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048B1 -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048B1
KR102662048B1 KR1020210132315A KR20210132315A KR102662048B1 KR 102662048 B1 KR102662048 B1 KR 102662048B1 KR 1020210132315 A KR1020210132315 A KR 1020210132315A KR 20210132315 A KR20210132315 A KR 20210132315A KR 102662048 B1 KR102662048 B1 KR 102662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umer
water
customer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9790A (ko
Inventor
윤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플래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플래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플래그
Priority to KR1020210132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048B1/ko
Publication of KR20230049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9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0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02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 G01D4/004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to a fixed lo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01F15/061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90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84Arrangements monitoring consumption of a utility or use of an appliance which consumes a utility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metering of water, gas or electricity, use of taps, toilet flush, gas stove or electric kett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30Types of network names
    • H04L2101/375Access point names [AP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가별로 실시간 수도 사용량을 수집하고 수집된 실시간 수도 사용량에 따른 수용가별 사용자 인원을 고려한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 및 사용자 인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따른 실시간 수도 사용량에 근거하여 누수 및 사용자 위기상황 등과 같은 긴급상황이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Water consumer emergency monitoring apparatus,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ed the method}
본 발명은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가별 실시간 수도 사용량 및 수용가별 사용자 인원을 고려한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 및 사용자 인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따른 실시간 수도 사용량에 근거하여 누수, 사용자 위기상황 등과 같은 긴급상황이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긴급상황 발생 시 관리자에게 통지하여 긴급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핵가족화로 1인 가구의 수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1인 가구는 세 가구 중 거의 한 가구꼴로 급증하고 있다.
이처럼 가구를 구성하는 인원수가 급감함에 따라 해당 가구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긴급상황들이 간과되어 이웃들과의 분쟁을 발생시킬 수 있고, 해당 가구원의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들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가구에서 발생되는 긴급상황 중 하나가 상수도의 수질 악화, 누수 등과 같은 시설 악화와, 가구원의 낙상, 급작스러운 건강악화, 질병 등과 같은 인명 사고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수도 관리 시스템은 전국의 각 가구가 사용하는 수도 사용량을 실시간 측정하여 수도세 계산 및 상수도 관리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수도 관리 시스템은 상수관망 상에서의 누수 등의 긴급상황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없으며, 특히, 가구 단위에서는 누수의 발생을 감지하는 것이 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 가구, 즉 상수도를 공급받아 사용하는 수용가에서 발생되는 인명 사고, 특히, 독거노인 등과 같은 1인 가구에서의 인명 사고 등과 같은 긴급상황을 빠르게 감지하기 위해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는 다양한 긴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으나, 가구 내에 별도의 시스템 및 센서를 구축하여야 하므로 추가적인 설치비용 및 유지 관리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도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가구, 즉 수용가에 별도의 장치 설치를 최소화하면서도 수용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 및 수용가 사용자의 위기상황 등과 같은 긴급상황을 빠르게 감지하여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29946호(2014.11.07.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용가별 실시간 수도 사용량을 수집하고 수집된 실시간 수도 사용량에 따른 수용가별로 사용자 인원을 고려한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 및 사용자 인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따른 누수, 사용자 위기상황 등과 같은 긴급상황이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긴급상황 발생 시 관리자에게 통지하여 긴급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는: 수용가 식별정보에 의해 구분되는 수용가별 수도 사용량을 포함하는 수도 관리정보를 저장하는 수도 관리정보 DB, 수용가 식별정보, 등록 수용가 사용자 인원, 등록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 및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수용가별 수용가정보를 저장하는 수용가정보 DB, 및 수용가별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저장하는 수도 사용 패턴 DB를 포함하는 서버 저장부; 수도 관리 시스템,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및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 통신부; 및 상기 수용가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용가정보 DB에 저장하여 등록하고,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수도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용가별 수도 사용량을 포함하는 수도 관리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수도 관리정보 DB에 저장하고, 상기 수도 관리정보 DB의 수도 관리정보, 실시간 수집되어 누적되는 수용가별 수도 사용량 정보, 해당 수용가의 수용가 사용자 수, 수도 사용 시간대를 포함하는 입력정보를 학습하여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생성하여 상기 수도 사용 패턴 DB에 저장한 후, 수용가별로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과 수도 사용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수용가에서 수도 및 수용가 사용자에 대한 긴급상황이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여 긴급상황 발생 시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 제어부는, 수용가 식별정보, 등록 수용가 사용자 인원, 등록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 및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수용가정보 및 긴급상황 알림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용가정보 DB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수용가 등록부; 상기 수도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실시간 수도 사용량을 포함하는 수도 관리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수용가의 사용자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수용가 등록부의 제어를 받아 서비스 설정 수단 및 수용가정보 등록 수단을 포함하는 GUI를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GUI 제공부; 상기 실시간 수집되어 누적되는 수용가별 수도 사용량 정보, 해당 수용가의 수용가 사용자 인원, 수도 사용 시간대를 포함하는 입력정보에 의한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학습하여 학습된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생성한 후 상기 수도 사용 패턴 DB에 저장하는 수도 사용 패턴 생성부; 및 수용가별로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과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의 설정 서비스에 따른 수도 및 수용가 사용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긴급상황이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여 긴급상황 발생 시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수용가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가 등록부는, 상기 GUI 제공부를 통해 수용가 사용자 등록 수단을 수용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부로 제공하고 상기 수용가 사용자 등록 수단을 통해 수용가 식별정보, 등록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등록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수용가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용가정보 DB에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설정 수단을 사용자 단말부로 제공하여 상기 서비스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용가정보 DB에 저장하는 수용가 사용자 등록부; 및 상기 GUI 제공부를 통해 상기 수용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부로 수용가 위치 등록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수용가 위치 등록 수단을 통해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용가의 수용가정보에 포함하여 상기 수용가정보 DB에 저장하는 수용가 위치 등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는, 상기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와이파이 맥(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는,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의 맥어드레스 및 IP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수집부는, 상기 수도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실시간 수도 사용량을 포함하는 수도 관리정보를 수집하는 수도 관리정보 수집부; 및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어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신받아 수용가의 사용자정보로서 수집하는 수용가 사용자 정보 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가 모니터링부는,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에 누수 모니터링 서비스 설정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수용가별로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과 수도 사용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수용가에 누수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누수가 발생되면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인 상기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긴급상황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수 공급 모니터링부; 및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에 수용가 사용자 위기상황 모니터링 서비스 설정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과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을 비교하여, 수용가 사용자에 대한 위기상황이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수용가 사용자에 대한 위기상황 발생 시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3자인 관리자에게 위기상황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위기 상황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가 위치 등록부는,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어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실시간 획득하고, 획득된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가 상기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인지를 판단하고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아니면 접속 빈도 및 기간에 따라 등록 대상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로 확정하고, 확정된 등록 대상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상기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상기 수용가 사용자의 인가를 받아 새로운 수용가 사용자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 공급 모니터링부는,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에 누수 모니터링 서비스 설정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수용가별로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과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비교하여 수용가 사용자 인원에 따른 실시간 수도 사용량이 상기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 사용량보다 큰지를 판단하고, 크면 상기 수용가에 누수의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여 누수 가능성 횟수를 카운트하고, 연속적으로 누수 가능성 횟수가 증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횟수를 초과하면 누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인 상기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긴급상황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 저장부는, 다년 기간의 계절별 기상정보 및 실시간 기상정보를 저장하는 기상정보 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수집부는, 기상 시스템으로부터 다년 기간의 계절별 기상정보 및 실시간 기상정보 수집하여 상기 기상정보 DB에 저장하는 기상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도 사용 패턴 생성부는, 상기 계절별 기상정보를 더 반영하여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학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기 상황 모니터링부는,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에 수용가 사용자 위기상황 모니터링 서비스 설정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과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을 비교하여,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의 사용 시간대에 수용가 사용자가 수도를 사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수용가 사용자가 수도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수도 미사용 횟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되는 수도 미사용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회수를 초과하는지를 검사하여 초과하는 경우 수용가 사용자에게 위기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파단하여,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3자인 관리자에게 위기상황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기상황 모니터링부는, 상기 수용가의 수도가 사용 중인 경우, 상기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에 따른 사용인지, 지속적인 수도 사용인지를 검사하여, 지속적인 수도 사용인 경우 위기상황 관리 대상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위기상황 문의 메시지를 발송하고, 상기 위기상황 관리 대상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위기상황임을 알리는 응답이 수신되거나 일정 시간 내에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긴급상황 통지 대상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위기상황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은: 수용가들로 공급되는 수돗물에 대한 수용가별 실시간 수질 및 수도 사용량을 측정하여 상기 실시간 수질 및 수도 사용량을 포함하는 수도 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여 관리하며, 요청에 의해 또는 주기적으로 상기 수도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수도 