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530B1 -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530B1
KR102664530B1 KR1020230178656A KR20230178656A KR102664530B1 KR 102664530 B1 KR102664530 B1 KR 102664530B1 KR 1020230178656 A KR1020230178656 A KR 1020230178656A KR 20230178656 A KR20230178656 A KR 20230178656A KR 102664530 B1 KR102664530 B1 KR 102664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unit
patient
information
transpo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8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정현
Original Assignee
문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현 filed Critical 문정현
Priority to KR1020230178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5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96Casings for storing test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43Collection vessels for collecting blood samples from the skin surface, e.g. test tubes, cuvet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763Details with identific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90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운반장치는, 환자별 검체 도구가 실장된 트레이를 운반하며, 이동을 위한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트레이가 실장되도록 구획된 공간을 포함하는 트레이 거치대, 상기 구획된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의 식별정보를 식별하는 트레이 식별부,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정보 및 환자별로 매칭되는 트레이의 식별정도를 포함하는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운반장치 통신부, 환자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입력 받은 환자 정보에 매칭되는 트레이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Automated sample collection method and system for each patient}
본 발명은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정보를 중앙 관리서버를 통해 관리하고, 트레이 공급장치 및 트레이 운반장치를 이용하여 환자별 검체 채취를 자동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검체로서 혈액, 소변, 대변, 객담, 세포, 천자액 등을 채취해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검사를 실시한다. 검체 대상은 검사 목적에 따라 환자별로 상이하다. 또한, 동일한 검체 대상이라도 검사 목적에 따라 다수개가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별로 검사 목적에 따라 다수개의 채혈관이 필요할 수 있다.
종래에는, 병원에 종사하는 종사자가 환자별로 필요한 검체 도구를 준비하였다. 환자별로 필요한 검체 도구를 인력을 통해 준비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채혈관을 환자의 검체 정보에 매칭하여 자동으로 라벨링하는 장비를 제공하고 있다.(선행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2347227호(2022.01.05.)) 다만, 검체 도구로는 혈관 외에 다른 도구도 많고, 이러한 검체 도구들을 환자별로 분류하는데 여전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또한, 인력에 의해서 검체 도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검체 도구를 누락하여 환자에게 가져가는 경우 검체가 누락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누락된 검체를 확인하는 과정 및 누락된 검체 도구를 다시 준비하여 검체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또한, 검체 도구를 일일이 인력에 의해서 확인하는 과정에서 준비한 검체 도구에 다른 환자의 검체가 수용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검체 도구에 다른 환자의 검체가 수용된 것은 환자 상태를 잘못 진단하는 문제와 이를 정정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본 발명은 채혈관, 소변 컨테이더 등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도구를 용이하게 분류하여, 환자별로 검체 도구를 준비 및 분류하는데 소용되는 시간을 단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검체 도구가 환자에 매칭되는지를 자동으로 확인함으로써 의료 사고를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정보 중 수행된 내역을 중앙에서 관리함으로써 검체 체취의 누락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시스템은,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서버, 상기 검체 정보에 대응하여 트레이에 라벨링된 채혈관을 공급하는 트레이 공급장치, 및 상기 트레이를 운반하는 트레이 운반장치를 포함하다. 상기 트레이 공급장치는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공급장치 통신부, 상기 검체 정보에 대응하여 라벨링된 채혈관을 공급하는 채혈관 공급부,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트레이에 환자별로 상기 라벨링된 채혈관을 분류하는 트레이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 운반장치는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운반장치 통신부, 상기 트레이 공급장치에서 공급된 트레이를 실장하는 트레이 거치대, 상기 트레이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트레이 식별부, 및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 공급부는 트레이를 이동하는 트레이 이동부, 및 트레이에 표시된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트레이 식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 공급장치는 상기 트레이에 상기 검체 정보에 대응되는 라벨지를 공급하는 라벨지 공급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 공급장치는 환자별로 라벨링된 채혈관 및 라벨지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된 트레이에 분류하고, 환자별로 식별된 트레이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 운반장치는 라벨 정보를 식별하는 라벨 식별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 운반장치는 식별된 트레이에 포함된 검체 도구의 라벨 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라벨 정보에 대응하여 환자별 검체 완료된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방법은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검체 정보에 대응하여 라벨링된 채혈관을 식별된 트레이에 분류하는 단계, 상기 트레이를 운반하는 단계, 및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라벨링된 채혈관을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검체 정보에 대응되는 라벨지를 상기 식별된 트레이에 분류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방법은, 식별된 트레이에 포함된 검체 도구의 라벨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식별된 라벨 정보에 대응하여 검체 완료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라벨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는, 식별된 라벨 정보가 입력된 환자 정보에 매칭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식별된 라벨 정보에 대응되는 검체 채취가 완료된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트레이 공급장치는,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공급장치 통신부,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정보에 대응하여 투입된 채혈관에 라벨링하여 공급하는 채혈관 공급부, 및 상기 채혈관 공급부에서 공급된 채혈관을 환자별로 트레이에 분류하는 트레이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 공급부는 트레이를 이동하는 트레이 이동부, 및 트레이에 표시된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트레이 식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 공급장치는 상기 공급장치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 또는 트레이 운반장치로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 식별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 공급장치는 상기 트레이에 상기 검체 정보에 대응되는 라벨지를 공급하는 라벨지 공급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채혈관 공급부는 채혈관이 투입되는 채혈관 투입홀, 상기 채혈관 투입홀을 일방향으로 구분하는 투입홀 분리막, 상기 채혈관 투입홀 하부에 구비되는 롤러부, 및 상기 롤러부 하부에 구비되어 채혈관을 배출하는 채혈관 배출홀을 포함한다. 상기 롤러부는 상기 일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롤러부 바디, 상기 롤러부 바디에 상기 일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채혈관이 인입되는 롤러부 메인 홈, 및 상기 롤러부 바디의 측면을 따라 사선방향으로 교차되는 롤러브 서브 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 공급부는 환자별 채혈관이 채워진 트레이가 적체되는 제1 트레이 실장부, 및 빈 트레이가 적체되고, 상기 빈 트레이를 상기 트레이 이동부로 공급하는 제2 트레이 실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 이동부는 상기 트레이 측면을 감싸는 트레이 가이드, 상기 제1 트레이 실장부, 상기 제2 트레이 실장부, 및 상기 트레이 식별부를 따라 상기 트레이 가이드를 이동하는 가이드 구동부, 및 상기 제1 트레이 실장부 하부에 구비되어, 상하 이동 구성을 통해 환자별 채혈관이 채워진 트레이를 상기 제1 트레이 실장부로 이동하는 상하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는 상부와 하부가 구분되는 단층 구조를 가지며, 상부 둘레가 하부 둘레보다 넓다.
또한, 상기 제1 트레이 실장부는 회전 축에 연결되어 회전구동 하고, 상기 트레이의 단층 구조에 결려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1 센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트레이 실장부는 회전 축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하고, 상기 트레이의 단층 구조에 걸려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 상기 제2 지지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2 센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트레이 실장부는 상기 제2 지지부, 상기 구동 모터, 및 상기 제2 센서부를 상하로 두 쌍이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운반장치는, 환자별 검체 도구가 실장된 트레이를 운반하며, 이동을 위한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트레이가 실장되도록 구획된 공간을 포함하는 트레이 거치대, 상기 구획된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의 식별정보를 식별하는 트레이 식별부,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정보 및 환자별로 매칭되는 트레이의 식별정도를 포함하는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운반장치 통신부, 환자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입력 받은 환자 정보에 매칭되는 트레이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트레이 거치대의 구획 공간마다 구비되어, 입력 받은 환자 정보에 매칭되는 트레이가 실장된 구획을 표시하는 LED이다.
