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505B1 - 마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마스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4505B1 KR102154505B1 KR1020190110744A KR20190110744A KR102154505B1 KR 102154505 B1 KR102154505 B1 KR 102154505B1 KR 1020190110744 A KR1020190110744 A KR 1020190110744A KR 20190110744 A KR20190110744 A KR 20190110744A KR 102154505 B1 KR102154505 B1 KR 1021545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mask
- user
- layers
- no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4—Donning facili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는,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내측 레이어에는 사용자의 코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되는 마스크; 및 상기 홀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내측 레이어와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휨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홀 대응 철심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하는 마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미세 먼지용 마스크, 일상 생활용 마스크, 및 수술실에서 의사나 간호사가 사용하는 수술용 마스크 등 다양한 종류의 마스크들이 알려져 있다.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가 숨을 내쉴 경우, 호기(내 뱉는 숨)에 포함된 습기가 마스크 윗부분으로 배출되며, 안경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장시간 마스크 착용 시 마스크로 가려지는 안면부가 체내에서 배출된 높은 습도의 더운 공기에 접촉되어, 사용자를 불쾌하게 만들고 심한 경우 사용자의 피부 질환을 발생하게 하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종래의 마스크를 사용할 때 호기에 포함된 습기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특히 수술용 마스크를 착용할 때 습기에 의해 안경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의료진의 수술에 장애를 일으킬 수 있고 환자의 안전에 위해를 가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의료종사자들은 수술실에서 장시간 수술 마스크를 착용한 채 근무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고려할 때, 마스크로 가려지는 안면부 피부를 체내로부터 배출된 높은 온도의 습한 공기로부터 보호하여 사용자의 불쾌감을 저감시키는 것도 매우 관심을 끄는 문제이다.
본 개시는 마스크 장치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대표적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는,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내측 레이어에는 착용 시 사용자의 코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되는 마스크; 및 상기 홀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내측 레이어와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휨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홀 대응 철심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에는,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서로 인접한 2개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홀을 통해 공기가 유입 가능한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어느 하나의 제1 재질은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다른 어느 하나의 제2 재질보다 흡습성이 높은 재질이고, 상기 제1 재질을 포함하는 상기 어느 하나의 레이어는 상기 내부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구획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장치는, 상기 마스크의 가장자리와 상기 홀의 가장자리의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내부 공간의 가장자리를 한정하도록, 상기 서로 인접한 2개의 레이어를 상기 내부 공간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접합하는 레이어 접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홀 대응 철심은, 상기 홀의 상측에 배치되는 코 대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홀 대응 철심은, 상기 홀의 하측에 배치되는 인중 대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홀 대응 철심은, 상기 홀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은 사용자의 2개의 콧구멍에 대응하는 2개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2개의 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은 사용자의 코가 삽입되도록 구성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코가 삽입되도록 구성된 홀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홀 대응 철심은, 상기 홀의 상측에 배치되는 코 대응부; 상기 홀의 하측에 배치되는 인중 대응부; 및 상기 코 대응부 및 상기 인중 대응부를 연결하며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장치는, 상기 홀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사용자의 피부에 접착하도록 상기 마스크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의 호기에 포함된 습기가 사용자의 안면부에 접촉되는 현상을 줄임으로써, 사용자가 쾌적하게 마스크를 사용할 수 있게 돕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의 호기에 포함된 습기가 마스크 윗부분으로 배출되는 현상을 저감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안경에 결로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막거나 저감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의 호기가 특정한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게 유도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1)의 내측면(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면)을 바라본 입면도로서, 마스크 장치(1)를 사용하기 전에 홀 대응 철심(50)이 접힌 상태를 보여준다.
도 2는 도 1의 마스크 장치(1)의 내측면이 보이는 사시도로서, 마스크 장치(1)의 사용을 위해 홀 대응 철심(50)의 형상을 변경시킨 상태를 보여준다.
도 3은 도 1의 홀 대응 철심(50)의 입면도로서, 홀 대응 철심(50)을 완전히 편 상태를 보여준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라인 S1-S1'를 따라 마스크 장치(1)를 자른 단면도로서, 도 4a는 도 1의 마스크 장치(1)의 상태를 보여주고, 도 4b는 마스크 장치(1)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1')의 내측면(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면)을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라인 S2-S2'를 따라 마스크 장치(1')를 자른 단면도로서, 마스크 장치(1')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2는 도 1의 마스크 장치(1)의 내측면이 보이는 사시도로서, 마스크 장치(1)의 사용을 위해 홀 대응 철심(50)의 형상을 변경시킨 상태를 보여준다.
