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121B1 - 차량의 보행자 경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보행자 경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121B1
KR102664121B1 KR1020190099351A KR20190099351A KR102664121B1 KR 102664121 B1 KR102664121 B1 KR 102664121B1 KR 1020190099351 A KR1020190099351 A KR 1020190099351A KR 20190099351 A KR20190099351 A KR 20190099351A KR 102664121 B1 KR102664121 B1 KR 102664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ubwoofer
screen
warning device
pedestrian w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0291A (ko
Inventor
최영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9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121B1/ko
Publication of KR20210020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for signaling silent vehicles, e.g. for warning that a hybrid or electric vehicle is approa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5Special conditions, e.g. pedestrians, road signs or potential d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1Noise generation, e.g. drive noise to warn pedestrians that an electric vehicle is approa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보행자 경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친환경 차량에서 보행자에게 차량의 접근을 인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가청 주파수 범위 밖의 저음 주파수를 출력하는 서브우퍼, 차량의 하부 플로워 판넬에 형성된 개구부를 오픈시키거나 닫히도록 구동되는 가림막 및 제어신호에 따라 가림막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보행자 경보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alarming pedestrian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보행자 경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친환경 차량에서 보행자에게 차량의 접근을 인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운전자는 물론 주변의 보행자에게 일정부분 불쾌감을 줄 수 있다. 이에, 차량의 주행 중 발생되는 소음은 차단해야 할 대상으로 판단되어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최근 자동차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화석연료와 배터리를 모두 이용하여 주행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 및 배터리로 주행하는 전기차 등과 같이 엔진소리를 내지 않는 친환경 차량이 등장하였다.
친환경 차량의 경우, 모터만으로 주행할 때에는 엔진이 구동될 때와 대비하여 엔진의 구동음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보행자가 자동차의 접근을 인지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친환경 차량이 보행자에게 접근할 경우 엔진 소음이 작아서 보행자가 쉽게 알아차리지 못하므로 보행자와의 추돌 등 안전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다. 이로 인해, 친환경 차량에 소음 발생 장치의 장착이 의무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와 같은 상황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Virtual Engine Sound System)을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사운드 발생 시스템은 가상의 엔진음과 경고음을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여 보행자들이 자동차의 접근을 쉽게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그러나, 엔진 사운드 시스템을 필요 이상 자주 사용하거나 음량을 크게 내면 보행자와 상관없는 주변까지 소음 피해를 야기할 우려가 있다. 또한, 가상 엔진음을 저소음 상태로 재생하는 경우, 보행자가 이어폰을 사용하여 경고음을 듣지 못하는 경우나, 휴대용 스마트 기기에 집중하는 경우 또는 청각적 인식이 어려운 보행자(예를 들면, 노약자, 청각 장애인 등)가 차량의 접근을 미처 인식하지 못하여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친환경 차량의 운행시 노면에 진동을 주는 방식으로 보행자에게 차량의 접근을 인지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해당 지역의 특정 범위 내에 있는 다수의 차량 중 한대의 차량만 노면 진동을 발생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경보 장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가청 주파수 범위 밖의 저음 주파수를 출력하는 서브우퍼; 차량의 하부 플로워 판넬에 형성된 개구부를 오픈시키거나 닫히도록 구동되는 가림막; 및 제어신호에 따라 가림막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제어신호의 활성화시 가림막의 이동에 따라 개구부가 오픈되어, 서브우퍼의 저음 주파수가 개구부를 통해 노면에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경보 방법은, 차량의 위치가 특정 구역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차량의 위치가 특정 구역 내에 있는 경우 가림막을 열림 상태로 제어하여 차량의 플로워 판넬의 개구부를 노출시키는 단계; 및 서브우퍼의 저음 주파수를 개구부를 통해 노면에 전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 접근에 대한 보행자의 인지력을 향상시키고 보행자의 불편함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를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경보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경보 장치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경보 방법의 흐름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경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경보 장치는, 제어기(100), 외장앰프(200), 서브우퍼(Subwoofer)(300), 전동모터(400), 구동부(500), 가림막(600) 및 통신부(700)를 포함한다.
