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820B1 - 지상 변압기용 저압 단자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지상 변압기용 저압 단자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820B1
KR102662820B1 KR1020210173676A KR20210173676A KR102662820B1 KR 102662820 B1 KR102662820 B1 KR 102662820B1 KR 1020210173676 A KR1020210173676 A KR 1020210173676A KR 20210173676 A KR20210173676 A KR 20210173676A KR 102662820 B1 KR102662820 B1 KR 102662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voltage terminal
transformer
movable plate
separ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5478A (ko
Inventor
박기옥
김주현
하보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73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820B1/ko
Publication of KR20230085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04Arrangements for interchanging inductances, transformers or co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변압기의 케이스에 프레임부를 장착시킨 상태에서 제1이동플레이트와 제2이동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절한 후 당김분리작동부를 통해 변압기의 저압부싱에 끼워진 저압단자를 당겨서 분리시킴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지상 변압기용 저압단자 분리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지상 변압기용 저압단자 분리장치는 한 쌍의 가로프레임과 한 쌍의 세로프레임이 직각으로 연결되어 개구부를 형성하고, 변압기의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부와, 세로프레임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개구부와 연통되는 연통홀부가 형성되는 제1이동플레이트와, 제1이동플레이트에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이동플레이트와, 제2이동플레이트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변압기의 저압부싱에 끼워진 저압단자를 당겨서 분리시키는 당김분리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상 변압기용 저압 단자 분리장치{LOW VOLTAGE TERMINAL SEPARATION DEVICE FOR GROUND TRANSFORMER}
본 발명은 지상 변압기용 저압단자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변압기의 케이스에 프레임부를 장착시킨 상태에서 제1이동플레이트와 제2이동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절한 후 당김분리작동부를 통해 변압기의 저압부싱에 끼워진 저압단자를 당겨서 분리시킴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지상 변압기용 저압단자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 배전선로에는 가정이나 산업용 각종 설비 등에 전력 공급시 발전소로부터 송전선을 통해 공급되는 22.9 KV의 특고압에서 가정이나 산업용 각종 설비에 적합한 220/380 V의 저전압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전압을 강하하는 수단으로서 지상 변압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상 변압기는 노후화나 과부하에 의하여 변압기에 이상(고장)이 발생하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변압기로 교체하여야 하는데, 이는 지상 배전선로의 변압기를 교체하는 경우에는 무정전 변압기 교체 차량을 이용하여 무정전 교체공법 또는 개폐기와 개폐기 사이에 있는 변압기를 모두 정전시킨 후에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변압기로 교체하는 방식으로 교체가 이루어지나, 최근에는 수용가 측의 편의를 위해 대부분이 무정전 교체공법으로 지상 변압기를 교체하고 있다.
여기서, 무정전으로 지상 변압기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지상 변압기와 연결되는 수용가 측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임시 변압기를 마련하고, 수용가 측과 연결되는 지상 변압기의 저압 케이블과 임시 변압기의 저압 단자 측을 연결 케이블로 연결하여 임시 변압기를 통해 수용가 측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상태로 구축한 후, 저압 케이블과 함께 연결 케이블을 지상 변압기의 저압 단자에서 분리하여 지상 변압기의 무정전 교체를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연결 케이블을 통해 지상 변압기의 저압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하기 위해서 저압 케이블의 피복을 박피하여 전선을 노출시킨 후, 그 전선과 연결 케이블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연결함으로 인해 전기적인 연결 과정이 다소 복잡하여 공정에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케이블의 전선을 탈피시키는 과정에서 전기적인 안전사고에 노출될 수 있어 작업의 안전성이 다소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저압 케이블의 탈피된 부분은 지상 변압기의 교체가 완료된 후에는 별도의 복구 작업이 요구되므로 작업 공정이 다소 불편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90560호(2021.08.10 등록, 명칭: 지상변압기의 저압단자와 연결되는 터미널 탈거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변압기의 케이스에 프레임부를 장착시킨 상태에서 제1이동플레이트와 제2이동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절한 후 당김분리작동부를 통해 변압기의 저압부싱에 끼워진 저압단자를 당겨서 분리시킴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지상 변압기용 저압단자 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상 변압기용 저압 단자 분리장치는 한 쌍의 가로프레임과 한 쌍의 세로프레임이 직각으로 연결되어 개구부를 형성하고, 변압기의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세로프레임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는 연통홀부가 형성되는 제1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에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변압기의 