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345B1 - Full-depth precast deck panel using joint stiffeners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cast deck panel - Google Patents

Full-depth precast deck panel using joint stiffeners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cast deck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345B1
KR102663345B1 KR1020240000673A KR20240000673A KR102663345B1 KR 102663345 B1 KR102663345 B1 KR 102663345B1 KR 1020240000673 A KR1020240000673 A KR 1020240000673A KR 20240000673 A KR20240000673 A KR 20240000673A KR 102663345 B1 KR102663345 B1 KR 102663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ast floor
floor plate
connection
reinforcem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006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녹희
Original Assignee
(주)효명이씨에스
극동엔지니어링(주)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케이지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효명이씨에스, 극동엔지니어링(주),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케이지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효명이씨에스
Priority to KR1020240000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34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3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상기 상부거더의 종방향을 따라 전단포켓 내에 상기 상부 거더 상면의 수평전단철근이 위치되도록 거치시키는 단계; 서로 마주보는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 각각의 연결부 보강재에 의해 형성된 내측공간에 연결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내측공간과 상기 전단포켓에 몰탈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ear surface precast floor plat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ear surface precast floor plat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precast floor plates are placed in a shear pocke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girder so that the horizontal shear reinforcem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girder is located. mounting step; Installing a connecting material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connecting reinforcing material of each of the precast floor plates facing each other; and a step of applying mortar to the inner space and the shear pocket.

Description

연결부 보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및 그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시공방법{Full-depth precast deck panel using joint stiffeners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cast deck panel}Precast deck panel using joint stiffeners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cast deck panel {Full-depth precast deck panel using joint stiffeners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cast deck panel}

본 발명은 연결부 보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및 그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cast floor plate using joint reinforcement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precast floor plate.

교량 기술 분야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의 경우, 공장에서 사전에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은 콘크리트 거더 또는 강거더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단연결재와 일체로 합성됨으로써 교량을 구성하게 된다.In the case of precast concrete decks in the field of bridge technology, precast concrete decks pre-manufactured in a factory are installed on top of concrete girders or steel girders and are integrated with shear connectors to form a bridge.

종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모듈에 관해서 특허출원 2006-0063203호 ‘보강된 루프 철근 이음구조를 가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모듈, 그 이음구조 및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이 제안된 바 있다. Regarding the conventional precast concrete floor module, Patent Application No. 2006-0063203, 'Precast concrete floor module with reinforced loop rebar joint structure, joint structure, and precast concrete floor plate with the same' has been proposed. .

서로 조립 연결되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형성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모듈로서, 바닥판 모듈의 양단부 하부에는 각각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웃하는 바닥판 모듈이 마주하였을 때 오목한 형태의 채움부를 형성하도록 돌출부의 상부에는 돌출부에 의하여 반쪽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루프 형태의 철근 단부가 오목부에 노출되도록 바닥판 모듈의 내부에는 루프 철근이 배근 되는데, 루프 철근의 하부는 돌출부를 보강하는 배력철근으로 기능하도록 돌출부 내에 매립되어 있고 루프 철근의 상부는 오목부에 노출되어 있으며, 루프 철근 사이의 위치에서, 이웃하는 바닥판 모듈이 마주하였을 때 이웃하는 바닥판 모듈에 구비된 루프 철근의 철근 단부가 위치하여 양측 루프 철근의 철근 단부가 오목부에서 서로 어긋나게 겹쳐져서 위치하도록, 돌출부의 상면에는 오목하게 파인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모듈이다.Precast concrete floor modules are assembl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precast concrete floor, and protrusions are formed at the bottom of both ends of the floor module, and when adjacent floor modules face each other, a concave filling is formed. A half-shaped concave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protrusion, and loop reinforcing bars are placed inside the floor plate module so that the ends of the loop-shaped reinforcing bars are exposed in the concave, and the lower part of the loop reinforcing bars is a reinforcement reinforcing the protrusion. It is embedded in the protrusion to function as a roof reinforcement bar, and the upper part of the loop reinforcement bar is exposed to the concave portion. At the position between the loop reinforcement bars, when the neighboring floor modules face each other, the reinforcement ends of the loop reinforcement bars provided in the neighboring floor plate modules are exposed to the concave portion. It is a precast concrete floor plate module in which a concave step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so that the ends of the loop reinforcing bars on both sides overlap each other in the concave part.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모듈은, 교량 거더의 상부에 올려지고, 바닥판 모듈들을 정렬시켜 설치하고, 거푸집을 양측면에 설치한 후 채움재(콘크리트 타설, 몰탈)로 마감 처리함으로써 양측의 바닥판 모듈을 일체로 연결하여 조립되는 구조이다.The conventional precast concrete deck module constructed in this way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girder, installs the deck modules in alignment, installs molds on both sides, and finishes them with filler (concrete pouring, mortar) to form a structure on both sides. It is a structure that is assembled by connecting the floor plate modules as one piece.

그런데, 종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모듈은, 루프 철근이 나와 있는 오목부 하부에 돌출부가 형성되는데, 루프 철근의 하부가 돌출부의 상면과 일치되는 형태로 매립되어 있다. 그러므로 돌출부는 루프 철근이 없는 영역에는 이웃하는 바닥판 모듈의 루프 철근이 배치될 수 있도록 단차부가 형성된다. 즉, 돌출부는 루프 철근의 하부가 매립된 돌출부와 단차부가 교대로 형성된 구조가 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recast concrete floor module, a protrusion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ncave portion where the loop reinforcing bar protrudes, and the lower part of the loop reinforcing bar is embedded in a form that matches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Therefore, in the protrusion, a step is formed so that the loop reinforcement of the neighboring floor plate module can be placed in the area where there is no loop reinforcement. In other words, the protrusion has a structure in which protrusions and steps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loop reinforcing bar is embedded are formed alternately.

따라서 루프 철근의 하부 상면이 일치되게 매립시켜 돌출부를 형성하고, 돌출부 사이에 단차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충격에 매우 취약하게 되며, 이로 인해 운반 또는 설치 시공시 손상 및 파손의 우려가 매우 높다는 단점이 있다.Therefore, the lower upper surface of the loop rebar is buried in a consistent manner to form a protrusion, and a step is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s, making it very vulnerable to impact. This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highly susceptible to damage and breakage during transportation or installation. .

또한, 루프 철근을 이용한 이음부의 공간 즉, 채움부에 채움재(예; 콘크리트 타설)를 채워서 마감처리를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양 측면에 거푸집을 설치해야 하며, 거푸집 설치 및 철거로 인한 작업자의 작업 안전성과, 비용증가 및 공기가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유발된다.In addition, the space of the joint using loop rebar, that is, the filling area, must be filled with filler material (e.g., concrete pouring) for finishing. For this, formwork must be installed on both sides, and workers' work safety is ensured due to formwork installation and removal. This causes problems such as increased costs and longer construction periods.

