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8342A - 트랙터용 써래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써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8342A
KR20110068342A KR1020090125242A KR20090125242A KR20110068342A KR 20110068342 A KR20110068342 A KR 20110068342A KR 1020090125242 A KR1020090125242 A KR 1020090125242A KR 20090125242 A KR20090125242 A KR 20090125242A KR 20110068342 A KR20110068342 A KR 20110068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row
tractor
frame
rear en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호
Original Assignee
태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호(주) filed Critical 태호(주)
Priority to KR1020090125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8342A/ko
Publication of KR20110068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3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9/00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 A01B19/02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with tools rigidly or elastically attached to a tool-fram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1/00Devices for, or part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preventing overstrain
    • A01B61/04Devices for, or part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preventing overstrain of the connection between tools and carrier beam or frame
    • A01B61/044Devices for, or part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preventing overstrain of the connection between tools and carrier beam or frame the connection enabling a yielding pivoting movement around a substantially horizontal and transverse axis
    • A01B61/046Devices for, or part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preventing overstrain of the connection between tools and carrier beam or frame the connection enabling a yielding pivoting movement around a substantially horizontal and transverse axis the device including an energy accumulator for restoring the tool to its work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14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drawn by animals or tractors
    • A01B63/24Tools or tool-holders adjustable relatively to the fram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용 써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써래의 써래판이 무논의 지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여 평탄성이 향상되도록 하며, 무논에서 높은 곳의 흙을 끌거나 밀어내는 경우 써래의 세움 각이 써래판의 후단은 상향되고 지지대로 구성된 써래판의 전단은 후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향되어 흙을 파내므로 써래판의 후단에 결합된 써래편이나 써래날을 보호하며, 일자형의 긴 지지대로 구성된 써래판의 전단이 흙을 파냄에 따라 파낸 자리가 매끄럽게 되고, 밭에서 평탄작업 시 신축실린더의 조작에 의하여 일자형의 긴 지지대로 구성된 써래판의 전단이 다소 하향되게 하여 골과 두둑이 형성되지 않게 하거나 통상 톱날 형상으로 되어 있는 써래판의 후단이 하향되게 하여 골과 두둑이 형성되도록 농가가 선택하여 작업할 수 있고, 트랙터가 후진하면서 써래로 흙을 밀 때 써래판의 상부 작동부에 흙이나 이물질이 남거나 끼지 않음으로써 써래의 작동에 방해를 받지 않게 하여 고장을 방지하고, 대략
Figure 112009077686669-PAT00001
또는
Figure 112009077686669-PAT00002
형상의 견고한 프레임 구조에 의하여 트랙터의 후진 흙 밀기 시에도 프레임이 뒤틀려 써래가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트랙터용 써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단은 트랙터용 로타리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후단은 써래판과 연결되는 프레임과, 상기 써래판을 승강시키는 신축실린더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써래에 있어서, 상기 신축실린더는 전단이 상기 로타리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후단은 상기 프레임과 힌지 결합되게 구성되며, 상기 써래판에는 상기 프레임 의 후단과 힌지 결합되어 상하 스윙될 수 있도록 각도브라켓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각도브라켓에는 상기 신축실린더를 수축시킴에 따라 상기 프레임에 맞닿아 상기 써래판이 들려지도록 제1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래가 제공된다.
프레임, 제1브라켓, 제2브라켓, 제1스토퍼, 제2스토퍼

Description

트랙터용 써래{A HARROW FOR TRACTOR}
본 발명은 트랙터용 써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써래의 써래판이 무논의 지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여 평탄성이 향상되도록 하며, 무논에서 높은 곳의 흙을 끌거나 밀어내는 경우, 써래의 세움 각이 써래판의 후단은 상향되고 지지대로 구성된 써래판의 전단은 후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향되어 흙을 파내므로 써래판의 후단에 결합된 써래편이나 써래날을 보호하며, 일자형의 긴 지지대로 구성된 써래판의 전단이 흙을 파냄에 따라 파낸 자리가 매끄럽게 되고, 밭에서 평탄작업 시 신축실린더의 조작에 의하여 일자형의 긴 지지대로 구성된 써래판의 전단이 다소 하향되게 하여 골과 두둑이 형성되지 않게 하거나 통상 톱날 형상으로 되어 있는 써래판의 후단이 하향되게 하여 골과 두둑이 형성되도록 농가가 선택하여 작업할 수 있고, 트랙터가 후진하면서 써래로 흙을 밀 때 써래판의 상부 작동부에 흙이나 이물질이 남거나 끼지 않음으로써 써래의 작동에 방해를 받지 않게 하여 고장을 방지하고, 대략
Figure 112009077686669-PAT00003
또는
Figure 112009077686669-PAT00004
형상의 견고한 프레임 구조에 의하여 트랙터의 후진 흙 밀기 시에도 프레임이 뒤틀려 써래가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트랙터용 써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논을 경작하는 경우에는 모내기에 앞서 쟁기나 로타리로 갈아 놓은 무논을 평탄하게 고르는 써래작업이 이뤄지게 된다.
