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825B1 - 옻칠 방법 - Google Patents

옻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825B1
KR102662825B1 KR1020240031179A KR20240031179A KR102662825B1 KR 102662825 B1 KR102662825 B1 KR 102662825B1 KR 1020240031179 A KR1020240031179 A KR 1020240031179A KR 20240031179 A KR20240031179 A KR 20240031179A KR 102662825 B1 KR102662825 B1 KR 102662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lacquer
layer coating
pearl
mo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31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세희
Original Assignee
정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세희 filed Critical 정세희
Priority to KR1020240031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8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8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2Staining or dyeing wood; Bleaching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4Combined bleaching or impregnating and drying of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무의 표면에 자개와 함께 옻칠을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나무에 옻칠이 충분히 침투될 수 있도록 묽은 초칠혼합물을 도포하고 건조한 후 반복적인 연마와 상기 초칠혼합물에 비해 묽기가 적은 즉, 된 제1중칠혼합물을 제1중칠단계 내지 제2중칠단계를 거쳐 도포하여 안정적이고 견고한 옻칠이 형성되도록 한 다음 나무의 표면에 자개를 접착시키고, 두부를 혼합한 제2중칠혼합물을 자개의 높이와 동일하게 도포하고 건조한 후 연마와 상칠혼합물을 도포하여 자개와 함께 나무의 표면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옻칠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옻칠 방법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옻칠 방법{Lacquering method}
본 발명은 나무의 표면에 자개와 함께 옻칠을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나무에 옻칠이 충분히 침투될 수 있도록 묽은 초칠혼합물을 도포하고 건조한 후 반복적인 연마와 상기 초칠혼합물에 비해 묽기가 적은 즉, 된 제1중칠혼합물을 제1중칠단계 내지 제2중칠단계를 거쳐 도포하여 안정적이고 견고한 옻칠이 형성되도록 한 다음 나무의 표면에 자개를 접착시키고, 두부를 혼합한 제2중칠혼합물을 자개의 높이와 동일하게 도포하고 건조한 후 연마와 상칠혼합물을 도포하여 자개와 함께 나무의 표면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옻칠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옻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옻칠은 옻자와 칠자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낱말로, 옻은 옻나무 줄기나 가지에서 뽑은 수액이나 독기를 의미하고 칠은 옻칠의 수액뿐만 아니라 옻나무 자체라는 의미를 가진다.
이와 같이 옻나무에서 채취한 천연 도료인 옻칠은 선사시대부터 생활도구나 무기류, 농기구 등에 옻칠한 흔적이 남아 있고 청동기 및 철기시대에 걸쳐 문방구류, 무기류 등에도 옻칠한 흔적을 찾아 볼 수 있다.
옻칠은 채취방법에 따라 생칠과 화칠로 나뉘는데 생칠은 옻나무에 흠집을 내어 흘러나온 칠을 채취한 것으로 공예품과 공업용으로 쓰이고, 화칠은 옻나무를 베어 냇물에 일주일 정도 담갔다가 흠집을 내어 불에 구워 칠이 흘러나오면 이것을 채취하는데 주로 약용으로 쓰이므로 공예품이나 건축 내외장에는 주로 생칠이 사용된다.
이러한 옻칠은 매우 안정적이므로 외부 습기를 흡수하거나 방출하여 항상 일정한 수분을 머금고 있기 때문에 나무의 표면에 옻칠을 하면 나무의 표면에 견고한 막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광택이 나고 오랫동안 사용하여도 변하지 않아 보존 내구성이 뛰어난 천연 도료로 인정받고 있다.
