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475B1 - 골전도 이어폰 - Google Patents

골전도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475B1
KR102662475B1 KR1020227026443A KR20227026443A KR102662475B1 KR 102662475 B1 KR102662475 B1 KR 102662475B1 KR 1020227026443 A KR1020227026443 A KR 1020227026443A KR 20227026443 A KR20227026443 A KR 20227026443A KR 102662475 B1 KR102662475 B1 KR 102662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housing
cover plate
earring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6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2737A (ko
Inventor
젠 왕
지킹 리우
용엔 왕
신난 마오
Original Assignee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0367107.5A external-priority patent/CN113596648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20720129.0U external-priority patent/CN212086436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20720127.1U external-priority patent/CN212086435U/zh
Application filed by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22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2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골전도 이어폰을 제공한다. 상기 골전도 이어폰은 귀걸이조립체 및 코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귀걸이조립체는 귀걸이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모듈은 상기 귀걸이조립체의 일단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코어모듈은 코어 하우징과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 하우징의 일단에 개구가 구비되어 상기 코어를 수용하는 챔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코어 하우징의 탄성률은 상기 귀걸이 하우징의 탄성률보다 클 수 있다.

Description

골전도 이어폰
관련 출원과의 교차참고 설명
[1] 본 출원은 중국 특허출원1(출원번호: 202020720127.1, 출원일자: 2020년 4월 30일), 중국 특허출원2(출원번호: 202020720129.0, 출원일자: 2020년 4월 30일), 중국 특허출원3(출원번호: 202010367107.5, 출원일자: 2020년 4월 30일)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선출원들의 내용은 참고하여 본 출원에 포함되어 있다.
기 술 분 야
[2] 본 개시는 골전도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골전도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1] 골전도는 일종 소리 전도 방식이다. 즉 전기신호는 기계적 진동으로 전환된다. 상기 기계적 진동은 두개골, 골성 미로, 미로 임파, 나선 기관, 달팽이관 신경, 인간의 대뇌 피질에 있는 청각 경로 등을 통해 전달된다. 골전도 이어폰은 골전도를 이용해 소리를 수신할 수 있다. 골전도 이어폰은 두개골에 밀접할 수 있다. 음파는 양쪽 귀를 "침착"할 수 있는 외이도와 고막을 통하지 않고 골격을 통해 직접 청각 신경에 전송될 수 있으며, 두 귀를 "해방"시킬 수 있다.
[1] 본 개시의 일 방면에 의하면, 골전도 이어폰을 제공한다. 상기 골전도 이어폰은 귀걸이조립체 및 코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귀걸이조립체는 귀걸이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모듈은 상기 귀걸이조립체의 일단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코어모듈은 코어 하우징과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 하우징의 일단에 개구가 구비되어 상기 코어를 수용하는 챔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코어 하우징의 탄성률은 상기 귀걸이 하우징의 탄성률보다 클 수 있다.
[2]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귀걸이 하우징은 순차적으로 연결된 이어폰 고정부, 굽힘전환부 및 수용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고정부는 상기 코어 하우징의 개구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고정부에 보강구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코어 하우징의 피부접촉 구역의 강도와 상기 이어폰 고정부의 강도 사이의 차이값과 상기 코어 하우징의 피부접촉 구역의 강도의 비율은 10% 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3]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구조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보강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4]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구조는 적어도 2개의 보강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2개의 보강리브는 평행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적어도 2개의 보강리브는 그리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5]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는 하나의 장축 방향 및 하나의 단축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축 방향에서의 상기 이어폰 고정부의 크기는 상기 단축 방향에서의 상기 이어폰 고정부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적어도 2개의 보강리브는 각각 상기 장축 방향과 상기 단축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그리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적어도 2개의 보강리브는 띠 모양일 수 있으며, 상기 단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장축 방향을 따라 나란히 설치될 수 있다.
[6]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강리브 중의 보강리브의 두께와 상기 이어폰 고정부의 두께의 비율은 0.8 내지 1.2 범위내일 수 있다.
[7]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강리브 중의 보강리브의 폭과 상기 이어폰 고정부의 두께의 비율은 0.4 내지 0.6 범위내일 수 있다.
[8]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강리브 중의 2개의 인접된 보강리브 사이의 간격과 상기 이어폰 고정부의 두께의 비율은 1.6 내지 2.4의 범위내일 수 있다.
[9]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리브의 두께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10]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리브의 폭은 상기 이어폰 고정부의 두께의 절반일 수 있다.
[11]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2개의 인접된 보강리브의 간격은 상기 이어폰 고정부의 두께의 2배일 수 있다.
[12]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구조는 적어도 2개의 보강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2개의 보강 리브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의 미리 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13]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로 인접된 적어도 2개의 보강리브의 단부는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2개의 보강리브의 연장선은 상기 사전 설정된 기준점에서 교차될 수 있다 .
[14]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구조의 재료는 금속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구조와 상기 이어폰 고정부는 금속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15]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 하우징은 바닥벽과 고리형 주변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벽은 상기 코어 하우징의 피부접촉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리형 주변벽의 일단은 상기 바닥벽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고정부는 고정체와 고리형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체는 상기 굽힘전환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리형 플랜지는 상기 고정체와 연결되고 상기 코어 하우징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고리형 플랜지는 상기 바닥벽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고리형 주변벽의 다른 단부와 접할 수 있다. 상기 보강구조는 상기 고정체와 상기 고리형 플랜지 사이에 설치된 호형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보강구조는 상기 고정체와 일체로 설치된 두께보강층을 포함할 수 있다.
[16]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귀걸이 하우징은 탄성 금속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금속선은 상기 이어폰 고정부, 상기 굽힘전환부, 및/또는 상기 수용함내에 설치될 수 있다.
[17]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구조의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또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18]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모듈은 덮개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판은 상기 코어 하우징의 상기 개구를 덮을 수 있으며, 상기 귀걸이 하우징은 상기 덮개판에 연결된다. 상기 덮개판의 탄성률은 상기 귀걸이 하우징의 탄성률보다 클 수 있다.
[19]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덮개판의 탄성률은 상기 코어 하우징의 탄성률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20]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 하우징은 바닥벽과 고리형 주변벽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리형 주변벽의 일단은 상기 바닥벽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덮개판은 상기 고리형 주변벽의 다른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바닥벽과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바닥벽의 적어도 일부분은 유저의 피부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바닥벽의 강도와 상기 덮개판의 강도 사이의 차이값과 상기 바닥벽의 강도의 비율은 10%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21]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닥벽의 면적은 상기 덮개판의 면적보다 작거나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바닥벽의 두께는 상기 덮개판의 두께보다 작거나 동일할 수 있다.
[22]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덮개판의 재료는 상기 코어 하우징의 재료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비율과 제2 비율의 비는 90%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제1 비율은 상기 덮개판의 두께와 상기 덮개판의 면적의 비율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비율은 상기 바닥벽의 두께와 상기 바닥벽의 면적의 비율일 수 있다.
[23]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두께와 상기 바닥벽의 면적의 제1 비율은 상기 두께와 상기 덮개판의 면적의 제2 비율과 동일할 수 있다.
[24]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귀걸이 하우징은 수용함, 굽힘전환부, 및 이어폰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함은 배터리 또는 메인 제어회로판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굽힘전환부는 상기 수용함과 상기 이어폰 고정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굽힘전환부는 굽혀진 형상으로 설치되어 사람 귀 밖에 달릴 수 있다. 상기 이어폰 고정부는 상기 코어 하우징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상기 덮개판의 일측을 덮을 수 있다.
[25]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와 상기 덮개판은 접착제 연결 또는 클램핑 연결과 상기 접착제 연결의 조합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26]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덮개판은 상기 이어폰 고정부에 완전히 덮일 수 있다. 상기 이어폰 고정부와 상기 덮개판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 겔의 충전도는 90%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27]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 하우징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상기 덮개판의 일측은 버튼수용홈을 구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귀걸이조립체는 버튼과 식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식부재는 장식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식 브라켓은 상기 귀걸이 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버튼적응홀은 상기 이어폰 고정부에 설치될 수 있다.상기 버튼은 상기 버튼수용홈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적응홀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장식 브라켓은 상기 버튼적응홀을 통해 노출된 상기 버튼의 위에서 외팔보의 형식으로 더 연장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 눌리울 때 상기 버튼을 촉발시킬 수 있다.
[28]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 하우징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상기 덮개판의 일측은 마이크로폰 수용홈을 구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코어모듈은 하나의 제1 마이크로폰 및 하나의 제2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이크로폰은 상기 코어 하우징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마이크로폰은 상기 마이크로폰 수용홈에 설치되고 상기 이어폰 고정부에 의해 덮일 수 있다.
[29]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덮개판의 재료는 유리 섬유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또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중 적어도 하나와의 혼합물; 탄소섬유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또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중 적어도 하나와의 혼합물; 또는 유리 섬유와, 탄소섬유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또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중 적어도 하나와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30]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귀걸이 하우징의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또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31]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 하우징의 재료는 유리 섬유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또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중 적어도 하나와의 혼합물; 탄소섬유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또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중 적어도 하나와의 혼합물; 또는 유리 섬유와, 탄소섬유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또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중 적어도 하나와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32] 본 개시의 기술효과는 상기 골전도 이어폰의 상기 귀걸이 하우징의 상기 이어폰 고정부에 설치된 보강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 하우징의 탄성률이 상기 귀걸이 하우징의 탄성률보다 클 때, 상기 코어 하우징의 피부접촉 구역의 강도와 상기 이어폰 고정부의 강도 사이의 차이값과 상기 코어 하우징의 피부접촉 구역의 강도의 비율은 10%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어 하우징은 충분히 큰 강도를 가지고 있어 상기 코어 하우징의 공진 주파수가 될수록 높은 주파수를 가지는 고주파수 구역에 위치하게 한다. 상기 코어 하우징의 피부접촉 구역의 강도와 상기 이어폰 고정부의 강도 사이의 차이는 작아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코어 하우징의 공진 주파수를 높이고, 상기 골전도 이어폰의 누설음을 줄일 수 있다.
[33] 본 개시의 기술효과는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상기 골전도 이어폰에서 상기 덮개판이 상기 귀걸이 하우징 대신에 상기 코어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코어 하우징의 탄성률은 상기 귀걸이 하우징의 탄성률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덮개판의 탄성률은 상기 귀걸이 하우징의 탄성률보다 클 수 있으며, 상기 코어 하우징의 개구단부에 위치하는 관련 구조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어 하우징은 충분히 큰 강도를 구비하여 상기 코어 하우징의 공진 주파수가 될수록 높은 주파수를 가지는 고주파수 구역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코어 하우징의 강도와 상기 코어 하우징의 개구단부에 위치하는 관련 구조의 강도 사이의 차이는 작아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코어 하우징의 공진 주파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골전도 이어폰의 누설음을 감소시킨다.
[1] 본 개시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더 설명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비한정적인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여기서 유사한 참고부호는 유사한 구성을 표시한다.
[2]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골전도 이어폰의 분해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3]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1에서 골전도 이어폰의 귀걸이조립체의 분해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4]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2에서 상기 귀걸이조립체의 귀걸이 하우징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5] 도 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1에서 골전도 이어폰의 귀걸이조립체의 분해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6] 도 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4에서 상기 귀걸이조립체의 귀걸이 하우징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7] 도 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4에서 상기 귀걸이 하우징에 가까운 장식 브라켓의 일측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8] 도 7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4에서 상기 장식 브라켓의 버튼을 촉발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9] 도 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1에서 상기 코어모듈의 분해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0] 도 9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골전도 이어폰의 주파수 반응곡선이다.
[11] 도 1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8에서 상기 귀걸이 하우징에 설치된 보강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2] 도 1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8에서 상기 귀걸이 하우징에 설치된 보강구조의 상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3] 도 1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10과 도11에서 복수의 보강구조의 주파수 반응곡선이다.
[14] 도 1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8에서의 상기 코어모듈이 조립된 후 I-I 방향의 상기 코어모듈의 단면구조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15] 도 1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8에서의 상기 코어 브라켓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6] 도 1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8에서의 상기 코어모듈이 조립된 후 상기 코어모듈의 구조의 상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7] 도 1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1에서 상기 코어모듈의 분해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8] 도 17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14에서 상기 귀걸이조립체와 상기 덮개판 사이에 설치된 다양한 접착제에 해당되는 구조의 주파수 반응곡선을 표시한다.
[19] 도 1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16에서의 상기 코어모듈이 조립된 후 II-II 방향의 상기 코어모듈의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20] 도 19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16에서 상기 코어 하우징에 가까운 상기 덮개판의 일측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21] 도 2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19에서 상기 덮개판의 상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22] 도 2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다른 각도에서 본 도 16에서 상기 코어모듈의 분해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23] 도 2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21에서 상기 덮개판의 상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24] 도 2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코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25] 도 2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23에서 힘계수 BL와 자석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26] 도 2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23에서 자기전도실드의 두께와 자기전도판 및 힘계수 BL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27] 도 2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23에서 상기 자기전도실드의 높이와 힘계수 BL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28] 도 27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비착용 상태하에서의 도 1에서 상기 골전도 이어폰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29] 도 2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III-III 방향에 따른 도 1에서 상기 배면걸이조립체의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기술안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아래에서 실시예에 대한 기술에서 사용하는 도면을 간단히 소개한다. 아래의 설명에서 도면은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예 또는 실시예임이 명확하다. 본 분야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창조적 노력을 하지 않고 이러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본 개시를 다른 유사한 경우에 응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단지 본 분야의 기술자들이 본 개시를 더 잘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고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문맥에서 명확히 또는 따로 설명하지 아니한한 도면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조나 동작을 표시한다.
[2] 본 개시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어 "중심", "상면", "하면", "상", "하", "위", "아래", "내", "외", "축", "지름", "둘레", "외부" 등으로 표시하는 위치관계는 도면에 표시하는 위치관계이며 나타내는 장치, 부재 또는 유닛이 특정된 위치관계를 가짐을 의미하지 않으며, 본 개시에 대한 한정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3] 본 개시와 청구범위에 표시하다시피, 상하문에서 명확히 설명하지 아니한 한 여기에서 사용한 단수표달방식 "하나", "일", "상기" 등은 복수의 형식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포함", "포괄" 등을 사용시 기재한 특징, 정수, 절차, 조작, 원소, 및/또는 부재의 존재를 명시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기타 특징, 정수, 절차, 조작, 원소 및/또는 부재의 존재를 부인하는 것은 아니다.
[4] 아래에서는 도면과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개시를 진일보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단지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음을 성명한다. 마찬가지로 아래의 실시예는 단지 본 개시의 일부분 실시예로서 전부의 실시예가 아니다. 본 분야의 기술자들이 창조적 노력을 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얻을 수 있는 모든 기타 실시예는 전부 본 개시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5] 본 개시에서 "실시예들"은 실시예들에 조합되여 설명된 특정된 특징, 구조 또는 특성들이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분야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다른 실시예들로 조합될 수도 있다.
[6]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골전도 이어폰(10)의 분해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1에서 골전도 이어폰(10)의 귀걸이조립체(30)의 분해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2에서 상기 귀걸이조립체(30)의 귀걸이 하우징(31)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1에서 골전도 이어폰(10)의 귀걸이조립체(30)의 분해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4에서 상기 귀걸이조립체(30)의 귀걸이 하우징(31)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골전도 이어폰(10)는 2개의 코어모듈(20), 2개의 귀걸이조립체(30), 하나의 배면걸이조립체(40), 하나의 메인 제어회로판(50), 및 하나의 배터리(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2개의 귀걸이조립체(30)의 각각의 일단은 상응한 코어모듈(20)에 연결될 수 있다. 배면걸이조립체(40)의 양단은 각각 상기 코어모듈(20)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2개의 귀걸이조립체(30) 중 하나의 다른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2개의 귀걸이조립체(30)의 각 귀걸이조립체(30)는 유저의 귀 밖에 달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면걸이조립체(40)는 유저의 뒷머리에 원주방향에 따라 설치되어 상기 유저가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을 착용하는 요구를 만족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저가 상기 골전도 이어폰(10)를 착용할 때, 상기 2개의 코어모듈(20)는 각각 상기 유저의 머리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귀걸이조립체(30)와 상기 배면걸이조립체(40)의 상호 결합에 의해 상기 2개의 코어모듈(20)은 유저의 머리를 클램핑하여 유저의 피부에 접촉하여 상기 골전도에 의하여 소리를 전도시킬 수 있다.