종래의 써래는 써래작업 중 무논 바닥의 굴곡에 따라 트랙터가 흔들려도 써래 자체는 무논의 지면에 대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었으나, 써래판의 세움 각은 수시로 변하여 무논의 평탄이 고르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2399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종래의 써래는 흙을 파서 끌고자 할 때 지면에 대한 써래판의 세움 각을 써래판의 후단이 하향되도록 세웠으나, 이런 경우에 통상 톱날 형상으로 된 써래판의 후단이 흙을 파게 되므로 무논의 흙을 파낸 자리에 톱날 형상의 골과 두둑이 남게 되고, 아울러 지지대로 구성된 써래판의 전단보다 상대적으로 취약한 써래편이나 써래날 등으로 구성된 써래판의 후단이 흙을 파는 도중에 휘어지는 등 써래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프레임 또는 연결대 등의 하면과 접촉 지지되는 하부스토퍼를 이용하여 써래판의 세움 각을 써래판의 후단이 하향되도록 세워 흙을 끌고 가는 구조이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다.
아울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42099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종래의 써래는 위 종래의 써래의 기능에 트랙터가 후진할 때에도 써래로 흙을 파서 밀 수 있도록 하였으나, 여러 가지 구성이 추가되어 복잡하고 흙을 파서 밀 때 써래판의 상부 작동부에 흙이나 이물질이 남거나 끼어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고장이 발생할 수 있고, 써래의 연결 방식이 대략 사각 형태의 프레임 구조가 아닌 복수개의 승강로드로 구성되는 링크구조이므로 트랙터의 전진 흙 끌기 시와는 달리 트랙터의 후진 흙 밀기 시 써래의 한쪽 방향으로 과도하게 부하가 걸리게 되면 승강로드가 뒤틀려 써래가 파손될 위험이 있고, 위 종래의 써래처럼 무논의 흙을 파낸 자리에 골과 두둑이 생기거나 흙을 파는 도중에 써래판의 후단이 휘어지는 등 써래가 손상되는 문제가 여전히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써래들은 밭에서 평탄작업을 할 경우에 톱날 형상의 써래판이 있는 써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골과 두둑이 생기고, 일자형의 기다란 써래판이 있는 써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골과 두둑이 생기지 않아서, 그때 그때의 작업상황에 따라서 골과 두둑의 형성여부를 농가에서 선택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프레임과 접촉 지지되는 제1스토퍼를 각도브라켓에 형성하여, 써래가 무논의 지면에 대한 일정한 써래작업의 각도를 유지하여 평탄성을 향상시키는 트랙터용 써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레임과 접촉 지지되는 제2스토퍼를 각도브라켓에 형성하여, 써래로 흙을 끌거나 밀고자 할 때 1개의 스토퍼에 의하여 지지대로 구성된 써래판의 전단이 무논의 바닥을 끌거나 밀고 가는 양방향의 두 가지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고, 아울러 써래판의 후단에 결합된 써래편이나 써래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흙을 끌거나 밀 때 일자형의 기다란 지지대로 구성된 써래판의 전단이 흙을 파게 되므로 흙을 파낸 자리가 매끄럽고, 트랙터가 후진하여 써래로 흙을 밀면서 써래판의 상부 작동부에 흙이나 이물질이 남거나 끼지 않아 써래의 작동에 방해를 받지 않게 되므로 고장을 방지하고, 대략
Figure 112009077686669-PAT00005
또는
Figure 112009077686669-PAT00006
형상의 견고한 프레임 구조에 의하여 트랙터의 후진 흙 밀기 시에도 프레임이 뒤틀려 써래가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트랙터용 써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전단은 트랙터용 로타리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후단은 써래판과 연결되는 프레임과, 상기 써래판을 승강시키는 신축실린더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써래에 있어서, 상기 신축실린더는 전단이 상 기 로타리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후단은 상기 프레임과 힌지 결합되게 구성되며, 상기 써래판에는 상기 프레임의 후단과 힌지 결합되어 상하 스윙될 수 있도록 각도브라켓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각도브라켓에는 상기 신축실린더를 수축시킴에 따라 상기 프레임에 맞닿아 상기 써래판이 들려지도록 제1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프레임의 후면 또는 하면에 접촉 지지되고 상기 써래판의 세움 각이 전방을 향하여 30도 이내로 되게 형성되며, 