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0957B1 -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 - Google Patents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0957B1
KR102660957B1 KR1020220085841A KR20220085841A KR102660957B1 KR 102660957 B1 KR102660957 B1 KR 102660957B1 KR 1020220085841 A KR1020220085841 A KR 1020220085841A KR 20220085841 A KR20220085841 A KR 20220085841A KR 102660957 B1 KR102660957 B1 KR 102660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fering
general
guide
hand grinder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4639A (ko
Inventor
이한근
Original Assignee
이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근 filed Critical 이한근
Publication of KR20230014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9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B23C3/126Portable devices or machines for chamfer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79/00Methods, machines, or devices not covered elsewhere, for working metal by removal of material
    • B23D79/02Machines or devices for scraping
    • B23D79/04Machines or devices for scraping with rotating cutting-tool, e.g. for smoothing linings of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툴 장착용 스핀들과 커플링 림이 구비된 범용 핸드 그라인더에 장착되는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는 면취 커터부와 면취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면취 커터기는 스핀들과 결합되는 회전바디와, 회전바디의 단부에 구비된 복수의 홀더와, 각 홀더에 장착되는 면취용 커터날을 포함한다. 면취 가이드부는 면취 커터부와 분리 구성되는 것으로서, 면취 커터부가 통과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며, 관통공의 중심을 지나는 축과 45도를 이루는 경사면이 하면에 형성된 가이드 블록과, 가이드 블록 상단에 구비되며 커플링 림에 체결되는 체결구와, 경사면에 지지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면취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Deburring machine adaptively applicable to hand grinder}
본 발명은 범용 핸드 그라인더에 적응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면취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핸드 그라인더에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며, 적절한 자중으로 안정적인 면취를 제공하는 동시에 면취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에 관한 것이다.
핸드 면취기는 주로 금속 재료의 모서리를 절삭하는 이른바 "모따기(chamfering)" 또는 "버제거(deburring)"라고 알려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공구이다. 일반적으로, 핸드 면취기는 재료를 절삭하는 커터날과 재료의 모서리를 절삭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65734호는 압축공기에 의해 구동되는 "에어공구를 이용한 면취기"를 개시한다. 본 문헌에 개시된 면취기는 에어공구 본체와 회전커터, 그리고 압축공기의 동력에 의해 회전커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다수의 부품들을 포함한다. 위 면취기는 복잡한 부품과 구성으로 인해 제작이 용이하지 않고, 그로 인해 제조비용이 높아지고, 부품의 교환이나 수리에 적지 않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86898호에 개시된 “휴대용 면취기” 는 구동수단이 구비된 하우징에 회전절삭구와 절삭날을 구비하고, 직각받침대가 받침대 홀더를 통해 하우징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문헌의 휴대용 면취기는 한 쌍의 부재로 구성된 직각받침대가 상호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면취량을 조절할 수가 없으며, 진퇴 단관의 나사결합에 의해 간접적으로 조절이 가능할 뿐이다. 또한, 하우징 본체 외에 별도의 자중을 부여하는 구성이 없어 면취 작업시 진동이나 떨림에 상대적으로 취약하고, 양손으로 면취기를 잡거나 지지하는 구성이 결여되어 있다.
무엇보다도, 위 문헌들의 면취기에서는 에어공구 본체와 구동수단이 구비된 하우징 등은 범용 공구가 아니라, 해당 면취기의 고유한 구성품으로서 제작되고 면취 작업 전용으로 사용될 뿐이다.
금속 자재를 이용한 가공 제작 현장에서는 여러가지 다양한 공구들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용도나 기능이 제한되지 않은 범용 공구들이 사용되는데, 이들 범용 공구(예컨대, 범용 핸드 그라인더)를 사용하여 면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면취기가 제공된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65734호 2.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8689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별도의 면취용 동력 기구를 구비하지 않고 기존의 범용 핸드 그라인더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중을 부여함으로써 면취 중에 발생하는 떨림이나 진동에도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한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면취 커터부와 면취 가이드부를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커터날의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각 부품의 유지 보수가 간편한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면취량을 적응적으로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는, 툴 장착용 스핀들과 커플링 림이 구비된 범용 핸드 그라인더에 분리 및 조립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스핀들과 결합되는 회전바디와, 상기 회전바디의 단부에 구비된 복수의 홀더와, 상기 각 홀더에 장착되는 면취용 커터날을 포함하는 면취 커터부; 및 상기 면취 커터부와 분리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면취 커터부가 통과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중심을 지나는 축과 45도를 이루는 경사면이 하면에 형성된 가이드 블록과, 상기 가이드 블록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커플링 림에 체결되는 체결구와, 상기 경사면에 지지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면취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블록의 경사면은, 상기 관통공의 중심을 지나는 축과 45도를 이루는 제1경사면과, 상기 제1경사면에 직각을 이루는 제2경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경사면에 고정되는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경사면에 상기 제1경사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송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가이드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는, 상기 가이드 블록의 제2경사면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상면까지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조절공; 상기 조절공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상응하는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조절공을 따라 상하 이송되며, 그 하단은 상기 제2가이드부재에 고정되는 조정 볼트; 상기 조정 볼트의 