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281B1 - 마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마스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281B1
KR102663281B1 KR1020180169674A KR20180169674A KR102663281B1 KR 102663281 B1 KR102663281 B1 KR 102663281B1 KR 1020180169674 A KR1020180169674 A KR 1020180169674A KR 20180169674 A KR20180169674 A KR 20180169674A KR 102663281 B1 KR102663281 B1 KR 102663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er
air
space
hook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9945A (ko
Inventor
김영준
조남은
정해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9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281B1/ko
Publication of KR20200079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2Respiratory apparatus with fresh-air ho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3Means for influenc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breathing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하는 내면과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외면을 가지며,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마스크 몸체; 상기 마스크 몸체에 연결되고,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이물질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공기를 상기 마스크 몸체로 공급하는 에어클리너; 및 상기 에어클리너에 연결되고, 상기 마스크 몸체를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하는 귀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클리너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클리너 몸체;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전장부품; 및 상기 클리너 몸체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전장부품과 사용자의 안면 사이를 구획하는 금속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스크 장치{MASK APPARATUS}
본 발명은 마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Mask)는 병균, 먼지 등의 흡입 및 비산을 막기 위해 사용자의 코와 입을 가리는 장치이다.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와 입을 가리기 위해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된다.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병균, 먼지 등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공기가 사용자의 입과 코로 유입되도록 한다.
공기와 공기에 포함된 병균, 먼지 등은 필터로 형성되는 마스크의 몸체를 통과하고, 병균, 먼지 등은 마스크의 몸체에 의해 필터링 된다. 그러나, 공기가 마스크의 몸체를 통과 후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유입되거나, 마스크의 몸체를 통과한 후 외부로 유출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호흡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상기에서 언급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모터, 팬 및 필터가 구비되는 마스크가 개발되고 있다.
선행문헌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2942호(등록일:2006년7월26일)에는 "방진 마스크"가 개시된다.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방진 마스크는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하고, 필터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팬과 모터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마스크를 사용할 경우 마스크 내부에 구비된 팬모터, 배터리 및 회로기판에서는 전자파가 발생한다.
이러한 전자파는, 전기가 잘 통하는 피부에 직접적으로 전달이 용이하기 때문에 전자파가 장시간 인체 또는 피부에 노출될 경우, 발열, 두통, 어지럼증, 피부발진 또는 정전기 발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안면에 팬 및 팬모터가 인접하게 위치되므로, 팬모터의 구동에 따른 큰 소음이 사용자의 귀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장시간 작업해야 하는 작업자의 경우, 마스크를 오래 사용하기 어렵게 되고 이는 작업 능률을 하락시키는 큰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스크에 구비된 전장부품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인체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로 할 수 있는 마스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스크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마스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스크 장치의 조립이 간단해지고 제품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마스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스크 장치를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사용자의 피로도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있는 마스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마스크 몸체와, 상기 마스크 몸체에 연결되는 에어클리너 및 상기 에어클리너에 연결되고, 상기 마스크 몸체를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하는 귀걸림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에어클리너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클리너 몸체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전장부품 및 상기 클리너 몸체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전장부품과 사용자의 안면 사이를 구획하는 금속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전장부품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인체 또는 사용자의 안면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부재는 상기 전장부품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므로, 이에 따라 전장부품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장부품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듈, 상기 팬모듈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 및 상기 팬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장부품은 상기 수용공간의 내면에 안착되고, 상기 금속부재는 상기 전장부품이 안착되는 안착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클리너는 상기 클리너 몸체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클리너 몸체의 수용공간을 제1공간 및 제2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장부품은 상기 제1공간에 배치되는 제1전장부품 및 상기 제2공간에 배치되는 제2전장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장부품은 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전장부품은 회로기판 또는 배터리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부재는 상기 제1전장부품 및 제2전장부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금속부재는 상기 클리너 몸체에서 상기 구획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면의 반대측 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부재는 상기 제1공간의 내면에 배치되는 제1금속부재 및 상기 제2공간의 내면에 배치되는 제2금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금속부재는 상기 제1전장부품이 상기 제1공간에 안착되는 면에 제공되고, 상기 제2금속부재는 상기 제2전장부품이 상기 제2공간에 안착되는 면에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금속부재는 상기 제1공간의 바닥면에 상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공간의 바닥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2금속부재는 상기 제2공간의 바닥면에 상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공간의 바닥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너 몸체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금속부재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클리너 몸체와 상기 금속부재는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마스크 장치의 내부에 구비된 전장부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가 금속부재에 의해서 인체 또는 사용자의 안면으로 노출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제품 안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즉, 마스크 장치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전자파 노출에 의한 발열, 두통, 어지럼증, 피부발진 또는 정전기 발생 등을 예방할 수 있어서, 마스크 장치를 오래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의 금속부재는 전장부품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제공되므로, 전장부품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크게 저감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금속부재가 에어클리너의 외면 또는 내면에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함께 성형될 수 있으므로, 제품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넷째, 마스크 장치를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도록 하여, 외부공기가 사용자의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필터링된 공기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우측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좌측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배측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몸체의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패킹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1에어클리너의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2에어클리너의 분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1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2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가 폴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1귀걸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2귀걸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전자파 차단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제1에어클리너의 분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전자파 차단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제2에어클리너의 분해도.
도 18은 도 16의 A-A'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전자파 차단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제1에어클리너의 분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전자파 차단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제2에어클리너의 분해도.
도 21은 도 19의 B-B'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우측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좌측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배측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1)는 마스크 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면, 사용자의 입과 코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프레임(11)과 전면 커버(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과 상기 전면 커버(12)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12)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일부는 사용자의 코와 입을 향하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나머지 일부는 외부 공간을 향하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은 사용자의 코와 입의 전방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12)는 상기 외부 공간을 향하는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은 유입구(111)와 유출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11)는 후술할 제1에어클리너(20) 및 제2에어클리너(40)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사용자의 코와 입을 향하는 방향으로 공급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유출구(112)는 사용자의 코와 입에서 배출된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한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유입구(111)는 사용자의 코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유출구(112)는 사용자의 입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11)와 상기 유출구(112)의 배치 위치는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유입구(111)는 상기 유출구(112)보다 큰 개구로 형성되어 필터링된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11)와 상기 유출구(112)의 크기는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11)를 통과해서 유동되는 공기와 상기 유출구(112)를 통과해서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마스크 몸체(10) 내부에서 서로 구분된 상태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제1고정부(13) 및 제2고정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2고정부(14)는 후술할 제1에어클리너(20) 및 제2에어클리너(4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고정부(13)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고정부(14)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2고정부(14)의 위치는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2고정부(14)는 상기 전면 커버(12) 및 상기 프레임(1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2고정부(14)의 일부는 상기 전면 커버(1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2고정부(14)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프레임(1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3)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 단부에서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내측 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14)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우측 단부에서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내측 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11)과 상기 전면 커버(12)의 사이에는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2고정부(14)가 안착될 수 있는 고정부 안착홈(12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패킹(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킹(15)은 상기 프레임(1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패킹(15)은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 시 상기 프레임(11)과 사용자의 얼굴 사이에 삽입 또는 개입될 수 있다. 상기 패킹(15)은 사용자의 얼굴에 접촉 시 사용자의 얼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되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패킹(15)이 사용자의 얼굴에 대응되도록 변형되어 상기 프레임(11)과 사용자의 얼굴 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는 제1에어클리너(20) 및 제2에어클리너(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1고정부(13) 및 제2고정부(14)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2고정부(14)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는 상기 제1고정부(13)에 대해 폴딩(folding)될 수 있고,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상기 제2고정부(14)에 대해 폴딩(folding)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2고정부(14)에 대해 폴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회전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대해 폴딩되면, 상기 마스크 장치(1)의 보관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상기 마스크 장치(1)의 프레임(11)을 향하는 방향으로 폴딩되면,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사용자의 코와 입이 위치하는 공간 일부를 차폐하여, 외부 공간의 이물질이 사용자의 코와 입이 위치하는 공간으로 투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외부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 할 수 있다.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마스크 몸체(10)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유입구(111)를 통과해서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 각각에서 필터링된 공기가 상기 유입구(111)로 공급되기에 사용자의 호흡이 원활해질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는 제1클리너 몸체(21) 및 제1클리너 커버(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와 상기 제1클리너 커버(22)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커버(22)를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내부에 보관된 구성들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는 내부에 다수의 구성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내부에는 제1팬모듈(24)과 제1필터모듈(2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팬모듈(24)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모듈(25)은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모듈(25)은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팬모듈(24)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모듈(25)은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팬모듈(24)의 하류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상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내부에는 배터리(2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26)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를 작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26)는 후술할 제2에어클리너(40)를 작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26)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와 전선(19)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하나의 배터리(26)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배터리(26)가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면, 나머지 하나의 내부에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를 작동하기 위한 회로기판(46)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배터리(26)와 상기 배터리(26)의 하중에 대응되는 상기 회로기판(46)이 서로 다른 에어클리너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마스크 장치(1)가 평형이 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는 제1이탈방지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부(28)는 상기 제1고정부(13)와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부(28)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부(28)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가 상기 제1고정부(13)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부(28)는 상기 마스크 