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0404B1 - 시각장애인용 마스크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용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0404B1
KR102660404B1 KR1020210125431A KR20210125431A KR102660404B1 KR 102660404 B1 KR102660404 B1 KR 102660404B1 KR 1020210125431 A KR1020210125431 A KR 1020210125431A KR 20210125431 A KR20210125431 A KR 20210125431A KR 102660404 B1 KR102660404 B1 KR 102660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user
cover
visually impaired
informatio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1137A (ko
Inventor
박가온
이유미
Original Assignee
박가온
이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가온, 이유미 filed Critical 박가온
Priority to KR1020210125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0404B1/ko
Publication of KR20220131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91Labels or tickets undergoing a chang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e.g. heat, radiation, passage of time
    • G09F3/0292Labels or tickets undergoing a chang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e.g. heat, radiation, passage of time tamper indicating lab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마스크의 커버부에 사용자(시각장애인)를 위한 정보가 표시된 정보표시부(일예로, 점자)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마스크의 앞면과 뒷면을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부에 사용자(시각장애인)를 위한 정보표시부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마스크의 앞면과 뒷면을 혼동하여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부에 사용자의 안면 체온이 특정 온도 범위에 도달할 때 변색하는 색상변환부를 형성함으로써,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의 발열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마스크{MASK FOR THE VISUALLY IMPAIRED}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생활용품(공산품)인 마스크와, 의약외품인 마스크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중 산업용 방진마스크와 의약외품으로 분류되는 수술용 마스크, 보건용 마스크는 분진 등 포집 효율, 안면부 흡기 저항, 누설률과 같은 성능 기준과 시험방법이 정해져 있는 인증 또는 허가 대상에 포함된다.
보건용 마스크는 입자차단 기능이 있어 입자성 유해물질이나 감염원으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마스크로서, 미세먼지 차단 기능과 필터 기능이 있다.
보건용 마스크는 미세 입자 차단 성능에 따라 KF80, KF94, KF99로 구분된다.
여기서, KF는 Korea Filter의 약자로 'KF80'은 평균 0.6㎛ 크기의 미세 입자를 80% 이상 걸러낼 수 있고, 'KF94'와 'KF99'는 평균 0.4㎛ 크기의 미세 입자를 각각 94%, 99% 이상 걸러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보건용 마스크는 그 형상에 따라 접이형과 컵형으로 구분되는데, 접이형은 코 지지대(고정심)가 붙은 쪽을 위로 하고 코에 밀착시켜 머리끈을 귀에 걸어 사용하는 것이고, 컵형은 코와 턱을 감싸도록 얼굴에 맞춘 후 끈으로 고정하여 사용한다.
종래의 보건용 마스크는 면이나 합성섬유를 이용하여 직조된 제품을 두겹 내지는 세겹으로 적층하여 극세사나 헤파 필터 등으로 구성된 것들이 대부분이며, 항균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무기 항균입자를 코팅하거나 은나노 입자를 섬유 표면에 침착시켜 제조되었다.
한편, 이러한 종래 보건용 마스크의 일예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030059호에 '보건용 마스크'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보건용 마스크의 경우, 특히 시각장애인이 보건용 마스크의 앞면과 뒷면을 구분할 수 있도록 제조된 제품은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마스크의 커버부에 사용자(시각장애인)를 위한 정보가 표시된 정보표시부(일예로, 점자)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마스크의 앞면과 뒷면을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용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커버부에 사용자(시각장애인)를 위한 정보표시부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마스크의 앞면과 뒷면을 혼동하여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커버부에 사용자의 안면 체온이 특정 온도 범위에 도달할 때 변색하는 색상변환부를 형성함으로써,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의 발열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용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의 안면 일부를 덮고, 시각장애인을 위한 정보가 표시된 정보표시부를 포함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귀에 걸리거나 상기 사용자의 머리 일부에 착용되어 상기 커버부를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보표시부는, 점자(braille)가 상기 커버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보표시부는, 점자(braille)가 형성된 시트가 상기 커버부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보표시부는, 일측면에 점자(braille)가 형성된 끼움부재가 상기 커버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 체온이 특정 온도 범위 내에 도달할 때 변색하는 색상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마스크의 커버부에 사용자(시각장애인)를 위한 정보가 표시된 정보표시부(일예로, 점자)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마스크의 앞면과 뒷면을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부에 사용자(시각장애인)를 위한 정보표시부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마스크의 앞면과 뒷면을 혼동하여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부에 사용자의 안면 체온이 특정 온도 범위에 도달할 때 변색하는 색상변환부를 형성함으로써,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의 발열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시각장애인용 마스크에서 정보표시부가 다양한 위치에 형성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마스크의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정보표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시각장애인용 마스크에서 정보표시부가 다양한 위치에 형성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마스크의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정보표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마스크(100)는, 사용자의 안면 일부를 덮고, 시각장애인을 위한 정보가 표시된 정보표시부(101)를 포함하는 커버부(103); 및 커버부(103)의 양측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귀에 걸리거나 사용자의 머리 일부에 착용되어 커버부(103)를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시키는 고정부(1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각 구성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커버부(103)는, 사용자의 안면 일부를 덮는다.
