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335B1 - 형상 제어형 에너지 분산 백빔 - Google Patents

형상 제어형 에너지 분산 백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335B1
KR102664335B1 KR1020190092986A KR20190092986A KR102664335B1 KR 102664335 B1 KR102664335 B1 KR 102664335B1 KR 1020190092986 A KR1020190092986 A KR 1020190092986A KR 20190092986 A KR20190092986 A KR 20190092986A KR 102664335 B1 KR102664335 B1 KR 102664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tion
main beam
shape
energy dispersion
coll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4921A (ko
Inventor
강승규
이승현
최대현
류성웅
최종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2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335B1/ko
Publication of KR20210014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3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destroyed upon impact, e.g. one-sho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4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formed from more than one section in a side-by-side arrangement
    • B60R19/14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formed from more than one section in a side-by-side arrangement having fold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52Radiator or grille guards ; Radiator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52Radiator or grille guards ; Radiator grilles
    • B60R2019/525Radiator gril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상 제어형 에너지 분산 백빔에 관한 것으로, 프런트 앤드 캐리어와 연결되는 메인빔과, 메인빔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1개씩 장착된 팽창구조물을 포함하며, 팽창구조물은, 외부 충돌에 의해 형상이 변형돼 메인빔의 충돌 면적을 증대시키고, 에너지를 흡수하며, 에너지를 분산시켜 크러쉬 박스로의 에너지 집중을 방지하는, 형상 제어형 에너지 분산 백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형상 제어형 에너지 분산 백빔{shape control type energy dispersion back beam}
본 발명은 형상 제어형 에너지 분산 백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돌 시 형상이 변형됨으로서 충돌 면적이 증대되는 형상 제어형 에너지 분산 백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의 프론트 앤드 모듈은 범퍼 외형을 이루는 프론트 범퍼 커버, 프론트 범퍼 커버 내측에 위치하는 백빔을 포함한다. 프론트 범퍼 커버와 백빔 사이에는 충격흡수를 위한 옵저빙폼이 장착되고 있다.
공력 향상을 위해서 프론트 범퍼 커버는 라운드 진 형상으로 제작되고 있고, 프론트 범퍼 커버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헤드램프가 장착되야 하므로, 백빔의 길이는 프론트 범퍼 커버의 길이보다 짧게 제작된다. 백빔은 프론트 범퍼 커버에 근접하게 장착되므로, 옵저빙폼이 장착되는 공간도 매우 제한적이다. 이에 따라, 옵저빙폼의 길이도 백빔의 길이에 비해 짧다.
한편, EuroNCAP(the european new car assessment programme; 유럽 신차 평가 프로그램)에는, MPDB(mobile Progressive Deformable Barrier; 모바일 프로그레시브 변형 가능 장벽) 상호 안전성 평가 수행 항목이 포함될 예정이다.
MPDB 상호 안전성 평가는, 차량 전면을 50 대 50으로 나누고, 나눠진 좌측 전면 또는 우측 전면과 1388Kg의 베리어를 충돌시킨다. 이때, 차량과 베리어는 각각 50kph의 속도로 이동한다. 충돌 후, 배리어의 변형 형상에 따라 평가가 이뤄진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백빔은 프론트 범퍼 커버에 비해 짧게 제작되고, 옵저빙폼 또한 백빔에 비해 짧게 제작된다. 특히, 백빔 길이방향 양측에는 백빔과 프론트 앤드 캐리어를 연결하는 크러쉬 박스가 위치된다.
따라서, 프론트 앤드 모듈이 장착된 승용차의 MPDB 상호 안전성 평가시, 좌측 전면 또는 우측 전면이 베리어와 충돌하게 될 경우, 옵저빙폼 및 백빔에 의한 충격흡수 면적은 제한되고, 크러쉬 박스에 충격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1418호(2011.05.18.)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해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충돌 시 형상이 변형됨으로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함과 동시에 충격흡수 면적을 증대시키고, 크러쉬 박스에 집중되는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는, 형상 제어형 에너지 분산 백빔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형상 제어형 에너지 분산 백빔은, 프런트 앤드 캐리어와 연결되는 메인빔과, 메인빔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1개씩 장착된 팽창구조물을 포함하며, 팽창구조물은, 외부 충돌에 의해 형상이 변형돼 메인빔의 충돌 면적을 증대시킨다.