도 3은 도 1의 홀 대응 철심(50)의 입면도로서, 홀 대응 철심(50)을 완전히 편 상태를 보여준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라인 S1-S1'를 따라 마스크 장치(1)를 자른 단면도로서, 도 4a는 도 1의 마스크 장치(1)의 상태를 보여주고, 도 4b는 마스크 장치(1)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1')의 내측면(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면)을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라인 S2-S2'를 따라 마스크 장치(1')를 자른 단면도로서, 마스크 장치(1')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상태를 보여준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 "하", "좌", "우" 등의 방향지시어는 첨부된 도면에서 사용자가 마스크 장치(1)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를 기준으로 정의되고, 마스크 장치(1)의 "내측 방향"은 마스크 장치(1)가 사용자의 안면을 바라보는 방향을 의미하며, 마스크 장치(1)의 "외측 방향"은 내측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도 4a 및 도 4b에는 "상(U)", "하(D)", "좌(Le)", "우(Ri)", "내측(I)", "외측(O)" 방향이 도시된다. 이러한 방향의 정의는 어디까지나 본 개시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1)의 내측면(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면)을 바라본 입면도로서, 마스크 장치(1)를 사용하기 전에 홀 대응 철심(50)이 접힌 상태를 보여준다. 도 2는 도 1의 마스크 장치(1)의 내측면이 보이는 사시도로서, 마스크 장치(1)의 사용을 위해 홀 대응 철심(50)의 형상을 변경시킨 상태를 보여준다. 도 3은 도 1의 홀 대응 철심(50)의 입면도로서, 홀 대응 철심(50)을 완전히 편 상태를 보여준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마스크 장치(1)는 수술용 마스크, 일상 생활용 마스크 또는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등일 수 있으나, 도 1은 예시적으로 수술용 마스크 장치(1)를 나타낸다. 마스크 장치(1)는 마스크(10)와 끈(20)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 장치(1)는 사용자의 콧등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상부 철심(30)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 장치(1)는 착용 시 사용자의 콧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홀 대응 철심(50)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10)는 사용자의 코를 덮어줄 수 있다. 마스크(10)는 사용자의 입을 덮어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마스크(10)는 사용자의 코 및 입을 모두 막아주도록 구비된다. 마스크(10)는 그 용도에 따라 투과되는 입자의 크기를 소정 범위 내로 제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마스크(10)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내측면(11)을 포함한다. 내측면(11)은 홀 대응 철심(50)의 내측 방향(I)의 표면을 덮어줄 수 있다. 홀 대응 철심(50)은 내측면(11)에 가려져서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내측면(11)은 상부 철심(30)의 내측 방향(I)의 표면을 덮어줄 수 있다. 상부 철심(30)은 내측면(11)에 가려져서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끈(20)은 사용자가 마스크(10)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끈(20)은 사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끈(20)은 나일론 및 스판덱스(spandex) 등의 직물이나 고무 재질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끈(20)은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도 있고, 끈(20)은 사용자가 묶어주도록 서로 떨어진 제1 끈 및 제2 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부 철심(30)은 마스크(10)의 상측(U) 가장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상부 철심(30)은 사용자의 콧등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철심(30)은 마스크(10)의 상측(U) 가장자리의 중간 부분의 휨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마스크(10)와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철심(3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휨 변형(소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부 철심(30)을 사용자의 콧등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부려, 마스크의 상측 가장자리가 사용자의 안면부에 밀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상부 철심(30)은 좌우 방향(Le, Ri)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부 철심(30)은 내외 방향(I, O)으로 두께를 가진 변형 가능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철심(30)은 아연 도금 철물일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라인 S1-S1'를 따라 마스크 장치(1)를 자른 단면도로서, 도 4a는 도 1의 마스크 장치(1)의 상태를 보여주고, 도 4b는 도 2의 마스크 장치(1)의 상태를 보여준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여, 마스크(10)는 복수의 레이어(lay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레이어는 외측에서부터 내측으로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레이어는 가장자리 부분에서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레이어는 3개의 레이어(10i, 10m, 10o)로 구성되나, 2개의 레이어(10i, 10o)로 구성될 수도 있고, 4개 이상의 레이어(10i, 10m, 10o)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 장치(1)가 수술용인 경우, 마스크 장치(1)는 3개의 레이어(10i, 10m, 10o)를 포함할 수 있다. 수술용 마스크 장치(1)에서, 외측 레이어(10o)는 수술 중 환자로부터 배출될 수 있는 체액 등이 직접 미들 레이어(10m)에 접촉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하고, 내측 레이어(10i)는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체액이 미들 레이어(10m)에 직접 접촉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하며, 미들 레이어(10m)는 체액이 통과하지 못하게 필터 기능을 할 수 있다. 미들 레이어(10m)는 내측 레이어(10i) 및 외측 레이어(10o)보다 더 두껍고 조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내측 레이어(10i)에는 사용자의 코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홀(10h)이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고). 사용자의 콧구멍을 통해 배출된 호기는 홀(10h)을 통해 마스크(10)의 내부 공간(10s)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홀(10h)은 사용자의 2개의 콧구멍에 대응하는 2개의 홀(10h1, 10h2)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홀(10h1, 10h2)은 좌측에 위치하는 제1 홀(10h1)과 우측에 위치하는 제2 홀(10h2)을 포함할 수 있다.
