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0112A - 마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마스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0112A
KR20200080112A KR1020190089154A KR20190089154A KR20200080112A KR 20200080112 A KR20200080112 A KR 20200080112A KR 1020190089154 A KR1020190089154 A KR 1020190089154A KR 20190089154 A KR20190089154 A KR 20190089154A KR 20200080112 A KR20200080112 A KR 20200080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leaner
hook
mask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준
조남은
정해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672,940 priority Critical patent/US11738220B2/en
Priority to EP19217383.9A priority patent/EP3673958B1/en
Priority to CN201911345014.6A priority patent/CN111375152B/zh
Publication of KR20200080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1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2Respiratory apparatus with fresh-air ho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3Means for influenc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breathing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장치는, 입과 코를 커버하는 마스크 몸체; 상기 마스크 몸체의 양측에 연결되고, 외부 공기를 여과하여 상기 마스크 몸체로 공급하는 복수의 에어클리너; 및 상기 복수의 에어클리너에 일부가 결합되고, 나머지 일부가 머리에 고정되는 복수의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몸체는, 외부로 노출되는 일측을 정의하는 제1커버; 상기 입과 코가 위치하는 호흡 공간을 정의하고, 하나 이상의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의 하방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유출구가 구비되는 제2커버; 및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에어클리너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유입구로 전달하는 상부 공간과 상기 유출구로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하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스크 장치{MASK APPARATUS}
본 발명은 마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Mask)는 병균, 먼지 등의 흡입 및 비산을 막기 위해 사용자의 코와 입을 가리는 장치이다.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와 입을 가리기 위해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된다.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병균, 먼지 등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공기가 사용자의 입과 코로 유입되도록 한다. 공기와 공기에 포함된 병균, 먼지 등은 필터로 형성되는 마스크의 몸체를 통과하고, 병균, 먼지 등은 마스크의 몸체에 의해 필터링된다.
그러나, 공기가 마스크의 몸체를 통과 후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유입되거나, 마스크의 몸체를 통과 후 외부로 유출되기에 사용자의 호흡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된다. 최근에는 상기에서 언급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모터, 팬, 필터가 구비되는 마스크가 개발되고 있다.
선행문헌 1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2942호에는 "방진 마스크"가 개시된다. 선행문헌 1에 따른 마스크에는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와 상기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기 위한 팬과 모터가 더 구비된다.
선행문헌 2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6-087376호에는 "스포츠 마스크"가 개시된다. 선행문헌 2에 따른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와 입의 전방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팬이 마스크의 내측에 구비되고, 마스크가 접히도록 마스크의 중앙에 경첩이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은, 여과된 공기를 다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마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호흡 후 배출된 공기를 신속하게 외부 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는 마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여과된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지 보수 작업이 편해지는 마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호흡 공간이 외부 공간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마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여과된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구성들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마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입과 코를 커버하여 호흡 공간을 형성하는 마스크 몸체와, 상기 마스크 몸체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호흡 공간으로 여과된 공기를 공급하는 복수의 에어클리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장치는, 복수의 에어클리너를 마스크 몸체에 연결하기 위해 마스크 몸체의 양측에 복수의 고정부를 배치하여, 복수의 에어클리너가 마스크 몸체에 용이하게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장치는, 마스크 몸체의 내부 청소가 가능하고, 복수의 고정부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마스크 몸체를 형성하는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장치는, 사용자에게 공기를 공급하는 상부 공간과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하부 공간을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코 전방에 여과된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의 유입구를 배치하여,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여과된 공기를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장치는, 상부 공간에 유입가이드를 형성하여, 여과된 공기가 복수의 유입구를 향해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유동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입 전방에 배출된 공기가 유출되는 복수의 유출구를 배치하여, 사용자의 코와 입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신속하게 외부 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장치는, 복수의 유출구와 하부 공간에서 외부 공간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의 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에 체크 밸브를 제공하여, 외부 공기가 사용자의 호흡기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장치는, 팬 모듈이 구비된 복수의 에어클리너를 마스크 몸체의 양측에 배치하여, 팬 모듈이 작동하여 발생되는 진동이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얼굴과 마스크 몸체의 사이에 패킹을 배치하여, 사용자의 얼굴에 마스크 몸체가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장치는, 마스크 몸체의 양측 단부에 복수의 에어클리너를 연결하여, 사용자의 얼굴에 가해지는 마스크 몸체의 무게를 균일하게 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장치는, 복수의 에어클리너를 사용자의 귀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걸림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얼굴에 마스크 몸체가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크 몸체의 양측에 복수의 에어클리너가 배치되므로, 복수의 에어클리너에서 여과된 공기가 사용자에게 다량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과된 공기가 통과하는 상부 공간과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하부 공간을 구분하여, 여과된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의 혼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코 전방에 여과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배치하여, 유입구와 사용자의 코 사이 거리를 최소화하고, 여과된 공기가 신속하게 사용자의 코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입 전방에 배출되는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배치하여, 유출구와 사용자의 입 사이 거리를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입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신속하게 외부 공간으로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코에서 배출되는 공기 유동 방향의 연장선 상에 유출구가 배치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코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신속하게 외부 공간으로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 공간에서 외부 공간으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와, 하부 공간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유출구 중 어느 하나에 체크 밸브를 배치하여, 외부 공기가 사용자에게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크 몸체의 양측에 복수의 에어클리너가 배치되므로, 마스크 몸체의 양측으로 무게가 분산되어 사용자의 얼굴에 가해지는 마스크 몸체의 무게가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크 몸체를 분리하여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을 손쉽게 청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크 몸체를 분리하여 복수의 에어클리너를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부를 손쉽게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크 몸체의 양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에어클리너를 마스크 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접어서 마스크 장치를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에어클리너가 마스크 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접히도록 하여 마스크 몸체의 후면 커버가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크 몸체와 사용자의 얼굴 사이에 패킹을 배치하여, 사용자의 얼굴과 마스크 몸체가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크 몸체의 양측에 연결된 복수의 에어클리너를 사용자의 귀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걸림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얼굴에 손쉽게 착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좌측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우측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배측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몸체의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패킹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1에어클리너의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2에어클리너의 분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1고정부에 고정된 제1에어클리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2고정부에 고정된 제2에어클리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가 폴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1걸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2걸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걸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좌측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우측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배측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1)는 마스크 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면, 사용자의 입과 코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프레임(11)과 전면 커버(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과 상기 전면 커버(12)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12)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일부는 사용자의 코와 입을 향하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나머지 일부는 외부 공간을 향하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은 사용자의 코와 입의 전방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수용되는 호흡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12)는 상기 외부 공간을 향하는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12)와 상기 프레임(11)의 사이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12)와 상기 프레임(11)의 사이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호흡 공간으로 유입되며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은 후면 커버라 칭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면 커버(12)를 일측 커버, 제1커버, 전면, 일면 등으로 칭하고, 상기 프레임(11)을 타측 커버, 제2커버, 배면, 타면 등으로 칭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11)은 유입구(111)와 유출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11)는 후술할 제1에어클리너(20) 및 제2에어클리너(40)에서 필터링(또는 여과)된 공기를 사용자의 코와 입을 향하는 방향으로 공급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유출구(112)는 사용자의 코와 입에서 배출된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한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유입구(111)는 사용자의 코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유출구(112)는 사용자의 입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11)와 상기 유출구(112)의 배치 위치는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유입구(111)는 상기 유출구(112)보다 큰 개구로 형성되어 필터링된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11)와 상기 유출구(112)의 크기는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11)를 통과해서 유동되는 공기와 상기 유출구(112)를 통과해서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마스크 몸체(10)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서로 구분된 상태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11)가 사용자의 코 전방에 위치하면, 필터링된 공기가 신속하게 사용자의 코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유출구(112)가 사용자의 입 전방에 위치하면, 사용자의 입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사용자의 코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신속하게 상기 유출구(112)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제1고정부(13) 및 제2고정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2고정부(14)는 후술할 제1에어클리너(20) 및 제2에어클리너(4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고정부(13)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고정부(14)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2고정부(14)의 위치는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은, 상기 마스크 장치(1)를 착용한 사용자의 얼굴을 기준으로 얼굴의 좌측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우측은, 상기 마스크 장치(1)를 착용한 사용자의 얼굴을 기준으로 얼굴의 우측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2고정부(14)는 상기 전면 커버(12) 및 상기 프레임(1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2고정부(14)의 일부는 상기 전면 커버(1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2고정부(14)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프레임(1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12)와 상기 프레임(11)을 결합하여 마스크 몸체(10)를 형성하면,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는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2고정부(14)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3)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 단부에서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내측 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14)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우측 단부에서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내측 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11)과 상기 전면 커버(12)의 사이에는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2고정부(14)가 안착될 수 있는 고정부 안착홈(129, 도 5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2고정부(14)는 상기 고정부 안착홈(129)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패킹(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킹(15)은 상기 프레임(1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패킹(15)은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 시 상기 프레임(11)과 사용자의 얼굴 사이에 삽입 또는 개입될 수 있다. 상기 패킹(15)은 사용자의 얼굴에 접촉 시 사용자의 얼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되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패킹(15)은 상기 프레임(11)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킹(15)은 상기 프레임(11)에 일부가 장착되거나, 상기 프레임(11)의 일측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패킹(15)은 상기 프레임(11)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얼굴에 대응되도록 변형되어 상기 프레임(11)과 사용자의 얼굴 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는 제1에어클리너(20) 및 제2에어클리너(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1고정부(13) 및 제2고정부(14)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2고정부(14)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일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일측은 사용자의 코와 입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타측은 외부 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는 상기 제1고정부(13)에 대해 폴딩(folding)될 수 있고,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상기 제2고정부(14)에 대해 폴딩(folding)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2고정부(14)에 대해 폴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회전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대해 폴딩되면, 상기 마스크 장치(1)을 보관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양측 단부에서 상기 마스크 장치(1)의 프레임(11)을 향하는 방향으로 폴딩되면,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사용자의 코와 입이 위치하는 흡입 공간 일부를 차폐하여, 외부 공간의 이물질이 사용자의 코와 입이 위치하는 흡입 공간으로 투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외부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 할 수 있다.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마스크 몸체(10)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유입구(111)를 통과해서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내부에는 필터링된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 각각에서 필터링된 공기가 상기 유입구(111)로 공급되기에 필터링된 공기의 공급량이 증가되고, 사용자의 호흡이 원활해질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는 제1클리너 몸체(21) 및 제1클리너 커버(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와 상기 제1클리너 커버(22)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커버(22)를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내부에 보관된 구성들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는 내부에 다수의 구성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내부에는 제1팬모듈(24)과 제1필터모듈(2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팬모듈(24)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모듈(25)은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모듈(25)은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팬모듈(24)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모듈(25)은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팬모듈(24)의 하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내부에는 배터리(2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내부에는 상기 제1팬모듈(24) 및 상기 제1필터모듈(25)이 배치되는 공간과 상기 배터리(26)가 배치되는 공간이 구분되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가 통과하는 공간과 상기 배터리(26)가 배치되는 공간을 구분하면, 유동하는 공기에 포함될 수 있는 습기 및 이물이 상기 배터리(26)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26)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를 작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26)는 후술할 제2에어클리너(40)를 작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26)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와 전선(19, 도 11 참조)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하나의 배터리(26)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배터리(26)가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면, 나머지 하나의 내부에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를 작동하기 위한 회로기판(46)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배터리(26)와 상기 배터리(26)의 하중에 대응되는 상기 회로기판(46)이 서로 다른 에어클리너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하중이 서로 유사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는 제1이탈방지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부(28)는 상기 제1고정부(13)와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부(28)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부(28)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가 상기 제1고정부(13)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부(28)는 상기 마스크 장치(1)에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이탈방지부(28)는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부(28)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1고정부(1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부(28)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는 상기 제1이탈방지부(28)에 의해 상기 제1고정부(13)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부(28)는 상기 제1고정부(13) 또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부(28)가 상기 제1고정부(13) 또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에 후술할 제1걸림부(30)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부(30)가 장착된 제1에어클리너(20)는 상기 제1이탈방지부(28)에 의해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커버(22)에는 제1흡입구(221) 및 제1스위치(22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221)는 다수의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221)의 일부는 외부 공간의 공기가 제1공기유동공간(214)으로 흡입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221)의 나머지 일부는 외부 공간의 공기가 제1수용공간(215)으로 유입 또는 유출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221)의 일부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유입구(111)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1스위치(222)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를 작동하기 위한 조작스위치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위치(222)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를 작동하기 위한 조작스위치로 작동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제2클리너 몸체(41) 및 제2클리너 커버(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와 상기 제2클리너 커버(42)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커버(42)를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내부에 보관된 구성들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내부에 다수의 구성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내부에는 제2팬모듈(44)과 제2필터모듈(4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팬모듈(44)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필터모듈(45)은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모듈(45)은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팬모듈(44)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모듈(45)은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팬모듈(44)의 하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내부에는 회로기판(46)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내부에는 상기 제2팬모듈(44) 및 상기 제2필터모듈(45)이 배치되는 공간과 상기 회로기판(46)이 배치되는 공간이 구분되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가 통과하는 공간과 상기 회로기판(46)이 배치되는 공간을 구분하면, 유동하는 공기에 포함될 수 있는 습기 및 이물이 상기 회로기판(46)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46)은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 