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289B1 - 시인성이 개선된 블록형 전광판 - Google Patents

시인성이 개선된 블록형 전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289B1
KR102663289B1 KR1020220044171A KR20220044171A KR102663289B1 KR 102663289 B1 KR102663289 B1 KR 102663289B1 KR 1020220044171 A KR1020220044171 A KR 1020220044171A KR 20220044171 A KR20220044171 A KR 20220044171A KR 102663289 B1 KR102663289 B1 KR 102663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upper plate
block
light
type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44888A (ko
Inventor
설동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엘
Priority to KR1020220044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289B1/ko
Publication of KR20230144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4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7/00Pavement lights, i.e. translucent constructions forming part of the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or fals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502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 F21V29/50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7Array of lenses or refractors for a cluster of light sources, e.g. for arrangement of multiple light sources in one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형 전광판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발광기판과, 상기 발광기판을 커버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확산 캡들을 구비하는 발광모듈 조립체; 및 상기 발광모듈 조립체를 둘러싸는 보강재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상기 발광기판에 실장된 복수의 발광소자들에서 방사된 빛을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광 도파관들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확산 캡들은 상기 복수의 광 도파관들의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광 도파관들에서 방사되는 빛을 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인성이 개선된 블록형 전광판 {BLOCK TYPE ELECTRIC SIGN HAVING AN IMPROVED VISIBILITY}
본 발명은 블록형 전광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운전자 및 보행자의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는 블록형 전광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소자(Light Emitting Diode, LED)는 전력 소모가 적고 수명이 길며 기존의 광원에 비해 보다 친환경적인 광원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최근 발광소자를 이용한 다양한 조명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 차도 또는 인도에 설치되어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만들어진 바닥 전광판이 있다. 바닥 전광판은 내부에 실장된 복수의 발광소자를 통해 다양한 조명 기능 및 정보 전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종래의 바닥 전광판은 일정 패턴으로 배열된 복수의 발광블록들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바닥 전광판은 햇빛에 노출되는 지면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외부의 태양열 및 지열 등을 받아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발광블록이 서서히 부풀어오르면서 상측 또는 측면 방향으로 볼록해지게 되고, 인접하는 발광블록들 간의 간격을 최소 수준 이상으로 확보하지 못한 경우, 서로 인접한 발광블록들이 밀착되면서 파손이 일어나거나 차도 또는 인도의 노면이 상측으로 볼록해지는 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블록의 외형 변화가 발생하게 되면, 차도 또는 인도의 노면이 울퉁불퉁 해지고 그에 따라 보행자가 걸려 넘어지거나 혹은 차량의 타이어가 파손될 수 있다.
또한, 발광블록의 내부에는 복수의 발광소자들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구조의 발광모듈이 설치되는데, 발광블록의 상면을 지나가는 보행자 또는 차량으로 인한 하중이 계속적으로 누적 전달되면, 해당 발광블록은 중앙부를 중심으로 조금씩 휘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해당 블록 내부에 설치된 발광모듈도 중앙부를 중심으로 조금씩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발광블록이 휘어지게 되면, 차도 또는 인도의 노면이 울퉁불퉁 해지고 그에 따라 보행자가 걸려 넘어지거나 차량의 타이어가 파손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휘어짐 현상은 심한 경우 발광소자의 발광 각도를 틀어지게 하거나 발광모듈을 파손할 수 있으며, 최초 설치 시에 비해 발광모듈의 발광 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등 다양한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허문헌 1) KR 10-2020-0076192 A
(특허문헌 1) KR 10-2066211 B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운전자 및 보행자의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는 블록형 전광판을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광 굴절 구조, 광 가이드 구조 및 광 확산 구조를 갖는 블록형 전광판을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방열 구조 및 방수 구조를 갖는 블록형 전광판을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갖는 블록형 전광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발광기판과, 상기 발광기판을 커버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확산 캡들을 구비하는 발광모듈 조립체; 및 상기 발광모듈 조립체를 둘러싸는 보강재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상기 발광기판에 실장된 복수의 발광소자들에서 방사된 빛을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광 도파관들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확산 캡들은 상기 복수의 광 도파관들의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광 도파관들에서 방사되는 빛을 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전광판을 제공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면에는 복수의 발광소자들에서 방사된 빛을 복수의 광 도파관들 방향으로 모으기 위한 복수의 집광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면에는 보강재를 주입하여 복수의 기둥 구조물들을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기둥 성형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복수의 발광소자들 간의 광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간섭방지 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간섭방지 홈들은 복수의 광 도파관들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발광모듈 조립체의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제1 휨 방지부재들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부면에는 발광모듈 조립체의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제2 휨 방지부재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측면에는 보강재와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한 복수의 들뜸방지 홈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모듈 조립체는 하부 플레이트와 발광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기판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광기판은 인접 블록형 전광판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다른 인접 블록형 전광판으로 전달하는 통신 