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4651A - 날숨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 - Google Patents

날숨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651A
KR20190104651A KR1020180024976A KR20180024976A KR20190104651A KR 20190104651 A KR20190104651 A KR 20190104651A KR 1020180024976 A KR1020180024976 A KR 1020180024976A KR 20180024976 A KR20180024976 A KR 20180024976A KR 20190104651 A KR20190104651 A KR 20190104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base frame
seating portion
air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9518B1 (ko
Inventor
김필립
Original Assignee
김필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필립 filed Critical 김필립
Priority to KR1020180024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518B1/ko
Publication of KR20190104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tolaryng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날숨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마스크 본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의 날숨시 신속한 공기의 배출을 유도하고 대화시 음량 감소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자의 얼굴 안면부의 코와 입을 감싸는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단에 사용자의 귀에 걸거나 머리 후면부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부에 조립되어 사용자의 날숨시 공기를 배출하고 들숨시에는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날숨용 필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날숨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날숨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 {A Mask with filter assembly for exhaling}
본 발명은 날숨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날숨시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고 대화시 음량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날숨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나 바이러스의 미세먼지가 호흡기를 통해 인체 내부로 유입되거나 감기 바이러스 등의 공기중 유출로 인해 다른 사람에게 피해가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한편 최근에는 황사나 매연 등의 오염물질 및 사스 바이러스 등으로 인해 사계절 내내 마스크의 사용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다양한 형태의 마스크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마스크의 일 예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85363호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걸이 밴드 길이 조절구가 구비된 호흡기용 보건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안면의 코와 입을 덮는 안면커버와 안면 커버를 양쪽 귀에 걸어 고정하는 끈 형태의 탄성 재질 걸이 밴드를 삽입 수용하게끔 합성수지 재질로 양쪽 대칭의 길다란 복수 개 경사벽 사이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중간에 형성된 접이부를 중심으로 접이가 가능하게 좌우 2 분할된 양쪽 대칭의 양 날개 형태 복수 개 밀착지지편으로 전체가 양면 대칭 접이식의 직사각형 외관으로 사출 성형되어 걸이 밴드를 밀착 수용하는 걸이 밴드 길이 조절구가 안면 커버 양 측면에 각각 고정 체결되어 안면부 형상 및 크기에 따라서 밴드길이 조절구로 걸이 밴드의 끈 길이를 조절하는 걸이 밴드 길이 조절구가 구비된 구조이다.
그런데 상기 등록실용신안에 제안된 마스크의 안면 커버는 통상적인 구조로서 필터 기능을 수행하게끔 부직포 등의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공기의 여과 성능을 갖기는 하지만 미세먼지의 여과가 극히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감기 바이러스 등의 유입 등을 차단하기 위한 항균기능 역시 제한적이다.
또한 상기 마스크는 빗물이 닿게 되면 신속하게 흡수되므로 호흡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습기를 머금은 마스크가 피부에 접촉시 불쾌감도 유발하게 된다. 특히 마스크가 습기를 머금은 경우 사용자의 호흡에 어려움이 있고, 날숨시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시키기도 어렵고, 타인과의 대화시 음량이 외부로 충분히 전달되기 어려워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다.
