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194B1 - 1상 단위 변압 모듈 및 이를 갖는 상교체 가능형 지상 변압기 - Google Patents

1상 단위 변압 모듈 및 이를 갖는 상교체 가능형 지상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194B1
KR102663194B1 KR1020230135753A KR20230135753A KR102663194B1 KR 102663194 B1 KR102663194 B1 KR 102663194B1 KR 1020230135753 A KR1020230135753 A KR 1020230135753A KR 20230135753 A KR20230135753 A KR 20230135753A KR 102663194 B1 KR102663194 B1 KR 102663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phase
housing
fus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5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47583A (ko
Inventor
박보영
곽민구
이승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30135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194B1/ko
Publication of KR20230147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7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1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04Arrangements for interchanging inductances, transformers or coil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01F27/402Association of measuring or protectiv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6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 H01F30/10Single-phase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4General constructions or structure of low voltage fuses, i.e. below 1000 V, or of fuses where the applicable voltage is not specifi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01F27/402Association of measuring or protective means
    • H01F2027/404Protective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filled trans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운전중 1상 또는 2상이 소손 발생시 기존 기기처럼 함체 일체형 3상 지상 변압기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소손된 상만 확보된 1상 변압기를 활용하여 교체할 수 있는 1상 단위 변압 모듈이 개시된다. 상기 1상 단위 변압 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절연유로 충진되는 변압 탱크, 상기 변압 탱크내 또는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퓨즈계, 상기 퓨즈계와 연결되는 1개의 변압 코일, 상기 퓨즈계와 연결되는 엘보 커넥터, 상기 변압 코일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인가 단자, 일단이 엘보 커넥터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타단에 연결되는 출력 단자, 및 상기 변압 코일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돌출되는 접촉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1상 단위 변압 모듈 및 이를 갖는 상교체 가능형 지상 변압기{1-Phase unit transformer module and Phase exchangeable transform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상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1상 단위 변압 모듈 및 이를 갖는 상교체 가능형 지상 변압기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변압기를 살펴보면 변전소로부터 22.9kV 전압을 배전선로를 통해 변압기에서 220/380V로 전압을 낮춘 다음 각 수용가로 전력공급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가공지역은 가공 변압기, 지중지역은 지상 변압기를 사용한다.
변압기는 수전전압을 부하설비의 운전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하는 장치로써 배전선로 지중화에 사용되는 단상 지상 변압기를 제외한 3상 지상 변압기는 하나의 함체 일체형으로 이뤄져 있다. 또한, 함체내 절연유와 보호장치인 한류 퓨즈가 내장되어 있어 1상이 소손날 경우 함체뿐만 아니라 일체형 3상 변압기 전체를 교체 해야한다.
1상 또는 2상이 소손이 날 경우 3상 변압기 전체를 교체함으로 인해 교체에 따른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3상 중 1상 사용 고객은 불가피하게 정전을 경험하게 되어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3상 지상 변압기 부피가 크고 기기값이 고가여서 많은 여분 확보 및 보관이 어렵고, 교체에 따른 막대한 투자비용 발생, 신도율로 인한 장기 보관이 불가하다.
현재까지 3상 지상 변압기 중에 1상만 소손이 날 경우, 각 상만 교체가 가능 하도록 되어 있는 지상 변압기는 존재하지 않고 있다.
