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026B1 -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5026B1 KR101865026B1 KR1020170179198A KR20170179198A KR101865026B1 KR 101865026 B1 KR101865026 B1 KR 101865026B1 KR 1020170179198 A KR1020170179198 A KR 1020170179198A KR 20170179198 A KR20170179198 A KR 20170179198A KR 101865026 B1 KR101865026 B1 KR 1018650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magnetic wave
- wave shielding
- head
- shielding member
- electromagnet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있어서, 사용자의 안구 주변을 가리도록 배치되는 전자파차단부(10)가 형성되어, 상기 디바이스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사용자의 안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디바이스의 사용 중 전자파에 의한 위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있어서, 사용자의 안구 주변을 가리도록 배치되는 전자파차단부(10)가 형성되어, 상기 디바이스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사용자의 안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디바이스의 사용 중 전자파에 의한 위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착탈 가능케 하여 전자파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이하, VR)이란,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컴퓨터로 만들어서,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마치 실제 주변 상황환경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처럼 만들어 주는 인간-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가상현실은 인공현실(artificial reality), 사이버 공간(cyberspace), 가상세계(virtual worlds), 가상환경(virtual environment), 합성환경(synthetic environment), 인공환경(artificial environment) 등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가상현실은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경험하기 어려운 환경을 직접 체험하지 않고서도 그 환경에 들어와 있는 것처럼 보여주고 조작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교육, 고급 프로그래밍, 원격조작, 원격위성 표면탐사, 탐사자료 분석, 과학적 시각화(scientific visualization),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활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가상현실을 체험하는 사용자에게 현장감과 몰입감을 높여 주기 위해서는 입체표시장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mounted display), 스마트 안경(smart glass) 등과 같이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를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 특히 머리에 착용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는 외부의 빛이 유입되지 않도록 사용자의 눈 주변에 밀착되게 착용하는 본체 내부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를 통해 구현되는 가상현실을 사용자가 체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는 본체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착용부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착용부와 디스플레이부 간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을 입체적으로 구현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 가상현실을 제공하는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본체에 일체로 영상표시장치가 구비되거나, 스마트폰과 같이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디지털 방식의 모바일 단말기를 장착함으로써 사용 중 다량의 전자파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스마트폰 전자파를 포함하는 RF 전자기장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 지정한 암 발생 등급분류 중 '사람에게 발암 가능 그룹'에 포함되어 있을 정도로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스마트폰(이하, '모바일 단말기'라 함) 사용 인구가 급증함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의 전자파에 대한 유해성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인체의 머리에 근접하여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전자파가 두통뿐만 아니라, 현기증, 수면장애, 기억력감소, 뇌종양, 백내장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안면과 근접하는 위치에서 자체 디스플레이 또는 부가 장착되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영상을 표시하여 가상현실을 체험하게 하는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사용 시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나 방법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방출되는 전자파가 착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사용 시 전자파에 의한 위해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파차단부재를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착탈 가능케 구성함으로써,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종류에 관계없이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방출되는 전자파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는,
본체(1);
상기 본체(1)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착용부(2);
상기 본체(1) 타측에 형성되어 착용부(2)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
상기 착용부(2)와 디스플레이부(3) 간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부(3)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입체적으로 구현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 가상현실을 제공하는 렌즈(4);를 포함하는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적용되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자파차단부;를 구비한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차단부는,
상기 본체(1)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착탈홈(22) 또는 상기 본체(1)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2착탈홈(32)에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20)로 형성되고,
상기 전자파차단부재(20)는,
소정 두께의 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렌즈(4)가 노출되는 통공부(201)가 형성되어 상기 디바이스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사용자의 안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파차단부재(20)는,
전자파 차단 물질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파차폐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파차폐층은,
소정 두께의 전자파차단재로 형성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는 전자파차단층(101)과;
소정 두께의 전자파흡수재로 형성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는 전자파흡수층(10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파차단재는,
금속 박막, 금속판, 금속망, 전도성 섬유, 전도성 복합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파흡수재는,
전자파흡수성을 가진 금속분말과, 플라스틱 모재가 혼합되어 형성되되,
상기 금속분말은 페라이트, 카본, 니켈합금, 아몰퍼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혼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파차단층(101)과, 전자파흡수층(102)이 밀착되는 경계면 가장자리에는 전도성 금속으로 된 전자파차단띠(10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공부(201)는,
상기 렌즈(4)가 설치되는 투시부(41) 내측으로 삽입되는 환상내벽(203)이 일측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파차단부재(20)는,
상기 본체(1)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2착탈홈(32) 내측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착탈홈(32)에 장착되는 모바일 단말기(5)와 상기 렌즈(4) 사이에 착탈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파차단부재(20)는,
