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223B1 -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223B1
KR102663223B1 KR1020210134017A KR20210134017A KR102663223B1 KR 102663223 B1 KR102663223 B1 KR 102663223B1 KR 1020210134017 A KR1020210134017 A KR 1020210134017A KR 20210134017 A KR20210134017 A KR 20210134017A KR 102663223 B1 KR102663223 B1 KR 102663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oll paper
crankshaft
transfer unit
cha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0790A (ko
Inventor
박유진
Original Assignee
박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유진 filed Critical 박유진
Priority to KR1020210134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223B1/ko
Publication of KR20230050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0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2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6Fixed platforms or combs, e.g. bridges betwee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2Coils, bobbins,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Unwinding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지 자동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방 이송부와 후방 이송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롤지의 끝단을 상방으로 일정 높이만큼 상승시키는 스텝업 롤러부를 구비하여, 이송되는 대형 롤지를 컨베이어 사이의 위치에서 편심량 만큼 상승시키면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단순히 컨베이어 사이에서 이송시킬 때에 컨베이어의 체인 사이에 끼어들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STEP-UP TYPE AUTOMATIC TRANSFERRING APPARATUS FOR ROLL PAPER}
본 발명은 롤지 자동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롤지를 복수의 컨베이어 사이에서 스텝업시켜 이송시 롤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지공장에서 생산되는 종이는 롤(roll)지의 형태로 공급하도록 제조된다.
롤 형태로 권취되어 생산된 롤지는 제조하는 도중이나 제조가 완료됨에 따라 컨베이어를 통하여 포장, 2차가공(예를 들면 재단 등), 출하등의 마무리작업을 위한 장소로 이송된다.
특히, 대형 롤지의 경우 중량이 크기 때문에, 컨베이어 체인 등의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이송하게 되는데, 이송시에 롤지의 표면이 컨베이어 등과 접촉하면서 이물질에 오염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대형 롤지의 이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형 롤지의 이송장치는 전방 컨베이어(2)와, 후방컨베이어(3)와, 상기 전방 컨베이어 및 후방 컨베이어 사이에 배치되는 아이들 롤러(4)를 구비하여, 전방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되는 대형 롤지를 아이들 롤러를 통해 지지하면서 후방 컨베이어 측으로 이송한다.
종래 기술에 의한 대형 롤지의 이송은, 전방 컨베이어 및 후방 컨베이어는 복수의 체인이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체인은 전방 컨베이어 및 후방 컨베이어는 각각 일정 반경(R)을 가지는 체인 스프로켓(2b, 3b)에 맞물려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대형 롤지의 이송은, 상기 후방 컨베이어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서의 체인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상기 체인스프로켓(3b)의 톱니와 맞물려 회전되는 부분에서의 상기 복수의 체인의 이격거리는 반경 R에 의해 커질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라, 상기 아이들 롤러(4)를 지나 이송되는 대형 롤지의 끝단이 상기 복수의 체인 사이에 끼어 들어가 구부러지거나 찢어지는 등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390482(롤지 이송컨베이어용 청소기)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롤지를 복수의 컨베이어 사이에서 스텝업시켜 이송시 롤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는,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체인과 상기 체인에 맞물림되는 체인스프로켓을 가지며 무한궤도 형상으로 회전하는 전방 이송부와, 상기 전방 이송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체인과 상기 체인에 맞물림되는 체인스프로켓을 가지며 무한궤도 형상으로 회전하는 후방 이송부와, 상기 전방 이송부와 상기 후방 이송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롤지의 끝단을 상방으로 일정 높이만큼 상승시키는 스텝업 롤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텝업 롤러부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복수의 미들 기어와, 상기 미들 기어에 연결되는 크랭크 샤프트와, 상기 크랭크 샤프트에 연결되는 스텝업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텝업 롤러는 중심축이 상기 크랭크 샤프트의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되도록 상기 크랭크 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크랭크 샤프트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크랭크 샤프트는 바닥에 세워 설치되는 지지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텝업 롤러는 상기 크랭크 샤프트에 편심으로 연결되는 제 1 스텝업 롤러와, 상기 제 1 스텝업 롤러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제 2 스텝업 롤러와, 상기 제 1 스텝업 롤러와 상기 제 2 스텝업 롤러 사이에 형성되는 니들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스텝업 롤러는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의 직경이 길이방향의 양단 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중앙부분에 롤지가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니들롤러는 상기 제 1 스텝업 롤러의 길이 방향 양단에서 상기 제 1 스텝업 롤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스텝업 롤러의 내주면에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에 의하면, 대형 롤지를 복수의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긴 거리를 이송하더라도, 복수의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롤지를 복수의 컨베이어 사이에서 스텝업시켜 이송시 롤지가 컨베이어의 체인 사이에 끼어들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롤지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의 스텝업 롤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스텝업 롤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에 대하여 실시예로써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1)는, 전방 이송부(2)와, 후방 이송부(3)와, 스텝업 롤러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방 이송부(2)는, 상술한 종래기술에서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체인(2a)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컨베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 상기 전방 이송부(2)는 길이방향의 양끝단에 상기 체인(2a)이 맞물리는 체인스프로켓(2b)을 가지며 무한궤도 형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후방 이송부(3)는, 상기 전방 이송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전방이송부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체인(3a)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컨베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 상기 후방 이송부(3)는 길이방향의 양끝단에 상기 체인(3a)이 맞물리는 체인스프로켓(3b)을 가지며 무한궤도 형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방 이송부(2)와 상기 후방 이송부(3) 사이에는 상기 스텝업 롤러부(1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어서, 상기 스텝업 롤러부(10)는 상기 전방 이송부(2)로부터 이송되는 롤지(6a, 6b)의 끝단을 상방으로 일정 높이만큼 상승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텝업 롤러부(1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모터(11)와, 미들 기어(13)와, 크랭크 샤프트(21)와, 스텝업 롤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11)와 상기 미들기어(13)는 바닥에 세워 설치되는 기어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1)에는 감속기(12)가 연결되고, 상기 감속기(12)에는 미들기어(13)가 연결된다.