[7]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 제어회로판(50)과 상기 배터리(60)는 동일한 귀걸이조립체(30)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메인 제어회로판(50)과 상기 배터리(60)는 각각 상기 2개의 귀걸이조립체(30)의 각 귀걸이조립체(3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관한 더 많은 기재는 아래에서 찾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 제어회로판(50)과 상기 배터리(60)는 도체(도 1-5에 미표시)를 통해 상기 2개의 코어모듈(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회로판(50)는 상기 코어모듈(20)가 소리(이를테면 전기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전환)를 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60)는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이를테면 2개의 코어모듈(20))의 일부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은 마이크로폰(이를테면 마이크로폰, 픽업 등), 통신유닛(이를테면 블루투스 등),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도 상기 메인 제어회로판(50)과 상기 배터리(60)에 연결되어 상응한 기능을 얻을 수 있다.
[8] 본 개시는 2개의 코어모듈(2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2개의 코어모듈(20)은 전부 소리를 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은 입체적 음향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에 대한 유저의 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청각 장애인의 보청, 생방송 진행중 진행자에 대한 제시 등 입체적 음향효과에 대한 요구가 높지 않는 일부 기타 응용환경에서, 상기 골전도 이어폰(10)는 하나의 코어모듈(20)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체는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의 다양한 전자부품 사이의 전기연결을 위한 도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회로가 전기연결될 것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도체는 다선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체는 복수의 도선을 포함할 수 있다.
[9] 도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귀걸이조립체(30)는 하나의 귀걸이 하우징(31) 및 하나의 장식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와 상기 장식부재(32)는 접착제 연결, 클램핑 연결, 나사산 연결, 또는 이와 유사한 방식, 또는 이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유저가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을 착용했을 때, 상기 장식부재(32)는 상기 코어모듈(20)에서 등진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장식부재(32)는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장식부재(32)로 상기 귀걸이 하우징(31)를 장식하기 쉽게 하며, 따라서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의 외관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식부재(32)는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장식부재(32)는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에 삽입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식부재(32)는 스티커, 플라스틱편, 금속편, 또는 이와 유사한 것, 또는 이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식부재(32)는 기하학적 패턴, 만화 패턴, 로고 패턴 등으로 인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장식부재(32)는 형광 물질, 반사 물질 등을 적용하여 상응한 장식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10] 도 2, 도 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은 순차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이어폰 고정부(311), 하나의 굽힘전환부(312), 및 하나의 수용함(313)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는 상기 코어모듈(20)를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와 상기 코어모듈(20) 사이의 결합에 관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상기 굽힘전환부(312)는 상기 수용함(313)와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굽힘전환부(312)는 구불어져 설치되어 사람 귀의 외측에 걸리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수용함(313)의 일단은 이를테면 접착제 연결, 클램핑 연결, 나사산 연결, 또는 이와 유사한 방식, 또는 이것들의 임의의 조합 등 방식을 통해 상기 배면걸이조립체(40)에 연결되어 상기 귀걸이조립체(30)와 상기 배면걸이조립체(40)를 연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용함(313)의 일단은 개구를 구비하여 상기 메인 제어회로판(50) 및/또는 상기 배터리(60)를 수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은 함덮개(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덮개(314)는 상기 수용함(313)의 개구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11]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용함(313)이 상기 메인 회로판(50)를 수용할 때, 도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귀걸이조립체(30)는 하나의 제어키(33)와 하나의 Type-C(또는 범용 직렬 버스(USB)) 인터페이스(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키(33)와 상기 Type-C(USB) 인터페이스(34)는 상기 수용함(313)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키(33)와 상기 Type-C(USB) 인터페이스(34)는 상기 메인 제어회로판(5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배선 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키(33)와 상기 TYPE-C(USB) 인터페이스(34)는 부분적으로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에 노출되어 상기 유저가 상응한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키(33)는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을 켜거나 끌 수 있으며, 음량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TYPE-C(USB) 인터페이스(34)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귀걸이조립체(30)는 지시등(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시등(35)은 상기 수용함(313)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제어회로판(5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배선 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시등(35)은 부분적으로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에 노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시등(35)은 상기 귀걸이 하우징(31)내에 감춰진 광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도광부재는 부분적으로 상기 귀걸이 하우징(31)(도 2와 도 3에 미표시)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시등(35)는 상기 유저에게 상기 골전도 이어폰(10)가 충전중,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의 전력 부족 등을 표시할 수 있다.
[12] 유저가 상기 골전도 이어폰(10)를 착용할 때, 상기 골전도 이어폰(10)는 상기 사람 귀 밖에 걸릴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코어모듈(20)은 상기 사람 귀의 앞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회로판(50) 또는 상기 배터리(60)는 상기 사람 귀의 뒤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람 귀는 받침점으로 되어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의 대부분 무게는 상기 사람 귀에 부가될 수 있다. 상기 유저는 상기 골전도 이어폰(10)를 장기간 착용할 때 불편할 수 있다. 때문에 상기 귀걸이 하우징(31)(특히, 상기 굽힘전환부(312))의 재료는 부드러운 재료를 선택하여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의 착용감을 개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의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미드(P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폴리스티렌(PS), 고임팩트 폴리스티렌(HIPS),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PE), 페놀포름알데히드(PF), 요소포름알데히드(UF), 멜라민포름알데히드(MF), 실리카겔,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 또는 이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의 재료가 부드럽기 때문에,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의 경도가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의 구조는 외력의 작용하에서 유지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은 불충분한 강도에 의해 부러질 수 있다. 따라서 탄성 금속선(도 3에 미표시)을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적어도 상기 굽힘전환부(312))에 설치하여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의 강도를 개선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 금속선의 재료는 스프링강, 티타늄 합금, 티타늄 니켈 합금, 크롬 몰리브덴강, 또는 이와 유사한 재료, 또는 이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은 금속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구조물일 수 있다.
[13]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 금속선은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 상기 굽힘전환부(312), 및 상기 수용함(313)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 금속선은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 상기 굽힘전환부(312), 및/또는 상기 수용함(313)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 금속선의 형상은 상기 탄성 금속선을 구비하는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의 상응한 부재의 형상과 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 금속선이 상기 굽힘전환부(312)에 설치된 경우, 상기 탄성 금속선은 상기 굽힘전환부(312)의 연장 방향에 따라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 금속선은 이를테면 나선형, 물결형,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진 후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 상기 굽힘전환부(312), 및/또는 상기 수용함(313)에 설치되어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의 강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14] 상술한 상세 설명에 의하면, 상기 코어모듈(20)이 상기 귀걸이조립체(30)(이를테면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일단)의 일단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상기 메인 제어회로판(50) 또는 상기 배터리(60)는 상기 귀걸이조립체(30)(이를테면 상기 수용함(313)의 다른 일단)의 다른 일단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어모듈(20)이 도선에 의해 상기 메인 제어회로판(50)과 상기 배터리(60)에 연결된 경우, 상기 도선은 적어도 상기 굽힘전환부(312)가 위치하는 구역을 통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의 미관을 위하여, 상기 도선은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에 노출되지 않고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을 통과하므로써, 상기 굽힘전환부(312)는 적어도 상기 도선을 덮을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도선의 재료가 부드럽기 때문에 상기 도선은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을 통과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도 2-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1 홈(315)은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적어도 상기 굽힘전환부(31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315)은 배선을 위한 것으로로써 상기 도선이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을 통과하기 쉽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홈(315)은 상기 장식 브라켓(321)에 가까운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식부재(32)는 상기 굽힘전환부(312)에 대응되는 제1 홈(315)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배선채널(도 2와 도 4에 미표시)을 형성할 수 있다. 이리하여, 도선은 수용함(313)내에 연장되어 상기 코어모듈(20)내의 배선채널을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코어모듈(20)은 상기 도선을 통해 상기 메인 제어회로판(50)과 상기 배터리(6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선이 상기 제1 홈(315)을 통해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장식부재(32)는 상기 도선을 커버하여 상기 도선이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식부재(32)는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을 장식하고 상기 도선을 감추므로써, 상기 장식부재(32)는 2가지 기능이 있다 .
[15] 도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장식부재(32)는 하나의 장식 브라켓(321) 및 하나의 장식띠(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식 브라켓(321)은 구불어져 상기 굽힘전환부(312)에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식 브라켓(321)이 상기 굽힘전환부(312)에 대응되는 상기 제1 홈(315)에 삽입되어 고정된 경우, 상기 굽힘전환부(312)의 상기 장식 브라켓(321)과 상기 제1 홈(315)은 결합하여 배선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선은 상기 코어모듈(20)로부터 상기 수용함(313)까지 상기 배선채널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식띠(322)은 상기 제1 홈(315)에 삽입되어 상기 장식 브라켓(312)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식 브라켓(321)은 하나의 플라스틱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식 브라켓(321)은 접착제 연결 및/또는 클램핑 연결을 통해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장식띠(322)는 스티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식띠(322)는 접착제 연결에 의해 상기 장식 브라켓(312)에 붙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저가 상기 장식부재(32)의 장식효과를 바꾸려는 경우, 상기 전체 장식부재(32)를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에서 떠어내지 않고 상기 장식띠(322)를 바꿀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4에서 상기 귀걸이 하우징에 가까운 장식 브라켓의 일측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도 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홈(3211)은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을 향한 상기 장식 브라켓(321)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식 브라켓(321)이 상기 장식 브라켓(321)에서 상기 제1 홈(315)에 끼워져 고정된 경우, 상기 제2 홈(3211)과 상기 제1 홈(315)은 상호 결합하여 배선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16] 일부 실시예에서는, 피트(316)는 상기 장식띠(322)의 일단부에 가까운 상기 제1 홈(315)의 바닥부분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장식띠(322)의 일단은 상기 장식띠(322)를 상기 피트(316)로 누름에 따라 상기 제1 홈(315)으로부터 들리울 수 있으므로 상기 장식띠(322)의 교체가 용이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 홈(315)은 상기 수용함(313)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피트(316)는 상기 수용함(313)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피트(316)는 상기 장식 브라켓(321)이 상기 제1 홈(315)를 커버하는 구역 밖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장식띠(322)는 상기 장식 브라켓(321)에 붙여서 고정되어 상기 피트(316)를 커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장식띠(322)의 전체 길이는 상기 장식 브라켓(321)의 전체 길이보다 클 수 있다.
[17] 상기 장식 브라켓(321)과 상기 장식띠(322)는 일체로 형성된 구조부재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식 브라켓(321)의 재료는 상기 장식띠(322)의 재료와 다를 수 있다. 상기 장식 브라켓(321)과 상기 장식띠(322)는 2색 사출성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장식 브라켓(321)은 지지 역할을 하고, 상기 장식띠(322)는 장식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장식띠(322)의 전체 길이는 상기 장식 브라켓(321)의 전체 길이와 같거나 더 클 수 있다.
[18] 도 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홈(315)은 상기 굽힘전환부(312)에 위치하는 하나의 제1 부홈부(3151),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에 위치하는 하나의 제2 부홈부(3152), 및 상기 수용함(313)에 위치하는 하나의 제3 부홈부(3153)로 나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부홈부(3151)의 깊이는 상기 제2 부홈부(3152)의 깊이 및 상기 제3 부홈부(3153)의 깊이보다 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부홈부(3151)는 상기 장식 브라켓(321)을 수용하여 상기 배선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홈부(3152)와 상기 제3 부홈부(3153)는 상기 장식띠(322)를 수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장식띠(322)는 상기 제1 부홈부(3151)에 위치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부홈부(3152)와 상기 제3 부홈부(3153)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피트(316)는 상기 제3 부홈부(3153)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부홈부(3152)의 깊이는 상기 제3 부홈부(3153)의 깊이와 같을 수 있다. 상기 장식 브라켓(321)이 상기 제1 부홈부(3151)에 삽입되어 고정된 후,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와 등진 상기 장식 브라켓(321)의 일면은 상기 제2 부홈부(3152)의 홈바닥 및 상기 제3 부홈부(3153)의 홈바닥과 기본상 나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장식띠(322)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 상기 장식 브라켓(321), 및 상기 수용함(313)에 평탄하게 부착될 수 있다.
[19]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식띠(322)와 상기 장식 브라켓(321) 사이의 접착 강도는 상기 장식 브라켓(321)과 상기 굽힘전환부(312) 사이의 고정 강도보다 약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식띠(322)를 접착제로 상기 장식 브라켓(321)에 붙인 경우, 상기 접착 강도는 상기 장식띠(322)와 상기 장식 브라켓(321) 사이의 접착력을 가리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접착 강도의 크기는 상기 장식 브라켓(321)의 접착표면의 거칠기, 상기 장식띠(322)의 접착표면의 거칠기, 및/또는 상기 장식띠(322)와 상기 장식 브라켓(321) 사이의 접착제의 량(및/또는 점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식 브라켓(321)이 상기 굽힘전환부(312)에 의해 조여진 경우, 상기 고정 강도는 상기 장식 브라켓(321)과 상기 굽힘전환부(312) 사이의 조임 강도를 가리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 강도는 상기 장식 브라켓(321)과 상기 굽힘전환부(312) 사이의 적당한 간격, 및/또는 상기 장식 브라켓(321)과 상기 굽힘전환부(312) 사이의 조임 깊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식 브라켓(321)과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이 클램핑 연결에 의해 조립된 경우, 상기 장식띠(322)의 양단은 각각 상기 수용함(313)와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에 접착되어 상기 장식 브라켓(321)을 더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장식 브라켓(321)를 교체하여 상기 장식부재(32)의 장식효과를 바꾸는 경우, 상기 장식 브라켓(321)은 상기 장식 브라켓(321)과 상기 장식띠(322) 사이의 과도한 접착 강도에 의해 함께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1] 도 2에 표시된 상기 수용함(313)이 상기 메인 회로판(50)을 수용하는 경우, 도 4에 표시된 상기 수용함(313)은 상기 배터리(60)를 수용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 때, 도 2에 표시된 상기 귀걸이조립체(30)는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의 좌측 귀걸이에 대응되고, 도 4에 표시된 상기 귀걸이조립체(30)는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의 우측 귀걸이에 대응될 수 있다. 또는, 도 2에 표시된 상기 귀걸이조립체(30)가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의 우측 귀걸이에 대응되는 경우, 도 4에 표시된 상기 귀걸이조립체(30)는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의 좌측 귀걸이에 대응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메인 제어회로판(50)과 상기 배터리(60)는 각각 2개의 귀걸이조립체(30)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60)의 용량을 향상시켜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의 배터리의 수명을 늘일 수 있다.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의 무게의 균형이 잡혀질 수 있어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의 착용감을 개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 제어회로판(50)과 상기 배터리(60)는 상기 배면걸이조립체(40)의 도선에 연결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2] 도 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귀걸이조립체(30)는 하나의 버튼(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튼적응홀(317)은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식 브라켓(321)은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버튼(36)은 상기 장식 브라켓(321)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의 다른 일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버튼적응홀(317)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장식 브라켓(321)은 상기 버튼적응홀(317)을 통해 노출된 상기 버튼(36)의 위까지 외팔보의 형식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버튼(36)은 외력에 의해 눌리울 때 촉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버튼(36)은 상술한 제어키(33)를 대체하여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의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버튼(36)은 상술한 제어키(33)와 공존할 수도 있다. 상기 버튼(36)은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의 재생/정지, 인공지능(AI) 깨우기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골전도 이어폰(10)과의 상호작용을 확장시킬 수 있다.
