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155B1 -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 - Google Patents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155B1
KR100610155B1 KR1020040080578A KR20040080578A KR100610155B1 KR 100610155 B1 KR100610155 B1 KR 100610155B1 KR 1020040080578 A KR1020040080578 A KR 1020040080578A KR 20040080578 A KR20040080578 A KR 20040080578A KR 100610155 B1 KR100610155 B1 KR 100610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opening
mask
filte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0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1517A (ko
Inventor
은익수
Original Assignee
은익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익수 filed Critical 은익수
Priority to KR1020040080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155B1/ko
Publication of KR20060031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1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2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필터가 코부위만을 포위하여 코로 유입되는 유해물질을 필터링함으로써 마스크 착용에 따른 답답함을 제거하고 자유롭게 대화도 나눌 수 있게 하는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코를 에워싸되 콧구멍들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개폐공이 마련되는 필터와, 상기 콧구멍에서의 공기의 배출 및 흡입에 따라 상기 개폐공을 개방 및 폐쇄하는 개폐판을 구비하는 코장착체; 상기 코장착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통기성이 우수한 그물구조(망사)의 천으로서, 상기 코장착체와 사용자의 입부위를 덮는 은폐막; 및 상기 은폐막의 좌우 양측에 하나씩 결합되어, 상기 코장착체를 착용자의 코에 고정시키는 좌우 한쌍의 착용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마스크, 먼지, 코, 은폐막, 개폐판

Description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MASK HAVING A FILTER CAP FOR CONTAINING A NOSE}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며, 도면에서 대응되는 부분을 지정하는 번호는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마스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은폐막과 코장착체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고리의 구성과 그 사용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a는 도 2a에서 코장착체를 발췌하여 상세하게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코장착체의 구성요소들을 결합한 상태에서의 측단면도이고,
도 5a는 도 4b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를 B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 6a는 코장착체의 필터와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코장착체 40a,40b : 착용끈
50 : 은폐막 310 : 프레임
320 : 필터 322 : 개폐공
324 : 장착공 330 : 개폐판
332 : 박판 334 : 고정돌기
340 : 결합포켓
본 발명은 대기환경중의 유해가스나 먼지 등이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마스크(mask)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부위만을 필터로 포위하여 코로 유입되는 유해물질을 필터링(filtering)하는 동시에 그 위에 망사의 은폐막을 덧붙여 입주위까지 덮음으로써 마스크 착용에 따른 어색함과 답답함을 제거하고 자유롭게 대화도 나눌 수 있는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코와 입을 막음으로써 외부로부터 병원균의 침입을 방지하고, 보균자의 경우 자신의 병원균이 대기를 통해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되며, 먼지 등 이물질의 비산이 많은 장소에서 착용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일반적인 마스크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상의 마스크(10)는 입과 코로 유입되는 분진을 차단하기 위해 입과 코를 덮는 통기성의 직물로 된 덮개(12)와, 이 덮개(12)를 얼굴에 고정시켜 주는 고정끈(14a,14b)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마스크는 사용자의 입과 코를 단순히 덮는 것에 불과하므로 장시간 계속해서 착용하다 보면 마스크가 얼굴에서 밀려 내려가게 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마스크의 상하와 앞뒤가 뚜렷하게 구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코 및 입과 닿는 마스크의 접촉부분이 사용할 때마다 매번 달라지는 문제가 있어 위생적이지 못했다.