중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46)은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 중 하나 이상과 전선(19, 도 11 참조)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상기 회로기판(46)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로기판(46)은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회로기판(46)은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를 제어하기 위한 제1회로 기판과,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를 제어하기 위한 제2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는 제2이탈방지부(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이탈방지부(48)는 상기 제2고정부(14)와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이탈방지부(48)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이탈방지부(48)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가 상기 제2고정부(14)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이탈방지부(48)는 상기 마스크 장치(1)에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이탈방지부(48)는 상기 제2고정부(14) 및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이탈방지부(48)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2고정부(14)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이탈방지부(48)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상기 제2이탈방지부(48)에 의해 상기 제2고정부(14)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이탈방지부(48)는 상기 제2고정부(14) 또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2이탈방지부(48)가 상기 제2고정부(14) 또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에 후술할 제2걸림부(50)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부(50)가 장착된 제2에어클리너(40)는 상기 제2이탈방지부(48)에 의해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커버(42)에는 제2흡입구(421) 및 제2스위치(42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구(421)는 다수의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구(421)의 일부는 외부 공간의 공기가 제2공기유동공간(414)으로 흡입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구(421)의 나머지 일부는 외부 공간의 공기가 제2수용공간(415)으로 유입 또는 유출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구(421)의 일부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유입구(111)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2스위치(422)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를 작동하기 위한 조작스위치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위치(422)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를 작동하기 위한 조작스위치로 작동할 수도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는 제1걸림부(30) 및 제2걸림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부(30) 및 상기 제2걸림부(50)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부(30)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에 장착되고, 상기 제2걸림부(50)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는 상기 제1걸림부(30)의 내측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상기 제2걸림부(50)의 내측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부(30)는 내측에 상기 제1에어클리너(20)가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부(50)는 내측에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부(30)는 사용자의 좌측 귀에 걸림 고정되고, 상기 제2걸림부(50)는 사용자의 우측 귀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에 장착된 상기 제1걸림부(30) 및 상기 제2걸림부(50)에 의해서 사용자의 얼굴에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부(30)는 몸체를 형성하는 제1걸이 몸체(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끈 또는 링 형상으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일측은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에 고정되고,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타측은 상기 사용자의 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와 사용자의 귀 사이에서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길이를 인장 또는 수축하여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덕트 관통홀(311) 및 제1전선관 관통홀(3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 관통홀(311)은 후술할 제1클리너 몸체(21)의 제1덕트(211)가 관통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 관통홀(311)은 후술할 제1클리너 몸체(21)의 제1돌출부(21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관 관통홀(312)은 후술할 제1클리너 몸체(21)의 제1전선관(213)이 삽입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 관통홀(311) 및 상기 제1전선관 관통홀(312)에 상기 제1돌출부(210) 및 상기 제1전선관(213)이 삽입되면,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일측에 상기 제1에어클리너(20)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의 일부가 걸림 고정되는 제1걸림후크 결합홈(3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후크 결합홈(317)은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후크 결합홈(317)은 후술할 제1클리너 몸체(21)의 제1걸림후크(217)가 걸림 고정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후크(217)가 상기 제1걸림후크 결합홈(317)에 결합되면,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가 상기 제1걸이 몸체(3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후크(217)가 상기 제1걸림후크 결합홈(317)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가 상기 제1걸이 몸체(3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제1손잡이(3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손잡이(314)는 상기 제1걸이 몸체(31)를 사용자의 귀에 장착 시 사용자의 손이 잡는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손잡이(314)는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되는 제1걸이 몸체(31)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손잡이(314)는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일측은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가 고정되는 위치로 정의되고,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타측은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되는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제1접촉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부(32)는 상기 제1걸이 몸체(31)를 사용자의 귀에 장착 시 사용자의 귀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부(32)는 사용자의 귀에 접촉되어 상기 제1걸이 몸체(31)가 사용자의 귀에 가하는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부(32)는 사용자의 귀와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사이에 개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부(32)는 사용자의 귀가 접촉될 수 있는 제1걸이 몸체(31)의 내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제1끈 관통홀(3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끈 관통홀(318)은 후술할 제1이탈방지부(28)의 제1이탈방지끈(281)이 관통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끈 관통홀(318)은 상기 제1이탈방지끈(281)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끈(281)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를 연결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이탈방지끈(281)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1고정부(13)와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의 제1클리너 몸체(21)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13)와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를 연결하는 제1이탈방지끈(281)의 일부가 상기 제1끈 관통홀(318)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부(50)는 몸체를 형성하는 제2걸이 몸체(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끈 또는 링 형상으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일측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에 고정되고,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타측은 상기 사용자의 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와 사용자의 귀 사이에서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길이를 인장 또는 수축하여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2덕트 관통홀(511) 및 제2전선관 관통홀(5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 관통홀(511)은 후술할 제2클리너 몸체(41)의 제2덕트(411)가 관통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 관통홀(511)은 후술할 제2클리너 몸체(41)의 제2돌출부(41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관 관통홀(512)은 후술할 제2클리너 몸체(41)의 제2전선관(413)이 삽입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 관통홀(511) 및 상기 제2전선관 관통홀(512)에 상기 제2돌출부(410) 및 상기 제2전선관(413)이 삽입되면,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일측에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일부가 걸림 고정되는 제2걸림후크 결합홈(5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 결합홈(517)은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 결합홈(517)은 후술할 제2클리너 몸체(41)의 제2걸림후크(417)가 걸림 고정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417)가 상기 제2걸림후크 결합홈(517)에 결합되면,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가 상기 제2걸이 몸체(5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417)가 상기 제2걸림후크 결합홈(517)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가 상기 제2걸이 몸체(5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제2손잡이(5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손잡이(514)는 상기 제2걸이 몸체(51)를 사용자의 귀에 장착 시 사용자의 손이 잡는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손잡이(514)는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되는 제2걸이 몸체(51)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손잡이(514)는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일측은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가 고정되는 위치로 정의되고,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타측은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되는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제2접촉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부(52)는 상기 제2걸이 몸체(51)를 사용자의 귀에 장착 시 사용자의 귀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부(52)는 사용자의 귀에 접촉되어 상기 제2걸이 몸체(51)가 사용자의 귀에 가하는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부(52)는 사용자의 귀와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내면의 사이에 개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부(52)는 사용자의 귀가 접촉될 수 있는 제2걸이 몸체(51)의 내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제2끈 관통홀(5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끈 관통홀(518)은 후술할 제2이탈방지부(48)의 제2이탈방지끈(481)이 관통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끈 관통홀(518)은 상기 제2이탈방지끈(481)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이탈방지끈(481)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를 연결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이탈방지끈(481)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2고정부(14)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제2클리너 몸체(41)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고정부(14)와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를 연결하는 제2이탈방지끈(481)의 일부가 상기 제2끈 관통홀(518)을 통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마스크 장치(1) 각각의 구성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몸체의 분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몸체(10)는 상기 프레임(11)과 상기 전면 커버(12)가 결합되어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과 상기 전면 커버(12)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전면 커버(12)가 상기 프레임(11)으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프레임(11)과 상기 전면 커버(12)의 사이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124a, 124b, 124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는 상기 프레임(11)의 유입구(111)를 통과하기 위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와, 상기 프레임(11)의 유출구(112)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과 상기 전면 커버(12)의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구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는 상기 프레임(11) 및 상기 전면 커버(12)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는 상기 전면 커버(12)가 상기 프레임(11)에 결합되면, 상기 전면 커버(12)와 상기 프레임(11)의 사이 공간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전면 커버(12)에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구획부는 제1구획판(121)과 제2구획판(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판(121) 및 상기 제2구획판(122)은 상기 전면 커버(12) 및 상기 프레임(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전면 커버(12) 및 상기 프레임(11) 중 나머지 하나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구획판(121) 및 상기 제2구획판(122)은 상기 프레임(11)을 마주하는 전면 커버(12)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프레임(11)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판(121) 및 상기 제2구획판(122)은 상기 프레임(11)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프레임(11)과 상기 전면 커버(12)가 결합 시 상기 프레임(11)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판(121)과 상기 제2구획판(122)은 상기 프레임(11)에 접촉될 수 있도록 돌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판(121)과 상기 제2구획판(122)는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판(121)과 상기 제2구획판(122)의 사이 거리는 후술할 유로(124a, 124b)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124a, 124b)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을 고려하여 상기 제1구획판(121)과 상기 제2구획판(122)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유로(124a, 124b)의 단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제1구획판(121) 및 상기 제2구획판(122)의 사이 거리 및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유로(124a, 124b)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구획판(122)은 상기 전면 커버(12)와 상기 프레임(11)의 사이 공간을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판(121)은 상기 제2구획판(122)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판(121) 및 상기 제2구획판(122)의 사이에는 제1유로(124a) 및 제2유로(124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판(121)은 상부 공간을 상기 제1유로(124a) 및 상기 제2유로(124b)가 형성되는 공간과 유로가 형성되지 않는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124a) 및 상기 제2유로(124b)는 상기 유입구(111)로 유동하는 공기가 통과하는 흡입 유로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공간에는 제3유로(124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유로(124c)는 상기 유출구(112)로 배출되며 후술할 토출구(128)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가 통과하는 토출 유로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구획판(122)은 상기 제1유로(124a) 및 상기 제2유로(124b)와 상기 제3유로(124c)를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판(121)은 상부 공간을 상기 제1유로(124a)와 상기 제2유로(124b)와 유로가 형성되지 않는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유로가 형성되는 않는 공간에는 다수의 부품이 배치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유로가 형성되지 않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제1구획판(121)은 상기 프레임(11)과 상기 전면 커버(12)를 지지하는 지지 리브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획판(121) 및 상기 제2구획판(122)은 상기 전면 커버(12)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리브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구획판(122)은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필수 구성이며, 상기 제2구획판(122)을 상하 구획판이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판(121)은 상기 상부 공간의 일측을 정의하지만, 상기 전면 커버(12)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기에 보강 구획판이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판(121)은 미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구획판(121)이 미 제공되면, 상기 상부 공간이 확장될 수 있고, 상기 상부 공간을 통과할 수 있는 공기의 유량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판(121) 및 상기 제2구획판(122) 사이에는 제1유입가이드(123a) 및 제2유입가이드(123b)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가이드(123a) 및 상기 제2유입가이드(123b)는 상기 제1구획판(121) 및 상기 제2구획판(1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가이드(123a) 및 상기 제2유입가이드(123b)는 상기 전면 커버(12)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프레임(11)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가이드(123a) 및 상기 제2유입가이드(123b)의 돌출 길이는 상기 제1구획판(121) 및 상기 제2구획판(122)의 돌출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가이드(123a) 및 상기 제2유입가이드(123b)는 상기 제1구획판(121)과 상기 제2구획판(122)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가이드(123a) 및 상기 제2유입가이드(123b)는 상기 제1구획판(121) 및 상기 제2구획판(122) 사이 공간을 상기 제1유로(124a)와 상기 제2유로(124b)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가이드(123a) 및 상기 제2유입가이드(123b)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유입가이드(123a)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중간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가이드(123a)는 사용자의 코 좌측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유입가이드(123b)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중간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유입가이드(123b)는 사용자의 코 우측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유입가이드(123a) 및 상기 제2유입가이드(123b)의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좌측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우측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배측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1)는 마스크 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면, 사용자의 입과 코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프레임(11)과 전면 커버(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과 상기 전면 커버(12)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은 사용자의 코와 입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11)과 사용자의 코와 입 사이에 여과된 공기를 수용하는 호흡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12)는 상기 외부 공간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12)와 상기 프레임(11)의 사이에는 상기 호흡 공간으로 공급될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12)와 상기 프레임(11)의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호흡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프레임(11)은 상기 전면 커버(12)에 대응하여 후면 커버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커버(12)를 일측 커버 또는 제1커버라 칭하면, 상기 프레임(11)을 타측 커버 또는 제2커버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은 유입구(111)와 유출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11)는 제1에어클리너(20) 및 제2에어클리너(40)에서 필터링(또는 여과)된 공기를 사용자의 코와 입을 향하는 방향으로 공급하는 개구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유출구(112)는 사용자의 코와 입에서 배출된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한 개구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11)는 사용자의 코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유출구(112)는 사용자의 입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11)는 상기 유출구(112)보다 큰 개구로 형성되어 필터링된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11)가 사용자의 코 전방에 위치하면, 필터링된 공기가 신속하게 사용자의 코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유출구(112)가 사용자의 입 전방에 위치하면, 사용자의 입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사용자의 코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신속하게 상기 유출구(112)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에서 상기 유입구(111)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와 상기 유출구(112)로부터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구분된 상태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도 5를 설명하는 문단에서 더 설명한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제1고정부(13) 및 제2고정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2고정부(14)는 제1에어클리너(20) 및 제2에어클리너(4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고정부(13)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고정부(14)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일측은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좌측 단부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타측은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우측 단부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2고정부(14)는 상기 전면 커버(12) 및 상기 프레임(11)의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12)와 상기 프레임(11)을 결합하면,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는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2고정부(14)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3)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 단부에 형성되는 삽입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14)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우측 단부에 형성되는 삽입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과 상기 전면 커버(12)의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 공간은 고정부 안착홈(129, 도 5 참조)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2고정부(14)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도 9 및 도 10을 설명하는 문단에서 더 설명한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패킹(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킹(15)은 상기 프레임(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킹(15)은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 시 상기 프레임(11)과 사용자의 얼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패킹(15)은 사용자의 얼굴에 접촉 시 사용자의 얼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되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패킹(15)은 상기 프레임(11)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킹(15)은 상기 프레임(11)에 장착되거나, 상기 프레임(11)의 일측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패킹(15)은 상기 프레임(11)과 사용자의 얼굴 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패킹(15)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도 6을 설명하는 문단에서 더 설명한다.