저압부싱에 끼워진 저압단자를 당겨서 분리시키는 당김분리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는 제1위치조절조작부에 의해 상기 세로프레임에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제1위치조절조작부는 상기 세로프레임에 결합되고, 제1핸들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기어박스와, 상기 제1기어박스에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세로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지지브라켓과, 상기 제1핸들에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제1기어박스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1지지브라켓에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볼스크류 및 상기 제1볼스크류에 체결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제1체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는 제2위치조절조작부에 의해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에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제2위치조절조작부는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제2핸들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기어박스와, 상기 제2기어박스에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2지지브라켓과, 상기 제2핸들에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제2기어박스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2지지브라켓에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볼스크류 및 상기 제2볼스크류에 체결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제2체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당김분리작동부는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박스와, 상기 저압단자에 걸림 가능하게 장착되는 걸림장착부 및 상기 동력전달박스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걸림장착부를 당기거나 가압하는 당김가압부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장착부는 상기 저압단자의 단부에 밀착 가능하게 접촉되는 밀착접촉블록와, 상기 밀착접촉블록에 축 삽입되는 삽입볼트와, 상기 삽입볼트의 단부에 굴곡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저압단자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지지부 및 상기 걸림지지부가 상기 저압단자에 걸림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삽입볼트에 조임 가능하게 체결되는 조임너트를 포함한다.
상기 당김가압부는 상기 개구부에 관통 배치되도록 상기 동력전달박스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스크류 및 상기 회전스크류에 체결되고, 상기 회전스크류의 회전시 상기 회전스크류의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관부 및 상기 이동관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밀착접촉블록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탄성결합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변압기용 저압 단자 분리장치는 변압기의 케이스에 프레임부를 장착시킨 상태에서 제1이동플레이트와 제2이동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절한 후 당김분리작동부를 통해 변압기의 저압부싱에 끼워진 저압단자를 당겨서 분리시키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변압기의 무정전 교체시 변압기 차량의 저압 케이블을 저압단자에 연결한 상태에서 저압단자를 분리시킬 경우, 저압단자에 연결된 수용가 측의 케이블을 일일이 분리할 필요 없으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변압기용 저압 단자 분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변압기용 저압 단자 분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변압기용 저압 단자 분리장치가 변압기의 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변압기용 저압 단자 분리장치에서 제1위치조절조작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변압기용 저압 단자 분리장치에서 제2위치조절조작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변압기용 저압 단자 분리장치에서 당김가압부가 걸림장착부에 연결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변압기용 저압 단자 분리장치에서 당김가압부가 걸림장착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변압기용 저압 단자 분리장치에서 당김가압부가 걸림장착부를 당겨 저압단자를 분리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변압기용 저압 단자 분리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변압기용 저압 단자 분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변압기용 저압 단자 분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변압기용 저압 단자 분리장치가 변압기의 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변압기용 저압 단자 분리장치에서 제1위치조절조작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변압기용 저압 단자 분리장치에서 제2위치조절조작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변압기용 저압 단자 분리장치에서 당김가압부가 걸림장착부에 연결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변압기용 저압 단자 분리장치에서 당김가압부가 걸림장착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변압기용 저압 단자 분리장치에서 당김가압부가 걸림장착부를 당겨 저압단자를 분리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변압기용 저압 단자 분리장치는 프레임부(10), 제1이동플레이트(20), 제2이동플레이트(30), 구동모터(40) 및 당김분리작동부(5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0)는 한 쌍의 가로프레임(11)과 한 쌍의 세로프레임(12)이 직각으로 연결되어 개구부(13)를 형성하고, 지상 변압기의 케이스(C)에 장착된다.