상기 제2착탈홈(32)에 장착되는 모바일 단말기(5)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외측 둘레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가림벽(204)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파차단부재(20)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전자파차단부재(20, 20a, 20b,,,n)로 구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3)에서 방출되는 전자파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파차단부재(20, 20a, 20b,,,n)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에는,
본체(1);
상기 본체(1)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착용부(2);
상기 본체(1) 타측에 형성되어 착용부(2)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
상기 착용부(2)와 디스플레이부(3) 간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부(3)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입체적으로 구현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 가상현실을 제공하는 렌즈(4);를 포함하는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적용되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자파차단부;를 구비한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차단부는,
상기 본체(1)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착탈홈(22) 또는 상기 본체(1)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2착탈홈(32)에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20)로 형성되고,
상기 전자파차단부재(20)는,
소정 두께의 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렌즈(4)가 노출되는 통공부(201)가 형성되어 상기 디바이스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사용자의 안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파차단부재(20)는,
전자파 차단 물질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파차폐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파차폐층은,
소정 두께의 전자파차단재로 형성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는 전자파차단층(101)과;
소정 두께의 전자파흡수재로 형성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는 전자파흡수층(10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파차단재는,
금속 박막, 금속판, 금속망, 전도성 섬유, 전도성 복합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파흡수재는,
전자파흡수성을 가진 금속분말과, 플라스틱 모재가 혼합되어 형성되되,
상기 금속분말은 페라이트, 카본, 니켈합금, 아몰퍼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혼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파차단층(101)과, 전자파흡수층(102)이 밀착되는 경계면 가장자리에는 전도성 금속으로 된 전자파차단띠(10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공부(201)는,
상기 렌즈(4)가 설치되는 투시부(41) 내측으로 삽입되는 환상내벽(203)이 일측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파차단부재(20)는,
상기 본체(1)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2착탈홈(32) 내측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착탈홈(32)에 장착되는 모바일 단말기(5)와 상기 렌즈(4) 사이에 착탈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파차단부재(20)는,
상기 제2착탈홈(32)에 장착되는 모바일 단말기(5)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외측 둘레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가림벽(204)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파차단부재(20)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전자파차단부재(20, 20a, 20b,,,n)로 구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3)에서 방출되는 전자파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파차단부재(20, 20a, 20b,,,n)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에는,
상기 제2착탈홈(32)에 장착되는 모바일 단말기(5)의 후측에서 모바일 단말기(5)의 후면과,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되어 상기 제2착탈홈(32)에 착탈 가능케 결합되는 제2전자파차단부재(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는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사용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차폐함으로써, 전자파에 의한 인체의 위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착탈 가능케 구성함으로써,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종류에 관계없이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방출되는 전자파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가 디지털 디바이스의 본체에 적용된 평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가 디지털 디바이스의 착용부에 적용된 평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가 디지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적용된 평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전자파차폐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전자파차폐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의 제1 실시 예가 착용부에 적용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의 제1 실시 예가 디스플레이부에 적용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의 제2 실시 예가 착용부에 적용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의 제3 실시 예가 착용부에 적용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의 제3 실시 예가 디스플레이부에 적용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17과 도 18은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의 제4 실시 예가 디스플레이부에 적용된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가 디지털 디바이스의 본체에 적용된 평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가 디지털 디바이스의 착용부에 적용된 평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가 디지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적용된 평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전자파차폐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전자파차폐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의 제1 실시 예가 착용부에 적용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의 제1 실시 예가 디스플레이부에 적용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의 제2 실시 예가 착용부에 적용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의 제3 실시 예가 착용부에 적용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의 제3 실시 예가 디스플레이부에 적용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17과 도 18은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의 제4 실시 예가 디스플레이부에 적용된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다음의 설명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부분'과 '제2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는 착용자에게 우수한 현장감과 몰입감 높은 영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체(1)와, 착용부(2)와, 디스플레이부(3)와, 렌즈(4)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있어서, 사용자의 안구 주변을 가리도록 배치되는 전자파차단부(1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사용자의 안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1)는 사용자의 머리부에 착용 가능하도록 모자 또는 고글 형태로 형성되며, 경량화를 위해 주로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된다.