아울러 안면 커버의 재질이 부직포로 이루어짐에 따라 안면에 마스크를 착용시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착용하더라도 바람이 세게 부는 경우 안면 커버의 형상 변형이 발생하면서 얼굴 안면에 접촉되는 경우 불쾌감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안면 커버 후면 상부와 하부에 분리된 커버 형태의 덮개가 형성되어 있지만 사용자의 얼굴 표면에 제대로 밀착되지 못해 틈새로 호흡하는 공기의 입출이 쉽게 일어나 방진 효과가 매우 낮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스크 본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의 날숨시 신속한 공기의 배출을 유도하고 대화시 음량 감소도 최소화할 수 있는 날숨용 필터 조립체를 갖는 방진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미세먼지의 여과 효율을 높임은 물론 얼굴에 착용시 바람 등의 영향으로 인한 형상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고 마스크에 습기가 흡수 및 침투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습기의 피부 접촉으로 인한 불쾌감이 없고 각종 세균이 호흡기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항균 기능도 구비한 방진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을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얼굴 안면부의 코와 입을 감싸는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단에 사용자의 귀에 걸거나 머리 후면부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부에 조립되어 사용자의 날숨시 공기를 배출하고 들숨시에는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날숨용 필터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날숨용 필터 조립체는 마스크 본체의 후방에서 관통부에 끼워져 지지되되 복수의 공기 배출공을 갖는 격벽에 의해 전방에는 제1안착부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제2안착부가 구분 형성되는 베이스틀과, 상기 베이스틀의 제1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공기 배출공을 개폐하는 판형상의 실리콘 패드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전방에서 상기 베이스틀의 전반부에 결합되며 통기공이 형성되는 마감캡과, 상기 베이스틀의 제2안착부에 착탈식으로 구비되는 교체용 필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숨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마스크 본체의 중앙에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틀은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의 전방 및 후방을 제1안착부 및 제2안착부로 나누는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에는 복수의 공기 배출공이 중앙부에서 일정거리를 유지하며 방사상으로 복수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전방 외부면에는 마감캡을 결합하기 위한 제1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실리콘 패드는 상기 베이스틀의 격벽 전면에 밀착되며 중앙부는 상기 마감캡에 의해 가압되게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틀의 제2안착부에서 제1안착부 방향으로 공기가 이동하면 격벽의 공기 배출공을 개방하고, 제1안착부에서 제2안착부 방향으로 공기가 이동하면 격벽의 공기 배출공을 폐쇄하며; 상기 마감캡은 몸체 후측으로 개구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내부벽면에 베이스틀의 제1걸림턱에 걸쳐지는 제2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중앙에는 공간부의 중앙 방향으로 베이스틀의 제1안착부에 안착된 실리콘 패드의 중앙부를 베이스틀의 격벽 중앙부에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전방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통기공을 갖는 네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틀은 상기 몸체의 후측 외부면에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관통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지지부의 후면에 지지되는 제1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실리콘 패드는 가장자리를 따라 절개부로 구획되는 복수의 탄성날개가 구비되며; 상기 마감캡의 후측 외부면에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관통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지지부의 전면에 지지되는 제2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교체용 필터는 몸체의 후단 일측에 상기 베이스틀의 제2안착부에 안착된 교체용 필터를 분리시 마스크 사용자가 잡아당길 수 있는 손잡이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마스크 본체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표면에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복수의 제1 및 제2입출공이 형성되는 전방 및 후방 하우징과, 상기 전방 및 후방 하우징의 사이에 구비되어 미세먼지를 여과하는 여과필터와, 상기 전방 및 후방 하우징의 상단테두리 및 하단테두리에 일단부가 일체로 고정되며 타단부는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는 상측 및 하측 지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 본체 중앙에 날숨시에 원활하게 공기가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 날숨용 필터 조립체를 구비하여 마스크를 착용하여 날숨시 신속하게 공기가 배출됨은 물론 대화시 음량이 감소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 본체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제1 및 제2입출공이 형성되는 마스크 본체 내부에 여과필터를 구비하여 미세먼지의 여과 효율을 높임은 물론 얼굴에 착용시 바람 등의 영향으로 인한 형상 변형을 최소화하여 마스크 본체가 얼굴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본체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빗물 등이 여과필터로 흡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습기의 피부 접촉으로 인한 불괘감이 없고 항균 코팅층을 마스크 본체 내부에 형성하여 각종 세균이 호흡기 내로 