관리 시스템; 맥어드레스 및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가지는 모바일 단말기; 수용가의 내부에 설치되어 접속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 중 미리 설정된 기준 세기 이상의 신호세기를 가지는 모바일 단말기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수용가에 대한 수용가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여 등록하고, 상기 수도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용가별 수도 사용량을 포함하는 수도 관리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상기 실시간 수집되어 누적되는 수용가별 수도 사용량 정보, 해당 수용가의 수용가 사용자 인원, 수도 사용 시간대를 포함하는 입력정보를 학습하여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생성하여 저장한 후,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검출되는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에 의해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을 식별하고, 식별된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과 수도 사용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수용가에서 수도 및 수용가 사용자에 대한 긴급상황이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긴급상황 발생 시 관리자자에게 통지하는 수용가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은: 서버 제어부가 수용가 등록부를 통해 수용가 식별정보, 등록 수용가 사용자 인원, 등록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 및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수용가정보 및 긴급상황 알림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용가정보 DB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수용가 등록 과정; 상기 서버 제어부가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도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실시간 수도 사용량을 포함하는 수도 관리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수용가의 사용자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과정; 상기 서버 제어부가 수도 사용 패턴 생성부를 통해 상기 실시간 수집되어 누적되는 수용가별 수도 사용량 정보, 해당 수용가의 수용가 사용자 인원, 수도 사용 시간대를 포함하는 입력정보에 의한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학습하여 학습된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생성한 후 상기 수도 사용 패턴 DB에 저장하는 수도 사용 패턴 생성 과정; 및 상기 서버 제어부가 수용가 모니터링부를 통해 수용가별로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과 수도 사용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의 설정 서비스에 따른 수도 및 수용가 사용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긴급상황이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여 긴급상황 발생 시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수용가 모니터링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가 등록부 과정은, 상기 서버 제어부가 수용가 등록부의 제어에 따른 GUI 제공부를 통해 수용가 사용자 등록 수단을 수용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부로 제공하고 상기 수용가 사용자 등록 수단을 통해 수용가 식별정보, 등록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등록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수용가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용가정보 DB에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설정 수단을 사용자 단말부로 제공하여 상기 서비스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용가정보 DB에 저장하는 수용가 사용자 등록 단계; 및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GUI 제공부를 통해 상기 수용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부로 수용가 위치 등록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수용가 위치 등록 수단을 통해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용가의 수용가정보에 포함하여 상기 수용가정보 DB에 저장하는 수용가 위치 등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는, 상기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와이파이 맥(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는,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의 맥어드레스 및 IP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수집 과정은,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상기 수도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실시간 수도 사용량을 포함하는 수도 관리정보를 수집하는 수도 관리정보 수집 단계; 및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어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신받아 수용가의 사용자정보로서 수집하는 수용가 사용자 정보 수집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가 모니터링 과정은,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에 누수 모니터링 서비스 설정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수용가별로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과 수도 사용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수용가에 누수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누수가 발생되면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인 상기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긴급상황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수 공급 모니터링 단계; 및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에 수용가 사용자 위기상황 모니터링 서비스 설정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과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을 비교하여, 수용가 사용자에 대한 위기상황이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수용가 사용자에 대한 위기상황 발생 시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3자인 관리자에게 위기상황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위기 상황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가 위치 등록 단계는,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어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실시간 획득하고, 획득된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가 상기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인지를 판단하고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아니면 접속 빈도 및 기간에 따라 등록 대상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로 확정하고, 확정된 등록 대상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상기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상기 수용가 사용자의 인가를 받아 새로운 수용가 사용자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 공급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에 누수 모니터링 서비스 설정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수용가별로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과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비교하여 수용가 사용자 인원에 따른 실시간 수도 사용량이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 사용량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수도 사용량 증가 판단 단계; 상기 서버 제어부가 실시간 수도 사용량이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의 사용량보다 크면 상기 수용가에 누수의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여 누수 가능성 횟수를 카운트하는 누수 가능성 횟수 카운트 단계; 상기 서버 제어부가 연속적으로 상기 누수 가능성 횟수가 증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횟수를 초과하면 누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누수 판단 단계; 및 상기 서버 제어부가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인 상기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긴급상황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누수 통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수집 과정은, 상기 서버 제어부가 기상 시스템으로부터 다년 기간의 계절별 기상정보 및 실시간 기상정보 수집하여 상기 기상정보 DB에 저장하는 기상정보 수집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도 사용 패턴 생성 단계에서,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계절별 기상정보를 더 반영하여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학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기 상황 모니터링 단계는, 서버 제어부가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에 수용가 사용자 위기상황 모니터링 서비스 설정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과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을 비교하여,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의 사용 시간대에 수용가 사용자가 수도를 사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수도 사용 모니터링 단계; 상기 서버 제어부가 수용가 사용자가 수도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수도 미사용 횟수를 카운트하는 수도 미사용 횟수 카운트 단계; 상기 서버 제어부가 카운트되는 수도 미사용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회수를 초과하는지를 검사하여 초과하는 경우 수용가 사용자에게 위기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파단하는 위기상황 판단 단계; 및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3자인 관리자에게 위기상황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기상황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수용가의 수도가 사용 중인 경우, 상기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에 따른 사용인지, 지속적인 수도 사용인지를 검사하는 수도 사용 패턴 검사 단계; 상기 서버 제어부가 지속적인 수도 사용인 경우 위기상황 관리 대상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위기상황 문의 메시지를 발송하는 위기상황 문의 단계;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위기상황 관리 대상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위기상황임을 알리는 응답이 수신되거나 일정 시간 내에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응답 모니터링 단계; 및 상기 서버 제어부가 위기상황 응답이 수신되거나 일정 시간 내에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긴급상황 통지 대상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위기상황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긴급상황 통지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서버 제어부가 수용가 등록부를 통해 수용가 식별정보, 등록 수용가 사용자 인원, 등록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 및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수용가정보 및 긴급상황 알림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용가정보 DB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수용가 등록 과정; 상기 서버 제어부가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도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실시간 수도 사용량을 포함하는 수도 관리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수용가의 사용자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과정; 상기 서버 제어부가 수도 사용 패턴 생성부를 통해 상기 실시간 수집되어 누적되는 수용가별 수도 사용량 정보, 해당 수용가의 수용가 사용자 인원, 수도 사용 시간대를 포함하는 입력정보에 의한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학습하여 학습된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생성한 후 상기 수도 사용 패턴 DB에 저장하는 수도 사용 패턴 생성 과정; 및 상기 서버 제어부가 수용가 모니터링부를 통해 수용가별로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과 수도 사용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의 설정 서비스에 따른 수도 및 수용가 사용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긴급상황이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여 긴급상황 발생 시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수용가 모니터링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도 관리 시스템을 통해 수용가별로 실시간 수도 사용량 및 수질정보를 획득하여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자신이 사용하는 수도의 수질 및 사용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수돗물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수도 사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가별로 누수가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누수 감지 시 빠르게 수용가의 사용자, 수용가 사용자 인원, 수도 관리자 등의 관리자에게 빠르게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수돗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P를 이용하여 수용가에 현재 위치한, 즉 수용가에 살고 있는 수용가 사용자의 수를 반영한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학습하고, 학습된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에 의해 수돗물의 누수를 판단하므로 보다 정확하게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절 및 온도 등의 기상 상태별로 수용가별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학습하고, 기상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 획득되는 현재의 날씨를 반영하여 수돗물의 누수를 판단하므로 보다 정확하게 수돗물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의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 중 정보 수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용가 긴급 상황 모니터링 방법의 정보 수집 방법 중 수용가 사용자 정보 수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 중 누수 관리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 중 누수 관리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 중 수용가 사용자의 위기상황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 중 수용가 사용자의 위기상황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되는 긴급상황 문의 메시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고, 상기 장치 및 시스템에서의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은 수용가(이하 "수용가"라 함)(10)에 설치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11),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 수도 관리 시스템(30) 및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40)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기상 시스템(50)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액세스 포인트(11), 모바일 단말기(10), 수도 관리 시스템(30), 수용가 위기상황 모니터링 장치(40) 및 기상 시스템(50)은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에 유선 및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은 와이파이(WiFi)망 및 로컬망(Local Area Network: LAN)을 포함하는 인터넷망, 3세대(3 Generation: 3G), 4G, 5G 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등 중 어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통신망일 수 있을 것이다.
수용가(10)에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사용자("수용가 사용자"라 함)가 살고 있으며, 수용가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20)를 소지하고 있을 것이다.
