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827B1 - 샤워 타월 - Google Patents

샤워 타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827B1
KR102664827B1 KR1020230176490A KR20230176490A KR102664827B1 KR 102664827 B1 KR102664827 B1 KR 102664827B1 KR 1020230176490 A KR1020230176490 A KR 1020230176490A KR 20230176490 A KR20230176490 A KR 20230176490A KR 102664827 B1 KR102664827 B1 KR 102664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k
fabric
lugs
lug
shower t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6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하
Original Assignee
김재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하 filed Critical 김재하
Priority to KR1020230176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8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5/00Woven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에 접촉하는 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몸을 시원하게 씻어낼 수 있는 샤워타월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몸을 씻는 샤워타월에 있어서, 수직으로 긴 직사각형의 깔깔하고 유연성을 갖는 원단의 상하단을 접어서 시접을 형성하도록 봉제로 마감하되, 몸을 닦을 때에 상하로 유연하게 휘어지면서 접촉하는 면적을 넓게 형성하기 위하여, 원단의 일면에는 수평 봉제로 늘어지게 돌출되도록 복수의 제1 플랭크러그를 소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원단의 다른 일면에는 제1 플랭크러그와 교호를 이루는 지점에 수평 봉제로 늘어지게 돌출되도록 복수의 제2 플랭크러그를 형성한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누나 바디워시 따위를 샤워타월에 묻혀 거품을 내서 양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몸을 씻을 때에, 제1 플랭크러그와 제2 플랭크러그가 몸을 닦으면서 상하로 유연하게 휘어져 피부에 접촉하는 면적을 넓게 형성하므로 시원함을 느끼도록 자극을 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샤워 타월{SHOWER TOWEL}
본 발명은 샤워타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에 접촉하는 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몸을 시원하게 씻어낼 수 있는 샤워타월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샤워타월(shower towel)은 비누나 바디워시(body wash) 따위를 묻혀 거품을 내서 몸을 씻을 수 있도록 약간 깔깔한 섬유로 만든 수건이다.
샤워타월은 손에 끼워 넣도록 짧은 길이로 형성된 숏타입, 볼 모양으로 형성된 볼타입, 양손으로 잡고 등을 닦거나 씻을 수 있도록 긴 길이로 형성된 롱타입 등으로 대별된다.
이러한 샤워타월에 관련된 숏타입의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20400호(등록일자 2003년07월07일) ‘바디 샤워타월’, 볼타입의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6292호(등록일자 2019년04월30일) ‘샤워 타월’, 롱타입에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6033호(공개일자 2008년12월09일) ‘주머니샤워타올’ 등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마지막 종래기술(롱타입 샤워타월)은 길게 재단한 원단의 일측에 주머니를 만든 것을 기술의 요지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몸을 닦을 때에 샤워타월의 원단이 구겨짐에 따라 피부에 접촉하는 면이 적어지므로 시원하게 씻어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부연하면, 사우나에서 다른 사람이 샤워타월로 비누칠을 해줄 때는 상쾌하고 간지러운 부분이 없는 반면에, 본인이 직접 샤워타월로 비누칠을 하면 상쾌한 기분이 적고 간지러운 부분이 있게 된다.
이러한 이유는 몸 전체뿐만 아니라 등은 근 매스(mass)로 인해 굴곡진 부분이 많으므로, 상술한 종래기술의 평면 모양의 샤워타월로는 굴곡진 형태의 등 부위의 피지와 각질 등의 노폐물을 깨끗하게 씻어내기 어렵기 때문이다.