1.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1-0003904호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운전중 1상 또는 2상이 소손 발생시 기존 기기처럼 함체 일체형 3상 지상 변압기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소손된 상만 확보된 1 상 변압기를 활용하여 교체할 수 있는 지상 변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압기 외함 뚜껑을 부착하여 접촉할 때 절연이 가능하고, 저압부와 분리 1상의 변압기가 각각 들어갈 수 있도록 함체 외함을 제작하여 개별로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한 지상 변압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운전중 1상 또는 2상이 소손 발생시 기존 기기처럼 함체 일체형 3상 지상 변압기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소손된 상만 확보된 1상 변압기를 활용하여 교체할 수 있는 1상 단위 변압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1상 단위 변압 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절연유로 충진되는 변압 탱크;
상기 변압 탱크내 또는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퓨즈계;
상기 퓨즈계와 연결되는 1개의 변압 코일;
일단이 케이블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변압 코일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인가 단자;
상기 변압 코일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출력 단자; 및
상기 변압 코일의 상기 출력단에 연결되며 돌출되는 접촉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퓨즈계는, 1개의 상기 변압 코일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바이오넷 퓨즈; 및 일단이 상기 바이오넷 퓨즈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엘보 커넥터에 연결되는 한류 퓨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하우징의 하단면상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외면을 덮는 보호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세로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측 커버; 체결부를 통해 상기 좌측 커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우측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체결부는 상기 좌측 커버 및 상기 우측 커버 중 하나에 형성되는 돌출부 및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에 정합되는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측 커버 또는 상기 우측 커버의 표면에는 상기 바이오넷 퓨즈의 일부 돌출부위를 위한 제 1 구멍 및 인가 단자 또는 출력 단자의 돌출부위를 위한 제 2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함; 상기 외함내 위에 기술된 착탈식의 1상 단위 변압 모듈을 삽입하는 내함; 상기 내함의 상단면을 개폐하는 뚜껑; 및 상기 내함에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1상 단위 변압 모듈에 의해 변환되는 전력을 출력하는 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교체 가능형 지상 변압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내함은 상기 1상 단위 변압 모듈이 삽입 안착되는 삽입 공간이 형성되는 3개의 구획 블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함의 상기 상단면 및 전면은 개방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뚜껑의 일측면은 상기 외함의 외주면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함의 하단면에는 1상 단위 변압 모듈의 상기 접촉단자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3개의 상기 구획 블럭의 하단면에 각각 연결되는 3개의 커넥팅 엘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3개의 커넥팅 엘보에는 각각 연결 단자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 단자는 상기 저압부와의 연결을 위한 전선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함의 하단면에는 내함의 상기 하단면이 상기 외함의 내부 바닦면으로부터 일정한 제 1 높이로 이격 유지되도록 다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압부의 하단면에는 저압부의 상기 하단면이 상기 외함의 내부 바닦면으로부터 일정한 제 2 높이로 이격 유지되도록 다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함과 상기 저압부 사이에는 격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중 1상 또는 2상이 소손 발생시 기존 기기처럼 함체 일체형 3상 지상 변압기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소손된 상만 확보된 1상 변압기를 활용 교체하도록 하여 교체하는데 걸리는 시간 단축, 비용절감, 민원해소에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직사각형의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1상 변압기 외함 뚜껑을 부착하여 접촉할 때 절연(난연성 합성고무재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특성을 갖는 절연 재질 뚜껑) 하도록 제작하고, 본체인 3상 변압기 함체는 기존 재질(철)의 함체 외함으로 만들고, 저압부와 분리 1상의 변압기가 각 각 들어갈 수 있도록 제작함으로써 개별로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1상의 변압기 자재확보로 동일 다른 상의 교체로 활용 가능하며, 1상 변압기만 확보 가능하여 수송 및 보관시 효율적임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교체 가능형 지상 변압기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상 변압기의 평면도로서 뚜껑을 열었을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상 변압기의 평면도로서 뚜껑을 닫았을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지상 변압기의 구획 블럭에 착탈되는 착탈식의 1상 단위 변압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지상 변압기의 하단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지상 변압기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교체 가능형 지상 변압기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1상 단위 변압 모듈의 절연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1상 단위 변압 모듈에서 보호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1상 단위 변압 모듈 및 이를 갖는 상교체 가능형 지상 변압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교체 가능형 지상 변압기(100)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교체 가능형 지상 변압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함(101), 외함(101)내 1상 단위 변압 모듈(미도시)을 착탈식으로 삽입하는 내함(120), 내함(120)의 상단면을 개폐하는 뚜껑(110), 내함(120)에 병렬로 배치되는 저압부(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함(101)은 직사각 형상으로 상단쪽으로 개방되고, 하단쪽으로는 일체로 밀폐되는 형상이다. 또한, 외함(101)의 재질로는 외관에 가해지는 충격 등으로부터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강철 등의 금속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알루미늄 합금 등의 비철 금속, 플라스틱 엔지니어링 등도 사용될 수 있다.
뚜껑(110)은 내함(120)의 상단면을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개폐를 위해, 뚜껑(110)의 일측면은 외함(101)의 외주면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물론, 힌지 결합되지 않고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식도 가능하다. 뚜껑(110)의 재질로는 난연성 합성고무재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특성을 갖는 절연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뚜껑(110)은 내함(120)의 각 구획 블럭(121,122,123)을 개폐하도록 제 1 내지 제 3 서브 뚜껑(111,112,1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도 1에서는 3개의 서브 뚜껑(111,112,113)로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뚜껑(110)로 구성될 수 있다.