리피터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블록형 전광판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광 굴절 구조 및 광 가이드 구조를 갖는 상부 플레이트를 발광기판의 상부에 배치하고, 광 확산 구조를 갖는 복수의 확산 캡들을 상부 플레이트의 상단에 장착함으로써, 블록형 전광판의 발광 효율, 발광 성능 및 시인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가스켓 부재들 및 복수의 실링부재들을 발광모듈 조립체에 장착함으로써, 외부의 공기 또는 수분 등이 블록형 전광판의 내부 공간으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블록형 전광판의 상면에 인가되는 무거운 하중을 분산하기 위한 복수의 기둥 구조물들을 해당 전광판의 내부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블록형 전광판의 강도 및 내구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블록형 전광판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전광판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가스켓 부재의 형상을 예시하는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모듈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모듈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산 캡의 형상을 예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열부재의 형상을 예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가스켓 부재의 형상을 예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밸브의 형상과 설치 위치를 예시하는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플레이트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기판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9의 발광기판에 실장된 통신부의 회로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10의 통신부를 통해 수행되는 통신 리피터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상부 플레이트의 광 굴절 구조 및 광 가이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전광판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운전자 및 보행자의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는 블록형 전광판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 굴절 구조, 광 가이드 구조 및 광 확산 구조를 갖는 블록형 전광판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열 구조 및 방수 구조를 갖는 블록형 전광판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갖는 블록형 전광판을 제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전광판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1a는 블록형 전광판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블록형 전광판을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1c는 블록형 전광판을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전광판(100)은 보강재(110), 복수의 확산 캡들(120), 복수의 체결부재들(130), 복수의 개구부들(140), 복수의 제1 가스켓 부재들(150) 및 방열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재(110)는 블록형 전광판(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발광모듈 조립체(미도시)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블록형 전광판(100)의 몸체부를 구성한다. 상기 보강재(110)는 외부의 압력 또는 충격으로부터 발광모듈 조립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보강재(1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보강재(110)는 블록형 전광판(100)의 상부면으로 인가되는 무거운 하중을 견디도록 높은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재(110)는 상온에서 경화 또는 응고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강재(110)로는 120MPa 이상의 압축 강도를 갖는 고성능 콘크리트(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UHPC)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복수의 확산 캡들(120)은 블록형 전광판(100)의 상부면(또는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확산 캡들(120)은 블록형 전광판(100)의 상부면에 미리 결정된 패턴(가령, 매트릭스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확산 캡들(120)은 16*16 행렬로 배열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각각의 확산 캡(120)은, 블록형 전광판(100)의 내부에 실장된 발광소자(미도시) 및 광 도파관(미도시)의 상부에 상기 발광소자 및 광 도파관과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블록형 전광판(100)의 상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방사되는 빛을 확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각각의 확산 캡(120)은 광 도파관에서 방사되는 빛을 확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블록형 전광판(100)의 상부면 또는 그 인접 영역에서 빛의 맺힘 현상을 유도하여 해당 전광판(100)으로 접근하는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복수의 체결부재들(130)은 블록형 전광판(100)의 하부면(또는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체결부재들(130)은 블록형 전광판(100)의 하부면에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체결부재들(130)은 3*3 행렬로 배열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복수의 체결부재들(130)은 블록형 전광판(100)을 설치장소의 바닥면 또는 건물의 외벽 등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각각의 체결부재(130)는 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너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복수의 개구부들(140)은 블록형 전광판(100)의 하부면(또는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140)은 블록형 전광판(100)의 하부면에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140)은 2*2 행렬로 배열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복수의 개구부들(140)은 복수의 케이블들(미도시)을 관통 및 수용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케이블들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과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가스켓 부재들(150)은 블록형 전광판(100)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들(140)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140)과 복수의 케이블들 사이의 빈 공간을 통해 외부의 공기 또는 수분 등이 블록형 전광판(10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가스켓 부재(150)는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스켓 부재(150)는 개구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가스켓 부재(150)의 중앙 부분에는 케이블을 관통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스켓 부재(150)의 외 측면에는 방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소정의 단차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방열부재(160)는 블록형 전광판(100)의 하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블록형 전광판(100)의 내부에 실장된 발광기판(미도시)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방열부재(160)는 블록형 전광판(100)의 하부 중앙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고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전광판(100)은 보강재(110)에 의해 둘러싸인 발광모듈 조립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모듈 조립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블록형 전광판(100)은 바닥 