또한, 상기 트레이 운반장치는 상기 검체 도구에 구비된 라벨정보를 스캔하는 라벨 식별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 운반장치는 상기 라벨 식별부가 식별한 라벨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라벨 정보에 대응되는 검체 도구가 상기 입력 받은 환자 정보에 매칭되는 검체 도구인지 확인하기 위한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트레이 운반장치는 상기 라벨 식별부가 식별한 라벨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입력 받은 환자에 요구되는 검체 체취 중 라벨 정보에 대응회는 검체 체취가 수행된 정보를 기록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입력 받은 환자별 요구되는 검체 내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입력된 환자에 대응하여 수행해야 하는 검체 체취 개수 및 종류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입력된 환자에 대응하여 수행해야 하는 검체 체취 개수 및 종류에서 수행된 검체 체취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수행된 검체 체취는 식별된 라벨 정보에 대응되는 검체 체취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은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도구를 용이하게 분류하여, 환자별로 검체 도구를 준비 및 분류하는데 소용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은 검체 도구가 환자에 매칭되는지를 자동으로 확인함으로써 의료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은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정보 중 수행된 내역을 중앙에서 관리함으로써 검체 체취의 누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장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장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장치에 포함된 채혈관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관 공급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장치에 포함된 라벨지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부의 트레이 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부의 제1 트레이 실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부의 제2 트레이 실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운반장치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시스템(100)은 병원에서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정보에 대응하여 검체 도구를 자동으로 준비 및 분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시스템(100)은 검체 채취 진행 정도를 자동으로 기록으로 기록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시스템(100)은 관리서버(110), 트레이 공급장치(120), 트레이 운반장치(130)를 포함한다.
관리서버(110)는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정보를 포함하는 병원내 서버일 수 있다. 관리서버(110)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및 트레이 공급장치(120)와 트레이 운반장치(130)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서버(110)의 데이터 베이스는 환자 정보 및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는 환자별로 진행된 검체 채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는 트레이 공급장치(120)에서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 정보 및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정보는 병원내 관리자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이다.
환자별로 진행된 검체 채취 정보는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트레이 운반장치(130)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의 식별정보는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트레이 공급장치(120)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는 해당 환자에 필요한 검체 도구들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서, 관리서버(110)는 트레이 공급장치(120)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다.
트레이 공급장치(120)는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도구를 식별된 트레이에 분배하여 공급하는 장치이다. 트레이 공급장치는 채혈관 공급부, 트레이 공급부,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트레이 공급장치는 라벨지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채혈관 공급부는, 투입된 빈 채혈관을 라벨링하여 식별된 트레이에 공급한다. 빈 채혈관에 라벨링된 정보는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일 수 있다.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정보는 통신부를 통해 관리서버(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트레이 공급부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트레이에 환자별로 필요한 검체 도구 및 라벨지를 분류한다. 구체적으로, 트레이 공급부는 환자별로 라벨링된 채혈관 및 검체 도구에 부착이 가능한 라벨지를 식별된 트레이에 분류한다.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 식별 정보는 관리서버(110)로 전달된다. 경우에 따라서, 트레이 운반장치(130)로 전달될 수 있다.
트레이 공급부는 트레이를 이동하는 트레이 이동부, 및 트레이에 표시된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트레이 식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라벨지 공급부는 채혈관 외 다른 검체 도구에 부착이 가능한 라벨지를 공급한다. 라벨지는 종이컵, 소변 컨테이너, 대변 컨테이너 등 다양한 검체 도구에 부착이 가능하며, 환자별 검체 대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라벨지에는 검체 목적의 정보뿐만 아니라 환자가 섭취해야 하는 약과 관련된 정보를 기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약과 관련된 정보라 함은, 환자가 섭취해야 하는 약의 종류, 약의 양, 섭취 방법, 및 약을 제공받기 위해 필요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는 고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트레이 식별부는 이를 확인한다. 트레이 공급장치(120)는 트레이를 식별하고 해당 트레이에 특정 환자에게 필요한 채혈관 및 라벨지를 모두 담아서 분류한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환자가 검체 채취를 위해 필요한 채혈관 개수가 3개이고, 소변 컨테이너가 1개 필요할 수 있다. 이 경우, 트레이 공급장치(120)는 식별된 트레이에 상기 특정 환자용 채혈관 3개와 소변 컨테이너에 부착할 수 있는 라벨지를 담아서 분류한다.
트레이 공급장치(120)에 구비된 통신부(이하, 공급장치 통신부)는 관리서버(110)와 통신한다. 경우에 따라서, 공급장치 통신부는 트레이 운반장치(130)와 통신한다. 트레이 공급장치(120)는 공급장치 통신부를 통해 관리서버(110)로부터 환자별 요구되는 검체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환자별로 분류된 트레이의 식별정보를 관리서버(110)에 전송할 수 있다.
트레이 공급장치(120)의 제어부는 채혈관 공급부, 트레이 공급부, 라벨지 공급부, 및 공급장치 통신부를 제어한다.
트레이 운반장치(130)는 트레이 공급장치(120)에서 환자별로 필요한 검체 도구 및 라벨지가 분류된 트레이를 운반하는 장치이다. 트레이 운반장치(130)는 구동부, 트레이 거치대, 트레이 식별부, 통신부, 출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트레이 운반장치(130)는 입력부, 라벨 식별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 운반장치(130)의 구동부는 수동 또는 전동 방식으로 구동할 수 있다. 구동부는 트레이 운반장치(130)의 몸체에 구비될 수 있다. 트레이 운반장치(130)의 몸체에는 수납공간을 포함하고, 빈 채혈관, 종이컵, 소변 컨테이너, 대변 컨테이너 등 다양한 검체 도구가 구비될 수 있다.
트레이 거치대는 트레이 공급장치(120)에서 공급된 트레이가 실장될 수 있다. 트레이 거치대는 구획된 공간을 포함하여 각각의 공간에 트레이가 실장될 수 있다.
트레이 식별부(232)는 트레이 거치대에 구비되어 트레이의 식별정보를 확인한다. 트레이 식별부(232)는 트레이 거치대의 구획 공간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트레이 운반장치(130)의 통신부(이하, 운반장치 통신부)는 관리서버(110)로부터 환자별 요구되는 검체 정보 및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 식별 정보는 트레이 공급장치(12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트레이 운반장치(130)의 출력부는 환자 정보에 대응하여 대응되는 트레이를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는 트레이 거치대에서 환자 정보에 매칭되는 트레이가 구비된 구획 공간을 표시할 수 있다.
트레이 운반장치(130)의 입력부는 환자 정보를 입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트레이 운반장치(130)의 라벨 식별부는 트레이에 구비된 채혈관 및 라벨지의 라벨 정보를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확인된 라벨 정보는 운반장치 통신부를 통해 관리서버(110)로 송신되어 기록될 수 있다.
트레이 운반장치(130)의 제어부는 트레이 식별부, 출력부, 및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구동부가 자동인 경우 구동부를 제어하며, 구비된 입력부 및 라벡 식별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도 1의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환자별 검체 채취를 자동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방법은 먼저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정보를 입력한다. 입력 받은 검체 정보에 대응하여 라벨링된 채혈관을 식별된 트레이에 분류한다. 이후 라벨링된 채혈관이 수용된 트레이를 환자 근처로 운반한다. 이후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를 식별한다.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는 병원 관계자에 의해서 환자 정보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정보가 관리서버(110)에 입력하는 단계이다. 관리서버(110)에서 입력 받은 환자 정보 및 검체 정보는 트레이 공급장치(120)로 전송될 수 있다.(S210)
라벨링된 채혈관을 식별된 트레이에 분류하는 단계는 트레이 공급장치(120)에서 수행되는 단계이다. 환자별 검체 정보에 대응하여 라벨링된 채혈관 및 라벨지를 준비하여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에 분류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 식별정보는 관리서버(110)로 전송될 수 있다. (S210)
라벨링된 채혈관을 식별된 트레이에 분류하는 단계는 관리서버(110)로부터 받은 검체 정보에 대응되는 라벨지를 식별된 트레이에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환자별로 식별된 트레이에 라벨링된 체혈관 및 다른 검체 도구에 활용될 수 있는 라벨지를 분류하는 단계일 수 있다.
관리서버(110)는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 식별정보를 기록하고, 트레이 운반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서버(110)는 환자 정보, 검체 정보 및 트레이 식별정보를 트레이 운반장치(130)에 전송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 식별정보는 트레이 공급장치(120)에서 트레이 운반장치(130)로 바로 전송될 수 있다.
트레이를 운반하는 단계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트레이 운반장치(130)를 이용하여 트레이를 트레이 공급장치(120)에서 개별 환자에게 운송하는 단계이다.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를 식별하는 단계는 트레이 운반장치(130)에 입력받은 환자 정보에 대응하여 검체 도구 및 라벨지가 포함된 트레이를 식별하는 단계이다. 병원 관계자가 트레이 운반장치(130)에 환자 정보를 입력하면, 트레이 운반장치(130)는 관리서버(110)를 통해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된 환자 정보에 매칭된 트레이를 식별하여 표시한다.