침투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날숨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날숨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날숨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의 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날숨용 필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날숨용 필터 조립체의 설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날숨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날숨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날숨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날숨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1)는 사용자의 얼굴 안면부의 코와 입을 감싸는 마스크 본체(100)와,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양단에 사용자의 귀에 걸거나 머리 후면부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부(200)와,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중앙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날숨시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하고 들숨시에는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날숨용 필터 조립체(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마스크 본체(10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표면에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복수의 제1 및 제2입출공(113,123)이 형성되는 전방 및 후방 하우징(110,120)과, 상기 전방 및 후방 하우징(110,120)의 사이에 구비되어 미세먼지를 여과하는 여과필터(130)와, 상기 전방 및 후방 하우징(110,120)의 상단테두리 및 하단테두리에 일단부가 일체로 고정되며 타단부는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는 상측 및 하측 지지부재(140,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 하우징(110)은 제1몸체(111)의 전면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1몸체(111)의 가장자리를 따라 후방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밀착부(114)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후방 하우징(120)은 제2몸체(121)의 후면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2몸체(121)의 가장자리를 따라 전방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밀착부(124)가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밀착부(114,124)는 전방 및 후방 하우징(110,120)을 결합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전방 및 후방 하우징(110,120)은 인체에 무해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의 재질로서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의 휘어져 호흡기를 감쌀 수 있는 구조로서, 표면이 매끄럽도록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하거나 필름을 열압착하여 표면이 매끄럽게 성형한다. 이 경우 0.3 ~ 0.5mm 두께의 필름(film)의 형태로 제작시 탄성이 존재하여 전방 및 후방 하우징(110,120)의 제1 및 제2밀착부(114,124)가 접합되는 경우에도 양측의 휘어짐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전방 및 후방 하우징(110,120)은 제1 및 제2밀착부(114,124)를 단차지게 형성하는 경우 접합부(P1)를 형성하여 일체로 결합하면 여과필터(130)가 안착될 수 있는 수용공간(100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접합부(P1)는 접착제를 제1 또는 제2밀착부(114,124)에 도포하거나 제1 및 제2밀착부(114,124)를 열융착하여서 접합시킬 수 있다. 물론 열융착시에는 외부 공기가 제1 및 제2밀착부(114,124) 사이의 틈새를 통해 수용공간(100a)으로 유출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고르게 융착하여 일체로 접합시킴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방 하우징(110)의 제1몸체(111) 표면에는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복수의 제1입출공(113)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 하우징(120)의 제2몸체(121) 표면에는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복수의 제2입출공(12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입출공(113,123)은 마스크(1)의 사용자가 착용하여 호흡을 하는 경우 공기가 출입하기 위한 것으로, 그 직경은 0.3 ~ 0.5mm의 원형으로 성형함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타원형으로 형성함도 가능하다.
힌편 상기 전방 하우징(110)의 제1몸체(111) 표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요홈(112)가 형성되고 그 제1요홈(112)에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복수의 제1입출공(113)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 하우징(120)의 제2몸체(121) 표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2홈부(122)가 형성되고 그 제2홈부(122)에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복수의 제2입출공(123)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홈부(112,122)는 직경 2 ~ 3mm이고 깊이 1 ~ 1.5mm인 원형홈의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제1 및 제2홈부(112,122)에는 0.3 ~ 0.5mm의 원형으로 관통되는 제1 및 제2입출공(113,123)이 각각 하나 이상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3 ~ 5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1 및 제2홈부(112,122)와 제1 및 제2입출공(113,123)의 크기는 다양하게 변형 설계할 수 있고 이와 같은 변형정도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홈부(112,122)가 수용공간(100a)에 안착되는 여과필터(130)를 가압하여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입출공(113,123)의 수를 늘릴 수 있어 원활한 공기 입출을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방 하우징(110)의 후면과 후방 하우징(120)의 전면에는 냄새제거, 미립분진 제거, 항균, 포름알데히드 분해 효능이 우수한 토르말린(tourmaline) 또는 피톤치드 원액 또는 희석액을 이용한 항균 코팅층(115,125)이 더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호흡시 제1 및 제2입출공(113,123)을 통해 수용공간(100a)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미세 분진 및 세균의 제거 및 항균 효능 발휘를 통해 세균의 전염 또는 확산을 차단할 수 있다. 