전광판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전광판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현된 전광판은 철도, 지하철, 버스 승강장 등의 플랫폼에 설치되어, 해당 플랫폼을 이용하는 고객들에게 소정의 정보를 안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광판은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에 설치되어 실내외 인테리어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이외에도, 전광판은 지하철의 환승역을 안내하는 용도, 지하철의 대피로를 안내하는 용도, 고속도로의 진입로 및 진출로를 안내하는 용도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모듈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모듈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모듈 조립체(200)는 하부 플레이트(210), 발광기판(220), 상부 플레이트(230), 복수의 확산 캡들(240, 120), 하나 이상의 방열부재(250, 160), 복수의 제2 가스켓 부재들(260), 복수의 실링부재들(미도시) 및 하나 이상의 진공 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210)는 발광기판(220) 및 상부 플레이트(23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부 플레이트(210)는 상부 플레이트(230)와 결합되어 발광모듈 조립체(200)를 형성한다. 이때, 하부 플레이트(210)는 상부 플레이트(230)의 내측면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210)는 얇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210)는 ABS 재질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하부 플레이트(210)는 발광기판(22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210)의 일 영역에는 복수의 케이블들을 관통하기 위한 복수의 제1 개구부들(2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플레이트(210)의 일 영역에는 상부 플레이트(230)에 형성된 복수의 기둥 성형부들(미도시)의 단부를 관통하기 위한 복수의 제2 개구부들(2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플레이트(210)의 일 영역에는 방열부재(250)를 관통하기 위한 복수의 제3 개구부들(213)이 형성될 수 있다.
발광기판(220)은 상부 플레이트(230)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발광기판(220)은 회로기판(221), 상기 회로기판(221)에 실장된 복수의 발광소자들(222),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들(222)을 구동하기 위한 발광 구동부(미도시), 전원부(미도시), 통신부(미도시), 압력 센서(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기판(220)의 일 영역에는 상부 플레이트(230)에 형성된 복수의 기둥 성형부들을 관통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들(2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230)는 하부 플레이트(210) 및 발광기판(220)을 커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부 플레이트(230)의 일 영역에는 하부 플레이트(210) 및 발광기판(220)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230)는 하부 플레이트(210)와 결합되어 발광모듈 조립체(200)를 형성한다.
상부 플레이트(230)는 일정 두께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230)는 ABS 재질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상부 플레이트(230)는 발광기판(22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230)의 상부면에는 복수의 발광소자들(222)에서 방사된 빛을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광 도파관들(2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 도파관들(231)은 발광기판(220)에 실장된 복수의 발광소자들(222)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광 도파관(231)은 각 발광소자(22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230)의 하부면에는 보강재(110)로 이루어진 복수의 기둥 구조물들을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기둥 성형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둥 구조물은 블록형 전광판(100)의 상부면으로 인가되는 무거운 하중을 분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확산 캡들(240)은 상부 플레이트(230)에 형성된 복수의 광 도파관들(231)의 상부에 배치되어, 블록형 전광판(100)의 상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방사되는 빛을 확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블록형 전광판(100)의 상부면 또는 그 인접 영역에서 빛의 맺힘 현상을 유도하여 해당 전광판(100)으로 접근하는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확산 캡(240)은 하면이 개방되고 상면이 폐쇄된 구조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산 캡(240)의 내부 영역에는 광 도파관(231)의 상부 형상에 대응하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확산 캡(240)을 광 도파관(231)의 상단에 끼우기 위함이다.
각각의 확산 캡(240)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확산 캡(240)은 빛을 확산하는 성질을 갖는 광 확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부재(250)는 하부 플레이트(210)와 발광기판(2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기판(220)에 실장된 발광 구동부(즉, LED 구동부)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방열부재(250)는 열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좀 더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Al)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부재(250)는 하나의 수평 방열부(251)와, 상기 수평 방열부(251)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네 개의 수직 방열부(25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수평 방열부(251)와 수직 방열부(25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 방열부(251)는 발광기판(220)의 배면에 실장된 발광 구동부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 방열부(25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수직 방열부(252)는 수평 방열부(251)의 바닥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하부 플레이트(210)에 형성된 복수의 제3 개구부들(213)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방열부(252)는 막대(rod)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복수의 제2 가스켓 부재들(260)은 하부 플레이트(210)에 형성된 복수의 제1 개구부들(211)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제1 개구부들(211)과 복수의 케이블들 사이의 빈 공간을 통해 외부의 공기 또는 수분 등이 발광모듈 조립체(20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제2 가스켓 부재(260)는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스켓 부재(260)는 개구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가스켓 부재(260)의 중앙 부분에는 케이블을 관통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스켓 부재(260)의 외 측면에는 방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소정의 단차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실링부재는 하부 플레이트(210)와 상부 플레이트(230) 간의 결합 부위에 배치되어, 외부의 공기 또는 습기 등이 발광모듈 조립체(200)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실링부재로는 오링(O-ring), 에폭시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진공 밸브는, 하부 플레이트(210)와 발광기판(220)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의 진공 펌프를 발광모듈 조립체(200)에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진공 밸브는, 하부 플레이트(210)와 발광기판(220) 사이에 배치되어, 발광모듈 조립체(20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진공 밸브의 일 예로는 유체 흐름이 한쪽 방향으로만 발생하는 단 방향 밸브가 있다.
