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9179B1 - Construction method for prestressed concrete bulb-t girder bridge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ethod for prestressed concrete bulb-t girder brid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9179B1
KR101239179B1 KR1020120132064A KR20120132064A KR101239179B1 KR 101239179 B1 KR101239179 B1 KR 101239179B1 KR 1020120132064 A KR1020120132064 A KR 1020120132064A KR 20120132064 A KR20120132064 A KR 20120132064A KR 101239179 B1 KR101239179 B1 KR 101239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prestressing
upper flange
reinforcing bar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0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정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Priority to KR1020120132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917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1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constructing a prestressed concrete bulb T-girder bridge is provided to solve the problems of chambers generated differently in girders and to easily apply it to a bridge of low height. CONSTITUTION: A method for constructing a prestressed concrete bulb T-girder bridge comprises; a step for manufacturing a girder(10) of a bulb T-shape having a wide upper flange(11) and a lower flange; a step for prestressing each girder; a step for installing the prestressed girders to a lower structure; a step for regulating the chambers generated in the each girder by prestressing; a step for placing a distribution bar between the upper flanges of the adjacent girders and placing concrete; a step for secondarily prestressing and installing a cross beam in the lower parts of the upper flanges; and a step for installing a barrier and paving materials.

Description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거더교의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for Prestressed Concrete Bulb-T Girder Bridge}Construction Method for Prestressed Concrete Bulb-T Girder Bridge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거더교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에 비하여 구조역학적 효율성이 개선되면서도 시공이 간단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거더교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of a prestressed concrete bulb girder brid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struction method of a prestressed concrete bulb girder bridge with simple structural construction while improving structural dynamic efficiency as compared with the related art.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 이하 'PSC'라고 함) 합성거더교란 교대, 교각 등의 하부구조 위에 미리 제작한(프리캐스트) PSC 거더를 가설하고, 거더에 의해 지지가 되는 바닥판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한 다음에 거더 상부플랜지와 합성되는 바닥판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PSC 거더와 콘크리트 바닥판 슬래브를 합성하는 구조로서, 합성 거더에 의해 바닥판 상부에 작용하는 포장, 방호벽 등의 2차 고정하중과 차량 하중 등이 지지가 되는 구조형식의 교량이다.
Precast Prestressed Concre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SC') Synthetic girder disturbances Prefabricated (precast) PSC girders on substructures such as shifts and piers, and deck slab formwork supported by girders PSC girder and concrete slab slab are synthesized by placing bottom slab concrete composited with the upper girder flange after installing the girder, and the secondary fixed load of pavement, protection wall, etc. acting on the upper slab by synthetic girder. It is a bridge of structural type supported by vehicle and vehicle load.

전형적인 PSC 합성거더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SC-I형 거더(1)에 콘크리트 바닥판 슬래브(3)를 설치하는 형식이다. 초기의 I형 단면의 PSC 거더는 상부플랜지의 폭과 하부플랜지의 폭이 거의 비슷한 크기였으며, 거더의 폭이 높이에 비하여 훨씬 작아서 단면의 형상이 영문 I와 비슷하다고 하여 I형 거더라고 일컬어 졌다. 그 후 거더의 길이가 길어지면 상부플랜지의 폭이 하부플랜지의 폭에 비하여 커지는 것이 제작이나 운반 및 가설 시에 유리하며 구조적 효율 역시 뛰어난 것으로 밝혀지면서 상부플랜지의 폭을 키운 I형 거더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거더의 형태를 도 1에 도시된 I형 거더와 차별하여 벌브티(Bulb-T) 거더라고도 하였다.A typical PSC composite girder bridge is a type in which a concrete slab slab 3 is installed in a PSC-I type girder 1 as shown in FIG. 1. The initial PSC girders of type I cross section were almost the same size as the width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The width of the girder was much smaller than the height, so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was similar to that of English I. After that, when the length of the girder is longer, the width of the upper flange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flange, which is advantageous in manufacturing, transportation, and construction.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girder is also referred to as a bulb-T girder to distinguish it from the type I girder shown in FIG. 1.

PSC-T형 합성 거더는 도 2와 같이 넓은 폭의 상부플랜지를 포함하고 있으며, 하부플랜지(1')는 아예 없거나 매우 폭이 좁은 형태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PSC-T형 합성거더교는 하부구조물 위에 거더(1)의 상부플랜지가 거의 맞닿을 정도로 근접하게 설치한 다음 따로 거푸집 없이 거더 상부플랜지 사이의 작은 틈새를 탄성재 등으로 코킹(caulking)하고 콘크리트 바닥판 슬래브(3)를 타설하고 방호벽(4)을 시공하는 방법으로 시공되었다.The PSC-T type girder includes a wide upper flange as shown in FIG. 2, and the lower flange 1 ′ has no or very narrow shape. PSC-T type composite girder bridge as shown in Figure 2 is installed so close that the upper flange of the girder (1) is almost abut on the lower structure and then caulk a small gap between the upper flange of the girder without a formwork with an elastic material or the like. It was constructed by caulking, pouring concrete slab slab 3 and constructing a protective wall 4.

도 3a와 도 3b에는 바닥판 일체식 PSC 벌브티 거더교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모두 거더의 상부플랜지가 교량의 바닥판으로 사용되는 특징이 있다. 거더와 거더 사이의 횡방향(교량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 연결 방식으로는 대표적으로 두 가지 시공방법이 있는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연결재를 사용하는 방식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철근을 사용하는 방식이 있다. 급속 시공이 중요한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플랜지가 거의 맞닿도록 거더(1)를 설치하고 거더 사이에 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강재의 전단 연결재(5)를 용접하여 인접한 거더들을 서로 연결한 후 거더 사이의 틈새는 모르타르(6)로 채우는 방식인 전단 연결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도 3b에 도시된 거더교의 경우 철근(7)을 겹칩이음하고 콘크리트(8)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시공하게 되는데 이러한 시공방법은 모멘트 연결방식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설계 계산시 전단 연결방식은 횡방향으로 전단력만 전달된다고 가정하여 설계하고, 모멘트 연결방식은 휨모멘트도 전달된다고 가정하여 설계를 하게 된다.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방식 모두 상부플랜지의 횡방향 연결이 완료되면 별도의 바닥판 타설 공정 없이 바로 방호벽(4)과 포장(미도시)을 시공하게 된다.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거더(1)는 상부플랜지의 폭이 도 1에 도시된 I형 거더(1)에 비하여 훨씬 크고, 기존의 T형 단면에 비하여 하부플랜지도 큰 편이기 때문에 보통 바닥판 일체식 벌브티 거더(Decked Bulb-T 또는 DBT)라고 일컬어진다.3A and 3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bottom plate integrated PSC bulb girder bridge, in which both the upper flange of the girder is used as the bottom plate of the bridge. There are two construction methods for connecting the girder and the girder in a transvers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There are two construction methods, as shown in FIG. 3A and a shear connecting member as shown in FIG. As you can see there is a way to use roof rebar. When rapid construction is important, as shown in FIG. 3A, the girder 1 is installed so that the upper flange is almost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shear connecting member 5 of the steel, which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is welded to each other. After connecting the girders to each other, the gap between the girders is using a shear connection method that is filled with mortar (6). In the case of the girder bridge shown in FIG. 3b, the reinforcing bars 7 are overlapped and the concrete 8 is poured. This construction method is also called a moment connection method. In the calculation of the design, the shear connection method is designed assuming that only the shear force is transmit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moment connection method is designed assuming that the bending moment is also transmitted. 3A and 3B, when the lateral connection of the upper flange is completed, the protective wall 4 and the pavement (not shown) are immediately constructed without a separate bottom plate pouring process. The girder 1 shown in Figs. 3a and 3b is usually bottomed because the width of the upper flange is much larger than that of the I-type girder 1 shown in Fig. 1 and the lower flange is larger than the conventional T-shaped cross section. It is called an integrated bulb tea girder (Decked Bulb-T or DBT).

전술한 I형 거더, T형 거더, Bulb-T형 거더는 그 구분이 다소 모호하기 때문에 용어를 혼용하여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다소간의 형태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3가지의 단면은 구조적 특성이 비슷하고 설계방법이 같기 때문에 용어의 혼돈이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The above-described type I girder, T type girder, and Bulb-T type girder tend to use the terms interchangeably because their distinction is somewhat ambiguous. However, despite some morphological differences, the confusion of terms does not matter much because the three cross sections have similar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same design method.

앞서 설명한 3가지 교량형식은 각각 특유의 장단점이 있는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PSC-I형 합성거더교는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교량 형식으로 현장적용성이 가장 우수하다. PSC 거더는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때문에 가설했을 때 위쪽 방향으로 솟아오르게 되며 이를 캠버(camber)라고 부르는데 거더의 형상과 프리스트레스의 도입량을 같게 설계한 경우에도 콘크리트의 구성재료 편차, 양생 환경의 편차, 재령 편차, 텐던의 긴장력, 설치위치 오차 및 마찰력 편차 등으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거더마다 상이한 크기의 캠버가 발생하곤 한다. 그런데 I형 거더 형식은 바닥판 슬래브 거푸집을 현장에서 목재로 제작하기 때문에 도 1과 같이 거더의 상부플랜지 위에 헌치부(2)를 마련하여 헌치의 높이를 변화시킴으로써 거더 사이의 상이한 캠버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사교(skewed bridge), 곡선교(curved bridge) 또는 바닥판 슬래브가 확폭되는 경우에도 거푸집을 현장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직선의 거더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형상의 바닥판 슬래브에 적용이 편리하다. 다만, 이 형식의 교량은 고공에서 거더에 의해 지지가 되는 폭이 넓은 바닥판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안전사고에 취약한 단점이 있으며, 복잡한 거푸집 설치작업 때문에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도 있다.Each of the three bridge types described above has its ow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First, the PSC-I type composite girder bridge shown in FIG. 1 is the most widely used bridge type in the world, and has the highest field applicability. Since PSC girder introduces prestress, it rises upward when it is hypothesized, and it is called camber. Even when the shape of girders and the prestress amount are designed equally, the variation of the constituents of the concrete, the variation of the curing environment, and the age variation In general, cambers of different sizes are generated for each girder due to tension, tendency of the tendons, positional error and frictional force variation. However, the type I girder type is made of wood slab formwork in the field, so as shown in Figure 1 by providing a haunch (2) on the upper flange of the girder to change the height of the haunch to correct the different camber between the girders. have. In addition, since the formwork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in the field even when skewed bridges, curved bridges, or deck slabs are expanded, they are applied to deck slabs of various shapes despite the use of straight girders. This is convenient. However, this type of bridge is vulnerable to safety accidents due to the need to install a wide bottom slab formwork supported by girders at high altitude,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air is long due to the complicated formwork installation work.

