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698B1 - Specimen container - Google Patents

Specimen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698B1
KR102436698B1 KR1020180170859A KR20180170859A KR102436698B1 KR 102436698 B1 KR102436698 B1 KR 102436698B1 KR 1020180170859 A KR1020180170859 A KR 1020180170859A KR 20180170859 A KR20180170859 A KR 20180170859A KR 102436698 B1 KR102436698 B1 KR 102436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eans
container
cap
specimen
contain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8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34454A (en
Inventor
진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진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5870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934819B1/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진영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80170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698B1/en
Publication of KR20190134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4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6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36Mechanical aspects
    • A01N1/0263Non-refrigerated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or storing living parts whilst preserving, e.g. cool boxes, blood bags or "straws" for cryopre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6Reagents, handling or stor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4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pierceable, e.g. films,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01L2300/047Additional chamber,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72Integrated pierc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32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cylindrical, tube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2Specific details about materials
    • B01L2300/123Flexible; Elastomer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상부가 개방된 검체 수용부; 및 상기 검체 수용부의 상측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환형의 체결 바디를 포함하는 캡부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 바디의 내경은 상기 검체 수용부의 외경 보다 크고, 상기 검체 수용부는 제1 용기 결합 수단, 및 상기 제1 용기 결합 수단 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제2 용기 결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바디는 상기 제1 용기 결합 수단과 결합 구조를 형성하는 제1 캡부 결합 수단, 및 상기 제1 캡부 결합 수단 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용기 결합 수단과 결합 구조를 형성하는 제2 캡부 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검체 용기가 제공된다.a specimen receiving unit with an open top; and a cap part including an annular fastening body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sample receiving part, wherein an inner diameter of the fastening body is larg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sample receiving part, and the sample receiving part includes a first container coupling means, and the first container coupling means; and a second container coupling means positioned above the first container coupling means, wherein the fastening body includes a first cap coupling means forming a coupling structure with the first container coupling means, and above the first cap coupling means. There is provided a specimen container including a second cap part coupling means positioned and forming a coupling structure with the second container coupling means.

Description

검체 용기{SPECIMEN CONTAINER}Specimen container {SPECIMEN CONTAINER}

본 발명은 검체 보존을 위한 검체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cimen container for specimen storage.

검체 용기는 세포학적 진단을 위해 피검자로부터 채취한 조직 또는 체액 등의 검체를 수용, 보관, 운반할 수 있도록 보존하는 용기이다. 채취된 검체는 검체 용기 내에 보관되거나, 또는 포르말린 용액 등의 보존액에 희석, 혼합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Specimen container is a container for storing, storing, and transporting samples such as tissues or body fluids collected from a subject for cytological diagnosis. The collected specimen may be stored in a specimen container, or it may be stored in a diluted or mixed state in a preservative such as formalin solution.

포르말린 용액은 휘발성이 있고 독성이 있어 사람에게 위험하므로 취급시 주의가 요구된다. 이러한 이유로 검체 용기에 포르말린 용액을 주입할 때 사용자는 방독면을 착용하여 휘발된 포르말린을 흡입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Since formalin solution is volatile and toxic to humans, caution is required when handling. For this reason, when injecting the formalin solution into the sample container, the user should wear a gas mask to avoid inhaling the volatilized formalin.