홀(10h)은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적어도 내측 레이어(10i)를 관통하되 적어도 외측 레이어(10o)를 관통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홀(10h)은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내측 레이어(10i)를 관통하되 미들 레이어(10m) 및 외측 레이어(10o)를 관통하지 않는다.
홀(10h)을 통해 호기가 내부 공간(10s)에 유입하여 호기 중 습기가 내부 공간(10s)을 구획하는 레이어에 흡수될 수 있고, 호기가 적어도 외측 레이어(10o)를 투과하여 마스크(1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홀(10h)은 내측 레이어(10i)에만 형성되어, 내부 공간(10s)으로 유입된 공기(도 4b의 화살표 A1 참고)는 미들 레이어(10m) 및 외측 레이어(10o)를 투과하여 마스크(1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도 4b의 화살표 A2 참고).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홀(10h)이 내측 레이어(10i) 및 미들 레이어(10m)를 관통하며 형성되고, 내부 공간(10s)으로 유입된 공기는 외측 레이어(10o)만을 투과하여 마스크(10)의 외측으로 배출되게 할 수도 있다.
마스크(10)에는,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서로 인접한 2개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 공간(10s)이 형성될 수 있다. 홀(10h)은 내부 공간(10s)에 연결된다. 홀(10h)을 통해 내부 공간(10s)으로 공기가 유입 가능하다.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서로 인접한 2개는 가장자리 부분에서 서로 결합되되, 가운데 부분은 서로 벌어지며 내부 공간(10s)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서로 인접한 내측 레이어(10i)와 미들 레이어(10m) 사이에 내부 공간(10s)이 형성되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서로 인접한 미들 레이어(10m)와 외측 레이어(10o) 사이에 상기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도 있고, 미들 레이어(10m)가 없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서로 인접한 내측 레이어(10i)와 외측 레이어(10o) 사이에 상기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레이어는 내측면(11)을 가진 내측 레이어(10i)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레이어는 마스크(10)의 외측 방향(O)의 표면을 가진 외측 레이어(10o)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레이어는 내측 레이어(10i)와 외측 레이어(10o)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내측 레이어(10i)와 외측 레이어(10o)의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레이어(10m)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미들 레이어(10m)는 1개만 구비되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미들 레이어가 구비될 수도 있다.