상기 구동모터(11)의 회전구동에 의해 상기 감속기를 통해 상기 미들기어가 회전구동된다. 상기 미들기어는 상기 스텝업 롤러의 설치위치와, 필요한 토크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미들기어(13)가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설치되고, 최하단의 미들기어는 상기 감속기에 연결되고, 최상단의 미들기어는 상기 크랭크 샤프트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최상단의 미들기어에는 상기 크랭크 샤프트(21)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크랭크 샤프트(2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30)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30)는 바닥에 세워 설치되며,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회전하는 상기 크랭크 샤프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크랭크 샤프트(21)는 크랭크 샤프트 헤드(21a)를 가지며, 상기 크랭크 샤프트 헤드(21a)는 상하 방향이 조금 더 긴 대략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크랭크 샤프트 헤드(21a)에는 상기 스텝업 롤러(20)가 연결된다. 상기 스텝업 롤러(20)는 그 중심축(A)이 상기 크랭크 샤프트(21)의 중심축(B)에 대하여 편심되도록 상기 크랭크 샤프트 헤드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텝업 롤러(20)의 중심축(A)의 편심량은 상기 체인(3a)의 크기와 상기 체인스프로켓(3b)의 반경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스텝업 롤러(20)가 상기 크랭크 샤프트(21)의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을 갖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11)의 구동에 의해 상기 미들기어(13)와 상기 크랭크 샤프트(21)가 회전하면, 상기 스텝업 롤러(20)는 상기 크랭크 샤프트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공전하게 된다.
도 3에서, 도면부호 6a 및 6b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대형 롤지를 나타낸다.
상기 스텝업 롤러(20)의 공전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크랭크 샤프트가 0.5바퀴 회전될 때에, 상기 스텝업 롤러(20)는 편심량의 최대치 만큼 상승하게 되어, 상기 스텝업 롤러(20)로 이송되어 온 상기 롤지(6a, 6b)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도록 구성된다.
그런 다음,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크랭크 샤프트가 다시 0.5바퀴 회전될 때에, 상기 스텝업 롤러(20)는 상기 롤지(6a, 6b)를 상기 후방 이송부측으로 이송하면서 하강하게 되고, 하강된 상기 롤지는 상기 후방 이송부의 체인 상부면에 안착된다.
이로써, 복수의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롤지를 복수의 컨베이어 사이에서 스텝업시켜 이송시 롤지가 컨베이어의 체인 사이에 끼어들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텝업 롤러(20)는, 제 1 스텝업 롤러(23)와, 제 2 스텝업 롤러(22)와, 니들 롤러(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텝업 롤러(23)는 양측의 크랭크 샤프트 헤드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크랭크 샤프트 헤드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 1 스텝업 롤러(23)는 상기 크랭크 샤프트에 편심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2 스텝업 롤러(22)는 상기 제 1 스텝업 롤러(23)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스텝업 롤러(22)는 상기 롤지(6a, 6b)의 외부면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스텝업 롤러(22)는 길이방향의 중앙부분(22a)의 직경이 길이방향의 양단 부분(22b)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중앙부분이 오목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롤지에 맞닿은 상기 제 2 스텝업 롤러를 중앙부분이 오목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롤지가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니들롤러(24)는 상기 제 1 스텝업 롤러(23)와 상기 제 2 스텝업 롤러 (22)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니들롤러(24)는 상기 제 1 스텝업 롤러(23)의 길이 방향 양단에서 상기 제 1 스텝업 롤러(2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니들롤러(24)는 상기 제 1 스텝업 롤러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니들롤러(24)의 상기 돌기는 상기 제 2 스텝업 롤러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도시하지 않음)에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상기 니들롤러(24)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스텝업 롤러(20)가 상측으로 상승하면서 회전하고, 다시 하강하면서 회전할 때에, 중량이 큰 상기 롤지의 무게에 의해 상기 스텝업 롤러 및 상기 크랭크 샤프트가 역회전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이송되는 대형 롤지를 컨베이어 사이의 위치에서 편심량 만큼 상승시키면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단순히 컨베이어 사이에서 이송시킬 때에 컨베이어의 체인 사이에 끼어들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1 :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
2 : 전방 이송부
3 : 후방 이송부
10 : 스텝업 롤러부
11 : 구동모터
13 : 미들기어
20 : 스텝업 롤러
21 : 크랭크 샤프트

Claims (7)

  1. 삭제
  2.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체인과 상기 체인에 맞물림되는 체인스프로켓을 가지며 무한궤도 형상으로 회전하는 전방 이송부와,