[3]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튼적응홀(317)은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버튼(36)은 상기 유저에 의해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에 눌리울 수 있다. 이 때, 상기 귀걸이조립체(30)은 하나의 실링부재(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37)은 상기 버튼(36)과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링부재(37)의 재료는 실리카겔, 고무, 또는 이와 유사한 재료, 또는 이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버튼(36)이 위치하는 구역의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방수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버튼(36)의 누름 접촉감도 향상시킬 수 있다.
[4]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모듈(20)이 상기 귀걸이조립체(30)의 일단(이를테면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이 위치하는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60)는 상기 귀걸이조립체(30)의 다른 일단(이를테면 상기 수용함(313)이 위치한 다른 일단)에 설치한 경우, 상기 도선은 적어도 상기 굽힘전환부(312)이 위치한 구역을 통과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코어모듈(20)는 상기 도선을 통해 상기 배터리(6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홈(315)은 상기 장식 브라켓(321)에 가까운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와 상기 굽힘전환부(312)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315)은 배선에 이용되어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에서 상기 도선의 설치의 난이도를 약화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홈(315)의 일단은 상기 버튼적응홀(317)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장식 브라켓(321)이 상기 제1 홈(315)에 삽입되어 고정된 경우, 상기 장식 브라켓(321)은 상기 버튼적응홀(317)도 커버하여 상기 버튼(36)을 촉발시킬 수 있다.
[5] 상술한 방법을 통해, 상기 장식부재(32)는 상기 귀걸이 하우징(31)를 장식하고, 상기 도선 및 상기 버튼(36)을 차폐하고, 상기 버튼(36)을 촉발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장식부재(32)는 4가지 기능을 할 수 있다.
[6] 도 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홈(315)은 상기 굽힘전환부(312)에 위치한 제1 부홈부(3151)와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에 위치한 상기 제2 부홈부(3152)로 나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부홈부(3151)의 깊이는 상기 제2 부홈부(3152)의 깊이보다 깊을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 부홈부(3151)는 배선에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부홈부(3152)와 상기 제1 부홈부(3151)는 상기 장식 브라켓(321)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버튼적응홀(317)은 상기 제2 부홈부(3152)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에서 상기 버튼적응홀(317)와 상기 제2 부홈부(3152)의 투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홈(315)은 상기 수용함(313)에 위치하는 상기 제3 부홈부(3153)으로도 나뉠 수 있다. 상기 제3 부홈부(3153)는 상기 피트(316)를 구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부홈부(3152)의 깊이는 상기 제3 부홈부(3153)의 깊이보다 클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3 부홈부(3153)는 상기 장식띠(322)를 수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장식띠(322)는 상기 제1 부홈부(3151)와 상기 제2 부홈부(3152)내에만 위치하지 않고, 상기 제3 부홈부(3153)내에까지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장식 브라켓(321)이 상기 제1 부홈부(3151)에 삽입되어 고정된 후,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상기 장식 브라켓(321)의 일면은 상기 제3 부홈부(3153)의 상기 홈바닥과 기본상 나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식띠(322)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 상기 장식 브라켓(321), 및 상기 수용함(313)에 평탄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장식 브라켓(321)은 상기 제2 부홈부(3152)의 상기 버튼적응홀(317)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외팔보를 형성할 수 있다.
[7] 도 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장식 브라켓(321)은 상기 제1 부홈부(3151)에 대응되는 하나의 고정부(3212)과 상기 제2 부홈부(3152)에 대응되는 하나의 가압부(32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3212)의 두께는 상기 가압부(3213)의 두께보다 클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고정부(3212)는 상기 장식 브라켓(321)과 상기 귀걸이 하우징(31)를 조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213)는 상기 버튼(36)을 촉발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홈(3211)이 상기 귀걸이 하우징(31)를 향한 상기 장식 브라켓(321)의 일측에 설치된 경우, 상기 제2 홈(3211)은 상기 고정부(3212)에 설치될 수 있다.
[8] 도 7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4에서 상기 장식 브라켓의 버튼을 촉발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와 도 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장식 브라켓(321)은 상기 고정부(3212)와 상기 가압부(3213) 사이에 연결된 연결부(3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3214)는 구불고 상기 고정부(3212)와 상대적으로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에서 멀리 떨어진 쪽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213)는 구불고 상기 고정부(3212)와 상대적으로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에 가까운 쪽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결부(3214)는 상기 가압부(3213)가 상기 고정부(3212)에 상대적으로 들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213)와 상기 고정부(3212)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간격은 상기 버튼(36)의 촉발 스트로크보다 크거나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식 브라켓(321)의 일단(이를테면 상기 가압부(3213)의 일단)이 상기 유저에 의해 눌리운 경우, 상기 장식 브라켓(321)의 다른 일단이 들리우는 문제는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9]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에 가까운 상기 가압부(3213)의 일측에는 버튼돌출부(3215)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3213)이 외력에 의해 눌리운 경우, 상기 버튼돌출부(3215)는 상기 버튼(36)를 촉발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튼돌출부(3215)와 상기 버튼(36)의 투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에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버튼(36)에 접촉되는 상기 버튼돌출부(3215)의 유효 면적은 상기 버튼(36)에 접촉되는 상기 가압부(3213)의 유효 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버튼(36)의 촉발 난이도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링부재(37)가 상기 이어폰 고정유닛(311)과 상기 버튼(36) 사이에 설치된 경우, 상기 실링부재(37)는 상기 버튼(36)이 촉발되기 전에 변형될 수 있다. 관계 방정식 , 동일한 외력 F가 상기 유저에 의해 부가된 경우, 상기 실링부재(37)의 변형되는 구역의 유효 면적이 작으면, 상기 실링부재(37)에서 생성되는 변형ε는 더 클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버튼(36)을 더 쉽게 촉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튼돌출부(3215)는 상기 가압부(3213)와 비교하여 상기 유효 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10] 일부 실시예에서는, 블록부(3216)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에 가까운 상기 장식 브라켓(321)의 일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블록부(3216)은 상기 장식 브라켓(321)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상기 고정부(311)의 내면에서 블록을 형성하여 상기 장식 브라켓(321)의 단부가 예를 들면 외력하에 상기 제1 홈(315)로부터 들리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블록부(3216)는 상기 고정부(321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가압부(3213)의 일단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블록부(3216)와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 사이의 차단 효과에 의해, 상기 장식 브라켓(321)이 상기 외력하에 변형되어 상기 버튼(36)을 촉발한 후, 상기 장식 브라켓(321)은 과도한 탄력 회복에 의해 들리우지 않을 수 있다.
[11] 도 2 또는 도 6를 참고하면, 클린치부(3217)는 상기 수용함(313)(이를테면 상기 가압부(3213)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장식 브라켓(321)의 다른 일단)에 가까운 상기 장식 브라켓(321)의 일단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클린치부(3217)의 두께는 상기 고정부(3212)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클린치부(3217)의 두께는 상기 귀걸이 하우징(21) (이를테면 상기 굽힘전환부(312)와 상기 수용함(313) 사이에 위치함)의 상기 보강구조와 구조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12] 도 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1에서 상기 코어모듈의 분해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코어모듈(20)은 하나의 코어 하우징(21) 및 하나의 코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일단은 하나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이를테면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은 상기 코어 하우징(21)(이를테면 상기 개구를 구비하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일단)의 개구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코어(22)를 수용하는 챔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은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덮개와 동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귀걸이 구조와 코어 구조의 삽입조립방식과 비교하여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귀걸이 하우징(31)과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커버 조립방식은 귀걸이 구조와 코어 구조의 삽입 위치의 응력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골전도 마이크로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3] 도 8에 개략적으로 표시된 상기 귀걸이 하우징은 단지 상기 귀걸이 하우징과 상기 코어 하우징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 귀걸이 하우징과 상기 코어 하우징 사이의 가능한 조립 방식을 암시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14]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22)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코어(22)는 상기 전기신호의 여기하에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코어 하우징(21)은 상기 진동에 의해 진동할 수 있다. 상기 유저가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을 착용할 때, 상기 코어 하우징(21)(이를테면 후술하는 바닥벽(211))의 피부접촉 구역은 유저의 피부와 접촉하여, 상기 진동은 사람의 두개골을 통해 달팽이관 신경에 전송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유저는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에서 재생되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모듈(20)은 하나의 코어 브라켓(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 브라켓(23)은 상기 코어(22)를 상기 코어 하우징(21)에 고정할 수 있다.
[15] 저주파수는 500 Hz보다 낮은 주파수를 가지는 소리를 가리킬 수 있다. 중주파수는 500 내지 4000 Hz의 범위내의 주파수를 가지는 소리를 가리킬 수 있다. 고주파수는 4000 Hz보다 큰 주파수를 가지는 소리를 가리킬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골전도 이어폰을 설명하는 주파수 반응곡선이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도 9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축은 진동 주파수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수평축 단위는 헤르츠(Hz)일 수 있다. 세로축은 상기 진동의 강도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세로축의 단위는 데시벨(dB)일 수 있다. 고주파수 구역(이를테면 4000 Hz보다 큰 범위)은 하나의 제1 고주파수 밸리 V, 하나의 제1 고주파수 피크 P1, 및 하나의 제2 고주파수 피크 P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고주파수 밸리 V와 상기 제1 고주파수 피크 P1은 상기 고주파수하에서 상기 코어 하우징(21)(이를테면 아래서 설명하는 주변벽(212))의 비피부접촉구역의 변형에 의해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주파수 피크 P2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피부접촉면적의 변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500 내지 6000 Hz의 주파수 범위에서의 주파수 공진곡선은 상기 골전도 이어폰에 있어서 관건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주파수 범위에서 날카로운 피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주파수 공진곡선이 평탄할 수록, 상기 골전도 이어폰의 음질이 더 좋다. 상기 강도가 클 수록, 힘을 받을 때 생성되는 상기 구조 변형이 작을 수 있으며, 고주파수를 구비하는 공진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강도를 증가시키므로써 상기 제1 고주파수 밸리 V, 상기 제1 고주파수 피크 P1, 및 상기 제2 고주파수 피크 P2는 고주파수를 가지는 구역으로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더 좋은 음질을 얻기 위해서,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강도가 될수록 클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등과 유리 섬유 및/또는 탄소섬유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재료는 일정한 비율의 상기 탄소섬유와 폴리카보네이트의 혼합물, 기타 비율의 상기 유리섬유와 폴리카보네이트의 혼합물, 또는 또 다른 비율의 상기 유리섬유와 상기 폴리아미드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재료는 일정한 비율의 상기 탄소섬유, 상기 유리섬유, 및 폴리카보네이트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이한 비율의 상기 탄소섬유 및/또는 유리섬유를 첨가하면, 상기 재료의 탄성률이 다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강도가 부동하게 된다. 예를 들면, 20% 내지 50%의 유리섬유를 폴리카보네이트에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재료의 탄성률은 6 내지 8 Gpa일 수 있다.
[16] 상기 상세 설명에 의하면,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이를테면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은 상기 코어모듈(20)의 일부분으로써 상기 코어(22)를 수용하는 챔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골전도 이어폰의 착용감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은 부드러운 재료를 선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이 상기 코어 하우징(21)에 커버되어 상기 코어(22)를 수용하는 챔버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귀걸이 하우징(31) (이를테면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강도가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강도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골전도 이어폰은 누설음되기 쉬우며 나아가 상기 유저의 호감에 영향을 줄 수 있다.
[1] 일부 실시예에서는, 구조의 공진 주파수는 상기 구조의 강도와 관련될 수 있다. 동일한 질량하에서, 상기 구조의 강도가 클수록 상기 공진 주파수가 높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조의 강도 K는 상기 구조의 재료(이를테면 탄성률), 구조 형식 등과 관련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재료의 탄성률 E이 클 수록 상기 구조의 강도 K가 크다. 상기 구조의 두께 t가 클 수록, 상기 구조의 강도 K가 크다. 상기 구조의 면적 S가 작을 수록, 상기 구조의 강도 K가 크다. 이 때, 상술한 관계는 간단히 상기 관계 방정식 으로 설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재료의 상기 탄성률 E를 증가, 상기 재료의 두께 t를 증가, 상기 구조의 면적 S를 감소, 또는 이와 유사한 방식, 또는 이것들의 임의의 조합은 상기 구조의 강도 K를 커지게 하고 나아가서 상기 구조의 공진 주파수를 높일 수 있다.
[1]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은 부드러운 재료(이를테면 작은 탄성률을 가지는 재료,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등. 상기 탄성률은 2 내지 3 GPa의 범위내일 수 있다)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코어 하우징(21)은 딴딴한 재료(이를테면 큰 탄성률을 가지는 재료, 예를 들면 20% 내지 50%의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등. 상기 재료의 탄성률은 6 내지 8 GPa의 범위내일 수 있다)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률 차이에 의해,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의 강도와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강도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누설음을 쉽게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이 상기 코어 하우징(21)에 연결된 후,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의 강도가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강도와 다르기 때문에, 상기 구조는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에서 쉽게 공진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탄성률이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의 탄성률보다 큰 경우,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는 보강구조(318)를 구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구조(318)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구조(318)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피부접촉 구역의 강도 K1과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강도 K2 사이의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구조(318)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피부접촉 구역의 강도 K1과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강도 K2 사이의 차이값과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피부접촉 구역의 강도 K1의 비율이 30% 이하로 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보강구조(318)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피부접촉 구역의 강도 K1과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강도 K2 사이의 차이값과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피부접촉 구역의 강도 K1의 비율이 20% 이하로 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상기 보강구조(318)은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피부접촉 구역의 강도 K1과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강도 K2 사이의 차이값과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피부접촉 구역의 강도 K1의 비율이 10% 이하로 되게 할 수 있다. 즉, (K1-K2)/K1≤10%, 또는 K2/K1≥90%이다. 따라서, 상기 코어 하우징(21)은 충분히 큰 강도를 가져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공진 주파수가 될수록 높은 주파수를 가지는 구역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강도와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강도 사이의 차이를 작게 하여 상기 구조의 공진 주파수를 높이고 누설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1]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형상은 구형, 타원형, 다면체, 또는 이들과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 하우징(21) 구역의 일부분은 상기 유저의 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코어 하우징(21)이 다면체인 경우,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일면은 상기 유저의 피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형상은 기타 비규칙적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코어 하우징(21)은 3D 프린팅에 의해 형성된 일체형 구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은 복수의 부재가 독립적으로 형성된 후 그 복수의 부재를 하나로 글램핑, 용접 또는 접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2] 도 1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8에서 상기 귀걸이 하우징에 설치된 보강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도 10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코어 하우징(21)은 바닥벽(211)과 고리형 주변벽(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닥벽(211)은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피부접촉 구역일 수 있다.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의 일단은 상기 바닥벽(21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바닥벽(211)은 상기 유저의 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은 상기 유저의 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닥벽(211)은 클램핑 연결, 용접 연결, 접착 연결, 또는 이들과 유사한 방식에 의해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는 상기 굽힘전환부(312)에 연결된 고정체(3111); 및 상기 고정체(3111)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코어 하우징(21)를 향해 연장된 고리형 플랜지(3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리형 플랜지(3112)는 상기 바닥벽(211)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의 다른 일단과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리형 플랜지(3112)과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의 다른 일단은 접착제 연결 또는 상기 접착제 연결과 클램핑 연결의 조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3] 상기 바닥벽(211)의 형상은 삼각형, 사다리꼴,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타원형, 타원형(도 11에 표시된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형상과 유사함),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 또는 이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은 상기 바닥벽(211)에 수직될 수 있다. 즉,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개구단부의 면적은 상기 바닥벽(211)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은 상기 바닥벽(211)(이를테면 경사각도는 30도 이하)에 상대적으로 바깥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개구단부의 면적은 상기 바닥벽(211)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단지 예로써, 상기 바닥벽(211)은 타원형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은 상기 바닥벽(211)에 상대적으로 바깥쪽으로 10도 각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일정한 착용감을 보증하는 전제하에(상기 코어 하우징(21)의 피부접촉 구역인 상기 바닥벽(211)이 상기 유저의 피부에 접촉되므로, 상기 구역은 지나치게 작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바닥벽(211)의 면적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공진 주파수는 커질 수 있다.