내측 레이어(10i)는 필터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외측 레이어(10o)는 필터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미들 레이어(10m)는 필터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마스크(10)는 다양한 소재의 직물이나 종이재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1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이나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측 레이어(10i)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을 포함하고, 미들 레이어(10m)의 재질 및 외측 레이어(10o)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복수의 레이어의 각각의 재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어느 하나의 제1 재질은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다른 어느 하나의 제2 재질보다 흡습성이 높은 재질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재질을 포함하는 상기 어느 하나의 레이어는 내부 공간(10s)의 적어도 일부를 구획할 수 있다. 내부 공간(10s)으로 유입된 호기 중의 습기가 상기 내부 공간(10s)의 적어도 일부를 구획하는 제1 재질에 흡수되어, 사용자의 안경에 결로 현상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에 도움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어느 하나인 내측 레이어(10i)의 재질은 상기 제1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다른 어느 하나인 미들 레이어(10m) 또는 외측 레이어(10o)는 상기 제2 재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재질을 포함하는 상기 어느 하나의 레이어(10i)는 내부 공간(10s)의 일부(내측 방향의 경계)를 구획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재질은 Sodium polyacrylate이고 상기 제2 재질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일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b를 참고하여, 홀 대응 철심(50)은 마스크(10)의 중앙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홀 대응 철심(50)은 사용자의 콧구멍의 주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홀 대응 철심(50)은 홀(10h)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유지시키도록 내측 레이어(10i)와 결합될 수 있다. 홀 대응 철심(5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휨 변형(소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홀 대응 철심(50)을 코끝 및 인중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부려, 홀(10h)이 사용자의 콧구멍을 바라보게 배치시킬 수 있다(도 2 및 도 4b 참고).
홀 대응 철심(50)은 내외 방향(I, O)으로 두께를 가진 변형 가능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고). 예를 들어, 홀 대응 철심(50)은 아연 도금 철물일 수 있다.
홀 대응 철심(50)은 홀(10h)의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대응부(51 및/또는 5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대응부(51 및/또는 53)는 홀(10h)의 상측 가장자리 부분 및/또는 홀(10h)의 하측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대응부(51 및/또는 53)는 좌우 방향(Le, Ri)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대응부(51, 53)는 홀(10h)의 상측에 배치되는 코 대응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코 대응부(51)는 좌우 방향(Le, Ri)으로 연장될 수 있다. 코 대응부(51)는 사용자의 코끝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코 대응부(51)는 코 대응부(51)의 중앙 부분에서 좌측 방향(Le)으로 연장되는 제1 코 대응부(51a)와 코 대응부(51)의 중앙 부분에서 우측 방향(Ri)으로 연장되는 제2 코 대응부(5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 대응부(51a)는 좌측 방향(Le)으로 말단을 형성하고, 제2 코 대응부(51b)는 우측 방향(Ri)으로 말단을 형성할 수 있다. 코 대응부(51)의 중앙 부분이 사용자의 코끝 부분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코끝의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1 코 대응부(51a)와 제2 코 대응부(51b)를 구부려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콧구멍을 통해 배출되는 호기가 홀(10h)을 통해 내부 공간(10s)으로 유입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응부(51, 53)는 홀(10h)의 하측에 배치되는 인중 대응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인중 대응부(53)는 좌우 방향(Le, Ri)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인중 대응부(53)는 사용자의 인중(人中)(philtrum)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인중 대응부(53)는 코 대응부(51)보다 좌우 방향(Le, Ri)으로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인중 대응부(53)는 인중 대응부(53)의 중앙 부분에서 좌측 방향(Le)으로 연장되는 제1 인중 대응부(53a)와 인중 대응부(53)의 중앙 부분에서 우측 방향(Ri)으로 연장되는 제2 인중 대응부(5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중 대응부(53a)는 좌측 방향(Le)으로 말단을 형성하고, 제2 인중 대응부(53b)는 우측 방향(Ri)으로 말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인중 대응부(53)의 중앙 부분이 사용자의 인중 부분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인중의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1 인중 대응부(53a)와 제2 인중 대응부(53b)는 구부려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콧구멍을 통해 배출되는 호기가 홀(10h)을 통해 내부 공간(10s)으로 유입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