또한 철근의 피복두께 규정이 강화되면서 제한적인 슬래브 두께(240mm) 내에서 루프철근의 설계기준(내면직경) 확보가 어려워 작은 직경의 철근을 촘촘하게 배치하고있는 실정이다(연속지점부 부모멘트 구간 종방향 철근). 따라서 제작 및 시공오차 고려시 장경간 교량의 연속지점부에서 프리캐스트 바닥판(PC 패널)의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존재한다 In addition, as the cover thickness regulations for reinforcing bars have been strengthened,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design standard (inner diameter) of loop reinforcing bars within the limited slab thickness (240 mm), so small diameter reinforcing bars are placed close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gative moment section at continuous points). rebar). Therefore, considering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errors, there is a problem in the application of precast floor plates (PC panels) at continuous points of long-span bridges.

따라서 기존 공법의 연결부 성능을 만족할 수 있는 새로운 공법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 new method that can satisfy the connection performance of the existing method was required.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07786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10-1207786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84070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10-1584070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462488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10-246248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323825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10-032382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 보강재와, 프리캐스트 바닥판 간의 유간을 두고 서로 대향되는 연결부 보강재 내측공간에 연결재를 설치한 후, 몰탈시공을 하여 제한적인 슬래브 두께(240mm) 내에서도 프리캐스트 바닥판 간의 연결부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는, 연결부 보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및 그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ng material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nnecting section reinforcing material and the connecting section reinforcing material opposing each other with a gap between the precast floor plat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recast floor plate using a joint reinforcement material and a construction method for the precast floor plate that can satisfy the performance of the connection between precast floor plates even within the limited slab thickness (240 mm) after mortar construction. there is.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It will be understandable.

본 발명의 제1목적은 거더 상부에 종방향을 따라 거치되어 일체화되는 프리캐스트 바닥판으로서, 콘크리트 바닥판으로 제작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거더 상부에 거치시 상기 거더 상부의 수평전단철근이 위치되는 복수의 전단포켓; 및 상기 본체부의 전방면 및 후방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횡방향을 따라 서로 특정간격되어 매입되는 연결부 보강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cast floor plate that is moun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part of a girder and integrated, comprising: a main body made of a concrete floor plate; A plurality of shear pockets provided in the main body where horizontal shear reinforcement bars of the upper part of the girder are located when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girder; and a connection reinforcement material embedded in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ain body at specific intervals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그리고 프리캐스트 바닥판 간의 연결을 위해 시공되는 몰탈이 외부로 새지 않도록 상기 본체부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 양단 각각에 설치되는 PC패널 백업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 PC panel backup material installed on both ends of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prevent the mortar used for connection between precast floor plates from leaking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연결부 보강재는, 상단면과, 상기 본체부에 노출되는 연결부 측이 개방되며,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 간의 연결부에서 서로 대향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membe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s upper surface and the connection side exposed to the main body are open, and are positioned opposite to each other at the connection section between the precast floor plates.

그리고 상기 연결부 보강재는, 개방부가 연결부 측에 노출되도록 매입되는 종방향 연결단과, 상기 종방향 연결단과 연결되어 매입되는 횡방향 연결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member may be characterized as having a longitudinal connection end that is embedded so that the open portion is exposed to the side of the connection part, and a transverse connection end that is connected to and embedded in the longitudinal connection end.

또한 상기 연결부 보강재의 횡방향 연결단에는 상기 본체부에 매입되는 복수의 정착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embedded in the main body may be formed at the transverse connection end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member.

그리고 상기 연결부 보강재의 횡방향 연결단에는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에 배근된 배력철근과 연결되는 배력철근 연결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verse connection end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einforcement reinforcement connection end connected to the reinforcement reinforcement placed in the precast floor plate.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상부 거더 상부에 종방향을 따라 거치되는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시공방법으로서, 앞서 언급한 제 1목적에 따른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상기 상부거더의 종방향을 따라 전단포켓 내에 상기 상부 거더 상면의 수평전단철근이 위치되도록 거치시키는 단계; 서로 마주보는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 각각의 연결부 보강재에 의해 형성된 내측공간에 연결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내측공간과 상기 전단포켓에 몰탈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시공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constructing a precast floor plate moun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girder, wherein the precast floor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object mentioned above is placed in a shear pocke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girder. Mounting the horizontal shear reinforcem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girder so that it is located; Installing a connecting material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connecting reinforcing material of each of the precast floor plates facing each other; and applying mortar to the inner space and the shear pocket.

그리고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거치시키는 단계 전에, 하부구조에 상부거더를 거치시키고, 상부거더 양단에 종방향을 따라 백업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Before mounting the precast floor plat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mounting an upper girder on the lower structure and installing backup materi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upper girder.

또한 상기 연결재는, 한 쌍의 서로 대향된 연결부 보강재의 종방향 연결단에 의해 형성된 종방향 공간에 위치되는 웹부와, 상기 웹부 전후방 각각에 연결되어 횡방향 연결단 각각에 위치되는 플랜지부를 갖거나, 또는 한 쌍의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가 서로 이격을 유지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has a web portion located in a longitudinal space formed by the longitudinal connecting ends of a pair of opposing connecting portion reinforcements, and a flange portion connected to each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web portion and located at each of the transverse connecting ends. , or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air of plates and a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pair of plates to keep them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웹부 측면에는 홀과 돌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the side of the web portion may be characterized by having holes and protrusions.

또한 상기 몰탈 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 연결을 위해 상기 내측공간에 무수축 몰탈을 시공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상기 상부거더 합성을 위해 상기 전단포켓에 무수축 몰탈을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p of constructing the mortar includes constructing a non-shrinking mortar in the inner space to connect the precast floor plate, and constructing a non-shrinking mortar in the shear pocket to synthesize the precast floor plate and the upper girder. It can be characterized.