특히 피톤치드 원액 또는 희석액을 도포하여 항균 코팅층(115,125)을 형성하는 경우 청량감도 느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때, 상기 피톤치드 희석액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피톤치드 원액과 물을 1 : 100 ~ 10 : 100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필터(130)는 전방 하우징(110)의 제1입출공(113)을 통해 수용공간(100a)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 중의 먼지를 포집하기 위해 부직포필터를 사용하지만, 필요에 따라 헤파필터(Hepa Filter)를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부직포필터, 헤파필터 이외에도 다양한 필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다양한 필터를 적층하여 수용공간(100a)에 구비함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여과필터(130)는 미리 성형된 전방 하우징(110)과 후방 하우징(120) 사이에 위치시킨 후 전방 및 후방 하우징(110,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제1 및 제2밀착부(114,124)의 접합부(P1)에 의해 수용공간(100a) 내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측 및 하측 지지부재(140,150)는 유연하며 전방 및 후방 하우징(110,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제2밀착부(124)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제2밀착부(114)에 열융착하여서 접합부(P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합부(P2)를 열융착으로 형성하는 경우 제2밀착부(24)에 열융착이 가능하도록 상측 및 하측 지지부재(140,150)는 PP 또는 PE재질의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측 및 하측 지지부재(140,150)는 일단부가 전방 및 후방 하우징(110,120)의 상단테두리 및 하단테두리 즉 제1 및 제2밀착부(114,124)에 일단부가 일체로 고정되며 타단부는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된다. 이 경우 콧등과 볼 사이의 밀착부위의 들뜸 방지하고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 재질의 코받침구(160)가 콧등이 밀착되는 상기 상측 지지부재(140)의 안쪽면에 일체로 고정된다.
이때 코받침구(160)는 콧등이 밀착되는 코안착홈(162)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측 지지부재(140)의 안쪽면과 코받침구(160) 사이에는 철사와 같이 외력을 가하면 변형 상태를 유지하는 형상조절용 금속재(170)가 구비되어 사용시 사용자의 콧등 형상에 따라 형상조절용 금속재(170)를 적절하게 누르거나 굽혀 코받침구(160)의 형상 변형을 유지시켜 콧등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 경우 피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형상조절용 금속재(170)는 은닉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코받침구(160)는 내부에 중공부(164)가 형성되어 콧등에 눌리는 경우 자연스럽게 콧등을 감싸게 된다.
이러한 상측 및 하측 지지부재(140,150)는 PP 또는 PE재질의 부직포로 이루어짐에 따라 접합부(P2)를 중심으로 상하로 접힘이 가능하다. 따라서 마스크(1)의 사용 전에는 상측 및 하측 지지부재(140,150)의 타단부를 후방 하우징(120)의 후면 방향으로 접고, 마스크(1)를 사용시에는 상측 및 하측 지지부재(140,150)의 타단부가 얼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측 및 하측 지지부재(140,150)의 타단부를 후방 하우징(120)의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젖혀 펼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양단에 사용자의 귀에 걸거나 머리 후면부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부(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와이어 형상의 귀걸이(201)를 사용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마스크 본체(100)의 양단에 머리 뒤쪽을 감싸는 좌우측 밴드부를 구비하고, 그 좌우측 밴드부에 각각 암수 밸크로테이프를 결합하여 탈부착이 용이하게 구성함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고정부(200)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함은 자명하다.
한편,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중앙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날숨시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날숨용 필터 조립체(300)는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부(101)에 조립된다. 이 경우 마스크 본체(100)는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하거나 필름을 열 프레스가공하여 제작하거나 부직포만으로 제작함도 가능한 것으로 중앙에 관통부(101)를 형성하고, 날숨용 필터 조립체(300)를 조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날숨용 필터 조립체(300)는 마스크 본체(100)의 후방에서 관통부(101)에 끼워져 지지되되 복수의 공기 배출공(312a)을 갖는 격벽(312)에 의해 전방에는 제1안착부(313)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제2안착부(314)가 구분 형성되는 베이스틀(310)과, 상기 베이스틀(310)의 제1안착부(313)에 안착되어 상기 공기 배출공(312a)을 개폐하는 판형상의 실리콘 패드(320)와,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전방에서 상기 베이스틀(310)의 전반부에 결합되며 통기공(332a)이 형성되는 마감캡(330)과, 상기 베이스틀(310)의 제2안착부(314)에 착탈식으로 구비되는 교체용 필터(340)로 구성된다.