홀 대응 철심(50)은 적어도 하나의 대응부(51 및/또는 53)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55)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대응부(51, 53)의 위치를 보다 효과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연장부(55)는 좌우 방향(Le, Ri)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55)는 사용자가 구부린 방향에 따라 연장 방향이 달라질 수 있으나, 도 3을 기준으로 설명할 때 연장부(55)는 상하 방향(U, D)으로 연장된다. 연장부(55)는 대응부(51 및/또는 53)의 중간 부분에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55)는 코 대응부(51)의 중간 부분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55)는 인중 대응부(53)의 중간 부분에서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55)는 코 대응부(51) 및 인중 대응부(53)를 서로 연결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55)는 홀(10h)의 좌측(Le) 또는 우측(Ri)에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55)는 좌우 방향(Le, Ri)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55)는 제1 홀(10h1)의 우측(Ri)에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55)는 제2 홀(10h2)의 좌측(Le)에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55)는 2개의 홀(10h1, 10h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오직 1개의 연장부(55)가 구비되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연장부(55)가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코 대응부(51)의 중간 부분 및 인중 대응부(53)의 중간 부분을 연장부(55)가 연결하여, 홀 대응 철심(50)이 전체적으로 H형 형상을 갖는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연장부(55)가 코 대응부(51)의 양단에서 각각 하측으로 연장되어 인중 대응부(53)의 양단으로 각각 연결되게 하여, 상기 홀 대응 철물이 전체적으로 ㅁ형이나 日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a를 참고하여, 홀 대응 철심(50)은 사용 전 상태에서 접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부(55)가 지점(F1) 및 지점(F2)에서 각각 180도 접혀 있을 수 있다. 이 때, 마스크는 내외 방향(I, O)으로 상대적으로 얇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b를 참고하여, 홀 대응 철심(50)은 사용자가 마스크 장치(1)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코끝 부분(M1) 및 인중 부분(M2)의 형상에 대응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부(55)의 지점(F1)이 펴지고, 연장부(55)의 지점(F2) 및 지점(F3)이 약 90° 정도로 구부려지어, 홀 대응 철심(50)이 사용자의 코끝에서 인중까지 연결된 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코 대응부(51)는 코의 형상에 따라 추가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고, 인중 대응부(53)는 인중의 형상에 따라 추가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도 4b를 참고하여, 사용자의 콧구멍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홀(10h)을 통해 내부 공간(10s)으로 유입될 수 있다(화살표 A1 참고). 내부 공간(10s)으로 유입된 공기는 적어도 외측 레이어(10o)를 투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화살표 A2 참고).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상술한 도 1 내지 도 4b에 따른 일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1')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스크 장치(1')의 내측 레이어(10i)에는 사용자의 코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홀(10h')이 형성될 수 있다(도 5 참고). 사용자의 콧구멍을 통해 배출된 호기는 홀(10h')을 통해 마스크(10)의 내부 공간(10s)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홀(10h')은 사용자의 코가 삽입되도록 구성된 홀(10h')을 포함한다.
마스크 장치(1')는 상부 철심(30)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마스크 장치(1')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 대응 철심(50')을 포함할 수 있다. 홀 대응 철심(50')은 사용자의 코의 주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홀 대응 철심(50')은 홀(10h')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유지시키도록 내측 레이어(10i)와 결합될 수 있다. 홀 대응 철심(5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휨 변형(소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홀 대응 철심(50')을 콧등 및 인중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부려, 홀(10h') 내로 사용자의 콧구멍이 형성된 부분을 삽입되게 배치시킬 수 있다(도 6 참고).
홀 대응 철심(50')은 홀(10h')의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대응부(51' 및/또는 5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대응부(51' 및/또는 53')는 홀(10h')의 상측 가장자리 부분 및/또는 홀(10h')의 하측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대응부(51' 및/또는 53')는 좌우 방향(Le, Ri)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대응부(51', 53')는 홀(10h')의 상측에 배치되는 코 대응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코 대응부(51')는 좌우 방향(Le, Ri)으로 연장될 수 있다. 코 대응부(51')는 사용자의 콧등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코 대응부(51')의 양단은 연장부(55a', 55b')에 연결될 수 있다. 코 대응부(51')의 중앙 부분이 사용자의 콧등 부분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콧등의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코 대응부(51')를 구부려 사용할 수 있고, 이 때 제1 연장부(55a') 및 제2 연장부(55b')를 함께 구부려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콧구멍을 통해 배출되는 호기가 홀(10h')을 통해 내부 공간(10s)으로 유입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응부(51', 53')는 홀(10h')의 하측에 배치되는 인중 대응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인중 대응부(53')는 좌우 방향(Le, Ri)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인중 대응부(53')는 사용자의 인중(人中)(philtrum)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인중 대응부(53')는 코 대응부(51')보다 좌우 방향(Le, Ri)으로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인중 대응부(53')의 중앙 부분이 사용자의 인중 부분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인중의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인중 대응부(53')를 구부려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콧구멍을 통해 배출되는 호기가 홀(10h')을 통해 내부 공간(10s)으로 유입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