그리고 횡단경사 적용시, 상기 상부 거더 좌측과 우측 백업재는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에는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부재와, 상기 관부재 하단에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하면에 돌출되도록 노출되는 간격조절재를 갖는 매입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거치시키는 단계에서, 인양장치를 상기 매입장치에 나사결합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거치하고, 상기 인양장치를 제거한 후,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높낮이조절장치를 상기 매입장치에 설치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상기 몰탈 시공 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when applying the cross slope, the left and right backup materials of the upper girder are installed at different heights, the precast floor plate includes a pipe member with a thread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nd a pipe member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recast floor plate at the bottom of the pipe member. An embedding device having a gap adjusting material exposed as much as possible is installed, and in the step of mounting the precast floor plate, a lifting device is screwed to the embedding device to mount the precast floor plate, and then the lifting device is removed. , a height adjustment device with thread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may be installed in the embedding devic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recast floor plate, and may be removed after the mortar is install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보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및 그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시공방법에 따르면, 연결부 보강재와, 프리캐스트 바닥판 간의 유간을 두고 서로 대향되는 연결부 보강재 내측공간에 연결재를 설치한 후, 몰탈시공을 하여 제한적인 슬래브 두께(240mm) 내에서도 프리캐스트 바닥판 간의 연결부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precast floor plate using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material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cast floor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material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material facing each other with a gap between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material and the precast floor plate. After that, mortar construction is performed, which has the effect of satisfying the performance of the connection between precast floor plates even within the limited slab thickness (240 mm).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보강재를 이용한 전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시공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부구조에 상부거더가 거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3a는 도 2에서 상부 거더 상부에 프리캐스트 바닥판(이하 PC 패널)이 거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대향된 위치의 연결부 보강재의 사시도,
도 4a는 도 3a에서 연결재를 설치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4b는 도 3b에서의 연결부 보강재와 연결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a에서 연결부와 전단포켓에 무수축 몰탈을 시공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재가 삽입된 연결부 보강재의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재가 삽입된 연결부 보강재의 사시도,
도 6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결재가 삽입된 연결부 보강재의 사시도,
도 6d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연결재가 삽입된 연결부 보강재의 사시도,
도 6e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연결재가 삽입된 연결부 보강재의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재의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재의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재가 삽입된 연결부 보강재의 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 패널 연결부의 종단면도,
도 8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 패널 연결부의 평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재가 삽입된 연결부 보강재의 사시도,
도 9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C 패널 연결부의 종단면도,
도 9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C 패널 연결부의 평면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결재가 삽입된 연결부 보강재의 사시도,
도 10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PC 패널 연결부의 종단면도,
도 10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PC 패널 연결부의 평면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연결재가 삽입된 연결부 보강재의 사시도,
도 11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PC 패널 연결부의 종단면도,
도 11c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PC 패널 연결부의 평면도,
도 12a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연결재가 삽입된 연결부 보강재의 사시도,
도 12b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PC 패널 연결부의 종단면도,
도 12c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PC 패널 연결부의 평면도,
도 13은 종래 교량 횡단경사 적용을 위한 상부거더와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부분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 횡단경사 적용을 위한 상부거더와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부분 정면도,
도 15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매입장치에 인양장치를 설치한 상태의 부분 정면도,
도 1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높낮이조절장치를 설치한 상태의 부분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매입장치의 제작시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16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매입장치의 인양시 상태의 사시도,
도 16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낮이조절장치 적용시의 사시도,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사각형, 육각형 형태의 간격조절재의 사시도,
도 18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매입장치가 적용된 PC패널과, 조절공구를 통해 매입형 간격조절재를 돌출시키는 상태의 정면도,
도 18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매입장치가 적용된 PC패널의 인양시의 정면도,
도 18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절공구를 통해 높낮이를 조절하는 상태의 정면도,
도 19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매입장치의 제작시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19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양시 매입형 간격조절재를 돌출시키는 상태의 사시도,
도 19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높낮이조절장치 적용시의 사시도,
도 20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매입장치의 제작시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20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매입장치의 인양시 상태의 사시도,
도 20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절공구를 통해 높낮이 조절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to the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such.
Figure 1 is a flow chart of a construction method of a full-section precast floor plate using a connection reinforcement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girder mounted on the low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cast floor pl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C panel) mounted on the upper girder in Figure 2;
Figure 3b is a perspective view of connection reinforcement members in opposite posi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aterial in Figure 3a is installed;
Figure 4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and connection material in Figure 3b;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non-shrink mortar is installed on the connection portion and shear pocket in Figure 4a;
Figure 6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material into which the connection material is insert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material into which the connection material is insert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material into which the connection material is inserte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d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member into which the connection member is inserte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e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material into which the connection material is inserted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b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materi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material into which the connection material is insert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C pane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c is a plan view of the PC pane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material into which the connection material is insert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C pane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c is a plan view of the PC pane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material into which the connection material is inserte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C pane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c is a plan view of the PC pane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material into which the connection material is inserte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C pane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c is a plan view of the PC pane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material into which the connection material is inserted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C pane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c is a plan view of the PC pane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partial front view of the upper girder and precast floor plate for applying the cross slope of a conventional bridge;
Figure 14 is a partial front view of the upper girder and precast floor plate for bridge cross slope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a is a partial front view of the lifting device installed in the buried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b shows a partial front view of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install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during manufacture of the embedd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when lifting the embed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c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17A to 17C are perspective views of spacing adjusting materials in circular, square, and hexagonal sha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a is a front view of a PC panel to which an embedded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a state in which the embedded gap adjusting material is protruded through an adjustment tool;
Figure 18b is a front view when lifting a PC panel to which the embedd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18c is a front view of the height being adjusted using an adjustment too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during manufacture of the embedd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b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embedded gap adjusting member is protruded during lifti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c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0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during manufacture of the embedd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when lifting the embedment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c show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height is adjusted using an adjustment too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The above 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related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so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eans that it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other element or that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m. Also,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components is exaggerated for effective explanation of technical content.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or plan views, which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regions is exaggerated for effective explanation of technical content. Therefore, the shape of the illustration may be changed depending on manufacturing technology and/or tolerance. According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form produc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example, an area shown as a right angle may be rounded or have a shape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Accordingly,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have properties, and the shapes of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 specific shape of the region of the device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Embodiments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 complementary embodiment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In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details have been written to explain the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o aid understanding. However,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gnize that it can be used without these various specific details. In some cases, it is mentioned in advance that when describing the invention, parts that are commonly known but a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without any reason in explaining the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보강재를 이용한 전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이하 PC 패널)의 구성, 기능 및 이에 대한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fun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of a full-section precast floor pl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C panel) using a joint reinforcement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보강재를 이용한 전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시공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1 shows a flowchart of a construction method of a full-section precast floor plate using connection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부구조에 상부거더가 거치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2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girder mounted on the low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구조(교대 및 교각)에 상부거더(1, PSC거더, 강거더 등)를 거치한다(S1). 이때 거더 백업재(2)는 PC패널(10)과 상부거더(1) 합성을 위해 시공되는 무수축 몰탈이 외부로 새지않도록 상부 거더의 상부에 부착된다. 또한 수평전단철근(3)은 PC패널(10)과 상부거더(1) 합성을 위해 상부거더(1) 제작시 매입 또는 거더(1) 거치후 또는 PC패널 거치후 시공된다. 또한 수평전단철근(3)은 PC패널(10) 내부에 형성된 전단포켓(11) 위치와 일치되도록 시공한다. As shown in Figure 2, the upper girder (1, PSC girder, steel girder, etc.) is mounted on the lower structure (abutment and pier) (S1). At this time, the girder backup material (2)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girder to prevent the non-shrinking mortar, which is constructed for combining the PC panel (10) and the upper girder (1), from leaking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horizontal shear reinforcement (3) is installed when manufacturing the upper girder (1) or installed after mounting the girder (1) or after mounting the PC panel to synthesize the PC panel (10) and the upper girder (1). In addition, the horizontal shear reinforcement (3) is constructed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shear pocket (11) formed inside the PC panel (10).

그리고 PC패널(10)을 상부거더(1)의 종방향을 따라 전단포켓(11) 내에 상부 거더(1) 상면의 수평전단철근(3)이 위치되도록 거치시킨다(S2). Then, the PC panel (10) is mounted so that the horizontal shear reinforcement (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girder (1) is located within the shear pocket (1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girder (1) (S2).