도 2에 도시된 PSC T형 합성거더교는 바닥판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 안전성이 개선되며, 공기가 짧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거더의 상부플랜지가 인접해 있으며 거푸집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거더마다 캠버가 다른 경우에는 그 처리가 쉽지 않다. 도 1에 도시된 헌치부를 두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으나 헌치부의 폭이 너무 넓어서 거더 사이의 캠버 차이가 커지면 헌치부의 중량이 과도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보통 PSC T형 거더는 형고를 높이고 프리스트레스의 도입량을 줄여 캠버의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거더 간의 캠버 차이를 줄이는 방법을 주로 사용해왔다. 그런데 이러한 T형 거더의 가장 큰 문제는 인접하는 거더의 상부플랜지들이 거의 맞닿아 있기 때문에 지간거리가 매우 짧아 구조역학적으로는 바닥판 슬래브의 두께를 매우 얇게 할 수 있는데, 바닥판 슬래브의 최소설계기준 때문에 구조역학적으로 문제가 없지만 슬래브 두께를 제한 값 이하로 줄일 수 없다는 점이다. 즉, 상부플랜지의 상하방향의 두께는 설계지간에 관계없이 반드시 바닥판 슬래브 최소설계 기준 이상으로 설계되어야 하는 것이다. 국내 도로교 설계기준의 경우 콘크리트 슬래브의 최소두께가 220mm이므로 T형 합성 거더의 경우에 슬래브의 두께는 220mm로 설계되는데, 도 1의 PSC-I형 합성거더교의 슬래브 두께는 보통 240mm이다. 이는 합성형 T형 거더의 넓은 상부플랜지가 합성슬래브의 두께를 줄이는데 기여하는 바가 거의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구조적으로 매우 비효율적인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러한 구조적 비효율성 때문에 최근에는 T형 합성거더교가 거의 시공되지 않고 있다.PSC T-type composite girder bridge shown in Figure 2 does not need to install the bottom plate slab formwork is improved work safety, has the advantage of short air. However, because the upper flange of the girder is adjacent and does not use the formwork, the processing is not easy when the camber is different for each girder. Considering the method of placing the haunch shown in Figure 1, but the width of the haunch portion is too wi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eight of the haunch portion is excessive if the camber difference between the girder becomes large. For this reason, PSC T-girder has been mainly used to reduce the camber difference between girders by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mold and reducing the amount of prestress to reduce the size of the camber. However, the biggest problem of these T-girders is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very short because the upper flanges of adjacent girders are almost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e thickness of the bottom slab can be made very thin. There is no structural problem, but the slab thickness cannot be reduced below the limit.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upper flang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must be designed above the minimum slab design criteria regardless of the design site. In the case of the domestic road bridge design standards, the slab thickness is 220mm in the case of T-type composite girder because the minimum thickness of the concrete slab is 220mm. The slab thickness of the PSC-I type composite girder bridge of FIG. 1 is usually 240mm. This means that the wide top flange of the composite T-girder contributes little to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composite slab, which in turn is very inefficient in structure. Due to such structural inefficiency, T-type composite girder bridges have not been constructed recently.

도 3a와 도 3b에는 바닥판 일체식 PSC 벌브티(DBT) 거더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방식은 거더의 상부플랜지(1a)를 바닥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형식의 거더들에 비하여 구조적 효율이 가장 뛰어나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바닥판 일체식 벌브티 거더가 세 가지 거더형식 중 형고는 가장 낮고 도입되는 긴장력은 가장 크다. 도 3a에 도시된 거더는 거더의 설치 후에 전단연결재(5)를 용접 연결하고 거더 사이를 모르타르(6)로 채워 마감하기 때문에 급속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3b에 도시된 거더의 경우에도 하부구조에 거더를 가설한 다음 간단한 형태의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8)를 타설하여 거더를 횡방향으로 연결만 하면 되므로 이러한 형식 역시 매우 빠른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3b에 도면부호 7로 표시된 것은 루프형태의 철근이다.3A and 3B show a bottom plate integrated PSC bulb tea (DBT) girder, which uses the upper flange 1a of the girder as the bottom plate, so that the structural efficiency is higher than that of the girders of the type described above. outstanding. Therefore, in general, the bottom plate integrated bulb tea girder is the lowest among the three girder types and the largest tension is introduced. The girder shown in Figure 3a has the advantage that rapid construction is possible because the weld connection of the shear connector (5)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girder and filling the mortar (6) between the girders. Even in the case of the girder shown in Figure 3b, after installing the girders on the substructure, simply install the formwork and then cast the concrete (8) only need to connect the gird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is type is also very fast construction advantages There is this. Designated by reference numeral 7 in FIG. 3B is a reinforcing bar in the form of a loop.

그러나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거더 형식은 바닥판 일체식이기 때문에 거더의 강성이 커서 거더마다 다른 크기의 캠버가 생기면 그 조정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더욱이 사교의 경우에는 상부플랜지 단부의 솟음량은 거더 길이방향의 직각방향에 위치하는 거더 단면 도심의 솟음량과 같은데 교량의 사각으로 인하여 횡방향으로 인접한 상부플랜지 단부의 솟음을 결정하는 각각의 거더 단면 도심이 거더 길이방향의 상대적 위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거더에 동일한 캠버가 발생해도 인접한 상부플랜지 단부의 솟음은 서로 같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캠버의 조정 또는 보정이 반드시 필요한 시공상의 어려움이 있다.However, since the girder type shown in FIGS. 3A and 3B is integral with the bottom plate, the rigidity of the girder is large, and thus, if a camber having a different size is generated for each girder, its adjustment is difficult. Furthermore, in the case of gliding, the amount of rise of the upper flange end is equal to the amount of rise of the center of the girder section located at right ang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and each girder cross section that determines the rise of the upper flange e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due to the square of the bridge. Since the centers of the girder have different relative posi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even if the same camber is generated in each girder, the rises of the adjacent upper flange ends are not equal to each other. Even in this case, there is a difficulty in construction that requires adjustment or correction of the camber.

도 4a는 인접한 DBT 거더 사이의 캠버를 조정하는 방법 중의 하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거더 사이의 상이한 캠버의 조정에는 보통 인접한 거더를 지지대로 하여 캠버가 작은 거더를 끌어올리거나 캠버가 큰 거더를 내리누르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도 4a에 도시된 방법을 설명하면 상대적으로 캠버가 작은 거더(1")를 유압잭(9)를 이용하여 끌어올리게 되는 것이다. 도 4a에 9'으로 표시된 구성요소는 거더(1'')을 끌어올리기 위하여 거더(1'')에 임시고정되는 강봉이고, 9''으로 표시된 구성요소는 받침대이다.4A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one of methods of adjusting cambers between adjacent DBT girders. The adjustment of different cambers between girders is usually the method by which the camber picks up the small girder or the camber pushes down the large girder with the support of adjacent girders. The method shown in Fig. 4a is used to pull up a girder 1 "having a relatively small camber by using a hydraulic jack 9. The component indicated by 9 'in Fig. 4a pulls the girder 1". The rod is temporarily fixed to the girder (1 '') for lifting, and the component labeled 9 '' is the pedestal.

도 4b는 캠버 조정작업을 완료한 후 레벨링 상태를 고정한 사진이다.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DBT 거더는 앞서 설명한 전단연결방식의 DBT 거더로서 도 4b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전단연결재(a)를 확인할 수 있다. 거더의 캠버 조정을 통하여 거더 상부플랜지의 상면이 설계된 형상의 평면이 되도록 하는 작업을 레벨링(leveling)작업이라고 하는데 레벨링 작업이 완료되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강재 인서트 사이에 보통 작은 철판으로 된 전단연결재를 용접하여 레벨링 상태를 고정한다. 이처럼 DBT 거더의 레벨링은 다소 번거롭지만 도 4a나 도 4b에 도시된 방법을 실시하면 캠버의 보정이 가능하기는 하다. 4B is a photograph of fixing the leveling state after completing the camber adjustment work. The DBT girder shown in FIGS. 4A and 4B is a DBT girder of the shear connection method described above, and it is possible to check the shear connector (a)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FIG. 4B. The leveling work is called the leveling work,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upper flange is made into a plane of the designed shape by adjusting the camber of the girder. To fix the leveling state. Although the leveling of the DBT girder is somewhat cumbersome, the camber can be corrected by implementing the method illustrated in FIGS. 4A and 4B.