여기서, '안면 일부'는 일예로, 사용자의 입과 코를 포함하는 얼굴 영역을 의미한다.
커버부(103)는, 면, 합성섬유 등을 이용하여 직조된 직물을 다수겹으로 적층하고, 이들을 합포하여 제작될 수 있다.
커버부(103)는, 항균 입자가 코팅되거나 은나노 입자가 표면에 침착되어 항균성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커버부(103)는, 사용자의 안면 체온이 특정 온도 범위 내에 도달할 때 변색되는 색상변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색상변환부는, 일예로, 사용자의 안면 체온이 특정 온도 범위 내에 도달할 때 변색하는 시온라벨(temperature indication label)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술한 '특정 온도 범위'는, 37℃~38℃, 37.5℃~38.5℃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색상변환부는, 커버부(103)의 양측부(즉, 후술할 고정부(105)가 커버부(103)에 연결되는 부분) 모두 또는 어느 한쪽에 형성될 수 있다.
색상변환부가 상술한 바와 같은 커버부(103)의 양측부 모두 또는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이유는, 커버부(103)의 양측부가 사용자의 뺨에 닿는 영역이어서, 사용자 안면의 체온이 직접적으로 정확히 색상변환부에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색상변환부가 커버부(103)에 형성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각장애인용 마스크(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발열상태를, 보호자, 의료진 등이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커버부(103)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정보가 표시된 정보표시부(101)를 포함한다.
정보표시부(101)는 다양한 실시예로 제공될 수 있다.
첫번째로, 정보표시부(101)는, 점자(braille)가 커버부(103)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점자(braille)는 시각장애인용 문자를 말하는데, 점자는 시각장애인이 손가락으로 만져서 스스로 읽을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커버부(103)에 일체로 형성되는 점자인 정보표시부(101)는, 커버부(103) 일부 영역을 점자 문법에 맞게 가압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커버부(103)에 일체로 형성되는 점자인 정보표시부(101)는, 커버부(103)의 일측면 상부 영역(상부 좌측-도 2 참조, 상부 우측-도 3(a) 참조), 일측면 하부 영역(하부 좌측-도 3(b) 참조, 하부 우측-도 3(c) 참조), 일측면 좌측 영역, 일측면 우측 영역, 일측면 중앙 영역, 재봉선이 형성된 영역 등 다양한 위치 및/또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점자는, '앞', '전', '앞면', '전면', '뒤', '후', '뒷면', '후면', '후방면' 등을 표시하는 것으로, 커버부(103)의 앞뒤를 구분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점자로 적용될 수 있다.
두번째로, 정보표시부(101)는, 점자가 형성된 시트가 커버부(103)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점자가 형성된 시트가 커버부(103)에 부착되는 형태로 정보표시부(101)를 형성하는 경우, 시트는 접착제, 테이프 등에 의해 커버부(103)에 부착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이 시트로 형성되는 정보표시부(101)는, 커버부(103)에 붙였다 뗄 수 있도록 부착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시트는, 사용자의 안면 체온이 특정 온도 범위 내에 도달할 때 변색하는 시온라벨(temperature indication label)로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술한 '특정 온도 범위'는, 37℃~38℃, 37.5℃~38.5℃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처럼 상술한 시트가 시온라벨로 구성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각장애인용 마스크(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발열상태를, 보호자, 의료진 등이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세번째로, 정보표시부(101)는, 일측면에 점자가 형성된 끼움부재가 커버부(103)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6 및 도 7 참조).
일측면에 점자가 형성된 끼움부재가 커버부(103)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정보표시부(101)를 형성하는 경우, 끼움부재는 일예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표시부(101)인 끼움부재는, 전면플레이트(101a); 후면플레이트(101b); 전면플레이트(101a)와 후면플레이트(101b)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101c);를 포함하고, 전면플레이트(101a)와 후면플레이트(101b) 중 어느 한쪽에 점자가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면플레이트(101a)와 후면플레이트(101b)는 각각 평평한 판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다.
끼움부재는, 전면플레이트(101a)와 후면플레이트(101b) 사이의 간격이 넓어진 후 좁아지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표시부(101)인 끼움부재는, 상호 마주보는 전면플레이트(101)와 후면플레이트(101b)의 각 면 중 적어도 한쪽 이상에 형성된 요철부(70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요철부(701)가 전면플레이트(101)와 후면플레이트(101b) 모두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요철부(701)는 일예로, 톱니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정보표시부(101)인 끼움부재는, 전면플레이트(101) 및/또는 후면플레이트(101b)에 요철부(701)가 형성됨으로써, 커버부(103)에 결합된 후 커버부(103)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는다.