특허문헌 1은 캡부의 누름부에 외력을 가하여 절취 유닛을 하방 이동시킴으로써 밀봉 시트를 절개하고, 조직 보존액과 조직을 혼합할 수 있는 검체 용기를 개시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검체 용기는 절취 유닛이 밀봉 시트를 절개할 수 있을 정도로 강한 외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초래하는 한계가 있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specimen container capable of cutting the sealing sheet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pressing part of the cap and moving the cutting unit downward, and mixing the tissue preserving solution with the tissue. However, the specimen containe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has a limitation in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user because the cutting unit requires an external force strong enough to cut the sealing sheet.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6745 B1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36745 B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검체 및 보존액에 대한 보존 안정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보다 용이한 방법으로 검체와 보존액을 혼합할 수 있는 검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mple container capable of mixing a sample and a preservative solution in an easier way while improving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sample and the preservative solution.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검체 수용부; 및 상기 검체 수용부의 상측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환형의 체결 바디를 포함하는 캡부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 바디의 내경은 상기 검체 수용부의 외경 보다 크고, 상기 검체 수용부는 제1 용기 결합 수단, 및 상기 제1 용기 결합 수단 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제2 용기 결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바디는 상기 제1 용기 결합 수단과 결합 구조를 형성하는 제1 캡부 결합 수단, 및 상기 제1 캡부 결합 수단 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용기 결합 수단과 결합 구조를 형성하는 제2 캡부 결합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어느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제1 용기 유닛으로서, 제1-1 결합 수단 및 제1-2 결합 수단을 갖는 제1 용기 유닛; 상기 제1 용기 유닛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2 용기 유닛으로서, 상기 제1-1 결합 수단과 체결되는 제2-1 결합 수단, 및 상기 제1-2 결합 수단과 체결되는 제2-2 결합 수단을 갖는 제2 용기 유닛; 상기 제2 용기 유닛의 하부 개구를 밀폐하는 밀봉 시트; 및 상기 제2 용기 유닛과 결합되고,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용기 유닛과 직접적인 결합 구조를 형성하지 않는 절개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2 결합 수단과 제2-2 결합 수단이 체결되면 상기 돌출부가 밀봉 시트를 절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1 결합 수단과 제1-2 결합 수단 간의 최단 이격 거리는, 상기 제2-1 결합 수단과 제2-2 결합 수단 간의 최단 이격 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용기 유닛과 제2 용기 유닛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절개 유닛은 상기 제1 용기 유닛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절개 유닛과 제2 용기 유닛의 결합은, 상기 제2-1 결합 수단 및 제2-2 결합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1 결합 수단 또는 제2-1 결합 수단 중 어느 하나는 평면상 환 형상의 돌출 턱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1 결합 수단과 제2-1 결합 수단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용기 유닛과 제2 용기 유닛의 상대적인 회전에도 불구하고 체결 상태가 변화하지 않으며, 상기 제1-2 결합 수단과 제2-2 결합 수단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1 결합 수단 및 제2-1 결합 수단은 체결 구조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A specime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specimen receiving part having an open upper part; and a cap part including an annular fastening body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sample receiving part, wherein an inner diameter of the fastening body is larg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sample receiving part, and the sample receiving part includes a first container coupling means, and the first container coupling means; and a second container coupling means positioned above the first container coupling means, wherein the fastening body includes a first cap coupling means forming a coupling structure with the first container coupling means, and above the first cap coupling means. and a second cap portion coupling means positioned and forming a coupling structure with the second container coupling means.
A sampl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tainer unit with an open top, the first container unit having a 1-1 coupling means and a 1-2 coupling means; A second container unit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ntainer unit, a 2-1 coupling means coupled to the 1-1 coupling means, and a 2-2 coupling means coupled to the 1-2 coupling means a second container unit having a; a sealing sheet sealing the lower opening of the second container unit; and a cutting unit coupled to the second container unit, including a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and not forming a direct coupling structure with the first container unit, wherein the 1-2 coupling means and the 2-2 When the coupling means is engaged, the protrusion is configured to cut the sealing sheet.
The shortest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1-1 coupling means and the 1-2 coupling means may be smaller than the shortest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2-1 coupling means and the 2-2 coupling mean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tainer unit and the second container unit are coupled, the cutting unit is located in the first container unit, and the coupling of the cutting unit and the second container unit is performed by the 2-1 coupling means and the second -2 Can be coupled without using coupling means.
Any one of the 1-1 coupling means or the 2-1 coupling means has a protruding jaw shape of a planar annular shape, and in a state in which the 1-1 coupling means and the 2-1 coupling means are fastened, the In spite of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first container unit and the second container unit, the fastening state does not change, 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1-2 coupling means and the 2-2 coupling means are fastened, the 1-1 coupling means and The 2-1 coupling means may not form a fastening structure.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는 보존액이 수용된 캡부 및 검체가 수용된 검체 수용부 간의 나사 조임을 통해 밀봉 시트를 절개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한 방법으로 검체와 보존액을 혼합할 수 있다.In the sampl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ling sheet can be cut through the screw tightening between the cap part containing the preservative solution and the sample receiving part containing the sample, so that the sample and the preservative solution can be mixed in an easier way.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Eff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검체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검체 용기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슬릿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검체 용기의 캡부와 검체 수용부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검체 용기의 캡부와 검체 수용부가 클립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검체 용기의 캡부와 검체 수용부가 나사 조임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ecime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pecimen container of FIG. 1 .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specimen container of FIG. 2 .
FIG. 4 is a plan view of the slit portion of FIG. 1 .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ap portion and a sample receiving portion of the sample container of FIG. 1 are disassembled.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p portion and the sample receiving portion of the sample container of FIG. 1 are clip coupled.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ap portion and the sample receiving portion of the sample container of FIG. 1 are screwed together.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a correlation between an element or components and other elements o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includ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device when used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s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an element shown in the drawing is turned over, an elem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f another element may be placed 'above' of the other element. Accordingly,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both the downward and upward directio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검체 용기(1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검체 용기(10)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슬릿부(300)의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ecimen contain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pecimen container 10 of FIG. 1 .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specimen container 10 of FIG. 2 . 4 is a plan view of the slit part 300 of FIG. 1 .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는 제1 내부 공간(S1)을 갖는 캡부(100), 제2 내부 공간(S2)을 갖는 검체 수용부(200) 및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 사이에 위치하는 슬릿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sample contain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ap part 100 having a first internal space S1, a sample receiving part 200 having a second internal space S2, and It may include a slit part 300 positioned between the cap part 100 and the sample receiving part 200 .

캡부(100)의 제1 내부 공간(S1)은 밀폐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부 공간(S1)은 비어 있거나, 또는 포르말린 용액 등의 보존액(400)이 수용된 상태일 수 있다. 휘발성 및/또는 독성을 갖는 보존액(400)을 완전히 밀폐된 제1 내부 공간(S1)에 수용함으로써 검체(미도시)와 보존액(400)의 혼합 과정에서 사용자가 보존액(400)에 노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inner space S1 of the cap part 100 may be in a sealed state. For example, the first internal space S1 may be empty, or a preservative solution 400 such as a formalin solution may be accommodated. By accommodating the volatile and/or toxic preservative solution 400 in the completely sealed first internal space S1, exposure of the user to the preservative solution 400 is delayed during the mixing process of the sample (not shown) and the preservative solution 400 . can be prevented in