상단에 구비된 조정 손잡이; 및 상기 조정 손잡이와 가이드 블록 사이에서 상기 조정 볼트에 체결되는 잠금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는, 상기 가이드 블록의 제2경사면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가이드 홀; 및 상기 가이드 홀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그 하단이 상기 제2가이드부재와 결합되는 가이드 바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구는, 상기 가이드 블록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커플링 림의 외경과 같거나 그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원호형 내주면이 형성된 제1체결부재; 및 상기 제1체결부재에 착탈 결합되며, 상기 제1체결부재의 원호형 내주면에 그 일측이 지지된 상기 커플링 림의 타측을 지지하는 내측면을 갖는 제2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재의 내측면은 상기 제1체결부재의 원호형 내주면과 동일한 내경의 원호형 내주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및 제2체결부재의 원호형 내주면이 상기 커플링 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재는 상기 가이드 블록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구는, 상기 커플링 림보다 큰 내경을 가진 체결공이 형성된 환형 테두리; 상기 환형 테두리에 형성된 복수의 나사공; 및 상기 나사공에 결합되는 잠금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 블록의 경사면에 지지되는 제1접촉부와, 제1접촉부의 일단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제2접촉부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가 만나는 모서리 부분 중, 상기 면취 커터부의 위치에 상응하는 부분에는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부의 폭은 상기 제1접촉부의 폭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구는, 상기 가이드 블록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커플링 림의 외경과 같거나 그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원호형 내주면이 형성된 제1체결부재; 및 상기 제1체결부재에 착탈 결합되며, 상기 제1체결부재의 원호형 내주면에 그 일측이 지지된 상기 커플링 림의 타측을 지지하는 내측면을 갖는 제2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재의 내측면은 상기 제1체결부재의 원호형 내주면과 동일한 내경의 원호형 내주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및 제2체결부재의 원호형 내주면이 상기 커플링 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재는 상기 가이드 블록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구는, 상기 커플링 림보다 큰 내경을 가진 체결공이 형성된 환형 테두리; 상기 환형 테두리에 형성된 복수의 나사공; 및 상기 나사공에 결합되는 잠금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는 면취 동력 기구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기존에 시판되고 있는 범용 핸드 그라인더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적응적이고 용이한 면취 작업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는 가이드 블럭에 의해 자중을 부여함으로써 면취 중에 발생하는 떨림이나 진동에도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는 면취 커터부와 면취 가이드부를 별도로 분리 구성함으로써 커터날의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각 부품의 유지 보수가 편리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는 면취량을 적응적으로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 외, 위에서 설명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이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충분히 유추 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만, 이들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의 면취 가이드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의 면취 가이드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의 면취량 조절을 위한 구성의 예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로서, 제2가이드부재의 승강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를 범용 핸드 그라인더에 장착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가 범용 핸드 그라인더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의 체결구와 범용 핸드 그라인더의 체결 상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의 체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체결구와 범용 핸드 그라인더의 체결 상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를 범용 핸드 그라인더에 장착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취기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 "범용 핸드 그라인더"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기존에 출시되어 판매되고 있는 "핸드 그라인더" 또는 "앵글 그라인더"라 불리는 공구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구체적으로 연마휠이나 절단휠 등과 같은 작업툴이 결합될 수 있는 나사형 스핀들을 구비하는 전동 그라인더를 가리킨다. 이러한 범용 핸드 그라인더의 예로서, 보쉬(Bosch)사에서 제조 판매하는 모델명 "GWS" 앵글 그라인더 시리즈, 마끼다(Makita)사에서 제조 판매하는 모델명 "GA" 및 "DGA" 앵글 그라인더 시리즈, 또는 밀워키(Milwaukee)사에서 제조 판매하는 모델명 "AG" 및 "CAG" 그라인더 시리즈 등이 있을 수 있다. 범용 핸드 그라인더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다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의 면취 가이드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의 면취 가이드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위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는 면취 커터부(100)와 면취 가이드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면취 커터부(100)는 후술하는 범용 핸드 그라인더(도 5의 300 참조)의 스핀들(33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구비된 커터날에 의해 금속 등의 면취 소재(미도시)의 모서리를 직접적으로 절삭하여 면취를 수행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면취 커터부(100)는 원통형의 회전 바디(110), 회전 바디(110)의 단부에 구비된 복수의 홀더(112), 및 각 홀더(112)에 장착되는 면취용 커터날(11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바디(110)의 내주면에는 범용 핸드 그라인더(300)의 스핀들(3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상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호 나사 체결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핸드 그라인더(300)의 스핀들(330)과 회전 바디(110)의 결합방식은 나사체결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결합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2개의 홀더(112)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고 있으나, 홀더(112)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면취 소재와 정밀도 등에 따라서 적절한 수의 홀더(112)가 구비될 수 있다. 