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848B1 - 트랙터용 써레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써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848B1
KR102661848B1 KR1020210074213A KR20210074213A KR102661848B1 KR 102661848 B1 KR102661848 B1 KR 102661848B1 KR 1020210074213 A KR1020210074213 A KR 1020210074213A KR 20210074213 A KR20210074213 A KR 20210074213A KR 102661848 B1 KR102661848 B1 KR 102661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row
tractor
soil
unit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2967A (ko
Inventor
박기혁
Original Assignee
박기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혁 filed Critical 박기혁
Publication of KR20210152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25/00Harrows with special additional arrangements, e.g. means for distributing fertilisers; Harrows for speci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21/00Harrows with rotary non-driven tools
    • A01B21/02Harrows with rotary non-driven tools with tooth-like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23/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harrows
    • A01B23/02Teeth; Fixing the tee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23/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harrows
    • A01B23/04Frames; Drawing-arrangements
    • A01B23/043Frames; Drawing-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02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 A01B35/04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drawn by animal or tractor or man-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써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써레가 트랙터에 견인되어 논을 평탄화하는 써레 작업시 써레의 후방부위로 물과 흙을 원할하게 배출시켜 흙의 유실을 방지하도록 한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트랙터의 후방에 연결되기 위한 브래킷이 구비된 제1써레부와, 상기 제1써레부의 후측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써레부로 구성된 트랙터용 써레에 있어서, 상기 제1써레부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제1써레부로부터 상기 제2써레부를 이격시키는 후방 브라켓; 상기 후방 브라켓에 각각 설치되며,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장공에 상기 제2써레부의 양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는 힌지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트랙터용 써레{Harrow for tractor}
본 발명은 써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써레가 트랙터에 견인되어 논을 평탄화하는 써레 작업시 써레의 후방부위로 물과 흙을 원할하게 배출시킴과 아울러 와류를 형성하여 트랙터의 진행에 의해 주변부위로 퍼지는 물과 흙을 써레의 후방부위 쪽으로 끌어모아 흙의 유실을 방지하도록 한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써레는 논 등에서 평탄화작업을 하는데 사용하는 도구로서, 통상 써레를 트랙터의 로터베이터 후방에 설치되어 로터베이터에 의해 파쇄된 무논의 흙을 평탄화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써레는 통상적으로 판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써레가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어 진행하게 되면 써레의 후방으로 물이 원활히 배출되지 않아서 물과 함께 흙이 써레의 주변으로 밀리게 됨으로써 흙이 유실된다.
즉, 써레가 진행함에 따라 써레의 전방에 위치하는 물과 흙이 써레의 후방으로 배출되지 않으면서 써레의 양측으로 밀리게 됨으로써 써레의 후방부위의 논바닥의 높이는 낮아지게 되지만, 써레에 의해 밀린 흙이 퇴어 논바닥의 높낮이가 서로 다르게 된다.
또한, 흙이 퇴적된 논바닥을 다시 써레작업에 의해 평탄화할지라도, 써레 양측으로 또다시 흙이 퇴적됨으로써 전체 논바닥의 평탄화가 매우 어렵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0-0861011호(써레판)에서는, 트랙터 후방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로터베이터에 연결 장착되는 써레구조물에서 다수개의 써레날들이 써레날 연결대에 고정 설치된 중앙 써레판과 상기 중앙 써레판의 좌우측에 설치되어 각각 다수개의 써레날들이 써레날 연결대에 고정 설치된 외측 써레판들로 된 써레판에 있어서,
상기 중앙 써레판의 써레날들은 상기 써레날 연결대에 수평으로 설치된 톱니파형 형태의 평행 써레날과, 그 중앙부분이 함몰되고 상기 함몰된 부분이 후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된 중앙 함몰 써레날이 조합되어 설치된 써레판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톱니파형 부분의 골 사이와 함몰된 부위를 통하여 물과 흙이 써레판의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흙밀림 현상을 최소화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써레의 후방부위로 배출된 흙과 물이 함몰부분이 후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된 중앙 함몰 써레날에 의해 써레의 후방에서 넓게 퍼지게 됨으로써 써레의 양측방으로 유실되는 물과 흙은 써레 측방의 논바닥에 퇴적됨으로써 이 또한 평탄화 작업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즉, 써레가 트랙터에 의해 견인될 때 트랙터의 바퀴와 로터베이터가 물을 가르며 지나가게 되면, 물과 흙이 넓게 써레의 양측 방향으로 넓게 퍼져서 흙이 진행하는 써레의 양측으로 퇴적됨으로써 논바닥이 고르게 평탄화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평탄화를 위해서는 반복작업이 필요하여 작업효율이 그만큼 저하되는 단점을 갖는다.