제어기(100)는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가 보행자 보호 구역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보행자 보호 구역은 스쿨존, 어린이 보호 지역, 사고 다발지역, 노인 보호 구역(양로원, 경로당, 노인복지시설 등 노인들의 통행량이 많은 구역)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제어기(100)는 차량의 위치가 보행자 보호 구역 내에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서브우퍼(300)를 구동하기 위한 외장앰프(200)를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기(100)는 차량의 위치가 보행자 보호 구역 내에 있는 경우, 외장앰프(200)를 동작시킨다. 반면에, 제어기(100)는 차량의 위치가 보행자 보호 구역 외에 있는 경우, 외장앰프(200)를 동작시키지 않는다.
제어기(100)는 차량의 위치가 보행자 보호 구역 내에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가림막(600)을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기(100)는 차량의 위치가 보행자 보호 구역 내에 있는 경우, 제어신호를 활성화시켜 가림막(600)을 열림 상태로 제어한다. 반면에, 제어기(100)는 차량의 위치가 보행자 보호 구역 외에 있는 경우, 제어신호를 비활성화시켜 가림막(600)을 닫힘 상태로 제어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기(100)는 노면에 진동이 전달되는 범위(사전 설정될 수 있음) 내에 보행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기(100)는 통신부(7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여 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기(100)는 통신부(7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여 외장앰프(200)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기(100)는 통신부(700)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00)는 네비게이션 지도 정보를 활용하여 차량이 위치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00)는 차량이 진입, 출입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제어신호를 제어하거나, 외장앰프(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기(100)의 예로는 무선 통신 모듈을 장착한 오디오 비디오 네비게이션(AVN; Audio/Video/Navigation) 제어기나 텔레매틱스 제어기 등을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장앰프(200)는 차량의 특정 위치에 구비되어 제어기(100)의 제어에 따라 서브우퍼(300)의 재생 동작을 제어한다. 해당 차량(자차)이 보행자 보호 구역 내에 있는 경우 제어기(100)의 제어에 따라 외장앰프(200)가 동작하게 된다. 해당 차량이 보행자 보호 구역 내에 있는 경우, 외장앰프(200)는 서브우퍼(300)의 저음 주파수를 최대치로 조정한다.
서브우퍼(300)는 초 저음역대 주파수를 전문적으로 재생하는 저음 재생 전용 스피커이다. 이러한 서브우퍼(300)는 외장앰프(200)의 제어에 따라 가청 주파수 범위 밖의 저음 주파수를 재생하여 노면에 진동을 전달한다. 해당 차량이 보행자 보호 구역 내에 있는 경우 외장앰프(200)의 제어에 따라 서브우퍼(300)가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브우퍼(300)는 차량의 시트 하단 또는 플로워 판넬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우퍼(300)의 위치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차량 내부에서 노면과 가까운 위치 어느 곳이든 장착될 수 있다.
전동 모터(400)는 제어기(1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전동기이다. 전동 모터(400)는 제어신호가 활성화되는 경우 모터가 구동 상태가 된다.
구동부(500)는 전동 모터(40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가림막(600)의 개폐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동부(500)는 전동 레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부(500)는 전동 모터(400)의 구동에 따라 전동 레일이 좌우로 이동하여 가림막(60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가림막(600)은 차량의 플로워 판넬에 위치한 개구부(후술함)를 가리는 판넬이다. 이러한 가림막(600)은 구동부(500)의 제어에 따라 판넬이 좌우로 이동하여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예를 들어, 해당 차량이 보행자 보호 구역 내에 있는 경우 구동부(500)의 구동에 따라 가림막(600)이 오픈될 수 있다. 반면에, 해당 차량이 보행자 보호 구역 외에 있는 경우 구동부(500)의 구동에 따라 가림막(600)이 닫힘 상태가 될 수 있다.
통신부(700)는 차량간의 무선 통신을 통해 타 차량의 동작 상태를 송수신한다. 즉, 통신부(700)는 타 차량에서 서브우퍼(300)에 대한 노면 진동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기(100)에 전달한다.