또한, 안정적인 착용감 유지를 위해 상기 본체(1)에는 사용자의 머리에 걸거나, 감아서 상기 본체(1)를 고정 또는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랩(1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용부(2)는 본체(1)의 후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된다.
이때, 착용감 향상을 위해 사용자의 안면과 직접 밀착되는 외표면은 인체의 안면 굴곡을 따라 소정의 곡률을 가진 원호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평면상에서 볼 때, 양측 가장자리보다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착용부(2)의 외표면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될 때, 장시간 편안한 착용감 유지가 가능케 함과 동시에 외부의 빛이 착용부(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착용부(2) 외표면에는 쿠션패드(21)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는 상기 본체(1)의 전측에 형성되어 상기 착용부(2)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와 같은 통상의 영상표시장치(31)가 본체(1)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3)는, 별도의 모바일 단말기(5)를 디스플레이로 사용하기 위하여 제2착탈홈(32)과, 고정수단(3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착탈홈(32)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5)가 장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의 전측에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33)은, 상기 제2착탈홈(32)에 장착되는 모바일 단말기(5)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착탈홈(32)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탄설되는 클램프 형태로 형성하거나, 상기 제2착탈홈(32) 외측에 착탈 가능케 결합하여 제2착탈홈(32)에 장착되는 모바일 단말기(5)를 제2착탈홈(32)에 밀착되게 가압 고정하는 커버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렌즈(4)는 상기 착용부(2)와 디스플레이부(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3)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착용부(2)에 안면이 밀착된 사용자에게 입체적으로 인식되도록 초점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시각적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1) 내부에는 상기 착용부(2)와, 상기 디스플레이부(3)가 연통되는 투시부(41)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렌즈(4)는 상기 투시부(41)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투시부(41)가 단일의 중공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렌즈(4)는 중공 형태로 된 투시부(41)의 내경에 대응하는 단일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투시부(41)가 각각의 눈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렌즈(4)는 각 투시부(41)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상기 렌즈(4)를 통과하여 착용부(2)에 안면이 밀착된 사용자의 눈에 입체적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3)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렌즈(4)를 통과하면서 사용자에게 입체적으로 인식될 때, 입체감 향상을 위한 초점 거리 확보를 위해 상기 렌즈(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표시장치(31)와 소정 거리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렌즈(4)는 상기 착용부(2)에 안면이 밀착되는 사용자의 두 눈 전방에 위치하면서, 사용자의 두 눈과도 소정 거리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가 디지털 디바이스의 본체에 적용된 평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가 디지털 디바이스의 착용부에 적용된 평면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가 디지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적용된 평면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과 같이 상기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본체(1)에는 전자파차단부(1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와, 착용부(2)와, 디스플레이부(3)와 렌즈(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본체(1)에 전자파차단부(10)를 형성하는 경우에, 본체(1)를 구성하는 벽체 전체를 전자파차단부(10)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체(1)에 전자파차단부(1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작동 중 방출되는 전자파가 사용자의 안면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3)는 상기 본체(1)의 전측에 위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3)에서 영상이 표시될 때,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강한 전자파가 방출된다.
그런데 상기 디스플레이부(3)는 상기 본체(1)를 구성하는 벽체에 둘러싸인 형태가 됨으로써, 본체(1)에 형성된 전자파차단부(10)에 의해 가려지게 되므로 디지털 디바이스의 작동 중 방출되는 전자파가 상기 전자파차단부(10)에 의해 차단된다.