이러한 프레임부(10)는 지상 변압기의 케이스(C)에 장착되어 제1이동플레이트(20)가 세로프레임(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1이동플레이트(20)는 세로프레임(12)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개구부(13)와 연통되는 연통홀부(21)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이동플레이트(20)는 제2이동플레이트(30)가 가로프레임(11)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동시에 추후에 설명될 당김분리작동부(50)가 변압기의 저압단자(T)에 대응되는 높이로 배치되도록 세로프레임(12)에서 수직 이동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세로프레임(12)에는 슬라이드레일(12a)이 구비되고, 제1이동플레이트(20)에는 슬라이드레일(12a)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블록(22)이 구비된다.
이때, 제1이동플레이트(20)는 제1위치조절조작부(70)에 의해 세로프레임(12)에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위치조절조작부(70)는 세로프레임(12)에 결합되고, 제1핸들(71a)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기어박스(71)와, 제1기어박스(71)에 이격 배치되도록 세로프레임(12)에 설치되는 제1지지브라켓(72)과, 제1핸들(71a)에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제1기어박스(71)에 일측이 연결되고, 제1지지브라켓(72)에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볼스크류(73) 및 제1볼스크류(73)에 체결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제1이동플레이트(20)에 구비되는 제1체결부재(74)를 포함한다.
즉, 제1핸들(71a)을 회전시키면 제1기어박스(71)는 제1핸들(71a)과 제1볼스크류(73)가 함께 회전하도록 제1볼스크류(73)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제1체결부재(74)는 제1볼스크류(73)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볼스크류(73) 상에서 제1기어박스(71) 또는 제1지지브라켓(72) 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제1이동플레이트(20)는 제1핸들(71a)의 회전 조작을 통해 세로프레임(12)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2이동플레이트(30)는 제1이동플레이트(20)에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제2이동플레이트(30)는 구동모터(4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동시에 추후에 설명될 당김분리작동부(50)가 변압기의 저압단자(T)에 대응되는 위치로 배치되도록 제1이동플레이트(20)에서 수평 이동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1이동플레이트(20)에는 슬라이드레일(23)이 구비되고, 제2이동플레이트(30)에는 슬라이드레일(23)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홀부(31)가 형성된다.
이때, 제2이동플레이트(30)는 제2위치조절조작부(80)에 의해 제1이동플레이트(20)에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위치조절조작부(80)는 제1이동플레이트(10)에 결합되고, 제2핸들(81a)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기어박스(81)와, 제2기어박스(81)에 이격 배치되도록 제1이동플레이트(10)에 설치되는 제2지지브라켓(82)과, 제2핸들(81a)에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제2기어박스(81)에 일측이 연결되고, 제2지지브라켓(82)에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볼스크류(83) 및 제2볼스크류(83)에 체결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제2이동플레이트(30)에 구비되는 제2체결부재(84)를 포함한다.
즉, 제2핸들(81a)을 회전시키면 제2기어박스(81)는 제2핸들(81a)과 제2볼스크류(83)가 함께 회전하도록 제2볼스크류(83)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제2체결부재(84)는 제2볼스크류(83)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2볼스크류(83) 상에서 제2기어박스(71) 또는 제2지지브라켓(72) 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제2이동플레이트(30)는 제2핸들(81a)의 회전 조작을 통해 제1이동플레이트(20)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동모터(40)는 제2이동플레이트(30)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동모터(40)는 당김분리작동부(50)가 당김력으로 저압단자(T)를 변압기의 저압축부에서 분리시키도록 당김분리작동부(5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당김분리작동부(50)는 구동모터(4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변압기의 저압부싱(B)에 끼워진 저압단자(T)를 당겨서 분리시킨다.
구체적으로, 당김분리작동부(50)는 구동모터(40)와 연결되도록 제2이동플레이트(30)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박스(51)와, 저압단자(T)에 걸림 가능하게 장착되는 걸림장착부(52) 및 동력전달박스(51)를 통해 구동모터(4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걸림장착부(52)를 당기거나 가압하는 당김가압부(53)를 포함한다.
