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054B1 - Specimen container - Google Patents

Specimen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054B1
KR102664054B1 KR1020230118121A KR20230118121A KR102664054B1 KR 102664054 B1 KR102664054 B1 KR 102664054B1 KR 1020230118121 A KR1020230118121 A KR 1020230118121A KR 20230118121 A KR20230118121 A KR 20230118121A KR 102664054 B1 KR102664054 B1 KR 102664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topper
container
wall portion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81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진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진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진영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054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2Test tubes per se
    • B01L3/50825Closing or opening means, corks, bu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89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8Ergonomic or safety aspects of handling devices
    • B01L2200/082Handling hazard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8Ergonomic or safety aspects of handling devices
    • B01L2200/085Protection against injuring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2Caps; Plu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보존액이 수용 및 밀폐되어 작업자 안전성이 향상된 보존액 밀폐 검체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검체 용기는 본체 바닥부 및 상기 본체 바닥부 상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포스트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와 나사 조임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액체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용기 캡; 및 상기 용기 캡의 하단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홀을 갖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벽체부를 포함하는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부재는, 상호 간의 상대적인 회전 정도에 따라 간섭되도록 구성된다.A sealed sample container for preservative solution is provided, which accommodates and seals the preservative solution, thereby improving worker safety. The sample container includes a container body including a body bottom and a post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dy bottom; a container cap configured to be screwed to the container body and providing a liquid receiving space; and a member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cap, including a bottom portion having a hole and a wall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portion, wherein the container body and the member depend on the degree of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m. It is configured to interfere.

Description

검체 용기{SPECIMEN CONTAINER}Specimen container {SPECIMEN CONTAINER}

본 발명은 검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보존액이 수용 및 밀폐되어 작업자 안전성이 향상된 보존액 밀폐 검체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cimen container. In detail, it relates to a sealed sample container for preservative solution that accommodates and seals the preservative solution, thereby improving worker safety.

종래의 세포진 검사(Papanicolaou)를 대체하여 채집된 세포 검체를 보존액에 보관하였다가 보존된 세포의 단층이 균일하게 분산된 세포 검체를 슬라이드 상에 올려놓고 검사하는 액상 세포 검사(liquid based cytology) 기법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액상 세포 검사는 종래의 세포진 검사에 비해 세포의 고정성이 향상되고 불명료한 인자를 최소화하여 검사의 특이성(specificity)과 민감도(sensitivity)이 우수하다.Liquid-based cytology is a technique that replaces the conventional cytology test (Papanicolaou) by storing collected cell samples in a preservation solution and then placing the cell sample with a monolayer of preserved cells evenly dispersed on a slide and examining it. It was also developed. Compared to conventional cytology tests, liquid cytology improves cell fixation and minimizes unclear factors, resulting in excellent specificity and sensitivity.

한편, 환자의 병소 등에서 채취한 세포 조직은 질병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 검사 장비가 있는 장소로 운반된다. 이 경우 채취된 세포 조직의 이동은 상당히 장시간 동안 보존되어야 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보존액(또는 고정액)에 담아 보관한다. 보존액은 인간으로부터 탈락한 세포 조직이 사멸하거나, 분해되거나, 변성되거나, 형태가 변화하지 않도록 채취 당시의 상태를 유지 및 보존시켜 세포 조직의 구조를 관찰하거나, 분석하거나, 표본 제작 등에 적합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보존액으로는 통상적으로 포름알데히드를 포함하는 혼합 용액이 사용되고 있다. Meanwhile, cell tissue collected from the patient's lesion is transported to a location with testing equipment for accurate diagnosis of the disease. In this case, the movement of the collected cell tissue needs to be preserved for a fairly long time, so it is stored in a preservation solution (or fixative solution). The preservative solution maintains and preserves the state at the time of collection so that the cell tissue shed from the human body does not die, decompose, degenerate, or change shape, maintaining a state suitable for observing or analyzing the structure of the cell tissue, or making specimens, etc. It performs the function it commands. A mixed solution containing formaldehyde is usually used as a preservative solution.

포름알데히드는 단백질의 응고작용과 중합작용을 가져 보존액의 주요 성분으로 가장 흔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포르말린(포름알데히드 용액)은 인체에 대한 독성이 매우 강할 뿐 아니라 휘발성이 있어 취급시 주의가 요구된다. 또한 휘발된 포르말린이 공기에 장시간 놓일 경우 1급 발암물질이 생성될 수 있다. 만일 사람이 기체 상태의 포르말린에 노출될 경우 포름알데히드가 피부나 점막을 통해 침투할 수 있다. 특히 지속적으로 포름알데히드를 흡입할 경우 중추신경계의 장애 내지는 심장 쇠약 등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포르말린의 취급에는 고도의 주의가 요구된다. Formaldehyde has a coagulating and polymerizing effect on proteins and is most commonly used as a main ingredient in preservation solutions. However, formalin (formaldehyde solution) is not only highly toxic to the human body but is also volatile, so caution is required when handling it. Additionally, if volatilized formalin is left in the air for a long time, grade 1 carcinogens may be generated. If a person is exposed to gaseous formalin, formaldehyde can penetrate through the skin or mucous membranes. In particular, a high degree of caution is required when handling formalin because continuous inhalation of formaldehyde can cause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s or heart failure.

그러나 세포의 보존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작업자는 항상 포르말린에 노출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포르말린 취급시 작업자는 방독면을 착용하여 포르말린에 의한 유해성을 최소화하고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업자의 건강 상태는 유해 요소에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보존액을 밀폐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However, workers performing cell preservation processes are always exposed to formalin. Therefore, when handling formalin, workers wear gas masks to minimize the harm caused by formalin, but despite this, workers' health is exposed to harmful elements. For this reason, various attempts are being made to seal the preservation solution.

KR 10-1934819 B1 (특허문헌 2) KR 20-0490307 Y1 (특허문헌 3) KR 10-2056068 B1 (특허문헌 4) KR 10-2436698 B1 (특허문헌 5) KR 20-0490214 Y1 (특허문헌 6) KR 10-2020-0134132 A (특허문헌 7) KR 10-2020-0134133 A (특허문헌 8) KR 10-2020-0134134 AKR 10-1934819 B1 (Patent Document 2) KR 20-0490307 Y1 (Patent Document 3) KR 10-2056068 B1 (Patent Document 4) KR 10-2436698 B1 (Patent Document 5) KR 20-0490214 Y1 (Patent Document 6) KR 10-2020-0134132 A (Patent Document 7) KR 10-2020-0134133 A (Patent Document 8) KR 10-2020-0134134 A

기재된 선행기술문헌들은 박막 시트를 이용해 보존액을 밀폐하고 있다가, 캡을 회전시켜 구조물을 이용해 박막 시트를 절개하고 보존액이 쏟아져 검체가 보존액에 침지되는 구조를 개시한다.The prior art documents described disclose a structure in which a preservative solution is sealed using a thin film sheet, the cap is rotated, the thin film sheet is cut using the structure, the preservative solution is poured out, and the specimen is immersed in the preservative solution.

그러나 이와 같이 박막 시트를 이용해 보존액을 밀폐하는 구조는 몇 가지 문제가 있다. 검체 용기와 같은 의료 기기는 사용 후 의료 폐기물로서 일괄 처리된다. 종래 기술의 박막 시트는 알루미늄 박 등으로 구성되는데 용기를 구성하는 경질 플라스틱 소재와 알루미늄 소재를 함께 혼합 폐기하여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is structure of sealing the preservation solution using a thin film sheet has several problems. Medical devices such as specimen containers are collectively disposed of as medical waste after use. The thin film sheet of the prior art is composed of aluminum foil, etc., but there is a problem of causing environmental pollution by mixing and disposing of the hard plastic material and aluminum material that constitutes the container.

더 중요한 점은 용기의 캡과 알루미늄 박의 접착 방식의 문제이다. 종래 기술은 캡의 하단에 알루미늄 박을 부착하는데 흔히 접착제를 이용한다. 검체 용기를 생산한 후 시간이 경과하면 접착제과 접촉하는 포름알데히드 등의 보존액으로 인해 접착제 성분 또는 알루미늄 성분이 보존액으로 용출되거나, 또는 보존액이 접착제로 침습하고, 심할 경우 침습 투과하여 보존액이 외부로 새어나오기도 한다.A more important point is the issue of the adhesive method between the container cap and the aluminum foil. The prior art often uses adhesive to attach aluminum foil to the bottom of the cap. As time passes after the specimen container is produced, the adhesive or aluminum components may leach out into the preservative solution due to the preservative solution such as formaldehyde that comes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or the preservative solution may penetrate into the adhesive, and in severe cases, the preservative solution may leak out through the infiltration. I also do it.

뿐만 아니라,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검체를 보존액에 침지시키기 위해 검체 용기를 조작하는 작업자가 포르말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존액이 밀폐된 구조의 검체 용기를 개발하고 있으나, 포르말린의 밀폐를 위해 박막 시트를 이용할 경우 검체 용기의 제조 과정이 간편하지 않고, 검체 용기의 제조 과정에서 포르말린이 공기 중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수 밖에 없다. 요컨대, 종래 기술에 따를 경우 캡에 포르말린을 주입하고 그 단부에 접착제를 바른 후 박막 시트를 얹어 경화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용기 제조 과정에서 포르말린이 공기 중에 노출되는 시간이 무척 길고, 따라서 검체 작업자에게 유발될 수 있는 안전 상의 문제를 검체 용기의 제조 작업자에게 전가하는 수준의 해결책에 불과하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 specimen container with a sealed preservative solution is being developed to prevent workers operating the specimen container to immerse the specimen in the preservative solution from being exposed to formalin. However, a thin film sheet is used to seal the formalin. When using i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ample container is not simple, and the time that formalin is exposed to the air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ample container is inevitably long. In short, according to the prior art, formalin must be injected into the cap, adhesive applied to the end, and a thin film sheet placed on it to cure it. However,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such a container, the time the formalin is exposed to the air is very long, and therefore, it may cause damage to specimen workers. It is merely a solution that transfers possible safety problems to the operators manufacturing the sample containers.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와 다른 방식으로 보존액이 밀폐된 구조의 검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mple container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 preservative solution is sealed in a different way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위의 검체 용기에 사용되는 부속품 부재, 예를 들어 유로 제공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cessory member used in the above sample container, for example, a flow path providing member.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어느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는, 본체 바닥부 및 상기 본체 바닥부 상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포스트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와 나사 조임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액체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용기 캡; 및 상기 용기 캡의 하단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홀을 갖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벽체부를 포함하는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부재는, 상호 간의 상대적인 회전 정도에 따라 간섭되도록 구성된다.A sampl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any of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container body including a body bottom and a post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dy bottom; a container cap configured to be screwed to the container body and providing a liquid receiving space; and a member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cap, including a bottom portion having a hole and a wall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portion, wherein the container body and the member depend on the degree of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m. It is configured to interfere.

상기 부재의 하단 외주면은 걸림 홈을 가지고, 상기 바닥부가 하측으로 향하도록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 홈은, 평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갈수록 깊이가 커지는 형상일 수 있다.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ember may have a locking groove, and when the bottom portion is arranged to face downward, the locking groove may have a shape whose depth increases as it goes counterclockwise in plan.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캡이 결합되고 상기 캡의 하부에 상기 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캡을 회전시킬 경우, 상기 캡과 부재가 함께 회전하며 하방 이동할 수 있다.When the cap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member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cap, when the cap is rotated relative to the container body, the cap and the member may rotate together and move downward.

또, 상기 캡을 더욱 회전시킬 경우, 상기 포스트의 측면과 상기 홈의 측면 단차 간의 간섭으로 인해, 상기 부재의 더 이상의 회전 및 하방 이동이 저지되는 반면, 상기 캡은 더 회전하며 하방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ap is further rotated, further rotation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member is prevented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post and the side step of the groove, while the cap is configured to rotate further and move downward. You can.

상기 캡과 부재가 함께 회전할 때, 상기 캡과 부재 간의 상하 방향으로의 상대적 위치는 유지될 수 있다.When the cap and the member rotate together,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cap and the member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maintained.

또한 상기 캡과 부재가 함께 회전할 때, 상기 본체 바닥부와 상기 부재 간의 이격 거리는 감소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the cap and the member rotate together,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the member may decrease.

아울러 상기 캡과 부재가 함께 회전할 때, 상기 포스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걸림 홈에 삽입되어, 상기 포스트와 상기 부재가 수평 방향으로 중첩된 상태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ap and the member rotate together, the post may be at least partially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so that the post and the member overlap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캡과 부재가 함께 회전할 때, 상기 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포스트는 상기 걸림 홈 내에서 평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하며, 상기 걸림 홈으로의 삽입 깊이가 증가할 수 있다.And when the cap and the member rotate together, with respect to the member, the post moves counterclockwise on a plane within the locking groove, and the insertion depth into the locking groove can increase.