모바일 단말기(20)는 고유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의 와이파이망을 형성하는 액세스 포인트(11) 및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의 이동통신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40)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는 이동전화번호(이하 "전화번호"라 함) 및 맥어드레스(MAC Address), 기기고유식별번호, 인터넷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주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전화번호, 맥어드레스 및 IP 주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모바일 단말기(20)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 관리 서비스, 긴급상황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또는 "앱"이라 함)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 수용가로 공급되는 수, 즉 수돗물의 수질, 실시간 사용량, 실시간 수도세 등을 확인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위기상황 문의 메시지 및 위기상황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위기상황 문의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을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40)로 전송 할 것이다.
액세스 포인트(11)는 수용가(10) 내에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모바일 단말기(2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에 접속한 장치 간에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액세스 포인트(11)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의 시스템(미도시)에 의해 할당되는 IP 주소를 가지며, 수신 감도에 따라 접속하는 모바일 단말기(20)에 IP 주소를 할당하여 액세스 포인트(11)에 접속한 모바일 단말기(20)가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을 통해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액세스 포인트(11)는 접속한 모바일 단말기(20)의 맥 어드레스를 검출하여 관리한다.
액세스 포인트(11)는 본 발명에 따라 설치된 수용가(10)에 대해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40)에 등록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이 경우, 액세스 포인트(11)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40)의 요청 시 또는 주기적으로 검출된 모바일 단말기(20)의 맥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장치(40)로 전송한다.
이때 액세스 포인트(11)에는 수용가(10)에 인접한 다른 수용가의 수용가 사용자가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기(20)가 접속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수용가 외부의 모바일 단말기(20)의 맥어드레스가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40)로 전송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11)는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신호세기(RSSI)가 일정 기준세기 이상인 모바일 단말기(20)를 해당 수용가(10)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20)의 맥어드레스를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4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수도 관리 시스템(30)은 다수의 지역에 구성되는 수도 관망의 노드, 절점에서 수질, 수압을 측정하여 관리하고, 특히 수용가로 진입하는 노드에서 실시간 수도 사용량을 측정하여 관리하고, 수용가 단위로 수질을 측정하여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수도 관리 시스템(30)은 다년간의 계절 및 수용가별로 수도 사용량을 포함하는 수도 관리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수도 관리 시스템(30)은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40)로 다년간의 계절 및 수용가별 수도 사용량 정보를 제공하고, 수용가별 실시간 수도용량 및 수질정보를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40)로 제공한다.
기상 시스템(50)은 다년간의 계절별, 월별, 주간별, 일별 등으로 날씨, 온도, 습도 등을 포함하는 기상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실시간 날씨, 온도, 습도 등을 측정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상 시스템(50)은 최초 다년간의 계절별, 월별, 주간별, 일별 등의 기상정보를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40)로 제공하고, 실시간 측정되는 날씨, 온도, 습도 등의 기상정보를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40)로 제공한다.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40)는 수용가 사용자들로부터 직접 또는 관리자로부터 수용가(10)에 살고 있는 수용가 사용자 인원, 수용가 사용자가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기(20)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 액세스 포인트(11)의 AP 식별정보 등을 포함하는 수용가 등록정보를 저장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긴급상황 모니터링 서비스 대상 수용가 및 대상자로 등록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는 전화번호 및 맥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실시예에 따라 IP 주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AP 식별정보는 서비스 셋 식별정보(Service Set Identifier: SSID), AP 맥어드레스, AP의 IP 주소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40)는 등록된 수용가(10)에 대해 상기 수도 관리 시스템(30)으로부터 수용가별 수도 사용량을 포함하는 수도 관리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상기 실시간 수집되어 누적되는 수용가별 수도 사용량 정보, 해당 수용가의 수용가 사용자, 수용가 사용자 인원, 수도 사용 시간대를 포함하는 입력정보를 학습하여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생성하여 저장한 후, 상기 액세스 포인트(11)를 통해 검출되는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에 의해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을 식별하고, 식별된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과 수도 사용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수용가에서 수도 및 수용가 사용자에 대한 긴급상황이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긴급상황 발생 시 관리자에게 통지한다. 상기 관리자는 해당 수용가(10)의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 중 한 사람일 수도 있고, 수용가 사용자 중 긴급상황 관리 대상자일 수도 있으며, 제3자일 수도 있을 것이다. 통지는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20)로 이동통신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팝업메시지, 인스턴트 메시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은 수용가(10)에 사는 수용가 사용자별로 생성될 수도 있고, 전체 수용가 사용자 인원에 대해 생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은 다음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의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40)는 서버 저장부(110), 서버 통신부(120) 및 서버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서버 저장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 및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영역에는 본 발명에 따라 수도 관리정보 DB(111), 수용가정보 DB(112), 수도 사용 패턴 DB(113) 및 기상정보 DB(114)가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수도 관리 정보 DB(111)는 수용가 식별정보에 의해 구분되는 수용가별 수도 사용량을 포함하는 수도 관리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수도 관리 정보 DB(111)는 다년간의 계절별, 월별, 주별, 월별, 시간별 수도 사용량 정보를 지역별, 수용가별 등으로 구분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
수용가정보 DB(112)는 수용가 식별정보, 등록 수용가 사용자 인원, 등록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 누수, 위기상황 등의 긴급상황을 통지할 관리자 정보를 포함하는 수용가별 수용가정보를 저장한다.
수도 사용 패턴 DB(113)는 수용가별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저장한다. 상기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가(10)의 수용가 사용자별 수도 사용 패턴 및 수용가 사용자 전체에 대한 수도 사용 패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기상정보 DB(114)는 지역별로 다년간의 계절별, 월별, 주별, 일별, 시간별 날씨, 온도, 습도 등의 기상정보를 저장하고, 실시간 날씨, 온도, 습도 등을 포함하는 기상정보를 저장한다.
서버 통신부(120)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에 접속하여, 서버 제어부(130)가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에 접속해 있는 액세스 포인트(11), 모바일 단말기(20), 수도 관리 시스템(30), 기상 시스템(50) 등과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서버 제어부(130)는 수용가 등록부(140), 정보 수집부(150), GUI 제공부(160), 수도 사용 패턴 생성부(170), 서비스 정보 제공부(180) 및 수용가 모니터링부(190)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용가 등록부(140)는 수용가 사용자 등록부(141) 및 수용가 위치 등록부(142)를 포함하여, 수용가 식별정보, 등록 수용가 사용자 인원, 등록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 관리자정보,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 등을 포함하는 상기 수용가정보 및 긴급상황 알림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용가정보 DB(112)에 저장하여 등록한다. 상기 수용가 식별정보는 수도전 번호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수용가정보는 수용가의 주소, 수용가 사용자 이름 등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수용가 사용자 등록부(141)는 후술할 GUI 제공부(160)를 통해 수용가 사용자 등록 수단을 수용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부(모바일 단말기(20) 및 컴퓨터 단말기(미도시))로 제공하고 상기 수용가 사용자 등록 수단을 통해 수용가 식별정보, 등록 수용가 사용자 인원, 등록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 등을 포함하는 상기 수용가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용가정보 DB(112)에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설정 수단을 사용자 단말부로 제공하여 관리자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서비스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용가정보 DB(112)에 저장한다.
상기 수용가 위치 등록부(142)는 GUI 제공부(160)를 통해 상기 수용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부로 수용가 위치 등록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수용가 위치 등록 수단을 통해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용가의 수용가정보에 포함하여 상기 수용가정보 DB(112)에 저장한다.
정보 수집부(150)는 수도 관리정보 수집부(151), 수용가 사용자 정보 수집부(152) 및 기상정보 수집부(153)를 포함한다.
상기 수도 관리정보 수집부(151)는 상기 수도 관리 시스템(30)으로부터 상기 실시간 수도 사용량 및 수질을 포함하는 수도 관리정보를 수집하여 수도 관리정보 DB(111)에 저장한다.
수용가 사용자 정보 수집부(152)는 상기 서버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11)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11)에 접속되어 있는 모바일 단말기(20)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신받아 수용가의 사용자정보로서 수용가정보 DB(112)에 저장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맥어드레스 및 IP 주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기상정보 수집부(153)는 초기 기상 시스템(50)으로부터 다년간의 년별, 계절별, 월별, 주별, 일별, 시간별로 날씨, 온도, 습도 등의 기상정보를 수집하여 기상정보 DB(114)에 저장하고, 이후 실시간 기상정보를 수집하여 기상정보 DB(114)에 저장한다.
GUI 제공부(160)는 서비스 설정 GUI 제공부(161) 및 서비스 GUI 제공부(162)를 포함하고, 수용가 등록부(140) 및 서비스 정보 제공부(180) 등과 연동하여 해당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입력받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수단을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 또는 수용가 사용자의 컴퓨터 단말기(미도시)로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 설정 GUI 제공부(161)는 상기 수용가 사용자 등록부(141)와 연동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긴급상황 모니터링 서비스의 누수 모니터링 서비스 및 위기상황 모니터링 서비스의 사용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서비스 설정 수단을 제공한다.