<선행기술문헌>
1. 등록특허 제10-0861011호
(써레판)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써레날이 써레판의 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써레판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물과 흙에 부유하면서 그 물과 흙이 써레의 양측 주변부위로 퍼져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트랙터용 써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트랙터용 써레는,
트랙터의 후방에 연결되기 위한 브래킷이 구비된 제1써레부와, 상기 제1써레부의 후측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써레부로 구성된 트랙터용 써레에 있어서,
상기 제1써레부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제1써레부으로부터 상기 제2써레부를 이격시키는 후방 브라켓;
상기 후방 브라켓에 각각 설치되며,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장공에 상기 제2써레부의 양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는 힌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써레가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면서 무논을 평탄화할 때 후방으로 배출되는 물과 흙에 제2써레부가 장공을 통해 상측으로 이동하여 부유하면서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게 되어 써레의 주변부위로 흙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써레부와 제2써레부를 이격시킴으로써 그 이격된 공간을 통해 전방의 물과 흙이 후방으로 쉽게 넘어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 또한 물과 흙이 써레의 주변부위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갖는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의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제1써레부, 제2써레부, 스토퍼의 분해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무논의 평탄화 작업 시 제2써레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4는 흙을 끌어당기거나 미는 작업시 제2써레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5는 써레날의 구조를 보인 도.
도6은 써레날에서 발생하는 와류에 의해 써레 주변부위로 퍼지는 물과 흙이 써레의 후방으로 끌어당겨지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7은 써레날에서 와류가 형성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8은 본 발명에 의해 퇴적되는 흙에 의해 평탄화된 논바닥을 보인 도.
도9는 써레날의 다른 형태를 보인 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도.
도11은 제2실시예에 의해 무논의 평탄화 작업 상태를 보인 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보인 도.
도13은 제3실시예에 의해 무논의 평탄화 작업 상태를 보인 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의한 트랙터용 써레의 구조를 보인 도이고, 도2는 제1써레부, 제2써레부, 스토퍼의 분해구조를 보인 도이며, 도3은 무논의 평탄화 작업 시 제2써레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그리고, 도4는 흙을 끌어당기거나 미는 작업시 제2써레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크게 제1써레부(100)와 제2써레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써레부(100)는 긴 사각의 각체 또는 판 형태로 형성되고, 트랙터의 후방에서 폭방향으로 위치하며, 양측에는 트랙터에 연결되어 견인될 수 있도록 지지암(610,620)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브래킷(110,12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써레부(100)의 중앙부위에는 실린더(500)가 연결되기 위한 중앙 브라켓(130)이 설치되며, 이러한 실린더(500)의 압축과 신장에 의해 제1써레부(100)이 지지암(610,620)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측으로 승강하거나 하측으로 하강하게 된다.
상기 제1써레부(100)의 후방에는 복수의 써레날(220,230)을 구비한 제2써레부(20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러한 제2써레부(200)는 상기 제1써레부(100)의 후방에서 간격을 두고 나란히 폭방향으로 위치하는 프레임(210)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210)의 양측에는 힌지축(211,212)이 구비된다.
또한, 제1써레부(100)의 상부 양측에는 각각 삽입공(301,311)을 갖는 힌지부(300,310)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프레임(210)의 힌지축(211,212)의 양측이 각각 힌지부(300,310)의 삽입공(301,311)에 삽입되어 축설된다.