상기 마스크 장치(1)는 제1에어클리너(20) 및 제2에어클리너(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우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2고정부(14)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2고정부(14)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양측에서 상기 프레임(11)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는 상기 제1고정부(13)에 대해 폴딩(folding)될 수 있고,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상기 제2고정부(14)에 대해 폴딩(folding)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2고정부(14)에 대해 폴딩되는 것이라 설명하고 있으나, 회전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폴딩되면, 상기 마스크 장치(1)의 보관이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양측 단부에서 상기 프레임(11)을 향하는 방향으로 폴딩되면, 상기 프레임(11)의 흡입 공간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의 흡입 공간이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에 의해 차폐되면, 외부 공간의 이물질이 상기 흡입 공간을 정의하는 프레임(11)의 일면에 부착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외부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 할 수 있다.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내부와 상기 유입구(111)를 통과해서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 각각에서 필터링된 공기가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공급되기에 필터링된 공기의 유량이 증가되고, 사용자에게 다량의 여과된 공기가 공급되어 호흡이 원활해질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는 제1클리너 몸체(21)와 제1클리너 커버(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제2클리너 몸체(41)와 제2클리너 커버(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클리너 몸체(21,41)와 상기 제1 및 제2클리너 커버(22,42)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클리너 커버(22,42)를 상기 제1 및 제2클리너 몸체(21,41)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제1 및 제2클리너 몸체(21,41)의 내부에 보관된 구성들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클리너 몸체(21,41)는 내부에 다수의 구성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클리너 몸체(21,41)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1 및 제2클리너 커버(22,42)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클리너 몸체(21,41)의 내부에는 제1 및 제2팬모듈(24,44)과 제1 및 제2필터모듈(25,45)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팬모듈(24,44)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필터모듈(25,45)은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필터모듈(25,45)은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팬모듈(24,44)의 상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필터모듈(25,45)은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팬모듈(24,44)의 하류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내부에는 배터리(26)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내부에는 상기 제1팬모듈(24) 및 상기 제1필터모듈(25)이 배치되는 공간과 상기 배터리(26)가 배치되는 공간이 구분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팬모듈(24) 및 상기 제1필터모듈(25)이 배치되는 공간과 상기 배터리(26)가 배치되는 공간을 구분하면, 서로 다른 공간의 공기가 혼합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26)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제2에어클리너(40)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26)는 전선(19, 도 11 참조)에 의해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내부에는 회로기판(46)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내부에는 상기 제2팬모듈(44) 및 상기 제2필터모듈(45)이 배치되는 공간과 상기 회로기판(46)이 배치되는 공간이 구분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팬모듈(44) 및 상기 제2필터모듈(45)이 배치되는 공간과 상기 회로기판(46)이 배치되는 공간을 구분하면, 서로 다른 공간의 공기가 혼합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46)은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46)은 전선(19)에 의해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로기판(46)은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회로기판(46)은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를 제어하기 위한 제1회로기판과,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를 제어하기 위한 제2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26)가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면,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를 작동하기 위한 회로기판(46)이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배터리(26)와 상기 배터리(26)의 하중에 대응되는 회로기판(46)을 서로 다른 에어클리너의 내부에 배치하여, 상기 마스크 장치(10)의 무게 균형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클리너 커버(22,42)는 제1 및 제2흡입구(221,4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흡입구(221,421)는 다수의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흡입구(221,421)의 일부는 외부 공간과 상기 제1 및 제2팬모듈(24,44) 및 상기 제1 및 제2필터모듈(25,45)이 배치되는 공간을 연통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흡입구(221,421)의 나머지 일부는 외부 공간과 상기 배터리(26) 및 상기 회로기판(46)이 배치되는 공간을 연통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흡입구(221,421)의 일부를 통과한 공기는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공급되고, 상기 제1 및 제2흡입구(221,421)의 나머지 일부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배터리(26) 및 상기 회로기판(46)를 냉각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클리너 커버(22,42)는 제1 및 제2스위치(222,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222,422)는 상기 제1 및 제2에어클리너(20,40)를 작동하기 위한 조작스위치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스위치(222)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2스위치(422)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스위치(222)는 상기 제1 및 제2에어클리너(20,40)를 함께 작동시키고, 상기 제2스위치(422)는 상기 제1 및 제2에어클리너(20,40)를 작동 중단 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222,422)의 가압 시간, 가압 횟수 등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팬모듈(24,44)의 출력 및 작동 여부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도 7 및 도 8를 설명하는 문단에서 더 설명한다.
상기 마스크 장치(1)는 제1이탈방지부(28) 및 제2이탈방지부(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부(28)는 상기 제1고정부(13)와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이탈방지부(48)는 상기 제2고정부(14)와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부(28) 및 제2이탈방지부(48)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부(28)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가 상기 제1고정부(13)로부터 특정 거리 이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이탈방지부(48)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가 상기 제2고정부(14)로부터 특정 거리 이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이탈방지부(28)는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사이에 서로 이격되게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이탈방지부(48)는 상기 제2고정부(14) 및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사이에 서로 이격되게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이탈방지부(28,48)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13,14)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이탈방지부(28,48)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클리너 몸체(21,4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클리너 몸체(21,41)는 상기 제1 및 제2이탈방지부(28,48)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13,14)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부(28)는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2이탈방지부(48)는 상기 제2고정부(14) 및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이탈방지부(28,48)가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13,14)와 상기 제1 및 제2클리너 몸체(21,41)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1 및 제2에어클리너(20,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에어클리너(20,4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1 및 제2에어클리너(20,40)에 제1 및 제2걸림부(30,50)를 장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걸림부(30,50)가 장착된 제1 및 제2에어클리너(20,40)는 상기 제1 및 제2이탈방지부(28,48)에 의해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부(28) 및 상기 제2이탈방지부(48)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도 9 및 도 10을 설명하는 문단에서 더 설명한다.
상기 마스크 장치(1)는 제1걸림부(30) 및 제2걸림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부(30) 및 상기 제2걸림부(50)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부(30)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에 장착되고, 상기 제2걸림부(50)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는 상기 제1걸림부(30)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상기 제2걸림부(50)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부(30)는 내측에 상기 제1에어클리너(20)가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부(50)는 내측에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부(30)는 사용자의 좌측 귀에 걸림 고정되고, 상기 제2걸림부(50)는 사용자의 우측 귀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부(30) 및 상기 제2걸림부(50)에 의해서 사용자의 얼굴에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부(30)는 몸체를 형성하는 제1걸이 몸체(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부(50)는 몸체를 형성하는 제2걸이 몸체(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걸이 몸체(31,51)는 끈 또는 링 형상으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걸이 몸체(31,51)의 일측은 상기 제1 및 제2에어클리너(20,40)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걸이 몸체(31,51)의 타측은 사용자의 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걸이 몸체(31,51)의 일측은 상기 제1 및 제2클리너 몸체(21,41)가 고정되는 위치로 정의하고, 상기 제1 및 제2걸이 몸체(31,51)의 타측은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되는 위치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에어클리너(20,40)와 사용자의 귀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걸이 몸체(31,51)는 길이 방향으로 인장 또는 수축하여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에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의 일부가 걸림 고정되고, 상기 제2걸이 몸체(51)에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일부가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걸이 몸체(31,51)와 상기 제1 및 제2에어클리너(20,40)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제1손잡이(314), 제1접촉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제2손잡이(514), 제2접촉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손잡이(314,514)는 상기 제1 및 제2걸이 몸체(31,51)를 사용자의 귀에 장착 시 사용자가 잡는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손잡이(314,514)는 상기 제1 및 제2걸이 몸체(31,51)의 타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접촉부(32,52)는 상기 제1 및 제2걸이 몸체(31,51)를 사용자의 귀에 장착 시 사용자의 귀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접촉부(32,52)는 상기 제1 및 제2걸이 몸체(31,51)의 내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접촉부(32,52)에 의해 사용자의 귀에 가해지는 마스크 장치(1)의 하중이 분산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부(30) 및 상기 제2걸림부(50)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도 12 및 도 13을 설명하는 문단에서 더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몸체의 분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몸체(10)는 상기 프레임(11)과 상기 전면 커버(12)가 결합되어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과 상기 전면 커버(12)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과 상기 전면 커버(12)의 사이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124a,124b,124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는 사용자에게 여과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유로와,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과 상기 전면 커버(12)의 사이에는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구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는 상기 프레임(11) 및 상기 전면 커버(12)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12)가 상기 프레임(11)에 결합되면, 상기 구획부는 상기 전면 커버(12)와 상기 프레임(11)의 사이에 유로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는 제1구획판(121)과 제2구획판(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판(121) 및 상기 제2구획판(122)은 상기 전면 커버(12) 및 상기 프레임(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전면 커버(12) 및 상기 프레임(11) 중 나머지 하나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구획판(121) 및 상기 제2구획판(122)은 상기 프레임(11)을 마주하는 전면 커버(12)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프레임(11)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판(121) 및 상기 제2구획판(122)은 상기 프레임(11)과 상기 전면 커버(12)가 결합 시 상기 프레임(11)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판(121)과 상기 제2구획판(122)는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판(121)과 상기 제2구획판(122)의 사이 거리는 유로(124a,124b)의 유동 단면적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유로(124a,124b)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을 고려하여 상기 제1구획판(121)과 상기 제2구획판(122)의 사이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유로(124a,124b)의 유동 단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면, 상기 유로(124a,124b)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구획판(122)은 상기 전면 커버(12)와 상기 프레임(11)의 사이 공간을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공간에는 사용자에게 공기가 공급되기 위한 유로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공간에는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유로가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구획판(121)은 상기 제2구획판(122)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판(121) 및 상기 제2구획판(122)의 사이에는 여과된 공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제1유로(124a) 및 제2유로(124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124a) 및 상기 제2유로(124b)는 상기 유입구(111)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판(121)은 상부 공간을 상기 제1유로(124a) 및 상기 제2유로(124b)가 형성되는 공간과 유로가 형성되지 않는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유로가 형성되는 않는 공간에는 다수의 부품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수의 부품은 향기를 공급하기 위한 향기 모듈, 공기의 살균을 위한 이오나이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향기모듈은 상기 전면 커버(12) 및 상기 프레임(11)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향기모듈은 상기 제1유로(124a) 및 상기 제2유로(124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향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향기모듈의 향기가 상기 제1유로(124a) 및 상기 제2유로(124b)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급되도록, 상기 제1구획판(121)에는 다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부는 제1유입가이드(123a) 및 상기 제2유입가이드(123b)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향기모듈은 상기 전면 커버(12) 및 상기 프레임(11)을 분리 시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공간에는 제3유로(124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유로(124c)는 상기 유출구(112)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구획판(122)은 상기 제1유로(124a) 및 상기 제2유로(124b)와 상기 제3유로(124c)를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판(121) 및 제2구획판(122)은 상기 프레임(11)과 상기 전면 커버(12)를 지지하는 지지 리브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판(121) 및 상기 제2구획판(122)은 상기 전면 커버(12) 및 상기 프레임(11) 중 적어도 하나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리브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구획판(122)은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필수 구성이며, 상기 제2구획판(122)을 "상하 구획판"이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판(121)은 상기 제1유로(124a) 및 상기 제2유로(124b)의 일부를 정의하고,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기에 "보강 구획판"이라 칭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구획판(121)은 상기 상부 공간을 구획하는 구성이기에 미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구획판(121)이 미 제공되면, 상기 상부 공간을 통과할 수 있는 공기의 유량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판(121) 및 상기 제2구획판(122) 사이에는 제1유입가이드(123a) 및 제2유입가이드(123b)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가이드(123a) 및 상기 제2유입가이드(123b)는 상기 제1구획판(121) 및 상기 제2구획판(122)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가이드(123a) 및 상기 제2유입가이드(123b)는 상기 제1구획판(121) 및 상기 제2구획판(122)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제1구획판(121) 및 상기 제2구획판(122) 중 나머지 하나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가이드(123a) 및 상기 제2유입가이드(123b)의 연장 길이는 상기 제1구획판(121) 및 상기 제2구획판(122)의 이격 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가이드(123a) 및 상기 제2유입가이드(123b)는 상기 전면 커버(12) 및 상기 프레임(11)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면 커버(12) 및 상기 프레임(11)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가이드(123a) 및 상기 제2유입가이드(123b)는 상기 제1구획판(121) 및 상기 제2구획판(122) 사이 공간을 상기 제1유로(124a)와 상기 제2유로(124b)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가이드(123a) 및 상기 제2유입가이드(123b)는 양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유입가이드(123a)는 사용자의 코 좌측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유입가이드(123b)는 사용자의 코 우측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가이드(123a) 및 상기 제2유입가이드(123b)의 사이에는 사용자의 코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가이드(123a)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다수의 유입구(111) 중 제1유입구(111a)로 유동되도록 유동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2유입가이드(123b)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다수의 유입구(111) 중 제2유입구(111b)로 유동되도록 유동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가이드(123a) 및 상기 제2유입가이드(123b)는 상기 다수의 유입구(111)를 향하는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유입가이드(123a) 및 상기 제2유입가이드(123b)는 상기 전면 커버(12)로부터 상기 프레임(11)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12) 및 상기 프레임(11)을 결합 시, 상기 제1유입가이드(123a) 및 상기 제2유입가이드(123b)는 상기 제1유로(124a) 및 상기 제2유로(124b)를 구획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유입구(111a)는 사용자의 코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유입구(111b)는 사용자의 코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수의 유출구(112)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3유로(124c)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유출구(112)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1유출구(112a) 및 우측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2유출구(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유출구(112a)는 사용자의 코로부터 사용자의 입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유출구(112b)는 사용자의 코로부터 사용자의 입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상기 다수의 유출구(112)를 통과한 후 상기 제3유로(124c)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상기 제3유로(124c)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12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28)는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28)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제1토출구(128a) 및 우측에 배치되는 제2토출구(128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유출구(112a)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대적으로 상기 제1토출구(128a)로 더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유출구(112b)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대적으로 상기 제2토출구(128b)로 더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28)는 상기 전면 커버(12) 및 상기 프레임(11)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토출구(128)는 상기 전면 커버(12)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토출구(128)는 상기 전면 커버(12)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28)가 상기 전면 커버(12)의 하부에 형성되면, 상기 마스크 장치(1)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마스크 장치(1)로 흡입되는 공기와 혼합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128)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 소음이 사용자의 귀로 전달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28)의 배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28) 및 상기 유출구(112) 중 어느 하나에는 체크밸브(118, Check valve)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118)는 외부 공기가 상기 마스크 장치(1)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118)는 미 필터링된 외부 공기가 상기 토출구(128) 및 상기 유출구(112)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해서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118)는 사용자가 필터링된 공기를 흡입 시 폐쇄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토출구(128) 및 상기 유출구(112) 중 어느 하나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118)는 사용자가 흡입한 공기를 배출 시 개방되어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118)는 상기 토출구(128) 및 상기 유출구(112)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128) 및 유출구(112) 중 적어도 하나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12)는 상부 체결구(126)와 하부 체결구(12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체결구(126)와 상기 하부 체결구(127)는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체결구(126)는 상기 전면 커버(12)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상부 체결구(126)는 상기 전면 커버(12)의 양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체결구(127)는 상기 전면 커버(12)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하부 체결구(127)는 상기 전면 커버(12)의 양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12)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상부 체결구(126) 및 상기 하부 체결구(127)가 위치하는 지지 리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리브는 상기 전면 커버(12)의 상부 및 하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체결구(126)는 상부 결합구(113)를 마주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체결구(127)는 하부 결합구(114)를 마주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은 상부 결합구(113)와 하부 결합구(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결합구(114) 및 상기 하부 결합구(114)는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결합구(113)는 상기 프레임(1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상부 결합구(113)는 양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결합구(114)는 상기 프레임(1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하부 결합구(114)는 양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결합구(113)는 