DBT 거더의 가장 큰 문제는 바닥판 교체 문제다. 교량의 바닥판 슬래브는 차량과 거의 직접 접촉할 뿐만 아니라 철근콘크리트의 내구성에 매우 유해한 염화칼슘 같은 융설제에 노출되기 쉽기 때문에 거더에 비하여 내구연한이 짧아서 일반적으로 교량의 일생동안 한 번 또는 두 번 정도의 바닥판 교체가 필요하다.The biggest problem with the DBT girder is the problem of the bottom plate replacement. Bridge deck slabs are not only in direct contact with the vehicle but also susceptible to snow melts such as calcium chloride, which are very detrimental to the durability of reinforced concrete, and thus have a shorter endurance compared to girders. The bottom plate needs to be replaced.

그런데 DBT 거더의 경우는 바닥판 슬래브가 거더의 일부이므로 바닥판 슬래브 교체가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또한, 거더와 거더 사이의 횡방향 연결이 근본적으로 취약한 구조이므로 연결부의 파손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DBT 거더는 보통 덤프트럭 같은 중차량 교통량이 많지 않은 교량이나 바닥판 교체가 별로 필요하지 않은 교량에 주로 사용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DBT girder, since the bottom plate slab is part of the girder, the bottom plate slab replacement is virtually impossible. In addition, since the lateral connection between the girder and the girder is a fundamentally weak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reakage of the connection portion frequently occurs. Therefore, DBT girders are usually used for bridges with heavy traffic such as dump trucks, or for bridges that do not require much bottom plate replacement.

도 5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571188호 "윙거더 교량구조"(이하 '윙거더')의 합성형 PSC 벌브티 거더교의 단면도이다. 윙거더는 도 2의 PSC T형 합성거더교의 구조적 비효율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부플랜지의 측면에 횡방향 철근을 노출시켜 거더를 제작한다. 제작된 윙거더를 교량의 하부구조에 거치한 후에 노출된 횡방향 철근(R)을 커넥터(C)에 의해 이음하고, 추가적인 바닥판 슬래브를 타설하기 때문에 모멘트 연결 된 상부플랜지(또는 윙부)가 바닥판 슬래브의 일부로 사용되어 도 2의 PSC T형 합성거더교와 마찬가지로 바닥판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면서도 구조적 효율성이 개선된 것이다. 그런데 거더의 구조적 효율이 개선되면 거더의 단면적이 작아지고 형고가 낮아져 거더의 자중은 줄어들지만 반면에 프리스트레스 도입량은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는데 이에 따라 캠버 역시 커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윙거더는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에 의한 캠버 문제를 간과한 발명으로 PSC 거더를 가설한 후 인접한 거더들에 서로 다른 캠버가 발생하게 되어 인접한 상부플랜지의 상면들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여 평면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에 대한 대책이 없다. 또한, 상부플랜지의 측면에 노출된 철근도 거더 사이의 서로 다른 캠버와 거더 가설시의 설치 오차 등으로 인한 위치 오차 때문에 철근의 이음이 쉽지 않다는 사실 또한 고려하지 못한 발명으로 보인다. 더욱이 하부구조 위에 거더들을 가설할 때 철근들이 서로 겹쳐져 있어서 이로 인한 철근들의 간섭 때문에 거더를 가설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사실도 고려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윙거더는 구조적으로는 효율적이지만 실제로 시공하는 데에는 매우 단점이 많은 발명인 것으로 판단된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posite PSC bulb girder bridge of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571188 "wing girder bridge structure" (hereinafter 'wing girder'). Wing girder fabricates the girder by exposing the transverse rebar on the side of the upper flange in order to solve the structural inefficiency problem of the PSC T-type composite girder bridge of FIG. After mounting the fabricated wing girder to the undercarriage of the bridge, the exposed transverse reinforcement (R) is joined by the connector (C), and an additional bottom plate slab is cast, so that the moment-connected upper flange (or wing) Used as part of the slab of slab, as in the PSC T-type composite girder bridge of FIG. 2, structural efficiency is improved without the need for installing a slab slab formwork. However, when the structural efficiency of the girder is improve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girder is reduced and the height of the girder is reduced, but the self-weight of the girder is reduced, whereas the prestress introduction amount is relatively large, and accordingly, the camber is also large. However, the wing girder is an invention that overlooks the camber problem by the introduction of prestress.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PSC girder, different cambers are generated in the adjacent girders, so that a step occurs between the upper surfaces of the adjacent upper flanges, thereby failing to form a plane. There is no countermeasure.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reinforcement of the rebar is not easy due to the position error due to the installation error in the girder and the different camber between the rebar girders exposed to the side of the upper flange also seems not to be considered. Moreover, when girders are laid on the undercarriage, they do not seem to consider the fact that the rebars overlap each other, making it very difficult to girder because of the interference of the rebars. In conclusion, winger is structurally efficient, but it seems to be an invention with many disadvantages in actual construction.

도 6은 종래의 PSC 벌브티 거더를 하부구조 위에 거치한 다음 철근콘크리트 중간 가로보의 철근 배근 작업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거더의 밑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철근(RB)의 배근이 끝나면 거푸집(미도시)을 설치하고 거더의 상부플랜지에 형성된 관통공(H)을 통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작업을 수행할 때 거더 상부플랜지들 사이의 틈이 매우 좁아서 거더 상면에서 거더 하부 쪽으로 접근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자재나 장비, 인력의 투입이 교량 아래쪽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가 있다. 거더가 매우 높은 위치에 거치 되거나 교량의 하부가 하천이나 바다인 경우에는 교량의 아래쪽에서 장비나 인력을 투입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만약 빠른 시공을 위하여 철근콘크리트가 아니라 강재의 가로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강재의 가로보가 매우 무거워서 거더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자재를 투입할 수 없다면 아래쪽에서 끌어올리기는 매우 난감한 상황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는 도 2, 도 3a 및 도 5에 도시된 거더에서 발생하게 되며 도 3b에 도시된 거더의 경우에도 루프철근(7)이 촘촘하게 설치되므로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6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inforcement of the reinforcement of the reinforced concrete intermediate cross beam after the conventional PSC bulb tea girder is mounted on the lower structure (picture taken from the bottom of the girder). After the reinforcement of the reinforcing bar (RB) is installed the formwork (not shown) and the concrete is poured through the through hole (H) formed in the upper flange of the girder. However, when performing such a work, the gap between the upper girder flanges is very narrow, so it is impossible to approach the lower side of the girder from the upper side of the girder,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put of materials, equipment, and manpower should be made under the bridge. This is because when the girder is mounted at a very high position or when the lower part of the bridge is a river or sea,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put equipment or manpower under the bridge. If steel beams are used for fast construction rather than reinforced concrete, the steel beams are so heavy that it can be very difficult to pull them from the bottom if the material cannot be put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girder. This problem occurs in the girders shown in FIGS. 2, 3A, and 5, and the same problem may occur because the loop reinforcement 7 is densely installed in the case of the girders shown in FIG. 3B.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교량의 바닥판 슬래브 거푸집이 필요 없거나 설치가 간단한 거푸집을 사용하는 기존의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T형 합성거더교 및 바닥판 일체식 거더교의 시공성을 개선하고,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에 따라 거더마다 달리 발생하는 솟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거더교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형 PSC T형 거더의 구조적 효율을 높이고 형고가 낮은 경우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거더교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raw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existing precast prestressed concrete T-shaped formwork that does not need slab formwork of bridge or simple installation It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concrete bulb tea girder bridge that can improve the construction of composite girder bridge and bottom plate integrated girder bridge, and solve the rise problem that occurs differently for each girder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prestress.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of a prestressed concrete bulb tea girder bridge, which can be easily applied even when the height of the mold is low and the structural efficiency of the composite PSC T-girder is low.

전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합성거더교의 시공방법에 있어서,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concrete bulb tee composite girder bridge,

상부플랜지의 측면에 상기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거더의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여러 개의 철근이 형성되되, 인접하는 거더의 상부플랜지의 측면에 돌출되는 철근과는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벌브티(Bulb-T)형 거더를 제작하는 거더 제작단계;Bulbs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upper flange to protru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gird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bars protruding on the side of the upper flange of the adjacent girder ( A girder manufacturing step of manufacturing a Bulb-T) girder;

상기 거더 제작단계에서 제작된 각각의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프리스트레싱 단계;A prestressing step of introducing prestress into each girder produced in the girder manufacturing step;

상기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거더를 하부구조 위에 가설하는 거더 가설단계;A girder hypothesis step of hypothesizing the girders into which the prestress is introduced;

상기 프리스트레싱 단계에서 도입된 프리스트레스에 의해 각각의 거더에 형성된 솟음량의 차이를 조정하는 레벨링 단계;A leveling step of adjusting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rise formed in each girder by the prestress introduced in the prestressing step;

인접하는 거더의 상부플랜지들 사이의 아래쪽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위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모멘트 연결단계;Installing a formwork on the bottom between the upper flanges of the adjacent girder and the moment connecting step to cure by placing concrete after placing the reinforcement on the formwork;

상부플랜지 위쪽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슬래브 형성단계;를 포함하고,Includes; slab forming step of placing the reinforcing bar on the upper flange and placing concrete;

상기 거더 제작단계의 철근은 상부플랜지의 아래쪽으로 사람과 자재의 이동이 필요한 곳에 설치되며 탈부착할 수 있는 제1철근과 상부플랜지 측면에 고정되는 제2철근으로 구성되어, 제1철근을 탈착한 상태에서 상부플랜지의 아래쪽으로 사람이 이동하여 필요한 작업을 하고, 사람과 자재의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제1철근을 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거더교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The reinforcing bar of the girder manufacturing step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people and materials need to be mov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flange, and is composed of a first reinforcing bar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and a second reinforcing bar that is fixed to the upper flange side. At the bottom of the upper flange to move the person to do the necessary work, and provides a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concrete bulb tea girder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reinforcing bar can be attached after the work of people and materials is completed.