상기 프레임(210)의 후측으로는 폭방향으로 복수의 써레날(220,230)이 장착되어 있게 되며, 상기 프레임(210)의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써레날(220,230)들은 프레임(210)에 고정되어 함께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거나, 또는 프레임(210)에 각각 개별적으로 힌지로 고정되어 프레임(21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면서도 독립적으로 상하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구조에 따른 동작을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써레부(100)가 트랙터에 의해 전방으로 견인되면, 무논의 물과 흙이 제1써레부(100)를 넘어서 후방으로 유입된다.
이때, 제1써레부(100)의 후방으로 유입되는 물과 흙에 의해 써레날(220,230)이 저항을 받게 되고, 이러한 저항에 의해 프레임(210)이 상측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써레날(220,230)도 상측으로 회전하면서 부유하게 된다.
그러므로, 후방으로 유입되는 물과 흙은 써레날(220,230)에 의해 방해 받지 않고 후방으로 유출된다.
즉, 써레날(220,230)이 고정되어 있다면, 그 저항에 의해 제1써레부(100)의 외측으로 물과 흙이 밀려나면서 유실되지만, 제2써레부(200)가 상측으로 회전하면서 물과 흙이 제1써레부(100)의 후방으로 쉽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유실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흙이 유실되지 않으므로, 평탄화 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돌이나 뿌리 등의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도 그 부하에 의해 제2써레부(200)가 상측으로 회전하면서 이를 회피하게 되므로, 써레날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400)는 써레날(220,230) 전체에 대해서 접촉할 수 있지만, 2개로 나뉘어져서 제2써레부(200)의 가장 가장자리 써레날(220,230)의 상부면에만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제2써레부(200)에는 써레날(220,230)이 구비되지 않고, 단순히 프레임(210)만 구비될 수도 있으며, 제1써레부(100)의 후방으로 유입되는 물과 흙에 의해 프레임(210)이 저항을 받게 되고, 이러한 저항에 의해 프레임(210)이 상측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부유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써레부(200)가 상측으로 회전할 때 그 회전각을 제한하도록 스토퍼(400)가 구비되는데, 상기 스토퍼(400)는 직선의 바 형태로서, 그 양측에 상기 힌지부(300,310)의 고정공(302,31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즉, 제2써레부(200)의 후방 상측부위에서 제2써레부(200)와 간격을 두고 나란히 위치하게 되어 제2써레부(200)가 상측으로 회전할 때 그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400)는 힌지부(300,310)에 고정될 수 있지만, 또 다르게는 별도의 힌지부에 의해 제1써레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400)와 제2써레부(200)의 위치와 간격에 의해 제2써레부(200)가 상측방향으로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으며, 가급적 상기 스토퍼(400)는 써레날(220,230)의 상부면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써레부(200)의 하측방향으로의 회전도 제한할 수 있는데, 제2써레부(200)가 하측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써레날(220,230)이 제1써레부(100)의 후면부위에 맞닿도록 하여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또한, 상기 제2써레부(200)의 위치와 간격에 의해 하측방향으로의 회전각도가 제한되는 것이다.
상기 제2써레부(200)의 회전각도를 제한함으로써 제1써레부(100)를 세워서 흙을 당기거나 미는 작업을 할 때 제1써레부(100)와 제2써레부(200)에 의해 넓은 면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증진시키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흙을 당겨서 평탄화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도4(a)에서와 같이 실린더(500)를 신장시켜 제1써레부(100)를 세우게 되면, 제2써레부(200)가 상측으로 회전하게 되지만, 스토퍼(40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므로 제1써레부(100)와 나란히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트랙터가 전진하게 되면, 제1써레부(100)와 제2써레부(200)에 의해 흙이 당겨지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흙을 밀어서 평탄화하는 경우에는 도4(b)와 같이 실린더(500)를 압축시켜 제1써레부(100)를 살짝 들게 되면, 제2써레부(200)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회전하여 지면과 수직한 상태가 된다.