이때, 종래에 자개를 부착하는 옻칠 방법은 옻칠 대상물에 먼저 초칠과 중칠을 실시한 다음 자개를 붙이고 자개 높이만큼 옻칠이 두꺼워 질수 있도록 반복적인 중칠을 실시하고, 옻칠이 자개 높이만큼 두꺼워지면 상칠을 통해 마무리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자개를 부착하는 옻칠 방법은 자개 높이만큼 반복적인 옻칠로 인해 자개에 흠집이나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건조 시간 등으로 옻칠 시간이 장시간 또는 수일이 걸려 옻칠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43049호(2020.08.04.)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자개를 부착하는 옻칠 방법은 자개 높이만큼 반복적인 옻칠로 인해 자개에 흠집이나 파손이 발생될 우려가 있고, 건조 시간 등으로 옻칠 시간이 장시간 또는 수일이 걸려 옻칠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나무에 옻칠이 충분히 침투될 수 있도록 묽은 초칠혼합물을 도포하고 건조한 후 반복적인 연마와 상기 초칠혼합물에 비해 묽기가 적은 즉, 된 제1중칠혼합물을 도포하고 건조한 후 자개를 나무의 표면에 붙이고, 상기 자개의 높이만큼 두부를 혼합한 제2중칠혼합물을 도포하고 건조한 후 연마와 상칠혼합물을 도포하여 자개와 함께 나무의 표면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옻칠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옻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초칠혼합물을 나무의 표면에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초칠단계(S10);와 상기 초칠단계(S10) 이후의 나무 표면을 400# 사포를 이용하여 샌딩하는 제1연마단계(S20);와 상기 제1연마단계(S20) 이후의 나무 표면에 제1중칠혼합물을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제1중칠단계(S30);와 상기 제1중칠단계(S30) 이후의 나무 표면을 600# 사포를 이용하여 샌딩하는 제2연마단계(S40);와 상기 제2연마단계(S40) 이후의 나무 표면에 제1중칠혼합물을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제2중칠단계(S50);와 상기 제2중칠단계(S50) 이후의 나무 표면을 800# 사포를 이용하여 샌딩하는 제3연마단계(S60);와 상기 제3연마단계(S60) 이후의 나무 표면에 접착혼합물을 이용하여 자개를 붙이고, 건조시키는 접착단계(S70);와 상기 접착단계(S70) 이후의 나무 표면에 제2중칠혼합물을 자개의 높이와 동일하게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제3중칠단계(S80);와 상기 제3중칠단계(S80) 이후의 나무 표면과 자개의 표면에 제3중칠혼합물을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제4중칠단계(S90);와 상기 제4중칠단계(S90) 이후의 나무 표면과 자개의 표면을 1200# 사포를 이용하여 샌딩하는 제4연마단계(S100);와 상기 제4연마단계(S100) 이후의 나무 표면과 자개의 표면에 상칠혼합물을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상칠단계(S110); 및 상기 상칠단계(S110) 이후의 나무 표면과 자개의 표면을 2000# 사포를 이용하여 샌딩하고, 광택제를 도포하는 광작업단계(S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초칠혼합물은 액상의 생칠과 테레핀을 1:1 내지 1.5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중칠혼합물과 상칠혼합물은 액상의 생칠의 수분을 증발시켜 상기 생칠보다 점도가 높은 액상 상태의 주합과 테레핀을 2:1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접착혼합물은 생칠의 수분을 증발시킨 주합과 테레핀을 1:0.5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편, 상기 제3중칠혼합물은 생칠의 수분을 증발시킨 주합과 테레핀을 1:1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중칠혼합물은 수분이 90% 이상 제거된 후 으깬 두부와 액상의 색옻칠을 1:1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중칠혼합물은 수분이 90% 이상 제거된 후 으깬 두부와 액상의 색옻칠을 1:1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과 카사바 녹말 가루를 1:0.3 내지 0.5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초칠단계(S10), 제1중칠단계(S30), 제2중칠단계(S50), 접착단계(S70), 제3중칠단계(S80), 제4중칠단계(S90) 및 상칠단계(S110)는 칠장 내에서 23~27℃의 온도, 70~80% 습도로 4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옻칠 