트레이의 식별한 후 트레이에 포함된 검체 도구의 라벨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라벨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는 채혈관의 라벨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라벨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는 라벨지의 라벨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특정 환자용 트레이에 포함된 채혈관이 3개이고, 소변 컨테이너용 라벨지가 1개 있는 경우, 라벨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는 4개의 라벨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라벨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는, 식별된 라벨 정보가 입력된 환자 정보에 매칭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식별된 라벨 정보에 대응되는 검체 체취가 완료된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별된 라벨 정보가 입력된 환자 정보에 매칭되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트레이에 포함된 검체 도구의 라벨정보가 환자와 매칭되는지 다시한번 확인하는 단계이다. 식별된 라벨 정보가 입력된 환자에 매칭되지 않는 경우, 트레이의 식별 정보와 환자 매칭이 잘못된 것이다. 이를 알림으로써 잘못된 검체 체취를 방지한다. 식별된 라벨 정보가 입력된 환자에 매칭되는 경우, 식별된 라벨 정보에 대응하여 검체 체취가 완료된 정보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입려된 환자용 트레이에 포함된 채혈관 3개이고, 소변 컨테이너용 라벨지가 1개 있는 경우를 살펴본다. 병원 관계자는 상기 트레이에서 채혈관 한 개를 꺼내서 라벨 정보를 식별한다. 라벨 정보가 상기 입력된 환자에 매칭되는 경우, 라벨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에서 4개의 검체 중 식별된 라벨 정보에 대응하여 검체가 완료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라벨 식별 정보는 관리서버(110)로 전송될 수 있다.(S240) 관리서버(110)는 환자별로 누락된 검체 체취 및 완료된 검체 체취를 일괄로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장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장치 분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4는 도 1의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시스템에 포함된 트레이 공급장치(1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트레이 공급장치(120)는 채혈관 공급부(210), 트레이 공급부(230), 및 공급장치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트레이 공급장치(120)는 라벨지 공급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공급장치는 입력 및 제어용 디스플레이(240) 구동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채혈관 공급부(210)는 빈 채혈관이 투입되면,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정보에 대응하여 라벨링한 후 배출하는 장비이다.
트레이 공급부(230)는 채혈관 공급부(210)에서 공급된 채혈관을 환자별로 트레이에 분류하는 장비이다.
공급장치 통신부는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관리서버(110)와 통신하는 장비이다. 트레이는 고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트레이의 식별 정보와 환자 정보를 매칭되어 관리서버(110)에 전달될 수 있다. 공급장치 통신부를 통해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의 식별정보를 관리서버(110)에 전달할 수 있다.
라벨지 공급부(220)는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정보에 대응되는 라벨지를 공급하는 장비이다.
입력 및 제어용 디스플레이(240)는 트레이 공급장치(120)를 제어하는 용도, 트레이 공급장치의 진행 상태를 표시하는 용도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110)를 통해 받은 정보 외 추가로 필요한 환자별 검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용도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장치에 포함된 채혈관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관 공급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장치에 포함된 라벨지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관 공급부(210)는 빈 채혈관이 투입되고, 라벨링하여 공급하는 장비이다. 채혈관 공급부(210)은 무작위로 투입된 빈 채혈관을 하나씩 분리 및 정렬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채혈관 공급부(210)는 채혈관 투입홀(212), 투입홀 분리막(213), 롤러부(215), 및 채혈관 배출홀(216)을 포함한다.
채혈관 투입홀(212)은 사각의 형상을 가지며, 일모서리가 채혈관의 길이 보다 길도록 형성된다.
투입홀 분리막(213)는 채혈관 투입홀을 일방향으로 구분하는 막일 수 있다. 투입홀 분리막(213)은 채혈관이 채혈관 투입홀(212)로 수평 평면 상에서 일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롤러부(215)는 채혈관 투입홀(212)의 하부에 구비되며, 무작위도 들어온 채혈관을 하나씩 채혈관 배출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채혈관 투입홀(212)로 투입된 채혈관은 롤러부(215)로 가이드 되어 모이게 된다. 롤러부(215)는 채혈관이 인입될 수 있는 롤러부 메인 홈(215b)을 포함하고, 롤러부 구동모터(214)로 회전하여 채혈관을 하나씩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롤러부(215)는 투입홀 분리막(213)이 배열된 방향(이하, 일방향)에 따라 배열되고, 롤러부 메인 홈(215b) 역시 상기 일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투입홀 분리막(213)은 수평 평면 상에서 상기 일방향에 수직하게 채혈관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투입홀 분리막(213)은 채혈관이 수직하게 들어오늘 것을 방지할 수 없다.
채혈관이 채혈관 투입홀(212)로 수직하게 들어오는 경우, 롤러부 메인 홈(215b)에 단부가 걸려, 롤러부(215)가 회전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직하게 들어온 채혈관을 상기 일방향으로 누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롤러부(215)는 롤러부 바디(215a), 롤러부 메인 홈(215b), 및 롤러부 서브 홈(215c)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롤러부(215)는 채혈관 걸림 홈(215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러부 바디(215a)는 상기 일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롤러부 구동모터(214)는 롤러부 바디(215a)를 회전시킨다.
롤러부 메인 홈(215b)은 롤러부 바디(215a)의 측면에 상기 입방향을 따라 구비된 홈이다. 롤러부 메인 홈(215b)은 채혈관이 인입될 수 있을 정도의 홈을 형성한다.
롤러부 서브 홈(215c)은 롤러부 바디(215a)의 측면에 사선방향으로 둘러 파여진 홈이다. 수직으로 투입된 채혈관의 단부가 롤러부 서브 홈(215c)에 걸리는 경우 롤러부 바디(215a)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채혈관을 상기 일방향을 따라 누일 수 있다.
롤러부 서브 홈(215c)은 롤러부 메인 홈(215b)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연결되도록 롤러부 바디(215a)의 측면에 사선방향으로 둘러 파여질 수 있다.
채혈관 걸림 홈(215d)은 롤러부 메인 홈(215b)에 인접하여 일방향으로 구비된 홈일 수 있다. 채혈관 걸림 홈(215d)은 채혈관의 단부가 롤러부 메인 홈(215b)으로 유임되는 것을 방지하는 홈이다.
채혈관 배출홀(216)은 롤러부(215) 회전을 통해 하나씩 배출된 채혈관을 배출하는 홀이다.
채혈관 배출홀(216)로 배출된 채혈관은 수직 배열된 후 채혈관 라벨링부(223)에서 라벨링되어 트레이에 공급될 수 있다. 채혈관 수직 고정부(224)는 채혈관을 라벨링하는 동안 채혈관을 수직으로 지지한다. 라벨링이 마쳐진 채혈관은 채혈관 배출 가이드부(225)를 통해 트레이에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벨지 공급부(220)는 라벨지 공급롤(221) 및 라벨지 프린팅부(222)를 포함한다.
라벨지 공급부(220)는 채혈관 라벨링 용도가 아닌 다른 검체 도구에 부탁할 수 있는 라벨지를 공급한다.
라벨지 프린팅부(222)는 라벨지 공급부(220)에서 공급된 라벨지에 환자별 검체 정보를 프린팅한다. 프린팅된 라벨지는 트레이에 공급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부의 트레이 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9은 도 8의 B 영역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부(230)는 트레이 이동부(231) 및 트레이 식별부(232)를 포함한다.
트레이 이동부(231)는 트레이를 이동하는 구성이다. 트레이 이동부(231)는 빈 트레이(300b)를 채혈관 및 라벨지가 공급되는 곳으로 이동한 후, 채워진 트레이(300a)를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구성이다.
트레이 식별부(232)는 트레이에 구비된 고유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구성이다. 트레이 식별 정보는 트레이 하부에 구비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트레이 식별부(232)에서 식별될 수 있다.
트레이 식별부(232)는 채혈관 및 라벨지가 공급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트레이 이동부(231)는 빈 트레이를 트레이 식별부(232)로 이동하고, 트레이의 식별 정보를 확인한다. 식별된 트레이에 특정 환자용 채혈관 및 라벨지를 공급한 후, 트레이 식별 정보와 상기 특정 환자의 정보를 매칭한다.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 식별 정보는 관리서버(110)로 전송된다.