또한, 팽창구조물은, 일면이 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을 향하도록 메인빔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1 플레이트부와, 일면이 메인빔의 전방을 향하도록 제1 플레이트부로부터 연장된 제2 플레이트부와, 일면이 지면을 향하도록 제2 플레이트부로부터 메인빔을 향해 연장된 제3 플레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부와 제2 플레이트부의 경계지점, 제2 플레이트부와 제3 플레이트부의 경계지점에는 충돌시 펴짐을 유도하는 펴짐유도라인이 형성되고, 제1 플레이트부, 제3 플레이트부에는 충돌시 접힘을 유도하는 1개 이상의 접힘유도라인이 펴짐유도라인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부, 제2 플레이트부, 제3 플레이트부의 측부에는 플랜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플랜지 중에서 펴짐유도라인, 접힘유도라인의 단부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각각 노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부, 제3 플레이트부에는, 비드가 1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비드는, 메인빔의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부, 제3 플레이트부의 단부는 메인빔에 용접될 수 있다.
또한, 팽창구조물은, 충돌 후에 펴짐유도라인을 기준으로 제1 플레이트부와 제2 플레이트부의 경계지점, 상기 제2 플레이트부와 제3 플레이트부의 경계지점이 펴짐으로써 제1 플레이트부와 제2 플레이트부가 이루는 각도, 제3 플레이트부와 제2 플레이트부가 이루는 각도가 충돌 전 보다 증가하도록 변형되고, 접힘유도라인을 기준으로 제1 플레이트부와 제3 플레이트부가 접혀져 제1 플레이트부와 제3 플레이트부가 접혀진 형태가 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또한, 프런트 그릴 후면에 위치될 수 있도록 메인빔의 전면 중심에 옵저빙폼이 장착되고, 옵저빙폼의 양측에 각각 팽창구조물이 위치되며, 메인빔의 후면 길이방향 양측에 프런트 앤드 캐리어와 결합되는 크러쉬 박스가 각각 1개씩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크러쉬 박스는 메인빔의 단부와 중첩되고, 팽창구조물은 메인빔의 단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형상 제어형 에너지 분산 백빔은, 충돌시 팽창구조물이 형태 변형하게 되므로, 에너지가 흡수되고, 충돌면적이 증대된다.
특히, 팽창구조물은, 충돌 시에 접힘유도라인을 따라 제1 플레이트부, 제3 플레이트부가 접히면서 에너지를 흡수하고, 펴짐유도라인을 따라 제1 플레이트부, 제2 플레이트부, 제3 플레이트부들 간의 경계지점이 펴지면서, 메인빔의 충돌면적을 증대시킨다. 그리고, 팽창구조물에 의해서 에너지가 흡수되고, 메인빔의 충돌면적이 증대되므로, 크러쉬 박스에 에너지가 집중되지 않고 팽창구조물, 메인빔, 크러쉬 박스 등으로 분산된다.
또한, 팽창구조물에 비드, 플랜지 및 노치가 구비됨에 따라, 펴짐유도라인과, 접힘유도라인을 제외한 다른 부위의 강성은 증대된다.
또한, 펴짐유도라인, 접힘유도라인 및 노치의 위치 조절에 의해 팽창구조물의 변형 형태 및 변형량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보행자가 차량에 충돌할 경우에도, 팽창구조물이 변형됨으로써, 보행자에게 발생되는 충격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형상 제어형 에너지 분산 백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형상 제어형 에너지 분산 백빔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형상 제어형 에너지 분산 백빔의 저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도 1의 형상 제어형 에너지 분산 백빔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형상 제어형 에너지 분산 백빔이 프론트 앤드 모듈에 장착된 상태도이다.
도 8은 MPDB 상호 안전성 평가를 수행한 백빔의 상태도 및 베리어의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형상 제어형 에너지 분산 백빔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형상 제어형 에너지 분산 백빔은, 프런트 앤드 캐리어(C)와 연결되는 메인빔(100)과, 메인빔(100)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1개씩 장착된 팽창구조물(200)을 포함한다. 팽창구조물(200)은, 외부 충돌에 의해 형상이 변형돼 메인빔(100)의 충돌 면적을 증대시킨다. 그리고, 팽창구조물(200)은 외부 충돌에 의해 형상이 변형돼 에너지를 흡수한다.