상기 프리스트레싱 단계는 상기 레벨링 단계이전에 각각의 거더에 도입되어야 하는 프리스트레스의 일부만을 가하는 제1프리스트레싱 단계와, 상기 레벨링 단계와 모멘트 연결단계 이후에 각각의 거더에 도입되어야 할 프리스트레스의 나머지를 가하는 제2프리스트레싱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tressing step includes a first prestressing step of applying only a part of the prestress to be introduced into each girder before the leveling step, and a second prestressing step to be introduced into each girder after the leveling step and the moment connecting step. It is preferred to consist of a prestressing step.

또한, 본 발명은,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바닥판 일체식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거더교의 시공방법에 있어서,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bottom plate integrated prestressed concrete bulb tea girder bridge,

상부플랜지의 측면에 상기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거더의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여러 개의 철근이 형성되되, 인접하는 거더의 상부플랜지의 측면에 돌출되는 철근과는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벌브티(Bulb-T)형 거더를 제작하는 거더 제작단계;Bulbs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upper flange to protru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gird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bars protruding on the side of the upper flange of the adjacent girder ( A girder manufacturing step of manufacturing a Bulb-T) girder;

상기 거더 제작단계에서 제작된 각각의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프리스트레싱 단계;A prestressing step of introducing prestress into each girder produced in the girder manufacturing step;

상기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거더를 하부구조 위에 가설하는 거더 가설단계;A girder hypothesis step of hypothesizing the girders into which the prestress is introduced;

상기 프리스트레싱 단계에서 도입된 프리스트레스에 의해 각각의 거더에 형성된 솟음량의 차이를 조정하는 레벨링 단계;A leveling step of adjusting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rise formed in each girder by the prestress introduced in the prestressing step;

인접하는 거더의 상부플랜지들 사이의 아래쪽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 위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모멘트 연결단계; 를 포함하고,Installing a formwork on the bottom between the upper flanges of the adjacent girder and the moment connecting step of curing by placing concrete after placing the reinforcement on the formwork; Including,

상기 거더 제작단계의 철근은 상부플랜지의 아래쪽으로 사람과 자재의 이동이 필요한 곳에 설치되며 탈부착할 수 있는 제1철근과 상부플랜지 측면에 고정되는 제2철근으로 구성되어, 제1철근을 탈착한 상태에서 상부플랜지의 아래쪽으로 사람이 이동하여 필요한 작업을 하고, 사람과 자재의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제1철근을 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거더교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The reinforcing bar of the girder manufacturing step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people and materials need to be mov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flange, and is composed of a first reinforcing bar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and a second reinforcing bar that is fixed to the upper flange side. At the bottom of the upper flange to move the person to do the necessary work, and provides a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concrete bulb tea girder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reinforcing bar can be attached after the work of people and materials is completed.

상기 프리스트레싱 단계는 상기 레벨링 단계이전에 각각의 거더에 도입되어야 하는 프리스트레스의 일부만을 가하는 제1프리스트레싱 단계와, 상기 레벨링 단계와 모멘트 연결단계 이후에 각각의 거더에 도입되어야 할 프리스트레스의 나머지를 가하는 제2프리스트레싱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estressing step includes a first prestressing step of applying only a part of the prestress to be introduced into each girder before the leveling step, and a second prestressing step to be introduced into each girder after the leveling step and the moment connecting step. It is preferred to consist of a prestressing step.

이때, 상기 제1프리스트레싱은 프리텐셔닝(pre-tensioning)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제2프리스트레싱은 포스트텐셔닝(post-tensioning)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In this case, the first prestressing may be performed by a pre-tensioning method, and the second prestressing may be performed by a post-tensioning method.

상기 제1철근의 일단부는 상기 거더의 상부플랜지와 나사결합하고 타단부에는 단면확대부가 형성된 봉형상의 헤디드 바로 할 수도 있고, 일단부가 상기 거더의 상부플랜지와 나사결합 하는 갈고리 형태의 철근일 수도 있다.One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may be screwed with the upper flange of the girder and the other end may be a rod-shaped headed bar formed with an enlarged cross section, or one may be a hook-shaped reinforcing bar that is screwed with the upper flange of the girder. .

제1프리스트레싱에 사용되는 텐던은 거더의 양단부에서 정착되고, 제2프리스트레싱에 사용되는 텐던은 거더의 단부 측면에서 정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endons used for the first prestressing are settled at both ends of the girder, and the tendons used for the second prestressing are settled at the end sides of the girders.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거더에 가로보를 설치하는 가로보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며,Further comprising a horizontal beam installation step for installing a horizontal beam on the girder,

상기 거더 제작단계에서 상부플랜지의 하부에 가로보를 제작하고, 서로 인접하는 거더의 가로보들을 현장에서 현장 타설에 의해 모멘트 연결하며,In the girder manufacturing step, the cross beams are manufactur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flange, and the cross beams of adjacent gird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moments in the field.

상기 가로보의 모멘트 연결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철근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상기 탈부착할 수 있는 철근은 갈고리 형태의 철근, 루프 형태의 철근 또는 헤디드 바를 사용할 수 있다.Removable reinforcing bar is preferably used for the moment connection of the cross beam, and the detachable reinforcing bar may be a reinforcing bar-shaped reinforcing bar, reinforcing bar or headed bar.

상기 가로보에는 거더의 횡방향으로 배치되며 강봉이나 텐던을 삽입하기 위한 덕트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The cross beam may be dispos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girder and provided with a duct for inserting a steel rod or tendon.

본 발명에 의하면 교량의 바닥판 슬래브 거푸집이 필요 없거나 설치가 간단한 거푸집을 사용하는 기존의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T형 합성거더교 및 바닥판 일체식 거더교의 시공성을 개선하고,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에 따라 거더마다 달리 발생하는 솟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거더교의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형 PSC T형 거더의 구조적 효율을 높이고 형고가 낮은 경우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거더교의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ability of the existing precast prestressed concrete T-type composite girder bridge and the bottom plate integrated girder bridge, which do not need the deck slab formwork of the bridge or use the simple formwork, and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the prestres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concrete bulb tea girder bridge that can solve the rise problem that otherwise occur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ethod of constructing a prestressed concrete bulb tea girder bridge that can be easily applied even when the height of the structure is low and the height of the composite PSC T-girder.

도 1은 종래의 PSC I형 합성거더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PSC T형 합성거더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a는 종래의 바닥판 일체식 PSC 벌브티 거더교(전단 연결 방식)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b는 종래의 바닥판 일체식 PSC 벌브티 거더교(모멘트 연결 방식)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a는 바닥판 일체식 벌브티 거더교에 적용되는 레벨링 작업방식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b는 바닥판 일체식 벌브티 거더교에 적용되는 레벨링 작업방식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
도 5는 종래의 합성형 PSC 벌브티 거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윙거더)
도 6은 종래의 PSC 벌브티 거더의 하부에 마련되는 가로보를 위한 철근의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합성거더교의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거더의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합성거더교의 시공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b에 도시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거더교의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거푸집의 하나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헤디드 바가 사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헤디드 바가 설치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커플러를 이용하여 철근을 탈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프리텐션용 텐던과 포스트텐션용 텐던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다단계 긴장을 위한 단부 정착구와 측면 정착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다단계 긴장을 위한 정착구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a 및 도 16b는 종래의 가로보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a 내지 도 17c는 가로보 설치단계에서 탈착이 가능한 철근을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곡선교에 적용할 수 있는 상부플랜지 형상의 평면도.
도 19는 좌우 비대칭 형상의 벌브티 거더를 인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a 내지 도 20c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판 일체식 프리스트레스트 벌브티 거더교의 시공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도 20a 내지 도 20c에 도시된 프리스트레스트 벌브티 거더교의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헤디드 바를 도시한 도면.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PSC type I girder bridg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PSC T-type composite girder bridge.
Figure 3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ottom plate integrated PSC bulb tea girder bridge (shear connection method).
Figure 3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ottom plate integrated PSC bulb tea girder bridge (moment connection method).
Figure 4a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leveling work method applied to the bottom plate integrated bulb tea girder bridge.
Figure 4b is a photograph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leveling work method applied to the bottom plate integrated bulb tea girder bridge.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synthetic PSC bulb tea girder; (Wing girder)
Figure 6 is a photograph of the reinforcing bar for the cross beam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ventional PSC bulb tea girder.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irder used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tressed concrete bulb tee composite girder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d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dure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concrete bulb tee composite girder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example of formwork used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tressed concrete bulb tea girder bridge shown in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at a headed bar is use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installing the headed bar shown in FIG. 10. FIG.
12A and 12B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detaching reinforcing bars using a coupler.
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rrangement of pretension and posttension tendons; FIG.
1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nd anchoring and side anchoring for multi-stage tension.
15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anchorage for multi-stage tension.
16a and 16b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crossbeam installation method.
Figures 17a to 17c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a removable rebar in the crossbeam installation step.
18 is a plan view of the upper flange shape applicable to a curved bridge.
19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lifting a bulb tea girder of left and right asymmetrical shapes.
20a to 20c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dure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bottom plate integrated prestress bulb tea girder b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view showing a headed bar used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tress bulb girder bridge shown in FIGS. 20A to 20C.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provide specific content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합성거더교의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거더의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합성거더교의 시공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b에 도시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거더교의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거푸집의 하나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헤디드 바가 사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헤디드 바가 설치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커플러를 이용하여 철근을 탈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프리텐션용 텐던과 포스트텐션용 텐던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다단계 긴장을 위한 단부 정착구와 측면 정착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다단계 긴장을 위한 정착구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a 및 도 16b는 종래의 가로보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a 내지 도 17c는 가로보 설치단계에서 탈착이 가능한 철근을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곡선교에 적용할 수 있는 상부플랜지 형상의 평면도, 도 19는 좌우 비대칭 형상의 벌브티 거더를 인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irder used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concrete bulb tee composite girder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a to 8d is a prestressed concrete bulb tee composi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formwork used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tressed concrete bulb girder bridge shown in FIG. 8B, FIG. 10 is a headed bar used for explaining the procedure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girder bridge.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installing the headed bar shown in FIG. 10, FIGS. 12A and 12B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detaching reinforcing bars using a coupler, and FIG. Figure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pre-tension and post-tension tendon, Figure 14 is for explaining the end anchoring and side anchoring for multi-stage tension Figure, Figure 15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anchorage for multi-stage tension, Figures 16a and 16b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crossbeam installation method, Figures 17a to 17c are removable rebar in the crossbeam installation step 18 is a plan view of an upper flange shape applicable to a curved bridge, and FIG. 19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lifting a bulb tea girder having left and right asymmetric shapes.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거더교의 시공방법은 합성형 거더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거더 제작단계, 프리스트레싱 단계, 거더 가설단계, 레벨링 단계, 모멘트 연결단계, 슬래브 형성단계 및 가로보 설치단계로 구성된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tressed concrete bulb girder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composite girder, girder manufacturing step, prestressing step, girder construction step, leveling step, moment connection step, slab formation step and horizontal beam installation It consists of steps.