노면의 진동이 다수의 차량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보행자가 차량의 접근에 대한 인식률이 떨어질 수 있고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이에, 해당 차량이 위치한 지역의 특정 범위 내에서 해당 지역을 통과하고 있는 다수의 차량 중 한대의 차량만 노면 진동을 발생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통신부(700)를 통해 타 차량에서 노면 진동이 발생했다는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차량에서 서브우퍼(300)의 동작을 중지하고, 가림막(600)을 오픈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부(700)는 V2X(Vehicle to Everything) 인터페이스를 통해 주변의 타 차량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700)는 텔레메틱스 모듈을 통해 관제 서버(미도시)와 무선 통신하여 정보를 공유할 수도 있다.
여기서, V2X는 도로상의 차량에 적용 가능한 모든 형태의 통신 기술을 의미하며, 차량간 통신(Vehicle-to-Vehicle, V2V), 차량과 인프라간 통신(Vehicle-to-Infra, V2I), 차량과 모바일 기기가 통신(Vehicle-to- Nomadic Devices, V2N)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어기(100)에서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여, 차량이 보행자 보호 구역 내에 있는 경우, 서브 우퍼(300)를 구동시키고, 구동부(500)를 통해 가림막(600)을 오픈 시켜 서브우퍼(300)로부터의 진동이 노면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행자에게 차량의 접근을 인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의 위치가 보행자 보호 구역에 속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저음 주파수를 노면에 전달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상황에서 저음 주파수를 노면에 전달하여 보행자에게 경보를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행자가 차량에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저음 주파수를 노면에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영상 등을 통해 보행자의 거동을 분석한 결과, 차량을 인식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저음 주파수를 노면에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영상 등을 통해 보행자의 상태를 분석한 결과, 이어폰/헤드셋 등을 착용하여 가상 엔진음을 듣지 못할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 저음 주파수를 노면에 전달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경보 장치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도 1의 구성요소 중 서브우퍼(300), 구동부(500) 및 가림막(600)의 구성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우퍼(300)는 차량의 시트(10) 하단에서 플로워 판넬(700)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우퍼(300)는 차량의 내부에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저음 주파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트(10)의 하부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우퍼(300)는 운전석의 시트뿐만 아니라, 전 좌석의 시트(10) 하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플로워 판넬(700)은 차량 샤시의 바닥면 언더 바디를 나타낸다. 플로워 판넬(700)은 판넬 면이 오픈된 개구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플로워 판넬(700)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플로워 판넬(700)의 상세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구동부(500)는 플로워 판넬(700) 바닥면의 상측, 즉, 서브우퍼(30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500)는 한 쌍의 전동 레일(500a,500b)로 구현될 수 있다.
가림막(600)은 한 쌍의 전동 레일(500a,500b)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가림막(600)은 한 쌍의 판넬(600a,600b)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쌍의 판넬(600a,600b)은 한 쌍의 전동 레일(500a,500b)과 연동하여 개폐 동작이 제어된다.
예를 들어, 제어기(100)에서 해당 차량의 위치가 보행자 보호 구역 내에 있다는 것을 판단한다. 그러면, 제어기(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동 모터(400)가 구동된다.
전동 모터(400)의 구동시 한 쌍의 전동 레일(500a,500b)이 각각 좌측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전동 레일(500a,500b)의 동작시 한 쌍의 판넬(600a,600b)이 각각 좌측 우측으로 이동한다.
즉, 전동 레일(500a)의 동작시 좌측 판넬(600a)이 좌측으로 이동하고, 전동 레일(500b)의 동작시 우측 판넬(600b)이 우측으로 이동한다. 한 쌍의 판넬(600a,600b)이 전동 레일(500a,500b)을 따라 양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개구부(710)가 노출되어 서브우퍼(300)의 진동이 노면으로 전달되는 경로가 형성된다.