도 3a는 도 2에서 상부 거더 상부에 프리캐스트 바닥판(이하 PC 패널)이 거치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대향된 위치의 연결부 보강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3a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precast floor pl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C panel) mounted on the upper girder in Figure 2. And Figure 3b shows a perspective view of connection reinforcement members at opposite posi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C패널(10)은 본체부와, 이러한 본체부에 구비되어, 거더(1) 상부에 거치시, 거더(1) 상부의 수평전단철근(3)이 위치되는 복수의 전단포켓(11)과, 본체부의 전방면 및 후방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횡방향을 따라 서로 특정간격되어 매입되는 연결부 보강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PC panel (10)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portion and a plurality of shear pockets (11) where the horizontal shear reinforcement (3) on the upper part of the girder (1) is located when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girder (1),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connection reinforcement members 20 that are embedded in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ain body at specific intervals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또한 PC패널(10) 간 연결을 위해 시공되는 몰탈이 외부로 새지 않도록 PC패널(10)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 양단 각각에 PC패널 백업재(12)가 설치된다. In addition, PC panel backup material 12 is installed on both ends of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PC panel 10 to prevent the mortar used for connection between the PC panels 1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또한 연결부 보강재(20)는 상단면과 PC패널(10)에서 노출되는 연결부 측이 개방되며, PC패널(10) 간의 연결부에서 서로 대향되게 위치되게 된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material 20 has an open top surface and a connection side exposed from the PC panel 10, and is positioned opposite to each other at the connection section between the PC panels 10.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보강재(20)는, 개방부가 연결부 측에 노출되도록 매입되는 종방향 연결단(21)과, 이러한 종방향 연결단(21)과 연결되어 매입되는 횡방향 연결단(22)을 갖는다. 그리고 연결부 보강재(20)의 횡방향 연결단(22)에는 PC패널의 배력철근(6)과 연결되는 배력철근 연결단(24)이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PC패널(10)에 매입되는 복수의 정착부재(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정착부재(23)는 스터드 볼드, I형 강재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material 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ngitudinal connection end 21 that is embedded so that the open portion is exposed to the connection side, and a transverse connection end that is connected to and embedded in the longitudinal connection end 21. (22). In addition, the transverse connecting end 22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20 may be provided with a reinforcing bar connecting end 24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bar 6 of the PC panel, or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bars embedded in the PC panel 10. A fixing member 23 may be formed. This anchoring member 23 may be made of stud bolt or I-type steel.

그리고 연결부 보강재(20) 사이에 서로 마주보는 PC패널(10) 각각의 연결부 보강재(20)에 의해 형성된 내측공간에 연결재(30)를 설치한다(S3). 도 4a는 도 3a에서 연결재를 설치하는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4b는 도 3b에서의 연결부 보강재와 연결재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Then, the connecting material 30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connecting section reinforcing materials 20 of each of the PC panels 10 facing each other (S3). Figure 4a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aterial in Figure 3a is installed. And Figure 4b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and connection material in Figure 3b.

즉, PC패널(10) 간 연결을 위한 연결재(30)를 설치한다. 연결재(30)는 부착성능 확보를 위해 돌기부(34) 및 홀(33) 등이 형성되며, 한 쌍의 연결부 보강재(20)를 연결하는 내측공간에 설치된다. That is, a connecting material 30 is installed to connect the PC panels 10. The connecting member 30 is formed with protrusions 34 and holes 33 to ensure attachment performance, and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connecting a pair of connecting reinforcement members 2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재(30)는, 한 쌍의 서로 대향된 연결부 보강재(20)의 종방향 연결단(21)에 의해 형성된 종방향 공간에 위치되는 웹부(31)와, 이러한 웹부(31) 전후방 각각에 연결되어 횡방향 연결단(22) 각각에 위치되는 플랜지부(32)를 갖는다. 또한 웹부(31)에는 몰탈시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해 복수의 홀(33)과 돌기부(34)가 형성된다. Specifically, the connecting member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b portion 31 located in the longitudinal space formed by the longitudinal connecting end 21 of a pair of opposing connecting reinforcement members 20, and this The web portion 31 has a flange portion 32 connected to each of the front and rear ends and positioned at each of the transverse connecting ends 22. In addition, a plurality of holes 33 and protrusions 34 are formed in the web portion 31 to strengthen the bonding force during mortaring.

그리고 내측공간과 상기 전단포켓(11)에 몰탈(40) 시공을 한다(S4). 도 5는 도 4a에서 연결부와 전단포켓(11)에 무수축 몰탈을 시공하는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Then, mortar 40 is applied to the inner space and the shear pocket 11 (S4). FIG. 5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non-shrinkage mortar is applied to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shear pocket 11 in FIG. 4A.

PC패널(10) 간 연결을 위해 연결부 보강재(20)에 의한 내측공간에 무수축 몰탈(40)을 시공한다. 이때 PC패널 백업재(12)에 의해 시공되는 무수축 몰탈(40)이 외부로 새지 않게 된다. 그리고 PC패널(10)과 상부거더(1) 합성을 위해 전단포켓(11)에 무수축 몰탈(40)을 시공하게 된다. 이때 거더 백업재(2)에 의해 PC패널(10)과 상부거더(1) 합성을 위해 시공되는 무수축 몰탈(40)이 외부로 새지않게 된다. To connect the PC panels 10, non-shrink mortar 40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provided by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material 20. At this time, the non-shrink mortar 40 applied by the PC panel backup material 12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And to synthesize the PC panel 10 and the upper girder 1, non-shrink mortar 40 is installed in the shear pocket 11. At this time, the non-shrinking mortar 40, which is constructed to composite the PC panel 10 and the upper girder 1,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due to the girder backup material 2.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실시예에 따른 연결재가 삽입된 연결부 보강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s 6a to 6e show perspective views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material into which the connection material is inserted according to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제1,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And Figures 7a and 7b show perspective views of connecting material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재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웹부(31)와 플랜지부(32)와, 웹부(31)에 형성되는 홀(33), 돌기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재(30)는 한 쌍 플레이트(35)가 서로 이격되도록 볼트(36)와 너트(37)로 결합시킨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7a, the connect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mentioned above, includes a web portion 31 and a flange portion 32, a hole 33 formed in the web portion 31, and a protrusion. It can be seen that it can be composed including (34). As shown in Figure 7b, the connecting material 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a pair of plates 35 are coupled with bolts 36 and nuts 37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can be seen.

도 8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재가 삽입된 연결부 보강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8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 패널 연결부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8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 패널 연결부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보강재(20)는 PC패널(10)의 U자형 배력철근(6)이 결합될 수 있도록 횡연결단(22)의 양측면에 배력철근연결단(24)이 구비됨을 알 수 있다. Figure 8a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member into which the connection material is insert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b show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C pane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c shows a plan view of the PC pane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material 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inforcement reinforcement connection end 24 on both sides of the transverse connection end 22 so that the U-shaped reinforcement reinforcement 6 of the PC panel 10 can be coupled. You can see that it is available.