홀더(112)에는 면취용 커터날(114)이 통상적인 체결 방법, 예를 들어, 볼트 체결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에 있어서, 면취 커터부(100)는 면취 가이드부(200)와 분리되어 구성되는데, 이로 인해 커터날(114)의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부품의 유지 관리가 매우 편리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면취 가이드부(200)는 금속 등의 면취 소재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원활한 면취 작업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하고 면취량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면취 가이드부(200)는 크게 가이드 블록(210)과, 가이드 블록(210)을 범용 핸드 그라인더(300)에 체결시키는 체결구(220)와, 면취 소재의 표면과 접촉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230, 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블록(210)은 면취기 조립체의 몸체를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중량이 있는 금속 소재로 제조되어 면취 공정시 안정적으로 자중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블록(210)에는 면취 커터부(100)가 통과하여 면취 소재를 절삭할 수 있도록 상하 수직 방향으로 관통공(212)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가이드 블록(210)의 측면에는 파지용 손잡이(250)가 결합되어, 작업자가 양손을 사용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면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블록(210)의 상단에는 면취 가이드부(200)를 범용 핸드 그라인더(300)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220)가 구비된다. 체결구(220)는 가이드 블록(210)에 고정되는 제1체결부재(222)와, 제1체결부재(222)에 착탈 결합되는 제2체결부재(2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체결부재(222)는 후술하는 범용 핸드 그라인더(300)의 커플링 림(Coupling Rim, 도 5의 340 참조)에 체결될 수 있도록 커플링 림(340)의 외경과 같거나 그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원호형 내주면(22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원호형 내주면(222a)은 적어도 반원 이상의 호(arc)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체결부재(222)에는 복수의 체결공(222b)이 형성되고 가이드 블록(210)의 상면에는 체결공(222b)에 대응하는 나사공(210a)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들은 볼트(260)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체결부재(224)에도 제1체결부재(222)의 원호형 내주면(222a)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도록 원호형 내주면(224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체결부재(224)가 제1체결부재(222)에 결합될 경우, 제1체결부재(222)에 형성된 원호형 내주면(222a)과 제2체결부재(224)에 형성된 원호형 내주면(224a)에 의해 핸드 그라인더의 커플링 림(340)의 외주면을 감싸는 내주면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을 위해, 제1체결부재(222)의 측면 일부에는 나사산(222c)이 형성되고, 제2체결부재(224)에는 이러한 나사산(222c)에 대응하는 관통공(224b)이 형성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볼트(262)에 의해 상호 착탈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체결부재(222)와 제2체결부재(224)가 볼트에 의해 착탈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됨이 없이, 그 외 다양한 체결수단이 채용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2체결부재(224)가 제1체결부재(222)의 원호형 내주면(222a)과 동일한 내경의 원호형 내주면(224a)을 갖는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제2체결부재(224)는 핸드 그라인더의 커플링 림(340)의 외주면 중 일측이 제1체결부재(222)의 원호형 내주면(222a)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커플링 림(340)의 외주면 중 타측을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면 충분하므로, 제2체결부재(224)의 내측면은 반드시 원호형일 필요는 없으며, 타원호형 등 다른 곡선형이거나 직선형이라도 무방하다.
또 다른 예로서, 제1체결부재(222)는 가이드 블록(2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일체로 형성된 제1체결부재(222)에 대해 제2체결부재(224)가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서 참조번호 226로 표기된 구성요소는 면취 커터부(100)의 회전 바디(110)와 가이드 블록(210)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을 가리킨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장착 공정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가이드 블록(210)의 하부에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230, 240)가 결합된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블록(210)의 하단에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230, 24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2경사면(214, 216)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경사면(21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을 기준으로 관통공(212)의 중심을 지나는 축(C)에 대해 45도의 경사각(θ1)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1경사면(214)과 제2경사면(216)은 상호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경사면(214)과 축(C)이 이루는 각도(θ1)와 제2경사면(216)과 축(C)이 이루는 각도(θ2)는 모두 45도로 동일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가이드부재(230, 240)는 면취 소재의 표면과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구체적으로, 면취 소재의 일 표면과 접촉하는 제1가이드부재(230)와, 면취 소재의 일 표면에 직각인 인접 표면과 접촉하는 제2가이드부재(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230, 240)는 소재를 면취하기 위해 본 발명의 면취기를 움직이는 방향(도 1의 화살표 A), 즉 면취 소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부재(230, 240)의 길이와 폭은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소재와의 마찰력과 원활하고 안정적인 가이드 기능을 모두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가이드부재(230)는 가이드 블록(210)의 하면에 형성된 경사면 중에서 어느 하나, 예컨대 제1경사면(214)에 볼트결합 등의 공지된 결합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가이드부재(230)가 가이드 블록(210)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면취 커터부(100)의 커터날(114)이 닿아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가이드부재(230)에는 소정 크기의 절개홈(232)이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가이드부재(240)에도 제1가이드부재(230)에 대응하는 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가이드부재(240)는 가이드 블록(210)의 다른 경사면, 즉 제2경사면(216)에 대해 면취량 조절을 위해 왕복 이송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가이드부재(240)는 도 3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즉 제1경사면(214)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송가능하도록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하 운동" 또는 "승강 운동"으로 설명함) 제2경사면(216)에 장착되어, 면취 커터부(100)의 커터날(114)과 면취 소재의 간격을 제어함으로써 면취량을 조절할 수 있다. 