서비스 GUI 제공부(162)는 상기 수용가 등록부(140)와 연동하여 수용가정보, 액세스 포인트 등록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수용가정보 등록 수단을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 및 컴퓨터 단말기(미도시)로 제공한다.
수도 사용 패턴 생성부(170)는 이전 다년간의 수용가별 수도 사용량 정보, 상기 실시간 수집되어 누적되는 수용가별 수도 사용량 정보, 해당 수용가의 수용가 사용자, 수용가 사용자 인원, 수도 사용 시간대를 포함하는 입력정보에 의한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학습하여 학습된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생성한 후 상기 수도 사용 패턴 DB(113)에 저장한다.
서비스 정보 제공부(180)는 상기 GUI 제공부(160)와 연동하여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발생되는 요청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20)로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 정보는 해당 수용가의 수질정보, 실시간 수도 사용량, 일간, 주간, 월간, 년간 수도 사용량, 수도세 등의 정보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수용가 모니터링부(190)는 수 공급 모니터링부(190) 및 위급상황 모니터링부(192)를 포함하고, 수용가별로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과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의 설정 서비스에 따른 수도 및 수용가 사용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긴급상황이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여 긴급상황 발생 시 상기 서버 통신부(120)를 통해 미리 설정된 관리자에게 통지한다.
상기 수 공급 모니터링부(191)는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에 누수 모니터링 서비스 설정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수용가별로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과 수도 사용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수용가에 누수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누수가 발생되면 상기 서버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인 상기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20)로 긴급상황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위기상황 모니터링부(192)는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에 수용가 사용자 위기상황 모니터링 서비스 설정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과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을 비교하여, 수용가 사용자에 대한 위기상황이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수용가 사용자에 대한 위기상황 발생 시 상기 서버 통신부(12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3자인 관리자에게 위기상황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제3자는 위기상황 관리 대상자가 사는 수용가(10)에 같이 살고 있지 않은 지인, 친척 등이 될 수 있으며, 수용가(10)의 상기 위기상황 관리 대상자가 아닌 다른 수용가 사용자일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서버 제어부(130)는 수용가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단말부(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 및 컴퓨터 단말기(미도시))를 통해 서비스 요청, 또는 수용가 등록 요청 발생 시 상기 사용자 단말부로 수용가정보 등록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수용가정보 등록 수단을 통해 수용가정보를 획득하여 수용가정보 DB(112)에 저장하여 해당 수용가를 서비스 대상으로 등록한다(S111).
상기 수용가가 등록이 되면 서버 제어부(130)는 등록된 수용가에 대해 수용가 서비스 설정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S113).
임의의 수용가(10)의 사용자 단말부로부터 수용가 서비스 설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서버 제어부(130)는 상기 사용자 단말부로 수용가 서비스 설정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 설정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서비스 설정정보를 수용가정보 DB(112)에 저장하여 서비스 설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긴급상황 모니터링 서비스는 누수 모니터링 서비스 및 위기상황 모니터링 서비스를 포함하며, 각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설정 여부정보를 수용가정보 DB(112)에 저장한다.
누수 모니터링 서비스의 설정 시 상기 서비스정보는 누수 모니터링 서비스 설정정보를 포함하고, 위기상황 모니터링 서비스 설정 시 상기 서비스정보는 위기상황 모니터링 서비스 설정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위기상황 모니터링 서비스 설정정보에는 위기상황 관리 대상자에 대한 위기상황 관리 대상자정보 및 관리자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위기상황 관리 대상자정보는 위기상황 관리 대상자의 이름, 모바일 단말기(20)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 등이 포함될 것이다. 상기 관리자 정보는 위기상황 발생 시 연락할 지인인 제3자의 이름, 모바일 단말기(20)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서비스 설정이 완료되면 서버 제어부(130)는 서비스 가입 수용가에 대한 이전 수도 관리 정보를 획득하고, 수도 관리 정보의 수도 사용량, 수용가 사용자 인원, 수도 사용 시간대 등을 입력정보로 하여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학습하고, 학습된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생성하여 수도 사용 패턴 DB(113)에 저장한다(S117).
만일, 이전 정보가 부족하거나 없으면 서버 제어부(130)는 수용가 사용자 인원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임시 수도 사용 패턴을 적용하여 수행하고, 이후 실시간 수집되는 수도 관리 정보를 누적하여 상기 임시 수도 사용 패턴을 갱신하거나 일정 시간 해당 수용가의 수도 관리정보를 누적한 후 누적 정보에 의해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이 생성되면 서버 제어부(130)는 액세스 포인트(11), 수도 관리 시스템(30) 및 기상 시스템(50)으로부터 실시간 수도 사용량을 포함하는 수도 관리정보, 기상정보 및 수용가별 액세스 포인트(11)에 접속한 모바일 단말기(20)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집한다(S119).
정보가 수집되기 시작하면 서버 제어부(130)는 수용가별로 서비스 설정정보를 검사하여 누수 모니터링 서비스가 설정되어 있는지, 위기상황 모니터링 서비스가 설정되어 있는지, 두 서비스 모두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하고(S121, S123, S125, S127), 누수 모니터링 서비스가 설정되어 있으면 누수 모니터링 서비스를 개시하고(S129), 위기상황 모니터링 서비스가 설정되어 있으면 위기상황 모니터링 서비스를 개시하며(S131), 두 서비스가 모두 설정되어 있으면 두 서비스 모두 개시한다(S133).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 중 정보 수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버 제어부(130)는 정보 수집부(150)의 수도 관리정보 수집부(151)를 통해 수도 관리 시스템(30)으로부터 수도 관리 정보를 수집하여 수도 관리정보 DB(111)에 저장한다.
서버 제어부(130)는 또한, 정보 수집부(150)의 수용가 사용자 정보 수집부(152)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11)에 접속한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용가 사용자 정보로서 수집한다(S213).
서버 제어부(130)는 정보 수집부(150)의 기상정보 수집부(153)를 통해 기상 시스템(50)으로부터 기상정보를 수집하여 기상정보 DB(114)에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용가 긴급 상황 모니터링 방법의 정보 수집 방법 중 수용가 사용자 정보 수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수용가 사용자 정보 수집 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서버 제어부(130)에 포함되는 정보 수집부(150)의 수용가 사용자 정보 수집부(152)는 수용가의 액세스 포인트(11)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11)에 접속한 모바일 단말기(20) 중 미리 설정된 세기(수신신호전계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이상의 수신신호를 송신하는 모바일 단말기(20)가 검출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S311). 다시 설명하면, 서버 제어부(130)는 상기 일정 세기 이상의 수신신호를 송신하는 모바일 단말기(20)를 수용가에 위치하는 모바일 단말기(20)로 간주하고 해당 모바일 단말기(20)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획득한다.
모바일 단말기가 검출되면 서버 제어부(130)는 검출된 모바일 단말기(20)가 수용가정보 DB(112)에 등록된 해당 수용가의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인지를 판단한다(S313).
검출된 모바일 단말기(20)가 해당 수용가에 대해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이면 서버 제어부(130)는 접속 로그를 서버 저장부(110)에 저장한다(S319).
반면,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가 아니면 서버 제어부(130)는 저장된 접속 로그 정보를 검사하여, 상기 검출된 모바일 단말기(20)가 일정 기간 이상 지속적으로 검출된 모바일 단말기인지를 판단한다(S315).
일정 기간 이상 지속적으로 검출된 단말기이면 서버 제어부(130)는 새로운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로 등록한다(S317).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버 제어부(130)는 일정 기간 이상 지속적으로 검출된 단말기이면 수용가 사용자로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20)로 상기 검출된 모바일 단말기(20)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등록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등록 수락 시 상기 검출된 모바일 단말기(20)를 해당 수용가의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로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수용가의 AP를 통한 모바일 단말기가 검출되지 않으면 서버 제어부(130)는 접속 로그 정보를 검사하여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 중 일정 기간 이상 검출되지 않는 모바일 단말기(20)가 있는지를 검사하고(S321), 일정 기간 이상 검출되지 않는 모바일 단말기(20)가 있으면 등록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수용가 사용자 확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323). 이때, 상기 수용가 사용자 확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수용가 사용자는 상기 일정기간 검출되지 않는 모바일 단말기(20)를 사용하는 수용가 사용자일 수도 있고, 다른 수용가 사용자일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 중 누수 관리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버 제어부(130)에 구성되는 수용가 모니터링부(170)의 수 공급 모니터링부(191)는 서버 통신부(120)를 통해 수도 관리 시스템(30)으로부터 실시간 수용가 수도 사용량을 포함하는 수도 관리 정보를 획득한다(S411).