캡부(100)는 대략 환형의 체결 바디(110), 환형의 체결 바디(110)의 내주면 상부측에 배치된 천정부(130), 천정부(130)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원통형의 측벽부(150) 및 측벽부(150)의 하단에 배치된 밀봉 시트(170)를 포함할 수 있다.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가 체결된 상태에서 캡부(100)의 측벽부(150)의 적어도 일부 및 밀봉 시트(170)는 검체 수용부(200) 내에 위치할 수 있다.The cap part 100 includes a substantially annular fastening body 110, a ceiling 13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nular fastening body 110, a cylindrical side wall 150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ceiling 130, and It may include a sealing sheet 170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150 . In a state in which the cap part 100 and the specimen accommodating part 200 are fastened,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wall part 150 of the cap part 100 and the sealing sheet 170 may be located in the specimen accommodating part 200 .

체결 바디(110)는 검체 수용부(200)와 결합을 형성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환형의 체결 바디(110)는 검체 수용부(200)와 가역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제1 캡부 결합 수단(111) 및 제2 캡부 결합 수단(11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가역적 결합 수단'은 체결과 해제가 반복적으로 가능한 결합 수단을 의미한다.The fastening body 110 may be a part that forms a coupling with the sample receiving unit 200 . For example, the annular fastening body 110 may include a first cap coupling unit 111 and a second cap coupling unit 113 that may be reversibly coupled to the sample receiving unit 200 . As used herein, the term 'reversible coupling means' means a coupling means that can be repeatedly fastened and released.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캡부 결합 수단(111)은 끼움 결합 내지는 클립 결합이 가능한 홈 내지는 트렌치를 포함하고, 제2 캡부 결합 수단(113)은 나사 조임 결합이 가능한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캡부 결합 수단(111) 및 제2 캡부 결합 수단(113)은 각각 체결 바디(110)의 내주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 제2 캡부 결합 수단(113)은 제1 캡부 결합 수단(111)에 비해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캡부 결합 수단(111) 및 제2 캡부 결합 수단(113)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cap coupling means 111 may include a groove or trench capable of fitting or clip coupling, and the second cap coupling means 113 may include a thread capable of screwing coupling. The first cap coupling means 111 and the second cap coupling means 113 may be respectively position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body 110 . In addition, the second cap portion coupling means 113 may be located above the first cap portion coupling means 111 . The first cap coupling means 111 and the second cap coupling means 11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천정부(130)는 체결 바디(110)의 내주면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천정부(130)는 측벽부(150)의 상단에 배치되어 캡부(100)의 상단을 이루는 덮개를 형성할 수 있다.The ceiling 13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body 110 . The ceiling portion 13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150 to form a cover constituting the upper end of the cap portion 100 .

측벽부(150)는 천정부(130)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측벽부(150)는 체결 바디(110) 및 천정부(130)와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측벽부(150), 체결 바디(110) 및 천정부(130)는 상대적으로 우수한 강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부(150)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측벽부(150)의 상단은 천정부(130)와 맞닿고 측벽부(150)의 하단은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The side wall part 150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part 130 . The side wall part 15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astening body 110 and the ceiling part 130 without a physical boundary. The side wall portion 150 , the fastening body 110 , and the ceiling portion 130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relatively excellent rigidity. The side wall 150 may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150 may be in contact with the ceiling 130 and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150 may be in an open state.

또, 측벽부(15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체결 바디(11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부(150)의 외경은 체결 바디(110)의 내경에 비해 작을 수 있다. 측벽부(150)의 외주면은 체결 바디(110)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측벽부(150)와 체결 바디(110)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천정부(130)의 하면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 wall part 150 may be at least partially inserted into the fastening body 110 . For example, the outer diameter of the side wall portion 150 may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astening body 110 .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15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astening body 110 .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part 130 may be exposed through a space between the side wall part 150 and the fastening body 110 .

밀봉 시트(170)는 측벽부(150)의 하단에 배치되어 캡부(100)의 하단을 이루는 덮개를 형성할 수 있다. 밀봉 시트(170)는 액상의 보존액(400)이 투과하지 않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봉 시트(170)는 은박지나 합성 수지 박막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밀봉 시트(170), 천정부(130) 및 측벽부(150)는 함께 밀폐된 제1 내부 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The sealing sheet 17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unit 150 to form a cover constituting the lower end of the cap unit 100 . The sealing sheet 17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rough which the liquid preservative 400 does not penetrate. For example, the sealing sheet 170 may be made of a silver foil paper or a synthetic resin thin film. The sealing sheet 170 , the ceiling part 130 , and the side wall part 150 may form a sealed first internal space S1 together.