팽창구조물(200)은, 일면이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메인빔(100)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1 플레이트부(210)와, 일면이 메인빔(100)의 전방을 향하도록 제1 플레이트부(210)로부터 연장된 제2 플레이트부(220)와, 일면이 지면을 향하도록 제2 플레이트부(220)로부터 메인빔(100)을 향해 연장된 제3 플레이트부(230)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부(210)와 제2 플레이트부(220)의 경계지점(B1), 제2 플레이트부(220)와 제3 플레이트부(230)의 경계지점(B2)에는 충돌시 펴짐을 유도하는 펴짐유도라인(L1)이 형성된다. 제1 플레이트부(210), 제3 플레이트부(230)에는 충돌시 접힘을 유도하는 1개 이상의 접힘유도라인(L2)이 펴짐유도라인(L1)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제1 플레이트부(210), 제2 플레이트부(220), 제3 플레이트부(230)의 측부에는 플랜지(240)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플랜지(240) 중에서 펴짐유도라인(L1), 접힘유도라인(L2)의 단부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각각 노치(241)가 형성된다. 제1 플레이트부(210), 제3 플레이트부(230)에는, 비드(250)가 1개 이상 형성된다. 비드(250)는, 메인빔(100)의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플레이트부(210) 및 제3 플레이트부(230)의 단부는 메인빔(100)에 이산화탄소 용접된다. 플랜지(240)와 비드(250)에 의해 제1 플레이트부(210) 내지 제3 플레이트부(230)의 강성이 증대된다. 노치(241)에 의해서 펴짐유도라인(L1)과 접힘유도라인(L2)의 강성은, 노치(241)가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 비해 낮아진다. 노치(241)와 플랜지(240)의 형태를 조절함으로써, 팽창구조물(200)의 변형을 제어할 수 있다.
팽창구조물(200)은, 충돌 후에 펴짐유도라인(L1)을 기준으로 제1 플레이트부(210)와 제2 플레이트부(220)의 경계지점(B1), 제2 플레이트부(220)와 제3 플레이트부(230)의 경계지점(B2)이 펴짐으로써 제1 플레이트부(210)와 제2 플레이트부(220)가 이루는 각도, 제3 플레이트부(230)와 제2 플레이트부(220)가 이루는 각도가 충돌 전 보다 증가하도록 변형된다. 그리고, 팽창구조물(200)은, 충돌 후에 접힘유도라인(L2)을 기준으로 제1 플레이트부(210)와 제3 플레이트부(230)가 접혀 제1 플레이트부(210)와 제3 플레이트부(230)가 접힌 형태가 되도록 변형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 그릴 후면에 위치될 수 있도록 메인빔(100)의 전면 중심에 옵저빙폼(absorbing form; 300)이 장착된다. 옵저빙폼(300)의 양측에 각각 팽창구조물(200)이 위치된다. 메인빔(100)의 후면 길이방향 양측에 프런트 앤드 캐리어(C)와 결합되는 크러쉬 박스(400)가 각각 1개씩 장착된다.
크러쉬 박스(400)는 메인빔(100)의 단부와 중첩된다. 팽창구조물(200)은 메인빔(100)의 단부로부터 이격된다. 프런트 앤드 모듈의 중심을 0이라하고 프런트 범퍼 커버의 라운딩(곡률)이 시작되는 지점을 60이라 하고, 메인빔(100)의 좌측단부를 100이라 했을 때, 0부터 60 구간에 메인빔(100)과 옵저빙폼(300)이 중첩된 상태로 위치된다. 옵저빙폼(300)은 프런트 범퍼 커버 또는 전면그릴과 근접하게 되므로 팽창구조물(200)이 0부터 60구간에 장착되기 어렵다.
60부터 100 구간은 좌측 전면 충돌시에 크러쉬 박스(400)로 에너지가 전달되는 로드패스(load path)로 활용될 수 있다. 60부터 100 구간에 팽창구조물(200)이 위치될 경우, 크러쉬 박스(400)로 전달되는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고, 충돌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러나, 프런트 범퍼 커버의 곡률이 80부터 100구간에서 급격하게 변형되므로, 팽창구조물(200)이 장착될 공간적 여유가 적다. 이러한 점을 감안해 60부터 80구간에 팽창구조물(200)이 위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60부터 80 구간에 팽창구조물(200)이 위치될 경우, 팽창구조물(200)의 전방 돌출 길이가 최대화되며, 프런트 범퍼 커버, 팽창구조물(200), 백빔, 크러쉬 박스(400)로 연계되는 로드패스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다.