그 상태에서 실린더(500)를 신장시키게 되면, 써레날(220,230)의 하단부위가 지면과 접촉하게 되며, 이후 트랙터를 후진시키게 되면, 제2써레부(200)가 제1써레부(100) 쪽으로 경사지게 회전하면서 제1써레부(100)의 후면부위에 맞닿게 된다.
따라서, 트랙터가 계속 후진하게 되면, 써레날(220,230)의 전면부위가 흙과 접촉하면서 흙을 밀게 되고, 그 흙의 저항에 의해 써레날(220,230)의 후면부위가 제1써레부(100)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된다.
즉, 제1써레부(100)가 스토퍼로 작용하여 제2써레부(200)가 후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흙을 밀어서 평탄화하는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1써레부(100)를 넘어서 제2써레부(200)로 유입되는 물과 흙 이외에 제1써레부(100)에 의해 주변으로 확산되는 물과 흙을 제1써레부(100)의 후방으로 다시 유입시키기 위하여, 써레날(220,230,240)이 도5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써레부(100)의 후측 중앙부위 하단에는 중앙 써레날(240)이 설치되는데, 상기 중앙 써레날(240)은 판 형태로서, 그 중앙부분이 전방으로부터 후방까지 상측으로 'ㅅ' 형태로 절곡된 배출홈(241)이 형성됨으로서 프레임(210) 전방부위의 물과 흙을 후방으로 배출시키도록 한다.
상기 좌측 써레날(220)은 상기 프레임(210)의 후측에 고정되어 설치되는데, 상기 중앙 써레날(240)의 좌측에서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210)의 진행방향의 중앙부위를 향하여 사선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좌측 써레날(220)은 도5에서와 같이 하나의 판재를 절곡하여 평탄부(232), 유도부(223), 그리고 와류형성부(224)를 형성하는데, 평탄부(231)는 상기 프레임(210)의 후측에서 그 전방이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며, 논바닥과 접촉하여 평탄화하기 위해 수평방향으로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210)의 진행방향의 중앙부위를 향하도록 사선방향으로 고정된다.
유도부(123)는 상기 평탄부(121)의 측면 일측 즉 상기 프레임(210)의 진행방향의 중앙부위를 향하는 측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210)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물과 흙을 프레임(210)의 진행방향 중앙부위 쪽으로 유도하게 된다.
상기 와류 형성부(124)는 상기 유도부(123)의 상측에서 상기 프레임(210)의 진행방향의 중앙부위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유도부(123)에 의해 유도되는 물과 흙이 부딪혀 와류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우측 써레날(230)은 상기 프레임(210)의 후측에서 중앙 써레날(240)의 우측에서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우측 써레날(230)의 구조는 상기에서 설명한 좌측 써레날(220)의 구조와 동일하며, 다만, 그 평탄부(221), 유도부(223), 그리고 와류 형성부(224)의 방향이 상기 프레임(210)의 진행방향의 중앙부위를 향하도록 사선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좌측 써레날(220)의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좌측 써레날(220)과 우측 써레날(230)의 평탄부(221,231)와 와류 형성부(224,234)의 후방부위 외측 모서리 부위에는 경사부(222,225,232,235)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써레를 세워서 흙을 밀거나 당기는 작업을 할 때 후방 모서리 부위가 논바닥에 닿아 흙덩어리 또는 돌 등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서리를 절단시켜 경사부(222,225,232,235)를 형성시킨 것이다.
즉, 후방 모서리 부위가 안쪽으로 휘어지게 되는 경우에 물과 흙이 배출이 용이하지 않게 되므로, 미리 경사부(222,225,232,235)를 형성시켜 휘어짐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써레날(220,230)에 의해 써레 주변부위로 퍼지는 물과 흙이 써레의 후방으로 끌어당겨지는 형태를 설명한다.
도6에서와 같이 트랙터의 견인에 의하여 써레 프레임(210)은 전방으로 진행하게 되고, 이때 좌측 써레날(220)과 우측 써레날(230)의 평탄부(221,231)는 논바닥을 접촉하여 평평하게 평탄화하게 된다.