그러면, 서브우퍼(300)의 저음 주파수가 재생하면서 발생하는 진동이 플로워 판넬(700)의 개구부(710)를 통해 노면에 전달된다. 보행자는 노면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통해 차량의 접근을 인식하게 된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경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기(100)는 해당 차량(자차)의 위치를 확인한다.(단계 S1) 제어기(100)는 확인된 해당 차량의 위치가 보행자 보호 구역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
제어기(100)는 해당 차량의 위치가 보행자 보호 구역 내에 있다고 판단되면, 통신부(700)로부터 수신된 타 차량의 정보를 판단한다. 즉, 제어기(100)는 통신부(7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지역 내에서 운행 중인 타 차량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기(100)는 해당 지역 내에서 운행 중인 타 차량이 있는 경우, 타 차량에서 보행자 경보 장치의 기능이 사용되어 노면 진동이 발생하는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
만약, 타 차량에서 노면 진동이 발생하는 중인 경우, 제어기(100)는 제어신호를 비활성화시키고 서브우퍼(300)를 동작시키지 않는다. 반면에, 타 차량에서 노면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제어기(100)는 제어신호를 활성화시키고 서브우퍼(300)를 동작시킨다.
이어서, 전동 모터(400)는 제어신호가 활성화되면 구동부(500)의 전동 레일(500a,500b)을 동작시킨다. 전동 레일(500a,500b)이 구동되면, 가림막(600)의 판넬(600a,600b)이 각각 좌측 우측으로 이동하여 열림 상태가 된다.(단계 S4)
가림막(600)이 열림 상태가 되면, 플로워 판넬(700)의 개구부(710)가 노출된다. 이에 따라, 서브우퍼(300)의 진동이 개구부(710)를 통해 노면에 전달된다.
그리고, 제어기(100)는 외장앰프(200)의 저음 주파수를 최대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5) 그러면, 개구부(710)가 열린 상태에서 서브우퍼(300)의 진동이 최대치가 되어 노면에 전달될 수 있다.
이후에, 제어기(100)는 해당 차량의 위치를 다시 확인하여, 차량의 위치가 보행자 보호 구역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
만약, 차량이 보행자 보호 구역 내에 머물러 있다면, 개구부(710)를 통해 서브우퍼(300)의 진동을 노면에 계속 전달한다. 반면에, 차량이 보행자 보호 구역 내에 있지 않으면, 즉, 보행자 보호 구역을 벗어나면, 제어기(100)는 외장앰프(200)의 저음 주파수의 출력을 중단하고, 서브우퍼(300)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그리고, 제어기(100)는 제어신호를 비활성화시킨다. 그러면, 전동 모터(400)가 동작을 중지하고, 구동부(500)가 가림막(600)을 닫힘 상태로 제어한다.(단계 S7) 이에 따라, 전동 레일(500a,500b)과 판넬(600a,600b)이 모두 닫힘 상태가 되어 더 이상 서브우퍼(300)의 진동이 노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가청 주파수 범위 밖의 저음 주파수를 출력하는 서브우퍼;
    차량의 하부 플로워 판넬에 형성된 개구부를 오픈시키거나 닫히도록 구동되는 가림막;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가림막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신호의 활성화시 상기 가림막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개구부가 오픈되어, 상기 서브우퍼의 상기 저음 주파수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면에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보행자 경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차량이 특정 구역 내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보행자 경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량이 상기 특정 구역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활성화시켜 상기 가림막을 열림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특정 구역 외에 있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비활성화시켜 상기 가림막을 닫힘 상태로 제어하는 차량의 보행자 경보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노면에 진동이 전달되는 범위 내에 상기 보행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의 보행자 경보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오디오 비디오 네비게이션을 포함하는 차량의 보행자 경보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타 차량에서 상기 서브우퍼에 대한 노면 진동이 발생하면 상기 서브우퍼를 구동하지 않고 상기 가림막을 닫힘 상태로 제어하는 차량의 보행자 경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우퍼는
    상기 하부 플로워 판넬에 형성되는 차량의 보행자 경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우퍼는
    상기 차량의 시트 하단에 형성되는 차량의 보행자 경보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림막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한 쌍의 전동 레일로 구현되는 차량의 보행자 경보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동 레일은
    상기 서브우퍼의 하측에 형성되는 차량의 보행자 경보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은
    상기 한 쌍의 전동 레일의 상측에 형성되는 차량의 보행자 경보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은
    상기 한 쌍의 전동 레일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어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한 쌍의 판넬을 포함하는 차량의 보행자 경보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판넬이 상기 한 쌍의 전동 레일을 따라 양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개구부가 노출되어 상기 서브우퍼의 진동이 상기 노면으로 전달되는 경로가 형성되는 차량의 보행자 경보 장치.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은
    상기 한 쌍의 전동 레일과 연동하여 개폐 동작이 제어되는 차량의 보행자 경보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우퍼의 상기 저음 주파수의 재생을 제어하는 외장앰프;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전동 모터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보행자 경보 장치.
