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199B1 - 대리석 타공용 드릴 유도 장치 - Google Patents

대리석 타공용 드릴 유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199B1
KR102661199B1 KR1020230136457A KR20230136457A KR102661199B1 KR 102661199 B1 KR102661199 B1 KR 102661199B1 KR 1020230136457 A KR1020230136457 A KR 1020230136457A KR 20230136457 A KR20230136457 A KR 20230136457A KR 102661199 B1 KR102661199 B1 KR 102661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marble
drilling
dust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6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앙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앙에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앙에너지
Priority to KR1020230136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1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B28D1/146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리석을 타공할 때 대리석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드릴 유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릴이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한 상태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진동을 최소화 함에 따라 진동에 의한 대리석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대리석 타공용 드릴 유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리석 타공용 드릴 유도 장치는, 드릴을 가공 방향으로 고정하는 드릴 고정부, 드릴이 고정된 상태에서 가공 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가공 방향 지지부 및 드릴을 가공면과 수직을 이룬 상태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가공면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대리석 타공용 드릴 유도 장치{Drill guidance device for drilling marble}
본 발명은 대리석을 타공할 때 대리석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드릴 유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릴이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한 상태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진동을 최소화 함에 따라 진동에 의한 대리석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대리석 타공용 드릴 유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리석은 건물의 외장이나 계단을 시공할 때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실내 인테리어 용도로 사용하거나, 싱크대, 식탁 등에 대리석을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대리석은 필요에 따라 정수기 호스나 앵커 등을 설치하기 위해 추가적인 가공이 필요하게 되는데 주로 용도에 맞도록 홀을 타공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홀은 드릴을 이용해 가공하게 되는데 대리석은 작은 충격에도 잘 깨지는 성질에 의해 드릴 가공 중 드릴의 진동에 의해 쉽게 깨지며, 가공 시 분진이 발생하여 분진에 의한 주변이 오염되거나 작업자가 흡입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홀의 크기나 경사도 크기 등 정밀하지 못하게 가공될 경우, 의도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대리석이 파손되지 않도록 가공하기 위해 주의력을 집중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피로도가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드릴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홀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관련하여 선행문헌 1(등록특허 10-1499529 천공 장치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방법)에서는 드릴에 부착하여 드릴을 지지한 상태로 피 가공물을 가공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있다.
하지만, 작업 위치에 드릴을 마운트 함에 있어서, 작업자가 파지한 상태로 앵글과 같은 가공물에 고정 지지하여 가공하기 때문에 평면형태의 피 가공물에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분진이 발생하여 분진에 의해 주변이 오염되고, 가공 후 가공물로부터 발생된 분진이나 칩 등을 다시 회수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지연되고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선행문헌 1(등록특허 10-1499529 천공 장치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대리석을 타공할 때, 가공 위치에 드릴을 고정한 상태로 타공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하여 정확한 타공이 가능하게 되고, 드릴로부터 대리석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최소화하여 타공 중 대리석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대리석 타공 중 발생하는 분진이 누출되지 않도록 회수하여 작업 공간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대리석 타공용 드릴 유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리석 타공용 드릴 유도 장치는, 드릴을 가공 방향으로 고정하는 드릴 고정부, 드릴이 고정된 상태에서 가공 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가공 방향 지지부 및 드릴을 가공면과 수직을 이룬 상태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가공면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드릴이 대리석을 가공하는 위치에는 드릴 가공에 의해 발생하는 분진이 누출되지 않도록 진공에 의해 흡입하는 분진 흡입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드릴 고정부는, 드릴이 가공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드릴 지지블럭과, 상기 드릴 지지블럭에 삽입 고정되어 드릴의 가공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드릴 지지바 및 상기 드릴 지지바가 드릴 지지블럭에 삽입되는 다른쪽 끝부분에 구비되어 드릴의 헤드 부분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드릴 고정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드릴 지지블럭은, 상기 드릴 지지바를 드릴의 가공 위치로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고정 볼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드릴 고정링은 내측에 드릴의 헤드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회전지지 베어링 및 상기 회전 지지 베어링 내측에 구비되어, 드릴의 헤드를 유동 없이 고정할 수 있도록 연질로 코팅된 연질 코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가공면 고정부는, 가공면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는 실리콘 패드 및 상기 실리콘 패드의 외측에 다수개로 구비되어 가공면에 흡착되며 고정되는 흡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석 타공용 드릴 유도 장치.