상기 포스트의 측면과 상기 홈의 측면 단차가 맞닿아 간섭된 상태에서, 상기 포스트의 상면은, 상기 걸림 홈의 상측 단차 경사면과 맞닿을 수 있다.In a state where the side of the post and the side step of the groov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upper surface of the post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tep inclined surface of the locking groove.

상기 어느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용기 캡; 및 상기 캡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밀봉 마개를 포함하되, 상기 캡은, 캡 천장부, 상기 캡 천장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캡 벽체부, 및 상기 캡 벽체부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더욱 돌출된 하나 이상의 차단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는, 홀이 형성된 마개 바닥부, 상기 마개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마개 격벽부, 및 상기 마개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마개 격벽부를 둘러싸는 형상의 마개 벽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마개 격벽부는, 상단이 부분적으로 하측으로 만입되어 하나 이상의 통로 개구를 갖는 형상이다.A sample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any of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container body; a container cap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nd a sealing stopper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cap, wherein the cap includes a cap ceiling portion, a cap wall port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cap ceiling portion, and one or more blocking protrusions further protruding downward from a bottom of the cap wall portion. And the stopper includes a stopper bottom in which a hole is formed, a stopper diaphragm part protruding upward from the stopper bottom, and a stopper wall part protruding upward from the stopper bottom and having a shape surrounding the stopper diaphragm. , the stopper partition has a shape in which the upper end is partially recessed downward and has one or more passage openings.

상기 차단 돌기부는, 상기 마개 격벽부와 마개 벽체부 사이에 삽입되어, 그 내측면이 상기 마개 격벽부의 외측면에 말착되며, 상기 통로 개구를 밀폐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blocking protrusion may be inserted between the stopper partition and the stopper wall part so that its inner surface is adher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topper partition, and can be configured to seal the passage opening.

또,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캡이 결합되고, 캡의 하부에 마개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캡을 회전시킬 경우, 상기 캡과 마개가 함께 회전하며 하방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ap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stopper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cap, when the cap is rotated relative to the container body, the cap and the stopper may rotate together and move downward. .

또한 상기 용기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캡을 더욱 회전시킬 경우, 상기 마개는 상기 용기 본체와의 간섭으로 인해 회전 및 하방 이동이 저지되는 반면, 상기 캡은 회전 및 하방 이동하며, 상기 캡의 차단 돌기부와 상기 통로 개구의 정렬이 어긋나게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ap is further rotated relative to the container body, the cap is prevented from rotating and moving downward due to interference with the container body, while the cap rotates and moves downward, and the blocking protrusion of the cap The alignment of the passage opening may be misaligned.

상기 마개 바닥부의 홀은, 오직 마개 격벽부와 마개 벽체부의 사이에만 위치하고, 상기 마개 격벽부로 둘러싸이는 영역에는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The hole in the bottom of the stopper may be located only between the stopper partition and the stopper wall, and may not be located in an area surrounded by the stopper partition.

상기 마개 격벽부는, 평면상 환(ring) 형상이고, 상기 마개 격벽부는, 제1 높이를 갖는 제1 격벽부, 및 상기 제1 높이 보다 작은 제2 높이를 갖는 제2 격벽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격벽부의 측면 및 제2 격벽부의 상면이 상기 통로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홀과 제2 격벽부는 방사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The stopper diaphragm portion has a ring shape in plan, and the stopper diaphragm portion includes a first diaphragm portion having a first height and a second diaphragm portion having a second height smaller than the first height.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form the passage opening, and the hole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part may be aligned in a radial direction.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용 유로 제공 부재는, 홀을 갖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벽체부를 포함하는, 검체 용기용 유로 제공 부재로서, 상기 벽체부의 하단 외주면은 홈을 가지되, 상기 바닥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홈은, 평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만입된 깊이가 커지는 형상이다.A flow path providing member for a sampl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other problems includes a bottom portion having a hole; and a wall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wherein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ll portion has a groove, and when the bottom portion is arranged to face downward, the groove is, The depth of the indentation on the upper side increases as it moves counterclockwise on the plane.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보존액에 대한 밀봉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손쉬운 방법으로 밀봉 마개를 개방시키고 보존액을 용기 본체 측으로 쏟아지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접착제나 알루미늄 등의 이종 성분을 사용하지 않아 의료 폐기물 처리 상의 이점과 검체 용기의 제조 상의 안전성 또한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pen the sealing cap and pour the preservative liquid into the container body in an easy manner while having excellent sealing properties for the preservative liquid. In addition, since it does not use heterogeneous components such as adhesives or aluminum, it can provide advantages in medical waste disposal and safety in the manufacture of specimen container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Effect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further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검체 용기의 저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용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용기 캡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밀봉 마개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밀봉 마개의 제2 스토퍼의 방향 및 회전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8은 도 1의 검체 용기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각각 검체 용기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사시도들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각각 도 9 내지 도 12의 상태에서 검체 용기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7 내지 도 20은 각각 도 9 내지 도 12의 상태에서 용기 캡과 밀봉 마개의 배열을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도 21 내지 도 24는 각각 도 9 내지 도 12의 상태에서 용기 캡과 밀봉 마개의 배열을 나타낸 측면 투영도들이다.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ampl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of the sample container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body of Figure 1.
Figure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cap of Figure 1.
Figures 5a and 5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top view, respectively, of a sealing stopper.
Figures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the direction and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stopper of the sealing stopper.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sample container of Figure 1.
Figures 9 to 12 are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sample container is used.
Figures 13 to 16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ate of using the sample container in the state of Figures 9 to 12, respectively.
Figures 17 to 20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container cap and sealing stopper in the states of Figures 9 to 12, respectively.
Figures 21 to 24 are side projection views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container cap and sealing stopper in the states of Figures 9 to 12,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examples are provided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t's just that.

또, 특허청구범위는 발명의 실체를 이루는 기술내용을 설명하는 사항이 아니라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개시된 기술구성을 토대로 어떠한 범위를 권리로 청구하는지를 나타내는 사항이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개시된 기술을 포함하는 추상적 상위개념으로 구성하는 것은 어느 정도 불가피한 것이며, 당업자가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특허청구범위에 속한 기술구성이나 그 결합 및 작용효과를 이해할 수 있다면 그 특허청구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뒷받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In addition,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is not a matter that explains the technical content that constitutes the substance of the invention, but rather a matter that indicates what scope of rights is claimed based on the technical composition disclosed b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refore, it is inevitable to some extent that the patent claims are composed of an abstract higher concept that includes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i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e technical composition, combination, and operational effect within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through the entire specification,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should be viewed as supported b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즉,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at is, various change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therefor.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어떠한 용어를 특정한 의미로 사용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그 의미를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If any term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intended to be used in a specific sense, the meaning may be defined and used and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ly.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dditionally,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fined.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내지'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치 범위는 그 앞과 뒤에 기재된 값을 각각 하한과 상한으로서 포함하는 수치 범위를 나타낸다. '약' 또는 '대략'은 그 뒤에 기재된 값 또는 수치 범위의 20% 이내의 값 또는 수치 범위를 의미한다.As used herein,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Additionally,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mentioned components. The numerical range expressed using 'to' indicates a numerical range that includes the values written before and after it as the lower limit and upper limit, respectively. ‘About’ or ‘approximately’ means a value or numerical range within 20% of the value or numerical range stated thereafter.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를 지칭함에 있어 '제1 구성요소', '제2 구성요소', '제1-1 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적 수식어는 어느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를 단순히 구별하여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일 뿐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지칭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제2 구성요소로 바꾸어 지칭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느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로 지칭될 수 있다. 또, 발명의 설명에서 제1 구성요소로 지칭되는 것은 청구항에서 제2 구성요소로 지칭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referring to components, ordinal modifiers such as 'first component', 'second component', '1-1 component', etc. simply refer to one component and another component. It is just used to do so.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referred to below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what is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in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Also, of course, what is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in the claims.

제1 방향(X)은 평면 내 임의의 일 방향을 의미하고, 제2 방향(Y)은 상기 평면 내에서 제1 방향(X)과 교차하거나 수직한 다른 방향을 의미한다. 제3 방향(Z)은 상기 평면과 교차하거나 수직한 또 다른 방향을 의미한다. The first direction (X) refers to an arbitrary direction within the plane, and the second direction (Y) refers to another direction that intersects or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X) within the plane. The third direction (Z) refers to another direction that intersects or 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두께, 폭, 길이 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size, thickness, width, length, etc.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shown.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위(above)', '상부(upper)', ‘상(on)’,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Spatially relative terms such as 'above', 'upper', 'on', 'below', 'beneath', and 'lower' are used in the drawing. As shown,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between one element or component and other elements o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that include different directions of the element when used in addition to the direction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an element shown in a drawing is turned over, an elem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another element may be placed 'above' the other element. Accordingly, the illustrative term 'down' may include both downward and upward direction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최인접(most adjacent)'은 복수의 구성요소가 적어도 어느 방향으로 반복 배치된 경우, 그 중 가장 가깝거나(closest) 가장 인접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인접(adjacent)한 복수의 구성요소 사이에, 상기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지칭되거나 분류될 수 있는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는 서로 최인접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As used herein, 'most adjacent' refers to the closest or most adjacent element when a plurality of elements are repeatedly arranged in at least one direction. For example, if there is no component that can be referred to or classified a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mponent between a plurality of adjacent components, the plurality of components will be understood as being closest to each other. You ca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검체 용기의 저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용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용기 캡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밀봉 마개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밀봉 마개의 제2 스토퍼의 방향 및 회전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도 6의 밀봉 마개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검체 용기의 단면사시도로서, 제1 방향(X) 및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이 교차하는 방향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ampl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of the sample container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body of Figure 1. Figure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cap of Figure 1. Figures 5a and 5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top view, respectively, of a sealing stopper. Figures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the direction and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stopper of the sealing stopper. Specifically, Figure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ealing stopper of Figure 6.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sample container of Figure 1, showing a cross-section in a first direction (X) and a direction where the first direction (X) and the second direction (Y) intersect.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는 용기 본체(100), 용기 캡(200) 및 밀봉 마개(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개(300)는 용기 캡(200)의 마개로 기능하여, 용기 캡(200)과 마개(300)는 상호 간의 회전 정도에 따라 함께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 후술할 바와 같이 밀봉 마개(300)는 액상의 물질, 즉 보존액이 용기 캡(200)에서 용기 본체(100)로 쏟아져 흐르는 경로 내에 위치하고, 쏟아지는 액상의 물질은 밀봉 마개(300)의 홀(310H)을 통해 흐를 수 있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상기 밀폐된 내부 공간에는 포름알데히드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세포 조직의 보존 또는 고정을 위한 보존액(또는 고정액)이 수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8 , the sample container 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container body 100, a container cap 200, and a sealing stopper 300. Here, the stopper 300 functions as a stopper of the container cap 200, and the container cap 200 and the stopper 300 can form a sealed internal space together depending on the degree of rotation between them. 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aling stopper 300 is located in a path through which a liquid substance, that is, a preservative solution, flows from the container cap 200 to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poured liquid substance flows through the hole 310H of the sealing stopper 300. ) can flow through.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ealed internal space may contain a preservation solution (or fixative solution) for preserving or fixing cell tissue, with or without formaldehyde.

용기 본체(100)(또는 검체 수용부)는 상부가 개방된 대략 원통 형상의 용기일 수 있다. 용기 본체(100)는 본체 바닥부(110) 및 본체 바닥부(11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본체 벽체부(130)를 포함하고, 본체 바닥부(110)에서 본체 벽체부(130)가 둘러싸는 공간에 배치된 제1 스토퍼(170)(또는 스토퍼 바, 또는 스토퍼 돌기, 또는 지지바, 또는 포스트, 또는 돌출부) 및 본체 벽체부(130)의 상부 외주면 상에 배치된 제1 결합부(190)(또는, 제1 나사산, 또는 본체 나사산, 또는 본체 결합 부재, 또는 제1 결합 수단, 또는 제1 결합 구조, 또는 제1 결합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ainer body 100 (or sample container) may b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container with an open top. The container body 100 includes a main body bottom 110 and a main body wall 130 protruding upward from an edge of the main body bottom 110, and the main body wall 130 is located at the main body bottom 110. A first stopper 170 (or stopper bar, or stopper protrusion, or support bar, or post, or protrusion) disposed in the surrounding space and a first coupling portion disposed on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wall portion 130 ( 190) (or a first screw thread, or a body screw thread, or a body coupling member, or a first coupling means, or a first coupling structure, or a first coupling element) may be further included.