상기 거더 제작단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플랜지와 광폭의 상부플랜지를 갖는 벌브티(Bulb-T) 형상의 거더(10)를 제작하는 단계로서, 상부플랜지(11)의 측면에 거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여러 개의 철근(20)이 돌출되도록 제작하며 이때 철근(20)은 거더(10)가 가설 되었을 때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여러 개의 철근이 배치된 상태는 도 10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철근(2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여 설치되는 거더(10)의 철근과 겹쳐서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배치된다. 상부플랜지(11)의 상면에는 바닥판 슬래브 콘크리트와의 합성을 위한 전단철근(12)이 노출되어 있다.The girder manufacturing step is to produce a bulb-T shaped girder 10 having a lower flange and a wide upper flange as shown in FIG. 7, and a girder (side) of the upper flange 11.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 20 is protru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10) and the reinforcing bar 20 is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en the girder 10 is installed. The state where several rebars are arranged can be seen in FIG. 10.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bar 20 is dispos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einforcing bars of the girders 10 are installed adjacent to, as shown in FIG.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lange 11 is exposed to the shear reinforcing bars 12 for synthesis with the bottom plate slab concrete.

상기 철근(20)은 탈부착할 수 있는 제1철근(21)과 상부플랜지(11)에 고정되는 제2철근(22)으로 나눌 수 있는데, 상기 제1철근(21)은 상기 가로보 설치단계와 같이 상부플랜지(11)의 아래쪽으로 사람과 자재의 이동이 필요한 부분에 설치되어 제1철근(21)이 탈착한 상태에서는 사람이 상부플랜지(11)의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 맨홀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사람들이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며, 필요한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부착되도록 한다.The reinforcing bar 2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reinforcing bar 21 and a second rebar 22 fixed to the upper flange 11, wherein the first reinforcing bar 21 is as in the horizontal beam installation step. It is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flange 11 and the part that needs to be moved, so that when the first reinforcing bar 21 is detached so that the person can act as a manhole that can move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flange (11). So that people can do the work they need to do and attach it after the work is don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철근(21)은 도 10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에 나사부(21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단면확대부(212)가 형성된 헤디드 바이다. 상기 제1철근(21)은 상부플랜지(11)에 매립된 암나사부(213)에 나사 결합하는 방식으로 탈착과 부착을 할 수 있게 설치된다. 제1철근(21)으로 헤디드 바는 겹침이음에도 매우 효과적이고 철근끼리의 상호간섭을 효과적으로 피할 수도 있다. 도 11에는 헤디드 바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이 도시되어 있는데 상부플랜지에 거더의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내부철근(13)을 설치하고, 그 내부철근(13)의 양단부에 커플러(213)를 연결하며, 제1철근(21)을 커플러(213)에 의해 내부철근(13)과 연결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10, the first reinforcing bar 21 is a headed bar having a screw portion 211 formed at one end and a cross-sectional enlarged portion 212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The first reinforcing bar 21 is installed to be detachable and attached in a manner that is screwed to the female screw portion 213 embedded in the upper flange (11). As the first reinforcing bar 21, the headed bar is very effective even in the overlapping and can effectively avoid the mutual interference between the bars. 11 shows a method for installing a headed bar, in which an inner reinforcing bar 13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girder is installed on the upper flange, and couplers 213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inner reinforcing bar 13. The first reinforcing bar 21 is connected to the internal reinforcing bar 13 by the coupler 213.

한편, 본 실시예와 다르게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의 제2철근(22)과 동일하게 갈고리 형태의 철근(21'')을 사용하고 커플러(211'')를 이용하여 탈부착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2B, the same reinforcing bar 21 '' as in the second reinforcing bar 22 of FIG. 10 may be used and detachable using a coupler 211 ''. have.

상기 제2철근(22)은 상부플랜지(11)에 고정된 상태로 노출되는 철근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플랜지(11)의 상면에 비하여 위쪽까지 노출되는데, 상부플랜지(11)들을 연결할 때 모멘트까지 전달이 되도록 연결하는 기능과 함께 슬래브 콘크리트와의 합성을 위한 전단철근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7, the second reinforcing bar 22 is exposed to the upper flange 11 in a fixed state, and is exposed to an upper side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11, and connects the upper flanges 11. It also serves as a shear reinforcing bar for synthesizing with slab concrete, as well as connecting to transfer moments.

상기 프리스트레싱 단계는 상기 거더 제작단계에서 제작된 각각의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단계이다.The prestressing step is a step of introducing a prestress to each girder produced in the girder manufacturing step.

상기 거더 가설단계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거더(10)를 교량의 하부구조(미도시) 위에 가설하는 단계이다. 도 8a에는 도시상의 편의를 위하여 거더만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하부구조에 가설된 상태이다.The girder hypothesis step is to construct the girder 10 into which the prestress is introduced, as shown in FIG. 8A, on a bridge structure (not shown). Although only girder is shown in FIG. 8A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it is actually hypothesized in the substructure.

상기 레벨링 단계는 상기 프리스트레싱 단계에서 도입된 프리스트레스에 의해 각각의 거더에 형성된 솟음량의 차이를 조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레벨링 단계는 배경 기술에서 설명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leveling step is a step of adjusting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rise formed in each girder by the prestress introduced in the prestressing step. Since the leveling step may use the method described in the background art, further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리스트레싱 단계는 제1프리스트레싱 단계와 제2프리스트레싱 단계로 나누어 진행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tressing step is divided into a first prestressing step and a second prestressing step.

상기 제1프리스트레싱 단계는 제작된 거더에 도입되어야 할 프리스트레스의 일부를 가하는 단계이며, 상기 제2프리스트레싱 단계는 상기 레벨링 단계 이후에 도입되어야 할 프리스트레스 중 제1프리스트레싱 단계에서 도입되지 않은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단계이다. The first prestressing step is a step of applying a part of prestress to be introduced into the manufactured girder, and the second prestressing step is a step of introducing prestress not introduced in the first prestressing step of the prestresses to be introduced after the leveling step. to be.

우선 도입되어야 할 프리스트레스의 일부를 도입하는 제1프리스트레싱 단계를 실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프리스트레싱 단계는 텐던에 인장력을 가한 상태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텐던을 거더에 부착시키고 콘크리트가 소정의 강도에 도달하면 인장력을 해제(release)하여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프리텐셔닝(pre-tensioning) 방식에 의해 이루어진다. 거더의 제작본수가 많은 경우에는 텐던의 정착장치가 필요 없는 프리텐셔닝 방식이 경제적으로 유리한 장점이 있다. 프리텐셔닝 방식으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경우 텐던을 직선배치하는 것이 유리하므로 도 13에 61로 표시된 바와 같이 직선으로 배치되는 텐던을 사용하게 된다. 제1프리스트레싱 단계에서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스의 크기는 거더 자중에 의한 처짐과 프리스트레스 도입에 의한 솟음이 같아서 캠버가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가 이상적이다.First, a first prestressing step of introducing a part of the prestress to be introduced is perform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prestressing step is to pre-tension to introduce prestress into the girder by releasing the tensile force when the concrete is placed to the girder by placing the concrete with the tensile force applied thereto and releasing the tensile force when the concrete reaches a predetermined strength. This is done by a pre-tensioning method. When the number of manufactured girders is large, the pretensioning method which does not require the tendon fixing device has an economical advantage. In the case of introducing prestress by the pretensioning method, it is advantageous to arrange the tendons in a straight line, so that tendons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re used as indicated by 61 in FIG. 13. The size of the prestress introduced in the first prestressing step is ideally such that the camber does not occur because the sagging due to the girder weight and the rise due to the prestress introduction are the same.

제1프리스트레싱 단계가 완료되면 전술한 레벨링 단계를 실시하게 된다. 레벨링 단계는 제1프리스트레싱에 의해 각각의 거더에 발생되는 솟음량의 차이를 조정하는 단계이다. When the first prestressing step is completed, the above-described leveling step is performed. The leveling step is a step of adjusting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rise generated in each girder by the first prestressing.