트레이 공급부(230)는 제1 트레이 실장부(233) 및 제2 트레이 실장부(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레이 실장부(233)는 환자별 채혈관이 채워진 트레이(300a)가 적체될 수 있다. 제2 트레이 실장부(234)는 빈 트레이가 적체될 수 있다.
트레이 이동부(231)는 제2 트레이 실장부(234)에서 공급된 빈 트레이(300b)를 트레이 식별부(232)로 이동하여 식별한다. 트레이 이동부(231)는 채혈관 및 라벨지가 채워진 트레이(300a)를 이동하여 제1 트레이 실장부(233)에 적체한다.
트레이 이동부(231)는 트레이 가이드(2311), 가이드 구동부(2312), 및 상하 구동부(2313)를 포함한다.
트레이 가이드(2311)는 트레이의 측면을 감싸는 구성이다. 트레이 식별 정보가 트레이 하부에 구비되어 있어, 트레이 가이드(2311)는 트레이 하부는 감싸지 않는다.
가이드 구동부(2312)는 트레이 가이드(2311)를 이동하는 구동부이다. 가이드 구동부(2312)는 트레이가 제1 트레이 실장부(233), 제2 트레이 실장부, 및 트레이 식별부(232)에 위치할 수 있도록 트레이를 감싸는 트레이 가이드(2311)를 이동한다.
상하 구동부(2313)는 제1 트레이 실장부(233) 하부에 구비되어 트레이를 상하 이동하는 구성이다. 상하 구동부를 통해 환자별 채혈관 및 라벨지가 채워진 트레이가 제1 트레이 실장부(233)에 적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하 구동부(2313)는 제1 트레이 실장부(233) 하부에 위치하여 상하 이동하는 상하 이동 구성(2313a), 및 상하 이동 구성(2313a)를 상하 구동하는 상하 구동 모터(2313b)를 포함한다.
채워진 트레이는 제1 트레이 실장부(233)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하 구동부(2313)가 상승하여 제1 트레이 실장부(233)에 적체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부의 제1 트레이 실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도 8의 C 영역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트레이 실장부(233)는 채혈관 및 라벨지 등이 채워진 트레이가 적체되는 구성이다. 채워진 트레이는 제1 트레이 실장부(233) 하부에서 인입되어 적체된다.
제1 트레이 실장부(233)의 하부로 인입되는 트레이는, 인입은 제한없이 가능하되, 중력에 의해 인출되는 것이 방지되야 한다. 이를 위해 트레이의 구조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트레이(300)는 상부와 하부가 구분되는 단층 구조를 가지고, 상부 둘레(310)가 하부 둘레(320) 보다 넓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트레이 실장부(233)는 제1 지지부(2331), 제1 가이드 홈, 및 제1 센서부(2335)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2331)는 트레이가 적체되는 공간의 양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지지부는 회전축(2332)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하고, 트레이의 단층 구조에 걸려 트레이를 지지한다.
제1 가이드 홈(2333)은 제1 지지부의 회전 각도를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2331)의 돌출부가 제1 가이드 홈(2333)에 삽입되어 회전 각도를 제한된다. 제1 가이드 홈(2333)은 제1 지지부(2331)가 수평 상태에서 상부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는 원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센서부(2335)는 제1 지지부(2331)의 회전을 감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제1 센서부(2335)는 제1 지지부(2331)가 트레이가 삽입될 정도로 충분한 회전을 한 경우 이를 감지하여, 트레이가 추가로 적체됨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센서부(2335)는 하부 제1 센서부(2335a), 및 상부 제1 센서부(233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2331)가 회전하여 하부 제1 센서부(2335a)와 상부 제1 센서부(2335b)가 맞닿는 경우 제1 센서부(2335)는 트레이가 추가로 적체됨을 감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트레이 실장부(233)는 회전축(2332)이 지지되는 측벽(2334)을 트레이가 적체되는 공간의 양 측면에 구비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부의 제2 트레이 실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1은 도 8의 D 영역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트레이 실장부(234)는 빈 트레이가 적체되는 구성이다. 빈 트레이는 하부 방향으로 인출되어 트레이 이동부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
제2 트레이 실장부(234)의 하부로 인출되는 트레이는, 하나씩 인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트레이의 구조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트레이(300)는 상부와 하부가 구분되는 단층 구조를 가지고, 상부 둘레(310)가 하부 둘레(320) 보다 넓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트레이 실장부(234)는 제2 지지부(2341), 회전모터(2346), 및 제2 센서부(2345)를 포함한다.
제2 지지부(2341)는 트레이가 적체되는 공간의 양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지지부는 회전축(2342)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하고, 트레이의 단층 구조에 걸려 트레이를 지지한다.
회전모터(2346)는 회전축(2342)에 연결되어 제2 지지부(2341)를 회전 구동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제2 가이드 홈(2343)은 제2 지지부의 회전 각도를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제2 지지부(2341)의 돌출부가 제2 가이드 홈(2343)에 삽입되어 회전 각도를 제한된다. 제2 가이드 홈(2343)은 제2 지지부(2341)가 수평 상태에서 하부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는 원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센서부(2345)는 제2 지지부(2341)의 회전을 감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제2 센서부(2345)는 제2 지지부(2341)가 트레이가 인출될 정도로 충분한 회전을 한 경우 이를 감지하여, 트레이가 인출됨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센서부(2345)는 하부 제2 센서부(2345a), 및 상부 제2 센서부(234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2341)가 회전하여 하부 제2 센서부(2345a)와 상부 제2 센서부(2325b)가 맞닿는 경우 제2 센서부(2345)는 트레이가 인출됨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트레이 실장부(234)에서 트레이가 하나씩 인출되야 한다. 이를 위해 제2 지지부(2341), 회전모터(2346), 및 제2 센서부(2345)를 상하로 두 쌍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부에 구비된 제2 지지부(2341)는 수평상태로 고정되어, 두번째 층에 위치하는 빈 트레이를 지지한다. 이 상태에서 하부에 구비된 제2 지지부(2341)가 개방되어 첫번째 층에 위치하는 빈 트레이를 트레이 이동부도 공급한다.
이후, 하부에 구비된 제2 지지부(2341)는 수평상태로 고정되어, 빈 트레이가 트레이 이동부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상태에서 상부에 구비된 제2 지지부(2341)가 개방되어 적체된 빈 트레이가 한 층씩 내려올 수 있도록 한다.
제2 트레이 실장부(234)는 회전축(2342)이 지지되는 측벽(2344)을 트레이가 적체되는 공간의 양 측면에 구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운반장치의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2는 도 1의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시스템에 포함된 트레이 공급장치(1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운반장치(130)는 구동부(410), 트레이 거치대(420), 트레이 식별부(430), 운반장치 통신부(미도시), 입력부(442) 및 출력부(440)를 포함한다.
트레이 운반장치(130)는 트레이 공급장치(120)에서 환자별로 필요한 검체 도구 및 라벨지가 분류된 트레이를 운반하는 장치이다.
트레이 운반장치(130)의 구동부(410)는 수동 또는 전동 방식으로 구동할 수 있다. 구동부는 트레이 운반장치(130)의 몸체에 구비될 수 있다. 트레이 운반장치(130)의 몸체에는 수납공간을 포함하고, 빈 채혈관, 종이컵, 소변 컨테이너, 대변 컨테이너 등 다양한 검체 도구가 구비될 수 있다.
트레이 거치대는 트레이 공급장치(120)에서 공급된 트레이가 실장될 수 있다. 트레이 거치대는 구획된 공간을 포함하여 각각의 공간에 트레이가 실장될 수 있다. 구획된 공간은 가로세로로 매트릭스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트레이 식별부(430)는 트레이 거치대에 구비되어 트레이의 식별정보를 확인한다. 트레이 식별부(430)는 트레이 거치대의 구획 공간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트레이 운반장치(130)의 통신부(이하, 운반장치 통신부)는 관리서버(110)로부터 환자별 요구되는 검체 정보 및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 식별 정보는 트레이 공급장치(12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트레이 운반장치(130)의 출력부(440)는 환자 정보에 대응하여 대응되는 트레이를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440)는 트레이 거치대에서 환자 정보에 매칭되는 트레이가 구비된 구획 공간을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440)는 트레이 거치대(420)의 구획 공간마다 구비되어, 입력 받은 환자 정보에 매칭되는 트레이가 실장된 구획을 표시하는 LED 일 수 있다.