한편, 검체 수용부(20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용기일 수 있다. 검체 수용부(200)의 제2 내부 공간(S2)은 비어있는 상태일 수 있다. 제2 내부 공간(S2)은 검체, 예컨대 인간의 객담이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검체 수용부(200)는 캡부(100), 구체적으로 캡부(100)의 체결 바디(110)와 가역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제1 용기 결합 수단(211) 및 제2 용기 결합 수단(213)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ample receiving unit 200 may be a cylindrical container with an open top. The second internal space S2 of the specimen receiving unit 200 may be in an empty state. The second internal space S2 may provide a space in which a specimen, for example, human sputum is stored. The sample receiving unit 200 includes a first container coupling means 211 and a second container coupling means 213 that can be reversibly coupled to the cap part 100 , specifically, the fastening body 110 of the cap part 100 . can do.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용기 결합 수단(211)은 끼움 결합 내지는 클립 결합이 가능한 돌출 턱을 포함하고, 제2 용기 결합 수단(213)은 나사 조임 결합이 가능한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용기 결합 수단(211) 및 제2 용기 결합 수단(213)은 각각 검체 수용부(200)의 외주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 제2 용기 결합 수단(213)은 제1 용기 결합 수단(211)에 비해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용기 결합 수단(211) 및 제2 용기 결합 수단(213)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container coupling means 211 may include a protruding jaw capable of fitting or clip coupling, and the second container coupling means 213 may include a screw thread capable of screwing coupling. The first container coupling means 211 and the second container coupling means 213 may be respectively loca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ample receiving unit 200 . In addition, the second container coupling means 213 may be located above the first container coupling means 211 . The first container coupling means 211 and the second container coupling means 21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또, 검체 수용부(200)는 제2 내부 공간(S2)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지지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30)는 검체 수용부(200)의 내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소정의 높이를 형성하고, 후술할 슬릿부(30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230)의 기능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Also, the specimen receiving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support units 230 disposed in the second internal space S2 . The support part 230 may protrude from the inner wall of the sample receiving part 200 to form a predetermined height, and may support the slit part 300 to be described later. The function of the support part 23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한편,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 사이에는 슬릿부(300)가 위치할 수 있다. 슬릿부(300)는 캡부(100)의 제1 내부 공간(S1)에 수용된 보존액(400)이 중력에 의해 제2 내부 공간(S2) 측으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Meanwhile, the slit part 30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cap part 100 and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00 in a state in which the cap part 100 and the specimen accommodating part 200 are coupled. The slit part 300 may be positioned on a path in which the preservative solution 400 accommodated in the first internal space S1 of the cap part 100 moves toward the second internal space S2 by gravity.

슬릿부(300)는 대략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슬릿(310s)들을 갖는 슬릿 플레이트(310), 슬릿 플레이트(31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슬릿 측벽부(330) 및 슬릿 플레이트(31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35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릿 플레이트(310), 슬릿 측벽부(330) 및 돌출부(350)들은 서로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slit part 300 includes a slit plate 310 having a plurality of slits 310s formed substantially radially, a slit sidewall part 330 protruding upward from an edge of the slit plate 310, and an upper side from the slit plate 310 . It may include one or more protrusions 350 protruding into the . The slit plate 310 , the slit sidewall part 330 , and the protrusion part 35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out a physical boundary with each other.

슬릿 플레이트(310)는 대략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슬릿(310s)들을 가질 수 있다. 슬릿 플레이트(310)의 슬릿(310s)들은 제1 내부 공간(S1) 내의 보존액(400) 및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슬릿(310s)들을 방사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슬릿(310s)의 일부를 통해 제1 내부 공간(S1) 내의 보존액(400)이 제2 내부 공간(S2) 측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슬릿(310s)의 다른 일부를 통해 제2 내부 공간(S2) 내의 공기가 제1 내부 공간(S1) 측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검체 용기(10) 내부의 내압이 부분적으로 상승하거나 슬릿(310s)들이 보존액(400) 등에 의해 순간적으로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검체 수용부(200) 내에 보관되는 검체(미도시)가 인간의 객담과 같이 점성을 가질 경우 객담과 보존액(400)이 접촉하여도 보존액(400) 내에 객담이 완전히 희석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는 슬릿(310s)에 의해 객담과 보존액(400)의 혼합 및 분산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The slit plate 310 may have a plurality of slits 310s formed substantially radially. The slits 310s of the slit plate 310 may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the preservation solution 400 and air in the first internal space S1 move. In addition, by forming the slits 310s radially, the preservative solution 400 in the first internal space S1 flows into the second internal space S2 through a part of the slits 310s, and the other of the slits 310s. Air in the second internal space (S2) may be introduced to the side of the first internal space (S1) through a porti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ternal pressure inside the specimen container 10 from being partially increased or the slits 310s from being momentarily closed by the preservative solution 400 or the like. In addition, when the specimen (not shown) stored in the specimen receiving unit 200 has viscosity like human sputum, the sputum may not be completely diluted in the preservation solution 400 even when the sputum and the preservation solution 400 come into contact. . In the sample contain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ixing and dispersing of the sputum and the preservation solution 400 may be made easier by the slit 310s.