레벨링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모멘트 연결단계를 실시하게 된다. 상기 모멘트 연결단계는 상기 상부플랜지(11)들 사이에 거더 길이 방향의 배력철근(31)을 배근하고 콘크리트(30)를 타설하는 단계이다. 모멘트 연결단계가 완료된 상태가 도 8b에 도시되어 있다.When the leveling step is completed, the moment connecting step is performed. The moment connecting step is to step the reinforcing bar 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between the upper flanges 11 and cast concrete 30. The state in which the moment connecting step is completed is shown in FIG. 8B.

상부플랜지(11)들 사이는 거리가 짧고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양이 많지 않으므로 간단한 형태의 거푸집을 사용할 수 있는데 도 9에 거푸집의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판형태의 거푸집(90)을 상부플랜지(11)에 고정하게 되는데 상부플랜지(11)에 매립된 너트(92)에 볼트(91)을 체결하는 형태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되는 거푸집(90)은 모멘트 연결단계가 완료된 이후에 철거될 수도 있고 철거가 번거로운 경우에는 영구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flanges 11 is short and the amount of concrete to be poured is not large, a simple form can be used. An example of the form is shown in FIG. 9. Plate formwork 90 is fixed to the upper flange 11 is made by fastening the bolt 91 to the nut 92 embedded in the upper flange (11). At this time, the formwork 90 used may be dismantled after the moment connection step is completed, or may be permanently used when the demolition is cumbersome.

상기 모멘트 연결단계가 완료되면 제2프리스트레싱 단계를 실시하게 된다. 제2프리스트레싱 단계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입되어야 할 프리스트레스의 양 중 제1프리스트레싱 단계에서 도입된 프리스트레스를 제외한 나머지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단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포스트 텐셔닝(post-tensioning)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며 제2프리스트레싱을 위한 텐던(6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형태로 배치된다.
When the moment connecting step is completed, the second prestressing step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prestressing step introduces the remaining prestresses other than the prestresses introduced in the first prestressing step out of the amount of prestresses to be introduced.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prestressing step is performed by a post-tensioning method. The tendons 60 for the second prestressing are arranged in a curved shape as shown in FIG. 13.

최근에 형하공간 확보와 미관상의 이유로 거더의 형고를 낮추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는데, 본 실시예의 발명과 같은 합성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거더는 단면의 효율이 우수하기 때문에 거더의 형고를 낮추는데 적합한 구조이다. 그런데 거더의 형고를 낮추면 그에 비례하여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스의 양이 커지기 때문에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솟음도 같이 커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통상적인 경우 솟음이 커지면 거더 간의 솟음 편차도 커진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여러 단계로 나누어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제1프리스트레싱 단계에서 프리스트레스의 일부만을 도입하게 되면 솟음 역시 줄어들게 되고 솟음 편차 역시 줄일 수 있다. 이처럼 일부의 프리스트레스만 도입한 상태에서 레벨링을 하고 모멘트 연결단계를 실시하여 레벨링한 상태를 고정하고 제2프리스트레싱 단계를 실시하여 나머지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다. 이러한 방법을 실시하면 레벨링 작업이 필요 없거나 솟음이 크지 않은 상태에서 레벨링 작업을 하게 되므로 레벨링 작업이 훨씬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Recently, efforts have been made to reduce the height of the girder for securing the space of the mold and for aesthetic reasons, but the 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 bulb tea girder as the inven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good cross-section efficiency, which is suitable for reducing the height of the girder. to be. However, if the height of the girder is lowered, the amount of prestress introduced i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height of the girder, so that the rise of the prestress is also increased. In general, the rise of the girder increases as the rise of the girder increases. However, it can be helpful to solve this problem by introducing prestress by dividing into several steps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f only a portion of the prestress is introduced in the first prestressing step, the rise is also reduced and the rise deviation can be reduced. As such, leveling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only a part of prestress is introduced, a moment connection step is performed to fix the leveling state, and a second prestressing step is performed to introduce the remaining prestress. This method has an advantage that the leveling operation can be made much easier because the leveling operation is not necessary or the level is not large.

한편, 통상의 경우 거더를 하부구조 위에 가설하기 전에 긴장을 완료하기 때문에 공기 상 마지막에 제작되는 거더는 양생 기간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한 이유로 설계강도의 80% 정도를 프리스트레스 도입시의 콘크리트 강도로 고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다단계 긴장을 하는 경우 제2프리스트레싱 단계 이전에 충분한 거더의 양생 시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강도 100%를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irder produced at the end of the air phase may not have sufficient curing period because the tension is completed before the girders are laid on the substructure. For that reason, it is common to consider about 80% of the design strength as the concrete strength when prestress is introduced. However, when the multi-stage tension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curing time of the sufficient girder before the second prestressing step can be secur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100% of the design strength can be utilized.

이처럼 다단계 긴장을 하기 위해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더 단부의 측면에 노출된 정착구를 사용하면 제2프리스트레싱 단계를 실시하기가 용이하다. 제1프리스트레싱 단계에 사용되는 텐던(61)은 거더 단부 쪽에 노출된 정착구(611)를 이용하여 정착하고, 제2프리스트레싱 단계에 사용되는 텐던(60)은 거더의 측면에 노출된 정착구(602)를 이용하거나 상부플랜지(11)를 일부 절취한 후 그 절취 된 부분에 설치되는 정착구(601)를 이용하여 정착할 수 있다. 물론 상기의 정착구(601)는 정착이 완료된 이후에는 슬래브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게 된다. 이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더(10)의 측면으로 노출된 정착구 없이 상부플랜지(11)를 일부 절취한 후 그 절취 된 부분에만 정착구(601)를 설치하여 필요한 프리스트레싱 작업을 할 수도 있다. 도 14와 도 15의 실시예에서는 도 13의 실시예와는 달리 제1프리스트레싱 단계에서도 포스트텐셔닝을 사용하고 있다. To achieve this multi-stage tension, the second prestressing step can be easily performed by using the anchorage exposed on the side of the girder end as shown in FIG. 14. The tendon 61 used in the first prestressing step is fixed using the fixing unit 611 exposed at the end of the girder, and the tendon 60 used in the second prestressing step uses the fixing unit 602 exposed at the side of the girder. Alternatively, the upper flange 11 may be partially cut off and then fixed using the fixing unit 601 installed at the cut portion. Of course, after the fixing is completed, the fixing unit 601 reinforces the slab reinforcement and pours / cures concrete.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5, the upper flange 11 may be partially cut without the fixing unit exposed to the side of the girder 10, and then the fixing unit 601 may be installed only at the cut portion to perform the necessary prestressing operation. In FIGS. 14 and 15, post-tensioning is used in the first prestressing step differently from the embodiment of FIG. 13.

상기 가로보 설치단계는 상부플랜지(11)의 하부에 가로보(7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가로보는 거더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가로보 자체의 구조적 역할 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horizontal beam installation step is to install the horizontal beam 7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flange (11). Since the crossbeam is generally used in girder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al role of the crossbeam itself will be omitted.

가로보 설치단계는 모멘트 연결단계 이전에 실시하는데, 하부구조 위에 가설된 거더들 간의 가로보 설치위치에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을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급속 시공이 요구되는 경우에 도 16a와 같이 가로보를 거더와 함께 제작하는 방법이 종종 사용된다. 도 16a에 도시된 형태로 제작된 거더를 하부구조 위에 가설한 후에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71)에 강봉 또는 텐던을 삽입하고 인장력을 가하여 정착시켜 가로보를 결속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급속시공이 가능하지만 거더의 가설시에 가로보 사이의 간섭문제가 있으며, 가로보의 제작 및 설치 오차를 보정하기 어려워 시공이 매우 까다롭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7a에 도시된 형태로 가로보를 설치하게 되며 이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cross beam installation step is carried out before the moment connection step, and it is common to reinforce the reinforcing bar at the cross beam installation position between the girders installed on the lower structure, form the formwork, and then cast concrete. However, when rapid construction is requir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ross beam with a girder is often used as shown in FIG. 16A. After the girders fabricated in the form shown in FIG. 16a are hypothesized on the substructure, a steel rod or tendon is inserted into the duct 71 as shown in FIG. 16b, and fixed by applying a tensile force to bind the cross beams. However, this method is available for rapid construction, but there is an interference problem between the cross beams during the construction of girders, and construction is very difficult because it is difficult to correct the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errors of the cross beams.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rizontal beam is installed in the form shown in FIG. 17A,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가로보(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거더 제작단계에서 제작하게 되며, 서로 인접한 거더에 설치된 가로보(70)들을 현장타설방법에 의해 결속하며, 이때 모멘트 연결을 위한 철근(이하 '가로보 철근'이라 함)으로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더에 부착된 가로보(70)와 탈부착할 수 있는 헤디드 바를 가로보 철근(72)으로 사용하며,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73)를 타설/양생하여 가로보 설치단계를 마무리하게 된다.The horizontal beam 70 is manufactured in the girder manufacturing step as described above, and binds the horizontal beams 70 installed on the adjacent girders by a site casting method, and reinforcing bars for connecting momen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beam beams'). As shown in FIG. 17B, the horizontal beam 70 attached to the girder and the detachable head bar are used as the horizontal beam reinforcing bars 72, and the concrete 73 is cast / cured as shown in FIG. 17C. This completes the installation phase.

이때 상기 헤디드 바는 앞서 제1철근(21)으로 사용한 헤디드 바와 동일한 구성이지만 그 사용되는 곳과 용도가 다르므로 서로 다른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한편, 상기 가로보 철근으로 헤디드 바 대신에 도 12a에 도시된 루프철근이나 도 12b에 도시된 갈고리 형태의 철근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탈부착 역시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커플러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headed bar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headed bar used as the first reinforcing bar 21, but uses different reference numerals because its use and use are different. Meanwhile, the reinforcing bar reinforcement may be used instead of the headed bar shown in FIG. 12a or the hook-type reinforcement shown in FIG. 12b, and the detachment may appropriately use the coupler shown in FIGS. 12a and 12b.