이어서, 고정부(105)는, 커버부(103)의 양측에 형성된다.
고정부(105)는, 사용자의 귀에 걸리거나 사용자의 머리 일부에 착용되어, 커버부(103)를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시킨다.
고정부(105)는 끈 형태로 커버부(103)의 양측에 결합될 수도 있고, 커버부(103)의 양측이 각각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고, 연장된 부분에 타공이 형성된 구조로 이뤄질 수도 있다.
고정부(105)는 탄성을 가지면서 신축 또는 신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마스크의 커버부에 사용자(시각장애인)를 위한 정보가 표시된 정보표시부(일예로, 점자)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마스크의 앞면과 뒷면을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부에 사용자(시각장애인)를 위한 정보표시부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마스크의 앞면과 뒷면을 혼동하여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부에 사용자의 안면 체온이 특정 온도 범위에 도달할 때 변색하는 색상변환부를 형성함으로써,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의 발열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시각장애인용 마스크
101 : 정보표시부
103 : 커버부
105 : 고정부
701 : 요철부

Claims (3)

  1. 사용자의 안면 일부를 덮고, 시각장애인을 위한 정보가 표시된 정보표시부를 포함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귀에 걸리거나 상기 사용자의 머리 일부에 착용되어 상기 커버부를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정보표시부는,
    상기 커버부의 앞뒤를 구분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점자(braille)가 형성된 시트가 상기 커버부에 붙였다 뗄 수 있도록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마스크.
  2. 삭제
  3. 삭제
KR1020210125431A 2021-03-19 2021-09-23 시각장애인용 마스크 KR102660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431A KR102660404B1 (ko) 2021-03-19 2021-09-23 시각장애인용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679A KR102354471B1 (ko) 2021-03-19 2021-03-19 시각장애인용 마스크
KR1020210125431A KR102660404B1 (ko) 2021-03-19 2021-09-23 시각장애인용 마스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679A Division KR102354471B1 (ko) 2021-03-19 2021-03-19 시각장애인용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137A KR20220131137A (ko) 2022-09-27
KR102660404B1 true KR102660404B1 (ko) 2024-04-24

Family

ID=800501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679A KR102354471B1 (ko) 2021-03-19 2021-03-19 시각장애인용 마스크
KR1020210125431A KR102660404B1 (ko) 2021-03-19 2021-09-23 시각장애인용 마스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679A KR102354471B1 (ko) 2021-03-19 2021-03-19 시각장애인용 마스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354471B1 (ko)
WO (1) WO202219685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36087A (ja) * 2019-05-08 2021-03-04 志穂 清水 パターン洋服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04451A4 (en) * 2006-01-25 2010-01-06 Pipex Inc DROPLET COLLECTION DEVICE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CONTROLLING AIR-TRANSMISSIBLE DISEASES USING AN RFID
WO2017180620A1 (en) * 2016-04-12 2017-10-19 Thomas Jefferson University Temperature sensitive surgical face mask for identifying at risk patients and reducing viral infection
KR101960752B1 (ko) * 2018-10-24 2019-03-21 박장호 탈부착형 코 마스크
KR20200141010A (ko) * 2020-11-02 2020-12-17 김연태 인체 얼굴부위의 체온변화에 대응하는 시온구조체를 포함하는 마스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36087A (ja) * 2019-05-08 2021-03-04 志穂 清水 パターン洋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96854A1 (ko) 2022-09-22
KR20220131137A (ko) 2022-09-27
KR102354471B1 (ko) 2022-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98031A1 (en) Filter mask having one or more malleable stiffening members
TWI752261B (zh) 具有透明塑料片的面罩
CN105246552B (zh) 具有一个或多个纳米纤维层的口罩
WO2019167826A1 (ja) 防護用フード
JP3227263U (ja) マスク
KR102660404B1 (ko) 시각장애인용 마스크
JP3227832U (ja) マスク
JP3218892U (ja) ナノ薄膜マスク
KR102640636B1 (ko) 시각장애인용 마스크
KR102306275B1 (ko) 보건용 색채 마스크
TWM598160U (zh) 抗菌濾材及抗菌口罩
KR102328657B1 (ko) 밀착형 마스크
JP3199377U (ja) 顔面マスク用紫外線防止シート
KR20210030059A (ko) 보건용 마스크
CN214630071U (zh) 一种密封性好的防护类口罩
CN213045309U (zh) 一种口罩
JPS61103454A (ja) マスク
KR20210000125U (ko) 마스크
TWM592318U (zh) 高透氣式口罩結構
CN205030545U (zh) 一种口罩
CN212754337U (zh) 一种防护服
CN215303201U (zh) 一种口罩
KR102304914B1 (ko) 보건용 엠보싱 마스크
CN216315719U (zh) 一种多功能重复型防病毒口罩
CN211961010U (zh) 一种设有铜纤维层的无绳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