상기 써래판의 세움 각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각도브라켓에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단은 트랙터용 로타리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후단은 써래판과 연결되는 프레임과, 상기 써래판을 승강시키는 신축실린더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써래에 있어서, 상기 신축실린더는 전단이 상기 로타리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후단은 상기 프레임과 힌지 결합되게 구성되며, 상기 써래판에는 상기 프레임의 후단과 힌지 결합되어 상하 스윙될 수 있도록 각도브라켓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각도브라켓에는 상기 프레임에 접촉 지지되며 상기 신축실린더를 신장시킴에 따라 상기 써래판의 세움 각이 후단은 상향되고 전단은 후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향되도록 제2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스토퍼는 프레임의 후면 또는 상면에 접촉 지지되며, 상기 써래판의 세움 각은 후방을 향하여 70도 이내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써래의 써래판이 무논의 지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여 평탄성이 향상되도록 하며, 무논에서 높은 곳의 흙을 끌거나 밀어내는 경우 써래의 세움 각이 써래판의 후단은 상향되고 지지대로 구성된 써래판의 전단은 후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향되어 흙을 파내므로 써래판의 후단에 결합된 써래편이나 써래날을 보호하며, 일자형의 긴 지지대로 구성된 써래판의 전단이 흙을 파냄에 따라 파낸 자리가 매끄럽게 되고, 밭에서 평탄작업 시 신축실린더의 조작에 의하여 일자형의 긴 지지대로 구성된 써래판의 전단이 다소 하향되게 하여 골과 두둑이 형성되지 않게 하거나 통상 톱날 형상으로 되어 있는 써래판의 후단이 하향되게 하여 골과 두둑이 형성되도록 농가가 선택하여 작업할 수 있고, 트랙터가 후진하면서 써래로 흙을 밀 때 써래판의 상부 작동부에 흙이나 이물질이 남거나 끼지 않음으로써 써래의 작동에 방해를 받지 않게 하여 고장을 방지하고, 대략
Figure 112009077686669-PAT00007
또는
Figure 112009077686669-PAT00008
형상의 견고한 프레임 구조에 의하여 트랙터의 후진 흙 밀기 시에도 프레임이 뒤틀려 써래가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트랙터용 써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트랙터용 써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트랙터용 써래의 제1스토퍼에 프레임이 접촉된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트랙터용 써래가 상승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트랙터용 써래가 하강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트랙터용 써래가 세움 각을 세운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트랙터용 써래가 흙 끌기를 하는 상태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트랙터용 써래가 흙 밀기를 하는 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트랙터용 써래는 전단은 트랙터(A)의 후단에 결합되는 로타리(B)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후단은 써래판(50)과 연결되는 프레임(20)과, 전단은 로타리(B)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후단은 프레임(20)과 힌지 결합되는 신축실린더(10)로 구성된다.
상기 신축실린더(10)의 일측과 결합되는 장홀 브라켓(30)에 장홀(30a)을 형성하여 상기 장홀(30a)의 유격 범위 내에서 써래가 자율적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써래판(50)은 도 1에서와 같이 통상 중앙판(51)과 좌우측의 외측판(52)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외측판(52)은 상기 중앙판(51)으로 접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써래판(50)은 각도브라켓(40)이 돌출 형성되어 프레임(20)의 후단과 힌지 결합되고, 상기 각도브라켓(40)에는 상기 프레임(20)에 접촉 지지되는 제1스토퍼(41)가 형성된다.
상기 제1스토퍼(41)는 상기 프레임(20)의 하면 또는 후면과 접촉 지지되어 지고, 상기 프레임(20)과 접촉된 경우 상기 써래판(50)의 세움 각이 전방에 대하여 30도 이내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어 진다.