장치(1)에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이탈방지부(28)는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부(28)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1고정부(1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부(28)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는 상기 제1이탈방지부(28)에 의해 상기 제1고정부(13)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부(28)는 상기 제1고정부(13) 또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부(28)가 상기 제1고정부(13) 또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에어클리너(2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에 후술할 제1귀걸림부(30)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커버(22)에는 제1흡입구(221) 및 제1스위치(22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221)는 외부 공간의 공기가 흡입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221)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유입구(111)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221)는 다수의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스위치(222)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를 작동하기 위한 조작스위치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위치(222)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를 작동하기 위한 조작스위치로 작동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제2클리너 몸체(41) 및 제2클리너 커버(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와 상기 제2클리너 커버(42)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커버(42)를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내부에 보관된 구성들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내부에 다수의 구성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내부에는 제2팬모듈(44)과 제2필터모듈(4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팬모듈(44)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필터모듈(45)은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모듈(45)은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팬모듈(44)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모듈(45)은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팬모듈(44)의 하류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상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내부에는 회로기판(46)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46)은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 중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46)은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 중 하나 이상과 전선(19)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상기 회로기판(46)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로기판(46)은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회로기판(46)은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를 제어하기 위한 제1회로 기판과,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를 제어하기 위한 제2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는 제2이탈방지부(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이탈방지부(48)는 상기 제2고정부(14)와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이탈방지부(48)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이탈방지부(48)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가 상기 제2고정부(14)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이탈방지부(48)는 상기 마스크 장치(1)에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이탈방지부(48)는 상기 제2고정부(14) 및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이탈방지부(48)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2고정부(14)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이탈방지부(48)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상기 제2이탈방지부(48)에 의해 상기 제2고정부(14)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이탈방지부(48)는 상기 제2고정부(14) 또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2이탈방지부(48)가 상기 제2고정부(14) 또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에 후술할 제2귀걸림부(50)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커버(42)에는 제2흡입구(421) 및 제2스위치(42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구(421)는 외부 공간의 공기가 흡입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구(421)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유입구(111)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구(421)는 다수의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스위치(422)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를 작동하기 위한 조작스위치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위치(422)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를 작동하기 위한 조작스위치로 작동할 수도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는 제1귀걸림부(30) 및 제2귀걸림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귀걸림부(30) 및 상기 제2귀걸림부(50)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귀걸림부(30)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에 장착되고, 상기 제2귀걸림부(50)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귀걸림부(30)는 사용자의 좌측 귀에 걸림 고정되고, 상기 제2귀걸림부(50)는 사용자의 우측 귀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고정되기에 상기 제1귀걸림부(30) 및 상기 제2귀걸림부(50)에 의해서 사용자의 얼굴에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귀걸림부(30)는 몸체를 형성하는 제1걸이 몸체(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끈 형상으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일측은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에 고정되고,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타측은 상기 사용자의 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와 사용자의 귀 사이에서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길이를 인장 또는 수축하여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덕트 관통홀(311) 및 제1전선관 관통홀(3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 관통홀(311)은 후술할 제1클리너 몸체(21)의 제1덕트(211)가 삽입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관 관통홀(312)은 후술할 제1클리너 몸체(21)의 제1전선관(213)이 삽입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 관통홀(311) 및 상기 제1전선관 관통홀(312)에 상기 제1덕트(211) 및 상기 제1전선관(213)이 삽입되면,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일측에 상기 제1에어클리너(20)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의 일부가 걸림 고정되는 제1걸림후크 걸림홈(3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후크 걸림홈(317)은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후크 걸림홈(317)은 후술할 제1클리너 몸체(21)의 제1걸림후크(217)가 걸림 고정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후크(217)가 상기 제1걸림후크 걸림홈(317)에 결합되면,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가 상기 제1걸이 몸체(3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후크(217)가 상기 제1걸림후크 걸림홈(317)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가 상기 제1걸이 몸체(3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제1손잡이(3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손잡이(314)는 상기 제1걸이 몸체(31)를 사용자의 귀에 장착 시 사용자의 손이 잡는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손잡이(314)는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되는 제1걸이 몸체(31)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손잡이(314)는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제1접촉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부(32)는 상기 제1걸이 몸체(31)를 사용자의 귀에 장착 시 사용자의 귀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부(32)는 사용자의 귀에 접촉되어 상기 제1걸이 몸체(31)가 사용자의 귀에 가하는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부(32)는 사용자의 귀와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내면의 사이에 개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부(32)는 사용자의 귀가 접촉될 수 있는 제1걸이 몸체(31)의 내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제1끈 관통홀(3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끈 관통홀(318)은 후술할 제1이탈방지부(28)의 제1이탈방지끈(281)이 관통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끈 관통홀(318)은 상기 제1이탈방지끈(281)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끈(281)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를 연결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이탈방지끈(281)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1고정부(13)와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의 제1클리너 몸체(21)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13)와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를 연결하는 제1이탈방지끈(281)의 일부가 상기 제1끈 관통홀(318)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2귀걸림부(50)는 몸체를 형성하는 제2걸이 몸체(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끈 형상으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일측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에 고정되고,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타측은 상기 사용자의 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와 사용자의 귀 사이에서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길이를 인장 또는 수축하여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2덕트 관통홀(511) 및 제2전선관 관통홀(5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 관통홀(511)은 후술할 제2클리너 몸체(41)의 제2덕트(411)가 삽입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관 관통홀(512)은 후술할 제2클리너 몸체(41)의 제2전선관(413)이 삽입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 관통홀(511) 및 상기 제2전선관 관통홀(512)에 상기 제2덕트(411) 및 상기 제2전선관(413)이 삽입되면,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일측에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일부가 걸림 고정되는 제2걸림후크 걸림홈(5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 걸림홈(517)은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 걸림홈(517)은 후술할 제2클리너 몸체(41)의 제2걸림후크(417)가 걸림 고정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417)가 상기 제2걸림후크 걸림홈(517)에 결합되면,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가 상기 제2걸이 몸체(5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417)가 상기 제2걸림후크 걸림홈(517)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가 상기 제2걸이 몸체(5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제2손잡이(5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손잡이(514)는 상기 제2걸이 몸체(51)를 사용자의 귀에 장착 시 사용자의 손이 잡는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손잡이(514)는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되는 제2걸이 몸체(51)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손잡이(514)는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제2접촉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부(52)는 상기 제2걸이 몸체(51)를 사용자의 귀에 장착 시 사용자의 귀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부(52)는 사용자의 귀에 접촉되어 상기 제2걸이 몸체(51)가 사용자의 귀에 가하는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부(52)는 사용자의 귀와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내면의 사이에 개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부(52)는 사용자의 귀가 접촉될 수 있는 제2걸이 몸체(51)의 내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제2끈 관통홀(5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끈 관통홀(518)은 후술할 제2이탈방지부(48)의 제2이탈방지끈(481)이 관통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끈 관통홀(518)은 상기 제2이탈방지끈(481)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이탈방지끈(481)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를 연결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이탈방지끈(481)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2고정부(14)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제2클리너 몸체(41)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고정부(14)와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를 연결하는 제2이탈방지끈(481)의 일부가 상기 제2끈 관통홀(518)을 통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마스크 장치(1) 각각의 구성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몸체의 분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몸체(10)는 상기 프레임(11)과 상기 전면 커버(12)가 결합되어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과 상기 전면 커버(12)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전면 커버(12)가 상기 프레임(11)으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프레임(11)과 상기 전면 커버(12)의 사이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는 상기 프레임(11)의 유입구(111)를 통과하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와, 상기 프레임(11)의 유출구(112)를 통과하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과 상기 전면 커버(12)의 사이에는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구획판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획판은 상기 프레임(11) 및 상기 전면 커버(1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획판은 상기 전면 커버(12)가 상기 프레임(11)에 결합되면, 상기 전면 커버(12)와 상기 프레임(11)의 사이 공간을 구획하여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구획판은 상기 전면 커버(12)에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구획판은 제1구획판(121)과 제2구획판(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판(121) 및 상기 제2구획판(122)은 상기 전면 커버(12)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판(121) 및 상기 제2구획판(122)은 상기 프레임(11)을 마주하는 전면 커버(12)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프레임(11)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판(121) 및 상기 제2구획판(122)은 상기 프레임(11)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11)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판(121)과 상기 제2구획판(122)은 상기 프레임(11)과 대응될 수 있도록 돌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구획판(122)은 상기 전면 커버(12)와 상기 프레임(11)의 사이 공간을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구획판(121)은 상기 제2구획판(122)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판(121) 및 상기 제2구획판(122)의 사이에는 제1유로(124a) 및 제2유로(124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판(121)은 상부 공간을 상기 제1유로(124a) 및 상기 제2유로(124b)가 형성되는 공간과 유로가 형성되지 않는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124a) 및 상기 제2유로(124b)는 상기 유입구(111)로 유동하는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공간에는 제3유로(124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유로(124c)는 상기 유출구(112)로 배출되며 후술할 토출구(128)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구획판(122)은 상기 제1유로(124a) 및 상기 제2유로(124b)와 상기 제3유로(124c)를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판(121)은 상부 공간을 상기 제1유로(124a)와 상기 제2유로(124b)와 유로가 형성되지 않는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로가 형성되는 않는 공간은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를 연결하는 전선 등이 배치되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유로가 형성되지 않는 공간은 사용자의 코가 안착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공간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구획판(121) 및 상기 제2구획판(122)은 상기 전면 커버(12)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리브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판(121) 및 상기 제2구획판(122) 사이에는 제1유입가이드(123a) 및 제2유입가이드(123b)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가이드(123a) 및 상기 제2유입가이드(123b)는 상기 제1구획판(121) 및 상기 제2구획판(122) 사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가이드(123a) 및 상기 제2유입가이드(123b)는 상기 제1구획판(121)과 상기 제2구획판(122)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가이드(123a) 및 상기 제2유입가이드(123b)는 상기 제1구획판(121) 및 상기 제2구획판(122) 사이 공간을 상기 제1유로(124a)와 상기 제2유로(124b)로 구획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유로(124a)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2유로(124b)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우측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가이드(123a)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를 통과한 공기를 복수의 유입구(111) 중 좌측에 배치된 유입구로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2유입가이드(123b)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를 통과한 공기를 복수의 유입구(111) 중 우측에 배치된 유입구로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가이드(123a) 및 상기 제2유입가이드(123b)는 상기 복수의 유입구(111)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유입가이드(123a) 및 상기 제2유입가이드(123b)는 상기 전면 커버(12) 및 상기 프레임(11)이 결합 시 상기 프레임(11)에 밀착되어 상기 제1유로(124a) 및 상기 제2유로(124b)를 구획할 수 있다.