우선 마스크 본체(100)의 중앙에는 관통부(101)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지지부(101a)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01a)는 상기 날숨용 필터 조립체(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부(101a)는 전방 및 후방 하우징(110,120)을 결합하기 위해 형성되는 제1 및 제2밀착부(114,124)와 마찬가지로 전방 및 후방 하우징(110,120)을 일체로 결합되어 내부의 필터수단(13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융착 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스크 본체(100)의 관통부(101)에는 베이스틀(310)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끼워진다.
이때 상기 베이스틀(310)은 고무 또는 PP 등의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311)의 전방 및 후방을 제1안착부(313) 및 제2안착부(314)로 나누는 격벽(312)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312)에는 복수의 공기 배출공(312a)이 중앙부에서 일정거리를 유지하며 방사상으로 복수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된다. 이와 같은 공기 배출공(312a)은 마스크(1) 사용자가 날숨시 제2안착부(314)에서 제1안착부(313)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통로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틀(310)의 몸체(311)의 후측 외부면에는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관통부(101)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지지부(101a)의 후면에 지지되는 제1지지턱(315)이 형성되며, 몸체(311)의 전방 외부면에는 마감캡(330)을 결합하기 위한 제1걸림턱(316)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실리콘 패드(320)는 베이스틀(310)의 제1안착부(313)에 안착되는 것으로, 베이스틀(310)의 제2안착부(314)에서 제1안착부(313) 방향으로 공기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격벽(312)의 공기 배출공(312a)을 개방하고, 제1안착부(313)에서 제2안착부(314) 방향으로 공기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격벽(312)의 공기 배출공(312a)을 폐쇄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실리콘 패드(320)는 베이스틀(310)의 격벽(312) 전면에 밀착되며 중앙부는 상기 마감캡(330)에 의해 가압되는 구조로서, 마스크 사용자의 날숨시에는 베이스틀(310)의 제2안착부(314)에서 제1안착부(313) 방향으로 공기가 이동하며 가장자리가 전방으로 젖혀지며 격벽(312)의 공기 배출공(312a)이 개방되고, 공기 흐름이 없거나 마스크 사용자의 들숨시에는 실리콘 패드(320)의 복원력 또는 베이스틀(310)의 제2안착부(314)에서 제1안착부(313) 방향으로 공기가 이동으로 인해 가장자리가 격벽(312)의 공기 배출공(312a)을 폐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실리콘 패드(320)는 가장자리를 따라 절개부(321)로 구획되는 복수의 탄성날개(322)가 구비되어, 마스크 사용자의 날숨시 베이스틀(310)의 제2안착부(314)에서 제1안착부(313) 방향으로 공기가 이동하면 공기압에 의해 탄성날개(322)가 전방으로 더욱 젖혀지며 격벽(312)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공기 배출공(312a)의 개방면적이 더욱 넓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감캡(330)은 마스크 본체(100)의 전방에서 상기 베이스틀(310)의 전반부에 결합되어 제2안착부(314)에서 제1안착부(313) 방향으로 이동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기공(332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마감캡(330)은 고무 또는 PP 등의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몸체(331) 후측으로 개구된 공간부(333)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333)의 내부벽면에 베이스틀(310)을 결합하기 위한 제2걸림턱(334)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331)의 중앙에는 공간부(333)의 중앙 방향으로 베이스틀(310)의 제1안착부(313)에 안착된 실리콘 패드(320)의 중앙부를 베이스틀(310)의 격벽(312) 중앙부에 가압하는 가압돌기(335)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331)의 전방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통기공(332a)을 갖는 네트부(332)가 형성된다. 이 경우 네트부(332)는 마감캡(330)을 사출성형시 일체로 형성함도 가능하나, 네트부(332)는 금속망으로 이루어져 마감캡(330)을 성형시 인서트하여 사출하여 일체로 성형함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마감캡(330)의 후측 외부면에는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관통부(101)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지지부(101a)의 전면에 지지되는 제2지지턱(336)이 더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마스크 본체(100)의 관통부(101)에 후방에서 베이스틀(310)의 몸체(311)를 삽입하여 제1지지턱(315)을 마스크 본체(100)의 관통부(101)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지지부(101a)의 후면에 지지한 상태에서 실리콘 패드(320)를 제1안착부(313)에 안착시키고, 마감캡(330)을 마스크 본체(100)의 관통부(101) 전방으로 가압하여 제2걸림턱(334)을 베이스틀(310)의 제1걸림턱(316)에 결합하게 되면 베이스틀(310)과 마감캡(330)이 일체로 결합되어 분리가 방지된다.