면취량 조절이 가능하기 위한 제2가이드부재(240)와 가이드 블록(210)의 결합 구성은 이들의 결합 상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 4를 참조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의 면취량 조절을 위한 구성의 예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로서, 제2가이드부재의 승강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 블록(210)의 제2경사면(216)으로부터 그 경사면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상면까지 조절공(218)이 형성되고, 조절공(218)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절공(218) 내부에는 조정 볼트(242)가 삽입되는데, 조정 볼트(242)의 외주면에는 조절공(218)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상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정 볼트(242)는 조절공(218)과 나사 결합되어, 조정 볼트(242)를 회전시키면 조절공(218)을 따라 도 3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승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 볼트(242)의 하단은 제2가이드부재(240)에 고정되도록 결합되어 조정 볼트(242)의 상하 운동에 의해 제2가이드부재(240) 역시 화살표 B 방향(제1경사면(214)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 볼트(242)의 상단에는 조정 손잡이(244)가 결합되어, 작업자는 조정 손잡이(244)를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조정 볼트(242)의 상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 손잡이(244)와 가이드 블록(210) 사이의 조정 볼트(242)에는 잠금너트(246)가 구비될 수 있다. 잠금너트(246)는 면취량 조절을 위해 소정 위치로 조정된 조정 볼트(242)를 가이드 블록(210)에 대해 고정시킴으로써 일정한 면취량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일종의 잠금장치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 볼트(242)의 회전에 의해 제2가이드부재(240)가 상하 운동을 할 때, 이를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 블록(210)의 제2경사면(216)에는 소정 깊이를 가진 가이드 홀(248)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홀(248)에는 가이드 바아(249)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이러한 가이드 바아(249)의 하단은 제2가이드부재(24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조정 손잡이(244)를 돌려 조정 볼트(242)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때, 제2가이드부재(240)와 연결된 가이드 바아(249)가 가이드 홀(248) 내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제2가이드부재(240)의 움직임을 더욱 안정적으로 유도 및 지지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를 범용 핸드 그라인더(300)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를 범용 핸드 그라인더(300)에 장착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가 범용 핸드 그라인더(300)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범용 핸드 그라인더(300)는 전동 모터(미도시)와 같은 동력수단이 내장된 본체(310)와, 전동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핀들(330)이 위치하는 헤드부(320)로 구성될 수 있다. 헤드부(320)에 구비된 스핀들(330)의 규격은 표준화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에는 일반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연마 브러쉬, 절삭용 커터 등과 같은 각종 툴을 나사체결에 의해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헤드부(320)의 스핀들(330) 주변에는 원형의 커플링 림(340)이 형성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회전하는 툴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미도시)가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범용 핸드 그라인더(300)는 제조사에 따라 규격이나 사양에 차이가 있으나 본체(310)와 헤드부(320)로 구성되는 점은 동일하고, 특히 스핀들(330)의 규격이 표준화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면취기 조립체와 호환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를 범용 핸드 그라인더(300)에 장착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의 면취 커터부(100)를 핸드 그라인더(300)에 장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는 범용 핸드 그라인더(300)의 스핀들(330)을 원통형 회전 바디(110)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회전 바디(110)와 스핀들(330)의 나사산은 스핀들(330)의 회전방향에 대해 상호 잠금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핸드 그라인더(300)의 모터 회전시 회전 바디(110)와 스핀들(330)은 결합은 더욱 강화될 수 있다.
이때, 회전 바디(110)와 스핀들(330)의 결합에 앞서, 회전 바디(110)의 외주면에 베어링(226)을 장착할 수 있다. 베어링(226)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면취 커터부(100)가 가이드 블록(210)의 관통공(212)을 통과해 조립될 때, 회전 바디(110)와 관통공(212)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핸드 그라인더(300)의 구동시 회전 바디(110)가 진동 없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어서, 면취 가이드부(200)를 핸드 그라인더(300)에 장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장착은 면취 가이드부(200)의 체결구(220)를 핸드 그라인더(300)의 커플링 림(340)에 체결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범용 핸드 그라인더(300)의 스핀들(330)에 장착된 면취 커터부(100)가 가이드 블록(210)의 관통공(212)을 통과하도록 면취 가이드부(200)를 조립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바디(110)와 관통공(212)의 내주면 사이에는 베어링(226)이 개재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핸드 그라인더(300)의 헤드부(320)에 구비된 커플링 림(340)의 외경과 같거나 그보다 큰 내경의 원호형 내주면(222a)이 형성된 제1체결부재(222)를 커플링 림(34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위치시키고, 동일한 내경의 원호형 내주면(224a)이 형성된 제2체결부재(224)를 커플링 림(340)의 외주면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도록 위치시킨 후, 제1체결부재(222)와 제2체결부재(224)를 볼트(262) 등에 의해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이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체결부재(222)와 제2체결부재(224) 각각의 원호형 내주면(222a, 224a)이 범용 핸드 그라인더(300)의 커플링 림(340)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면취 가이드부(200)가 범용 핸드 그라인더(300)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체결부재(224)의 내측면이 원호형이 아니라 타원형 등 다른 곡선형이거나 직선형인 경우에는, 제2체결부재(224)의 내측면이 커플링 림(340)의 외주면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지 않으면서 지지하는 상태가 된다.