복수의 유출구(112)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3유로(124c)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유로(124c)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12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28)는 상기 전면 커버(12) 및 상기 프레임(11)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토출구(128)는 상기 전면 커버(12)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토출구(128)는 상기 제3유로(124c)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토출구(128)는 상기 전면 커버(12)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28)가 상기 전면 커버(12)의 하부에 형성되면, 상기 마스크 장치(1)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마스크 장치(1)로 흡입되는 공기와 혼합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28)의 배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출구(128) 및 상기 유출구(112) 중 어느 하나에는 체크 밸브(Check valve)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는 외부 공기가 상기 마스크 장치(1)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체크 밸브는 미 필터링된 외부 공기가 상기 토출구(128) 및 상기 유출구(112)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해서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는 사용자가 필터링된 공기를 흡입 시 폐쇄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토출구(128) 및 상기 유출구(112) 중 어느 하나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는 사용자가 흡입한 공기를 배출 시 개방되어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12)는 상부 체결구(126)와 하부 체결구(12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체결구(126)와 상기 하부 체결구(127)는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체결구(126)는 상기 전면 커버(1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상부 체결구(126)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체결구(127)는 상기 전면 커버(1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하부 체결구(127)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은 상부 고정구(113)와 하부 고정구(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고정구(114) 및 상기 하부 고정구(114)는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고정구(113)는 상기 프레임(1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상부 고정구(113)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고정구(114)는 상기 프레임(1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하부 고정구(114)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고정구(113)는 상기 상부 체결구(126)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고정구(114)는 상기 상부 체결구(126)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상부 고정구(113), 상기 하부 고정구(114), 상기 상부 체결구(126), 및 상기 하부 체결구(127)는 자석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부 체결구(126) 및 상기 하부 체결구(127)는 체결부재로 제공되고, 상기 상부 고정구(113) 및 상기 하부 고정구(114)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홈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전면 커버(12) 및 상기 프레임(11)은 제1고정부 안착홈(129a) 및 제2고정부 안착홈(129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 안착홈(129a)에는 상기 제1고정부(13)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 안착홈(129b)에는 상기 제2고정부(14)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 안착홈(129a) 및 상기 제2고정부 안착홈(129b)은 상기 전면 커버(12)와 상기 프레임(1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고정부 안착홈(129a)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 안착홈(129b)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우측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 안착홈(129a)에는 상기 제1고정부(13)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 안착홈(129b)에는 상기 제2고정부(14)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스크 몸체(10)에는 향기를 공급하기 위한 향기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향기모듈은 상기 전면 커버(12) 및 상기 프레임(11)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향기모듈은 상기 제1유로(124a) 및 상기 제2유로(124b)를 통해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향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향기모듈은 상기 제1유로(124a) 및 상기 제2유로(124b)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향기모듈은 상기 전면 커버(12) 및 상기 프레임(11)을 분리 시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패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패킹(15)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패킹(15)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프레임(11)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패킹(15)은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 시 사용자의 얼굴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15)은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 시 사용자의 얼굴과 상기 마스크 몸체(10)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밀폐할 수 있다. 상기 패킹(15)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패킹(15)이 제1패킹(15a) 및 제2패킹(15b)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6의 (a)는 제1패킹(15a)에 대한 실시 예이고, 도 6의 (b)는 제2패킹(15b)에 대한 실시 예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1패킹(15a)은 몸체를 형성하는 패킹 몸체(1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킹 몸체(151)는 상기 프레임(11)의 모서리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패킹 몸체(151)는 상기 프레임(11)의 모서리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패킹(15a)은 변형이 용이한 재질로 제공되며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 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패킹 몸체(151)는 내측에 중공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은 상기 패킹 몸체(151)의 내측에 형성되는 중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킹 몸체(151)는 일정한 제1두께(t1)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두께(t1)는 상기 프레임(11)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 몸체(151)는 프레임 삽입홈(1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삽입홈(152)은 상기 프레임(11)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삽입홈(152)은 상기 패킹 몸체(151)의 중공을 바라보는 상기 패킹 몸체(151)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삽입홈(152)은 상기 패킹 몸체(151)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 삽입홈(152)은 상기 패킹 몸체(151)의 일면에서 상기 패킹 몸체(151)의 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킹 몸체(151)의 일면은 내면으로 정의되고, 상기 패킹 몸체(151)의 타면은 외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패킹 몸체(151)가 상기 제1두께(t1)로 형성되면,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 시 상기 프레임(11)보다 상기 패킹 몸체(151)가 사용자의 얼굴에 먼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패킹 몸체(151)가 사용자의 얼굴에 접촉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얼굴에 마스크 몸체(10)가 더욱 밀착되면, 상기 패킹 몸체(151)에 의해 사용자의 얼굴과 상기 프레임(1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틈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2패킹(15b)은 몸체를 형성하는 패킹 몸체(1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킹 몸체(151)는 상기 프레임(11)의 모서리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패킹 몸체(151)는 상기 프레임(11)의 모서리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패킹(15b)은 변형이 용이한 재질로 제공되며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 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패킹 몸체(151)는 내측에 중공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은 상기 패킹 몸체(151)의 내측에 형성되는 중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킹 몸체(151)는 일정한 제1두께(t1)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두께(t1)는 상기 프레임(11)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패킹(15b)은 상기 패킹 몸체(151)의 일부가 제2두께(t2)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두께(t2)는 상기 제1두께(t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두께(t2)를 가지는 패킹 몸체(151)의 일부는 사용자의 코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킹 몸체(151)의 일부가 상기 제2두께(t2)를 가지도록 형성되면, 사용자의 코와 상기 프레임(11)의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틈을 더욱 밀착하게 밀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두께(t1)를 가지는 패킹 몸체(151)로 밀폐되지 못하는 사용자의 코와 상기 프레임(11) 사이의 틈은 상기 제2두께(t2)를 가지는 패킹 몸체(151)의 일부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두께(t2)를 가지는 패킹 몸체(151)의 나머지 일부는 사용자의 코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2두께(t2)를 가지는 패킹 몸체(151)의 나머지 일부가 사용자의 코에 안착되면, 상기 마스크 몸체(10)를 사용자의 코에 지지하는 받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두께(t2)를 가지는 패킹 몸체(151)의 일부를 코받침(16)이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패킹 몸체(151)는 프레임 삽입홈(1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삽입홈(152)은 상기 프레임(11)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삽입홈(152)은 상기 패킹 몸체(151)의 중공을 바라보는 상기 패킹 몸체(151)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삽입홈(152)은 상기 패킹 몸체(151)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 삽입홈(152)은 상기 패킹 몸체(151)의 일면에서 상기 패킹 몸체(151)의 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킹 몸체(151)의 일면은 내면으로 정의되고, 상기 패킹 몸체(151)의 타면은 외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1에어클리너의 분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2에어클리너의 분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장치(1)는 제1에어클리너(20)와 제2에어클리너(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양측에서 외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내부에서 필터링될 수 있다.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1유로(124a) 및 제2유로(124b)를 통과한 후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서로 동일하게 작동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서로 상이하게 작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를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는 제1클리너 몸체(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는 내부가 깊숙하게 함몰되며, 함몰되는 내부에 다수의 구성이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내부에는 후술할 제1팬모듈(24), 제1필터모듈(25), 및 배터리(26)가 보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는 사용자의 얼굴을 향하는 저면과, 저면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상면은 다수의 구성이 삽입되도록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는 제1돌출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210)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일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돌출부(210)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를 상기 제1고정부(13)에 결합 시 상기 제1돌출부(210)는 상기 제1고정부(13)에 고정되는 스토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는 제1덕트(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211)는 상기 제1돌출부(210)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211)는 상기 제1돌출부(210)에서 더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211)는 상기 제1돌출부(21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211)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1고정부(13)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211)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와 상기 마스크 몸체(10)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211)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상기 마스크 몸체(10)로 공급하는 통로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211)가 상기 제1고정부(13)에 삽입되고, 상기 제1돌출부(210)가 상기 제1고정부(13)에 접촉되면 상기 제1에어클리너(2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211)가 상기 제1고정부(13)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와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211)와 상기 제1돌출부(210)에는 제1공기유동홀(21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유동홀(211a)은 상기 제1덕트(211)와 상기 제1돌출부(210)의 내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유동홀(211a)은 상기 제1덕트(211)와 상기 제1돌출부(210)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유동홀(211a)의 일측은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공기유동공간(214)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유동홀(211a)의 타측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1유로(124a)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는 제1고정후크(2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고정후크(212)는 제1덕트(21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211)가 상기 제1고정부(13)에 삽입되면, 상기 제1고정후크(212)는 상기 제1고정부(13)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211)의 일측에는 상기 제1고정후크(212)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후크(212)는 상기 설치홀에 형성되며, 상기 제1덕트(211)를 상기 제1고정부(13)에 삽입 시 상기 제1고정부(13)에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3)에 걸림 고정된 제1고정후크(212)는 상기 제1고정부(13)에 형성되는 후술할 제1고정후크 해제부(133)에 의해 걸림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는 제1전선관(2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관(213)은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전선관(213)은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측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전선관(213)은 상기 제1덕트(21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관(213)은 전선(19)이 통과하는 통로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선관(213)은 후술할 제1이탈방지부(28)가 삽입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관(213)은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에 형성되는 후술할 제1수용공간(215)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관(213)은 상기 제1고정부(13)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관(213)에는 제1전선통과홀(213a)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통과홀(213a)은 상기 제1전선관(213)의 내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통과홀(213a)의 일측은 상기 제1수용공간(215)과 연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전선통과홀(213a)의 타측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3유로(124c)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통과홀(213a)에 의해 상기 제3유로(124c)를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제1수용공간(215)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공간(215)으로 상기 제3유로(124c)의 공기가 유입될 경우에 상기 제1수용공간(215)에 보관되는 다수의 구성이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는 제1구획리브(2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리브(216)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리브(216)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내부 공간을 제1공기유동공간(214)과 제1수용공간(215)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리브(216)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내면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구획리브(216)는 상기 제1공기유동공간(214)에 장착되는 후술할 제1팬모듈(24) 및 제1필터모듈(25)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공기유동공간(214)에 상기 제1팬모듈(24) 및 상기 제1필터모듈(25)이 장착되면, 상기 제1구획리브(216)에 의해 상기 제1공기유동공간(214)과 상기 제1수용공간(215)은 서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공간(215)에는 후술할 