이러한 결합상태는 마감캡(330)의 가압돌기(335)가 실리콘 패드(320)의 중앙부를 베이스틀(310)의 격벽(312) 중앙부로 가압하는 상태가 되어 실리콘 패드(320)의 가장자리만 전방으로 젖혀지는 것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베이스틀(310)과 마감캡(330)의 결합시 제1지지턱(315) 및 제2지지턱(336)이 마스크 본체(100)의 관통부(101)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지지부(101a)의 후면과 전면에 각각 밀착되어 그 틈새를 통해 공기가 여과없이 유출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구조는 전체적으로 날숨용 필터 조립체(300)의 설치 및 조립을 간단하게 한다.
한편, 상기 교체용 필터(340)는 상기 베이스틀(310)의 제2안착부(314)에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것으로, 마스크를 사용시 1회용으로 사용한 후 새로운 교체용 필터(340)로 교체하여 사용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교체용 필터(340)는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스폰지를 사용함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교체용 필터(340)는 천연섬유 부직포, 합성섬유 부직포, 스폰지 등을 하나 이상 적층하여 제조된 적층형 필터로 이루어짐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교체용 필터(340)는 상기 베이스틀(310)의 제2안착부(314)에 장착시 이탈이 방지되도록 제2안착부(314)의 수용부피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피(또는 외형)를 크게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교체용 필터(340)는 몸체(341)의 후단 일측에 손잡이(342)가 돌출형성되어 교체용 필터(340)의 몸체(341)가 상기 베이스틀(310)의 제2안착부(313)에 장착되는 경우 손잡이(342)가 베이스틀(310)의 후단 외측에 노출되는 구조여서, 추후 교체용 필터(340)를 분리시 마스크 사용자가 손잡이(342)를 잡아당기면 쉽게 분리가 가능하다.
상기 교체용 필터(340)에는 피톤치드 원액 또는 희석액을 도포하거나 분사하여 마스크 사용중 항균기능은 물론 청량감도 느낄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피톤치드 희석액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피톤치드 원액과 물을 1 : 100 ~ 10 : 100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교체용 필터(340)는 마스크 사용자가 교체하는 새로운 교체용 필터(340)의 위생적인 관리 및 피톤치드 향의 휘발을 방지하기 위해 포장지에 밀봉된 상태로 제공하여 교체시 포장지를 뜯어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된 도면으로 전방 및 후방 하우징(110,120)의 제1 및 제2몸체(111,121)를 매끄러운 형태로 성형한 후 공지(公知)의 성형장치인 펀치로 제1 및 제2입출공(113,123)을 타공하여 제1 및 제2입출공(113,123)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 및 제2버어(burr)(113a,123a)를 형성한다. 이때 펀칭 가공시 열을 가해 제1 및 제2입출공(113,123) 가장자리를 따라 제1 및 제2버어(113a,123a)가 형성된 후 그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펀치로 제1몸체(11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가압 성형함으로서 제1버어(113a)가 후방으로 불규칙적으로 형성되는 제1입출공(113)을 성형하며, 제2몸체(121)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가압 성형함으로서 제2버어(123a)가 전방으로 불규칙적으로 형성되는 제2입출공(123)을 성형한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버어(113a,123a)는 공기의 입출시 먼지를 1차로 잡아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버어(113a)는 사용자의 들숨시에 외부공기가 제1입출공(113)을 통해 유입시 잡아주며, 상기 제2버어(123a)는 사용자의 날숨시에 공기가 제2입출공(123)을 통해 배출시 잡아주는 기능을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 마스크 100: 마스크 본체
100a: 수용공간 110: 전방 하우징
111: 제1몸체 112: 제1요홈
113: 제1입출공 114: 제1밀착부
115: 항균 코팅층 120: 후방 하우징
121: 제2몸체 122: 제2홈부
123: 제2입출공 124: 제2밀착부
125: 항균 코팅층 130: 여과필터
140: 상측 지지부재 150: 하측 지지부재
160: 코받침구 170: 형상조절용 금속재
200: 고정부 300: 날숨용 필터 조립체
310: 베이스틀 320: 실리콘 패드
330: 마감캡 340: 교체용 필터

Claims (4)