한편, 상기 각도브라켓(40)에는 상기 써래판(50)의 세움 각이 전방에 대하여 30도 이내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탄성부재(41a)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스토퍼(41)는 상기 각도브라켓(40)에 형성되어 있으나, 각 도브라켓(40)과 인접한 써래판(50)에 상기 제1스토퍼(41)를 형성되게 하여 상기 프레임(20)과 접촉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신축실린더(10)를 수축시키면 써래작업 시 다소 눕혀져 있던 써래판(50)이 상기 탄성부재(41a)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20)의 하면 또는 후면에 제1스토퍼(41)가 접촉 지지되고, 계속하여 상기 신축실린더(10)를 수축시키면 써래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승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도브라켓(40)에는 상기 제1스토퍼(41)의 상측방향으로 상기 프레임(20)에 접촉 지지되는 제2스토퍼(42)가 형성된다.
상승된 써래를 하강시키기 위하여 상기 신축실린더(10)를 신장시키면 상기 써래가 하강되어 지면에 닿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신축실린더(10)를 계속하여 신장시키게 되면 상기 써래의 세움 각이 상기 써래판(50)의 후단은 상향되고, 전단은 후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향되면서 써래판(50)의 전단인 지지대(50a) 부분이 지면에 닿게 되며, 후단인 써래날(50b) 부분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써래날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고, 흙을 끌거나 밀때 흙을 파낸 자리가 매끄러워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써래를 세우는 경우, 써래판의 지면에 대한 세움 각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각도브라켓(40)에는 상기 프레임(20)과 접촉 지지되게 제2스토퍼(42)가 형성되어 진다.
따라서, 흙을 끌거나 밀기 위하여 상기 신축실린더(10)를 신장시키면 써래 판(50)의 후단이 상향되고 그 전단이 상대적으로 하향되다가 상기 제2스토퍼(42)에 접촉되면서 정지되어져 상기 써래판(50)의 세움 각이 제한되어 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계속하여 상기 신축실린더(10)를 신장하게 되면 상기 써래판(50)을 누르는 힘이 더욱 가해져서 지지대(50a)가 지면에 접촉되면서 흙을 효과적으로 파낼 수 있게 되며, 평탄하게 파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스토퍼(42)는 상기 써래판(50)의 세움 각이 후방에 대하여 70도 이내의 각도를 갖도록 상기 각도브라켓(40)의 상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프레임의 상면 또는 후면과 접촉 지지되면서 세움 각이 제한되어 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스토퍼(42)가 상기 각도브라켓(40)에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제2스토퍼(42)는 각도브라켓(40)과 인접한 써래판(50)에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과 접촉되게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써래가 무논의 지면에 대한 일정한 써래작업의 각도를 유지하여 평탄성을 향상시키고, 써래의 구성을 간단히 하면서도 무논 높은 곳의 흙을 끌거나 밀고자 할 때 써래의 세움 각이 써래판의 후단은 상향되고 지지대로 구성된 써래판의 전단은 상대적으로 하향되어 흙을 파내므로 써래판의 후단에 결합된 써래편이나 써래날을 보호하며, 일자형의 긴 지지대로 구성된 써래판의 전단이 흙을 파낸 자리가 매끄럽게 되도록 하고, 밭에서 평탄작업 시 신축실린더의 조작에 의하여 일자형의 긴 지지대로 구성된 써래판의 전단이 다소 하향되게 하여 골과 두둑이 형성되지 않게 하거나 통상 톱날 형상으로 되어 있는 써래판의 후단이 하향되 게 하여 골과 두둑이 형성되도록 농가가 선택하여 작업할 수 있고, 트랙터가 후진하면서 써래로 흙을 밀 때 써래판의 상부 작동부에 흙이나 이물질이 남거나 끼지 않아 써래의 작동에 방해를 받지 않게 하여 고장을 방지하고, 대략
Figure 112009077686669-PAT00009
또는
Figure 112009077686669-PAT00010
형상의 견고한 프레임 구조에 의하여 트랙터의 후진 흙 밀기 시에도 프레임이 뒤틀려 써래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트랙터용 써래에 관한 것으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트랙터용 써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트랙터용 써래의 제1스토퍼에 프레임이 접촉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트랙터용 써래가 상승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트랙터용 써래가 하강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트랙터용 써래가 세움 각을 세운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트랙터용 써래가 흙 끌기를 하는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트랙터용 써래가 흙 밀기를 하는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트랙터 B: 로타리
10: 신축실린더 20: 프레임
30: 장홀 브라켓 30a: 장홀
40: 각도브라켓 41: 제1스토퍼
41a: 탄성부재 42: 제2스토퍼
50: 써래판 51: 중앙판
52: 외측판 50a: 지지대
50b: 써래날

Claims (4)

  1. 전단은 트랙터용 로타리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후단은 써래판과 연결되는 프레임과, 상기 써래판을 승강시키는 신축실린더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써래에 있어서,
    상기 신축실린더는 전단이 상기 로타리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후단은 상기 프레임과 힌지 결합되게 구성되며,
    상기 써래판에는 상기 프레임의 후단과 힌지 결합되어 상하 스윙될 수 있도록 각도브라켓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각도브라켓에는 상기 신축실린더를 수축시킴에 따라 상기 프레임에 맞닿아 상기 써래판이 들려지도록 제1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프레임의 후면 또는 하면에 접촉 지지되고 상기 써래판의 세움 각이 전방을 향하여 30도 이내로 되게 형성되며,
    상기 써래판의 세움 각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각도브라켓에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래.