상기 상부 체결구(126)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결합구(114)는 상기 상부 체결구(126)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체결부(126) 및 상기 하부 체결구(127)는 상기 프레임(11)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결합구(113) 및 상기 하부 고정부(114)는 상기 전면 커버(12)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상부 결합구(113), 상기 하부 결합구(114), 상기 상부 체결구(126), 및 상기 하부 체결구(127)는 자석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부 체결구(126) 및 상기 하부 체결구(127)는 체결부재로 제공되고, 상기 상부 결합구(113) 및 상기 하부 결합구(114)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홈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체결구(126)가 상기 상부 결합구(113)에 결합되면, 상기 프레임(11)의 상부와 상기 전면 커버(12)의 상부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체결구(127)가 상기 하부 결합구(114)에 결합되면, 상기 프레임(11)의 하부와 상기 전면 커버(12)의 하부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은 제1고정부 안착홈(129a) 및 제2고정부 안착홈(129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 안착홈(129a)에는 상기 제1고정부(13)가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부 안착홈(129b)에는 상기 제2고정부(14)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 안착홈(129a) 및 상기 제2고정부 안착홈(129b)은 상기 전면 커버(12)와 상기 프레임(1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 안착홈(129a) 및 상기 제2고정부 안착홈(129b)의 일부는 상기 전면 커버(12)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제1고정부 안착홈(129a) 및 상기 제2고정부 안착홈(129b)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프레임(11)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 안착홈(129a) 및 상기 제2고정부 안착홈(129b)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12)와 상기 프레임(11)이 결합되면,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2고정부(14)는 상기 전면 커버(12)와 상기 프레임(11)의 양측 단부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 안착홈(129a)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 안착홈(129b)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우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 안착홈(129a) 및 상기 제2고정부 안착홈(129b)에는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2고정부(14)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2고정부(14)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에는 다수의 고정 돌기(119)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고정 돌기(119)는 상기 전면 커버(12) 및 상기 프레임(11)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다수의 고정 돌기(119)는 상기 프레임(11)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고정 돌기(119)는 상기 프레임(11)의 양측 단부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고정 돌기(119)는 서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2고정부(14)에는 상기 고정 돌기(119)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 돌기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돌기(119)가 상기 고정 돌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2고정부(14)가 상기 제1고정부 안착홈(129a) 및 상기 제2고정부 안착홈(129b)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패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몸체(10)는 패킹(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킹(15)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킹(15)은 상기 프레임(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킹(15)은 사용자의 얼굴과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패킹(15)은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 시 사용자의 얼굴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할 수 있다. 상기 패킹(15)은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 시 사용자의 얼굴과 상기 마스크 몸체(10)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밀폐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패킹(15)은 제1패킹(15a) 및 제2패킹(15b)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6의 (a)는 제1패킹(15a)에 대한 실시 예이고, 도 6의 (b)는 제2패킹(15b)에 대한 실시 예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1패킹(15a)은 몸체를 형성하는 패킹 몸체(1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킹 몸체(151)는 상기 프레임(11)의 모서리 또는 외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패킹 몸체(151)는 상기 프레임(11)의 모서리 또는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패킹(15a)은 변형이 용이한 재질로 제공되며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 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패킹(15a)은 실리콘, 고무 재질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패킹 몸체(151)는 내측에 중공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킹 몸체(151)는 내측에 중공을 가지는 링 또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은 상기 패킹 몸체(151)의 내측에 형성되는 중공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패킹 몸체(151)는 일정한 제1두께(t1)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두께(t1)는 상기 프레임(11)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두께(t1)를 가지는 패킹 몸체(151)는 사용자의 얼굴과 상기 프레임(11)의 사이에서 두께가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패킹 몸체(151)는 프레임 삽입홈(1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삽입홈(152)은 상기 프레임(11)의 모서리 또는 외주면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삽입홈(152)은 상기 패킹 몸체(151)의 내측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 삽입홈(152)은 상기 패킹 몸체(151)의 내면에서 상기 패킹 몸체(151)의 외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 시 상기 프레임(11)보다 상기 패킹 몸체(151)가 사용자의 얼굴에 먼저 접촉될 수 있다. 사용자의 얼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패킹 몸체(151)는 변형되어 사용자의 얼굴에 마스크 몸체(10)를 더욱 밀착시키고, 틈을 차폐할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2패킹(15b)은 몸체를 형성하는 패킹 몸체(1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킹 몸체(151)는 일정한 제1두께(t1)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 몸체(151)의 일부는 제2두께(t2)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두께(t2)는 상기 제1두께(t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두께(t2)를 가지는 패킹 몸체(151)의 일부는 사용자의 코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패킹 몸체(151)의 일부가 상기 제2두께(t2)를 가지도록 형성되면, 사용자의 코와 상기 프레임(11)의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틈을 더욱 밀착하게 밀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두께(t1)를 가지는 패킹 몸체(151)로 밀폐되지 못하는 사용자의 코와 상기 프레임(11) 사이의 틈은 상기 제2두께(t2)를 가지는 패킹 몸체(151)의 일부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두께(t2)를 가지는 패킹 몸체(151)일부는 사용자의 코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2두께(t2)를 가지는 패킹 몸체(151)의 일부가 사용자의 코에 안착되면, 상기 마스크 몸체(10)를 사용자의 코에 지지하는 받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제2두께(t2)를 가지는 패킹 몸체(151)의 일부를 코받침(16)이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패킹 몸체(151)는 프레임 삽입홈(1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삽입홈(152)은 상기 프레임(11)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프레임(11)이 상기 패킹(15)의 프레임 삽입홈(15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패킹(15)이 상기 프레임(11)의 일면에 부착되거나 결합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 패킹(15)이 상기 프레임(11)의 모서리 또는 외주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1에어클리너의 분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2에어클리너의 분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장치(1)는 제1에어클리너(20)와 제2에어클리너(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양측에서 외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내부에서 필터링될 수 있다.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1유로(124a) 및 제2유로(124b)를 통과한 후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함께 작동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각각 작동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를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는 몸체를 형성하는 제1클리너 몸체(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는 내부가 깊숙하게 함몰되며, 함몰되는 내부에 다수의 구성이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내부에는 제1팬모듈(24), 제1필터모듈(25), 및 배터리(26)가 보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는 사용자의 얼굴을 향하는 저면과, 저면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측면과, 다수의 구성이 삽입되도록 개구되는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는 일면이 개구되는 용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는 저면, 제1측면(21a), 제2측면(21b), 제3측면(21c), 제4측면(21d)에 의해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측면은 상기 제1측면(21a), 상기 제1측면(21a)과 마주하는 제4측면(21d), 상기 제1측면(21a) 및 상기 제4측면(21d)을 연결하는 제2측면(21b) 및 제3측면(21c)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저면은 상기 제1 내지 제4측면(21a-21d)을 연결하는 일면으로 정의되고, 상기 저면을 마주하는 상면은 개구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는 제1돌출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210)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일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210)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돌출부(210)는 상기 제1측면(21a)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를 상기 제1고정부(13)에 결합 시 상기 제1돌출부(210)는 상기 제1고정부(13)에 삽입되는 제1덕트(211)의 삽입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3)에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를 결합 시 상기 제1돌출부(210)는 상기 제1고정부(13)의 일부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210)는 상기 제1걸림부(30)의 제1덕트 관통홀(311)에 삽입되고, 상기 제1걸림부(30)의 일부가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돌출부(210)는 장방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는 제1덕트(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211)는 상기 제1돌출부(210)에서 더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211)는 상기 제1돌출부(2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211)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1고정부(13)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211)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와 상기 마스크 몸체(10)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211)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상기 마스크 몸체(10)로 공급하는 공기 통로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211)가 상기 제1고정부(13)에 삽입되고, 상기 제1돌출부(210)가 상기 제1고정부(13)의 일부에 접촉되면 상기 제1에어클리너(2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211)가 상기 제1고정부(13)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와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덕트(211)는 장방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211)가 장방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면, 상기 제1고정부(13)와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간의 결속이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제1덕트(211)와 상기 제1돌출부(210)의 내부에는 제1공기유동홀(21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유동홀(211a)은 상기 제1덕트(211)와 상기 제1돌출부(210)의 내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유동홀(211a)은 상기 제1덕트(211)와 상기 제1돌출부(210)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유동홀(211a)의 일측은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공기유동공간(214)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유동홀(211a)의 타측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1유로(124a)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유동홀(211a)에 의해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와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는 제1고정후크(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후크(212)는 제1덕트(21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후크(212)는 상기 제1덕트(211)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후크(212)는 상기 제1고정부(13)에 장착 또는 분리 시 상기 제1덕트(211)에 대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211)를 상기 제1고정부(13)에 연결 시 상기 제1고정후크(212)가 상기 제1고정부(13)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3)에 걸림 고정된 제1고정후크(212)는 상기 제1고정부(13)에 형성되는 제1고정후크 해제부(133)에 의해 걸림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는 제1전선관(2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관(213)은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관(213)은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측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관(213)은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제1측면(21a)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관(213)은 상기 제1덕트(211)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관(213)은 전선(19)이 통과하는 통로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선관(213)은 제1이탈방지부(28)가 삽입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관(213)은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에 형성되는 제1수용공간(215)과 상기 제3유로(124c)를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관(213)은 상기 제1고정부(13)의 일부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전선관(213)은 원형 또는 정방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관(213)은 제1전선통과홀(213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통과홀(213a)은 상기 제1전선관(213)의 내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통과홀(213a)의 일측은 상기 제1수용공간(215)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통과홀(213a)의 타측은 상기 제3유로(124c)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통과홀(213a)에 의해 상기 제3유로(124c)를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제1수용공간(215)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공간(215)으로 공기가 유입될 경우에 상기 제1수용공간(215)에 보관되는 다수의 구성이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는 제1구획리브(2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리브(216)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리브(216)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내부 공간을 제1공기유동공간(214)과 제1수용공간(215)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리브(216)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내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구획리브(216)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저면으로부터 개구된 상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유동공간(214)에는 제1팬모듈(24) 및 제1필터모듈(25)이 수용되고,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리브(216)는 상기 제1팬모듈(24) 및 상기 제1필터모듈(25)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공기유동공간(214)의 형상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1팬모듈(24) 및 상기 제1필터모듈(25)은 상기 제1공기유동공간(214)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공간(215)에는 배터리(26) 또는 상기 배터리(26)를 포함한 다수의 부품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는 제1팬모듈(24) 및 제1필터모듈(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팬모듈(24) 및 상기 제1필터모듈(25)은 상기 제1구획리브(216)에 의해 형성된 제1공기유동공간(214)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팬모듈(24)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모듈(25)은 상기 제1팬모듈(24)에 의해 흡입되는 외부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 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모듈(25)은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팬모듈(24)의 상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팬모듈(24)에 의해 강제 유동되는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제1공기유동홀(211a)을 통과하여 상기 제1유로(124a)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1팬모듈(24)은 팬과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필터모듈(25)은 다양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는 배터리(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26)는 상기 제1수용공간(215)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26)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26)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는 제1걸림후크(2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후크(217)는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후크(217)는 제1걸림부(30)와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가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후크(217)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걸림후크(217)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제2측면(21b), 제3측면(21c)에 위치할 수 있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기 제1걸림후크(217)의 일부는 제1돌출부(2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후크(217)는 상기 제2측면(21b) 및 제3측면(21c)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후 제1측면(21a)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후크(217)의 절곡된 일부에 의해 상기 제1걸림부(30)가 상기 제1걸림후크(217)에 걸림 고정되고, 상기 제1걸림부(30)가 상기 제1걸림후크(217)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는 제1개구(2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개구(219)는 제1이탈방지부(28)의 제1이탈방지끈(281)이 관통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개구(219)는 상기 제1측면(21a)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개구(219)는 상기 제1이탈방지끈(281)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제1개구(219) 중 일 개구는 상기 제1돌출부(210)의 근처에 위치하고, 타 개구는 상기 제1전선관(213)의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일 개구와 타 개구의 사이에는 상기 제1전선관(213)과 상기 제1돌출부(21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일 개구와 상기 타 개구에 제공되는 제1이탈방지부(28)에 의해 상기 제1에어클리너(2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대해 폴딩 작업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는 제1클리너 커버(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커버(22)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커버(22)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개구된 상면에 상기 제1커버 고정부(207) 및 상기 제1커버 결합부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커버(22)가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에 장착되면, 상기 제1클리너 커버(22)는 상기 제1구획리브(216)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에 상기 제1클리너 커버(22)가 장착되면,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1공기유동공간(214) 및 상기 제1수용공간(215)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커버(22)는 제1흡입구(2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221)는 상기 제1클리너 커버(22)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221)는 다수의 개구로 형성되거나, 메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흡입구(221) 중 일부는 상기 제1공기유동공간(214)과 외부 공간을 연통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흡입구(221) 중 일부는 상기 제1공기유동공간(214)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흡입구(221) 중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수용공간(215)과 외부 공간을 연통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흡입구(221) 중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수용공간(215)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흡입구(221) 중 일부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1공기유동공간(214)으로 흡입될 수 있다. 다수의 제1흡입구(221) 중 나머지 일부를 통해 유입 또는 유출되는 공기에 의해 제1수용공간(215)이 환기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221)에 의해 외부 공기에 포함된 큰 이물질이 필터링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커버(22)는 제1스위치(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위치(222)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스위치(222)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를 작동하기 위한 조작스위치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스위치(222)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을 온/오프 하는 전원스위치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위치(222)를 누르는 지속시간, 횟수 등에 따라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스위치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스위치(222)는 하나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다수의 스위치로 제공될 수 있다. 