출력부(440) 상기 입력 받은 환자별 요구되는 검체 내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는 입력부(442)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트레이 운반장치(130)의 입력부(442)는 환자 정보를 입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트레이 운반장치(130)의 제어부는 트레이 식별부, 출력부, 및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구동부(410)가 자동인 경우 구동부를 제어하며, 구비된 입력부 및 라벡 식별부를 제어할 수 있다.
트레이 운반장치(130)의 라벨 식별부(450)는 트레이에 구비된 채혈관 및 라벨지의 라벨 정보를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확인된 라벨 정보는 운반장치 통신부를 통해 관리서버(110)로 송신되어 기록될 수 있다.
라벨 식별부(450)가 식별한 라벨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입력 받은 환자 정보에 매칭되는 검체 도구 인지 확인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라벨 식별부(450)가 식별한 라벨 정보와 입력 받은 환자 정보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라벨 식별부(450)에 대응되는 검체 도구에 검체를 체취 하지 않은다. 이는, 트레이 식별 정보와 환자 매칭이 잘못 입력되거나, 다른 검체 도구가 유입된 경우 일 수 있다.
라벨 식별부(450)가 식별한 라벨 정보와 입력 받은 환자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입력 받은 환자에 요구되는 검체 체취 중 라벨 식별부(450)에 대응되는 검체 체취가 수행됨을 관리 서버에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입력된 환자에 대응하여 수행해야 하는 검체 체취 개수 및 종류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입력된 화자에 대응하여 수행해야 하는 검체 체취 개수 및 종류 중에서 수행된 검체 체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수행된 검체 체취는 식별된 라벨 정보에 대응되는 검체 체취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장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장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장치에 포함된 채혈관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관 공급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장치에 포함된 라벨지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부의 트레이 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부의 제1 트레이 실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부의 제2 트레이 실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운반장치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시스템(100)은 병원에서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정보에 대응하여 검체 도구를 자동으로 준비 및 분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시스템(100)은 검체 채취 진행 정도를 자동으로 기록으로 기록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시스템(100)은 관리서버(110), 트레이 공급장치(120), 트레이 운반장치(130)를 포함한다.
관리서버(110)는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정보를 포함하는 병원내 서버일 수 있다. 관리서버(110)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및 트레이 공급장치(120)와 트레이 운반장치(130)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서버(110)의 데이터 베이스는 환자 정보 및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는 환자별로 진행된 검체 채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는 트레이 공급장치(120)에서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 정보 및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정보는 병원내 관리자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이다.
환자별로 진행된 검체 채취 정보는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트레이 운반장치(130)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의 식별정보는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트레이 공급장치(120)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는 해당 환자에 필요한 검체 도구들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서, 관리서버(110)는 트레이 공급장치(120)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다.
트레이 공급장치(120)는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도구를 식별된 트레이에 분배하여 공급하는 장치이다. 트레이 공급장치는 채혈관 공급부, 트레이 공급부,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트레이 공급장치는 라벨지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채혈관 공급부는, 투입된 빈 채혈관을 라벨링하여 식별된 트레이에 공급한다. 빈 채혈관에 라벨링된 정보는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일 수 있다.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정보는 통신부를 통해 관리서버(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트레이 공급부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트레이에 환자별로 필요한 검체 도구 및 라벨지를 분류한다. 구체적으로, 트레이 공급부는 환자별로 라벨링된 채혈관 및 검체 도구에 부착이 가능한 라벨지를 식별된 트레이에 분류한다.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 식별 정보는 관리서버(110)로 전달된다. 경우에 따라서, 트레이 운반장치(130)로 전달될 수 있다.
트레이 공급부는 트레이를 이동하는 트레이 이동부, 및 트레이에 표시된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트레이 식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라벨지 공급부는 채혈관 외 다른 검체 도구에 부착이 가능한 라벨지를 공급한다. 라벨지는 종이컵, 소변 컨테이너, 대변 컨테이너 등 다양한 검체 도구에 부착이 가능하며, 환자별 검체 대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라벨지에는 검체 목적의 정보뿐만 아니라 환자가 섭취해야 하는 약과 관련된 정보를 기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약과 관련된 정보라 함은, 환자가 섭취해야 하는 약의 종류, 약의 양, 섭취 방법, 및 약을 제공받기 위해 필요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는 고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트레이 식별부는 이를 확인한다. 트레이 공급장치(120)는 트레이를 식별하고 해당 트레이에 특정 환자에게 필요한 채혈관 및 라벨지를 모두 담아서 분류한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환자가 검체 채취를 위해 필요한 채혈관 개수가 3개이고, 소변 컨테이너가 1개 필요할 수 있다. 이 경우, 트레이 공급장치(120)는 식별된 트레이에 상기 특정 환자용 채혈관 3개와 소변 컨테이너에 부착할 수 있는 라벨지를 담아서 분류한다.
트레이 공급장치(120)에 구비된 통신부(이하, 공급장치 통신부)는 관리서버(110)와 통신한다. 경우에 따라서, 공급장치 통신부는 트레이 운반장치(130)와 통신한다. 트레이 공급장치(120)는 공급장치 통신부를 통해 관리서버(110)로부터 환자별 요구되는 검체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환자별로 분류된 트레이의 식별정보를 관리서버(110)에 전송할 수 있다.
트레이 공급장치(120)의 제어부는 채혈관 공급부, 트레이 공급부, 라벨지 공급부, 및 공급장치 통신부를 제어한다.
트레이 운반장치(130)는 트레이 공급장치(120)에서 환자별로 필요한 검체 도구 및 라벨지가 분류된 트레이를 운반하는 장치이다. 트레이 운반장치(130)는 구동부, 트레이 거치대, 트레이 식별부, 통신부, 출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트레이 운반장치(130)는 입력부, 라벨 식별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 운반장치(130)의 구동부는 수동 또는 전동 방식으로 구동할 수 있다. 구동부는 트레이 운반장치(130)의 몸체에 구비될 수 있다. 트레이 운반장치(130)의 몸체에는 수납공간을 포함하고, 빈 채혈관, 종이컵, 소변 컨테이너, 대변 컨테이너 등 다양한 검체 도구가 구비될 수 있다.
트레이 거치대는 트레이 공급장치(120)에서 공급된 트레이가 실장될 수 있다. 트레이 거치대는 구획된 공간을 포함하여 각각의 공간에 트레이가 실장될 수 있다.
트레이 식별부(232)는 트레이 거치대에 구비되어 트레이의 식별정보를 확인한다. 트레이 식별부(232)는 트레이 거치대의 구획 공간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트레이 운반장치(130)의 통신부(이하, 운반장치 통신부)는 관리서버(110)로부터 환자별 요구되는 검체 정보 및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 식별 정보는 트레이 공급장치(12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트레이 운반장치(130)의 출력부는 환자 정보에 대응하여 대응되는 트레이를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는 트레이 거치대에서 환자 정보에 매칭되는 트레이가 구비된 구획 공간을 표시할 수 있다.
트레이 운반장치(130)의 입력부는 환자 정보를 입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트레이 운반장치(130)의 라벨 식별부는 트레이에 구비된 채혈관 및 라벨지의 라벨 정보를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확인된 라벨 정보는 운반장치 통신부를 통해 관리서버(110)로 송신되어 기록될 수 있다.
트레이 운반장치(130)의 제어부는 트레이 식별부, 출력부, 및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구동부가 자동인 경우 구동부를 제어하며, 구비된 입력부 및 라벡 식별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도 1의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환자별 검체 채취를 자동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방법은 먼저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정보를 입력한다. 입력 받은 검체 정보에 대응하여 라벨링된 채혈관을 식별된 트레이에 분류한다. 이후 라벨링된 채혈관이 수용된 트레이를 환자 근처로 운반한다. 이후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를 식별한다.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는 병원 관계자에 의해서 환자 정보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정보가 관리서버(110)에 입력하는 단계이다. 관리서버(110)에서 입력 받은 환자 정보 및 검체 정보는 트레이 공급장치(120)로 전송될 수 있다.(S210)
라벨링된 채혈관을 식별된 트레이에 분류하는 단계는 트레이 공급장치(120)에서 수행되는 단계이다. 환자별 검체 정보에 대응하여 라벨링된 채혈관 및 라벨지를 준비하여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에 분류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 식별정보는 관리서버(110)로 전송될 수 있다. (S210)
라벨링된 채혈관을 식별된 트레이에 분류하는 단계는 관리서버(110)로부터 받은 검체 정보에 대응되는 라벨지를 식별된 트레이에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환자별로 식별된 트레이에 라벨링된 체혈관 및 다른 검체 도구에 활용될 수 있는 라벨지를 분류하는 단계일 수 있다.