상기의 가로보 설치단계와 모멘트 연결단계에서 두 단계 모두 거푸집 설치작업과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하는데 작업의 효율성을 위하여 상기의 두 단계의 거푸집 작업과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동시에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the cross beam installation step and the moment connection step, both the formwork installation work and the concrete placing work are generally performed at the same time.

앞서 설명한 프리스트레싱 단계, 레벨링 단계, 가로보 설치단계, 모멘트 연결단계가 완료되면 슬래브 형성단계를 실시하게 된다.When the prestressing step, leveling step, cross beam installation step, and moment connection step described above are completed, the slab forming step is performed.

상기 슬래브 형성단계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플랜지(11)의 위에 주철근(42)과 배력철근(41)을 배치하고 콘크리트(40)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이다. 슬래브 형성단계가 완료되면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벽(51)과 포장(50)을 설치하여 교량 시공을 마무리하게 된다.
The slab forming step is the step of placing the main reinforcing bar 42 and the reinforcing bar 41 on the upper flange 11 and pouring the concrete 40, as shown in Figure 8c. When the slab forming step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8D,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 is completed by installing the protective wall 51 and the pavement 50.

이하에서는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판 일체식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거더교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construction method of a bottom plate integrated prestressed concrete bulb girder b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0 and 21.

도 20a 내지 도 20c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판 일체식 프리스트레스트 벌브티 거더교의 시공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1은 도 20a 내지 도 20c에 도시된 프리스트레스트 벌브티 거더교의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헤디드 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20A to 20C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dure of a method of constructing a bottom plate integrated prestress bulb girder b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1 is a prestress shown in FIGS. 20A to 20C.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headed bar used for the construction method of a bulb tea girder bridge.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거더교의 시공방법은 바닥판 일체식 거더의 시공에 관한 것으로서 거더 제작단계, 프리스트레싱 단계, 거더 가설단계, 레벨링 단계, 모멘트 연결단계로 구성된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tressed concrete bulb girder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the construction of the bottom plate integrated girder is composed of girder manufacturing step, prestressing step, girder construction step, leveling step, moment connection step.

상기 거더 제작단계는 도 20a에 도시된 형태의 거더(110)를 제작하는 단계이다. 도 7에 도시된 앞선 실시예의 거더와 차이점이 몇 가지 있는데 상부플랜지(111)의 위에 슬래브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도 7에 도시된 거더에 있는 전단철근(12)이 없고, 철근(120)의 상단부의 위치가 상부플랜지(111)의 상면에 비하여 낮은 것이 차이점이다. 상기 거더(110)의 상부플랜지(111) 측면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제1철근(121)과 고정되는 제2철근(122)이 마련되는 점은 앞선 실시예의 거더(10)와 동일하다. The girder manufacturing step is a step of manufacturing the girder 110 of the type shown in Figure 20a. There are some differences from the girder of the previous embodiment shown in FIG. 7, but since no slab is formed on the upper flange 111, there is no shear reinforcement 12 in the girder shown in FIG. The difference is that the position is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111. The side of the upper flange 111 of the girder 110 is provided with a removable first reinforcing bar 121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2 is the same as the girder 10 of the previous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 제1철근(121)은 헤디드 바로서 나사부(1211)와 단면 확대부(1212)가 있으며 상부플랜지(111)에 매립된 커플러(1213)에 나사 결합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reinforcing bar 121 has a threaded portion 1211 and a cross-sectional enlarged portion 1212 as headed bars, and is screwed to a coupler 1213 embedded in the upper flange 111.

상기 프리스트레싱 단계는 상기 거더(110)에 필요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단계이다.The prestressing step is to introduce a prestress required for the girder 110.

상기 거더 가설단계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거더(110)를 교량의 하부 구조 위에 가설하는 단계이다.The girder hypothesis step is to hypothesize the girder 110 into which prestress is introduced onto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상기 레벨링 단계는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으로 인해 생기는 거더(110)의 상이한 솟음량을 보정하는 단계이다.The leveling step is a step of correcting the different amount of rise of the girder 110 caus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prestress.

상기 모멘트 연결단계는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력철근(131)을 배근하고 콘크리트(130)를 타설/양생하는 단계이다.The moment connecting step is a step to reinforce the reinforced reinforcing bars 131 and pour / curing the concrete 130 as shown in Figure 20b.

상기 프리스트레싱 단계, 거더 가설단계, 레벨링 단계, 모멘트 연결단계는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단계는 아니며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이 프리스트레싱을 다단계로 하는 경우에는 제1프리스트레싱 단계, 거더 가설단계, 레벨링 단계, 모멘트 연결단계, 제2프리스트레싱 단계의 순서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고, 1회의 프리스트레싱을 하는 경우에는 프리스트레싱 단계, 거더 가설단계, 레벨링 단계, 모멘트 연결단계의 순으로 시공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prestressing step, the girder hypothesis step, the leveling step, the moment connecting step is not a step that proceeds sequentially, in the case of pre-stressing multi-step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first pre-stressing step, girder hypothesis step, leveling step, moment connection step The construction may be performed in the order of the second prestressing step, and in the case of one prestressing, the construction may be performed in the order of the prestressing step, the girder hypothesis step, the leveling step, and the moment connecting step.

상기 프리스트레싱 단계, 거더 가설단계, 레벨링 단계, 모멘트 연결단계가 마무리 되면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포벽(151)을 설치하고 포장(150)을 하여 교량 시공을 마무리한다.
When the prestressing step, the girder hypothesis step, the leveling step, and the moment connection step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20C, the barrier wall 151 is installed and the pavement 150 is completed to finish the bridge construction.

한편, 도 18에 도시된 곡선교의 경우 가장 외측에 있는 벌브티 거더의 상부플랜지 외측 곡선이 곡선형을 따르도록 하면 어느 정도의 곡률을 가지는 곡선교의 시공이 가능하며, 상부플랜지의 폭을 거더 길이방향으로 선형 변화시키면 확폭교량의 시공도 가능하다. 이때 거더의 비대칭 형상에 의해 거더를 가설할 때 한쪽으로 무게가 쏠려 거더가 회전하는 문제가 생길 수도 있는데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크레인 줄(81) 외에 보조 크레인 줄(82)을 이용하여 거더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에 도면부호 14로 표시된 구성요소는 벌브티 거더의 복부(web)이다.
Meanwhile, in the case of the curved bridge shown in FIG. 18, when the outer flange of the upper flange of the bulb girder on the outermost side is curved, construction of a curved bridge having a certain curvature is possible, and the width of the upper flange is girder. If the linear chan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widening bridge. At this time, when the girder is installed by the asymmetrical shape of the girder, the weight may be focused on one side, which may cause the girder to rotate. As illustrated in FIG. 19, the girder using the auxiliary crane string 82 in addition to the main crane string 81 may be used. Can prevent the rotation. The component indicated at 14 in FIG. 18 is the web of the bulb tea girder.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거더교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형태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거더교의 시공방법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While providing a detailed description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by describ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tressed concrete bulb girder bridg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 Or, it can be embodied by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tressed concrete bulb tea girder bridge of various forms within the scope not contrary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거더 20 : 철근
30 : 현장타설 콘크리트 40 : 슬래브 콘크리트
50 : 포장
10: girder 20: rebar
30: cast-in-place concrete 40: slab concrete
50: packing