다수로 스위치로 제공될 경우에는 제1스위치부로 칭할 수 있고, 제1스위치부에는 다수의 스위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스위치부로 제공될 경우에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제1전원스위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조작스위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커버(22)는 상기 제1스위치(222)를 구동하기 위한 스위치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회로 기판은 상기 제1수용공간(215)을 정의하는 제1클리너 커버(22)의 내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와 상기 제1클리너 커버(22)를 결합하면, 상기 스위치 회로 기판은 상기 제1수용공간(215)에 보관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제2클리너 몸체(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내부가 깊숙하게 함몰되며, 함몰되는 내부에 다수의 구성이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내부에는 제2팬모듈(44), 제2필터모듈(45), 및 회로기판(46)이 보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사용자의 얼굴을 향하는 저면과, 저면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상면은 다수의 구성이 삽입되도록 개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일면이 개구되는 용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저면, 제1측면(41a), 제2측면(41b), 제3측면(41c), 제4측면(41d)에 의해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측면은 상기 제1측면(41a), 상기 제1측면(41a)과 마주하는 제4측면(41d), 상기 제1측면(41a) 및 상기 제4측면(41d)을 연결하는 제2측면(41b) 및 제3측면(41c)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저면은 상기 제1 내지 제4측면(41a-41d)을 연결하는 일면으로 정의되고, 상기 저면을 마주하는 상면은 개구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제2돌출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410)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일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410)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돌출부(410)는 상기 제1측면(41a)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를 상기 제2고정부(14)에 결합 시 상기 제2돌출부(410)는 상기 제2고정부(14)에 삽입되는 제2덕트(411)의 삽입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14)에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를 결합 시 상기 제2돌출부(410)는 상기 제2고정부(14)의 일부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410)는 제2걸림부(50)의 제2덕트 관통홀(511)에 삽입되고, 상기 제2걸림부(50)의 일부가 상기 제2고정부(14) 및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돌출부(210)는 장방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제2덕트(4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411)는 상기 제2돌출부(410)에서 더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411)는 상기 제2돌출부(4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411)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2고정부(14)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411)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와 상기 마스크 몸체(10)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411)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상기 마스크 몸체(10)로 공급하는 공기 통로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411)가 상기 제2고정부(14)에 삽입되고, 상기 제2돌출부(410)가 상기 제2고정부(14)의 일부에 접촉되면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411)가 상기 제2고정부(14)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와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덕트(411)는 장방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411)가 장방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면, 상기 제2고정부(14)와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간의 결속이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제2덕트(411)와 상기 제2돌출부(410)의 내부에는 제2공기유동홀(41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유동홀(411a)은 상기 제2덕트(411)와 상기 제2돌출부(410)의 내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유동홀(411a)은 상기 제2덕트(411)와 상기 제2돌출부(410)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유동홀(411a)의 일측은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공기유동공간(414)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유동홀(411a)의 타측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2유로(124b)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유동홀(411a)에 의해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와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제2고정후크(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후크(412)는 제2덕트(41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후크(412)는 상기 제2덕트(411)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후크(412)는 상기 제2고정부(14)에 장착 또는 분리 시 상기 제2덕트(411)에 대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411)를 상기 제2고정부(14)에 연결 시 상기 제2고정후크(412)가 상기 제2고정부(14)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14)에 걸림 고정된 제2고정후크(412)는 상기 제2고정부(14)에 형성되는 제2고정후크 해제부(143)에 의해 걸림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제2전선관(4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관(413)은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관(413)은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측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관(413)은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제1측면(41a)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관(413)은 상기 제2덕트(411)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관(413)은 전선(19)이 통과하는 통로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전선관(413)은 제2이탈방지부(48)가 삽입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관(413)은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에 형성되는 제2수용공간(415)과 상기 제3유로(124c)를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관(413)은 상기 제2고정부(14)의 일부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전선관(413)은 원형 또는 정방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관(413)에는 제2전선통과홀(413a)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통과홀(413a)은 상기 제2전선관(413)의 내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통과홀(413a)의 일측은 상기 제2수용공간(415)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통과홀(413a)의 타측은 상기 제3유로(124c)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통과홀(413a)에 의해 상기 제3유로(124c)를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제2수용공간(415)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공간(415)으로 공기가 유입될 경우에 상기 제2수용공간(415)에 보관되는 다수의 구성이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제2구획리브(4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구획리브(416)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구획리브(416)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내부 공간을 제2공기유동공간(414)과 제2수용공간(415)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제2구획리브(416)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내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구획리브(416)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저면으로부터 개구된 상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유동공간(414)에는 제2팬모듈(44) 및 제2필터모듈(45)이 수용되고,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2구획리브(416)는 상기 제2팬모듈(44) 및 상기 제2필터모듈(45)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공기유동공간(414)의 형상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2팬모듈(44) 및 상기 제2필터모듈(45)은 상기 제2공기유동공간(414)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공간(415)에는 회로기판(46) 또는 상기 회로기판(46)을 포함한 다수의 부품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제2팬모듈(44) 및 제2필터모듈(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팬모듈(44) 및 상기 제2필터모듈(45)은 상기 제2구획리브(416)에 의해 형성된 제2공기유동공간(414)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팬모듈(44)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필터모듈(45)은 상기 제2팬모듈(44)에 의해 흡입되는 외부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 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모듈(45)은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팬모듈(44)의 상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팬모듈(44)에 의해 강제 유동되는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제2공기유동홀(411a)을 통과하여 상기 제2유로(124b)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2팬모듈(44)은 팬과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필터모듈(45)은 다양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회로기판(4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46)은 상기 제2수용공간(415)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46)은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46)는 제어부, 통신부, 정보 저장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46)은 상기 제1스위치(222) 및 상기 제2스위치(422)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작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제2걸림후크(4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417)는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417)는 제2걸림부(50)와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가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417)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걸림후크(417)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제2측면(41b), 제3측면(41c)에 위치할 수 있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기 제2걸림후크(417)의 일부는 제2돌출부(4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417)는 상기 제2측면(41b) 및 제3측면(41c)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후 제1측면(41a)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417)의 절곡된 일부에 의해 상기 제2걸림부(50)가 상기 제2걸림후크(417)에 걸림 고정되고, 상기 제2걸림부(50)가 상기 제2걸림후크(417)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제2개구(4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개구(419)는 제2이탈방지부(48)의 제2이탈방지끈(481)이 관통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개구(419)는 상기 제1측면(41a)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개구(419)는 상기 제2이탈방지끈(481)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제2개구(419) 중 일 개구는 상기 제2돌출부(410)의 근처에 위치하고, 타 개구는 상기 제2전선관(413)의 근처에 위치할 수 잇다. 일 개구와 타 개구의 사이에는 상기 제2전선관(413)과 상기 제2돌출부(41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일 개구와 상기 타 개구에 제공되는 제2이탈방지부(48)에 의해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대해 폴딩 작업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제2클리너 커버(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커버(42)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커버(42)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개구된 상면에 상기 제2커버 고정부(407) 및 상기 제2커버 결합부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커버(42)가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에 장착되면, 상기 제2클리너 커버(42)는 상기 제2구획리브(416)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커버(42)가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에 장착되면,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2공기유동공간(414) 및 상기 제2수용공간(415)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커버(42)는 제2흡입구(4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구(421)는 상기 제2클리너 커버(42)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구(421)는 다수의 개구로 형성되거나, 메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흡입구(421) 중 일부는 상기 제2공기유동공간(414)과 외부 공간을 연통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흡입구(421) 중 일부는 상기 제2공기유동공간(414)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흡입구(421) 중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2수용공간(415)과 외부 공간을 연통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흡입구(421) 중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2수용공간(415)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흡입구(421) 중 일부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2공기유동공간(414)으로 흡입될 수 있다. 다수의 제2흡입구(421) 중 나머지 일부를 통해 유입 또는 유출되는 공기에 의해 제2수용공간(415)이 환기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구(421)에 의해 외부 공기에 포함된 큰 이물질이 필터링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커버(42)는 제2스위치(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스위치(422)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스위치(422)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를 작동하기 위한 조작스위치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스위치(422)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을 온/오프 하는 전원스위치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위치(422)를 누르는 지속시간, 횟수 등에 따라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스위치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스위치(422)는 하나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다수의 스위치로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스위치로 제공될 경우에는 제2스위치부로 칭할 수 있고, 제2스위치부에는 다수의 스위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스위치부로 제공될 경우에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제2전원스위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조작스위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커버(42)는 상기 제2스위치(422)를 구동하기 위한 스위치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회로 기판은 상기 제2수용공간(415)을 정의하는 제2클리너 커버(42)의 내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와 상기 제2클리너 커버(42)를 결합하면, 상기 스위치 회로 기판은 상기 제2수용공간(415)에 보관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1고정부에 고정된 제1에어클리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2고정부에 고정된 제2에어클리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몸체(10)는 제1고정부(13) 및 제2고정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2고정부(14)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는 상기 제1고정부(1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상기 제2고정부(14)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고정부(13)는 몸체를 형성하는 제1고정부 몸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 몸체(13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 몸체(130)는 상기 전면 커버(12) 및 상기 프레임(11)의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 몸체(13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1고정부 안착홈(129a)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3)가 상기 제1고정부 안착홈(129a)에 고정되면, 상기 제1유로(124a)의 일측과 상기 제3유로(124c)의 일측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 몸체(130)는 제1덕트 삽입홀(1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 삽입홀(131)은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의 제1덕트(211)가 삽입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덕트 삽입홀(131)은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로부터 여과된 공기가 유입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211)가 상기 제1덕트 삽입홀(131)에 삽입되면,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가 상기 제1고정부 몸체(1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 삽입홀(131)은 상기 제1덕트(2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 삽입홀(131)에 상기 제1덕트(211)가 삽입되면,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1유로(124a)와 상기 제1덕트(211)의 제1공기유동홀(211a)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 삽입홀(131)은 상기 제1고정부 몸체(130)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3)와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가 서로 결합 시 상기 제1고정부 몸체(130)의 일면과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제1돌출부(210)는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210)가 상기 제1고정부 몸체(130)의 일면에 접촉되면, 상기 제1덕트(211)와 상기 제1덕트 삽입홀(131)은 밀폐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210)는 상기 제1고정부(13)와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1걸림부(30)의 일부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 몸체(130)는 제1전선관 삽입홀(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관 삽입홀(132)은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의 제1전선관(213)이 삽입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관 삽입홀(132)은 상기 제1전선관(21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관(213)이 상기 제1전선관 삽입홀(132)에 삽입되면,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3유로(124c)와 상기 제1전선관(213)의 제1전선통과홀(213a)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관 삽입홀(132)은 상기 제1고정부 몸체(130)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 몸체(130)는 제1고정후크 해제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후크 해제부(133)는 상기 제1고정부 몸체(13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고정후크 해제부(133)는 상기 전면 커버(12)를 향하는 제1고정부 몸체(13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후크 해제부(133)는 상기 전면 커버(12)와 상기 프레임(11)이 결합 시 상기 전면 커버(12)의 일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후크 해제부(133)를 작동하면, 상기 제1고정부(13)에 고정된 제1에어클리너(20)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후크 해제부(133)는 상기 제1고정부(13)에 고정된 제1고정후크(212)를 고정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고정후크 해제부(133)는 버튼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후크 해제부(133)를 작동하면, 상기 제1고정후크 해제부(133)가 상기 제1고정후크(212)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제1고정부(13)에 걸림 고정된 제1고정후크(212)가 상기 제1고정부(13)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12)에는 상기 제1고정후크 해제부(133)가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 몸체(130)는 제3개구(1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개구(138)는 상기 제1고정부 몸체(130)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개구(138)는 제1이탈방지부(28)의 제1이탈방지끈(281)이 관통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3개구(138)는 상기 제1이탈방지끈(281)이 내측에 위치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개구(138)는 상기 제1이탈방지돌기(282)가 상기 제1고정부(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3개구(138)는 상기 제1이탈방지끈(281)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1이탈방지돌기(28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돌기(282)는 상기 제3개구(138)를 통과한 후 상기 제1고정부(13)의 일측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는 상기 제1고정부(13)와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를 연결하는 제1이탈방지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부(28)는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부(28)는 제1이탈방지끈(281), 제1이탈방지돌기(282), 및 제2이탈방지돌기(2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끈(28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돌기(282)는 상기 제1이탈방지끈(281)의 일측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2이탈방지돌기(283)는 상기 제1이탈방지끈(281)의 타측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돌기(282) 및 상기 제2이탈방지돌기(283)는 상기 제1이탈방지끈(281)보다 큰 직경 또는 큰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끈(281)은 상기 제1개구(219)와 상기 제3개구(138)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돌기(282)는 상기 제1고정부(13)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이탈방지돌기(283)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돌기(282)는 상기 제1고정부(13)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2이탈방지돌기(283)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돌기(282) 및 상기 제2이탈방지돌기(283)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걸림 해제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부(28)는 상기 제1전선관 삽입홀(132) 및 제1전선통과홀(213a)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이탈방지돌기(282) 및 제2이탈방지돌기(283)는 상기 제1전선관 삽입홀(132) 및 상기 제1전선통과홀(213a)에 걸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돌기(282) 및 제2이탈방지돌기(283)는 상기 제1전선관 삽입홀(132) 및 상기 제1전선통과홀(213a)에 걸려서 상기 제1고정부(13) 및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제한한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2고정부(14)는 몸체를 형성하는 제2고정부 몸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 몸체(1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 몸체(140)는 상기 전면 커버(12) 및 상기 프레임(11)의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 몸체(1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2고정부 안착홈(129b)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14)가 상기 제2고정부 안착홈(129b)에 고정되면, 상기 제2유로(124b)의 일측과 상기 제3유로(124c)의 타측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 몸체(140)는 제2덕트 삽입홀(1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 삽입홀(141)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제2덕트(411)가 삽입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덕트 삽입홀(141)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로부터 여과된 공기가 유입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411)가 상기 제2덕트 삽입홀(141)에 삽입되면,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가 상기 제2고정부 몸체(14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 삽입홀(141)은 상기 제2덕트(4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 삽입홀(141)에 상기 제2덕트(411)가 삽입되면,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2유로(124b)와 상기 제2덕트(411)의 제2공기유동홀(411a)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 삽입홀(141)은 상기 제2고정부 몸체(140)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14)와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가 서로 결합 시 상기 제2고정부 몸체(140)의 일면과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제2돌출부(410)는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410)가 상기 제2고정부 몸체(140)의 일면에 접촉되면, 상기 제2덕트(411)와 상기 제2덕트 삽입홀(141)은 밀폐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410)는 상기 제2고정부(14)와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2걸림부(50)의 일부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 몸체(140)는 제2전선관 삽입홀(1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관 삽입홀(142)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제2전선관(413)이 삽입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관 삽입홀(142)은 상기 제2전선관(41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관(413)이 상기 제2전선관 삽입홀(142)에 삽입되면,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3유로(124c)와 상기 제2전선관(413)의 제2전선통과홀(413a)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관 삽입홀(142)은 상기 제2고정부 몸체(140)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 몸체(140)는 제2고정후크 해제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후크 해제부(143)는 상기 제2고정부 몸체(14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고정후크 해제부(143)는 상기 전면 커버(12)를 향하는 제1고정부 몸체(13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후크 해제부(143)는 상기 전면 커버(12)와 상기 프레임(11)이 결합 시 상기 전면 커버(12)의 일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후크 해제부(143)를 작동하면, 상기 제2고정부(14)에 고정된 제2에어클리너(40)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후크 해제부(143)는 상기 제2고정부(14)에 고정된 제2고정후크(412)를 고정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고정후크 해제부(143)는 버튼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후크 해제부(143)를 작동하면, 상기 제2고정후크 해제부(143)가 상기 제2고정후크(412)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제2고정부(14)에 걸림 고정된 제2고정후크(412)가 상기 제2고정부(14)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12)에는 상기 제2고정후크 해제부(143)가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 몸체(140)는 제4개구(1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개구(148)는 상기 제2고정부 몸체(140)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개구(148)는 제2이탈방지부(48)의 제2이탈방지끈(481)이 관통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4개구(148)는 상기 제2이탈방지끈(481)이 내측에 위치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개구(148)는 상기 제3이탈방지돌기(482)가 상기 제2고정부(1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4개구(148)는 상기 제2이탈방지끈(481)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3이탈방지돌기(48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이탈방지돌기(482)는 