(00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20400호(등록일자 2003년07월07일)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6292호(등록일자 2019년04월30일) (0003)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6033호(공개일자 2008년12월09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을 닦을 때에 피부에 접촉하는 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시원하게 씻어낼 수 있는 샤워타월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몸을 씻는 샤워타월에 있어서, 수직으로 긴 직사각형의 깔깔하고 유연성을 갖는 원단의 상하단을 접어서 시접을 형성하도록 봉제로 마감하되, 몸을 닦을 때에 상하로 유연하게 휘어지면서 접촉하는 면적을 넓게 형성하기 위하여, 원단의 일면에는 수평 봉제로 늘어지게 돌출되도록 복수의 제1 플랭크러그를 소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원단의 다른 일면에는 제1 플랭크러그와 교호를 이루는 지점에 수평 봉제로 늘어지게 돌출되도록 복수의 제2 플랭크러그를 형성한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원단의 상단 시접과 최상단 제1 플랭크러그 및 제2 플랭크러그 사이에 형성된 상부 손잡이부, 및 상기 원단의 하단 시접과 최하단 제1 플랭크러그 및 제2 플랭크러그 사이에 형성된 하부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랭크러그 및 제2 플랭크러그의 내부에는 피부에 접촉시킬 때에 부드러운 느낌의 자극을 주도록 소정 크기의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튜브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플랭크러그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층에 충진되는 제1 거품스펀지, 및 상기 제1 튜브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저장된 세정액을 탄성적으로 압축해서 상기 제1 거품스펀지로 흘려보내도록 제1 유출공을 갖는 제1 세정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2 튜브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2 플랭크러그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층에 충진되는 제2 거품스펀지, 및 상기 제2 튜브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저장된 세정액을 탄성적으로 압축해서 상기 제2 거품스펀지로 흘려보내도록 제2 유출공을 갖는 제2 세정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비누나 바디워시 따위를 샤워타월에 묻혀 거품을 내서 양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몸을 씻을 때에, 제1 플랭크러그와 제2 플랭크러그가 몸을 닦으면서 상하로 유연하게 휘어져 피부에 접촉하는 면적을 넓게 형성하므로 시원함을 느끼도록 자극을 줄 뿐만 아니라 전신 및 등의 굴곡진 홈 부분의 피지와 노폐물 등을 깨끗하게 씻어내므로 샤워 후에 간지러운 기분이 들지 않고 상쾌한 기분을 느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세정튜브에서 유출된 세정액이 거품스펀지에서 부풀려 풍성한 거품을 생성하므로, 세정액의 절약을 통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샤워타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샤워타월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샤워타월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 플랭크러그의 측면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 세정튜브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2 플랭크러그의 측면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2 세정튜브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샤워타월의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한다.
이에 따라,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할 수 있으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샤워타월(100)은, 직사각형의 원단(100a)과, 원단(100a)의 일면에 수평 봉제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플랭크러그(the first flank lug, 150)와, 제1 플랭크러그(150)와 교호를 이루도록 원단(100a)의 다른 일면에 수평 봉제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 플랭크러그(the second flank lug, 160)를 포함한다.
원단(100a)은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직조되어 수직으로 긴 직사각형 모양으로 재단된다. 원단(100a)은 때타월이라 불리는 비스코스 레이온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원단(100a)은 린넨 재질을 적용할 수 있다.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직조된 원단(100a)은 깔깔하고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직조된 원단(100a)은 시어서커(seersucker)를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원단(100a)의 상단과 하단에는 시접이 형성된다.
상단 시접(110)은 원단(100a)의 상단을 접어서 봉제로 마감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하단 시접(120)은 원단(100a)의 하단을 접어서 봉제로 마감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단 시접(110)의 내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상단 걸이홈(111)이 형성되어 수평으로 긴 옷걸이 따위에 끼워서 걸 수 있고, 하단 시점의 내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하단 걸이홈(121)이 형성되어 수평으로 긴 옷걸이 따위에 끼워서 걸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단 시접(110)과 하단 시접(12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100a)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두 번 접어서 두 겹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두 겹의 상단 시접(110)과 하단 시접(120)은 손잡이가 되어 별도의 손잡이부 없이도 한단일 경우보다 사용시 잘 빠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후술하는 손잡이부(130)(140)를 잡고 사용하는 양손이 잘 빠지지 않게 된다.
원단(100a)의 상부와 하부에는 평평한 손잡이부(130)(140)가 형성된다.
상부 손잡이부(130)는 상단 시접(110)과 최상단 제1 플랭크러그(150) 또는 제2 플랭크러그(16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손잡이부(140)는 하단 시접(120)과 최하단 제1 플랭크러그(150) 또는 제2 플랭크러그(16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30)(140)는 상시 평평한 상태이지만 양손으로 잡을 때에 구겨진다.
이때, 상단 시접(110)과 하단 시접(120)은 손잡이부를 잡은 양손이 빠지지 않도록 받쳐주는 기능을 한다.
제1 플랭크러그(150)는 몸을 닦을 때에 상하로 유연하게 휘어지면서 피부에 접촉하는 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시원함을 느끼도록 자극을 주는 기능을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플랭크러그(150)는 원단(100a)의 일면에 수평으로 봉제되는 제1 봉제선(151)을 통해 아래로 늘어지게 돌출되는 모양으로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플랭크러그(150)는 원단(100a)의 수직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로 이루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플랭크러그(150)는 원단(100a)을 접어서 바느질로 형성되는 제1 봉제선(151)을 중심으로 아래로 늘어지게 돌출되고, 그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제1 공기층(152)이 형성되어 제1 플랭크러그(150)를 피부에 접촉시킬 때에 부드러운 느낌의 자극을 주게 된다.
제1 플랭크러그(150)는 몸을 닦을 때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유연하게 휘어지므로 피부에 접촉하는 면적을 넓게 형성한다.