내함(120)은 1상 단위 변압 모듈이 각각 삽입되도록 3개 구획되며, 내측에 삽입 공간(120-1)이 형성된다. 부연하면, 내함(120)은 제 1 내지 제 3 구획 블럭(121,122,123)으로 구획된다.
또한, 내함(120)의 상단은 개방된 구조이며, 내함(120)의 전면에도 일부 개방된 구조를 띠게 된다.
내함(120)은 1상 단위 변압 모듈이 삽입 안착되는 구조로 안정성을 위해 금속 재질이 사용된다.
내함(120)으로 구성되는 제 1 내지 제 3 구획 블럭(121,122,123)에 각각 1상 단위 변압 모듈(미도시)을 삽입하고 연결함으로써 3상 고압부가 구성된다. 3상 고압부는 약 22.9k의 고전압을 입력받아 약 220~380V의 저전압으로 변환한다.
저압부(130)는 고압부를 통해 생성된 저전압을 입력받아 외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저압 단자(x0 내지 x3)(131)가 전면에 구성될 수 있다.
내함(120)의 하단면에는 1상 단위 변압 모듈(미도시)과 연결되는 연결부(140)가 구성된다. 연결부(140)는 제 1 내지 제 3 커넥팅 엘보(141,142,143)로 구성되며, 제 1 커넥팅 엘보(141)는 제 1 구획 블럭(121)의 하단면에 설치되며, 제 2 커넥팅 엘보(142)는 제 2 구획 블럭(122)의 하단면에 설치되며, 제 3 커넥팅 엘보(143)는 제 3 구획 블럭(123)의 하단면에 설치된다.
제 1 내지 제 3 커넥팅 엘보(141,142,143)에는 연결 단자부(170)가 구성된다. 물론, 제 1 커넥팅 엘보(141)에는 제 1 연결 단자(171)가 구성되고, 제 2 커넥팅 엘보(142)에는 제 2 연결 단자(172)가 구성되고, 제 3 커넥팅 엘보(143)에는 제 3 연결 단자(173)가 구성된다.
제 1 내지 제 3 연결 단자(171 내지 173)는 전선관(150)에 연결된다. 전선관(150)은 저압부(130)에 설치되는 저압 인입구(103)와 연결되며, 이 저압 인입구(103)는 저압 단자(131)와 연결된다. 전선관(150)은 고압에서 전원 인가로 1상 단위 변압 모듈로 이루어지는 변압기를 통해 22.9kV에서 220/380V로 낮춰 커넥팅 엘보를 통해 저압부(130)로 연결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전선관(150) 내에는 각 상마다 전선이 구성되며, 각 전선을 절연을 위해 피복된다.
한편, 내함(120)의 하단면은 외함(101) 내에서 외함(101)의 내부 바닦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되어 유지된다. 이를 위해 내함(120)의 하단면에 다리(161)가 구성된다. 다리(161)는 내함(12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다리(161)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가 될 수 있다.
물론, 저압부(130)의 하단면에도 다리(162)가 구성된다. 따라서, 저압부(130)의 하단면이 외함(101) 내에서 외함(101)의 내부 바닦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되어 유지된다.
1상 단위 변압 모듈(미도시), 저압부(130), 및 외함(101)을 접지하는 접지단(180)이 구성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상 변압기(100)의 평면도로서 뚜껑(110)을 열었을(open)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1상 단위 변압 모듈 3개가 삽입될 수 있다. 부연하면, A상은 제 1 구획 블럭(121)이고, B상은 제 2 구획 블럭(122), C상은 제 3 구획 블럭(123)이 된다. 물론, 각 구획블럭마다 1상 단위 변압 모듈이 삽입 설치된다.
또한, 내함(120)과 저압부(130) 사이에는 격벽(210)이 설치되어 서로간 전기적 교란, 누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상 변압기(100)의 평면도로서 뚜껑(110)을 닫았을(close)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내함(120)의 제 1 내지 제 3 구획 블럭(121,122,123)을 개폐하도록 제 1 내지 제 3 서브 뚜껑(111,112,113)이 구성된다. 물론,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뚜껑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지상 변압기(100)의 구획 블럭(121,122,123)에 착탈되는 착탈식의 1상 단위 변압 모듈(400)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1상 단위 변압 모듈(400)은, 하우징(401), 하우징(401) 내에 설치되며 절연유가 충진되는 변압 탱크(410), 상기 변압 탱크(410)내 설치되는 퓨즈계(411), 상기 퓨즈계(411)와 연결되는 1개의 변압 코일(413), 일단이 상기 퓨즈계(411)와 연결되며 타단에 케이블(450)이 연결되는 인가 단자(420-1), 변압 코일(413)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출력 단자(420-2), 및 상기 변압 코일(413)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돌출되는 접촉단자(460)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가 단자(420-1)는 변전소, 지상 개폐기로부터 22.9kV 전압을 지중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입력 받는다. 출력 단자(420-2)는 다른 변압기나 개폐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하우징(401)의 재질로는 강철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이 될 수 있다.
