107847723B (zh) 2021-03-05
WO2017138240A1 (ja) 2017-08-17
JP2017140254A (ja) 2017-08-17
TWI700107B (zh) 2020-08-01
EP3342447B1 (en) 2019-11-13
EP3342447A4 (en) 2018-09-26
EP3342447A1 (en) 2018-07-04
JP6271614B2 (ja)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1155B2 (ja) マイクロニードルシートの梱包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205007427U (zh) 一种微针贴片及包装盒
EP3246066B1 (en) Transdermal-administration-device accommodating body
KR102665117B1 (ko) 수납 시트 및 마이크로니들 시트의 곤포체
JP2010094414A (ja) マイクロニードルシート貼付剤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6020771B2 (ja) 経皮投与デバイス、および、経皮投与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WO2015111672A1 (ja) マイクロニードルユニット
US20180126139A1 (en) Transdermal administration device
KR102342691B1 (ko) 뿔체형상 돌기 시트의 곤포체의 제조 방법
CN106456955A (zh) 微针片以及经皮给药贴附剂
US10596040B2 (en) Transdermal administration device
JP6565917B2 (ja) マイクロニードルユニット
JP5572301B2 (ja) マイクロニードル保持容器
KR102547455B1 (ko) 마이크로 니들 패치와 그 곤포체
JP6931222B2 (ja) マイクロニードルアレイの発泡支持体シート
JP2010075485A (ja) マイクロニードル保持容器
JP6559467B2 (ja) プレススルーパックの蓋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