프레임(210)의 진행 즉 써레의 진행에 의해 전방에 물과 흙은 유도부(223,233) 쪽으로 유입되어 프레임(210)의 진행방향으로 중앙부위로 각각 배출되는데, 이때, 와류 형성부(224,234)에 저면으로 유도부(223,233)의 의해 유도되는 물과 흙이 부딪혀서 도7에서와 같이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즉, 도7(a)에서와 같이 좌측 써레날(220)의 유도부(223)에는 물과 흙이 부딪혀 상승하게 되지만. 상측의 와류 형성부(224)에 부딪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와류가 형성되어 프레임(210)의 진행방향 중심부위를 향하여 후방으로 길게 배출된다.
또한 도7(b)와 같이 우측 써레날(230)에 의해 와류가 형성된 물과 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프레임(210)의 진행방향 중심부위를 향하여 후방으로 길게 배출된다.
따라서, 이러한 와류에 의해 흙이 써레의 후방에서 멀리 배출되어 퇴적된다.
아울러, 트랙터의 진행에 의해 프레임(210)의 양측으로 넓게 퍼지는 물과 흙은 상기의 와류에 의해 트랙터의 후방으로 끌어 당겨지면서 프레임(210) 후방으로 가장자리 부위에 넓게 퍼지면서 퇴적된다.
결국, 도8에서와 같이 상기 좌측 써레날(220)과 우측 써레날(230)에 의해 프레임(210)의 전방으로부터 배출된 물과 흙은 와류를 형성하면서 프레임(210) 후방의 중심부위를 향하여 넓게 퇴적부위(G1)를 형성하게 되고, 프레임(210)의 양측으로 퍼지는 물과 흙은 와류에 의해 프레임(210)의 후방부위로 빨려들어감으로써 프레임(210)의 후방 가장자리로 넓게 퇴적부위(G2)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좌측 써레날(220)과 우측 써레날(230)을 통하여 배출되는 흙은 프레임(210)의 후방에서 비교적 가운데 부위에서 넓게 퇴적되고, 와류에 의해 끌어당겨지는 흙은 프레임(210)의 후방에서 가장자리 부위에서 넓게 퇴적되므로 논바닥이 고르게 평탄해지는 것이다.
도9는 우측 써레날(230)의 다른 형태를 보인 도로서, 와류의 형성을 쉽게 하기 위한 구조이며, 또한 좌측 써레날(220)도 방향만 다를 뿐 동일한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도9(a)와 같이 와류 형성부(234)가 유도부(233)의 상단에서 곡면을 가지면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그 곡면의 내측에서 와류가 보다 쉽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6(b)와 같이 평탄부(231)로부터 곧바로 곡면을 갖는 와류 형성부(234)가 형성되어 흙과 물의 유도와 함께 와류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도로서, 제1써레부(100)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후방 브라켓(140,150)이 각각 형성되어 있게 되는데, 상기 후방 브라켓(140)은 한 쌍의 지지편(141,142)이 서로 간격을 두고 후방으로 돌출되고, 그 지지편(141,142)의 돌출된 선단부위에는 한 쌍의 지지편(141,142)을 서로 연결하도록 사각의 각체로 된 설치부(143)가 제1써레부(100)와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 제2브라켓(150)도 동일하게 한 쌍의 지지편(151,152)과 설치부(153)로 구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각 설치부(143,153)에는 힌지부(300,310)가 각각 설치되는데, 상기 힌지부(300,310)는 설치부(143,153) 상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고정볼트 등의 고정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그 이동된 상태가 고정된다.