슬릿 측벽부(330)는 캡부(100), 구체적으로 캡부(100)의 측벽부(150)와 맞닿아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릿 측벽부(330)의 내경은 캡부(100)의 측벽부(150)의 외경보다 크거나 같고, 슬릿부(300)와 캡부(100)는 가역적인 끼움 결합이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릿 측벽부(330)는 단차부(330s)를 갖는 형상일 수 있다. 단차부(330s)의 기능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The slit sidewall portion 330 may be a portion coupled to the cap portion 100 , specifically, in contact with the sidewall portion 150 of the cap portion 100 . For example, the inner diameter of the slit sidewall portion 33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sidewall portion 150 of the cap portion 100, and the slit portion 300 and the cap portion 100 may be reversibly fitted. . In some embodiments, the slit sidewall portion 330 may have a shape having a stepped portion 330s. The function of the step portion 330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돌출부(350)는 슬릿 플레이트(31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후술할 것과 같이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가 나사 조임될 경우 돌출부(350)에 의해 밀봉 시트(170)가 부분적으로 절개될 수 있다. 도 3 등은 돌출부(350)가 대략 원뿔 형상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밀봉 시트(170)를 절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면 돌출부(350)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평면 시점에서 돌출부(350)의 배열은 실질적으로 불규칙할 수 있다. 밀봉 시트(170) 측으로 침투하여 밀봉 시트(170)를 절개하는 돌출부(350)의 배열이 불규칙적일 경우 절개된 밀봉 시트(170)의 형상을 다변화할 수 있고 보존액(400)의 원활한 흐름을 기대할 수 있다.The protrusion 350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slit plate 310 .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cap part 100 and the sample receiving part 200 are screwed together, the sealing sheet 170 may be partially cut off by the protrusion 350 . 3 and the like illustrate a case in which the protrusion 350 has a substantially conical shape, the shape of the protrusion 350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configured to cut the sealing sheet 170 . In some embodiments, the arrangement of the protrusions 350 in a plan view may be substantially irregular. If the arrangement of the protrusions 350 penetrating toward the sealing sheet 170 to cut the sealing sheet 170 is irregular, the shape of the incised sealing sheet 170 can be diversified and a smooth flow of the preservative solution 400 can be expected. have.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더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의 기능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 of the sample contain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S. 5 to 7 .

도 5는 도 1의 검체 용기의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ap part 100 and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00 of the sample container of FIG. 1 are disassembled.

도 5를 더 참조하면, 검체 용기(10)의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는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또, 검체 수용부(200)의 내경(D200a)은 슬릿부(300)의 슬릿 측벽부(330)의 외경(D330)보다 크고, 검체 수용부(200)의 외경(D200b)은 캡부(100)의 체결 바디(110)의 내경(D110) 보다 작을 수 있다.Referring further to FIG. 5 , the cap part 100 and the sample receiving part 200 of the sample container 10 may be completely separated. In addition, the inner diameter (D 200a ) of the sample receiving part 200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D 330 ) of the slit sidewall part 330 of the slit part 300 , and the outer diameter (D 200b ) of the sample receiving part 200 is the cap part. (100) The inner diameter (D 110 ) of the fastening body 110 may be smaller than.

캡부(100)의 측벽부(150)의 하단에는 슬릿부(300)가 결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캡부(100)의 측벽부(150)와 슬릿부(300)의 슬릿 측벽부(330)는 서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캡부(100)의 밀봉 시트(170)와 슬릿부(300)의 슬릿 측벽부(330)의 단차부(330s)는 이격되고, 캡부(100)의 밀봉 시트(170)와 슬릿부(300)의 돌출부(350)는 이격될 수 있다. 밀봉 시트(170)와 단차부(330s) 간의 이격 거리(L1)는 밀봉 시트(170)와 돌출부(350) 간의 이격 거리(L2) 보다 클 수 있다. 즉, 슬릿 플레이트(31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부(350)의 돌출 높이는 슬릿 플레이트(310)의 하면으로부터 단차부(330s)가 형성하는 높이 보다 클 수 있다. 또, 슬릿 측벽부(330)의 돌출 높이는 돌출부(350)의 돌출 높이 보다 클 수 있다.The slit part 30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part 150 of the cap part 100 . As described above, the sidewall portion 150 of the cap portion 100 and the slit sidewall portion 330 of the slit portion 300 may be fitted to each other.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ealing sheet 170 of the cap part 100 and the step part 330s of the slit sidewall part 330 of the slit part 300 are spaced apart, and the sealing sheet 170 of the cap part 100 and The protrusions 350 of the slit part 300 may be spaced apart. The separation distance L 1 between the sealing sheet 170 and the stepped portion 330s may be great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L 2 between the sealing sheet 170 and the protrusion 350 . That is,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protrusion 350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lit plate 310 may be greater than the height formed by the step 330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lit plate 310 . In addition,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slit sidewall part 330 may be greater than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protrusion part 350 .

도 5에 도시된 검체 용기의 보존액(400)은 캡부(100)의 밀폐된 제1 내부 공간(S1)에 수용된 상태일 수 있다. 채취된 검체, 예컨대 인간의 객담(미도시) 등은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가 완전히 분리된 상태에서 검체 수용부(200) 내에 수용될 수 있다.The preservation solution 400 of the sample container shown in FIG. 5 may be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sealed first inner space S1 of the cap part 100 . The collected specimen, for example, human sputum (not shown) may be accommodated in the specimen accommodating unit 200 in a state in which the cap part 100 and the specimen accommodating part 200 are completely separated.

도 6은 도 1의 검체 용기의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가 1차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p part 100 and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00 of the sample container of FIG. 1 are primarily coupled.

도 6을 더 참조하면, 검체 용기(10)의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는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부(100)에 하방 압력을 가하거나, 및/또는 검체 수용부(200)에 상방 압력을 가함으로써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는 결합될 수 있다. 검체 수용부(200)는 캡부(100)의 체결 바디(110)와 측벽부(150)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Referring further to FIG. 6 , the cap part 100 of the specimen container 10 and the specimen accommodating part 200 may be coupled. For example, by applying downward pressure to the cap part 100 and/or applying upward pressure to the specimen accommodating part 200 , the cap part 100 and the specimen accommodating part 200 may be coupled. The sample receiving part 200 may be inserted into a spaced apart space between the fastening body 110 of the cap part 100 and the side wall part 150 .