또한, 종래 마스크는 입과 코를 동시에 막기 때문에 호흡하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과 대화를 할 때는 착용하고 있던 마스크를 벗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만약 마스크를 벗지 않고 대화를 하게 되면 입술 사이에 마스크가 끼고 말소리를 분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마스크는 알레르기성 비염이 있을 경우 마스크를 통과하지 못한 병원균이 인체로 침입하여 비염이 재발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감기에 걸릴 경우 마스크를 착용하면 병원균의 유입이나 유출이 방지되는 장점은 있으나, 장시간 착용하면 입김에 의해 마스크가 오염되어 오히려 병원균의 침입을 유도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신체건강을 저해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마스크는 장시간 착용하고 있으면 마스크 내부에 채워진 입김에 의해 마스크 면이 축축해져서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게 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피부가 오랫동안 입김과 접촉되어 피부 트러블(trouble)이 생기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안경을 쓰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마스크 내부의 더운 입김이 마스크로 인해 전방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코로 인해 간격이 뜬 마스크의 윗쪽틈새로 대부분 배출되어 안경을 뿌옇게 만들기 때문에 사용자의 시야를 흐리게 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므로 매우 불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코부위만을 필터로 포위하여 코로 유입되는 유해물질을 필터링하는 동시에 그 위에 망사의 은폐막을 덧붙여 입주위까지 덮음으로써 마스크 착용에 따른 어색함과 답답함을 제거하고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정확한 발음이 가능하여 원활한 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면에 따른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를 에워싸되 콧구멍들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개폐공이 마련되는 필터와, 콧구멍에서의 공기의 배출 및 흡입에 따라 상기 개폐공을 개방 및 폐쇄하는 개 폐판을 구비하는 코장착체; 및 상기 코장착체의 좌우 양측에 하나씩 결합되어, 상기 코장착체를 착용자의 코에 고정시키는 좌우 한쌍의 착용끈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면에 따른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를 에워싸되 콧구멍들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개폐공이 마련되는 필터와, 상기 콧구멍에서의 공기의 배출 및 흡입에 따라 상기 개폐공을 개방 및 폐쇄하는 개폐판을 구비하는 코장착체; 상기 코장착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통기성이 우수한 그물구조(망사)의 천으로서, 상기 코장착체와 사용자의 입부위를 덮는 은폐막; 및 상기 은폐막의 좌우 양측에 하나씩 결합되어, 상기 코장착체를 착용자의 코에 고정시키는 좌우 한쌍의 착용끈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결합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은폐막과 코장착체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고리의 구성과 그 사용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1)는 코를 에워싸도록 장착되며 외부공기를 필터링하여 유입시키는 코장착체(30)와, 이 코장착체(30)를 사용자의 코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귀에 거는 좌우 한쌍의 착용끈들(40a,40b) 및, 코장착체(30)의 외측에 결합되어 코장착체(30)를 은폐하면서 입주변을 덮는 은폐막(50)을 구비한다. 물론, 한쌍의 착용끈들(40a,40b)을 코장착체(30)의 양측으로 결합시켜 은폐막(50) 없이 코장착체(30)만을 착용할 수 있다. 하지만, 도 2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은폐막(50)의 내측상부에 코장착체(30)를 고정하고, 양측 귀들과 대응되는 은폐막(50)의 양측연에 착용끈들(40a,40b)을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은폐막(50)은 가는 눈(구멍)들을 가진 망사 천으로 구성되며, 가는 눈들을 통해 그가 덮고 있는 내부와 외부의 공기유동이 자유롭게 된다. 즉, 은폐막(50)은 마치 가는 눈들을 가진 모기장과 같아서 공기유동은 자유롭지만, 그가 덮고 있는 코장착체(30)와 사용자의 입주위를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은폐하게 된다. 이 은폐막(50)은 다양한 색상의 천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미색이나 피부색과 흡사한 살색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마스크가 은은하게 코와 입주변을 덮으므로써 마스크의 착용시 어색함을 줄이고 마스크의 미려함을 한층 더하게 된다.
은폐막(5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내측상단에 결합고리(60)를 구비하되, 결합고리(60)의 일단은 은폐막(50)에 재봉 등의 방법으로 고정시키고 그 타단은 은폐막(50)에서 착탈가능한, 예를 들어 매직테잎(magic tape: 일명 찍찍이)(62)을 부착시켜 구성한다. 이때, 매직테잎(62)의 숫부재(62a) 및 암부재(62b) 중 어느 일측부재는 결합고리(60)에 고정하고, 숫부재(62a) 및 암부재(62b) 중 타측부재는 은폐막(50)의 내면에 고정하여 결합고리(60)의 착탈단부가 은폐막(50)에 결합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결합고리(60)를 코장착체(30)의 프레임(310)에 끼워서 결합고리(60)의 착탈단부를 매직테잎(62)으로 은폐막(50)에 부착시킴에 의해 은폐막(60)에 코장착체(30)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매직테잎을 이용한 착탈결합구조 외에도 은폐막(50)과 코장착체(30)는 접착이나 재봉 등으로 완전히 결합될 수 있다.