  16. 제 2항에 있어서,
    타 차량에서 상기 서브우퍼에 대한 노면 진동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기에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보행자 경보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V2X(Vehicle to Everything)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차량의 보행자 경보 장치.
  18. 차량의 위치가 특정 구역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위치가 상기 특정 구역 내에 있는 경우 가림막을 열림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플로워 판넬의 개구부를 노출시키는 단계; 및
    서브우퍼의 저음 주파수를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면에 전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보행자 경보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위치가 상기 특정 구역 내에 있는 경우 타 차량에서 노면 진동이 발생하는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타 차량에서 노면 진동이 발생하는 중인 경우, 상기 서브우퍼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상기 가림막을 닫힘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보행자 경보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서브우퍼의 저음 주파수를 최대치가 되도록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특정 구역을 벗어나면 상기 서브우퍼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상기 가림막을 닫힘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보행자 경보 방법.
KR1020190099351A 2019-08-14 2019-08-14 차량의 보행자 경보 장치 및 방법 KR102664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351A KR102664121B1 (ko) 2019-08-14 2019-08-14 차량의 보행자 경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351A KR102664121B1 (ko) 2019-08-14 2019-08-14 차량의 보행자 경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291A KR20210020291A (ko) 2021-02-24
KR102664121B1 true KR102664121B1 (ko) 2024-05-09

Family

ID=74689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351A KR102664121B1 (ko) 2019-08-14 2019-08-14 차량의 보행자 경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41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398Y1 (ko) 2004-01-19 2004-05-04 강현주 시각장애인을 위한 차량의 스피커 시스템
JP2011235774A (ja) 2010-05-11 2011-11-24 Toyota Motor Corp 車両接近通報音発音装置
JP2012088965A (ja) 2010-10-20 2012-05-10 Toyota Motor Corp 警報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車載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398Y1 (ko) 2004-01-19 2004-05-04 강현주 시각장애인을 위한 차량의 스피커 시스템
JP2011235774A (ja) 2010-05-11 2011-11-24 Toyota Motor Corp 車両接近通報音発音装置
JP2012088965A (ja) 2010-10-20 2012-05-10 Toyota Motor Corp 警報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車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291A (ko)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3213B2 (en) Enhanced auditory experience in shared acoustic space
JP4019952B2 (ja) 音響出力装置
US10909963B2 (en) Automatic noise control
KR101687825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1643094B2 (en) Noise control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US20130208912A1 (en) Simulation of engine sounds in silent vehicles
JP2006092482A (ja) 音声認識通報装置
JP2013198065A (ja) 音声提示装置
JP3213911U (ja) 自動車ドア強制二段式開放装置
JP2016508092A (ja) 電気自動車、ハイブリッド車などのための音響信号伝達システム
JP5986216B2 (ja) 車両の乗員室内に導入される音を減衰又は増幅させ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4285371B2 (ja) 音場制御システム
WO2014068835A1 (ja) 運転サポート装置および運転サポートシステム
KR101180805B1 (ko) 차량용 가상사운드 발생 시스템
JP2011143775A (ja) 車両用音量調整システム
KR102664121B1 (ko) 차량의 보행자 경보 장치 및 방법
JPWO2018163545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CN112166048A (zh) 用于交通工具的音频设备和操作用于交通工具的音频设备的方法
KR101558362B1 (ko) 차량의 사운드 경고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WO2014087605A1 (ja) 立体音響装置
JP2013091369A (ja) 車輌の存在報知システム
CN110001512A (zh) 具有声音采集装置的机动车辆
KR101746377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1626096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6080378B (zh) 基于立体声技术的车用警示系统及警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