여기서 제1 스토퍼(170)는 후술할 제2 스토퍼(370)와 함께 용기 본체(100)와 마개(300) 간의 상대적인 회전 정도를 제한하는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스토퍼(170)는 용기 본체(100) 내부, 구체적으로 본체 바닥부(110) 상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 제1 결합부(190)는 후술할 제2 결합부(290)와 함께 용기 본체(100)와 용기 캡(200) 간의 가역적인 결합을 형성하는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first stopper 170, together with the second stopper 3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refer to a configuration that limits the relative degree of rotation between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stopper 300. The first stopper 170 may be fixed in position inside the container body 100, specifically on the body bottom 110. 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90 may refer to a configuration that forms a reversible coupling between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container cap 200 together wit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9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본체 바닥부(110)는 대략 원 형상일 수 있다. 본체 바닥부(110)는 용기 본체(100) 내에 수용되는 물체, 예컨대 검사 대상 조직(검체)이나 보존액 등이 수용되는 바닥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 바닥부(110)는 대략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이 속하는 평면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체 바닥부(110)의 평면상 중심은 상대적으로 높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낮아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체 바닥부(110)의 평면상 중심은 상대적으로 낮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아질 수도 있다.The body bottom 110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The main body bottom 110 may provide a floor space in which objects accommodated within the container main body 100, such as a tissue (specimen) to be tested or a preservative solution, are accommodated. The body bottom 110 may provide a planar space to which the first direction (X) and the second direction (Y) approximately belong,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nother embodiment, the planar center of the body bottom 110 may be relatively high and may become lower toward the edge. In another embodiment, the planar center of the body bottom 110 may be relatively low and become higher toward the edge.

본체 벽체부(130)는 대략 환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본체 벽체부(130)의 하단은 본체 바닥부(11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본체 벽체부(130)는 본체 바닥부(110)와 함께 오목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 공간에 전술한 검사 대상 조직이나 보존액 등이 수용될 수 있다. 본체 벽체부(130)의 상부는 개구된 형상을 가지고 용기 본체(100)의 입구로 기능할 수 있다. The main body wall portion 130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pillar shape.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wall portion 130 may be closed by the main body bottom portion 110. The main body wall portion 130 forms a concave receiving space together with the main body bottom portion 110, and the above-described test target tissue or preservative solution can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wall 130 has an open shape and may function as an entrance to the container main body 100.

본체 벽체부(130)의 상측 외주면에는 제1 결합부(19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90)는 나사산을 포함하고, 제1 결합부(190)를 이용해 용기 본체(100)와 용기 캡(200) 간의 가열적인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및 해제는 나사 조임 결합에 의할 수 있다. 나사 조임 결합은 복수의 구성요소 간의 상대적인 회전에 따라 또는 비례하여, 상기 구성요소 간의 상하 방향 거리가 변화하는 결합일 수 있다. 즉, 미리 설계된 나사산의 경사에 따라 회전과 직선 운동이 종속된다는 점에서 끼움 결합 내지는 억지 끼움 결합과 차이를 갖는다.A first coupling portion 19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wall portion 130. The first coupling portion 190 includes a screw thread, and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container cap 200 may be thermally coupled and released us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190. The coupling and disengagement may be performed by screw tightening. A screw tightening coupling may be a coupling in which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a plurality of components changes according to or in proportion to the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components. In other words, it is different from a fit coupling or an interference fit coupling in that rotation and linear movement are dependent on the inclination of the pre-designed screw thread.

본체 바닥부(110) 상에는 제1 스토퍼(170)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 바닥부(110) 상에서 본체 벽체부(130)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제1 스토퍼(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토퍼(170)는 본체 벽체부(130)와 맞닿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스토퍼(170)는 제3 방향(Z)으로 연장되고, 본체 벽체부(130)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바(bar) 형상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 제1 스토퍼(170)는 본체 바닥부(110)의 평면상 중심을 기준으로 약 90°의 각도로 회전 배열 또는 원형 배열되어 4개 제공될 수 있다. 제1 스토퍼(170)는 제3 방향(Z)의 소정 높이, 예컨대 그 상단 부근을 이용해 스토퍼로 기능할 수 있다. 제1 스토퍼(170)는 용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마개(300)의 제3 방향(Z) 하강 한계 및/또는 회전 한계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스토퍼(170)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A first stopper 170 may be disposed on the body bottom 110. Specifically, the first stopper 170 may be disposed in a space surrounded by the main body wall part 130 on the main body bottom part 110. The first stopper 170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main body wall portion 130.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stopper 170 extends in the third direction (Z) and may have a bar shape protruding inward from the main body wall portion 130. As a non-limiting example, four first stoppers 170 may be provided in a rotational or circular arrangement at an angle of about 90° based on the planar center of the main body bottom 110. The first stopper 170 may function as a stopper using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third direction (Z), for example, near the top. The first stopper 170 may provide a lowering limit and/or a rotation limit in the third direction (Z) of the stopper 300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body 100. The operation of the first stopper 170 will be described later.

전술한 본체 바닥부(110), 본체 벽체부(130), 제1 결합부(190) 및 제1 스토퍼(170)는 서로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described main body bottom 110, main body wall 130, first coupling part 190, and first stopper 17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without physical boundari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용기 캡(200)(또는 보존액 수용부, 또는 용기 마개, 또는 용기 뚜껑)은 하부가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용기 캡(200)은 용기 본체(100)의 본체 벽체부(130)가 형성하는 상부 개구를 덮어 검체 용기(10)의 내부 공간을 밀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용기 캡(200)은 용기 본체(100)와 함께 내부가 밀폐된 용기로 기능함과 동시에, 후술할 마개(300)와 함께 선택적으로 내부를 밀폐하고 보존액을 수용할 수 있다.The container cap 200 (or a preservative solution receiving portion, a container stopper, or a container lid) may have a shape with an open bottom. The container cap 200 may be configured to seal the internal space of the sample container 10 by covering the upper opening formed by the main body wall portion 130 of the container body 100. That is, the container cap 200 functions as a container with a sealed interior along with the container body 100, and can selectively seal the interior together with a stopper 300 to be described later and accommodate a preservative solution.

용기 캡(200)은 캡 천장부(210), 캡 천장부(210)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캡 벽체부(230) 및 캡 벽체부(230)로부터 하측으로 더욱 돌출된 차단 돌기부(250)를 포함하고, 캡 천장부(210)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체결 바디부(280) 및 체결 바디부(280)의 내측면 상에 배치된 제2 결합부(290)(또는 제2 나사산, 또는 캡 나사산, 또는 캡 결합 부재, 또는 제2 결합 수단, 또는 제2 결합 구조, 또는 제2 결합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iner cap 200 includes a cap ceiling 210, a cap wall 230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cap ceiling 210, and a blocking protrusion 250 further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cap wall 230, A fastening body 280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edge of the cap ceiling 210 and a second coupling part 290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astening body 280 (or a second screw thread, or a cap screw thread, or It may further include a cap coupling member, or a second coupling means, or a second coupling structure, or a second coupling element).

캡 천장부(210)는 검체 용기(10)의 상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캡 천장부(210)는 대략 원 형상일 수 있다. 또, 캡 벽체부(230)는 대략 환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캡 벽체부(230)의 상단은 캡 천장부(21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캡 벽체부(230)는 캡 천장부(210)와 함께 오목한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캡 벽체부(230)와 캡 천장부(210)에 의해 둘러 싸이는 공간 내에 액상의 물질, 예컨대 보존액이 수용될 수 있다. 캡 벽체부(230)의 하부는 개구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할 바와 같이 캡 벽체부(230)의 하단은 마개(300)와 결합되며, 캡 천장부(210), 캡 벽체부(230) 및 마개(300) 등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보존액이 밀봉 수용될 수 있다.The cap ceiling portion 210 may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sample container 10. The cap ceiling portion 210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Additionally, the cap wall portion 230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pillar shape. The top of the cap wall portion 230 may be closed by the cap ceiling portion 210. The cab wall portion 230 may form a concave receiving space together with the cap ceiling portion 210. A liquid substance, such as a preservative solution, may be accommodated in the space surrounded by the cap wall portion 230 and the cap ceiling portion 210. The lower portion of the cap wall portion 230 may have an open shape. 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lower end of the cap wall 230 is coupled to the stopper 300, and the preservative solution is sealed and accommodated in the space surrounded by the cap ceiling 210, the cap wall 230, and the stopper 300. You can.

몇몇 실시예에서, 캡 벽체부(230)의 외주면의 폭(예컨대, 외경)은 본체 벽체부(130)의 내주면의 폭(예컨대, 내경) 보다 작고, 용기 본체(100)와 용기 캡(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캡 벽체부(230)는 용기 본체(100) 내에 삽입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width (e.g., outer diameter)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p wall portion 230 is smaller than the width (e.g., inner diameter)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wall portion 130, and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container cap 200 In this coupled state, the cap wall portion 230 can be inserted into the container body 100.

체결 바디부(280)는 대략 환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체결 바디부(280)는 용기 본체(100)와 결합을 위한 제2 결합부(29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체결 바디부(280)는 캡 천장부(210)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평면 시점에서, 체결 바디부(280)는 캡 벽체부(230)를 둘러싸는 형상일 수 있다. 캡 천장부(210)로부터, 체결 바디부(280)가 하측으로 돌출된 길이는, 캡 벽체부(230)가 하측으로 돌출된 길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체결 바디부(280)의 제3 방향(Z) 길이는 캡 벽체부(230)의 제3 방향(Z) 길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체결 바디부(280)와 캡 벽체부(230)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용기 본체(100)와 용기 캡(20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100)의 본체 벽체부(130)는 체결 바디부(280)와 캡 벽체부(230) 사이의 수평 이격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The fastening body portion 280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pillar shape. The fastening body portion 280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90 for coupling to the container body 100 is disposed. The fastening body portion 280 may have a shape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edge of the cap ceiling portion 210. Accordingly, from a plan view, the fastening body portion 280 may have a shape surrounding the cap wall portion 230. The length at which the fastening body portion 280 protrudes downward from the cap ceiling portion 210 may be smaller than the length at which the cap wall portion 230 protrudes downward. That is, the length of the fastening body portion 280 in the third direction (Z) may b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cap wall portion 230 in the third direction (Z). The fastening body portion 280 and the cap wall portion 230 may b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container cap 200 are at least partially coupled, the body wall portion 130 of the container body 100 is spaced horizontally between the fastening body portion 280 and the cap wall portion 230. Can be inserted into space.

체결 바디부(280)의 내측면, 즉 내주면에는 제2 결합부(29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90)는 사산을 포함하고, 제1 결합부(190)와 결합이 가능한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즉, 제2 결합부(290)는 제1 결합부(190)와 상응하는 형상, 즉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를 통해 본체 벽체부(130)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된 제1 결합부(190)와 체결 바디부(280)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된 제2 결합부(290)가 서로 대향하며 나사 조임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A second coupling portion 29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that i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astening body portion 280. The second coupling part 290 may include still threads and have an inclination capable of being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190. That is,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9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190, that is, it may be provided as a pair. Throug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90 protruding outward from the main body wall portion 13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90 protruding inward from the fastening body portion 280 face each other and are tightened with screws. A bond structure can be formed.

캡 벽체부(230)의 하단에는 하나 이상 또는 복수의 차단 돌기부(250)(또는 차폐부, 또는 통로 차폐부, 또는 통로 차폐 돌기)가 배치될 수 있다. 차단 돌기부(250)는 후술할 마개(300)의 마개 격벽부(350)의 제3 통로 개구(350p)를 밀폐하거나,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캡 벽체부(230)의 하단면 내지는 하면은 평면상 환 형상이고, 차단 돌기부(250)는 캡 벽체부(230)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차단 돌기부(250)는 평면상 대략 원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 차단 돌기부(250)는 캡 천장부(210)의 평면상 중심을 기준으로 약 90°의 각도로 회전 배열 또는 원형 배열되어 4개 제공될 수 있다.One or more blocking protrusions 250 (or shielding portions, or passage shielding portions, or passage shielding protrusions) may b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cap wall portion 230. The blocking protrusion 250 may be configured to seal or open the third passage opening 350p of the stopper partition 350 of the stopper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lower or lower surface of the cap wall portion 230 has a planar ring shape, and the blocking protrusion 250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wall portion 230. The blocking protrusion 250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arc shape in plan view. As a non-limiting example, four blocking protrusions 250 may be provided in a rotational or circular arrangement at an angle of about 90° based on the center of the plane of the cap ceiling 210.