코장착체(30)는 사용자의 코형상에 부합되는 형태로서, 일정한 강성을 가진 가요성(可撓性)의 소재로 만들어지고, 코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여과하기 위하여 전체적으로 필터로 되어 있다. 특히, 콧구멍과 대면하고 있는 부위에는 개폐공(미도시)이 형성되고, 착용자의 들숨과 날숨에 따라 개폐공을 개폐하는 개폐판(미도시)을 구비하고 있다. 이 코장착체(30)의 자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도 4a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4a는 도 2a에서 코장착체를 발췌하여 상세하게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코장착체의 구성요소들을 결합한 상태에서의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5a는 도 4b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를 B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코장착체(30)는 사용자의 코에 장착되어 코로 유입되는 외기를 필터링하여 공급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코를 포위할 수 있도록 사람의 보편적인 코형상에 상응하는 형태와 크기로 형상화되며, 가요성 (flexible) 소재로 제조되어 사용자의 코형태에 맞도록 형태를 약간 변형하여 조절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특성의 코장착체(30)는 외기를 여과하여 공급하는 필터(filter;320)와, 뼈대역할을 하는 동시에 필터(320)를 코에 밀착시켜 주는 프레임(frame;310)을 구비하고 있다. 필터(320)는 성형에 의해 코형상에 부합되도록 제조되며, 무엇보다도 착용시 사용자의 코표면으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편안함을 줄 수 있도록 성형된다.
이러한 필터(320)로는 헤파(hepa)필터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나아가 활성탄을 첨가하여 살균력을 배가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유해한 세균이나 곰팡이 및 먼지를 살균여과할 수 있는 다양한 필터가 적용될 수 있다.
필터(320)는 특히 후방이 개구되어 코에 덮어씌워 코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며, 필터(320)의 아래쪽, 구체적으로는 콧구멍과 대면하고 있는 부분에는 개폐공(322)이 천공되며, 이 개폐공(322)은 양 콧구멍을 포함할 수 있는 크기로 천공된다. 이 개폐공(322)을 개폐하도록 개폐판(330)이 결합되어 있다. 개폐판(330)은 고무재질의 탄성박판으로, 원상태에서는 필터(320)에 밀착되어 개폐공(322)을 폐쇄하고 있다가 필터(320)내측에서 압력이 발생하면 그 압력에 의해 밀착된 개폐공(322)으로부터 이격되면서 개폐공(322)을 개방하고, 작용하고 있던 압력이 제거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필터(320)에 밀착되어 개폐공(322)을 폐쇄하게 된다. 부연설명하면, 개폐공(322)은 개폐판(330)에 의해 코로 숨을 내쉴 때는 개방되어 개폐공(322)을 통해 신속하게 내부공기가 배출되고, 반대로 숨을 들여마 실 때는 폐쇄되어 필터(320)를 통해 여과된 공기가 코로 유입되게 한다. 위와 같은 동작의 개폐판(330)은 개폐공(322)을 덮을 수 있는 크기의 대략 원형 또는 타원형의 박판(332)과, 이 박판(332)의 중심부에서 돌출되는 고정돌기(334)로 구성된다. 이 고정돌기(334)를 개폐공(322)의 중심에 마련된 장착공(324)에 강제로 가압하면 탄성에 의해 삽입되면서 결합된다. 그 결과, 개폐판(330)은 그 중심부의 고정돌기(334)만이 개폐공(322)의 중심에 마련된 장착공(324)에 결합되어, 고정돌기(334)의 외측으로 펼쳐진 박판(332)은 언제든지 외력에 의해 탄성으로 변형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배출압 및 흡입압의 외력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위의 고정돌기(334)는 박판(332)의 중심부가 아니어도 무방하며, 장착공(324) 또한 개폐공(322)의 중심위치가 아니어도 된다. 다만, 고정돌기(334)는 박판(332)의 내측의 어느 위치로부터 돌출하면 되고, 장착공(324)은 개폐공(322)과 인접한 필터(320)에 형성되어 있으면 족하다.