도 8에는 MPDB 상호 안전성 평가를 수행한 백빔 및 베리어가 도시되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러쉬 박스(400)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로드패스에 해당하는 백빔 단부의 면적이 큰 경우(Case B)가, 크러쉬 박스(400)가 백빔 단부에 중첩되는 경우(Case A)에 비해 백빔 변형량은 감소하였고, 베리어를 침입한 정도(Case A: 700mm; Case B: 500mm)도 작은 것을 알수 있다.
즉, 백빔 중 로드패스에 해당하는 부위의 넓이가 더 클 경우, 좌측 전면 충돌시에 에너지 감소량이 더 큰 것을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위 기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메인빔(100) 전면에 팽창구조물(200)이 장착됨으로써, 메인빔(100)의 외형을 변경하지 않더라도, 좌측 전면 충돌 시 로드패스에 해당하는 부위의 충돌면적을 더 넓힐 수 있고, 크러쉬 박스(400), 메인빔(100), 충돌 물체에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형상 제어형 에너지 분산 백빔은, 충돌시 팽창구조물(200)이 형태 변형하게 되므로, 에너지가 흡수되고, 충돌면적이 증대된다.
특히, 팽창구조물(200)은, 충돌 시에 접힘유도라인(L2)을 따라 제1 플레이트부(210), 제3 플레이트부(230)가 접히면서 에너지를 흡수하고, 펴짐유도라인(L1)을 따라 제1 플레이트부(210), 제2 플레이트부(220), 제3 플레이트부(230)들 간의 경계지점(B1, B2)이 펴지면서, 로드패스에 해당하는 메인빔(100)의 충돌면적을 증대시킨다. 그리고, 팽창구조물(200)에 의해서 에너지가 흡수되고, 메인빔(100)의 충돌면적이 증대되므로, 크러쉬 박스(400)에 에너지가 집중되지 않고 팽창구조물(200), 메인빔(100), 크러쉬 박스(400) 등으로 분산된다.
또한, 팽창구조물(200)에 비드(250), 플랜지(240) 및 노치(241)가 구비됨에 따라, 펴짐유도라인(L1)과, 접힘유도라인(L2)을 제외한 다른 부위의 강성은 증대된다.
또한, 펴짐유도라인(L1), 접힘유도라인(L2) 및 노치(241)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팽창구조물(200)의 변형 형태 및 변형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보행자가 차량에 충돌할 경우에도, 팽창구조물(200)이 변형됨으로써, 보행자에게 발생되는 충격이 감소될 수 있다.
100: 메인빔 200: 팽창구조물
210: 제1 플레이트부 220: 제2 플레이트부
230: 제3 플레이트부 240: 플랜지
241: 노치 250: 비드
300: 옵저빙폼 400: 크러쉬 박스
B1: 경계지점 B2: 경계지점
C: 프런트 앤드 캐리어 L1: 펴짐유도라인
L2: 접힘유도라인

Claims (10)

  1. 프런트 앤드 캐리어와 연결되는 메인빔;
    상기 메인빔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1개씩 장착된 팽창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팽창구조물은, 외부 충돌에 의해 형상이 변형돼 상기 메인빔의 충돌 면적을 증대시키도록 되고,
    상기 팽창구조물은,
    일면이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메인빔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1 플레이트부;
    일면이 상기 메인빔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부로부터 연장된 제2 플레이트부;
    일면이 지면을 향하도록 상기 제2 플레이트부로부터 상기 메인빔을 향해 연장된 제3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경계지점, 상기 제2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3 플레이트부의 경계지점에는 충돌시 펴짐을 유도하는 펴짐유도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부, 상기 제3 플레이트부에는 충돌시 접힘을 유도하는 1개 이상의 접힘유도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부, 상기 제2 플레이트부, 상기 제3 플레이트부의 측부에는 플랜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 중에서 상기 펴짐유도라인, 상기 접힘유도라인의 단부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각각 노치가 형성된 형상 제어형 에너지 분산 백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유도라인이 상기 펴짐유도라인과 평행하게 형성된 형상 제어형 에너지 분산 백빔.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부, 상기 제3 플레이트부에는, 비드가 1개 이상 형성된 형상 제어형 에너지 분산 백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상기 메인빔의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형성된 형상 제어형 에너지 분산 백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부, 상기 제3 플레이트부의 단부는 상기 메인빔에 용접된 형상 제어형 에너지 분산 백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구조물은,
    충돌 후에 상기 펴짐유도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경계지점, 상기 제2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3 플레이트부의 경계지점이 펴짐으로써 상기 제1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 플레이트부가 이루는 각도, 상기 제3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 플레이트부가 이루는 각도가 충돌 전 보다 증가하도록 변형되고,
    상기 접힘유도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3 플레이트부가 접혀져 상기 제1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3 플레이트부가 접혀진 형태가 되도록 변형되는 형상 제어형 에너지 분산 백빔.