  1. 사용자의 얼굴 안면부의 코와 입을 감싸는 마스크 본체(100)와,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양단에 사용자의 귀에 걸거나 머리 후면부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부(200)와,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부(101)에 조립되어 사용자의 날숨시 공기를 배출하고 들숨시에는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날숨용 필터 조립체(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날숨용 필터 조립체(300)는 마스크 본체(100)의 후방에서 관통부(101)에 끼워져 지지되되 복수의 공기 배출공(312a)을 갖는 격벽(312)에 의해 전방에는 제1안착부(313)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제2안착부(314)가 구분 형성되는 베이스틀(310)과, 상기 베이스틀(310)의 제1안착부(313)에 안착되어 상기 공기 배출공(312a)을 개폐하는 판형상의 실리콘 패드(320)와,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전방에서 상기 베이스틀(310)의 전반부에 결합되며 통기공(332a)이 형성되는 마감캡(330)과, 상기 베이스틀(310)의 제2안착부(314)에 착탈식으로 구비되는 교체용 필터(3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숨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중앙에는 관통부(101)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지지부(101a)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틀(310)은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311)의 전방 및 후방을 제1안착부(313) 및 제2안착부(314)로 나누는 격벽(312)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312)에는 복수의 공기 배출공(312a)이 중앙부에서 일정거리를 유지하며 방사상으로 복수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상기 몸체(311)의 전방 외부면에는 마감캡(330)을 결합하기 위한 제1걸림턱(316)이 형성되며;
    상기 실리콘 패드(320)는 상기 베이스틀(310)의 격벽(312) 전면에 밀착되며 중앙부는 상기 마감캡(330)에 의해 가압되게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틀(310)의 제2안착부(314)에서 제1안착부(313) 방향으로 공기가 이동하면 격벽(312)의 공기 배출공(312a)을 개방하고, 제1안착부(313)에서 제2안착부(314) 방향으로 공기가 이동하면 격벽(312)의 공기 배출공(312a)을 폐쇄하며;
    상기 마감캡(330)은 몸체(331) 후측으로 개구된 공간부(333)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333)의 내부벽면에 베이스틀(310)의 제1걸림턱(316)에 걸쳐지는 제2걸림턱(334)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331)의 중앙에는 공간부(333)의 중앙 방향으로 베이스틀(310)의 제1안착부(313)에 안착된 실리콘 패드(320)의 중앙부를 베이스틀(310)의 격벽(312) 중앙부에 가압하는 가압돌기(335)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331)의 전방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통기공(332a)을 갖는 네트부(3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숨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틀(310)은 상기 몸체(311)의 후측 외부면에는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관통부(101)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지지부(101a)의 후면에 지지되는 제1지지턱(315)이 형성되고;
    상기 실리콘 패드(320)는 가장자리를 따라 절개부(321)로 구획되는 복수의 탄성날개(322)가 구비되며;
    상기 마감캡(330)의 후측 외부면에는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관통부(101)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지지부(101a)의 전면에 지지되는 제2지지턱(336)이 형성되며;
    상기 교체용 필터(340)는 몸체(341)의 후단 일측에 상기 베이스틀(310)의 제2안착부(314)에 안착된 교체용 필터(340)를 분리시 마스크 사용자가 잡아당길 수 있는 손잡이(342)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숨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10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표면에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복수의 제1 및 제2입출공(113,123)이 형성되는 전방 및 후방 하우징(110,120)과, 상기 전방 및 후방 하우징(110,120)의 사이에 구비되어 미세먼지를 여과하는 여과필터(130)와, 상기 전방 및 후방 하우징(110,120)의 상단테두리 및 하단테두리에 일단부가 일체로 고정되며 타단부는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는 상측 및 하측 지지부재(140,1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숨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