방법은 자개의 높이만큼 두부를 혼합한 제2중칠혼합물을 도포하여 옻칠 시간을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안정적이고 견고한 옻칠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며, 두부의 질감으로 인한 심미감이 형성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옻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나무의 표면에 자개와 함께 옻칠을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나무에 옻칠이 충분히 침투될 수 있도록 묽은 초칠혼합물을 도포하고 건조한 후 반복적인 연마와 상기 초칠혼합물에 비해 묽기가 적은 즉, 된 제1중칠혼합물을 제1중칠단계 내지 제2중칠단계를 거쳐 도포하여 안정적이고 견고한 옻칠이 형성되도록 한 다음 나무의 표면에 자개를 접착시키고, 두부를 혼합한 제2중칠혼합물을 자개의 높이와 동일하게 도포하고 건조한 후 연마와 상칠혼합물을 도포하여 자개와 함께 나무의 표면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옻칠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옻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옻칠 방법은 초칠혼합물을 나무의 표면에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초칠단계(S10);와 상기 초칠단계(S10) 이후의 나무 표면을 400# 사포를 이용하여 샌딩하는 제1연마단계(S20);와 상기 제1연마단계(S20) 이후의 나무 표면에 제1중칠혼합물을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제1중칠단계(S30);와 상기 제1중칠단계(S30) 이후의 나무 표면을 600# 사포를 이용하여 샌딩하는 제2연마단계(S40);와 상기 제2연마단계(S40) 이후의 나무 표면에 제1중칠혼합물을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제2중칠단계(S50);와 상기 제2중칠단계(S50) 이후의 나무 표면을 800# 사포를 이용하여 샌딩하는 제3연마단계(S60);와 상기 제3연마단계(S60) 이후의 나무 표면에 접착혼합물을 이용하여 자개를 붙이고, 건조시키는 접착단계(S70);와 상기 접착단계(S70) 이후의 나무 표면에 제2중칠혼합물을 자개의 높이와 동일하게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제3중칠단계(S80);와 상기 제3중칠단계(S80) 이후의 나무 표면과 자개의 표면에 제3중칠혼합물을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제4중칠단계(S90);와 상기 제4중칠단계(S90) 이후의 나무 표면과 자개의 표면을 1200# 사포를 이용하여 샌딩하는 제4연마단계(S100);와 상기 제4연마단계(S100) 이후의 나무 표면과 자개의 표면에 상칠혼합물을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상칠단계(S110); 및 상기 상칠단계(S110) 이후의 나무 표면과 자개의 표면을 2000# 사포를 이용하여 샌딩하고, 광택제를 도포하는 광작업단계(S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초칠혼합물은 액상의 생칠과 테레핀을 1:1 내지 1.5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중칠혼합물과 상칠혼합물은 액상의 생칠의 수분을 증발시켜 상기 생칠보다 점도가 높은 액상 상태의 주합과 테레핀을 2:1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접착혼합물은 생칠의 수분을 증발시킨 주합과 테레핀을 1:0.5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편, 상기 제3중칠혼합물은 생칠의 수분을 증발시킨 주합과 테레핀을 1:1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중칠혼합물은 수분이 90% 이상 제거된 후 으깬 두부와 액상의 색옻칠을 1:1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중칠혼합물은 수분이 90% 이상 제거된 후 으깬 두부와 액상의 색옻칠을 1:1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과 카사바 녹말 가루를 1:0.3 내지 0.5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초칠단계(S10), 제1중칠단계(S30), 제2중칠단계(S50), 접착단계(S70), 제3중칠단계(S80), 제4중칠단계(S90) 및 상칠단계(S110)는 칠장 내에서 23~27℃의 온도, 70~80% 습도로 4시간동안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옻칠 방법은 나무를 깍아 일정한 모양을 만든 다음 모양이 형성된 나무의 표면에 도포되어, 나무의 표면에 견고한 막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광택이 나고 오랫동안 사용하여도 변하지 않아 보존 내구성이 