이 때, 제1, 2가이드부재(230, 240)의 장착 방향은 면취 공정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면취 작업이 용이하도록 면취 가이드부(200)의 방향을 설정한 후 핸드 그라인더(300)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체결부재(222)와 제2체결부재(224)가 구성하는 내주면(222a, 224a)은 제조사별로 핸드 그라인더(300)의 커플링 림(340)의 크기에 맞도록 개별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는 제조사에 따라 핸드 그라인더(300)의 커플링 림(340)의 직경에 차이가 있더라도 이에 구애됨이 없이 체결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체결부재(222, 224)의 원호형 내주면(222a, 224a)에는 복수의 체결 돌기(27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드 그라인더(300)에 구비된 커플링 림(340)의 외경이 제1, 2체결부재(222, 224)의 원호형 내주면(222a, 224a)의 내경보다 작더라도, 복수의 체결 돌기(270)가 그 차이를 보상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커플링 림(340)에 대해서도 체결이 가능하다. 이 경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돌기(270)의 돌출 높이를 조정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제1, 2체결부재(222, 224)의 원호형 내주면(222a, 224a)의 내경이 핸드 그라인더(300)에 구비된 커플링 림(340)의 외경보다 크기만 하면 돌기(270)가 없더라도 커플링 림(340)을 체결함에 별 문제가 없다. 즉, 작은 외경의 커플링 림(340)에 큰 내경의 제1, 2체결부재(222, 224)를 체결하면, 커플링 림(340)의 외주면과 제1, 2체결부재(222, 224)의 원호형 내주면(222a, 224a)이 전체적인 면접촉을 하지 않더라도 상호 부분적인 접촉에 의해서 체결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체결부재(222)와 제2체결부재(224)가 상호 적절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도 8A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의 체결구(28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280)는 가이드 블록(210)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핸드 그라인더(300)의 커플링 림(3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커플링 림(340)보다 큰 내경을 가진 체결공(282a)이 형성된 환형 테두리(28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형 테두리(282)에는 복수의 나사공(282b)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공(282b)에 잠금 볼트(284)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구(280)는 가이드 블록(2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체결구(280)를 구비한 면취 가이드부(200)를 핸드 그라인더(300)에 장착할 경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 그라인더(300)의 커플링 림(340)을 환형 테두리(282) 내부의 체결공(282a)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복수의 잠금 볼트(284)을 조여 그 단부로 커플링 림(340)의 외주면을 가압함으로써 체결을 완성할 수 있다. 이로써, 커플링 림(340)의 외경이 환형 테두리(282)에 형성된 체결공(282a)의 내경보다 다소 작더라도, 어려움 없이 체결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가 핸드 그라인더(300)에 장착되면, 작업자는 원하는 금속 소재(미도시)의 모서리를 면취할 수 있다. 이 때, 제1가이드부재(230)는 금속 소재의 일면(미도시)과 접촉하도록 하고, 제2가이드부재(240)는 일면과 직각이 되는 타면(미도시)과 접촉시킨 상태에서, 도 1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핸드 그라인더를 이송시키면서 면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면취 커터부(100)의 커터날(114)은 면취 대상 금속 소재의 모서리가 연장된 방향(즉, 화살표 A 방향)에 대해서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소재를 면취하게 된다. 이러한 면취 동작은, 커터날이 금속 소재의 모서리와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면취하는 동작에 비해 더욱 정교하고 미려한 면취면을 제공할 수 있다.
면취 작업시 작업자는 원하는 면취량을 선택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면취량을 늘리고자 할 경우, 작업자는 잠금 너트(246)를 풀고, 조정 손잡이(244)를 회전시켜 조정 볼트(242)를 상승시킬 수 있다. 반대로, 면취량을 줄이고자 할 경우에는, 조정 손잡이(244)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정 볼트(242)를 하강시킬 수 있다. 원하는 정도의 면취량을 설정한 후 잠금 너트를 다시 조여 조정 볼트(242)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면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조정 볼트(242)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예로서 잠금 너트(246)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것에 제한됨이 없이 그 외 다양한 수단에 의해 조정 볼트(242)를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는 가이드 블록(210)의 자중에 의해 면취 공정시 다소간 떨림이나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감쇄하여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작업자는 손잡이(250)를 잡고 양손으로 면취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더욱 효과적인 면취 작업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면취 커터부(100)의 커터날(114)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는 전술한 바와 반대로 제1, 2체결부재(222, 224)를 풀어서 범용 핸드 그라인더(300)의 커플링 림(340)으로부터 면취 가이드부(20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면취 가이드부(200)가 분리되면, 범용 핸드 그라인더(300)의 스핀들(330)에 장착된 면취 커터부(100)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작업자는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커터날(114)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는 면취 가이드부(200) 전체를 분리시키는 대신에, 제1가이드부재(230) 및 제2가이드부재(240)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분리시킨 뒤, 노출되는 커터날(114)을 교체할 수도 있다.