또한 도 9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재가 삽입된 연결부 보강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9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C 패널 연결부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9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C 패널 연결부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In addition, Figure 9a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member into which the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And Figure 9b show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C pane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9c shows a plan view of the PC pane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보강재(20)는 PC패널에 매입되는 일자형 배력철근(6) 끝단에 형성된 나사산이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부 보강재(20) 횡연결단(22)의 후방면에 나사홀 형태의 배력철근연결단(24)이 구비됨을 알 수 있다.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ransverse connection end (22)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20) so that the thread formed at the end of the straight reinforcement bar (6) embedded in the PC panel can be coupled. It can be seen that the load reinforcement bar connection end 24 in the form of a screw hole is provided.

도 10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결재가 삽입된 연결부 보강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0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PC 패널 연결부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PC 패널 연결부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10a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member into which the connection member is inserte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0b show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C pane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0c shows a plan view of the PC pane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보강재(20)는 횡연결단(22) 후방면에 정착부재(23)가 연결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착부재(23)는 복수의 스터드 볼드로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material 2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with a fixing member 23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transverse connecting end 22, and this fixing member 23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tud bolts. It can be seen that it can be configured.

도 11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연결재가 삽입된 연결부 보강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1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PC 패널 연결부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1c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PC 패널 연결부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11a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member into which the connection member is inserte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1b show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C pane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Figure 11c shows a plan view of the PC panel connection portio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보강재(20)는 횡연결단(22) 후방면에 정착부재(23)가 연결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착부재(23)는 복수의 I형 강재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member 2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with an anchoring member 23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transverse connecting end 22, and this anchoring member 23 is made of a plurality of I-type steel materials. It can be seen that it can be configured in the form.

도 12a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연결재가 삽입된 연결부 보강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2b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PC 패널 연결부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c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PC 패널 연결부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보강재(20)의 정착부재(23)는 복수의 루프철근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Figure 12a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member into which the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And Figure 12b show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C pane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c shows a plan view of the PC pane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anchoring member 23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2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loop reinforcing bars.

이하에서는 교량 횡단경사 적용이 필요한 경우 PC패널(10) 거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교량 횡단경사가 필요한 경우, 매입장치(50)가 매입된 PC패널(10)을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Below, the PC panel (10) mounting and construction method will be explained when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bridge cross sl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bridge cross slope is required, a PC panel 10 with an embedded device 50 is applied.

도 13은 종래 교량 횡단경사 적용을 위한 상부거더와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부분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13 shows a partial front view of the upper girder and precast deck for application to the cross slope of a conventional bridge.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횡단경사 적용을 위해 PC패널(10) 제작시 헌치부(5) 형성이 필요하다. 현장여건에 따라 변동성이 큰 헌치부(5) 형성으로 PC패널(10) 제작성 및 거푸집 재사용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존재하며, 베딩층 형성을 위해 PC패널(10) 거치전 간격재(24)가 추가 설치되야 하며 높낮이 조절장치 사용후 재활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As shown in FIG. 13, the formation of a haunch portion 5 is necessary when manufacturing the PC panel 10 to apply the cross slope of a bridg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manufacturability of the PC panel (10) and the reusability of the form are reduced due to the formation of the haunch portion (5), which is highly variable depending on site conditions. In order to form a bedding layer, the spacer (24) is used before mounting the PC panel (10). must be additionally install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recycle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after use.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 횡단경사 적용을 위한 상부거더와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부분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교량의 횡단경사 적용을 위해 PC패널(10) 제작시 헌치부(5)를 배제하고 인양, 높낮이 조절 및 간격재(24)로 사용이 가능한 매입장치(50)를 적용함으로써, PC패널(10) 제작성 및 재사용성이 우수하다. 또한, 높낮이조절장치(60)가 매입장치 간격조절재(53)를 관통함으로써 높낮이조절장치(60)의 재사용성이 우수하다.And Figure 14 shows a partial front view of the upper girder and precast floor plate for bridge cross slope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pply the cross slope of a bridge, the haunch portion (5) is excluded when manufacturing the PC panel (10) and an embedded device (50) that can be used for lifting, height adjustment, and spacing material (24) is applied. , PC panel (10) has excellent manufacturability and reusability. In addition,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60 has excellent reusability because it penetrates the embedded device spacing adjustment material 53.

도 15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매입장치에 인양장치를 설치한 상태의 부분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높낮이조절장치를 설치한 상태의 부분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15a shows a partial front view of the lifting device installed in the buried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b shows a partial front view of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install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와 달리 교량의 횡단경사 고려없이 PC패널(10)의 두께가 균일하게 제작되며, PC패널(10) 제작시 내부에 매입장치(50)가 설치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매입장치(50)는 PC패널(10)을 관통하여 매입되며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부재(51)와, PC패널(10) 하면에 돌출되도록 노출되는 돌출형 간격조절재(53)를 갖는다. 제작시 매입되는 관부재(51)는 바닥판과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보강철근(52)이 배근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s 15a and 15b, unlike the prior art, the thickness of the PC panel 10 is manufactured uniformly without considering the cross slope of the bridge, and an embedding device 50 is installed inside when manufacturing the PC panel 10. Able to know. This embedding device 50 is embedded through the PC panel 10 and has a pipe member 51 with a thread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nd a protruding spacing adjusting member 53 that is expos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C panel 10. . The pipe member 51 embedded during manufacturing may be reinforced with reinforcing bars 52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with the floor plate.

따라서 거치시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장치(4)를 매입장치(50)에 나사결합하여 PC패널(10)을 인양, 거치한다. 이때 간격재(24)를 배제할 수 있고 최소두께 확보를 위해 매입장치(50) 하단에 돌출형 간격조절재(53)가 설치된다. 그리고 교량의 횡단경사를 고려해 좌,우측 높이가 상이한 형태의 백업재를 배치할 수 있다.Therefore, when mounting, as shown in Figure 15a, the lifting device 4 is screwed to the embedding device 50 to lift and mount the PC panel 10. At this time, the spacer 24 can be excluded, and a protruding spacer 53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embedding device 50 to secure the minimum thickness. Also, considering the cross-slope of the bridge, backup materials with different height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can be placed.

그리고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장치(4)를 제거한 후,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높낮이조절장치(60)를 매입장치(50)에 설치하여 PC패널(10)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몰탈(40) 시공 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재사용성이 우수하다. As shown in Figure 15b, after removing the lifting device 4,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60 with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surface is installed on the embedding device 5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C panel 10, and the mortar (40) It can be easily removed after construction and has excellent reusability.

즉, 돌출형 간격조절재(53)에 의해 교량의 횡단경사가 자연스럽게 유지되면서 거더(1)의 헌치부(5) 및 베딩층을 형성하고, 거더(1)의 솟음량 차이(사교 또는 시공오차 등) 발생시 높낮이 조절장치(60)를 이용하여 지지점을 형성하고, 베딩층 내부에 무수축 몰탈(40) 시공후, 손쉽게 높낮이 조절장치(60)를 제거할 수 있다(돌출형 간격조절재(53)에 의해 나사산 보호). In other words, the cross-slope of the bridge is naturally maintained by the protruding spacing control material 53, forming the haunch portion 5 and bedding layer of the girder 1, and the difference in the rise amount of the girder 1 (bridge or construction error) is maintained naturally. etc.), a support point is formed using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60, and after construction of the non-shrink mortar 40 inside the bedding layer,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60 can be easily removed (protruding gap adjustment material 53 ) thread protection).