  9. 제1항에 있어서,
    프런트 그릴 후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빔의 전면 중심에 옵저빙폼이 장착되고,
    상기 옵저빙폼의 양측에 각각 상기 팽창구조물이 위치되며,
    상기 메인빔의 후면 길이방향 양측에 프런트 앤드 캐리어와 결합되는 크러쉬 박스가 각각 1개씩 장착된 형상 제어형 에너지 분산 백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크러쉬 박스는 상기 메인빔의 단부와 중첩되고,
    상기 팽창구조물은 상기 메인빔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형상 제어형 에너지 분산 백빔.
KR1020190092986A 2019-07-31 2019-07-31 형상 제어형 에너지 분산 백빔 KR102664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986A KR102664335B1 (ko) 2019-07-31 2019-07-31 형상 제어형 에너지 분산 백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986A KR102664335B1 (ko) 2019-07-31 2019-07-31 형상 제어형 에너지 분산 백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921A KR20210014921A (ko) 2021-02-10
KR102664335B1 true KR102664335B1 (ko) 2024-05-09

Family

ID=74561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986A KR102664335B1 (ko) 2019-07-31 2019-07-31 형상 제어형 에너지 분산 백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43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0909A (ja) 2002-01-31 2003-08-05 Om Kogyo Kk バンパ補強材
JP2004322876A (ja) * 2003-04-25 2004-11-18 Toyota Motor Corp 車体のバンパ構造
JP2010126067A (ja) 2008-11-28 2010-06-10 Toyota Motor Corp 衝撃吸収部材
JP2012062012A (ja) 2010-09-17 2012-03-29 Honda Motor Co Ltd 車体前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052B1 (ko) * 2008-08-26 2011-01-0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범퍼빔 유닛
KR101063397B1 (ko) 2009-11-10 2011-09-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너지 업서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0909A (ja) 2002-01-31 2003-08-05 Om Kogyo Kk バンパ補強材
JP2004322876A (ja) * 2003-04-25 2004-11-18 Toyota Motor Corp 車体のバンパ構造
JP2010126067A (ja) 2008-11-28 2010-06-10 Toyota Motor Corp 衝撃吸収部材
JP2012062012A (ja) 2010-09-17 2012-03-29 Honda Motor Co Ltd 車体前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921A (ko) 202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8752B1 (ko) 스몰 오버랩 충돌대응 차체보강구조
US9010844B2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KR101448745B1 (ko)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KR20140030763A (ko)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JP5249723B2 (ja) 車両用バンパ構造
JP5969417B2 (ja) 車体前部構造
US8651559B2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KR20140074771A (ko) 차량용 전방 충돌 충격흡수장치
WO2012099020A1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KR20120119138A (ko) 범퍼 에어백 장치
KR102371239B1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KR102664335B1 (ko) 형상 제어형 에너지 분산 백빔
JP2013220766A (ja) 自動車の前部構造
CN213262277U (zh) 一种防撞系统及车辆
JP6444824B2 (ja) バンパアブソーバ
US7484780B2 (en) Bumper beam for automobile
JP4374903B2 (ja) 車両における衝撃吸収構造
JP2005022598A (ja) バンパ装置
KR101393550B1 (ko) 전방 차체 구조
KR101252206B1 (ko) 도어 임팩트 빔 마운팅용 빔브라켓
CN110001561A (zh) 用于车辆的前保险杠组件支撑结构
CN114347933B (zh) 车辆的前保险杠以及具备该前保险杠的车身结构
JP2014184811A (ja) 車体前部構造
JP4266757B2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KR102394579B1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