따라서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도중에 상기 디바이스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사용자의 안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와 같이 상기 착용부(2)에만 한정적으로 전자파차단부(1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 후측에 형성되는 착용부(2)에 전자파차단부(10)가 형성되면, 전자파차단부(10)가 상기 착용부(2)에 밀착되는 사용자의 안면을 감싸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를 가리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디바이스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뿐만 아니라, 특히 디스플레이부(3)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에서 방출되는 강한 전자파가 착용부(2)에 형성된 전자파차단부(10)에 의해 차단되면서 사용자의 안면으로 전자파가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 5와 같은 구조로 상기 디스플레이부(3)에만 한정적으로 전자파차단부(1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에 전자파차단부(10)가 형성되면, 전자파차단부(10)가 상기 디스플레이부(3)에 구성되는 영상표시장치(31) 또는 모바일 단말기(5)와 같이 동작 과정에서 강한 전자파를 발생하는 부분을 가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바이스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뿐만 아니라, 특히 디스플레이부(3)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에서 방출되는 강한 전자파가 디스플레이부(3)에 형성된 전자파차단부(10)에 의해 차단되면서 사용자의 안면으로 전자파가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착용부(2) 또는 디스플레이부(3)에 전자파차단부(10)를 형성하는 경우에, 제작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위해서는 착용부(2) 또는 디스플레이부(3)를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조할 때, 전자파차단부(10)가 구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착용부(2) 또는 디스플레이부(3)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전자파차단부(10)를 구성하는 경우에, 어느 부분에 전자파차단부(10)를 구성하는가에 따라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전체 제조원가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전자파차단부(10)의 위치는 제조원가 측면에서 생산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전자파차폐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전자파차폐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전자파차단부(10)는, 전자파 차단 물질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파차폐층이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3)에 구비된 영상표시장치(31) 또는 별도의 모바일 단말기(5)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를 착용한 착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전자파차폐층은 전자파가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전자파차단층(101)과 전자파흡수층(102)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파차단층(101)과 전자파흡수층(102)의 두께는 상호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할 수 있으나, 전자파차단층(101)과 전자파흡수층(102)의 각 두께는 최소 0.5mm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전자파차단층(101)은 소정 두께의 전자파차단재로 형성되되, 하나 이상의 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자파차단재는 금속 박막, 금속판, 금속망, 전도성 섬유, 전도성 복합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상기 전자파흡수층(102)은 소정 두께의 전자파흡수재로 형성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자파흡수재는 전자파흡수성을 가진 금속분말과, 플라스틱 모재가 혼합되어 형성되되, 상기 금속분말은 페라이트, 카본, 니켈합금, 아몰퍼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혼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파흡수층(102)의 두께는, 차단하고자 하는 차단 대상물에서 방출되는 전자파의 주파수와, 상기 전자파흡수층(102)을 구성하는 전자파흡수재의 전자파 흡수율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전자파차폐층을 전자파차단층(101)과 전자파흡수층(102)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전자파차단층(101)과 전자파흡수층(102)의 상호 밀착시켜 일체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전자파차단층(101)과 전자파흡수층(102)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전자파차단층(101)과 전자파흡수층(102)이 서로 밀착하는 면에는 상호 대응하는 요철부(101a, 102a)를 형성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전자파차단층(101)과 전자파흡수층(102)을 상호 결합함에 있어서, 전자파차단층(101)과 전자파흡수층(102)이 상호 밀착되는 면에는 소정 두께의 전도성 접착재(103)를 도포하여 상호 접착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자파차단층(101)과 전자파흡수층(102)을 상호 밀착하게 결합함으로써, 전자파흡수층(102)과 전자파차단층(101)이 상호 밀착되는 경계면 가장자리에는 전자파차폐성을 가진 소정 두께의 전도성 금속으로 된 전자파차단띠(10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파차단띠(104)는 상기 전자파차단층(101)과 전자파흡수층(102)으로 구성되는 전자파차폐층의 두께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자파차폐층의 가장자리를 통해 전자파가 유입 또는 방출되는 것이 억제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의 제1 실시 예가 착용부에 적용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의 제1 실시 예가 디스플레이부에 적용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전자파차단부(10)는, 상기 렌즈(4)가 노출되는 통공부(201)가 형성된 소정 두께의 전자파차단부재(20)로 구성되어 상기 착용부(2) 또는 디스플레이부(3)에 착탈 가능케 할 수 있다.