상기 분진 흡입부는, 드릴이 대리석을 가공하는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분진을 회수할 수 있는 분진 회수 하우징과, 상기 분진 회수 하우징에 연결되어 진공에 의해 분진을 흡입하는 진공 흡입관 및 상기 진공 흡입관 측으로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 흡입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분진 회수 하우징은 드릴이 대리석을 가공하는 경로에 드릴비트가 삽입되며 대리석을 가공할 수 있는 드릴 삽입홀이 형성되고, 가공면과 접촉되는 외측 둘레를 따라 누출 방지 실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진공 흡입기는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팬 및 상기 진공팬 측으로 분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진 누출 방지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공면 고정부에는 테이프를 인출하여 가공 위치에 부착할 수 있는 파손 방지 테이핑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리석 타공용 드릴 유도 장치는 대리석을 가공함에 있어서 드릴의 진동을 최소화하면서 드릴이 타공 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지지하여 대리석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정확한 가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드릴 가공 시 분진이 누출되지 않도록 흡입하여 주변이 분진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릴을 스프링에 의해 지지하여 작업자는 드릴을 지지할 때 보다 적은 힘으로 지지하면서 안정적으로 대리석을 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리석 타공용 드릴 유도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리석 타공용 드릴 유도 장치에 드릴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리석 타공용 드릴 유도 장치에서 분진 회수 하우징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리석 타공용 드릴 유도 장치에서 테이핑부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리석 타공용 드릴 유도 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리석 타공용 드릴 유도 장치에서 진공 흡입기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대리석을 타공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특히 대리석이 파손되지 않도록 유동을 최소화하며 타공할 수 있고, 타공되는 홀을 정확하게 타공하기 위해 타공 방향으로만 드릴을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며 타공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타공 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여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리석 타공용 드릴 유도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리석 타공용 드릴 유도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리석 타공용 드릴 유도 장치에 드릴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드릴을 유동 없이 타공 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는 드릴 고정부(100)와, 드릴에 의해 대리석이 타공되는 방향을 안내하며 지지하는 가공 방향 지지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대리석과 접촉되는 면에는 가공 시 드릴(D)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가공면에 고정할 수 있는 가공면 고정부(300)가 구비된다.
상기 가공면 고정부(300)에서 대리석이 타공되는 홀 방향에는 타공 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할 수 있는 분진 흡입부(4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드릴 고정부(100)는, 대리석에 타공홀이 가공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드릴(D)를 지지하는 드릴 지지블럭(110)과, 상기 드릴 지지블럭(110)으로부터 드릴(D) 측으로 연장되어 드릴(D)의 위치를 조절하며 드릴(D)을 지지할 수 있는 드릴 지지바(120) 및 상기 드릴 지지바(120)가 드릴 지지블럭(110)에 고정되는 다른쪽 끝부분에 구비되어 드릴(D) 헤드의 외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드릴 고정링(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드릴 지지블럭(110)에는 상기 드릴 지지바(120)의 길이를 조절하며 가공하고자 하는 위치에 맞게 드릴(D)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 볼트(111)가 더 구비된다.
상기 고정 볼트(111)는 상기 드릴 지지바(120)와 수직 방향으로 체결되며 드릴 지지바(120)로부터 이격되면 드릴 지지바(120)가 드릴 지지블럭(110)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되고, 드릴 지지바(120) 측으로 체결되면 드릴 지지바(120)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드릴 고정링(130)은, 내측에 드릴(D)의 헤드 외측을 감싸면서 구비되고, 드릴(D)의 헤드가 고정되는 내측면에는 드릴(D)의 헤드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연질 코팅부(132)가 형성된다.