제2 플랭크러그(160)는 제1 플랭크러그(150)와 같이 몸을 닦을 때에 상하로 유연하게 휘어지면서 피부에 접촉하는 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시원함을 느끼도록 자극을 주는 기능을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2 플랭크러그(160)는 원단(100a)의 다른 일면에 수평으로 봉제되는 제2 봉제선(161)을 통해 아래로 늘어지게 돌출되는 모양으로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플랭크러그(160)는 원단(100a)의 수직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2 플랭크러그(160)는 원단(100a)의 다른 일면에 제1 플랭크러그(150)와 어긋나게 교호를 이루는 지점에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플랭크러그(160)는 원단(100a)을 접어서 바느질로 형성되는 제2 봉제선(161)을 중심으로 아래로 늘어지게 돌출되고, 그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제2 공기층(162)이 형성되어 제2 플랭크러그(160)를 피부에 접촉시킬 때에 부드러운 느낌의 자극을 주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비누나 바디워시 따위를 샤워타월(100)에 묻혀 거품을 내서 양손으로 손잡이부(130)(140)를 잡고 몸을 씻을 때에, 제1 플랭크러그(150)와 제2 플랭크러그(160)가 몸을 닦으면서 상하로 유연하게 휘어져 피부에 접촉하는 면적을 넓게 형성하므로 시원함을 느끼도록 자극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공기층(152)과 제2 공기층(162)에 의해 제1 플랭크러그(150)와 제2 플랭크러그(160)에 묻힌 비누나 바디워시의 거품이 풍성해지므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 플랭크러그(150)의 측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 세정튜브(172)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제1 튜브홀(171)이 형성되어 제1 플랭크러그(150)의 내부에 형성된 제1 공기층(152)에 충진되는 제1 거품스펀지(170)와, 제1 튜브홀(17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저장된 세정액을 탄성적으로 압축해서 제1 거품스펀지(170)로 흘려보내도록 제1 유출공(173)을 갖는 제1 세정튜브(1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설명 중,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그로부터 갈음할 수 있으므로 생략하고, 달라지거나 변경된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거품스펀지(170)는 제1 플랭크러그(150)의 제1 공기층(152)에 충진되어 제1 세정튜브(172)에서 유출된 세정액을 부풀려서 풍성한 거품을 생성한다.
제1 거품스펀지(170)의 중앙에는 제1 공기층(152)의 축 방향을 따라 길게 제1 튜브홀(171)이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세정튜브(172)는 일단은 막히고 타단은 개방된 원형 관 모양으로 형성되어 액상의 세정액을 저장한다.
제1 세정튜브(172)는 손으로 눌러서 탄성적으로 압축하도록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1 세정튜브(172)에는 직경 1㎜ 내외의 제1 유출공(173)이 복수로 형성된다.
제1 유출공(173)은 손으로 누르는 탄성 압축에 의하여 제1 세정튜브(172)의 부피가 감소하면서 저장한 세정액을 제1 거품스펀지(170)로 조금씩 흘려보낸다.
제1 세정튜브(172)의 개방된 타단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캡(174)에 의해 마감된다.
다른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2 플랭크러그(160)의 측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2 세정튜브(182)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제2 튜브홀(181)이 형성되어 제2 플랭크러그(160)의 내부에 형성된 제2 공기층(162)에 충진되는 제2 거품스펀지(180)와, 제2 튜브홀(18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저장된 세정액을 탄성적으로 압축해서 제2 거품스펀지(180)로 흘려보내도록 제2 유출공(183)을 갖는 제2 세정튜브(1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설명 중,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그로부터 갈음할 수 있으므로 생략하고, 달라지거나 변경된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거품스펀지(180)는 제2 플랭크러그(160)의 제2 공기층(162)에 충진되어 제2 세정튜브(182)에서 유출된 세정액을 부풀려서 풍성한 거품을 생성한다.
제2 거품스펀지(180)의 중앙에는 제2 공기층(162)의 축 방향을 따라 길게 제2 튜브홀(181)이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세정튜브(182)는 일단은 막히고 타단은 개방된 원형 관 모양으로 형성되어 액상의 세정액을 저장한다.
제2 세정튜브(182)는 손으로 눌러서 탄성적으로 압축하도록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2 세정튜브(182)에는 직경 1㎜ 내외의 제2 유출공(183)이 복수로 형성된다.
제2 유출공(183)은 손으로 누르는 탄성 압축에 의하여 제2 세정튜브(182)의 부피가 감소하면서 저장한 세정액을 제2 거품스펀지(180)로 조금씩 흘려보낸다.