<제2실시예>
도 9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를 범용 핸드 그라인더에 장착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위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는 면취 커터부(400)와 면취 가이드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면취 커터부(400)는 범용 핸드 그라인더(300)의 스핀들(33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구비된 커터날에 의해 금속 등의 면취 소재(미도시)의 모서리를 직접적으로 절삭하여 면취를 수행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면취 커터부(400)는 원통형의 회전 바디(410), 회전 바디(410)의 단부에 구비된 복수의 홀더(412), 및 각 홀더(412)에 장착되는 면취용 커터날(414)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면취 커터부(400)의 상세한 구성, 결합방식, 및 그 변형예 등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의 면취 커터부(400)는 면취 가이드부(500)와 분리되어 구성되므로, 커터날(414)의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부품의 유지 관리가 매우 편리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면취 가이드부(500)는 가이드 블록(510)과, 가이드 블록(510)을 범용 핸드 그라인더(300)에 체결시키는 체결구(520)와, 면취 소재의 표면과 접촉하는 가이드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블록(510)은 면취기 조립체의 몸체를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중량이 있는 금속 소재로 제조되어 면취 공정시 안정적으로 자중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블록(510)에는 면취 커터부(400)가 통과하여 면취 소재를 절삭할 수 있도록 상하 수직 방향으로 관통공(512)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가이드 블록(510)의 측면에는 파지용 손잡이(550)가 결합되어, 작업자가 양손을 사용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면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블록(510)의 상단에는 면취 가이드부(500)를 범용 핸드 그라인더(300)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520)가 구비된다. 체결구(520)는 가이드 블록(510)에 고정되는 제1체결부재(522)와, 제1체결부재(522)에 착탈 결합되는 제2체결부재(5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체결부재(522)는 범용 핸드 그라인더(300)의 커플링 림(340)에 체결될 수 있도록 커플링 림(340)의 외경과 같거나 그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원호형 내주면(52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원호형 내주면(522a)은 적어도 반원 이상의 호(arc)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체결부재(522)에는 복수의 체결공(522b)이 형성되고 가이드 블록(510)의 상면에는 체결공(522b)에 대응하는 나사공(510a)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들은 볼트(560)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체결부재(524)에도 제1체결부재(522)의 원호형 내주면(522a)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도록 원호형 내주면(524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체결부재(524)가 제1체결부재(522)에 결합될 경우, 제1체결부재(522)에 형성된 원호형 내주면(522a)과 제2체결부재(524)에 형성된 원호형 내주면(524a)에 의해 핸드 그라인더의 커플링 림(340)의 외주면을 감싸는 내주면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을 위해, 제1체결부재(522)의 측면 일부에는 나사산(522c)이 내입 형성되고, 제2체결부재(524)에는 이러한 나사산(522c)에 대응하는 관통공(524b)이 형성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볼트(562)에 의해 상호 착탈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제2체결부재(524)의 내측면은 반드시 원호형일 필요는 없으며, 타원호형 등 다른 곡선형이거나 직선형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제1체결부재(522)는 가이드 블록(5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일체로 형성된 제1체결부재(522)에 대해 제2체결부재(524)가 결합될 수 있다.
도 10에서 참조번호 526로 표기된 구성요소는 면취 커터부(400)의 회전 바디(410)와 가이드 블록(510)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을 가리킨다.
가이드 블록(510)의 하부에는 가이드부재(530)가 결합된다. 이를 위해, 가이드 블록(510)의 하단에는 가이드부재(5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경사면(5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경사면(514)은 관통공(512)의 중심을 지나는 축(도 3의 C 참조)에 대해 45도의 경사각(도 3의 θ1 참조)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530)는 면취 소재의 표면과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구체적으로, 가이드 블록(510)의 경사면(514)에 지지되며, 면취 소재의 일 표면과 접촉하는 제1접촉부(531)와, 제1접촉부(531)의 일단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면취 소재의 일 표면에 직각인 인접 표면과 접촉하는 제2접촉부(532)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접촉부(531)와 제2접촉부(5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530)는 소재를 면취하기 위해 본 발명의 면취기를 움직이는 방향(도 1의 화살표 A 참조), 즉 면취 소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접촉부(531)와 제2접촉부(532)의 길이는 각각 화살표 A 방향에 대응되고, 그 폭은 화살표 A방향와 직각인 방향에 대응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제2접촉부(532)의 폭(즉 연장된 길이)은 제1접촉부(531)의 폭보다 작도록 구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두께가 얇은 소재를 면취할 경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530)에 있어서, 제2접촉부(531)가 수직 연장되는 제1접촉부(531)의 단부 즉, 제1접촉부(531)와 제2접촉부(532)가 만나는 모서리 부분 중, 면취 커터부(400)의 위치에 상응하는 부분에는 절개부(53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절개부(533)를 통해 면취 커터부(400)의 커터날(414)이 면취 소재와 접촉함으로써 면취가 가능하다.