배터리(26)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구획리브(216)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내부 공간을 공기가 통과하는 공간과 전장 부품이 배치되는 공간을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는 제1팬모듈(24) 및 제1필터모듈(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팬모듈(24) 및 상기 제1필터모듈(25)은 상기 제1구획리브(216)에 의해 형성된 제1공기유동공간(214)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팬모듈(24)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모듈(25)은 상기 제1팬모듈(24)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 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모듈(25)은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팬모듈(24)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팬모듈(24)에 의해 강제 유동되는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제1공기유동홀(211a)을 통과하여 상기 제1유로(124a)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1팬모듈(24)은 팬과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필터모듈(45)은 다양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는 배터리(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26)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26)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 중 하나 이상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26)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26)는 분리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전선(19)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선(19)을 통해 전원 및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는 제1걸림후크(2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후크(217)는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후크(217)는 후술할 제1귀걸림부(30)와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가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후크(217)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후크(217)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기 제1걸림후크(217)의 일부는 돌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다수의 제1걸림후크(217)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양측 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양측 측면은 제3측면 및 제4측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측면은 상기 제1돌출부(210)가 제공되는 제1측면, 상기 제1측면과 마주하는 제2측면, 상기 제1측면 및 상기 제2측면을 연결하는 제3측면 및 제4측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후크(217)는 상기 제3측면 및 상기 제4측면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후크(217)가 상기 제3측면 및 상기 제4측면에 제공되면, 상기 제1귀걸림부(30)의 제1걸림후크 걸림홈(317)이 상기 제1걸림후크(217)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고정후크(212)는 상기 제3측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제1걸림후크(217)의 일부는 상기 제1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는 제1개구(2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개구(219)는 후술할 제1이탈방지부(28)의 제1이탈방지끈(281)이 관통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개구(219)는 상기 제1이탈방지끈(281)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개구(219)는 상기 제1돌출부(21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개구(219)는 상기 제1전선관(213)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개구(219)와 상기 제1전선관(213) 사이에 상기 제1돌출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개구(219)와 상기 제1전선관(213)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면, 상기 제1개구(219) 및 상기 제1전선관(213)에 각각 제공되는 제1이탈방지부(28)에 의해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를 폴딩 작업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는 제1클리너 커버(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커버(22)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개구된 상면에 상기 제1클리너 커버(22)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에 상기 제1클리너 커버(22)가 장착되면,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1공기유동공간(214) 및 상기 제1수용공간(215)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와 상기 제1클리너 커버(22)는 끼워 맞춤 방식 또는 체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커버(22)는 제1흡입구(2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221)는 상기 제1클리너 커버(22)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221)는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221)는 상기 제1공기유동공간(214)과 외부 공간을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221)는 상기 제1공기유동공간(214)을 커버하는 제1클리너 커버(22)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다수의 제1흡입구(221)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1공기유동공간(214)으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221)는 다수의 개구로 형성되거나, 메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커버(22)는 제1스위치(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위치(222)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를 작동하기 위한 조작스위치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스위치(222)는 하나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다수의 스위치로 제공될 수 있다. 다수로 스위치로 제공될 경우에는 제1스위치부로 칭할 수 있고, 제1스위치부에는 다수의 스위치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스위치(222)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을 온/오프 하는 전원스위치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위치(222)를 누르는 지속시간, 횟수 등에 따라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스위치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스위치부로 제공될 경우에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제1전원스위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조작스위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커버(22)는 상기 제1스위치(222)를 구동하기 위한 스위치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회로 기판은 상기 제1클리너 커버(22)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클리너 커버(22)의 내면은 상기 제1수용공간(215)을 향하는 일면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1클리너 커버(22)의 외면은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타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와 상기 제1클리너 커버(22)를 결합하면, 상기 스위치 회로 기판은 상기 제1수용공간(215)에 보관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제2클리너 몸체(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내부가 깊숙하게 함몰되며, 함몰되는 내부에 다수의 구성이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내부에는 후술할 제2팬모듈(44), 제2필터모듈(45), 및 회로기판(46)이 보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사용자의 얼굴을 향하는 저면과, 저면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상면은 다수의 구성이 삽입되도록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제2돌출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410)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일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돌출부(410)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를 상기 제2고정부(14)에 결합 시 상기 제2돌출부(410)는 상기 제2고정부(14)에 고정되는 스토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제2덕트(4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411)는 상기 제2돌출부(410)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411)는 상기 제2돌출부(410)에서 더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411)는 상기 제2돌출부(41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411)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2고정부(14)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411)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와 상기 마스크 몸체(10)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411)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상기 마스크 몸체(10)로 공급하는 통로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411)가 상기 제2고정부(14)에 삽입되고, 상기 제2돌출부(410)가 상기 제2고정부(14)에 접촉되면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411)가 상기 제2고정부(14)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와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411)와 상기 제2돌출부(410)에는 제2공기유동홀(41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유동홀(411a)은 상기 제2덕트(411)와 상기 제2돌출부(410)의 내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유동홀(411a)은 상기 제2덕트(411)와 상기 제2돌출부(410)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유동홀(411a)의 일측은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공기유동공간(414)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유동홀(411a)의 타측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2유로(124b)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제2고정후크(4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고정후크(412)는 제2덕트(41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411)가 상기 제2고정부(14)에 삽입되면, 상기 제2고정후크(412)는 상기 제2고정부(14)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411)의 일측에는 상기 제2고정후크(412)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후크(412)는 상기 설치홀에 형성되며, 상기 제2덕트(411)를 상기 제2고정부(14)에 삽입 시 상기 제2고정부(14)에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14)에 걸림 고정된 제2고정후크(412)는 상기 제2고정부(14)에 형성되는 후술할 제2고정후크 해제부(143)에 의해 걸림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는 제2전선관(4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관(413)은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전선관(413)은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측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전선관(413)은 상기 제2덕트(41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관(413)은 전선(19)이 통과하는 통로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전선관(413)은 후술할 제2이탈방지부(48)가 삽입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관(413)은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에 형성되는 후술할 제2수용공간(415)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관(413)은 상기 제2고정부(14)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관(413)에는 제2전선통과홀(413a)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통과홀(413a)은 상기 제2전선관(413)의 내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통과홀(413a)의 일측은 상기 제2수용공간(415)과 연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전선통과홀(413a)의 타측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3유로(124c)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통과홀(413a)에 의해 상기 제3유로(124c)를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제2수용공간(415)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공간(415)으로 상기 제3유로(124c)의 공기가 유입될 경우에 상기 제2수용공간(415)에 보관되는 다수의 구성이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제2구획리브(4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구획리브(416)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구획리브(416)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내부 공간을 제2공기유동공간(414)과 제2수용공간(415)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제2구획리브(416)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내면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구획리브(416)는 상기 제2공기유동공간(414)에 장착되는 후술할 제2팬모듈(44) 및 제2필터모듈(45)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공기유동공간(414)에 상기 제2팬모듈(44) 및 상기 제2필터모듈(45)이 장착되면, 상기 제2구획리브(416)에 의해 상기 제2공기유동공간(414)과 상기 제2수용공간(415)은 서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공간(415)에는 후술할 회로기판(46)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구획리브(416)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내부 공간을 공기가 통과하는 공간과 전장 부품이 배치되는 공간을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제2팬모듈(44) 및 제2필터모듈(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팬모듈(44) 및 상기 제2필터모듈(45)은 상기 제2구획리브(416)에 의해 형성된 제2공기유동공간(414)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팬모듈(44)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필터모듈(45)은 상기 제2팬모듈(44)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 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모듈(45)은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팬모듈(44)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팬모듈(44)에 의해 강제 유동되는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제2공기유동홀(411a)을 통과하여 상기 제2유로(124b)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2팬모듈(44)은 팬과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필터모듈(45)은 다양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회로기판(4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46)은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 중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46)에는 제어부, 통신부, 정보 저장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46)은 상기 제1스위치(222) 및 상기 제2스위치(422)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작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 중 하나 이상이 동작되도록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 중 하나 이상은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46)은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 중 하나 이상과 전선(19)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46)은 상기 전선(19)을 통해 전원 및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제2걸림후크(4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417)는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417)는 후술할 제2귀걸림부(50)와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가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417)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417)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기 제2걸림후크(417)의 일부는 돌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다수의 제2걸림후크(417)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양측 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양측 측면은 제3측면 및 제4측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측면은 상기 제2돌출부(410)가 제공되는 제1측면, 상기 제1측면과 마주하는 제2측면, 상기 제1측면 및 상기 제2측면을 연결하는 제3측면 및 제4측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417)는 상기 제3측면 및 상기 제4측면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417)가 상기 제3측면 및 상기 제4측면에 제공되면, 상기 제2귀걸림부(50)의 제2걸림후크 걸림홈(517)이 상기 제2걸림후크(417)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고정후크(412)는 상기 제3측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제2걸림후크(417)의 일부는 상기 제1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제2개구(4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개구(419)는 후술할 제2이탈방지부(48)의 제2이탈방지끈(481)이 관통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개구(419)는 상기 제2이탈방지끈(481)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개구(419)는 상기 제2돌출부(41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개구(419)는 상기 제2전선관(413)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개구(419)와 상기 제2전선관(413) 사이에 상기 제2돌출부(4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개구(419)와 상기 제2전선관(413)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면, 상기 제2개구(419) 및 상기 제2전선관(413)에 각각 제공되는 제2이탈방지부(48)에 의해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를 폴딩 작업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제2클리너 커버(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커버(42)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개구된 상면에 상기 제2클리너 커버(42)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에 상기 제2클리너 커버(42)가 장착되면,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2공기유동공간(414) 및 상기 제2수용공간(415)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와 상기 제2클리너 커버(42)는 끼워 맞춤 방식 또는 체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커버(42)는 제2흡입구(4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구(421)는 상기 제2클리너 커버(42)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구(421)는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구(421)는 상기 제2공기유동공간(414)과 외부 공간을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구(421)는 상기 제2공기유동공간(414)을 커버하는 제2클리너 커버(42)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다수의 제2흡입구(421)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2공기유동공간(414)으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구(421)는 다수의 개구로 형성되거나, 메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커버(42)는 제2스위치(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스위치(422)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를 작동하기 위한 조작스위치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스위치(422)는 하나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다수의 스위치로 제공될 수 있다. 