홀 대응 철심(50')은 적어도 하나의 대응부(51' 및/또는 53')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55')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대응부(51', 53')의 위치를 보다 효과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연장부(55')는 좌우 방향(Le, Ri) 및 상하 방향(U, D)의 사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55')는 사용자가 구부린 방향에 따라 연장 방향이 달라질 수 있으나, 도 5를 기준으로 설명할 때 연장부(55')는 좌우 방향(Le, Ri) 및 상하 방향(U, D)의 사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연장부(55')는 대응부(51' 및/또는 53')의 양단에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55')는 코 대응부(51')의 양단 부분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55')는 인중 대응부(53')의 양단 부분에서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55')는 코 대응부(51') 및 인중 대응부(53')를 서로 연결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55')는 홀(10h')의 좌측(Le) 또는 우측(Ri)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장부(55')는 코가 삽입되도록 구성된 홀(10h')의 양측에 배치된다. 연장부(55')는 홀(10h')의 좌측(Le)에 배치되는 제1 연장부(55a')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55')는 홀(10h')의 우측(Ri)에 배치되는 제2 연장부(5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55a')는 코 대응부(51')의 좌측단에서 좌측 및 하측의 사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부(55a')는 인중 대응부(53')의 좌측단에서 우측 및 상측의 사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부(55b')는 코 대응부(51')의 우측단에서 우측 및 하측의 사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부(55b')는 인중 대응부(53')의 우측단에서 좌측 및 상측의 사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마스크 장치(1')는 마스크(10)의 가장자리와 홀(10h)의 가장자리의 사이의 위치에서 내부 공간(10s)의 가장자리를 한정하도록, 사이에 내부 공간(10s)을 형성하는 서로 인접한 2개의 레이어를 내부 공간(10s)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접합하는 레이어 접합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어 접합부(60)는 적어도 상기 서로 인접한 2개의 레이어(10i, 10m)를 서로 접합할 수도 있고, 복수의 레이어(10i, 10m, 10o)를 모두 접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레이어 접합부(60)는 복수의 레이어(10i, 10m, 10o)에 대해 박음질을 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는 레이어 접합부(50)의 박음질 라인(line)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레이어 접합부(60)를 통해 내부 공간(10s)의 볼륨(volume)을 작아지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배출한 공기가 내부 공간(10s)에 머무르는 양을 줄일 수 있고, 사용자가 배출한 공기를 그대로 다시 들이마시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마스크 장치(1')는 홀(10h')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사용자의 피부에 접착하도록 마스크(10)의 내측면(11)에 배치되는 접착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90)는 홀 대응 철심(50')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홀 대응 철심(50')의 내측 방향에 접착부(90)가 배치될 수 있다. 접착부(90)는 피부에 접착 가능하되 떼어질 수 있는 알려진 다양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부(90)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 마스크 장치, 10: 마스크, 10i: 내측 레이어, 10o: 외측 레이어, 10m: 미들 레이어, 10h: 홀, 10s: 내부 공간, 20: 끈, 30: 상부 철심, 50: 홀 대응 철심, 51, 53: 대응부, 51: 코 대응부, 53: 인중 대응부, 55: 연장부, 60: 레이어 접합부
Claims (11)
-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내측 레이어에는 착용 시 사용자의 2개의 콧구멍에 대응하는 2개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서로 인접한 2개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2개의 홀을 통해 공기가 유입 가능한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마스크; 및
상기 2개의 홀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내측 레이어와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휨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홀 대응 철심을 포함하고,
상기 홀 대응 철심은,
상기 2개의 홀의 상측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 대응부;
상기 2개의 홀의 하측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중 대응부; 및
상기 코 대응부의 중간 부분 및 상기 인중 대응부의 중간 부분을 연결하며 연장되고, 상기 2개의 홀 사이에 배치되고, 완전히 펴진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사용 전 상태에서, 상기 마스크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상태에 비해 내외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얇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연장부는 180도 접히는 지점을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어느 하나의 제1 재질은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다른 어느 하나의 제2 재질보다 흡습성이 높은 재질이고,