    상기 전방 이송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체인과 상기 체인에 맞물림되는 체인스프로켓을 가지며 무한궤도 형상으로 회전하는 후방 이송부와,
    상기 전방 이송부와 상기 후방 이송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롤지의 끝단을 상방으로 일정 높이만큼 상승시키는 스텝업 롤러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텝업 롤러부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복수의 미들 기어와,
    상기 미들 기어에 연결되는 크랭크 샤프트와,
    상기 크랭크 샤프트에 연결되는 스텝업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업 롤러는 중심축이 상기 크랭크 샤프트의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되도록 상기 크랭크 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크랭크 샤프트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샤프트는 바닥에 세워 설치되는 지지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업 롤러는,
    상기 크랭크 샤프트에 편심으로 연결되는 제 1 스텝업 롤러와,
    상기 제 1 스텝업 롤러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제 2 스텝업 롤러와,
    상기 제 1 스텝업 롤러와 상기 제 2 스텝업 롤러 사이에 형성되는 니들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텝업 롤러는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의 직경이 길이방향의 양단 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중앙부분에 롤지가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롤러는 상기 제 1 스텝업 롤러의 길이 방향 양단에서 상기 제 1 스텝업 롤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스텝업 롤러의 내주면에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
KR1020210134017A 2021-10-08 2021-10-08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 KR102663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017A KR102663223B1 (ko) 2021-10-08 2021-10-08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017A KR102663223B1 (ko) 2021-10-08 2021-10-08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0790A KR20230050790A (ko) 2023-04-17
KR102663223B1 true KR102663223B1 (ko) 2024-05-03

Family

ID=86133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017A KR102663223B1 (ko) 2021-10-08 2021-10-08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2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2763B2 (ja) 1995-02-17 2000-03-21 サン・マイクロ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集積回路用バスシステム
KR200390482Y1 (ko) 2005-04-28 2005-07-20 한솔이엠이(주) 롤지 이송컨베이어용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2820A (ja) * 1991-12-18 1993-06-29 Mitsubishi Heavy Ind Ltd 多階式ロール紙格納装置
US5597062A (en) * 1994-09-07 1997-01-28 Rexnord Corporation Tensioned transfer plate for small pitch chain conveyor
JP3022763U (ja) * 1995-09-19 1996-04-02 財団法人工業技術研究院 コンベア移載装置
KR100399027B1 (ko) * 2001-06-29 2003-10-01 태림포장공업 주식회사 롤 직진굴림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2763B2 (ja) 1995-02-17 2000-03-21 サン・マイクロ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集積回路用バスシステム
KR200390482Y1 (ko) 2005-04-28 2005-07-20 한솔이엠이(주) 롤지 이송컨베이어용 청소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특허공보 제10-0370446호(2003.7.12. 공고)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0790A (ko) 202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12299B1 (en) Transportation device and conveyor device
KR101423940B1 (ko) 컨베이어
KR101187770B1 (ko) 구동형 자바라식 자동컨베이어
KR102663223B1 (ko)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
CN212197101U (zh) 一种靠边辊道机
CN113734757B (zh) 用于童鞋装配的双层传送带托盘运输的可升降式传送装置
CN210973130U (zh) 一种瓦楞纸运输用旋转平台
KR102258981B1 (ko)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웨이퍼 보관 용기의 반송을 위한 벨트 컨베이어 장치
KR101011727B1 (ko) 반전수단을 구비한 컨베이어 장치
JP2019194114A (ja) ベルトコンベヤに於けるベルトの浮き上がり防止装置
JP4217975B2 (ja) 搬送装置
CN215797152U (zh) 一种散装物料卸货装置
JPH02123020A (ja) スパイラル揚重機
CN219635594U (zh) 一种旋转顶升移载机
KR20160092161A (ko) 곡선형 경로 변환 컨베이어
KR101849006B1 (ko) 컨베이어용 프릭션 롤러
JP2017197306A (ja) 移載装置、並びに、搬送装置
JP2003081421A (ja) 搬送方向変換装置
CN214086202U (zh) 一种托盘式提升机
KR19990019086U (ko) 이송물의 방향전환용 롤러콘베이어의 유도롤러장치
JP4896308B2 (ja) 搬送コンベア装置
CN219949635U (zh) 一种连续式翻箱机构
CN215709791U (zh) 一种辊式电动旋转台
JP3753439B2 (ja) 曲線部用搬送装置
JPS62205912A (ja) 上位搬送用急角度スクリユ−コンベ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