상기 제4개구(148)를 통과한 후 상기 제2고정부(14)의 일측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는 상기 제2고정부(14)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를 연결하는 제2이탈방지부(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이탈방지부(48)는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이탈방지부(48)는 제2이탈방지끈(481), 제3이탈방지돌기(482), 및 제4이탈방지돌기(4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이탈방지끈(48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3이탈방지돌기(482)는 상기 제2이탈방지끈(481)의 일측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4이탈방지돌기(483)는 상기 제2이탈방지끈(481)의 타측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이탈방지돌기(482) 및 상기 제4이탈방지돌기(483)는 상기 제2이탈방지끈(481)보다 큰 직경 또는 큰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이탈방지끈(481)은 상기 제2개구(419)와 상기 제4개구(148)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3이탈방지돌기(482)는 상기 제2고정부(14)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4이탈방지돌기(483)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이탈방지돌기(482)는 상기 제2고정부(14)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4이탈방지돌기(483)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3이탈방지돌기(482) 및 상기 제4이탈방지돌기(483)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고정부(14) 및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걸림 해제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이탈방지부(48)는 상기 제2전선관 삽입홀(142) 및 제2전선통과홀(413a)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3이탈방지돌기(482) 및 제4이탈방지돌기(483)는 상기 제2전선관 삽입홀(142) 는 및 상기 제2전선통과홀(413a)에 걸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이탈방지돌기(482) 및 제4이탈방지돌기(483)는 상기 제2전선관 삽입홀(142) 및 상기 제2전선통과홀(413a)에 걸려서 상기 제2고정부(14) 및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가 폴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장치(1)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대해 폴딩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를 사용 시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양측 단부에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양측 단부에 고정된 제1에어클리너(20)와 제2에어클리너(40)의 사이에 사용자의 얼굴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1고정부(13)는 상기 제1덕트 삽입홀(131) 및 상기 제1전선관 삽입홀(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를 상기 제1고정부(13)에 고정하면, 상기 제1덕트 삽입홀(131)에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의 제1덕트(211)가 삽입되고, 상기 제1전선관 삽입홀(132)에는 상기 제1전선관(213)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211) 및 상기 제1전선관(213)을 삽입 시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의 제1돌출부(210)가 상기 제1고정부(13)에 접촉되어 삽입 위치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211)를 상기 제1덕트 삽입홀(131)에 삽입 시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의 제1고정후크(212)가 상기 제1고정부(13)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와 상기 제1고정부(13)의 사이에 제1걸림부(30)의 일부가 위치하며, 상기 제1걸림부(30)에 의해 사용자의 얼굴에 마스크 장치(1)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2고정부(14)는 상기 제2덕트 삽입홀(141) 및 상기 제2전선관 삽입홀(1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를 상기 제2고정부(14)에 고정하면, 상기 제2덕트 삽입홀(141)에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제2덕트(411)가 삽입되고, 상기 제2전선관 삽입홀(142)에는 상기 제2전선관(413)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411) 및 상기 제2전선관(413)을 삽입 시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제2돌출부(410)가 상기 제2고정부(14)에 접촉되어 삽입 위치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411)를 상기 제2덕트 삽입홀(141)에 삽입 시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의 제2고정후크(412)가 상기 제2고정부(14)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와 상기 제2고정부(14)의 사이에 제2걸림부(50)의 일부가 위치하며, 상기 제2걸림부(50)에 의해 사용자의 얼굴에 마스크 장치(1)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를 미 사용 시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대해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를 폴딩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를 폴딩하면,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프레임(11)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 단부에서 상기 프레임(11)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폴딩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우측 단부에서 상기 프레임(11)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폴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상기 제1이탈방지부(28) 및 제2이탈방지부(48)에 의해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하는 마스크 몸체(10)의 일부 공간을 폐쇄하여,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일부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어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3)의 제1고정후크 해제부(133)를 작동하면, 상기 제1고정부(13)에 걸림 고정된 제1고정후크(212)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후크(212)가 걸림 해제되면, 상기 제1고정부(13)로부터 상기 제1덕트(211)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3)로부터 분리된 제1클리너 몸체(21)는 상기 프레임(11)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3)와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는 상기 제1이탈방지부(28)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기에 일정한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14)의 제2고정후크 해제부(143)를 작동하면, 상기 제2고정부(14)에 걸림 고정된 제2고정후크(412)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후크(412)가 걸림 해제되면, 상기 제2고정부(14)로부터 상기 제2 덕트(411)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14)로부터 분리된 제2클리너 몸체(41)는 상기 프레임(11)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14)와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상기 제2이탈방지부(48)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기에 일정한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이탈방지부(28) 및 상기 제2이탈방지부(48)에 의해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를 향해 회전하여 폴딩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와 상기 제1고정부(13)의 사이에 힌지가 제공되고,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와 상기 제2고정부(14)의 사이에 힌지가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는 힌지에 의해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대해 회전하여 폴딩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1걸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2걸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장치(1)는 제1걸림부(30) 및 제2걸림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부(30)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걸림부(50)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부(30) 및 상기 제2걸림부(50)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사용자의 귀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걸림부(30) 및 상기 제2걸림부(50)는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되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걸림부(30) 및 상기 제2걸림부(50)는 사용자의 귀 일부에 걸림 고정되는 레그(leg)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레그는 사용자의 귀 일부에 걸림 고정되는 안경다리와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걸림부(30) 및 상기 제2걸림부(50)를 도면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1걸림부(30)는 몸체를 형성하는 제1걸이 몸체(3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폐곡선을 가지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일측에 제1클리너 몸체(21)가 장착되고,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타측에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는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일측 내부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귀는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타측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일부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일부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제1측면(21a), 제2측면(21b), 및 제3측면(21c)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제1몸체(31a), 제2몸체(31b), 제3몸체(31c), 제4몸체(31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제1 내지 제4몸체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31a)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와 상기 제1고정부(13)의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4몸체(31d)는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31b) 및 제3몸체(31c)는 상기 제1몸체(31a)와 상기 제4몸체(31d)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제1덕트 관통홀(3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 관통홀(311)은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제1몸체(31a)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 관통홀(311)은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제1덕트(211)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 관통홀(311)은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제1돌출부(21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 관통홀(311)은 상기 제1돌출부(2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 관통홀(311)에 상기 제1돌출부(2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덕트(211)를 상기 제1덕트 삽입홀(131)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제1몸체(31a)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에 접촉되는 일면과, 상기 제1고정부 몸체(130)에 접촉되는 타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제1몸체(31a)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와 상기 제1고정부 몸체(130)의 사이에 개입되어 패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와 상기 제1고정부 몸체(130)의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 단부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210)는 상기 제1덕트 관통홀(31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덕트 관통홀(311)이라 칭하고 있으나, 상기 제1돌출부(21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돌출부 삽입홀이라 칭할 수도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제1전선관 관통홀(3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관 관통홀(312)은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제1몸체(31a)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관 관통홀(312)은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제1전선관(213)이 관통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관 관통홀(312)은 상기 제1전선관(213)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관 관통홀(312)에 상기 제1전선관(213)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전선관(213)이 상기 제1전선관 삽입홀(13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와 상기 제1고정부 몸체(130)의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제1끈 관통홀(3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끈 관통홀(318)은 상기 제1이탈방지부(28)의 제1이탈방지끈(281)이 관통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끈 관통홀(318)은 상기 제1이탈방지끈(281)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끈 관통홀(318)은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제1몸체(31a)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끈 관통홀(318)은 상기 제1덕트 관통홀(311)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전선관 삽입홀(132)은 상기 제1덕트 관통홀(311)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제1손잡이(3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손잡이(314)는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제4몸체(31d)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손잡이(314)는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제4몸체(31d)는 사용자의 귀를 향하는 일면과, 외부를 향하는 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손잡이(314)는 상기 제4몸체(31d)의 타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손잡이(314)는 사용자의 귀에 상기 제1걸이 몸체(31)가 고정 시 사용자가 잡는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제1걸림후크 결합홈(3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후크 결합홈(317)은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후크 결합홈(317)에는 상기 제1클리너 몸체(21)의 제1걸림후크(217)가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후크 결합홈(317)은 상기 제1걸림후크(217)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후크 결합홈(317)은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제2몸체(31b) 및 제3몸체(31c)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후크 결합홈(317)은 상기 제1걸림후크(217)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몸체(31b) 및 제3몸체(31c)는 내면과 외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후크 결합홈(317)은 상기 제2몸체(31b) 및 제3몸체(31c)의 내면이 외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후크 결합홈(317)은 상기 제1걸림후크(217)의 절곡된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절곡된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걸림후크 결합홈(317)은 상기 제1걸림후크(217)가 걸림 고정되도록 상기 제1걸림후크(217)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부(30)는 제1접촉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부(32)는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내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내면은 사용자의 귀에 접촉되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부(32)는 상기 제1걸림부(30)의 제4몸체(31d)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부(32)는 상기 제1걸림부(30)의 제4몸체(31d)로부터 제2몸체(31b) 및 제3몸체(31c) 중 적어도 하나를 향하는 방향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부(32)는 사용자의 귀와 상기 제1걸림부(30)의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귀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부(32)는 사용자의 귀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하도록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접촉부(32)는 사용자의 귀로부터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제1접촉부(32)의 내부에 제공되며, 사용자의 귀에 접촉되어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생체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몸체(31)는 제1함몰부(3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함몰부(319)는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2의 Y는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이다. 상기 도 12의 Y를 참조하면, 상기 제1함몰부(319)는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외면이 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함몰부(319)는 상기 제1걸이 몸체(31)의 제2몸체(31b) 및 제4몸체(31d)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함몰부(319)는 사용자의 귀에 상기 제1걸림부(30)를 장착한 후 안경을 착용 시 안경의 안경다리가 안착되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2걸림부(50)는 몸체를 형성하는 제2걸이 몸체(5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폐곡선을 가지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일측에 제2클리너 몸체(41)가 장착되고,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타측에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는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일측 내부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귀는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타측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일부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일부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제1측면(41a), 제2측면(41b), 및 제3측면(41c)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제1몸체(51a), 제2몸체(51b), 제3몸체(51c), 제4몸체(51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제1 내지 제4몸체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51a)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와 상기 제2고정부(14)의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4몸체(51d)는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51b) 및 제3몸체(51c)는 상기 제1몸체(51a)와 제4몸체(51d)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제2덕트 관통홀(5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 관통홀(511)은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제1몸체(51a)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 관통홀(511)은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제2덕트(411)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 관통홀(511)은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제2돌출부(41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 관통홀(511)은 상기 제2돌출부(4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 관통홀(511)에 상기 제2돌출부(4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덕트(411)를 상기 제2덕트 삽입홀(141)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제1몸체(51a)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에 접촉되는 일면과, 상기 제2고정부 몸체(140)에 접촉되는 타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제1몸체(51a)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와 상기 제2고정부 몸체(140)의 사이에 개입되어 패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와 상기 제2고정부 몸체(140)의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우측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410)는 상기 제2덕트 관통홀(51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덕트 관통홀(511)이라 칭하고 있으나, 상기 제2돌출부(41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돌출부 삽입홀이라 칭할 수도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제2전선관 관통홀(5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관 관통홀(512)은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제1몸체(51a)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관 관통홀(512)은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제2전선관(413)이 관통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관 관통홀(512)은 상기 제2전선관(413)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관 관통홀(512)에 상기 제2전선관(413)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전선관(413)이 상기 제2전선관 삽입홀(14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와 상기 제2고정부 몸체(140)의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마스크 몸체(20)의 우측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제2끈 관통홀(5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끈 관통홀(518)은 상기 제2이탈방지부(48)의 제2이탈방지끈(481)이 관통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끈 관통홀(518)은 상기 제2이탈방지끈(481)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끈 관통홀(518)은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제1몸체(51a)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끈 관통홀(518)은 상기 제2덕트 관통홀(511)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전선관 삽입홀(142)은 상기 제2덕트 관통홀(511)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제2손잡이(5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손잡이(514)는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제4몸체(51d)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손잡이(514)는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제4몸체(51d)는 사용자의 귀를 향하는 일면과, 외부를 향하는 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손잡이(514)는 상기 제4몸체(51d)의 타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손잡이(514)는 사용자의 귀에 상기 제2걸이 몸체(51)가 고정 시 사용자가 잡는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제2걸림후크 결합홈(5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 결합홈(517)은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 결합홈(517)에는 상기 제2클리너 몸체(41)의 제2걸림후크(417)가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 결합홈(517)은 상기 제2걸림후크(417)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 결합홈(517)은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제2몸체(51b) 및 제3몸체(51c)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 결합홈(517)은 상기 제2걸림후크(417)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몸체(51b) 및 제3몸체(51c)는 내면과 외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 결합홈(517)은 상기 제2몸체(51b) 및 제3몸체(51c)의 내면이 외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 결합홈(517)은 상기 제2걸림후크(417)의 절곡된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절곡된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걸림후크 결합홈(517)은 상기 제2걸림후크(417)가 걸림 고정되도록 상기 제2걸림후크(417)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부(50)는 제2접촉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부(52)는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내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내면은 사용자의 귀에 접촉되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부(52)는 상기 제2걸림부(50)의 제4몸체(51d)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부(52)는 상기 제2걸림부(50)의 제4몸체(51d)로부터 제2몸체(51b) 및 제3몸체(51c) 중 적어도 하나를 향하는 방향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부(52)는 사용자의 귀와 상기 제2걸림부(50)의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귀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부(52)는 사용자의 귀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하도록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접촉부(52)는 사용자의 귀로부터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제2접촉부(52)의 내부에 제공되며, 사용자의 귀에 접촉되어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생체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 몸체(51)는 제2함몰부(5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함몰부(519)는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의 Z는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이다. 상기 도 13의 Z를 참조하면, 상기 제2함몰부(519)는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외면이 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함몰부(519)는 상기 제2걸이 몸체(51)의 제2몸체(51b) 및 제4몸체(51d)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함몰부(519)는 사용자의 귀에 상기 제2걸림부(50)를 장착한 후 안경을 착용 시 안경의 안경다리가 안착되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장치(1)는 사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1스위치(222) 및 상기 제2스위치(422)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여 상기 마스크 장치(1)를 작동할 수 있다.