도 16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매입장치의 제작시 상태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6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매입장치의 인양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6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낮이조절장치 적용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사각형, 육각형 형태의 간격조절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16a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during manufacture of the embedd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6b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of the buria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lifted. In addition, Figure 16c show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addition, Figures 17a to 17c show perspective views of spacing adjusting materials in circular, square, and hexagonal sha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부재(51)와, 관부재(51)의 하단부 결합되는 돌출형 간격조절재(53)가 매입되어 제작된다. 이때, 돌출형 간격조절재(53)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홀이 구비되어 관부재(51) 하단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16a, a pipe member 51 having a thread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nd a protruding spacing adjusting member 53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ipe member 51 are embedded and manufactured. At this time, the protruding spacing adjusting member 53 may be provided with a threaded hole and configured to be screwed together through a thread formed on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pipe member 51.

돌출형 간격조절재(53)와 후에 설명되는 매입형 간격조절재(54)는 도 17a 내지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사각형, 육각형 단면 등을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It can be seen that the protruding spacing adjusting member 53 and the embedded spacing adjusting member 5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have a circular, square, or hexagonal cross-section, as shown in FIGS. 17A to 17C.

그리고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패널(10)을 인양, 거치할 시에 관부재(51) 상단에 인양장치(4)를 나사결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먼저 횡단경사를 고려하여 거치 전에 돌출형 간격조절재(53)의 돌출 정도를 조절한 후 거치를 진행할 수 있다. And as shown in Figure 16b, it can be seen that the lifting device 4 can be screwed to the top of the pipe member 51 when lifting and mounting the PC panel 10. In addition,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protruding spacing adjusting member 53 can be adjusted before mounting in consideration of the transverse inclination, and then mounting can be performed.

그리고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 후, 높낮이 조절이 필요한 경우 볼트 형태의 높낮이조절장치(60)를 통해 최종적으로 높낮이를 조절한다. 그리고, 몰탈(40)시공 후 높낮이조절장치(60)를 제거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ure 16c, after mounting, if height adjustment is necessary, the height is finally adjusted through the bolt-type height adjustment device 60. Also, after constructing the mortar 40,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60 can be removed and reused.

도 18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매입장치가 적용된 PC패널과, 조절공구를 통해 매입형 간격조절재를 돌출시키는 상태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8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매입장치가 적용된 PC패널의 인양시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8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절공구를 통해 높낮이를 조절하는 상태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18a shows a front view of a PC panel to which an embedded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a state in which an embedded gap adjusting material is protruded through an adjustment tool. And Figure 18b shows a front view when lifting the PC panel to which the embedd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dditionally, Figure 18c shows a front view of the height being adjusted using an adjustment too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에 따른 매입장치를 갖는 PC패널(10)은, 제작시 간격조절재가 돌출되지 않고 매입된 형태로 제작된다. The PC panel 10 having an embedded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in a form in which the gap adjusting material is embedded without protruding during manufacturing.

도 19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매입장치의 제작시 상태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9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매입장치의 인양시 상태의 사시도, 도 19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절공구를 통해 높낮이 조절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19a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during manufacture of the embedd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9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mbedded device in a lifting stat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9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ight adjustment through the adjustment too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제3실시예에서는, 앞서 언급한 제1실시예와 달리 별도의 높낮이조절장치가 불필요하고, 횡단경사에 맞도록 적정위치로 조절이 가능하다.In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first embodiment mentioned above, a separate height adjustment device is not required, and the height can be adjusted to an appropriate position to suit the cross slope.

도 18a 및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패널(10) 제작시 관부재(51)와, 매입형 간격조절재(54)가 모두 내부에 매입된 상태로 제작된다. 관부재(51)는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매입형 간격조절재(54)는 상단중앙에 상단볼트부(55)가 형성되어 있어 이러한 상단볼트부(55)가 관부재(51)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PC패널(10)에 매입되어 제작된다. 또한 이러한 상단볼트부(55)의 상단면에는 공구삽입홈(56)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18A and 19A, when manufacturing the PC panel 10, the pipe member 51 and the embedded spacing adjusting material 54 are both manufactured with them embedded inside. The pipe member 51 has a thread formed on its inner surface, and the embedded gap adjuster 54 has an upper bolt portion 55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end, so that the upper bolt portion 55 is screwed to the pipe member 51. It is manufactured by being embedded in the PC panel (10) in a combined state. Additionally, a tool insertion groove 56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lt portion 55.

그리고 제작된 PC패널(10)을 현장으로 운반한 후, 횡단경사에 맞도록 조절공구(8)를 이용하여 매입형 간격조절재(54)의 돌출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조절공구(8) 하부 끝단의 삽입단을 매입형 간격조절재(54)의 상단볼트부(55) 상단면의 공구삽입홈(56)에 삽입한 후, 나사풀림, 조임을 통해 매입형 간격조절재(54)의 돌출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And after transporting the manufactured PC panel 10 to the site,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embedded gap adjusting material 54 can be adjusted using the adjustment tool 8 to match the cross slope. That is, after inserting the insertion end of the lower end of the adjustment tool (8) into the tool insertion groove (56)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lt part (55) of the embedded spacing adjusting material (54), loosening and tightening the screw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gap adjusting material 54 can be adjusted.

그리고 도 18b 및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장치(4)를 관부재(51)에 결합하여 인양, 거치한 후, 인양장치(4)를 제거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PC패널(10) 거치 후 높낮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 별도의 높낮이조절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조절공구(8)를 이용하여 매입형 간격조절재(54)의 돌출높이를 추가로 조절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S. 18B and 19B, it can be seen that the lifting device 4 is coupled to the pipe member 51, lifted and placed, and then the lifting device 4 is removed. In addition, if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height after mounting the PC panel (10),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embedded gap adjuster (54) can be additionally adjusted using the adjustment tool (8) without using a separate height adjustment device. there is.

도 20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매입장치의 제작시 상태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0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양시 매입형 간격조절재(54)를 돌출시키는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20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높낮이조절장치(60) 적용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20a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during manufacture of the embedd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0b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embedded gap adjusting member 54 protruding during lifting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ure 20c show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6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의 제3실시예 역시 매입형으로서, 관부재(51)와 매입형 간격조절재(54)가 모두 PC패널(10) 제작시 매입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매입형 간격조절재(54)에는 상단볼트부가 없고,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절홀(57)이 구비된다. 그리고 관부재(51)의 하단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관부재(51) 외면 나사산과 매입형 간격조절재(54)가 나사결합된 상태로 매입되어 PC패널(10)이 제작된다.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n embedded type, and both the pipe member 51 and the embedded spacing adjusting material 54 are embedded when manufacturing the PC panel 10. The embedded gap adjuster 54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n upper bolt portion, and is provided with an adjustment hole 57 having a thread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n, a thread is formed on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pipe member 51, and the outer thread of the pipe member 51 and the embedded spacing adjusting material 54 are screwed together to produce the PC panel 10.