관리서버(110)는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 식별정보를 기록하고, 트레이 운반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서버(110)는 환자 정보, 검체 정보 및 트레이 식별정보를 트레이 운반장치(130)에 전송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 식별정보는 트레이 공급장치(120)에서 트레이 운반장치(130)로 바로 전송될 수 있다.
트레이를 운반하는 단계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트레이 운반장치(130)를 이용하여 트레이를 트레이 공급장치(120)에서 개별 환자에게 운송하는 단계이다.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를 식별하는 단계는 트레이 운반장치(130)에 입력받은 환자 정보에 대응하여 검체 도구 및 라벨지가 포함된 트레이를 식별하는 단계이다. 병원 관계자가 트레이 운반장치(130)에 환자 정보를 입력하면, 트레이 운반장치(130)는 관리서버(110)를 통해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된 환자 정보에 매칭된 트레이를 식별하여 표시한다.
트레이의 식별한 후 트레이에 포함된 검체 도구의 라벨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라벨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는 채혈관의 라벨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라벨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는 라벨지의 라벨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특정 환자용 트레이에 포함된 채혈관이 3개이고, 소변 컨테이너용 라벨지가 1개 있는 경우, 라벨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는 4개의 라벨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라벨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는, 식별된 라벨 정보가 입력된 환자 정보에 매칭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식별된 라벨 정보에 대응되는 검체 체취가 완료된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별된 라벨 정보가 입력된 환자 정보에 매칭되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트레이에 포함된 검체 도구의 라벨정보가 환자와 매칭되는지 다시한번 확인하는 단계이다. 식별된 라벨 정보가 입력된 환자에 매칭되지 않는 경우, 트레이의 식별 정보와 환자 매칭이 잘못된 것이다. 이를 알림으로써 잘못된 검체 체취를 방지한다. 식별된 라벨 정보가 입력된 환자에 매칭되는 경우, 식별된 라벨 정보에 대응하여 검체 체취가 완료된 정보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입려된 환자용 트레이에 포함된 채혈관 3개이고, 소변 컨테이너용 라벨지가 1개 있는 경우를 살펴본다. 병원 관계자는 상기 트레이에서 채혈관 한 개를 꺼내서 라벨 정보를 식별한다. 라벨 정보가 상기 입력된 환자에 매칭되는 경우, 라벨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에서 4개의 검체 중 식별된 라벨 정보에 대응하여 검체가 완료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라벨 식별 정보는 관리서버(110)로 전송될 수 있다.(S240) 관리서버(110)는 환자별로 누락된 검체 체취 및 완료된 검체 체취를 일괄로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장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장치 분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4는 도 1의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시스템에 포함된 트레이 공급장치(1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트레이 공급장치(120)는 채혈관 공급부(210), 트레이 공급부(230), 및 공급장치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트레이 공급장치(120)는 라벨지 공급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공급장치는 입력 및 제어용 디스플레이(240) 구동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채혈관 공급부(210)는 빈 채혈관이 투입되면,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정보에 대응하여 라벨링한 후 배출하는 장비이다.
트레이 공급부(230)는 채혈관 공급부(210)에서 공급된 채혈관을 환자별로 트레이에 분류하는 장비이다.
공급장치 통신부는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관리서버(110)와 통신하는 장비이다. 트레이는 고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트레이의 식별 정보와 환자 정보를 매칭되어 관리서버(110)에 전달될 수 있다. 공급장치 통신부를 통해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의 식별정보를 관리서버(110)에 전달할 수 있다.
라벨지 공급부(220)는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 정보에 대응되는 라벨지를 공급하는 장비이다.
입력 및 제어용 디스플레이(240)는 트레이 공급장치(120)를 제어하는 용도, 트레이 공급장치의 진행 상태를 표시하는 용도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110)를 통해 받은 정보 외 추가로 필요한 환자별 검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용도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장치에 포함된 채혈관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관 공급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장치에 포함된 라벨지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관 공급부(210)는 빈 채혈관이 투입되고, 라벨링하여 공급하는 장비이다. 채혈관 공급부(210)은 무작위로 투입된 빈 채혈관을 하나씩 분리 및 정렬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채혈관 공급부(210)는 채혈관 투입홀(212), 투입홀 분리막(213), 롤러부(215), 및 채혈관 배출홀(216)을 포함한다.
채혈관 투입홀(212)은 사각의 형상을 가지며, 일모서리가 채혈관의 길이 보다 길도록 형성된다.
투입홀 분리막(213)는 채혈관 투입홀을 일방향으로 구분하는 막일 수 있다. 투입홀 분리막(213)은 채혈관이 채혈관 투입홀(212)로 수평 평면 상에서 일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롤러부(215)는 채혈관 투입홀(212)의 하부에 구비되며, 무작위도 들어온 채혈관을 하나씩 채혈관 배출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채혈관 투입홀(212)로 투입된 채혈관은 롤러부(215)로 가이드 되어 모이게 된다. 롤러부(215)는 채혈관이 인입될 수 있는 롤러부 메인 홈(215b)을 포함하고, 롤러부 구동모터(214)로 회전하여 채혈관을 하나씩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롤러부(215)는 투입홀 분리막(213)이 배열된 방향(이하, 일방향)에 따라 배열되고, 롤러부 메인 홈(215b) 역시 상기 일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투입홀 분리막(213)은 수평 평면 상에서 상기 일방향에 수직하게 채혈관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투입홀 분리막(213)은 채혈관이 수직하게 들어오늘 것을 방지할 수 없다.
채혈관이 채혈관 투입홀(212)로 수직하게 들어오는 경우, 롤러부 메인 홈(215b)에 단부가 걸려, 롤러부(215)가 회전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직하게 들어온 채혈관을 상기 일방향으로 누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롤러부(215)는 롤러부 바디(215a), 롤러부 메인 홈(215b), 및 롤러부 서브 홈(215c)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롤러부(215)는 채혈관 걸림 홈(215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러부 바디(215a)는 상기 일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롤러부 구동모터(214)는 롤러부 바디(215a)를 회전시킨다.
롤러부 메인 홈(215b)은 롤러부 바디(215a)의 측면에 상기 입방향을 따라 구비된 홈이다. 롤러부 메인 홈(215b)은 채혈관이 인입될 수 있을 정도의 홈을 형성한다.
롤러부 서브 홈(215c)은 롤러부 바디(215a)의 측면에 사선방향으로 둘러 파여진 홈이다. 수직으로 투입된 채혈관의 단부가 롤러부 서브 홈(215c)에 걸리는 경우 롤러부 바디(215a)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채혈관을 상기 일방향을 따라 누일 수 있다.
롤러부 서브 홈(215c)은 롤러부 메인 홈(215b)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연결되도록 롤러부 바디(215a)의 측면에 사선방향으로 둘러 파여질 수 있다.
채혈관 걸림 홈(215d)은 롤러부 메인 홈(215b)에 인접하여 일방향으로 구비된 홈일 수 있다. 채혈관 걸림 홈(215d)은 채혈관의 단부가 롤러부 메인 홈(215b)으로 유임되는 것을 방지하는 홈이다.
채혈관 배출홀(216)은 롤러부(215) 회전을 통해 하나씩 배출된 채혈관을 배출하는 홀이다.
채혈관 배출홀(216)로 배출된 채혈관은 수직 배열된 후 채혈관 라벨링부(223)에서 라벨링되어 트레이에 공급될 수 있다. 채혈관 수직 고정부(224)는 채혈관을 라벨링하는 동안 채혈관을 수직으로 지지한다. 라벨링이 마쳐진 채혈관은 채혈관 배출 가이드부(225)를 통해 트레이에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벨지 공급부(220)는 라벨지 공급롤(221) 및 라벨지 프린팅부(222)를 포함한다.
라벨지 공급부(220)는 채혈관 라벨링 용도가 아닌 다른 검체 도구에 부탁할 수 있는 라벨지를 공급한다.