가령,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 방향 밸브(270)는 원통 형상의 밸브 몸체(271)와, 상기 밸브 몸체(271)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유로부(272)와, 상기 밸브 몸체(271)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유로부(2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부(273)에는 유체를 이동하기 위한 소정의 튜브(280, tube)가 연결될 수 있다.
단 방향 밸브(270)에 연결된 튜브(280)는 블록형 전광판(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튜브(280)는 블록형 전광판(100)의 내부에서 S자 모양의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가령, 상기 튜브(280)는 단 방향 밸브(270)의 하부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연장된 후 다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 플레이트(210)의 바닥면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발광기판(220)의 인접 영역까지 올라가며, 이후 하부 플레이트(210)와 발광기판(220) 사이의 영역에서 U자 모양으로 절곡된 후 다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튜브(280)의 배치는 발광모듈 조립체(20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하는 한편, 외부의 공기 또는 수분이 역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진공 밸브는 생략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모듈 조립체는 광 굴절 구조 및 광 가이드 구조를 갖는 상부 플레이트를 발광기판의 상부에 배치하고, 광 확산 구조를 갖는 복수의 확산 캡들을 상부 플레이트의 상단에 장착함으로써, 블록형 전광판의 발광 효율, 발광 성능 및 시인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모듈 조립체는 복수의 가스켓 부재들 및 복수의 실링부재들을 이용하여 외부의 공기 또는 수분 등이 해당 조립체의 내부 공간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모듈 조립체는 발광기판과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방열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발광기판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모듈 조립체는 복수의 기둥 구조물들을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관통 홀들을 구비함으로써, 블록형 전광판의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플레이트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8a는 하부 플레이트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8b는 하부 플레이트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8c는 하부 플레이트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플레이트(210)는 발광모듈 조립체(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발광기판(220) 및 상부 플레이트(23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부 플레이트(210)는 얇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21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하부 플레이트(210)에는 복수의 제1 개구부들(211), 복수의 제2 개구부들(212), 복수의 제3 개구부들(213), 복수의 체결부재들(214) 및 복수의 휨 방지부재들(215)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개구부들(211)은 복수의 케이블들(미도시)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개구부들(211)은 하부 플레이트(210) 상에 미리 결정된 패턴(가령, 매트릭스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제1 개구부들(211)은 2*2 행렬로 배열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1 개구부(211)의 인접 영역에는 소정의 돌출부(2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16)는 하부 플레이트(210)의 하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부(211)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제2 가스켓 부재(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스켓 부재(260)는 제1 개구부(211)와 케이블 사이의 빈 공간을 통해 외부의 공기 또는 수분 등이 발광모듈 조립체(20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개구부들(212)은 상부 플레이트(230)에 형성된 복수의 기둥 성형부들의 단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개구부들(212)은 하부 플레이트(210) 상에 미리 결정된 패턴(가령, 매트릭스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제2 개구부들(212)은 8*8 행렬로 배열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2 개구부(212)의 인접 영역에는 소정의 단차부(2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217)에는 소정의 실링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제2 개구부(212)와 기둥 성형부 사이의 빈 공간을 통해 외부의 공기 또는 수분 등이 발광모듈 조립체(20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고 있지 않지만, 하부 플레이트(210)의 가장자리 영역에도 소정의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단차부에는 소정의 실링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3 개구부들(213)은 방열부재(미도시)의 적어도 일 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3 개구부들(213)은 방열부재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제3 개구부들(213)은 하부 플레이트(21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부재들(214)는 하부 플레이트(210)의 하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체결부재(214)는 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너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복수의 