가이드부재(530)의 제1접촉부(531)는 가이드 블록(510)의 경사면(514)에 지지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접촉부(531)에는 복수개의 결합공(534)이 형성되고, 복수개의 체결볼트(535)가 결합공(534)을 관통해 가이드 블록(510)의 경사면(514)에 형성된 체결나사공(미도시)에 결합됨으로써 가이드부재(530)는 가이드 블록(5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접촉부(531)에 형성된 결합공(534)은 경사면(514)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으로 형성되어, 면취량 조절시 가이드부재(530)가 가이드 블록(510)의 경사면(514)을 따라 "승강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면취량 조절을 위해, 제1접촉부(531)에는 나사공(536)이 형성되고, 조정 볼트(540)의 나사 단부가 가이드 블록(510)에 형성된 개구(516)를 통과하여 나사공(536)에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블록(510)에 지지되고 있는 조정 볼트(540)를 회전시켜 제1접촉부(531)(즉, 가이드부재(530))를 가이드 블록(510)의 경사면(514)을 따라 승강 운동시킬 수 있고, 이 과정에서 면취 커터부(400)의 커터날(414)과 면취 소재 사이의 간격이 증감됨으로써 면취량이 조절될 수 있다. 면취량을 조절하는 동안에는 복수의 체결볼트(535)를 느슨하게 풀어서 가이드부재(530)의 이동을 허용하고, 원하는 면취량이 설정되면 복수의 체결볼트(535)를 다시 조여서 가이드부재(5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0에서 참조번호 570은 가이드 블록(510)과 가이드부재(530)에 각각 결합되는 눈금자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들 눈금자의 상대적인 수치로 면취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를 범용 핸드 그라인더(300)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를 범용 핸드 그라인더에 장착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범용 핸드 그라인더(300)의 구성과 동작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의 면취 커터부(400)를 핸드 그라인더(300)에 장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는 범용 핸드 그라인더(300)의 스핀들(330)을 원통형 회전 바디(410)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 회전 바디(410)와 스핀들(330)의 결합에 앞서, 회전 바디(410)의 외주면에 베어링(526)을 장착할 수 있다. 베어링(526)은 면취 커터부(400)가 가이드 블록(510)의 관통공(512)을 통과해 조립될 때, 회전 바디(410)와 관통공(512)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핸드 그라인더(300)의 구동시 회전 바디(410)가 진동 없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면취 가이드부(500)를 핸드 그라인더(300)에 장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장착은 면취 가이드부(500)의 체결구(520)를 핸드 그라인더(300)의 커플링 림(340)에 체결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면취 가이드부(500)를 핸드 그라인더(300)의 스핀들(330)에 장착하는 구성과 방법 및 그 변형예들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상세히 서술한 바 있으며, 그 내용이 동일하게 본 실시예에서도 적용되도록 이하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가 핸드 그라인더(300)에 장착되면, 작업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금속 소재(600)의 모서리를 면취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부재(530)의 제1접촉부(531)는 금속 소재(600)의 일면과 접촉하도록 하고, 제2접촉부(532)는 일면과 직각이 되는 타면과 접촉시킨 상태에서, 도 1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핸드 그라인더를 이송시키면서 면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면취 커터부(400)의 커터날(414)은 면취 대상 금속 소재의 모서리가 연장된 방향(즉, 화살표 A 방향)에 대해서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소재를 면취하게 된다. 이러한 면취 동작은, 커터날이 금속 소재의 모서리와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면취하는 동작에 비해 더욱 정교하고 미려한 면취면을 제공할 수 있다.
면취 작업시 작업자는 원하는 면취량을 선택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면취량을 늘리고자 할 경우, 작업자는 복수의 체결볼트(535)를 풀고, 조정 볼트(540)를 회전시켜 면취량을 조절할 수 있다. 원하는 면취량을 설정한 후 복수의 체결볼트(535)를 다시 조여 가이드부재(530)를 고정시키고, 면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는 가이드부재(530)의 제1접촉부(531)와 제2접촉부(532)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가이드부재와 그 승강 동작을 위한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며, 특히 제2접촉부(532)의 폭이 제1접촉부(531)의 폭보다 작으므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가 얇은 소재(600)를 면취할 경우 제1접촉부(531)는 광폭면과 접촉하는 반면 제2접촉부(532)는 협폭면과 접촉되어 장애없이 효과적인 면취 작업이 가능하다.
그 외, 면취 커터부(400)의 커터날(414)을 교체하는 동작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와 균등예가 있을 수 있다.
청구범위의 각 구성요소에 부여된 부호는 발명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해석함에 영향을 미쳐서는 아니된다.