프레임(310)은 코장착체(30)를 지탱하고 형태를 유지시키는 골격으로서, 사용자의 코에 적합하게 변형이 가능하도록 가요성의 금속이나 합성수지재가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코의 형상에 부합되어 착용감을 좋게 하기 위하여 형상기억합금 등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프레임(3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좌우한쌍의 세로대들(312a,312b)과, 상하방향으로 상단, 중간, 하단의 가로대들(314a,314b,314c)을 결합시켜 구성된다. 이때, 상단, 중간, 하단의 가로대들(314a,314b,314c)의 양단부들은 안면과 평행하게 절곡되어 필터(320)의 가장자리를 코와 인접한 안면에 밀착되게 눌러주고, 특히 하단 가로대(314c)는 코와 입 사이에 밀착되어 필터(320) 하단부의 밀착성을 좋게 한다.
물론, 하나의 세로대와 하나의 가로대 만으로도 코형태의 골격을 유지시킬 수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예시한 바와 같이 좌우한쌍의 세로대들(312a,312b)과 상하단 및 중간의 가로대들(314a,314b,314c)도 함께 배치하는 것이 좋다. 나아가, 필터(320)의 개폐공(322)은 좌우한쌍의 세로대들(312a,312b)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제작상 및 개폐판의 동작상 용이하다.
도 6a는 코장착체의 필터와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320)의 상하좌우의 가장자리에는 프레임(310)의 단부들이 진입되어, 프레임(310)과 필터(320)를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포켓(pocket;340)들을 마련하고 있다. 이 결합포켓(340)들은 천이나 합성수지 등을 필터(320)에 부착시키되, 안쪽으로 개구되게 하여 구성된다. 천이나 합성수지를 필터(320) 가장자리에 부착하는 방법으로는 재봉이나 접착 또는 핀 등의 결합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결합포켓(340)은 가로대들(314a,314b,314c)의 양단이 진입되는 부위에 칸막이 처리가 되어 정해진 위치로 분리되어 진입될 수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고, 나아가 세로대들(312a,312b)의 단부도 진입될 수 있으면 더욱 좋다. 이와 같이 필터(320)와 프레임(310)은 결합포켓(340)을 통해 프레임(310)을 쉽게 필터(320)에 결합하고, 필터(320)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사용수명이 다한 필터 (320)를 쉽게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필터교환이 용이하고, 조립이 간편하여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7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들 및 전술한 도 2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작용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마스크의 코장착체(30)를 코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양쪽에 마련된 착용끈들(40a,40b)을 사용자의 양쪽 귀에 걸어 착용한다. 그러면, 코장착체(30)의 필터(320)는 가요성의 탄성 프레임(310)에 의해 착용자의 코에 밀착되어 완벽하게 코를 에워싸게 된다. 즉, 코장착체(30)의 프레임(310)은 코장착체(30)의 가장자리가 코에 밀착되어 틈새가 생기지 않게 한다. 또한, 은폐막(50)은 코장착체(30)의 외측에 부착되어 코장착체(30)를 차폐하면서 착용자의 입부분도 은폐하여 외부에서 볼 때 마스크를 쓴 것과 같은 느낌을 준다. 이로 인해, 코를 감싸고 있는 코모양의 코장착체(3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코모양의 코장착체(30)가 보여짐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우수꽝스럽고 쑥쓰러운 느낌을 제거한다. 이때, 은폐막(50)과 코장착체(30)가 살색을 띄면 마스크는 보다 자연스러움을 연출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가 코로 숨을 내쉬면 코장착체(30)의 탄성 개폐판(330)은 밀착되어 있던 개폐공(322)으로부터 이격되면서 폐쇄하고 있던 필터(320)의 개폐공(322)을 개방한다. 그에 따라서, 착용자의 날숨은 개폐공(322)을 통해 곧바로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나서, 외기를 들여마시면 개방 되어 있던 개폐판(330)은 그 자체복원력 및 흡입력에 의하여 원상태로 복귀하여 필터(320)의 개폐공(322)을 폐쇄하게 된다. 그 결과, 유입되는 외기는 필터(320)를 통하여 외기중에 포함된 유해한 물질, 예컨대 세균이나 먼지 등이 여과되어 코로 유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평상시 일반적으로 호흡하는 코부분에만 필터(320)를 적용하고 입부분은 통기성이 매우 높은 망사의 은폐막(50)으로만 덮음으로써,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대화를 나누기가 용이하다. 나아가, 입에서 배출되는 습기 등이 은폐막(50)의 가는 눈들을 통해 전방으로 완전히 배출됨으로써 마스크에 습기가 차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는 코로 유입되는 유해물질을 차단함으로써 코에서 발생되는 각종 질병을 예방할 수 있으며, 오염된 공기나 냄새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구성이 간단하여 조립성이 우수하고 제작비가 절감되는 잇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마스크는 사람의 코 모양에 맞추어 코를 감싸도록 필터가 설계되어 있고 입부분은 필터가 적용되어 있지 않으므로 호흡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착용감이 우수하고 마스크가 흘러내리지 않는다.