[4] 도 10의 (a)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보강구조(318)는 상기 고정체(3111)와 상기 고리형 플랜지(3112) 사이에 설치된 호형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구조(318)는 챔퍼 공정(fillet(chamfer) process)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고리형 플랜지(3112)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상기 고리형 플랜지(3112)는 상기 호형 구조와 일체로 통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구조는 상기 고정체(3111)와 상기 호형 구조의 상기 보강구조(318)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호형 구조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유효 면적을 감소시키고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강도와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강도 사이의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호형 구조의 크기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강도 요구에 근거하여 적당히 설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5]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체(3111)의 재료와 상기 고리형 플랜지(3112)의 재료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호형 구조의 재료는 상기 고정체(3111)의 재료 또는 상기 고리형 플랜지(3112)의 재료와 동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호형 구조의 재료는 상기 고정체(3111)의 재료와 상기 고리형 플랜지(3112)의 재료와 다를 수 있다. 단지 예로써, 상기 호형 구조의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 또는 이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6] 도 10의 (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보강구조(318)는 상기 고정체와 일체로 설치된 두께보강층(3111)일 수 있다. 즉, 상기 보강구조(318)는 두께보강처리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두께보강층의 재료는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의 재료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두께보강층의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 또는 이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구조(318)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에 가까운 상기 고정체(3111)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는, 상기 보강구조(318)는 상기 고정체(3111)로부터 멀리 향하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다른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구조(318)는 상기 고정체(3111)의 양측에 전부 위치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리형 플랜지(3112)의 크기가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두께 방향에서 작기 때문에, 상기 고리형 플랜지(3112)는 상기 두께보강 구조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는 상기 고정체(3111)와 상기 두께보강층을 구비하는 상기 보강구조(318)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두께보강 구조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유효 면적을 감소시키고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강도를 증가시키며, 따라서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강도와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강도 사이의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두께보강층의 크기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강도 요구에 따라 적합하게 설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7]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구조(318)는 금속편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금속 부재의 재료는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티타늄 합금, 니켈 합금, 크롬몰리브덴강, 스테인리스강, 또는 이와 유사한 재료, 또는 이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보강구조(318)와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는 금속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구조물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금속 부재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강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강도와 상기 코어 하우징(21) 사이의 차이를 감소시킨다. 상기 금속부재의 파라미터(이를테면 재료, 크기 등)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강도 요구에 따라 적합하게 설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8]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구조(318)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보강들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보강들보 중 하나의 양단은 각각 상기 고정체(3111)와 상기 고리형 플랜지(3112)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들보의 일단은 상기 고정체(3111)의 일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체(3111)의 일측면은 도10의 (a) 또는 (b)에 표시된 상기 고정체(3111)의 하면일 수 있다. 상기 보강들보의 일단은 상기 고리형 플랜지(3112)의 일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리형 플랜지(3112)의 일측면은 도 10의 (a) 또는 (b)에 표시된 상기 고리형 플랜지(3112)의 내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들보와 상기 상기 고정체(3111)의 하면 사이의 협각 또는 상기 보강들보와 상기 고리형 플랜지(3112)의 내표면 사이의 협각은 30도 내지 60도 범위내일 수 있다. 상기 보강들보의 형상은 직선, 점선, 물결선 등 다양한 형상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들보의 단면은 직사각형, 원, 삼각형, 비규칙적인 형상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9] 도 1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8에서 상기 귀걸이 하우징에 설치된 보강구조의 상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보강구조(318)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에 설치된 보강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에 가까운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일측에 분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구조(318)는 복수의 보강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의 (a)와 (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보강리브는 평행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도 11의 (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그리드 패턴의 형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보강리브는 도 11의 (d)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 상의 사전 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방사선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리브의 재료는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의 재료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보강리브의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 또는 이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어폰 고정부재(311)의 금속 부재의 사출성형 또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재(311)의 직접 두께보강에 비교하여,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에 설치된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강도를 높이고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무게의 균형을 잡을 수 있다.
[10] 일부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는 하나의 장축 방향(이를테면 도 11에서 점선 X로 표시된 방향)과 하나의 단축 방향(이를테면 도 11에서 점선 Y로 표시된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축 방향에서의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크기는 상기 단축 방향에서의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보강리브의 분포에 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11] 도 11의 (a)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보강리브는 띠모양일 수 있으며, 상기 장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단축 방향에 따라 나란이 설치된다. 이 때, 상기 보강구조(318)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장측면에 보강리브를 추가하는 것으로 간단화될 수 있다.
[12] 도 11의 (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보강리브는 띠모양일 수 있으며, 상기 단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장축 방향에 따라 나란이 설치된다. 이 때, 상기 보강구조(318)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단측면에 보강리브를 추가하는 것으로 간단화될 수 있다.
[13] 도 11의 (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보강리브는 각각 상기 장축 방향과 상기 단축 방향에 따라 설치되어 그리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보강구조(318)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에 십자형 보강리브를 추가하는 것으로 간단화될 수 있다.
[14] 도 11의 (d)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가까운 복수의 보강리브의 단부는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보강리브의 연장선은 상기 사전 설정된 기준점(도 11에서 실선 O로 표시)에서 교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보강구조(318)는 보강리브를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방사선 방향으로 추가하는 것으로 간단화할 수 있다.
[15]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보강리브가 그리드 패턴을 형성할 때, 상기 그리드 패턴의 형상은 삼각형, 평행사변형, 사다리꼴, 등변다각형, 방추형, 비규칙적인 형상 등, 또는 이들과 유사한 것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리브는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보강리브의 형상은 띠모양, 접시모양, 원호판 모양, 물결판 모양, 기둥모양, 고리모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구조(318)는 동일한 형상의 보강리브, 또는 복수의 부동한 형상의 보강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16]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구조(318)는 하나의 고리형 보강리브 및 복수의 띠모양 보강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리형 보강리브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규정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리형 보강리브의 축은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상기 보강구조(318)의 설정면에 수직될 수 있다. 상기 띠모양 보강리브는 상기 고리형 보강리브의 고리형 외벽에 방사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구조(318)는 복수의 고리형 보강리브 및 복수의 띠모양 보강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고리형 보강리브는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판형 보강리브는 매 2개의 인접된 고리형 보강리브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각 상기 판형 보강리브의 양단은 상기 고리형 보강리브의 상기 고리형 외벽에 연결될 수 있다.
[17] 일부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조건하에서, 상기 보강리브와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가 아래의 크기 관계를 만족시킬 때,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강도는 효과적으로 증가될 수 있고,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무게는 균형을 이룰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리브의 두께와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두께 사이의 비례는 0.6 내지 1.4의 범위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보강리브의 두께와 상기 이어폰 고정부의 두께 사이의 비례는 0.8 내지 1.2의 범위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상기 보강리브의 두께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두께와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리브의 두께와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두께 사이의 비례는 0.3 내지 0.7의 범위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보강리브의 폭과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두께 사이의 비례는 0.4 내지 0.6의 범위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상기 보강리브의 폭은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두께의 절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2개의 보강리브(이를테면 2개의 인접된 보강리브) 사이의 간격과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두께 사이의 비율은 1.2 내지 2.8의 범위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보강리브 사이의 간격과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두께 사이의 비율은 1.6 내지 2.4의 범위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2개의 보강리브 사이의 간격은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두께의 2배일 수 있다. 단지 예로써,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두께는 0.8 mm일 수 있고, 상기 보강리브의 두께, 폭, 및 2개의 보강리브 사이의 간격은 각각 0.8 mm, 0.4 mm, 및 1.6 mm일 수 있다.
[1] 도 10와 11에 표시된 상기 다양한 보강구조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강도 요구에 근거하여 적당히 조립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2] 도 1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10과 도11에서 복수의 보강구조의 주파수 반응곡선이다. 도 1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곡선(A+B)은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재료가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재료(이를테면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탄성률은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탄성률보다 작다)와 다르고,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구조는 개선이 없음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곡선(B+B)은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재료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재료(이를테면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탄성률은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탄성률과 동일하고)와 동일하고,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구조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구조(이를테면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두께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두께와 같고,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면적은 상기 바닥벽(211)의 면적과 같음)와 유사함을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A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에 대응된다. B는 상기 바닥벽(211)(이를테면 상기의 피부접촉 구역 상기 코어 하우징(21))에 대응된다. (A+B)와 (B+B)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에 설치된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이를테면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에 대응된다.
[3] 도 1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구조(A+B)에 있어서, 상기 구조(A+B)의 공진 밸리(상기 제1 고주파수 밸리 V에 대응)는 약 5500 Hz의 주파수에서 나타난다. 상기 구조(B+B)에 있어서, 상기 구조(B+B)의 공진 밸리(상기 제1 고주파수 밸리 V에 대응되는)는 약 8400 Hz의 주파수에서 나타난다. 상기 구조(A+B)가 상기 구조(B+B)로 개선되면, 상기 구조의 상기 공진 주파수는 효과적으로 커질 수 있다.
[4]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조(A+B)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에 도 10의 (a)에 표시하는 챔퍼(chamfer), 도 10의 (b)에 표시하는 두께보강, 및 도 11의(a)에 표시하는 장측면 보강리브, 도 11의(b)에 표시하는 단측면 보강리브, 도 11의(c)에 표시하는 십자모양 보강리브, 도 11의(d)에 표시하는 방사형 보강리브 등과 같은 보강구조(318)를 제조한 후, (A+B+상기 보강구조)의 공진 밸리는 5500 내지 8400Hz의 주파수 범위에서 나타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에 설치된 상기 보강구조(318)는 상기 구조의 공진 주파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보강구조(318)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강도와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강도 사이의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누설음을 감소시킨다. 상기 보강구조(318)의 상기 구조들이 다르면, 상기 공진 주파수의 증가도 다름에 유의해야 한다. 즉, 상기 보강구조(318)의 상이한 구조들에 해당되는 누설음의 개선 정도가 다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진 주파수에서의 상기 보강구조(318)의 개선효과를 매우 우수함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최적으로 정열하면, 그 순서는 상기 십자모양 보강리브, 상기 단측면 보강리브, 상기 방사선 형상 보강리브, 상기 두께보강, 상기 장측면 보강리브, 상기 챔퍼일 수 있다.
[5] 상술한 상세 설명에 의하면, 상기 코어(22)는 상기 전기신호의 여기하에서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코어 하우징(21)은 상기 진동과 함께 진동할 수 있다. 상기 유저가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을 착용할 때, 상기 코어 하우징(21)(이를테면 상기 피부접촉 구역)의 상기 바닥벽(211)은 상기 유저의 피부에 접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진동은 사람의 두개골을 통해 달팽이관 신경에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유저로 하여금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이 재생하는 소리를 듣게 한다. 이 때, 상기 진동의 전송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코어 하우징(21)은 적어도 상기 코어(22)에 따라 진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어(22)는 상기 코어 하우징(21)내에 고정될 수 있다.
[6] 도 1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8에서의 상기 코어모듈이 조립된 후 I-I 방향의 상기 코어모듈의 단면구조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3과 도 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일단은 하나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 브라켓(23)와 상기 코어(22)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에 수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 브라켓(23)은 상기 코어(22)를 상기 코어 하우징(21)내에 고정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8에서의 상기 코어 브라켓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도 1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코어 브라켓(23)은 하나의 고리형 브라켓 본체(231) 및 상기 브라켓 본체(231)에 설치된 하나의 한정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코어(22)는 상기 브라켓 본체(231)에 달려 상기 코어 하우징(21)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한정구조와 상기 코어 하우징(21)은 끼워맞춤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코어 브라켓(23)은 상기 브라켓 본체(231)의 원주방향(이를테면 상기 방향은 도 14의 화살표시 C로 가리킨)을 따라 상기 코어 하우징(21)와 상대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라켓 본체(231)가 위치한 평면은 상기 바닥벽(211)면과 평행되어 상기 브라켓 본체(231)와 상기 바닥벽(211) 사이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진동의 전도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 때, 구조용 접착제, 핫멜트 접착제, 순간 접착제, 등 접착제(도 13에 미표시)를 상기 브라켓 본체(231)와 상기 바닥벽(211)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어 브라켓(23)와 상기 코어 하우징(21)은 상기 접착제 연결과 상기 클램핑 연결을 통해 조립되어 상기 코어 브라켓(23)와 상기 코어 하우징(21) 사이의 자유도를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 브라켓(23)과 상기 코어 하우징(21)은 직접 상기 접착제 연결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조용 접착제, 핫멜트 접착제, 순간 접착제, 등 접착제(도 13에 미표시)을는 상기 브라켓 본체(231)와 상기 바닥벽(211) 사이에 설치하여 상기 코어 브라켓(23)와 상기 코어 하우징(21) 사이의 자유도를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구조는 간단화될 수 있다.
[7] 도 1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코어 하우징(21)은 상기 바닥벽(211) 또는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에 연결된 하나의 위치결정용 기둥(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한정구조는 하나의 제1 한정구조(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한정구조(232)는 하나의 삽입홀(233)을 구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위치결정용 기둥(213)은 상기 삽입홀(233)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어 브라켓(23)와 상기 코어 하우징(21) 사이의 조립 정확도는 효과적으로 커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접착제는 상기 브라켓 본체(231)와 상기 바닥벽(21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8] 일부 실시예에서는, 도 1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한정구조는 하나의 제2 한정구조(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한정구조(234)는 상기 브라켓 본체(231)(이를테면 도 14에 표시하는 화살표시 C가 나타내는 방향)의 원주방향에 따라 상기 제1 한정구조(232)와 간격을 둘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한정구조(234)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에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한정구조(234)와 상기 제1 한정구조(232)는 각각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상응한 구조와 결합하여 상기 코어 브라켓(23)을 상기 코어 하우징(21)에 상대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코어 브라켓(23)과 상기 코어 하우징(21) 사이의 자유도는 효과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9] 도 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의 개구단부는 하나의 장축 방향(이를테면 도 8에서 점선 X로 표시한 방향) 및 하나의 단축 방향(이를테면 도 8에서 점선Y로 표시한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축 방향에서의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의 개구단부의 크기는 상기 단축 방향에서의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의 개구단부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8에서의 상기 코어모듈이 조립된 후상기 코어모듈의 구조의 상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도 1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한정구조(232)와 상기 제2 한정구조(234 )는 상기 장축 방향에 따라 간격을 두고 상기 브라켓 본체(231)의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의 개구단부가 위치한 기준 평면(이를테면 도 15에서 점선 직사각형 프레임으로 표시한 평면)에서 상기 제1 한정구조(232)와 상기 제2 한정구조(234)의 투영은 상기 기준 평면에서 상기 브라켓 본체(231)의 투영의 외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한정구조(232)는 상기 위치결정기둥(213)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 한정구조(234)는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과 결합할 수 있다.