이때, 걸림장착부(52)는 프레임부(10)이 지상 변압기의 케이스에 장착되기 전에 당김가압부(53)와 분리된 상태로 저압단자(T)에 걸림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 걸림장착부(52)는 저압단자(T)에 밀착 가능하게 접촉되는 밀착접촉블록(52a)와, 밀착접촉블록(52a)에 삽입되어 저압단자(T)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지지부재(52b) 및 걸림지지부재(52b)가 저압단자(T)에 걸림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걸림지지부재(52b)의 단부에 조임 가능하게 체결되는 조임너트(52c)를 포함한다.
즉, 밀착접촉블록(52a)가 저압단자(T)에 접촉되고, 걸림지지부재(52b)가 저압단자(T)에 걸림 지지된 상태에서 조임너트(52c)를 조이면 걸림지지부재(52b)는 밀착접촉블록(52a) 측으로 당겨지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밀착접촉블록(52a)을 저압단자(T)에 밀착시킨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당김가압부(53)는 개구부(13)에 관통 배치되도록 동력전달박스(51)에 연결되어 구동모터(40)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스크류(53a) 및 회전스크류(53a)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이동체결관부(53b) 및 이동체결관부(53b)의 단부에 구비되어 밀착접촉블록(52a)에 탄성적으로 걸림 지지되는 탄성걸림부(53c)를 포함한다.
즉, 저압단자(T)에 걸림장착부(52)가 먼저 장착된 상태에서 변압기의 저압부싱(B)로부터 저압단자(T)를 분리시킬 경우, 이동체결관부(53b)가 회전스크류(53a)의 단부 측으로 이동되도록 구동모터(40)를 회전시켜 탄성걸림부(53c)가 밀착접촉블록(52a)에 탄성적으로 걸리도록 한다. 그런 다음, 이동체결관부(53b)가 제2이동플레이트(30) 측으로 이동되도록 구동모터(40)를 회전시키면 밀착접촉블록(52a)는 탄성걸림부(53c)에 걸림 지지된 채로 제2이동플레이트(30) 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걸림지지부재(52c)는 밀착접촉블록(52a)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저압단자(T)를 저압부싱(B)에서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저압단자(T)는 복수개의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에서 케이블을 일일이 분리할 필요없이 변압기 차량의 케이블과 연결한 후, 저압부싱(B)에서 분리되더라도 정전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프레임부 11: 가로프레임
12: 세로프레임 13: 개구부
20: 제1이동플레이트 21: 연통홀부
30: 제2이동플레이트 40: 구동모터
50: 당김분리작동부 51: 동력전달박스
52: 걸림장착부 53: 당김가압부
70: 제1위치조절조작부 71: 제1기어박스
72: 제1지지브라켓 73: 제1볼스크류
74: 제1체결부재 80: 제2위치조절조작부
81: 제2기어박스 82: 제2지지브라켓
83: 제2볼스크류 84: 제2체결부재

Claims (6)

  1. 한 쌍의 가로프레임과 한 쌍의 세로프레임이 직각으로 연결되어 개구부를 형성하고, 변압기의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부;
    상기 세로프레임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는 연통홀부가 형성되는 제1이동플레이트;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에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이동플레이트;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변압기의 저압부싱에 끼워진 저압단자를 당겨서 분리시키는 당김분리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당김분리작동부는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박스와, 상기 저압단자에 걸림 가능하게 장착되는 걸림장착부 및 상기 동력전달박스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걸림장착부를 당기거나 가압하는 당김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변압기용 저압단자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는 제1위치조절조작부에 의해 상기 세로프레임에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제1위치조절조작부는,
    상기 세로프레임에 결합되고, 제1핸들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기어박스;
    상기 제1기어박스에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세로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지지브라켓;
    상기 제1핸들에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제1기어박스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1지지브라켓에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볼스크류; 및
    상기 제1볼스크류에 체결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제1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변압기용 저압 단자 분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는 제2위치조절조작부에 의해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에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제2위치조절조작부는,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제2핸들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기어박스;
    상기 제2기어박스에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2지지브라켓;
    상기 제2핸들에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제2기어박스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2지지브라켓에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볼스크류; 및
    상기 제2볼스크류에 체결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제2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변압기용 저압단자 분리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장착부는
    상기 저압단자의 단부에 밀착 가능하게 접촉되는 밀착접촉블록;
    상기 밀착접촉블록에 축 삽입되는 삽입볼트;
    상기 삽입볼트의 단부에 굴곡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저압단자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지지부; 및
    상기 걸림지지부가 상기 저압단자에 걸림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삽입볼트에 조임 가능하게 체결되는 조임너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변압기용 저압단자 분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가압부는,
    상기 개구부에 관통 배치되도록 상기 동력전달박스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스크류; 및
    상기 회전스크류에 체결되고, 상기 회전스크류의 회전시 상기 회전스크류의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관부; 및
    상기 이동관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밀착접촉블록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탄성결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변압기용 저압단자 분리장치.