뛰어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옻칠 방법은 도면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칠단계(S10), 제1연마단계(S20), 제1중칠단계(S30), 제2연마단계(S40), 제2중칠단계(S50), 제3연마단계(S60), 접착단계(S70), 제3중칠단계(S80), 제4연마단계(S100), 상칠단계(S110) 및 광작업단계(S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초칠단계(S10)는 깍아 일정한 모양을 만든 나무의 표면에 초칠혼합물을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것으로, 나무에 상기 초칠혼합물이 스며들어 나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후의 중칠단계시 옻칠이 보다 원환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초칠혼합물은 액상의 생칠 즉, 생옻칠과 테레핀을 1:1 내지 1.5의 비율로 혼합한 것으로, 상기 생옻칠은 옻나무에서 직접 채취한 수액의 불순물을 제거한 것이고, 상기 테레핀은 유화의 용체로서 사용되는 향기있는 무색 휘발성유로 소나무과 식물 둥치에 상처를 주어 흘러내리는 생송진을 증류하여 만들어지며 희석제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초칠혼합물은 생칠과 테레핀의 혼합 비율에서 테레핀을 생칠과 동일하거나 더 많게 하여 묽게 함으로서, 나무에 생칠이 보다 원활하게 스며들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 초칠단계(S10)에서 건조는 칠장 내에서 23~27℃의 온도와 70~80% 습도로 4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안정적인 온도에서 높은 습도로 건조시키고, 상기 초칠혼합물이 80 내지 90% 이상 건조되어 나무 표면에 코팅될 수 있도록 종래에 비해 장시간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통상적인 옻칠은 높은 습도의 조건에서 약 15 내지 30분간 건조시키는데, 이는 옻칠의 시간을 감소시키고 반복되는 옻칠에 의해 옻칠과 옻칠이 보다 안정적으로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옻칠 방법은 충분한 건조시간을 통해 초칠단계(S10),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1중칠단계(S30), 제2중칠단계(S50), 제3중칠단계(S80) 및 상칠단계(S110)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보다 견고한 상태의 옻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후의 연마단계의 연마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생칠에 비해 점도가 높은 주합을 중칠단계 및 상칠단계(S110)에서 사용하여 옻칠과 옻칠이 보다 안정적으로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제1연마단계(S20)는 상기 초칠단계(S10) 이후의 나무 표면 즉, 초칠단계(S10)에서 1차 코팅된 표면을 거칠기 400# 사포(sandpaper)를 이용하여 샌딩하는 것으로, 상기 초칠단계(S10) 이후에 거친 사포를 통해 형태를 잡으며 연마한다.
이때, 사포의 거칠기는 숫자가 낮을 수록 거칠어 즉, 표면 입자가 굵어 연마성이 높고 숫자가 높을 수록 고아 즉, 표면 입자가 작아 연마성 즉, 연마되는 정도가 낮다.
상기 제1중칠단계(S30)는 상기 제1연마단계(S20) 이후의 나무 표면 즉, 1차 코팅되고 연마된 표면에 제1중칠혼합물을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것으로, 1차 코팅된 후 연마된 표면에 상기 제1중칠혼합물이 코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중칠혼합물은 액상의 생칠의 수분을 증발시켜 상기 생칠보다 점도가 높은 액상 상태의 주합과 테레핀을 2:1의 비율로 혼합한 것으로, 상기 주합은 종래에 사용되는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므로 점도를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중칠혼합물은 앞서 설명된 초칠혼합물보다 된 즉, 물기가 적은 상태로 1차 코팅되고 연마된 표면에 도포되어 상기 초칠혼합물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한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 제1중칠단계(S30)에서 건조는 앞서 설명된 초칠단계(S10)와 마찬가지로, 칠장 내에서 23~27℃의 온도와 70~80% 습도로 4시간 동안 건조시켜 견고하고 안정적인 옻칠 즉,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연마단계(S40)는 상기 제1중칠단계(S30) 이후의 나무 표면 즉, 제1중칠단계(S30)에서 2차 코팅된 표면을 거칠기 600# 사포를 이용하여 샌딩하는 것으로, 상기 제1연마단계(S20)보다 고운 거칠기의 사포를 통해 연마한다.