또한, 본 마스크는 입부분이 가는 눈들을 가진 망사의 은폐막으로만 덮여 있으므로 입김이 가는 눈들을 통해 바로 배출되고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정확한 발음 전달이 가능하여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타인과 원활하게 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마스크의 통기성을 높이고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원활한 대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마스크에 코를 감싸는 별도의 코장착체를 구비함에 의하여 마스크가 얼굴에서 흘러내리지 않고 착용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사용자의 코를 에워싸되 콧구멍들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개폐공이 마련되는 필터와, 콧구멍에서의 공기의 배출 및 흡입에 따라 상기 개폐공을 개방 및 폐쇄하는 개폐판을 구비하는 코장착체; 및
    상기 코장착체의 좌우 양측에 하나씩 결합되어, 상기 코장착체를 착용자의 코에 고정시키는 좌우 한쌍의 착용끈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판은 탄성의 박판과, 이 박판의 중심부에서 돌출하는 탄성의 고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공은 그 중심상에 상기 필터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장착공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공에 상기 고정돌기를 탄성가압하여 상기 개폐판의 중심부가 상기 필터의 개폐공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
  2. 사용자의 코를 에워싸되 콧구멍들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개폐공이 마련되는 필터와, 상기 콧구멍에서의 공기의 배출 및 흡입에 따라 상기 개폐공을 개방 및 폐쇄하는 개폐판과, 코의 형태에 부합되는 형태로서 상기 필터의 외측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필터의 가장자리를 코에 밀착시켜 기밀성을 유지시키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코장착체;
    상기 코장착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통기성이 우수한 그물구조(망사)의 천으로서, 상기 코장착체와 사용자의 입부위를 덮는 은폐막; 및
    상기 은폐막의 좌우 양측에 하나씩 결합되어, 상기 코장착체를 착용자의 코에 고정시키는 좌우 한쌍의 착용끈을 포함하는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가요성의 소재로, 적어도 하나이상의 가로대와 적어도 하나이상의 세로대를 코형태로 결합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는 상단, 중간, 하단의 일정간격 이격한 3개의 가로대들로 구성되며, 상기 세로대는 일정간격 이격한 좌우한쌍의 세로대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은폐막의 내측에는 일단은 재봉되어 고정되며, 타단은 매직테잎에 의해 상기 은폐막으로부터 착탈가능한 결합고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고리를 상기 프레임에 끼워 상기 코장착체를 상기 은폐막의 내면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
  7.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프레임의 단부들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포켓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성형방법에 의해 코형태에 부합되게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헤파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헤파필터의 구성물질에 활성탄을 첨가하여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은 탄성의 박판과, 이 박판의 중심부에서 돌출하는 탄성의 고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공은 그 중심상에 상기 필터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장착공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공에 상기 고정돌기를 탄성가압하여 상기 개폐판의 중심부가 상기 필터의 개폐공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
KR1020040080578A 2004-10-08 2004-10-08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 KR100610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578A KR100610155B1 (ko) 2004-10-08 2004-10-08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578A KR100610155B1 (ko) 2004-10-08 2004-10-08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517A KR20060031517A (ko) 2006-04-12
KR100610155B1 true KR100610155B1 (ko) 2006-08-10

Family