그리고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매입형 간격조절재(54)의 하부면에 공구삽입홈(56)이 구비된다. And a tool insertion groove 56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mbedded gap adjuster 54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작된 PC패널(10)을 운반한 후, 횡단경사에 맞도록 조절공구(8)를 이용하여 매입형 간격조절재(54)의 돌출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조절공구(8)의 삽입단을 매입형 간격조절재(54)의 하단면의 공구삽입홈(56)에 삽입한 후, 나사풀림, 조임을 통해 매입형 간격조절재(54)의 돌출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After transporting the manufactured PC panel 10,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embedded gap adjusting member 54 can be adjusted using the adjustment tool 8 to match the transverse slope. That is, after inserting the insertion end of the adjustment tool (8) into the tool insertion groove (56)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mbedded spacing adjusting member (54), the embedded spacing adjusting member (54) protrudes through loosening and tightening the screw. Height can be adjusted.

그리고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장치(4)를 관부재(51)에 결합하여 인양, 거치한 후, 인양장치를 제거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PC패널(10) 거치 후 높낮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 별도의 높낮이조절장치(60)를 사용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ure 20b, it can be seen that the lifting device 4 is coupled to the pipe member 51, lifted and placed, and then the lifting device is removed. And if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height after mounting the PC panel (10), the height can be adjusted using a separate height adjustment device (60).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pparatus and method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can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t may be composed.

1:상부거더
2:백업재
3:수평전단철근
4:인양장치
5:헌치부
6:배력철근
8:조절공구
10:전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PC패널)
11:전단포켓
12:PC패널 백업재
20:연결부보강재
21:종방향 연결단
22:횡방향 연결단
23:정착부재
24:배력철근 연결단
30:연결재
31:웹부
32:플랜지부
33:홀
34:돌기부
35:플레이트
36:볼트
37:너트
40:몰탈
50:매입장치
51:관부재
52:보강철근
53:돌출형 간격조절재
54:매입형 간격조절재
55:상단볼트부
56:공구삽입홈
57:조절홀
60:높낮이조절장치
1:Upper girder
2: Backup material
3:Horizontal shear rebar
4: Lifting device
5: Haunch part
6: Strength rebar
8:Adjustment tool
10: Full-section precast floor plate (PC panel)
11: Front pocket
12:PC panel backup material
20: Connection reinforcement
21: longitudinal connection end
22: Transverse connecting end
23:Fixing member
24: Strength rebar connection end
30: Connecting material
31:Web Department
32:Flan branch
33:Hall
34:Protrusion
35:Plate
36:bolt
37:Nut
40: Mortar
50: Purchase device
51: Pipe member
52:Reinforcement bar
53: Protruding spacing adjusting material
54: Embedded gap adjuster
55: Top bolt part
56: Tool insertion groove
57: Control hole
60: Height adjustment device

Claims (12)

거더 상부에 종방향을 따라 거치되어 일체화되는 프리캐스트 바닥판으로서,
콘크리트 바닥판으로 제작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거더 상부에 거치시 상기 거더 상부의 수평전단철근이 위치되는 복수의 전단포켓; 및 상기 본체부의 전방면 및 후방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횡방향을 따라 서로 특정간격되어 매입되는 연결부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 보강재는, 상단면과, 상기 본체부에 노출되는 연결부 측이 개방되며,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 간의 연결부에서 서로 대향되게 위치되며, 개방부가 연결부 측에 노출되도록 매입되는 종방향 연결단과, 상기 종방향 연결단과 연결되어 매입되는 횡방향 연결단을 갖고,
상기 연결부 보강재의 횡방향 연결단에는 상기 본체부에 매입되는 복수의 정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 보강재의 횡방향 연결단에는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에 배근된 배력철근과 연결되는 배력철근 연결단을 가지며,
서로 마주보는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 각각의 연결부 보강재에 의해 형성된 내측공간에 연결재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재는,
한 쌍의 서로 대향된 연결부 보강재의 종방향 연결단에 의해 형성된 종방향 공간에 위치되는 웹부와, 상기 웹부 전후방 각각에 연결되어 횡방향 연결단 각각에 위치되는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웹부 측면에는 홀과 돌기부를 가지며,
횡단경사 적용시, 상부 거더 좌측과 우측 백업재는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에는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부재와, 상기 관부재 하단에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하면에 돌출 또는 매입되는 간격조절재를 갖는 매입장치가 설치되고,
인양장치를 상기 관부재 상단에 나사결합하여 간격조절재의 나사결합을 조절하여 1차적으로 돌출 높이를 제어한 후,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거치하고, 상기 인양장치를 제거한 후, 높낮이 조절이 필요한 경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높낮이조절장치를 통해 상기 매입장치에 설치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높낮이를 최종적으로 조절하고, 몰탈 시공 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
A precast floor plate that is moun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top of the girder and integrated,
Main body made of concrete floor plate; A plurality of shear pockets provided in the main body where horizontal shear reinforcement bars of the upper part of the girder are located when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girder; And a connection reinforcement member embedded in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ain body at specific intervals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member has an upper end surface and a connection side exposed to the main body that are open, are located opposite to each other 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ecast floor plates, and include a longitudinal connection end embedded so that the open portion is exposed to the connection side, It has a transverse connecting end connected to and embedded in the longitudinal connecting end,
A plurality of anchoring members embedded in the main body are formed at the transverse connection end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and a reinforcement reinforcement connection end connected to the reinforcement reinforcement placed on the precast floor plate is formed at the transverse connection end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have,
A connecting material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connecting reinforcing material of each of the precast floor plates facing each other,
The connecting material is,
It has a web portion located in a longitudinal space formed by the longitudinal connecting ends of a pair of opposing connection reinforcement members, a flange portion connected to each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web portion and located at each of the transverse connecting ends, and a hole on a side of the web portion. and has protrusions,
When applying a cross slope, the left and right backup materials of the upper girder are installed at different heights, and the precast floor plate includes a pipe member with a thread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nd a pipe member protrudes or is embedd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precast floor plate at the bottom of the pipe member. An embedded device having a gap adjusting material is installed,
After screwing the lifting device to the top of the pipe member and controlling the screw connection of the spacing adjusting material to primarily control the protrusion height, mounting the precast floor plate, and removing the lifting device, if height adjustment is necessary A full-section precast floor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precast floor plate is finally adjusted by installing it on the embedding device through a height adjustment device with thread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is removed after mortar construction.
제 1항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바닥판 간의 연결을 위해 시공되는 몰탈이 외부로 새지 않도록 상기 본체부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 양단 각각에 설치되는 PC패널 백업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
According to clause 1,
A full-face precast floor plate further comprising a PC panel backup material installed on both ends of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prevent the mortar used for connection between precast floor plates from leaking to the outs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부 거더 상부에 종방향을 따라 거치되는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시공방법으로서,
제 1항 또는 제 2항에 따른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상기 상부거더의 종방향을 따라 전단포켓 내에 상기 상부 거더 상면의 수평전단철근이 위치되도록 거치시키는 단계;
서로 마주보는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 각각의 연결부 보강재에 의해 형성된 내측공간에 연결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내측공간과 상기 전단포켓에 몰탈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시공방법.
A method of constructing a precast floor plate moun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girder,
Mounting the precast floor plate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a shear pocke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girder so that the horizontal shear reinforcem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girder is located;
Installing a connecting material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connecting reinforcing material of each of the precast floor plates facing each other;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shear-section precast floor plate, comprising the step of applying mortar to the inner space and the shear pocke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거치시키는 단계 전에,
하부구조에 상부거더를 거치시키고, 상부거더 양단에 종방향을 따라 백업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시공방법.
According to clause 7,
Before mounting the precast floor plate,
A method of constructing a full-section precast floor plat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mounting an upper girder on the lower structure and installing backup materi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upper girde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재는,
한 쌍의 서로 대향된 연결부 보강재의 종방향 연결단에 의해 형성된 종방향 공간에 위치되는 웹부와, 상기 웹부 전후방 각각에 연결되어 횡방향 연결단 각각에 위치되는 플랜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시공방법.
According to clause 7,
The connecting material is,
A shear section characterized by having a web portion located in a longitudinal space formed by the longitudinal connecting ends of a pair of opposing connection stiffeners, and a flange portion connected to each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web portion and located at each of the transverse connecting ends. Construction method of precast floor plat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웹부 측면에는 홀과 돌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시공방법.
According to clause 9,
A construction method of a full-section precast floor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web portion has a hole and a protrusion on the sid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몰탈 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 연결을 위해 상기 내측공간에 무수축 몰탈을 시공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상기 상부거더 합성을 위해 상기 전단포켓에 무수축 몰탈을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시공방법.
According to clause 7,
The mortar construction step is,
A precast floor on the front side, characterized in that non-shrink mortar is constructed in the inner space to connect the precast floor plate, and non-shrink mortar is constructed in the shear pocket for synthesis of the precast floor plate and the upper girder. Construction method of the plate.
제 8항에 있어서,
횡단경사 적용시, 상기 상부 거더 좌측과 우측 백업재는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에는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부재와, 상기 관부재 하단에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하면에 돌출되도록 노출되는 간격조절재를 갖는 매입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거치시키는 단계에서,
인양장치를 상기 매입장치에 나사결합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거치하고, 상기 인양장치를 제거한 후,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높낮이조절장치를 상기 매입장치에 설치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상기 몰탈 시공 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시공방법.
According to clause 8,
When applying a cross slope, the left and right backup materials of the upper girder are installed at different heights,
The precast floor plate is provided with an embedded device having a pipe member having a thread formed on an inner surface, and a gap adjusting material exposed at the bottom of the pipe member to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recast floor plate,
In the step of mounting the precast floor plate,
A lifting device is screwed to the embedding device to mount the precast floor plate, and after removing the lifting device, a height adjustment device with thread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is installed in the embedding devic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recast floor plate. A method of constructing a full-section precast floor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rtar is removed after construction.
KR1020240000673A 2024-01-03 2024-01-03 Full-depth precast deck panel using joint stiffeners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cast deck panel KR1026633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0673A KR102663345B1 (en) 2024-01-03 2024-01-03 Full-depth precast deck panel using joint stiffeners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cast deck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0673A KR102663345B1 (en) 2024-01-03 2024-01-03 Full-depth precast deck panel using joint stiffeners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cast deck pan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3345B1 true KR102663345B1 (en) 2024-05-03