다수로 스위치로 제공될 경우에는 제2스위치부로 칭할 수 있고, 제2스위치부에는 다수의 스위치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스위치(422)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을 온/오프 하는 전원스위치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위치(422)를 누르는 지속시간, 횟수 등에 따라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스위치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스위치부로 제공될 경우에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제2전원스위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조작스위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커버(42)는 상기 제2스위치(422)를 구동하기 위한 스위치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회로 기판은 상기 제2클리너 커버(42)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클리너 커버(42)의 내면은 상기 제2수용공간(415)을 향하는 일면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2클리너 커버(42)의 외면은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타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와 상기 제2클리너 커버(42)를 결합하면, 상기 스위치 회로 기판은 상기 제2수용공간(415)에 보관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1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2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몸체(10)에는 제1고정부(13) 및 제2고정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2고정부(14)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는 상기 제1고정부(1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상기 제2고정부(14)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3)에 결합된 제1에어클리너(2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고정되거나,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대해 폴딩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14)에 결합된 제2에어클리너(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고정되거나,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대해 폴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고정부(13) 및 제2고정부(14)를 도면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고정부(13)는 몸체를 형성하는 제1고정부 몸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 몸체(13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고정부 몸체(130)는 상기 전면 커버(12) 및 상기 프레임(11)의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고정부 몸체(130)는 상기 전면 커버(12)와 상기 프레임(11)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 몸체(130)는 제1덕트 삽입홀(1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 삽입홀(131)은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의 제1덕트(211)가 삽입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 삽입홀(131)은 상기 제1덕트(2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 삽입홀(131)의 일측은 상기 제1덕트(211)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 삽입홀(131)의 타측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1유로(124a)와 연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덕트 삽입홀(131)은 상기 제1고정부 몸체(130)의 일부가 돌출되어 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고정부(13)와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가 서로 결합 시 상기 제1고정부 몸체(130)의 일면과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일면은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 몸체(130)의 일면과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일면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 몸체(130)는 제1전선관 삽입홀(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관 삽입홀(132)은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의 제1전선관(213)이 삽입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관 삽입홀(132)은 상기 제1전선관(21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관 삽입홀(132)의 일측은 상기 제1전선관(213)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관 삽입홀(132)의 타측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3유로(124c)와 연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전선관 삽입홀(132)은 상기 제1고정부 몸체(130)의 일부가 돌출되어 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 몸체(130)는 제1고정후크 해제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후크 해제부(133)를 작동하면, 상기 제1고정부(13)에 고정된 제1에어클리너(20)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후크 해제부(133)는 상기 제1고정부(13)에 고정되는 제1에어클리너(20)의 제1고정후크(212)를 고정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후크 해제부(133)는 상기 제1고정부 몸체(13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후크 해제부(133)는 상기 전면 커버(12)로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고정후크 해제부(133)는 버튼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12)에는 상기 제1고정후크 해제부(133)가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고정후크 해제부(133)를 작동하면, 상기 제1고정후크 해제부(133)가 상기 제1고정후크(212)에 외력을 가하여 걸림 고정된 제1고정후크(212)가 상기 제1고정부(13)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 몸체(130)는 제3개구(1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개구(138)는 후술할 제1이탈방지부(28)의 제1이탈방지끈(281)이 관통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3개구(138)는 상기 제1이탈방지끈(28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개구(138)는 상기 제1이탈방지부(28)의 제1이탈방지돌기(282)가 상기 제1고정부(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돌기(282)는 상기 제3개구(138)보다 크게 형성되기에 상기 제1이탈방지돌기(282)가 상기 제3개구(138)에 걸릴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스크 장치(1)는 상기 제1고정부(13)와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를 연결하는 제1이탈방지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부(28)는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이탈방지부(28)가 상기 마스크 몸체(10) 및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의 일측과 타측에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이탈방지부(28)는 제1이탈방지끈(281), 제1이탈방지돌기(282), 및 제2이탈방지돌기(2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끈(28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돌기(282)는 상기 제1이탈방지끈(281)의 일측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2이탈방지돌기(283)는 상기 제1이탈방지끈(281)의 타측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돌기(282) 및 상기 제2이탈방지돌기(283)는 상기 제1이탈방지끈(281)보다 큰 직경 또는 큰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끈(281)은 상기 제1고정부(13)의 제3개구(138)와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제1개구(219)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돌기(282)는 상기 제1고정부(13)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이탈방지돌기(283)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돌기(282)는 상기 제3개구(138)에 의해 상기 제1고정부(13)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2이탈방지돌기(283)는 상기 제1개구(219)에 의해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이탈방지부(28)는 상기 제1전선관 삽입홀(132) 및 제1전선통과홀(213a)에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이탈방지돌기(282)는 상기 제1전선관 삽입홀(132)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이탈방지돌기(283)는 상기 제1전선통과홀(213a)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돌기(282)는 상기 제1전선관 삽입홀(132)에 의해 상기 제1고정부(13)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2이탈방지돌기(283)는 상기 제1전선통과홀(213a)에 의해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2고정부(14)는 몸체를 형성하는 제2고정부 몸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 몸체(1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고정부 몸체(140)는 상기 전면 커버(12) 및 상기 프레임(11)의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고정부 몸체(140)는 상기 전면 커버(12)와 상기 프레임(11)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고정부(14)와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가 서로 결합 시 상기 제2고정부 몸체(140)의 일면과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일면은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고정부 몸체(140)의 일면과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일면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 몸체(140)는 제2덕트 삽입홀(1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 삽입홀(141)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제2덕트(411)가 삽입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 삽입홀(141)은 상기 제2덕트(4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 삽입홀(141)의 일측은 상기 제2덕트(411)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 삽입홀(141)의 타측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2유로(124b)와 연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덕트 삽입홀(141)은 상기 제2고정부 몸체(140)의 일부가 돌출되어 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 몸체(140)는 제2전선관 삽입홀(1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관 삽입홀(142)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제2전선관(413)이 삽입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관 삽입홀(142)은 상기 제2전선관(41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관 삽입홀(142)의 일측은 상기 제2전선관(413)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관 삽입홀(142)의 타측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3유로(124c)와 연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전선관 삽입홀(142)은 상기 제2고정부 몸체(140)의 일부가 돌출되어 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 몸체(140)는 제2고정후크 해제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후크 해제부(143)를 작동하면, 상기 제2고정부(14)에 고정된 제2에어클리너(40)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후크 해제부(143)는 상기 제2고정부(14)에 고정되는 제2에어클리너(40)의 제2고정후크(412)를 고정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후크 해제부(143)는 상기 제2고정부 몸체(14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후크 해제부(143)는 상기 전면 커버(12)로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고정후크 해제부(143)는 버튼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12)에는 상기 제2고정후크 해제부(143)가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고정후크 해제부(143)를 작동하면, 상기 제2고정후크 해제부(143)가 상기 제2고정후크(412)에 외력을 가하여 걸림 고정된 제2고정후크(412)가 상기 제2고정부(14)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 몸체(140)는 제4개구(1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개구(148)는 후술할 제2이탈방지부(48)의 제2이탈방지끈(481)이 관통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4개구(148)는 상기 제2이탈방지끈(48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개구(148)는 상기 제2이탈방지부(48)의 제3이탈방지돌기(482)가 상기 제2고정부(1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3이탈방지돌기(482)는 상기 제4개구(148)보다 크게 형성되기에 상기 제3이탈방지돌기(482)가 상기 제4개구(148)에 걸릴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스크 장치(1)는 상기 제2고정부(14)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를 연결하는 제2이탈방지부(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이탈방지부(48)는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이탈방지부(48)가 상기 마스크 몸체(1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일측과 타측에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2이탈방지부(48)는 제2이탈방지끈(481), 제3이탈방지돌기(482), 및 제4이탈방지돌기(4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이탈방지끈(48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3이탈방지돌기(482)는 상기 제2이탈방지끈(481)의 일측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4이탈방지돌기(483)는 상기 제2이탈방지끈(481)의 타측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이탈방지돌기(482) 및 상기 제4이탈방지돌기(483)는 상기 제2이탈방지끈(481)보다 큰 직경 또는 큰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이탈방지끈(481)은 상기 제2고정부(14)의 제4개구(148)와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제2개구(419)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3이탈방지돌기(482)는 상기 제2고정부(14)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4이탈방지돌기(483)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이탈방지돌기(482)는 상기 제4개구(148)에 의해 상기 제2고정부(14)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4이탈방지돌기(483)는 상기 제2개구(419)에 의해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이탈방지부(48)는 상기 제2전선관 삽입홀(142) 및 제2전선통과홀(413a)에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3이탈방지돌기(482)는 상기 제2전선관 삽입홀(142)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4이탈방지돌기(483)는 상기 제2전선통과홀(413a)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이탈방지돌기(482)는 상기 제2전선관 삽입홀(142)에 의해 상기 제2고정부(14)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4이탈방지돌기(483)는 상기 제2전선통과홀(413a)에 의해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가 폴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장치(1)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대해 폴딩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를 사용 시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양측에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양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마스크 장치(1)를 착용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1고정부(13)에는 상기 제1덕트 삽입홀(131) 및 상기 제1전선관 삽입홀(132)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를 상기 제1고정부(13)에 고정하면, 상기 제1덕트 삽입홀(131)에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의 제1덕트(211)가 삽입되고, 상기 제1전선관 삽입홀(132)에는 상기 