상기 제2중칠단계(S50)는 상기 제2연마단계(S40) 이후의 나무 표면 즉, 2차 코팅되고 연마된 표면에 제1중칠혼합물을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것으로, 2차 코팅된 후 연마된 표면에 상기 제1중칠혼합물이 코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중칠혼합물은 앞서 설명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2중칠단계(S50)에서 건조는 앞서 설명된 초칠단계(S10), 제1중칠단계(S30)와 마찬가지로, 칠장 내에서 23~27℃의 온도와 70~80% 습도로 4시간 동안 건조시켜 견고하고 안정적인 옻칠 즉,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3연마단계(S60)는 상기 제2중칠단계(S50) 이후의 나무 표면 즉, 제2중칠단계(S50)에서 3차 코팅된 표면을 거칠기 800# 사포를 이용하여 샌딩하는 것으로, 상기 제2연마단계(S40)보다 고운 거칠기의 사포를 통해 연마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연마단계(S20) 내지 제3연마단계(S60)는 점차적으로 거칠기가 고운 사포를 이용하여 연마되도록 함으로써, 이후에 접착단계(S70)에서 자개를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접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 접착단계(S70)는 상기 제3연마단계(S60) 이후의 나무 표면 즉, 3차 코팅되고 연마된 표면에 접착혼합물을 이용하여 자개를 붙이고, 건조시키는 것으로, 3차 코팅된 후 연마된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자개를 부착한다.
이때, 상기 접착혼합물은 액상의 생칠의 수분을 증발시켜 상기 생칠보다 점도가 높은 액상 상태의 주합과 테레핀을 1:0.5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앞서 설명된 제1중칠혼합물보다 점도가 높도록 하여 자개가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 접착단계(S70)에서 건조는 앞서 설명된 초칠단계(S10), 제1중칠단계(S30), 제2중칠단계(S50)와 마찬가지로, 칠장 내에서 23~27℃의 온도와 70~80% 습도로 4시 간동안 건조시켜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자개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3중칠단계(S80)는 상기 접착단계(S70) 이후의 나무 표면 즉, 자개가 부착되지 않은 3차 코팅되고 연마된 표면에 제2중칠혼합물을 자개의 높이와 동일하게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것으로, 3차코팅된 후 연마된 표면에 상기 제2중칠혼합물이 코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중칠혼합물은 수분이 90% 이상 제거된 후 으깬 두부와 액상의 색옻칠 즉, 색염료가 혼합된 생옻칠을 1:1의 비율로 혼합한 것으로, 두부 특유의 질감과 색옻칠의 색감에 의한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중칠혼합물은 종래에 자개의 높이만큼 반복하여 실시되는 중칠단계를 두부에 의한 두께감으로 생략될 수 있도록 하여 옻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제2중칠혼합물은 수분이 90% 이상 제거된 후 으깬 두부와 액상의 색옻칠을 1:1의 비율로 한합한 혼합물과 카사바 녹말 가루를 1:0.3 내지 0.5의 비율로 한합할 수 있다.
상기 카사바 녹말은 카사바 전분이라고도 불리우며 카사바의 알뿌리에서 채취한 녹말로서, 때에 따라 타피오카로도 불리우고, 타피오카 펄, 플레이크, 스틱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 및 생산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두부와 함께 특유의 질감으로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카사바 녹말은 분쇄하여 가루 형태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혼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혼합되는 비율이 0.3 미만이면 카사 녹말에 의한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0.5를 초과하면 카사바 녹말에 의해 수분이 흡수되어 상기 제2중칠혼합물이 너무 된 형태가 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혼합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중칠단계(S80)에서 건조는 앞서 설명된 초칠단계(S10), 제1중칠단계(S30), 제2중칠단계(S50), 접착단계(S70)와 마찬가지로, 칠장 내에서 23~27℃의 온도와 70~80% 습도로 4시간 동안 건조시켜 견고하고 안정적인 옻칠 즉,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4중칠단계(S90)는 상기 제3중칠단계(S80) 이후의 나무 표면 즉, 4차 코팅된 표면과 자개의 표면에 제3중칠혼합물을 도포하고 건조하는 것으로, 4차 코팅된 후 연마된 표면과 자개의 표면에 상기 제3중칠혼합물이 코팅될 수 있도록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4중칠단계(S90)는 상기 제3중칠단계(S80)에서 두부에 의한 질감에 의해 표면이 거칠은 상태 즉, 연마되지 않은 코팅면에 상기 제3중칠혼합물을 도포하여 매끄러운 코팅면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3중칠혼합물은 액상의 생칠의 수분을 증발시켜 상기 생칠보다 점도가 높은 액상 상태의 주합과 테레핀을 1:1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앞서 설명된 제1중칠혼합물보다 묽은 상태로 도포 후 코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4중칠단계(S90)에서 건조는 앞서 설명된 초칠단계(S10), 제1중칠단계(S30), 제2중칠단계(S50), 접착단계(S70), 제3중칠단계(S80)와 마찬가지로, 칠장 내에서 23~27℃의 온도와 70~80% 습도로 4시간 동안 건조시켜 견고하고 안정적인 옻칠 즉,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4연마단계(S100)는 상기 제4중칠단계(S90) 이후의 나무 표면과 자개의 표면 즉, 제4중칠단계(S90)에서 4차 코팅된 표면을 거칠기 1200# 사포를 이용하여 샌딩하는 것으로, 상기 제3연마단계(S60)보다 고운 거칠기의 사포를 통해 연마한다.