캡부(100)의 제1 캡부 결합 수단(111)(예컨대, 홈)과 검체 수용부(200)의 제1 용기 결합 수단(211)(예컨대, 돌출 턱)은 끼움 결합 내지는 클립 결합될 수 있다. 제1 캡부 결합 수단(111)과 제1 용기 결합 수단(211)이 결합 구조를 형성한 상태에서, 제2 캡부 결합 수단(113)과 제2 용기 결합 수단(213)은 서로 결합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캡부 결합 수단(111)과 제2 캡부 결합 수단(113) 간의 수직 최단 거리(L3)는 제1 용기 결합 수단(211)과 제2 용기 결합 수단(213) 간의 수직 최단 거리(L4) 보다 클 수 있다. The first cap coupling means 111 (eg, groove) of the cap part 100 and the first container coupling means 211 (eg, protruding jaw) of the sample receiving part 200 may be fitted or clip coupl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ap coupling means 111 and the first container coupling means 211 form a coupling structure, the second cap coupling means 113 and the second container coupling means 213 are not coupled to each other. can For example, the vertical shortest distance (L 3 ) between the first cap portion coupling means 111 and the second cap portion coupling means 113 is the vertical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tainer coupling means 211 and the second container coupling means 213 . It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L 4 .

제1 캡부 결합 수단(111)과 제1 용기 결합 수단(211)이 결합 구조를 형성한 상태에서, 검체 수용부(200)의 지지부(230)의 상단은 슬릿부(300)의 슬릿 플레이트(310)의 하면과 맞닿을 수 있다. 즉, 지지부(230)는 슬릿부(300)의 하강을 방지하며 슬릿부(300)를 지지할 수 있다.In a state where the first cap coupling means 111 and the first container coupling means 211 form a coupling structure,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art 230 of the sample receiving part 200 is the slit plate 310 of the slit part 300 . ) may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at is, the support part 230 may prevent the slit part 300 from descending and support the slit part 300 .

또, 제1 캡부 결합 수단(111)과 제1 용기 결합 수단(211)이 결합 구조를 형성한 상태에서, 캡부(100)의 밀봉 시트(170)와 슬릿부(300)의 슬릿 측벽부(330)의 단차부(330s)는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캡부(100)의 밀봉 시트(170)와 슬릿부(300)의 돌출부(350)는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ap coupling means 111 and the first container coupling means 211 form a coupling structure, the sealing sheet 170 of the cap part 100 and the slit sidewall part 330 of the slit part 300 are formed. ) of the step portion 330s may maintain a spaced apart state, and the sealing sheet 170 of the cap part 100 and the protrusion 350 of the slit part 300 may maintain a spaced apart state.

또한, 제1 캡부 결합 수단(111)과 제1 용기 결합 수단(211)이 결합 구조를 형성한 상태에서, 캡부(100)의 천정부(130)의 하면과 검체 수용부(200)는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ap coupling means 111 and the first container coupling means 211 form a coupling structure, the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part 130 of the cap part 100 and the sample receiving part 2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can be

도 6에 도시된 검체 용기는 캡부(100)의 측벽부(150)의 외주면과 검체 수용부(200)의 내주면이 가능한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검체 수용부(200) 내에 수용된 검체(미도시)와 외부를 실질적으로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즉, 검체가 수용된 검체 용기(10)를 보관, 운반하고, 검체를 검사하는 과정에서 병균 등이 존재할 것으로 의심되는 검체가 외부의 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specimen container shown in FIG. 6 is configured so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part 150 of the cap part 10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pecimen accommodating part 200 can b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specimen accommodated in the specimen accommodating part 200 (not shown). and the outside can be substantially completely blocked. That is, in the process of storing and transporting the specimen container 10 in which the specimen is accommodated and examining the specime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ecimen suspected of having germs or the like from being exposed to external air.

도 7은 도 1의 검체 용기의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가 나사 조임되어 2차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p part 100 and the sample receiving part 200 of the sample container of FIG. 1 are screwed and are secondarily coupled.

도 7을 더 참조하면, 검체 용기(10)의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는 더욱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부(100) 및/또는 검체 수용부(200)를 회전시켜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를 나사 조임할 수 있다.Referring further to FIG. 7 , the cap part 100 and the sample receiving part 200 of the sample container 10 may be further coupled. For example, the cap 100 and/or the specimen accommodating unit 200 may be rotated to screw the cap 100 and the specimen accommodating unit 200 .

캡부(100)의 제2 캡부 결합 수단(113)(예컨대, 나사산)과 검체 수용부(200)의 제2 용기 결합 수단(213)(예컨대, 나사산)은 나사 조임 결합될 수 있다. 제2 캡부 결합 수단(113)과 제2 용기 결합 수단(213)이 결합 구조를 형성한 상태에서, 제1 캡부 결합 수단(111)과 제1 용기 결합 수단(211)은 서로 결합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용기 결합 수단(211)은 제1 캡부 결합 수단(111)과 제2 캡부 결합 수단(11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 제1 캡부 결합 수단(111)과 제1 용기 결합 수단(211)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The second cap part coupling means 113 (eg, thread) of the cap part 100 and the second container coupling means 213 (eg, thread) of the sample receiving part 200 may be screwed together.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ap coupling means 113 and the second container coupling means 213 form a coupling structure, the first cap coupling means 111 and the first container coupling means 211 are not coupled to each other. can For example, the first container coupling means 211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ap coupling means 111 and the second cap coupling means 113 . In addition, the first cap coupling means 111 and the first container coupling means 211 may be vertically spaced apart.