차단 돌기부(250)가 복수개로 구비된 경우, 서로 최인접한 차단 돌기부(250)의 사이에는 제2 통로 개구(250p)(또는 이격 공간, 또는 이격부, 또는 통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차단 돌기부(250)가 4개로 제공되는 경우 제2 통로 개구(250p) 또한 4개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차단 돌기부(250)가 오직 한 개로 구비된 경우, 평면상 원호(우호) 형상인 차단 돌기부(250)의 일측 측면과 타측 측면은 서로 이격되며, 상기 일측 측면과 타측 측면 사이에 의해 제2 통로 개구가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통로 개구는 1개일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blocking protrusions 250 are provided, a second passage opening 250p (or a separation space, a separation portion, or a passage portion) may be formed between the blocking protrusions 250 that are closest to each other. When four blocking protrusions 250 are provided, four second passage openings 250p may also be defined. In another embodiment, when only one blocking protrusion 250 is provide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locking protrusion 250, which has a circular arc shape in pla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space between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provided. The second passage opening may be defined by. In this case, there may be one second passage opening.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차단 돌기부(250) 및 차단 돌기부(250)가 형성하거나 정의하는 제2 통로 개구(250p)는 후술할 마개(300)의 마개 격벽부(350) 및 그 제3 통로 개구(350p)와의 정렬 상태에 따라 보존액이 흐르는 경로 또는 통로를 제공하거나, 밀봉할 수 있다. 즉, 용기 캡(200)과 마개(300) 간의 상대적인 회전 정도에 따라 그 내부 공간을 밀폐하거나, 또는 개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단 돌기부(250) 및 제2 통로 개구(250p)는 제3 통로 개구(350p)를 밀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는 적절한 형상 및 크기를 가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blocking protrusion 250 and the second passage opening 250p formed or defined by the blocking protrusion 250 are the stopper partition 350 of the stopper 300 and its third passage opening 350p,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epending on the state of alignment, a path or passage through which the preservation solution flows can be provided or sealed. That is, the internal space can be sealed or opened depending on the relative degree of rotation between the container cap 200 and the stopper 300. To this end, the blocking protrusion 250 and the second passage opening 250p must have an appropriate shape and size to seal or open the third passage opening 350p.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차단 돌기부(250)의 수평 길이(L250)는 마개(300)의 제3 통로 개구(350p)의 길이(L350p) 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 돌기부(250)의 길이(L250)의 하한은 약 45° 이상, 또는 약 50° 이상, 또는 약 60° 이상, 또는 약 70° 이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차단 돌기부(250), 제2 통로 개구(250p), 제3 통로 개구(350p) 등의 구성요소의 길이는, 이들이 원형 배열되고 원 또는 원호의 형상을 갖는 경우, 그 평면상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중심각으로 설명될 수 있다. 구성요소가 원 또는 원호의 형상을 갖는 경우, 그 원주 방향으로의 실제 길이는 원 또는 원호의 중심각과 비례하기 때문이다. 즉, 원형 배열되거나 원호 형상의 구성요소의 길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중심각으로 표현되어 원주 방향으로의 길이로 이해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horizontal length L250 of the blocking protrusion 250 may be greater than the length L350p of the third passage opening 350p of the stopper 300. For example, the lower limit of the length L250 of the blocking protrusion 250 may be about 45° or more, or about 50° or more, or about 60° or more, or about 70° or more. In this specification, the length of the components such as the blocking protrusion 250, the second passage opening 250p, and the third passage opening 350p is the center of the planar center when they are circularly arranged and have the shape of a circle or arc. It can be explained as a central angle based on . This is because when a component has the shape of a circle or arc, the actual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proportional to the central angle of the circle or arc. In other words, the length of circularly arranged or arc-shaped components can be expressed as a central angle and understood as the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차단 돌기부(250)의 길이(L250)의 상한은 차단 돌기부(250)의 개수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차단 돌기부(250)의 길이(L250)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차단 돌기부(250)가 1개로 구비될 경우 약 340°일 수 있다. 또는 차단 돌기부(250)가 2개로 구비될 경우 약 160°일 수 있다. 또는 차단 돌기부(250)가 3개로 구비될 경우 약 100°일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된 겻과 같이 차단 돌기부(250)가 4개로 구비될 경우 약 80°, 또는 약 75°일 수 있다.The upper limit of the length L250 of the blocking protrusion 250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blocking protrusions 250, etc. The upper limit of the length L250 of the blocking protrusion 25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bout 340° when there is only one blocking protrusion 250. Alternatively, when two blocking protrusions 250 are provided, the angle may be about 160°. Alternatively, when three blocking protrusions 250 are provided, the angle may be about 100°. Alternatively, when four blocking protrusions 250 are provide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angle may be about 80°, or about 75°.

한편, 제2 통로 개구(250p)의 수평 길이(L250p)의 하한은 약 15° 이상, 또는 약 18° 이상, 또는 약 20°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통로 개구(250p)의 길이(L250p)는 차단 돌기부(250)의 길이(L250) 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통로 개구(250p)의 길이(L250p)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약 30° 이하, 또는 약 25° 이하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 제2 통로 개구(250p)의 길이는 제3 통로 개구(350p)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약 ±10% 범위 내, 또는 약 ±5%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3 통로 개구(350p)의 길이(L350p)는 제2 통로 개구(250p)의 길이(L250p) 보다 클 수도 있다.Meanwhile, the lower limit of the horizontal length L250p of the second passage opening 250p may be about 15° or more, about 18° or more, or about 20° or more. For example, the length L250p of the second passage opening 250p may be smaller than the length L250 of the blocking protrusion 250. The upper limit of the length L250p of the second passage opening 250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bout 30° or less, or about 25° or less. As a non-limiting example, the length of the second passage opening 250p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third passage opening 350p, or within a range of about ±10%, or within a range of about ±5%.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length (L350p) of the third passage opening (350p) may be greater than the length (L250p) of the second passage opening (250p).

전술한 캡 천장부(210), 캡 벽체부(230), 체결 바디부(280), 제2 결합부(290) 및 차단 돌기부(250)는 서로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described cap ceiling portion 210, cap wall portion 230, fastening body portion 280, second coupling portion 290, and blocking protrusion 25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without physical boundari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is.

마개(300)(또는 밀봉 캡, 또는 보존액 밀봉 수단, 또는 보존액 마개 수단)는 상부가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마개(300)는 용기 캡(200)의 캡 벽체부(230)가 형성하는 하부 개구를 덮어 보존액이 수용되는 공간을 밀봉하거나,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stopper 300 (or sealing cap, or preservative solution sealing means, or preservative solution plugging means) may have an open top. The stopper 300 may be configured to cover the lower opening formed by the cap wall portion 230 of the container cap 200 to seal or open the space in which the preservative liquid is accommodated.

마개(300)는 마개 바닥부(310), 마개 바닥부(31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마개 벽체부(330) 및 마개 바닥부(31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마개 격벽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pper 300 includes a stopper bottom 310, a stopper wall 330 protruding upward from the edge of the stopper bottom 310, and a stopper partition 350 protruding upward from the stopper bottom 310. It can be included.

마개 바닥부(310)는 대략 원 형상일 수 있다. 마개 바닥부(310)는 캡 천장부(210)와 제3 방향(Z)으로 이격 대향할 수 있다. 마개 바닥부(310)는 홀(310h)을 가질 수 있다. 홀(310h)은 평면상 대략 원호 형상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홀(310h)의 원주 방향으로의 최대 길이는 차단 돌기부(250)의 길이(L250) 보다 작을 수 있다. 홀(310h)은 용기 캡(200) 및 마개(30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수용된 보존액이 흘러내려 용기 본체(100)에 유입되는 유체 경로로 기능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 홀(310h)은 마개 바닥부(310)의 평면상 중심을 기준으로 약 90°의 각도로 회전 배열 또는 원형 배열되어 4개 제공될 수 있다.The stopper bottom 310 may be approximately circular in shape. The stopper bottom portion 310 may face the cap ceiling portion 210 and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hird direction (Z). The bottom of the stopper 310 may have a hole 310h. The hole 310h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arc shape in pla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maximum length of the hole 310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ay be smaller than the length L250 of the blocking protrusion 250. The hole 310h may function as a fluid path through which the preservative liquid contained in the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container cap 200 and the stopper 300 flows down and flows into the container body 100. As a non-limiting example, four holes 310h may be provided in a circular arrangement or a rotational arrangement at an angle of about 90° based on the planar center of the stopper bottom 310.

마개 벽체부(330)는 대략 환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마개 벽체부(330)의 하단은 마개 바닥부(31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마개 벽체부(330)는 용기 캡(200)의 캡 벽체부(230)와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개 벽체부(330)는 캡 벽체부(230)와 억지 끼움 결합되되, 마개 벽체부(330) 내에 캡 벽체부(230)가 삽입되고, 마개 벽체부(330)의 내측면이 캡 벽체부(230)의 외측면과 밀착되며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개 벽체부(330)의 내경은 캡 벽체부(230)의 외경 보다 클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억지 끼움 결합 가능한 정도의 적절한 내경을 가질 수 있다.The stopper wall portion 330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pillar shape. The lower end of the stopper wall part 330 may be closed by the stopper bottom part 310. The stopper wall portion 330 may form a coupling structure with the cap wall portion 230 of the container cap 200. For example, the cap wall portion 330 is press-fitted with the cap wall portion 230, and the cap wall portion 230 is inserted into the cap wall portion 33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wall portion 330 is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ap wall portion 230 and can be fitted. To this end, the inner diameter of the stopper wall portion 330 may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ap wall portion 23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n appropriate inner diameter to enable interference fit.

마개 벽체부(330)와 캡 벽체부(230)가 형성하는 끼움 결합은, 전술한 나사 조임 결합과 달리, 마개(300)와 용기 캡(200) 간의 상대적인 회전 정도와 마개(300)와 용기 캡(200) 간의 제3 방향(Z)(상하 방향)의 거리가 서로 독립적이고 자유로울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마개(300)와 용기 캡(200)은 그 상대적인 회전과 직선 운동이 상호 종속되지 않을 수 있다. 끼움 결합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비제한적인 예를 들어, 마개(300)의 회전이 고정된 상태에서, 캡(200)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높이를 유지하며 캡(200)만이 회전할 수도 있다. 다른 비제한적인 예를 들어, 마개(300)의 높이가 고정된 상태에서, 캡(200)은 회전하지 않고 캡(200)만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비제한적인 예를 들어, 마개(300)의 회전이 고정된 상태에서, 캡(200)은 제1 회전 정도(예컨대, 180°)를 회전하며 제1 거리만큼 캡(200)이 하방 이동하거나, 또는 캡(200)이 제2 회전 정도(예컨대, 270°)를 회전하며 상기 제1 거리만큼 캡(20)이 하방 이동할 수도 있다.The fitting coupling formed by the stopper wall portion 330 and the cap wall portion 230, unlike the above-described screw-fastening coupling, depends on the relative degree of rotation between the stopper 300 and the container cap 200 and the stopper 300 and the container cap. The distance in the third direction (Z) (up and down direction) between 200 may be independent and free. In other words, the relative rotation and linear motion of the stopper 300 and the container cap 200 may not be dependent on each other. As a non-limiting example to explain the fitting,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of the stopper 300 is fixed, the cap 200 maintains its height without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only the cap 200 may rotate. . For another non-limiting example, while the height of the stopper 300 is fixed, the cap 200 may not rotate and only the cap 200 may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another non-limiting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of the stopper 300 is fixed, the cap 200 rotates a first rotation degree (e.g., 180°) and the cap 200 moves downward by a first distance. Alternatively, the cap 200 may rotate a second rotation degree (eg, 270°) and the cap 20 may move downward by the first distance.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캡 벽체부(230)의 외측면 및 마개 벽체부(330)의 내측면에는 상호 끼움 상태 및 그에 따른 제3 방향(Z)으로의 초기 거리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홈과 돌기와 같은 끼움 결합 보조 구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캡 벽체부(230)와 마개 벽체부(330)들 각각의 외측면 및/또는 내측면에는 상호 맞닿거나 간섭할 수 있는 제3 방향(Z), 예컨대 상하 방향 유지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캡 벽체부(230) 상에 구비된 제1 상하 방향 유지 구조물과 마개 벽체부(330) 상에 구비된 제2 상하 방향 유지 구조물 간의 접촉, 간섭 등을 통해 강한 외력, 또는 회전이 제공되지 않고서는, 캡(200)과 마개(300)의 제3 방향(Z) 거리가 유지되도록, 다시 말해서 캡(200)과 마개(300)의 상대적인 제3 방향(Z) 위치가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ap wall part 23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topper wall part 330 have grooves and grooves to stably maintain the mutual fitting state and the initial distance in the third direction (Z) accordingly. A fitting auxiliary structure such as a protrusion may be formed.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outer and/or inner surfaces of each of the cap wall portion 230 and the stopper wall portion 330 are provided with a third direction (Z), for example, vertical direction holding structure that can contact or interfere with each other. can be provided. Unless a strong external force or rotation is provided through contact, interference, etc. between the first vertical direction holding structure provided on the cap wall portion 230 and the second vertical direction holding structure provided on the cap wall portion 330. , the distance between the cap 200 and the stopper 300 in the third direction (Z) may be maintained, that is, the relative third direction (Z) positions of the cap 200 and the stopper 300 may be maintained.