KR1020210173676A 2021-12-07 2021-12-07 지상 변압기용 저압 단자 분리장치 KR102662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676A KR102662820B1 (ko) 2021-12-07 2021-12-07 지상 변압기용 저압 단자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676A KR102662820B1 (ko) 2021-12-07 2021-12-07 지상 변압기용 저압 단자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478A KR20230085478A (ko) 2023-06-14
KR102662820B1 true KR102662820B1 (ko) 2024-05-09

Family

ID=86745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676A KR102662820B1 (ko) 2021-12-07 2021-12-07 지상 변압기용 저압 단자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82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656B1 (ko) 2020-06-15 2021-10-05 한국전력공사 무정전 변압기 교체용 분리형 연결단자, 회전부싱, 바이패스선, 자동절체개폐기, 거치스탠드, 절연커버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변압기 교체공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904A (ko) * 2009-07-06 2011-01-13 삼정전기공업 주식회사 자동 구간 개폐기 내장형 지상변압기
KR20170062619A (ko) * 2015-11-27 2017-06-08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교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교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656B1 (ko) 2020-06-15 2021-10-05 한국전력공사 무정전 변압기 교체용 분리형 연결단자, 회전부싱, 바이패스선, 자동절체개폐기, 거치스탠드, 절연커버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변압기 교체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478A (ko) 202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7142B1 (ko) 지중배전선로 전선 연결대의 안전장치
KR100722251B1 (ko) 지상변압기용 엘보 접속재 분리장치
WO1999023736A1 (de) Kommunikationsfähige schaltgeräteeinheit
KR101835841B1 (ko) 배전용 케이블 단락 보강장치
CN101779369A (zh) 直线电动机组件
KR100769335B1 (ko) 무정전 공법에 의한 변압기 교체용 1차측 접속장치
DE102014108090B3 (de) Adaptersystem mit einem Adapter für Sammelschienen und einem Adapteranschlussmodul
CN110350414B (zh) 一种高压开关柜系统及其高压开关柜更换方法
KR102662820B1 (ko) 지상 변압기용 저압 단자 분리장치
KR100785879B1 (ko) 지상 변압기의 저압 케이블 분리용 집게형 접속장치
KR101674902B1 (ko) 관절형 엘보 접속재 조작장치
KR100721852B1 (ko) 배전형 변압기를 갖춘 전신주
KR102635321B1 (ko) 지상변압기용 엘보 접속재 조작장치
KR100805224B1 (ko) 엘보 접속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선의 무정전공법
KR101334078B1 (ko)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집게 장치
KR101640016B1 (ko)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KR101497340B1 (ko)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JP5420745B1 (ja) 先端工具取付用アダプタ
KR200431619Y1 (ko) 지상 변압기의 저압 케이블 분리용 집게형 접속장치
KR100882790B1 (ko)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집게형 접속장치
CN115275714A (zh) 一种移动式整流变压器专用高压电源连接装置
KR101477611B1 (ko) 변전설비용 단로기 구동로드 고정기구
CN106785942B (zh) 高压熔断器作业保护装置以及高压熔断器防触电作业方法
JP4264094B2 (ja) 短絡接地工具
CN219873327U (zh) 一种侧挂式辅助装配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