체결부재들(214)은 하부 플레이트(210)의 하부면에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체결부재들(214)은 3*3 행렬로 배열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복수의 휨 방지부재들(215)은 하부 플레이트(210)의 하부면을 가로 및/또는 세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하부 플레이트(210) 및 발광모듈 조립체(200)의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휨 방지부재들(215)은 복수의 체결부재들(214)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휨 방지부재들(215)은 하부 플레이트(210)의 하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기판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9의 (a)는 발광기판을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9의 (b)는 발광기판을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기판(220)은 하부 플레이트(210)와 상부 플레이트(22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220)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발광기판(220)은 회로기판(221), 상기 회로기판(221)에 실장된 복수의 발광소자들(222),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들(222)을 구동하기 위한 발광 구동부(미도시), 전원부(미도시), 통신부(미도시), 압력 센서(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221)은 발광 구동부와 복수의 발광소자들(222)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선을 제공한다. 상기 회로기판(221)으로는 PCB 기판 또는 FPCB 기판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회로기판(221)의 일 영역에는 상부 플레이트(230)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기둥 성형부들을 관통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들(2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223)은 회로기판(221) 상에 미리 결정된 패턴(가령, 매트릭스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223)은 8*8 행렬로 배열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복수의 발광소자들(222)은, 발광 구동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점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222)로는 다양한 색상의 광을 출력할 수 있는 칩 LED 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복수의 발광소자들(222)은 회로기판(221)의 상부면에 미리 결정된 패턴(가령, 매트릭스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들(222)은 16*16 행렬로 배열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발광 구동부는 회로기판(221)의 상면 또는 하면에 실장되며,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복수의 발광소자들(222)을 구동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원부는 회로기판(221)의 상면 또는 하면에 실장되며,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블록형 전광판(100)의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는 회로기판(221)의 상면 또는 하면에 실장되며,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외부 장치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는 전광판 제어기 및 인접 블록형 전광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로는 직렬(serial)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직렬 통신 방식은 통신 채널이나 컴퓨터 버스를 거쳐 한번에 하나의 비트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방식이다. 상기 직렬 통신 방식으로는 RS-232 통신, RS-422 통신, RS-485 통신, 범용 직렬 버스(USB) 통신, IEEE 1394 통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좀 더 바람직하게는 RS-485 통신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직렬 통신 방식으로 RS-485가 사용되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일 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000)는 수신부(1001), 송신부(1003), 풀업 저항(pull up resistor, 1005), 제1 및 제2 다이오드(1007, 1009)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풀업 저항(1005)은 송신기(1003)의 송신(TX) 단과 전압원(VD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다이오드(1007)는 수신기(1001)의 수신(RX) 단과 송신기(1003)의 송신(TX) 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다이오드(1009)는 송신기(1003)의 송신(TX) 단과 제어부의 입력 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수신부(1001)는 전광판 제어기(50) 또는 인접 블록형 전광판(100)으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통신 데이터를 송신기(1003)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수신부(1001)는 전광판 제어기(50) 또는 인접 블록형 전광판(100)으로부터 수신된 통신 데이터를 제어부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부(1001)를 통해 수신된 통신 데이터는 발광기판(220)에 실장된 복수의 발광소자들의 점멸 동작을 제어하는 정보 및/또는 블록형 전광판(100)의 상태를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부(1003)는 수신기(1001)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통신 데이터를 전광판 제어기(50) 또는 인접 블록형 전광판(10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송신부(1003)를 통해 전송될 통신 데이터는 수신부(1001)를 통해 수신된 통신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일 수 있다.