용기 본체(100)와 용기 캡(200)이 결합되고, 용기 캡(200)과 마개(300)가 결합되는 경우, 마개(300)는 용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마개(300)의 마개 벽체부(330)의 외경은 용기 본체(100)의 본체 벽체부(130)의 내경 보다 작고, 마개 벽체부(330)의 외주면은 본체 벽체부(130)의 내측면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When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container cap 200 are combined, and the container cap 200 and the stopper 300 are combined, the stopper 300 may be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body 100. At this time, the outer diameter of the stopper wall 330 of the stopper 300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main body wall 130 of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opper wall 330 is the inner diameter of the main body wall 130. It can be spaced apart laterally and horizontally.

또, 마개 벽체부(330)의 외주면에는 제2 스토퍼(37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토퍼(370)는 전술한 용기 본체(100)의 제1 스토퍼(170)와의 간섭을 야기하고, 이를 통해 용기 본체(100)에 대한 마개(300)의 회전 정도 및 마개(300)의 제3 방향(Z) 하강의 정도를 제한하는 구성일 수 있다. 도면은 제2 스토퍼(370)가 마개 벽체부(33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 형태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제1 스토퍼를 홈 형태로 형성하고 제2 스토퍼를 돌기 형태로 구성하거나, 또는 또 다른 형태로 마개(300)와 용기 본체(100) 간의 물리적 간섭을 야기하는 형태로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Additionally, a second stopper 370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opper wall portion 330. The second stopper 370 causes interference with the first stopper 170 of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rough this,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stopper 300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position of the stopper 300 are adjusted. It may be configured to limit the degree of descent in three directions (Z). The drawing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second stopper 370 is in the form of a groov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opper wall portion 33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 the first stopper in the form of a groove and configure the second stopper in the form of a protrusion, or in another form, create a physical barrier between the stopper 300 and the container body 100. It may be transformed into a form that causes interference.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토퍼(370)(또는 걸림 홈)는 마개 벽체부(330)의 하단에 형성되되, 일 방향으로 갈수록 제3 방향(Z)으로의 깊이가 커지며 스토퍼면(370s)이 노출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토퍼(370)는 마개 벽체부(330)의 외주면 하단에 형성되며, 마개(300)의 평면상 내측 방향, 그리고 하단에서 제3 방향(Z) 상측을 향해 만입된 홈일 수 있다. 마개 벽체부(330)의 외주면 측으로부터 함몰된 상기 홈은, 제3 방향(Z) 측에 위치한 단차인 경사면(370a) 및 측면 측에 위치한 단차로서 제3 방향(Z)이 속하는 평면 공간을 제공하는 스토퍼면(370s)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 등은 제2 스토퍼(370)가 4개 구비되며, 이들이 서로 인접하여 배열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즉, 제2 스토퍼(370)의 평면상 형상은 대략 호 형상이되, 호의 중심각은 약 90°, 예를 들어 약 90°±5%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The second stopper 370 (or locking groov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topper wall portion 330, and the depth in the third direction (Z) increases as it goes in one direction, and the stopper surface 370s increases. May include exposed structures. The second stopper 370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opper wall portion 330, and may be a groove indented in the inner direction on the plane of the stopper 300 and from the bottom towards the upper side in the third direction (Z). The groove recesse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opper wall portion 330 provides an inclined surface 370a, which is a step located on the third direction (Z) side, and a planar space to which the third direction (Z) belongs, which is a step located on the side. A stopper surface (370s) can be provided. Figure 5 and the like illustrate a case where four second stoppers 370 are provided and they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That is, the planar shape of the second stopper 370 is approximately arc-shaped, and the center angle of the arc may be within a range of approximately 90°, for example, approximately 90°±5%.

구체적으로, 도 6 및 도 7에 표현된 것과 같이, 마개 바닥부(310)가 하측을 향하도록 배열된 상태, 다시 말해서 마개(300)가 용기 캡(200)과 결합될 수 있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평면 시점에서, 걸림 홈(370)은 반시계 방향(counter-clock wise)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는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은 마개 바닥부(310)가 하측을 향하도록 배열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도 7과 같이 마개 바닥부(310)가 상측을 향하도록 마개(300)가 뒤집어진 상태에서, 평면상 시계 방향은 반시계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bottom portion of the stopper 310 is arranged to face downward, that is, the stopper 300 is arranged to be coupled to the container cap 200. , From a plan view, the locking groove 370 may have a shape whose depth increases counterclockwise. Here, the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s are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stopper bottom 310 is arranged to face downward. As shown in FIG. 7, the stopper 300 is turned over so that the stopper bottom 310 faces upward. In this state,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e plane can be understood as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즉, 용기 본체(100)가 고정된 상태에서, 그리고 마개(300)의 마개 바닥부(310)가 하측을 향하게 배치하고 마개(30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제1 스토퍼(170)(즉, 스토퍼 돌기)가 제2 스토퍼(370)(또는 걸림 홈, 또는 스토퍼 홈)에 삽입되며, 제2 스토퍼(370)의 깊이 변화를 따라 제1 스토퍼(170)가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소정의 정도로 회전한 후에, 제1 스토퍼(170)의 측면이 제2 스토퍼(370)의 스토퍼면(370s)과 밀착되며 더 이상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container body 100 is fixed, the stopper bottom 310 of the stopper 300 is placed facing downward, and the stopper 300 is rotated clockwise, the first stopper 170 ( That is, a stopper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topper 370 (or a locking groove, or a stopper groove), and the first stopper 170 can advance according to the change in depth of the second stopper 370. And after rotating to a predetermined degree, the side of the first stopper 170 may be configured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topper surface 370s of the second stopper 370 and further rotation may be restricted.

다시 말해서, 마개(300)가 용기 캡(200)과 억지 끼움 결합되고, 용기 캡(200)과 용기 본체(100)가 나사 조임 결합될 경우, 마개(300)와 용기 본체(100)는 상기 나사 조임 상태에 따라 소정의 배열 상태를 가질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stopper 300 is press-fitted to the container cap 200 and the container cap 200 and the container body 100 are screwed together, the stopper 300 and the container body 100 are screwed together. Depending on the tightening state, it may have a predetermined arrangement state.

이 때 용기 캡(200)과 용기 본체(100)가 충분히 나사 조임 결합된 어느 상태에서, 용기 본체(100)의 제1 스토퍼(170)(즉, 포스트)는 마개(300)의 어느 하나의 제2 스토퍼(370)(즉, 걸림 홈)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만일 제2 스토퍼(370)의 깊이가 작은 어느 위치에 제1 스토퍼(170)가 삽입될 경우, 제1 스토퍼(170)(즉, 포스트)의 상면과 제2 스토퍼(370)의 경사면(370a)은 맞닿고, 제1 스토퍼(170)의 상면과 제2 스토퍼(370)의 경사면이, 마개(300)의 제3 방향(Z) 하강을 저지하는 스토퍼로 기능할 수 있다(예컨대, 제1 상태).At this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cap 200 and the container body 100 are sufficiently screwed together, the first stopper 170 (i.e., post) of the container body 100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stoppers 300. 2 It may be at least partially inserted into the stopper 370 (i.e., the locking groove). If the first stopper 170 is inserted at a position where the depth of the second stopper 370 is small,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topper 170 (i.e., post) and the inclined surface 370a of the second stopper 370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topper 170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stopper 370 may function as a stopper to prevent the stopper 300 from descending in the third direction (Z) (e.g., in the first state ).

그리고 용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용기 캡(200)을 더욱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용기 캡(200)과 억지 끼움 결합된 마개(300)는, 용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용기 캡(200)과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용기 본체(100)가 고정된 상태, 다시 말해서 제1 스토퍼(17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이해할 경우, 제2 스토퍼(37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스토퍼(170)와 제2 스토퍼(370) 간의 상대적인 위치에 있어서 마치 제2 스토퍼(370) 내에 삽입된 제1 스토퍼(170)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제1 스토퍼(170)의 측면은 제2 스토퍼(370) 구조의 스토퍼면(370s)과 점차 가까워질 수 있다.And when the container cap 200 is further rotated 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body 100, the stopper 300 press-fitted with the container cap 200 is,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body 100, the container cap ( 200) can rotate clockwise. At this time, if it is understood that the container body 100 is in a fixed state, that is, the position of the first stopper 170 is fixed, the second stopper 370 rotates clockwise, and the first stopper 170 and In terms of the relative positions between the second stoppers 370,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stopper 170 inserted into the second stopper 370 moves counterclockwise. That is, the side of the first stopper 170 may gradually become closer to the stopper surface 370s of the second stopper 370 structure.

나아가 제2 스토퍼(370)가 평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갈수록 제3 방향(Z)으로의 만입 깊이가 깊어지는 형상임에 따라, 제1 스토퍼(170)(즉, 포스트)의 제2 스토퍼(370)(즉, 걸림 홈)로의 삽입 깊이는 더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위의 제1 상태와 비교할 때, 용기 본체(100) 및 제1 스토퍼(170)의 제3 방향(Z) 위치는 고정된 상태이지만, 제2 스토퍼(370)가 반시계 방향으로 갈수록 제3 방향(Z)으로의 깊이가 커지는 형상이기 때문에, 제1 상태에 비해 마개(300)는 더욱 하방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즉 본 상태(제2 상태)는 제1 상태에 비해 제1 스토퍼(170)가 더 많이 삽입되고, 마개(300)와 제1 스토퍼(170)가 수평 방향으로 중첩하는 길이가 더 클 수 있다.Furthermore, as the second stopper 370 has a shape in which the indentation depth in the third direction (Z) becomes deeper as it goes counterclockwise on the plane, the second stopper 370 of the first stopper 170 (i.e., the post) The insertion depth into the (i.e., catching groove) can be larger. Therefore, compared to the above first state, the third direction (Z) positions of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first stopper 170 are fixed, but as the second stopper 370 moves counterclockwise, the third direction (Z) positions of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first stopper 170 are fixed. Because the depth in the direction Z is shaped to increase, the stopper 300 may be able to move further downward compared to the first state. That is, in this state (second state), more first stoppers 170 are inserted than in the first state, and the length over which the stopper 300 and the first stopper 170 overlap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greater.

그리고 용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용기 캡(200)을 더욱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스토퍼(170)의 측면은 제2 스토퍼(370)의 스토퍼면(370s)과 맞닿고, 제1 스토퍼(170)의 측면과 스토퍼면(370s) 간의 간섭을 통해 더 이상의 마개(30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용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용기 캡(200)을 더욱 회전시키더라도, 용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하여 마개(300)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억지 끼움 결합된 상태인 용기 캡(200)과 마개(300)의 결합 관계에 있어서, 마개(300)를 기준으로 용기 캡(200)만이 회전할 수 있다.And when the container cap 200 is further rotated clockwise based on the container body 100,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stopper 170 is in contact with the stopper surface 370s of the second stopper 370, and the first stopper 170 is in contact with the stopper surface 370s of the second stopper 370. Further rotation of the stopper 300 may be restricted through interference between the side of 170 and the stopper surface 370s. In other words, even if the container cap 200 is further rotated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body 100, the stopper 300 may no longer rotate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refore is in an interference-fitted state. In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ainer cap 200 and the stopper 300, only the container cap 200 can rotate with respect to the stopper 300.

위와 같은 대략 쐐기 형상의 제2 스토퍼(370) 구조, 그리고 이와 간섭하는 용기 본체(100)의 제1 스토퍼(170)에 의해, 사용자가 용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용기 캡(200)만을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용기 본체(100), 용기 캡(200) 및 마개(300) 간의 회전 관계를 다변화시키고, 용기 캡(200)의 회전 상태와 무관하게, 용기 본체(100)와 마개(300) 간의 회전 정도에 따른 마개(300)의 제3 방향(Z) 높이, 다시 말해서 용기 본체(100)와 마개(300) 상호 간의 제3 방향(Z)으로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Due to the above roughly wedge-shaped second stopper 370 structure and the first stopper 170 of the container body 100 interfering with it, the user can rotate only the container cap 200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body 100. Even in this case, the rot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ainer body 100, the container cap 200, and the stopper 300 is varied, and the rot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stopper 300 is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rotation state of the container cap 200. The height of the stopper 300 in the third direction (Z)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that i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stopper 300 in the third direction (Z) can be adjusted.