상기 상칠단계(S110)는 상기 제4연마단계(S100) 이후의 나무 표면과 자개의 표면 즉, 4차 코팅되고 연마된 표면에 상칠혼합물을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것으로, 4차 코팅된 후 연마된 표면에 상기 상칠혼합물이 코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상칠단계(S110)는 4차 코팅된 표면을 상기 상칠혼합물에 의해 한번더 코팅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이고 견고한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상칠혼합물은 앞서 설명된 제1중칠혼합물과 동일한 혼합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상칠단계(S110)에서 건조는 앞서 설명된 초칠단계(S10), 제1중칠단계(S30), 제2중칠단계(S50), 접착단계(S70), 제3중칠단계(S80), 제4중칠단계(S90)와 마찬가지로, 칠장 내에서 23~27℃의 온도와 70~80% 습도로 4시간 동안 건조시켜 견고하고 안정적인 옻칠 즉,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광작업단계(S120)는 상기 상칠단계(S110) 이후의 나무 표면과 자개의 표면 즉, 상칠단계(S110)에서 5차 코팅된 표면을 거칠기 2000# 사포를 이용하여 샌딩하고, 광택제를 도포하는 것으로, 상기 제4연마단계(S100)보다 고운 거칠기의 사포를 통해 연마하고 광택제를 통하여 매끄럽고 미려한 표면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광작업단계(S120) 후 건조가 실시됨은 자명할 것이며, 상기 광작업단계(S120)의 건조작업은 실온에서 40~50%의 습도로 약 4시간 동안 이루어져 옻칠된 나무 제품을 완성한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S10 ; 초칠단계
S20 : 제1연마단계
S30 : 제1중칠단계
S40 : 제2연마단계
S50 : 제2중칠단계
S60 : 제3연마단계
S70 : 접착단계
S80 : 제3중칠단계
S90 : 제4중칠단계
S100 : 제4연마단계
S110 : 상칠단계
S120 : 광작업단계

Claims (5)

  1. 초칠혼합물을 나무의 표면에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초칠단계(S10);와
    상기 초칠단계(S10) 이후의 나무 표면을 400# 사포를 이용하여 샌딩하는 제1연마단계(S20);와
    상기 제1연마단계(S20) 이후의 나무 표면에 제1중칠혼합물을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제1중칠단계(S30);와
    상기 제1중칠단계(S30) 이후의 나무 표면을 600# 사포를 이용하여 샌딩하는 제2연마단계(S40);와
    상기 제2연마단계(S40) 이후의 나무 표면에 제1중칠혼합물을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제2중칠단계(S50);와
    상기 제2중칠단계(S50) 이후의 나무 표면을 800# 사포를 이용하여 샌딩하는 제3연마단계(S60);와
    상기 제3연마단계(S60) 이후의 나무 표면에 접착혼합물을 이용하여 자개를 붙이고, 건조시키는 접착단계(S70);와
    상기 접착단계(S70) 이후의 나무 표면에 제2중칠혼합물을 자개의 높이와 동일하게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제3중칠단계(S80);와
    상기 제3중칠단계(S80) 이후의 나무 표면과 자개의 표면에 제3중칠혼합물을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제4중칠단계(S90);와
    상기 제4중칠단계(S90) 이후의 나무 표면과 자개의 표면을 1200# 사포를 이용하여 샌딩하는 제4연마단계(S100);와
    상기 제4연마단계(S100) 이후의 나무 표면과 자개의 표면에 상칠혼합물을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상칠단계(S110); 및
    상기 상칠단계(S110) 이후의 나무 표면과 자개의 표면을 2000# 사포를 이용하여 샌딩하고, 광택제를 도포하는 광작업단계(S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초칠혼합물은 액상의 생칠과 테레핀을 1:1 내지 1.5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과, 상기 제1중칠혼합물과 상칠혼합물은 액상의 생칠의 수분을 증발시켜 상기 생칠보다 점도가 높은 액상 상태의 주합과 테레핀을 2:1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과, 상기 접착혼합물은 생칠의 수분을 증발시킨 주합과 테레핀을 1:0.5의 비율로 혼합한 것과, 상기 제3중칠혼합물은 생칠의 수분을 증발시킨 주합과 테레핀을 1:1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중칠혼합물은