퓨즈계(411)는 바이오넷 퓨즈(411-1)와 한류 퓨즈(411-2)로 구성될 수 있다. 바이오넷 퓨즈(411-1)는 이중 퓨즈로서 변압 코일(413)과 한류 퓨즈(411-2) 둘 다에 연결될 수 있다. 부연하면, 바오넷 퓨즈(411-1)는 변압 코일(413)의 입력단에 연결된다. 또한, 한류 퓨즈(411-2)는 일단이 상기 바이오넷 퓨즈(411-1)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인가 단자(420-1)에 연결된다.
접촉단자(460)는 하우징(401)의 하단면상에 약간 돌출되게 형성된다. 부연하면, 접촉단자(460)는 사각형의 전도성 단자로서 1상 단위 변압 모듈(400)이 삽입 공간(도 1의 120-1)에 안착되면서 커넥팅 엘보(141,142,143)에 접촉된다. 무선 주전자 연결장치 원리(주전자 하부 열선단자와 전선 연결된 받침대 단자의 연결 방식)와 같은 것으로 접촉단자(460)와 엘보 커넥팅 엘보(141,142,143)의 표면이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상태가 된다.
물론, 커넥팅 엘보(141,142,143)는 내함(120)의 바닦면에서 약간 들어가는 홈에 설치된다. 물론, 이 홈은 접촉단자(460)와 정합되도록 유사한 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접촉단자(460)와 홈의 형상은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으면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지상 변압기의 하단 평면부이다. 정확하게는 내함(120)의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내함(120)의 하단부의 외주면에 커넥팅 엘보(141,142,143)가 설치되며, 이 커넥팅 엘보(141,142,143)는 접촉단자(4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지상 변압기(100)의 정면도이다. 부연하면, 도 1에 도시된 3개의 구획 블럭(121,122,123)에 모두 착탈식의 1상 단위 변압 모듈(400)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경우, 1상씩 인가 단자(H1A, H2A, H3A)로 연결하여 가압이 되고, 출력 단자(H1B, H2B, H3B)로 다른 개폐기나 변압기 전원측으로 분기하게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교체 가능형 지상 변압기(100)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고압 엘보 커넥터에 각각 인가 단자(H1A, H2A, H3A)를 연결하고 각 상 단위 변압 모듈에 고압 가압을 실행한다(단계 S710).
이후 각상 변압모듈마다 내장된 보호장치(즉 퓨즈계(411))를 경과시켜 고압 전압을 저압 전압으로 전환한다(단계 S720). 부연하면, 첫 번째로 한류퓨즈(411-2)를 거쳐고, 두 번째로 바이오넷 퓨즈(411-1)를 거치면서 고압고장으로부터 변압기(100)를 보호하고 변압 코일(413)을 통해 22.9kV전압을 220V/380V로 전환한다.
바이오넷 퓨즈(411-1)는 퓨즈 홀더 및 이 퓨즈 홀더에 삽입되는 이중소자퓨즈 링크로 구성될 수 있다.
이후, 변압 코일(413)을 통해 22.9kV전압을 380V로 전환하여 저압 전압을 생성한후, 이 저압 전압을 1상 변압모듈(400)의 하단 단자(즉, 접촉단자(460))와 내함(120)에 부착된 연결부(140)를 전선관(150)을 통해 저압부(130)에 연결한다(단계 S730).
이후, 저압부(130)와 연결된 전선관(150)을 통해 저압이 인가되고 저압 단자(x0 내지 x3)(131)에 저압 케이블(미도시)을 연결하여 수용가에 공급한다(단계 S740).
이후, 소손난 1상 변압 모듈(400)만 내함(120)으로부터 분리한다(단계 S750). 물론, 분리후 새로운 1상 변압 모듈로 교체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교체후, 빼낸 자리에 그대로 삽입후 고압 케이블을 연결하고, 지상 변압기에 가동 전원을 공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1상 단위 변압 모듈(400)의 절연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1상 단위 변압 모듈(400)을 이동시켜 교체하기 위해서는 절연상태를 유지하고, 정전기 등으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보호 커버(810)가 사용된다. 즉, 하우징(401)의 외면을 보호 커버(810)를 사용하여 덮는다. 물론, 1상 단위 변압 모듈(400)의 내부에는 절연유 또는 고체 절연체가 사용될 수 있다.