라벨지 프린팅부(222)는 라벨지 공급부(220)에서 공급된 라벨지에 환자별 검체 정보를 프린팅한다. 프린팅된 라벨지는 트레이에 공급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부의 트레이 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9은 도 8의 B 영역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부(230)는 트레이 이동부(231) 및 트레이 식별부(232)를 포함한다.
트레이 이동부(231)는 트레이를 이동하는 구성이다. 트레이 이동부(231)는 빈 트레이(300b)를 채혈관 및 라벨지가 공급되는 곳으로 이동한 후, 채워진 트레이(300a)를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구성이다.
트레이 식별부(232)는 트레이에 구비된 고유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구성이다. 트레이 식별 정보는 트레이 하부에 구비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트레이 식별부(232)에서 식별될 수 있다.
트레이 식별부(232)는 채혈관 및 라벨지가 공급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트레이 이동부(231)는 빈 트레이를 트레이 식별부(232)로 이동하고, 트레이의 식별 정보를 확인한다. 식별된 트레이에 특정 환자용 채혈관 및 라벨지를 공급한 후, 트레이 식별 정보와 상기 특정 환자의 정보를 매칭한다.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 식별 정보는 관리서버(110)로 전송된다.
트레이 공급부(230)는 제1 트레이 실장부(233) 및 제2 트레이 실장부(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레이 실장부(233)는 환자별 채혈관이 채워진 트레이(300a)가 적체될 수 있다. 제2 트레이 실장부(234)는 빈 트레이가 적체될 수 있다.
트레이 이동부(231)는 제2 트레이 실장부(234)에서 공급된 빈 트레이(300b)를 트레이 식별부(232)로 이동하여 식별한다. 트레이 이동부(231)는 채혈관 및 라벨지가 채워진 트레이(300a)를 이동하여 제1 트레이 실장부(233)에 적체한다.
트레이 이동부(231)는 트레이 가이드(2311), 가이드 구동부(2312), 및 상하 구동부(2313)를 포함한다.
트레이 가이드(2311)는 트레이의 측면을 감싸는 구성이다. 트레이 식별 정보가 트레이 하부에 구비되어 있어, 트레이 가이드(2311)는 트레이 하부는 감싸지 않는다.
가이드 구동부(2312)는 트레이 가이드(2311)를 이동하는 구동부이다. 가이드 구동부(2312)는 트레이가 제1 트레이 실장부(233), 제2 트레이 실장부, 및 트레이 식별부(232)에 위치할 수 있도록 트레이를 감싸는 트레이 가이드(2311)를 이동한다.
상하 구동부(2313)는 제1 트레이 실장부(233) 하부에 구비되어 트레이를 상하 이동하는 구성이다. 상하 구동부를 통해 환자별 채혈관 및 라벨지가 채워진 트레이가 제1 트레이 실장부(233)에 적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하 구동부(2313)는 제1 트레이 실장부(233) 하부에 위치하여 상하 이동하는 상하 이동 구성(2313a), 및 상하 이동 구성(2313a)를 상하 구동하는 상하 구동 모터(2313b)를 포함한다.
채워진 트레이는 제1 트레이 실장부(233)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하 구동부(2313)가 상승하여 제1 트레이 실장부(233)에 적체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부의 제1 트레이 실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도 8의 C 영역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트레이 실장부(233)는 채혈관 및 라벨지 등이 채워진 트레이가 적체되는 구성이다. 채워진 트레이는 제1 트레이 실장부(233) 하부에서 인입되어 적체된다.
제1 트레이 실장부(233)의 하부로 인입되는 트레이는, 인입은 제한없이 가능하되, 중력에 의해 인출되는 것이 방지되야 한다. 이를 위해 트레이의 구조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트레이(300)는 상부와 하부가 구분되는 단층 구조를 가지고, 상부 둘레(310)가 하부 둘레(320) 보다 넓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트레이 실장부(233)는 제1 지지부(2331), 제1 가이드 홈, 및 제1 센서부(2335)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2331)는 트레이가 적체되는 공간의 양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지지부는 회전축(2332)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하고, 트레이의 단층 구조에 걸려 트레이를 지지한다.
제1 가이드 홈(2333)은 제1 지지부의 회전 각도를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2331)의 돌출부가 제1 가이드 홈(2333)에 삽입되어 회전 각도를 제한된다. 제1 가이드 홈(2333)은 제1 지지부(2331)가 수평 상태에서 상부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는 원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센서부(2335)는 제1 지지부(2331)의 회전을 감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제1 센서부(2335)는 제1 지지부(2331)가 트레이가 삽입될 정도로 충분한 회전을 한 경우 이를 감지하여, 트레이가 추가로 적체됨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센서부(2335)는 하부 제1 센서부(2335a), 및 상부 제1 센서부(233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2331)가 회전하여 하부 제1 센서부(2335a)와 상부 제1 센서부(2335b)가 맞닿는 경우 제1 센서부(2335)는 트레이가 추가로 적체됨을 감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트레이 실장부(233)는 회전축(2332)이 지지되는 측벽(2334)을 트레이가 적체되는 공간의 양 측면에 구비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부의 제2 트레이 실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1은 도 8의 D 영역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트레이 실장부(234)는 빈 트레이가 적체되는 구성이다. 빈 트레이는 하부 방향으로 인출되어 트레이 이동부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
제2 트레이 실장부(234)의 하부로 인출되는 트레이는, 하나씩 인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트레이의 구조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트레이(300)는 상부와 하부가 구분되는 단층 구조를 가지고, 상부 둘레(310)가 하부 둘레(320) 보다 넓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트레이 실장부(234)는 제2 지지부(2341), 회전모터(2346), 및 제2 센서부(2345)를 포함한다.
제2 지지부(2341)는 트레이가 적체되는 공간의 양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지지부는 회전축(2342)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하고, 트레이의 단층 구조에 걸려 트레이를 지지한다.
회전모터(2346)는 회전축(2342)에 연결되어 제2 지지부(2341)를 회전 구동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제2 가이드 홈(2343)은 제2 지지부의 회전 각도를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제2 지지부(2341)의 돌출부가 제2 가이드 홈(2343)에 삽입되어 회전 각도를 제한된다. 제2 가이드 홈(2343)은 제2 지지부(2341)가 수평 상태에서 하부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는 원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센서부(2345)는 제2 지지부(2341)의 회전을 감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제2 센서부(2345)는 제2 지지부(2341)가 트레이가 인출될 정도로 충분한 회전을 한 경우 이를 감지하여, 트레이가 인출됨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센서부(2345)는 하부 제2 센서부(2345a), 및 상부 제2 센서부(234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2341)가 회전하여 하부 제2 센서부(2345a)와 상부 제2 센서부(2325b)가 맞닿는 경우 제2 센서부(2345)는 트레이가 인출됨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트레이 실장부(234)에서 트레이가 하나씩 인출되야 한다. 이를 위해 제2 지지부(2341), 회전모터(2346), 및 제2 센서부(2345)를 상하로 두 쌍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부에 구비된 제2 지지부(2341)는 수평상태로 고정되어, 두번째 층에 위치하는 빈 트레이를 지지한다. 이 상태에서 하부에 구비된 제2 지지부(2341)가 개방되어 첫번째 층에 위치하는 빈 트레이를 트레이 이동부도 공급한다.
이후, 하부에 구비된 제2 지지부(2341)는 수평상태로 고정되어, 빈 트레이가 트레이 이동부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상태에서 상부에 구비된 제2 지지부(2341)가 개방되어 적체된 빈 트레이가 한 층씩 내려올 수 있도록 한다.
제2 트레이 실장부(234)는 회전축(2342)이 지지되는 측벽(2344)을 트레이가 적체되는 공간의 양 측면에 구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운반장치의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2는 도 1의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시스템에 포함된 트레이 공급장치(1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운반장치(130)는 구동부(410), 트레이 거치대(420), 트레이 식별부(430), 운반장치 통신부(미도시), 입력부(442) 및 출력부(440)를 포함한다.
트레이 운반장치(130)는 트레이 공급장치(120)에서 환자별로 필요한 검체 도구 및 라벨지가 분류된 트레이를 운반하는 장치이다.