    수분이 90% 이상 제거된 후 으깬 두부와 액상의 색옻칠을 1:1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중칠혼합물은
    수분이 90% 이상 제거된 후 으깬 두부와 액상의 색옻칠을 1:1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과 카사바 녹말 가루를 1:0.3 내지 0.5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칠단계(S10), 제1중칠단계(S30), 제2중칠단계(S50), 접착단계(S70), 제3중칠단계(S80), 제4중칠단계(S90) 및 상칠단계(S110)는
    칠장 내에서 23~27℃의 온도, 70~80% 습도로 4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 방법.
KR1020240031179A 2024-03-05 2024-03-05 옻칠 방법 KR102662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1179A KR102662825B1 (ko) 2024-03-05 2024-03-05 옻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1179A KR102662825B1 (ko) 2024-03-05 2024-03-05 옻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2825B1 true KR102662825B1 (ko) 2024-05-03

Family

ID=91076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1179A KR102662825B1 (ko) 2024-03-05 2024-03-05 옻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8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3545A (ko) * 2009-11-16 2011-05-24 최광식 옻칠을 이용한 자개 부착 방법
KR102143049B1 (ko) 2019-03-22 2020-08-13 강정은 유리 제품에 옻칠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3545A (ko) * 2009-11-16 2011-05-24 최광식 옻칠을 이용한 자개 부착 방법
KR102143049B1 (ko) 2019-03-22 2020-08-13 강정은 유리 제품에 옻칠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732B1 (ko) 섬유를 활용한 도자공예 장식기법 및 이를 이용한 도자 공예품
US1561324A (en) Decorated surfac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CN105818601A (zh) 一种用于大漆擦色工艺的色漆及其漆器方法
CN107138376A (zh) 一种杨木改性材实木家具表面木蜡油涂饰方法
CN103937392A (zh) 一种木器漆及其使用方法
CN107160521B (zh) 一种防腐型竹制笔筒的制作方法
CN104859020A (zh) 一种驱蚊蚁竹木地板的制备工艺
CN101468581A (zh) 家具硝基仿古涂装古树皮效果装饰的施工工艺
CN108381725A (zh) 一种仿古木地板的制作工艺
KR102662825B1 (ko) 옻칠 방법
US5480698A (en) Acrylic or polycarbonate sheet-lacquer laminates and articles of furniture made therefrom
CN109127336A (zh) 一种水性金丝纹漆涂装工艺
KR102662827B1 (ko) 옻칠 방법
KR100596720B1 (ko) 칠피용 도료 조성물
CN107344165B (zh) 一种科技木涂装方法
KR20030017189A (ko) 납골함의 제조방법
CN106345671A (zh) 一种户外家具抗紫外光木蜡油涂装工艺
CN106675361A (zh) 一种pu高性能抗紫外线净味开放底漆
KR102512737B1 (ko) 옻칠 방법 및 옻칠 조성물
CN108942420A (zh) 一种棺椁木材表面处理方法
Bergeon Painting technique: priming, coloured paint film and varnish
CN106625951A (zh) 榆木板材仿风化处理工艺
CN102424735B (zh) 用于聚酯漆或聚氨酯漆的油漆配方组合物及涂装工艺方法
CN220759875U (zh) 原木水性全哑面涂装结构
CN108995462A (zh) 一种石榴胎漆器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