ID=37141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0578A KR100610155B1 (ko) 2004-10-08 2004-10-08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015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248B1 (ko) * 2011-09-30 2013-04-12 조기형 마스크
KR102026892B1 (ko) * 2019-02-28 2019-11-04 구본균 코수용공간 및 교체식 필터카트리지를 갖는 안면마스크
KR200492269Y1 (ko) * 2020-02-18 2020-09-08 이남수 초미세 여과성능과 마스크 교환 및 교체 사용성이 개선된 고성능 노즈 필터 마스크
KR102154505B1 (ko) * 2019-09-06 2020-09-10 강윤식 마스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674B1 (ko) * 2015-06-17 2017-03-28 신용문 마스크
CN107308565A (zh) * 2017-07-01 2017-11-03 高级全球创新有限公司 一种新型过滤口罩
KR102286176B1 (ko) * 2019-11-18 2021-08-05 (주)엠케이산업 미세먼지용 코 마스크
KR102379644B1 (ko) * 2020-04-15 2022-03-25 김태준 코,입 분리형 마스크
KR102503387B1 (ko) * 2020-10-06 2023-02-24 (주)플러스미 호흡 개선형 마스크용 호흡 보조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830Y1 (ko) 1999-11-05 2000-04-15 최종길 일회용 방진마스크
KR200257107Y1 (ko) 1999-05-29 2001-12-24 노승근 방독마스크
KR20020057107A (ko) * 2000-12-30 2002-07-11 구자홍 냉장고
KR200296073Y1 (ko) 2002-08-03 2002-11-23 김영일 마스크
KR20020096073A (ko) * 2001-06-15 2002-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엘피지 붐베의 압력조절장치
KR200322833Y1 (ko) 2003-05-09 2003-08-14 이시원 안면 마스크
JP2003320043A (ja) 2002-05-08 2003-11-11 Tsubota:Kk マスク構造体およびマスク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107Y1 (ko) 1999-05-29 2001-12-24 노승근 방독마스크
KR200179830Y1 (ko) 1999-11-05 2000-04-15 최종길 일회용 방진마스크
KR20020057107A (ko) * 2000-12-30 2002-07-11 구자홍 냉장고
KR20020096073A (ko) * 2001-06-15 2002-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엘피지 붐베의 압력조절장치
JP2003320043A (ja) 2002-05-08 2003-11-11 Tsubota:Kk マスク構造体およびマスク
KR200296073Y1 (ko) 2002-08-03 2002-11-23 김영일 마스크
KR200322833Y1 (ko) 2003-05-09 2003-08-14 이시원 안면 마스크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2571070000
2002960730000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248B1 (ko) * 2011-09-30 2013-04-12 조기형 마스크
KR102026892B1 (ko) * 2019-02-28 2019-11-04 구본균 코수용공간 및 교체식 필터카트리지를 갖는 안면마스크
KR102154505B1 (ko) * 2019-09-06 2020-09-10 강윤식 마스크 장치
KR200492269Y1 (ko) * 2020-02-18 2020-09-08 이남수 초미세 여과성능과 마스크 교환 및 교체 사용성이 개선된 고성능 노즈 필터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517A (ko) 200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072B1 (ko) 방진마스크
KR101627973B1 (ko) 다용도 마스크
WO2016204455A1 (ko) 마스크
KR102021523B1 (ko) 마우스피스형 마스크
KR20110007565A (ko) 코, 입 분리형 마스크
KR200480161Y1 (ko) 복식호흡 구조를 갖는 패션형 마스크
KR101785801B1 (ko)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KR20070042720A (ko) 방진마스크
KR20180025098A (ko) 커버 및 필터 교체식 마스크
KR20100132661A (ko) 부착형 코마스크
KR20170104196A (ko) 미세먼지제거용 마스크
KR20190104651A (ko) 날숨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
KR20200023033A (ko) 스포츠용 마스크
KR20200116431A (ko) 코마스크
KR102188331B1 (ko) 입과 코 분리형 마스크
KR102177023B1 (ko) 끈이 없고 입을 감싸면서 코에 삽입하여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KR100610155B1 (ko)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
KR101703408B1 (ko)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WO2023086609A1 (en) Combined face shield and mask assembly
KR102086137B1 (ko) 기능성이 향상된 마스크
KR20220025620A (ko) 통기량이 확대되는 투명 마스크 장치
KR20210060062A (ko) 미세먼지용 코 마스크
KR102573128B1 (ko) 비말 감염 예방용 플라스틱 마스크
KR102327702B1 (ko) 광물 미세분말을 도포한 교체형 필터가 구비된 기능성 마스크
KR20210000416U (ko) 페이스 실드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