제1전선관(213)이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의 제1고정후크(212)가 상기 제1고정부(13)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2고정부(14)에는 상기 제2덕트 삽입홀(141) 및 상기 제2전선관 삽입홀(142)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를 상기 제2고정부(14)에 고정하면, 상기 제2덕트 삽입홀(141)에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제2덕트(411)가 삽입되고, 상기 제2전선관 삽입홀(142)에는 상기 제2전선관(413)이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제2고정후크(412)가 상기 제2고정부(14)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 장치(1)를 미 사용 시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대해 폴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프레임(11)을 향해 폴딩되면,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에 의해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프레임(11)이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코와 입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프레임(11)이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고정부(13)의 제1고정후크 해제부(133)를 작동하여 상기 제1고정부(13)에 걸림 고정된 제1고정후크(212)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후크(212)가 걸림 해제되면, 상기 제1고정부(13)로부터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를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13)와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는 상기 제1이탈방지부(28)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고정부(13)와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를 분리 시 상기 제1이탈방지부(28)에 의해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가 상기 제1고정부(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이탈방지부(28)의 제1이탈방지끈(281)에 의해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를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프레임(11)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14)의 제2고정후크 해제부(143)를 작동하여 상기 제2고정부(14)에 걸림 고정된 제2고정후크(412)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후크(412)가 걸림 해제되면, 상기 제2고정부(14)로부터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를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고정부(14)와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상기 제2이탈방지부(48)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고정부(14)와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를 분리 시 상기 제2이탈방지부(48)에 의해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가 상기 제2고정부(1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이탈방지부(48)의 제2이탈방지끈(481)에 의해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를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프레임(11)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이탈방지부(28) 및 상기 제2이탈방지부(48)에 의해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를 향해 폴딩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와 상기 제1고정부(13)의 사이에 힌지가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와 상기 제2고정부(14)의 사이에 힌지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에 상기 제1귀걸림부(30) 및 상기 제2귀걸림부(5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대해 폴딩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상기 제1귀걸림부(30) 및 상기 제2귀걸림부(50)가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대해 폴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1귀걸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2귀걸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장치(1)는 제1귀걸림부(30) 및 제2귀걸림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귀걸림부(30) 및 상기 제2귀걸림부(50)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귀걸림부(30) 및 상기 제2귀걸림부(50)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사용자의 귀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귀걸림부(30) 및 상기 제2귀걸림부(50)는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귀걸림부(30) 및 상기 제2귀걸림부(50)는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되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귀걸림부(30) 및 상기 제2귀걸림부(50)는 사용자의 귀 일부에 걸림 고정되는 레그(leg)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귀걸림부(30) 및 상기 제2귀걸림부(50)를 도면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1귀걸림부(30)는 몸체를 형성하는 제1걸이 몸체(3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폐곡선을 가지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일측에는 제1클리너 몸체(21)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타측에는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일부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측면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일부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제1측면, 제3측면, 및 제4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제1덕트 관통홀(3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 관통홀(311)은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 관통홀(311)은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제1덕트(211)이 관통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 관통홀(311)은 상기 제1덕트(211)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 관통홀(311)에 상기 제1덕트(211)이 삽입되면,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일부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와 상기 제1고정부(1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일부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에 대응되는 일면과, 상기 제1고정부 몸체(130)에 대응되는 타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와 상기 제1고정부 몸체(130)의 사이에 개입되어 패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211)는 상기 제1덕트 관통홀(311)을 관통하여 상기 제1고정부(13)의 제1덕트 삽입홀(13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제1전선관 관통홀(3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관 관통홀(312)은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관 관통홀(312)은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제1전선관(213)이 관통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관 관통홀(312)은 상기 제1전선관(213)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관 관통홀(312)에 상기 제1전선관(213)이 삽입되면,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일부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와 상기 제1고정부(1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와 상기 제1고정부 몸체(130)의 사이에 개입되어 패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관(213)은 상기 제1전선관 관통홀(312)을 관통하여 상기 제1고정부(13)의 제1전선관 삽입홀(13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제1끈 관통홀(3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끈 관통홀(318)은 상기 제1이탈방지부(28)의 제1이탈방지끈(281)이 관통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끈 관통홀(318)은 상기 제1이탈방지끈(281)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제1손잡이(3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손잡이(314)는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손잡이(314)는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일부가 외부 공간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손잡이(314)는 사용자의 귀에 상기 제1걸이 몸체(31)가 고정 시 사용자가 잡는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제1걸림후크 걸림홈(3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후크 걸림홈(317)은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후크 걸림홈(317)에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제1걸림후크(217)가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후크 걸림홈(317)은 상기 제1걸림후크(217)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걸림후크 걸림홈(317)은 상기 제1걸림후크(217)가 제공되는 제1클리너 몸체(21)의 제3측면 및 제4측면에 접촉되는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후크 걸림홈(317)은 상기 제1걸림후크(217)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걸림후크 걸림홈(317)은 상기 제1걸림후크(217)의 절곡된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절곡된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걸림후크 걸림홈(317)은 상기 제1걸림후크(217)가 걸림 고정되도록 상기 제1걸림후크(217)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제1귀걸림부(30)는 제1접촉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부(32)는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내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내면은 상기 제1걸이 몸체(31)를 사용자의 귀에 고정 시 사용자의 귀에 접촉되는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내부면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1귀걸림부(30)가 상기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면, 사용자의 귀에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하중에 대응되는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부(32)는 상기 사용자의 귀와 상기 제1귀걸림부(30)의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귀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부(32)는 상기 사용자의 귀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부(32)는 상기 제1귀걸림부(30)의 내면에서 연장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접촉부(32)는 사용자의 귀로부터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생체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제1함몰부(3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함몰부(319)는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2의 Y는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이다.
상기 도 12의 Y를 참조하면, 상기 제1함몰부(319)는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외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외면은 사용자의 귀에 미 접촉되고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외부면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1함몰부(319)는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외면이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함몰부(319)는 사용자의 귀에 상기 제1귀걸림부(30)를 장착한 후 안경을 착용 시 안경의 안경레그가 안착되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2귀걸림부(50)는 몸체를 형성하는 제2걸이 몸체(5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폐곡선을 가지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일측에는 제2클리너 몸체(41)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타측에는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일부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측면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일부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제1측면, 제3측면, 및 제4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제2덕트 관통홀(5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 관통홀(511)은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 관통홀(511)은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제2덕트(411)이 관통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 관통홀(511)은 상기 제2덕트(411)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 관통홀(511)에 상기 제2덕트(411)이 삽입되면,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일부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와 상기 제2고정부(1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일부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에 대응되는 일면과, 상기 제2고정부 몸체(140)에 대응되는 타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와 상기 제2고정부 몸체(140)의 사이에 개입되어 패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411)는 상기 제2덕트 관통홀(511)을 관통하여 상기 제2고정부(14)의 제2덕트 삽입홀(14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제2전선관 관통홀(5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관 관통홀(512)은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관 관통홀(512)은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제2전선관(413)이 관통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관 관통홀(512)은 상기 제2전선관(413)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관 관통홀(512)에 상기 제2전선관(413)이 삽입되면,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일부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와 상기 제2고정부(1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와 상기 제2고정부 몸체(140)의 사이에 개입되어 패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관(413)은 상기 제2전선관 관통홀(512)을 관통하여 상기 제2고정부(14)의 제2전선관 삽입홀(14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제2끈 관통홀(5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끈 관통홀(518)은 상기 제2이탈방지부(48)의 제2이탈방지끈(481)이 관통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끈 관통홀(518)은 상기 제2이탈방지끈(481)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제2손잡이(5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손잡이(514)는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손잡이(514)는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일부가 외부 공간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손잡이(514)는 사용자의 귀에 상기 제2걸이 몸체(51)가 고정 시 사용자가 잡는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제2걸림후크 걸림홈(5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 걸림홈(517)은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 걸림홈(517)에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제2걸림후크(417)가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 걸림홈(517)은 상기 제2걸림후크(417)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걸림후크 걸림홈(517)은 상기 제2걸림후크(417)가 제공되는 제2클리너 몸체(41)의 제3측면 및 제4측면에 접촉되는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 걸림홈(517)은 상기 제2걸림후크(417)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걸림후크 걸림홈(517)은 상기 제2걸림후크(417)의 절곡된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절곡된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걸림후크 걸림홈(517)은 상기 제2걸림후크(417)가 걸림 고정되도록 상기 제2걸림후크(417)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제2귀걸림부(50)는 제2접촉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부(52)는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내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내면은 상기 제2걸이 몸체(51)를 사용자의 귀에 고정 시 사용자의 귀에 접촉되는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내부면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2귀걸림부(50)가 상기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면, 사용자의 귀에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하중에 대응되는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부(52)는 상기 사용자의 귀와 상기 제2귀걸림부(50)의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귀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부(52)는 상기 사용자의 귀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부(52)는 상기 제2귀걸림부(50)의 내면에서 연장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접촉부(52)는 사용자의 귀로부터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생체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제2함몰부(5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함몰부(519)는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의 Z는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이다.