상기 가공 방향 지지부(200)는, 상기 드릴 고정부(100)를 가공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되어 가공면을 향해 드릴 지지블럭(110)이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샤프트(210) 및 상기 드릴 지지블럭(110)이 가공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로에서 외측에 구비되어 드릴 지지블럭(110)을 탄성에 의해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공면 고정부(300)는 가공면과 접촉되며 마찰에 의해 유동을 방지하는 실리콘 패드(310) 및 실리콘 패드(310)의 외측으로 다수개가 구비되어 가공면과 흡착 고정되는 흡착판(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진 흡입부(400)는, 대리석이 타공되는 부분 외측으로 구비되어 타공 시 발생되는 분진이 누출되지 않도록 회수하는 분진 회수 하우징(410)과, 상기 분진 회수 하우징(410)의 일측에 연결되어 분진 회수 하우징(410)으로부터 분진을 흡입하는 진공 흡입관(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진공 흡입관(420)이 분진 회수 하우징(410)과 연결된 다른쪽 끝부분에 구비되어 진공을 발생시키며 분진을 흡입하여 회수하는 진공 흡입기(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진 회수 하우징(410)은 드릴(D)이 대리석을 타공하는 경로에 드릴 삽입홀(411)이 형성되고, 가공면과 접촉되는 둘레를 따라 누출 방지 실링(41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누출 방지 실링(412)은, 분진 회수 하우징(410)이 가공면과 접촉되는 외측으로 절곡되며 밀착되는 외측 절곡 실링(412a) 및 그 내측으로 나란하게 구비되되 내측을 향해 절곡되는 내측 절곡 실링(412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 인해, 대리석이 파손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가공하되, 가공 경로를 정교하게 유지하여 가공홀을 정교하게 가공할 수 있고, 가공 중 발생되는 분진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리석 타공용 드릴 유도 장치에서 분진 회수 하우징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분진 회수 하우징(410)은, 가공면 고정부(300)의 내측 공간과 대응되게 구비되어 가공면 고정부(30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로 인해, 가공면 고정부(300)를 가공면으로 정확하게 고정한 후 분진 회수 하우징(410)을 별도로 설치하여 타공홀의 위치에 드릴(D)를 고정함에 있어서 정확한 위치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리석 타공용 드릴 유도 장치에서 테이핑부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공면 고정부(300)의 외측으로는 대리석이 타공되는 위치에 테이프를 부착함에 따라 대리석이 파손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파손 방지 테이핑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손 방지 테이핑부(500)는 대리석의 타공위치로 테이프를 연속으로 공급하며 부착할 수 있는 것으로, 다량의 테이프(T)가 권취되어 공급되는 테이프 공급롤(510) 및 상기 테이프 공급롤(510)에서 공급되는 테이프(T)를 칼이나 가위 등 별도의 도구 없이 간편하게 절단할 수 있는 테이프 절단날(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 인해, 타공 전 대리석의 타공 위치에 테이프를 절단하여 부착한 후 타공함에 따라 드릴의 진동에 의해 대리석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리석 타공용 드릴 유도 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대리석(M)의 타공 위치에는 테이프(T)가 부착된 상태로 드릴(D) 가공을 할 수 있다.
이때, 분진 회수 하우징(410)은 분리된 상태에서 테이프(T)가 부착되고, 테이프(T)를 부착한 후 분진 회수 하우징(410)을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드릴(D)은 테이프(T)가 부착되는 면과 수직을 이루며 고정되고, 가공 위치에 맞게 길이가 조정되어 고정된 상태로 대리석(M) 측으로 접근하여 대리석(M)의 파손을 최소화하며 가공할 수 있게 된다.
가공이 완료되면 테이프(T)는 분리하고, 다른 대리석(M)을 타공할 때 다시 테이프(T)를 테이프 공급롤(510)에서부터 인출하여 테이프 절단날(520)로 절단한 후 가공 위치에 부착함에 따라 여러번 테이프(T)를 부착하여 타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테이프(T)가 모두 소진되면 테이프 교체핀(530)을 분리하여 다른 테이프(T)로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리석 타공용 드릴 유도 장치에서 진공 흡입기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진공 흡입기(430)는 내부의 공기를 외측으로 배출하여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팬(431) 및 상기 진공팬(431)의 외측으로 구비되어 분진이 진공팬(431) 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진 누출 방지 필터(4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 인해, 분진 회수 하우징(410)으로부터 분진이 회수되면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진공 흡입기(430) 내측으로 회수되어 분진이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대리석을 타공함에 있어서, 드릴을 고정한 상태로 가공 방향을 향해서만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고정 및 유도함에 따라 대리석을 정밀하게 타공할 수 있고, 드릴의 동작에 따른 유동을 최소화하여 대리석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드릴 가공 시 발생되는 분진을 회수하여 분진이 주변으로 누출되어 주변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0 : 드릴 고정부 110 : 드릴 지지블럭
111 : 고정 볼트 120 : 드릴 지지바
130 : 드릴 고정링 131 : 회전 지지 베어링
132 : 연질 코팅부 200 : 가공 방향 지지부
210 : 가이드 샤프트 220 : 지지 스프링
300 : 가공면 고정부 310 : 실리콘 패드
320 : 흡착판 400 : 분진 흡입부
410 : 분진 회수 하우징 411 : 드릴 삽입홀
412 : 누출 방지 실링 412a : 외측 절곡 실링
412b : 내측 절곡 실링 420 : 진공 흡입관
430 : 진공 흡입기 431 : 진공팬
432 : 분진 누출 방지 필터 500 : 파손 방지 테이핑부
510 : 테이프 공급롤 520 : 테이프 절단날
530 : 테이프 교체핀 D : 드릴
M : 대리석 T : 테이프

Claims (7)

  1. 드릴(D)을 가공 방향으로 고정하는 드릴 고정부(100);