제1 캡부 결합 수단(111)과 제1 용기 결합 수단(211) 간의 결합 구조가 해제되고, 제2 캡부 결합 수단(113)과 제2 용기 결합 수단(213)이 결합 구조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가 나사 조임됨에 따라 캡부(100)는 전체적으로 하방 이동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검체 수용부(200)의 지지부(230)의 상단은 슬릿부(300)의 슬릿 플레이트(310)의 하면과 맞닿으며 슬릿부(300)의 하강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가 나사 조임됨에 따라 캡부(100)의 측벽부(150)와 슬릿부(300)의 단차부(330s) 간의 이격 거리는 점차 감소하고, 제2 캡부 결합 수단(113)과 제2 용기 결합 수단(213)이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밀봉 시트(170)와 단차부(330s)는 맞닿을 수 있다. 또, 제2 캡부 결합 수단(113)과 제2 용기 결합 수단(213)이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슬릿부(300)의 돌출부(350)는 밀봉 시트(170)를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보존액(400)이 검체 수용부(200)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When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first cap coupling means 111 and the first container coupling means 211 is released, and the second cap coupling means 113 and the second container coupling means 213 form a coupling structure, As the cap part 100 and the sample receiving part 200 are screwed together, the cap part 100 may move downward as a whole.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art 230 of the sample receiving part 200 may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slit plate 310 of the slit part 300 to prevent the slit part 300 from descending. That is, as the cap part 100 and the sample receiving part 200 are screwed i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ide wall part 150 of the cap part 100 and the step part 330s of the slit part 300 gradually decreases, and the second cap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means 113 and the second container coupling means 213 are completely coupled, the sealing sheet 170 and the step portion 330s may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ap coupling means 113 and the second container coupling means 213 are fully coupled, the protrusion 350 of the slit 300 partially cuts the sealing sheet 170 to obtain the preservation solution 400 . It may flow into the specimen receiving unit 200 .

또한, 제2 캡부 결합 수단(113)과 제2 용기 결합 수단(213)이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캡부(100)의 천정부(130)의 하면과 검체 수용부(200)는 맞닿을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ap portion coupling means 113 and the second container coupling means 213 are fully coupled, the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portion 130 of the cap portion 100 and the sample receiving portion 200 may contact each other.

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는 밀봉 시트(170)에 의해 밀폐된 제1 내부 공간(S1) 내에 보존액(400)을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인체에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보존액(400)을 밀봉한 상태로 유지하다가, 보존액(400)을 별도로 주입하는 등의 번거로움 없이도 검체와 보존액(400)을 혼합할 수 있다. The specimen contain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store the preservation solution 400 in the first internal space S1 sealed by the sealing sheet 170 . Therefore, the specimen and the preservation solution 400 can be mixed without the hassle of separately injecting the preservative solution 400 while keeping the preservative solution 400 undesirable to be exposed to the human body in a sealed state.

또한 검체와 보존액(400)을 혼합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검체가 보관된 검체 수용부(200)의 제2 내부 공간(S2)을 개방하지 않고서도 검체와 보존액(400)을 혼합할 수 있다. 즉, 환자로부터 채취되어 제2 내부 공간(S2)에 한번 수용된 검체는 보관, 운반 과정에서 외부 공기와 완전히 차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병균이 공기 중으로 전파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lso, in the process of mixing the sample and the preservative solution 400 , the sample and the preservative solution 400 may be mixed without opening the second internal space S2 of the sample receiving unit 200 in which the sample is stored. That is, the specimen collected from the patient and accommodated once in the second internal space S2 can be kept completely blocked from the external air during storage and transport, and the spread of germs into the air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뿐만 아니라 캡부(100) 및/또는 검체 수용부(200)를 회전시켜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를 나사 조임하는 동작만으로 밀봉 시트(170)를 절개할 수 있어 검체 용기(10)의 사용자의 용이한 조작을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ling sheet 170 can be incised only by screwing the cap 100 and the sample receiving part 200 by rotating the cap 100 and/or the sample receiving part 200, so that the sample container (10) easy operation of the user can be expect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inly described,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not exemplified above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modification. And the differences related to these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0: 캡부
200: 검체 수용부
300: 슬릿부
400: 보존액
100: cap part
200: sample receiving unit
300: slit part
400: preservative

Claims (4)