송신부(1003)는 제어부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통신 데이터를 전광판 제어기(50) 또는 인접 블록형 전광판(10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송신부(1003)를 통해 전송될 통신 데이터는 발광기판(220)에 실장된 복수의 발광소자들의 점멸 동작을 제어하는 정보와, 블록형 전광판(100)의 상태를 요청하는 정보와, 블록형 전광판(100)의 상태를 응답하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000)는,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인접 블록형 전광판(100)으로부터 수신된 통신 데이터를 다른 인접 블록형 전광판(100)으로 전달하는 통신 리피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전광판 제어기(50)에서 복수의 블록형 전광판으로 통신 데이터를 병렬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경우, 통신 선로 및 병렬 통신 구조로 인해 통신 데이터가 유실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가령,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광판 제어기(50)는 발광기판(220)에 실장된 복수의 발광소자들의 점멸 동작을 제어하는 정보 및/또는 블록형 전광판(100)의 상태를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데이터를 제1 블록형 전광판(100_1)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블록형 전광판(100_1)은 전광판 제어기(50)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제2 블록형 전광판(100_2)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블록형 전광판(100_2)은 제1 블록형 전광판(100_1)으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제3 블록형 전광판(100_3)으로 전달할 수 있다. 마지막 배열 순서에 해당하는 제N 블록형 전광판(100_N)은 바로 이전 배열 순서인 제N-1 블록형 전광판(100_N-1)으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전광판 제어기(500)로 전달할 수 있다. 전광판 제어기(50)는 제N 블록형 전광판(100_N)으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통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일대일(1:1) 통신 방식을 통해, 전광판 제어기(50)는 통신 데이터를 복수의 블록형 전광판들(100_1~100_N)에게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광판 제어기(50)는 복수의 블록형 전광판들(100_1~100_N)에 대한 동기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000)는,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인접 블록형 전광판(100)으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통신 데이터에 소정의 데이터를 추가하여 다른 인접 블록형 전광판(100)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압력 센서(또는 진공 센서)는 회로기판(221)의 상면 또는 하면에 실장되며, 발광모듈 조립체(200)의 내부 공간, 즉 하부 플레이트(210)와 상부 플레이트(230) 사이에 존재하는 내부 공간의 압력을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양태에 따라, 상기 압력 센서는 생략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는 회로기판(221)의 상면 또는 하면에 실장되며, 블록형 전광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는 블록형 전광판(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전광판 제어기(50)로부터 수신된 통신 데이터를 기반으로 블록형 전광판(100)의 점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인접 블록형 전광판(100)으로부터 수신된 통신 데이터를 다른 인접 블록형 전광판(100)으로 전달하는 통신 리피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12a는 상부 플레이트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2b는 상부 플레이트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12c는 상부 플레이트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230)는 발광모듈 조립체(200)의 상부에 배치되어, 하부 플레이트(210) 및 발광기판(220)을 커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부 플레이트(230)는 일정 두께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230)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부 플레이트(230)의 상부면에는 복수의 발광소자들(222)에서 방사된 빛을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광 도파관들(2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 도파관들(231)은 복수의 발광소자들(222)의 상부에 일대일로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광 도파관들(231)은 상부 플레이트(230)의 상부면에 미리 결정된 패턴(가령, 매트릭스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광 도파관들(231)은 16*16 행렬로 배열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광 도파관의 구조에 대한 좀 더 자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상부 플레이트(230)의 상부면에는 각각의 발광소자(222)에서 방사된 빛이 해당 플레이트(230)의 상부면을 따라 인접 발광 영역으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복수의 간섭방지 홈들(232)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간섭방지 홈(232)은 인접 발광소자(222)에서 방사된 빛을 반사하여 발광소자들(222) 간의 광 간섭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간섭방지 홈(232)은 광 도파관(231)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간섭방지 홈(232)은 원형의 고리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섭방지 홈(232)은 상부 플레이트(230)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230)의 상부면에는 발광모듈 조립체(200)의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휨 방지부재들(233)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휨 방지부재(233)는 상부 플레이트(230)의 상부면을 가로 및/또는 세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휨 방지부재(233)는 상부 플레이트(230)의 상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휨 방지부재(233)는 수직 방향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부 플레이트(230)의 상부면에는 보강재를 주입하기 위한 복수의 제1 개구부들(234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개구부들(234a)은 복수의 기둥 성형부들(234)의 일 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230)의 하부면에는 복수의 기둥 구조물들을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기둥 성형부들(2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둥 성형부들(234)은 상부 플레이트(230)의 하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둥 성형부들(234)은 상부 플레이트(230)의 하부면에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기둥 성형부(234)는 상부 플레이트(230)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1 개구부(234a), 상부 플레이트(230)의 하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원통부(234b), 상기 제1 원통부(234b)의 일 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원통부(234c), 상기 제1 원통부(234b)와 제2 원통부(234c) 사이에 형성된 삽입홈(234d), 상기 제2 원통부(234c)의 일 단에 형성된 제2 개구부(234e)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230)는 제1 및 제2 개구부(234a, 234e)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234a, 234e)를 통해 보강재가 주입될 수 있다.