한편, 마개 격벽부(350)(또는 마개 돌출부)는 대략 환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마개 격벽부(350)는 마개 바닥부(31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되, 평면상 마개 벽체부(330)에 의해 둘러싸이는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마개 벽체부(330)의 내측면과 마개 격벽부(350)의 외측면은 수평 방향으로 이격 대향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topper partition 350 (or stopper protrusion)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pillar shape. The plug partition wall portion 350 protrudes upward from the plug bottom portion 310 and may be surrounded by the plug wall portion 330 in plan view. Accordingly, the inner surface of the stopper wall part 33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topper partition wall part 35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용기 캡(200)과 마개(300)가 결합될 경우, 용기 캡(200)의 캡 벽체부(230) 및 차단 돌기부(250)는 마개(300)의 마개 벽체부(330)와 마개 격벽부(350) 사이의 이격 공간에 삽입되며 결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용기 캡(200)과 마개(300)는 용기 캡(200)의 캡 벽체부(230)의 외측면이 마개 벽체부(330)의 내측면과 밀착되는 억지 끼움 결합일 수 있다. 나아가, 캡 벽체부(230) 내에 마개 격벽부(350)가 삽입되고, 캡 벽체부(230)의 내측면이 마개 격벽부(350)의 외측면과 밀착되며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캡 벽체부(230)의 내경은 마개 격벽부(350)의 외경 보다 클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억지 끼움 결합 가능한 정도의 적절한 내경을 가질 수 있다.When the container cap 200 and the stopper 300 are combined, the cap wall portion 230 and the blocking protrusion 250 of the container cap 200 are connected to the stopper wall portion 330 and the stopper partition wall portion ( 350) can be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m and combin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cap 200 and the closure 300 may be an interference fit in which the outer surface of the cap wall portion 230 of the container cap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losure wall portion 330. Furthermore, the cap partition 350 may be inserted into the cap wall part 23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wall part 23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ap partition 350 and fitted. To this end, the inner diameter of the cap wall portion 230 may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topper partition 35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n appropriate inner diameter that allows interference fit.

또, 전술한 마개 바닥부(310)의 홀(310h)은 오직 마개 격벽부(350)와 마개 벽체부(330)의 사이 공간에만 위치하고, 마개 격벽부(350)에 의해 둘러싸이는 마개 격벽부(350)의 내측 공간에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마개 격벽부(350)에 의해 둘러싸이는 마개 바닥부(310) 공간은 유체가 통과하는 공간을 전혀 갖지 않을 수 있다. 마개 격벽부(350)의 제3 방향(Z)으로의 최대 돌출 길이는 마개 벽체부(330)의 제3 방향(Z)으로의 돌출 길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즉, 마개 격벽부(350)의 최상단의 높이는 마개 벽체부(330)의 최상단 높이 보다 낮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e 310h of the above-mentioned stopper bottom 310 is located only in the space between the stopper partition 350 and the stopper wall part 330, and the stopper partition wall portion ( 350) may not exist in the inner space. The space of the stopper bottom part 310 surrounded by the stopper partition 350 may not have any space for fluid to pass through. The maximum protrusion length of the stopper partition 350 in the third direction (Z) may be smaller than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stopper wall part 330 in the third direction (Z). That is, the height of the top of the stopper partition 350 may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top of the stopper wall part 330.

전술한 바와 같이 마개 격벽부(350)는 대략 환 기둥 형상을 가지되, 그 상면이 높낮이를 갖는 형상, 즉 평면상 대략 환 형상의 마개 격벽부(350)의 상면은 부분적으로 제3 방향(Z) 하측으로 만입되거나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만입된 부분은 제3 통로 개구(350p)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개 격벽부(350)의 형상은 완전한 환 기둥의 형상부 상측으로 돌기가 더 돌출된 형상으로 이해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제1 격벽부(351)(또는 제1 부분, 또는 제1 돌출부)와 제2 격벽부(352)(또는 제2 부분, 또는 제2 돌출부)가 상호 교번적으로 원형 배열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topper partition 350 has a substantially circular pillar shape, and its upper surface has a shape with heights,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partition 350, which is approximately annular in plan, is partially oriented in the third direction (Z). ) It may have a shape that is indented or depressed toward the bottom. The indented portion may be defined as a third passage opening 350p. The shape of the stopper partition 350 is understood as a shape in which protrusions are more protruding on the upper side of the shape of a complete ring pillar, or the first partition 351 (or the first part, or the first partition 351) having different heights. 1 protrusion)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portion 352 (or the second portion, or the second protrusion) may be understood as being alternately arranged in a circular manner.

예를 들어, 마개 격벽부(350)는 제1 높이(H1)를 갖는 제1 격벽부(351)(또는 제1 부분) 및 제1 높이(H1) 보다 작은 제2 높이(H2)를 갖는 제2 격벽부(352)(또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격벽부(351)와 제2 격벽부(352)는 상호 교번적으로 원형 배열되되, 서로 밀착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 제1 격벽부(351) 및 제2 격벽부(352)는 각각 마개 바닥부(310)의 평면상 중심을 기준으로 약 90°의 각도로 회전 배열 또는 원형 배열되어 4개씩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topper partition 350 includes a first partition 351 (or first portion) having a first height H1 and a second height H2 smaller than the first height H1. 2 may include a partition wall portion 352 (or a second portion). The first partition walls 351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s 352 may be arranged in an alternating circular manner and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s a non-limiting example, the first partition wall portion 351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portion 352 are each rotated or circularly arranged at an angle of about 90° with respect to the planar center of the stopper bottom portion 310, so that there are four of them. can be provided.

제1 격벽부(351)가 복수개로 구비된 경우, 서로 최인접한 제1 격벽부(351)의 사이에는 제3 통로 개구(350p)(또는 이격 공간, 또는 이격부, 또는 통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격벽부(351)가 4개로 제공되는 경우 제3 통로 개구(350p) 및 제2 격벽부(352) 또한 4개씩 정의될 수 있다. 서로 최인접한 2개의 제1 격벽부(351)의 측면 및 하나의 제2 격벽부(352)의 상면이 둘러싸는 대략 'ㄷ'자 형상의 공간이 제3 통로 개구(350p)로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격벽부(351)는 오직 한 개로 제공될 수 있고, 이 경우 평면상 원호(우호) 형상인 제1 격벽부(351)의 일측 측면과 타측 측면은 서로 이격되며, 상기 일측 측면과 타측 측면의 사이에 의해 제3 통로 개구가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격벽부(352) 및 제3 통로 개구는 1개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 후술할 바와 같이 제3 통로 개구(350p)와 홀(310h)은 소정의 관계로 정렬된 상태을 가지며, 제3 통로 개구(350p)(즉, 제2 격벽부(352))와 홀(310h)의 개수는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first partition walls 351 are provided, a third passage opening 350p (or separation space, or separation part, or passage part) will be formed between the first partition walls 351 that are closest to each other. You can. When four first partition walls 351 are provided, four third passage openings 350p and four second partition walls 352 may also be defined. An approximately U-shaped space surrounded by the side surfaces of the two first partition walls 351 that are closest to each other and the top surface of one second partition wall part 352 may be defined as the third passage opening 350p. . In another embodiment, only one first partition wall portion 351 may be provided, and in this cas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artition wall portion 351, which has a circular arc shape in pla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third passage opening may be defined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is case, there may be one second partition wall portion 352 and one third passage opening. As a non-limiting exampl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third passage opening 350p and the hole 310h are aligned in a predetermined relationship, and the third passage opening 350p (i.e., the second partition 352) The number of holes 310h may be provided the same.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3 통로 개구(350p)의 길이(L350p)(또는 제2 격벽부(352)의 길이)는 차단 돌기부(250)의 길이(L250) 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통로 개구(350p)의 길이(L350p)의 상한은 약 70° 미만, 또는 약 60° 이하/미만, 또는 약 50° 이하/미만, 또는 약 45° 이하/미만, 또는 약 40° 이하/미만, 또는 약 35° 이하/미만일 수 있다. 제3 통로 개구(350p)의 길이(L350p)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원활한 보존액의 흐름을 위해 약 15° 이상, 또는 약 18° 이상, 또는 약 20° 이상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length L350p of the third passage opening 350p (or the length of the second partition 352) may be smaller than the length L250 of the blocking protrusion 250. For example, the upper limit of the length L350p of the third passage opening 350p is less than about 70°, or less than/about 60°, or less than/about 50°, or less than/about 45°, or about It may be below/below 40°, or below/below about 35°. The lower limit of the length L350p of the third passage opening 350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bout 15° or more, about 18° or more, or about 20° or more for smooth flow of the preservation liquid.

한편, 제1 격벽부(351)의 길이(L351)의 하한은 약 45° 이상, 또는 약 50° 이상, 또는 약 60° 이상, 또는 약 70° 이상일 수 있다. 제1 격벽부(351)의 길이(L351)의 상한은 제1 격벽부(351)와 제2 격벽부(352)의 개수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1 격벽부(351)의 길이(L351)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제1 격벽부(351)가 1개로 구비될 경우 약 340°일 수 있다. 또는 제1 격벽부(351)가 2개로 구비될 경우 약 160°일 수 있다. 또는 제1 격벽부(351)가 3개로 구비될 경우 약 100°일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격벽부(351)가 4개로 구비될 경우 약 80°, 또는 약 75°일 수 있다. 한편, 마개(300)의 제3 통로 개구(350p)의 개수는 용기 캡(200)의 제2 통로 개구(250p)의 개수 보다 많거나, 동일할 수 있다.Meanwhile, the lower limit of the length L351 of the first partition 351 may be about 45° or more, about 50° or more, about 60° or more, or about 70° or more. The upper limit of the length L351 of the first partition 351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the first partition 351 and the second partition 352, etc. The upper limit of the length L351 of the first partition 35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bout 340° when there is only one first partition 351. Alternatively, when two first partition walls 351 are provided, the angle may be about 160°. Alternatively, when there are three first partition walls 351, the angle may be about 100°. Alternatively, when there are four first partition walls 351 as shown in the drawing, the angle may be about 80°, or about 75°. Meanwhile, the number of third passage openings 350p of the stopper 300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number of second passage openings 250p of the container cap 200.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격벽부(351)와 제2 격벽부(352)의 제1 높이(H1)와 제2 높이(H2)의 차이, 다시 말해서 제3 통로 개구(350p)의 제3 방향(Z) 길이는 차단 돌기부(250)의 제3 방향(Z)으로의 돌출 길이(H250)와 소정의 관계에 있을 수 있다. 제1 높이(H1)와 제2 높이(H2)의 차이는 차단 돌기부(250)의 돌출 길이(H250) 보다 작거나 실질적으로 같을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height H1 and the second height H2 of the first partition wall portion 351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portion 352, that is, the third height H2 of the third passage opening 350p The length in the direction (Z) may be in a predetermined relationship with the protrusion length (H250) of the blocking protrusion 250 in the third direction (Z).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height H1 and the second height H2 may be smaller than or substantially equal to the protrusion length H250 of the blocking protrusion 250.

또, 평면 시점에서, 제2 격벽부(352)(또는 제3 통로 개구(350p))는 홀(310h)과 방사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일 수 있다. 즉, 평면 시점에서, 마개 바닥부(3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격벽부(352)(또는 제3 통로 개구(350p))를 지나는 가상의 기준선은 홀(310h)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날 수 있다.Additionally, from a plan view, the second partition wall portion 352 (or the third passage opening 350p) may be aligned with the hole 310h in the radial direction. That is, from a plan view, the virtual reference line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stopper bottom 310 and passing through the second partition 352 (or the third passage opening 350p) is the hole 310h. can pass at least partially.