100, 400: 면취 커터부
110, 410: 회전 바디
112, 412: 홀더
114, 414: 커터날
200, 500: 면취 가이드부
210, 510: 가이드 블록
220, 520: 체결구
222: 제1체결부재
224: 제2체결부재
230: 제1가이드부재
240: 제2가이드부재
242, 540: 조정 볼트
244: 조정 손잡이
246: 잠금 너트
250, 550: 손잡이

Claims (14)

  1. 툴 장착용 스핀들과 커플링 림이 구비된 범용 핸드 그라인더에 분리 및 조립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스핀들과 결합되는 회전바디와, 상기 회전바디의 단부에 구비된 복수의 홀더와, 상기 각 홀더에 장착되는 면취용 커터날을 포함하는 면취 커터부; 및
    상기 면취 커터부와 분리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면취 커터부가 통과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중심을 지나는 축과 45도를 이루는 경사면이 하면에 형성된 가이드 블록과, 상기 가이드 블록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커플링 림에 체결되는 체결구와, 상기 경사면에 지지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면취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블록의 경사면은, 상기 관통공의 중심을 지나는 축과 45도를 이루는 제1경사면과, 상기 제1경사면에 직각을 이루는 제2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경사면에 고정되는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경사면에 상기 제1경사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송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가이드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블록의 제2경사면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상면까지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조절공;
    상기 조절공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상응하는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조절공을 따라 상하 이송되며, 그 하단은 상기 제2가이드부재에 고정되는 조정 볼트;
    상기 조정 볼트의 상단에 구비된 조정 손잡이; 및
    상기 조정 손잡이와 가이드 블록 사이에서 상기 조정 볼트에 체결되는 잠금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의 제2경사면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가이드 홀; 및
    상기 가이드 홀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그 하단이 상기 제2가이드부재와 결합되는 가이드 바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가이드 블록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커플링 림의 외경과 같거나 그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원호형 내주면이 형성된 제1체결부재; 및
    상기 제1체결부재에 착탈 결합되며, 상기 제1체결부재의 원호형 내주면에 그 일측이 지지된 상기 커플링 림의 타측을 지지하는 내측면을 갖는 제2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부재의 내측면은 상기 제1체결부재의 원호형 내주면과 동일한 내경의 원호형 내주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및 제2체결부재의 원호형 내주면이 상기 커플링 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재는 상기 가이드 블록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커플링 림보다 큰 내경을 가진 체결공이 형성된 환형 테두리;
    상기 환형 테두리에 형성된 복수의 나사공; 및
    상기 나사공에 결합되는 잠금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 블록의 경사면에 지지되는 제1접촉부와, 제1접촉부의 일단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제2접촉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가 만나는 모서리 부분 중, 상기 면취 커터부의 위치에 상응하는 부분에는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촉부의 폭은 상기 제1접촉부의 폭보다 작도록 구성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가이드 블록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커플링 림의 외경과 같거나 그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원호형 내주면이 형성된 제1체결부재; 및
    상기 제1체결부재에 착탈 결합되며, 상기 제1체결부재의 원호형 내주면에 그 일측이 지지된 상기 커플링 림의 타측을 지지하는 내측면을 갖는 제2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부재의 내측면은 상기 제1체결부재의 원호형 내주면과 동일한 내경의 원호형 내주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및 제2체결부재의 원호형 내주면이 상기 커플링 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재는 상기 가이드 블록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
  14.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커플링 림보다 큰 내경을 가진 체결공이 형성된 환형 테두리;
    상기 환형 테두리에 형성된 복수의 나사공; 및
    상기 나사공에 결합되는 잠금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
KR1020220085841A 2021-07-21 2022-07-12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 KR1026609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774 2021-07-21
KR20210095774 2021-07-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639A KR20230014639A (ko) 2023-01-30
KR102660957B1 true KR102660957B1 (ko) 2024-04-25

Family

ID=85106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841A KR102660957B1 (ko) 2021-07-21 2022-07-12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09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45466A (zh) * 2023-10-20 2023-12-19 邢台迈驰轴承制造有限公司 一种圆锥滚子轴承内圈加工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712B1 (ko) * 2013-01-04 2013-06-19 주식회사 대성지티 파이프 용접비드면 가공용 가이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310B1 (ko) * 2005-01-12 2007-04-10 최철환 다기능 면취용 에어툴
KR200386898Y1 (ko) 2005-03-31 2005-06-16 권옥련 휴대용 면취기
KR100665734B1 (ko) 2005-12-26 2007-01-09 장두한 에어공구를 이용한 면취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712B1 (ko) * 2013-01-04 2013-06-19 주식회사 대성지티 파이프 용접비드면 가공용 가이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639A (ko) 202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82494B2 (en) Table saw
JP4481985B2 (ja) ホールカッタのための心軸及び関連する使用方法
KR102045341B1 (ko) 핸드 그라인더의 그라인더 날 고정장치
US8740520B2 (en) Multi-purpose beveller
KR102660957B1 (ko) 범용 핸드 그라인더용 면취기
KR102414014B1 (ko) 절삭 휠 탈부착장치
US9555490B2 (en) Miter saw with double belt drive
US7103950B1 (en) Pipe beveling tool and method
JP6163967B2 (ja) 動力工具および先端工具の固定構造
KR100839611B1 (ko) 경사면 가공장치
US20220024072A1 (en) Adjustment device for machines for cutting floor tiles and similar
KR101116564B1 (ko) 테이블 타입 면취기
KR100311270B1 (ko) 모서리가공용절삭장치
CN105328649B (zh) 工作附件以及动力工具
CN112829077A (zh) 一种可调角度的偏心安装锯片
KR200372048Y1 (ko) 수평방향 각도조절이 가능한 고속절단기
CN215319734U (zh) 陶瓷切割打磨装置
JP2014046393A (ja) 刈払機用回転刃研磨装置
CN220863464U (zh) 一种铣刀用的磨刀装置
JP7356876B2 (ja) 面取り装置の装置本体、及び面取り装置
CN216680513U (zh) 一种便于物料斜切的切割机
KR200166517Y1 (ko) 면취기
KR200484139Y1 (ko) 석재 절단용 톱날 결합 장치
KR20040077237A (ko) 연마 가공물 고정용 지그
KR20120110449A (ko) 용접 개선각 가공용 면취기의 곡면 가이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