KR1020180024976A 2018-03-02 2018-03-02 날숨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 KR102079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976A KR102079518B1 (ko) 2018-03-02 2018-03-02 날숨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976A KR102079518B1 (ko) 2018-03-02 2018-03-02 날숨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651A true KR20190104651A (ko) 2019-09-11
KR102079518B1 KR102079518B1 (ko) 2020-02-21

Family

ID=67949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976A KR102079518B1 (ko) 2018-03-02 2018-03-02 날숨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5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3585A (ko) 2020-04-29 2021-11-08 노경숙 들숨과 날숨 영역이 구분된 마스크
KR20220019480A (ko) * 2020-08-10 2022-02-17 조성진 투명 나노 공기순환 통풍구조의 필터 착탈형 기능성 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0013A (ko) 2020-02-28 2021-09-07 설진영 마스크용 필터 스티커
KR20210111485A (ko) 2020-03-03 2021-09-13 설진영 마스크용 필터 스티커
KR102229781B1 (ko) * 2020-03-25 2021-03-18 김형득 방진 마스크
KR102244875B1 (ko) * 2020-03-25 2021-04-26 김형득 보건 마스크
KR102185275B1 (ko) 2020-06-18 2020-12-01 윤흥수 마스크용 호흡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240B1 (ko) * 2006-06-13 2008-05-07 김종화 방진마스크
KR101072467B1 (ko) * 2009-05-11 2011-10-11 (주)파인텍 걸이 밴드 길이조절을 위한 구조를 일체로 형성한 방진마스크
KR101729639B1 (ko) * 2017-01-26 2017-04-24 조기형 마스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240B1 (ko) * 2006-06-13 2008-05-07 김종화 방진마스크
KR101072467B1 (ko) * 2009-05-11 2011-10-11 (주)파인텍 걸이 밴드 길이조절을 위한 구조를 일체로 형성한 방진마스크
KR101729639B1 (ko) * 2017-01-26 2017-04-24 조기형 마스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3585A (ko) 2020-04-29 2021-11-08 노경숙 들숨과 날숨 영역이 구분된 마스크
KR20220019480A (ko) * 2020-08-10 2022-02-17 조성진 투명 나노 공기순환 통풍구조의 필터 착탈형 기능성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518B1 (ko) 2020-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9518B1 (ko) 날숨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
KR102082624B1 (ko) 필터교체 기능을 갖는 날숨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
KR100878072B1 (ko) 방진마스크
KR101140281B1 (ko) 코, 입 분리형 마스크
KR102113556B1 (ko) 측면용 날숨배출장치가 구비된 마스크
KR101840108B1 (ko) 미세먼지제거용 마스크
KR20070042720A (ko) 방진마스크
US20180250537A1 (en) Facemask with Pleated Filter and Continuous Strap
KR102028050B1 (ko) 마스크 호흡용 조립체
KR102023730B1 (ko) 호흡통로구분마스크
WO2017011784A1 (en) Facemask with filter insert for protection against airborne pathogens
KR102179117B1 (ko) 호흡용 마스크
KR102079515B1 (ko) 방진 마스크
KR102086137B1 (ko) 기능성이 향상된 마스크
KR102096354B1 (ko) 호흡용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
KR102331231B1 (ko) 다용도 안면마스크
KR200434575Y1 (ko) 코 마스크
CN101558912A (zh) 防尘口罩
KR100610155B1 (ko)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
CN215873534U (zh) 面罩和面罩嵌件
KR102573128B1 (ko) 비말 감염 예방용 플라스틱 마스크
WO2014194817A1 (zh) 空气过滤组件及鼻用空气过滤装置
KR20200144883A (ko)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JP2007021032A (ja) マスク
KR102540576B1 (ko) 다공성 흡배기 튜브 끈이 구비된 위생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