  3. 전단은 트랙터용 로타리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후단은 써래판과 연결되는 프 레임과, 상기 써래판을 승강시키는 신축실린더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써래에 있어서,
    상기 신축실린더는 전단이 상기 로타리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후단은 상기 프레임과 힌지 결합되게 구성되며,
    상기 써래판에는 상기 프레임의 후단과 힌지 결합되어 상하 스윙될 수 있도록 각도브라켓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각도브라켓에는 상기 프레임에 접촉 지지되며 상기 신축실린더를 신장시킴에 따라 상기 써래판의 세움 각이 후단은 상향되고 전단은 후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향되도록 제2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토퍼는 프레임의 후면 또는 상면에 접촉 지지되며, 상기 써래판의 세움 각은 후방을 향하여 70도 이내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래.
KR1020090125242A 2009-12-16 2009-12-16 트랙터용 써래 KR201100683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242A KR20110068342A (ko) 2009-12-16 2009-12-16 트랙터용 써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242A KR20110068342A (ko) 2009-12-16 2009-12-16 트랙터용 써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342A true KR20110068342A (ko) 2011-06-22

Family

ID=44400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242A KR20110068342A (ko) 2009-12-16 2009-12-16 트랙터용 써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834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466B1 (ko) * 2011-12-29 2014-03-03 주식회사 웰스텍 수평조절이 가능한 트랙터용 써레
KR101436155B1 (ko) * 2012-07-19 2014-09-01 주식회사 웰스텍 파손방지수단이 구비된 트랙터용 써레
KR20210152967A (ko) * 2020-06-09 2021-12-16 박기혁 트랙터용 써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466B1 (ko) * 2011-12-29 2014-03-03 주식회사 웰스텍 수평조절이 가능한 트랙터용 써레
KR101436155B1 (ko) * 2012-07-19 2014-09-01 주식회사 웰스텍 파손방지수단이 구비된 트랙터용 써레
KR20210152967A (ko) * 2020-06-09 2021-12-16 박기혁 트랙터용 써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217348U (zh) 全方位深松旋耕联合作业机
KR101193401B1 (ko) 로터리용 배토기
JP4837948B2 (ja) 耕起・整地装置の砕土作業具およびこれを取り付けた耕起・整地装置
JP5237041B2 (ja) 粗耕起作業機
KR20110068342A (ko) 트랙터용 써래
KR101107200B1 (ko) 트랙터용 써레
KR20110069988A (ko) 트랙터용 써래
CN2817330Y (zh) 中耕深松机
KR200442976Y1 (ko) 로터베이터와 배토기가 일체로 형성된 경작장치
US2514091A (en) Earthworking implement
JP5800393B2 (ja) その場反転プラウのレキ土反転調整装置
JP3940698B2 (ja) サブソイリングディガ−プラウ作業機
KR20110062876A (ko) 트랙터용 써래
KR100424917B1 (ko) 트랙터용 써레
JP6386482B2 (ja) ロータリ耕耘機のスキッド装置
KR200475597Y1 (ko) 포크레인용 쟁기장치
KR20200058333A (ko)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
CN208285769U (zh) 一种深施肥松耙联合作业机
CN208434284U (zh) 河道整治用联合整地机
JP4970988B2 (ja) 掘取刃用芋落下防止具及び掘取刃からの芋落下防止具付きポテトハーベスター
KR200445186Y1 (ko) 트랙터용 써레
JP2002369602A (ja) 複合耕耘作業機
CN208540389U (zh) 分层式犁体总成
CN209435759U (zh) 一种葡萄埋土犁片
KR102611366B1 (ko) 포크레인용 쟁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