즉,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착용부(2) 또는 디스플레이부(3)는 일반적인 소재로 제조한 후, 전자파차단부재(20)를 착용부(2) 또는 디스플레이부(3)에 착탈 가능케 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전자파차단부재(20)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서, 상기 전자파차단부재(20)는 도 9와 같이 착용부(2)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자파차단부재(20)가 착용부(2)에 설치되는 경우에, 전자파차단부재(20)는 착용부(2)에 밀착된 사용자의 안면과, 상기 렌즈(4)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에서 영상이 표시될 때, 영상은 렌즈(4)가 노출되는 통공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짐으로써 사용자의 눈에 입체적으로 인식되고, 영상 표시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는 전자파차단부재(20)에 의해 차단되어 전자파로 인한 위해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와 같이 영상이 렌즈(4)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과정에서 전자파가 렌즈(4)를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으므로 상기 렌즈(4)는 전자파차단 기능을 가진 렌즈(4)를 사용하거나, 렌즈(4) 표면에 전자파차단필름을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전자파차단부재(20)는, 상기 본체(1)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2착탈홈(32)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착탈홈(32)에 장착되는 모바일 단말기(5)와 상기 렌즈(4) 사이에 착탈 가능케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5)와 렌즈(4) 사이에 전자파차단부재(20)가 설치되는 경우에, 전자파차단부재(20)의 후면은 상기 제2착탈홈(32)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전자파차단부재(20)의 전면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5)의 화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에서 영상이 표시될 때, 방출되는 전자파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전자파로 인한 위해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의 제2 실시 예가 착용부에 적용된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전자파차단부재(20)는 상기 착용부(2)의 외표면 굴곡을 따라 곡률지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파차단부재(20)를 착용부(2)에 착탈 가능케 결합할 때, 전자파차단부재(20)가 상기 착용부(2)에 밀착되는 사용자의 안면을 감싸는 형태가 됨으로써,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방출되는 전자파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의 제3 실시 예가 착용부에 적용된 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의 제3 실시 예가 디스플레이부에 적용된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렌즈(4)가 노출되는 통공부(201)가 형성된 소정 두께의 전자파차단부재(2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통공부(201)에는 상기 렌즈(4)가 설치되는 투시부(41) 내측으로 삽입되는 환상내벽(203)이 일측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4와 같이 상기 전자파차단부재(20)를 착용부(2)에 설치하는 경우에, 상기 환상내벽(203)은 전자파차단부재(20)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5와 같이 전자파차단부재(20)를 디스플레이부(3)에 설치하는 경우에, 상기 환상내벽(203)은 전자파차단부재(20)의 후면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통공부(201)에 환상내벽(203)이 형성되는 경우에, 환상내벽(203)은 렌즈(4)가 설치되는 투시부(41) 내측으로 삽입되어 투시부(41) 내면을 감싸는 형태가 됨으로써, 투시부(41)를 통해 사용자의 안면으로 전자파가 전달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17과 도 18은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의 제4 실시 예가 디스플레이부에 적용된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전자파차단부재(20)는, 상기 제2착탈홈(32)에 장착되는 모바일 단말기(5)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외측 둘레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가림벽(20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림벽(204)이 구비된 전자파차단부재(20)가 제2착탈홈(32)에 설치되면, 상기 전자파차단부재(20)의 후면은 상기 제2착탈홈(32)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전자파차단부재(20)의 전면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5)의 화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가림벽(204)이 모바일 단말기(5)의 네 측면을 모두 감싸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착탈홈(32)에 장착되는 모바일 단말기(5)에서 사방으로 전자파가 방출되더라도, 전자파차단부재(20)가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전면을 향하는 모바일 단말기(5)의 후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 전체를 감싸고 있기 때문에 모바일 단말기(5)에서 방출되는 전자파가 사용자의 안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8과 같이 상기 전자파차단부재(20)는 차단하고자 하는 차단 대상물에서 방출되는 전자파의 주파수에 대응하여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파차단부재(20)는 소정 두께의 판 형태로 형성되되,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전자파차단부재(20, 20a, 20b,,,n)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3)에 장착되는 모바일 단말기(5)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방출되는 전자파 주파수에 대응하기 위하여 필요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파차단부재(20, 20a, 20b,,,n)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파차단부재(20, 20a, 20b,,,n)를 다층으로 겹쳐지게 설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2착탈홈(32)의 가장 내측에 설치되는 전자파차단부재(20)에 가림벽(204)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나머지 전자파차단부재(20a, 20b,,,n)가 가림벽(204)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다층으로 겹쳐지는 전자파차단부재(20, 20a, 20b,,,n)의 수에 따라 보다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 차단이 가능케 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의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에는, 상기 제2착탈홈(32)에 장착되는 모바일 단말기(5)의 후측에서 모바일 단말기(5)의 후면과,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되어 상기 제2착탈홈(32)에 착탈 가능케 결합되는 제2전자파차단부재(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착탈홈(32)에 제1전자파차단부재(20)가 설치된 상태에서 모바일 단말기(5)를 제2착탈홈(32)에 장착한 후, 상기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5)의 후측에서 모바일 단말기(5)의 후면과,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제2전자파차단부재(30)가 상기 제2착탈홈(32)에 착탈 가능케 설치되면 모바일 단말기(5)의 모든 면이 제1, 2전자파차단부재(20, 30)에 의해 감싸지게 된다.