이는 곧 제2써레부(200)의 길이에 따라 힌지부(300,310)를 설치부(143,153) 상에서 이동시켜 고정시킴으로써 길이가 다른 다양한 형태의 제2써레부(200)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힌지부(300)에는 장공(303,313)이 형성되어 있게 되며, 이 장공(303,313)에 제2써레부(200)의 힌지축(211,212)이 축설되어 장공(303,313) 내에서 제2써레부(200)가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제2써레부(200)의 구조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프레임(210)과 써레날부(220,230)가 형성되거나 또는 프레임(210)만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동작을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1은 무논의 평탄화 작업 상태를 보인 우측면도로서, 도11(a)와 같이 흙(S)을 당겨서 평탄화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실린더(500)를 신장시켜 트랙터의 전진방향으로 기울여서 제1써레부(100)를 세우게 된다.
그러면, 제2써레부(200)의 힌지축(212)은 자중에 의해 장공(313)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2써레부(200)의 하측부위는 지면과 수직하게 맞닿게 되며, 트랙터를 전진시키면서 제1써레부(100)를 조금 더 하강시키게 되면, 제2써레부(200)가 후방으로 회전하게 되어 지면과 평행하게 맞닿게 된다.
이때 장공(313)의 하단부위는 제2써레부(200)가 지면과 평행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까지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 상태에서 트랙터가 계속 전진하게 되면, 흙(S)이 당겨지면서 제1써레부(100) 전방의 흙(S)과 물(W)은 후방 브라켓(140,150) 사이의 넓은 공간을 통해 많은 양이 후방으로 넘어가게 되고, 제2써레부(200)에 의해 무논의 바닥이 고르게 평탄화됨으로써 제1써레부(100)의 주변부위로 흙이 유실되는 것이 최소화된다
또한, 흙(S)과 물(W)의 저항이 커지게 되면, 그 저항에 의해 제2써레부(200)는 장공(313)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여 부유하면서 저항을 해소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흙을 밀어서 평탄화하는 경우에는 도11(b)와 같이 실린더(500)를 압축시켜 제1써레부(100)를 들게 되면, 제2써레부(200)가 자중에 의해 힌지축(212)이 장공(313)의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지면과 수직한 상태가 된다.
그 상태에서 실린더(500)를 신장시키게 되면, 제1써레부(100)가 하강하여 제2써레부(200)의 하단부위가 지면과 접촉하게 되는데, 이때 지면과의 접촉에 의해 힌지축(212)이 장공(313)의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자연스럽게 전방으로 꺽이게 됨으로써 제2써레부(200)가 지면에 박히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2써레부(200)가 제1써레부(100) 쪽으로 경사지게 회전하면서 후방 브라켓(140,150)의 후면부위에 맞닿게 되며, 이때 후방 브라켓(140,150)은 제2써레부(200)의 전방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로 작용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트랙터가 후진하게 되면, 제1써레부(100)와 제2써레부(200)가 흙과 접촉하면서 흙을 밀게 되고, 그 흙의 저항에 의해 제2써레부(200)가 후방 브라켓(140,150)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흙을 밀어서 평탄화하는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보인 도로서, 제1써레부(100)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후방 브라켓(140,15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후방 브라켓(140,150)에는 회전간(700,710)의 일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축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써레부(100)의 후측부위에는 써레날이 추가로 구비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회전간(700,710)의 타측은 후방 브라켓(140,150)의 후단부위보다 후방으로 노출되는 길이를 가지게 되며, 그 노출된 후방부위에는 축설공(701,711)이 각각 형성되어 제2써레부(200)의 상단 양측에 구비된 브라켓(260,270)이 핀에 의해 축설된다. 이때, 상기 축설공(701,711)은 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써레부(200)는 축설공(701,711)에 축설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자전이 가능한 상태로 회전간(700,710)에 결합되며, 브라켓(260,270)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회전하는 각도가 제한된다.
즉, 제2써레부(200)의 프레임(210)이 회전간(700,710)의 하측에 맞닿아 하측으로 회전하는 것이 제한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회전간(700,710)은 후방 브라켓(140,150)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축설되고, 제2써레부(200)는 회전간(700,710)의 축설공(701,711)에서 상하방향으로 자전이 가능하면서도 하측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간(700,710)이 하측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간(700,710)에는 스토퍼(145)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스토퍼(145)는 회전축(144,154)의 후방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제1써레부(100)와 제2써레부(200)에는 써레날부가 선택적으로 구비되거나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동작을 도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3은 무논의 평탄화 작업 상태를 보인 우측면도로서, 도13(a)와 같이 흙(S)을 당겨서 평탄화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실린더(500)를 신장시켜 트랙터의 전진방향으로 기울여서 제1써레부(100)를 세우게 된다.