수도 관리 정보가 획득되면 수 공급 모니터링부(191)는 수도가 사용 중인지를 판단하고(S413), 수도가 사용 중이면 학습된 해당 수용가의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로드하여(S415), 현재 수도 사용 시간대가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의 수도 사용 시간대인지를 판단한다(S417).
현재 수도 사용 시간대가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의 시간대이면 수 공급 모니터링부(191)는 현재 사용하는 시간대의 실시간 수도 사용량이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 해당 시간대의 사용량보다 증가했는지를 판단한다(S419). 이때의 증가량은 미리 설정된 기준 증가량보다 큰 경우 증가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량보다 더 많은 물이 사용되는 경우, 수 공급 모니터링부(191)는 상술한 도 5의 S317에서와 같이 수용가 사용자가 증가했는지를 판단한다(S421).
수용가 사용자가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수 공급 모니터링부(191)는 누수 가능성 횟수(초기값은 0)를 1증가시킨다.
초기값을 1증가시킨 후, 수 공급 모니터링부(191)는 카운트되는 누수 가능성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횟수를 초과하는지를 검사한다(S425).
누수 가능성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횟수를 초과하지 않으면 수 공급 모니터링부(191)는 상술한 S411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그러나 누수 가능성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횟수를 초과하면 수 공급 모니터링부(191)는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누수 가능성 알림 메시지인 긴급상황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한 명 이상의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로 전송하고, 누수 가능성 횟수를 초기화한다(S437). 상기 누수 가능성 횟수는 누수 가능성 횟수가 일정 시간 이상 증가하지 않거나 실시간 수도 사용량의 해당 시간대 누적 사용량이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의 해당 시간대의 사용량보다 작아지는 경우 초기화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반면, 현재의 수도 사용 시간대가 수용가 수도 사용 패턴의 수도 사용 시간대가 아니면 수 공급 모니터링부(191)는 수도 사용 여부 확인 요청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로 전송하고(S431), 해당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응답이 수신되고(S433), 수도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리는 사용 응답이면 종료하고 사용 중이지 않음을 알리는 미사용 응답이면 상기 S437 단계로 진행하여 누수 가능성 알림 메시지를 상기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로. 수 공급 모니터링부(191)는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의 수도 사용 시간대가 아니면 시간외 수도 사용 횟수를 1 증가하여 카운트하고(S427), 카운트된 시간외 수도 사용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횟수보다 큰지를 판단하여(S429) 큰 경우 상술한 S431 이후의 과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시간외 수도 사용 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지 않으면 수 공급 모니터링부(191)는 상술한 S411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 중 누수 관리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 계절별 온도를 반영한 누수 관리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과 동일한 과정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적용하였으면, 실시예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만 설명한다.
수 공급 모니터링부(191)는 수도 관리 시스템(30)으로부터 실시간 수도 관리 정보를 수집하고, 기상 시스템(50)으로부터 실시간 기상정보를 수집한다(S451).
수 공급 모니터링부(191)는 수도 관리 정보 및 계절별 기상정보를 반영하여 계절별 온도에 따른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생성할 것이다.
수 공급 모니터링부(191)는 실시간 수신되는 수도 관리 정보에 의해 수도가 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계절별 온도가 반영된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로드한다(S453).
상기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이 로드되면 수 공급 모니터링부(191)는 실시간 측정되는 실시간 수도 사용량을 포함하는 수도 관리 정보 및 현재의 기상정보와 상기 계절별 온도가 반영된 계절별 온도에 따른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비교하여 수도 사용량이 증가했는지를 판단한다(S455).
이 그 외의 동작은 상기 도 6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 중 수용가 사용자의 위기상황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되는 긴급상황 문의 메시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서버 제어부(130)에 구성되는 수용가 모니터링부(190)의 위급상황 모니터링부(192)는 수도 관리 시스템(30)으로부터 실시간 수용가 수도 관리정보를 획득한다(S511).
실시간 수용가 수도 관리 정보가 획득되면 위급상황 모니터링부(192)는 획득되는 실시간 수용가의 수도 관리정보의 수도 사용량을 검사하여 수도를 사용하고 있는 중인지를 판단한다(S513).
수용가 사용자가 수도를 사용하고 있으면 위급상황 모니터링부(192)는 상기 수용가의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에 대응하는 사용인지를 판단한다(S517).
위급상황 모니터링부(192)는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의 사용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위기상황 관리 대상자가 안전한 것으로 판단하여 종료하고,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의 사용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의 사용 시간 대 이외에도 지속적으로 수도가 사용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S519).
상기 위급상황 모니터링부(192)는 수용가 사용자 수도 패턴의 사용은 아닐지라도 수도가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아니면 누군가는 수용가 내에서 수도를 사용하고 잠그는 동작을 하고 있는 것이므로 위기상황 관리 대상자는 안전한 것으로 판단하여 종료한다.
그러나 수도가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면, 위급상황 모니터링부(192)는 미리 설정된 위기상황 관리 대상자의 모바일 단말기(20)로 도 10과 같은 위기상황 문의 메시지를 발송한다(S521).
위급상황 모니터링부(192)는 상기 위기상황 문의 메시지를 상기 수용가의 위기상황 관리 대상자의 모바일 단말기(20)로 발송한 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도 10의 위기상황 버튼 및 안전상황 버튼("위기상황 아닙니다" 버튼) 중 어느 하나의 눌림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S523).
응답이 수신되면 위기상황 모니터링부(192)는 응답이 위기상황 버튼의 눌림에 의한 위기상황 응답인지, 안전상황 버튼 눌림에 의한 안전상황인지를 판단한다(S524).
안전상황이면 위기상황 모니터링부(192)는 상술한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위기상황이면 미리 설정된 위기상황 통지 대상자의 모바일 단말기(20)로 위기상황 통지 메시지를 발송한다(S525).
그리고 위기상황 모니터링부(192)는 상기 위기상황 문의 메시지의 발송에 대해 일정 시간 내에 응답이 없으면 위기상황으로 판단하여 상기 위기상황 통지 메시지를 상기 위기상황 통지 대상자의 모바일 단말기(20)로 전송한다.
반면, 수도가 사용 중이지 않으면(S513) 위기상황 모니터링부(192)는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의 사용 시간대인지를 판단한다(S515). 즉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의 수도 사용 시간대임에도 불구하고 수도가 사용되고 있지 않은지를 판단한다.
수도가 사용되고 있지 않으면 위기상황 모니터링부(192)는 수용가 사용자 수도 미사용 횟수를 카운트한다(S527).
수용가 사용자 수도 미사용 횟수가 카운트되면 위기상황 모니터링부(192)는 상기 카운트되는 수용가 사용자 수도 미사용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횟수를 초과하는지를 모니터링한다(S529).
카운트되는 수용가 사용자 수도 미사용 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면 위기상황 모니터링부(192)는 미리 설정된 위기상황 관리 대상자의 모바일 단말기(20)로 위기상황 문의 메시지를 발송하고(S531), 상기 위기상황 관리 대상자의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응답이 수신되는지(S533)를 검사한다.
응답이 수신되면 위기상황 모니터링부(192)는 상기 응답이 위기상황 응답인지 안전상황 응답인지를 판단하고(S534), 안전상황이면 종료하고, 위기상황이거나 일정 시간 이상 응답이 없으면 기준횟수 초과 일수를 일 단위로 카운트하고 카운트되는 기준횟수 초과 일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일 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S535).
기준횟수 초과 일수가 기준일 수를 초과하면 위기상황 모니터링부(192)는 미리 설정된 위기상황 통지 대상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위기상황 통지 메시지를 발송한다(S537).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 중 수용가 사용자의 위기상황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위기상황 모니터링부(192)는 상술한 도 5의 S511 내지 S517과 동일한 S611 내지 S615를 수행하여 현재 실시간 사용하고 있는 수도 사용량의 수도 사용 시간대가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의 사용 시간대인지를 판단한다.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의 시간대이면 위기상황 모니터링부(192)는 수용가 사용자 수도 미사용 횟수를 카운트한다(S617).
수용가 사용자 수도 미사용 횟수가 카운트되면 위기상황 모니터링부(192)는 카운트되는 수용가 사용자 수도 미사용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횟수를 초과하는지를 검사한다(S619).
수용가 사용자 수도 미사용 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면 위기상황 모니터링부(192)는 긴급상황 관리 대상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해당 수용가에서 검출되는지를 검사한다(S621).
수용가에서 위기상황 관리 대상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검출되지 않으면 위기상황 모니터링부(192)는 안전한 것으로 판단하여 과정을 종료하고, 위기상황 관리 대상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검출되면 위기상황 관리 대상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위기상황 문의 메시지를 발송한다(S623).