Family

ID=91077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0673A KR102663345B1 (en) 2024-01-03 2024-01-03 Full-depth precast deck panel using joint stiffeners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cast deck pa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345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985B1 (en) * 2014-12-15 2015-08-18 우백건설 주식회사 Socket type precast concrete panel and pav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18076733A (en) 2016-11-11 2018-05-17 オリエンタル白石株式会社 Method of constructing connection structure of precast structural member and material cured with time
KR101954155B1 (en) 2018-06-07 2019-03-05 컨텍이앤씨 주식회사 Bridge with full-deck and protective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KR102163522B1 (en) * 2019-12-12 2020-10-07 (주)아이오컨스텍 Precast floor plate having level correction unit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2453839B1 (en) 2022-02-24 2022-10-14 주식회사 신원알피씨 Bridge barrier structure using precast concrete barrier
KR102568976B1 (en) * 2023-03-28 2023-08-23 주식회사 태정엔지니어링 Protection Wall Structure for Full PC Slab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985B1 (en) * 2014-12-15 2015-08-18 우백건설 주식회사 Socket type precast concrete panel and pav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18076733A (en) 2016-11-11 2018-05-17 オリエンタル白石株式会社 Method of constructing connection structure of precast structural member and material cured with time
KR101954155B1 (en) 2018-06-07 2019-03-05 컨텍이앤씨 주식회사 Bridge with full-deck and protective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KR102163522B1 (en) * 2019-12-12 2020-10-07 (주)아이오컨스텍 Precast floor plate having level correction unit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2453839B1 (en) 2022-02-24 2022-10-14 주식회사 신원알피씨 Bridge barrier structure using precast concrete barrier
KR102568976B1 (en) * 2023-03-28 2023-08-23 주식회사 태정엔지니어링 Protection Wall Structure for Full PC Slab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4636B2 (en) Deck-to-girder connections for precast or prefabricated bridge decks
US6588160B1 (en) Composite structural member with pre-compression assembly
CN113550225B (en) Modular panel structure with connection units preventing gap opening and separation
RU2375523C1 (en) Formwork for constructing reinforcing covering of construction made from corrugated steel plates
JP4625763B2 (en) Composite structure of main girder and precast slab
US8166595B2 (en) Bridge decking panel with fastening systems
KR100693872B1 (en)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teel and concrete composite deck with a blocked out
KR100761785B1 (en) Mold-concrete composite crossbeam
KR20010045640A (en) Precast Reinforced Concrete Slab, Composite Continuous Bridge Having Such Slab,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0535157B1 (en) Structures and Methods for Connection between Precast Decks and Prestressed Concrete Girders
KR101309004B1 (en) Rahmen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2663345B1 (en) Full-depth precast deck panel using joint stiffeners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cast deck panel
CN113638533A (en) Prefabricated floor slab, detachable steel-concrete composite floor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663346B1 (en) Embedded device of full-depth precast deck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of transverse slope using the embedded device
KR101020483B1 (en) Apparatus having a girder connection anchor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continuity of precast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s using the same apparatus
CN105821908A (en) Multiple water stop belt, waterproof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waterproof structure
KR101239179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prestressed concrete bulb-t girder bridge
KR100565384B1 (en) Structure of continuous PSC beam with connection member and steel cross beam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583671B1 (en) Prestressed concrete beam manufactured by installing steel anchorage devices to various positions and reinforcing member to the upper and lower flanges, and construction method of bridge using the concrete beam
KR20090054511A (en) Pre-cast concrete elments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for upper portion of bridge
KR200395627Y1 (en) Concrete composite Crossbeam
KR101342894B1 (en) Trust typ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and constructing method of continuation bridge using the same
KR20040105940A (en) Structures and Methods for Connection between Precast Decks and Prestressed Concrete Girders
JP5282721B2 (en) Rigid floor structure and method
CA2547700A1 (en)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 deck of tubular profile having vertical snap-fit conn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