그러면, 제2써레부(200)는 자중에 지면과 수직하게 맞닿게 되고, 축설공(701)이 장공인 경우에는 브라켓(260,270)에 장착된 핀이 장공(701)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제2써레부(200)는 지면과 수직하게 맞닿게 된다.
이때, 스토퍼(145)에 의해 회전간(700)은 제1써레부(100)의 전방부위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어 제2써레부(200)는 제1써레부(100)의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트랙터를 전진시키면서 제1써레부(100)를 조금 더 하강시키게 되면, 제2써레부(200)와 회전간(700)은 제1써레부(100)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회전하는 상태가 되며, 계속하여 트랙터가 전진하게 되면, 제2써레부(200)는 지면과 평행하게 접촉하면서 회전간(700)에 의해 끌려가는 형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트랙터가 계속 전진하게 되면, 흙(S)이 당겨지면서 제1써레부(100) 전방의 흙(S)과 물(W)은 후방 브라켓(140,150) 사이의 넓은 공간을 통해 많은 양이 후방으로 넘어가게 되고, 제2써레부(200)에 의해 무논의 바닥이 고르게 평탄화됨으로써 제1써레부(100)의 주변부위로 흙이 유실되는 것이 최소화된다
또한, 흙(S)과 물(W)의 저항이 커지게 되면, 그 저항이 제2써레부(200)에 가해져서 회전간(701)과 함께 상측으로 부유하면서 저항을 해소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흙(S)을 밀어서 평탄화하는 경우에는 도13(b)와 같이 실린더(500)를 압축시켜 제1써레부(100)를 들어올리게 되면, 제2써레부(200)가 자중에 의해 지면과 수직한 상태가 된다.
이후, 트랙터를 후진시키면서 제1써레부(100)를 조금 더 하강시키게 되면, 제2써레부(200)가 하단부위가 지면과 수직하게 맞닿게 되며, 트랙터의 후진에 의해 회전간(701)은 스토퍼(145)에 의해 제1써레부(100)의 전방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제2써레부(200)의 브라켓(260)에 체결된 회전간(701)에 의해 제2써레부(200)가 제1써레부(100)의 전방 즉 트랙터 방향쪽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제1써레부(100)와 제2써레부(200)가 약간 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어 흙(S)을 밀어서 평탄화가 가능하게 된다.
물론, 제2써레부(200)가 후방 브라켓(140,150)에 맞닿도록 하여 트랙터 방향 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스토퍼(145)에 의해 제1써레부(100)를 상측으로 들어올렸을 때 회전간(700)이 하측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이동시 제2써레부(200)가 전후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실시예, 제2실시예, 그리고 제3실시예의 구조는 제1써레부(1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외측 써레판에도 구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본 출원인이 등록한 등록특허 제10-1150298호(트랙터용 써레의 자동 접이장치)에서와 같이 외측 써레판도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구조를 제1써레부(100)와 외측 써레판에 모두 적용하거나, 제1써레부(100)에는 적용하지 않고 외측 써레판에만 적용하거나 또는 외측 써레판에는 적용하지 않고 제1써레부(100)에만 적용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써레날부(220,230)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제1써레부(100)와 외측 써레판에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예일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제1써레부
110,120,130 : 브래킷
140,150 : 후방 브라켓
141,142,151,152 : 지지편
143,153 : 설치부
144,154 : 회전축
200 : 제2써레부
211,212 : 힌지축
220,230 : 써레날부
260,270 : 브라켓
300,310 : 힌지부
303,313 : 장공
301,311 : 지지편
700,710 : 회전간
701,711 : 축설공

Claims (11)

  1. 트랙터의 후방에 연결되기 위한 트랙터용 써레에 있어서,
    상기 트랙터의 후방에 연결되고, 양측에 각각 장공을 갖는 힌지부가 형성된 제1써레부;
    프레임의 후측에 복수의 써레날이 장착되고, 양측에 힌지축이 구비되며, 상기 제1써레부의 후방에서 간격을 두고 나란히 폭방향으로 위치하면서 양측의 힌지축이 상기 힌지부의 장공에 삽입되어 축설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써레부;로 구성되고,