이후의 과정은 상술한 도 8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수용가 11: 액세스 포인트(AP)
20: 수용가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 30: 수도 관리 시스템
40: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장치
50: 기상 시스템 110: 서버 저장부
111: 수도 관리 정보 DB 112: 수용가정보 DB
113: 수도 사용 패턴 DB 114: 기상정보 DB
120: 서버 통신부 130: 서버 제어부
140: 수용가 등록부 141: 수용가 사용자 등록부
142: 수용가 위치 등록부 150: 정보 수집부
151: 수도 관리정보 수집부 152: 수용가 사용자 정보 수집부
153: 기상정보 수집부 160: GUI 제공부
161: 서비스 설정 GUI 제공부 162: 서비스 GUI 제공부
170: 수도 사용 패턴 생성부 180: 서비스 정보 제공부
190: 수용가 모니터링부 191: 수 공급 모니터링부
192: 위급상황 모니터링부

Claims (47)

  1. 수용가 식별정보에 의해 구분되는 수용가별 수도 사용량을 포함하는 수도 관리정보를 저장하는 수도 관리정보 DB, 수용가 식별정보, 등록 수용가 사용자 인원, 등록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 및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수용가별 수용가정보를 저장하는 수용가정보 DB, 및 수용가별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저장하는 수도 사용 패턴 DB를 포함하는 서버 저장부;
    수도 관리 시스템,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및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 통신부; 및
    상기 수용가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용가정보 DB에 저장하여 등록하고,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수도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용가별 수도 사용량을 포함하는 수도 관리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수도 관리정보 DB에 저장하고, 상기 수도 관리정보 DB의 실시간 수집되어 누적되는 상기 수도 관리정보의 상기 수용가별 수도 사용량 정보, 해당 수용가의 수용가 사용자 인원, 수도 사용 시간대를 포함하는 입력정보를 학습하여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생성하여 상기 수도 사용 패턴 DB에 저장한 후, 수용가별로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과 수도 사용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수용가에서 수도 및 수용가 사용자에 대한 긴급상황이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여 긴급상황 발생 시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 제어부는,
    수용가 식별정보, 등록 수용가 사용자 인원, 등록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 및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수용가정보 및 긴급상황 알림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용가정보 DB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수용가 등록부;
    상기 수도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실시간 수도 사용량을 포함하는 수도 관리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수용가의 사용자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수용가 등록부의 제어를 받아 서비스 설정 수단 및 수용가정보 등록 수단을 포함하는 GUI를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GUI 제공부;
    상기 실시간 수집되어 누적되는 수용가별 수도 사용량 정보, 해당 수용가의 수용가 사용자 인원, 수도 사용 시간대를 포함하는 입력정보에 의한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학습하여 학습된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생성한 후 상기 수도 사용 패턴 DB에 저장하는 수도 사용 패턴 생성부; 및
    상기 수용가 식별정보,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 및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가 구비된 수용가별로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을 파악하고, 상기 수용가별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과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의 설정 서비스에 따른 수도 및 수용가 사용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긴급상황이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여 긴급상황 발생 시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수용가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가 등록부는,
    상기 GUI 제공부를 통해 수용가 사용자 등록 수단을 수용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부로 제공하고 상기 수용가 사용자 등록 수단을 통해 수용가 식별정보, 등록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등록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수용가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용가정보 DB에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설정 수단을 사용자 단말부로 제공하여 상기 서비스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용가정보 DB에 저장하는 수용가 사용자 등록부; 및
    상기 GUI 제공부를 통해 상기 수용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부로 수용가 위치 등록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수용가 위치 등록 수단을 통해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용가의 수용가정보에 포함하여 상기 수용가정보 DB에 저장하는 수용가 위치 등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는,
    상기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와이파이 맥(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는,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의 맥어드레스 및 IP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상기 수도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실시간 수도 사용량을 포함하는 수도 관리정보를 수집하는 수도 관리정보 수집부; 및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어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신받아 수용가의 사용자정보로서 수집하는 수용가 사용자 정보 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가 모니터링부는,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에 누수 모니터링 서비스 설정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수용가별로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과 수도 사용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수용가에 누수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누수가 발생되면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인 상기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긴급상황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수 공급 모니터링부; 및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에 수용가 사용자 위기상황 모니터링 서비스 설정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과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을 비교하여, 수용가 사용자에 대한 위기상황이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수용가 사용자에 대한 위기상황 발생 시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3자인 관리자에게 위기상황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위기 상황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가 위치 등록부는,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어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실시간 획득하고, 획득된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가 상기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인지를 판단하고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아니면 접속 빈도 및 기간에 따라 등록 대상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로 확정하고, 확정된 등록 대상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상기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상기 수용가 사용자의 인가를 받아 새로운 수용가 사용자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 공급 모니터링부는,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에 누수 모니터링 서비스 설정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수용가별로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과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비교하여 수용가 사용자 인원에 따른 실시간 수도 사용량이 상기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 사용량보다 큰지를 판단하고,
    크면 상기 수용가에 누수의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여 누수 가능성 횟수를 카운트하고,
    연속적으로 누수 가능성 횟수가 증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횟수를 초과하면 누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인 상기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긴급상황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저장부는,
    다년 기간의 계절별 기상정보 및 실시간 기상정보를 저장하는 기상정보 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수집부는,
    기상 시스템으로부터 다년 기간의 계절별 기상정보 및 실시간 기상정보 수집하여 상기 기상정보 DB에 저장하는 기상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도 사용 패턴 생성부는,
    상기 계절별 기상정보를 더 반영하여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학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기 상황 모니터링부는,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에 수용가 사용자 위기상황 모니터링 서비스 설정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과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을 비교하여,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의 사용 시간대에 수용가 사용자가 수도를 사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수용가 사용자가 수도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수도 미사용 횟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되는 수도 미사용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회수를 초과하는지를 검사하여 초과하는 경우 수용가 사용자에게 위기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파단하여,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3자인 관리자에게 위기상황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기상황 모니터링부는,
    상기 수용가의 수도가 사용 중인 경우, 상기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에 따른 사용인지, 지속적인 수도 사용인지를 검사하여,
    지속적인 수도 사용인 경우 위기상황 관리 대상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위기상황 문의 메시지를 발송하고,
    상기 위기상황 관리 대상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위기상황임을 알리는 응답이 수신되거나 일정 시간 내에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긴급상황 통지 대상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위기상황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13. 수용가들로 공급되는 수돗물에 대한 수용가별 실시간 수질 및 수도 사용량을 측정하여 상기 실시간 수질 및 수도 사용량을 포함하는 수도 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여 관리하며, 요청에 의해 또는 주기적으로 상기 수도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수도 관리 시스템;
    맥어드레스 및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가지는 모바일 단말기;
    수용가의 내부에 설치되어 접속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 중 미리 설정된 기준 세기 이상의 신호세기를 가지는 모바일 단말기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수용가에 대한 수용가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여 등록하고, 상기 수도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용가별 수도 사용량을 포함하는 수도 관리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상기 실시간 수집되어 누적되는 수용가별 수도 사용량 정보, 해당 수용가의 수용가 사용자 인원, 수도 사용 시간대를 포함하는 입력정보를 학습하여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생성하여 저장한 후,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검출되는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 및 수용가별로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에 의해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을 식별하고, 식별된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과 수도 사용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수용가에서 수도 및 수용가 사용자에 대한 긴급상황이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긴급상황 발생 시 관리자자에게 통지하는 수용가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가 모니터링 장치는,
    수용가 식별정보에 의해 구분되는 수용가별 수도 사용량을 포함하는 수도 관리정보를 저장하는 수도 관리정보 DB, 수용가 식별정보, 등록 수용가 사용자 인원, 등록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 및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수용가별 수용가정보를 저장하는 수용가정보 DB, 및 수용가별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저장하는 수도 사용 패턴 DB를 포함하는서버 저장부;
    수도 관리 시스템,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및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 통신부; 및
    상기 수용가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용가정보 DB에 저장하여 등록하고,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수도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용가별 수도 사용량을 포함하는 수도 관리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수도 관리정보 DB에 저장하고, 상기 실시간 수집되어 누적되는 수용가별 수도 사용량 정보, 해당 수용가의 수용가 사용자 인원, 수도 사용 시간대를 포함하는 입력정보를 학습하여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생성하여 상기 수도 사용 패턴 DB에 저장한 후, 수용가별로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과 수도 사용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수용가에서 수도 및 수용가 사용자에 대한 긴급상황이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여 긴급상황 발생 시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 제어부는,
    수용가 식별정보, 등록 수용가 사용자 인원, 등록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 및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수용가정보 및 긴급상황 알림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용가정보 DB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수용가 등록부;
    상기 수도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실시간 수도 사용량을 포함하는 수도 관리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수용가의 사용자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수용가 등록부의 제어를 받아 서비스 설정 수단 및 수용가정보 등록 수단을 포함하는 GUI를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GUI 제공부;
    상기 실시간 수집되어 누적되는 수용가별 수도 사용량 정보, 해당 수용가의 수용가 사용자 인원, 수도 사용 시간대를 포함하는 입력정보에 의한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학습하여 학습된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생성한 후 상기 수도 사용 패턴 DB에 저장하는 수도 사용 패턴 생성부; 및
    상기 수용가 식별정보,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 및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가 구비된 수용가별로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을 파악하고, 상기 수용가별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과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의 설정 서비스에 따른 수도 및 수용가 사용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긴급상황이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여 긴급상황 발생 시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수용가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가 등록부는,