보호 커버(810)의 전기 절연을 위해 절연 재질이 사용된다. 절연 재질로는 열경화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경화성 수지로는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텔 수지, 폴리 우레탄 수지 등이 될 수 있다. 물론, 난연성 합성 고무재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특성을 갖는 절연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1상 단위 변압 모듈(400)에서 보호 커버(810)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보호 커버(810)는 하우징(401)의 세로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측 커버(910-1), 좌측 커버(910-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우측 커버(910-2)로 구성된다. 물론, 좌측 커버(910-1) 또는 우측 커버(910-2)에는 결합을 위한 체결부(901)가 형성된다. 체결부(901)는 돌출부와 이 돌출부에 정합되는 요홈이 형성된다. 돌출부 및 요홈은 사각형 형상이나,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또한, 좌측 커버(910-1) 또는 우측 커버(910-2)의 표면에는 바이오넷 퓨즈(411-1)의 일부 돌출부위를 위한 제 1 구멍(902), 인가 단자(420-1) 또는 출력 단자(420-2)의 돌출부위를 위한 제 2 구멍(903)이 형성된다. 부연하면, 바이오넷 퓨즈(411-1)의 경우, 변압 코일(413) 및 한류 퓨즈(411-2)에 연결되는 부위는 변압 탱크(410)내에서 이루어지나, 다른 부분은 하우징(40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따라서, 이를 위해 제 1 구멍(902)을 형성한다.
100: 상교체 가능형 지상 변압기
110: 뚜껑
111 내지 113: 제 1 내지 제 3 서브 뚜껑
120: 내함
121 내지 123: 제 1 내지 제 3 구획 블럭
130: 저압부
140: 연결부
141 내지 143: 제 1 내지 제 3 커넥팅 엘보
150: 전선관
170: 연결 단자부
171 내지 173: 제 1 내지 제 3 연결 단자
161,162: 다리
210: 격벽
400: 1상 단위 변압 모듈
401: 하우징 410: 변압 탱크
411: 퓨즈계 413: 변압 코일
420-1: 인가 단자 420-2: 출력 단자
460: 접촉단자

Claims (1)

  1. 지상 변압기에 있어서,
    상단면을 개폐하는 뚜껑(110)이 있는 내함에 병렬로 배치되며, 1상 단위 변압 모듈에 의해 변환되는 전력을 출력하는 저압부(130);
    상기 1상 단위 변압 모듈은,
    하우징(401);
    상기 하우징(401) 내에 설치되며 절연유로 충진되는 변압 탱크(410);
    상기 변압 탱크(410)내 또는 상기 하우징(401) 내에 설치되는 퓨즈계(411);
    상기 퓨즈계(411)와 연결되는 1개의 변압 코일(413);
    일단이 케이블(45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변압 코일(413)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인가 단자(420-1);
    상기 변압 코일(413)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출력 단자(420-2); 및
    상기 변압 코일(413)의 상기 출력단에 연결되며 돌출되는 접촉단자(460);를 포함하며,
    상기 퓨즈계(411)는,
    1개의 상기 변압 코일(413)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바이오넷 퓨즈(411-1); 및
    일단이 상기 바이오넷 퓨즈(411-1)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인가 단자(420-1)에 연결되는 한류 퓨즈(411-2);
    상기 하우징(401)의 외면을 덮는 보호 커버(810);
    상기 보호 커버(810)는,
    상기 하우징(401)의 세로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측 커버(910-1);
    체결부(901)를 통해 상기 좌측 커버(910-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우측 커버(910-2);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901)는 상기 좌측 커버(910-1) 및 상기 우측 커버(910-2) 중 하나에 형성되는 돌출부 및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에 정합되는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교체 가능형 지상 변압기.