상기 도 13의 Z를 참조하면, 상기 제2함몰부(519)는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외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외면은 사용자의 귀에 미 접촉되고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외부면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2함몰부(519)는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외면이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함몰부(519)는 사용자의 귀에 상기 제2귀걸림부(50)를 장착한 후 안경을 착용 시 안경의 안경레그가 안착되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장치(1)는 사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1스위치(222) 및 상기 제2스위치(42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온/오프 하여 상기 마스크 장치(1)를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가 작동되면,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의 제1팬모듈(24)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제2팬모듈(44)이 작동되고, 외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제1팬모듈(24) 및 상기 제2팬모듈(44)이 작동되면,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의 제1흡입구(221)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제2흡입구(421)로 외부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221) 및 상기 제2흡입구(421)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유동 방향은 A로 나타낸다.
상기 제1흡입구(221) 및 상기 제2흡입구(421)로 흡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제1필터모듈(25) 및 상기 제2필터모듈(45)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1유로(124a) 및 상기 제2유로(124b)를 통과한 후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유입구(111)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124a) 및 상기 제2유로(124b)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유입구(111)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B로 나타낸다. 상기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공기는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공급되며, 사용자는 필터링된 공기를 들이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팬모듈(24) 및 상기 제2팬모듈(44)에 의해 공기가 강제 유동되기에 사용자는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터링된 공기를 들이쉰 후 공기를 내쉴 수 있다. 사용자의 코와 입에서 내쉬어진 공기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유출구(112)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11)를 통해 공기가 연속적으로 공급되기에 내쉬어진 공기는 상기 유출구(112)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유출구(112)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3유로(124c)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코와 입에서 내쉬어진 공기의 유동 방향은 C로 나타낸다.
상기 제3유로(124c)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3유로(124c)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3유로(124c)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토출구(128)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28)는 상기 제3유로(124c)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3유로(124c)로부터 상기 토출구(128)를 통과해서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은 D로 나타낸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토출구(128) 및 상기 유출구(112)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체크 밸브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토출구(128) 및 상기 유출구(112)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외부 공간의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는 사용자가 필터링된 공기를 들이쉴 때 폐쇄되고, 사용자가 공기를 내쉴 때 개방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전자파 차단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제1에어클리너의 분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전자파 차단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제2에어클리너의 분해도이고, 도 18은 도 16의 제1에어클리너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크 장치(1)는 전장부품을 각각 구비하는 제1에어클리너(20)와, 제2에어클리너(6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의 내부에는 제1팬모듈(24)과, 배터리(26)가 포함되고,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내부에는 제2팬모듈(44)와, 회로기판(46)이 포함된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제2에어클리너(40)는, 상기 마스크 장치(1)를 착용 시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 또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부분이다. 즉,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 장치(1)를 착용하여 동작시킬 경우,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제2에어클리너(40)에 구비된 팬모듈(24,44), 배터리(26) 및 회로기판(46) 등에서 전자파(노이즈 또는 간섭파)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파는 전기가 잘 통하는 피부에 직접적으로 전달이 용이하기 때문에 전자파가 장시간 인체 또는 피부에 노출될 경우, 발열, 두통, 어지럼증, 피부발진 또는 정전기 발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마스크 장치(1)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인체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금속부재를 제공한다.
상세히, 본 실시예에 따른 금속부재(61,62)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에 제공되는 제1금속부재(61)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에 제공되는 제2금속부재(62)를 포함한다.
상기 제1금속부재(61)와 제2금속부재(62)는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금속부재(61)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의 배면에 접촉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의 배면은, 사용자의 얼굴과 마주보는 면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의 배면은 사용자의 얼굴에 인접한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안쪽면을 의미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는 제1클리너 몸체(21)를 포함한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전면으로부터 내측 또는 후방으로 함몰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내부에는 다수의 전장부품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에는 제1구획리브(216)가 형성된다.
상기 제1구획리브(216)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내면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제1구획리브(216)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바닥면(21a)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리브(216)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내부공간을 제1공기유동공간(214)과 제1수용공간(215)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유동공간(214)에는 상기 제1팬모듈(24)이 배치되고, 상기 제2수용공간(215)에는 상기 배터리(26)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공기유동공간(214)의 바닥면(21a)에는 상기 제1팬모듈(24)이 안착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수용공간(215)의 바닥면(21b)에는 상기 배터리(26)가 안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배면(21c)에는 전자파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1금속부재(61)가 제공된다.
상기 제1금속부재(61)는 상기 제1팬모듈(24) 및 배터리(26)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가 인체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해된다.
상기 제1금속부재(61)는 일례로,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금속부재(61)는 소정면적을 가지며 얇은 두께를 가지는 시트 또는 필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금속부재(61)는 상기 클리너 몸체(21)의 배면(21c)에 상응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금속부재(61)는 상기 제1팬모듈(24) 및 배터리(26)가 장착되는 면적에 상응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금속부재(61)는 상기 제1팬모듈(24) 및 배터리(26)의 바닥면 또는 후면을 커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1금속부재(61)는 상기 제1팬모듈(24) 및 배터리(26)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단하는 차단막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금속부재(61)는 상기 제1팬모듈(24)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팬모듈(24)과 사용자의 안면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 기능을 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제1팬모듈(24)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금속부재(61)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에 사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금속부재(61)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와 인서트 사출로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1금속부재(61)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에 양면테이프 또는 본딩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배면(21c)에는 양면테이프 또는 본드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금속부재(62)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배면에 접촉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배면은, 사용자의 얼굴과 마주보는 면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배면은 사용자의 얼굴에 인접한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안쪽면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의 배면과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배면은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제2클리너 몸체(41)를 포함한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전면으로부터 내측 또는 후방으로 함몰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내부에는 다수의 전장부품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에는 제2구획리브(416)가 형성된다.
상기 제2구획리브(416)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내면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제2구획리브(416)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바닥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구획리브(416)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내부공간을 제2공기유동공간(414)과 제2수용공간(415)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유동공간(414)에는 상기 제2팬모듈(44)이 배치되고, 상기 제2수용공간(415)에는 상기 회로기판(46)이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2공기유동공간(414)의 바닥면(41a)에는 상기 제2팬모듈(44)이 안착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2수용공간(415)의 바닥면(41b)에는 상기 회로기판(46)이 안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배면(41c)에는 전자파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2금속부재(62)가 제공된다.
상기 제2금속부재(62)는 상기 제2팬모듈(44) 및 배터리(46)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가 인체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해된다.
상기 제2금속부재(62)는 일례로,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금속부재(62)는 소정면적을 가지며 얇은 두께를 가지는 시트 또는 필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금속부재(62)는 상기 클리너 몸체(41)의 배면에 상응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금속부재(62)는 상기 제2팬모듈(44) 및 회로기판(46)이 장착되는 면적에 상응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금속부재(62)는 상기 제2팬모듈(44) 및 회로기판(46)의 후면을 커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2금속부재(62)는 상기 제2팬모듈(44) 및 배터리(46)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단하는 차단막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금속부재(62)는 상기 제2팬모듈(44)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팬모듈(44)과 사용자의 안면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 기능을 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제2팬모듈(44)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금속부재(62)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20)에 사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금속부재(62)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와 인서트 사출로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2금속부재(62)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에 양면테이프 또는 본딩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배면(41c)에는 양면테이프 또는 본드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공기유동공간(214) 및 제2공기유동공간(414)은 "제1공간"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1수용공간(215) 및 제2수용공간(415)은 "제2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팬모듈(24) 및/또는 상기 제2팬모듈(44)은 "제1전장부품"으로 정의되고, 상기 배터리(26) 및/또는 상기 회로기판(46)은 "제2전장부품"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전자파 차단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제1에어클리너의 분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전자파 차단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제2에어클리너의 분해도이고, 도 21은 도 19의 제1에어클리너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금속부재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제1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은 이를 원용하기로 한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금속부재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제2에어클리너(40) 각각에 복수 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금속부재(70,80)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에 제공되는 복수 개의 제1금속부재(71,72)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에 제공되는 복수 개의 제2금속부재(81,82)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제1금속부재(71,72)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의 내부공간에 제공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제2금속부재(81,82)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내부공간에 제공된다.
상기 마스크 장치(1)는 전장부품을 각각 구비하는 제1에어클리너(20)와, 제2에어클리너(6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의 내부에는 제1팬모듈(24)과, 배터리(26)가 포함되고,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내부에는 제2팬모듈(44)와, 회로기판(46)이 포함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는 제1클리너 몸체(21)를 포함한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전면으로부터 내측 또는 후방으로 함몰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내부에는 다수의 전장부품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에는 제1구획리브(216)가 형성된다.
상기 제1구획리브(216)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내면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제1구획리브(216)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바닥면(21a)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리브(216)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내부공간을 제1공기유동공간(214)과 제1수용공간(215)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유동공간(214)에는 상기 제1팬모듈(24)이 배치되고, 상기 제1수용공간(215)에는 상기 배터리(26)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공기유동공간(214)의 바닥면(21a)에는 상기 제1팬모듈(24)이 안착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수용공간(215)의 바닥면(21b)에는 상기 배터리(26)가 안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내부에는 전자파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복수의 금속부재(71,72)가 제공된다.