제2 세정튜브(182)의 개방된 타단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캡(184)에 의해 마감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사상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샤워타월 100a : 원단
110 : 상단시접 120 : 하단시접
130 : 상부 손잡이 140 : 하부 손잡이
150 : 제1 플랭크러그 160 : 제2 플랭크러그
170 : 제1 거품스펀지 172 : 제1 세정튜브
180 : 제2 거품스펀지 182 : 제2 세정튜브

Claims (6)

  1. 몸을 씻는 샤워타월에 있어서,
    수직으로 긴 직사각형의 깔깔하고 유연성을 갖는 원단;
    상기 원단의 상하단을 접어서 형성되는 시접; 및
    상기 원단의 일면 또는 양면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플랭크러그로 구성되고,
    상기 플랭크러그는 상기 원단의 일면에 수평 봉제로 늘어지게 돌출되도록 복수의 제1 플랭크러그와 상기 원단의 다른 일면에 상기 제1 플랭크러그와 교호를 이루는 지점에 수평 봉제로 늘어지게 돌출되도록 복수의 제2 플랭크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랭크러그 및 제2 플랭크러그의 내부에는 피부에 접촉시킬 때에 부드러운 느낌의 자극을 주도록 소정 크기의 공기층이 형성되고,
    제1 튜브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플랭크러그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층에 충진되는 제1 거품스펀지, 및
    상기 제1 튜브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저장된 세정액을 탄성적으로 압축해서 상기 제1 거품스펀지로 흘려보내도록 제1 유출공을 갖는 제1 세정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샤워타월.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단의 상단 시접과 최상단 제1 플랭크러그 및 제2 플랭크러그 사이에 형성된 상부 손잡이부, 및
    상기 원단의 하단 시접과 최하단 제1 플랭크러그 및 제2 플랭크러그 사이에 형성된 하부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샤워타월.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튜브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2 플랭크러그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층에 충진되는 제2 거품스펀지, 및
    상기 제2 튜브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저장된 세정액을 탄성적으로 압축해서 상기 제2 거품스펀지로 흘려보내도록 제2 유출공을 갖는 제2 세정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샤워타월.
KR1020230176490A 2023-12-07 2023-12-07 샤워 타월 KR102664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6490A KR102664827B1 (ko) 2023-12-07 2023-12-07 샤워 타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6490A KR102664827B1 (ko) 2023-12-07 2023-12-07 샤워 타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4827B1 true KR102664827B1 (ko) 2024-05-08

Family

ID=91073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6490A KR102664827B1 (ko) 2023-12-07 2023-12-07 샤워 타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482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064A (ko) * 2000-12-01 2002-06-08 윤 호 김 주름목욕타월지 및 이를 이용한 목욕타월
KR200320400Y1 (ko) 2003-03-18 2003-07-22 이성진 바디 샤워타월
JP2008272391A (ja) * 2007-04-25 2008-11-13 Teruo Okazawa 気持ち良いひだ付凸凹浴用ボディタオル
KR20080006033U (ko) 2007-06-04 2008-12-09 이상한 주머니샤워타올
KR101976292B1 (ko) 2017-12-26 2019-05-07 이한우 샤워 타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064A (ko) * 2000-12-01 2002-06-08 윤 호 김 주름목욕타월지 및 이를 이용한 목욕타월
KR200320400Y1 (ko) 2003-03-18 2003-07-22 이성진 바디 샤워타월
JP2008272391A (ja) * 2007-04-25 2008-11-13 Teruo Okazawa 気持ち良いひだ付凸凹浴用ボディタオル
KR20080006033U (ko) 2007-06-04 2008-12-09 이상한 주머니샤워타올
KR101976292B1 (ko) 2017-12-26 2019-05-07 이한우 샤워 타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8407A (en) Bathing apparatus
US6644881B1 (en) Soap dispensing washcloth system and method
KR102664827B1 (ko) 샤워 타월
US20180038043A1 (en) Shower mat of connected modular laundry bags
US7854977B2 (en) Foaming tool
KR102051232B1 (ko) 신발 세척 도구
KR200461051Y1 (ko) 세면대용 빨래판
JP6899780B2 (ja) ヘチマスポンジ
JP4484163B1 (ja) 泡立て具
JP2007160021A (ja) 浴用タオル
KR100857459B1 (ko) 평면 타올
JP3210099U (ja) スポンジ入り浴用ボディ洗浄具
JP4168226B2 (ja) 泡立て具、同泡立て具により生成した泡を用いた洗浄方法、及び手袋型洗浄具
KR200465190Y1 (ko) 발 세척용 매트
JP7488975B1 (ja) 体洗い具
JP3109418U (ja) ボディ洗いネット
JP6968474B1 (ja) 浴用タオル
RU29223U1 (ru) Мочалка с массажным эффектом
KR200468223Y1 (ko) 실내용 매트
JP3174162U (ja) 石けん用泡立て具
JPH0515821Y2 (ko)
JP4362846B2 (ja) 身体洗浄具
JP2001299627A (ja) 洗浄具
KR20120049667A (ko) 의류처리장치
JP3213489U (ja) メイク落としタオ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