[10] 도 1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한정구조(232)는 하나의 제1 축연장부(2321) 및 하나의 제1 반지름 연장부(2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축연장부(2321)는 상기 브라켓 본체(231)에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 본체(231)(이를테면 도 14에서 점선Z가 나타내는 방향)의 축방향에 따라 상기 코어(22)가 위치한 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반지름 연장부(2322)는 상기 제1 축연장부(2321)에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 본체(231)(이를테면 상기 브라켓 본체(231)의 지름 방향)의 반지름 방향에 따라 상기 브라켓 본체(231)의 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1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홀(233)은 상기 제1 반지름 연장부(2322)에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 한정구조(232)는 상기 위치결정기둥(213)과 결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도 1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한정구조(234)는 하나의 제2 축연장부(2341) 및 하나의 제2 반지름 연장부(234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축연장부(2341)는 상기 브라켓 본체(231)에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 본체(231)의 축방향에 따라 상기 코어(22)가 위치한 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반지름 연장부(2342)는 상기 제2 축연장부(2341)에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 본체(231)의 반지름 방향을 따라 상기 브라켓 본체(231)의 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반지름 연장부(2342)는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에 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과 도 1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반지름 연장부(2342)는 클램핑 연결을 통해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에 접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2 한정구조(234)는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에 접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코어(22)는 상기 제1 축연장부(2321)와 상기 제2 축연장부(234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1] 도 13 내지 도1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코어(22)를 참고로, 상기 제1 축연장부(2321)와 상기 제2 축연장부(2341) 사이의 구역이 상기 브라켓 본체(231)의 내측이면, 내측 외의 구역은 상기 브라켓 본체(231)의 외측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2] 도13을 참조하면,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은 경사 구역(214)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경사 구역(214)은 상기 제1 한정구조(232)에 대응되며 상기 바닥벽(211)에 상대적으로 경사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위치결정기둥(213)은 상기 경사 구역(214)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반지름 연장부(2322)와 상기 바닥벽(211) 사이의 유효 거리는 감소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결정기둥(213)의 높이는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코어 하우징(21)에서 상기 위치결정기둥(213)(이를테면 상기 경사 구역(214)에 연결된 위치결정용 기둥(213)의 근부)의 구조 강도는 높아져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이 떨어지거나 충돌했을 때 상기 위치결정기둥(213)이 부러지거나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도 15를 참조하면, 2개의 제2 한정구조(234)는 상기 단축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준 평면에서의 상기 제1 한정구조(232)의 투영과 상기 기준 평면에서의 2개의 제2 한정구조(234)의 투영은 연속 연결되어 예각 삼각형(이를테면 도 15에 표시하는 점선 삼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예각 삼각형은 예각 이등변 삼각형, 등변 삼각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어 브라켓(23)와 상기 코어 하우징(21) 사이의 상호 작용점은 될수록 대칭되게 설치되며, 따라서 상기 코어 브라켓(23)와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조립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라켓 본체(231)의 외곽 윤곽은 원형일 수 있다.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에는 상기 단축 방향에 따라 서로 마주하여 2개의 호형 오목홈(2121)을 설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라켓 본체(231)의 외곽 윤곽은 각각 2개의 호형 오목홈(2121)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어 브라켓(23)와 상기 코어 하우징(21) 사이의 자유도는 더 제한될 수 있다.
[3] 상술한 상세 설명에 의하면,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탄성률이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의 탄성률보다 큰 경우,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은 상기 코어 하우징(21)에 연결되어 상기 구조(A+B)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강도 차이로 인해, 상기 구조(A+B)의 상기 공진 주파수는 낮을 수 있고(도 16에 표시하는 곡선(A+B)), 상기 누설음은 쉽게 생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A+B)가 상기 구조(B+B)로 개선된 후, 상기 구조(도 12에 표시하는 곡선(A+B))의 상기 공진 주파수는 효과적으로 커질 수 있다. 상기 개량에 근거하여, 상기 코어모듈(20)의 관련 구조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개량될 수 있다.
[4] 도 1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1에서 상기 코어모듈의 분해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코어모듈(20)은 하나의 덮개판(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일단은 하나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판(24)은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상기 개구단부(이를테면 상기 개구가 설치된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코어(22)를 수용하는 챔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덮개판(24)은 상기 바닥벽(211)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의 다른 일단을 커버하고 상기 바닥벽(211)에 마주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덮개판(24)과 상기 코어 하우징(21)은 접착제 연결 또는 클램핑 연결과 상기 접착제 연결의 조합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은 상기 덮개판(24)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상기 덮개판(24)의 일측을 전체 커버 또는 절반 커버의 형식으로 커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에 의한 상기 덮개판(24)의 전체 커버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이 때, 상기 귀걸이 하우징(31)과 상기 코어 하우징(21)은 상기 접착제 연결 또는 상기 클램핑 연결과 상기 접착제 연결의 조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5]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덮개판(24)의 형상은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상기 개구단부의 개구의 형상과 일치할 수 있으며 , 따라서, 상기 덮개판(24)은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상기 개구단부의 개구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덮개판(24)은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상기 개구단부의 개구의 일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개구의 다른 부분은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이를테면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덮개판(24)과 상기 코어 하우징(21)은 나사산 연결 또는 용접 연결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와 상기 코어 하우징(21)은 상기 나사산 연결 또는 상기 용접 연결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6] 도 16에서 상기 귀걸이 하우징은 주로 상기 귀걸이 하우징과 상기 덮개판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의 설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귀걸이 하우징과 상기 덮개판 사이의 가능한 조합방식을 제시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7]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탄성률은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의 탄성률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덮개판(24)의 탄성률은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의 탄성률보다 클 수 있다. 이 때, 상기 덮개판(24)은 상기 코어 하우징(21)에 연결되어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상기 개구단부(이를테면 상기 덮개판(24)과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구조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바닥벽(211)의 강도와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개구단부의 구조의 강도 사이의 차이는 더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코어 하우징(21)은 충분히 큰 강도를 가져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공진 주파수가 될수록 높은 주파수를 가지는 구역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조의(상기 코어 하우징(21), 상기 덮개판(24), 및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공진 주파수는 높아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누설음을 감소시킨다.
[8]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강도 K4와 상기 덮개판(24)의 강도 K3 사이의 차이값과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강도 K4의 비율은 30%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즉, (K4-K3)/K4≤30%, 또는 K3/K4≥70%이다. 예를 들면,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강도 K4와 상기 덮개판(24)의 강도 K3 사이의 차이값과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강도 K4의 비율은 20%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즉, (K4-K3)/K4≤20%, 또는 K3/K4≥80%이다. 또 다른 예로써,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강도 K4와 상기 덮개판(24)의 강도 K3 사이의 차이값과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강도 K4의 비율은 10%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즉,(K4-K3)/K4≤10%, 또는 K3/K4≥90%이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일부분의 강도로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강도 K4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부에 접촉하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일부분의 강도로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강도 K를 표시할 수 있다. 단지 예로써, 상기 코어 하우징(21)이 상기 바닥벽(211)과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바닥벽(211)의 강도 K1로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강도 K4를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닥벽(211)의 강도 K1로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강도를 표시할 수 있다.
[9]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덮개판(24)의 탄성률은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탄성률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덮개판(24)의 탄성률은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탄성률과 같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덮개판(24)은 상기 코어 하우징(21)에 연결되어 상기 구조(B B)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닥벽(211)의 강도 K1와 상기 덮개판(24)의 강도 K3 사이의 차이값과 상기 바닥벽(211)의 강도 K1의 비율은 10%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즉,(K1-K3)/K1≤10%, 또는 K3/K1≥90%이다.
[10]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닥벽(211)의 면적은 상기 덮개판(24)의 면적과 비교하여 크거나, 작거나 동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닥벽(211)의 두께는 상기 덮개판(24)의 두께와 비교하여 크거나, 작거나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바닥벽(211)의 면적과 상기 덮개판(24)의 면적 사이의 관계와 상기 바닥벽(211)의 두께와 상기 덮개판(24)의 두께 사이의 관계는 상기 바닥벽(211)의 강도와 상기 덮개판(24)의 강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11]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닥벽(211)의 면적은 상기 덮개판(24)의 면적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바닥벽(211)의 두께는 상기 덮개판(24)의 두께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상술한 상세 설명에 의하면, 일정한 착용감을 보장하는 전제하에서, 상기 바닥벽(211)의 면적은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공진 주파수는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 하우징이 충분히 큰 강도를 가져 상기 코어 하우징의 공진 주파수가 될수록 높은 주파수를 가지는 고주파수 구역에 위치하게 하기 위해, 상기 바닥벽(211)의 면적은 상기 덮개판(24)의 면적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개구단부의 면적은 상기 바닥벽(211)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계 방정식 , 상기 덮개판(24)의 탄성률이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탄성률 이하이고, 상기 바닥벽(211)의 면적이 상기 덮개판(24)의 면적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관계 방정식(K1-K3)/K1≤10%을 만족시키기 위해, 상기 바닥벽(211)의 두께는 상기 덮개판(24)의 두께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12]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덮개판(24)의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또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중 적어도 하나와 유리 섬유( 및/또는 탄소 섬유)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13]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기 덮개판(24)의 재료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재료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상기 덮개판(24)과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와 유리섬유 및/또는 탄소섬유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강도 K1이 상기 덮개판(24)의 강도 K3보다 크게 하기 위해, 상기 코어 하우징(21)(이를테면 상기 바닥벽(211))의 유리섬유 및/또는 탄소섬유의 함량은 상기 덮개판(24)의 유리섬유 및/또는 탄소섬유의 함량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계 방정식 , 상기 관계 방정식 K3/K1≥90%을 만족시키기 위해, 상기 덮개판(24)의 두께와 면적 사이의 비율과 상기 바닥벽(211)의 두께와 면적 사이의 비율의 비율은 90%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덮개판(24)의 두께와 면적 사이의 비율은 상기 바닥벽(211)의 두께와 면적 사이의 비율과 동일할 수 있다.
[14] 상기 관계 방정식 , 상기 관계 방정식(K1-K3)/K1≤10%을 만족시키기 위해, 상기 덮개판(24)과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구조 파라미터(이를테면 상기 두께, 상기 면적과 그들의 비율)는 상기 덮개판(24)과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재료에 의해 결정됨에 유의해야 한다. 또는, 상기 상기 덮개판(24)과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재료는 상기 덮개판(24)과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상기 구조 파라미터(이를테면 상기 두께, 면적과 비율)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들은 2개의 가능한 디자인을 포함할 수 있다.
[1] 상술한 상세 설명에 의하면, 상기 덮개판(24)이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를 대체하여 상기 코어 하우징(21)에 연결된 후,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는 여전히 상기 덮개판(24)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덮개판(24)은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을 전부 커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은 상기 덮개판(24)(이를테면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은 상기 덮개판(24)의 일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을 커버할 수 있다.
[2]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귀걸이 하우징(31)과 상기 덮개판(24)이 플라스틱 부재이고,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의 탄성률이 상기 덮개판(24)의 탄성률보다 작은 경우,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와 상기 덮개판(24)은 2색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형 구조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귀걸이 하우징(31)가 플라스틱 부재이고, 상기 덮개판(24)이 금속편이고,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의 탄성률이 상기 덮개판(24)의 탄성률보다 작은 경우,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와 상기 덮개판(24)은 금속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형 구조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귀걸이 하우징(31)과 상기 덮개판(24)은 상기 코어 하우징(21)에 전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시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와 상기 덮개판(24)의 일치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버튼, 후술의 상기 제2 마이크로폰, 등은 상기 귀걸이 하우징(31)과 상기 덮개판(24) 사이에 설치하기 어려울 수 있다.
[3]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와 상기 덮개판(24)은 3D 프린팅에 의해 형성된 일체형 구조부재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와 상기 덮개판(24)은 나사산 연결, 용접 연결, 또는 이들과 유사한 방식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와 상기 덮개판(24)은 접착제 연결 또는 클램핑 연결과 상기 접착제 연결의 조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상기 버튼, 후술의 상기 제2 마이크로폰 등은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와 상기 덮개판(24)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관한 기재는 아래에서 찾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와 상기 덮개판(24) 사이의 상기 접착제(도 16에 미표시)의 충만도는 될수록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충만도는 90%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와 상기 덮개판(24) 사이의 상기 접착제의 충만도가 작은 경우,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와 상기 덮개판(24) 사이의 연결 강도는 작을 수 있다.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와 상기 덮개판(24) 사이에서 진동에 크게 히스테레시스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와 상기 덮개판(24) 사이에 공기가 있어서 상기 구조의 공진 주파수에서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조(A+B)로부터 상기 구조(B+B)로 개량한 유익효과를 얻기 힘들 수 있다. 상기 구조가 진동할 때 노이즈도 생성될 수 있다.
[4]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와 상기 덮개판(24) 사이의 상기 접착제의 충만도는 상기 접착제의 용적과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 사이의 간격의 용적의 비율을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와 상기 덮개판(24) 사이에 설치된 상기 접착제의 충만도는 80%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와 상기 덮개판(24) 사이의 상기 접착제의 충만도는 90%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5] 그리고, 일부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조건하에,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와 상기 덮개판(24) 사이에 설치된 상기 접착제(이를테면 구조용 접착제, 핫멜트 접착제, 순간 접착제, 실리카겔 등)의 유형은 상기 구조의 상기 공진 주파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14에서 상기 귀걸이조립체와 상기 덮개판 사이에 설치된 다양한 접착제에 해당되는 구조의 주파수 반응곡선을 표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도 1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부동한 유형의 접착제는 상기 구조의 상기 공진 주파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공진 주파수에 대한 유익효과에 따라 상기 접착제를 정열하면, 상기 구조 접착제의 순서는 구조용 접착제, 핫멜트 접착제, 순간 접착제, 실리카겔일 수 있다. 상기 실리카겔의 재료가 부드럽기 때문에 상기 구조의 상기 공진 주파수에서의 유익효과는 최저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구조의 상기 공진 주파수를 고려하면 높은 경도를 가지는 접착제를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와 상기 덮개판(24)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6] 상술한 상세 설명에 의하면, 상기 코어 브라켓(23)은 상기 코어(22)를 상기 코어 하우징(21)내에 고정시켜 상기 코어(22)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진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상기 덮개판(24)은 상기 코어 하우징(21)(이를테면 상기 덮개판(24)과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개구단부의 구조의 강도를 향상시키므로써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바닥벽(211)의 강도와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개구단부의 상기 구조의 강도 사이의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 브라켓(23)과 상기 코어 하우징(21)(이를테면 상기 Z 방향에서) 사이의 결합은 상기 브라켓 본체(231)와 상기 바닥벽(211) 사이의 접착제 연결 및/또는 상기 한정구조와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 사이의 클램핑 연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 브라켓(23)와 상기 코어 하우징(21)(이를테면 상기 Z 방향에서) 사이의 기타 결합은 상기 덮개판(24)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7] 도 1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16에서의 상기 코어모듈이 조립된 후 II-II 방향의 상기 코어모듈의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16에서 상기 코어 하우징에 가까운 상기 덮개판의 일측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8과 19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덮개판(24)은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개구단부를 커버할 수 있다. 누름 구조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을 향해 상기 덮개판(24)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누름 구조는 상기 코어 브라켓(23)을 상기 코어 하우징(21)에 눌러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덮개판(24)은 상기 코어 하우징(21)(이를테면 상기 덮개판(24)과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개구단부의 구조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판(24)은 상기 코어 브라켓(23)을 상기 코어 하우징(21)에 누를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덮개판(24)은 2가지 기능을 가질 수 있다 .