상부가 개방된 제1 용기 유닛으로서, 제1-1 결합 수단 및 제1-2 결합 수단을 갖는 제1 용기 유닛;
상기 제1 용기 유닛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2 용기 유닛으로서, 상기 제1-1 결합 수단과 체결되는 제2-1 결합 수단, 및 상기 제1-2 결합 수단과 체결되는 제2-2 결합 수단을 갖는 제2 용기 유닛;
상기 제2 용기 유닛의 하부 개구를 밀폐하는 밀봉 시트; 및
상기 제2 용기 유닛과 결합되고,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용기 유닛과 직접적인 결합 구조를 형성하지 않는 절개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2 결합 수단과 제2-2 결합 수단이 체결되면 상기 돌출부가 밀봉 시트를 절개하도록 구성된 검체 용기.
A first container unit having an open top, comprising: a first container unit having a 1-1 coupling means and a 1-2 coupling means;
A second container unit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ntainer unit, a 2-1 coupling means coupled to the 1-1 coupling means, and a 2-2 coupling means coupled to the 1-2 coupling means a second container unit having a;
a sealing sheet sealing the lower opening of the second container unit; and
Combined with the second container unit, including a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including a cutting unit that does not form a direct coupling structure with the first container unit, wherein the 1-2 coupling means and 2-2 coupling A specimen container configured such that the protrusion cuts the sealing sheet when the means is engag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결합 수단과 제1-2 결합 수단 간의 최단 이격 거리는, 상기 제2-1 결합 수단과 제2-2 결합 수단 간의 최단 이격 거리 보다 작은 검체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hortest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1-1 coupling means and the 1-2 coupling means is smaller than the shortest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2-1 coupling means and the 2-2 coupl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 유닛과 제2 용기 유닛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절개 유닛은 상기 제1 용기 유닛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절개 유닛과 제2 용기 유닛의 결합은, 상기 제2-1 결합 수단 및 제2-2 결합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결합되는 검체 용기.
According to claim 1,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tainer unit and the second container unit are combined, the cutting unit is located in the first container unit,
A specimen container in which the cutting unit and the second container unit are coupled without using the 2-1 coupling means and the 2-2 coupl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결합 수단 또는 제2-1 결합 수단 중 어느 하나는 평면상 환 형상의 돌출 턱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1 결합 수단과 제2-1 결합 수단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용기 유닛과 제2 용기 유닛의 상대적인 회전에도 불구하고 체결 상태가 변화하지 않으며,
상기 제1-2 결합 수단과 제2-2 결합 수단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1 결합 수단 및 제2-1 결합 수단은 체결 구조를 형성하지 않는 검체 용기.
According to claim 1,
Any one of the 1-1 coupling means or the 2-1 coupling means has a planar annular protruding jaw shape,
In the state in which the 1-1 coupling means and the 2-1 coupling means are fastened, the fastening state does not change despite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first container unit and the second container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1-2 coupling means and the 2-2 coupling means are fastened, the 1-1 coupling means and the 2-1 coupling means do not form a fastening structure.
KR1020180170859A 2018-05-24 2018-12-27 Specimen container KR1024366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859A KR102436698B1 (en) 2018-05-24 2018-12-27 Specimen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704A KR101934819B1 (en) 2018-05-24 2018-05-24 Specimen container
KR1020180170859A KR102436698B1 (en) 2018-05-24 2018-12-27 Specimen contain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704A Division KR101934819B1 (en) 2018-05-24 2018-05-24 Specimen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454A KR20190134454A (en) 2019-12-04
KR102436698B1 true KR102436698B1 (en) 2022-08-26

Family

ID=83113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859A KR102436698B1 (en) 2018-05-24 2018-12-27 Specimen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69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422Y1 (en) * 2006-08-08 2006-10-20 신도공업 주식회사 Vessel having a measuring cup designed to prevent opening by children
KR100646378B1 (en) * 2005-10-28 2006-11-23 주식회사 크록스 A safety vessel
KR101736745B1 (en) * 2016-11-16 2017-05-29 김종민 Specimen container for preserving tissue
KR101798330B1 (en) * 2016-06-22 2017-12-12 이현구 Container for clinical specim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378B1 (en) * 2005-10-28 2006-11-23 주식회사 크록스 A safety vessel
KR200429422Y1 (en) * 2006-08-08 2006-10-20 신도공업 주식회사 Vessel having a measuring cup designed to prevent opening by children
KR101798330B1 (en) * 2016-06-22 2017-12-12 이현구 Container for clinical specimen
KR101736745B1 (en) * 2016-11-16 2017-05-29 김종민 Specimen container for preserving tiss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454A (en)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6247B2 (en) Container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KR101736745B1 (en) Specimen container for preserving tissue
RU2749948C2 (en) Cover with a hole-punching element, in particular, for a flexible tube
KR101880052B1 (en) Container for preserving specimen
KR101934819B1 (en) Specimen container
UA82868C2 (en) Closure
KR200490214Y1 (en) Filtering member for cytology diagnose including blade unit, and specimen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KR102056068B1 (en) Container for preserving tissue
KR102436698B1 (en) Specimen container
KR102565657B1 (en) Specimen container with sealed preserving solution
KR200490307Y1 (en) Filter for preventing tissue backflow and tissue preserving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KR20200134133A (en) Clinical specimen container with blocking-ring configured to cut sealing sheet in rotary motion and method for handling of the same
JPWO2017051448A1 (en) Biopsy sample container
CA3127743C (en) Storage device
JP4327562B2 (en) Disposable containers for sanitary materials
JP6876439B2 (en) Volatilizer
JPH0710273Y2 (en) Lid device for container
KR20210000767U (en) Specimen container containing liquid material in isolated space
US20230159259A1 (en) Food dispensing device
KR200490237Y1 (en) Specimen container for cytology diagnose having support part supporting filtering member
JP2024002238A (en) Chemical liquid volatilization tool
KR101973555B1 (en) Filtering member for specimen container
KR101518700B1 (en) Bottle elaborate pour liquid
KR20240077489A (en) Specimen container in which cap and container body interfere during rotation of the cap
JP2014050666A (en) Chemical volatilizing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