KR1020230135753A 2021-06-24 2023-10-12 1상 단위 변압 모듈 및 이를 갖는 상교체 가능형 지상 변압기 KR102663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5753A KR102663194B1 (ko) 2021-06-24 2023-10-12 1상 단위 변압 모듈 및 이를 갖는 상교체 가능형 지상 변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264A KR102590663B1 (ko) 2021-06-24 2021-06-24 1상 단위 변압 모듈 및 이를 갖는 상교체 가능형 지상 변압기
KR1020230135753A KR102663194B1 (ko) 2021-06-24 2023-10-12 1상 단위 변압 모듈 및 이를 갖는 상교체 가능형 지상 변압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264A Division KR102590663B1 (ko) 2021-06-24 2021-06-24 1상 단위 변압 모듈 및 이를 갖는 상교체 가능형 지상 변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7583A KR20230147583A (ko) 2023-10-23
KR102663194B1 true KR102663194B1 (ko) 2024-05-07

Family

ID=849256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264A KR102590663B1 (ko) 2021-06-24 2021-06-24 1상 단위 변압 모듈 및 이를 갖는 상교체 가능형 지상 변압기
KR1020230135753A KR102663194B1 (ko) 2021-06-24 2023-10-12 1상 단위 변압 모듈 및 이를 갖는 상교체 가능형 지상 변압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264A KR102590663B1 (ko) 2021-06-24 2021-06-24 1상 단위 변압 모듈 및 이를 갖는 상교체 가능형 지상 변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906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663B1 (ko) * 2021-06-24 2023-10-19 한국전력공사 1상 단위 변압 모듈 및 이를 갖는 상교체 가능형 지상 변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224Y1 (ko) 2001-10-09 2002-03-18 한국전력공사 3상 지상변압기용 2차측 케이블의 소손 방지구조
JP2005286012A (ja) 2004-03-29 2005-10-13 Daihen Corp 地上設置用変圧器装置
JP2016039245A (ja) 2014-08-07 2016-03-22 株式会社東芝 変圧器及び変圧器用の単相ユニット
KR102590663B1 (ko) * 2021-06-24 2023-10-19 한국전력공사 1상 단위 변압 모듈 및 이를 갖는 상교체 가능형 지상 변압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904A (ko) 2009-07-06 2011-01-13 삼정전기공업 주식회사 자동 구간 개폐기 내장형 지상변압기
JP5692498B2 (ja) 2010-07-28 2015-04-01 株式会社ダイヘン 地上設置型変圧器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224Y1 (ko) 2001-10-09 2002-03-18 한국전력공사 3상 지상변압기용 2차측 케이블의 소손 방지구조
JP2005286012A (ja) 2004-03-29 2005-10-13 Daihen Corp 地上設置用変圧器装置
JP2016039245A (ja) 2014-08-07 2016-03-22 株式会社東芝 変圧器及び変圧器用の単相ユニット
KR102590663B1 (ko) * 2021-06-24 2023-10-19 한국전력공사 1상 단위 변압 모듈 및 이를 갖는 상교체 가능형 지상 변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7583A (ko) 2023-10-23
KR102590663B1 (ko) 2023-10-19
KR20230000183A (ko) 202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3194B1 (ko) 1상 단위 변압 모듈 및 이를 갖는 상교체 가능형 지상 변압기
KR101161850B1 (ko) 송배전용 특고압 선로의 인입선 커넥터
KR20200120455A (ko) 일체형 특고압 수배전설비
KR100754769B1 (ko) 특고압부 및 이를 포함하는 수변전 장치
KR101874988B1 (ko) 부하개폐기
CN207800347U (zh) 配网自动化用三相零序一体式抗谐振电压互感器
KR101596105B1 (ko) 기기 복합형 가스 절연 서브 유닛을 구비한 금속 피복 폐쇄 배전반
KR200435604Y1 (ko) 충전부 밀폐형 수전설비
CN106253122A (zh) 一种气体绝缘金属封闭开关设备
CN109300654A (zh) 一种118kv供能变压器
CN205811395U (zh) 高压成套开关柜
CN205230796U (zh) 一种电压互感器
AU2013201083B2 (en) Gas outlet device for a medium-voltage functional unit and distribution substation comprising same
CN208299224U (zh) 一种10kv高压开关柜安全闭锁装置
CN202564798U (zh) 智能型消弧消谐开关柜
US6359765B1 (en) Fused terminal for use with a network protector
CN216598723U (zh) 一种气体绝缘电压互感器柜
CN201022138Y (zh) 箱式变电站
KR102281619B1 (ko)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구조
CN203910494U (zh) 一种高低压互感器
CN203707638U (zh) 一种户内铠装抽出式高压开关装置
CN214100559U (zh) 一种小型化替代型预装式变电站
CN108963790A (zh) 分布式光伏发电开关柜系统
CN211828437U (zh) 一种干式组合互感器
CN2697804Y (zh) 一种干式电压互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