    상기 GUI 제공부를 통해 수용가 사용자 등록 수단을 수용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부로 제공하고 상기 수용가 사용자 등록 수단을 통해 수용가 식별정보, 등록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등록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수용가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용가정보 DB에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설정 수단을 사용자 단말부로 제공하여 상기 서비스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용가정보 DB에 저장하는 수용가 사용자 등록부; 및
    상기 GUI 제공부를 통해 상기 수용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부로 수용가 위치 등록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수용가 위치 등록 수단을 통해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상기 수용가의 수용가정보에 포함하여 상기 수용가정보 DB에 저장하는 수용가 위치 등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는,
    상기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와이파이 맥(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는,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의 맥어드레스 및 IP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상기 수도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실시간 수도 사용량을 포함하는 수도 관리정보를 수집하는 수도 관리정보 수집부; 및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어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신받아 수용가의 사용자정보로서 수집하는 수용가 사용자 정보 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가 모니터링부는,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에 누수 모니터링 서비스 설정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수용가별로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과 수도 사용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수용가에 누수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누수가 발생되면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인 상기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긴급상황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수 공급 모니터링부; 및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에 수용가 사용자 위기상황 모니터링 서비스 설정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과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을 비교하여, 수용가 사용자에 대한 위기상황이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수용가 사용자에 대한 위기상황 발생 시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3자인 관리자에게 위기상황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위기 상황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가 사용자 등록부는,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어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실시간 획득하고, 획득된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가 상기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인지를 판단하고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아니면 접속 빈도 및 기간에 따라 등록 대상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로 확정하고, 확정된 등록 대상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상기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상기 수용가 사용자의 인가를 받아 새로운 수용가 사용자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수 공급 모니터링부는,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에 누수 모니터링 서비스 설정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수용가별로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과 수도 사용 패턴을 비교하여 수용가 사용자 인원에 따른 실시간 수도 사용량이 패턴 사용량보다 큰지를 판단하고,
    크면 상기 수용가에 누수의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여 누수 가능성 횟수를 카운트하고,
    연속적으로 누수 가능성 횟수가 증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횟수를 초과하면 누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인 상기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긴급상황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저장부는,
    다년 기간의 계절별 기상정보 및 실시간 기상정보를 저장하는 기상정보 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수집부는,
    기상 시스템으로부터 다년 기간의 계절별 기상정보 및 실시간 기상정보 수집하여 상기 기상정보 DB에 저장하는 기상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도 사용 패턴 생성부는,
    상기 계절별 기상정보를 더 반영하여 수도 사용 패턴을 학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위기 상황 모니터링부는,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에 수용가 사용자 위기상황 모니터링 서비스 설정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과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을 비교하여,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의 사용 시간대에 수용가 사용자가 수도를 사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수용가 사용자가 수도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수도 미사용 횟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되는 수도 미사용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회수를 초과하는지를 검사하여 초과하는 경우 수용가 사용자에게 위기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파단하여,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3자인 관리자에게 위기상황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위기상황 모니터링부는,
    상기 수용가의 수도가 사용 중인 경우, 상기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에 따른 사용인지, 지속적인 수도 사용인지를 검사하여,
    지속적인 수도 사용인 경우 위기상황 관리 대상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위기상황 문의 메시지를 발송하고,
    상기 위기상황 관리 대상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위기상황임을 알리는 응답이 수신되거나 일정 시간 내에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긴급상황 통지 대상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위기상황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26. 서버 제어부가 수용가 등록부를 통해 수용가 식별정보, 등록 수용가 사용자 인원, 등록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 및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수용가정보 및 긴급상황 알림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수용가정보 DB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수용가 등록 과정;
    상기 서버 제어부가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도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실시간 수도 사용량을 포함하는 수도 관리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수용가의 사용자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과정;
    상기 서버 제어부가 수도 사용 패턴 생성부를 통해 실시간 수집되어 누적되는 수용가별 수도 사용량 정보, 해당 수용가의 수용가 사용자 인원, 수도 사용 시간대를 포함하는 입력정보에 의한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학습하여 학습된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생성한 후 상기 수도 사용 패턴 DB에 저장하는 수도 사용 패턴 생성 과정; 및
    상기 서버 제어부가 수용가 모니터링부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 및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가 구비된 수용가별로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을 파악하고, 상기 수용가별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과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의 설정 서비스에 따른 수도 및 수용가 사용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긴급상황이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여 긴급상황 발생 시 서버 통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수용가 모니터링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수용가 등록 과정은,
    상기 서버 제어부가 수용가 등록부의 제어에 따른 GUI 제공부를 통해 수용가 사용자 등록 수단을 수용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부로 제공하고 상기 수용가 사용자 등록 수단을 통해 수용가 식별정보, 등록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등록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수용가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용가정보 DB에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설정 수단을 사용자 단말부로 제공하여 상기 서비스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용가정보 DB에 저장하는 수용가 사용자 등록 단계; 및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GUI 제공부를 통해 상기 수용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부로 수용가 위치 등록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수용가 위치 등록 수단을 통해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용가의 수용가정보에 포함하여 상기 수용가정보 DB에 저장하는 수용가 위치 등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
  27. 삭제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는,
    상기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와이파이 맥(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는,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의 맥어드레스 및 IP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 과정은,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상기 수도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실시간 수도 사용량을 포함하는 수도 관리정보를 수집하는 수도 관리정보 수집 단계; 및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어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신받아 수용가의 사용자정보로서 수집하는 수용가 사용자 정보 수집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가 모니터링 과정은,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에 누수 모니터링 서비스 설정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수용가별로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과 수도 사용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수용가에 누수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누수가 발생되면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인 상기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긴급상황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수 공급 모니터링 단계; 및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에 수용가 사용자 위기상황 모니터링 서비스 설정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과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을 비교하여, 수용가 사용자에 대한 위기상황이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수용가 사용자에 대한 위기상황 발생 시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3자인 관리자에게 위기상황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위기 상황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
  3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가 위치 등록 단계는,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어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실시간 획득하고, 획득된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가 상기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인지를 판단하고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아니면 접속 빈도 및 기간에 따라 등록 대상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로 확정하고, 확정된 등록 대상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상기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상기 수용가 사용자의 인가를 받아 새로운 수용가 사용자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수 공급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에 누수 모니터링 서비스 설정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수용가별로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과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비교하여 수용가 사용자 인원에 따른 실시간 수도 사용량이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 사용량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수도 사용량 증가 판단 단계;
    상기 서버 제어부가 실시간 수도 사용량이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의 사용량보다 크면 상기 수용가에 누수의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여 누수 가능성 횟수를 카운트하는 누수 가능성 횟수 카운트 단계;
    상기 서버 제어부가 연속적으로 상기 누수 가능성 횟수가 증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횟수를 초과하면 누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누수 판단 단계; 및
    상기 서버 제어부가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인 상기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긴급상황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누수 통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 과정은,
    상기 서버 제어부가 기상 시스템으로부터 다년 기간의 계절별 기상정보 및 실시간 기상정보 수집하여 기상정보 DB에 저장하는 기상정보 수집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도 사용 패턴 생성 단계에서,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계절별 기상정보를 더 반영하여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학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위기 상황 모니터링 단계는,
    서버 제어부가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에 수용가 사용자 위기상황 모니터링 서비스 설정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과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을 비교하여,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의 사용 시간대에 수용가 사용자가 수도를 사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수도 사용 모니터링 단계;
    상기 서버 제어부가 수용가 사용자가 수도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수도 미사용 횟수를 카운트하는 수도 미사용 횟수 카운트 단계;
    상기 서버 제어부가 카운트되는 수도 미사용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회수를 초과하는지를 검사하여 초과하는 경우 수용가 사용자에게 위기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파단하는 위기상황 판단 단계; 및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3자인 관리자에게 위기상황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위기상황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수용가의 수도가 사용 중인 경우, 상기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에 따른 사용인지, 지속적인 수도 사용인지를 검사하는 수도 사용 패턴 검사 단계;