도 14는 마스크 장치(1)를 작동 시 외부 공기의 유동 모습을 나타낸다. 제1에어클리너(20)의 제1팬모듈(24)과 제2에어클리너(40)의 제2팬모듈(44)이 작동되면, 외부 공기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제1팬모듈(24) 및 상기 제2팬모듈(44)이 작동되면, 제1에어클리너(20)의 제1흡입구(221)와 제2에어클리너(40)의 제2흡입구(421)로 각각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221) 및 상기 제2흡입구(421)를 통해 흡입되는 외부 공기의 유동 방향을 A로 나타낸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로 사용자의 얼굴 좌측에 위치하는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로 사용자의 얼굴 우측에 위치하는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도 15는 제1에어클리너(20) 및 제2에어클리너(4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점 쇄선을 기준으로 제1에어클리너(20)와 제2에어클리너(40)는 양측으로 서로 대칭되게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에어클리너(20)의 단면을 기준으로 마스크 장치(1)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설명한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의 설명은 제2에어클리너(40)의 설명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221)로 흡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제1필터모듈(25)에 의해 여과될 수 있다.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흡입구(221)의 하류에 상기 제1필터모듈(25)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모듈(25)의 하류에는 제1팬모듈(24)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모듈(20)의 하류에 상기 제1팬모듈(24)이 배치되기에 상기 제1팬모듈(24)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모듈(25)에서 이물질이 여과된 공기는 제1덕트(211)의 제1공기유동홀(211a)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211)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1고정부(13)에 삽입되어 연결되기에 여과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와 상기 제1고정부(13)의 사이에는 제1걸림부(30)의 일부가 개입되기에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틈으로 여과된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유동홀(211a)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1유로(124a)로 모두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3)에 고정된 제1에어클리너(20)는 제1고정후크 해제부(133)에 의해 상기 제1고정부(1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124a)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유입구(1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124a)는 공기의 유동 단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여과된 공기는 유속의 변화가 최소화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로(124a)를 통과한 후 상기 유입구(1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11)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B로 나타낸다. 상기 유입구(111)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유입구(111)를 향해 수평하게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124a)를 통과한 공기는 제1유입구(111a)를 통과한 후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공기는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공급되며, 사용자는 여과된 공기를 들이쉴 수 있다. 상기 제1팬모듈(24)에 의해 공기가 강제 유동되기에 사용자는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다. 또한, 공기의 유속 저하 및 유량 저하가 최소화되기에 여과된 공기가 사용자에게 충분하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구(111)을 사용자의 코 전방에 배치하기에, 상기 유입구(111)와 사용자의 코 사이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사용자의 코와 상기 유입구(111)의 사이 거리가 최소화되면, 여과된 공기가 신속하게 사용자의 코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상기 제1유로(124a)를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제1유입구(111a)를 향해 유동되도록 공기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는 제1유입가이드(12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124a)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1유입가이드(123a)에 의해 상기 제1유입구(111a)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 방향이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가이드(123a)는 상기 전면 커버(12)로부터 상기 프레임(11)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가이드(123a)는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제1유로(124a)를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제1유입구(111a)로 유동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여과된 공기의 유동 방향과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프레임(11)과 사용자의 얼굴 사이에는 호흡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코와 입은 상기 호흡 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111)로 공급된 공기로 호흡할 수 있다. 사용자의 코와 입에서 내쉬어진 공기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유출구(112)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유출구(112)는 사용자의 입 전방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입에서 배출된 공기가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유출구(112)는 사용자의 코에서 배출되는 공기 유출 방향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코에서 배출된 공기가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11)를 통해 공기가 연속적으로 공급되기에 내쉬어진 공기는 상기 유출구(112)를 향하는 방향으로 강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유출구(112)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3유로(124c)로 유동할 수 있다. 사용자의 코와 입에서 내쉬어진 공기의 유동 방향을 C로 나타낸다.
상기 유출구(112)는 외부 공기가 상기 유출구(112)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118)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체크밸브(118)라 칭하고 있으나, 역류방지밸브, 일 방향밸브 등으로 칭할 수도 있다. 상기 체크밸브(118)는 상기 유출구(112)로부터 외부 공간을 향해 유동되는 공기가 일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118)는 상기 제3유로(124c)에서 상기 유출구(112)로 역류하는 공기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118)는 상기 유출구(112)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118)는 상기 유출구(112)로부터 상기 제3유로(124c)를 향해 공기가 유동 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118)는 상기 제3유로(124c)에서 상기 유출구(112)를 향해 공기가 유동 시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118)가 상기 유출구(112)에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체크밸브(118)는 토출구(128)의 일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토출구(128)에 상기 체크밸브(118)가 제공될 경우에, 상기 체크밸브(118)는 외부 공간에서 상기 제3유로(124c)를 향해 공기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유로(124a) 및 제2유로(124b)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3유로(124c)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124a) 및 제2유로(124b)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상부에 위치하면, 사용자의 코와 입 중 코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코에 인접하게 제1유로(124a) 및 제2유로(124b)가 배치되기에 공기의 유동 거리가 짧아져 신속하게 여과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3유로(124c)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하부에 위치하면, 사용자의 코와 입 중 입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입에 인접하게 제3유로(124c)가 배치되기에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신속하게 유입되어 외부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8은 마스크 장치로부터 외부 공간으로 공기가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상기 제3유로(124c)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3유로(124c)를 통과한 후 외부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제3유로(124c)의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1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유로(124c)에서 상기 토출구(128)를 통과해서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D로 나타낸다. 상기 토출구(128)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내부에서 수평 유동하는 공기와 수직하게 유동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토출구(128)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28)는 상기 전면 커버(12) 및 상기 프레임(11)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12)와 상기 프레임(11)을 결합 시 상기 토출구(128)는 상기 제3유로(124c)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28)는 상기 제1유출구(112a)의 하방에 배치되는 제1토출구(128a)와 상기 제2유출구(112b)의 하방에 배치되는 제2토출구(128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토출구(128a) 및 제2토출구(128b)가 상기 제1유출구(112a) 및 제2유출구(112b)에 인접하도록 배치하여 공기가 신속하게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토출구(128)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28)에서 하방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로 흡입되는 공기와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걸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2)는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1)의 특정 부분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2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2)의 일부 구성은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1)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그래서, 제2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2)의 설명에서 생략되는 부분은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1)와 동일하며, 동일한 설명을 인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1)에서 변형된 제2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2)의 특정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장치(2)는 제3걸림부 및 제4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걸림부는 제1에어클리너(20)와 결합되고, 제4걸림부는 제2에어클리너(4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걸림부와 상기 제4걸림부는 위치에서 차이가 있지만, 구성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3걸림부와 제4걸림부를 걸림부(60)로 칭하여 설명한다.
상기 걸림부(60)는 몸체를 형성하는 걸이 몸체(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이 몸체(61)의 일측에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결합되고, 상기 걸이 몸체(61)의 타측에 사용자의 귀가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걸이 몸체(61)는 상부 걸이(611)와 하부 걸이(6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걸이(611)와 상기 하부 걸이(612)의 일측은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걸이(611)와 상기 하부 걸이(612)의 타측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걸이(611)는 사용자의 귀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정의되고, 상기 하부 걸이(612)는 사용자의 귀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걸이 몸체(61)는 접촉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62)는 상기 상부 걸이(611) 및 상기 하부 걸이(612)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62)는 상기 상부 걸이(611) 및 상기 하부 걸이(612) 중 적어도 하나와 사용자의 귀 사이에 개입되어 사용자의 귀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62)는 사용자의 귀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하기 위해 변형이 용이하고,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 몸체(61)는 길이 조절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 조절부(70)는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되는 걸이 몸체(6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길이 조절부(70)를 이용하여 걸이 몸체(61)의 길이를 조절하고,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길이 조절부(70)를 통해 서로 다른 크기의 얼굴을 가지는 다양한 사용자에게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길이 조절부(70)는 상기 하부 걸이(612)의 타측 단부가 상기 상부 걸이(611)의 타측 단부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걸이 몸체(6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길이 조절부(70)는 하부 걸이 삽입부(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걸이 삽입부(71)는 상기 상부 걸이(611)의 타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걸이 삽입부(71) 및 상기 상부 걸이(611)는 상기 하부 걸이(612)가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걸이(612)보다 큰 직경 또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걸이(612)는 상기 하부 걸이 삽입부(71)로 삽입된 후 상기 하부 걸이(612)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걸이(612)가 상기 하부 걸이 삽입부(71)에 삽입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상부 걸이(611)가 상기 하부 걸이(612)에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부 걸이 삽입부(71)라 칭하고 있으나, 상기 하부 걸이(612)의 삽입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이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걸이 삽입부(71)는 하부 걸이 삽입홀(7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걸이 삽입홀(711)은 상기 하부 걸이(612)가 삽입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걸이 삽입홀(711)은 상기 하부 걸이(612)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걸이 삽입홀(711)은 상기 하부 걸이 삽입부(71)로부터 상기 상부 걸이(611)의 내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걸이 삽입홀(711)으로 삽입된 하부 걸이(612)는 상기 상부 걸이(611)의 내부까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길이 조절부(70)는 다수의 가이드 홈(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 홈(72)은 상기 하부 걸이(612)의 일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 홈(72)은 상기 하부 걸이(612)와 함께 상기 하부 걸이 삽입부(7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 홈(72)은 상기 하부 걸이(612)가 상기 하부 걸이 삽입부(7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걸이 삽입부(71)에 삽입된 다수의 가이드 홈(72)은 상기 하부 걸이 삽입부(71)의 내부에 제공되는 돌기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하부 걸이 삽입부(71)로 삽입되는 다수의 가이드 홈(72)에 상기 하부 걸이 삽입부(71)의 돌기가 걸림 고정되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걸이 몸체(6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다수의 가이드 홈이라 칭하고 있으나, 래크로 칭할 수 있다.