Claims (1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합성거더교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부플랜지의 측면에 상기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거더의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여러 개의 철근이 형성되되, 인접하는 거더의 상부플랜지의 측면에 돌출되는 철근과는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벌브티(Bulb-T)형 거더를 제작하는 거더 제작단계;
상기 거더 제작단계에서 제작된 각각의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프리스트레싱 단계;
상기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거더를 하부구조 위에 가설하는 거더 가설단계;
상기 프리스트레싱 단계에서 도입된 프리스트레스에 의해 각각의 거더에 형성된 솟음량의 차이를 조정하는 레벨링 단계;
인접하는 거더의 상부플랜지들 사이의 아래쪽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 위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모멘트 연결단계;
상부플랜지 위쪽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슬래브 형성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거더 제작단계의 철근은 상부플랜지의 아래쪽으로 사람과 자재의 이동이 필요한 곳에 설치되며 탈부착할 수 있는 제1철근과 상부플랜지 측면에 고정되는 제2철근으로 구성되어, 제1철근을 탈착한 상태에서 상부플랜지의 아래쪽으로 사람이 이동하여 필요한 작업을 하고, 사람과 자재의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제1철근을 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거더교의 시공방법.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concrete bulb tee composite girder bridge,
Bulbs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upper flange to protru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gird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bars protruding on the side of the upper flange of the adjacent girder ( A girder manufacturing step of manufacturing a Bulb-T) girder;
A prestressing step of introducing prestress into each girder produced in the girder manufacturing step;
A girder hypothesis step of hypothesizing the girders into which the prestress is introduced;
A leveling step of adjusting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rise formed in each girder by the prestress introduced in the prestressing step;
Installing a formwork on the bottom between the upper flanges of the adjacent girder and the moment connecting step of curing by placing concrete after placing the reinforcement on the formwork;
A slab forming step of placing reinforcing steel on the upper flange and placing concrete; Including,
The reinforcing bar of the girder manufacturing step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people and materials need to be mov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flange, and is composed of a first reinforcing bar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and a second reinforcing bar that is fixed to the upper flange side.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tressed concrete bulb tea girder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person moves to the bottom of the upper flange to perform the necessary work, and the first reinforcing bar can be attached after the work of the person and the material is comple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스트레싱 단계는 상기 레벨링 단계이전에 각각의 거더에 도입되어야 하는 프리스트레스의 일부만을 가하는 제1프리스트레싱 단계와, 상기 레벨링 단계와 모멘트 연결단계 이후에 각각의 거더에 도입되어야 할 프리스트레스의 나머지를 가하는 제2프리스트레싱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거더의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stressing step includes a first prestressing step of applying only a part of the prestress to be introduced into each girder before the leveling step, and a second prestressing step to be introduced into each girder after the leveling step and the moment connecting step.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concrete bulb tea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tressing step.
바닥판 일체식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거더교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부플랜지의 측면에 상기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거더의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여러 개의 철근이 형성되되, 인접하는 거더의 상부플랜지의 측면에 돌출되는 철근과는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벌브티(Bulb-T)형 거더를 제작하는 거더 제작단계;
상기 거더 제작단계에서 제작된 각각의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프리스트레싱 단계;
상기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거더를 하부구조 위에 가설하는 거더 가설단계;
상기 프리스트레싱 단계에서 도입된 프리스트레스에 의해 각각의 거더에 형성된 솟음량의 차이를 조정하는 레벨링 단계;
인접하는 거더의 상부플랜지들 사이의 아래쪽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 위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모멘트 연결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거더 제작단계의 철근은 상부플랜지의 아래쪽으로 사람과 자재의 이동이 필요한 곳에 설치되며 탈부착할 수 있는 제1철근과 상부플랜지 측면에 고정되는 제2철근으로 구성되어, 제1철근을 탈착한 상태에서 상부플랜지의 아래쪽으로 사람이 이동하여 필요한 작업을 하고, 사람과 자재의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제1철근을 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거더교의 시공방법.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bottom plate integrated prestressed concrete bulb tea girder bridge,
Bulbs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upper flange to protru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gird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bars protruding on the side of the upper flange of the adjacent girder ( A girder manufacturing step of manufacturing a Bulb-T) girder;
A prestressing step of introducing prestress into each girder produced in the girder manufacturing step;
A girder hypothesis step of hypothesizing the girders into which the prestress is introduced;
A leveling step of adjusting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rise formed in each girder by the prestress introduced in the prestressing step;
Installing a formwork on the bottom between the upper flanges of the adjacent girder and the moment connecting step of curing by placing concrete after placing the reinforcement on the formwork; Including,
The reinforcing bar of the girder manufacturing step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people and materials need to be mov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flange, and is composed of a first reinforcing bar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and a second reinforcing bar that is fixed to the upper flange side.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tressed concrete bulb tea girder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person moves to the bottom of the upper flange to perform the necessary work, and the first reinforcing bar can be attached after the work of the person and the material is comple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스트레싱 단계는 상기 레벨링 단계이전에 각각의 거더에 도입되어야 하는 프리스트레스의 일부만을 가하는 제1프리스트레싱 단계와, 상기 레벨링 단계와 모멘트 연결단계 이후에 각각의 거더에 도입되어야 할 프리스트레스의 나머지를 가하는 제2프리스트레싱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거더교의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prestressing step includes a first prestressing step of applying only a part of the prestress to be introduced into each girder before the leveling step, and a second prestressing step to be introduced into each girder after the leveling step and the moment connecting step.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concrete bulb tea girder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restressing step.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리스트레싱은 프리텐셔닝(pre-tensioning)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제2프리스트레싱은 포스트텐셔닝(post-tensioning)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거더교의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4,
The first prestressing is performed by a pre-tensioning method, and the second prestressing is performed by a post-tensioning method.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철근의 일단부는 상기 거더의 상부플랜지와 나사결합하고 타단부에는 단면확대부가 형성된 봉형상의 헤디드 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거더교의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One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is screwed with the upper flange of the girder and the other end is a rod-shaped headed bar having a cross-sectional enlarged portion is the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concrete bulb girder bridge.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철근은 일단부가 상기 거더의 상부플랜지와 나사결합 하는 갈고리 형태의 철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거더교의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first reinforcing bar is a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concrete bulb tea girder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end is a hook-shaped reinforcing bar threaded to the upper flange of the girder.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제1프리스트레싱에 사용되는 텐던은 거더의 양단부에서 정착되고, 제2프리스트레싱에 사용되는 텐던은 거더의 단부 측면에서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거더교의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4,
The tendon used for the first prestressing is fixed at both ends of the girder, and the tendon used for the second prestressing is fixed at the end side of the girder.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에 가로보를 설치하는 가로보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더 제작단계에서 상부플랜지의 하부에 가로보를 제작하고, 서로 인접하는 거더의 가로보들을 현장에서 현장 타설에 의해 모멘트 연결하며,
상기 가로보의 모멘트 연결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철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거더교의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Further comprising a horizontal beam installation step for installing a horizontal beam on the girder,
In the girder manufacturing step, the cross beams are manufactur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flange, and the cross beams of adjacent gird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moments in the field.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tressed concrete bulb tea girder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necting the moment of the cross beam using a removable reba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할 수 있는 철근은 갈고리 형태의 철근, 루프 형태의 철근 또는 헤디드 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거더교의 시공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detachable reinforcing bar is a prestressed concrete bulb girder bridge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bar reinforcement, loop-shaped reinforcement or headed ba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에는 거더의 횡방향으로 배치되며 강봉이나 텐던을 삽입하기 위한 덕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거더교의 시공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rossbeam is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girder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concrete bulb tea girder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duct is provided for inserting steel rods or tendons.
KR1020120132064A 2012-11-21 2012-11-21 Construction method for prestressed concrete bulb-t girder bridge KR1012391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064A KR101239179B1 (en) 2012-11-21 2012-11-21 Construction method for prestressed concrete bulb-t girder b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064A KR101239179B1 (en) 2012-11-21 2012-11-21 Construction method for prestressed concrete bulb-t girder brid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9179B1 true KR101239179B1 (en) 2013-03-05

Family

ID=48181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064A KR101239179B1 (en) 2012-11-21 2012-11-21 Construction method for prestressed concrete bulb-t girder brid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9179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507B1 (en) * 2013-05-09 2014-01-02 심태무 Pretension type composite girder and the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KR20180083562A (en) 2017-01-13 2018-07-23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Casting Apparatus for Connecting Side of Concrete Member, and Constructing Method and Connecting Structure of Concrete Member using such Casting Apparatus
CN110607738A (en) * 2019-09-05 2019-12-24 中交武汉港湾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Small box girder structure suitable for medium-small span simply supported girder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207785B1 (en) * 2019-10-28 2021-01-26 비알테크(주) PSC Decked bulb tee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7068A (en) * 2009-08-13 2011-02-21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sc girder bridge making method with closed section member between upper flanges and slab-psc girder
KR101108788B1 (en) 2011-06-03 2012-02-24 윤주호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 stage prestressed composite beam which composes precast concrete panel and steel girder and correction device used therei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7068A (en) * 2009-08-13 2011-02-21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sc girder bridge making method with closed section member between upper flanges and slab-psc girder
KR101108788B1 (en) 2011-06-03 2012-02-24 윤주호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 stage prestressed composite beam which composes precast concrete panel and steel girder and correction device used therei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507B1 (en) * 2013-05-09 2014-01-02 심태무 Pretension type composite girder and the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KR20180083562A (en) 2017-01-13 2018-07-23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Casting Apparatus for Connecting Side of Concrete Member, and Constructing Method and Connecting Structure of Concrete Member using such Casting Apparatus
CN110607738A (en) * 2019-09-05 2019-12-24 中交武汉港湾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Small box girder structure suitable for medium-small span simply supported girder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207785B1 (en) * 2019-10-28 2021-01-26 비알테크(주) PSC Decked bulb tee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1427B2 (en) Bridge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KR100703134B1 (en) Prefabricated prestressed concrete beam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10309108B2 (en) Pillar for supporting a modular structure, beam intended to be supported on pillars of this type, and structure comprising said pillars and beams
KR101107826B1 (en) Slab-type box girder made by precast concrete and method constructing the bridge therewith
KR101671124B1 (en) Prestressed Concrete Spliced Girder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reof
CN103276651A (en) No-cutting-seam cement concrete paveme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239179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prestressed concrete bulb-t girder bridge
KR100988074B1 (en) Girder bridge connected to abutmen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06087711B (en) Antinode work beam-steel concrete top plate-external prestressing combines T-shaped simply supported beam
CN108951399A (en) A kind of Single-box multi-chamber box beam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200407182Y1 (en) Precasted concrete plate
KR20160115602A (en) Method of replacing bridge deck slab and prestressed concrete girder assembly used therein
KR100876388B1 (en) Stay in place deck precast panel
KR20090072224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steel and concrete composite girder
KR200406615Y1 (en) T shape precast concrete panel
KR100631029B1 (en) Precasted concrete plate assembly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CN209114299U (en) A kind of Single-box multi-chamber box beam bridge
CN109972512B (en) Cast-in-place construction method of profiled steel sheet-concrete combined bridge deck slab
KR100522298B1 (en) Improved prestressed steel reinforced concrete beam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beam
KR102077385B1 (en) Prestressed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KR100583671B1 (en) Prestressed concrete beam manufactured by installing steel anchorage devices to various positions and reinforcing member to the upper and lower flanges, and construction method of bridge using the concrete beam
KR102274358B1 (en) Precast Deck for Bridge Structure Cantilever
KR100989153B1 (en) Psc girder connection structure with strength connector detail for substitution of rebar placement in deck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N205474785U (en) Steel -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combination continuous bridge structure
KR20060017949A (en) Field-fabricated prestressing steel-composed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tinuous bridge using the gir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