    상기 서버 제어부가 지속적인 수도 사용인 경우 위기상황 관리 대상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위기상황 문의 메시지를 발송하는 위기상황 문의 단계;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위기상황 관리 대상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위기상황임을 알리는 응답이 수신되거나 일정 시간 내에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응답 모니터링 단계; 및
    상기 서버 제어부가 위기상황 응답이 수신되거나 일정 시간 내에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긴급상황 통지 대상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위기상황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긴급상황 통지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
  37. 서버 제어부가 수용가 등록부를 통해 수용가 식별정보, 등록 수용가 사용자 인원, 등록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 및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수용가정보 및 긴급상황 알림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수용가정보 DB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수용가 등록 과정;
    상기 서버 제어부가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도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실시간 수도 사용량을 포함하는 수도 관리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수용가의 사용자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과정;
    상기 서버 제어부가 수도 사용 패턴 생성부를 통해 실시간 수집되어 누적되는 수용가별 수도 사용량 정보, 해당 수용가의 수용가 사용자 인원, 수도 사용 시간대를 포함하는 입력정보에 의한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학습하여 학습된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생성한 후 상기 수도 사용 패턴 DB에 저장하는 수도 사용 패턴 생성 과정; 및
    상기 서버 제어부가 수용가 모니터링부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 및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가 구비된 수용가별로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을 파악하고, 상기 수용가별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과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의 설정 서비스에 따른 수도 및 수용가 사용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긴급상황이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여 긴급상황 발생 시 서버 통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수용가 모니터링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수용가 등록부 과정은,
    상기 서버 제어부가 수용가 등록부의 제어에 따른 GUI 제공부를 통해 수용가 사용자 등록 수단을 수용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부로 제공하고 상기 수용가 사용자 등록 수단을 통해 수용가 식별정보, 등록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등록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수용가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용가정보 DB에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설정 수단을 사용자 단말부로 제공하여 상기 서비스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용가정보 DB에 저장하는 수용가 사용자 등록 단계; 및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GUI 제공부를 통해 상기 수용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부로 수용가 위치 등록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수용가 위치 등록 수단을 통해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용가의 수용가정보에 포함하여 상기 수용가정보 DB에 저장하는 수용가 위치 등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38. 삭제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는,
    상기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와이파이 맥(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는,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의 맥어드레스 및 IP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41.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 과정은,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상기 수도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실시간 수도 사용량을 포함하는 수도 관리정보를 수집하는 수도 관리정보 수집 단계; 및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어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신받아 수용가의 사용자정보로서 수집하는 수용가 사용자 정보 수집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42.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가 모니터링 과정은,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에 누수 모니터링 서비스 설정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수용가별로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과 수도 사용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수용가에 누수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누수가 발생되면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인 상기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긴급상황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수 공급 모니터링 단계; 및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에 수용가 사용자 위기상황 모니터링 서비스 설정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과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을 비교하여, 수용가 사용자에 대한 위기상황이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수용가 사용자에 대한 위기상황 발생 시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3자인 관리자에게 위기상황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위기 상황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43.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가 위치 등록 단계는,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어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실시간 획득하고, 획득된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가 상기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인지를 판단하고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아니면 접속 빈도 및 기간에 따라 등록 대상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로 확정하고, 확정된 등록 대상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상기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상기 수용가 사용자의 인가를 받아 새로운 수용가 사용자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수 공급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에 누수 모니터링 서비스 설정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수용가별로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과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비교하여 수용가 사용자 인원에 따른 실시간 수도 사용량이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 사용량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수도 사용량 증가 판단 단계;
    상기 서버 제어부가 실시간 수도 사용량이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의 사용량보다 크면 상기 수용가에 누수의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여 누수 가능성 횟수를 카운트하는 누수 가능성 횟수 카운트 단계;
    상기 서버 제어부가 연속적으로 상기 누수 가능성 횟수가 증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횟수를 초과하면 누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누수 판단 단계;
    상기 서버 제어부가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등록된 수용가 사용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인 상기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긴급상황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누수 통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45.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 과정은,
    상기 서버 제어부가 기상 시스템으로부터 다년 기간의 계절별 기상정보 및 실시간 기상정보 수집하여 기상정보 DB에 저장하는 기상정보 수집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도 사용 패턴 생성 단계에서,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계절별 기상정보를 더 반영하여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을 학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46.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위기 상황 모니터링 단계는,
    서버 제어부가 상기 수용가의 서비스 설정 정보에 수용가 사용자 위기상황 모니터링 서비스 설정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과 실시간 수용가 사용자 인원 및 수도 사용량을 비교하여,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의 사용 시간대에 수용가 사용자가 수도를 사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수도 사용 모니터링 단계;
    상기 서버 제어부가 수용가 사용자가 수도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수도 미사용 횟수를 카운트하는 수도 미사용 횟수 카운트 단계;
    상기 서버 제어부가 카운트되는 수도 미사용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회수를 초과하는지를 검사하여 초과하는 경우 수용가 사용자에게 위기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파단하는 위기상황 판단 단계; 및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3자인 관리자에게 위기상황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위기상황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수용가의 수도가 사용 중인 경우, 상기 수용가 사용자 수도 사용 패턴에 따른 사용인지, 지속적인 수도 사용인지를 검사하는 수도 사용 패턴 검사 단계;
    상기 서버 제어부가 지속적인 수도 사용인 경우 위기상황 관리 대상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위기상황 문의 메시지를 발송하는 위기상황 문의 단계;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위기상황 관리 대상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위기상황임을 알리는 응답이 수신되거나 일정 시간 내에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응답 모니터링 단계; 및
    상기 서버 제어부가 위기상황 응답이 수신되거나 일정 시간 내에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긴급상황 통지 대상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위기상황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긴급상황 통지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210132315A 2021-10-06 2021-10-06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662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315A KR102662048B1 (ko) 2021-10-06 2021-10-06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315A KR102662048B1 (ko) 2021-10-06 2021-10-06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790A KR20230049790A (ko) 2023-04-14
KR102662048B1 true KR102662048B1 (ko) 2024-05-02

Family

ID=85946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315A KR102662048B1 (ko) 2021-10-06 2021-10-06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0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981B1 (ko) * 2014-12-16 2015-10-06 (주)엔와이인포텍 상수도 관망 관리 서버, 상수도 관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망 관리 방법
JP2016048503A (ja) * 2014-08-28 2016-04-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生活パターン管理システム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サーバ
KR102058824B1 (ko) * 2019-07-26 2019-12-23 남상훈 원격 상수도 관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2615A (ko) * 2002-06-17 2004-01-07 (주) 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상수도 블록관리 최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29946A (ko) 2013-04-30 2014-11-07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서버 장치 및 긴급 메시지 전송 시스템
KR102178109B1 (ko) * 2013-12-23 2020-11-1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재실자에게 피난경로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그리고 재실자에게 피난경로 안내정보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48503A (ja) * 2014-08-28 2016-04-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生活パターン管理システム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サーバ
KR101554981B1 (ko) * 2014-12-16 2015-10-06 (주)엔와이인포텍 상수도 관망 관리 서버, 상수도 관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망 관리 방법
KR102058824B1 (ko) * 2019-07-26 2019-12-23 남상훈 원격 상수도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790A (ko) 2023-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5540B1 (ko) 가전기기 소비전력 패턴과 소셜 정보를 이용한 독거노인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80644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conditions
JP5000980B2 (ja) 電力使用量による生活見守り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7308370B2 (en) Using a fixed network wireless data collection system to improve utility responsiveness to power outages
US10096236B1 (en) Abberation detection technology
JP6183893B2 (ja) 居住者安否確認システム
KR20120024081A (ko) 전기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2546080B1 (ko) 지능형 원격 검침 시스템 내에서 재해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JP5465976B2 (ja) 生活変化検出システムおよび生活変化検出方法
KR101214986B1 (ko) 옥내 누수감지 정보를 제공하는 원격검침시스템과 옥내 누수판단 제어방법
KR102662048B1 (ko) 수용가 긴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1395262B1 (ko) 발신자 신호를 이용하여 동시 다중 방송이 가능한 주택침수감시 시스템
KR101321622B1 (ko) 보호계층 생활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JP4707579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セキュリティサービスに対する課金料金算出方法
KR101092734B1 (ko) 통합검침시스템을 이용한 수용가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JPH10336733A (ja) 環境情報収集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409299B1 (ko) 셀프 콜 기능을 갖는 게이트 웨이를 이용한 독거노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270449B1 (ko) 도시가스 원격 검침 및 감지 시스템
JP2003259008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の提供方法並びに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JP2003288655A (ja) 異常監視システム
JP2003281658A (ja) 安否通報システム
KR100971845B1 (ko) 기초생활정보 통합정보 관제 시스템 및 제어방법
JP5909832B1 (ja) 安否監視機能を有する水道量集中検針装置
KR20110022465A (ko) 스마트그리드 구현과 생활안전에 도움을 주는 인홈디스플레이장치
JP2020057205A (ja) データ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