복수의 금속부재(71,72)는 상기 제1팬모듈(24) 및 배터리(26)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가 인체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해된다.
상기 복수의 금속부재(71,72)는 일례로,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금속부재(71,72)는 소정면적을 가지며 얇은 두께를 가지는 시트 또는 필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금속부재(71,72)는, 상기 제1공기유동공간(214)에 배치되는 제1금속부재(71)와, 상기 제1수용공간(215)에 배치되는 제2금속부재(72)를 포함한다.
상기 제1금속부재(71)는 상기 제1공기유동공간(214)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팬모듈(24)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제2금속부재(72)는 상기 제1수용공간(215)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26)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금속부재(71)는 상기 제1공기유동공간(214)의 바닥면(21a)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금속부재(72)는 상기 제1수용공간(215)의 바닥면(21b)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금속부재(71)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와 상기 제1팬모듈(24)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금속부재(72)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와 상기 배터리(26)의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상기 제1금속부재(71)와 제2금속부재(72)는, 상기 제1팬모듈(24) 및 배터리(26)와, 사용자의 안면을 구획하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금속부재(71)는 상기 제1팬모듈(24)의 바닥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2금속부재(72)는 상기 배터리(26)의 바닥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금속부재(71)는 상기 제1팬모듈(24)의 바닥면을 커버하여, 상기 제1팬모듈(24)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가 인체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금속부재(72)는 상기 배터리(26)의 바닥면을 커버하여, 상기 배터리(26)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가 인체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는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1금속부재(71)는 상기 제1공기유동공간(214)의 바닥면(21a)에 상응하는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금속부재(72)는 상기 제1수용공간(215)의 바닥면(21b)에 상응하는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팬모듈(24) 및 배터리(26)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인체로 노출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금속부재(71) 및 제2금속부재(72)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에 사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제1금속부재(71)는 상기 제1공기유동공간(214)의 바닥면(21a)에 인서트 사출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금속부재(72)는 상기 제1수용공간(215)의 바닥면(21b)에 인서트 사출로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1금속부재(71) 및 제2금속부재(72)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의 내면에 양면테이프 또는 본딩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내면에는 양면테이프 또는 본드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제2클리너 몸체(41)를 포함한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전면으로부터 내측 또는 후방으로 함몰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내부에는 다수의 전장부품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에는 제2구획리브(416)가 형성된다.
상기 제2구획리브(416)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내면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제2구획리브(416)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바닥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구획리브(416)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내부공간을 제2공기유동공간(414)과 제2수용공간(415)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유동공간(414)에는 상기 제2팬모듈(44)이 배치되고, 상기 제2수용공간(415)에는 상기 회로기판(46)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2공기유동공간(414)의 바닥면(41a)에는 상기 제2팬모듈(44)이 안착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2수용공간(415)의 바닥면(41b)에는 상기 회로기판(46)이 안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내부에는 전자파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복수의 금속부재(81,82)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금속부재(81,82)는 상기 제2팬모듈(44) 및 회로기판(46)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가 인체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해된다.
상기 복수의 금속부재(81,82)는 일례로,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금속부재(81,82)는 소정면적을 가지며 얇은 두께를 가지는 시트 또는 필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금속부재(81,82)는, 상기 제2공기유동공간(414)에 배치되는 제3금속부재(81)와, 상기 제2수용공간(415)에 배치되는 제4금속부재(82)를 포함한다.
상기 제3금속부재(81)는 상기 제2공기유동공간(414)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팬모듈(44)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제4금속부재(82)는 상기 제2수용공간(415)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로기판(46)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금속부재(81)는 상기 제2공기유동공간(414)의 바닥면(41a)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금속부재(82)는 상기 제2수용공간(415)의 바닥면(41b)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금속부재(81)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와 상기 제2팬모듈(44)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4금속부재(82)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와 상기 회로기판(46)의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금속부재(81)는 상기 제2팬모듈(44)의 바닥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4금속부재(82)는 상기 회로기판(46)의 바닥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금속부재(81)는 상기 제2팬모듈(44)의 바닥면을 커버하여, 상기 제2팬모듈(44)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가 인체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금속부재(82)는 상기 회로기판(46)의 바닥면을 커버하여, 상기 회로기판(46)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가 인체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는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3금속부재(81)는 상기 제2공기유동공간(414)의 바닥면(41a)에 상응하는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금속부재(82)는 상기 제2수용공간(415)의 바닥면(41b)에 상응하는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팬모듈(44) 및 회로기판(46)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인체로 노출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금속부재(81) 및 제4금속부재(82)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에 사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제3금속부재(81)는 상기 제2공기유동공간(414)의 바닥면(41a)에 인서트 사출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금속부재(82)는 상기 제2수용공간(415)의 바닥면(41b)에 인서트 사출로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3금속부재(81) 및 제4금속부재(82)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내면에 양면테이프 또는 본딩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내면에는 양면테이프 또는 본드가 제공될 수 있다.
1: 마스크 장치 10: 마스크 몸체
20: 제1에어클리너 28: 제1이탈방지부
30: 제1귀걸림부 40: 제2에어클리너
48: 제2이탈방지부 50: 제2귀걸림부

Claims (15)

  1. 사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하고 공기 유입구와 공기 유출구가 형성되는 프레임과,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전면 커버, 및 상기 전면 커버의 가장자리와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며, 덕트 삽입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몸체;
    상기 마스크 몸체의 양 측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양 쪽 귀에 걸리는 한 쌍의 귀 걸림부;
    상기 마스크 몸체에 연결되고,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이물질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공기를 상기 마스크 몸체로 공급하며, 상기 한 쌍의 귀 걸림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에어클리너; 및
    상기 에어 클리너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되, 상기 에어 클리너가 상기 마스크 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귀 걸림부가 상기 마스크 몸체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이탈방지 끈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클리너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클리너 몸체;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전장부품; 및
    상기 클리너 몸체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전장부품으로부터 사용자의 안면을 향하여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단하는 금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장 부품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듈과,
    상기 팬모듈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와,
    상기 팬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부품은, 상기 수용공간의 내면에 안착되고,
    상기 금속부재는, 상기 전장부품이 안착되는 안착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마스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클리너는,
    상기 클리너 몸체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클리너 몸체의 수용공간을 제1공간 및 제2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리브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부품은,
    상기 제1공간에 배치되는 제1전장부품; 및
    상기 제2공간에 배치되는 제2전장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장부품은 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전장부품은 회로기판 또는 배터리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부재는, 상기 제1전장부품 및 제2전장부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마스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부재는, 상기 클리너 몸체에서 상기 구획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면의 반대측 면에 제공되는 마스크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부재는,
    상기 제1공간의 내면에 배치되는 제1금속부재; 및
    상기 제2공간의 내면에 배치되는 제2금속부재를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속부재는, 상기 제1전장부품이 상기 제1공간에 안착되는 면에 제공되는 마스크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금속부재는, 상기 제2전장부품이 상기 제2공간에 안착되는 면에 제공되는 마스크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속부재는, 상기 제1공간의 바닥면에 상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공간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마스크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금속부재는, 상기 제2공간의 바닥면에 상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공간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마스크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 몸체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금속부재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마스크 장치.
KR1020180169674A 2018-12-26 마스크 장치 KR102663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674A KR102663281B1 (ko) 2018-12-26 마스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674A KR102663281B1 (ko) 2018-12-26 마스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945A KR20200079945A (ko) 2020-07-06
KR102663281B1 true KR102663281B1 (ko) 2024-05-03

Family

I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17926A1 (en) * 2005-10-13 2009-09-03 Avon Polymer Products Limited Respirator
JP2016123737A (ja) * 2015-01-06 2016-07-11 株式会社エスアンドケイ 耳用サポート具
KR101865026B1 (ko) * 2017-12-26 2018-07-04 주식회사 한국이쓰리시험연구소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
CN208065593U (zh) * 2017-11-22 2018-11-09 新昌县鼎石科技咨询服务有限公司 一种多功能口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17926A1 (en) * 2005-10-13 2009-09-03 Avon Polymer Products Limited Respirator
JP2016123737A (ja) * 2015-01-06 2016-07-11 株式会社エスアンドケイ 耳用サポート具
CN208065593U (zh) * 2017-11-22 2018-11-09 新昌县鼎石科技咨询服务有限公司 一种多功能口罩
KR101865026B1 (ko) * 2017-12-26 2018-07-04 주식회사 한국이쓰리시험연구소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7983B1 (ko) 마스크 장치
EP3673960A2 (en) Mask device
CN111375152B (zh) 口罩装置
EP3673959B1 (en) Mask device
CN113660985A (zh) 面罩装置及其控制方法
CN113856076B (zh) 口罩装置及其控制方法
CN113749328B (zh) 口罩装置
KR20190104651A (ko) 날숨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
CN113749326A (zh) 口罩装置
CN115633815A (zh) 口罩装置
KR20200085183A (ko) 마스크 장치
KR102663281B1 (ko) 마스크 장치
KR20200080112A (ko) 마스크 장치
KR20200079932A (ko) 마스크 장치
KR20200080110A (ko) 마스크 장치
KR102280604B1 (ko) 마스크 장치
CN116940401A (zh) 口罩装置
KR20200074733A (ko) 마스크 장치
KR20220063015A (ko) 웨어러블 공기 청정기
KR20200079945A (ko) 마스크 장치
KR20200088057A (ko) 마스크 장치
US20210370105A1 (en) Air inhalation and exhalation filtering mask
KR102531989B1 (ko) 마스크 장치
KR102494130B1 (ko) 마스크 장치
KR102621067B1 (ko) 마스크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