    드릴(D)이 고정된 상태에서 가공 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가공 방향 지지부(200); 및
    드릴(D)을 가공면과 수직을 이룬 상태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가공면 고정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드릴 고정부(100)는, 드릴(D)이 가공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드릴 지지블럭(110)과, 상기 드릴 지지블럭(110)에 삽입 고정되어 드릴(D)의 가공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드릴 지지바(120) 및 상기 드릴 지지바(120)가 드릴 지지블럭(110)에 삽입되는 다른쪽 끝부분에 구비되어 드릴(D)의 헤드 부분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드릴 고정링(130)을 포함하고,
    상기 드릴 지지블럭(110)은, 상기 드릴 지지바(120)를 드릴(D)의 가공 위치로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고정 볼트(11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석 타공용 드릴 유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드릴(D)이 대리석(M)을 가공하는 위치에는 드릴(D) 가공에 의해 발생하는 분진이 누출되지 않도록 진공에 의해 흡입하는 분진 흡입부(4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석 타공용 드릴 유도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 고정링(130)은 내측에 드릴(D)의 헤드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회전 지지 베어링(131) 및 상기 회전 지지 베어링(131) 내측에 구비되어, 드릴(D)의 헤드를 유동 없이 고정할 수 있도록 연질로 코팅된 연질 코팅부(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석 타공용 드릴 유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면 고정부(300)는, 가공면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는 실리콘 패드(310) 및 상기 실리콘 패드(310)의 외측에 다수개로 구비되어 가공면에 흡착되며 고정되는 흡착판(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석 타공용 드릴 유도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 흡입부(400)는, 드릴(D)이 대리석(M)을 가공하는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분진을 회수할 수 있는 분진 회수 하우징(410)과, 상기 분진 회수 하우징(410)에 연결되어 진공에 의해 분진을 흡입하는 진공 흡입관(420) 및 상기 진공 흡입관(420) 측으로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 흡입기(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석 타공용 드릴 유도 장치.

KR1020230136457A 2023-10-13 2023-10-13 대리석 타공용 드릴 유도 장치 KR102661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6457A KR102661199B1 (ko) 2023-10-13 2023-10-13 대리석 타공용 드릴 유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6457A KR102661199B1 (ko) 2023-10-13 2023-10-13 대리석 타공용 드릴 유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1199B1 true KR102661199B1 (ko) 2024-05-02

Family

ID=91071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6457A KR102661199B1 (ko) 2023-10-13 2023-10-13 대리석 타공용 드릴 유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19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529B1 (ko) 2013-06-17 2015-03-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천공 장치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방법
KR102441488B1 (ko) * 2022-05-17 2022-09-07 주식회사 대성지티 호환성이 뛰어난 건식 코어드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529B1 (ko) 2013-06-17 2015-03-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천공 장치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방법
KR102441488B1 (ko) * 2022-05-17 2022-09-07 주식회사 대성지티 호환성이 뛰어난 건식 코어드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4857B2 (en) Wire saw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device for workpiece
US20200001418A1 (en) Cutting apparatus
US5791842A (en) Chip suction and disposal device for a machine tool having an automatic tool exchanging structure
JP4708966B2 (ja) 切削装置
KR20130134547A (ko) 칩 제거장치 및 이를 갖는 홀 가공장치
SE456143B (sv) Med laser arbetande bearbetningsmaskin
CN109531842B (zh) 切削刀具的安装机构
KR102661199B1 (ko) 대리석 타공용 드릴 유도 장치
JP5087113B2 (ja) 携帯用切削工具及び集塵構造体
US10751848B2 (en) Dust extraction attachment for rotary tool
EP2474384B1 (en) Dust extractor and drill collar
JP2014177137A (ja) 携帯用切削工具及び集塵構造体
KR20110133325A (ko) 코어 드릴 장치
CN210878857U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立式加工中心
JP6206205B2 (ja) 切削装置
JP5965815B2 (ja) 切削装置
JP6709457B2 (ja) 被加工部材の加工方法及び加工装置
JP2013188856A (ja) ドリル駆動装置及びドリル駆動方法
KR20200046251A (ko) 공작기계의 칩 비산 방지 장치
JPH10337604A (ja) 穴あけ加工装置
JP6078363B2 (ja) 工作機械の吸引装置
US11331761B2 (en) Suction device
JP2023107577A (ja) 穿孔装置、着脱方法及びコアビット
TW201628740A (zh) 鑽孔裝置
KR101949221B1 (ko) 생산성과 가공 정밀도가 향상된 목질 판재 가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