[8] 도 19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덮개판(24)은 하나의 덮개판 본체(241) 및 상기 덮개판 본체(241)와 일체로 연결된 하나의 누름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누름 구조는 하나의 제1 누름기둥(242) 및 하나의 제2 누름기둥(2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누름기둥(242)과 상기 제2 누름기둥(243)은 상기 덮개판 본체(241)의 원주방향에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코어 브라켓(23)에 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덮개판 본체(241)가 위치한 평면은 상기 바닥벽(211)이 위치한 평면과 평행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덮개판 본체(241)가 위치한 평면은 상기 브라켓 본체(231)이 위치한 평면과 평행되어, 상기 제1 누름기둥(242)과 상기 제2 누름기둥(243)의 연장 방향이 상기 브라켓 본체(231)이 위치한 평면에 수직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누름기둥(242)과 상기 제2 누름기둥(243)의 연장방향은 상기 Z 방향에 평행된다. 따라서, 상기 코어 브라켓(23)와 상기 코어 하우징(21)(이를테면 in 상기 Z 방향) 사이의 자유도는 효과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9] 도 2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19에서 상기 덮개판의 상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0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덮개판(24)은 하나의 장축 방향(이를테면 도 20에서 점선X가 나타내는 방향) 및 하나의 단축 방향(이를테면도 20에서 점선Y가 나타내는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축 방향에서 상기 덮개판(24)의 크기는 상기 단축 방향에서 상기 덮개판(24)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누름기둥(242)과 상기 제2 누름기둥(243)은 상기 장축 방향에서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덮개판(24)에 의해 상기 코어 브라켓(23)을 상기 코어 하우징(21)에 누르는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10] 일부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제2 누름기둥(243)은 상기 단축 방향에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덮개판 본체(241)에서 상기 제1 누름기둥(242)의 투영과 상기 덮개판 본체(241)에서 상기 제2 누름기둥(243)의 투영은 차례로 연결되어 예각 삼각형(이를테면 도 20에 표시하는 점선 삼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예각 삼각형은 예각 이등변 삼각형, 등변 삼각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어 브라켓(23)와 상기 코어 하우징(21) 사이의 상호작용점은 될수록 대칭되게 설치되며, 따라서 상기 코어 브라켓(23)와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조립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1] 도1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누름기둥(242)은 상기 제1 한정구조(232)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 누름기둥(243)은 상기 제2 한정구조(234)에 접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한정구조(232)와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은 도 1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 한정구조(232)의 누름 정밀도를 감소하여 상기 코어 브라켓(23)의 생산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12] 유사하게, 도 1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한정구조(232)는 상기 제1 축연장부(2321)와 상기 제1 반지름 연장부(2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축연장부(2321)는 상기 브라켓 본체(231)에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 본체(231)의 축방향(이를테면 도 14에서 점선 Z이 표시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코어(22)가 위치한 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반지름 연장부(2322)는 상기 제1 축연장부(2321)에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 본체(231)의 반지름 방향(이를테면 상기 브라켓 본체(231)의 지름 방향)에 따라 상기 브라켓 본체(231)의 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삽입홀(233)은 상기 제1 반지름 연장부(232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누름기둥(242)은 상기 제1 반지름 연장부(2321)에 접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누름기둥(242)은 상기 제1 반지름 연장부(2321)에 눌리울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도 1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한정구조(234)는 상기 제2 축연장부(2341)와 상기 제2 반지름 연장부(234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축연장부(2341)는 상기 브라켓 본체(231)에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 본체(231)의 축방향에 따라 상기 코어(22)이 위치한 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반지름 연장부(2342)는 상기 제2 축연장부(2341)에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 본체(231)의 반지름 방향 따라 상기 브라켓 본체(231)의 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누름기둥(243)은 상기 제2 반지름 연장부(2342)에 접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누름기둥(243)은 상기 제2 반지름 연장부(2342)에 접할 수 있다.
[13] 2개의 제2 누름기둥(243)은 상기 단축 방향에 따라 설치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덮개판 본체(241)에서 상기 제1 누름기둥(242)의 투영과 상기 상기 덮개판 본체(241)에서 상기 제2 누름기둥(243)의 투영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예각 삼각형을 구성하는 경우, 2개의 제2 한정구조(234)는 상기 단축 방향에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각각 상기 2개의 제2 누름기둥(243)에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누름기둥(242)이 상기 제1 한정구조(232)(이를테면 상기 제1 반지름 연장부(2322))에 접한 경우, 상기 2개의 제2 누름기둥(243)은 상기 제2 한정구조(234)(이를테면 상기 제2 반지름 연장부(2342))에 접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덮개판(24)에 의해 상기 코어 브라켓(23)을 상기 코어 하우징(21)에 누르는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4] 도 1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축연장부(2321)와 상기 제2 축연장부(2341)가 상기 덮개판(24)에 가까워지는 방향에서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제1 누름기둥(242)과 상기 제2 누름기둥(243)도 상기 코어(21)에 가까워지는 방향에서 연장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1 한정구조(232)와 상기 제2 한정구조(234)의 상기 브라켓 본체(231)와의 상대적 높이와 상기 제1 누름기둥(242)과 상기 제2 누름기둥(243)의 상기 덮개판 본체(241)와의 상대적 높이는 상기 덮개판 본체(241)와 상기 브라켓 본체(231) 사이의 거리의 절반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골전도 이어폰(10)가 떨어지거나 충돌될 때 상기 제1 한정구조(232)와 상기 제2 한정구조(234)의 상기 브라켓 본체(231)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과도한 높이에 의해 제1 한정구조(232)와 상기 제2 한정구조(234)가 부러지거나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골전도 이어폰(10)가 떨어지거나 충돌될 때 상기 제1 누름기둥(242)과 상기 제2 누름기둥(243)가 상기 덮개판 본체(241)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과도한 높이에 의해 상기 제1 누름기둥(242)과 상기 제2 누름기둥(243)이 부러지거나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 본체(231)에서 상기 제1 한정구조(232)와 상기 제2 한정구조(234)의 구조의 강도와 상기 덮개판 본체(241)에서 상기 제1 누름기둥(242)과 상기 제2 누름기둥(243)의 구조의 강도를 고려할 수 있다.
[15]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누름기둥(242)은 관모양일 수 있다. 도 1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위치결정기둥(213)은 상기 삽입홀(233)에 삽입되어 상기 코어 브라켓(23)와 상기 코어 하우징(21) 사이의 조립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위치결정기둥(213)은 나아가 상기 제1 누름기둥(242)에 삽입되어 상기 덮개판(24)과 상기 코어 하우징(21) 사이의 조립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1] 도 2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다른 각도에서 본 도 16에서 상기 코어모듈의 분해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코어모듈(20)은 하나의 제1 마이크로폰(25) 및 하나의 제2 마이크로폰(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덮개판(24)을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개구단부에 설치하면 상기 덮개판(24)과 상기 코어 하우징(21)은 상기 코어(22)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은 상기 코어 하우징(21)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은 상기 코어 하우징(21)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덮개판(24)은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과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을 갈라 놓을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과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이를테면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과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의 백톤실)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 따라서, 상기 덮개판(24)은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개구단부의 구조의 강도(이를테면 상기 덮개판(24)과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판(24)은 상기 코어 브라켓(23)을 상기 코어 하우징(21)내에 누를 수 있다.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과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은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덮개판(24)은 3가지 기능을 얻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귀걸이 하우징(31)이 상기 덮개판(24)에 덮인 경우, 즉,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가 상기 코어 하우징(21)에서 떨어진 상기 덮개판(24)의 일측에 덮인 경우,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은 상기 덮개판(24)과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2]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과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은 상기 메인 회로판(50)에 연결되어 소리를 상기 메인 제어회로판(50)에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과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 중 하나의 유형은 전기형 , 용량형, 압전형, 탄소입자형, 반도체형 등, 또는 이와 유사한 방식, 또는 이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과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 중 하나는 일렉트렛 픽업, 실리콘 픽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과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은 상기 유저(이를테면 착용자)가 위치한 환경에서 소리를 픽업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골전도 해드폰(10)은 노이즈 감소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에 대한 유저의 호감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과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도 상기 유저의 음성을 픽업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골전도 해드폰(10)는 마이크로폰 기능을 구현하는 동시에 스피커 기능을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골전도 해드폰(10)의 응용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과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은 상기 유저의 음성과 환경속의 소리를 픽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골전도 해드폰(10)는 상기 마이크로폰의 기능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노이즈 감소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에 대한 유저의 호감도를 높일 수 있다.
[3] 도 2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고리형 플랜지(215)가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은 상기 고리형 플랜지(215)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코어 하우징(21)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덮개판(24)(이를테면 상기 덮개판 본체(241))의 일측에는 마이크로폰 수용홈(244)을 구비하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은 상기 마이크로폰 수용홈(244)에 설치되고,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을 상기 덮개판(24)과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 사이에 설치하여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 상기 덮개판(24), 및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구현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은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은 상기 덮개판(24)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과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이 유저의 음성 및/또는 환경속의 소리를 쉽게 수집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에 대응되는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 상의 위치에 픽업홀(도 21에 미표시)이 개공되어 있을 수 있다. 픽업홀(도 21에 미표시)은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에 대응되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 상의 위치에 개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의 소리진입방향은 상기 덮개판(24)에 평행되게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덮개판(24)에 상대적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의 소리진입방향은 상기 덮개판(24)에 수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과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은 부동한 방향의 소리를 픽업하여 상기 골전도 해드폰(10)의 노이즈 감소 및/또는 마이크로폰의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골전도 해드폰(10)에 대한 유저의 호감도를 높인다.
[4]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은 접착 연결, 클램핑 연결, 나사산 연결, 등을 통해 상기 고리형 주변벽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은 상기 덮개판(24)과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마이크로폰 수용홈은 상기 코어 하우징(21)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덮개판(24)에는 전기선이 통과하는 세도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기선은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과 상기 코어(21)에 사용된다.
[5]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의 소리진입방향은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에 수직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상술한 상세 설명에 의하면, 상기 덮개판(24)(이를테면 상기 덮개판 본체(241))이 위치한 평면은 상기 바닥벽(211)이 위치한 평면과 평행될 수 있다.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은 상기 바닥벽(211)에 수직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은 상기 바닥벽(211)에 상대적으로 바깥쪽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경사각도는 30도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이 상기 바닥벽(211)에 수직되는 경우,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의 소리진입방향은 상기 덮개판(24)에 평행될 수 있다.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이 상기 바닥벽(211)에 상대적으로 바깥쪽으로 경사진 경우,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의 소리진입방향은 상기 덮개판(24)에 상대적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의 경사각도와 상기 소리진입방향의 경사각도는 실질적으로 동등할 수 있다.
[6]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의 상기 덮개판(24)에서의 투영 및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의 상기 덮개판(24)에서의 투영은 서로 어긋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과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은 부동한 방향으로부터 소리를 픽업하여 상기 골전도 해드폰(10)의 노이즈 감소 및/또는 상기 마이크로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골전도 해드폰(10)에 대한 유저의 호감도를 높인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의 상기 덮개판(24)에서의 투영은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의 상기 덮개판(24)에서의 투영에 비교하여 상기 굽힘전환부(312)에 더 가까이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과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 사이의 상대적 거리는 커질 수 있다.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과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은 부동한 방향의 소리를 픽업할 수 있다. 상기 상대적 거리가 클 수록 더 좋음에 유의해야 한다.
[7] 도 21에 표시된 관점에서 보면,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과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은 각각 상기 덮개판(24)의 양측에 위치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은 상기 덮개판(24)의 뒤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의 상기 덮개판(24)에서의 투영은 실제상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과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은 간단히 상기 덮개판(24)의 동일측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의 상기 덮개판(24)에서의 투영은 점선 프레임으로 대체할 수 있다.
[8] 도 2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21에서 상기 덮개판의 상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덮개판(24)은 장축 방향(이를테면 도 22에서 점선X가 나타내는 방향) 및 단축 방향(이를테면 도 22에서 점선Y가 나타내는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축 방향에서 상기 덮개판(24)의 크기는 상기 단축 방향에서 상기 덮개판(24)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의 상기 덮개판(24)에서의 투영과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의 상기 덮개판(24)에서의 투영의 연결선(이를테면 도 22에 표시된 점선)과 상기 장축 방향 사이의 협각은 45도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각도는 10도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의 상기 덮개판(24)에서의 투영과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의 상기 덮개판(24)에서의 투영의 연결선은 상기 장축 방향에 중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의 상기 덮개판(24)에서의 투영과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의 상기 덮개판(24)에서의 투영은 어긋날 수 있다.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과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 사이의 상대적 거리는 커지며, 따라서 나아가서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과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이 부동한 방향의 소리를 픽업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의 상기 덮개판(24)에서의 투영에 비교하여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의 상기 덮개판(24)에서의 투영은 상기 굽힘전환부(312) 가까이에 설치될 수 있다.
[9] 상술한 상세 설명에 의하면, 상기 코어(22)와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은 상기 코어 하우징(2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덮개판(24)은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개구단부에 덮일수도 있다. 배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응한 관통홀과 홈을 상기 덮개판(24)에 설치할 수 있다. 도 21과 도1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도선홀(245)도 상기 덮개판(24)에 설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의 상기 덮개판(24)에서의 투영과 비교하여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의 상기 덮개판(24)에서의 투영이 상기 굽힘전환부(312)에 가깝게 설치되었기 때문에, 상기 도선홀(245)은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에 가깝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과 상기 메인 제어회로판(50)(도 21와 도 16에 미표시)에 연결된 도선은 상기 도선홀(245)을 통해 상기 코어 하우징(21)으로부터 상기 코어 하우징(21)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상기 덮개판(24)의 일측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진일보 상기 굽힘전환부(312)내의 상기 배선채널을 통해 상기 수용함(313)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가 상기 덮개판(24)을 커버한 후, 상기 도선(상기 도선홀(245)과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 사이의 직선 거리보다 크거나 같은 길이)의 일부는 상기 덮개판(24)과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10] 일부 실시예에서는, 도 21과 도 1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코어 하우징(21)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상기 덮개판(24)의 일측은 배선홈(246)을 구비하는 오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선홈(246)의 일단은 상기 도선홀(245)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도선은 상기 배선홈(246)을 따라 더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덮개판(24)과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 사이에 일부 도선을 설치한 후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키고, 따라서 상기 도선, 상기 덮개판(24), 및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가능성과 신뢰성을 높인다.
[11] 상기 도선이 상기 코어 하우징(21)내에서 상기 도선홀(245)과 상기 배선홈(246)을 통과한 후, 상기 배선홈(246)의 양단은 점접착을 통해 상기 도선을 상기 덮개판(24)에 상대적으로 고정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상기 덮개판(24),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 및 상기 도선의 컴팩트화가 향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점접착은 상기 도선홀(245)에서 상기 코어모듈(20)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2] 일부 실시예에서는, 도 2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도선관리홈(216)은 상기 고리형 주변벽(212)의 내측에 평행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도선관리홈(216)은 상기 고리형 플랜지(215)에 가까울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외부 도선의 양극과 음극(도 21에 미표시)과 상기 코어(22)의 양극과 음극(에 미표시도 21) 사이에 형성된 2개의 용접 이음은 각각 상기 2개의 도선관리홈(216)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어(22)의 양극단과 음극단이 상기 도선의 양극과 음극에 용접된 경우 합선을 방지할 수 있으며 , 따라서 상기 코어(22)의 배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3] 일부 실시예에서는, 도 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이 상기 버튼(36)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코어 하우징(21)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상기 덮개판(24)의 일측은 버튼수용홈(도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미표기)을 구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튼(36)은 상기 버튼수용홈에 설치되고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버튼(36)이 상기 덮개판(24)과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 사이에 설치된 후,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의 전체 두께는 얇아지고, 따라서 상기 버튼(36), 상기 덮개판(24), 및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가능성과 신뢰성을 높인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튼수용홈은 상기 마이크로폰 수용홈(244)과 유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튼수용홈은 상기 코어 하우징(21)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덮개판(24)은 전기선이 통과하는 세도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기선은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과 상기 코어(21)에 사용된다.
[1] 도 2에 표시된 상기 수용함(313)은 상기 메인 회로판(50)을 수용한다. 도 4에 표시된 상기 수용함(313)은 상기 배터리(60)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과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은 각각 도 2에 표시하는 상기 귀걸이조립체(30)에 대응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과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은 상기 메인 제어회로판(50)에 연결되어, 따라서 상기 배선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어모듈(20)과 상기 귀걸이조립체(30)의 체적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버튼(36)을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과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와 함께 설치되면, 상기 버튼(36),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 및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은 간섭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버튼(36)은 도 4에 표시된 상기 귀걸이조립체(30)에 대응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버튼(36)이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의 좌측 귀걸이에 대응되면,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과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은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의 우측 귀걸이에 대응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버튼(36)이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의 우측 귀걸이에 대응되면,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과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은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의 좌측 귀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도 8에 표시하는 상기 코어모듈(20)에 있어서, 도 1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코어모듈(20)이 상기 코어모듈(20)의 덮개판(24)을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 상기 버튼(36), 등은 상응하게 조절된다. 예를 들면,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은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 또는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은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과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과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 중 하나가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의 좌측 귀걸이에 대응되는 경우, 제1 마이크로폰(25)과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의 우측 귀걸이에 대응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상기 버튼(36)은 상기 코어 하우징(21)에 가까운 상기 이어폰 고정부(311)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2] 도 2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코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코어(22)는 하나의 자기전도실드(221), 하나의 자석(222), 하나의 자기전도판(223), 및 하나의 코일(22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기전도실드(221)는 하나의 바닥판(2221)과 상기 바닥판(2221)에 일체로 연결된 고리형 측면판(2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석(222)은 상기 고리형 측면판(2212)에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222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자기전도판(223)은 상기 바닥판(2221)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상기 자석(2211)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코일(224)은 상기 자석(222)과 상기 고리형 측면판(2212) 사이의 자기 갭(225)에 설치되고, 상기 코어 브라켓(23)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석(222)과 상기 고리형 측면판(2212) 사이의 상기 자기 갭(225)은 m일 수 있으며, m는 1.0 mm 내지 1.5 mm의 범위로써 상기 코일(224)의 이동 요구와 상기 코어(22)의 간단화의 평형을 잡을 수 있다.