따라서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모바일 단말기(5)에서 방출되는 전자파는 제1, 2전자파차단부재(20, 30)에 의해 완전 차폐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5)에서 방출되는 전자파가 사용자의 안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보다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전자파차단부재(30)를 상기 제2착탈홈(32)에 착탈 가능케 결합하는 수단은, 암수 결합 방식이나,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한 결합 방식 등 주지된 다양한 결합 방식 중에서 어느 한 가지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A: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 본체
2: 착용부
22: 제1착탈홈
3: 디스플레이부
31: 영상표시장치
32: 제2착탈홈
4: 렌즈
41: 투시부
5: 모바일 단말기
10: 전자파차단부
101: 전자파차단층
102: 전자파흡수층
101a, 102a: 요철부
103: 전자파차단띠
20: 전자파차단부재
201: 통공부
203: 환상내벽
204: 가림벽
30: 제2전자파차단부재
1: 본체
2: 착용부
22: 제1착탈홈
3: 디스플레이부
31: 영상표시장치
32: 제2착탈홈
4: 렌즈
41: 투시부
5: 모바일 단말기
10: 전자파차단부
101: 전자파차단층
102: 전자파흡수층
101a, 102a: 요철부
103: 전자파차단띠
20: 전자파차단부재
201: 통공부
203: 환상내벽
204: 가림벽
30: 제2전자파차단부재
Claims (18)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본체(1);
상기 본체(1)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착용부(2);
상기 본체(1) 타측에 형성되어 착용부(2)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
상기 착용부(2)와 디스플레이부(3) 간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부(3)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입체적으로 구현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 가상현실을 제공하는 렌즈(4);를 포함하는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적용되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자파차단부;를 구비한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차단부는,
상기 본체(1)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착탈홈(22) 또는 상기 본체(1)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2착탈홈(32)에 착탈 가능한 전자파차단부재(20)로 형성되고,
상기 전자파차단부재(20)는,
소정 두께의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렌즈(4)가 노출되는 통공부(201)가 형성되어 상기 디바이스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사용자의 안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차단부재(20)는,
전자파 차단 물질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파차폐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차폐층은,
소정 두께의 전자파차단재로 형성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는 전자파차단층(101)과;
소정 두께의 전자파흡수재로 형성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는 전자파흡수층(10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차단재는,
금속 박막, 금속판, 금속망, 전도성 섬유, 전도성 복합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흡수재는,
전자파흡수성을 가진 금속분말과, 플라스틱 모재가 혼합되어 형성되되,
상기 금속분말은 페라이트, 카본, 니켈합금, 아몰퍼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혼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차단층(101)과, 전자파흡수층(102)이 밀착되는 경계면 가장자리에는 전도성 금속으로 된 전자파차단띠(10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 - 삭제
- 삭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부(201)는,
상기 렌즈(4)가 설치되는 투시부(41) 내측으로 삽입되는 환상내벽(203)이 일측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차단부재(20)는,
상기 본체(1)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2착탈홈(32) 내측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착탈홈(32)에 장착되는 모바일 단말기(5)와 상기 렌즈(4) 사이에 착탈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전자파차단부재(20)는,
상기 제2착탈홈(32)에 장착되는 모바일 단말기(5)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외측 둘레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가림벽(204)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차단부재(20)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전자파차단부재(20, 20a, 20b,,,n)로 구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3)에서 방출되는 전자파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파차단부재(20, 20a, 20b,,,n)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에는,
상기 제2착탈홈(32)에 장착되는 모바일 단말기(5)의 후측에서 모바일 단말기(5)의 후면과,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되어 상기 제2착탈홈(32)에 착탈 가능케 결합되는 제2전자파차단부재(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9198A KR101865026B1 (ko) | 2017-12-26 | 2017-12-26 |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 |