트레이 운반장치(130)의 구동부(410)는 수동 또는 전동 방식으로 구동할 수 있다. 구동부는 트레이 운반장치(130)의 몸체에 구비될 수 있다. 트레이 운반장치(130)의 몸체에는 수납공간을 포함하고, 빈 채혈관, 종이컵, 소변 컨테이너, 대변 컨테이너 등 다양한 검체 도구가 구비될 수 있다.
트레이 거치대는 트레이 공급장치(120)에서 공급된 트레이가 실장될 수 있다. 트레이 거치대는 구획된 공간을 포함하여 각각의 공간에 트레이가 실장될 수 있다. 구획된 공간은 가로세로로 매트릭스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트레이 식별부(430)는 트레이 거치대에 구비되어 트레이의 식별정보를 확인한다. 트레이 식별부(430)는 트레이 거치대의 구획 공간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트레이 운반장치(130)의 통신부(이하, 운반장치 통신부)는 관리서버(110)로부터 환자별 요구되는 검체 정보 및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환자별로 매칭된 트레이 식별 정보는 트레이 공급장치(12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트레이 운반장치(130)의 출력부(440)는 환자 정보에 대응하여 대응되는 트레이를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440)는 트레이 거치대에서 환자 정보에 매칭되는 트레이가 구비된 구획 공간을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440)는 트레이 거치대(420)의 구획 공간마다 구비되어, 입력 받은 환자 정보에 매칭되는 트레이가 실장된 구획을 표시하는 LED 일 수 있다.
출력부(440) 상기 입력 받은 환자별 요구되는 검체 내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는 입력부(442)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트레이 운반장치(130)의 입력부(442)는 환자 정보를 입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트레이 운반장치(130)의 제어부는 트레이 식별부, 출력부, 및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구동부(410)가 자동인 경우 구동부를 제어하며, 구비된 입력부 및 라벡 식별부를 제어할 수 있다.
트레이 운반장치(130)의 라벨 식별부(450)는 트레이에 구비된 채혈관 및 라벨지의 라벨 정보를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확인된 라벨 정보는 운반장치 통신부를 통해 관리서버(110)로 송신되어 기록될 수 있다.
라벨 식별부(450)가 식별한 라벨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입력 받은 환자 정보에 매칭되는 검체 도구 인지 확인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라벨 식별부(450)가 식별한 라벨 정보와 입력 받은 환자 정보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라벨 식별부(450)에 대응되는 검체 도구에 검체를 체취 하지 않은다. 이는, 트레이 식별 정보와 환자 매칭이 잘못 입력되거나, 다른 검체 도구가 유입된 경우 일 수 있다.
라벨 식별부(450)가 식별한 라벨 정보와 입력 받은 환자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입력 받은 환자에 요구되는 검체 체취 중 라벨 식별부(450)에 대응되는 검체 체취가 수행됨을 관리 서버에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입력된 환자에 대응하여 수행해야 하는 검체 체취 개수 및 종류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입력된 화자에 대응하여 수행해야 하는 검체 체취 개수 및 종류 중에서 수행된 검체 체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수행된 검체 체취는 식별된 라벨 정보에 대응되는 검체 체취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시스템 110: 관리서버
120: 트레이 공급장치 130: 트레이 운반장치
210: 채혈관 공급부 211: 채혈관 투입홀
212: 채혈관 수직 배출부 213: 투입홀 분리막
214: 롤러부 구동모터 215: 롤러부
215a: 롤러부 바디 215b: 롤러부 메인 홈
215c: 롤러부 서브 홈 216: 채혈관 배출홀
220: 라벨지 공급부 221: 라벨지 공급롤
222: 라벨지 프린팅부 223: 채혈관 라벨링부
224: 채혈관 수직 고정부 225: 채혈관 배출 가이드부
230: 트레이 공급부 231: 트레이 이동부
2311: 트레이 가이드 2312: 가이드 구동부
2313: 상하 구동부 2313a: 상하 이동 구성
313b: 상하 구동 모터 232: 트레이 식별부
233: 제1 트레이 실장부 2331: 제1 지지부
2332: 회전축 2333: 제1 가이드 홈
2334: 측벽 2335: 제1 센서부
2335a: 하부 제1 센서부 2335b: 상부 제1 센서부
234: 제2 트레이 실장부 2341: 제2 지지부
2342: 회전축 2343: 제2 가이드 홈
2344: 측벽 2345: 제2 센서부
2345a: 하부 제2 센서부 2345b: 상부 제2 센서부
2346: 회전 모터 240: 제어부
250: 구동부 300: 트레이
410: 구동부 420: 트레이 거치대
430: 트레이 식별부 440: 출력부
441: LED 442: 디스플레이부
450: 라벨 식별부 500: 채혈관

Claims (8)

  1. 환자별 검체 도구가 실장된 트레이를 운반하는 트레이 운반장치에 있어서,
    이동을 위한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트레이가 실장되도록 구획된 공간을 포함하는 트레이 거치대;
    상기 구획된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의 식별정보를 식별하는 트레이 식별부;
    환자별로 요구되는 검체정보 및 환자별로 매칭되는 트레이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운반장치 통신부;
    환자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입력 받은 환자 정보에 매칭되는 트레이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운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트레이 거치대의 구획 공간마다 구비되어, 입력 받은 환자 정보에 매칭되는 트레이가 실장된 구획을 표시하는 LED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운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운반장치는
    상기 검체 도구에 구비된 라벨정보를 스캔하는 라벨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운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운반장치는
    상기 라벨 식별부가 식별한 라벨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라벨 정보에 대응되는 검체 도구가 상기 입력 받은 환자 정보에 매칭되는 검체 도구인지 확인하기 위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운반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운반장치는
    상기 라벨 식별부가 식별한 라벨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입력 받은 환자에 요구되는 검체 체취 중 라벨 정보에 대응회는 검체 체취가 수행된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운반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입력 받은 환자별 요구되는 검체 내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운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입력된 환자에 대응하여 수행해야 하는 검체 체취 개수 및 종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운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입력된 환자에 대응하여 수행해야 하는 검체 체취 개수 및 종류에서 수행된 검체 체취를 출력하고,
    상기 수행된 검체 체취는
    식별된 라벨 정보에 대응되는 검체 체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운반장치.

KR1020230178656A 2023-12-11 2023-12-11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 KR102664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8656A KR102664530B1 (ko) 2023-12-11 2023-12-11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8656A KR102664530B1 (ko) 2023-12-11 2023-12-11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4530B1 true KR102664530B1 (ko) 2024-05-08

Family

ID=91073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8656A KR102664530B1 (ko) 2023-12-11 2023-12-11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453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093B1 (ko) * 2016-06-29 2018-03-08 주식회사 엔티로봇 트레이를 이용하는 제조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재료 공급 방법
KR102347227B1 (ko) * 2021-04-22 2022-01-05 (주)에이티솔루션즈 채혈관용 라벨 부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093B1 (ko) * 2016-06-29 2018-03-08 주식회사 엔티로봇 트레이를 이용하는 제조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재료 공급 방법
KR102347227B1 (ko) * 2021-04-22 2022-01-05 (주)에이티솔루션즈 채혈관용 라벨 부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0944B2 (ja) 検体検査自動化システム
US11754582B2 (en) Automated diagnostic analyzer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JP6687150B2 (ja) 薬剤仕分装置
US9117016B2 (en) Universal label and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filling customer orders of medical items
JP7469729B2 (ja) 薬剤仕分装置、及び、薬剤仕分装置の制御方法
JP4070312B2 (ja) 検体検査システムおよび検体検査方法
US20100030371A1 (en) Pharmacy Will-Call and Prescription Order Article Management System
JP6687149B2 (ja) 薬剤払出装置
US20140162374A1 (en) Method for holding multiple types of diagnostic test consumables in a random access single container
JPS6234564A (ja) 医薬分配装置
KR102664530B1 (ko) 환자별 검체 채취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
JP4362334B2 (ja) 採血管準備装置
JP2007078363A (ja) 検体前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JP4966798B2 (ja) 採血管自動準備装置
CN216323447U (zh) 一种医院耗材自动分拣机
JP2018164861A (ja) 薬品仕分装置および薬品仕分方法
CN113458020A (zh) 一种医院耗材自动分拣方法及其装置
EP4361883A1 (e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onsumables
JPH09192201A (ja) アンプル取揃え方法
JPH095332A (ja) 検体分類用ラ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