제2 원통부(234c)는 제1 원통부(234b)의 지름보다 작은 크기의 지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원통부(234c)는 하부 플레이트(210)에 형성된 제2 개구부(212)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개구부(212)의 지름은 제2 원통부(234c)의 지름보다 크고 제1 원통부(234b)의 지름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원통부(234b)와 제2 원통부(234c) 사이에 형성된 삽입홈(234d)에는 소정의 실링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부 플레이트(230)와 하부 플레이트(210) 사이의 결합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 부위를 통해 외부의 공기 또는 습기 등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230)의 하부면에는 복수의 발광소자들(222)에서 방사된 빛을 굴절하여 한군데로 모으기 위한 복수의 집광부들(2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집광부들(235)은 복수의 발광소자들(222)의 상부에 일대일로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집광부들(235)은 상부 플레이트(230)의 하부면에 미리 결정된 패턴(가령, 매트릭스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집광부들(235)은 16*16 행렬로 배열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각각의 집광부(235)는 상부 플레이트(230)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일정 높이까지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집광부(235)는 발광소자(222)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집광부(235)는 발광소자(222)의 상부에 볼록 렌즈 구조를 갖는 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집광부(235)는 볼록 렌즈 구조를 통해 발광소자(222)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230)의 측면에는 복수의 들뜸방지 홈들(23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들뜸방지 홈들(236)은 보강재와 상부 플레이트(230) 간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들뜸방지 홈들(236)은 보강재가 상부 플레이트(23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부 플레이트(230)를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들뜸방지 홈(236)은 상부 플레이트의 측면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들뜸방지 홈(236)은 역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고 있지 않지만, 상부 플레이트(230)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소정의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에는 소정의 실링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부 플레이트(230)와 하부 플레이트(210) 사이의 결합 부위에 배치되어, 해당 결합 부위를 통해 외부의 공기 또는 습기 등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상부 플레이트의 광 굴절 구조 및 광 가이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230)의 상부면에는 복수의 발광소자들(222)에서 방사된 빛을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광 도파관들(23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230)의 상부면에는 복수의 광 도파관들(231)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복수의 간섭방지 홈들(236)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230)의 하부면에는 복수의 발광소자들(222)에서 방사된 빛을 한군데로 모으기 위한 복수의 집광부들(235)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집광부(235)는 해당 발광소자(222)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소자(222)에서 방사된 빛을 굴절하여 광 도파관 방향으로 모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집광부(235)의 렌즈면은 발광소자(222)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광 도파관(231)은 발광소자(222) 및/또는 집광부(235)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시켜 상부 플레이트(230)의 상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광 도파관(231)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 도파관(231)은 상부 플레이트(230)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 도파관(231)의 단면 형상은 원 모양, 삼각형 모양, 사각형 모양 등과 같은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좀 더 바람직하게는 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간섭방지 홈(236)은 광 도파관(231)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형성되어, 발광소자(222) 및/또는 집광부(235)로부터 방사된 광이 상부 플레이트(230)의 상부면을 따라 인접 발광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형 전광판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블록형 전광판의 형상에 대응하는 금형, 하부 플레이트, 발광기판, 상부 플레이트 및 복수의 실링부재 등을 마련할 수 있다(S1410). 여기서, 하부 플레이트 및 상부 플레이트는 금형 사출 성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발광기판을 배치하고, 상기 발광기판의 상부에 상부 플레이트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 간의 결합 부위에 복수의 실링부재들을 배치하여 발광모듈 조립체를 구성할 수 있다(S1420).
발광모듈 조립체에 대한 조립 및 실링이 완료되면, 하부 플레이트의 일 영역에 설치된 진공 밸브의 일 단에 진공 펌프를 연결한 다음, 상기 진공 펌프를 통해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 사이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해당 내부 공간을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다(S1430). 이는 발광모듈 조립체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습기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발광모듈 조립체의 내부 공간을 진공 상태로 만든 다음, 발광기판의 일 영역에 실장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해당 내부 공간에 대한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S1440).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양태에 따라, 상술한 1430 단계 및 1440 단계는 생략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발광모듈 조립체의 내부 압력 측정이 완료되면, 발광모듈 조립체를 뒤집은 상태로 금형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S1450). 이후, 금형 내부로 보강재를 주입할 수 있다(S1460). 상기 보강재는 발광모듈 조립체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홀들을 통해 해당 조립체의 하부 방향으로 주입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 홀들에는 보강재가 채워져 복수의 기둥 구조물들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관통 홀들은 상부 플레이트에 형성된 복수의 기둥 성형부들에 대응한다.