마개 바닥부(310)에 형성된 홀(310h)들 중 최인접한 홀(310h)들 간의 이격 거리는 용기 캡(200)의 차단 돌기부(250)의 길이(L2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더 클 수 있다.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most adjacent holes 310h among the holes 310h formed in the bottom of the stopper 310 may be substantially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length L250 of the blocking protrusion 250 of the container cap 200. there is.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만일 본 실시예와 달리 마개 격벽부(350)가 제3 통로 개구를 가지되, 상대적으로 작은 제2 높이(H2)의 제2 격벽부 없이, 오직 서로 이격된 제1 격벽부만으로 이루어지고 제1 격벽부 사이의 공간이 제3 통로 개구로 정의될 경우, 다시 말해서 제3 통로 개구의 하단이 마개 바닥부(310)에 의해 정의될 경우 제1 격벽부와 차단 돌기부(250) 간의 정렬에도 불구하고 차단 돌기부(250)와 마개 바닥부(310) 사이에 형성되는 미세한 틈으로 인해 액상의 보존액을 온전히 밀폐할 수 없다. 또, 후술할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 보존액 수용 공간을 밀봉하기 위해 결합되는 용기 캡(200)의 최하단, 예컨대 차단 돌기부(250)의 하단과 마개(300)의 마개 바닥부(310)는 소정 거리(D) 이격되어야 한다. 그러나 제2 격벽부(352)가 생략될 경우 상기 이격에 의해 보존액을 온전히 밀폐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제2 격벽부는 상기 이격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if,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opper partition 350 has a third passage opening, but does not have a second partition of a relatively small second height H2, only the plug partition 350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it is made up of only the first partition wall portion and the space between the first partition walls is defined as the third passage opening, that is, when the lower end of the third passage opening is defined by the stopper bottom portion 310, it is blocked from the first partition wall portion. Despite the alignment between the protrusions 250, the liquid preservative cannot be completely sealed due to the fine gap formed between the blocking protrusions 250 and the bottom of the stopper 310. 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initial state, the lowermost end of the container cap 200, for example, the bottom of the blocking protrusion 250, and the stopper bottom 310 of the stopper 300, which are coupled to seal the preservative solution accommodation space, ar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Must be separated. However, if the second partition 352 is omitted, the preservation liquid cannot be completely sealed due to the separation. In other words, the second partition wall may be necessary to secure the separation distance.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의 사용 및 구성요소 간의 배열 및 배치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se of the sample container 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the operational effects due to the arrangement and arrangement between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도 9 내지 도 12는 각각 검체 용기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사시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9는 용기 본체(100)에 검체(미도시)를 투입하기 위해 용기 본체(100)와 용기 캡(200)을 분해하되, 용기 캡(200)과 마개(300)가 결합된 초기 상태(제1 상태(10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용기 본체(100)와 용기 캡(200)이 제1 결합부(190) 및 제2 결합부(29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된 제2 상태(10b)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제1 결합부(190) 및 제2 결합부(290)에 의한 결합이 도 10에 비해 더 진행되고, 제1 스토퍼(170) 및 제2 스토퍼(370)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는 시점(제3 상태(10c))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제1 결합부(190) 및 제2 결합부(290)에 의한 결합이 도 11에 비해 더 진행되어 보존액 수용 공간이 개방된 제4 상태(10d)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s 9 to 12 are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sample container is used. Specifically, Figure 9 shows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container cap 200 being disassembled to introduce a sample (not shown) into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container cap 200 and the stopper 300 are initially combined.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first state 10a). FIG. 10 is a diagram showing a second state 10b in which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container cap 200 are at least partially coupled by the first coupling portion 19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90. Figure 11 shows the point at which the coupling by the first coupling part 19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290 progresses further compared to Figure 10, and interference by the first stopper 170 and the second stopper 370 occurs.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third state (10c)).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urth state 10d in which the coupling by the first coupling portion 19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90 progresses further compared to FIG. 11 and the preservative solution accommodating space is opened.

또, 도 13 내지 도 16은 각각 도 9 내지 도 12의 제1 상태(10a) 내지 제4 상태(10d)에서 검체 용기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7 내지 도 20은 각각 도 9 내지 도 12의 상태에서 용기 캡과 밀봉 마개의 배열을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도 21 내지 도 24는 각각 도 9 내지 도 12의 상태에서 용기 캡과 밀봉 마개의 배열을 나타낸 측면 투영도들이다.Additionally, FIGS. 13 to 16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sample container is used in the first state (10a) to the fourth state (10d) of FIGS. 9 to 12, respectively. Figures 17 to 20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container cap and sealing stopper in the states of Figures 9 to 12, respectively. Figures 21 to 24 are side projection views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container cap and sealing stopper in the states of Figures 9 to 12, respectively.

도 9 내지 도 20에서, 용기 본체(100)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용기 캡(200) 및/또는 마개(300)만이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었다. 도 21 내지 도 24에서, 마개(300)가 고정된 상태에서 용기 캡(200)이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었다.9 to 20, the container body 100 remains fixed without rotating, and only the container cap 200 and/or stopper 300 rotates. 21 to 24 show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cap 200 is rotated while the stopper 300 is fixed.

우선 도 9 등을 더 참조하면, 제1 상태(10a)에서 용기 본체(100)와 용기 캡(200)의 제1 결합부(190) 및 제2 결합부(290)는 상호 결합을 형성하지 않고 용기 본체(100)와 용기 캡(200)은 분해될 수 있다. 제1 상태(10a)에서 채취된 검체는 용기 본체(100) 내부에 투입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further to FIG. 9 and the like, in the first state 10a, the first coupling portion 19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90 of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container cap 200 do not form mutual coupling.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container cap 200 can be disassembled. The sample collected in the first state 10a may be put into the container body 100.

또, 제1 상태(10a)에서 용기 캡(200)과 마개(300)는 결합, 즉 끼움 결합이 형성된 상태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 캡(200)의 캡 벽체부(230) 및 차단 돌기부(25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개(300)의 마개 벽체부(330)의 내측면 및 마개 격벽부(350)의 외측면과 밀착되며 그 사이에 삽입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Additionally, in the first state 10a, the container cap 200 and the stopper 300 may be coupled, that is, fitted. As described above, the cap wall portion 230 and the blocking protrusion 250 of the container cap 200 are at least partial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losure wall portion 33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losure partition wall portion 350 of the closure 300. It is in close contact with and can be inserted between them.

이 때 용기 캡(200)의 최하단, 예컨대 차단 돌기부(250)의 최하단은 마개 벽체부(330)와 마개 격벽부(350) 사이에 삽입되되, 그 기저면, 예컨대 마개 바닥부(310)의 상면과 맞닿지 않고 소정의 거리(D) 만큼 제3 방향(Z)으로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거리(D)는 제1 높이(H1)와 제2 높이(H2)의 차이(즉, 제3 통로 개구(350p)의 제3 방향(Z) 길이) 및/또는 차단 돌기부(250)의 제3 방향(Z) 돌출 길이(H250) 보다 작을 수 있다. 소정의 거리(D)와 제3 통로 개구(350p) 및 차단 돌기부(250)의 제3 방향(Z) 길이가 상기 관계에 있을 때 후술할 제3 상태(10c)에서 제4 상태(10d)로의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st end of the container cap 200, for example, the lowest end of the blocking protrusion 250, is inserted between the stopper wall part 330 and the stopper partition 350, and its base surface,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bottom part 310, They may not be in contact but are spaced apart in the third direction (Z)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Here, the predetermined distance D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height H1 and the second height H2 (i.e., the third direction (Z) length of the third passage opening 350p) and/or the blocking protrusion 250. It may be smaller than the third direction (Z) protrusion length (H250). When the predetermined distance D and the length of the third passage opening 350p and the blocking protrusion 250 in the third direction (Z) are in the above relationship, from the third state 10c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fourth state 10d. Modification may be possible.

또한 제1 상태(10a)에서 차단 돌기부(250)는 제3 통로 개구(350p)와 방사 방향으로 중첩하도록 정렬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차단 돌기부(250)의 내측면은, 제1 격벽부(351)의 외측면의 수평 방향 가장자리 일부 및 제2 격벽부(352)의 외측면의 상부 일부와 맞닿아 차단 돌기부(250)가 제3 통로 개구(350p)를 밀폐할 수 있다. 또, 캡 벽체부(230)의 내측면 하단 일부는 제1 격벽부(351)의 외측면의 상단 일부와 맞닿은 상태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마개 격벽부(350)의 제3 통로 개구(350p)와 용기 캡(200)의 차단 돌기부(250)의 정렬을 이용해, 마개(300)와 용기 캡(200)이 함께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보존액(미도시)을 밀봉 수용한 상태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제1 상태(10a)에서 차단 돌기부(25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홀(310h)과 제3 방향(Z)으로 중첩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first state 10a, the blocking protrusion 250 may be aligned to overlap the third passage opening 350p in the radial direction.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ing protrusion 250 is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horizontal edg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artition 351 and the upper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artition 352, so that the blocking protrusion 250 is The third passage opening (350p) can be sealed. Additionally,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wall portion 230 may be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artition wall portion 351. In other words,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stopper 300 and the container cap 200 are sealed together is formed by aligning the third passage opening 350p of the stopper partition 350 with the blocking protrusion 250 of the container cap 200. It can be configured to form a state in which a preservation solution (not shown) is sealed and contained. Additionally, in the first state 10a, the blocking protrusion 250 may at least partially or completely overlap the hole 310h in the third direction (Z).

이어서 도 10 등을 더 참조하면, 제1 상태(10a)에서 검체를 용기 본체(100)에 투입한 후, 용기 캡(200)과 용기 본체(10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사 조임 결합할 수 있다. 즉, 제2 상태(10b)는 제1 스토퍼(170)와 제2 스토퍼(370)에 의한 회전 및 하강 제한이 일어나기 전에, 제1 결합부(190)와 제2 결합부(290) 간에 적어도 부분적인 결합이 형성된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Next, referring further to FIG. 10 and the like, after the sample is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body 100 in the first state 10a, the container cap 200 and the container body 100 may be at least partially screwed together. That is, the second state 10b is at least partially between the first coupling part 19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290 before rotation and lowering restrictions by the first stopper 170 and the second stopper 370 occur. It may mean the point in time when a positive bond was formed.

제1 결합부(190)와 제2 결합부(290)를 이용하여 제1 상태(10a)에서 제2 상태(10b)로의 결합이 진행되는 동안, 용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상호 결합된 용기 캡(200) 및 마개(300)는 함께 수평면 상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함께 제3 방향(Z)으로 하강 이동할 수 있다.While coupling from the first state 10a to the second state 10b is in progress us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19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90,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body 100, The container cap 200 and the stopper 300 may rotate clockwise on a horizontal plane and move downward together in the third direction (Z).

이어서 도 11을 더 참조하면, 제2 상태(10b)에서 용기 캡(200)과 용기 본체(100) 간의 나사 조임 결합이 더욱 진행되며 어느 순간 제3 상태(10c)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상태(10c)는 제1 결합부(190)와 제2 결합부(290) 간에 적어도 부분적인 결합된 상태에서, 동시에 제1 스토퍼(170)와 제2 스토퍼(370)에 의해 용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마개(300)의 회전 및 하강이 제한되는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상태(10b)에서 제3 상태(10c)로 변화하는 동안에는 용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용기 캡(200) 및 마개(300)는 함꼐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3 방향(Z)으로 하강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상태(10a)에서 제3 상태(10c)까지, 용기 캡(200)과 마개(300)는 상호 간의 결합 상태가 변화하지 않고, 상호 간의 회전 정도 및 제3 방향(Z) 위치 등 상대적인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Next, referring further to FIG. 11 , the screw-fastening coupling between the container cap 200 and the container body 100 progresses further in the second state 10b, and at some point, a third state 10c may be formed. The third state 10c is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upling portion 19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90 are at least partially coupled, and at the same time, the container body ( This may mean a point in time when the rotation and descent of the stopper 300 is limited based on 100). In other words, while changing from the second state 10b to the third state 10c,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body 100, the container cap 200 and the stopper 300 rotate clockwise together and move in the third direction ( Z) can move downward. In other words, from the first state 10a to the third state 10c, the coupling state of the container cap 200 and the stopper 300 does not change, and the rotation degree and third direction (Z) position of the container cap 200 and the stopper 300 do not change. etc., the relative positions can be maintained.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2 상태(10b)에서 제3 상태(10c)로 변화하는 동안, 용기 본체(100)의 본체 벽체부(130)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의 제1 스토퍼(170)는 마개(300)의 마개 벽체부(330)의 외측면에 형성된 홈 형상의 제2 스토퍼(370)에 삽입되고, 어느 순간(즉, 제3 상태(10c)) 제1 스토퍼(170)의 측면이 제2 스토퍼(370)의 스토퍼면(370s)과 물리적으로 간섭하며 마개(300)의 추가적인 회전 및 제3 방향(Z) 하강이 제한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ile changing from the second state 10b to the third state 10c, the first stopper 170 in the shape of a protrusion protruding inward from the main body wall portion 130 of the container body 100 is a stopper. It is inserted into the groove-shaped second stopper 37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opper wall portion 330 of (300), and at some moment (i.e., in the third state 10c), the side of the first stopper 170 is 2. It physically interferes with the stopper surface 370s of the stopper 370, and further rotation and descent in the third direction (Z) of the stopper 300 may be restricted.