    상기 장공의 하단부위는 상기 제2써레부가 지면과 평행하게 맞닿을 수 있도록 하는 위치까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2. 삭제
  3. 삭제
  4. 트랙터의 후방에 연결되기 위한 트랙터용 써레에 있어서,
    상기 트랙터의 후방에 연결되고, 양측에 각각 장공을 갖는 힌지부가 형성된 제1써레부;
    상기 제1써레부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각각 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설치부는 힌지부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힌지부에는 장공이 형성된 후방 브라켓;
    프레임의 후측에 복수의 써레날이 장착되고, 양측에 힌지축이 구비되며, 상기 제1써레부의 후방에서 간격을 두고 나란히 폭방향으로 위치하면서 양측의 힌지축이 상기 후방 브라켓의 장공에 삽입되어 축설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써레부;로 구성되고,
    상기 장공의 하단부위는 상기 제2써레부가 지면과 평행하게 맞닿을 수 있도록 하는 위치까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10074213A 2020-06-09 2021-06-08 트랙터용 써레 KR1026618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610 2020-06-09
KR20200069610 2020-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967A KR20210152967A (ko) 2021-12-16
KR102661848B1 true KR102661848B1 (ko) 2024-04-29

Family

ID=79033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213A KR102661848B1 (ko) 2020-06-09 2021-06-08 트랙터용 써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848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9850A (ko) * 2008-08-11 2010-02-19 김필수 트랙터용 써레
KR20110049584A (ko) * 2009-11-05 2011-05-12 김필수 트랙터용 써레
KR20110068342A (ko) * 2009-12-16 2011-06-22 태호(주) 트랙터용 써래
KR101199921B1 (ko) * 2010-05-07 2012-11-09 제트스타 주식회사 트랙터용 써래
KR101334119B1 (ko) * 2011-06-29 2013-11-27 제트스타 주식회사 트랙터용 써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967A (ko)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5075A (en) Soil leveling apparatus with improved frame and hitch
CA2834705C (en) Ditching apparatus with divergent v-wing blade configuration
US7658022B2 (en) Slip hitch for a snow plow
WO2015006809A1 (en) A bucket for an earth moving machine
US5511625A (en) Soil leveling apparatus with improved frame and hitch
KR102661848B1 (ko) 트랙터용 써레
KR20120124241A (ko) 트랙터용 써레
KR200166110Y1 (ko) 트랙터용 써레
US20080000656A1 (en) Disk Blade Scrapers for Tillage Apparatus
KR101056401B1 (ko) 트랙터용 쟁기장치
JP5845800B2 (ja) 排土板及び排土装置
US6840332B2 (en) Road scraper
JP6386482B2 (ja) ロータリ耕耘機のスキッド装置
JP2010172215A (ja) ロータリ耕耘装置用の整地部材
US4607441A (en) Stone digging attachment for front end loader attachment of a tractor
US4257487A (en) Water stop attachment and border disc
CN201450696U (zh) 一种水旱田翻地犁
KR102310623B1 (ko) 트랙터용 써레
JP6857393B2 (ja) 農作業機
JP4713001B2 (ja) サブソイルディガ−プラウ作業機及びその掘削発土爪
JP2010094037A (ja) 粗耕起作業機
RU215940U1 (ru) Нагребатель грядообразователя
KR100861011B1 (ko) 써레판
KR200166151Y1 (ko) 트랙터용 이중써레
CA1220633A (en) Stone dig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