상기 제1 재질을 포함하는 상기 어느 하나의 레이어는 상기 내부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구획하는,
마스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가장자리와 상기 홀의 가장자리의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내부 공간의 가장자리를 한정하도록, 상기 서로 인접한 2개의 레이어를 상기 내부 공간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접합하는 레이어 접합부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홀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사용자의 피부에 접착하도록 상기 마스크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0744A KR102154505B1 (ko) | 2019-09-06 | 2019-09-06 | 마스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0744A KR102154505B1 (ko) | 2019-09-06 | 2019-09-06 | 마스크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54505B1 true KR102154505B1 (ko) | 2020-09-10 |
Family
ID=72469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0744A KR102154505B1 (ko) | 2019-09-06 | 2019-09-06 | 마스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450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2219U (ko) | 2020-09-20 | 2020-10-08 | 이광희 | 마스크 |
EP3970808A1 (en) * | 2020-09-18 | 2022-03-23 | Jonathan Méndez Hermant | Mask with compartments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0155B1 (ko) * | 2004-10-08 | 2006-08-10 | 은익수 |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 |
KR100702892B1 (ko) * | 2005-12-30 | 2007-04-04 | 손세화 | 형성공간 고정지지체를 갖는 마스크 |
KR20070042720A (ko) * | 2005-10-19 | 2007-04-24 | 김종화 | 방진마스크 |
KR20170129379A (ko) * | 2016-05-17 | 2017-11-27 | 윤종각 | 방진형 2중 격리막 마스크 |
KR20170136168A (ko) * | 2016-06-01 | 2017-12-11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마스크 |
KR20180003164U (ko) * | 2018-10-08 | 2018-11-06 | 왕종문 | 마스크 |
KR20190009814A (ko) * | 2019-01-09 | 2019-01-29 | 양현기 | 점착 테이프가 부착된 마스크 |
WO2019100285A1 (en) * | 2017-11-23 | 2019-05-31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System and method for absorbing moisture within a face mask |
-
2019
- 2019-09-06 KR KR1020190110744A patent/KR10215450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0155B1 (ko) * | 2004-10-08 | 2006-08-10 | 은익수 |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 |
KR20070042720A (ko) * | 2005-10-19 | 2007-04-24 | 김종화 | 방진마스크 |
KR100702892B1 (ko) * | 2005-12-30 | 2007-04-04 | 손세화 | 형성공간 고정지지체를 갖는 마스크 |
KR20170129379A (ko) * | 2016-05-17 | 2017-11-27 | 윤종각 | 방진형 2중 격리막 마스크 |
KR20170136168A (ko) * | 2016-06-01 | 2017-12-11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마스크 |
WO2019100285A1 (en) * | 2017-11-23 | 2019-05-31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System and method for absorbing moisture within a face mask |
KR20180003164U (ko) * | 2018-10-08 | 2018-11-06 | 왕종문 | 마스크 |
KR20190009814A (ko) * | 2019-01-09 | 2019-01-29 | 양현기 | 점착 테이프가 부착된 마스크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970808A1 (en) * | 2020-09-18 | 2022-03-23 | Jonathan Méndez Hermant | Mask with compartments |
KR20200002219U (ko) | 2020-09-20 | 2020-10-08 | 이광희 | 마스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622995A1 (en) | Respiratory mask | |
EP1529453B1 (en) | Facemask structure improvement | |
JP3097085U (ja) | マスク | |
KR102154505B1 (ko) | 마스크 장치 | |
KR20200144518A (ko) | 투명창을 갖춘 위생 마스크 | |
US20230404188A1 (en) | Surgical mask having sliding-down and fogging preventing function | |
KR102188331B1 (ko) | 입과 코 분리형 마스크 | |
JP7343238B2 (ja) | 防塵マスク | |
KR20200116432A (ko) | 마스크 | |
KR20170093560A (ko) | 마스크 | |
US12121085B2 (en) | Augmented face mask | |
JP2014111193A (ja) | マスク、マスク用ノーズアダプタ、およびマスクセット | |
JP2019143289A (ja) | マスク | |
KR102219597B1 (ko) | 호흡 개선용 마스크 | |
KR20190002556U (ko) |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 |
KR200498198Y1 (ko) | 마스크 | |
KR20170095647A (ko) | 마스크 | |
KR102297698B1 (ko) | 김서림 방지 패드 | |
KR102280232B1 (ko) | 입과 코를 가리는 위생 마스크 | |
KR102578853B1 (ko) | 마스크 | |
AU2004100994A4 (en) | Facemask Structure Improvement | |
KR20210113746A (ko) | 마스크 | |
KR102329263B1 (ko) | 미끄럼 및 김서림 방지 기능 마스크 | |
KR102526903B1 (ko) |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 어셈블리 | |
KR20210009832A (ko) | 흡기와 호기 분리형 마스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