[3] 도 23에 표시된 상기 코어는 도 8에 표시된 상기 코어모듈 또는 도 16에 표시된 상기 코어모듈에 대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도 23에 표시된 상기 코어 브라켓은 주로 상기 코어 브라켓과 상기 코어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코어 브라켓과 상기 코어 사이의 가능한 조립 방식을 제시할 수 있다.
[4]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석(222)은 금속합금 자석, 페라이트, 또는 이들과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금속합금 자석은 네오디뮴 철붕소(NdFeB), 사마륨 코발트, 알루미늄 니켈 코발트, 철크롬 코발트, 알루미늄 철붕소, 철탄소 알루미늄,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 또는 이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라이트는 페라이트 바륨, 스틸 페라이트, 마그네슘 망간 페라이트, 리튬 망간 페라이트,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 또는 이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석(222)는 비교적 안정된 자기장을 형성하기 위해 자화 방향을 구비할 수 있다.
[5] 상기 자기전도실드(221)와 상기 자기전도판(223)는 서로 배합하여 상기 자석(222)이 생성한 자기장을 조절하여 상기 자기장의 유용성을 증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기전도실드(221)와 상기 자기전도판(223)은 금속 재료, 금속 합금, 금속 산화물 재료, 비정질 금속 재료 등과 같은 순자성 재료에 의해 가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순자성 재료는 철, 철실리콘합금, 철알루미늄합금, 니켈철합금, 철코발트합금, 저탄소강, 실리콘강판, 코일 실리콘강판, 코일형 실리콘강판, 페라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6] 따라서, 상기 코일(224)은 상기 자석(222), 상기 자기전도실드(221)와 상기 자기전도판(223)으로 형성된 자기장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전기신호의 여기하에, 상기 코일(224)은 암페어 힘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코일(224)은 상기 암페어 힘의 구동하에 상기 코어(22)이 기계적 진동을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코어(22)는 상기 코어 브라켓(23)을 통해 상기 코어 하우징(21)내에 고정되며, 따라서, 상기 코어 하우징(21)은 상기 코어(22)과 함께 진동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일(224)의 전기 저항은 상수로써(이를테면 8 옴(Ω)) 상기 암페어 힘의 생성 요구와 상기 코어(22)의 회로 구조의 평형을 잡을 수 있다.
상술한 상세 설명에 의하면,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용적은 제한되어 있다. 상기 코어 하우징(21)은 적어도 상기 코어(22), 상기 코어 브라켓(23),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 등과 같은 구조 부재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코어(22)의 크기를 증가시켜(이를테면 상기 자석(222)의 체적을 크게 하거나 및/또는상기 코일(224)의 회전수를 증가하여) 더 큰 암페어 힘을 얻어서 상기 코어 하우징(21)을 더 잘 구동할 수 있지만, 상기 코어모듈(20)의 무게와 체적이 커지며 상기 코어모듈(20)의 무게 절감에 유리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코어(2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암페어 기반 공식 에 따라 개선되고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파라미터 b는 상기 자석(222), 상기 자기전도실드(221), 및 상기 자기전도판(223)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의 강도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 L는 상기 자기장에서의 상기 코일(224)의 유효 길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는 전류와 상기 자기장의 협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Figure 112022079635019-pct00008
는 90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파라미터 I는 상기 코일(224)에서의 어느 순간의 전류를 표시할 수 있다. 설계되고, 제작되고 조립된 코어(22)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B와 L는 확정된 값일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 I는 상기 코어(22)에 입력되는 전기신호의 변화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어(22)의 최적화 설계는 간단히 힘계수 BL의 최적화 설계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 B와 L는 상기 자석(222), 상기 자기전도실드(221), 및 상기 자기전도판(223)의 구조 파라미터(이를테면 형상, 크기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1] 상기 자석(222), 상기 자석 하우징(221), 및 상기 자기전도판(223)의 구조 파라미터(이를테면 형상, 크기 등.)의 상기 힘계수 BL에 대한 효과에 관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1] 도 2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23에서 힘계수 BL와 자석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석(222)은 원통형일 수 있다. 도 2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가로 좌표는 상기 자석(222)의 직경 φ을 표시한다. 세로 좌표는 상기 자석(222)의 두께 t1를 표시한다. 상기 자석(222)의 직경 φ이 클 수록, 상기 힘계수 BL의 값이 클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자석(222)의 두께 t1가 클 수록, 상기 힘계수 BL 값이 클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골전도 해드폰(10)가 충분한 음량을 생성하고 충분히 큰 암페어 힘을 생성하여 상기 코일(224)을 구동하여 진동시키기 위해, 상기 힘계수 BL의 값은 1.3보다 클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코어모듈(20)(이를테면 상기 코어(22))의 무게와 체적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상기 자석(222)의 직경 φ은 10.5 mm 내지 11.5 mm의 범위내일 수 있고, 상기 자석(222)의 두께 t1은 3.0 mm 내지 4.0 mm의 범위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자석(222)의 직경 φ은 10.8 mm일 수 있고, 상기 자석(222)의 두께 t1은 3.5 mm일 수 있다.
[1]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기전도판(223)의 직경은 상기 자석(222)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자기전도판(223)의 두께는 상기 자기전도실드(221)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자기전도판(223)의 재료는 상기 자기전도실드(221)의 재료와 같을 수 있다. 도 2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23에서 자기전도실드의 두께와 자기전도판 및 힘계수 BL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가로 좌표는 상기 자기전도실드(221)의 두께 t2를 표시한다. 세로 좌표는 힘계수 BL를 표시한다. 일정한 범위내에서 상기 힘계수 BL는 상기 두께 t2가 커짐에 따라 커짐을 알 수 있다. t2 가 0.8 mm보다 클 때, 상기 힘계수 BL의 값의 변화는 선명하지 않을 수 있다. 즉, t2가 0.8 mm보다 크게 된 후, 상기 두께 t2가 계속 커지는 경우, 효과는 작을 수 있으나, 상기 코어(22)의 무게는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힘계수 BL(이를테면 1.3보다 큰)와 상기 코어모듈(20)(이를테면 상기 코어(22))의 무게와 체적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상기 자기전도판(223)과 상기 자기전도실드(221)의 두께 t2 는 0.4 mm 내지 0.8 mm의 범위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두께 t2는 0.5 mm일 수 있다.
[2]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리형 측면판(2212)은 원통형일 수도 있다. 상기 고리형 측면판(2212)의 직경 D는 상기 자석(222) 직경 φ와 상기 자기 갭 m의 2배의 합일 수 있다. 즉, 상기 상기 고리형 측면판(2212)의 직경 D은 방정식(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1)
[1] 도 2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23에서 상기 자기전도실드의 높이와 힘계수 BL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가로 좌표는 상기 자기전도실드(221)(이를테면 상기 고리형 측면판(2212))의 높이 h를 표시한다. 세로 좌표는 힘계수 BL를 표시한다. 일정한 범위에서 상기 힘계수 BL의 값은 상기 자기전도실드(221)의 높이 h가 커짐에 따라 커짐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높이 h가 4.2 mm를 초과한 후, 상기 힘계수 BL의 값은 상기 자기전도실드(221)의 높이 h가 커짐에 따라 작아 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힘계수 BL(이를테면 1.3보다 크다)와 상기 코어모듈(20)(이를테면 상기 코어(22))의 무게와 체적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상기 자기전도실드(221)의 높이는 h 는 3.4 mm 내지 4.0 mm의 범위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자기전도실드(221)의 높이 h는 3.7 mm일 수 있다.
[2]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골전도 이어폰(10)는 2개의 코어모듈(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2개의 코어모듈(20) 중 하나는 도 8에 표시된 상기 코어모듈에 대응되고, 다른 하나는 도 16에 표시된 상기 코어모듈에 대응될 수 있다 .각 코어모듈(20)의 상세 구조는 상기 실시예들 중 하나와 같거나 유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실시예들의 상세 설명을 참고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중복하지 않는다.
[3] 도 27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비착용 상태하에서의 도 1에서 상기 골전도 이어폰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코어모듈(20)의 상기 자석(222)은 상기 자석(222)이 위치하는 상기 코어 하우징(21)의 바닥벽(211)에 가까운 일측에 부동한 극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이 미착용 상태인 경우, 상기 2개의 코어모듈(20)은 서로 흡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저는 상기 골전도 이어폰(10)를 저장할 수 있다. 자석(222)은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코일(224)은 상기 전기신호의 여기하에서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자석(222)은 2가지 기능을 가질 수 있다.
[4]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모듈(20)이 조립되기 전에, 상기 자석(222)은 예자화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코어모듈(20)이 조립된 후, 상기 코어모듈(20)을 자화장치내에 놓아, 상기 자석(222)가 자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자화 후, 상기 2개의 코어모듈(20)의 상기 자석(222)의 자기장 방향은 도27에 표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석(222)이 조립되기 전에 자성을 갖지 않으므로, 상기 코어모듈(20)의 조립은 자기힘의 간섭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어모듈(20)의 조립 효율과 생산율은 향상되고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의 생산능력과 유익성이 향상된다.
[5] 도 2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III-III 방향에 따른 도 1에서 상기 배면걸이조립체의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배면걸이조립체(40)는 탄성 금속선(41), 도선(42), 상기 탄성 금속선(41)과 상기 도선(42)에 덮인 하나의 탄성 피복재(43)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 피복재(43)와 상기 도선(42)은 압출 성형된 일체형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탄성 피복재(43)는 전기선채널(도 28에 미도시)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 금속선(41)은 상기 전기선채널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기선채널은 상기 압출성형 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 금속선(41)의 재료는 스프링강, 티타늄 합금, 티타늄 니켈 합금, 크롬 몰리브덴강, 또는 이와 유사한 방식, 또는 이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피복재(43)의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실리카겔, 고무, 또는 이와 유사한 방식, 또는 이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여 착용감과 상기 배면걸이조립체(40)의 구조의 강도의 균형을 잡을 수 있다 .
[6] 상기 탄성 금속선(41)이 상기 전기선채널을 통해 상기 탄성 피복재(43)에 삽입되기 때문에, 도 28에서 상기 탄성 금속선(41)이 위치한 구역은 간단히 상기 탄성 피복재(43)에서의 전기선채널이라고 생각해도 된다.
[7] 일부 실시예에서는, 자연상태에서 상기 전기선채널의 직경은 상기 탄성 금속선(41)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탄성 금속선(41)은 상기 탄성 피복재(43)에 삽입된 후 상기 탄성 피복재(43)와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피복재(43)와 상기 탄성 금속선(41)(이를테면 상기 배면걸이조립체(40)가 상기 유저에 의해 눌리움) 사이의 지나치게 큰 틈에 의해 상기 배면걸이조립체(4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면걸이조립체(40)는 더 캠팩트화 될 수 있다.
[8]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선(42)의 수량은 적어도 2 가닥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선(42)의 매 가닥은 금속선과 금속선을 피복한 절연층(도 28에 미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절연층은 상기 금속선 사이의 절연을 형성할 수 있다.
[9] 도 1, 2, 4, 8,와 1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제어회로판(50)과 상기 배터리(60)는 2개의 귀걸이조립체(30)에 설치되고, 도 2와 도 4에 표시된 상기 귀걸이조립체(30)는 각각 상기 골전도 해드폰(10)의 좌측 귀걸이와 우측 귀걸이에 대응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메인 제어회로판(50)과 상기 배터리(60)은 상기 배면걸이조립체(40)에 내장된 상기 도선(42)을 통해 연결되고, 도 1(상기 좌측)에서 상기 귀걸이조립체(30)에 대응되는 상기 코어모듈(20)(이를테면 상기 코어(22))과 상기 버튼(36)은 상기 배면걸이조립체(40)에 내장된 상기 도선(42)을 통해 도 1(상기 우측)에서 상기 귀걸이조립체(30)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제어회로판(5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상기 우측)에서 상기 귀걸이조립체(30)에 대응되는 상기 코어모듈(20)(이를테면 상기 코어(22), 상기 제1 마이크로폰(25), 및 상기 제2 마이크로폰(26))은 상기 배면걸이조립체(40)에 내장된 상기 도선(42)을 통해 도 1(상기 좌측)에서 상기 귀걸이조립체(30)에 대응되는 상기 배터리(6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선(42)은 상기 3 회로를 연결할 수 있다.
[10] 상술한 상세 설명에 의하면, 본 개시의 상기 배면걸이조립체(40)는 아래의 절차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1] 절차 1에서, 압출성형장치 및 도선을 준비할 수 있다.
[2] 상기 탄성 피복재(43)를 성형하기 위한 원자재를 상기 압출성형장치에 넣는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 피복재(43)의 원자재의 압출 성형, 조작은 용융 가소화, 다이스(또는 핸드피스)로부터의 압출, 성형, 냉각, 견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3] 도선(42)의 수량은 적어도 두가닥으로써 상기 골전도 이어폰(10)에서 다양한 전기부품 사이의 연결을 쉽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매 가닥 도선(42)은 금속선과 금속선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금속선을 덮는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4] 절차2에서, 상기 도선을 상기 압출성형장치에 넣고, 따라서, 상기 탄성 피복재의 원자재와 상기 도선은 압출성형 과정에서 상응한 제1 반제품을 형성할 수 있다
[5]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압출성형장치는 상기 압출성형 과정에서 상기 도선(42)을 잡아 당겨 상기 탄성 피복재(43)가 상기 도선(42)을 덮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금형코어는 상기 압출성형장치의 핸드피스에 넣어 상기 압출성형 과정에서 상기 탄성 피복재(43) 내에 상기 전기선채널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반제품은 상기 탄성 피복재(43)와 상기 도선(42)의 일체형 구조물일 수 있으며, 상기 탄성 피복재(43)의 내부에는 상기 탄성 피복재(43)의 축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전기선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6] 절차3에서, 상기 배면걸이조립체의 사용요구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반제품은 상응한 길이의 제2 반제품으로 절단될 수 있다.
[7]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반제품의 실제 길이는 상기 배면걸이조립체의 사용 길이보다 약간 클 수 있다. 즉, 상기 제2 반제품은 일정한 여유를 가져 하나 이상의 후속 가공에 편리하게 할 수 있다.
[8] 절차4에서, 상기 탄성 금속선은 상기 제2 반제품의 상기 전기선채널에 설치되어 상기 배면걸이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9] 일부 실시예에서는, 절차 4 이 후, 상기 배면걸이조립체는 상기 유저의 머리에 적응되는 일정한 형상을 포함하는 구불어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면걸이조립체의 양단은 상응한 처리를 거쳐 상기 배면걸이조립체에 고정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메인 회로판, 상기 배터리, 상기 버튼, 상기 코어, 상기 제1 마이크로폰, 및 상기 제2 마이크로폰 사이의 회로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절차 4에서 제작된 상기 배면걸이조립체는 실제상 반제품이다.
[10] 상기 방법을 통해, 반제품(이를테면 상기 탄성 피복재(43)와 상기 도선(42))의 일체형 구조물은 상기 압출성형 과정을 통해 한꺼번에 길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탄성 피복재(43)의 내부에는 동시에 상기 탄성 피복재(43)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기 전기선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반제품은 상응한 길이의 복수의 작은 부품으로 절단되어 후속 절차를 진행할 수 있으며, 상기 배면걸이조립체의 생산율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11] 상이한 실시예는 상이한 유익효과가 있을 수 있으며, 그 가능한 효과는 상술한 유익효과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조합적인 것일 수 있거나 다른 유익효과일 수 있다.