금형 내부로 보강재의 주입이 완료되면, 보강재를 상온에서 경화시킨 다음 금형을 제거하여 블록형 전광판을 성형할 수 있다(S1470). 이후, 블록형 전광판의 상부면에 연마 공정 또는 폴리싱 공정을 수행하여 표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1480). 상기 표면처리를 통해 보강재의 표면과 확산 캡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처리를 통해 블록형 전광판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블록형 전광판 110: 보강재
120: 확산 캡 130: 체결부재
140: 개구부 150: 제1 가스켓 부재
160: 방열부재 200: 발광모듈 조립체
210: 하부 플레이트 220: 발광기판
230: 상부 플레이트

Claims (8)

  1.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발광기판과, 상기 발광기판을 커버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확산 캡들을 구비하는 발광모듈 조립체; 및
    상기 발광모듈 조립체를 둘러싸는 보강재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면에는 상기 보강재를 주입하여 복수의 기둥 구조물들을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기둥 성형부들이 형성되고,
    각각의 기둥 성형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원통부, 상기 제1 원통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원통부, 상기 제1 원통부와 제2 원통부 사이에 형성된 삽입홈, 상기 제2 원통부의 일 단에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확산 캡들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형성된 복수의 광 도파관들의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광 도파관들에서 방사되는 빛을 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전광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면에는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들에서 방사된 빛을 상기 복수의 광 도파관들 방향으로 모으기 위한 복수의 집광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전광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 도파관들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기판에 실장된 복수의 발광소자들에서 방사된 빛을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전광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들 간의 광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간섭방지 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간섭방지 홈들은 상기 복수의 광 도파관들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전광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상기 발광모듈 조립체의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제1 휨 방지부재들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부면에는 상기 발광모듈 조립체의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제2 휨 방지부재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전광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측면에는 상기 보강재와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한 복수의 들뜸방지 홈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전광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 조립체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발광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기판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전광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기판은, 인접 블록형 전광판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다른 인접 블록형 전광판으로 전달하는 통신 리피터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전광판.
KR1020220044171A 2022-04-08 2022-04-08 시인성이 개선된 블록형 전광판 KR102663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171A KR102663289B1 (ko) 2022-04-08 2022-04-08 시인성이 개선된 블록형 전광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171A KR102663289B1 (ko) 2022-04-08 2022-04-08 시인성이 개선된 블록형 전광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888A KR20230144888A (ko) 2023-10-17
KR102663289B1 true KR102663289B1 (ko) 2024-05-03

Family

ID=88557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171A KR102663289B1 (ko) 2022-04-08 2022-04-08 시인성이 개선된 블록형 전광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2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068B1 (ko) * 2009-06-29 2011-10-19 김용회 길안내 시스템
KR101109463B1 (ko) * 2009-04-27 2012-03-14 최광철 결로 방지용 도로표지판
KR101798404B1 (ko) * 2016-11-24 2017-11-16 (주)경동하이테크 발광보도블록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463B1 (ko) * 2009-04-27 2012-03-14 최광철 결로 방지용 도로표지판
KR101075068B1 (ko) * 2009-06-29 2011-10-19 김용회 길안내 시스템
KR101798404B1 (ko) * 2016-11-24 2017-11-16 (주)경동하이테크 발광보도블록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888A (ko) 202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2003B1 (ko) 바닥신호등
CN102203942B (zh) 使用固态发光器件并具有透明散热器的照明设备
US8444297B2 (en) Lighting apparatus using light-emitting diode
KR102335546B1 (ko)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CN1325473A (zh) 带照明的交通单元及其带照明装置的透明塑料元件
CA2813102A1 (en) Roadway luminaire and methods of use
KR102303352B1 (ko) 바닥 매립형 보행신호등
CN101140721A (zh) 一种由led芯片直接封装具有霓虹灯效果的发光标志装置
KR102281080B1 (ko) 지중 방열수단이 구비된 led발광 바닥신호등
CN102575826A (zh) 呈人造石或天然石形式的发光的铺路石
KR102663289B1 (ko) 시인성이 개선된 블록형 전광판
KR102550811B1 (ko) 무거운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블록형 전광판
KR102143921B1 (ko) 사출성형 기반 바닥신호등 및 그 제조 방법
US20200370744A1 (en) Fully encapsulating lighting technology
KR20200076192A (ko) 엘이디 발광 블록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CN117480538A (zh) 地面式步行信号机控制系统
CN109285384B (zh) 车位指示灯组
KR101109463B1 (ko) 결로 방지용 도로표지판
KR102576678B1 (ko) 360도 전방위 발산으로 빛의 음영지역을 없앤 교통신호 연동형 led 볼라드 및 교통신호 연동형 led 볼라드의 안티글레어층 성형 방법
KR20230112376A (ko) 블록형 전광판
CN214883112U (zh) 一种低成本注塑整体成型自发光道钉
CN216014480U (zh) 地埋式交通信号灯及交通信号系统
KR102671728B1 (ko) 방열 및 방습 기능을 갖는 바닥 신호등 및 그 제조 방법
CN220647908U (zh) 一种氛围灯结构及灯具结构
CN109591639B (zh) 充电桩led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