상기 길이 조절부(70)는 조절스위치(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스위치(73)는 상기 하부 걸이 삽입부(71)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절스위치(73)는 상기 하부 걸이 삽입부(71)의 내부에 제공되는 돌기가 상기 다수의 가이드 홈(72)에 걸림 고정되는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절스위치(73)를 작동하면, 상기 다수의 가이드 홈(72)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 홈에 걸림 고정된 돌기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 홈(72)으로부터 상기 돌기가 해제되면, 상기 하부 걸이(612)는 상기 하부 걸이 삽입부(7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조절스위치(73)를 조작하여 상기 다수의 가이드 홈(72)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 홈에 걸림 고정된 돌기가 분리되도록 하여, 상기 걸이 몸체(6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길이 조절부(70)가 상기 걸림부(60)에 제공되면, 상기 걸이 몸체(61)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걸이 몸체(61)의 길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얼굴에 상기 마스크 장치(2)가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걸이(611)를 상기 하부 걸이(612)로부터 분리 가능하여, 사용자의 귀에 착용이 편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3)는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1)의 특정 부분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3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3)의 일부 구성은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1)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그래서, 제3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3)의 설명에서 생략되는 부분은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1)와 동일하며, 동일한 설명을 인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1)에서 변형된 제3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3)의 특정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3)는 마스크 몸체(10), 제1에어클리너(20) 및 제2에어클리너(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3)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에 결합되는 제5걸림부(80)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에 결합되는 제6걸림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3)는 상기 제5걸림부(80)와 상기 제6걸림부(9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5걸림부(80), 상기 제6걸림부(90) 및 상기 연결모듈(100)은 사용자의 머리에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5걸림부(80), 상기 제6걸림부(90) 및 상기 연결모듈(100)은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는 모자, 헬멧 등에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5걸림부(80)는 몸체를 형성하는 제5걸이 몸체(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걸이 몸체(81)에 상기 제1에어클리너(2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5걸이 몸체(81)의 일측은 상기 제1에어클리너(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5걸이 몸체(81)의 타측은 상기 연결모듈(1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5걸이 몸체(81)는 고리 또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5걸이 몸체(81)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귀가 위치하거나, 사용자의 귀가 미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5걸이 몸체(81)에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가 장착되기 위한 덕트 관통홀, 끈 관통홀, 전선관 관통홀, 걸림후크 결합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5걸이 몸체(81)의 타측은 제1커넥터(8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811)는 상기 연결모듈(100)의 일측에 상기 제5걸이 몸체(81)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811)는 상기 연결모듈(100)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모듈(100)의 일측은 상기 제1커넥터(811)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811)가 상기 연결모듈(100)의 일측에 삽입되는 삽입 길이에 의해 상기 연결모듈(100)과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사이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커넥터(811)가 상기 연결모듈(100)의 일측에 삽입되는 삽입 길이에 의해 상기 제5걸이 몸체(81)의 길이가 길이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5걸이 몸체(81)의 길이가 조절되면, 사용자의 머리, 헬멧, 모자 등에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6걸림부(90)는 몸체를 형성하는 제6걸이 몸체(9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6걸이 몸체(91)에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6걸이 몸체(91)의 일측은 상기 제2에어클리너(4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6걸이 몸체(91)의 타측은 상기 연결모듈(1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6걸이 몸체(91)는 고리 또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6걸이 몸체(91)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귀가 위치하거나, 사용자의 귀가 미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6걸이 몸체(91)에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40)가 장착되기 위한 덕트 관통홀, 끈 관통홀, 전선관 관통홀, 걸림후크 결합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6걸이 몸체(91)의 타측은 제2커넥터(9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911)는 상기 연결모듈(100)의 타측에 상기 제6걸이 몸체(91)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911)는 상기 연결모듈(100)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모듈(100)의 타측은 상기 제2커넥터(911)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911)가 상기 연결모듈(100)의 타측에 삽입되는 삽입 길이에 의해 상기 연결모듈(100)과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사이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커넥터(911)가 상기 연결모듈(100)의 타측에 삽입되는 삽입 길이에 의해 상기 제6걸이 몸체(91)의 길이가 길이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6걸이 몸체(91)의 길이가 조절되면, 사용자의 머리, 헬멧, 모자 등에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모듈(100)은 몸체를 형성하는 연결모듈 몸체(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모듈(100)은 상기 제5걸이 몸체(81)의 일 단부와 상기 제6걸이 몸체(91)의 일 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모듈 몸체(101)는 상기 제1커넥터(811)가 삽입되는 제1커넥터 삽입부(1011)와 상기 제2커넥터(911)가 삽입되는 제2커넥터 삽입부(10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 삽입부(1011)는 상기 연결모듈 몸체(101)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커넥터 삽입부(1012)는 상기 연결모듈 몸체(101)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811)는 상기 제1커넥터 삽입부(1011)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2커넥터(911)는 상기 제2커넥터 삽입부(101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모듈 몸체(101)는 제1조절부(1013)와 제2조절부(10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조절부(1013)는 상기 제1커넥터 삽입부(1011)에 삽입되어 고정된 제1커넥터(811)를 분리하기 위한 버튼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조절부(1014)는 상기 제2커넥터 삽입부(1012)에 삽입되어 고정된 제2커넥터(911)를 분리하기 위한 버튼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811) 및 상기 제2커넥터(911)가 상기 제1커넥터 삽입부(1011) 및 상기 제2커넥터 삽입부(1012)에 삽입되는 길이에 따라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연결모듈 몸체(101)는 보조배터리(1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배터리(105)는 상기 제1에어클리너(20)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40)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보조배터리(105)는 상기 연결모듈 몸체(101)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모듈 몸체(101)에는 상기 보조배터리(105)가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홈(1015)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장착홈(1015)은 상기 보조배터리(105)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장착홈(1015)은 상기 연결모듈 몸체(101)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배터리(105)는 상기 배터리 장착홈(1015)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모듈 몸체(10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모듈 몸체(101)는 상기 보조배터리(105)의 전원을 상기 제1커넥터(811) 및 상기 제2커넥터(911) 중 적어도 하나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커넥터(811) 및 상기 제2커넥터(911)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연결모듈 몸체(101)는 소켓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811) 및 상기 제2커넥터(911)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연결모듈 몸체(101)에 연결되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5걸이 몸체(81) 및 제6걸이 몸체(91)의 내부에는 상기 보조배터리(105)의 전원을 제1에어클리너(20) 및 제2에어클리너(40)로 전달하기 위한 전선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배터리(105)가 상기 연결모듈(100)에 장착되면, 상기 마스크 장치(3)로 전원을 추가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보조배터리(105)에 의해 상기 마스크 장치(3)의 작동 시간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무게를 가지는 보조배터리(105)가 상기 연결모듈(100)에 배치되기에 상기 마스크 장치(3)의 무게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배터리(105)를 이용하여 상기 마스크 장치(3)의 배터리(26)를 충전하거나, 상기 보조배터리(105)의 전원을 우선적으로 소비하여 상기 마스크 장치(3)의 배터리(26)에 대한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1: 마스크 장치 10: 마스크 몸체
20: 제1에어클리너 28: 제1이탈방지부
30: 제1걸림부 40: 제2에어클리너
48: 제2이탈방지부 50: 제2걸림부
60: 걸림부 70: 길이 조절부
80: 제5걸림부 90: 제6걸림부
100: 연결모듈

Claims (20)

  1. 입과 코를 커버하는 마스크 몸체;
    상기 마스크 몸체의 양측에 연결되고, 외부 공기를 여과하여 상기 마스크 몸체로 공급하는 팬 모듈 및 필터모듈이 구비되는 복수의 에어클리너; 및
    상기 복수의 에어클리너에 일부가 결합되고, 나머지 일부가 머리에 고정되는 복수의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몸체는,
    외부로 노출되는 일측을 정의하는 제1커버;
    상기 입과 코가 위치하는 호흡 공간을 정의하고, 하나 이상의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의 하방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유출구가 구비되는 제2커버; 및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에어클리너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유입구로 전달하는 상부 공간과 상기 유출구로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하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공간은,
    상기 복수의 에어클리너 중 어느 하나에서 여과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를 상기 유입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시키고, 상기 마스크 몸체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유로; 및
    상기 복수의 에어클리너 중 다른 하나에서 여과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를 상기 유입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시키고, 상기 마스크 몸체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유로를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1유로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호흡 공간으로 공급하고, 상기 코의 전방 일측에 위치하는 제1유입구; 및
    상기 제2유로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호흡 공간으로 공급하고, 상기 코의 전방 타측에 위치하는 제2유입구를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공간은,
    상기 제1유로를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제1유입구를 향해 유동되도록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제1유입가이드; 및
    상기 제2유로를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제2유입구를 향해 유동되도록 유동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유입가이드를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는,
    상기 입의 전방 일측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제1유출구; 및
    상기 입의 전방 타측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제2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출구 및 상기 제2유출구는, 상기 제1유입구 및 상기 제2유입구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마스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 중 어느 하나로부터 나머지 하나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마스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몸체는, 상기 하부 공간으로부터 외부 공간으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마스크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마스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와 상기 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체크 밸브가 더 포함되는 마스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 중 어느 하나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체결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구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구를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몸체는,
    상기 제1커버의 일측과 상기 제2커버의 일측 사이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공간 및 상기 하부 공간의 일측면을 정의하고, 상기 복수의 에어클리너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제1커버의 타측과 상기 제2커버의 타측 사이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공간 및 상기 하부 공간의 타측면을 정의하고, 상기 복수의 에어클리너 중 다른 하나가 연결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클리너는,
    상기 팬 모듈 및 상기 필터모듈이 내측에 위치하는 유동공간 및 상기 유동공간과 구분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클리너 몸체; 및
    상기 클리너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유동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구가 구비되는 클리너 커버를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 몸체는, 상기 유동공간에서 여과된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덕트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상부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덕트가 삽입되는 덕트 삽입홀을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 몸체는, 내부에 중공을 가지고,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전선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하부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전선관이 삽입되는 전선관 삽입홀을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패킹을 더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15. 입과 코가 위치하는 흡입 공간을 정의하고, 상기 흡입 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상부 공간 및 상기 흡입 공간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하부 공간이 내부에 구비되는 마스크 몸체;
    상기 마스크 몸체의 양측에 연결되고, 외부의 공기를 여과하여 상기 상부 공간으로 공급하는 팬 모듈 및 필터모듈이 구비되는 복수의 에어클리너; 및
    상기 복수의 에어클리너에 일부가 결합되고, 나머지 일부가 머리에 고정되는 복수의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몸체는,
    상기 코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공간과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유입구;
    상기 입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공간과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유출구; 및
    상기 하부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마스크 몸체의 하방으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토출구를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몸체는,
    외면을 형성하는 전면;
    상기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입과 코의 전방에 위치하는 배면; 및
    상기 전면 및 상기 배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나머지 하나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상부 공간과 상기 하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공간에는, 상기 유입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유동 가이드가 포함되는 마스크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 및 상기 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체크 밸브가 제공되는 마스크 장치.
  19.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에 결합되고, 코 전방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유입구 및 입 전방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유출구가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전면 커버 및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흡입 유로;
    상기 전면 커버 및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서 상기 흡입 유로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토출 유로;
    상기 전면 커버 및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연결되고, 외부 공기를 여과하여 상기 흡입 유로로 공급하는 팬 모듈 및 필터모듈이 구비되는 복수의 에어클리너; 및
    상기 복수의 에어클리너에 일부가 결합되고, 나머지 일부가 머리에 고정되는 복수의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커버 및 상기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유출구를 통과하여 상기 토출 유로로 배출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토출구가 더 포함되는 마스크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에어클리너에서 여과된 공기는, 상기 흡입 유로의 내부를 수평하게 유동하고,
    상기 유출구를 통과하여 상기 토출구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흡입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수직하게 유동하는 마스크 장치.
KR1020190089154A 2018-12-26 2019-07-23 마스크 장치 KR2020008011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72,940 US11738220B2 (en) 2018-12-26 2019-11-04 Mask device
EP19217383.9A EP3673958B1 (en) 2018-12-26 2019-12-18 Mask device
CN201911345014.6A CN111375152B (zh) 2018-12-26 2019-12-24 口罩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622 2018-12-26
KR20180169622 2018-1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112A true KR20200080112A (ko) 2020-07-06

Family

ID=71571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154A KR20200080112A (ko) 2018-12-26 2019-07-23 마스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01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9219A (ko) * 2020-08-09 2022-02-16 (주)코리아테크 측면 고정부재와 코 덮개를 포함하는 필터 교체형 마스크
WO2022035005A1 (ko) * 2020-08-09 2022-02-17 (주)코리아테크 측면 고정부재와 코 덮개를 포함하는 필터 교체형 마스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9219A (ko) * 2020-08-09 2022-02-16 (주)코리아테크 측면 고정부재와 코 덮개를 포함하는 필터 교체형 마스크
WO2022035005A1 (ko) * 2020-08-09 2022-02-17 (주)코리아테크 측면 고정부재와 코 덮개를 포함하는 필터 교체형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7983B1 (ko) 마스크 장치
CN111375152B (zh) 口罩装置
EP3673960A2 (en) Mask device
EP3673959B1 (en) Mask device
TWI792313B (zh) 口罩裝置
KR20200115946A (ko) 마스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80110A (ko) 마스크 장치
CN113750385B (zh) 口罩装置
KR102526087B1 (ko) 마스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80112A (ko) 마스크 장치
CN113749327A (zh) 口罩装置
CN115633815A (zh) 口罩装置
KR20200079932A (ko) 마스크 장치
KR102280604B1 (ko) 마스크 장치
KR102663281B1 (ko) 마스크 장치
CN111317928B (zh) 口罩装置
KR102669695B1 (ko) 마스크 장치
KR102669697B1 (ko) 마스크 장치
CN116940401A (zh) 口罩装置
KR20200085183A (ko) 마스크 장치
KR20200088057A (ko) 마스크 장치
KR102494130B1 (ko) 마스크 장치
KR102549599B1 (ko) 마스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161763A (ko) 마스크 장치
KR20230013350A (ko) 마스크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