[12] 상기 기본 개념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본 분야의 기술자들은 상기의 상세설명을 열독한 후 이 상세설명은 예를 제시하는 목적뿐이고 한정적이 아님을 명확할 것이다. 여기에서 명기하지 않았지만 본 분야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다양한 변화, 개진, 또는 수정은 가능하며 또한 이를 추구할 수 있다. 이 공개에 의하여 이러한 변화, 개진, 또는 수정은 제시를 주기 위함이고, 이는 본 공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지와 범위내에 있는 것이다.
[13] 본 공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된 용어 이를테면 "하나의 실시예", "일 실시예", 및/또는 "일부 실시예"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상세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본 공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어의 여러 부분에서 기재한 2개 이상의 "하나의 실시예", "일 실시예", 또는 "하나의 변형 실시예"는 전부 동일한 실시예로 참고할 필요가 없음을 강조하고 인정한다. 그리고 구체적인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본 공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적당히 조합될 수 있다.
[14] 분야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본 공개의 각 방면은 여러가지 특허 종류의 많은 특허성을 구비하는 종류 또는 상하문에서는 임의의 새롭고 다양한 처리, 기계, 제조 또는 이들의 조합 또는 그 새롭고 다양한 개진을 포함하여 기술하고 설명될 수 있다. 상응하게 본 공개의 각 방면은 전체적으로 하드웨어, 전체적으로 소프트웨어(펌웨어, 상주 소프트웨어, 마이크로 코드 등)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그 조합 도구는 일반적으로 "블록", "모듈", "엔진", "유닛", "부재", 또는 "시스템"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공개의 각 방면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내장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식을 취할 수 있다.
[1] 또한, 처리 요소 또는 순서, 또는 숫자, 문자 또는 기타 명칭의 사용은 청구범위에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주장된 프로세스 및 방법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상기 공개는 상기 공개의 여러 다양한 유용한 실시예를 통해 현재 본 공개의 다양한 유용한 실시예로 간주되는 것이 무엇인지를 논의하지만, 이러한 상세내용은 오로지 그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청구범위들이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반대로, 수정과 공개된 실시예들의 요지와 범위내에 있는 방안과 동등한 방안을 포괄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다양한 구성 요소의 구현이 하드웨어 장치에 구현될 수 있지만, 소프트웨어 전용 솔루션(예를 들면 기존 서버나 모바일 장치에 설치하는)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2] 마찬가지로, 본 공개의 실시예에 대한 상기 설명에서,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이해를 돕는 공개를 간단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어떤 경우 다양한 특징들이 하나의 실시예, 도면 또는 설명에 집중되어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공개 방법은 청구항목이 각 청구항들에서 명시적으로 인용되는 것보다 더 많은 특징을 요구한다는 취지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청구된 주제는 상술한 하나의 공개된 실시예의 모든 특징들보다 적을 수 있다.
[3] 일부 실시예에서 본 출원의 어떤 실시예를 기술하고 주장하는데 사용된 수량 또는 성질을 표시하는 수자는 일부 상황에서 용어 "약", "유사", 또는 "기본상" 등으로 수정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별도의 설명이 없는 경우 "약", "유사" 또는 "기본상"은 그 묘사하는 값이 ±20%의 변화가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방안에서 서면 기술과 청구범위에서 열거한 수치 계수는 유사치이며, 특정된 실시방안에서 얻으려는 성질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일부 실시방안에서 수치 계수는 보고된 유효 수자의 수량에 의거하여 일반적인 사사오입 기술에 따라 해석해야 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방안에서 광범위의 수치 범위와 계수는 유사치이지만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정확한 수치를 될수록 제공했다.
[4] 상술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 공개한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원칙들을 예시하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다. 기타 수정은 본 출원의 범위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비한정적인 대안 형태는 여기에서 주는 암시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보여주고 묘사된대로 정확하게 한정된 것이 아니다.

Claims (31)

  1. 귀걸이 하우징을 포함하는 귀걸이조립체; 및
    상기 귀걸이조립체의 일단에 배치되는 코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코어모듈은 코어 하우징과 코어를 포함하고, 개구가 상기 코어 하우징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코어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코어 하우징의 탄성률은 상기 귀걸이 하우징의 탄성률보다 크고,
    상기 귀걸이 하우징은 순차적으로 연결된 이어폰 고정부, 굽힘전환부, 및 수용함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 고정부는 상기 코어 하우징의 개구단부에 배치되고,
    보강구조가 상기 이어폰 고정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코어 하우징의 피부접촉 구역의 강도와 상기 이어폰 고정부의 강도 사이의 차이값과 상기 코어 하우징의 피부접촉 구역의 강도의 비율은 10% 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이어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구조는 상기 이어폰 고정부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보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이어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구조는 적어도 2개의 보강리브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보강리브들은 평행되게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2개의 보강리브들은 그리드 패턴(grid pattern)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이어폰.
  5.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구조의 재료는 금속편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구조와 상기 이어폰 고정부는 금속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이어폰.
  6.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하우징은 바닥벽과 고리형 주변벽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벽은 상기 코어 하우징의 피부접촉 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고리형 주변벽의 일단은 상기 바닥벽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이어폰 고정부는 고정체와 고리형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굽힘전환부와 연결되며, 상기 고리형 플랜지는 상기 고정체와 연결되고 상기 코어 하우징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고리형 플랜지는 상기 바닥벽에서 떨어진 상기 고리형 주변벽의 다른 단부와 접하며,
    상기 보강구조는 상기 고정체와 상기 고리형 플랜지 사이에 배치된 호형 구조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보강구조는 상기 고정체와 일체로 배치된 두께보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이어폰.
  7.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 하우징은 탄성 금속선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금속선은 상기 이어폰 고정부, 상기 굽힘전환부, 및/또는 상기 수용함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이어폰
  8.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구조의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또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이어폰.
  9.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모듈은 덮개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판은 상기 코어 하우징의 개구 상에 덮여지고, 상기 귀걸이 하우징은 상기 덮개판에 연결되며,
    상기 덮개판의 탄성률은 상기 귀걸이 하우징의 탄성률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이어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의 탄성률은 상기 코어 하우징의 탄성률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이어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하우징은 바닥벽과 고리형 주변벽을 포함하고,
    상기 고리형 주변벽의 일단은 상기 바닥벽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덮개판은 상기 고리형 주변벽의 다른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바닥벽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바닥벽의 적어도 일부분은 유저의 피부에 접촉하며,
    상기 바닥벽의 강도와 상기 덮개판의 강도 사이의 차이값과 상기 바닥벽의 강도의 비율은 10%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이어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의 면적은 상기 덮개판의 면적보다 작거나 동일하고,
    상기 바닥벽의 두께는 상기 덮개판의 두께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이어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 하우징은 수용함, 굽힘전환부, 및 이어폰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함은 배터리 또는 메인 제어회로판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굽힘전환부는 상기 수용함과 상기 이어폰 고정부에 연결되고, 상기 굽힘전환부는 굽혀진 형상으로 배치되어 사람 귀의 외측에 걸리며,
    상기 이어폰 고정부는 상기 코어 하우징의 반대편을 향하는 상기 덮개판의 일측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이어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고정부와 상기 덮개판은 접착제 연결, 또는 클램핑 연결과 상기 접착제 연결의 조합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이어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은 상기 이어폰 고정부에 완전히 덮이고,
    상기 이어폰 고정부와 상기 덮개판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겔의 충전도는 90%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이어폰.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KR1020227026443A 2020-04-30 2021-04-29 골전도 이어폰 KR1026624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367107.5A CN113596648A (zh) 2020-04-30 2020-04-30 一种骨传导耳机
CN202020720129.0 2020-04-30
CN202010367107.5 2020-04-30
CN202020720129.0U CN212086436U (zh) 2020-04-30 2020-04-30 一种骨传导耳机
CN202020720127.1 2020-04-30
CN202020720127.1U CN212086435U (zh) 2020-04-30 2020-04-30 一种骨传导耳机
PCT/CN2021/090958 WO2021219076A1 (zh) 2020-04-30 2021-04-29 一种骨传导耳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737A KR20220122737A (ko) 2022-09-02
KR102662475B1 true KR102662475B1 (ko) 2024-05-03

Family

ID=78331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6443A KR102662475B1 (ko) 2020-04-30 2021-04-29 골전도 이어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11388506B2 (ko)
EP (1) EP4061004A4 (ko)
JP (1) JP7360558B2 (ko)
KR (1) KR102662475B1 (ko)
AU (1) AU2021263005B2 (ko)
BR (1) BR112022013275A2 (ko)
CA (1) CA3165920C (ko)
CO (1) CO2022010344A2 (ko)
MX (1) MX2022008855A (ko)
PE (1) PE20221348A1 (ko)
WO (1) WO20212190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16573B2 (en) * 2020-09-19 2022-11-29 Shenzhen Mengda Network Technology Co., Ltd. Split bone conduction earphone
CN114071302A (zh) * 2021-11-11 2022-02-18 深圳市大十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容感应触发的悬挂式耳机及触发方法
WO2024052753A1 (en) * 2022-09-06 2024-03-14 Cochlear Limited Auditory device with vibrating external actuator compatible with bilateral oper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2491A (zh) * 2019-01-05 2019-06-07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扬声装置
WO2019237726A1 (zh) * 2018-06-15 2019-12-19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导扬声器及其测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3127B2 (ja) * 1998-12-25 2005-02-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ヘッドホン装置
TWI272032B (en) * 2003-12-04 2007-01-21 Temco Japan Communication system using bone conduction speaker
KR100630126B1 (ko) * 2004-12-21 2006-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귀 착용 타입 무선 헤드셋 폰
US7356362B2 (en) * 2005-06-09 2008-04-08 Wen-Han Chang Headset structure with built-in audio source
JP4992062B2 (ja) * 2006-05-17 2012-08-08 キム、スング−ホー 骨伝導ヘッドセット
AU2008358016A1 (en) * 2008-06-20 2009-12-23 Ty-Techtronics Pty Ltd Headset
JP2011114512A (ja) 2009-11-26 2011-06-09 Audio Technica Corp ヘッドホルダーを用いた骨伝導ヘッドホン
JP5531605B2 (ja) 2009-12-21 2014-06-25 明子 中谷 骨伝導スピーカ及び骨伝導ヘッドホン装置
US8311257B2 (en) * 2010-10-20 2012-11-13 Chiu-Yueh Hu Earphone mounting structure
RU103483U1 (ru) 2010-12-22 2011-04-20 Олег Владимирович Бережков Тренажерный комплекс
CN202026447U (zh) * 2011-03-24 2011-11-02 旭丽电子(广州)有限公司 蓝牙耳机
ITRE20120039A1 (it) * 2012-05-17 2013-11-18 Bluegan S R L Cuffie a sicurezza aumentata e triplice funzionalita' con equalizzazione adattiva
JP5629831B1 (ja) 2012-12-28 2014-11-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骨伝導スピーカ及び骨伝導ヘッドホン装置
ES2597155B1 (es) 2015-06-12 2017-09-18 Eyesynth, S.L. Sistema portátil de interpretación sonora o táctil del entorno para un invidente
EP3920551A1 (en) * 2015-08-13 2021-12-08 Shenzhen Voxtech Co., Ltd Systems for bone conductor speaker
CN205179304U (zh) * 2015-11-04 2016-04-20 东莞泉声电子有限公司 自由调节的人体工学骨导耳机架及其骨导耳机
US10743094B2 (en) * 2016-10-04 2020-08-11 Jonathan Jan Helmet having dual mode headphone and method therefor
CN109923873B (zh) * 2016-10-28 2021-08-03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骨传导麦克风、骨传导头戴式耳机及通话装置
CN207410479U (zh) * 2017-05-23 2018-05-25 东莞市库珀电子有限公司 一种带有摄像功能的骨传导蓝牙耳机
CN107454492B (zh) * 2017-08-18 2024-04-05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导耳机
CN117201996A (zh) * 2017-08-18 2023-12-08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导耳机
CN107493532B (zh) * 2017-08-18 2023-08-25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导耳机
CN109587591A (zh) * 2017-09-28 2019-04-05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耳挂式音乐播放器
CN107635173A (zh) * 2017-11-10 2018-01-26 东莞志丰电子有限公司 运动型高清通话触控蓝牙小耳机
US20190313184A1 (en) * 2018-04-05 2019-10-10 Richard Michael Truhill Headphone with transdermal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DE102018209173A1 (de) * 2018-06-08 2019-12-12 Sivantos Pte.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omponente eines Hörgerätes
WO2020038485A1 (zh) * 2018-08-24 2020-02-27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扬声器装置
CN109600693A (zh) * 2018-11-23 2019-04-09 深圳派赛科技有限公司 一种防水骨传导蓝牙耳机
CN209170616U (zh) * 2019-01-17 2019-07-26 深圳派赛科技有限公司 骨传导装置的防水结构及无线骨传导装置
CN109547891A (zh) * 2019-01-22 2019-03-29 海商电子(深圳)有限公司 新型组合式耳机
CN111083612A (zh) * 2020-01-19 2020-04-28 深圳市创想听力技术有限公司 一种弹片、骨传导扬声器及骨传导耳戴式设备
CN211702349U (zh) * 2020-04-30 2020-10-16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导耳机
CN212086435U (zh) * 2020-04-30 2020-12-04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导耳机
WO2021218781A1 (zh) * 2020-04-30 2021-11-04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耳机通信系统
CN212086436U (zh) * 2020-04-30 2020-12-04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导耳机
CN211702351U (zh) * 2020-04-30 2020-10-16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耳机及其耳挂组件
CN211702353U (zh) * 2020-04-30 2020-10-16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导耳机
CN112153510A (zh) * 2020-05-11 2020-12-29 东莞泉声电子有限公司 Tws骨传导耳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7726A1 (zh) * 2018-06-15 2019-12-19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导扬声器及其测试方法
CN109862491A (zh) * 2019-01-05 2019-06-07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扬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1263005A1 (en) 2022-07-21
KR20220122737A (ko) 2022-09-02
BR112022013275A2 (pt) 2022-09-06
EP4061004A4 (en) 2023-06-07
PE20221348A1 (es) 2022-09-13
MX2022008855A (es) 2022-08-10
EP4061004A1 (en) 2022-09-21
AU2021263005B2 (en) 2023-08-10
US20220353595A1 (en) 2022-11-03
JP2023513816A (ja) 2023-04-03
JP7360558B2 (ja) 2023-10-12
CA3165920C (en) 2024-06-11
US11388506B2 (en) 2022-07-12
US20230370764A1 (en) 2023-11-16
US20220060808A1 (en) 2022-02-24
CO2022010344A2 (es) 2022-08-09
CA3165920A1 (en) 2021-11-04
US11736854B2 (en) 2023-08-22
WO2021219076A1 (zh)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2478B1 (ko) 이어폰
KR102662475B1 (ko) 골전도 이어폰
WO2022022618A1 (zh) 一种耳机
WO2020038475A1 (zh) 一种扬声器
WO2020140451A1 (zh) 一种扬声器装置
CN211702353U (zh) 一种骨传导耳机
US20220400327A1 (en) Acoustic output apparatus and connection assembly
CN211702351U (zh) 骨传导耳机及其耳挂组件
CN211702350U (zh) 骨传导耳机及其机芯模组
CN212086434U (zh) 一种骨传导耳机
CN212086436U (zh) 一种骨传导耳机
CN211702348U (zh) 骨传导耳机及其耳挂组件
CN212086437U (zh) 骨传导耳机及其耳挂组件
CN211702349U (zh) 一种骨传导耳机
CN212086435U (zh) 一种骨传导耳机
US20220337935A1 (en) Earphones
CN115136618A (zh) 一种耳机
CN211702347U (zh) 骨传导耳机及其机芯模组
CN211702346U (zh) 骨传导耳机及其机芯模组
RU2798898C1 (ru) Наушники с костной проводимостью
RU2802594C1 (ru) Наушники
CN115552918A (zh) 一种骨传导耳机
CN210469687U (zh) 耳机
CN113596650A (zh) 骨传导耳机及其耳挂组件
CN115039417A (zh) 声学输出装置及连接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