이어서 도 12 등을 더 참조하면, 제3 상태(10c)에서 용기 캡(200)과 용기 본체(100) 간의 나사 조임 결합이 더욱 진행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제3 상태(10c)에서 용기 본체(100)의 제1 스토퍼(170)와 마개(300)의 제2 스토퍼(370)의 간섭이 야기되며, 제3 상태(10c) 이후에 마개(300)의 추가적인 회전 및 하강은 이루어질 수 있다.Next, referring further to FIG. 12 and the like, the screw-fastening coupling between the container cap 200 and the container body 100 may proceed further in the third state 10c. In the third state 10c described above, interference occurs between the first stopper 170 of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second stopper 370 of the stopper 300, and after the third state 10c, the stopper 300 ) can be further rotated and lowered.

반면 용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용기 캡(200)은 계속해서 수평면 상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3 방향(Z)으로 추가적인 하강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상태(10c)에서 제4 상태(10d)에 이르는 동안, 용기 캡(200)과 마개(300) 간의 상대적인 회전 정도가 변화하고, 상대적인 제3 방향(Z) 거리가 변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3 상태(10c)에서 마개(300)의 위치가 고정된 이후 용기 캡(200)은 더 회전하며 하강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상태(10c)에서 제4 상태(10d)까지 용기 캡(200)이 제3 방향(Z)으로 추가 하강 이동하는 거리는 전술한 소정의 이격 거리(D)와 대략 상응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제1 상태(10a) 내지 제3 상태(10c)에서와 달리, 차단 돌기부(250)와 제3 통로 개구(350p) 간의 정렬이 틀어지며, 차단 제3 통로 개구(350p)의 적어도 일부는 차단 돌기부(250)에 의해 차폐 내지는 차단되지 않고 개방될 수 있다. 즉, 용기 캡(200)의 차단 돌기부(250)가 이격되어 형성된 제2 통로 개구(250p)와 마개(300)의 마개 격벽부(350)의 제3 통로 개구(350p)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사 방향으로 정렬되거나 중첩하여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통로 개구(250p)와 제3 통로 개구(350p)가 연결되어 형성된 상기 개방된 틈을 통해 보존액이 흘러나오고, 마개 바닥부(310)의 홀(310h)을 통해 용기 본체(100) 측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ased on the container body 100, the container cap 200 continues to rotate clockwise on the horizontal plane and may make an additional downward movement in the third direction (Z). Accordingly, while reaching from the third state 10c to the fourth state 10d, the relative degree of rotation between the container cap 200 and the stopper 300 changes, and the relative distance in the third direction (Z) may change. . In other words, after the position of the stopper 300 is fixed in the third state 10c, the container cap 200 may further rotate and move downward. Here, the distance by which the container cap 200 moves further downward in the third direction (Z) from the third state 10c to the fourth state 10d may approximately correspond to the predetermined separation distance D described above. Through this, unlike in the first state 10a to the third state 10c, the alignment between the blocking protrusion 250 and the third passage opening 350p is misaligne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blocking third passage opening 350p Can be opened without being shielded or blocked by the blocking protrusion 250. That is, the second passage opening 250p formed by the blocking protrusion 250 of the container cap 20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third passage opening 350p of the stopper partition 350 of the stopper 300 are at least partially in the radial direction. It can be aligned or overlapped and connected. And the preservative liquid flows out through the open gap formed by connecting the second passage opening 250p and the third passage opening 350p, and toward the container body 100 through the hole 310h of the bottom of the stopper 310. It can flow.

몇몇 실시예에서, 제4 상태(10d)에서, 차단 돌기부(250)의 하단은 마개(300)의 마개 바닥부(310)의 상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닿을 수 있다. 또, 차단 돌기부(25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개(300)의 홀(310h)과 제3 방향(Z)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중첩하거나, 차단 돌기부(250)는 홀(310h)과 제3 방향(Z)으로 완전히 비중첩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in the fourth state 10d, the lower end of the blocking protrusion 250 may at least partially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bottom 310 of the stopper 300. In addition, the blocking protrusion 250 at least partially overlaps the hole 310h of the stopper 300 in the third direction (Z), or the blocking protrusion 250 overlaps the hole 310h and the third direction (Z). Z) can be completely non-overlapping.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focuses 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not exemplified above ar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상에서 예시된 기술 사상의 변경물, 균등물 내지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of the technical ideas exemplified abo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And these variations and differences in applica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 검체 용기
100: 용기 본체
110: 본체 바닥부
130: 본체 벽체부
200: 용기 캡
210: 캡 천장부
230: 캡 벽체부
300: 밀봉 마개
310: 마개 바닥부
330: 마개 벽체부
10: Sample container
100: container body
110: Body bottom
130: Main body wall part
200: container cap
210: Cap ceiling portion
230: Cap wall portion
300: sealing stopper
310: bottom of the stopper
330: Stopper wall part

Claims (6)

홀을 갖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벽체부를 포함하는, 검체 용기용 유로 제공 부재로서,
상기 벽체부의 하단 외주면은 홈을 가지되,
상기 바닥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홈은, 평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만입된 깊이가 커지는 형상인,
검체 용기용 유로 제공 부재.
a bottom portion having a hole; and a wall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edge of the bottom portion, comprising: a flow path providing member for a sample container,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ll portion has a groove,
In a state in which the bottom portion is arranged to face downward, the groove has a shape in which the depth of the groove increases toward the top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on a plane,
No flow path provided for sample container.
본체 바닥부 및 상기 본체 바닥부 상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포스트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와 나사 조임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액체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용기 캡; 및 상기 용기 캡의 하단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홀을 갖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벽체부를 포함하는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부재의 하단 외주면은 걸림 홈을 가지고,
상기 바닥부가 하측으로 향하도록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 홈은, 평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갈수록 깊이가 커지는 형상인 검체 용기.
a container body including a body bottom and a post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dy bottom; a container cap configured to be screwed to the container body and providing a liquid receiving space; and a member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cap, including a bottom portion having a hole and a wall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portion,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ember has a locking groove,
A sample container in which the bottom portion is arranged to face downward, and the locking groove has a shape whose depth increas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a plan view.
본체 바닥부 및 상기 본체 바닥부 상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포스트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와 나사 조임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액체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용기 캡; 및 상기 용기 캡의 하단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홀을 갖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벽체부를 포함하는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부재의 하단 외주면은 걸림 홈을 가지고,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캡이 결합되고 상기 캡의 하부에 상기 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캡을 회전시킬 경우, 상기 캡과 부재가 함께 회전하며 하방 이동하고,
상기 캡을 더욱 회전시킬 경우, 상기 포스트의 측면과 상기 걸림 홈의 측면 단차 간의 간섭으로 인해, 상기 부재의 더 이상의 회전 및 하방 이동이 저지되는 반면, 상기 캡은 더 회전하며 하방 이동하도록 구성된 검체 용기.
a container body including a body bottom and a post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dy bottom; a container cap configured to be screwed to the container body and providing a liquid receiving space; and a member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cap, including a bottom portion having a hole and a wall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portion,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ember has a locking groove,
In a state where the cap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member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cap, based on the container body,
When the cap is rotated, the cap and the member rotate together and move downward,
When the cap is further rotated, further rotation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member is prevented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side of the post and the side step of the locking groove, while the cap is configured to rotate further and move downward.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과 부재가 함께 회전할 때, 상기 캡과 부재 간의 상하 방향으로의 상대적 위치는 유지되고,
상기 캡과 부재가 함께 회전할 때, 상기 본체 바닥부와 상기 부재 간의 이격 거리는 감소하는, 검체 용기.
According to paragraph 3,
When the cap and the member rotate together,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cap and the memb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maintained,
When the cap and the member rotate together,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bottom of the body and the member decreas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과 부재가 함께 회전할 때, 상기 포스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걸림 홈에 삽입되어, 상기 포스트와 상기 부재가 수평 방향으로 중첩된 상태이고,
상기 캡과 부재가 함께 회전할 때, 상기 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포스트는 상기 걸림 홈 내에서 평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하며, 상기 걸림 홈으로의 삽입 깊이가 증가하고,
상기 포스트의 측면과 상기 걸림 홈의 측면 단차가 맞닿아 간섭된 상태에서, 상기 포스트의 상면은, 상기 걸림 홈의 상측 단차 경사면과 맞닿는 검체 용기.
According to paragraph 3,
When the cap and the member rotate together, the post is at least partially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so that the post and the member overlap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cap and the member rotate together, with respect to the member, the post moves counterclockwise in the plane within the locking groove, and the insertion depth into the locking groove increases,
A sample container in which the side surface of the post and the side step of the locking groov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ost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tep inclined surface of the locking groove.
삭제delete
KR1020230118121A 2023-03-06 2023-09-06 Specimen container KR10266405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9284 2023-03-06
KR20230029284 2023-03-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4054B1 true KR102664054B1 (en) 2024-05-08

Family

ID=91073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8121A KR102664054B1 (en) 2023-03-06 2023-09-06 Specimen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4054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745B1 (en) * 2016-11-16 2017-05-29 김종민 Specimen container for preserving tissue
KR20180113078A (en) * 2017-04-05 2018-10-15 김종옥 Container for preserving tissue
KR20190001030U (en) * 2019-04-23 2019-05-02 김종민 Filtering member for cytology diagnose including protrusions, and specimen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KR101987754B1 (en) * 2018-12-24 2019-06-12 주식회사 덴오믹스 Container for oral diseases examination and examination kit including the same
KR20190143695A (en) * 2018-06-21 2019-12-31 유주티엔씨(주) Sample container
KR102069602B1 (en) * 2018-10-15 2020-01-23 주식회사 알엠생명과학 Biopsy Container
KR102159936B1 (en) * 2019-05-21 2020-09-25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Specimen vial container configured to mix plurality of liquid by pressing cap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745B1 (en) * 2016-11-16 2017-05-29 김종민 Specimen container for preserving tissue
KR20180113078A (en) * 2017-04-05 2018-10-15 김종옥 Container for preserving tissue
KR20190143695A (en) * 2018-06-21 2019-12-31 유주티엔씨(주) Sample container
KR102069602B1 (en) * 2018-10-15 2020-01-23 주식회사 알엠생명과학 Biopsy Container
KR101987754B1 (en) * 2018-12-24 2019-06-12 주식회사 덴오믹스 Container for oral diseases examination and examination kit including the same
KR20190001030U (en) * 2019-04-23 2019-05-02 김종민 Filtering member for cytology diagnose including protrusions, and specimen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KR102159936B1 (en) * 2019-05-21 2020-09-25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Specimen vial container configured to mix plurality of liquid by pressing cap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R 10-1934819 B1 (특허문헌 2) KR 20-0490307 Y1 (특허문헌 3) KR 10-2056068 B1 (특허문헌 4) KR 10-2436698 B1 (특허문헌 5) KR 20-0490214 Y1 (특허문헌 6) KR 10-2020-0134132 A (특허문헌 7) KR 10-2020-0134133 A (특허문헌 8) KR 10-2020-0134134 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052B1 (en) Container for preserving specimen
CA2211218C (en) Ball and socket closure
US20020048819A1 (en) Test strip for use in an apparatus for sampling and testing a specimen
WO2003087776A1 (en) Apparatus for sampling and testing a specimen
US20090024055A1 (en) All-in-one biological specimen collecting, transporting and analyzing device
US7128228B2 (en) Container closure
US7554658B2 (en) Cuvette and cuvette cap
KR102565657B1 (en) Specimen container with sealed preserving solution
KR102380025B1 (en) Safe preservation container for human tissue
KR102664054B1 (en) Specimen container
EP1435254B1 (en) Tube closure with removable septum
KR101934819B1 (en) Specimen container
KR102539681B1 (en) Clinical specimen container with normal saline inside
US6055872A (en) Push-pull valve for gas sampling bags
KR102436698B1 (en) Specimen container
KR102645241B1 (en) Safety vessel for biological tissue
JP2022552427A (en) Containers for biological samples and methods for their storage
KR101934186B1 (en) A specimen cup that can store and move the sample
CA2425624C (en) Apparatus for sampling and testing a specimen
WO2020149795A1 (en) A reagent preparation device
KR102671153B1 (en) Specimen container
CN220343382U (en) Device for processing biological samples
JP7221301B2 (en) Closure for biological fluid collection device
EP3512779B1 (en) Container having internal thumb tab and related assemblies
KR102453700B1 (en) Chamber for centrifuge device and centrifuge device compri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