PCT/KR2017/015518 WO2019132055A1 (ko) | 2017-12-26 | 2017-12-27 |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9198A KR101865026B1 (ko) | 2017-12-26 | 2017-12-26 |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65026B1 true KR101865026B1 (ko) | 2018-07-04 |
Family
ID=62912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9198A KR101865026B1 (ko) | 2017-12-26 | 2017-12-26 |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5026B1 (ko) |
WO (1) | WO2019132055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9945A (ko) * | 2018-12-26 | 2020-07-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마스크 장치 |
KR20200088057A (ko) * | 2019-01-14 | 2020-07-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마스크 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9007B1 (ko) * | 2013-01-08 | 2014-07-11 | 주식회사 고글텍 | 스마트폰용 헤드마운트형 스테레오스코피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9977B1 (ko) * | 2015-03-31 | 2017-05-26 | 김남식 | 전기전자기기용 전자파 차폐와 흡수성능을 동시에 갖는 전자파 차단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170004608A (ko) * | 2015-07-03 | 2017-01-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스마트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 |
KR101741096B1 (ko) * | 2015-09-07 | 2017-05-30 | 주식회사 라온텍 |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현실 시스템 |
JP2017130190A (ja) * | 2015-12-04 | 2017-07-27 |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 電子機器、表示システム |
-
2017
- 2017-12-26 KR KR1020170179198A patent/KR10186502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12-27 WO PCT/KR2017/015518 patent/WO2019132055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9007B1 (ko) * | 2013-01-08 | 2014-07-11 | 주식회사 고글텍 | 스마트폰용 헤드마운트형 스테레오스코피 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9945A (ko) * | 2018-12-26 | 2020-07-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마스크 장치 |
KR102663281B1 (ko) * | 2018-12-26 | 2024-05-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마스크 장치 |
KR20200088057A (ko) * | 2019-01-14 | 2020-07-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마스크 장치 |
KR102669697B1 (ko) * | 2019-01-14 | 2024-05-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마스크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132055A1 (ko) | 2019-07-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626470B (zh) | 頭戴式顯示設備 | |
US10133305B1 (en) | Facial-interface systems for head-mounted displays | |
US20140051480A1 (en) | Mobile Phone Microwave Radiation Protection | |
KR101865026B1 (ko) | 머리에 착용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용 전자파 차단 장치 | |
US8270929B1 (en) | RF shielding for mobile devices | |
CN105278034B (zh) | 一种内球形图像放大导像屏 | |
US11294190B2 (en) | Virtual reality cell phone | |
US20150128323A1 (en) | Medical face shield | |
US10948727B2 (en) | Virtual reality dual use mobile phone case | |
US20130122975A1 (en) | Radiation protector for mobile devices | |
US9857590B2 (en) | Method and system for press-on displays for fashionable eyewear and nosewear | |
CN209784657U (zh) | Ar显示设备 | |
CN205656368U (zh) | 头戴式虚拟实境影音装置 | |
US3325825A (en) | R.f. shielding goggles and helmet | |
CN107076988B (zh) | 眼罩及具有该眼罩的头戴式电子装置 | |
CN106990534B (zh) | 一种虚拟现实眼镜 | |
US20130117915A1 (en) | Radiation protector for mobile devices | |
JP7393382B2 (ja) | 磁気ストラップ及びケーブルを有する物品 | |
CN108957745A (zh) | 头戴式显示设备 | |
US20240258682A1 (en)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embedding metal mesh antennas into transparent conductive layers of optical devices | |
Olanrewaju et al. | A Safety Driven Review of Wearable and a Proposed Safety Framework | |
US12093077B1 (en) | Head mountable display | |
US20240045219A1 (en) | Electronic Devices with Fabric Bands | |
JP3209421U (ja) | 視野制限装置 | |
KR20200092240A (ko) | 골전도 블루투스 이어폰이 부설된 다용도 눈마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